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1426B1 - 가변피치 블레이드 조립체 - Google Patents

가변피치 블레이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1426B1
KR101641426B1 KR1020140130753A KR20140130753A KR101641426B1 KR 101641426 B1 KR101641426 B1 KR 101641426B1 KR 1020140130753 A KR1020140130753 A KR 1020140130753A KR 20140130753 A KR20140130753 A KR 20140130753A KR 101641426 B1 KR101641426 B1 KR 101641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hub
blade root
coupled
rotor h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0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8919A (ko
Inventor
안정희
조규철
김현일
조재범
이종석
김희경
차민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디씨
Priority to KR1020140130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1426B1/ko
Publication of KR20160038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8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1/00Propellers, e.g. of ducted type; Features common to propellers and rotors for rotorcraft
    • B64C11/30Blade pitch-changing mechanisms
    • B64C11/38Blade pitch-changing mechanisms fluid, e.g. hydrau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54Mechanisms for controlling blade adjustment or movement relative to rotor head, e.g. lag-lead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에도 견고하고 정밀한 피치각 조절이 가능하며, 항공기의 구동 특성에 맞게 블레이드의 피치각을 임의로 바꿀 수 있어 블레이드의 회전효율을 제고할 수 있는 가변피치 블레이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항공기를 구동하는 구동모터의 구동샤프트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하부허브 및 상기 하부허브의 상부에 대칭되게 고정 결합되는 상부허브로 구성된 로터허브와, 상기 로터허브의 측면에 삽입 결합되는 블레이드루트부와, 상기 블레이드루트부에 고정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항공기에 양력 및 추력을 발생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루트부는, 상기 로터허브에 베어링을 매개로 상기 블레이드의 피치각 조절이 가능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로터허브의 내부를 바라보는 면에 돌출되도록 결합된 각도조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로터허브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루트부의 각도조정핀을 회전시켜 상기 블레이드의 피치각을 조절하는 각도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변피치 블레이드 조립체{VARIABLE PITCH BLADE ASSEMBLY}
본 발명은 헬리콥터나 비행기 등 항공기의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샤프트에 결합되어 항공기에 추력 또는 양력을 효율적으로 발생할 수 있도록 항공기의 구동 중에 블레이드의 피치각을 임의로 바꿀 수 있는 가변피치 블레이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헬리콥터나 비행기 등 항공기를 구동시키는 원리는 일명 프로펠러형 블레이드의 회전으로 얻어지는 추력과 양력에 의해 항공기가 구동된다. 추력은 비행기를 밀거나 당기는 힘이고, 양력은 중력의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으로써 항공기를 공중으로 뜨게 해준다.
상기와 같은 항공기에 추력과 양력을 발생하는 구성이 바로 블레이드 조립체이고, 블레이드 조립체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허브(10), 블레이드루트부(20) 및 복수의 블레이드(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로터허브(10)는 항공기를 구동하는 구동모터(미도시)의 구동샤프트(S)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고, 블레이드루트부(20)는 상기 로터허브(10)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블레이드(30)는 복수가 구비되어 상기 블레이드루트부(20)에 각각 고정결합된다. 따라서,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구동샤프트(S)가 회전하면, 구동샤프트(S)에 결합된 로터허브(10)가 회전하고, 블레이드루트부(20)와 함께 복수의 블레이드(30)가 회전하면서 항공기에 추력 및 양력을 발생하게 된다.
상기 블레이드(30)가 구동샤프트(S)에 의하여 회전할 때, 복수의 블레이드(30)의 회전면에 대한 블레이드(30) 각각의 단면 기울기를 피치각이라고 하며, 이러한 피치각이 고정되어 바꿀 수 없는 것이 고정피치 블레이드 조립체이고, 바꿀 수 있는 것이 가변피치 블레이드 조립체이다.
상기 블레이드(30)의 피치각이 최초 설계시 고정되어 있는 경우 최고속, 고속, 중속, 저속 등의 각 조건에서 작동하면 어느 한 조건에서는 적정의 회전효율을 낼 수 있겠지만, 그 외의 조건에서는 좋은 효율을 얻을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고정피치 블레이드 조립체의 경우 블레이드(30) 자체를 교체하거나 블레이드(30)의 피치각을 조정하여 재조립해야 하지만, 가변피치 블레이드 조립체는 항공기가 구동 중이라도 각 조건에 맞게 블레이드(30)의 피치각을 최적화하여 조정할 수 있어 언제나 최고의 회전효율을 얻을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고정피치 블레이드 조립체는, 첫째 로터허브(10)에 블레이드(30)가 결합된 블레이드루트부(20)가 고정 결합되어 조립시에도 블레이드(30)의 피치각을 조정할 수 없고, 피치각 변경시 블레이드(30) 자체를 다른 것으로 교체해야 한다. 두번째로, 등록특허 제10-1323988호의 '블레이드 조립체'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허브(10)에 결합되는 블레이드루트부(20)에 각도조정핀(21)이 구비되고, 로터허브(10) 내부에 어드저스터(40)를 설치하여 조립시에는 블레이드(30)의 피치각을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으나, 항공기의 구동 중에는 피치각이 고정된 상태이므로 피치각을 다시 조절하려면 재조립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항공기의 구동 중에도 블레이드(30)의 피치각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가변피치 블레이드 조립체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에도 견고하고 정밀한 피치각 조절이 가능하며, 항공기의 구동 특성에 맞게 블레이드의 피치각을 임의로 바꿀 수 있는 가변피치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변피치 블레이드 조립체는, 항공기를 구동하는 구동모터의 구동샤프트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하부허브 및 상기 하부허브의 상부에 대칭되게 고정 결합되는 상부허브로 구성된 로터허브와, 상기 로터허브의 측면에 삽입 결합되는 블레이드루트부와, 상기 블레이드루트부에 고정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항공기에 양력 및 추력을 발생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루트부는, 상기 로터허브에 베어링을 매개로 상기 블레이드의 피치각 조절이 가능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로터허브의 내부를 바라보는 면에 돌출되도록 결합된 각도조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로터허브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루트부의 각도조정핀을 회전시켜 상기 블레이드의 피치각을 조절하는 각도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터허브의 하부허브는, 내측 하부에 실린더홈이 형성되고, 외측 하부에 복수의 유압홀이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홈의 하부로 유압이 유입 또는 유출되고, 상기 각도조정부는, 하단이 상기 로터허브의 하부허브에 관통 삽입되고, 상단이 상기 로터허브의 상부허브에 관통 삽입된 장형의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의 중앙에 결합된 블럭 형상이고, 상기 블레이드루트부를 바라보는 측면에 슬라이드홈이 형성된 조정블럭과, 상기 조정블럭의 슬라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블레이드루트부의 각도조정핀이 삽입 결합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조정블럭과 상기 상부허브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조정블럭에 하방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상기 조정블럭의 하방으로 상기 가이드봉 상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허브의 실린더홈을 따라 삽입 설치된 피스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허브의 유압홀로부터 실린더홈으로 유압이 유입될 경우 상기 각도조정부의 피스톤이 상기 가이드봉 및 조정블럭과 함께 상방 이동하면서 상기 스프링이 압축되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조정블럭의 슬라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 조정블럭과 함께 상방 이동하여 상기 블레이드루트부의 각도조정핀을 회전시켜 상기 블레이드의 피치각을 조절하고, 상기 하부허브의 실린더홈으로부터 유압홀을 통해 유압이 유출될 경우 상기 각도조정부의 스프링이 압축된 상태에서 인장 복귀하면서 상기 피스톤은 상기 가이드봉 및 조정블럭과 함께 하방 이동하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조정블럭의 슬라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드 복귀하면서 상기 조정블럭과 함께 하방 이동하여 상기 블레이드루트부의 각도조정핀을 회전 복귀시켜 상기 블레이드의 피치각을 복귀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피치 블레이드 조립체는, 간단한 구조에도 견고하고 정밀한 피치각 조절이 가능하며, 항공기의 구동 특성에 맞게 블레이드의 피치각을 임의로 바꿀 수 있어 블레이드의 회전효율을 제고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고정피치 블레이드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피치 블레이드 조립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실시예의 측단면도이고,
도 6 및 7은 도 5의 실시예에서 유압의 유입 및 유출에 따른 블레이드의 피치각 조정과정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8 내지 12는 도 3의 실시예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가변피치 블레이드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피치 블레이드 조립체는, 도 3 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허브(100), 블레이드루트부(200), 블레이드(300) 및 각도조정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로터허브(100)는 하부허브(110) 및 상부허브(120)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정부(400)는 가이드봉(410), 조정블럭(420), 슬라이더(430), 스프링(440) 및 피스톤(450)을 포함할 수 있다
로터허브(100)는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공기를 구동하는 구동모터(미도시)의 구동샤프트(S)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하부허브(110) 및 상기 하부허브(110)의 상부에 대칭되게 고정 결합되는 상부허브(120)로 구성된다. 상기 로터허브(100)를 구성하는 하부허브(110) 및 상부허브(120)는 복수의 볼트를 통해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로터허브(100)에 후술하는 블레이드(300)가 블레이드루트부(200)를 통해 결합된다.
블레이드루트부(200)는 블레이드(300)가 로터허브(100)에 견고하게 결합되고, 피치가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터허브(100)의 측면에 삽입 결합된다. 상기 블레이드루트부(200)는 명칭 그대로 블레이드(300)의 뿌리 또는 헤드로서 블레이드(300)와 완전히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로터허브(100)에 삽입 결합된다.
블레이드(300)는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루트부(200)에 고정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항공기에 양력 및 추력을 발생한다. 이러한 블레이드(300)는 도면상 2엽부터 최대 6엽까지 구비될 수 있고, 이때 블레이드(300)의 갯수만큼 블레이드루트부(200) 역시 동수로 구비되어 상기 로터허브(100)에 결합된다. 상기 블레이드(300)는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에어포일 형상을 가진다.
상술한 로터허브(100), 블레이드루트부(200) 및 블레이드(300)의 구성은 종래 기술에 따른 블레이드 조립체에 널리 알려진 구성이므로 그 작동원리나 기능에 대해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특징으로 상기 블레이드(300)의 피치각을 가변시킬 수 있는 구성에 대해 후술한다.
고정피치 블레이드 조립체의 경우 블레이드루트부가 로터허브(100)에 단순히 고정 설치되면 족하지만, 본 발명과 같은 가변피치 블레이드 조립체의 경우 블레이드루트부(200)에도 특징적인 구성이 필요하다. 즉, 상기 블레이드루트부(200)는 상기 로터허브(100)에 베어링(210)을 매개로 상기 블레이드(300)의 피치각 조절이 가능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로터허브(100)의 내부를 바라보는 면에 돌출되도록 결합된 각도조정핀(220)을 포함한다. 블레이드(300)와 일체로 고정 결합된 블레이드루트부(200)의 경우 로터허브(100)에 대하여 블레이드(300)의 피치각 조절을 위해 회전 가능해야 하므로 로터허브(100)에 삽입 결합시 베어링(210)이 필요하다. 또한, 후술하는 각도조정부(4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한 구성으로 블레이드루트부(200)에는 각도조정핀(220)이 돌출 결합된다. 따라서, 각도조정핀(220)을 정역회전시킴에 따라 블레이드루트부(200)가 로터허브(200)를 기준으로 베어링(210)을 매개로 정역회전할 수 있게 된다.
각도조정부(400)는 상기 로터허브(100)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하이동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루트부(200)의 각도조정핀(220)을 회전시켜 상기 블레이드(300)의 피치각을 조절한다. 각도조정부(400)는 로터허브(100)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블레이드루트부(200)의 각도조정핀(220)을 회전시킬 수 있는 어떠한 구성이라도 좋다. 다만, 항공기용 블레이드 조립체의 경우 로터허브(100), 블레이드루트부(200) 및 블레이드(300)가 함께 고속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링크기구나 회전모터 등의 구성보다는 유압력에 의한 확실한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로터허브(100)의 하부허브(110)는 도 5 내지 7에 내측 하부에 실린더홈(111)이 형성되고, 외측 하부에 복수의 유압홀(112)이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홈(111)의 하부로 유압이 유입 또는 유출한다. 이때 각도조정부(400)는 도 4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이 상기 로터허브(100)의 하부허브(110)에 관통 삽입되고, 상단이 상기 로터허브(100)의 상부허브(120)에 관통 삽입된 장형의 가이드봉(410)과, 상기 가이드봉(410)의 중앙에 결합된 블럭 형상이고, 상기 블레이드루트부(200)를 바라보는 측면에 슬라이드홈(421)이 형성된 조정블럭(420)과, 상기 조정블럭(420)의 슬라이드홈(42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블레이드루트부(200)의 각도조정핀(220)이 삽입 결합되는 슬라이더(430)와, 상기 조정블럭(420)과 상기 상부허브(1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조정블럭(420)에 하방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440)과, 상기 조정블럭(420)의 하방으로 상기 가이드봉(410) 상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허브(110)의 실린더홈(111)을 따라 삽입 설치된 피스톤(450)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봉(410)의 상단 및 하단이 각각 상부허브(120) 및 하부허브(110)를 관통하여 삽입 설치되는 이유는, 가이드봉(410)의 상하 이동시 양단이 삽입된 상태로 일측으로 엇나가지 않고 상하 가이드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조정블럭(420)에 슬라이드홈(421)을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드홈(421)에 각도조정핀(220)이 삽입 결합되는 슬라이더(430)가 구비되는 이유는, 블레이드(300)의 피치각 조정을 위해 회전시 블레이드루트부(200)의 각도조정핀(220)은 블레이드루트부(200)의 원주방향을 따라 호를 그리면서 회전하므로 상하이동과 함께 좌우 측방향 이동이 발생하므로 이러한 각도조정핀(220)의 이동방향을 따라가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드홈(421)과 슬라이더(430)가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로터허브(100)의 하부허브(110)에 실린더홈(111)이 형성되므로 이러한 실린더홈(111)의 하부로 유압홀(112)을 통해 유압이 유입 및 유출될 때 이러한 유압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피스톤(450)이 설치되는 것이고, 스프링(440)은 유압력이 없을 때는 가이드봉(410)을 하방이동시키는 힘을 주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허브(110)의 유압홀(112)로부터 실린더홈(111)으로 유압이 유입될 경우 상기 각도조정부(400)의 피스톤(450)이 상기 가이드봉(410) 및 조정블럭(420)과 함께 상방 이동하면서 상기 스프링(440)이 압축되며, 상기 슬라이더(430)는 상기 조정블럭(420)의 슬라이드홈(42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 조정블럭(420)과 함께 상방 이동하여 상기 블레이드루트부(200)의 각도조정핀(220)을 회전시켜 상기 블레이드(300)의 피치각을 조절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허브(110)의 실린더홈(111)으로부터 유압홀(112)을 통해 유압이 유출될 경우 상기 각도조정부(400)의 스프링(440)이 압축된 상태에서 인장 복귀하면서 상기 피스톤(450)은 상기 가이드봉(410) 및 조정블럭(420)과 함께 하방 이동하며, 상기 슬라이더(430)는 상기 조정블럭(420)의 슬라이드홈(421)을 따라 슬라이드 복귀하면서 상기 조정블럭(420)과 함께 하방 이동하여 상기 블레이드루트부(200)의 각도조정핀(220)을 회전 복귀시켜 상기 블레이드(300)의 피치각을 복귀 조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변피치 블레이드 조립체는, 간단한 구조에도 견고하고 정밀한 피치각 조절이 가능하며, 항공기의 구동 특성에 맞게 블레이드(300)의 피치각을 임의로 바꿀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변피치 블레이드 조립체의 조립과정을 살펴본다.
도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허브(100) 중 하부허브(110)를 준비하고, 하부허브(110)의 상방으로 각도조정부(400)를 설치한다. 즉, 하부허브(110)의 내측 하부에 형성된 실린더홈(111)으로 각도조정부(400)의 피스톤(450)을 삽입 설치하면, 자연스럽게 가이드봉(410)의 하단이 하부허브(110)에 관통 삽입된다. 각도조정부(400)에는 슬라이더(430)가 조정블럭(420)의 슬라이더홈(421)에 삽입된 상태이고, 스프링(440)은 조정블럭(420)의 상방으로 가이드봉(410)에 삽입 설치된 상태이다.
도 9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300)가 고정 결합된 블레이드루트부(200)를 하부허브(110)의 측면에 결합한다. 이때, 블레이드루트부(200)에는 하부허브(110)의 내부에 결합되는 베어링(210)을 미리 압입 설치해 놓는다. 블레이드루트부(200)를 하부허브(110)에 결합할 때, 블레이드루트부(200)의 각도조정핀(220)이 각도조정부(400)의 슬라이더(430)에 삽입 결합되도록 설치한다. 도면상 2엽의 블레이드(300)를 도시하고 있으나, 3엽 이상의 블레이드(300)의 경우에도 그 갯수만 다를 뿐 설치방법은 동일하다.
도 11 및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허브(110)에 각도조정부(400) 및 블레이드(300)가 결합된 블레이드루트부(200)를 설치한 후 상부허브(120)를 하부허브(110)의 상부에 덮어 결합시키면 조립이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변피치 블레이드 조립체는, 간단한 구조에 기해 각 구성간의 조립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S : 구동샤프트
100 : 로터허브 110 : 하부허브
111 : 실린더홈 112 : 유압홀
120 : 상부허브
200 : 블레이드루트부
210 : 베어링 220 : 각도조정핀
300 : 블레이드
400 : 각도조정부 410 : 가이드봉
420 : 조정블럭 421 : 슬라이드홈
430 : 슬라이더 440 : 스프링
450 : 피스톤

Claims (3)

  1. 항공기를 구동하는 구동모터의 구동샤프트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하부허브 및 상기 하부허브의 상부에 대칭되게 고정 결합되는 상부허브로 구성된 로터허브와, 상기 로터허브의 측면에 삽입 결합되는 블레이드루트부와, 상기 블레이드루트부에 고정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항공기에 양력 및 추력을 발생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루트부는,
    상기 로터허브에 베어링을 매개로 상기 블레이드의 피치각 조절이 가능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로터허브의 내부를 바라보는 면에 돌출되도록 결합된 각도조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로터허브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루트부의 각도조정핀을 회전시켜 상기 블레이드의 피치각을 조절하는 각도조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터허브의 하부허브는,
    내측 하부에 실린더홈이 형성되고, 외측 하부에 복수의 유압홀이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홈의 하부로 유압이 유입 또는 유출되고,
    상기 각도조정부는,
    하단이 상기 로터허브의 하부허브에 관통 삽입되고, 상단이 상기 로터허브의 상부허브에 관통 삽입된 장형의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의 중앙에 결합된 블럭 형상이고, 상기 블레이드루트부를 바라보는 측면에 슬라이드홈이 형성된 조정블럭과,
    상기 조정블럭의 슬라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블레이드루트부의 각도조정핀이 삽입 결합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조정블럭과 상기 상부허브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조정블럭에 하방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상기 조정블럭의 하방으로 상기 가이드봉 상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허브의 실린더홈을 따라 삽입 설치된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허브의 유압홀로부터 실린더홈으로 유압이 유입될 경우 상기 각도조정부의 피스톤이 상기 가이드봉 및 조정블럭과 함께 상방 이동하면서 상기 스프링이 압축되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조정블럭의 슬라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 조정블럭과 함께 상방 이동하여 상기 블레이드루트부의 각도조정핀을 회전시켜 상기 블레이드의 피치각을 조절하고,
    상기 하부허브의 실린더홈으로부터 유압홀을 통해 유압이 유출될 경우 상기 각도조정부의 스프링이 압축된 상태에서 인장 복귀하면서 상기 피스톤은 상기 가이드봉 및 조정블럭과 함께 하방 이동하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조정블럭의 슬라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드 복귀하면서 상기 조정블럭과 함께 하방 이동하여 상기 블레이드루트부의 각도조정핀을 회전 복귀시켜 상기 블레이드의 피치각을 복귀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피치 블레이드 조립체.
  2. 삭제
  3. 삭제
KR1020140130753A 2014-09-30 2014-09-30 가변피치 블레이드 조립체 KR101641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753A KR101641426B1 (ko) 2014-09-30 2014-09-30 가변피치 블레이드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753A KR101641426B1 (ko) 2014-09-30 2014-09-30 가변피치 블레이드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919A KR20160038919A (ko) 2016-04-08
KR101641426B1 true KR101641426B1 (ko) 2016-07-21

Family

ID=55907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0753A KR101641426B1 (ko) 2014-09-30 2014-09-30 가변피치 블레이드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14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27038A (zh) * 2019-05-27 2019-08-16 安徽卓尔航空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桨距的桨毂
KR20210106714A (ko) 2020-02-21 2021-08-31 유콘시스템 주식회사 내풍성 강화를 위한 멀티콥터형 무인 비행체의 피치각 제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37837B (zh) * 2021-02-05 2024-01-05 安徽羲禾航空科技有限公司 一种变距螺旋桨
CN114476025A (zh) * 2021-12-20 2022-05-13 中国航天空气动力技术研究院 一种实时监测并智能控制螺旋桨桨距角的装置及方法
CN114802715A (zh) * 2022-01-27 2022-07-29 南京航空航天大学 基于液压扭管变距的直升机旋翼操纵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7986A (en) * 1975-09-04 1977-07-26 Dowty Rotol Limited Bladed rotors having control means for effecting blade pitch adjustment
CA2616310C (en) * 2008-01-31 2015-04-07 Flexxaire Manufacturing Inc. Compact variable pitch fa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27038A (zh) * 2019-05-27 2019-08-16 安徽卓尔航空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桨距的桨毂
KR20210106714A (ko) 2020-02-21 2021-08-31 유콘시스템 주식회사 내풍성 강화를 위한 멀티콥터형 무인 비행체의 피치각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919A (ko) 2016-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1426B1 (ko) 가변피치 블레이드 조립체
JP5836559B2 (ja) 可変ピッチプロペラの駆動装置及びピッチ角制御方法、これを有する船舶
CN102229359B (zh) 一种圆柱凸轮扑翼驱动机构
US8523103B2 (en) Retractable lifting blades for aircraft
WO2011078684A3 (en) Rotor assembly
KR850000937B1 (ko) 날개피치 작동 시스템
RU2677748C2 (ru) Вертолет
CN109515687B (zh) 基于油气弹簧的自适应后缘机动襟翼机构
DE102013008218A1 (de) Automatische mechanische Rotorblattwinkelverstellung mit Überdrehzahlschutz für Kleinwindanlagen.
US10023304B2 (en) Tail rotor actuation system
CA2856907A1 (en) Rotorcraft rotor including primary pitch horns and secondary horns
KR20110008945U (ko)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각도 제어장치
KR100558462B1 (ko) 수직 이착륙 비행체
KR101714197B1 (ko) 가변피치 블레이드 조립체의 시험장치
KR102526448B1 (ko) 가변 피치 블레이드를 가지는, 터보프로펠러 엔진의 프로펠러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KR101249438B1 (ko) 수직축 풍력발전기
CN111605703B (zh) 一种用于直升机变转速尾桨桨叶的变弦长系统
CN202579128U (zh) 氧压机进气可调导流叶栅的执行机构
US1371204A (en) Air-engine for flying-machines
EP2576343B1 (en) Actuator for use in a rotor blade
CN106401867B (zh) 叶片、叶轮及风力发电机组
CN103291375B (zh) 用于冲压空气涡轮的改进飞块
CN208647147U (zh) 一种倾转旋翼无人机电机倾转机构
CN109436316B (zh) 一种用于变转速旋翼的格尼襟翼驱动系统
CN114013648A (zh) 一种扑翼飞行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