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6778B1 - Module typed robot-elevator interface device - Google Patents

Module typed robot-elevator interfac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6778B1
KR102306778B1 KR1020210034285A KR20210034285A KR102306778B1 KR 102306778 B1 KR102306778 B1 KR 102306778B1 KR 1020210034285 A KR1020210034285 A KR 1020210034285A KR 20210034285 A KR20210034285 A KR 20210034285A KR 102306778 B1 KR102306778 B1 KR 102306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button
actuator
unit
interfac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42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지한
권건환
권설령
백형택
우종운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로봇산업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로봇산업진흥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로봇산업진흥원
Priority to KR1020210034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77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7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52Floor se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1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8Call registering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4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of optical properties of material when it is stressed, e.g. by photoelastic stress analysis using infrared, visible light, ultravio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ar robot-elevator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robot-interconnected elevator input interface device mounted in an input button part or a call button part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ular robot-elevator interface device is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an input device module and a blank module. The input device module includes: a button operation part including an actuator placed in an upper part of the input button part provided in the elevator, wherein the actuator is placed to be matched with a part right above each button of the input button part; a control part formed in an upper part of the button operation part and electrically connected with the actuator, wherein the control part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part for communication with the robot; and a touch screen provided in an upper part of the control part and electrically connected with the control part. The control part, when receiving floor information or a call command from the robot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part, operates the actuator to press a button of the input button part or the call button part provided in the elevator.

Description

모듈형 로봇―엘리베이터 인터페이스 장치{MODULE TYPED ROBOT-ELEVATOR INTERFACE DEVICE}Modular Robot—Elevator Interface Device {MODULE TYPED ROBOT-ELEVATOR INTERFACE DEVICE}

본 발명은 모듈형 로봇―엘리베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사람과 로봇 모두가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층간 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모듈형 조립 구조물을 채용한 모듈형 로봇―엘리베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ar robot-elevator interface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modular robot-elevator interface device employing a modular assembly structure so that both a person and a robot using an elevator can move between floors using an elevator. it's about

최근 들어, 심부름 서비스, 청소 서비스, 안내 서비스 등을 사람에게 행하는 서비스 로봇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대형 건물에서 로봇이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층간 이동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게 된다.In recent years, development of service robots that perform errand services, cleaning services, guidance services, and the like to humans, has been actively carried out. Meanwhile, in order for robots to perform services in large buildings, movement between floors is essential.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를 탑승하기 위해서는 엘리베이터 탑승 입구에서 호출 버튼을 누르고 이후 엘리베이터가 도착하여 문이 열리면 탑승한 후 가고자 하는 층의 버튼을 누르는 조작이 필요하다.In general, in order to board an elevator, it is necessary to press the call button at the elevator boarding entrance, and then, when the elevator arrives and the door is opened, it is necessary to board the elevator and press the button for the floor you want to go to.

이와 같이 현재 대부분의 엘리베이터의 경우 엘리베이터에 탑승하거나 층간 이동을 위해서는 엘리베이터의 내부 또는 외부에 제공된 버튼에 물리적 힘을 가해 엘리베이터의 이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에 층간 이동 정보를 전달해야만 한다.As such, in most current elevators, in order to board the elevator or to move between floors, it is necessary to transmit interfloor movement information to a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elevator by applying a physical force to a button provided inside or outside the elevator.

그러나 로봇의 경우 현재 엘리베이터에 제공된 버튼을 물리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로봇에 버튼 인식을 위한 시각 인식 기능과 버튼을 누를 수 있는 기구적 구성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정밀한 로봇 제어를 요구하기 때문에 현재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적용하기 쉽지않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robot, in order to physically operate the button provided in the current elevator, the robot not only requires a visual recognition function for button recognition and a mechanical configuration that can press the button, but also requires precise robot control. Not easy to apply

따라서 로봇과 엘리베이터를 연동시키기 위해서는 무선 통신 연결을 이용한 제어/감시반 모듈 연동 방식과 서버 연동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link the robot and the elevator, the control/monitoring panel module interworking method and the server interworking metho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can be used.

제어/감시반 모듈 연동 방식은, 별도의 무선 통신 모듈들을 엘리베이터 제어나 감시에 필요한 위치에 시공을 하여야 하며, 승강기 안전검사의 검사특례 인정을 받아야만 하고, 통신 모듈에 이상이 있을 경우 제어/감시반으로 직접 연동이 되어있어 이상운전 상황에서 엘리베이터 내부 사용자의 대응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설비 공사에 별도의 기간과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In the control/monitoring module interlocking method, separat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must be installed at the positions required for elevator control or monitoring, must be approved for special inspection of the elevator safety inspection, and if there is an error in the communication module, directly to the control/monitoring panel Because it is interlocked, it is difficult for users inside the elevator to respond to abnormal operation situations, and it takes extra time and a lot of money and time for facility construction.

서버 연동 방식은, 제어/감시반 모듈 연동 방식과 달리 별도의 엘리베이터 제어/감시반에 무선 통신 설비 공사가 수반되지는 않지만 엘리베이터 관리 서버가 있는 신형 엘리베이터에만 적용이 가능하고, 이 방법 역시 서버 또는 통신에 이상이 있을 경우 엘리베이터 내부 사용자의 대응이 어렵고, 엘리베이터 서버와 로봇 관리 서버를 연동하기 위한 개발 과정에 별도의 기간과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Unlike the control/monitoring module interlocking method, the server interlocking method does not require wireless communication facility construction in a separate elevator control/monitoring panel, but is applicable only to new elevators with an elevator management server, and this method also has an abnormality in the server or communication. In this case, it is difficult for the users inside the elevator to respond, and a separate period of time, a lot of money, and time are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process to link the elevator server and the robot management server.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080278(2010년 7월 8일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10-2010-0080278 (published on July 8, 2010)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에 기반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엘리베이터 제어/감시반에 추가의 장비를 설치하지 않아 비용적으로 저렴하고 엘리베이터의 이상운전 상황에서 엘리베이터 내부 사용자가 부착된 장치를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엘리베이터의 비상시 안전상의 이점이 얻어질 수 있는 모듈형 로봇―엘리베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를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devised based on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inexpensive because no additional equipment is installed in the elevator control/monitoring panel, and is configured so that the user inside the elevator can easily remove the attached device in the abnormal operation situation of the elevator It aims at a modular robot-elevator interface device in which safety advantages can be obtained in case of emergency.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양태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부와 엘리베이터의 입력 버튼부에 장착되는 모듈형 로봇―엘리베이터 인터페이스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로봇―엘리베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입력 장치 모듈 및 블랭크 모듈을 결합하여 형성되고, 입력 장치 모듈은, 엘리베이터에 제공된 입력 버튼부 또는 호출 버튼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버튼 작동부 - 여기서 액추에이터는 입력 버튼부의 각각의 버튼의 직상방에 정합하도록 배치됨 - ; 버튼 작동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액추에이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 - 여기서 제어부는 상기 로봇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를 포함함 - ; 및 제어부 상부에 제공되고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고, 제어부는 무선 통신부를 통해 로봇으로부터 호출 명령 또는 층 정보를 수신하면 액추에이터를 구동하여 엘리베이터에 제공된 입력 버튼부 또는 호출 버튼부를 누르도록 동작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dular robot mounted on an elevator call button unit and an input button unit of an elevator - an elevator interface device is provided. The modular robot-elevator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combining an input device module and a blank module, wherein the input device module includes an actuator disposed on an input button part or a call button part provided in an elevator button operation including an actuator part, wherein the actuator is disposed to mate directly above each button of the input button part; a control unit formed above the button operation uni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ctuator,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robot; and a touch screen provided on the control uni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drives the actuator upon receiving a call command or floor information from the robot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press the input button unit or the call button unit provided in the elevator It works.

또한 전술한 양태에서, 입력 장치 모듈 및 상기 블랭크 모듈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모듈 하우징을 포함하고, 모듈 하우징의 네 측벽에는 모듈간 결합을 위한 모듈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aspect, the input device module and the blank module include a module housing having a rectangular or square shape, and module coupling portions for coupling between modules are formed on four sidewalls of the module housing.

또한 전술한 양태에서, 액추에이터의 리니어 액추에이터이고, 액추에이터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엘리베이터의 버튼이 눌렸을 때 발생되는 빛을 감지하기 위한 포토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In addition, in the above aspect, it is a linear actuator of the actuator,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actuator is provided with a photo sensor for detecting light generated when the button of the elevator is pressed.

또한 전술한 양태에서, 액추에이터의 선단부에는 액추에이터의 구동시 엘리베이터의 버튼과 직접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는 팁부가 제공되고, 상기 팁부는 연질의 실리콘 또는 연질의 고무로 형성된다. 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aspect, the tip portion of the actuator is provided with a tip portion that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button of the elevator when the actuator is driven, and the tip portion is formed of soft silicone or soft rubber.

또한 전술한 양태에서, 제어부는 포토 센서로부터 빛이 감지되면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액추에이터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된다. Also in the above-described aspect,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stop driving of the actuator and return the actuator to an initial position when light is sensed from the photosensor.

또한 전술한 양태에서, 액추에이터는 모터, 모터에 연결된 로드, 및 로드에 연결된 팁부를 포함하고, 모터는 모터를 감싸는 하우징 내부에 수납되고, 모터 하우징의 하부면에는 모터 구동에 필요한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 단자부; 제어부로부터의 액추에이터 구동신호가 공급되는 제어 단자부; 및 포토 센서로부터의 광검출 신호가 수신되는 센서 단자부를 포함하고, 전원 단자부, 제어 단자부 및 센서 단자부는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aspect, the actuator includes a motor, a rod connected to the motor, and a tip portion connected to the rod, the motor is accommodated in a housing surrounding the motor,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motor housing is a power supply to which power required for driving the motor is supplied terminal part; a control terminal unit to which an actuator driving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is supplied; and a sensor terminal for receiving a photodetection signal from the photo sensor, wherein the power terminal, the control terminal, and the sensor terminal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제어/감시반에 추가의 장비를 설치하지 않아 비용적으로 저렴하고 엘리베이터의 이상운전 상황에서 엘리베이터 내부 사용자가 부착된 장치를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엘리베이터의 비상시 안전상의 이점이 얻어질 수 있는 부착형태의 로봇 연동형 엘리베이터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expensive because no additional equipment is installed in the elevator control/monitoring panel, and it is configured so that the user inside the elevator can easily remove the attached device in the abnormal operation situation of the elevato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obot-linked elevator input interface device of an attachable typ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엘리베이터에 제공된 입력 버튼부 및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부에 장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엘리베이터에 제공된 입력 버튼부에 장착한 후 내부 단면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의 입력 장치 모듈의 분해 사시도 및 결합 방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의 액추에이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의 제어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의 터치 스크린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의 다른 제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an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mounting the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button unit and the elevator call button unit provided in the elevator;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internal cross-section after the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n input button unit provided in an elevator;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nput device module of an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view exemplarily showing a coupling method;
Fig. 5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n actuator of an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control unit of an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exemplarily showing a touch screen of an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control structure of an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ully inform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Accordingly, in some embodiments, well-known components, well-known operations, and well-known techniques have not been specifically described in order to avoid obscuring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In addition, the terms used (mentioned)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In addition, elements and operations referred to as 'include (or include)'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and operation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with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lso,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defin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반적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overal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로봇(20)과 엘리베이터(30) 사이에서 로봇과 사람이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층간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를 제공한다.As shown in FIG. 1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rface device 10 that enables a robot and a person to move between floors using an elevator between a robot 20 and an elevator 30 .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20a) 및 사용자(또는 사람)(20b)는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를 통해 이동하고자 하는 층으로 엘리베이터를 구동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1 , the robot 20a and the user (or person) 20b can drive the elevator to the floor to be moved through the interface device 10 .

로봇(20a)의 경우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에 제공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의 호출 및 희망하는 층을 입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20b)의 경우에는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에 제공된 물리적 수단을 이용해 원하는 층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the case of the robot 20a, an elevator call and a desired floor can be input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provided to the interface device 10, and in the case of the user 20b, using physical means provided in the interface device 10 It is configured so that the desired floor can be entered.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는 로봇(20a)으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입력받은 이동 층 정보를 물리적 입력으로 변환하여 엘리베이터 제어반(30)에 전달하고, 사용자(20b)로부터 물리적으로 입력받은 이동 층 정보를 엘리베이터 제어반(30)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interface device 10 converts the moving floo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obot 20a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into a physical input and transmits it to the elevator control panel 30, and transfers the moving floor information received physically from the user 20b to the elevator control panel (30) is configured to pass.

사용자(20b)의 경우 종래와 동일하게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의 터치스크린에 물리적으로 '터치'하는 것으로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별다른 추가의 동작없이 엘리베이터를 원하는 층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In the case of the user 20b, since the elevator can be used by physically 'touching' the touch screen of the interface device 10 as in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move the elevator to a desired floor without any additional operation.

또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는 엘리베이터의 내부 제어반에 추가적인 설비가 제공되는 것이 아닌, 엘리베이터에 제공된 입력 버튼부 위에 탈부착가능하게 제공되기 때문에 로봇-엘리베이터 연동에 과도한 설치비용이 들지 않고 또한 설치 시간 역시 짧은 이점이 얻어진다.In addition, the interface device 10 is not provided with additional equipment in the internal control panel of the elevator, but is detachably provided on the input button provided in the elevator, so the robot-elevator interlocking does not require excessive installation costs and the installation time is also short. this is obtain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의 단면도이다. FIG. 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interface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terface device 10 shown in FIG. 2 .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는 엘리베이터에 제공된 입력 버튼부(31)(엘리베이터 층 버튼 또는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에 맞추어 제작된다. 도 2의 (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1(가로) × 3(세로)의 배열을 가진 입력 버튼부(31)에 제공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가로) × 2(세로)의 배열을 가진 호출 버튼부(31)에 제공될 수도 있다.First, as shown in FIG. 2, the interface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input button part 31 (elevator floor button or elevator call button) provided in the elevator. In the embodiment shown in (A) of FIG. 2, an example of the interface device 10 provided to the input button unit 31 having an arrangement of 1 (horizontal) × 3 (vertical) is show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No, it may be provided in the call button unit 31 having an arrangement of 1 (horizontal) × 2 (vertical) as shown in (B) of FIG. 2 .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는 입력 버튼부(31)의 위에 나사와 같은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거나 자석을 이용한 부착 형태등 다양한 형태의 고정/부착 수단으로 부착될 수 있다. 나사(101)와 같은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경우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의 주변부 외측에는 나사 삽입을 위한 적당한 고정홀(102)이 제공될 수도 있다.2 and 3, the interface device 10 may be fixed on the input button unit 31 by a fixing means such as a screw or may be attached with various types of fixing/attaching means such as an attachment type using a magnet. have. An appropriate fixing hole 102 for screw insertion may be provided outside the periphery of the interface device 10 when it is fixed by a fixing means such as a screw 101 .

도 3을 참조하면,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입력 장치 모듈(100)로 구성되고 입력 장치 모듈(100)의 각각은 엘리베이터에 제공된 입력 버튼부(31)의 상부에 액추에이터가 제공되는 버튼 작동부(130); 버튼 작동부(130) 상부에 형성되는 제어부(120); 및 제어부(120) 상부에 제공되는 터치 스크린부(110)을 차례대로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 the interface device 1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input device modules 100 as shown in FIG. 3 , and each of the input device modules 100 is an upper portion of an input button unit 31 provided in an elevator. The button operation unit 130 is provided with an actuator; a control unit 120 formed on the button operation unit 130; and a touch screen unit 110 provided on the control unit 120 , in turn.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는 입력 장치 모듈(100)과 블랭크 모듈(105)로 구성된다. 블랭크 모듈(105)은 입력 장치 모듈(100)이 엘리베이터에 제공된 버튼의 직상방에 위치할 수 있도록 입력 장치 모듈(100)와 입력 장치 모듈(100)에 간격을 형성하도록 제공된다.2 and 3 , the interface device 10 includes an input device module 100 and a blank module 105 . The blank module 105 is provided to form a gap between the input device module 100 and the input device module 100 so that the input device module 100 can be located directly above the button provided in the elevator.

블랭크 모듈(105)은 다양한 크기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의 입력 장치 모듈(100)과 블랭크 모듈(105)이 서로 결합된 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 모듈(109)을 통해 단단하게 고정되고 케이싱 모듈(109)이 엘리베이터의 입력 버튼부 상에 고정될 수 있다.The blank module 105 may be provided in various sizes, and after the input device module 100 and the blank module 105 of the interface device 1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casing module 109 is mounted as shown in FIG. 1 . It is firmly fixed through the casing module 109 can be fixed on the input button portion of the elevator.

이와 같은 구조에서 사용자는 입력 장치 모듈(100) 각각의 터치 스크린부(110)에 그래픽 인터페이스 형식으로 제공된 층 화면(112)을 누르면 제어부(120)에서 터치 스크린(110)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고 제어부(130)는 액추에이터(133)를 구동시키고 액추에이터(133)가 입력 버튼부(31)를 물리적으로 누름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층간 이동 정보가 엘리베이터의 제어반에 입력될 수 있다.In this structure, when the user presses the layer screen 112 provided in the form of a graphic interface to the touch screen unit 110 of each input device module 100, the control unit 120 receives a signal from the touch screen 110 and the control unit ( 130) drives the actuator 133, and as the actuator 133 physically presses the input button unit 31, information about moving between floors of the elevator may be input to the control panel of the elevator.

도 4의 (A)는 입력 장치 모듈(1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의 (B)는 모듈간 결합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장치 모듈(100)은 엘리베이터에 제공된 입력 버튼부(31)의 상부에 액추에이터가 제공되는 버튼 작동부(130); 버튼 작동부(130) 상부에 형성되는 제어부(120); 및 제어부(120) 상부에 제공되는 터치 스크린부(110)을 차례대로 포함하고, 모듈 연결 하우징(128)은 터치 스크린부(110)의 상부에서 제어부(120)와 버튼 작동부(130)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모듈 연결 하우징(128)은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측벽을 가진 정사각형 구조 또는 직사각형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의 측벽에는 다른 모듈과의 결합을 위한 모듈 결합부(129)가 형성된다. 4 (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put device module 100, and FIG. 4 (B) is a diagram illustrating coupling between modules by way of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input device module 100 includes a button operation unit 130 in which an actuator is provided on top of the input button unit 31 provided in the elevator; a control unit 120 formed on the button operation unit 130; and a touch screen unit 110 provided on the control unit 120 in turn, and the module connection housing 128 surrounds the control unit 120 and the button operation unit 130 at the upper portion of the touch screen unit 110 . is formed to The module connection housing 128 may have a square structure or a rectangular structure having four sidewalls as shown, and a module coupling part 129 for coupling with other modules is formed on each sidewall.

입력 장치 모듈(100)은 4개의 측면에 모두 모듈 결합부(129)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블랭크 모듈(105) 역시 입력 장치 모듈(100)과 동일하게 4측면에 모두 모듈 결합부(129)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장치 모듈(100)과 입력 장치 모듈(100)의 결합; 입력 장치 모듈(100)과 블랭크 모듈(105)의 결합; 및 블랭크 모듈(105)과 블랭크 모듈(105)의 결합 모두 가능하다.The input device module 100 has module coupling parts 129 formed on all four sides, and the blank module 105 also has module coupling parts 129 on all four sides in the same way as the input device module 100 . Since it is formed, the combination of the input device module 100 and the input device module 100 as shown in FIG. 4B; the combination of the input device module 100 and the blank module 105; and a combination of the blank module 105 and the blank module 105 is possible.

또한 입력 장치 모듈(100)과 블랭크 모듈(105)에 설치되는 모듈 결합부(129)에는 전원 공급 및/또는 통신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전기적 접속 단자가 제공되어 입력 장치 모듈(100)이 블랭크 모듈(105)을 통해 다른 입력 장치 모듈(100)에 연결되더라도 안정적인 전원 공급 및 입력 장치 모듈간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n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for supplying power and/or communication connection is provided in the module coupling unit 129 installed in the input device module 100 and the blank module 105 so that the input device module 100 is connected to the blank module ( Even if it is connected to another input device module 100 through 105), it may be configured to stably supply power and perform communication between input device modules.

도 5는 모듈 연결 하우징(128) 내에 배열되는 액츄에이터(133)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133)는 모터(1331), 모터(1331)에 연결된 로드(1333); 상기 로드의 단부에 연결된 팁부(1335)를 포함한다. 모터(1331)는 모터를 감싸는 케이싱(1332) 내부에 수납되고 있고 케이싱(1332)의 상부면(즉 팁부(1335)가 형성된 케이싱면)에는 포토센서(1337)가 제공되어 있다. 5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ctuator 133 arranged in the module connection housing (128). 5, the actuator 133 includes a motor 1331, a rod 1333 connected to the motor 1331; and a tip portion 1335 connected to the end of the rod. The motor 1331 is accommodated in a casing 1332 surrounding the motor, and a photosensor 1337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ing 1332 (ie, the casing surface on which the tip portion 1335 is formed).

팁부(1335)는 액추에이터(133)의 구동시 엘리베이터의 버튼과 직접적인 접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팁부는 연질 또는 부드러운 재질의 실리콘 또는 고무로 이루어져 엘리베이터 버튼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Since the tip portion 1335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elevator button when the actuator 133 is driven, the tip portion is made of soft or soft silicone or rubber to prevent damage to the elevator button.

포토센서(1337)는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의 팁부(1335)가 엘리베이터의 버튼을 눌렀을 때 버튼에서 발생되는 빛을 감지하도록 기능한다. 빛의 엘리베이터 버튼에서 빛이 검출되면 제어부(120)는 이를 이용해 엘리베이터의 버튼이 정확하게 눌렸음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The photosensor 1337 functions to detect light generated from the button when the tip portion 1335 of the interface device 10 presses the button of the elevator. When light is detected from the elevator button of light, the control unit 120 can determine that the button of the elevator is accurately pressed using this.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모터의 케이싱(1332)의 하부면에는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 단자부(1334), 제어 단자부(1336) 및 센서 단자부(1338)가 제공된다. 이들 단자부들은 모두 제어부(120) 또는 제어회로기판(120)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부(120)는 제어단자부(1336)을 통해 모터 구동 신호를 전송하여 모터를 구동시켜 팁부(1335)를 누름위치로 이동시키고, 센서 단자(1338)로부터 검출되는 광검출 신호에 대응하여 팁부(1335)를 대기위치로 이동시킨다. Referring back to FIG. 5 , a power terminal part 1334 , a control terminal part 1336 , and a sensor terminal part 1338 for driving the motor ar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sing 1332 of the motor. All of these terminal units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20 or the control circuit board 120, and the control unit 120 transmits a motor driving signal through the control terminal unit 1336 to drive the motor to push the tip unit 1335 to the pressing position. and moves the tip portion 1335 to the standby position in response to the photodetection signal detected from the sensor terminal 1338 .

다음으로 제어부(12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제어부(120)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로봇(20a)으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층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121); 버튼 작동부(130)에 설치된 포토센서(1337)로부터 수광 신호를 수신하는 센서 신호 수신부(122); 터치 스크린(110)로부터 좌표값 정보를 수신하는 터치 신호 수신부(123); 통신부(121)로부터 입력된 층 정보 또는 터치 신호 수신부(123)로부터 입력된 좌표값 정보에 대응하는 층 정보에 대응하는 액추에이터(133)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제어부(125); 및 제어부(120) 및 제어부(120)에 연결된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24)를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원부(124)가 제공된 것으로 설명되고 있지만 전원부(124)는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력 수신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Next, the control unit 120 will be described.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120 . As shown in FIG. 6 , the control unit 12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21 for receiving floor information from the robot 20a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 sensor signal receiving unit 122 for receiving a light receiving signal from the photosensor 1337 installed in the button operating unit 130; a touch signal receiving unit 123 for receiving coordinate value information from the touch screen 110 ; a driving control unit 125 for driving the actuator 133 corresponding to the floor information input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21 or flo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 value information input from the touch signal receiving unit 123; and a power supply unit 124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unit 120 and component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20 . Although it is described that the power supply unit 124 is provid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is obvious that the power supply unit 124 may be implemented as a power receiver receiving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통신부(121)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로봇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층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통신부(121)는 로봇과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모듈는 외부의 로봇의 블루투스 통신 모듈과 정보를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로 정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등의 무선 인터넷 인터페이스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HD, WiGig 등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21 is configured to receive elevator floor information from the robot by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unit 121 may be a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robot, but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a low-power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The low-power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may be defined as a device that communicates information with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of an external robo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ireless Internet interfaces such as WLAN (Wireless LAN) and WiFi (Wireless Fidelity) Direct and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 (Ultra Wideband), It may include a short-range communication interface such as ZigBee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WiHD, and WiGig.

센서 신호 수신부(12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버튼 작동부(130)에 설치된 포토센서(1337)로부터 수광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수신된 수광 신호는 구동 제어부(125)에 구동중인 액추에이터를 정지시키고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트리거 신호로서 동작할 수 있다.The sensor signal receiving unit 122 is configured to receive a light receiving signal from the photosensor 1337 installed in the button operating unit 130 as described above. The received light reception signal may act as a trigger signal for stopping the actuator being driven by the driving control unit 125 and returning it to an original position.

터치 신호 수신부(123)는 터치 스크린(110)으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터치 스크린(110)으로부터의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구동 제어부(125)는 액추에이터(133)를 구동시킨다. The touch signal receiving unit 123 is configured to receive an input signal from the touch screen 110 . When an input signal from the touch screen 110 is received, the driving control unit 125 drives the actuator 133 .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에 이용되는 터치 패널 또는 터치 스크린(110)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10)은 배경 화면부(111); 배경 화면부(111) 내에 배치되는 층 화면부(112); 층 화면부(112)의 중앙에 배치되는 층 표시부(114)로 구성되고, 층 화면부(112)의 경계부는 라인 처리되어 배경 화면과 층 화면을 명확하게 구별하도록 구성된다.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touch panel or touch screen 110 used in the interface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the touch screen 110 includes a background screen unit 111; a layer screen unit 112 disposed in the background screen unit 111; It is composed of a layer display unit 114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layer screen unit 112, and the boundary portion of the layer screen unit 112 is line-treated to clearly distinguish the background screen from the floor screen.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는 터치 스크린의 층 화면부(112)가 가압되면 가압된 좌표를 제어부(120)의 터치 신호 수신부(123)로 전송하는 동시에, 층 화면부(112)의 컬러를 변경시킨다. 예를 들면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는 터치 스크린의 층 화면부(112)가 가압되지 않은 경우에는 층 화면부(112)를 노란색으로 표시하지만 층 화면부(112)가 가압된 경우에는 층 화면부(112)를 주홍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display of the touch screen transmits the pressed coordinates to the touch signal receiver 123 of the control unit 120 when the layer screen unit 112 of the touch screen is pressed, and at the same time changes the color of the layer screen unit 112 . make it For example, in the display of the touch screen, when the layer screen unit 112 of the touch screen is not pressed, the layer screen unit 112 is displayed in yellow, but when the layer screen unit 112 is pressed, the layer screen unit 112 is displayed. ) can be displayed in red.

이는 마치 엘리베이터의 층 버튼이 눌린 경우 층 버튼 내부에 조명이 켜져 탑승자에게 층 버튼이 눌렸음을 알려주는 것과 동일한 시각적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This can give the same visual effect as if the floor button of the elevator is pressed, the light inside the floor button is turned on to inform the occupants that the floor button is pressed.

또한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는 터치 스크린의 층 화면부(112)가 한번 가압된 경우 층 화면부(112)의 컬러를 변경하지만 컬러가 변경된 상태에서 다시 한번 가압된 경우에는 최초의 컬러로 표시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display of the touch screen changes the color of the layer screen unit 112 when the layer screen unit 112 of the touch screen is pressed once, but is configured to display in the original color when the layer screen unit 112 is pressed once again in a state in which the color is changed. .

이는 마치 엘리베이터의 층 버튼이 눌려 조명이 켜진 상태에서 다시 한번 눌리는 경우 조명이 꺼짐으로써 선택된 층 버튼이 취소된 것을 알려주는 것과 동일한 시각적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This can give the same visual effect as if the floor button of the elevator is pressed and pressed once again while the light is on, the light is turned off to inform that the selected floor button is cancelled.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제어/감시반에 추가의 장비를 설치하지 않아 비용적으로 저렴하고 엘리베이터의 이상 운전 상황 발생시 엘리베이터 내부 사용자가 부착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엘리베이터의 비상시 안전상의 이점이 얻어질 수 있는 모듈형 로봇―엘리베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cost-effective because no additional equipment is installed in the elevator control/monitoring panel and is configured so that the user inside the elevator can easily remove the attached interface device when an abnormal operation situation of the elevator occur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dular robot-elevator interface device in which advantages can be obtained.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종 변경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8은 전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와 다르게 통합 제어부(900)를 이용한 변형예를 나타낸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로봇(20a)은 각각의 입력 장치 모듈(100)에 제공된 통신부(121)에 접속하여 엘리베이터의 층 이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한 변형예에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는 통합 제어부(9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to. 8 shows a modified example using the integrated control unit 900 differently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robot 20a is configured to connect to the communication unit 121 provided in each input device module 100 to perform floor movement of the elevator. Meanwhile, in the modified example shown in FIG. 8 , the interface device 10 may further include an integrated control unit 900 .

여기서 통합 제어부(900)는 메인 전원부(910); 메인 통신부(290); 구동 명령부(930); 및 모듈 식별 테이블(940)을 포함한다. 입력 장치 모듈(100)의 각각은 통합 제어부(900)의 메인 통신부(920)에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전력 역시 메인 전원부(910)을 통해 전달받도록 구성된다.Here, the integrated control unit 900 includes a main power supply unit 910; main communication unit 290; driving command unit 930; and a module identification table 940 . Each of the input device modules 100 is connected to the main communication unit 920 of the integrated control unit 900 , and is also configured to receive power through the main power supply unit 910 .

이와 같은 구성에서 로봇(20a)은 메인 통신부(920)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이동 층 정보를 메인 통신부(920)로 전달하고, 통합 제어부(900)의 구동 명령부(930)는 이동 층 정보에 기반하여 모듈 식별 테이블(940)을 검색한다.In this configuration, the robot 20a communicates with the main communication unit 920 to transmit moving floor information to the main communication unit 920 , and the driving command unit 930 of the integrated control unit 900 is based on the moving floor information. to search the module identification table 940 .

모듈 식별 테이블(940)에는 각각의 입력 장치 모듈의 식별자와 함께 층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 명령부(930)는 수신된 층 정보에 기반하여 입력 장치 모듈의 식별자를 지정하고 해당하는 식별자를 가진 입력 장치 모듈에 대해 구동 명령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In the module identification table 940, layer information is stored together with the identifier of each input device module. Accordingly, the driving command unit 930 may designate an identifier of the input device module based on the received layer information and transmit a driving command to the input device module having the corresponding identifier.

구동 명령을 전달받은 입력 장치 모듈은 액추에이터를 가동하여 엘리베이터의 입력 버튼을 가압하게 되어 층 이동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The input device module receiving the driving command operates the actuator to press the elevator input button, so that the floor movement is successful.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Command)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and/or th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and/or a combination of a hardware component and a software component. For example, device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a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commands, may be implemented using one or more general purpose computers or special purpose computers.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The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the software.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the processing device is sometimes described as being used, but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process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or a plurality of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can include For example, the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such as a Parallel Processor.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Command),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command,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thereof, and configure the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process it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Collectively) You can command the device. The software and/or data may be any type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to be interpreted by or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the processing device. It can be embodied in (Embody).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er system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i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 Include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 above descrip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or the described components of the system, structure, apparatus,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Or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may achieve an appropriate result.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30: 엘리베이터 제어반
31: 입력 버튼부 110: 터치 스크린
100: 입력 장치 모듈 105: 블랭크 모듈
120: 제어부 130: 버튼 작동부
133: 액추에이터 121: 통신부
122: 센서신호 수신부 123: 터치 신호 수신부
124: 전원부 125: 구동 제어부
1331: 모터 1332: 모터 하우징
1333: 로드 1337: 포토센서
1335: 팁부
10: interface device 30: elevator control panel
31: input button unit 110: touch screen
100: input device module 105: blank module
120: control unit 130: button operation unit
133: actuator 121: communication unit
122: sensor signal receiver 123: touch signal receiver
124: power unit 125: drive control unit
1331: motor 1332: motor housing
1333: rod 1337: photosensor
1335: tip part

Claims (7)

엘리베이터의 입력 버튼부 또는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부에 장착되는 모듈형 로봇―엘리베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듈형 로봇―엘리베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입력 장치 모듈 및 블랭크 모듈을 결합하여 형성되고,
입력 장치 모듈은, 엘리베이터에 제공된 입력 버튼부 또는 호출 버튼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버튼 작동부 - 여기서 액추에이터는 입력 버튼부의 각각의 버튼의 직상방에 정합하도록 배치됨 - ;
버튼 작동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액추에이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 - 여기서 제어부는 상기 로봇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를 포함함 - ; 및
제어부 상부에 제공되고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무선 통신부를 통해 로봇으로부터 층 정보 또는 호출 명령을 수신하면 액추에이터를 구동하여 엘리베이터에 제공된 입력 버튼부 또는 호출 버튼부의 버튼을 누르도록 동작하되,
상기 입력 장치 모듈 및 상기 블랭크 모듈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모듈 하우징을 포함하고, 모듈 하우징의 네 측벽에는 모듈간 결합을 위한 모듈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모듈형 로봇―엘리베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In the modular robot-elevator interface device mounted on the input button part or the elevator call button part of the elevator,
The modular robot-elevator interface device is formed by combining an input device module and a blank module,
The input device module includes: a button operation unit including an actuator disposed above an input button unit or a call button unit provided in the elevator, wherein the actuator is disposed to mate directly above each button of the input button unit;
a control unit formed above the button operation uni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ctuator,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robot; and
and a touch screen provided on the control uni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operates to press the button of the input button unit or the call button unit provided in the elevator by driving the actuator when receiving the floor information or call command from the robot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input device module and the blank module include a module housing having a rectangular or square shape, and module coupling parts for coupling between modules are formed on four sidewalls of the module housing.
Modular Robot—Elevator Interface Devi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리니어 액추에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로봇―엘리베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linear actuator of the actuator
Modular Robot—Elevator Interfac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엘리베이터의 버튼이 눌렸을 때 발생되는 빛을 감지하기 위한 포토 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로봇―엘리베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a portion of the actuator is characterized in that a photo sensor for detecting light generated when the button of the elevator is pressed is installed
Modular Robot—Elevator Interfac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선단부에는 액추에이터의 구동시 엘리베이터의 버튼과 직접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는 팁부가 제공되고, 상기 팁부는 연질의 실리콘 또는 연질의 고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모듈형 로봇―엘리베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ip portion of the actuator is provided with a tip portion that makes direct contact with the button of the elevator when the actuator is driven, and the tip portion is formed of soft silicone or soft rubber.
Modular Robot—Elevator Interface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포토 센서로부터 빛이 감지되면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액추에이터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로봇―엘리베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 unit stops the driving of the actuator when light is sensed from the photo sensor and returns the actuator to the initial position
Modular Robot—Elevator Interface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모터, 모터에 연결된 로드, 및 상기 로드에 연결된 팁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는 모터를 감싸는 하우징 내부에 수납되고, 모터 하우징의 하부면에는 모터 구동에 필요한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 단자부; 제어부로부터의 액추에이터 구동신호가 공급되는 제어 단자부; 및 포토 센서로부터의 광검출 신호가 수신되는 센서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단자부, 제어 단자부 및 센서 단자부는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로봇―엘리베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actuator includes a motor, a rod connected to the motor, and a tip portion connected to the rod,
The motor is housed in a housing surrounding the motor, the lower surface of the motor housing is a power terminal to which power required to drive the motor is supplied; a control terminal unit to which an actuator driving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is supplied; and a sensor terminal for receiving a photodetection signal from the photosensor,
The power terminal part, the control terminal part and the sensor terminal part, characterized in tha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Modular Robot—Elevator Interface Device.
KR1020210034285A 2021-03-16 2021-03-16 Module typed robot-elevator interface device KR1023067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285A KR102306778B1 (en) 2021-03-16 2021-03-16 Module typed robot-elevator interfac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285A KR102306778B1 (en) 2021-03-16 2021-03-16 Module typed robot-elevator interfac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6778B1 true KR102306778B1 (en) 2021-09-30

Family

ID=77920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285A KR102306778B1 (en) 2021-03-16 2021-03-16 Module typed robot-elevator interfac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677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8295B1 (en) * 2021-12-07 2022-07-07 고은별 Button press apparatus for elevator
KR102542654B1 (en) * 2022-09-02 2023-06-14 주식회사 클레빌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entrances on delivery rout based on interactions between delivery robot and interface modu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2353A (en) * 2001-04-06 2002-10-18 Yaskawa Electric Corp Automatic call system for building floor-to-floor elevation means and elevator manual call device with automatic call device
JP2005298215A (en) * 2004-04-08 2005-10-27 Inventio Ag Elevator with car operation panel
KR20100080278A (en) 2009-03-04 2010-07-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Robot, robot control method, elevator system linked with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41723B1 (en) * 2009-08-27 2016-07-2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Multi functional input device of elevator and communication system by using tha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2353A (en) * 2001-04-06 2002-10-18 Yaskawa Electric Corp Automatic call system for building floor-to-floor elevation means and elevator manual call device with automatic call device
JP2005298215A (en) * 2004-04-08 2005-10-27 Inventio Ag Elevator with car operation panel
KR20100080278A (en) 2009-03-04 2010-07-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Robot, robot control method, elevator system linked with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41723B1 (en) * 2009-08-27 2016-07-2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Multi functional input device of elevator and communication system by using tha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8295B1 (en) * 2021-12-07 2022-07-07 고은별 Button press apparatus for elevator
KR102542654B1 (en) * 2022-09-02 2023-06-14 주식회사 클레빌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entrances on delivery rout based on interactions between delivery robot and interface modu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6778B1 (en) Module typed robot-elevator interface device
JP6361822B2 (en) Automatic operation equipment system, emergency stop terminal, and operation terminal control method
EP3105160B1 (en) Elevator operator interface
KR101076096B1 (en) Elevator destination floor registration device
US10372192B2 (en) System and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ic power supply and methods therefor
WO202214906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rvicing a data center using autonomous vehicle
CN210048311U (en) Mobile robot takes elevator system by oneself
KR102306781B1 (en) Matrix typed robot-elevator interface device
KR102282333B1 (en) Gantry typed robot-elevator interface device
US20220242695A1 (en) Touch-sensitive elevator operation device for direction of travel calls
US20220274803A1 (en) Operating method for an elevator operating device with a touch-sensitive screen system
US10023439B2 (en) Method for detecting over connected access cover plate
CN112835357A (en) Autonomous moving body system, storage mediu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nomous moving body
CN212127151U (en) Non-contact type outbound panel and elevator
JP2004017223A (en) Robot controlling device
JPH02295866A (en) Elevator position detecting device
CN109769307B (en) External device with pairing function with operation terminal
KR10251687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elevator
KR20120069251A (en) Automatic op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wheelchair
US10591904B1 (en) Industrial safe input device
KR102159434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miss controlling applied with detecting structure of dual sensors
EP4239507A1 (en) Offline self content management infotainment system
KR20130106134A (en) A capacitance overlay touch sensor using printed circuit board(pcb)
KR20110116908A (en) A dual cpu type elevator input and output system
EP4173881A1 (en) Robot, charging station, and robot charging system compri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