KR101641723B1 - Multi functional input device of elevator and communication system by using that - Google Patents

Multi functional input device of elevator and communication system by using tha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1723B1
KR101641723B1 KR1020090079567A KR20090079567A KR101641723B1 KR 101641723 B1 KR101641723 B1 KR 101641723B1 KR 1020090079567 A KR1020090079567 A KR 1020090079567A KR 20090079567 A KR20090079567 A KR 20090079567A KR 101641723 B1 KR101641723 B1 KR 101641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elevator
additional
input device
integrated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95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22139A (en
Inventor
신호철
박승환
유원필
김재홍
박천수
정승욱
이강우
정연구
윤호섭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9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1723B1/en
Publication of KR20110022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21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7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2Position or depth indicators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기 입력 장치, 이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통신 및 부가 기능을 갖는 승강기의 기능 일체형 입력 장치와, 이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층 수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패널 등이 구비되는 승강기 입력 장치에서, 추가적인 기능들을 승강기의 기존 패널에 추가하고자 하는 경우, 기존 승강기 패널의 구조적인 변경이 필요하며, 이에 따른 추가 비용이 수반될 수밖에 없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기존 승강기의 입력 장치의 구조적인 변경 없이 여러 부가 기능들, 예컨대 카메라 기능, 마이크 기능, 스피커 기능, 디스플레이 기능, 통신 기능 등을 추가할 수 있는 승강기의 기능 일체형 입력 장치를 마련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여러 부가 기능들이 추가된 기능 일체형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외부 관제실과 원격으로 통신할 수 있는 통신 환경을 마련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input device and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nction integrated input device of an elevator having communication and additional functions, and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In an elevator input device provided with an input panel for inputting the number of floors, if additional functions are to be added to an existing panel of an elevator, a structural change of the existing elevator panel is required, .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unction integrated input device of an elevator capable of adding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a camera function, a microphone function, a speaker function, a display function, and a communication function without changing the structure of an input device of a conventional elevator do. 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mmunication environment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control room remotely is provided by using a function integrated input device to which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are added.

승강기, 원격제어, 제어패널 Elevator, remote control, control panel

Description

승강기의 기능 일체형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MULTI FUNCTIONAL INPUT DEVICE OF ELEVATOR AND COMMUNICATION SYSTEM BY USING THAT}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input device for a function of an elevator,

본 발명은 승강기의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 입력 장치의 구조적인 변경 없이 여러 부가 기능들을 추가할 수 있으며, 추가된 부가 기능들을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서비스하는데 적합한 승강기의 기능 일체형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 device for an elev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egrated input device for an elevator that is capable of adding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without structural modification of the existing input devic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SK텔레콤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명: u-Robot 인지인프라 기술개발].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from research carried out as a part of SK Telecom's IT growth engine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Project title: u-Robot cognitive infrastructure technology development].

층 수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패널 등이 구비되는 승강기 입력 장치에서, 추가적인 기능, 예컨대 카메라 기능, 마이크 기능, 스피커 기능, 디스플레이 기능, 통신 기능 등을 승강기의 기존 패널에 추가하고자 하는 경우, 기존 승강기 패널의 구조적인 변경이 필요하며, 이에 따른 추가 비용이 수반될 수밖에 없다.When an additional function such as a camera function, a microphone function, a speaker function, a display function, a communication function or the like is to be added to an existing panel of an elevator in an elevator input device provided with an input panel for inputting the number of floors, And the additional cost is accompanied by the structural change.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존 승강기의 입력 장치의 구조적인 변경 없이 여러 부가 기능들, 예컨대 카메라 기능, 마이크 기능, 스피커 기능, 디스플레이 기능, 통신 기능 등을 추가할 수 있는 승강기의 기능 일체형 입력 장치를 마련하고자 한다.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 integrated input device of the elevator can add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a camera function, a microphone function, a speaker function, a display function, and a communication function without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input device of a conventional elevator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여러 부가 기능들이 추가된 기능 일체형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외부 관제실과 원격으로 통신할 수 있는 통신 환경을 마련하고자 한다.Also,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munication environment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control room remotely is provided by using a function integrated input device to which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are added.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승강기의 조작 패널 상의 버튼과 대응되게 장착되는 부가 버튼과, 상기 부가 버튼 내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부가 버튼이 눌려질 때 상기 부가 버튼에 대응되는 상기 조작 패널 상의 버튼의 주변의 빛을 센싱하는 조도 센서와, 상기 조도 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조도 센서의 센싱에 따른 센싱 신호에 대응하여 온(on)되는 디스플레이 수단과, 상기 부가 버튼 내에 각각 장착되며, 외부 원격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부가 버튼의 누름 동작을 제어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승강기의 기능 일체형 입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vator system including: an additional button mounted in correspondence with a button on an operation panel of an elevator; Display means for sensing light around the button on the operation panel; display means for turning on the sensing signal according to sensing of the illuminance senso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lluminance sensor; And an actuator for controlling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additional button by an external remote control signal.

여기서, 상기 조도 센서는, 상기 부가 버튼이 눌려질 때 상기 부가 버튼에 대응되게 장착된 상기 조작 패널 상의 버튼이 눌려져 발생하는 빛을 센싱할 수 있 다.Here, the illuminance sensor may sense light generated when the button on the operation panel mounted corresponding to the additional button is pressed when the additional button is pressed.

또한, 상기 기능 일체형 입력 장치는, 상기 부가 버튼을 고정시키는 버튼 지지부와, 일 측은 상기 조작 패널 상의 버튼과 연결되며, 타 측은 상기 버튼 지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부가 버튼에 상기 버튼이 눌러지면 탄성력에 의해 상기 부가 버튼이 다시 복원될 수 있게 하는 스프링과, 상기 액추에이터와 인접하게 위치하며, 상기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버튼 지지부의 일 측을 누를 수 있게 하는 누름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unction integrated type inpu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button supporting portion for fixing the additional button, one side connected to the button on the operation panel,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button supporting portion, And a pushing portion that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actuator and is operated by driving of the actuator to press one side of the button supporting portion.

또한, 상기 부가 버튼은 푸시 방식 버튼일 수 있다.Also, the addition button may be a push type button.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승강기의 조작 패널 상의 버튼과 대응되게 장착되는 부가 버튼의 누름 동작을 제어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조작 패널 상에 형성되며, 상기 승강기에서 부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가 기능 수단과, 외부 통신망을 통한 관제실로부터의 원격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가 기능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vator system including an actuator for controlling a pressing operation of an additional button mounted correspondingly to a button on an operation panel of an elevator,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unit for implementing the control signal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ctuator and the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unit in response to a remote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room through the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여기서, 상기 부가 버튼은 푸시 방식 버튼일 수 있다.Here, the addition button may be a push type button.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승강기의 조작 패널 상의 버튼과 대응되게 장착되는 부가 버튼과, 상기 부가 버튼 내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부가 버튼의 터치 동작에 의해 상기 부가 버튼에 대응되는 상기 조작 패널 상의 버튼의 주변의 빛을 센싱하는 조도 센서와, 상기 조도 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조도 센서의 센싱에 따른 센싱 신호에 대응하여 온(on)되는 디스플 레이 수단과, 상기 부가 버튼 내에 각각 장착되며, 외부 원격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부가 버튼의 터치 동작을 제어하는 전하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n additional button mounted in correspondence with a button on an operation panel of an elevator; A display means for turning on corresponding to a sensing signal corresponding to sensing of the illuminance senso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lluminance sensor; And a charge controller which is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additional button and controls the touch operation of the additional button by an external remote control signal.

여기서, 상기 조도 센서는 상기 부가 버튼에 대응되는 상기 조작 패널 상의 버튼에 전하가 발생되어 상기 조작 패널 상의 버튼이 켜질 경우에 빛을 센싱할 수 있다.Here, the illuminance sensor may sense light when a button is turned on on the operation panel by generating a charge on the button on the operation panel corresponding to the additional button.

또한, 상기 부가 버튼은, 사용자의 1차적인 터치를 위한 제1 전극과, 상기 조작 패널 상의 버튼 상에 형성되어 연결선에 의해 상기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전극의 터치 동작에 의해 전하가 발생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The additional button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for a primary touch of a user, a second electro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by a connection line formed on the button on the operation panel, And a second electrode to which charges are generated.

또한, 상기 전하 제어기는 상기 제2 전극에 연결되며, 외부 원격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제2 전극에 전하를 발생시킬 수 있다.The charge controller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and generate an electric charge on the second electrode by an external remote control signal.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승강기의 조작 패널 상의 버튼과 대응되게 장착되는 부가 버튼의 터치 동작을 제어하는 전하 제어기와, 상기 조작 패널 상에 형성되며, 상기 승강기에서 부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가 기능 수단과, 외부 통신망을 통한 관제실로부터의 원격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전하 제어기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가 기능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승강기의 기능 일체형 입력 장치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vator control system comprising: a charge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touch operation of an additional button mounted correspondingly to a button on an operation panel of an elevato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harge controller and the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unit in response to a remote control signal from a control room through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Can be provided.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 승강기의 입력 장치(조작 패널 등)의 구조적인 변경 없이 부가 기능들을 추가하고 외부 관제실과 원격 통신할 수 있는 네트워크 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바, 기능 추가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여러 가지 기능 디바이스들을 기존 승강기의 입력 장치에 용이하게 부가 장착할 수 있는 바, 기능 추가에 따른 시간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network environment in which additional functions are added and remote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control room can be implemented without structural modification of an input device (operation panel or the like) of an existing elevator, . In addition, since various functional devices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input device of the existing elevator, the time required for adding the function can be shortened.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user, the intention or the custom of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Each block of the accompanying block diagrams and combinations of steps of the flowchart may be perform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loaded into a processor of a general purpose computer, special purpos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apparatus so that the instructions, which may be executed by a processor of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step are created.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stored in a computer usable or computer readable memory capable of directing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apparatus to implement the functionality in a particular manner so that the computer usable or computer readable memory It is also possible for the instructions stored in the block diagram to produce a manufacturing item containing instruction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r flowchart of the block diagram.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stor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o that a series of operating steps may be perform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create a computer-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instructions that perform the processing equipment provide the steps for execut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and at each step of the flowchart.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Also, each block or each step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ortion of code that includes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the specified logical function (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the functions mentioned in the blocks or steps may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two blocks or steps shown in succession may in fact be perform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the blocks or steps may sometimes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func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기능 일체형 입력 장치, 예컨대 푸시 버튼(push button) 방식의 입력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integrated input device of a lift, for example, a push button type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기능 일체형 입력 장치는, 승강기의 기존 패널(100) 상에, 부가 패널(200)이 형성되는 구조이다.As illustrated in FIG. 1, the function-integrated input device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an additional panel 200 is formed on an existing panel 100 of an elevator.

이러한 부가 패널(200)은, 기존 버튼(102)과 동일한 위치에 부가 버튼(202)이 장착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바, 사용자가 승강기의 기존 버튼(102)을 누르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버튼을 누를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is additional panel 200 includes a structure in which the additional button 202 is mount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conventional button 102 and can be pressed in the same manner as the user presses the existing button 102 of the elevator Respectively.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부가 패널(200)은, 부가 버튼(202), 버튼 지지부(204), 스프링(206), 액추에이터(212), 누름부(2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auxiliary panel 200 may include an additional button 202, a button supporting portion 204, a spring 206, an actuator 212, a pressing portion 214, and the like.

부가 버튼(202)은 기존 버튼(102)과 대응되게 장착되며, 사용자에 의해 부가 버튼(202)이 눌러질 경우에 기존 버튼(102)이 동시에 눌러질 수 있다. 이러한 부가 버튼은 버튼 지지부(204)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The additional button 202 is mounted corresponding to the existing button 102 and the existing button 102 can be pressed simultaneously when the additional button 202 is pressed by the user. This additional button can be fixed by the button supporting portion 204. [

버튼 지지부(204)는 부가 버튼(202)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스프링(206)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The button support portion 204 serves to fix the addition button 202 and can be connected by a spring 206. [

스프링(206)의 일 측은 기존 패널(100)과 연결되며, 타 측은 버튼 지지부(204)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206)은 탄성력을 갖는 수단으로서, 부가 버튼(202)에 의해 기존 버튼(102)이 눌러지면, 탄성력에 의해 부가 버튼(202)이 다시 복원될 수 있게 한다.One side of the spring 206 may be connected to the conventional panel 100 and the other side may be connected to the button supporting portion 204. The spring 206 is an elastic means. When the conventional button 102 is pressed by the additional button 202, the additional button 202 can be restored by the elastic force.

한편, 부가 버튼(202)내에는, 조도 센서(208) 및 디스플레이 수단(210)이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n illuminance sensor 208 and a display means 210 may be provided in the additional button 202. [

조도 센서(208)는 기존 버튼(102)의 디스플레이 수단(도시 생략됨)이 켜질 경우, 즉 부가 버튼(202)의 누름 동작에 의해 기존 버튼(102)이 눌러져 기존 버튼(102)의 디스플레이 수단이 켜질 경우에, 기존 버튼(102)의 디스플레이 수단의 빛을 센싱하고 그에 따른 센싱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When the display means (not shown) of the existing button 102 is turned on, that is, when the existing button 102 is pressed by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additional button 202, When it is turned on, the light of the display means of the conventional button 102 can be sensed and a sensing signal can be generated accordingly.

디스플레이 수단(210)은, 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조도 센서(208)의 센싱 신호에 대응하여 온(on)될 수 있다.The display means 210 may be,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the like and may be turned on in response to a sensing signal of the illuminance sensor 208.

액추에이터(212)는 외부 제어 장치, 예를 들면 후술하는 설명에서와 같이 무선 통신망을 통한 관제실의 제어 장치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원격으로 구동되는 것으로, 부가 패널(200) 내 소정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The actuator 212 is driven remotely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from an external control device, for example, a control device of the control room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s described later, and can be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sub- have.

누름부(214)는 액추에이터(212)와 인접하게 위치하며, 액추에이터(212)의 구동에 의해 동작되어 버튼 지지부(204)의 일 측을 누를 수 있다.The pusher 214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actuator 212 and can be operated by the actuation of the actuator 212 to push one side of the button support 204. [

이와 같이, 사용자가 부가 버튼(202)을 직접 누르는 것 이외에도, 외부 통신 장치와 연계된 제어 장치가 액추에이터(212)를 제어하여 자동으로 부가 버튼(202)이 눌러지게 할 수도 있다.In this manner, in addition to the user directly pressing the additional button 202, the control device associated with the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may control the actuator 212 to automatically press the additional button 202. [

도 2는 도 1의 푸시 방식 기능 일체형 입력 장치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을 예시한 것으로, 자동으로 액추에이터(212) 등을 제어하기 위한 환경을 제공한다.FIG. 2 illustrates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push-type function integrated input device of FIG. 1, and provides an environment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actuator 212 and the like.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도 1의 부가 패널(200)에 구비되는 부가 버튼(202)은 승강기의 조작 패널 상에 다수 개 구비될 수 있는 바, 편의상 n개의 부가 버튼(202/1~202/n)으로 한정하기로 한다.As illustrated in FIG. 2, a plurality of additional buttons 202 provided on the additional panel 200 of FIG. 1 may be provided on the operation panel of the elevator. For convenience, n additional buttons 202/1 to 202 / n).

n개의 부가 버튼(202/1~202/n) 중 임의의 부가 버튼, 예컨대 부가 버튼1(202/1)에는, 부가 버튼(202/1)을 자동으로 누르기 위한 액추에이터1(212/1)과, 후술하는 제어부(216)에 의해 제어되는 조도 센서1(208/1)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An arbitrary additional button such as the additional button 1 202/1 of the n additional buttons 202/1 through 202 / n is provided with an actuator 1 212/1 for automatically pressing the additional button 202/1, And an illuminance sensor 1 208/1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21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이와 같은 n개의 부가 버튼(202/1~202/n)을 갖는 부가 패널(200) 내에는, 본 실시예에 따라 여러 부가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들, 예컨대 제어부(216), 카메라(218), 마이크(220), 스피커(222), 표시부(224)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additional panel 200 having n additional buttons 202/1 to 202 / n may include means for performing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uch as a control unit 216, a camera 218, A microphone 220, a speaker 222, a display unit 224, and the like.

여기서, 제어부(216)는, 후술하는 무선 통신망(230)을 통한 관제실(1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구동 제어, 예컨대 액추에이터 구동 제어, 카메라 구동 제어, 표시부 구동 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 unit 216 can perform drive control correspon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room 10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2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uch as actuator drive control, camera drive control, display unit drive control, and the like.

카메라(218), 마이크(220), 스피커(222), 표시부(224) 등은, 승강기의 기능 일체형 입력 장치의 외부에 형성되며, 제어부(216)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The camera 218, the microphone 220, the speaker 222, the display unit 224, and the like are formed outside the function integrated input device of the elevator and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216.

무선 통신망(230)은, 예컨대 근거리 무선 통신망, 광대역 무선 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230 may include, for exampl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like.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예컨대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지그비(Zigbee) 등의 통 신 환경을 포함하는 것으로, 사용거리가 어느 정도 제한된 공간에서의 승강기의 푸시 방식 기능 일체형 입력 장치의 제어 환경, 예컨대 각각의 부가 버튼 내의 액추에이터(예를 들어, 부가 버튼1(202/1) 내의 액추에이터1(212/1))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Here,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a communication environment such as a wireless LAN (Local Area Network), a Bluetooth,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a Zigbee, For example, a control environment for remotely controlling an actuator (for example, the actuator 1 212/1 in the additional button 1 202/1) in each of the additional buttons in a control environment of the push- Can be provided.

또한, 광대역 무선 통신망은, 예컨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CDMA) 등의 통신 환경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거리의 큰 제한 없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푸시 방식 기능 일체형 입력 장치의 제어 환경, 예컨대 각각의 부가 버튼 내의 액추에이터(예를 들어, 부가 버튼1(202/1) 내의 액추에이터1(212/1))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The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may include a communication environment such as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Wideband-CDMA), and the lik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trol environment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control environment of the integrated input device, for example, the actuator in each additional button (for example, the actuator 1 212/1 in the additional button 1 202/1).

이와 같은 광대역 무선 통신망은 기지국 및 기지국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동기식 및 비동기식을 모두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동기식인 경우에는 기지국은 BTS(Base Transceiver Station), 기지국 제어기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가 될 것이고, 비동기식인 경우에는 기지국은 노드 B(Node B), 기지국 제어기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가 될 것이다. 물론, 광대역 무선 통신망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CDMA망이 아닌 GSM망 및 향후 구현될 모든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을 포함할 수 있다.Such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may include a base station and a base station controller, and may support both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services. In case of the synchronous type, the base station will be a base transceiver station (BTS) and the base station controller will be a base station controller (BSC). In case of asynchronous type, the base station will be a Node B, . Of course, the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include a GSM network other than a CDMA network and an access network of all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to be realized in the future.

한편, 도 3은 도 1의 승강기의 푸시 버튼 방식 기능 일체형 입력 장치의 응용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lication form of the push-button type integrated function input device of the elevator of FIG.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기존 버튼(102)이 형성된 기존 패널(100) 상에 별도의 구조적인 변경 없이 부가 버튼(202)을 포함하는 부가 패널(200)이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additional panel 200 including the additional button 202 may be installed on the conventional panel 100 on which the conventional button 102 is formed, without any structural modification.

이러한 부가 패널(200)상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카메라(218), 마이크(220), 스피커(222), 표시부(224) 등의 부가 기능 장치들이 마련될 수 있으며, 또한 이들 부가 기능 장치들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 버튼(226)이 구비될 수 있다.Additional functions such as the camera 218, the microphone 220, the speaker 222 and the display unit 224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on the additional panel 200, An operation button 226 may be provided.

또한, 부가 패널(200) 상에는, 무선 통신망(230)을 통해 전달되는 관제실(1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제어부(216)로 전달하거나, 부가 기능 장치들의 동작 신호를 무선 통신망(230)을 통해 관제실(10)로 전달하기 위한 통신 수단(228)이 더 마련될 수 있다.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room 10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23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16 or an operation signal of the additional function devices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room 216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230, (228) for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terminal (10).

이러한 통신 수단(228)은, 예컨대 무선 LAN, 블루투스, RFID, 지그비 등의 무선 통신 기술이 적용되는 근거리 통신 수단, CDMA, W-CDMA 등의 무선 통신 기술이 적용되는 광대역 통신 수단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communication means 228 may be a local communication means to which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such as wireless LAN, Bluetooth, RFID, Zigbee or the like is applied, or a broadband communication means to which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such as CDMA or W-CDMA is applied .

도 3의 응용 형태에서 알 수 있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기능 일체형 입력 장치는, 기존의 승강기 패널의 구조적인 변경 없이 부가 패널을 장착하여 승강기의 부가적인 기능을 용이하게 추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3, the function-integrated input device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advantage that the additional function of the elevator can be easily added by mounting the additional panel without structural modification of the existing elevator panel .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기능 일체형 입력 장치, 예컨대 터치 버튼(touch button) 방식의 입력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function-integrated input device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touch-button type input device.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기능 일체형 입력 장치는, 승강기의 기존 패널(100) 상에, 부가 패널(300)이 형성되는 구조이다.As illustrated in FIG. 4, the functional integrated input device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additional panel 300 is formed on the existing panel 100 of the elevator.

이러한 부가 패널(300)은, 기존 패널(100)의 기존 버튼(104)(터치 버튼)과 동일한 위치에 부가 버튼(302)(터치 버튼)이 장착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바, 사용자 가 승강기의 기존 버튼(104)을 터치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버튼을 누를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additional panel 300 includes a structure in which the additional button 302 (touch button) is mount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existing button 104 (touch button) of the existing panel 100, The button 104 can be pressed in the same manner as the button 104 is touched.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부가 패널(300)은, 부가 버튼(302), 전하 제어기(312)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부가 버튼(302)은 기존 버튼(104)과 대응되게 장착되어 사용자에 의해 부가 버튼(302)이 터치될 경우에 기존 버튼(104)이 동시에 터치되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additional panel 300 may include an additional button 302, a charge controller 312, and the like. The additional button 302 may be mounted corresponding to the existing button 104, The structure in which the existing button 104 is touched simultaneously when the button 302 is touched can be applied.

일반적으로 터치 방식은 정전 방식(靜電方式)과 감압 방식(感壓方式)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승강기의 터치 방식 조작 버튼은 대부분 정전 방식 터치 기술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기존 버튼(104)과 부가 버튼(302)이 정전 방식 터치 버튼인 것으로 예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In general, the touch method can be classified into an electrostatic method and a pressure sensitive method. Since most touch-based operation buttons of the elevator employ electrostatic touch technology, in the present embodiment, 104 and the add button 302 are electrostatic touch buttons.

이러한 부가 버튼(302)은, 사용자의 1차적인 터치를 위한 제1 전극(304a), 기존 버튼(104) 상에 형성되어 연결선(306)에 의해 제1 전극(304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전극(304b)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부가 버튼(302)의 제1 전극(304a)을 터치하게 되면, 제1 전극(304a)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전극(304b)이 전하를 발생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기존 버튼(104)이 터치된 것으로 인식되어 내부 디스플레이 수단(도시 생략됨)이 켜질 수 있게 된다.The add button 302 includes a first electrode 304a for a first touch of the user and a second electrode 304b formed on the conventional button 104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304a by a connection line 306 Two electrodes 304b. Accordingly, when the user touches the first electrode 304a of the additional button 302, the second electrode 304b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304a generates electric charges, Is recognized as touched and the internal display means (not shown) can be turned on.

이때, 제2 전극(304b)에는, 전하 제어기(312)가 더 마련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전하 제어기(312)는 사용자의 의한 직접적인 터치뿐만 아니라, 외부 제어 장치, 예를 들면 후술하는 설명에서와 같이, 무선 통신망을 통한 관제실의 제어 장치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원격으로 제2 전극(304b)에 전하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부가 패널(300) 내의 소정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electrode 304b may further include a charge controller 312. The charge controller 312 may not only be a direct touch by a user, but may also be an external control device, for example, And generates electric charge to the second electrode 304b remotely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of the control room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또한, 부가 버튼(302)내에는, 조도 센서(308) 및 디스플레이 수단(310)이 구비될 수 있다.Also, an illuminance sensor 308 and a display means 310 may be provided in the addition button 302. [

조도 센서(308)는 기존 버튼(104)의 디스플레이 수단(도시 생략됨)이 켜질 경우, 즉 부가 버튼(302)의 터치 동작에 의해 기존 버튼(104)이 터치된 것으로 인식되어 기존 버튼(104)의 디스플레이 수단이 켜질 경우에, 기존 버튼(104)의 디스플레이 수단의 빛을 센싱하고 그에 따른 센싱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The illumination sensor 308 recognizes that the existing button 104 is touched by the touch operation of the additional button 302 when the display means (not shown) of the existing button 104 is turned on, It is possible to sense the light of the display means of the conventional button 104 and generate a sens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nsed light.

디스플레이 수단(310)은, 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조도 센서(308)의 센싱 신호에 대응하여 온(on)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310 may be,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the like and may be turned on in response to a sensing signal of the illuminance sensor 308.

이와 같이, 사용자가 부가 버튼(302)을 직접 터치하는 것 이외에도, 외부 통신 장치와 연계된 제어 장치가 전하 제어기(312)를 제어하여 자동으로 기존 버튼(104)이 터치된 것으로 인식하게 할 수 있다.In this way, in addition to the user directly touching the additional button 302, the control device associated with the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can control the charge controller 312 to automatically recognize the existing button 104 as being touched .

도 5는 도 4의 터치 방식 기능 일체형 입력 장치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을 예시한 것으로, 자동으로 전하 제어기(312) 등을 제어하기 위한 환경을 제공한다.FIG. 5 illustrates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touch-sensitive function integrated input device of FIG. 4, and provides an environment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charge controller 312 and the like.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도 4의 부가 패널(300)에 구비되는 부가 버튼(302)은 승강기의 조작 패널 상에 다수 개 구비될 수 있는 바, 편의상 n개의 부가 버튼(302/1~302/n)으로 한정하기로 한다.As illustrated in FIG. 5, a plurality of additional buttons 302 provided on the additional panel 300 of FIG. 4 may be provided on the operation panel of the elevator. For convenience, n additional buttons 302/1 to 302 / n).

n개의 부가 버튼(302/1~302/n) 중 임의의 부가 버튼, 예컨대 부가 버튼1(302/1)에는, 부가 버튼(302)의 제2 전극(304b)에 대해 자동으로 전하를 발생시키기 위한 전하 제어기1(312/1)과, 후술하는 제어부(316)에 의해 제어되는 조도 센서 1(308/1)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an additional button 302/1 of the n additional buttons 302/1 to 302 / n is automatically caused to generate a charge for the second electrode 304b of the additional button 302 And an illuminance sensor 1 (308/1)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31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provided, respectively.

이와 같은 n개의 부가 버튼(302/1~302/n)을 갖는 부가 패널(300) 내에는, 본 실시예에 따라 여러 부가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들, 예컨대 제어부(316), 카메라(318), 마이크(320), 스피커(322), 표시부(324) 등이 포함될 수 있다.In the additional panel 300 having the n additional buttons 302/1 to 302 / n, means for performing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uch as the control unit 316, the camera 318, A microphone 320, a speaker 322, a display unit 324, and the like.

여기서, 제어부(316)는, 후술하는 무선 통신망(330)을 통한 관제실(1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구동 제어, 예컨대 전하 제어기 구동 제어, 카메라 구동 제어, 표시부 구동 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 unit 316 can perform drive control correspon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room 10, such as a charge controller drive control, a camera drive control, a display unit drive control, and the lik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330 .

카메라(318), 마이크(320), 스피커(322), 표시부(324) 등은, 승강기의 기능 일체형 입력 장치의 외부에 형성되며, 제어부(316)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The camera 318, the microphone 320, the speaker 322, the display unit 324 and the like are formed outside the function integrated input device of the elevator and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316.

무선 통신망(330)은, 예컨대 근거리 무선 통신망, 광대역 무선 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330 may include, for exampl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like.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예컨대 무선 LAN, 블루투스, RFID, 지그비 등의 통신 환경을 포함하는 것으로, 사용거리가 어느 정도 제한된 공간에서의 승강기의 터치 방식 기능 일체형 입력 장치의 제어 환경, 예컨대 각각의 부가 버튼 내의 전하 제어기(예를 들어, 부가 버튼1(302/1) 내의 전하 제어기1(312/1))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Here,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a communication environment such as wireless LAN, Bluetooth, RFID, Zigbee, etc., and is a control environment of a touch-sensitive functional integrated input device of an elevator in a space with a limited use distance, (For example, the charge controller 1 312/1 in the adder button 1 302/1) in the button.

또한, 광대역 무선 통신망은, 예컨대 CDMA, W-CDMA 등의 통신 환경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거리의 큰 제한 없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터치 방식 기능 일체형 입력 장치의 제어 환경, 예컨대 각각의 부가 버튼 내의 전하 제어기(예를 들어, 부가 버튼1(302/1) 내의 전하 제어기1(312/1))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 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may include a communication environment such as CDMA, W-CDMA, and the like, and the control environment of the touch-based function integrated input device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trol environment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charge controller (for example, the charge controller 1 (312/1) in the adder button 1 302/1) in the button.

이와 같은 광대역 무선 통신망은 기지국 및 기지국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동기식 및 비동기식을 모두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동기식인 경우에는 기지국은 BTS, 기지국 제어기는 BSC가 될 것이고, 비동기식인 경우에는 기지국은 노드 B, 기지국 제어기는 RNC가 될 것이다. 물론, 광대역 무선 통신망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CDMA망이 아닌 GSM망 및 향후 구현될 모든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을 포함할 수 있다.Such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may include a base station and a base station controller, and may support both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services. Here, in the case of the synchronous type, the base station will be the BTS and the base station controller will be the base station controller. In the asynchronous mode, the base station will be the node B and the base station controller will be the RNC. Of course, the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include a GSM network other than a CDMA network and an access network of all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to be realized in the future.

이와 같은 터치 방식 기능 일체형 입력 장치도, 도 3의 푸시 방식 기능 일체형 입력 장치의 응용 형태와 마찬가지로, 카메라(318), 마이크(320), 스피커(322), 표시부(324) 등이 조작 패널 상에 구비될 수 있으며, 나머지 구성 및 기능은 도 3의 응용 형태와 동일한 바, 중복을 피하기 위해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3, the camera 318, the microphone 320, the speaker 322, the display unit 324, and the like are placed on the operation panel in the same manner as the application form of the push- And the remaining configuration and function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application form of Fig. 3,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order to avoid duplica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 승강기의 입력 장치의 구조적인 변경 없이 여러 부가 기능들, 예컨대 카메라 기능, 마이크 기능, 스피커 기능, 디스플레이 기능, 통신 기능 등을 추가할 수 있는 승강기의 기능 일체형 입력 장치를 마련하였으며, 여러 부가 기능들이 추가된 기능 일체형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외부 관제실과 원격으로 통신할 수 있는 통신 환경을 구현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unction of the elevator that can add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a camera function, a microphone function, a speaker function, a display function, and a communication function without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input device of a conventional elevator An integrated type input device is provided, and a communication environment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control room remotely is implemented using a function integrated input device to which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are ad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기능 일체형 입력 장치, 예컨대 푸시 버튼 방식의 기능 일체형 입력 장치를 예시한 도면,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integrated input device of a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push-button type integrated functional input device,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기능 일체형 입력 장치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functional integrated input device of FIG.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3은 도 1의 기능 일체형 입력 장치의 응용 형태를 예시한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lication form of the function integrated input device of FIG. 1,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기능 일체형 입력 장치, 예컨대 터치 버튼 방식의 기능 일체형 입력 장치를 예시한 도면,FIG. 4 illustrates a functional integrated input device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touch-button integrated functional input device,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4의 기능 일체형 입력 장치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FIG. 5 illustrates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functional integrated input device of FIG. 4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Claims (11)

승강기의 조작 패널 상의 버튼과 대응되게 장착되는 부가 버튼과,An additional button mounted in correspondence with a button on the operation panel of the elevator, 상기 부가 버튼 내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부가 버튼이 눌려질 때 상기 부가 버튼에 대응되는 상기 조작 패널 상의 버튼의 주변의 빛을 센싱하는 조도 센서와,An illuminance sensor mounted in the additional button and sensing ambient light around the button on the operation panel corresponding to the additional button when the additional button is pressed; 상기 조도 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조도 센서의 센싱에 따른 센싱 신호에 대응하여 온(on)되는 디스플레이 수단과,A display unit that is turned on in response to a sensing signal corresponding to sensing of the illuminance senso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lluminance sensor; 상기 부가 버튼 내에 각각 장착되며, 외부 원격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부가 버튼의 누름 동작을 제어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And an actuator which is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additional button and controls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additional button by an external remote control signal 승강기의 기능 일체형 입력 장치.Functional integrated input device of elevato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조도 센서는,The illuminance sensor comprises: 상기 부가 버튼이 눌려질 때 상기 부가 버튼에 대응되게 장착된 상기 조작 패널 상의 버튼이 눌려져 발생하는 빛을 센싱하는 When the additional button is pressed, the button on the operation panel mounted corresponding to the additional button is pressed to sense light generated 승강기의 기능 일체형 입력 장치.Functional integrated input device of elevato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기능 일체형 입력 장치는,The function-integrated input device includes: 상기 부가 버튼을 고정시키는 버튼 지지부와,A button supporting portion for fixing the additional button, 일 측은 상기 조작 패널 상의 버튼과 연결되며, 타 측은 상기 버튼 지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부가 버튼에 상기 버튼이 눌러지면 탄성력에 의해 상기 부가 버튼이 다시 복원될 수 있게 하는 스프링과,A spring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operation panel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button supporting part to allow the additional button to be restored by elastic force when the button is pressed on the additional button, 상기 액추에이터와 인접하게 위치하며, 상기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버튼 지지부의 일 측을 누를 수 있게 하는 누름부를 포함하는And a pressing portion that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actuator and is operated by driving of the actuator to press one side of the button supporting portion 승강기의 기능 일체형 입력 장치.Functional integrated input device of elevator.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상기 부가 버튼은 푸시 방식 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nd the additional button is a push-type button. 승강기의 기능 일체형 입력 장치.Functional integrated input device of elevat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승강기의 조작 패널 상의 버튼과 대응되게 장착되는 부가 버튼과,An additional button mounted in correspondence with a button on the operation panel of the elevator, 상기 부가 버튼 내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부가 버튼의 터치 동작에 의해 상기 부가 버튼에 대응되는 상기 조작 패널 상의 버튼의 주변의 빛을 센싱하는 조도 센서와,An illuminance sensor mounted in the additional button for sensing light around the button on the operation panel corresponding to the additional button by the touch operation of the additional button, 상기 조도 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조도 센서의 센싱에 따른 센싱 신호에 대응하여 온(on)되는 디스플레이 수단과,A display unit that is turned on in response to a sensing signal corresponding to sensing of the illuminance senso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lluminance sensor; 상기 부가 버튼 내에 각각 장착되며, 외부 원격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부가 버튼의 터치 동작을 제어하는 전하 제어기를 포함하는 And a charge controller which is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additional button and controls the touch operation of the additional button by an external remote control signal 승강기의 기능 일체형 입력 장치.Functional integrated input device of elevator. 제 7 항에 있어서,8. The method of claim 7, 상기 조도 센서는 상기 부가 버튼에 대응되는 상기 조작 패널 상의 버튼에 전하가 발생되어 상기 조작 패널 상의 버튼이 켜질 경우에 빛을 센싱하는 The light sensor senses light when a button is turned on on the operation panel by generating a charge on the button on the operation panel corresponding to the additional button 승강기의 기능 일체형 입력 장치.Functional integrated input device of elevator. 제 7 항에 있어서,8. The method of claim 7, 상기 부가 버튼은,The additional button 사용자의 1차적인 터치를 위한 제1 전극과,A first electrode for a primary touch of the user, 상기 조작 패널 상의 버튼 상에 형성되어 연결선에 의해 상기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전극의 터치 동작에 의해 전하가 발생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는 And a second electrode formed on the button on the operation panel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by a connection line and charged by the touch operation of the first electrode, 승강기의 기능 일체형 입력 장치.Functional integrated input device of elevator. 제 9 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전하 제어기는 상기 제2 전극에 연결되며, 외부 원격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제2 전극에 전하를 발생시키는 Wherein the charge controller is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and generates charge to the second electrode by an external remote control signal 승강기의 기능 일체형 입력 장치.Functional integrated input device of elevator. 승강기의 조작 패널 상의 버튼과 대응되게 장착되는 부가 버튼의 터치 동작을 제어하는 전하 제어기와,A charg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touch operation of the additional button mounted correspondingly to the button on the operation panel of the elevator, 상기 조작 패널 상에 형성되며, 상기 승강기에서 부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가 기능 수단과,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unit formed on the operation panel for implementing an additional function in the elevator, 외부 통신망을 통한 관제실로부터의 원격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전하 제어기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가 기능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said charge controller and said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unit in response to a remote control signal from a control room via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승강기의 기능 일체형 입력 장치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A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functionally integrated input device of an elevator.
KR1020090079567A 2009-08-27 2009-08-27 Multi functional input device of elevator and communication system by using that KR1016417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567A KR101641723B1 (en) 2009-08-27 2009-08-27 Multi functional input device of elevator and communication system by using th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567A KR101641723B1 (en) 2009-08-27 2009-08-27 Multi functional input device of elevator and communication system by using tha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139A KR20110022139A (en) 2011-03-07
KR101641723B1 true KR101641723B1 (en) 2016-07-22

Family

ID=43930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9567A KR101641723B1 (en) 2009-08-27 2009-08-27 Multi functional input device of elevator and communication system by using tha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172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6778B1 (en) * 2021-03-16 2021-09-30 재단법인 한국로봇산업진흥원 Module typed robot-elevator interface device
KR102306781B1 (en) * 2021-03-16 2021-09-30 재단법인 한국로봇산업진흥원 Matrix typed robot-elevator interface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927B1 (en) * 2012-08-01 2014-02-03 송종태 A multi-detachable board for remote access of an elevator operating system a emergency call board for remote emergency call access
CN105110107B (en) * 2015-09-25 2017-03-22 冯新州 External internet-of-things smart-phone call-out elevator wireless simulation artificial-triggering device
CN105858374B (en) * 2016-05-31 2018-02-23 北京云迹科技有限公司 External elevator interactive system and method
CN105858373B (en) * 2016-05-31 2018-03-02 北京云迹科技有限公司 External elevator interactive system and method
CN110002300A (en) * 2019-04-29 2019-07-12 北京大学深圳医院 Elevator push button auxiliary device
WO2021240044A1 (en) * 2020-05-25 2021-12-02 Kone Corporation Solution for monitoring an operation of an elevator
CN113752269A (en) * 2020-06-01 2021-12-07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Mobile robot autonomous elevator taking device and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3044A (en) * 2001-08-31 2003-03-12 Sr Fujiken:Kk Auxiliary operation device of elevator operation butt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8789A (en) * 2004-06-15 2005-12-20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Remote controller system of elevator having video monitoring function and the controlling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3044A (en) * 2001-08-31 2003-03-12 Sr Fujiken:Kk Auxiliary operation device of elevator operation butt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6778B1 (en) * 2021-03-16 2021-09-30 재단법인 한국로봇산업진흥원 Module typed robot-elevator interface device
KR102306781B1 (en) * 2021-03-16 2021-09-30 재단법인 한국로봇산업진흥원 Matrix typed robot-elevator interfac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139A (en) 2011-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1723B1 (en) Multi functional input device of elevator and communication system by using that
CN112835503B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display siz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170651B2 (en) Tactile sens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actile sensation providing apparatus
US9697705B2 (en) Tactile sens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actile sensation providing apparatus
WO202107578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pop-up window using multi-window thereof
US10764415B2 (en) Screen lighting method for dual-screen terminal and terminal
US9389687B2 (en) Tactile sens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actile sensation providing apparatus
KR20110074886A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n electroluminescent driven haptic keypad
KR20070122345A (en) Input device with display button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US9317117B2 (en) Tactile sens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actile sensation providing apparatus
JP5452404B2 (en) Tactile presentation device
CN104166517A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touch screen device
WO20150125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of portable terminal
CA2722519C (en) Optical trackpad module and method of using same
WO2017104859A1 (en) Computer program for creating service scenario of internet of things, portable terminal, and gateway device
US8390569B2 (en) Optical trackpad module and method of using same
KR20120129621A (en) User Interfac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Portabl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KR20120033789A (en) Method for application execution and mobile terminal using this method
CN103513901A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101871275B1 (en) Input device for touch screen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ouch screen
US10082871B2 (en) Tactile sens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actile sensation providing apparatus
JP2023527236A (en) APPLICATION CONTROL METHO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JP2012155628A (en) Electronic apparatus
JP2010262483A (en) Touch pad input device
KR20130046131A (en) Apparatus for input/output in portable terminal and driv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