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0860B1 - 다중 디스크립션 코딩을 통한 모바일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다중경로 관리 아키텍쳐 및 프로토콜들 - Google Patents

다중 디스크립션 코딩을 통한 모바일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다중경로 관리 아키텍쳐 및 프로토콜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0860B1
KR101640860B1 KR1020137035093A KR20137035093A KR101640860B1 KR 101640860 B1 KR101640860 B1 KR 101640860B1 KR 1020137035093 A KR1020137035093 A KR 1020137035093A KR 20137035093 A KR20137035093 A KR 20137035093A KR 101640860 B1 KR101640860 B1 KR 101640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rce
aggregator
helper
multimedia service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5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6578A (ko
Inventor
시아오롱 후앙
비자야라크쉬미 알. 라빈드란
사미르 에스. 솔리만
순 루오
파니쿠마르 케이. 브하미디파티
소함 브이. 쉬쓰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26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6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0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4Multichannel or multilink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1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transmission quality or channel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using selective relaying for reaching a BTS [Base Transceiver Station] or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6Arrangements for base station coverage control, e.g. by using relays in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방법은, 어그리게이터가, 제 1 경로에 걸쳐 소스로부터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제 1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을 요청하는 단계, 소스가 이용가능하다는 확인을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서비스의 제 1 서브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포함한다. 이 방법은, 제 1 서브스트림의 품질이 만족스러운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동일한 소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추가 경로에 걸쳐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수신하도록 요청하는 단게를 포함한다. 소스 디바이스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은, 제 1 경로에 걸쳐 말단 디바이스 어그리게이터로부터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소스가 이용가능하다는 확인을 전송하는 단계, 및 요청에 응답하여 제 1 경로에 걸쳐 제 1 서브스트림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동일한 소스로부터 말단 디바이스 어그리게이터로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 경로에 걸쳐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전송하도록 하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중 디스크립션 코딩을 통한 모바일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다중경로 관리 아키텍쳐 및 프로토콜들{MULTIPATH MANAGEMENT ARCHITECTURE AND PROTOCOLS FOR MOBILE MULTIMEDIA SERVICE WITH MULTIPLE DESCRIPTION CODING}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들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무선 네트워크 내에서의 모바일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액세스 링크들은 종종 WWAN(Wireless Wide Area Networks)의 병목부들이 될 수 있다. 현재, 모바일 디바이스들 상의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들은 WWAN의 액세스 링크들에 더 높은 트래픽 로드를 점점 더 도입하고, 이는 트래픽 혼잡을 야기하고 불만족스러운 사용자 경험들을 유도한다. 액세스 링크의 커패시티는, 물리적 채널 컨디션, 서비스 가입에 기초하여 오퍼레이터에 의해 부과된 최대 비트 레이트, 서빙 셀 상의 트래픽 로드 등을 포함하는 수많은 제약들에 영향을 받는다. 주 노드의 액세스 링크의 커패시티는 어느 시점에 제한될 수 있지만, 주 노드는 자신의 액세스 커패시티를 강화하도록 돕기 위해 협력 노드를 이용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협력 노드의 액세스 링크와 함께 주 노드와 그 자신의 협력 노드 사이의 대역외 링크는 주 노드의 트래픽을 위해 WWAN에 대안적인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다수의 경로들이 소스와 그 목적지 사이에 확립될 수 있다. 이러한 다수의 경로들은 모바일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중요한 그리고 현저한 커패시티 강화를 제공하기 위해 다중 디스크립션 코딩(Multiple Description Coding)에 의해 자연스럽게 활용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양상에서, 목적지 디바이스 어그리게이터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은, 제 1 경로에 걸쳐 소스로부터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 소스가 이용가능하다는 확인을 수신하는 단계, 및 서비스의 제 1 서브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제 1 서브스트림의 품질이 만족스러운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동일한 소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추가 경로에 걸쳐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수신하도록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물의 양상에서, 소스 디바이스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은, 제 1 경로에 걸쳐 말단 디바이스 어그리게이터로부터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소스가 이용가능하다는 확인을 전송하는 단계 및 요청에 응답하여 제 1 경로에 걸쳐 제 1 서브스트림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동일한 소스로부터 말단 디바이스 어그리게이터로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 경로에 걸쳐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전송하도록 하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물의 양상에서, 말단 디바이스 어그리게이터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은 소스로부터 멀티미디어 서비스 전달의 제안(offer)을 수신하는 단계, 제 1 경로에 걸쳐 소스로부터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 제 1 경로가 이용가능하다는 확인을 수신하는 단계, 및 서비스의 제 1 서브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제 1 서브스트림의 품질이 만족스러운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동일한 소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추가 경로에 걸쳐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수신하도록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물의 양상에서, 소스 디바이스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은 멀티미디어 서비스 전달의 제안을 어그리게이터에 전송하는 단계, 제 1 경로에 걸쳐 어그리게이터로부터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 1 경로가 이용가능하다는 확인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요청에 응답하여 제 1 경로에 걸쳐 제 1 서브스트림을 전송하는 단계 및 동일한 소스로부터 어그리게이터로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 경로에 걸쳐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전송하게 하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개시물에 따른 일반적인 MMS-MDC 아키텍쳐의 도면이다.
도 2는 MMS-MDC의 일 예시의 경우의 도면이다.
도 3은 MMS-MDC의 제 2 예시의 경우의 도면이다.
도 4는 스위칭 테이블 구성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4에 예시된 스위칭 테이블을 확립하도록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프로토콜을 도시한다.
도 6은 오직 헬퍼들만이 소스 헬퍼들인 경우 도 4의 스위칭 테이블을 확립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디제너레이트(degenerate) 프로토콜을 도시한다.
도 7은 오직 헬퍼들만이 어그리게이터 헬퍼들인 경우 도 4의 스위칭 테이블을 확립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디제너레이트 프로토콜을 도시한다.
도 8은 역 MDC 프로토콜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9는 어그리게이터에 의한 어그리게이터 헬퍼의 구성 및 어그리게이터 헬퍼에 의한 소스 헬퍼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0은 프로세싱 시스템을 채용하는 장치에 대한 하드웨어 구현의 예시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하여 이하에 설명되는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구성들의 설명으로서 의도되며, 본원에 설명된 개념들이 실행될 수 있는 유일한 구성들만을 나타내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개념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할 목적을 위해 특정 세부사항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개념들이 이들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들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일부 경우들에서, 잘-알려진 구조들 및 컴포넌트들은 그와 같은 개념들을 모호하게 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이제, 통신 시스템들의 몇몇 양상들이 다양한 장치 및 방법들을 참조하여 제시될 것이다. 이러한 장치 및 방법들은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될 것이며, 다양한 블록들, 모듈들, 컴포넌트들, 회로들, 단계들, 프로세스들, 알고리즘들 등(집합적으로 "엘리먼트들"로 지칭됨)에 의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될 것이다. 이러한 엘리먼트들은,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엘리먼트들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대하여 부과되는 설계 제약들에 따라 좌우된다.
예로써, 엘리먼트, 또는 엘리먼트의 임의의 일부, 또는 엘리먼트들의 임의의 조합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들의 예시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DSPs),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들(FPGAs),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들(PLDs), 상태 머신들, 게이티드 로직, 이산 하드웨어 회로들, 그리고 본 개시물 전체에 설명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다른 적합한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시스템 내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하드웨어 기술 언어, 또는 그와 다른 것으로 지칭되는지 여부에 관계 없이, 명령들, 명령 세트들,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들, 서브프로그램들, 소프트웨어 모듈들, 애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패키지들, 루틴들, 서브루틴들, 오브젝트들, 실행가능물들, 실행의 스레드들, 절차들, 기능들 등을 의미하도록 광범위하게 해석될 것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일 수 있다.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예로써, 자기 저장 디바이스(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광학 디스크(예를 들어, 컴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스마트 카드,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예를 들어,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프로그래머블 ROM(PROM), 삭제가능 PROM(EPROM), 전기적으로 삭제가능 PROM(EEPROM), 레지스터, 탈착식 디스크, 및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고 판독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명령들을 저장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합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프로세싱 시스템 내부에 상주할 수 있고, 프로세싱 시스템 외부에 상주할 수 있고, 또는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하는 다수의 엔티티들에 걸쳐 분포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로써, 컴퓨터-판독가능 물건은 패키징 재료들 내에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서비스는 콘텐츠 최종 사용자에 전달하는 임의의 서비스일 수 있다. 이러한 콘텐츠의 예시들은, 스트리밍 비디오, 이미지(imagery)를 포함하는 데이터,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품질의 임계 레벨을 충족시키면서 콘텐츠의 전달을 위해 기준이 적용될 수 있다. MMS-MDC(다중 디스크립션 코딩을 통한 모바일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아키텍쳐 및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소스와 목적지 사이의 다수의 경로들을 확립하고 관리하기 위한 프로토콜들의 세트가 개시된다. 이러한 다수의 경로들이 확립되면, 동일한 멀티미디어 스트림들의 다수의 디스크립션들은 단일 소스와 목적지 쌍 사이에서 별도로 상이한 경로들을 통해서 흐를 수 있어서, 모바일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이 강화될 수 있다. 개시된 아키텍쳐 및 프로토콜들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는 몇몇 애플리케이션들은 3G를 통한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요청된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 라이브 카메라 피드, 비디오 컨퍼런싱 등을 포함한다.
개시된 아키텍쳐 및 프로토콜들의 몇몇 양상들은: (1) MDC 및 역 MDC 스트림들 모두에 대한 MMS-MDC 다중경로 아키텍쳐, (2) MDC 스트림의 소스 및 어그리게이터에 대한 헬퍼 노드 발견의 방법, (3) MDC 스트림에 대한 다중경로 확립 아키텍쳐 및 프로토콜들, (4) 다중경로 상태 리포트 및 헬퍼 노드 재선택 방식, 및 (5) MMS-MDC 다중경로 아키텍쳐 하에서의 다중경로 동기화 방식을 포함한다.
MMS - MDC 아키텍쳐
MDC 스트리밍 세션에서, 수반된 노드 디바이스들은 다양한 역할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드는, 이것이 스트리밍 세션의 트래픽 소스이면, 소스일 수 있다. 노드는, 이것이 스트리밍 세션의 트래픽 목적지이면, 어그리게이터일 수 있다. 노드는, 이것이 소스에 의해 선택된 협력(cooperative) 노드이면, 소스 헬퍼일 수 있다. 노드는, 이것이 어그리게이터에 의해 선택된 협력 노드이면, 어그리게이터 헬퍼일 수 있다. 헬퍼들을 포함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경로들의 이용에 의해, 소스와 어그리게이터 사이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릴레이 서비스들이 경로들에 걸쳐 확립될 수 있다.
MDC 서비스의 개시를 위해, 노드 디바이스들은 다양한 역할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드는 이것이 MDC 서비스를 요청하면 개시자일 수 있다. 노드는 이것이 MDC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면 타겟일 수 있다.
MDC 세션의 예시적인 애플리케이션은 3G 네트워크를 통해서 노드(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요청된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이고, 여기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또한 다른 3G 디바이스(즉, 헬퍼), 예컨대, 이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을 돕기 위한 데이터 카드를 갖는 랩탑을 식별한다. 클라우드 내의 콘텐츠 서버는 2개의 디스크립션들(모바일 디바이스로 직통하는(directly) 디스크립션 D1 및 헬퍼를 경유하는 디스크립션 D2)을 스트리밍하고; 요청자 모바일 디바이스는 더 나은 QoE(Quality of Experience)를 획득하기 위해 D1과 D2를 결합한다(어그리게이트한다).
역 MDC 세션은, 소스가 개시자인 스트리밍 세션이다. 역 MDC 세션의 예시적인 애플리케이션은, 노드가 라이브 카메라 피드를 3G 네트워크를 통해서 클라우드 내의 노드(예컨대, PC)에 제공하도록 원하고, 그리고 PC가 더 높은 QoE를 수신하도록 제 2 디스크립션을 업로드하도록 "돕기"위해 그 주변에 있는 다른 노드(예를 들어, 다른 3G 모바일 디바이스)를 찾는 경우이다.
MDC 및 역 MDC 모두가 작동중인 경우, "대화형" 애플리케이션이 지원될 수 있다. MDC 및 역 MDC 세션들 모두의 조합의 예시적인 애플리케이션은 3G 네트워크를 통한 모바일 노드들 사이에서의 비디오 호출과 같은 대화형 애플리케이션이다.
MDC 스트림을 위한 다중경로 확립 아키텍쳐 및 프로토콜들
본 개시물의 몇몇 양상들에 따른 MMS-MDC 아키텍쳐(100)의 일 예시가 도 1에 도시된다. 소스(110)는 주요 경로(101)에 의해 어그리게이터(120)와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된다. 이 커플링은, 인터넷과 같은 WAN을 통해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액세스 링크들(130)을 통한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헬퍼들을 통해서 소스(110)와 어그리게이터(120) 사이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대안적인 경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즉, 소스(110)는 MDC 자신의 목적을 위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소스 헬퍼들(115)의 세트를 선택할 수 있다; 어그리게이터는 MDC 자신의 목적을 위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어그리게이터 헬퍼들(125)의 세트를 선택할 수 있다.
소스(110), 어그리게이터(120), 및 그들의 각각의 헬퍼들(115, 125)은 인터넷과 같은 WAN에 액세스하기 위해 액세스 링크들(130)을 이용할 수 있다. 액세스 링크들(130)는 유선 또는 무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링크(130)는 3G 셀룰러 네트워크의 일부로서 기지국으로의 무선 공중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접지 기반 액세스 링크(130)는 케이블 모뎀 또는 DSL, 또는 WAN/인터넷 클라우드로의 임의의 적합한 링크를 이용할 수 있다.
게다가, 소스(110)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대역외 링크들에 의해 자신의 소스 헬퍼들(115)과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유사하게, 어그리게이터(120)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대역외 링크들에 의해 자신의 어그리게이터 헬퍼들(125)과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소스(110)와 자신의 소스 헬퍼들(115) 사이, 또는 어그리게이터(120)와 자신의 어그리게이터 헬퍼들(125) 사이의 대역외 링크들은 유선 또는 무선일 수 있다. 대역외 링크들의 예시들은 블루투스, WLAN, USB 케이블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어그리게이터(120) 및 자신의 다양한 어그리게이터 헬퍼들(125)은 소스(110)와의 이송(transport) 레벨 링크들을 가질 수 있다. 어그리게이터(120) 및 자신의 다양한 어그리게이터 헬퍼들(125)은 단일의 또는 다수의 소스 헬퍼들(115)과의 이송 레벨 링크들을 가질 수 있다.
소스(110) 및 자신의 다양한 소스 헬퍼들(115)은 어그리게이터(120)와의 이송 레벨 링크들을 가질 수 있다. 소스(110) 및 자신의 다양한 소스 헬퍼들(115)은 단일의 또는 다수의 어그리게이터 헬퍼들(125)과의 이송 레벨 링크들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물의 특정 양상들에 따라서 MMS-MDC 서비스 트랜잭션의 2가지 통상적인 예시들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다. (도 2에 도시된) 케이스 1에서, 하나의 말단이 인터넷에 액세스하기 위해 그리고 임계 품질보다 더 큰 품질을 획득하기에 충분한 커패시티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MMS-MDC 서비스 트랜젝션(200)은 단일 헬퍼(예를 들어, 소스 헬퍼(115) 또는 어그리게이터 헬퍼(125) 중 하나)를 포함하는 대안적인 경로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케이스 2에서, 양 말단들이 여분의 대역폭 커패시티로부터 임계 품질 보다 더 큰 품질을 획득하는 이득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MMS-MDC 서비스 트랜잭션(300)이 소스 헬퍼(115) 및 어그리게이터 헬퍼(125) 모두를 포함하는 대안적인 경로를 포함한다.
헬퍼 노드(예를 들어, 소스 헬퍼(115) 또는 어그리게이터 헬퍼(125))는, 필요한 경우, 발견되고 선택될 수 있다. 소스(110) 또는 어그리게이터(120)와 같은 노드는 스스로 후보 헬퍼들의 리스트를 발견하고 유지하는 것을 담당한다. 즉, 소스(110)는 소스 헬퍼들(115)의 리스트를 발견하고 유지할 수 있고, 어그리게이터(120)는 어그리게이터 헬퍼들(125)의 리스트를 발견하고 유지할 수 있다. 후보 헬퍼들의 리스트는 서비스에 대해 의존하여 변화할 수 있고, 세션마다 변화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그 자신의 헬퍼가 되는 후보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소스(110)는 어떤 어그리게이터 헬퍼들(125)도 보지 못할 수 있고, 어그리게이터(120)는 어떤 소스 헬퍼들(115)도 보지 못할 수 있다. 소스(110) 및 어그리게이터(120)는 (대안적인 경로가 양 헬퍼들 모두를 요구하는 경우) 대안적인 경로를 확립하기 전에 그들의 선택된 헬퍼(들)에 대해 서로에게 통지할 수 있다.
헬퍼 노드 발견
후술하는 기준은 헬퍼 발견 및 선택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1) 채널 컨디션들의 평가 : 예를 들어, Wi-Fi, 및 3G/4G 송신시에 수신된 CINR(carrier to noise plus interference ratio); 수신된 신호 세기(Wi-Fi, 3G), 및 송신 전력 또는 MCS(Wi-Fi, 3G/4G 무선); 2) 트래픽 컨디션들의 평가 : 예를 들어, Wi-Fi, 및/또는 3G/4G를 통한 헬퍼 노드의 트래픽 노드; 예를 들어, Wi-Fi, 및/또는 3G/4G를 통한 액세스 포인트(AP) 또는 이볼브드 노드 B(eNB)의 트래픽 로드; 3) (예를 들어, 3G/4G에서와 같이) 서빙 eNB 및 이웃 eNB들로부터의 다운링크 채널들과 같은 간섭의 평가.
소스(110)와 어그리게이터(120) 사이의 다수의 경로들은 소스 헬퍼들(115) 및 어그리게이터 헬퍼들(125)에 스위칭 테이블들을 설치함으로써 구성(즉, 확립)될 수 있다. MDC 데이터 패킷들이 헬퍼들에 의해 정확한 노드에 전송될 수 있도록, 소스(110) 및 어그리게이터(120)는 스위칭 테이블들을 셋업하기 위해 자신의 대응하는 헬퍼들과 통신할 수 있다. 헬퍼들 사이의 시그널링은 이러한 스위칭 테이블을 셋업하기 위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노드에서의 스위칭 테이블 엔트리는 착신(incoming) 패킷들의 후술하는 파라미터들의 일반적인 조합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삭제
● 이송 소스(110) 어드레스
● 이송 소스(110) 포트 또는 이 노드에 의해 발행된 착신 가상 경로 식별자
● 이송 목적지(예컨대, 어그리게이터(120)) 어드레스
● 이송 목적지(120) 포트 또는 목적지에 의해 발행된 발신(outgoing) 가상 경로 식별자
● 세션 ID
소스(110)는 상이한 경로들을 통해서 (예를 들어, 서브스트림들로서) 데이터의 스트림의 상이한 부분들과 같은 상이한 디스크립션들을 전송할 수 있다. 공통 세션 식별자는 다수의 경로들을 통해서 흐르는 다중 디스크립션들의 공통 목적을 식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후속하여, 어그리게이터(120)는 다중 디스크립션들의 서브스트림들을 단일 사용자 스트림으로 결합할 수 있다.
도 4는 스위칭 테이블(400)의 예시적인 구성 구현을 도시하며, 여기서는 일 노드에서의 스위칭 테이블 엔트리가 입력 및 출력 파라미터들로 구성된다. 입력 파라미터들은 소스 어드레스(410) 및 목적지 포트(422) 또는 이 노드에 의해 발행된 착신 가상 경로 식별자를 포함한다. 출력 파라미터들은 목적지 어드레스(420) 및 목적지 포트(422) 또는 이 목적지에 의해 발행된 발신 가상 경로 식별자를 포함한다. 가상 경로 식별자는 ATM 및 MPLS에 관한 문헌에서 잘 알려진 개념이다. 식별자는, 그 식별자를 발행하는 근원 노드(underlying node)에 의해 수신하는 일 그룹의 패킷들을 고유하게 식별하는데 이용되고, 그리고 이 그룹의 패킷들을 통상적인 방식으로 처리하고 이 그룹의 패킷들을 공통의 다음 홉 노드로 전송하도록 약속되어 있다(contracted). 이러한 그룹의 패킷들이 다음 홉 노드로 전송될 때, 식별자는 다음 홉 노드에 의해 발행된 다른 식별자로 교체(swap)되어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이한 디스크립션들의 데이터는 소스(110)로부터 어그리게이터(120)로의 상이한 경로들을 통해서 이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110), 소스 헬퍼(115), 어그리게이터(120)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어그리게이터 헬퍼를 포함하는 오버레이 네트워크상에 셋업할 때, 어그리게이터(120)에 대한 스위칭 테이블은, 미디어 서비스를 발신하고 있는 소스 어드레스 source.addr(410), 어그리게이터 포트 aggregator.port1 또는 (링크 1을 경유하는) 제 1 디스크립션 D1을 수신하기 위한 링크 1 상의 착신 가상 경로 식별자, (링크 4를 경유하는) 제 2 디스크립션 D2를 릴레이하는 어그리게이터 헬퍼(125)의 어드레스, 및 제 2 입력 포트 aggregator.port2(422) 또는 제 2 디스크립션 D2를 수신하기 위해 할당된 링크 4 상의 착신 가상 경로 식별자를 포함하는 입력 어드레싱 정보를 유지한다. 어그리게이터는, 이러한 스트리밍 세션 내에서 임의의 데이터를 포워딩하는 것을 담당하지 않기 때문에, 출력 어드레스들 또는 포트 목적지들에 대한 어떠한 테이블 엔트리들도 존재하지 않는다.
이와 비교하여, 어그리게이터 헬퍼(125)는, 입력측에, D2가 도달하는 소스 헬퍼를 식별하기 위해 소스 헬퍼 어드레스 sourcehelper.addr, 및 소스 헬퍼(115)로부터 D2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링크 3 상의 착신 가상 경로 식별자 또는 대응하는 어그리게이터 헬퍼 포트 aggregator_helper.port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유지한다. 테이블의 출력측에서, 어그리게이터 헬퍼는 D2를 릴레이하기 위한 어그리게이터(120)의 어드레스 aggregator.addr(420), 및 D2를 수신하기 위한, 어그리게이터(120)에 의해 지정된 링크 4(422) 상의 발신 가상 경로 식별자 또는 포트 aggregator.port2를 갖는다. 유사한 디스크립션은, D2가 발생하는 소스 어드레스(410), 소스 헬퍼의 입력 포트 또는 D2를 수신하는 링크 2 상의 착신 가상 경로 식별자를 식별하기 위한, 테이블의 입력측에 있는, 그리고 릴레이된 D2 서브-스트림을 수신하는 링크 3 상의 발신 가상 경로 식별자 또는 어그리게이터 헬퍼(125)의 포트 및 어드레스를 식별하기 위한, 출력측에 있는, 소스 헬퍼(115)에 존재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스위칭 테이블(400)을 확립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프로토콜(500)의 예시적인 구현을 도시한다. 프로토콜(500)에서, 어그리게이터(120)는 어그리게이터 헬퍼(125)에서 스위칭 테이블(400)을 구성하는 한편, 소스(110)는 소스 헬퍼(115)에서 스위칭 테이블(400)을 구성한다. 도 5에 도시된 예시에서, 어그리게이터(120)는 소스 어드레스(410)를 갖는 소스(110)로부터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제 1 디스크립션 D1을 수신하기 위한 요청을 행한다. 어그리게이터는, 어그리게이터(120)가 D1 서비스 전달을 수신하도록 요청한 소스(110)에 어그리게이터 포트(422)를 제공한다. 어그리게이터는, 소스 어드레스(410)(어그리게이터는 소스 어드레스(410)로부터 D1을 수신함) 및 D1을 수신하기 위해 지정된 어그리게이터 포트(422)를 식별하는 입력 정보의 스위칭 테이블을 셋업한다.
D1 디스크립션 스트림의 전달을 수신할 때, 어그리게이터(120)는 수신되고 있는 D1 디스크립션 스트림의 품질이 품질의 임계값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충족하지 않으면, 어그리게이터(120)는 서비스의 제 2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 D2를 요청한다. 어그리게이터(120)는 D2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의 릴레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어그리게이터 헬퍼(125)를 발견하고, 요청하고 그리고 선택하도록 시도하여, 소스(100)에 전송하는 어그리게이터 헬퍼 어드레스 및 어그리게이터 헬퍼 포트2(422)를 획득한다. 소스(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 헬퍼(115)를 발견, 요청 및 선택할 수 있고, D2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을 적절한 어그리게이터 헬퍼(125) 및 어그리게이터에 릴레이하도록 소스 헬퍼(125)를 인에이블시키기 위해 어그리게이터 헬퍼 포트 및 어그리게이터 헬퍼 어드레스에 대한 스위칭 테이블 엔트리들을 소스 헬퍼(125)에 제공할 수 있다. 결국, 소스 헬퍼(115)는, 소스(115)가 D2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을 지시(direct)할 소스 헬퍼 포트를 통해서 소스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한다. 소스(110)는, 어그리게이터(120)에 소스 헬퍼 어드레스를 포워딩하고, 그후 어그리게이터(120)가 이를 어그리게이터 헬퍼(125) 내의 스위칭 테이블에 제공하여, D2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이 예상되는 지점을 어그리게이터 헬퍼(125)가 인식하게 된다. 스위칭 테이블들이 셋업되면, D2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은 소스(110)로부터 소스 헬퍼(115), 어그리게이터 헬퍼(125), 및 어그리게이터(120)로 릴레이된다.
오직 소스 헬퍼들(115)만이 존재하는 경우, 도 4의 스위칭 테이블(400)을 확립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디제너레이트 프로토콜(600)이 도 6에 도시된 예시에 도시된다. 프로토콜(600)에서, 소스(110)는 소스 헬퍼(115)에 스위칭 테이블(400)을 구성하는 한편, 어그리게이터(120)는 이용가능한 어그리게이터 헬퍼(125)의 부재시에는 그러한 책임이 없다. 도 6에 도시된 호출 플로우의 프로토콜은 도 5의 프로토콜보다 더 간단하지만, 요청들, 응답들 및 서브스트림 전달의 유사한 진행에 후속되며, 추가적인 세부사항은 논의되지 않을 것이다.
오직 어그리게이터 헬퍼들(125)만이 존재할 때, 도 4의 스위칭 테이블(400)을 확립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디제너레이트 프로토콜(700)이 도 7에 나타낸 예시에 도시된다. 프로토콜(700)에서, 어그리게이터(120)는 어그리게이터 헬퍼(125)에 스위칭 테이블(400)을 구성하는 한편, 소스(110)는 이용가능한 소스 헬퍼(115)의 부재시에는 이러한 어느 것도 담당하지 않는다. 도 7에 도시된 호출 플로우의 프로토콜이 도 5의 프로토콜보다 더 간단하지만, 요청들, 응답들 및 서브스트림 전달의 유사한 진행에 후속되며, 추가적인 세부사항은 논의되지 않을 것이다.
본 개시물의 다른 양상에서, 역 MDC 세션은 추가적인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단계들을 통해서 MDC 다중경로 확립 프로토콜을 재사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 (1) 개시자는 서비스를 제안하는 역 MDC 요청을 타겟으로 전송하고, 그리고 (2) 타겟은 MDC 다중경로 확립 프로토콜(500)을 종전과 같이 시작한다. 도 8은 역 MDC 프로토콜(800)의 예시이다. 도 8에 예시된 호출 플로우의 프로토콜은 도 5의 프로토콜과 유사하며, 추가적인 세부사항은 논의되지 않을 것이다.
본 개시물의 다른 양상에서, 도 4의 스위칭 테이블(400)을 확립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대안적인 프로토콜(900)은 도 9에 도시되며, 어그리게이터(120)는 어그리게이터 헬퍼(125)에 스위칭 테이블을 구성하는 한편, 어그리게이터 헬퍼(125)는 소스 헬퍼(115)에 스위칭 테이블을 구성한다. 예를 들어, 두(both) 헬퍼들 모두, 예를 들어, 동일한 액세스 포인트를 갖는 인터넷 클라우드의 어그리게이터측에 있을 때, 이러한 것과 같은 케이스가 발생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호출 플로우의 프로토콜은 도 5의 프로토콜과 유사하며, 추가적인 세부사항은 논의되지 않을 것이다.
서브스트림 제거는, 헬퍼가 어그리게이터(120)에 의해 요청된 콘텐츠를 이미(already) 가질 때 가능하다. 어그리게이터 헬퍼(125)가 어그리게이터(120)에 의해 요청된 콘텐츠를 갖는 경우, 어그리게이터(120)는 대안적인 디스크립션에 대한 요청을 소스(110)에 전송할 필요가 없다. 유사하게, 소스 헬퍼(115)가 어그리게이터(120)에 의해 요청된 콘텐츠를 갖는 경우, 어그리게이터(120)는 소스 헬퍼(115)의 스위칭 테이블(400)을 구성하고 소스 헬퍼(115)에 의해 전송될 서브스트림 디스크립션을 식별할 수 있지만, 어떤 디스크립션도 소스 헬퍼(115)에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각각의 경로의 안정성, 지연, 및 지연 지터(delay jitter)는 MDC 스트림의 전체 성능에 중요하다. 이런 이유로, 각각의 경로의 상태에 기초하여 필요할 때 헬퍼 재선택에 의해 다중경로를 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후속하는 단계들은 다중경로를 유지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상태 리포트
어그리게이터(120)는 각각의 경로의 안정성, 지연, 및 지연 지터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어그리게이터(120)는 주요 경로 및 대안적인 경로들 모두에 대한 트래픽 성능을 소스(110)에 리포트할 수 있다. 어그리게이터(120)는 QoE(Quality of Experience) 적응을 위해 상태 및 성능 통계치들을 소스(110)에 다시 리포트할 수 있다. 소스(110)는 네트워크 및 서비스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유지할 수 있다. 어그리게이터(120) 및 소스(110)는 서비스의 전반적인 상태(health)를 유지하기 위해 그들 자신들 간에 협력할 수 있다.
헬퍼 재선택
서비스 및 헬퍼 이용가능성의 상태에 따라, 다음과 같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소스/어그리게이터 헬퍼(115/125) 재선택이 필요할 수 있다.
어그리게이터(120)는, 오리지널 어그리게이터 헬퍼(125)가 오리지널 어그리게이터 헬퍼(125)를 선택하기 위해 이용된 기준에 미달될 때, 어그리게이터 헬퍼(125)를 재선택할 수 있다. 유사하게, 소스(110)는, 오리지널 소스 헬퍼(115)가 오리지널 소스 헬퍼(115)를 선택하기 위해 이용된 기준에서 낙오될 때, 소스 헬퍼(115)를 재선택할 수 있다.
무결절성 ( seamless ) 경로 스위칭
무결절성 경로 스위칭을 확보하기 위해, 가능한 경우, 어그리게이터 헬퍼(125)는, 어그리게이터(120)가 이를 중지할 때까지, 기능하는 것을 계속할 수 있다. 유사하게, 가능한 경우, 소스 헬퍼(115)는, 소스(110)가 이를 중지할 때까지, 기능하는 것을 계속할 수 있다. 어그리게이터 헬퍼(125)가 변경될 때, 서브스트림을 재방향설정하기 위해 소스 헬퍼(115) 자신의 스위칭 테이블(400)을 업데이트하도록 소스(110)가 소스 헬퍼(115)에 요구할 수 있도록, 어그리게이터(120)는 소스(110)에 통지하기 위해 메시지를 전송해야만 하다. 소스 헬퍼(115)가 변경될 때, 서브스트림을 수신하도록 링크에 재방향설정하기 위해 어그리게이터 헬퍼(125) 자신의 스위칭 테이블(400)을 업데이트하도록 어그리게이터(120)가 어그리게이터 헬퍼(125)에 요구할 수 있도록, 소스(110)는 어그리게이터(120)에 통지하기 위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동기화
어그리게이터(120)는 (서브스트림 내의) 각각의 디스크립션의 성능을 리포트하고 소스(110)에 피드백을 전송할 수 있다. 소스(110)는 다수의 경로들 상에서 디스크립션들을 직접 동기화할 수 있다. 상이한 경로들 사이에서의 지연 차이는 상이한 경로들 상에서 디스크립션들을 동기화시키기 위한 파라미터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의 인시던트들은, 동기화를 위한 트리거들: 어그리게이터(120)에서 관찰되는 성능 이슈들, 어그리게이터 헬퍼(125) 재선택, 및 소스 헬퍼(115) 재선택으로서 소스(110)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도 10은 프로세싱 시스템(114)을 채용하는 장치(1000)에 대한 하드웨어 구현의 예시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장치(1000)는 소스(110), 소스 헬퍼(115), 어그리게이터(120), 어그리게이터 헬퍼(125) 등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이 예시에서, 프로세싱 시스템(1014)은, 버스(1002)로 일반적으로 표현된, 버스 아키텍쳐로 구현될 수 있다. 버스(1002)는 프로세싱 시스템(1014)의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설계 제약들에 따라 임의의 수의 상호접속 버스들 및 브릿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버스(1002)는 프로세서(1004)로 일반적으로 표현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1006)로 일반적으로 표현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회로들을 함께 링크한다. 버스(1002)는 또한, 당업계에서 잘 알려져서 이에 따라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다양한 다른 회로들, 예컨대, 타이밍 소스들, 주변회로들, 전압 조절기들, 및 전력 관리 회로들을 링크할 수 있다. 버스 인터페이스(1008)는 버스(1002)와 트랜시버(1010)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트랜시버(1010)는 송신 매체를 통해서 다양한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장치의 특성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1012)(예를 들어,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로폰, 조이스틱)도 또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1004)는 일반적인 프로세싱(컴퓨터-판독가능 매체(1006)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포함) 및 버스(1002)의 관리를 담당한다. 프로세서(1004)에 의해 실행될 때 소프트웨어는 프로세싱 시스템(1014)이 임의의 특정 장치에 대해 이하 설명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한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1006)는 또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때 프로세서(1004)에 의해 조작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개시물 전체에 설명된 다양한 개념들은, 광범위한 텔레커뮤니케이션 시스템들, 네트워크 아키텍쳐들, 및 통신 표준들에 걸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로써, 다양한 양상들은 다양한 UMTS 시스템들, 예컨대, TD-SCDMA,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HSDPA),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HSUPA), 고속 패킷 액세스 플러스(HSPA+) 및 TD-CDMA로 확대될 수 있다. 다양한 양상들은 또한 (FDD, TDD 또는 이 양자 모두의 모드들에서의) 롱 텀 에볼루션(LTE), (FDD, TDD 또는 이 양자 모두의 모드들에서의) LTE-어드밴스드(LTE-A), CDMA2000, EV-DO(Evolution-Data Optimized), UMB(Ultra Mobile Broadband), IEEE 802.11(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UWB(Ultra-Wideband), 블루투스, 및/또는 다른 적합한 시스템들을 채용하는 시스템들로 확대될 수 있다. 채용되는 실제 텔레커뮤니케이션 표준, 네트워크 아키텍쳐, 및/또는 통신 표준은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시스템에 부과되는 전체 설계 제약들에 의존할 것이다.
개시된 방법들에서의 단계들의 특정 순서 또는 계층구조가 예시적인 프로세스들의 일례인 것이 이해된다. 설계 선호사항들에 기초하여, 방법들에서의 단계들의 특정 순서 또는 계층구조가 재배열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공하며, 본원에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제공된 특정 순서 또는 계층구조로 제한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이전의 설명은 임의의 당업자가 본원에 설명된 다양한 양상들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양상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당업자들에게 용이하게 명백할 것이며, 본원에 설명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다른 양상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청구항들은 본원에 설명된 양상들로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지만, 본 청구항들의 언어와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 부합할 것이며, 단수의 엘리먼트에 대한 참조는 구체적으로 그러한 것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하나 그리고 오직 하나"를 의미하도록 의도되지 않으며, 오히려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용어 "몇몇"은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지칭한다. 아이템들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지칭하는 문구는 단일 부재들을 포함해서 이러한 아이템들의 임의의 조합을 지칭한다. 예로서,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는 a; b; c; a 및 b; a 및 c; b 및 c; 그리고 a, b 및 c를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당업자들에게 알려진 또는 이후 알려질 본 개시물 전반에 설명된 다양한 양상들의 엘리먼트들에 대한 모든 구조적 및 기능적 등가물들은 인용에 의해 본원에 명백하게 통합되며 청구항들에 의해 포괄되도록 의도된다. 또한, 본원에 개시된 어떤 것도, 이러한 개시물이 청구항들에 명백하게 인용되든지 여부에 상관없이 공개에 전용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어떠한 청구항 엘리먼트도, 그 엘리먼트가 문구 "~위한 수단"을 이용하여 명백하게 인용되거나, 또는 방법 청구항의 경우에서, 그 엘리먼트가 문구 "~위한 단계"을 이용하여 인용되지 않는 한, 35 U.S.C. §112, 6번째 문단의 조항 하에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Claims (81)

  1. 어그리게이터(aggregator)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소스(source)로부터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소스가 이용가능하다는 확인을 수신하는 단계;
    제 1 경로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제 1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description substream)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소스로부터 상기 어그리게이터로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릴레이하기 위해 어그리게이터 헬퍼(aggregator helper)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어그리게이터 헬퍼에 스위칭 테이블을 셋업(set up)하고 설치(install)하기 위해 상기 어그리게이터 헬퍼와 통신하는 단계 ― 상기 스위칭 테이블은 상기 어그리게이터로 제 2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의 다수의 패킷들을 보내고(direct), 상기 스위칭 테이블은
    상기 소스 및 상기 어그리게이터의 아이덴티티 정보, 및
    상기 제 1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과 연관된 세션 ID를 포함함 ―; 및
    상기 제 1 경로를 통한 상기 제 1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의 품질이 품질 임계치 미만일 때, 적어도 하나의 추가 경로를 통해 상기 소스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상기 제 2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을 수신하도록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경로는 상기 어그리게이터 헬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은 상기 세션 ID와 연관되는,
    어그리게이터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그리게이터 헬퍼가 릴레이 서비스에 대해 이용가능하다는 확인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어그리게이터 헬퍼에 관한 정보를 상기 릴레이 서비스에 대한 상기 소스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어그리게이터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어그리게이터 헬퍼를 통해서 상기 소스로부터 상기 어그리게이터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경로를 확립(establish)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경로를 통한 상기 제 1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의 품질이 품질 임계치 미만일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경로를 통해 상기 제 2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어그리게이터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경로는 광역 네트워크(WAN)에 액세스하기 위한 링크와 상이한, 상기 어그리게이터와 상기 어그리게이터 헬퍼 사이의 링크를 포함하는,
    어그리게이터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어그리게이터 헬퍼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이 행해지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후보 어그리게이터 헬퍼들의 세트를 발견하는 단계; 및
    상기 후보 어그리게이터 헬퍼들의 리스트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어그리게이터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어그리게이터 헬퍼를 선택하는 단계는 기준(criteria)을 포함하고,
    상기 기준은 수신된 CINR(carrier to noise plus interference ratio), 수신된 신호 세기, 송신 전력, 상기 어그리게이터 헬퍼에서의 트래픽 로드, 상기 어그리게이터 헬퍼에 대응하는 액세스 포인트 또는 이볼브드 nodeB(eNB)에서의 트래픽 로드, 또는 서빙 및 이웃 eNB들로부터의 다운링크 채널들의 간섭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어그리게이터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가 소스 헬퍼를 선택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경로를 확립하기 전에 소스 헬퍼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어그리게이터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상기 제 2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은 상기 소스 헬퍼에 의해 상기 어그리게이터 또는 상기 어그리게이터 헬퍼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되는,
    어그리게이터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그리게이터 헬퍼에서의 상기 스위칭 테이블은:
    소스 헬퍼 어드레스 파라미터;
    어그리게이터 헬퍼 입력 포트 파라미터 또는 착신(incoming) 가상 경로 식별자;
    목적지 어그리게이터 어드레스 파라미터; 및
    목적지 어그리게이터 출력 포트 파라미터 또는 발신(outgoing) 가상 경로 식별자를 포함하는,
    어그리게이터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10. 소스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어그리게이터로부터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제 1 경로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제 1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소스로부터 상기 어그리게이터로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릴레이하기 위해 소스 헬퍼(source helper)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소스 헬퍼에 스위칭 테이블을 셋업하고 설치하기 위해 상기 소스 헬퍼와 통신하는 단계 ― 상기 스위칭 테이블은 상기 어그리게이터로 제 2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의 다수의 패킷들을 보내고, 상기 스위칭 테이블은
    상기 소스 및 상기 어그리게이터의 아이덴티티 정보, 및
    상기 제 1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과 연관된 세션 ID를 포함함 ―; 및
    상기 제 1 경로를 통한 상기 제 1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의 품질이 품질 임계치 미만일 때, 적어도 하나의 추가 경로를 통해 상기 소스로부터 상기 어그리게이터로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상기 제 2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을 전송하도록 하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경로는 상기 소스 헬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은 상기 세션 ID와 연관되는,
    소스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어그리게이터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을 수신한 후 상기 소스가 이용가능하다는 확인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소스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헬퍼로부터 릴레이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
    어그리게이터 헬퍼에 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어그리게이터 헬퍼에 관한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릴레이 서비스에 대한 상기 소스 헬퍼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소스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서비스를 요청한 후 상기 소스 헬퍼가 상기 릴레이 서비스에 대해 이용가능하다는 확인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소스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헬퍼를 통해서 상기 소스로부터 상기 어그리게이터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경로를 확립하는 단계; 및
    상기 소스 헬퍼를 통해서 상기 소스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경로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상기 제 2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소스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경로는 광역 네트워크(WAN)에 액세스하기 위한 링크와 상이한, 상기 소스와 상기 소스 헬퍼 사이의 링크를 포함하는,
    소스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헬퍼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이 행해지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후보 소스 헬퍼들의 세트를 발견하는 단계; 및
    상기 후보 소스 헬퍼들의 리스트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소스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헬퍼를 선택하기 위한 기준은, 수신된 CINR(carrier to noise plus interference ratio)을 결정하는 것, 수신된 신호 세기를 결정하는 것,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것, 상기 어그리게이터 헬퍼에서의 트래픽 로드를 결정하는 것, 상기 어그리게이터 헬퍼에 대응하는 액세스 포인트 또는 이볼브드 nodeB(eNB)에서의 트래픽 로드를 결정하는 것, 서빙 및 이웃 eNB들로부터의 다운링크 채널들의 간섭 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소스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가 상기 소스 헬퍼를 선택할 때 대안적인 경로를 확립하기 전에, 상기 소스가 상기 소스 헬퍼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소스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상기 제 2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은 상기 소스 헬퍼에 의해 상기 어그리게이터 또는 상기 어그리게이터 헬퍼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되는,
    소스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20.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테이블은:
    소스 어드레스 파라미터;
    소스 헬퍼 입력 포트 파라미터 또는 착신 가상 경로 식별자;
    어그리게이터 헬퍼 어드레스 파라미터; 및
    어그리게이터 헬퍼 출력 포트 파라미터 또는 발신 가상 경로 식별자를 포함하는,
    소스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21. 어그리게이터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소스로부터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전달을 위한 제안(offer)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소스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
    제 1 경로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제 1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의 품질이 품질 임계치 미만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소스로부터 상기 어그리게이터로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릴레이하기 위해 어그리게이터 헬퍼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어그리게이터 헬퍼에 스위칭 테이블을 셋업하고 설치하기 위해 상기 어그리게이터 헬퍼와 통신하는 단계 ― 상기 스위칭 테이블은 상기 어그리게이터로 제 2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의 다수의 패킷들을 보내고, 상기 스위칭 테이블은
    상기 소스 및 상기 어그리게이터의 아이덴티티 정보, 및
    상기 제 1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과 연관된 세션 ID를 포함함 ―; 및
    상기 제 1 경로를 통한 상기 제 1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의 품질이 품질 임계치 미만일 때, 적어도 하나의 추가 경로를 통해 상기 소스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상기 제 2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을 수신하도록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경로는 상기 어그리게이터 헬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은 상기 세션 ID와 연관되는,
    어그리게이터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요청한 후 상기 소스가 이용가능하다는 확인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어그리게이터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어그리게이터 헬퍼로부터 릴레이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어그리게이터 헬퍼에 관한 정보를 상기 릴레이 서비스에 대한 상기 소스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어그리게이터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어그리게이터 헬퍼로부터 상기 릴레이 서비스를 요청한 후 상기 어그리게이터 헬퍼가 상기 릴레이 서비스에 대해 이용가능하다는 확인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어그리게이터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어그리게이터 헬퍼를 통해서 상기 소스로부터 상기 어그리게이터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경로를 확립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경로를 통한 상기 제 1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의 품질이 품질 임계치 미만일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경로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상기 제 2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어그리게이터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경로는 광역 네트워크(WAN)에 액세스하기 위한 링크와 상이한, 상기 어그리게이터와 상기 어그리게이터 헬퍼 사이의 링크를 포함하는,
    어그리게이터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어그리게이터 헬퍼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이 행해지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후보 어그리게이터 헬퍼들의 세트를 발견하는 단계; 및
    상기 후보 어그리게이터 헬퍼들의 리스트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어그리게이터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28.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어그리게이터 헬퍼를 선택하는 단계는 기준을 포함하고,
    상기 기준은 수신된 CINR(carrier to noise plus interference ratio), 수신된 신호 세기, 송신 전력, 상기 어그리게이터 헬퍼에서의 트래픽 로드, 상기 어그리게이터 헬퍼에 대응하는 액세스 포인트 또는 이볼브드 nodeB(eNB)에서의 트래픽 로드, 또는 서빙 및 이웃 eNB들로부터의 다운링크 채널들의 간섭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어그리게이터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29.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가 소스 헬퍼를 선택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경로를 확립하기 전에 소스 헬퍼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어그리게이터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상기 제 2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은 상기 소스 헬퍼에 의해 상기 어그리게이터 또는 상기 어그리게이터 헬퍼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되는,
    어그리게이터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31.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어그리게이터 헬퍼에서의 상기 스위칭 테이블은:
    소스 헬퍼 어드레스 파라미터;
    어그리게이터 헬퍼 입력 포트 파라미터 또는 착신 가상 경로 식별자;
    목적지 어그리게이터 어드레스 파라미터; 및
    목적지 어그리게이터 출력 포트 파라미터 또는 발신 가상 경로 식별자를 포함하는,
    어그리게이터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32. 소스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전달의 제안을 어그리게이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요청함으로써 상기 제안을 수용하는 상기 어그리게이터로부터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소스가 이용가능하다는 확인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제 1 경로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제 1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소스로부터 상기 어그리게이터로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릴레이하기 위해 소스 헬퍼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소스 헬퍼에 스위칭 테이블을 셋업하고 설치하기 위해 상기 소스 헬퍼와 통신하는 단계 ― 상기 스위칭 테이블은 상기 어그리게이터로 제 2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의 다수의 패킷들을 보내고, 상기 스위칭 테이블은
    상기 소스 및 상기 어그리게이터의 아이덴티티 정보, 및
    상기 제 1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과 연관된 세션 ID를 포함함 ―; 및
    상기 제 1 경로를 통한 상기 제 1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의 품질이 품질 임계치 미만일 때, 적어도 하나의 추가 경로를 통해 상기 소스로부터 상기 어그리게이터로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상기 제 2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을 전송하도록 하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경로는 상기 소스 헬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은 상기 세션 ID와 연관되는,
    소스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헬퍼로부터 릴레이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
    어그리게이터 헬퍼에 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어그리게이터 헬퍼에 관한 식별 정보를 상기 릴레이 서비스에 대한 상기 소스 헬퍼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소스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헬퍼로부터 상기 릴레이 서비스를 요청한 후 상기 소스 헬퍼가 상기 릴레이 서비스에 대해 이용가능하다는 확인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소스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35.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헬퍼를 통해서 상기 소스로부터 상기 어그리게이터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경로를 확립하는 단계; 및
    상기 소스 헬퍼를 통해서 상기 소스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경로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상기 제 2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소스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경로는 광역 네트워크(WAN)에 액세스하기 위한 링크와 상이한, 상기 소스와 상기 소스 헬퍼 사이의 링크를 포함하는,
    소스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37.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헬퍼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이 행해지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후보 소스 헬퍼들의 세트를 발견하는 단계; 및
    상기 후보 소스 헬퍼들의 리스트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소스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38.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헬퍼를 선택하기 위한 기준은, 수신된 CINR(carrier to noise plus interference ratio)을 결정하는 것, 수신된 신호 세기를 결정하는 것,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것, 상기 어그리게이터 헬퍼에서의 트래픽 로드를 결정하는 것, 상기 어그리게이터 헬퍼에 대응하는 액세스 포인트(AP) 또는 이볼브드 nodeB(eNB)에서의 트래픽 로드를 결정하는 것, 서빙 및 이웃 eNB들로부터의 다운링크 채널들의 간섭 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소스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39.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가 상기 소스 헬퍼를 선택할 때 대안적인 경로를 확립하기 전에 상기 소스 헬퍼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소스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상기 제 2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은 상기 소스 헬퍼에 의해 상기 어그리게이터 또는 상기 어그리게이터 헬퍼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되는,
    소스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41.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테이블은:
    소스 어드레스 파라미터;
    소스 헬퍼 입력 포트 파라미터 또는 착신 가상 경로 식별자;
    어그리게이터 헬퍼 출력 어드레스 파라미터; 및
    어그리게이터 헬퍼 출력 포트 파라미터 또는 발신 가상 경로 식별자를 포함하는,
    소스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무선 통신을 위한 어그리게이터로서,
    제 1 경로를 통해 소스로부터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1 경로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제 1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소스로부터 상기 어그리게이터로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릴레이하기 위해 어그리게이터 헬퍼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
    상기 어그리게이터 헬퍼에 스위칭 테이블을 셋업하고 설치하기 위해 상기 어그리게이터 헬퍼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스위칭 테이블은 상기 어그리게이터로 제 2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의 다수의 패킷들을 보내고, 상기 스위칭 테이블은
    상기 소스 및 상기 어그리게이터의 아이덴티티 정보, 및
    상기 제 1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과 연관된 세션 ID를 포함함 ―; 및
    상기 제 1 경로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제 1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의 품질이 품질 임계치 미만일 때, 적어도 하나의 추가 경로를 통해 상기 소스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상기 제 2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을 수신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경로는 상기 어그리게이터 헬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은 상기 세션 ID와 연관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어그리게이터.
  55.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요청한 후 상기 소스가 이용가능하다는 확인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어그리게이터.
  56. 무선 통신을 위한 소스로서,
    어그리게이터로부터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제 1 경로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제 1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
    상기 소스로부터 상기 어그리게이터로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릴레이하기 위해 소스 헬퍼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
    상기 소스 헬퍼에 스위칭 테이블을 셋업하고 설치하기 위해 상기 소스 헬퍼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스위칭 테이블은 상기 어그리게이터로 제 2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의 다수의 패킷들을 보내고, 상기 스위칭 테이블은
    상기 소스 및 상기 어그리게이터의 아이덴티티 정보, 및
    상기 제 1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과 연관된 세션 ID를 포함함 ―; 및
    상기 제 1 경로를 통해 전송된 상기 제 1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의 품질이 품질 임계치 미만일 때, 적어도 하나의 추가 경로를 통해 상기 소스로부터 상기 어그리게이터로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상기 제 2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을 전송하도록 하는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경로는 상기 소스 헬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은 상기 세션 ID와 연관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소스.
  57.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어그리게이터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을 수신한 후 상기 소스가 이용가능하다는 확인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소스.
  58. 무선 통신을 위한 어그리게이터로서,
    소스로부터 멀티미디어 서비스 전달의 제안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소스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수단;
    제 1 경로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제 1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1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의 품질이 품질 임계치 미만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1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의 품질이 상기 품질 임계치 미만이라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소스로부터 상기 어그리게이터로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릴레이하기 위해 어그리게이터 헬퍼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
    상기 어그리게이터 헬퍼에 스위칭 테이블을 셋업하고 설치하기 위해 상기 어그리게이터 헬퍼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스위칭 테이블은 상기 어그리게이터로 제 2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의 다수의 패킷들을 보내고, 상기 스위칭 테이블은
    상기 소스 및 상기 어그리게이터의 아이덴티티 정보, 및
    상기 제 1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과 연관된 세션 ID를 포함함 ―; 및
    상기 제 1 경로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제 1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의 품질이 상기 품질 임계치 미만일 때, 적어도 하나의 추가 경로를 통해 상기 소스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상기 제 2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을 수신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경로는 상기 어그리게이터 헬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은 상기 세션 ID와 연관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어그리게이터.
  59.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요청한 후 상기 소스가 이용가능하다는 확인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어그리게이터.
  60. 무선 통신을 위한 소스로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전달의 제안을 어그리게이터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
    제 1 경로를 통해 상기 어그리게이터로부터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경로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제 1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
    상기 소스로부터 상기 어그리게이터로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릴레이하기 위해 소스 헬퍼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
    상기 소스 헬퍼에 스위칭 테이블을 셋업하고 설치하기 위해 상기 소스 헬퍼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스위칭 테이블은 상기 어그리게이터로 제 2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의 다수의 패킷들을 보내고, 상기 스위칭 테이블은
    상기 소스 및 상기 어그리게이터의 아이덴티티 정보, 및
    상기 제 1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과 연관된 세션 ID를 포함함 ―; 및
    상기 제 1 경로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제 1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의 품질이 품질 임계치 미만일 때, 적어도 하나의 추가 경로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상기 제 2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을 전송하도록 하는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경로는 상기 소스 헬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은 상기 세션 ID와 연관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소스.
  61. 제 60 항에 있어서,
    상기 어그리게이터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을 수신한 후 상기 제 1 경로가 이용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소스.
  62. 삭제
  63. 삭제
  64. 삭제
  65. 삭제
  66. 무선 어그리게이터 내의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소스로부터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코드;
    제 1 경로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제 1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을 수신하기 위한 코드;
    상기 소스로부터 상기 어그리게이터로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릴레이하기 위해 어그리게이터 헬퍼를 선택하기 위한 코드;
    상기 어그리게이터 헬퍼에 스위칭 테이블을 셋업하고 설치하기 위해 상기 어그리게이터 헬퍼와 통신하기 위한 코드 ― 상기 스위칭 테이블은 상기 어그리게이터로 제 2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의 다수의 패킷들을 보내고, 상기 스위칭 테이블은
    상기 소스 및 상기 어그리게이터의 아이덴티티 정보, 및
    상기 제 1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과 연관된 세션 ID를 포함함 ―; 및
    상기 제 1 경로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제 1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의 품질이 품질 임계치 미만일 때, 적어도 하나의 추가 경로를 통해 상기 소스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상기 제 2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을 수신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경로는 상기 어그리게이터 헬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은 상기 세션 ID와 연관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67. 제 66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요청한 후 상기 소스가 이용가능하다는 확인을 수신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68. 무선 소스 내의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어그리게이터로부터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코드;
    제 1 경로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제 1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을 전송하기 위한 코드;
    상기 소스로부터 상기 어그리게이터로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릴레이하기 위해 소스 헬퍼를 선택하기 위한 코드;
    상기 소스 헬퍼에 스위칭 테이블을 셋업하고 설치하기 위해 상기 소스 헬퍼와 통신하기 위한 코드 ― 상기 스위칭 테이블은 상기 어그리게이터로 제 2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의 다수의 패킷들을 보내고, 상기 스위칭 테이블은
    상기 소스 및 상기 어그리게이터의 아이덴티티 정보, 및
    상기 제 1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과 연관된 세션 ID를 포함함 ―; 및
    상기 제 1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의 품질이 품질 임계치 미만일 때, 적어도 하나의 추가 경로를 통해 상기 소스로부터 상기 어그리게이터로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상기 제 2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을 전송하도록 하는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경로는 상기 소스 헬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은 상기 세션 ID와 연관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69. 제 68 항에 있어서,
    상기 어그리게이터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을 수신한 후 상기 소스가 이용가능하다는 확인을 전송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70. 삭제
  71. 삭제
  72. 삭제
  73. 삭제
  74. 무선 통신을 위한 어그리게이터 장치로서,
    제 1 경로를 통해 소스로부터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요청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제 1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을 수신하고;
    상기 제 1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의 품질이 품질 임계치 미만인지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의 품질이 상기 품질 임계치 미만인 것에 응답하여, 상기 소스로부터 상기 어그리게이터 장치로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릴레이하기 위해 어그리게이터 헬퍼를 선택하고;
    상기 어그리게이터 헬퍼에 스위칭 테이블을 셋업하고 설치하기 위해 상기 어그리게이터 헬퍼와 통신하고 ― 상기 스위칭 테이블은 상기 어그리게이터로 제 2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의 다수의 패킷들을 보내고, 상기 스위칭 테이블은
    상기 소스 및 상기 어그리게이터 장치의 아이덴티티 정보, 및
    상기 제 1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과 연관된 세션 ID를 포함함 ―;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 경로를 통해 상기 소스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상기 제 2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을 수신하도록 요청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경로는 상기 어그리게이터 헬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은 상기 세션 ID와 연관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어그리게이터 장치.
  75. 제 7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상기 제 1 경로를 통해 상기 소스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요청을 수신한 후 상기 소스가 이용가능하다는 확인을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어그리게이터 장치.
  76. 무선 통신을 위한 소스 장치로서,
    어그리게이터로부터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제 1 경로를 통해 제 1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을 전송하고;
    상기 소스로부터 상기 어그리게이터로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릴레이하기 위해 소스 헬퍼를 선택하고;
    상기 소스 헬퍼에 스위칭 테이블을 셋업하고 설치하기 위해 상기 소스 헬퍼와 통신하고 ― 상기 스위칭 테이블은 상기 어그리게이터로 제 2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의 다수의 패킷들을 보내고, 상기 스위칭 테이블은
    상기 소스 및 상기 어그리게이터의 아이덴티티 정보, 및
    상기 제 1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과 연관된 세션 ID를 포함함 ―; 및
    상기 제 1 경로를 통해 전송된 상기 제 1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의 품질이 품질 임계치 미만일 때, 적어도 하나의 추가 경로를 통해 상기 소스로부터 상기 어그리게이터로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상기 제 2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을 전송하도록 하는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경로는 상기 소스 헬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디스크립션 서브스트림은 상기 세션 ID와 연관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소스 장치.
  77. 제 7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상기 어그리게이터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을 수신한 후 상기 소스가 이용가능하다는 확인을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소스 장치.
  78. 삭제
  79. 삭제
  80. 삭제
  81. 삭제
KR1020137035093A 2011-06-01 2012-06-01 다중 디스크립션 코딩을 통한 모바일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다중경로 관리 아키텍쳐 및 프로토콜들 KR1016408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150,708 2011-06-01
US13/150,708 US20120311072A1 (en) 2011-06-01 2011-06-01 Multipath management architecture and protocols for mobile multimedia service with multiple description coding
PCT/US2012/040606 WO2012167197A1 (en) 2011-06-01 2012-06-01 Multipath management architecture and protocols for mobile multimedia service with multiple description coding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5495A Division KR20150034812A (ko) 2011-06-01 2012-06-01 다중 디스크립션 코딩을 통한 모바일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다중경로 관리 아키텍쳐 및 프로토콜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6578A KR20140026578A (ko) 2014-03-05
KR101640860B1 true KR101640860B1 (ko) 2016-07-19

Family

ID=4621047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5495A KR20150034812A (ko) 2011-06-01 2012-06-01 다중 디스크립션 코딩을 통한 모바일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다중경로 관리 아키텍쳐 및 프로토콜들
KR1020137035093A KR101640860B1 (ko) 2011-06-01 2012-06-01 다중 디스크립션 코딩을 통한 모바일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다중경로 관리 아키텍쳐 및 프로토콜들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5495A KR20150034812A (ko) 2011-06-01 2012-06-01 다중 디스크립션 코딩을 통한 모바일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다중경로 관리 아키텍쳐 및 프로토콜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311072A1 (ko)
EP (1) EP2749114A1 (ko)
JP (1) JP5781691B2 (ko)
KR (2) KR20150034812A (ko)
CN (1) CN103563475B (ko)
WO (1) WO20121671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95338B2 (en) 2011-05-26 2015-03-31 Qualcomm Incorporated Multipath overlay network and its multipath management protocol
US9444887B2 (en) 2011-05-26 2016-09-13 Qualcomm Incorporated Multipath overlay network and its multipath management protocol
KR101884259B1 (ko) * 2011-08-11 2018-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US8885502B2 (en) 2011-09-09 2014-11-11 Qualcomm Incorporated Feedback protocol for end-to-end multiple path network systems
KR101410994B1 (ko) * 2012-12-18 2014-06-24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 통신 시스템,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및 그 시스템에서의 동시 전송 영역 설정 방법
US9680520B2 (en) 2013-03-22 2017-06-13 University Of Washington Through Its Center For Commercialization Ambient backscatter tranceivers,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using backscatter of ambient RF signals
CN106105235B (zh) 2014-01-09 2020-04-10 三星电子株式会社 在多媒体传输系统中发送媒体数据相关信息的方法和装置
US9973367B2 (en) 2014-02-11 2018-05-15 University Of Washington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using MIMO and spread spectrum coding in backscatter of ambient signals
US10382161B2 (en) 2014-02-11 2019-08-13 University Of Washington Wireless networking communicatio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operable using harvested power
JP6237357B2 (ja) * 2014-03-11 2017-11-29 富士通株式会社 パケット転送システムおよびパケット転送方法
US10079616B2 (en) 2014-12-19 2018-09-18 University Of Washington Devices and methods for backscatter communication using one or more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s including bluetooth low energy examples
CN108141646B (zh) 2015-08-12 2021-09-21 华盛顿大学 反向散射装置及结合反向散射装置的网络系统
CN108476417B (zh) * 2015-12-15 2021-12-07 昕诺飞控股有限公司 用于管理邻居表的方法和适用于管理邻居表的通信设备
CN108496094B (zh) 2016-01-26 2023-04-28 华盛顿大学 包含单边带操作的实例的反向散射装置
EP3440454A4 (en) 2016-04-04 2019-12-18 The University of Washington BROADCASTING DEVICES AND SYSTEMS PROVIDING BROADCAST SIGNALS HAVING OFDM PACKETS
US10812130B2 (en) 2016-10-18 2020-10-20 University Of Washington Backscatter systems, devices, and techniques utilizing CSS modulation and/or higher order harmonic cancellation
US10461783B2 (en) 2017-03-16 2019-10-29 University Of Washington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devices having backscatter and non-backscatter communication modes and hardware re-use
WO2018187737A1 (en) 2017-04-06 2018-10-11 University Of Washington Image and/or video transmission using backscatter devic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07515A1 (en) * 2001-07-03 2003-01-09 Apostolopoulos John G. System and method for receiving mutiple description media streams in fixed and mobile streaming media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46720B2 (ja) * 2000-08-04 2008-09-10 アバイア テクノロジ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コネクションオリエンテッドトランザクションにおけるurlオブジェクトのインテリジェントな需要に基づく認識
FI110977B (fi) * 2001-02-09 2003-04-30 Nokia Oyj Mekanismi palvelujen mainostamista ja käyttäjän auktorisointia varten
US7002942B2 (en) * 2001-08-02 2006-02-2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by splitting information among a plurality of proximal units
US6842446B2 (en) * 2002-04-19 2005-01-11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Method and system for increasing data rate in wireless communications through aggregation of data sessions
WO2004064310A2 (en) * 2003-01-11 2004-07-29 Omnivergent Communications Corporation Cognitive network
US20050015511A1 (en) * 2003-07-02 2005-01-20 Nec Laboratories America, Inc. Accelerated large data distribution in overlay networks
US7080173B2 (en) * 2004-05-27 2006-07-18 Microsoft Corporation Reducing information reception delays
US7724742B2 (en) * 2005-01-24 2010-05-25 Cisco Technology, Inc. Communication bonding systems and methods
US20060224763A1 (en) * 2005-03-18 2006-10-05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witching and simultaneous usage of 802.11a and 802.11g technologies for video streaming
US8467377B2 (en) * 2005-08-24 2013-06-18 Qualcomm Incorporated Interleaving VoIP/VIP transmission in multiple sessions to increase quality of service in mobile devices having multiple interfaces
US20070110035A1 (en) * 2005-11-14 2007-05-17 Broadcom Corporation, A California Corporation Network nodes cooperatively routing traffic flow amongst wired and wireless networks
US7630370B2 (en) * 2007-02-28 2009-12-08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Overlay join latency reduction using preferred peer list
US8175043B2 (en) * 2007-12-20 2012-05-08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disparate connection paths from a mobile user device to a base station through a mobile peer-to-peer (PTP) network
KR101414632B1 (ko) * 2008-03-06 2014-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의 릴레이를 통한 통신 방법 및 릴레이 시스템의 통신방법
US20090290555A1 (en) * 2008-05-21 2009-11-26 Comsys Communication & Signal Processing Ltd. Autonomous anonymous association between a mobile station and multiple network elemen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00088390A1 (en) * 2008-10-03 2010-04-08 Microsoft Corporation Data sharing proxy for mobile devices
US20120057456A1 (en) * 2009-04-16 2012-03-08 Nearvers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ed communication using short range and wide range communication links
US9125179B2 (en) * 2009-06-10 2015-09-0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frame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07515A1 (en) * 2001-07-03 2003-01-09 Apostolopoulos John G. System and method for receiving mutiple description media streams in fixed and mobile streaming media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81691B2 (ja) 2015-09-24
WO2012167197A1 (en) 2012-12-06
EP2749114A1 (en) 2014-07-02
US20120311072A1 (en) 2012-12-06
JP2014519287A (ja) 2014-08-07
KR20150034812A (ko) 2015-04-03
CN103563475B (zh) 2017-10-17
KR20140026578A (ko) 2014-03-05
CN103563475A (zh) 201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0860B1 (ko) 다중 디스크립션 코딩을 통한 모바일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다중경로 관리 아키텍쳐 및 프로토콜들
US10778779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ssion management for 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in high mobility scenarios
EP2827649B1 (en) User equipment and method for user equipment feedback of flow-to-rat mapping preferences
US20150312953A1 (en) Reliable Multicast/Broadcast for P2P Communications
US8885504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bandwidth aggregation of mobile internet access node
US8837395B2 (en) Method and entity for conveying data units
US9444887B2 (en) Multipath overlay network and its multipath management protocol
JP2018510553A (ja) アクセス制御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60048079A (ko) 모바일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KR102178236B1 (ko) 다수의 무선 액세스 기술들을 통한 다중 경로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들
US8995338B2 (en) Multipath overlay network and its multipath management protocol
US9591375B2 (en) On demand mobile wireless broadcast video delivery mechanism
JP2017028681A (ja) D2dリンクでのコンテンツ配達
US201603021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ip packet using segment routing
US11218910B2 (en) First node and a second node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GB2494645A (en) Application layer handoff between wireless networks
JP6468560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通信制御プログラム
EP3869755A1 (en) Control plane network function, user plane network function, and packet processing method using same
KR20150040080A (ko) 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픽 오프로딩 방법 및 장치
WO2019047706A1 (zh) 一种用户终端切换的方法、装置及系统
US20230254737A1 (en) Managing data networks on user equipments
WO2021029291A1 (ja) 経路指定された信号を転送する中継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404983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dia delivery in cooperative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