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0452B1 -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0452B1
KR101640452B1 KR1020150170173A KR20150170173A KR101640452B1 KR 101640452 B1 KR101640452 B1 KR 101640452B1 KR 1020150170173 A KR1020150170173 A KR 1020150170173A KR 20150170173 A KR20150170173 A KR 20150170173A KR 101640452 B1 KR101640452 B1 KR 101640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aming media
media file
upload
unit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0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준동
김성제
류창현
김경욱
박근
이덕형
Original Assignee
(주)판도라티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판도라티비 filed Critical (주)판도라티비
Priority to KR1020150170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04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0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46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09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transcoding between formats or standards, e.g. from MPEG-2 to MPEG-4 or from Quicktime to Real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7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를 입력 받는 영상 정보 수신 단계, 상기 입력 받은 영상 정보를 소정의 파일 형식의 임시 미디어 파일을 생성하는 임시 미디어 파일 생성 단계, 상기 임시 미디어 파일을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로 변환하는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변환 단계, 상기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을 업로드 하는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업로드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업로드 단계는,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을 업로드하는 방식을 조절하는 업로드 조절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방법.

Description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stoppage of streaming media}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에서 획득한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모바일 기기에서 업로드 되는 파일을 조절하여 끊김 없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멀티미디어 스트리밍은 스토리지 서버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이나 혹은 영상 소스를 여러 사용자 단말(클라이언트)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에서는 데이터 수신과 재생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형태의 서비스를 말한다. 이러한 형태의 서비스는 최근 모바일 및 클라우드 환경의 확산과 함께 그 중요도가 널리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스트리밍 서비스 기술로는 HLS(Http live streaming) 방식과,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 방식 등이 있다. HLS 기술의 경우 기존의 웹 서버(Http 서버)를 큰 수정 없이 사용할 수 있고 프로토콜이 단순하여 최근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트랜스코딩이란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형식(파일 포맷)이나 해상도 및 화질 등을 변환하는 작업을 말한다.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스토리지 서버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파일은 대부분 고화질, 대용량인 경우가 많고 이는 모바일 단말로의 전송과 재생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서버에 저장된 소스 콘텐츠의 포맷이 클라이언트가 지원할 수 없는 형태인 경우에도 이에 대한 변환이 필요하다.
이러한 트랜스코딩은 대개 막대한 연산자원이 필요한 작업이므로, 실시간으로 다수의 클라이언트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서버의 입장에서는 미리 트랜스코딩을 실행해서 결과 파일을 미리 저장한 다음 이를 그때그때 요구에 맞도록 서비스하는 형태가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클라우드 등 기술의 보급으로 사용자가 업로드하는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한 스트리밍 서비스 요구가 증가하고 사용자 단말 또한 태블릿 PC, 스마트폰, 스마트TV 등으로 다변화됨에 따라 미리 트랜스코딩을 실시하기 어렵게 되고 있다. 그러므로 최근에는 사용자 요청 시 스트리밍의 실행과 동시에 트랜스코딩을 실시하는 실시간 트랜스코딩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서버의 연산 성능 발전이 이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모바일 기기의 경우 단말이 이동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상태가 계속해서 변화하게 된다. 현재 재생하고 있는 영상의 비트레이트(Bitrate: 끊김 없이 재생에 필요한 대역폭의 크기)가 현재 네트워크 대역폭보다 작은 경우에는 문제가 없지만, 반대로 와이파이(Wi-Fi), 3G Handoff등으로 인해 가용한 대역폭이 대폭 감소하는 경우에는 영상의 화질을 낮추지 않으면 원활한 업로드가 불가능하다. 이러한 환경에서 영상이 실시간 트랜스코딩 되고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상황 변화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더 낮은 화질로 인코딩 하도록 하여 비트레이트(Bitrate)를 낮
춤으로서 끊김을 방지하고 원활한 업로드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트랜스코딩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특허출원 제10-2011-35112호, 특허출원 제10-2012-67789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러한 기술에는 대역폭 및 인코딩 서버의 성능을 고려하여 트랜스코딩 화질 등을 결정하며, 특히, 사용자 단말의 네트워크 대역폭을 검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영상의 화질(비트레이트)을 변화시키는 기술에 기반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비트레이트를 낮추어 업로드를 하여도, 네트워크 상황이 개선되지 않으면, 업로드 해야 될 데이터는 증가하고, 업로드 영상이 실시간으로 스트리밍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업로드 해야 될 데이터를 스킵하여, 실시간 생성되는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업로드 함으로써, 실시간 스트리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에서 촬영된 영상을 기반으로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바일 기기에서 촬영된 영상을 기반으로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를 함에 있어서,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업로드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실시간에 근접한 끊김없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방법은, 영상 정보를 입력받는 영상 정보 수신 단계, 상기 입력받은 영상 정보를 소정의 파일 형식의 임시 미디어 파일을 생성하는 임시 미디어 파일 생성 단계, 상기 임시 미디어 파일을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로 변환하는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변환 단계, 상기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을 업로드 하는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업로드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업로드 단계는,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을 업로드하는 방식을 조절하는 업로드 조절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영상 정보 수신 단계는,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가공되지 않은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일 수 있고, 상기 임시 미디어 파일 생성 단계는, 상기 영상 정보 수신 단계에서 수신된 가공되지 않은 영상 정보를 모바일 기기 내에 탑재되어 있는 인코더 또는 소프트웨어 인코더를 이용하여 소정의 정해진 파일 형식의 임시 미디어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변환 단계는, 상기 임시 미디어 파일을 소정의 시간 또는 용량을 갖는 블록 단위로 분할하여 업로드용 청크 파일을 생성하는 청크(chunk) 파일 생성 단계, 상기 청크 파일에 대응되는 인덱스 파일을 생성하는 인덱스 파일 생성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업로드 조절 단계는,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의 비트레이트(bitrate)를 조절하여 업로드 하는 비트레이트 조절 단계, 업로드 대기중인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을 스킵하고,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을 우선적으로 업로드 하는 스킵 단계, 실시간으로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업로드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여,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를 종료하는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종료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비트레이트 조절 단계는,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이 업로드 되는 속도를 측정하는 업로드 속도 측정 단계, 상기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이 업로드 되는 속도가 기설정된 소정의 값 이하의 값인지 판단하는 업로드 속도 판단 단계, 상기 업로드 속도 판단 단계의 결과가 기설정된 소정의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의 비트레이트를 감소시키는 비트레이트 감소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킵 단계는, 업로드 대기중인 잔여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대기중인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 카운트 단계, 상기 대기중인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의 개수가 기설정된 소정의 개수보다 많은지를 판단하는 대기중인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 개수 판단 단계, 상기 대기중인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 개수 판단 단계에서 대기중인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 개수가 기절정된 소정의 블록 개수보다 많다고 판단되는 경우, 스킵 할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을 설정하는 스킵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 설정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종료 단계는, 업로드 중단 상태의 지속 시간을 측정하는 업로드 중단 상태 지속 시간 측정 단계, 상기 업로드 중단 상태 지속 시간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업로드 중단 상태 지속 시간이 기설정된 소정의 지속 시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업로드 중단 상태 지속 시간 판단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업로드 중단 상태 지속 시간 판단 단계에서, 업로드 중단 상태 지속 시간이 기설정된 소정의 지속 시간보다 큰 경우,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를 종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는, 영상 정보를 입력받는 영상 정보 입력부, 상기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소정의 파일 형식의 임시 미디어 파일을 생성하는 임시 미디어 파일 생성부, 상기 임시 미디어 파일을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로 변환하는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변환부, 상기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을 업로드 하는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업로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업로드부는,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을 업로드 하는 방식을 조절하는 업로드 조절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영상 정보 입력부는, 모바일 단말기기에 구비되어 있는 카메라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임시 미디어 파일 생성부는, 모바일 단말기기에 구비되어 있는 인코더 또는 소프트웨어 인코더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정보를 소정의 파일 형태의 임시 미디어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변환부는, 상기 임시 미디어 파일을 소정의 시간 또는 용량을 갖는 블록으로 분할하여 청크 파일 및 상기 청크 파일과 대응되는 인덱스 파일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업로드 조절부는,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의 비트레이트를 조절하는 비트레이트 조절부,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의 스킵 여부를 판단하는 스킵 판단부,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종료 판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비트레이트 조절부는,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의 업로드 속도를 측정하는 업로드 속도 측정부, 상기 업로드 속도 측정부에서 측정된 업로드 속도와 기설정된 소정의 업로드 속도 기준 값을 비교하는 업로드 속도 비교부, 상기 업로드 속도 비교부의 결과가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의 업로드 속도가 기설정된 소정의 업로드 속도 기준 값보다 작으면,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의 비트레이트를 감소시키는 비트레이트 감소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킵 판단부는, 업로드 대기중인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부, 상기 카운터부에서 카운트 된 업로드 대기중인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의 개수와 소정의 기준 값을 비교하는 잔여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 개수 비교부, 상기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 개수 비교부의 결과가 업로드 대기중인 잔여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 개수가 소정의 기준 값 이상이면, 스킵 할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을 설정하는 스킵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설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종료 판단부는, 업로드 중단 상태 지속 시간을 측정하는 업로드 중단 상태 지속 시간 측정부, 상기 업로드 중단 상태 지속 시간 측정부에서 측정된 업로드 중단 상태 지속 시간과 소정의 기준 시간을 비교하는 업로드 중단 상태 지속 시간 비교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업로드 중단 상태 지속 시간 비교부의 결과가 측정된 업로드 중단 상태 지속 시간이 소정의 기준 지속 시간보다 크면,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를 종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에서 촬영된 영상을 기반으로 스트리밍 서비스를 함에 있어서,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업로드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끊김 없는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방법의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방법의 구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변환 단계의 구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업로드 조절 단계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업로드 조절 단계의 보다 구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킵 단계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장치의 업로드 조절부의 구체적인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트리밍 서버 기술은 주로 웹 접근 표준 프로토콜인 HTTP를 통해 전달하는 방식이 큰 흐름이라고 할 수 있는데, 스트리밍 서버에 접속된 클라이언트의 실질 통신 대역폭에 대응하여 동영상 서비스 품질을 변경하면서 서비스하는 적응적 HTTP 스트리밍(HTTP adaptive streaming)이 제안되어 있다. HTTP 스트리밍 기술로는 애플(Apple)의 HLS(HTTP Live Streaming)와 어도비(Adobe)의 HDS(HTTP Dynamic Streaming) 등을 들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스트리밍 서비스는 Http Live Streaming (HLS) 방식을 기반으로 하여 설명하지만, 다른 스트리밍 기술의 경우도 기본적으로는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은 일반적으로 적용 가능하며, 단지 예시적인 것임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스트리밍 서버, 클라이언트 단 및 소스 미디어를 포함하는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제공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의 스트리밍 서버는 유선, 무선 등 네트워크를 통하여 저장소와 접속하며, 또한, 소스 미디어 데이터가 저장 및 관리되는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한다.
여기서, 네트워크란, WCDMA, HDPA, 3G, 4G 등 이동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등 근거리 통신망과, 인터넷이나 PSTN 등 유선 통신망을 포함한다.
또한, 여기서, 소스 미디어 데이터베이스는 클라우드 미디어 서버가 될 수도 있고, 별도의 저장소가 될 수도 있는데, 소스 미디어 데이터를 구성하는 콘텐츠는 다양한 소스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소스로는 미디어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미디어 서버, 3G 카메라, IP 카메라, 아날로그 카메라, PC, 스토리지 서버, 노트북, 스마트폰, 웹 하드, 스마트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생방송 스트림을 제공하는 셋-탑 박스나 카메라나 비디오 신호를 디지털로 압축하는 하드웨어 인코더, PC,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
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방법은, 영상 정보를 입력받는 영상 정보 수신 단계(S100), 상기 입력받은 영상 정보를 소정의 파일 형식의 임시 미디어 파일을 생성하는 임시 미디어 파일 생성 단계(S200), 상기 임시 미디어 파일을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로 변환하는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변환 단계(S300), 상기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을 업로드 하는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업로드 단계(S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영상 정보 수신 단계(S100)는, 모바일 기기에 구비되어 있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가공되지 않은 영상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입력받은 영상 정보는 임시 미디어 생성 파일 생성 단계(S200)에서, 모바일 기기 내에 탑재되어 있는 인코더 또는 소프트웨어 인코더를 이용하여 소정의 정해진 파일 형식의 임시 미디어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방법의 보다 구체적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방법을 설명한다.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변환 단계(S300)는 청크 파일을 생성하는 청크 파일 생성 단계(S310) 및 상기 청크 파일에 대응되는 인덱스 파일을 생성하는 인덱스 파일 생성 단계(S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변화 단계를 설명하면, 상기 청크 파일 생성 단계(S310)는, 상기 임시 미디어 생성 파일을 소정의 시간 또는 용량의 블록으로 분할하여 n개의 청크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덱스 파일 생성 단계(S320)는 상술한 과정으로 생성된 청크 파일과 대응되는 인덱스 파일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인덱스 파일은 청크 파일의 순서, 크기 등과 같은 청크 파일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소정의 시간 또는 용량의 블록으로 분할된 하나의 청크 파일 및 상기 소정의 시간 또는 용량의 블록으로 분할된 하나의 청크 파일에 대응되는 인덱스 파일을 합친 것을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이라 한다.
한편, 상기 업로드 조절 단계(S410)는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의 비트레이트를 낮추는 비트레이트 감소 단계(S420), 업로드 되지 못한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을 스킵하고, 새로 생성된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을 우선적으로 업로드 하는 스킵 단계(S430), 업로드가 중단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스트리밍 서비스를 종료하는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종료 단계(S4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업로드 조절 단계(S410)를 설명하면, 상기 비트레이트 감소 단계(S420)는,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이 업로드 되는 속도를 측정하는 업로드 속도 측정 단계(S421), 상기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이 업로드 되는 속도가 기설정된 소정의 값 이하의 값인지 판단하는 업로드 속도 판단 단계(S422), 상기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업로드 속도가 기설정된 소정의 값 이하일 경우, 상기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의 비트레이트를 감소시키는 비트레이트 감소 단계(S423)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킵 단계(S430)는, 업로드 대기중인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대기중인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 카운트 단계(S431), 상기 대기중인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의 개수가 기설정된 소정의 개수보다 많은지를 판단하는 대기중인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 개수 판단 단계(S432), 상기 대기중인 스트리밍 파일 블록 개수 판단 단계(S432)에서 대기중인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의 개수가 기절정된 소정의 개수보다 많다고 판단되는 경우, 스킵 할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을 설정하는 스킵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 설정 단계(S4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킵 단계(S430)의 실시 예로 도 7을 참조하면, 한 번에 업로드 되는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이 3개인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1 내지 3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을 정상적으로 업로드 한 후, 다음 업로드 과정에서 네트워크 문제로 인해 4,5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이 업로드 되지 못하면, 상기 업로드 대기중인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 4,5는 스킵하여, 3,6,7의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을 업로드 할 수 있다. 그리고 그 후에, 8 내지 15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을 업로드 하는 과정에서 네트워크 문제로 인해 8 내지 15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을 업로드 못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8 내지 15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을 스킵하고, 7,16,17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을 업로드하여, 영상이 끊김 없이 이어지도록 업로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종료 단계는, 업로드가 중단 상태 지속 시간을 측정하는 업로드 중단 상태 지속 시간 측정 단계(S441), 상기 업로드 중단 상태 지속 시간 측정 단계(S441)에서 측정된 업로드 중단 상태 지속 시간이 기설정된 소정의 시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업로드 중단 상태 지속 시간 판단 단계(S4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업로드 중단 상태 지속 시간 판단 단계(S422)에서, 업로드 중단 상태 지속 시간이 기설정된 소정의 시간보다 큰 경우,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를 종료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장치의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장치는 영상 정보를 입력받는 영상 정보 입력부(100), 상기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소정의 파일 형식의 임시 미디어 파일을 생성하는 임시 미디어 파일 생성부(200), 상기 임시 미디어 파일을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로 변환하는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변환부(300), 상기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을 업로드 하는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업로드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업로드부(400)는,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을 업로드 하는 방식을 조절하는 업로드 조절부(410)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영상 정보 입력부(100)는 모바일 단말기기에 구비되어 있는 카메라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임시 미디어 파일 생성부(200)는, 모바일 단말기기에 구비되어 있는 인코더 또는 소프트웨어 인코더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정보를 소정의 파일 형태의 임시 미디어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변환부(300)는 상기 임시 미디어 파일을 소정의 시간 또는 용량을 갖는 블록으로 분할한 청크 파일 및 상기 청크 파일과 대응되는 인덱스 파일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장치의 상기 업로드 조절부(410)의 구체적인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장치의 상기 업로드 조절부(41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장치의 상기 업로드 조절부(410)는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의 비트레이트를 조절하는 비트레이트 조절부(420),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의 스킵 여부를 판단하는 스킵 판단부(430),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종료 판단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비트레이트 조절부(420)는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의 업로드 속도를 측정하는 업로드 속도 측정부(421), 상기 업로드 속도 측정부(421)에서 측정된 업로드 속도와 기설정된 소정의 업로드 속도 기준 값을 비교하는 업로드 속도 비교부(422), 상기 업로드 속도 비교부(422)의 결과가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의 업로드 속도가 기설정된 소정의 업로드 속도 기준 값보다 작으면,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의 비트레이트를 감소시키는 비트레이트 감소부(4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킵 판단부(430)는, 업로드 대기중인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부(431), 상기 카운터부(431)에서 카운트 된 업로드 대기중인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의 개수와 소정의 기준 값을 비교하는 잔여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 개수 비교부(432), 상기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 개수 비교부의 결과가 업로드 대기중인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의 개수가 소정의 기준 값 이상이면, 스킵 할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을 설정하는 스킵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 설정부(4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종료 판단부(440)는 업로드 중단 상태 지속 시간을 측정하는 업로드 중단 상태 지속 시간 측정부(441), 상기 업로드 중단 상태 지속 시간 측정부(441)에서 측정된 업로드 중단 상태 지속 시간과 소정의 기준 시간을 비교하는 업로드 중단 상태 지속 시간 비교부(4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업로드 중단 상태 지속 시간 비교부의 결과가 측정된 업로드 중단 상태 지속 시간이 소정의 기준 시간보다 크면,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를 종료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서버 또는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컨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 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영상 정보 입력부
200 : 임시 미디어 파일 생성부
300 :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변환부
400 :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업로드부
430 : 스킵 설정부

Claims (14)

  1.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를 하는 방법에 있어서,
    영상 정보를 입력 받는 영상 정보 수신 단계;
    상기 입력 받은 영상 정보를 소정의 파일 형식의 임시 미디어 파일을 생성하는 임시 미디어 파일 생성 단계;
    상기 임시 미디어 파일을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로 변환하는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변환 단계;
    상기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을 업로드 하는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업로드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업로드 단계는,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을 업로드하는 방식을 조절하는 업로드 조절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업로드 조절 단계는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의 비트레이트(bitrate)를 조절하여 업로드 하는 비트레이트 조절 단계;
    업로드 대기중인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을 스킵하고,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을 우선적으로 업로드 하는 스킵 단계;
    실시간으로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업로드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여,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를 종료하는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종료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 수신 단계는,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가공되지 않은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이고,
    상기 임시 미디어 파일 생성 단계는,
    상기 영상 정보 수신 단계에서 수신된 가공되지 않은 영상 정보를 모바일 기기 내에 탑재되어 있는 인코더 또는 소프트웨어 인코더를 이용하여 소정의 정해진 파일 형식의 임시 미디어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변환 단계는
    상기 임시 미디어 파일을 소정의 시간 또는 용량을 갖는 블록 단위로 분할하여 업로드용 청크 파일을 생성하는 청크(chunk) 파일 생성 단계;
    상기 청크 파일에 대응되는 인덱스 파일을 생성하는 인덱스 파일 생성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방법.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트레이트 조절 단계는,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이 업로드 되는 속도를 측정하는 업로드 속도 측정 단계;
    상기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이 업로드 되는 속도가 기설정된 소정의 값 이하의 값인지 판단하는 업로드 속도 판단 단계;
    상기 업로드 속도 판단 단계의 결과가 기설정된 소정의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의 비트레이트를 감소시키는 비트레이드 감소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킵 단계는,
    업로드 대기중인 잔여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대기중인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 카운트 단계;
    상기 대기중인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의 개수가 기설정된 소정의 개수보다 많은지를 판단하는 대기중인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 개수 판단 단계;
    상기 대기중인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 개수 판단 단계에서 대기중인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 개수가 기절정된 소정의 블록 개수보다 많다고 판단 되는 경우, 스킵 할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을 설정하는 스킵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 설정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종료 단계는
    업로드 중단 상태의 지속 시간을 측정하는 업로드 중단 상태 지속 시간 측정 단계;
    상기 업로드 중단 상태 지속 시간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업로드 중단 상태 지속 시간이 기설정된 소정의 지속 시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업로드 중단 상태 지속 시간 판단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업로드 중단 상태 지속 시간 판단 단계에서, 업로드 중단 상태 지속 시간이 기설정된 소정의 지속 시간보다 큰 경우,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방법.
  8.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영상 정보를 입력 받는 영상 정보 입력부;
    상기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소정의 파일 형식의 임시 미디어 파일을 생성하는 임시 미디어 파일 생성부;
    상기 임시 미디어 파일을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로 변환하는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변환부;
    상기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을 업로드 하는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업로드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업로드부는,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을 업로드 하는 방식을 조절하는 업로드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업로드 조절부는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의 비트레이트를 조절하는 비트레이트 조절부;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의 스킵 여부를 판단하는 스킵 판단부;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종료 판단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 입력부는
    모바일 단말기기에 구비되어 있는 카메라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임시 미디어 파일 생성부는,
    모바일 단말기기에 구비되어 있는 인코더 또는 소프트웨어 인코더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정보를 소정의 파일 형태의 임시 미디어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변환부는
    상기 임시 미디어 파일을 소정의 시간 또는 용량을 갖는 블록으로 분할하여 청크 파일 및 상기 청크 파일과 대응되는 인덱스 파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장치.
  11. 삭제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비트레이트 조절부는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의 업로드 속도를 측정하는 업로드 속도 측정부;
    상기 업로드 속도 측정부에서 측정된 업로드 속도와 기설정된 소정의 업로드 속도 기준 값을 비교하는 업로드 속도 비교부;
    상기 업로드 속도 비교부의 결과가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의 업로드 속도가 기설정된 소정의 업로드 속도 기준 값보다 작으면,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의 비트레이트를 감소시키는 비트레이트 감소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장치.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스킵 판단부는,
    업로드 대기중인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의 개수를 카운트 하는 카운터부;
    상기 카운터부에서 카운트된 업로드 대기중인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의 개수와 소정의 기준 값을 비교하는 잔여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 개수 비교부;
    상기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 개수 비교부의 결과가 업로드 대기중인 잔여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 개수가 소정의 기준 값 이상이면, 스킵 할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을 설정하는 스킵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설정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장치.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종료 판단부는
    업로드 중단 상태 지속 시간을 측정하는 업로드 중단 상태 지속 시간 측정부;
    상기 업로드 중단 상태 지속 시간 측정부에서 측정된 업로드 중단 상태 지속 시간과 소정의 기준 시간을 비교하는 업로드 중단 상태 지속 시간 비교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업로드 중단 상태 지속 시간 비교부의 결과가 측정된 업로드 중단 상태 지속 시간이 소정의 기준 지속 시간보다 크면,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장치.


KR1020150170173A 2015-12-01 2015-12-01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1640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173A KR101640452B1 (ko) 2015-12-01 2015-12-01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173A KR101640452B1 (ko) 2015-12-01 2015-12-01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0452B1 true KR101640452B1 (ko) 2016-07-18

Family

ID=56679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0173A KR101640452B1 (ko) 2015-12-01 2015-12-01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04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9193B1 (ko) * 2016-11-17 2018-01-16 (주)판도라티비 실시간 파일 포맷 변환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US10231227B2 (en) 2016-06-03 2019-03-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point content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US10609581B2 (en) 2016-06-03 2020-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tup of wireless communic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1825A (ko) * 2003-11-28 2005-06-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고화질 인터넷 방송 서비스 시스템
KR20080101468A (ko) * 2007-05-18 2008-11-21 (주)비디오스퀘어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46245A (ko) * 2012-10-10 2014-04-1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동영상 서비스 장치 및 동영상 서비스 방법
KR101555792B1 (ko) * 2014-11-28 2015-09-2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멀티미디어 청크(chunk)를 수신하는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과, 그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1825A (ko) * 2003-11-28 2005-06-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고화질 인터넷 방송 서비스 시스템
KR20080101468A (ko) * 2007-05-18 2008-11-21 (주)비디오스퀘어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46245A (ko) * 2012-10-10 2014-04-1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동영상 서비스 장치 및 동영상 서비스 방법
KR101555792B1 (ko) * 2014-11-28 2015-09-2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멀티미디어 청크(chunk)를 수신하는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과, 그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31227B2 (en) 2016-06-03 2019-03-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point content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US10609581B2 (en) 2016-06-03 2020-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tup of wireless communication
KR101819193B1 (ko) * 2016-11-17 2018-01-16 (주)판도라티비 실시간 파일 포맷 변환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WO2018093051A1 (ko) * 2016-11-17 2018-05-24 (주)판도라티비 실시간 파일 포맷 변환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54357A1 (en) Fast encoding of live streaming media content
US9351020B2 (en) On the fly transcoding of video on demand content for adaptive streaming
US10375156B2 (en) Using worker nodes in a distributed video encoding system
US10063872B2 (en) Segment based encoding of video
KR101569510B1 (ko) 적응적 실시간 트랜스코딩 방법 및 이를 위한 스트리밍 서버
US10116971B2 (en) Method and system for fetching a portion of a live media stream before a first ad finishes playing to detect the subsequent ad indicator for live consecutive ad replacement
US10602153B2 (en) Ultra-high video compression
US10341561B2 (en) Distributed image stabilization
US10602157B2 (en) Variable bitrate control for distributed video encoding
US10506235B2 (en) Distributed control of video encoding speeds
US10499070B2 (en) Key frame placement for distributed video encoding
US20170078671A1 (en) Accelerated uploading of encoded video
US20210076086A1 (en) Digital data streaming using server driven adaptive bitrate
ITTO20090486A1 (it) Controllore dinamico della velocita' di trasmissione indipendente dal gruppo di immagini
US9674100B2 (en) Dynamic adjustment to multiple bitrate algorithm based on buffer length
KR101640452B1 (ko)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장치 및 방법
TWI519967B (zh) 雲端運算資源動態分配系統及其方法
US9247315B2 (en) Disabling of multiple bitrate algorithm for media programs while playing advertisements
US9942582B2 (en) Dynamic seeking in video delivery systems
EP4068779A1 (en) Cross-validation of video encoding
EP4376420A1 (en) Optimized video transcoding based on a timing requirement
US20240179331A1 (en) Optimized video transcoding based on a timing requirement
CN111182309B (zh) 一种视频解码处理方法及装置
JP2024076957A (ja) タイミング要件に基づく最適化されたビデオトランスコーディ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