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1037B1 - 내충격 및 내열 특성을 갖는 식품포장용 cpp필름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식품포장용 cpp필름 - Google Patents

내충격 및 내열 특성을 갖는 식품포장용 cpp필름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식품포장용 cpp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1037B1
KR101641037B1 KR1020160021078A KR20160021078A KR101641037B1 KR 101641037 B1 KR101641037 B1 KR 101641037B1 KR 1020160021078 A KR1020160021078 A KR 1020160021078A KR 20160021078 A KR20160021078 A KR 20160021078A KR 101641037 B1 KR101641037 B1 KR 101641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film
cpp film
cpp
food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1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익
송세광
이주용
Original Assignee
주) 화인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화인케미칼 filed Critical 주) 화인케미칼
Priority to KR1020160021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10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29C47/0021
    • B29C47/04
    • B29C47/14
    • B29C47/145
    • B29C47/9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1/00After-treatment of articles without altering their shape; Apparatus therefor
    • B29C71/02Thermal 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1/00Details of blanks
    • B65D2301/20Details of blanks made of plast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무를 18~22중량% 함유하는 기본수지와 고무를 68~72중량% 함유하는 탄성 기본수지를 용융혼합시키고 압출하는 과정으로 식품포장용 CPP필름(이하, 'CPP필름'으로 지칭함)을 제조함으로써, 내충격 및 내열 특성을 갖는 CPP필름을 제조하여 열에 취약한 PE소재의 필름과 저온 충격에 약한 PP소재의 필름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내충격 및 내열 특성을 갖는 식품포장용 CPP필름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식품포장용 CPP필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충격 및 내열 특성을 갖는 식품포장용 CPP필름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식품포장용 CPP필름{METHOD FOR MANUFACTURING CPP FILM WITH A SHOCK- RESISTING AND HEAT-RESISTING, AND THE CPP FILM MANUDACTURED BY THE METHOD}
본 발명은 고무를 18~22중량% 함유하는 기본수지와 고무를 68~72중량% 함유하는 탄성 기본수지를 용융혼합시키고 압출하는 과정으로 식품포장용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ast Polypropylene) 필름(이하, 'CPP필름'으로 지칭함)을 제조함으로써, 내충격 및 내열 특성을 갖는 CPP필름을 제조하여 열에 취약한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소재의 필름과 저온 충격에 약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소재의 필름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내충격 및 내열 특성을 갖는 식품포장용 CPP필름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식품포장용 CPP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을 포장하기 위한 필름은, 용출되는 불순물이 없어서 위생적이어야 하고, 식품이 포장된 상태에서 장기간 변질이 되지 않도록 수분이나 공기를 완전히 차단해야 하며, 공정 및 물류 과정에서 필름 손상에 의한 터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열접착강도와 내충격 특성이 우수해야 한다.
여기서 식품을 포장하기 위한 필름 중 하나인 CPP필름은 압출기 내에서 폴리올레핀(Polyolefin, 이하 'PO'로 지칭)을 용융시켜 T-Dies 장비에서 박막 형태로 토출시켜 필름으로 가공한다.
일반적으로 식품포장용으로 사용되는 식품포장용 필름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이하 'PP'로 지칭)을 주 원료로 하는 CPP 필름과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이하 'PE'로 지칭)을 주 원료로 하는 블로운 방식 PE필름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친환경소재로 잘 알려진 PP나 PE소재를 적용하여 위생적이고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식품을 포장하는 식품포장용 필름은 식품을 보관해야 하기 때문에 저온 충격 특성이 요구되는 식품포장용(냉장 및/또는 냉동)에는 PE 소재가 적용된 필름이 많이 사용되며, 강도가 높은 특성이나 내열 특성이 요구되는 식품포장용에는 PP 소재가 적용된 필름이 많이 사용된다.
이는 PE 소재는 융점이 110~130℃로 낮고 유리전이 온도가 -110℃로 낮기 때문이며, PP 소재는 융점이 160℃로 높고 유리전이 온도가 0~-5℃로 높기 때문이다.
즉, PE 소재는 열에 약하다는 단점이 있고, PP 소재는 저온충격특성이 열세로 작용되어 모든 식품을 안전하게 장기간 보관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만약, 음식 내용물을 부패 없이 장기간 보관하기 위해서는 고온에서 살균 공정을 거쳐야 하는데 살균 시 PE 소재는 내열성이 열세로 작용하여 변형될 수 있고, PP 소재는 저온충격에 약해 냉장 및/또는 냉동 보관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어느 것으로 제조된 필름이던지 모든 음식에 적용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에 본 출원인은 저온 충격이 우수하고 내열 특성도 우수한 필름을 개발하는 경우 상기한 PE 소재 및 PP 소재로 제조된 필름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때 본 출원인은 종래의 PP 수지에 고무 성분을 물리적 및 기계적 방법으로 복합시켜 고무를 함침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봤으나, 이는 PP 수지와 고무의 점도와 융점 차이 때문에 PP 수지에 고무 성분을 골고루 분산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필름 가공성도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또한, PP 수지와 고무를 복합한 제품의 경우 공정과정에서 열을 한 번 더 받기 때문에 열화현상이 발생될 수 있고, 고무 분산의 정확도가 저하되어 국부적인 Weak Point가 발생할 수 있어서 식품포장용으로의 사용은 항구적인 안정성 발현이 어렵고, 점도 차이로 인한 유동 특성 차이로 필름 성형 조건 최적화가 불가능하며, 고무 성분의 분포도가 일정하지 않아서 내열성과 충격강도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없었다.
이때 혼합의 방법에는 건조혼합 및 용융혼합 방법이 있는데, 용융혼합의 경우 필름 가공 장비의 능력, 혼합기술, 기술자의 장비 운용 능력 및 기술자의 혼합 전문성이 뒷받침되어야 가능하기 때문에 종래의 기술이 용융혼합을 적용하는 데에는 상당한 곤란함이 있었다.
한편, 식품포장용 필름에 관련하여 등록특허공보 제10-1488161호에는 신규 레토르트 식품포장용 내열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식품포장용 필름이 기재되어 있다.
이 기술은, (A)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B) 노르보르넨계 환형폴리올레핀 5 내지 40 중량부 및 (C)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에틸렌-부텐-1 고무 및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 엘라스토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폴리올레핀계 고무 또는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0.5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한 신규 레토르트 식품포장용 조성물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위에 기재된 기술은 식품포장용 필름에 대한 내열성을 기재하고 있을 뿐, 저온충격에 대한 기재가 없다.
즉, 위에 기재된 기술 역시 내열성 및 내충격을 모두 만족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모든 음식에 적용이 불가능하다 하겠다.
등록특허공보 제10-1488161호(2015.02.04.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고무를 18~22중량% 함유하는 기본수지와 고무를 68~72중량% 함유하는 탄성 기본수지를 용융혼합시키고 압출하는 과정으로 식품포장용 CPP필름(이하, 'CPP필름'으로 지칭함)을 제조함으로써, 내충격 및 내열 특성을 갖는 CPP필름을 제조하여 열에 취약한 PE소재의 필름과 저온 충격에 약한 PP소재의 필름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내충격 및 내열 특성을 갖는 식품포장용 CPP필름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식품포장용 CPP필름을 제공하는데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내충격 및 내열 특성을 갖는 식품포장용 CPP필름 제조방법은, PP수지와 고무를 반응기에 반응시켜 상기 고무가 18~22중량% 함유된 PP수지 기반의 기본수지를 제조하는 단계; PP수지와 고무를 반응기에 반응시켜 상기 고무가 68~72중량% 함유된 PP수지 기반의 탄성수지를 제조하는 단계; 제조된 기본수지 및 탄성수지를 혼합하여 혼합소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소재를 T-Dies 다층 압출기를 통해 압출시켜 CPP필름을 제조하는 단계;의 순서로 이루어지되,
상기 혼합소재는 복수 개 제조되어 압출-합지-레토르트되며, 각각의 혼합소재는 상기 고무가 상기 함유량의 범위 내에서 각각 다르게 함유되어 제조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충격 및 내열 특성을 갖는 식품포장용 CPP필름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식품포장용 CPP필름은, 열에 취약한 PE소재와 저온 충격에 약한 PP소재의 단점을 극복함으로써, 냉장 및 냉동 보관이 가능하고 뜨거운 음식을 포장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충격 및 내열 특성을 갖는 식품포장용 CPP필름 제조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충격 및 내열 특성을 갖는 식품포장용 CPP필름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CPP필름의 단면을 촬영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충격 및 내열 특성을 갖는 식품포장용 CPP필름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CPP필름의 층에 대한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고무를 18~22중량% 함유하는 기본수지와 고무를 68~72중량% 함유하는 탄성 기본수지를 용융혼합시키고 압출하는 과정으로 식품포장용 CPP필름(이하, 'CPP필름'으로 지칭함)을 제조함으로써, 내충격 및 내열 특성을 갖는 CPP필름을 제조하여 열에 취약한 PE소재의 필름과 저온 충격에 약한 PP소재의 필름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내충격 및 내열 특성을 갖는 식품포장용 CPP필름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식품포장용 CPP필름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CPP필름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의 도 1을 통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충격 및 내열 특성을 갖는 식품포장용 CPP필름 제조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1. CPP필름 제조방법
(1) 기본수지 제조단계
기본수지 제조단계는, PP수지와 고무(Internal rubber, 이하 동일함)를 반응기를 통해 반응시켜 상기 고무가 18~22중량% 함유된 PP수지 기반의 기본수지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2) 탄성수지 제조단계
탄성수지 제조단계는, PP수지와 고무를 반응기를 통해 반응시켜 상기 고무가 68~72중량% 함유된 PP수지 기반의 탄성수지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때 탄성수지의 지칭은, 기본수지와의 혼동을 방지하기 위함과 더불어 고무 성분이 더 많이 함유됨으로써 탄성력을 갖게 되어 지칭된 것이다.
이때 기본수지와 탄성수지의 고무 함유량을 다르게 하는 기술적 의의는, 내열성과 충격강도를 동시에 만족하기 위한 최적의 제조방법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즉, 고무 성분이 많으면 충격강도가 우수한 대신 내열성이 저하되고, 고무 성분이 적으면 내열성은 우수한 대신 충격강도가 저하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기본수지 제조단계 및 탄성수지 제조단계에서 사용되는 PP수지는 그 밀도가 0.80~0.99g/cm3가 되도록 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경량화를 위해 밀도가 0.89~0.90g/cm3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PP수지는 융점이 160℃이고, 용융지수(230℃, 2.16kg)가 3.0~8.0g/10분인 것을 사용한다.
또한, 상술된 기본수지 제조단계 및 탄성수지 제조단계는 시계열적인 순서에 제한이 없으며, 어느 하나가 먼저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가 후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3) 혼합단계
혼합단계는, 기본수지와 탄성수지가 제조된 뒤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조된 기본수지와 탄성수지를 혼합하여 혼합소재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때 혼합은 기본수지 90중량%와 탄성수지 10중량%가 혼합될 수 있다. 즉, 기본수지와 탄성수지가 9:1의 비율로 혼합된다.
이상의 기본수지 제조단계-탄성수지 제조단계-혼합단계는, 3회 반복됨으로써 3개의 혼합소재를 제조할 수 있는데, 이때 각각의 혼합소재에 함유된 고무 함량은 다를 수 있는데, 이는 아래에서 설명한다.
CPP필름은, 총 3개 층을 압출시켜 제조되는데 각각의 층은 코로나(corona)층, 코어(core)층 및 실란트(sealant)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로나(corona)층, 코어(core)층 및 실란트(sealant)층 순서로 하부방향으로 형성된다(도 3 참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충격 및 내열 특성을 갖는 식품포장용 CPP필름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CPP필름의 층에 대한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실란트(sealant)층은 CPP필름이 식품포장용으로 사용된 경우 식품방향에 위치하기 때문에 열 접착 강도가 중요하고 이에 따라 3개의 층 중에서 고무함량이 가장 낮아야 한다.
그리고 코어(core)층은 CPP필름에 인가되는 충격을 견딜 수 있도록 하는 충격강도와 오렌지 필 현상을 잡아줄 수 있어야 하므로 3개의 층 중에서 고무함량이 가장 높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코로나(corona)층은 CPP필름이 식품포장용으로 사용된 경우 외관변화를 방지하기 위해 외부 충격, 경시변화 및 합지특성을 고려하여야 하므로 상기 실란트(sealant)층보다 고무함량이 많고 코어(core)층보다 고무함량이 적어야 한다.
정리하면, 실란트(sealant)층 < 코로나(corona)층 < 코어(core)층 순서로 고무함량이 많아지되, 기본수지의 경우 18~22중량%의 범위 내에서 고무성분이 함유되고, 탄성수지의 경우 68~72중량% 범위 내에서 고무성분이 함유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각 층으로 사용된 혼합소재를 혼합단계를 통해 각각 제조하는 것이다.
여기서 오렌지 필 현상이란, CPP필름에 나일론필름, 알루미늄 박막 필름, PET필름을 합지한 뒤에 식품을 충진하고 고온(125 ~ 130℃)에서 30분간 레토르트 하는 경우 나타나는 오렌지 껍질 형상의 요철 현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오렌지 필 현상은, 포장용기 내의 식품 속에 있는 유지성분이 휘발되면서 표면으로 밀고 나옴으로써 발생되는데, 이는 필름 내에 있는 고무 성분들이 골고루 분포되어 유지성분을 막아주면 오렌지 필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CPP필름에서의 고무 성분의 분포도는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하겠다.
(4) 압출단계
압출단계는, 제조된 3개의 혼합소재를 압출시켜 합지함으로써 CPP필름을 최종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압출은 T-dies 다층 압출기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압출조건은 압출기의 가공온도 180~250℃, 냉각 롤 온도 20℃(PP수지의 유리전이 온도를 감안하여 설정된 온도), 압출량 900kg/hr 및 필름두께 100㎛이고, 압출스크류가 L/D 33(스크류의 길이):1(스크류의 외경)이어야 한다.
그리고 압출하여 합지한 뒤, 레토르트(retort)를 통해 합지된 CPP필름에 130℃의 열을 20~28분(바람직하게는 25분) 동안 가하는 가공을 수행한다.
또한 압출단계에서는, 각각의 3개 혼합소재를 압출시키는 각각의 압출스크류 간격이 동일하도록 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베타선(β-ray)를 조사하여 압출스크류의 간격이 동일하게 되도록 조절한다.
아울러 클리닝롤을 포함하여 압출 및 합지되는 CPP필름 표면에 이물질의 혼입이 방지되도록 한다.
참조예 1. 제조된 CPP필름의 특성
상술된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CPP필름의 특성은 아래 [표 1]을 참조한다.
항목 측정방법 단위 CPP필름
두께 ASTM D2103 100
인장강도

ASTM D638
kgf/cm2 MD 2.5/7.8
(항복/파단) mm Strain 350
kgf/cm2 TD 2.5/6.2
strain(mm) mm Strain 285
신율 ASTM D638 %
MD 700% 이상
파단 TD 700% 이상
열접착강도 STC 방법 kg/25mm at ℃ 200 3.3/3.1



충격강도



STC 방법
필름 냉동후 충격 (-6℃) 깨지지 않음

물 충진 백 냉장(1℃) 후 1.5m 높이에서 낙하
(3개 실험, 10회 낙하)
깨지지 않음
(10회)
깨지지 않음
(10회)
깨지지 않음
(10회)
또한, [표 1]에 따른 특성을 갖는 CPP필름의 MD 방향 단면을 SEM을 이용하여 고무의 형태학적 분포도(rubber morphology)을 촬영하였으며, 그 결과 고무가 일정방향으로 분산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첨부된 도면의 도 1 참조).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충격 및 내열 특성을 갖는 식품포장용 CPP필름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CPP필름의 단면을 촬영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실험예 1. CPP필름의 특성비교실험
(1-1) 실험시료
실험시료는 대조군 1, 대조군 2, 실시예 1, 대조군 3 및 대조군 4로 한다. 각각의 정의는 아래와 같다.
대조군 1 : 고무 함량 21~25중량% 기본수지와 고무 함량 68~72중량% 탄성수지를 9:1 비율로 혼합한 것
대조군 2 : 고무 함량 21~25중량% 기본수지와 고무 함량 68~72중량% 탄성수지를 8:2 비율로 혼합한 것
실시예 1 : 고무 함량 18~22중량% 기본수지와 고무 함량 68~72중량% 탄성수지를 9:1 비율로 혼합한 것
대조군 3 : 고무 함량 18~22중량% 기본수지만 사용
대조군 4 : 해외 경쟁사 제품
(1-2) 실험방법
실험방법은 필름의 특성을 실험할 수 있는 통상의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구체적으로는 [표 2]를 참조한다.
(1-3) 실험결과
실험결과는 아래 [표 2]를 참조한다.
항목 측정방법 단위
대조군 1 대조군 2 실시예 1 대조군 3 대조군 4
두께 ASTM D2013
100 100 100 100 100
인장강도
(항복/파
단)

Strain
(mm)


ASTM
D638
kgf/cm2 MD 2.2/6.5 2.3/7.6 2.3/7.8 2.7/8.0 3.3/8.2
mm Strain 350 320 340 320 290
kgf/cm2 TD 2.0/5.5 2.2/6.3 2.2/5.6 2.2/3.7 3.3/8.1
mm Strain 290 275 280 250 290
신율
(파단)
ASTM
D638
% MD 모든 시료에서 700% 이상으로 나타남
TD
열접착
강도
STC방법 kg/25mm at ℃ 200 3.0/3.0 2.5/2.0 3.4/3.1 2.8/2.7 3.0/2.5



충격강도



STC방법
필름냉동(-6℃) 모든 시료에서 깨지지 않음

물냉장 낙하(1℃)
6회
깨짐
씰링
안됨
10회
안깨짐
2회
깨짐
10회
안깨짐
10회
안깨짐
씰링
안됨
10회
안깨짐
8회
깨짐
10회
안깨짐
6회
깨짐
10회
안깨짐
10회
안깨짐
8회
깨짐
10회
안깨짐
Loop Stiffness
STC방법

mN/25mm
MD 22.2 21.9 24.2 87 89
TD 74 78
위 [표 2]에서 볼 수 있듯이, 대조군 3의 경우 Strain(압력) 값이 열세여서 충격강도가 떨어지고 변형이 쉽게 일어난 반면, 대조군 1 및 2의 경우 혼합비율에 관계 없이 열접착강도가 저하되고 충격강도가 열세로 나타났다.
반면, 실시예 1의 경우 Strain 값이 우수하고 열접착강도 역시 우수하여 충격강도도 매우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Loop Stiffness 측면에서도 대조군 4 만큼 부드러워서 충격강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같은 조건에서 물을 충진하여 냉장고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1.5m 높이에서 자유낙하 충격강도 실험 결과 10회 동안 1개도 파손되지 않을 정도로 저온충격 특성이 개선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레토르트 전/후에 따른 열접착강도 측정 실험
(2-1) 실험시료
실험시료는 실험결과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인 실시예 1 및 대조군 4와 가장 안좋은 결과를 보인 대조군 3을 사용하였으며, 실험예 1의 실험결과와 무관하게 재실험하였다.
(2-2) 실험방법
실험방법은 실험예 1과 중복되는 부분은 동일하게 실험하고 레토르트 전/후에 따른 열접착강도는 통상의 방법을 사용하며, 구체적으로는 아래 [표 3]을 참조한다.
(2-3) 실험결과
실험결과는 아래의 [표 3]을 참조한다.
항목 측정방법 단위 실시예 1 대조군 3 대조군 4
두께 ASTM
D2013

100 100 100
인장강도
(항복/파단)

Strain
ASTM
D638
kgf/cm2

mm
MD 2.5/7.8 2.8/8.2 3.3/8.2
Strain 350 320 290
TD 2.5/6.2 2.2/3.7 3.3/8.1
Strain 285 250 290
신율
(파단)
ASTM
D638
%
MD 모든 시료에서 500% 이상으로 나타남
TD


열접착강도
(필름상태)


화인 방법
kg/25mm at ℃

오렌지 필 현상
필름 3.3/3.1 2.8/2.7 3.0/2.5
Retort 전 8.3 6.3 6.6
Retort 후 7.9 5.7 9.5
두유 양호 양호 양호
참치 양호 불량 양호
카레 양호 불량 양호




충격강도




STC 방법
필름 냉동 후 충격
(-6℃)
필름 상태에서 충격을 가한 모든 시료에서 깨지지 않음
물 충진하여 냉장(1℃) 후 1.5m 높이에서 낙하 10회
안깨짐
4회
깨짐
10회
안깨짐
10회
안깨짐
7회
깨짐
10회
안깨짐
10회
안깨짐
7회
깨짐
10회
안깨짐
위의 [표 3]에서 볼 수 있듯이, 필름 상태에서 냉동상태로 24시간방치 후 충격을 가한 결과 모든 시료가 깨지지 않았으나, 물을 충진한 포장용기를 1℃의 온도에서 24시간 방치 후 1.5m 높이에서 자유 낙하시킨 결과 실시예 1 및 대조군 4의 경우 10회 반복 실험하는 동안 깨지지 않았으나, 대조군 3의 경우 모두 깨지는 것으로 확인됨.
또한 레토르트(Retort) 전/후의 차이는 대조군 4 < 실시예 1 < 대조군 3의 순서로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한 정도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오렌지 필 현상에서 실시예 1의 경우 두유, 참치 및 카레 포장에서 모두 매우 양호하게 나타났으나, 대조군 3의 경우 참치 및 카레 포장에서 불량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양호와 불량의 기준은, 오렌지 필 현상이 발생되었는지 안되었는지에 따라 발생되면 불량, 발생되지 않으면 양호로 평가했다. 즉, 실시예 1의 경우 두유, 참치 및 카레 포장에서 오렌지 필 현상이 전혀 발생되지 않아 매우 양호한 것으로 판단했다.

Claims (7)

  1. PP수지와 고무를 반응기에 반응시켜 상기 고무가 18~22중량% 함유된 PP수지 기반의 기본수지를 제조하는 단계;
    PP수지와 고무를 반응기에 반응시켜 상기 고무가 68~72중량% 함유된 PP수지 기반의 탄성수지를 제조하는 단계;
    제조된 기본수지 및 탄성수지를 9:1의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소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소재를 T-Dies 다층 압출기를 통해 압출시켜 CPP필름을 제조하는 단계;의 순서로 이루어지되,
    상기 혼합소재는,
    복수 개 제조되어 압출-합지-레토르트되며, 각각의 혼합소재는 상기 고무가 상기 함유량의 범위 내에서 각각 다르게 함유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 및 내열 특성을 갖는 식품포장용 CPP필름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PP수지는,
    0.89~0.90g/cm2의 밀도를 갖고, 융점이 160℃이며, 온도 230℃ 및 PP수지 무게 2.16kg 기준으로 용융지수가 3.0~8.0g/10분인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 및 내열 특성을 갖는 식품포장용 CPP필름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본수지 및 탄성수지는,
    혼합됨으로써, 기본수지만 사용했을 때보다 저온 충격강도가 증가하고, 열접착강도가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 및 내열 특성을 갖는 식품포장용 CPP필름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토르트는,
    합지된 복수 개의 CPP필름에 130℃의 열을 20~28분 동안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 및 내열 특성을 갖는 식품포장용 CPP필름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출는,
    압출스크류 L/D 33:1, 압출량 900kg/hr, 가공온도 180~250℃ 및 냉각 롤 온도 20℃의 조건을 만족하는 압출기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 및 내열 특성을 갖는 식품포장용 CPP필름 제조방법.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식품포장용 CPP필름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식품포장용 CPP필름.
  7. 두유, 참치 또는 카레 중 어느 하나의 제품을 포장하는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기는 청구항 6에 기재된 식품포장용 CPP필름을 적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KR1020160021078A 2016-02-23 2016-02-23 내충격 및 내열 특성을 갖는 식품포장용 cpp필름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식품포장용 cpp필름 KR101641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078A KR101641037B1 (ko) 2016-02-23 2016-02-23 내충격 및 내열 특성을 갖는 식품포장용 cpp필름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식품포장용 cpp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078A KR101641037B1 (ko) 2016-02-23 2016-02-23 내충격 및 내열 특성을 갖는 식품포장용 cpp필름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식품포장용 cpp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1037B1 true KR101641037B1 (ko) 2016-07-19

Family

ID=56616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1078A KR101641037B1 (ko) 2016-02-23 2016-02-23 내충격 및 내열 특성을 갖는 식품포장용 cpp필름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식품포장용 cpp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10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2963A (ko) * 2020-11-09 2022-05-17 주식회사 미르앤씨 비-pvc 다층 필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6527A (ja) * 1996-12-05 1998-06-23 Toyobo Co Ltd ポリプロピレン系積層無延伸フィルム
JP2001059028A (ja) * 1999-06-16 2001-03-06 Showa Denko Plastic Products Kk プロピレン系樹脂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88161B1 (ko) 2013-05-10 2015-02-04 한국식품연구원 신규 레토르트 식품 포장용 내열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식품포장용 필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6527A (ja) * 1996-12-05 1998-06-23 Toyobo Co Ltd ポリプロピレン系積層無延伸フィルム
JP2001059028A (ja) * 1999-06-16 2001-03-06 Showa Denko Plastic Products Kk プロピレン系樹脂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88161B1 (ko) 2013-05-10 2015-02-04 한국식품연구원 신규 레토르트 식품 포장용 내열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식품포장용 필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2963A (ko) * 2020-11-09 2022-05-17 주식회사 미르앤씨 비-pvc 다층 필름
KR102434725B1 (ko) * 2020-11-09 2022-08-22 주식회사 미르앤씨 비-pvc 다층 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02726B2 (ja) 二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系フィルム及び包装用袋
US20030055191A1 (en) Sealing resin composition sealing films and use thereof
CN103331973A (zh) 耐低温抗冲型流延聚丙烯耐蒸煮薄膜
KR102532043B1 (ko) 드로잉 성형용 폴리프로필렌계 실란트 필름
JP2022153391A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フィルム
US20170282514A1 (en) Easy peel sealant film
EP3812152A1 (en) Polypropylene-based multilayer film
KR101269769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
CN105026281A (zh) 保鲜膜
EP4046796A1 (en) High-stiff oriented polyethylene film for sustainable packaging
CN104311959A (zh) 一种聚乙烯食品塑料袋及其加工工艺
KR20200077666A (ko) 식품 포장용 필름
CN102717571A (zh) 可微波加热复合包装膜及其制备方法
KR101641037B1 (ko) 내충격 및 내열 특성을 갖는 식품포장용 cpp필름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식품포장용 cpp필름
EP3186078B1 (en) Coextruded multilayer film with filler in transport layer
US20230415465A1 (en) Polyolefin resin film and multilayer body using same
TW202222587A (zh) 聚烯烴系樹脂膜、以及使用有聚烯烴系樹脂膜的積層體、包裝體
JP4802693B2 (ja) 包装用フィルム及び包装体
US11427390B2 (en) Fruit and vegetable anti-fog packaging bag
KR100716575B1 (ko)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수지로 제조되는 투명 다층용기
KR101962536B1 (ko) 스킨 포장용 다층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590937B1 (ko) 열접착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CN112888563B (zh) 用于热封的双轴定向聚丙烯膜
KR100845504B1 (ko) 열밀봉성 필름 및 그 용도
KR101737444B1 (ko) 저가 진공포장용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