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1103B1 - Module Type Rail He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Module Type Rail Hea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1103B1
KR101641103B1 KR1020140194879A KR20140194879A KR101641103B1 KR 101641103 B1 KR101641103 B1 KR 101641103B1 KR 1020140194879 A KR1020140194879 A KR 1020140194879A KR 20140194879 A KR20140194879 A KR 20140194879A KR 101641103 B1 KR101641103 B1 KR 101641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heating module
receiving groove
rail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48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81286A (en
Inventor
류기대
박광련
정요운
오재훈
Original Assignee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4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1103B1/en
Publication of KR20160081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12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1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9/00Protection of permanent way against development of dust or against the effect of wind, sun, frost, or corrosion; Means to reduce development of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9/00Protection of permanent way against development of dust or against the effect of wind, sun, frost, or corrosion; Means to reduce development of noise
    • E01B19/003Means for reducing the development or propagation of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9/00Protection of permanent way against development of dust or against the effect of wind, sun, frost, or corrosion; Means to reduce development of noise
    • E01B19/006Means for protecting the underground against spill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레일 히팅장치는, 레일의 하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적어도 일측이 개구된 수용공간이 형성된 케이싱 및 상기 수용공간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 및 상기 레일의 인접영역에 열을 전달시키는 히팅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히팅모듈은, 히팅부재, 상기 히팅부재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하부하우징 및 상기 하부하우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하우징과 결합되고, 상기 수용홈을 차폐하는 상부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홈은 상기 상부하우징 및 상기 하부하우징의 일측으로 개구된 개구부와, 상기 상부하우징 및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개구부로부터 연결된 복수의 직선구간과, 상기 복수의 직선구간을 연결하는 만곡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직선구간과 상기 만곡구간은 연속된 라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히팅부재는, 유연성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형되도록 상기 수용홈의 개구부를 통해 인입할 경우 끝단이 상기 만곡구간의 곡선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수용홈 내에 채워지고,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인출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은, 상기 히팅모듈의 인입 및 인출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히팅모듈이 상기 수용공간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히팅모듈을 압박하도록 하여 상기 히팅모듈이 상기 케이싱의 내측 상면에 접촉되도록 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A modular rail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asing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a rail, the casing having a receiving space having at least one side thereof opened therein, and a casing formed to be capable of being drawn in and drawn out from the receiving space, And a heating module for transferring heat to an adjacent region of the rail and the rail in the heating module, wherein the heating module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in which the heating member, And an upper housing coupled to the lower housing and shielding the receiving groove, wherein the receiving groove has an opening that is open to one side of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and an opening formed in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A plurality of straight line sections connected from the opening section, and a curved section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traight line sections, Wherein the heating member is formed to have flexibility so that when the heating member is pulled through the opening of the receiving groove so as to be deformed into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receiving groove, the straight line section and the curved section are formed in a continuous line shape, Is slid along the curved section of the curved section and is filled in the receiving groove and is capable of being drawn out through the opening in a state of being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the casing being formed along the pulling-out direction of the heating module And a protrusion for pressing the heating module in a state where the heating module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so that the heating modul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casing.

Description

모듈형 레일 히팅장치{Module Type Rail Heating Apparatus}Modular Rail Heating Apparatus [0001]

본 발명은 레일 히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이하게 설치 가능한 히팅모듈을 포함하는 레일 히팅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l hea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rail heating apparatus including a heating module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겨울철 폭설과 결빙은 선로분기기의 기능을 방해하는 장애물로 작용하므로 특별한 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선로분기기의 포인트 텅레일과 노즈 가동 크로싱의 노즈레일은, 방향 전환 시 가동레일이 기본레일(크래들) 밀착되는 부분으로, 기본레일이 밀착 시 눈과 결빙된 얼음덩이가 장애물이 될 경우 전환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Winter snowfall and freezing are obstacles that interfere with the function of line branching equipment, so special care is required. Particularly, the point tongue rail of the line branching device and the nose rail of the nose movable crossing are parts where the movable rail is attached to the basic rail (cradle) when the direction is changed. When the basic rail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ce, Can become impossible.

따라서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레일의 전환 영역에 위치된 눈과 얼음을 물로 녹이는 히팅장치가 필요하다.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such a phenomenon, a heating device for melting snow and ice located in the switching region of the rail with water is required.

도 1에는, 레일(10)에 적용되던 종래의 히팅장치(50)가 도시된다. 이는 국내 고속분기기에 적용된 히팅장치(50)로서, 레일(10)의 측면에 홈을 형성한 뒤 그 내부에 장착하는 형태를 가진다.1, there is shown a conventional heating device 50 applied to a rail 10. This is a heating device 50 applied to a domestic high-speed branching machine. The heating device 50 has a groov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rail 10 and mounted on the inside thereof.

다만, 이와 같은 종래의 히팅장치(50)는 좌우의 형상이 달라 2종류의 히팅바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레일(10)에 홈을 형성하는 추가적인 공정이 수행되어야 하므로 인력 및 비용의 낭비가 심하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heating apparatus 50 is different in shape from left to right, there is a problem that two types of heating bars must be used, and additional processes for forming grooves in the rails 10 must be performed, There is a problem.

뿐만 아니라, 홈이 형성됨으로 인해 레일(10)의 강도가 떨어지게 되어 안전 상의 위험이 내재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In addition, since the grooves are formed, the strength of the rail 10 is lowered, so that a safety risk is inherent and attention is required.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Therefore, a method for solving such problems is required.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42446호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42446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설치가 간편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히팅 효율이 뛰어난 히팅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ting device which is simple to install, easy to maintain, and excellent in heating efficiency.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듈형 레일 히팅장치는, 레일의 하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적어도 일측이 개구된 수용공간이 형성된 케이싱 및 상기 수용공간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 및 상기 레일의 인접영역에 열을 전달시키는 히팅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히팅모듈은, 히팅부재, 상기 히팅부재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하부하우징 및 상기 하부하우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하우징과 결합되고, 상기 수용홈을 차폐하는 상부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홈은 상기 상부하우징 및 상기 하부하우징의 일측으로 개구된 개구부와, 상기 상부하우징 및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개구부로부터 연결된 복수의 직선구간과, 상기 복수의 직선구간을 연결하는 만곡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직선구간과 상기 만곡구간은 연속된 라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히팅부재는, 유연성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형되도록 상기 수용홈의 개구부를 통해 인입할 경우 끝단이 상기 만곡구간의 곡선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수용홈 내에 채워지고,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인출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은, 상기 히팅모듈의 인입 및 인출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히팅모듈이 상기 수용공간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히팅모듈을 압박하도록 하여 상기 히팅모듈이 상기 케이싱의 내측 상면에 접촉되도록 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dular rail heating apparatus comprising: a casing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a rail and including a housing space having at least one side thereof opened therein; And a heating module for transferring heat to an adjacent region of the rail and the rail while being drawn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wherein the heating module includes a heating housing, a lower housing having a receiving groove in which the heating member is received, And an upper housing coupled to the lower housing and shielding the receiving groove, wherein the receiving groove has an opening that is opened to one side of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A plurality of rectilinear sections connected from the opening in the lower housing and a plurality of rectilinear sections connecting the plurality of rectilinear sections, Wherein the heating member is formed to have flexibility so that the heating member is deformed into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receiving groove, The end portion is slid along the curve of the curved portion to be filled in the receiving groove and is drawn out through the opening when the receiving groove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groove, And a projection for pressing the heating module in a state where the heating module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so that the heating modul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casing.

그리고 상기 히팅모듈은 상기 수용공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heating module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accommodation space.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상기 히팅부재는 좌우가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heating member may be formed to have a symmetrical shape.

삭제delete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듈형 레일 히팅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modular rail he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히팅모듈을 슬라이드 방식으로 설치 및 분리할 수 있어, 작업 난이도가 매우 낮을 뿐만 아니라 작업 시간이 크게 단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irst, since the heating module can be installed and separated in a slide manner, the operation difficulty is very low and the working time can be shortened.

둘째, 유지 보수가 용이하여 장기간에 걸쳐 선로분기기의 작동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econd, it is easy to maintain and operate the line branching machine smoothly over a long period of time.

셋째, 레일의 이동 범위 전체에 걸쳐 효과적으로 히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Thir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heating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over the moving range of the rail.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레일에 적용되는 종래의 히팅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레일 히팅장치에 있어서, 히팅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레일 히팅장치에 있어서, 레일 하부에 위치된 케이싱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레일 히팅장치에 있어서, 케이싱의 수용공간에 히팅모듈이 인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레일 히팅장치에 있어서, 히팅모듈이 레일을 가열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레일 히팅장치에 있어서, 케이싱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레일 히팅장치에 있어서, 케이싱의 돌출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레일 히팅장치에 있어서, 히팅모듈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sid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heating device applied to a rail;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heating module in a modular rail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sing positioned at a lower portion of a rail in the modular rail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dular rail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heating module is inserted into a receiving space of a casing; FIG.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odular rail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heating module heats a rail;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sing of a modular rail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dular rail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protruding shape of a casing; FIG.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eating module in a modular rail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designation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레일 히팅장치에 있어서, 히팅모듈(100)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레일 히팅장치에 있어서, 레일(10) 하부에 위치된 케이싱(150)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heating module 100 in a modular rail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chematic view of a modular rail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a casing (150) positioned under a rail (10).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레일 히팅장치는 히팅모듈(100)과, 케이싱(150)을 포함한다.2 and 3, the modular rail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ting module 100 and a casing 150.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히팅모듈(100)은 히팅부재(130)와, 하부하우징(120)과, 상부하우징(110)과, 전원공급모듈(140)을 포함한다.2, the heating modu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heating member 130, a lower housing 120, an upper housing 110, and a power supply module 140.

상기 히팅부재(130)는 상기 전원공급모듈(140)에 연결되어 발열을 수행하며, 다양한 형태의 발열체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히팅부재(130)는 열선 형태로 형성되어 복수 회 굽혀진 형상을 가지나, 상기 히팅부재(130)는 본 실시예 외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heating member 130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module 140 to generate heat, and various types of heating elements may be used. In this embodiment, the heating member 130 is formed in a hot line shape and has a bent shape a plurality of times. However,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heating member 130 can be realized in various forms other than the embodiment.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히팅부재(130)는 서로 분리된 한 쌍이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구비되며, 이에 따라 레일의 좌우를 고르게 가열할 수 있다. 다만, 이와 달리 상기 히팅부재(130)는 하나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형태에서 좌우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Particular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air of the heating members 130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so that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rail can be heated uniformly. Alternatively, one of the heating members 130 may be integrally formed, and the heating member 130 may be formed to be symmetrical in the left-right direction.

상기 하부하우징(120) 및 상기 상부하우징(110)은 상기 히팅부재(130)의 상하를 덮어 감싸는 형태를 가지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하우징(120)에는 상기 히팅부재(130)가 수용되는 수용홈(122)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122)은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상부하우징(110) 측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상부하우징(110) 및 상기 하부하우징(120)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The lower housing 120 and the upper housing 110 are configured to cover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heating member 130. In the present embodiment, A groove 122 is formed. The receiving groove 122 may be formed on the upper housing 110 side or may be formed on both the upper housing 110 and the lower housing 120,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하우징(110) 및 상기 하부하우징(120)은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전원공급모듈(140)이 구비되는 장착홈(111, 121)이 형성된다.In this embodiment, the upper housing 110 and the lower housing 120 are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mounting grooves 111 and 121 having the power supply module 140 are formed on one side thereof do.

또한 상기 상부하우징(110) 및 상기 하부하우징(120)은 볼트홀(113, 123)에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상기 상부하우징(110) 및 상기 하부하우징(120)은 이와 달리 다양한 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upper housing 110 and the lower housing 120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the bolt holes 113 and 123, But may be combined in various other ways.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150)은 레일(10)의 하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적어도 일측이 개구된 수용공간(152)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3, the casing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ail 10, and a receiving space 152 having at least one side opened is formed therein.

이때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싱(150)은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레일(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로 돌출된 형태로 배치된다.At this tim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sing 15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s a whole, and is arranged to protrude laterally from the center of the rail 10.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레일 히팅장치에 있어서, 케이싱(150)의 수용공간(152)에 히팅모듈(100)이 인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eating module 100 being inserted into a receiving space 152 of a casing 150 in the modular rail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팅모듈(100)은 상기 수용공간(15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케이싱(150) 내측으로 슬라이드 방식으로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게 형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heating module 10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accommodating space 152, and is formed to be capable of being drawn in and out of the casing 150 by a sliding method.

따라서 매우 간편하게 히팅모듈(100)을 설치 및 분리시킬 수 있으며, 케이싱(150) 또는 레일을 따로 분해하지 않고도 히팅모듈(100)만을 교체할 수 있어 작업에 소요되는 노력 및 시간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Therefore, the heating module 100 can be installed and removed very easily, and only the heating module 100 can be replaced without disassembling the casing 150 or the rails, thereby greatly reducing labor and time required for the operation .

그리고 상기 히팅모듈(100)은 도 5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10) 및 상기 레일의 인접영역에 열을 전달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히팅모듈(100)은 상기 수용공간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싱(150)의 내측 상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되어, 열 전달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heating module 100 transfers heat to the adjacent region of the rail 10 and the rail while being drawn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At this time, the heating module 100 is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casing 150 in a state of being drawn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so that the heat transfer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레일 히팅장치는 히팅모듈(100)을 슬라이드 방식으로 설치 및 분리할 수 있어 종래의 히팅장치에 비해 작업 난이도가 매우 낮을 뿐만 아니라, 설치 및 분리를 위한 작업 소요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odular rail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stall and separate the heating module 100 in a sliding manner, the operation difficulty is extremely low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heating apparatus, The time can be greatly shorten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레일 히팅장치에 있어서, 케이싱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sing in a modular rail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케이싱이 전술한 제1실시예와 다소 다른 형태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은, 히팅모듈의 인입 및 인출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히팅모듈에 접촉되는 돌출부(254)가 내측 하면에 형성된다.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6, the casing is formed in a slightly different form from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Specifically, the ca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along the pull-in and pull-out directions of the heating module, and a protrusion 254 contacting the heating module is form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이와 같이 돌출부(254)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히팅모듈은 상기 수용공간(252) 내에 인입 및 인출 시 상기 케이싱과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돌출부(254)가 상기 히팅모듈을 압박하도록 하여 상기 히팅모듈이 상기 케이싱의 내측 상면에 안정적으로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As the protrusion 254 is formed, the heating module minimizes the area of contact with the casing when the heating module is drawn into and drawn out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252, thereby reducing the friction. The protrusion 254 prevents the heating module So that the heating module stably contacts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casing.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레일 히팅장치에 있어서, 케이싱의 돌출부(254)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protrusion 254 of the casing in the modular rail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돌출부(354)가 형성된다는 점이 동일하나,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부(354)는 어느 일 지점으로부터 끝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점 감소하도록 형성된 경사면(355)이 형성된다는 점이 다르다.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7, the protrusion 354 is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however, the protrusion 354 moves from one point to the other end And the inclined surface 355 is formed so as to be gradually reduced in height.

이와 같이 상기 돌출부(354)에 경사면(355)이 형성됨으로 인해, 히팅모듈을 수용공간에 인입 시 보다 용이하게 삽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Since the inclined surface 355 is formed in the projecting portion 354, the heating module can be inserted more easily when the heating module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레일 히팅장치에 있어서, 히팅모듈(100)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eating module 100 in a modular rail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히팅모듈(100)은 히팅부재(230)와, 하부하우징(120)과, 상부하우징(110)을 포함한다.8, the heating module 100 includes a heating member 230, a lower housing 120, and an upper housing 110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다만, 상기 히팅부재(230)는 유연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히팅부재(230)는 상기 상부하우징(110) 및 상기 하부하우징(120) 사이에 형성된 수용홈(122)의 개구부(122a)를 통해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용홈(122)은 상기 상부하우징(110) 및 상기 하부하우징(120)의 내부에서 상기 개구부(122a)로부터 연결된 복수의 직선구간과, 상기 복수의 직선구간을 연결하는 만곡구간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직선구간과 상기 만곡구간은 연속된 라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히팅부재(230)는 상기 수용홈(122)의 개구부를 통해 인입할 경우 끝단이 상기 만곡구간의 곡선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수용홈(122)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형되어 상기 수용홈 내에 채워지게 된다.
또한 상기 히팅부재(230)는 상기 수용홈(122)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인출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heating member 230 is formed to have flexibility so that the heating member 230 can be separated from the opening 122a of the receiving groove 122 formed between the upper housing 110 and the lower housing 120 And the like.
Here, the receiving groove 122 includes a plurality of linear sections connected from the opening 122a in the upper housing 110 and the lower housing 120, and a curved section connecting the plurality of linear sections .
Accordingly, the linear section and the curved section are formed in a continuous line shape. When the heating member 230 is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of the receiving groove 122, the end portion is slid along the curve of the curved section, And is deformed into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receiving groove 122 to be filled in the receiving groove.
In addition, the heating member 230 can be drawn out through the opening when the heating member 230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groove 122.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상부하우징(110) 및 하부하우징(120)을 분리하지 않고도 상기 히팅부재(230)를 교체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유지 보수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at is,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heating member 230 can be replaced without separating the upper housing 110 and the lower housing 120, so that maintenance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obvious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0: 히팅모듈 110: 상부하우징
120: 하부하우징 122: 수용홈
130: 히팅부재 140: 전원공급모듈
150: 케이싱 152: 수용공간
100: heating module 110: upper housing
120: lower housing 122: receiving groove
130: Heating member 140: Power supply module
150: casing 152: accommodation space

Claims (6)

레일의 하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적어도 일측이 개구된 수용공간이 형성된 케이싱; 및
상기 수용공간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 및 상기 레일의 인접영역에 열을 전달시키는 히팅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히팅모듈은,
히팅부재;
상기 히팅부재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하부하우징; 및
상기 하부하우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하우징과 결합되고, 상기 수용홈을 차폐하는 상부하우징;
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홈은 상기 상부하우징 및 상기 하부하우징의 일측으로 개구된 개구부와, 상기 상부하우징 및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개구부로부터 연결된 복수의 직선구간과, 상기 복수의 직선구간을 연결하는 만곡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직선구간과 상기 만곡구간은 연속된 라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히팅부재는,
유연성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형되도록 상기 수용홈의 개구부를 통해 인입할 경우 끝단이 상기 만곡구간의 곡선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수용홈 내에 채워지고,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인출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은,
상기 히팅모듈의 인입 및 인출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히팅모듈이 상기 수용공간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히팅모듈을 압박하도록 하여 상기 히팅모듈이 상기 케이싱의 내측 상면에 접촉되도록 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레일 히팅장치.
A casing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ail and having a receiving space in which at least one side is opened; And
A heating module which is formed to be able to be drawn in and out of the accommodating space and transfers heat to an adjacent region of the rail and the rail while being drawn into the accommodating space;
/ RTI >
The heating module includes:
A heating member;
A lower housing having a receiving groove in which the heating member is received; And
An upper housing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housing and coupled to the lower housing, for shielding the receiving groove;
/ RTI >
Wherein the receiving groove includes an opening portion opened to one side of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a plurality of straight line sections connected to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from the opening portion, and a curved section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traight line sections Wherein the linear section and the curved section are formed in a continuous line shape,
The heating member
And the end is slid along the curve of the curved section to be filled in the receiving groove when the receiving groove is pulled through the opening of the receiving groove so as to be deformed into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receiving groove,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be drawn out through the opening,
The casing includes:
And a protrusion formed along the pull-in and pull-out direction of the heating module and adapted to press the heating module while the heating module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so that the heating module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casing, Heat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모듈은 상기 수용공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레일 히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ting module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accommodation spa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재는 좌우가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레일 히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ting member is formed in a symmetrical shape in left and right.
삭제delete
KR1020140194879A 2014-12-31 2014-12-31 Module Type Rail Heating Apparatus KR1016411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879A KR101641103B1 (en) 2014-12-31 2014-12-31 Module Type Rail H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879A KR101641103B1 (en) 2014-12-31 2014-12-31 Module Type Rail Hea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286A KR20160081286A (en) 2016-07-08
KR101641103B1 true KR101641103B1 (en) 2016-07-27

Family

ID=56503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4879A KR101641103B1 (en) 2014-12-31 2014-12-31 Module Type Rail Hea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110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54967A (en) * 2019-01-29 2019-04-02 中国铁路沈阳局集团有限公司科学技术研究所 A kind of electric heating melting snow on turnout junction device installation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1003A (en) * 2000-07-07 2002-01-23 East Japan Railway Co Heating apparatus for floor board
JP2002309535A (en) * 2001-04-11 2002-10-23 Sekisui Chem Co Ltd Snow-melting heater device for sleeper
JP4188521B2 (en) * 1999-11-05 2008-11-26 株式会社新陽社 Induction heating type snow melting equipment
JP2008308893A (en) * 2007-06-15 2008-12-25 East Japan Railway Co Snow melting and freeze proofing device for turnou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446Y1 (en) 2003-09-29 2004-02-18 주식회사 태정전척 Railroad directional coupler heater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88521B2 (en) * 1999-11-05 2008-11-26 株式会社新陽社 Induction heating type snow melting equipment
JP2002021003A (en) * 2000-07-07 2002-01-23 East Japan Railway Co Heating apparatus for floor board
JP2002309535A (en) * 2001-04-11 2002-10-23 Sekisui Chem Co Ltd Snow-melting heater device for sleeper
JP2008308893A (en) * 2007-06-15 2008-12-25 East Japan Railway Co Snow melting and freeze proofing device for turnou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286A (en) 2016-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12144260A (en) FLOOR PANEL BLOCK
CN101460023A (en) Sliding mechanism
MX2015014362A (en) Joint assembly for a busduct.
TW200714121A (en) Drum heater systems and methods
BR112016020466B1 (en) DIELECTRIC PHASE SWITCH
KR101641103B1 (en) Module Type Rail Heating Apparatus
RU2015113431A (en) ELECTRICAL BOARD POSITIONING DEVICE FOR ELECTRIC BOARDS, ELECTRIC BOARDS CONTAINING ONE SUCH DEVICE AND METHOD FOR INSTALLING THIS DEVICE
CN103277958A (en) Refrigerator and water pan component thereof
MX2021002432A (en) Refrigerator.
KR101636792B1 (en) Joint device of a power rail
CN102695394A (en) Latch and extractor for electronic module
CN102494501A (en) Bottle holder and refrigerator provided with same
KR102272604B1 (en) Bus bar structure of distribution panel
CN103378426A (en) Carrier rail adapter
CN104795669A (en) Socket with push-off panel
CN203615479U (en) Oil heater and oil heater radiating fin assembly
CN103528305A (en) Refrigerator
CN204615046U (en) A kind of panel can push type socket
ITMI20072056A1 (en) ELECTRICAL EQUIPMENT, IN PARTICULAR FOR CIVIL SERIES
CN202917350U (en) Interlocking device in switch cabinet
KR102149578B1 (en) Assembly for cooling cell tabs
KR101792060B1 (en) terminal contact structure for withdrawable circuit breaker
KR102031617B1 (en) Plug-in systems, and devices including plug-in systems
CN202601677U (en) Junction box
CN205066308U (en) Refrigerator drawer guideway system and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