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0541B1 - 무선 통신 단말기 및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채널 접근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단말기 및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채널 접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0541B1
KR101640541B1 KR1020100096050A KR20100096050A KR101640541B1 KR 101640541 B1 KR101640541 B1 KR 101640541B1 KR 1020100096050 A KR1020100096050 A KR 1020100096050A KR 20100096050 A KR20100096050 A KR 20100096050A KR 101640541 B1 KR101640541 B1 KR 101640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efficiency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data packet
thres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6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4464A (ko
Inventor
전승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6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0541B1/ko
Priority to US13/179,621 priority patent/US8913956B2/en
Publication of KR20120034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4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0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04B17/327Received signal code power [RSC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where the output power of a terminal is based on a path parameter calculated in said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50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at the moment of starting communication in a multiple access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2Outer and inner loo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7Power values between minimum and maximum limits, e.g. dynamic range

Abstract

무선 통신 단말기로부터 기지국으로 데이터 패킷이 전송됨에 따라 예상되는 소모 에너지와 상기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의 전송량의 비율인 에너지 효율도를 연산하고, 상기 에너지 효율도의 임계(threshold)값을 설정한 후, 상기 에너지 효율도의 임계값을 기반으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의 채널에 접근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단말기 및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채널 접근 방법{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HANNEL ACCESS USING THE MOBILE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시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데이터 전송 전력 설정 및 채널 접근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WLAN(Wireless LAN), PAN(Personal Area Network)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은 다양한 음성 및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핵심 기술로서 다방면에 걸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최근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다양한 무선 통신 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는 컨텐츠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컨텐츠를 구동하는데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무선 통신 단말기를 구동할 수 있는 배터리 량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소모량을 절감할 수 있는 전력 관리 방안이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단말기는 제한된 배터리 용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장시간 이용이 어려우며, 최근 게임, 고화질 멀티미디어 등 전력 소모가 큰 애플리케이션들이 빠르게 도입되면서 실질적인 기기 이용 가능 시간은 더욱 부족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전체 전력 소모에서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통신에서의 전력 소모 절감은 에너지 효율적 배터리 사용 및 장시간 기기 이용을 원하는 소비자의 요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근거리 무선 통신은 기지국 및 단말기의 동일 채널에 경쟁적으로 접근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전송 채널 접근 및 전송 방법이 가장 널리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 전송 채널 접근 및 전송 방법은 쉽게 구현할 수 있고, 공유 자원의 효율적 사용을 이끌 수 있으나, 채널 접근 시 데이터 전송의 에너지 효율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실제 채널 접근 및 데이터 전송 시 필요 이상의 과다한 에너지가 소모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전송 채널 접근 및 전송 방법은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단말은 고정된 전력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에너지 효율을 크게 저하시킴으로써 배터리 낭비를 심화시킬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에서 상기 두 가지는 단말의 에너지 소모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므로 에너지 효율성 개선을 위해서는 이를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기는 기지국으로 데이터 패킷이 전송됨에 따라 예상되는 소모 에너지와 상기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의 전송량의 비율인 에너지 효율도를 연산하는 연산부, 상기 에너지 효율도의 임계(threshold)값을 설정하는 설정부 및 상기 에너지 효율도의 임계값을 기반으로 상기 기지국의 채널에 접근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판단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연산부는 상기 기지국과의 데이터 전송 링크 환경을 기반으로 상기 에너지 효율도를 연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판단부는 상기 에너지 효율도의 임계값을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 패킷의 전송에 따른 전력량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채널 접근 방법은 무선 통신 단말기로부터 기지국으로 데이터 패킷이 전송됨에 따라 예상되는 소모 에너지와 상기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의 전송량의 비율인 에너지 효율도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에너지 효율도의 임계(threshold)값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에너지 효율도의 임계값을 기반으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의 채널에 접근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에너지 효율도를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과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링크 환경을 기반으로 상기 에너지 효율도를 연산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단말기의 에너지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는 전송 채널 접근 및 전력 설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상태 및 내부의 데이터 큐(Queue) 상태에 따라 에너지 효율도 임계값(Threshold)을 가변적으로 산정하고, 상기 임계값을 참조하여 최적의 전송 전력 산출 및 채널 접근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모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채널 접근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채널 접근 방법의 상세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 큐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노트북(110), PDA(120) 등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단말기(Mobile Device) 및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들과 링크를 구성하여 외부 인터넷 망과의 연결을 담당하는 기지국(Access Point)(1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은 기지국(130)이 단말기(110, 12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순방향 링크와 각 단말기(110, 120)가 기지국(130)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방향 링크 전송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모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130) 및 단말기(110, 120)가 동일 채널에 경쟁적으로 접근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CSMA/C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ollision Avoidance) 기반 전송 채널 접근 및 전송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기 CSMA/CA 전송 방식의 무선 통신 환경에 적용 가능하게 설계되므로, 특별한 구조 변경 없이 기존의 무선 통신 기술에 쉽게 적용될 수 있는 호환성(Compatibility)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기(300)는 기지국으로 데이터 패킷이 전송됨에 따라 예상되는 소모 에너지와 상기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의 전송량의 비율인 에너지 효율도를 연산하는 연산부(310), 상기 에너지 효율도의 임계(threshold)값을 설정하는 설정부(320) 및 상기 에너지 효율도의 임계값을 기반으로 상기 기지국의 채널에 접근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판단부(33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기(300)는 채널을 점유하고 있는 다른 단말기가 데이터 패킷 전송을 마친 후, CW(Contention Window) 기간에 진입하였을 때 채널 접근 여부 및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무선 통신 단말기(300)가 채널 접근을 결정한 경우, 무선 통신 단말기(300)는 기지국에 RTS(Ready to Send) 패킷을 전송하고, 상기 RTS 패킷을 수신한 기지국은 CTS (Confirm to Send) 패킷을 전송하여 채널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무선 통신 단말기(300)는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 패킷을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기지국은 무선 통신 단말기(300)로 ACK (Acknowledge) 패킷을 전송함으로써, 정상적인 데이터 수신 여부를 통보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다른 무선 통신 단말기들은 상기 ACK 패킷을 동시에 수신함으로써 데이터 전송이 끝났음을 인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기지국의 CTS 및 ACK 컨트롤 패킷은 무선 통신 단말기(300)의 최대 전송 전력으로 송신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은 경우 기지국에서 거리가 멀리 떨어진 무선 통신 단말기들도 상기 최대 전송 전력을 수신하여 NAV(Network Allocation Vector)를 설정하여 숨겨진 노드 문제(Hidden node Problem)를 방지하고 CW 진입을 준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무선 통신 단말기가 채널에 접근하지 않기로 결정한 경우, 다음 CW까지 대기함에 따라 내부 부품의 전력 공급을 최소화함으로써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채널 접근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채널 접근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채널 접근 여부를 결정하고,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소모되는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기의 연산부(310)는 기지국으로 데이터 패킷이 전송됨에 따라 예상되는 소모 에너지와 상기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의 전송량의 비율인 에너지 효율도를 연산한다(41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기의 설정부(320)는 상기 에너지 효율도의 임계(threshold)값을 설정한다(42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기의 판단부(330)는 상기 에너지 효율도의 임계값을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 패킷의 전송에 따른 전력량을 결정한다(43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기의 판단부(330)는 상기 에너지 효율도의 임계값을 기반으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의 채널에 접근할지 여부를 결정한다(44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채널 접근 방법을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채널 접근 방법의 상세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기는 상기 기지국과의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공유할 수 있는 채널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채널이 사용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한다(510).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기는 배터리 상태 및 데이터 큐(Queue) 상태를 확인한다(520, 530).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기의 연산부(310)는 상기 기지국과의 데이터 전송 링크 환경을 기반으로 상기 에너지 효율도를 연산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에너지 효율도란 채널을 획득하여 데이터 패킷 1개를 전송하는 경우의 수신 데이터 양의 기대치와 이 때 소모되는 에너지의 비율로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상기 에너지 효율도는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기 위하여 소모되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소모 전력량에 의하여 결정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량은 헤더를 제외하고 L비트의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데이터 패킷이 무선 통신 단말기로부터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패킷이 성공적으로 기지국으로 전송되었다면 L비트가 된다.
그러나, 데이터 전송량은 전송 링크의 불안정 등 여러 오류로 인하여 완전한 데이터 전송에 실패하는 경우, 0비트로 정의될 수 있으므로 데이터 전송량 Dt는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Figure 112010063714994-pat00001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데이터 패킷이 성공적으로 전송되지 못하고 유실되는 경우를 확률적으로 FER (Frame Error Rate)로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FER은 데이터 패킷 내 적어도 1 비트 이상의 오류가 발생하여 전체 패킷이 훼손되는 확률로서 1비트의 오류 확률인 BER (Bit Error Rate)에 의하여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정의 할 수 있다.
Figure 112010063714994-pat00002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BER은 현재 전송 링크의 특성 및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전송 전력에 의하여 산술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SNR(Signal to Noise Ratio)에 의하여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SNR에서 데이터 전송 시 채널 링크 환경은 기지국의 주기적인 비콘(Beacon), 컨트롤 메시지 전송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CW 단계에서 무선 통신 단말가 인지할 수 있으며, 노이즈 전력 역시 알려져 있다고 가정하면, 상기 BER은 무선 통신 단말기의 패킷 송신 전력 P에 의해 결정되는 함수로 하기 수학식 3과 같이 정의 할 수 있다.
Figure 112010063714994-pat00003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량 Dt의 기대치는 하기 수학식 4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Figure 112010063714994-pat00004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무선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패킷 전송 시 소모되는 에너지 예상치를 산출할 수 있는데, 상기 소모 에너지 Et는 전송 전력과 전송 시간의 곱으로 하기 수학식 5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Figure 112010063714994-pat00005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전송 시간(T)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RTS 패킷 및 데이터 패킷 전송 시 소요되는 시간의 합으로서, 무선 통신 단말기의 각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률과 데이터 패킷의 길이를 통하여 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무선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에 대한 에너지 효율도 μt를 하기 수학식 6과 같이 정의 할 수 있다.
Figure 112010063714994-pat00006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무선 통신 단말기가 전송 시간(T) 및 데이터 비트(L)를 사전에 알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에너지 효율도(μt)는 전송 전력 P에 의한 수학식 6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무선 통신 단말기의 에너지 효율도는 전송 전력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기의 설정부는 에너지 효율도의 임계값을 설정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에너지 효율도의 임계값은 배터리의 잔존량 및 상기 데이터 패킷으로 구성되는 큐(queue) 상태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무선 통신 단말기의 에너지 사용에 따른 체감 손실도는 각각의 배터리 용량에 따라 상이하다 할 수 있으며, 잔존 배터리 용량이 부족할수록 절대 에너지 소모량이 동일하다 할 지라도 상대적으로 더 큰 에너지 손실을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경우의 무선 통신 단말기는 더욱 높은 에너지 효율도를 규정하여 가능한 적은 에너지를 사용하면서도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 큐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무선 통신 단말기는 상위 응용 계층에서 생성되어 전송해야 할 데이터를 자신의 데이터 큐에 적재한 후, 이에 적절한 헤더를 붙여 패킷으로 구성하여 기지국에게 전송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무선 통신 단말기의 잦은 데이터 전송 시도로 인한 단말기의 에너지 소모를 막기 위하여 데이터를 최대한 오래도록 큐에 적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데이터 큐가 모두 채워진 경우, 무선 통신 단말기는 이후 수신되는 데이터가 큐에 적재되지 못하고 유실(Overflow)될 수 있는데, 상기 유실되는 데이터를 상위에서 다시 가져오는 부담 및 전송 시간 지연에 따른 과다한 전송 지연 문제를 방지하고자, 적정 시간 내에 큐의 데이터 패킷을 적절히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각 무선 통신 단말기의 설정부(320)는 현재의 배터리 및 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상기 에너지 효율도의 임계값(THt)을 설정에 반영할 수 있는 바, 하기 수학식 7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Figure 112010063714994-pat00007
이때,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THmin은 상기 임계값의 최소값, 상기 THmax는 상기 임계값의 최대값, 상기 Bmax는 상기 배터리의 최대 용량, 상기 BC는 상기 배터리의 현재 용량, 상기 Qmax는 상기 큐의 최대 크기, 상기 QC는 상기 큐의 현재 크기, 상기 α 및 β는 가중인자로 정의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설정부(320)는 상기 큐의 현재 크기가 감소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의 현재 용량에 반비례하여 상기 에너지 효율도의 임계값(THt)을 높게 설정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무선 통신 단말기는 현재 큐의 길이가 적정 수준 이하로 유지되면 β가 강조되어 에너지 효율도의 임계값을 현재 배터리 상태를 고려하여 반비례하도록 최대한 높게 가져감으로써,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최대한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설정부(320)는 상기 큐의 현재 크기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에너지 효율도의 임계값(THt)을 낮게 설정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무선 통신 단말기는 큐의 길이가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경우, 큐 내부의 데이터를 신속하게 처리해야 할 필요성이 증가하므로 α가 강조되어 THmin의 반영이 증가하도록 조정됨으로써 에너지 효율도의 임계값을 낮게 설정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설정부(320)는 둘 이상의 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둘 이상의 큐의 크기를 합산하여 상기 에너지 효율도의 임계값을 설정하거나 상기 둘 이상의 큐 중에서 상기 큐의 현재 크기가 최대인 큐를 기반으로 상기 에너지 효율도의 임계값을 설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판단부(330)는 상기 에너지 효율도가 상기 에너지 효율도의 임계값 이상이 되도록 하는 상기 전력량을 결정할 수 있다(550).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무선 통신 단말기는 에너지 효율도 μt가 THt 이상의 값을 가질 수 있게 하는 전송 전력량 P의 최적값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무선 통신 단말기는 현재 전송 전력량(P)이 최대 허용 전송 전력량인 Pmax를 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현재 전송 전력량이 최대 허용 전송 전력량을 넘지 않는 경우 다음 단계로 진행하도록 제어한다(560).
반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라 상기 현재 전송 전력량이 최대 허용 전송 전력량을 넘는 경우, 무선 통신 단말기는 다음 전송 가능 시간까지 대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무선 통신 단말기는 적정 QoS가 유지될 수 있도록 FER 역시 사전에 정의된 FER의 허용치 FERconst를 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FER이 FERconst를 넘지 않는 경우 채널에 접근하도록 제어한다(580, 590).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기는 하기 수학식 8을 만족하는 최적의 전송 전력량(P)를 추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0063714994-pat00008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판단부(330)는 상기 에너지 효율도, 상기 에너지 효율도의 임계값 및 상기 전력량을 기반으로 상기 채널에 접근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기는 상기 수학식 8에 만족되는 전송 전력량을 결정한 경우, 데이터 패킷 전송을 결정하고 공유 채널에 접근하여 다른 단말들과 경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기는 채널을 획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채널을 획득한 경우 상기 결정된 전송 전력량으로 상기 데이터 패킷을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600, 610).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300: 무선 통신 단말기
310: 연산부
320: 설정부
330: 판단부

Claims (20)

  1. 기지국으로 데이터 패킷이 전송됨에 따라 예상되는 소모 에너지와 상기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의 전송량의 비율에 대응하는 에너지 효율도를 연산하는 연산부;
    상기 에너지 효율도의 임계(threshold)값을 설정하는 설정부; 및
    상기 에너지 효율도의 임계값을 기반으로 상기 기지국의 채널에 접근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판단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효율도는 채널을 획득하여 1개의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경우의 수신 데이터 양의 기대치와 소모되는 에너지의 비율인 무선 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기지국과의 데이터 전송 링크 환경을 기반으로 상기 에너지 효율도를 연산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에너지 효율도의 임계값을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 패킷의 전송에 따른 전력량을 결정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효율도는,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기 위하여 소모되는 전력량에 의하여 결정되는 무선 통신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효율도의 임계값은,
    배터리의 잔존량 및 상기 데이터 패킷으로 구성되는 큐(queue) 상태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결정되는 무선 통신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하기 수학식을 적용하여 상기 에너지 효율도의 임계값(THt)을 설정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
    [수학식]
    Figure 112016017594715-pat00009

    (상기 THmin은 상기 임계값의 최소값, 상기 THmax는 상기 임계값의 최대값, 상기 Bmax는 상기 배터리의 최대 용량, 상기 BC는 상기 배터리의 현재 용량, 상기 Qmax는 상기 큐의 최대 크기, 상기 QC는 상기 큐의 현재 크기, 상기 α 및 β는 가중인자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큐의 현재 크기가 감소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의 현재 용량에 반비례하여 상기 에너지 효율도의 임계값(THt)을 높게 설정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큐의 현재 크기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에너지 효율도의 임계값(THt)을 낮게 설정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둘 이상의 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둘 이상의 큐의 크기를 합산하여 상기 에너지 효율도의 임계값을 설정하거나,
    상기 둘 이상의 큐 중에서 상기 큐의 현재 크기가 최대인 큐를 기반으로 상기 에너지 효율도의 임계값을 설정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에너지 효율도가 상기 에너지 효율도의 임계값 이상이 되도록 하는 상기 전력량을 결정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에너지 효율도, 상기 에너지 효율도의 임계값 및 상기 전력량을 기반으로 상기 채널에 접근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
  12. 무선 통신 단말기로부터 기지국으로 데이터 패킷이 전송됨에 따라 예상되는 소모 에너지와 상기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의 전송량의 비율에 대응하는 에너지 효율도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에너지 효율도의 임계(threshold)값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에너지 효율도의 임계값을 기반으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의 채널에 접근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효율도는 채널을 획득하여 1개의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경우의 수신 데이터 양의 기대치와 소모되는 에너지의 비율인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채널 접근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효율도를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과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링크 환경을 기반으로 상기 에너지 효율도를 연산하는 단계인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채널 접근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효율도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기 위하여 소모되는 전력량에 의하여 결정되는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채널 접근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효율도의 임계값은,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의 잔존량 및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상기 데이터 패킷으로 구성되는 큐(queue) 상태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결정되는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채널 접근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효율도의 임계값을 설정하는 단계는,
    하기 수학식을 적용하여 상기 에너지 효율도의 임계값(THt)을 설정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채널 접근 방법.
    [수학식]
    Figure 112016017594715-pat00010

    (상기 THmin은 상기 임계값의 최소값, 상기 THmax는 상기 임계값의 최대값, 상기 Bmax는 상기 배터리의 최대 용량, 상기 BC는 상기 배터리의 현재 용량, 상기 Qmax는 상기 큐의 최대 크기, 상기 QC는 상기 큐의 현재 크기, 상기 α 및 β는 가중인자임.)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효율도의 임계값을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 패킷의 전송에 따른 전력량을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채널 접근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량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에너지 효율도가 상기 에너지 효율도의 임계값 이상이 되도록 하는 상기 전력량을 결정하는 단계인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채널 접근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에 접근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에너지 효율도, 상기 에너지 효율도의 임계값 및 상기 전력량을 기반으로 상기 채널에 접근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인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채널 접근 방법.
  20. 제12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100096050A 2010-10-01 2010-10-01 무선 통신 단말기 및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채널 접근 방법 KR101640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050A KR101640541B1 (ko) 2010-10-01 2010-10-01 무선 통신 단말기 및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채널 접근 방법
US13/179,621 US8913956B2 (en) 2010-10-01 2011-07-11 Mobile device and method of accessing channel using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050A KR101640541B1 (ko) 2010-10-01 2010-10-01 무선 통신 단말기 및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채널 접근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4464A KR20120034464A (ko) 2012-04-12
KR101640541B1 true KR101640541B1 (ko) 2016-07-18

Family

ID=45890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6050A KR101640541B1 (ko) 2010-10-01 2010-10-01 무선 통신 단말기 및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채널 접근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913956B2 (ko)
KR (1) KR1016405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32623B2 (en) * 2012-12-05 2017-11-28 T-Mobile Usa, Inc. Energy-efficient push/poll notification service
US11160019B2 (en) * 2019-01-11 2021-10-26 Mediatek Inc.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energy efficienc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76352A1 (en) * 2006-09-25 2008-03-27 Lawrence Der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channels for short range transmissions to broadcast receivers
US20080159215A1 (en) * 2006-12-28 2008-07-03 Patrick Hosein Integrated Scheduling and Power Control for the Uplink of an OFDMA Network
US20080240009A1 (en) * 2007-03-26 2008-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recep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3650A (en) * 1997-04-08 1999-07-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verse link rate scheduling
US20050143119A1 (en) 2003-12-31 2005-06-30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dividual power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wireless wide area network (WLAN/WWAN)
WO2005077028A2 (en) 2004-02-10 2005-08-2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battery consumption in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s (wtrus) employed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wireless wide area network (wlan/wwan)
KR100585296B1 (ko) 2004-07-28 2006-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개인영역 네트워크에서의 저전력 전송장치 및 그전송방법
US20060028984A1 (en) 2004-08-09 2006-02-09 Chang Gung University Energy efficient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for IEEE 802.11 WLANs
US20080192666A1 (en) 2007-02-12 2008-08-14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utilizing a peer network to extend battery life
KR100904342B1 (ko) 2007-07-30 2009-06-2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슬롯 기반 csma/ca 네트워크 구성에서의 ack보호 방법 및 성능척도 예측방법
KR20090108850A (ko) 2008-04-14 2009-10-19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반송파 감지 다중접속중 충돌회피 경쟁방식 기반의 무선개인영역 네트워크 시스템을 위한 서비스질 보장 및 에너지효율적 전송방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76352A1 (en) * 2006-09-25 2008-03-27 Lawrence Der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channels for short range transmissions to broadcast receivers
US20080159215A1 (en) * 2006-12-28 2008-07-03 Patrick Hosein Integrated Scheduling and Power Control for the Uplink of an OFDMA Network
US20080240009A1 (en) * 2007-03-26 2008-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recep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83211A1 (en) 2012-04-05
KR20120034464A (ko) 2012-04-12
US8913956B2 (en) 2014-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85095B2 (ja) チャネル推定特性及び報告要求に基づいた適応型チャネル状態フィードバック
KR100995189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서비스 품질 차별화 방법 및 무선장치
WO2017113471A1 (zh) 非授权频谱上先听后说机制的信道检测配置方法及装置
US20140185507A1 (en) Communication method of a terminal and an access point for multi-user transmission opportunity (txop) power saving
US20060293079A1 (en) Energy-aware communications for a multi-radio system
US20120099450A1 (en) Spatial reuse in a wireless network
CN100394748C (zh) 无线局域网分布式竞争控制退避方法
US20090141661A1 (en) Residual traffic state for wireless networks
WO2006065021A1 (en) Packet scheduling method for real-time traffic transmission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CN110149401B (zh) 一种用于优化边缘计算任务的方法和系统
CN106878439B (zh) 一种多节点计算机系统内中继节点选择和资源分配方法
JP2022551321A (ja) 通信方法及び装置
EP2696632A2 (en) System and method of power savings for mobile device using cloud service
WO2016192595A1 (zh) 一种数据传输方法、设备及系统
WO2020228259A1 (zh) 一种多跳无线唤醒方法及设备
KR101640541B1 (ko) 무선 통신 단말기 및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채널 접근 방법
CN109564516A (zh) 一种载波选择方法、终端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US20120099449A1 (en) Spatial resuse in a wireless network
CN108513309B (zh) 一种NB-IoT系统的接入拥塞控制方法
CN112788698B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及终端设备
US20230224693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2009130751A (ja) リソース予約装置、システム、方法
CN103916972A (zh) 一种启动rts/cts机制的方法和装置
CN113542215B (zh) 一种提升流媒体传输性能的方法及相关装置
Khandish et al. An efficient backoff scheme in wireless sensor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