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0474B1 - 유체제어밸브 - Google Patents

유체제어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0474B1
KR101640474B1 KR1020140187483A KR20140187483A KR101640474B1 KR 101640474 B1 KR101640474 B1 KR 101640474B1 KR 1020140187483 A KR1020140187483 A KR 1020140187483A KR 20140187483 A KR20140187483 A KR 20140187483A KR 101640474 B1 KR101640474 B1 KR 101640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valve body
sheet member
circumferential surface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7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7542A (ko
Inventor
정도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프씨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프씨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프씨인터내셔널
Priority to KR1020140187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0474B1/ko
Publication of KR20160077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7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0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0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tubular diaphragm
    • F16K7/04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tubular diaphragm constrictable by external radial force
    • F16K7/07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tubular diaphragm constrictable by external radial force by means of 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diaphragm, bellow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3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in which fluid from the circuit is constantly supplied to the fluid motor
    • F16K31/365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in which fluid from the circuit is constantly supplied to the fluid motor the fluid acting on a diaphrag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유체제어밸브에 있어서, 양단에 각각 유입구 및 배출구를 가지는 직관형 밸브본체와; 상기 밸브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밸브본체의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며 탄성변형이 가능한 튜브형 다이아프램과; 상기 다이아프램의 내부에서 상기 직관형 밸브본체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위치되는 디스크부와; 상기 디스크부를 양측에서 가압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밸브본체의 유입구 및 배출구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밸브본체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이아프램의 외주면과 상기 밸브본체의 내주면은 제어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다이아프램은, 상기 제어공간의 체적변화에 의하여 상기 디스크부의 외주면에 대하여 탄성변형됨으로써 그 내주면과 상기 밸브시트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이 제어되고 상기 복수개의 개구부를 통한 유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제어밸브를 개시하고있다.

Description

유체제어밸브{Flow control valve}
본 발명은 유체제어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직관형 구조를 가지며 다이아프램을 이용하여 유체의 유량을 제어하는 유체제어밸브에 관한 것이다.
유체제어밸브는 액체의 유량을 제어하는 장치를 말한다.
종래의 유체제어밸브는, 한국 공개특허 제10-2014-000384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관로를 형성하는 내부공간을 갖는 본체부; 본체부의 내부공간에 탄성 변형가능하게 장착되며 관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다이아프램; 다이아프램을 승하강시켜 다이아프램을 가압하여 다이아프램이 관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하는 가압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다이아프램의 작동을 위한 가압부는, 핸들의 회전에 의한 수동식,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전자식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유체제어밸브는, 다이아프램의 'T'자형 구조로 인하여 관로 내의 유체의 이동경로가 왜곡되어 지속적인 유속의 감속과 압력 손실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유체제어밸브는, 솔레노이드와 같은 전자식 구조를 가지는 경우 제어장치에 의한 작동신호가 수신된 후에도 개폐되는 시간이 지체되어 불필요한 유체가 이송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유체제어밸브는,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수직통로, 마감재, 물줄기 가이드 및 스프링 등 내부에 많은 부품들이 필요하기 때문에 원가가 높고 고장율이 증가되며, 사이즈가 크고 무거워 취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직관형 구조를 가짐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며 작용이 용이한 유체제어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유체제어밸브에 있어서, 양단에 각각 유입구 및 배출구를 가지는 직관형 밸브본체와; 상기 밸브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주면이 상기 밸브본체의 내주면과 제어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어공간의 체적변화에 따라서 상기 밸브본체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튜브형 다이아프램과; 상기 다이아프램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다이아프램의 탄성변형에 따라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배출구로의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시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시트부는, 상기 다이아프램의 내부에서 가로질러 배치되며 외주면이 상기 다이아프램의 탄성변형에 따라서 상기 다이아프램의 내주면과 면접촉되는 디스크부와; 상기 유입구와 상기 디스크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구로부터 측면의 외측으로의 하나 이상의 유로가 형성된 제1시트부재와; 상기 디스크부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설치되며 측면 외측으로부터 상기 배출구로의 하나 이상의 유로가 형성된 제2시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다이아프램은, 그 내주면이 상기 디스크부의 외주면과 접촉되었을 때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배출구로의 유체 흐름이 차단되며, 그 내주면이 상기 디스크부의 외주면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서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배출구로의 유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제어밸브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밸브본체의 양단 각각에 결합될 때 상기 다이아프램의 양단을 각각 고정하는 한 쌍의 고정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이아프램은, 상기 밸브본체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질 수 있다.
상기 다이아프램의 내주면은, 상기 디스크부와 접촉되는 부분과 밀착하기 위한 돌기부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시트부재와 상기 디스크부는 서로 면접촉되며, 상기 제2시트부재와 상기 디스크부는 서로 면접촉되며, 상기 제1시트부재와 상기 디스크부가 접촉하는 면 및 상기 제2시트부재와 상기 디스크부는 서로 접촉하는 면들에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요홈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 및 상기 요홈부는 횡단면이 다각형일 수 있다.
상기 제1시트부재 및 상기 제2시트부재는, 외형이 절두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시트부재 및 상기 제2시트부재는, 상기 디스크부와 면접촉되는 면접촉부와, 상기 면접촉부와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며 상기 면접촉부의 외경보다 큰 링부와, 상기 링부 및 상기 면접촉부를 연결하여 상기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량재어밸브는, 직관형 구조를 가지는 밸브본체 내에서 밸브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반경방향으로 변형됨으로써 관로를 개폐하는 다이아프램을 구비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며 작동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량재어밸브는, 직관형 구조를 가지는 밸브본체 내에서 밸브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반경방향으로 변형됨으로써 이송유체의 압력손실을 최소화하고 그 개폐시간을 최소화하여 불필요한 유체의 이송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유량재어밸브는, 다이아프램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밸브시트의 외주면에 환형의 요홈을 형성함으로써 다이아프램의 내주면과의 밀착도를 높여 관로의 개폐시 안정적인 폐쇄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제어밸브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은, 도 1의 유체제어밸브를 분해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디스크부 및 지지부의 예들을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의 유체제어밸브의 작동과정을 보여부는 종단면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체제어밸브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제어밸브는, 도 1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유체제어밸브에 있어서, 양단에 각각 유입구(101) 및 배출구(102)를 가지는 직관형 밸브본체(100)와; 밸브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주면이 밸브본체(100)의 내주면과 제어공간(250)을 형성하며 제어공간(250)의 체적변화에 따라서 밸브본체(100)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튜브형 다이아프램(200)과; 다이아프램(200)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다이아프램(200)의 탄성변형에 따라 유입구(101)로부터 배출구(102)로의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시트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이아프램(200)의 외주면과 밸브본체(100)의 내주면은 제어공간(25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다이아프램(200)은, 제어공간(250)의 체적변화에 의하여 그 내주면이 디스크부(510)의 외주면과 접촉되었을 때 유입구(101)로부터 배출구(102)로의 유체 흐름이 차단되며, 그 내주면이 상기 디스크부(510)의 외주면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서 유입구(101)로부터 상기 배출구(102)로의 유량을 제어한다.
상기 밸브본체(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에 각각 유입구(101) 및 배출구(102)를 가지며,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직관 구조를 가진다.
특히 상기 밸브본체(100)는, 양단에 각각 유입구(101) 및 배출구(102)를 가지며, 직관형 구조를 가지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밸브본체(100)는, 외부 배관 등과의 결합을 위하여 밸브본체(100)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렌지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렌지부(120)는, 외부 배관 등과의 결합을 위하여 밸브본체(100)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으로, 후술하는 볼트(105)가 밸브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삽입되는 복수개의 관통공(111)들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직관형 밸브본체(100)의 양단에는, 다이아프램(200)의 양단을 각각 고정하여 상기 밸브본체(100)를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고정관부(11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관부(110)의 양단에는 밸브본체(100)의 플렌지부(120)와 대응되어 볼트(105)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관통공(111)들이 형성된 플렌지부(130)가 형성되며, 고정관부(110)의 플렌지부(130)와 밸브본체(100)의 플렌지부(120)는 볼트(105) 및 너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 결합된다.
또한 상기 다이아프램(200)을 고정지지하기 위하여, 고정관부(110) 및 본체부(100)는 면접하는 부분에서 다이아프램(200)의 끝단의 단부(230)를 고정하는 수용부(14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다이아프램(200)의 끝단부분인 단부(230)는, 단면형상이 내측에 위치된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되며, 이러한 단부(230)가 고정관부(110) 및 본체부(100)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용부(142)에 수용되어 걸림됨으로써 다이아프램(200)을 고정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관부(110)와 본체부(100)는, 견고한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면 어떠한 재질도 가능하며 내부에 고압이 형성됨을 고려하여 강성이 높은 금속재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이아프램(200)은, 밸브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주면이 밸브본체(100)의 내주면과 제어공간(250)을 형성하며 제어공간(250)의 체적변화에 따라서 밸브본체(100)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도록 튜브형태로 형성되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이든 가능하다.
상기 다이아프램(200)은, 밸브시트부(500)의 외주면과 밸브본체(100)의 내주면 사이에 설치되며, 다이아프램(200)은 반경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한 튜브형 구조를 가진다.
이때, 상기 다이아프램(200)은, 고정부재(400) 및 밸브본체(100)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단부(230)의 단면형상이 내측에 위치된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으며, 단부(2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용부(142)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다이아프램(200)의 재질은, 플라스틱, 고무 등 탄성변형이 용이한 재질은 어떠한 재질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다이아프램(200)의 외주면은, 탄성강도를 고려하면서 강성을 높이기 위하여 밸브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형성된 복수의 리브들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이아프램(200)은, 밸브본체(100)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도록 형성되며, 디스크부(510)와 접촉되는 부분과 밀착하기 위한 돌기부(260)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260)는, 다이아프램(200) 중 디스크부(510)와 접촉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돌출된 환형의 링형상을 가짐으로써 디스크부(510)와의 밀착효과를 높여 상호 밀착시 유체흐름의 차단효과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다이아프램(200)은, 그 내주면이 상기 디스크부(510)의 외주면과 접촉되었을 때 상기 유입구(101)로부터 상기 배출구(102)로의 유체 흐름이 차단되며, 그 내주면이 상기 디스크부(510)의 외주면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서 상기 유입구(101)로부터 상기 배출구(102)로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밸브시트부(500)는, 다이아프램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다이아프램(200)의 탄성변형에 따라 유입구(101)로부터 배출구(102)로의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일예로서, 상기 밸브시트부(500)는, 다이아프램(200)의 내부에서 가로질러 배치되며 외주면이 다이아프램(200)의 탄성변형에 따라서 다이아프램(200)의 내주면과 면접촉되는 디스크부(510)와; 유입구(101)와 디스크부(510) 사이에 설치되며 유입구(101)로부터 측면의 외측으로의 하나 이상의 유로(530)가 형성된 제1시트부재(521)와; 디스크부(510)와 배출구(102) 사이에 설치되며 측면 외측으로부터 배출구(102)로의 하나 이상의 유로(530)가 형성된 제2시트부재(5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크부(510)는, 다이아프램(200)의 내부에서 가로질러 배치되며 다이아프램(200)의 탄성변형에 따라서 다이아프램(200)의 내주면과 면접촉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이든 가능하다.
특히 상기 디스크부(510)는, 제어공간(260)의 체적변화에 따른 다이아프램(200)의 탄성변형에 의하여, 다이아프램(200)의 내주면과 면접촉되거나 분리됨으로써 유입구(101)로부터 배출구(102)로의 유체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도록 다이아프램(200)의 내주면과 면접촉될 수 있는 측면을 가지는 원판구조이면 어떠한 구조도 가능하다.
상기 제1시트부재(521)는, 유입구(101)와 디스크부(510) 사이에 설치되며 유입구(101)로부터 측면의 외측으로의 하나 이상의 유로(530)가 형성되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2시트부재(522)는, 디스크부(510)와 배출구(102) 사이에 설치되며 측면 외측으로부터 배출구(102)로의 하나 이상의 유로(530)가 형성되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특히 상기 제1시트부재(521) 및 제2시트부재(522)는, 디스크부(5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유입구(101)로부터 배출구(102)로의 유로를 형성하며 다이아프램(200)의 내주면 및 디스크부(510)의 외주면 사이의 면접촉 또는 거리에 따라서 유체흐름의 차단, 유체의 유동량을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시트부재(521) 및 제2시트부재(522)는, 디스크부(510)의 양측에 설치되어 디스크부(510)가 다이아프램(200)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도록 가압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시트부재(521) 및 제2시트부재(522) 각각은, 한 쌍의 고정관부(110)가 밸브본체(100)의 양단과 각각 결합될 때 각 고정관부(110)에 의하여 밸브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제1시트부재(521), 디스크부(510) 및 제2시트부재(522)가 가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시트부재(521) 및 제2시트부재(522)는, 디스크부(510)와 면접촉되는 면접촉부(521a, 522a)와, 면접촉부(521a, 522a)와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며 면접촉부(521a, 522a)의 외경보다 큰 링부(521c, 522c)와, 링부(521c, 522c) 및 면접촉부(521a, 522a)를 연결하여 유로(530)를 형성하는 복수의 연결부(521b, 52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시트부재(521) 및 제2시트부재(522)는, 면접촉부(521a, 522a)를 상면으로 하는 절두뿔 형상의 외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면접촉부(521a, 522a)는, 디스크부(510)와 접촉하는 면을 하면으로 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며 원뿔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링부(521c, 522c)는, 면접촉부(521a, 522a)와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며 면접촉부(521a, 522a)의 외경보다 큰 구성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관부(110)에 의하여 밸브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관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시트부재(521) 및 제2시트부재(522)를 밸브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는 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연결부(521b, 522b)는, 면접촉부(521a, 522a)를 연결하여 유로(530)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유로(530)는, 유입구(101)로부터 밸브시트부(500)의 외주면으로의 1차 유로, 밸브시트부(500)의 외주면으로부터 배출구(102)로의 2차유로, 즉 제1유로를 배출구(102)로 연결하는 2차유로를 이룸으로써 그 개폐에 따라서 유체의 흐름이 제어된다.
한편, 상기 제1시트부재(521) 및 제2시트부재(522)의 면접촉부(521a, 522a)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돌출부(512) 및 요홈부(513)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며, 디스크부(510)의 접촉면에는 다른 하나가 형성되어 디스크부(510)와 상기 면접촉부(521a, 522a)들이 밀착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512) 및 요홈부(513)는, 횡단면이 다각형일 수 있으며, 돌출부(512)는 요홈부(513)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512) 및 요홈부(513)는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각의 요홈부(513)에는 오링이 추가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 다이아프램(200) 및 밸브시트부(500) 사이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어공간(260)의 체적변화에 따른 유체흐름의 제어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유체제어밸브가 닫힌 경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개폐부(17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여 제1관로(150)를 따라 제어공간(250)으로 유체가 유입됨에 따라서 제어공간(250)에서의 압력의 증가로 다이아프램(200)은 밸브시트부(500) 쪽으로 탄성변형되고 상기 제1시트부재(521) 및 제2시트부재(522)에 의하여 지지되어 궁극적으로 도 4a와 같이 다이아프램(200)의 내주면이 디스크부(510)의 외주면과 밀착되어 관로를 폐쇄하게 된다.
도 4b는, 유체제어밸브가 중간정도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a의 상태에서 개폐부(170)를 일부 개방한 경우 제1관로(150)를 따라 제어공간(250)으로 유체가 지속적으로 유입됨과 아울러 제2관로(160)를 통하여 일부 배출됨에 따라서 제어공간(250)에서의 압력이 하강하여 다이아프램(200)은 디스크부(510)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탄성변형되며, 도 4b와 같이 다이아프램(200)의 내주면이 디스크부(510)의 외주면과 어느 정도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제1시트부재(521) 및 제2시트부재(522)에 형성된 복수개의 유로(530) 사이로 유체가 흐르게 된다.
한편, 도 4b는 밸브가 닫힌 상태인 도 4a의 상태에서 밸브가 완전히 열린 상태인 도 4c의 상태로 변화되는 중간상태 또는 밸브가 완전히 열린 상태인 도 4c에서 밸브가 닫힌 상태인 도 4a의 상태로 변화되는 중간상태일 수 있다.
도 4c는, 밸브가 완전히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a 상태 또는 도 4b의 상태에서 개폐부(170)를 완전히 개방한 경우 제1관로(150)를 따라 제어공간(250)으로 유체가 지속적으로 유입됨에도 불구하고 제2관로(160)를 통하여 모두 배출됨에 따라서 제어공간(250)에서의 압력이 하강하여 다이아프램(200)은 디스크부(510)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탄성변형되어 도 4a와 같이 다이아프램(200)의 내주면이 디스크부(510)의 외주면과 가장 먼 상태로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제1시트부재(521) 및 제2시트부재(522)에 형성된 복수개의 유로(530) 사이로 유체가 흐르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로서, 상기 유체제어밸브는, 밸브가 완전히 열린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체제어밸브는, 도 4a의 상태에서 유체제어밸브를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폐쇄하고자 하는 경우 개폐부(170)를 완전히 닫거나 부분적으로 닫으므로써 제어공간(250) 내의 압력을 상승시켜 도 4a의 상태 또는 도 4b의 상태로 변환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밸브본체 400 : 고정부재
200 : 다이아프램 205 : 제어공간
300 : 밸브시트 500: 디스크부

Claims (7)

  1.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유체제어밸브에 있어서,
    양단에 각각 유입구 및 배출구를 가지는 직관형 밸브본체와;
    상기 밸브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주면이 상기 밸브본체의 내주면과 제어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어공간의 체적변화에 따라서 상기 밸브본체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튜브형 다이아프램과;
    상기 다이아프램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다이아프램의 탄성변형에 따라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배출구로의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시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시트부는,
    상기 다이아프램의 내부에서 가로질러 배치되며 외주면이 상기 다이아프램의 탄성변형에 따라서 상기 다이아프램의 내주면과 면접촉되는 디스크부와;
    상기 유입구와 상기 디스크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구로부터 측면의 외측으로의 하나 이상의 유로가 형성된 제1시트부재와;
    상기 디스크부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설치되며 측면 외측으로부터 상기 배출구로의 하나 이상의 유로가 형성된 제2시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다이아프램은, 그 내주면이 상기 디스크부의 외주면과 접촉되었을 때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배출구로의 유체 흐름이 차단되며, 그 내주면이 상기 디스크부의 외주면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서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배출구로의 유량을 제어하며,
    상기 제1시트부재와 상기 디스크부 및 상기 제2시트부재와 상기 디스크부는 서로 면접촉되며,
    상기 제1시트부재와 상기 디스크부가 서로 접촉하는 면들 및 상기 제2시트부재와 상기 디스크부가 서로 접촉하는 면들에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요홈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 및 상기 요홈부는 횡단면이 다각형이며,
    상기 밸브본체의 양단 각각에 결합될 때 상기 다이아프램의 양단을 각각 고정하는 한 쌍의 고정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고정관부는 상기 밸브본체의 양단 각각에 결합될 때 상기 제1시트부재, 상기 디스크부 및 상기 제2시트부재를 상기 밸브본체의 길이방향으로 가압시키며,
    상기 제1시트부재(521) 및 상기 제2시트부재(522)는, 상기 디스크부(510)와 면접촉되는 면접촉부(521a, 522a)와, 상기 면접촉부(521a, 522a)와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며 상기 면접촉부(521a, 522a)의 외경보다 큰 링부(521c, 522c)와, 상기 링부(521c, 522c) 및 상기 면접촉부(521a, 522a)를 연결하여 유로(530)를 형성하는 복수의 연결부(521b, 522b)를 포함하며,
    상기 제1시트부재(521) 및 상기 제2시트부재(522)는, 상기 면접촉부(521a, 522a)를 상면으로 하는 절두뿔 형상의 외형을 가지며,
    상기 링부(521c, 522c)는, 상기 면접촉부(521a, 522a)와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며 상기 면접촉부(521a, 522a)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상기 고정관부(110)에 의하여 상기 밸브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가압되며,
    상기 고정관부(110)는, 상기 제1시트부재(521) 및 상기 제2시트부재(522)에 대하여 면접촉에 의하여 상기 밸브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는 단부가 형성되며,
    상기 다이아프램은,
    상기 밸브본체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며,
    상기 다이아프램의 내주면은, 상기 디스크부와 접촉되는 부분과 밀착하기 위한 돌기부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제어밸브.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40187483A 2014-12-23 2014-12-23 유체제어밸브 KR101640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483A KR101640474B1 (ko) 2014-12-23 2014-12-23 유체제어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483A KR101640474B1 (ko) 2014-12-23 2014-12-23 유체제어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542A KR20160077542A (ko) 2016-07-04
KR101640474B1 true KR101640474B1 (ko) 2016-07-22

Family

ID=56500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7483A KR101640474B1 (ko) 2014-12-23 2014-12-23 유체제어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04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8607B1 (ko) * 2019-12-26 2022-05-17 주식회사 마스테코 소방설비용 델류즈 밸브 및 이를 이용한 개방형 스프링클러 설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1023A (en) * 1981-09-08 1984-05-29 Mil Mutzarim Techniim (1971) B.M. Tube-diaphragm valve
JPH07280108A (ja) * 1994-04-05 1995-10-27 Hitachi Metals Ltd ピンチバルブ
US7665713B1 (en) * 2006-06-21 2010-02-23 Hunter Industries, Inc. Sleeve valve for residential and commercial irrigation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542A (ko) 2016-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84206B2 (ja) 流量調整器
US8517338B2 (en) Diaphragm valve
US20160357198A1 (en) Pressure relief valve
US7950624B2 (en) Water valve apparatus
MX2013008783A (es) Valvula de irrigacion.
IL171506A (en) Fluid controller
US10060540B2 (en) Dual flow switching device
US20090260699A1 (en) Throttling structure for use in a fluid pressure device
US20170198826A1 (en) Flow Control Valve
US8789552B2 (en) Anti-siphon device for a flush valve
US8235354B2 (en) Regulating valve, particularly for regulating the flow of fluids in refrigeration systems
KR101640474B1 (ko) 유체제어밸브
US20170306597A1 (en) Washer with an adjustable inlet aperture for different water pressure
JP5215709B2 (ja) 水ガバナー
US2587960A (en) Transfer valve
CN105457774B (zh) 一种防滴水莲蓬头
KR200474811Y1 (ko) 샤워기
KR101629806B1 (ko) 비데용 밸브조립체
US20120103436A1 (en) Two-handle Type Faucet Having a double Anti-reverse function to prevent waste materials from flowing backward into the faucet when disaster happens
JP2011008381A (ja) 減圧弁
US7546999B2 (en) Solenoid valve for controlling water supply
JP7303005B2 (ja) 付勢部材保持器およびこれを備える減圧弁
KR101396486B1 (ko) 연료 압력조절기
CN218945354U (zh) 一种高效灌溉喷头防滴器
WO2021059963A1 (ja) バル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