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1282B1 -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1282B1
KR101641282B1 KR1020150028995A KR20150028995A KR101641282B1 KR 101641282 B1 KR101641282 B1 KR 101641282B1 KR 1020150028995 A KR1020150028995 A KR 1020150028995A KR 20150028995 A KR20150028995 A KR 20150028995A KR 101641282 B1 KR101641282 B1 KR 101641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glyph
vector data
generating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8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경수
Original Assignee
(주)한양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양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한양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150028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1282B1/ko
Priority to JP2015050339A priority patent/JP6044853B2/ja
Priority to US14/660,566 priority patent/US9569870B2/en
Priority to CN201510119647.0A priority patent/CN106033402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20Drawing from basic elements, e.g. lines or circles
    • G06T11/206Drawing of charts or graph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20Drawing from basic elements, e.g. lines or circles
    • G06T11/203Drawing of straight lines or cur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001Texturing; Colouring; Generation of texture or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mage Genera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로부터 자소를 입력받아 자소 이미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자소 이미지의 외곽선 벡터 데이터 및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추출하여 기본형 자소 글리프와 기본형 자소 글리프 대비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 중 하나 이상이 확대된 확대형 자소 글리프를 생성한 후 하나의 다중 마스터 글리프(Multiple Master Glyph; MMG)로 그룹핑(Grouping)하는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multiple master glyph}
본 발명은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로부터 자소를 입력받아 자소 이미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자소 이미지의 외곽선 벡터 데이터 및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추출하여 기본형 자소 글리프와 기본형 자소 글리프 대비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 중 하나 이상이 확대된 확대형 자소 글리프를 생성한 후 하나의 다중 마스터 글리프(Multiple Master Glyph; MMG)로 그룹핑(Grouping)하는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폰트(font)란 미리 디자인된 여러 가지 스타일 및 크기의 글자를 보관해 놓은 일종의 문자 라이브러리(library)로, 활자 조판에 필요한 모든 글자, 숫자 및 특수 기호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폰트가 컴퓨터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거나 인쇄되도록 하려면, 문자의 형태를 0 과 1 의 데이터로 표현해야 한다. 폰트를 0 과 1 로 된 디지털 데이터로 표현할 수 있다면, 컴퓨터는 이를 보존, 가공 또는 외부의 출력 장치에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폰트는 디지털 형태로 표현된 문자형상 데이터의 집합이라 할 수 있다.
종래에는 폰트가 주로 DTP(Desktop Publishing) 또는 CTS(Computerized Typesetting System) 등의 출판 및 문서 작성의 전문 사용 분야에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정보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개인 환경에서의 폰트 사용 또한 증가하고 있으며, 웹 환경 또는 모바일 환경에서도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폰트는 현재까지도 전문 폰트 디자이너의 장기간의 수작업을 통하여 제작되고 공급되기 때문에 실제 사용 가능한 컴퓨터용 폰트의 종류는 다양하지 못한 실정이다.
최근, 사용자들은 기 제작된 폰트 외에도 사용자 자신의 개성을 포함하는 자신만의 폰트를 제작하고자 하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폰트 제작에 필요한 수가지의 자소의 글리프와 각 자소 별 글리프를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 중 하나 이상으로 확대시킨 MMG를 개인이 직접 제작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MMG 제작 기술은 글리프의 굵기를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글리프를 가로 길이 방향 또는 세로 길이 방향으로 확대시켜 MMG를 생성함으로써, 글리프의 굵기를 일정하게 생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자소를 입력받아 자소 이미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자소 이미지의 외곽선 벡터 데이터 및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추출하여 기본형 자소 글리프와 기본형 자소 글리프 대비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 중 하나 이상이 확대된 확대형 자소 글리프를 생성한 후 하나의 MMG로 그룹핑함으로써, 사용자 육필을 글리프로 생성할 뿐만 아니라 확대형 글리프의 굵기가 어느 한 길이 방향으로 불균형하게 확대되지 않고 사용자 육필의 굵기와 동일한 확대형 글리프 생성할 수 있는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시스템 및 방법을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0-0036448호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은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자소로부터 기본형 자소 글리프와 기본형 자소 글리프 대비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 중 하나 이상이 확대된 확대형 자소 글리프를 생성하고, 생성된 기본형 자소 글리프 및 확대형 자소 글리프를 하나의 MMG로 그룹핑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자 육필을 MMG로 생성 가능한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자소를 입력받아 상기 자소를 자소 이미지로 변환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자소 이미지의 외곽선 벡터 데이터 및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추출하는 서버; 및 상기 외곽선 벡터 데이터 및 상기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본형 자소 글리프와 상기 기본형 자소 글리프 대비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 중 하나 이상이 확대된 확대형 자소 글리프를 생성하고, 상기 기본형 자소 글리프 및 상기 확대형 자소 글리프를 MMG로 그룹핑하는 에디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할 자소 명칭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자소를 육필로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받은 자소를 상기 자소 이미지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자소 이미지의 외곽선 및 중심선을 벡터화하여 상기 외곽선 벡터 데이터 및 상기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외곽선 벡터 데이터, 상기 중심선 벡터 데이터, 외곽선 포인트 개수, 중심선 포인트 개수, 자소 명칭, 자소 유형 및 자소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자소 데이터를 생성하는 자소 데이터 생성부; 및상기 자소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자소 식별코드와 기 설정된 자소 식별코드 목록을 비교하고, 기 설정된 자소 식별코드 목록 중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자소 식별코드가 검색되는 경우, 검색된 자소 식별코드의 자소를 입력 요청하는 입력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비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교부는, 상기 기 설정된 자소 식별코드 목록의 모든 자소 식별코드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자소 데이터 송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에디터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자소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자소 데이터의 자소 식별코드와 기 설정된 자소 식별코드 목록을 비교하여 자소 데이터의 수신 완료를 검증하는 검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디터는, 상기 외곽선 포인트 간에 거리를 계산하여 자소 굵기를 산출하는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디터는, 기본형 레이어 및 제1 내지 제3 확대형 레이어 각각에 상기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저장하는 레이어 생성부; 및 상기 제1 확대형 레이어의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가로 길이 방향으로 확대하고, 상기 제2 확대형 레이어의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세로 길이 방향으로 확대하고, 상기 제3 확대형 레이어의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 방향으로 확대하는 확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디터는, 상기 외각선 벡터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본형 자소 글리프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확대형 레이어 각각의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기준으로 외각선 포인트 간에 간격이 상기 자소 굵기와 동일하도록 제1 내지 제3 외각선 벡터 데이터를 각각 생성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확대형 자소 글리프를 생성하는 글리프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디터는, 상기 기본형 자소 글리프 및 상기 제1 내지 제3 확대형 자소 글리프를 상기 MMG로 그룹핑하는 그룹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디터는, 상기 수신된 자소 데이터 중 상기 MMG로 그룹핑되지 않은 자소 데이터를 확인하는 확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자소를 입력받아 상기 자소를 자소 이미지로 변환하는 단계; 서버가 상기 자소 이미지의 외곽선 벡터 데이터 및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에디터가 상기 외곽선 벡터 데이터 및 상기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본형 자소 글리프와 상기 기본형 자소 글리프 대비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 중 하나 이상이 확대된 확대형 자소 글리프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에디터가 상기 기본형 자소 글리프 및 상기 확대형 자소 글리프를 MMG로 그룹핑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자소를 자소 이미지로 변환하는 단계는, 표시부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할 자소 명칭을 표시하는 단계; 입력부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자소를 육필로 입력받는 단계; 및 변환부가 상기 입력받은 자소를 상기 자소 이미지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곽선 벡터 데이터 및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는, 추출부가 상기 자소 이미지의 외곽선 및 중심선을 벡터화하여 상기 외곽선 벡터 데이터 및 상기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자소 데이터 생성부가 상기 외곽선 벡터 데이터, 상기 중심선 벡터 데이터, 외곽선 포인트 개수, 중심선 포인트 개수, 자소 명칭, 자소 유형 및 자소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자소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저장부가 상기 자소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곽선 벡터 데이터 및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는, 비교부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자소 식별코드와 기 설정된 자소 식별코드 목록을 비교하고, 기 설정된 자소 식별코드 목록 중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자소 식별코드가 검색되는 경우, 검색된 자소 식별코드의 자소를 입력 요청하는 입력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곽선 벡터 데이터 및 상기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부가 상기 기 설정된 자소 식별코드 목록의 모든 자소 식별코드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자소 데이터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본형 자소 글리프 및 확대형 자소 글리프를 생성하는 단계는, 검증부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자소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자소 데이터의 자소 식별코드와 기 설정된 자소 식별코드 목록을 비교하여 자소 데이터의 수신 완료를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본형 자소 글리프 및 확대형 자소 글리프를 생성하는 단계는, 산출부가 상기 외곽선 포인트 간에 거리를 계산하여 자소 굵기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본형 자소 글리프 및 확대형 자소 글리프를 생성하는 단계는, 레이어 생성부가 기본형 레이어 및 제1 내지 제3 확대형 레이어 각각에 상기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확대부가 상기 제1 확대형 레이어의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가로 길이 방향으로 확대하고, 상기 제2 확대형 레이어의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세로 길이 방향으로 확대하고, 상기 제3 확대형 레이어의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 방향으로 확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본형 자소 글리프 및 확대형 자소 글리프를 생성하는 단계는, 글리프 생성부가 상기 외각선 벡터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본형 자소 글리프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확대형 레이어 각각의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기준으로 외각선 포인트 간에 간격이 상기 자소 굵기와 동일하도록 제1 내지 제3 외각선 벡터 데이터를 각각 생성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확대형 자소 글리프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MMG로 그룹핑하는 단계는, 그룹핑부가 상기 기본형 자소 글리프 및 상기 제1 내지 제3 확대형 자소 글리프를 상기 MMG로 그룹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MMG로 그룹핑하는 단계는, 확인부가 상기 수신된 자소 데이터 중 상기 MMG로 그룹핑되지 않은 자소 데이터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시스템 및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자소를 자소 이미지로 변환하고, 자소 이미지로부터 기본형 자소 글리프 및 확대형 자소 글리프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 육필을 글리프로 생성하여 사용자 자신의 서체를 간편하게 폰트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자소 이미지로부터 추출한 외곽선 벡터 데이터 및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본형 자소 글리프 및 기본형 자소 글리프 대비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 중 하나 이상이 확대된 확대형 자소 글리프를 생성하고, 기본형 자소 글리프 및 확대형 자소 글리프를 MMG로 그룹핑함으로써, 글리프의 굵기가 어느 한 길이 방향으로 확대되지 않고 사용자 육필의 굵기와 동일한 확대형 글리프 생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시스템을 통해 변환된 자소 이미지 및 벡터 데이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시스템을 통해 생성된 기본형 레이어 및 제1 내지 제3 확대형 레이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시스템을 통해 생성된 MMG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시스템을 통해 변환된 자소 이미지 및 벡터 데이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시스템을 통해 생성된 기본형 레이어 및 제1 내지 제3 확대형 레이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시스템을 통해 생성된 MMG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시스템(1000)은 사용자 단말(100), 서버(200) 및 에디터(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00)은 표시부(110), 입력부(120), 변환부(130) 및 단말 통신부(1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서버(200)는 서버 통신부(210), 추출부(220), 생성부(230), 저장부(240) 및 비교부(2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에디터(300)는 에디터 통신부(310), 검증부(320), 레이어 생성부(330), 산출부(340), 확대부(350), 글리프 생성부(360), 그룹핑부(370) 및 확인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시스템(1000)의 구성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도 1에 도시된 블록들은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로부터 자소를 입력받아 자소 이미지(10)로 변환하여 후술되는 서버(200)로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개인용 휴대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태블릿(tablet) 컴퓨터,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랩톱(laptop) 컴퓨터 및 스마트폰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표시부(110)는 사용자가 MMG 생성에 필요한 자소를 정확히 입력 할 수 있도록 자소 명칭을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부(110)에 표시된 자소 명칭을 확인하여 자소 명칭에 대응하는 자소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부(110)는 단순히 디스플레이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디스플레이와 해당 디스플레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컨트롤러(controller)가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자소를 육필로 입력받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MMG 프로젝트명을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육필을 입력받기 위하여 사용자의 터치(Touch)를 인식하는 터치 패널 및 아날로그 입력 데이터인 좌표를 판독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디지타이저를 포함할 수 있으며, MMG 프로젝트명을 입력받기 위한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변환부(130)는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자소를 자소 이미지(10)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환부(130)는 범용 웹 브라우저(Web-Browser)로 구현됨으로써, 사용자 단말(100)에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 과정 없이 입력된 자소를 자소 이미지(10)로 변환할 수 있다.
단말 통신부(140)는 변환부(130)로부터 변환된 자소 이미지(10)를 이더넷(Ethernet) 통신, 와이파이(Wireless Fideltiy; Wi-Fi) 통신,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 및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서버(200)의 서버 통신부(210)로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 통신부(140)는 자소 이미지(10) 송신 외에 서버(200)로부터 자소 입력 요청 신호와 같은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200)는 자소 이미지(10)의 외곽선 벡터 데이터 및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서버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100)의 단말 통신부(140)로부터 자소 이미지(10)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서버 통신부(210)는 후술되는 에디터(300)의 에디터 통신부(310)와 데이터 및 제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서버 통신부(210)는 이더넷 통신, Wi-Fi 통신, CDMA 통신 및 LTE 통신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서버 통신부(210) 및 에디터 통신부(3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추출부(220)는 수신된 자소 이미지(10)의 외곽선(a, b) 및 중심선(c)을 벡터화하여 외곽선 벡터 데이터 및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부(220)는 사용자 단말(100)의 입력부(110)가 사용자로부터 자소(ㅁ)를 입력받아 자소 이미지(10)로 변환하여 단말 통신부(140)를 통해 자소 이미지(10)를 송신하는 경우, 자소 이미지(10)에서 외곽선(a, b)의 교점 및 변곡점으로 구성된 외곽선 포인트(a-1, a-2, a-3, a-4, b-1, b-2, b-3, b-4)의 좌표와 중심점(c)의 교점 및 변곡점으로 구성된 중심선 포인트(c-1, c-2, c-3, c-4)의 좌표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외곽선은 자소 이미지의 내외각 테두리를 연결한 선일 수 있으며, 중심선은 자소 이미지의 외측 외곽선과 내측 외곽선의 중앙을 연결한 선일 수 있다.
생성부(230)는 자소의 정보를 포함하는 자소 데이터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생성부(230)는 외곽선 벡터 데이터, 중심선 벡터 데이터, 외곽선 포인트 개수, 중심선 포인트 개수, 자소 명칭, 자소 유형 및 자소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자소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자소 유형은 입력된 자소의 언어 종류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소의 언어가 한글인 경우, 자소 유형은 초성, 중성, 종성일 수 있다.
또한, 자소 식별코드는 입력된 자소를 식별하기 위하여 자소 마다 할당되는 숫자, 기호 및 문자 중 하나 이상으로 조합된 코드일 수 있다.
저장부(240)는 생성된 자소 데이터를 서버(200)에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저장부(240)는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Memory) 및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비교부(250)는 저장부(24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자소 식별코드와 기 설정된 자소 식별코드 목록을 비교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자소 식별코드 목록은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시스템(1000)에서 생성된 MMG를 이용하여 폰트를 제작하는 경우, 필수적으로 필요한 자소들의 자소 식별코드일 수 있다.
비교부(250)는 상술된 비교 결과, 기 설정된 자소 식별코드 목록 중 저장부(24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자소 식별코드가 검색되는 경우, 검색된 자소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자소의 입력을 요청하는 자소 입력 요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서버 통신부(210)는 자소 입력 요청 신호를 사용자 단말(100)의 단말 통신부(140)로 송신할 수 있으며, 자소 입력 요청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100)은 표시부(110)에 저장부(24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자소 데이터의 자소 명칭을 표시하여 입력부(120)가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자소 식별코드 목록에 포함된 모든 자소를 입력받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비교부(250)의 비교 결과, 기 설정된 자소 식별코드 목록의 모든 자소 식별코드가 저장부(24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저장부(240)에 저장된 자소 데이터를 에디터(300)로 송신하기 위한 자소 데이터 송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서버 통신부(210)는 자소 데이터 송신 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저장부(240)에 저장된 자소 데이터를 에디터(300)의 에디터 통신부(310)로 송신할 수 있다.
에디터(300)는 외곽선 벡터 데이터 및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본형 자소 글리프와 기본형 자소 글리프 대비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 중 하나 이상이 확대된 확대형 자소 글리프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할수 있다.
또한, 에디터(300)는 생성된 기본형 자소 글리프 및 확대형 자소 글리프를 하나의 MMG로 그룹핑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에디터 통신부(310)는 서버 통신부(210)로부터 자소 데이터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에디터 통신부(310)는 이더넷 통신, Wi-Fi 통신, CDMA 통신 및 LTE 통신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서버 통신부(210) 및 에디터 통신부(3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검증부(320)는 수신된 하나 이상의 자소 데이터의 자소 식별코드와 기 설정된 자소 식별코드 목록을 비교하여 자소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되었는지 검증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된 검증부(320)의 검증 결과, 기 설정된 자소 식별코드 목록 중 수신되지 않은 자소 식별코드가 검색되는 경우, 검색된 자소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자소 데이터의 재송신을 요청하는 자소 데이터 재송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에디터 통신부(310)는 자소 데이터 재송신 신호를 서버 통신부(210)로 송신할 수 있으며, 자소 데이터 재송신 신호를 수신한 서버 통신부(210)는 해당 자소 데이터를 재송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에디터(300)는 MMG를 이용하여 폰트를 제작하는데 필수적으로 필요한 자소의 모든 자소 데이터를 누락없이 수신할 수 있다.
반대로, 검증부(320)의 검증 결과, 기 설정된 자소 식별코드 목록의 모든 자소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자소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산출부(340)는 자소 데이터에 포함된 외곽선 벡터 데이터의 외곽선 포인트(a-1, b-1) 간에 거리를 계산하여 자소 굵기(t)를 산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산출부(340)는 외측의 외곽선(a)과 내측의 외곽선(b) 사이에 상호 대응되는 두 외곽선 포인트(a-1, b-1)의 좌표를 이용하여 두 외곽선 포인트(a-1, b-1) 간에 거리를 계산하고, 산출된 거리를 자소 굵기(t)로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출부(340)는 도 2에 도시된 두 외곽선 포인트(a-1, b-1)의 좌표 (1, 1) 및 (3, 3)로부터 계산된 두 외곽선 포인트(a-1, b-1) 간에 거리 2√2를 자소 굵기(t)로 산출할 수 있다.
레이어 생성부(330)는 기본형 레이어(1) 및 제1 내지 제3 확대형 레이어(2, 3, 4) 각각에 수신된 자소 데이터의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어 생성부(330)가 상술된 총 4개의 레이어(1, 2, 3, 4)에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각각 저장하는 경우, 각 레이어(1, 2, 3, 4)에는 중심선 포인트(c-1, c-2, c-3, c-4)가 각각의 좌표 (2,2), (6,2), (2,6) 및 (6,6)에 대응하여 저장될 수 있다.
확대부(350)는 제1 확대형 레이어(2)에 저장된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가로 길이 방향으로 기 설정된 배율만큼 확대할 수 있고, 제2 확대형 레이어(3)에 저장된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세로 길이 방향으로 기 설정된 배율만큼 확대할 수 있고, 제3 확대형 레이어(4)에 저장된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가로 길이 방향 및 세로 길이 방향으로 기 설정된 배율만큼 확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3 확대형 레이어(2, 3, 4)는 상단 우측 모서리를 원점으로 하는 직교좌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확대부(350)는 상술된 원점을 기준으로 제1 내지 제3 확대형 레이어(2, 3, 4)에 저장된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확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대부(350)가 제1 내지 제3 확대형 레이어(2, 3, 4)에 저장된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2배율로 확대하는 경우, 제1 확대형 레이어(2')에는 중심선 포인트(d-1, d-2, d-3, d-4) 간에 간격이 가로 길이 방향으로 2배율 확대되어 중심선 포인트(d-1, d-2, d-3, d-4)의 좌표가 각각 (2,2), (10,2), (2,6) 및 (10,6)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제2 확대형 레이어(3')에는 중심선 포인트(e-1, e-2, e-3, e-4) 간에 간격이 세로 길이 방향으로 2배율 확대되어 중심선 포인트(e-1, e-2, e-3, e-4)의 좌표가 각각 (2,2), (6,2), (2,10) 및 (6,10)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제3 확대형 레이어(4')에는 중심선 포인트(f-1, f-2, f-3, f-4) 간에 간격이 가로 길이 방향 및 세로 길이 방향으로 2배율씩 확대되어 중심선 포인트(f-1, f-2, f-3, f-4)의 좌표가 각각 (2,2), (10,2), (2,10) 및 (10,10)으로 변경될 수 있다.
글리프 생성부(360)는 수신된 외각선 벡터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본형 자소 글리프(A)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글리프 생성부(360)는 제1 내지 제3 확대형 레이어(2”, 3”, 4”) 각각의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기준으로 외각선 포인트 간에 간격이 자소 굵기(t)와 동일하도록 제1 내지 제3 외각선 벡터 데이터를 각각 생성하여 제1 내지 제3 확대형 자소 글리프(B, C, D)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글리프 생성부(360)는 좌표가 (1,1), (7,1), (1,7) 및 (7,7)인 외측의 외곽선 포인트(a-1, a-2, a-3, a-4)와 좌표가 (3,3), (5,3), (3,5) 및 (5,5)인 내측의 외곽선 포인트(b-1, b-2, b-3, b-4)를 포함하는 외각선 벡터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본형 자소 글리프(A)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기본형 자소 글리프(A)를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외각선 벡터 데이터는 서버(200)의 서버 통신부(210)로부터 수신된 자소 데이터의 외곽선 벡터 데이터일 수 있다.
한편, 글리프 생성부(360)가 산출부(340)를 통해 산출된 자소 굵기 2√2와 동일한 자소 굵기를 갖는 제1 내지 제3 외각선 벡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 제1 확대형 레이어(2”)에는 좌표가 (1,1), (11,1), (1,7) 및 (11,7)인 외측의 외곽선 포인트(g-1, g-2, g-3, g-4)와 좌표가 (3,3), (9,3), (3,5) 및 (9,7)인 내측의 외곽선 포인트(h-1, h-2, h-3, h-4)를 포함하는 제1 외각선 벡터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확대형 레이어(3”)에는 좌표가 (1,1), (7,1), (1,11) 및 (11,7)인 외측의 외곽선 포인트(i-1, i-2, i-3, i-4)와 좌표가 (3,3), (5,3), (3,9) 및 (7,9)인 내측의 외곽선 포인트(j-1, j-2, j-3, j-4)를 포함하는 제2 외각선 벡터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으며, 제3 확대형 레이어(4”)에는 좌표가 (1,1), (11,1), (1,11) 및 (11,11)인 외측의 외곽선 포인트(k-1, k-2, k-3, k-4)와 좌표가 (3,3), (9,3), (3,9) 및 (9,9)인 내측의 외곽선 포인트(l-1, l-2, l-3, l-4)를 포함하는 제3 외각선 벡터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이후, 글리프 생성부(360)는 상술된 제1 내지 제3 외각선 벡터 데이터를 각각 제1 내지 제3 확대형 자소 글리프(B, C, D)로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글리프 생성부(360)로부터 기본형 자소 글리프(A)와 기본형 자소 글리프(A) 대비 가로 길이 방향으로 확대된 제1 확대형 자소 글리프(B), 세로 길이 방향으로 확대된 제2 확대형 자소 글리프(C) 및 가로와 세로 길이 방향으로 확대된 제3 확대형 자소 글리프(D)가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본형 자소 글리프(A) 및 제1 내지 제3 확대형 자소 글리프(B, C, D)의 자소 굵기는 어느 한 방향으로 불균형하게 확대되지 않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자소의 자소 굵기와 동일하게 생성될 수 있다.
그룹핑부(370)는 기본형 자소 글리프(A) 및 제1 내지 제3 확대형 자소 글리프(B, C, D)를 하나의 MMG로 그룹핑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룹핑된 MMG는 총 4개의 자소 글리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확인부(380)는 그룹핑된 MMG의 개수와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자소 데이터의 개수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 그룹핑된 MMG의 개수가 수신한 자소 데이터의 개수 미만인 경우, 재검증 요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반대로, 그룹핑된 MMG의 개수가 수신한 자소 데이터의 개수와 동일한 경우,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시스템(1000)은 종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검증부(320)는 재검증 요청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상술된 자소 데이터의 전송 완료를 재검증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방법이 시작되면, 사용자 단말의 입력부가 사용자로부터 자소를 육필로 입력받게 된다(S801). 이때,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의 표시부에 출력되는 자소 명칭을 확인하고, 이에 해당하는 자소를 입력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 단말의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자소 이외 MMG 프로젝트명을 입력받게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의 변환부가 입력된 자소를 자소 이미지로 변환하게 되고(S802), 변환된 자소 이미지는 사용자 단말의 단말 통신부를 통해 서버로 송신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변환부는 범용 웹 브라우저로 구현될 수 있다.
이후, 서버의 서버 통신부는 자소 이미지를 수신하게 되고, 서버의 추출부는 수신된 자소 이미지의 외곽선 및 중심선을 벡터화하여 외곽선 벡터 데이터 및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추출하게 된다(S803).
서버의 생성부가 추출부로부터 추출된 외곽선 벡터 데이터 및 중심선 벡터 데이터에 외곽선 포인트 개수, 중심선 포인트 개수, 자소 명칭, 자소 유형 및 자소 식별코드를 추가하여 자소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S804). 이때, 생성된 자소 데이터는 서버의 저장부에 저장되게 된다.
여기서, 자소 유형은 입력된 자소의 언어 종류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소의 언어가 한글인 경우, 자소 유형은 초성, 중성, 종성일 수 있다.
또한, 자소 식별코드는 입력된 자소를 식별하기 위하여 자소 마다 할당되는 숫자, 기호 및 문자 중 하나 이상으로 조합된 코드일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의 비교부가 저장부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자소 식별코드와 기 설정된 자소 식별코드 목록을 비교하게 되고(S805), 비교 결과 기 설정된 자소 식별코드 목록 중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자소 식별코드가 검색되는 경우, 비교부는 검색된 자소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자소의 입력을 요청하는 자소 입력 요청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서버 통신부가 자소 입력 요청 신호를 사용자 단말의 단말 통신부로 송신하게 되고, 사용자 단말의 입력부가 해당 자소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게 된다(S801).
반대로, 기 설정된 자소 식별코드 목록의 모든 자소 식별코드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비교부가 저장부에 저장된 자소 데이터를 에디터로 송신하기 위한 자소 데이터 송신 신호를 생성하게 되고, 서버 통신부가 자소 데이터를 에디터의 에디터 통신부로 송신하게 된다(S806).
에디터의 검증부가 수신된 하나 이상의 자소 데이터의 자소 식별코드와 기 설정된 자소 식별코드 목록을 비교하여 자소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되었는지 검증하게 되고(S807), 검증 결과, 기 설정된 자소 식별코드 목록 중 수신되지 않은 자소 식별코드가 검색되는 경우, 검증부가 검색된 자소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자소 데이터의 재송신을 요청하는 자소 데이터 재송신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에디터 통신부가 자소 데이터 재송신 신호를 서버의 서버 통신부로 송신하게 되고, 서버 통신부가 해당 자소 데이터를 재송신하게 된다(S806).
반대로, 기 설정된 자소 식별코드 목록의 모든 자소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자소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에디터의 산출부가 자소 데이터에 포함된 외곽선 벡터 데이터의 외곽선 포인트 간에 거리를 계산하여 자소 굵기를 산출하게 된다(S808).
이후, 레이어 생성부가 기본형 레이어 및 제1 내지 제3 확대형 레이어 각각에 자소 데이터의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각각 저장하게 된다(809).
다음으로, 확대부가 제1 확대형 레이어에 저장된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가로 길이 방향으로 기 설정된 배율만큼 확대하게 되고, 제2 확대형 레이어에 저장된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세로 길이 방향으로 기 설정된 배율만큼 확대하게 되고, 제3 확대형 레이어에 저장된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가로 길이 방향 및 세로 길이 방향으로 기 설정된 배율만큼 확대하게 된다.
이어서, 글리프 생성부가 에디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외각선 벡터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본형 자소 글리프를 생성하게 되고, 제1 내지 제3 확대형 레이어 각각의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기준으로 외각선 포인트 간에 간격이 산출된 자소 굵기와 동일하도록 제1 내지 제3 외각선 벡터 데이터를 각각 생성하여 제1 내지 제3 확대형 자소 글리프를 생성하게 된다(S810).
이에 따라, 글리프 생성부가 기본형 자소 글리프와 기본형 자소 글리프 대비 가로 길이 방향으로 확대된 제1 확대형 자소 글리프, 세로 길이 방향으로 확대된 제2 확대형 자소 글리프 및 가로와 세로 길이 방향으로 확대된 제3 확대형 자소 글리프를 생성하게 된다.
이후, 그룹핑부가 기본형 자소 글리프 및 제1 내지 제3 확대형 자소 글리프를 하나의 MMG로 그룹핑하게 된다(S811).
마지막으로, 확인부가 그룹핑된 MMG의 개수와 서버의 서버 통신부로부터 수신한 자소 데이터의 개수를 비교하여 추가 MMG 그룹핑 여부를 확인하게 되고(S812), 비교 결과 그룹핑된 MMG의 개수가 수신한 자소 데이터의 개수 미만인 경우, MMG 그룹핑에 필요한 자소를 다시 수신하게 된다.
반대로, 비교 결과 그룹핑된 MMG의 개수가 수신한 자소 데이터의 개수 이상인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방법은 종료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방법은 상기 기술한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방법은 상기 기술한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시스템과 유사하게 폰트를 생성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중복 설명을 방지하기 위하여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시스템
100 : 사용자 단말
110 : 표시부 120 : 입력부
130 : 변환부 140 : 단말 통신부
200 : 서버
210 : 서버 통신부 220 : 추출부
230 : 생성부 240 : 저장부
250 : 비교부
300 : 폰트 서버
310 : 에디터 통신부 320 : 검증부
330 : 레이어 생성부 340 : 산출부
350 : 확대부 360 : 글리프 생성부
370 : 그룹핑부 380 : 확인부

Claims (22)

  1. 사용자로부터 자소를 입력받아 상기 자소를 자소 이미지로 변환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자소 이미지의 외곽선 벡터 데이터 및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추출하는 서버; 및
    상기 외곽선 벡터 데이터 및 상기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본형 자소 글리프와 상기 기본형 자소 글리프 대비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 중 하나 이상이 확대된 확대형 자소 글리프를 생성하고, 상기 기본형 자소 글리프 및 상기 확대형 자소 글리프를 다중 마스터 글리프(Multiple Master Glyph; MMG)로 그룹핑(Grouping)하는 에디터;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자소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자소 데이터를 생성하는 자소 데이터 생성부;
    상기 자소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자소 식별코드와 기 설정된 자소 식별코드 목록을 비교하고, 기 설정된 자소 식별코드 목록 중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자소 식별코드가 검색되는 경우, 검색된 자소 식별코드의 자소를 입력 요청하는 입력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할 자소 명칭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자소를 육필로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받은 자소를 상기 자소 이미지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자소 이미지의 외곽선 및 중심선을 벡터화하여 상기 외곽선 벡터 데이터 및 상기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소 데이터는,
    상기 외곽선 벡터 데이터, 상기 중심선 벡터 데이터, 외곽선 포인트 개수, 중심선 포인트 개수, 자소 명칭 및 자소 유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시스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는,
    상기 기 설정된 자소 식별코드 목록의 모든 자소 식별코드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자소 데이터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시스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에디터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자소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자소 데이터의 자소 식별코드와 기 설정된 자소 식별코드 목록을 비교하여 자소 데이터의 수신 완료를 검증하는 검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시스템.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에디터는,
    상기 외곽선 포인트 간에 거리를 계산하여 자소 굵기를 산출하는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에디터는,
    기본형 레이어 및 제1 내지 제3 확대형 레이어 각각에 상기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저장하는 레이어 생성부; 및
    상기 제1 확대형 레이어의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가로 길이 방향으로 확대하고, 상기 제2 확대형 레이어의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세로 길이 방향으로 확대하고, 상기 제3 확대형 레이어의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 방향으로 확대하는 확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에디터는,
    상기 외곽선 벡터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본형 자소 글리프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확대형 레이어 각각의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기준으로 외곽선 포인트 간에 간격이 상기 자소 굵기와 동일하도록 제1 내지 제3 외곽선 벡터 데이터를 각각 생성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확대형 자소 글리프를 생성하는 글리프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에디터는,
    상기 기본형 자소 글리프 및 상기 제1 내지 제3 확대형 자소 글리프를 상기 MMG로 그룹핑하는 그룹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에디터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자소 데이터 중 상기 MMG로 그룹핑되지 않은 자소 데이터를 확인하는 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시스템.
  12.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자소를 입력받아 상기 자소를 자소 이미지로 변환하는 단계;
    서버가 상기 자소 이미지의 외곽선 벡터 데이터 및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에디터가 상기 외곽선 벡터 데이터 및 상기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본형 자소 글리프와 상기 기본형 자소 글리프 대비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 중 하나 이상이 확대된 확대형 자소 글리프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에디터가 상기 기본형 자소 글리프 및 상기 확대형 자소 글리프를 MMG로 그룹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외곽선 벡터 데이터 및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는,
    자소 데이터 생성부가 자소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자소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저장부가 상기 자소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비교부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자소 식별코드와 기 설정된 자소 식별코드 목록을 비교하고, 기 설정된 자소 식별코드 목록 중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자소 식별코드가 검색되는 경우, 검색된 자소 식별코드의 자소를 입력 요청하는 입력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자소를 자소 이미지로 변환하는 단계는,
    표시부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할 자소 명칭을 표시하는 단계;
    입력부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자소를 육필로 입력받는 단계; 및
    변환부가 상기 입력받은 자소를 상기 자소 이미지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선 벡터 데이터 및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는,
    추출부가 상기 자소 이미지의 외곽선 및 중심선을 벡터화하여 상기 외곽선 벡터 데이터 및 상기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소 데이터는,
    상기 외곽선 벡터 데이터, 상기 중심선 벡터 데이터, 외곽선 포인트 개수, 중심선 포인트 개수, 자소 명칭 및 자소 유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방법.
  15. 삭제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선 벡터 데이터 및 상기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부가 상기 기 설정된 자소 식별코드 목록의 모든 자소 식별코드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자소 데이터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형 자소 글리프 및 확대형 자소 글리프를 생성하는 단계는,
    검증부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자소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자소 데이터의 자소 식별코드와 기 설정된 자소 식별코드 목록을 비교하여 자소 데이터의 수신 완료를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방법.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형 자소 글리프 및 확대형 자소 글리프를 생성하는 단계는,
    산출부가 상기 외곽선 포인트 간에 거리를 계산하여 자소 굵기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형 자소 글리프 및 확대형 자소 글리프를 생성하는 단계는,
    레이어 생성부가 기본형 레이어 및 제1 내지 제3 확대형 레이어 각각에 상기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확대부가 상기 제1 확대형 레이어의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가로 길이 방향으로 확대하고, 상기 제2 확대형 레이어의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세로 길이 방향으로 확대하고, 상기 제3 확대형 레이어의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 방향으로 확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형 자소 글리프 및 확대형 자소 글리프를 생성하는 단계는,
    글리프 생성부가 상기 외곽선 벡터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본형 자소 글리프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확대형 레이어 각각의 중심선 벡터 데이터를 기준으로 외곽선 포인트 간에 간격이 상기 자소 굵기와 동일하도록 제1 내지 제3 외곽선 벡터 데이터를 각각 생성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확대형 자소 글리프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MMG로 그룹핑하는 단계는,
    그룹핑부가 상기 기본형 자소 글리프 및 상기 제1 내지 제3 확대형 자소 글리프를 상기 MMG로 그룹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MMG로 그룹핑하는 단계는,
    확인부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자소 데이터 중 상기 MMG로 그룹핑되지 않은 자소 데이터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방법.
KR1020150028995A 2015-03-02 2015-03-02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시스템 및 방법 KR101641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995A KR101641282B1 (ko) 2015-03-02 2015-03-02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시스템 및 방법
JP2015050339A JP6044853B2 (ja) 2015-03-02 2015-03-13 多重マスターグリフの生成システム及び方法
US14/660,566 US9569870B2 (en) 2015-03-02 2015-03-17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multiple master glyph
CN201510119647.0A CN106033402A (zh) 2015-03-02 2015-03-18 多重主字体生成系统及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995A KR101641282B1 (ko) 2015-03-02 2015-03-02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1282B1 true KR101641282B1 (ko) 2016-07-29

Family

ID=56617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8995A KR101641282B1 (ko) 2015-03-02 2015-03-02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69870B2 (ko)
JP (1) JP6044853B2 (ko)
KR (1) KR101641282B1 (ko)
CN (1) CN106033402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6056A (ja) * 1992-09-11 1994-04-08 Hitachi Ltd 文字入力装置
KR20000036448A (ko) 2000-03-14 2000-07-05 박정목 사용자 서체 구현 장치
KR20020007558A (ko) * 2000-07-18 2002-01-29 강경수 폰트 편집 소프트웨어 등에 적용되는 폰트 제작방법
KR101344457B1 (ko) * 2012-06-21 2013-12-26 (주)한양정보통신 글리프를 이용해 폰트를 생성하는 폰트 생성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6189A (en) * 1996-03-29 1999-07-20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ypographic glyph construction including a glyph server
WO1998036630A2 (en) * 1997-02-10 1998-08-27 Yissum Research Development Company Of The Hebrew University Of Jerusalem Parametric font models based on features and constraints
US6952210B1 (en) * 1997-12-05 2005-10-04 Adobe Systems Incorporated Method of generating multiple master typefaces containing kanji characters
JP3713967B2 (ja) * 1998-08-24 2005-11-09 オムロン株式会社 フォント作成方法及び装置並びに記憶媒体
US6678410B1 (en) * 1999-02-17 2004-01-13 Adobe Systems Incorporated Generating a glyph
CN1159666C (zh) * 2002-03-29 2004-07-28 上海汉峰信息科技有限公司 基于笔划中心线技术的曲线字形的还原显示方法
US9342155B2 (en) * 2011-03-31 2016-05-17 Nokia Technologies Oy Character entry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6056A (ja) * 1992-09-11 1994-04-08 Hitachi Ltd 文字入力装置
KR20000036448A (ko) 2000-03-14 2000-07-05 박정목 사용자 서체 구현 장치
KR20020007558A (ko) * 2000-07-18 2002-01-29 강경수 폰트 편집 소프트웨어 등에 적용되는 폰트 제작방법
KR101344457B1 (ko) * 2012-06-21 2013-12-26 (주)한양정보통신 글리프를 이용해 폰트를 생성하는 폰트 생성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161933A (ja) 2016-09-05
US20160260234A1 (en) 2016-09-08
JP6044853B2 (ja) 2016-12-14
CN106033402A (zh) 2016-10-19
US9569870B2 (en) 2017-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2737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dependent font substitution of string characters
JP6122800B2 (ja) 電子機器、文字列表示方法、および文字列表示プログラム
JP5703331B2 (ja) ユーザがユーザデバイスに異なる複数の言語でエンティティの名前をテキスト入力するのを支援するための技術
JP2007317022A (ja) 手書文字処理装置及び手書文字処理方法
JP6465427B1 (ja) 文字認識装置、文字認識方法及び文字認識プログラム
US10366142B2 (en) Identifier based glyph search
JP4589159B2 (ja) ラスタ地図検索装置
KR20080094850A (ko) 폰트들의 스케일링 장치
JP4470913B2 (ja) 文字列検索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641282B1 (ko) 다중 마스터 글리프 생성 시스템 및 방법
CN111176456B (zh) 用于输入地理位置名称的输入法编辑器
US9740667B2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portable electronic documents
JP6655331B2 (ja) 電子機器及び方法
US11132497B2 (en)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JP7302175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WO2016170690A1 (ja) 入力制御プログラム、入力制御装置、入力制御方法、文字修正プログラム、文字修正装置、及び文字修正方法
JP7035852B2 (ja) 筆記選択プログラム、筆記選択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11065597A (ja) データ検索装置、データ検索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766805B2 (en) System and method for textual input
JP4999014B2 (ja) 拡大縮小可能フォントをサポートするテキストエディタを用いたオブジェクトの挿入
JP6702119B2 (ja) 音声認識結果作成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139669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21256379A1 (ja) 変換候補調整ユニット、サーバ、文字入力装置、文字変換システム、変換候補調整方法、および変換候補調整プログラム
JP7095541B2 (ja) 階層構造認識プログラム、階層構造認識方法及び階層構造認識装置
JPH10143501A (ja) 文字列予測方法及びこの文字列予測方法を用いた文書作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