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0866B1 - 천장부착형 복사난방 히터 - Google Patents

천장부착형 복사난방 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0866B1
KR101640866B1 KR1020150050169A KR20150050169A KR101640866B1 KR 101640866 B1 KR101640866 B1 KR 101640866B1 KR 1020150050169 A KR1020150050169 A KR 1020150050169A KR 20150050169 A KR20150050169 A KR 20150050169A KR 101640866 B1 KR101640866 B1 KR 101640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ceiling
flange portion
bracket
heat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0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병철
Original Assignee
(주)썬레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썬레이텍 filed Critical (주)썬레이텍
Priority to KR1020150050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08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0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 F24D13/02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 F24D13/024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in walls, floors, ceil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에 부착되는 천장부착형 히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열을 발산하는 히터, 상기 히터를 고정시키며, 상기 히터로부터 열을 전도받아 실내로 방출하는 히터 플레이트, 상기 히터 플레이트가 장착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를 천장에 고정시키는 패널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 케이스는, 상기 바디부의 측면 및 상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그 테두리에는 외측으로 수평연장된 제1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의 끝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된 후 내측으로 수평절곡 형성된 제2플랜지부가 형성된 천장부착형 복사난방 히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천장부착형 복사난방 히터{Radiation Heater Mounting on Ceiling}
본 발명은 히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에 부착되는 천장부착형 복사난방 히터에 관한 것이다.
겨울철 등의 동계에 실내공간의 난방을 위하여 다양한 난방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들어 설치가 간편하며, 난방장치가 설치되는 실내공간의 환기가 필요없어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는 전기를 이용한 난방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기를 이용한 난방장치는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는 전열히터가 구비된 것으로서, 실내 난방이나 개인난방용으로 각광을 받고 잇다.
그러나, 이러한 전기 난방장치 또한 실내의 어느 한 공간에 비치해야 하는 것으로서, 실내가 협소한 곳에서는 사용에 제약이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이러한 난방장치를 벽 또는 천장에 설치하는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그 중 천장에 설치하는 난방장치는 천장에 와이어나 로드로 매다는 형태 또는 천장 마감재에 매립하여 설치하는 형태가 있다.
일반적으로, 천장에 텍스보드등의 마감재를 설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난방장치(20)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 마감재(12)에 매립하여 설치하는 형태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방장치(20)를 천장 마감재(120에 매립하여 설치하다 보니 테두리 부분이 천장면과 일치하지 않고 단차(30)를 이루며 돌출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실내 미감을 크게 해치게 되어 고급스러운 인테리어가 필요한 장소에는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10-1443594호
본 발명은 천장에 설치되면서 천장면과 동일평면을 이룰 수 있어 미감이 향상되는 천장부착형 히터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가 간편하며 열 방사효율이 향상된 천장부착형 히터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열을 발산하는 히터, 상기 히터를 고정시키며, 상기 히터로부터 열을 전도받아 실내로 방출하는 히터 플레이트, 상기 히터 플레이트가 장착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를 천장에 고정시키는 패널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 케이스는, 상기 바디부의 측면 및 상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그 테두리에는 외측으로 수평연장된 제1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의 끝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된 후 내측으로 수평절곡 형성된 제2플랜지부가 형성된 천장부착형 복사난방 히터가 개시된다.
상기 바디부는, 상기 히터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제1브라켓, 상기 제1브라켓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2브라켓, 상기 제2브라켓 상측 및 측면 둘레에 위치되는 단열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플랜지부는, 천장마감재를 지지하는 프레임에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플랜지부의 높이는 천장에 부착되는 천장마감재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히터를 고정하도록 상기 히터 플레이트의 상측면에 형성되는 클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립은 상기 히터의 둘레를 원형으로 감싸도록 형성되며, 테두리 중 일부는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플레이트의 하측면에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천장부착형 복사난방 히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히터의 테두리와 천장면이 동일평면을 이루게 되어 미감이 향상되며, 고급 인테리어가 필요한 장소에 사용될 수 있다.
둘째, 히터와 히터 플레이트가 클립형태로 결합되므로 결합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셋째, 히터 플레이트의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표면적이 늘어나므로 열방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난방장치가 천장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천장부착형 복사난방 히터가 천장에 설치된 예를 저면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천장부착형 히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 단면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부착형 복사난방 히터(100)가 천정(10)에 매립 설치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천장에는 석고등의 재질로 형성된 타일 형태의 단위 패널이 마감재(12)로 사용된다. 이러한 마감재(12)를 천장에 설치하기 위하여, 천장에는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프레임(14) 등이 설치되고, 마감재(12)가 상기 프레임(14)에 나사 등으로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천장부착형 복사난방 히터(100)는 상기 천장 마감재(12)가 설치되는 프레임(14)에 상기 천장 마감재 대신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천장부착형 복사난방 히터(100)가 장착되는 부위는 천장 마감재(12)가 설치되지 않으며, 그에 따라 상기 천장부착형 복사난방 히터(100)는 상기 천장 마감재(12)의 크기의 정수배(예를 들어, 천장 마감재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 또는 두배, 네배의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상기 천장 마감재(12)의 크기와 상관없이 제작될 수 도 있다.
상기 천장부착형 복사난방 히터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110), 히터 플레이트(120), 바디부(130), 패널 케이스(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터(110)는 전기 등의 에너지를 공급받아 열 또는 원적외선을 발산하도록 구비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이러한 히터(110)는 이미 기 공지된 구성요소로서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므로 자세한 생략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히터(110)는 형광등과 같은 얇고 긴 관의 형태를 취하거나 여러 번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히터(110)가 형광등과 유사하게 원형 단면의 얇고 긴 관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히터의 형태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히터 플레이트(120)는 상기 히터(110)를 고정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히터(110)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상기 히터(110)로부터 열을 전도받아 실내로 복사방출하는 구성요소이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130)는 상기 히터(110) 및 히터 플레이트(120), 그리고, 히터(110)를 구동하기 위한 각종 전장부품(미도시)들을 수용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바디부(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터 플레이트(120)가 결합되는 제1브라켓(132), 상기 제1브라켓(132)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2브라켓(134) 및 상기 제2브라켓(134)의 상측 및 측면둘레에 위치되는 단열 브라켓(13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132)은 상기 히터 플레이트(120)와 결합되며, 하측으로 개구되어 히터 플레이트(120)의 하측면이 실내에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134)은 상기 제1브라켓(132)의 상측에 결합되며 박스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 브라켓(136)은 상기 제2브라켓(134)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2브라켓(134)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제1브라켓(132)의 측면 둘레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하측을 향해서는 개구되어 상측 및 측면으로 발산되는 열을 하측으로 반사시켜 천장 내측으로 복사되는 열을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단열 브라켓(136)은 단열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2중 판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측면은 반사되는 열이 하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 케이스(140)는 상기 단열 브라켓(136)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단열 브라켓(136)과 제2브라켓(134), 제1브라켓(132)의 상측 및 측면을 감싸고 하측을 향하여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 케이스(140)의 테두리에는 외측을 향하여 수평연장된 제1플랜지부(142)가 형성되고, 상기 제1플랜지부(142)의 끝단에 제2플랜지부(14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 케이스(140)는 상기 히터 플레이트(120)보다 다소 하측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플랜지부(14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플랜지부(142)의 끝단에서 상측으로 절곡된 후 내측으로 수평방향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플랜지부(144)의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지점에 고정을 위한 체결부재(152)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체결부재(152)는 천장마감재(12)가 결합되는 프레임(14)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152)가 체결되는 지점에 대응되는 제1플랜지부(142)의 지점에는 체결부재(152)의 삽입을 위한 홀이 형성되며, 이 홀에는 체결부재(152)의 체결 후 미관을 위하여 고무마개(154) 등이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플랜지부(144)의 상측으로 절곡 형성된 지점의 길이, 즉 상기 제2플랜지부(144)의 높이(h)는 상기 프레임(14)에 체결되는 천장마감재(12)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패널 케이스(140)의 제1플랜지부(142)는 프레임(14)에 결합된 천장마감재(12)와 동일평면을 이뤄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장마감재(12)의 두께가 제품마다 서로 다를 수 있으므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2플랜지부(144)가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는 지점은 현장에서 선택 또는 조절할 수 있도록 제품 제작단계에서는 상기 제2플랜지부(144)에 절곡이 용이하도록 슬릿 또는 요철이 복수열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설치 현장에서 천장마감재(12)의 두께에 따라 설치자가 슬릿 또는 요철을 중심으로 제2플랜지부(144)를 수평방향으로 절곡하여 상기 제2플랜지부(144)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터 플레이트(120)의 상측면에는 상기 히터(110)를 고정하기 위한 클립(12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클립(122)은 상기 히터(110)의 둘레를 원형으로 감싸도록 형성되며, 히터(110)를 감싼 테두리 중 일부는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히터(110)가 상기 클립(122)의 탄성을 이용하여 클립(122) 내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클립(122)의 재질이 탄성재질이 아닌 경우, 제작할 때는 클립(122)의 양 편이 수직이 되도록 형성한 후에 상기 히터(110)를 위치시킨 후 히터(110)를 감싸도록 클립을 절곡시킬 수도 있다. 또는, 클립(122)이 탄성재질도 아니고 소성변형하기도 어려운 경우에는 클립(122)의 내부에 히터(110)를 수평이동시켜 끼울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히터 플레이트(120)의 하측면에는 요철(12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철(126)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히터 플레이트(120)가 실내를 향하여 열을 방사하는 표면적이 넓어질 수 있어 열전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요철(126)은 대략 삼각형의 형태를 띄게 되는데, 상기 삼각형의 형태는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 측으로 더 경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 플레이트(120)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히터 플레이트(12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형성된 상기 삼각형 형태의 요철(126)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더 경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히터 플레이트(120)의 우측에 형성된 삼각형 형태의 요철(126)은 좌측변보다 우측변이 더 길게 형성되고, 히터 플레이트(120)의 좌측에 형성된 삼각형 형태의 요철(126)은 우측변보다 좌측편이 더 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히터 플레이트(120)의 우측부분은 우측을 향하는 표면적이 더 넓고, 히터 플레이트의 좌측부분은 좌측을 향하는 표면적이 더 넓게 형성될 수 있어 열의 방사가 주변으로 보다 균일하게 퍼지면서 방사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천장 12: 마감재
14: 프레임 100: 천장부착형 히터
110: 히터 120: 히터 플레이트
122: 클립 126: 요철
130: 바디부 132: 제1브라켓
134: 제2브라켓 136: 단열 브라켓
140: 패널 케이스 142: 제1플랜지부
144: 제2플랜지부 152: 체결부재
154: 마개 h: 제2플랜지부의 높이

Claims (7)

  1. 열을 발산하는 히터;
    상기 히터를 고정시키며, 상기 히터로부터 열을 전도받아 실내로 방출하는 히터 플레이트;
    상기 히터 플레이트가 장착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를 천장에 고정시키는 패널 케이스;
    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 케이스는,
    상기 바디부의 측면 및 상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그 테두리에는 외측으로 수평연장된 제1플랜지부 및 상기 제1플랜지부의 끝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된 후 내측 수평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제2플랜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플랜지부가 절곡되는 슬릿 또는 요철이 복수열 이격되어 형성된 천장부착형 복사난방 히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히터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제1브라켓;
    상기 제1브라켓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2브라켓;
    상기 제2브라켓 상측 및 측면 둘레에 위치되는 단열 브라켓;
    을 포함하는 천장부착형 복사난방 히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랜지부는,
    천장마감재를 지지하는 프레임에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천장부착형 복사난방 히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랜지부의 높이는 프레임에 체결되는 천장마감재의 두께와 동일한 천장부착형 복사난방 히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를 고정하도록 상기 히터 플레이트의 상측면에 형성되는 클립을 더 포함하는 천장부착형 복사난방 히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히터의 둘레를 원형으로 감싸도록 형성되며, 테두리 중 일부는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천장부착형 복사난방 히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플레이트의 하측면에는 요철이 형성되는 천장부착형 복사난방 히터.
KR1020150050169A 2015-04-09 2015-04-09 천장부착형 복사난방 히터 KR101640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169A KR101640866B1 (ko) 2015-04-09 2015-04-09 천장부착형 복사난방 히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169A KR101640866B1 (ko) 2015-04-09 2015-04-09 천장부착형 복사난방 히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0866B1 true KR101640866B1 (ko) 2016-07-19

Family

ID=56616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0169A KR101640866B1 (ko) 2015-04-09 2015-04-09 천장부착형 복사난방 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08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929B1 (ko) * 2020-04-27 2020-07-24 (주)썬레이텍 협소한 공간에 설치되는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자동 온도조절 난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난방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7307A (ja) * 1997-03-26 1998-10-09 P & Ii:Kk 天井暖房方法及び天井暖房用ヒータ
KR20040063323A (ko) * 2003-01-07 2004-07-14 주식회사 필룩스 천정매입형 형광등기구
KR100907284B1 (ko) * 2009-02-04 2009-07-13 이경욱 원적외선 난방장치
KR20110040059A (ko) * 2009-10-13 2011-04-20 한 기 김 기능성 난방장치
KR101443594B1 (ko) 2014-02-10 2014-09-24 이병학 조명 겸용 난방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7307A (ja) * 1997-03-26 1998-10-09 P & Ii:Kk 天井暖房方法及び天井暖房用ヒータ
KR20040063323A (ko) * 2003-01-07 2004-07-14 주식회사 필룩스 천정매입형 형광등기구
KR100907284B1 (ko) * 2009-02-04 2009-07-13 이경욱 원적외선 난방장치
KR20110040059A (ko) * 2009-10-13 2011-04-20 한 기 김 기능성 난방장치
KR101443594B1 (ko) 2014-02-10 2014-09-24 이병학 조명 겸용 난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929B1 (ko) * 2020-04-27 2020-07-24 (주)썬레이텍 협소한 공간에 설치되는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자동 온도조절 난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난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4298B2 (en) Bar hanger system for recessed fixtures
US8337041B2 (en) Surface mounted lighting fixture
US20070249183A1 (en) Insert with ventilation
JP6575900B2 (ja) 光源ユニットおよび照明器具
US20160230969A1 (en) Recessed light fixture
ES2704457T5 (es) Dispositivo para instalación en una pared ligera
KR101640866B1 (ko) 천장부착형 복사난방 히터
KR20160100062A (ko) 조명장치
US5887119A (en) Ceiling mounted electrical heater with flexible mounting structure
JP5886013B2 (ja) 放射パネルの設置方法
KR101841075B1 (ko)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
FI129148B (en) Procedure for mounting a radiation panel
KR100986614B1 (ko) 알루미늄 경량판넬 고정장치
KR20180003249U (ko) 평면등용 프레임 설치장치
KR20170000673U (ko) 주차장용 조명장치
CN100566474C (zh) 内凹加热器散热装置
JP2012160266A (ja) 照明器具
JP2011033308A (ja) 電気パネルヒータ
KR20150003919U (ko) 창호용 철물 브라켓에 사용하는 결로방지부재
KR20110018667A (ko) 천정 매립형 조명 기구의 체결 방법
KR200193503Y1 (ko) 옥 찜질방 장치
CN209371162U (zh) 一种照明装置的装配结构
JP4971950B2 (ja) 照明器具
KR101803242B1 (ko) 결로 방지 창틀 고정용 브래킷
JPH11504421A (ja) 電気エネルギーを拡散暖気に変換することによって建物内の空間を暖房するためのモジュール型加熱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