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0441B1 - Portable Monitoring Device System and Methods for Neck Muscle Contraction - Google Patents

Portable Monitoring Device System and Methods for Neck Muscle Contra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0441B1
KR101640441B1 KR1020150007213A KR20150007213A KR101640441B1 KR 101640441 B1 KR101640441 B1 KR 101640441B1 KR 1020150007213 A KR1020150007213 A KR 1020150007213A KR 20150007213 A KR20150007213 A KR 20150007213A KR 101640441 B1 KR101640441 B1 KR 101640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personal terminal
portable personal
signal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72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충휘
임원빈
용준형
한해림
김건
이재석
홍숙정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07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044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04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A61B5/04012
    • A61B5/048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07Measuring contraction of parts of the body, e.g. organ, musc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89Electromyography [EM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Otolaryngology (AREA)
  • Dentistry (AREA)
  • Physi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neck muscle exercise and training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neck muscle EMG detection unit linked to a portable personal terminal (smartphone) to measure the degree of neck muscle activity, suggests a measurement result, customized exercise methods, and exercise prescription to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to allow a user to do exercise, allows a manager to manage multiple users, and can be used as a muscular contraction detector for assisting in exercise therapy. The portable neck muscle exercise and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eck muscle EMG detection unit detecting a neck muscle activity signal by attaching an EMG electrode to a neck muscle; a portable personal terminal detecting the degree of neck muscle activity by using an average (AVG) of the neck muscle muscle activity signal received from the neck muscle EMG detection unit and the pre-stored relative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RVIC) of the user; and a main server transmitting exercise prescription including exercise methods to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neck muscle activity received from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The neck muscle is a sternocleidomastoid muscle (SCM).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outputs the neck muscle activity signal and the degree of neck muscle activity and outputs a sound signal and an image signal for guiding the neck muscle exercise and training.

Description

휴대용 경부근 운동훈련 시스템 및 방법{Portable Monitoring Device System and Methods for Neck Muscle Contraction}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raining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개인단말(스마트폰)과 연동되는 경부근 근전도 검출부를 구비하여, 경부근의 근활성 정도를 측정하고, 휴대용 개인단말로 그 측정결과와 맞춤형 운동 방법, 운동처방을 제시하여 사용자가 스스로 운동하게 하고, 관리자로 하여금 다수의 사용자를 관리 가능하도록 하며, 운동치료 보조용 근수축 감지기로서도 사용가능한 휴대용 경부근 운동훈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to-light EMG detection unit interlocked with a portable personal terminal (smart phone), measures the degree of muscle activity in the vicinity of the light, presents the measurement result, the customized exercise method, and the exercise prescription to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To a portable light exercise training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be used as a muscle contraction sensor for exercise therapy, and to enable a manager to manage a large number of users.

사경(wry neck)이란 목이 기울어졌다는 뜻으로, 목 양쪽에 힘살이 불쑥 일어나는 근육인, 경부근의 일종인 흉쇄유돌근(sternocleidomastoid, SCM)(도 1 참조)이 뭉치면서 짧아지므로 이런 증상이 나타나며, 이 흉쇄유돌근이 짧아지면 머리는 그쪽으로 기울어지며 얼굴은 반대쪽으로 돌아가게 된다.The wry neck means that the neck is tilted, and the sternocleidomastoid (SCM) (see Fig. 1), which is a kind of muscles around the neck, is tightened on both sides of the neck. When the sternocleidomastoid muscle is shortened, the head tilts to the side and the face returns to the opposite side.

스마트폰, 컴퓨터, 태블릿 PC 등을 많이 사용하는 현대인들 중 많은 수가 경부통, 근막통증증후군, 거북목증후군, 두통 증가 등 다양한 질병을 경험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 목관절과 관련된 질환이 대표적이다.Many modern people who use smart phones, computers, and tablet PCs have experienced a variety of diseases such as cervical pain, myofascial pain syndrome, turtle neck syndrome, and headache, among which diseases related to neck joints are typical.

스마트폰이나 휴대용 모바일 기기의 장시간 사용은 부지불식간에 고개를 앞으로 내밀거나 과도하게 숙임으로 인한 경부근의 과긴장과 불균형을 초래한다. 지속되고, 반복된 이러한 자세는 경부통과 경부 심부근의 약화로 이어져 목뼈 만곡이 변형되는 문제로 발전하게 된다. 변형된 목뼈 만곡은 외과적 수술이나 약물로 치료되기 어렵고, 만성적인 경부통을 유발하거나 제한적 움직임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일상생활에서 올바른 자세, 특히 올바른 경부 자세를 취하거나 경부 심부근의 근력을 강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경부질환과 병변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Prolonged use of smartphones or portable mobile devices can lead to head tilting or excessive crouching, resulting in excessive tension and imbalance. This persistent and repeated posture leads to the weakening of the neck cervix and the cervical vertebrae, resulting in the problem of deforming the neck bone curvature. The deformed neck bending is difficult to be treated by surgical operation or medication, and it causes chronic cervical pain or causes limited move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ake correct posture, especially correct neck posture in everyday life, It is possible to prevent or treat neck diseases and lesions.

최근들어, 혈압 심박수 혈당 등의 생체신호를 검출하며, 스마트폰과 연동되거나, 그 자체가 스마트폰 기능을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경부근(목부위)에서 근전도를 검출하여 근활성정도를 평가하고, 그 결과 및 그에 따른 맞춤형 운동을 스마트폰을 통해 제시하는, 휴대용 경부근 자가 운동훈련 및 운동치료보조용 근수축 감지기 시스템은 현재 어디에도 없다.Recently, a number of wearable devices have been developed that detect vital signals such as blood pressure, heart rate blood sugar, etc., and are interfaced with a smartphone or have smartphone functions themselves. Nevertheless, There is now no portable light field self-excercise training or exercise therapy adjunct muscle contraction sensor system that detects and evaluates the degree of muscle activity and presents the result and the resulting customized exercise through a smart phone.

선행기술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33898호는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운동처방 및 운동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심박수, 가속도(활동도), 피부온도를 생체신호를 검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맞춤형 유산소 운동 방법을 제안한다.In the prior art,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2-0033898 relates to a exercise prescription and exercise management system that is interlocked with a smartphone and detects a living body signal by heart rate, acceleration (activity degree), and skin temperature, We propose a custom aerobic exercise method.

그러나,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33898호는 경부근 근전위를 검출하여, 검출된 경부근 근전위를 기초로 경부근 운동 훈련관련 운동처방 및 운동방법을 제안할 수 없다.However,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2-0033898, it is impossible to propose a motion prescription and exercise method related to light-intensity exercise training based on the detected light-muscle near-muscle potential by detecting the near-light muscle nearness.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휴대용 개인단말(스마트폰)과 연동되는 경부근 근전도 검출부를 구비하여, 경부근의 근활성 정도를 측정하고, 휴대용 개인단말로 그 측정결과, 맞춤형 운동 방법을 제시하여 사용자가 스스로 운동하게 하고, 관리자로 하여금 다수의 사용자를 쉽게 관리 가능하도록 하며, 운동치료 보조용 근수축 감지기로서도 사용가능한 휴대용 경부근 운동훈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personal terminal (smart phon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light exercise training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be used as a muscle contraction sensor for exercise therapy.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경부근 근전도 검출부에서 무선 전송되는 경부근 근전위를 휴대용 개인단말이 수신하여, 경부근 움직임에 따른 근활성 정도를 출력하고, 운동훈련 상황에 따른 맞춤형 운동훈련 가이드를 음성신호 및 영상신호(시각정보)로 출력하도록 이루어진, 휴대용 경부근 운동훈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able personal terminal receives a light-to-light near-field electric potential wirelessly transmitted from a light-to-light electromyogram detecting unit, outputs a degree of muscle activity according to motion around the light, And outputs the guide as a voice signal and a video signal (time informa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휴대용 개인단말에서 경부근 운동 훈련을 할 때 운동처방을 제시하고, 사용자가 해야 하는 운동 방법을 영상(시각정보)으로 실시간으로 화면에 출력하며, 사용자의 경부근의 근전위를 통해 사용자의 경부근 근활성 정도가 소정 상태로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는지 등을 평가하여 출력하고, 경부근군의 움직임이 정상적인지, 비정상적인지를 판단하여 출력하도록 이루어진, 휴대용 경부근 운동훈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xercise prescription when exercising near a light in a portable personal terminal, outputting a motion method to be performed by the user to a screen in real time using a video (visual information) And outputs the result of the evaluation of whether or not the movement of the light group is normal or abnormal. The portable light exercise Training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경부 심부근의 효율적인 운동을 방해하는 표층근의 근활성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그 활성을 통제함으로써 경부 심부근의 선택적이고 효율적인 운동이 가능하도록 보조하고 협조하며, 불필요한 표층근의 사용을 억제하고 선택적인 사용이 필요한 심부근을 정확하게 사용하도록 보조하고 협조하도록 이루어진, 휴대용 경부근 운동훈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activity of the surface muscles of the surface muscles that interfere with efficient motion around the cervical spine, thereby assisting and coordinating the selective and efficient exercise around the cervical spin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light exercise training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hich are designed to assist the use of a surface muscle and to precisely use a heart muscle requiring selective us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휴대용 경부근 운동훈련 시스템은, 경부근에 근전도 전극을 부착하여 경부근 근활성 신호를 검출하는, 경부근 근전도 검출부; 경부근 근전도 검출부로부터 수신된 경부근 근활성신호로부터 근활성도를 분석하고, 운동방법을 포함하는 운동처방을 출력하는, 휴대용 개인단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ortable light exercise train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to-light EMG detector for detecting a light muscle active signal by attaching an EMG electrode near the light; And a portable personal terminal for analyzing the muscle activity from the light muscle activity signal received from the light EMG detector and outputting the exercise prescription including the exercise method.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경부근 운동훈련 시스템은, 경부근에 근전도 전극을 부착하여 경부근 근활성 신호를 검출하는, 경부근 근전도 검출부; 경부근 근전도 검출부로부터 수신된 경부근 근활성신호의 평균(AVG)과, 기 저장된 사용자의 상대적 자발적 등척성 수축(RVIC)을 이용하여 경부근 근활성도를 검출하는, 휴대용 개인단말; 휴대용 개인단말로부터, 수신된 경부근 근활성도에 따라, 운동방법을 포함하는 운동처방을 휴대용 개인단말로 전송하는, 메인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ortable light exercise train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to-light EMG detector for detecting a light muscle active signal by attaching an EMG electrode near the light; A portable personal terminal for detecting a light muscle activity using an average AVG of the light muscle activity signal received from the light EMG detector and a relative spontaneous isometric contraction (RVIC) of the user stored previously; And a main server for transmitting an exercise prescription including a exercise method from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to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in accordance with the received light muscle activity.

상기 경부근은 흉쇄유돌근(SCM)이다.The vicinity of the light is a sternocleidomastoid muscle (SCM).

경부근 근전도 검출부는, 목의 좌우양측에서 경부근 근전도를 검출하는, 2채널로 이루어진, 경부근 근전도 센서부; 경부근 근전도 센서부로부터 수신된 경부근 근활성신호를, 증하고 잡음을 제거하는 전처리를 행하고 무선으로 휴대용 개인단말로 전송하는, 근전도 검출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light-to-light EMG detecting unit includes a light-to-light EMG sensor unit having two channels for detecting EMG near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neck; And an electromyogram detector for performing a preprocessing for removing noise from the light muscle activity signal received from the light EMG sensor unit and transmitting the signal to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by radio.

근전도 검출기와 휴대용 개인단말 사이의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행하여진다.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EMG detector and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is performed using Bluetooth.

근전도 검출기는, 증폭기와 필터를 구비하여, 경부근 근전도 센서부로부터 수신된 경부근 근활성 신호를 증폭하고 잡음을 제거하며,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전처리부;신호전처리부로 부터 수신된 경부근 근활성 신호를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기 위한 신호로 변환하는, 연산처리부; 연산처리부로부터 수신된 경부근 근활성 신호를 무선으로 휴대용 개인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electromyogram detector includes a signal preprocessing unit having an amplifier and a filter to amplify a light muscle active signal received from the light path electromyogram sensor unit, remove noise, and convert the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 operation processing unit for converting the muscle activation signal into a signal for transmission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light muscle active signal received from the operation processing unit to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경부근 근전도 센서부에서 1채널은 흉쇄유돌근(SCM)에 장착되는 2개의 신호전극을 포함하며, 머리에서 귀 뒤의 부분 또는 쇄골부분에 부착되는, 1개의 기준전극을 포함한다.One channel in the light EMG sensor part includes two signal electrodes mounted on the SCM, and includes one reference electrode attached to the back of the ear or the clavicle part.

흉쇄유돌근의 근활성 비율(SCM)(%)의 계산은Calculation of muscle activity rate (SCM) (%) of sternocleidomastoid muscle

SCM(%) = (AVG/RVIC)×100 SCM (%) = (AVG / RVIC) 100

(단, RVIC는 기 저장된 사용자의 상대적 자발적 등척성 수축 값, AVG는 경부근 근전도 검출부로부터 수신된 경부근 근활성신호의 평균)(Where RVIC is the relative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value of the pre-stored user, AVG is the average of the light activity signals received from the light EMG detector)

에 의해 구하여진다..

메인서버는 데이터 고유번호, 사용자 고유번호, 훈련과 측정과 RVIC를 구분값, 측정일시와 최대 수의적 등척성 수축(MVIC) 값과 SCM 값과 AVG 값을 포함하는 결과정보, MVIC의 데이터 고유번호를 저장한다.The main server includes data identification number, user identification number, discrimination between training and measurement and RVIC, result information including measurement date and time, maximum isometric contraction (MVIC) value, SCM value and AVG value, .

신호검출전극 및 기준전극은 일회용 접착용 근전도 패치 전극일 수 있으며, 또한, 중앙에 스냅을 구비한 Ag/AgCl 패치 타입 전극일 수 있다.The signal detecting electrode and the reference electrode may be electrosurgical patch electrodes for disposable adhesive, and may also be Ag / AgCl patch type electrodes with a snap in the center.

근전도 검출기는, 배터리의 잔량, 휴대용 개인단말과 연결여부, 무선통신 연결여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구비한다.The electromyogram detector further inclu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whether or not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and whether or not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휴대용 개인단말은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노트북 중 어느 하나이다.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is any one of a smart phone, a smart pad, and a notebook.

휴대용 개인단말은 안드로이드 앱에서 실행되도록 구성된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다.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has an application program configured to run in the Android app.

휴대용 개인단말은 경부근 근활성 신호, 경부근 근활성도를 출력하며, 경부근 운동훈련을 가이드 하기 위한 음성신호 및 영상신호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outputs the activity signal of light near the muscle and the activity of the muscle near the light and outputs a voice signal and a video signal for guiding the exercise training near the light.

본 발명의 휴대용 경부근 운동훈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휴대용 개인단말(스마트폰)과 연동되는 경부근 근전도 검출부를 구비하여, 경부근의 근활성 정도를 측정하고, 휴대용 개인단말로 그 측정결과, 맞춤형 운동 방법을 제시하여 사용자가 스스로 운동하게 하고, 관리자로 하여금 다수의 사용자를 쉽게 관리 가능하도록 하며, 운동치료 보조용 근수축 감지기로서도 사용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ortable light exercise training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therefo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degree of muscular activity in the vicinity of the light by providing a light-to-light EMG detection unit interlocked with a portable personal terminal (smart phone) As a result, a customized exercise method is presented to allow the user to exercise by himself, the administrator can easily manage a large number of users, and can also be used as a muscle contraction sensor for exercise therapy.

본 발명은, 경부근 근전도 검출부에서 무선 전송되는 경부근 근전위를 휴대용 개인단말이 수신하여, 경부근 움직임에 따른 근활성 정도를 출력하고, 운동훈련 상황에 따른 맞춤형 운동훈련 가이드를 음성신호 및 영상신호(시각정보)로 출력하도록 이루어져, 누구나 손쉽게 맞춤형 목 운동을 할 수 있다.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receives the light-muscle near-field electric potential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light-EMG detecting part and outputs the degree of muscular activity according to the motion of the light, Signal (time information), so that anyone can easily perform customized neck motion.

본 발명은, 휴대용 개인단말에서 경부근 운동 훈련을 할 때 운동처방을 제시하고, 사용자가 해야 하는 운동 방법을 영상(시각정보)으로 실시간으로 화면에 출력하며, 사용자의 경부근의 근전위를 통해 사용자의 경부근 근활성 정도가 소정 상태로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는지 등을 평가하여 출력하고, 경부근군의 움직임이 정상적인지, 비정상적인지를 판단하여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인의 상태를 보다 객관적으로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지속적으로 경부근 관리를 할 수 있으며, 또한, 지속적인 경부근 운동훈련을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 exercise prescription when exercising near a light in a portable personal terminal, outputs a motion method to be performed by a user to a screen in real time using a visual image (visual information) Whether or not the user's muscular muscle activity level is constantly maintained in a predetermined state, and outputs the evaluation result to determine whether the motion of the light muscle group is normal or abnormal and output the motion. Therefore, the user can know his / her condition more objectively,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continuously manage the light environment and to perform continuous exercise exercises near the light.

본 발명은, 경부 심부근의 효율적인 운동을 방해하는 표층근의 근활성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그 활성을 통제함으로써 경부 심부근의 선택적이고 효율적인 운동이 가능하도록 보조하고 협조하며, 불필요한 표층근의 사용을 억제하고 선택적인 사용이 필요한 심부근을 정확하게 사용하도록 보조하고 협조하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and controls the muscle activity of the superficial muscles that interfere effectively with the motion around the cervical spine, thereby assisting and coordinating the selective and efficient exercise of the vicinity of the cervical shaft and suppressing unnecessary use of the superficial muscle And assist and cooperate with the correct use of the vicinity of the core that requires selective use.

특히, 본 발명은 스마트폰, 휴대용 모바일 기기 등의 과사용으로 인한 경추 만곡의 변형, 교통사고 등으로 인한 목부위 통증 등을 심부근육의 선택적인 강화 운동을 통해 예방, 치료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ffectively used to prevent or treat neck pain caused by deformation of the cervical vertebrae caused by overuse of smart phones, portable mobile devices, or traffic accidents through selective strengthening exercises of deep muscles.

그리고, 본 발명은 의료융합기술을 기반으로 기존의 물리치료영역에, 보다 효과적인 치료중재와 치료목적에 정확히 도달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근전도, 운동평가, 앱을 통한 모니터링 등의 기술이 융합되어 사용자와 관리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일상생활에서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고, 임상에서도 치료사를 대신하여 환자에게 바이오피드백을 제공하는 자가 운동훈련용 치료기로 활용할 수 있다. 이는 경부의 잘못된 근활성 순서를 교정하도록 하여 치료효과를 단기간에 높임으로써 국가 및 개인의 의료비 부담을 낮추고 통증을 줄여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physiotherapeutic area to be more accurately reached to a more effective treatment intervention and treatment based on medical fusion technology, and also incorporates technologies such as EMG, exercise evaluation, and monitoring through an application, And can be conveniently used in everyday life, and can be used as a self-exercise training device that provides biofeedback to a patient instead of a therapist in a clinical setting. This can improve the quality of life by lowering the burden of medical expenses of the state and individuals and reducing pain by improving the treatment effect of the neck in the short term by correcting the wrong muscle activity sequence.

다시말해, 본 발명은, 첫째, 수술 등 침습적 치료 가능성을 낮추어 국가 및 개인의 의료비 부담을 낮추고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고, 둘째, 병원 및 의료 시설에서 받은 운동훈련 및 운동치료를 가정에서 보다 손쉽고 시간적 제약없이 운동훈련하여 치료효과를 단시간에 극대화하고 그 수준을 유지할 수 있으며, 셋째, 경부 심부근의 선택적이고 효율적인 운동을 통해 경부의 잘못된 근수축 순서와 수준을 교정하여 올바른 근수축과 활성을 갖도록 할 수 있으며, 넷째, 경부근 통증이나 경부 정렬이 부정확한 경우, 그 원인이 골격계인지 근육계인지 판단하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다섯째, 경부근군의 움직임이 올바르고, 적절한지를 측정, 평가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즉 올바른 목부위 움직임을 위한 운동훈련을 수행할 때, 수행한 운동을 모니터링하여 심부경부근 운동의 목적성에 부합한 올바른 방식으로 운동훈련을 하고 있는지 실시간 피드백과 동기부여를 제공하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여섯째, 심부경부근 운동훈련으로 완성된 목의 움직임이 일상생활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는지를 측정평가하고, 평가된 오차를 수정하여 장기목표를 달성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burden of the medical expenses of the state and individuals by lowering the possibility of invasive treatment for surgery and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and secondly, Third, it is possible to correct the muscle contraction order and level of the neck by selective and efficient exercise in the vicinity of the cervical vertebrae, so that the correct muscle contraction and activity can be maintained. And 4) it can be used to determine if the pain or neck alignment is inaccurate, if the cause is the skeletal or muscular system. Fifth, the movement of the light group can be used to measure and evaluate the correctness have. In other words, when performing exercise training for correct neck movement, it can be used to provide real-time feedback and motivation to monitor whether exercise is being exercised in the correct way that is consistent with the purpose of exercise in the vicinity of the heart, , It can be used to measure and evaluate whether the movement of the neck completed by the exercise training in the heart area is stable in daily life, and to correct the estimated error to achieve the long - term goal.

도 1은 흉쇄유돌근의 해부학적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용 경부근 운동훈련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휴대용 경부근 운동훈련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은 도 2의 근전도 검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는 도 4의 근전도 검출기의 외관 일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경부근 근전도 센서부를 사용자가 장착한 일예를 나타낸다.
도 7은 경부근 근전도 센서부의 전극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휴대용 경부근 운동훈련 시스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휴대용 개인단말에서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한 경우의 메인 조정화면의 일예이다.
도 10은 도 9의 메인 조정화면에서 사용자 관리를 선택하였을 때의 일예이다.
도 11은 도 9의 메인 조정화면에서 환경설정을 선택하였을 때의 일예이다.
도 12는 도 9의 메인 조정화면에서 피드백 훈련을 선택하였을 때의 일예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도 9의 메인 조정화면에서 근전도 측정을 선택하였을 때의 일예이다.
도 14는 도 9의 메인 조정화면에서 측정기록을 선택하였을 때의 일예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anatomical position of a sternocleidomastoid muscle.
2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portable light exercise train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portable light exercise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omyogram detecting unit of Fig. 2; Fig.
Fig. 5 shows an example of the appearance of the electromyogram detector of Fig.
Fig. 6 shows an example in which a user is attached to the light-surface electromyographic senso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shows an example of electrodes of the light-branch electromyographic sensor unit.
8 is a use state diagram of a portable light exercise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ample of a main adjustment screen when an application program is executed in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shows an example when user management is selected on the main adjustment screen of FIG.
FIG. 11 shows an example when environment setting is selected on the main adjustment screen of FIG.
FIG. 12 shows an example when feedback training is selected in the main adjustment screen of FIG.
Figs. 13A and 13B show an example when electromyography measurement is selected in the main adjustment screen of Fig.
Fig. 14 shows an example when measurement recording is selected in the main adjustment screen of Fig.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경부근 운동훈련 시스템 및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ortable light exercise training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휴대용 경부근 운동훈련 시스템 및 방법의 휴대용 경부근 운동훈련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모식도이다.FIG. 2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portable light exercise training system of a portable light-ground exercise training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휴대용 경부근 운동훈련 시스템은 경부근 근전도 검출부(100)과 휴대용 개인단말(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경부근 근전도 검출부(100)는 경부근 근전도 센서부(10)와 근전도 검출기(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ortable light exercise train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to-light EMG detecting unit 100 and a portable personal terminal 200. The light EMG detecting unit 100 includes a light-to-light EMG sensor unit 10 and an electromyography detector 90).

사용자의 경부근에 경부근 근전도 센서부(10)를 부착하여 경부근 근전도 신호, 즉, 경부근 근활성 신호을 검출하며, 검출된 경부근 근활성신호는 근전도 검출기(90)에서 증폭 및 잡음을 제거하는 전처리되어 무선으로 휴대용 개인단말(200)로 전송한다. 휴대용 개인단말(200)은 수신된 근활성신호를 실시간으로 저장, 출력하고, 또한, 수신된 근활성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운동처방을 출력한다. 본발명에서 경부근은 흉쇄유돌근일 수 있다.The light-EMG sensor 10 detects the light-EMG signal, that is, the light-muscle muscle activation signal near the user's light, and the detected light muscle activity signal is amplified and removed by the electromyogram detector 90 And transmits it to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200 wirelessly.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200 stores and outputs the received muscle activity signal in real time, analyzes the received muscle activity signal, and outputs the exercise prescription of the us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icinity of the light may be a sternocleidomastoid muscle.

운동처방은 운동방법과 운동횟수 등을 포함한다.Exercise prescription includes exercise method and exercise frequency.

휴대용 개인단말(200)은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노트북 등일 수 있으며,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스마트 폰과 같은 생활전자기기에 사용하도록 개발한 안드로이드 앱(OS ver: Android 4.1)에서 실행되도록 구성된 프로그램일 수 있다.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200 may be a smart phone, a smart pad, a notebook, or the like, and has a predetermined application program installed therein. The application program may be a program configured to be executed in an Android application (OS ver: Android 4.1) developed for use in a living electronic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휴대용 개인단말(200)은 경부근 근활성신호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운동처방을 연산처리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메인서버(300)로부터 운동처방을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200 can operate and output the exercise prescription itself by using the light muscle activity signal, and in some cases, receive the exercise prescription from the main server 300 and output it.

근전도 검출기(90)와 휴대용 개인단말(200)의 사이는 무선 통신이 행하여지되, 바람직하게는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통신이 행하여질 수 있다.Wireless communication is performed between the electromyogram detector 90 and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200, and preferably,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using Bluetooth.

경부근 근전도 센서부(10)는 경부근의 위치에 부착되는 신호검출전극들(12, 14)과, 신체의 움직임이 적은 부위에, 예를들어 머리에서 귀뒤의 부분 또는 쇄골부분 등에 부착되는 기준전극(접지전극)(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light-EMG sensor unit 10 includes signal detecting electrodes 12 and 14 attached to a position near the light, a reference electrode attached to a part where the movement of the body is small, for example, And an electrode (ground electrode) 16.

도 3는 본 발명의 휴대용 경부근 운동훈련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로, 근전도 검출부(100), 휴대용 개인단말(200), 메인서버(300), 데이터저장용 단말(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entir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light exercise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ncludes an electromyogram detection unit 100, a portable personal terminal 200, a main server 300, and a data storage terminal 400 .

휴대용 개인단말(200)은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메인서버(300)에 사용자 등록을 행하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따라 근전도 검출부(100)에서 측정한 경부근 근활성 신호를 수신하여, 메인서버(300)로 전송하며, 메인서버(300)와 연동하여 운동처방을 출력한다.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200 installs a predetermined application program and performs user registration with the main server 300.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200 receives the light muscle activity signal measured by the electromyogram detector 100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program, 300 and outputs the exercise prescription in conjunction with the main server 300. [

휴대용 개인단말(200)에서 근전도 검출부(100)로부터 수신된 근전도 측정 데이터는 uV단위의 데이터이며, 휴대용 개인단말(200)에서는 전체 근전도 측정 데이터 중 경부근 수축 구간의의 평균값(AVG)을 구한다.The EMG measurement data received from the EMG detection unit 100 in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200 is data in units of uV and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200 obtains the average value AVG of the light period contraction interval in the entire EMF measurement data.

또한 휴대용 개인단말(200)은 사용초기에 사용자의 상대적 자발적 등척성 수축(relative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RVIC)를 측정하게 하여, 이를 메인서버(300)로 전송하여 저장하게 한다. RVIC는 근전도 측정 데이터 중 측정에 필요한 구간의 평균값(AVG)중 하나로, 측정에 필요한 SCM(%)(흉쇄유돌근의 근활성 비율)을 계산하기 위한 기준값이다. RVIC 측정은 화면에서 제시하는 신호를 듣고 사용자가 일상적인 힘으로 경부근에 힘을 가하였을 때의 경부근 근전도를 측정하여, RVIC를 검출한다.Also,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200 may measure the relative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RVIC) of the user at the beginning of use, and transmit the measurement result to the main server 300 for storage. RVIC is one of the average values (AVG) of the interval required for measurement among the EMG measurement data, and is a reference value for calculating the SCM (%) (muscle activity ratio of the sternoclavicular muscles) necessary for the measurement. The RVIC measurement detects the RVIC by measuring the EMG near the light when the user hears the signal presented on the screen and forces the light near the light by the user.

SCM(%)은 SCM(%)= (AVG / RVIC)×100 로 구하여 진다. The SCM (%) is obtained as SCM (%) = (AVG / RVIC) × 100.

또한, 경우에 따라서, 휴대용 개인단말(200)은 사용초기에 사용자의 최대 수의적 등척성 수축(Maximum Voluntary Isomeric Contraction, MVIC)를 측정하게 하여, 이를 메인서버(300)로 전송하여 저장하게 한다. MVIC는 %MVIC 값을 나타내기 위하여 정규화 과정에서 이용됨으로써 졍규화 된 개인별 흉쇄유돌근의 근활성 비율을 보는 것이다. MVIC 측정은 화면에서 제시하는 신호를 듣고 사용자가 최대의 힘으로 경부근에 힘을 가하였을 때의 경부근 근전도를 측정하여, MVIC를 검출한다. In some cases,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200 allows the user to measure the maximum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MVIC) at the beginning of use, and transmits the MVIC to the main server 300 for storage. The MVIC is used to normalize the% MVIC value to see the muscle activity rate of the individual sternocleidomastoid muscle. The MVIC measurement detects the MVIC by measuring the EMG near the light when the user hears the signal presented on the screen and the user applies force to the light with maximum force.

%MVIC는 (AVG/MVIC)×100 으로 구하여 진다. The% MVIC is obtained as (AVG / MVIC) × 100.

메인서버(300)는 휴대용 개인단말(200)로부터 수신된 경부근 근활성 신호를 이용하여, 운동처방에 필요한 데이터를 생성하여 휴대용 개인단말(200)로 제공하거나, 운동처방 데이터를 생성하여 휴대용 개인단말(200)로 제공하며, 사용자의 경부근 근활성 신호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운동처방 데이터 또는 운동처방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The main server 300 generates data necessary for the exercise prescription using the light muscle activity signal received from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200 and provides the data to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200 or generates exercise prescription data, To the terminal 200, stores the muscle activity signal of the user, and stores the exercise prescription data or data necessary for the exercise prescription.

또한, 메인서버(300)는 데이터저장용 단말(400)로부터 요청에 따라 임시저장된 데이터, 즉, 사용자들의 경부근 근활성 신호, 사용자의 운동처방 데이터 또는 운동처방에 필요한 데이터 등을 데이터저장용 단말(400)로 전송한다.In addition, the main server 300 transmits data temporarily stored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data storage terminal 400, that is, data on a muscle activity near the user's light, exercise prescription data of the user, or exercise prescription, (400).

데이터저장용 단말(400)은 메인서버(300)로부터, 사용자들의 경부근 근활성 신호, 사용자의 운동처방 데이터 또는 운동처방에 필요한 데이터 등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메인서버(300)의 요청에 따라 이들 데이터를 메인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data storage terminal 400 receives and stores the activity signal of the user, the exercise prescription data of the user, the exercise prescription data, and the like from the main server 300, And can transmit these data to the main server 300. [

메인서버(300) 또는 데이터저장용 단말(40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데이터 고유번호, 사용자 고유번호, '훈련, 측정, RVIC 구분' '측정일시, MVIC, SCM, AVG 등 결과정보, MVIC의 데이터 고유번호, 구간 마스크 정보, 측정데이터 등을 일 수 있다. 여기서, 구간 마스크 정보는 전체 근전도 측정 데이터 중 원하는 측정 구간을 설정하는 것이다.The data stored in the main server 300 or the data storage terminal 400 includes data unique number, user identification number, 'training, measurement, RVIC classification' measurement date and time, result information such as MVIC, SCM, AVG, Data unique number, interval mask information, measurement data, and the like. Here, the section mask information sets a desired measurement section of the entire electromyogram measurement data.

도 4은 도 2의 근전도 검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omyogram detecting unit of Fig. 2; Fig.

경부근 근전도 센서부(10)는 피부에 접촉되어 신체의 근전도를 측정하기 위한 2채널 근전도 측정 센서로 전도성 고무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목의 좌우양측에서 근전도 신호를 검출하며, 따라서 좌우 양측에 2개의 신호검출전극들(12, 14)이 장착되고, 기준전극(16)은 좌우 양측에 또는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 신호검출전극들(12, 14) 및 기준전극(16)으로 일회용 접착용 근전도 패치 전극, 즉, Ag/AgCl 패치 타입 전극을 사용할 수 있다. The light-EMG sensor unit 10 is a two-channel electromyography sensor for measuring the EMG of the body in contact with the skin, and may be constituted by conductive rubber. That is, the electromyogram signal is detect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neck, so that two signal detecting electrodes 12 and 14 are mount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and the reference electrode 16 can be mounted on both sides or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The electrosurgical patch electrode for disposable adhesive, that is, the Ag / AgCl patch type electrode can be used as the signal detecting electrodes 12 and 14 and the reference electrode 16. [

근전도 검출기(90)는 신호전처리부(20), 연산처리부(50), 통신부(60), 전원부(70), 디스플레이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electromyogram detector 90 includes a signal preprocessing unit 20, an arithmetic processing unit 50, a communication unit 60, a power supply unit 70, and a display unit 80.

신호전처리부(20)는 증폭기와 필터를 구비하여, 경부근 근전도 센서부(10)로부터 수신된 경부근 근활성 신호를 증폭(차동증폭)하고 잡음을 제거하며, 디지탈 신호로 변환한다.The signal preprocessing unit 20 includes an amplifier and a filter to amplify (amplify) the light muscle active signal received from the light path electromyogram sensor unit 10, remove noise, and convert it into a digital signal.

휴대용 개인단말(200)에서 신호전처리부(20)의 필터의 필터링되는 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으며, 신호전처리부(20)의 증폭기의 이득도 설정할 수 있다. 즉, 휴대용 개인단말(200)에서 수신된 필터링 주파수 신호에 따라 신호전처리부(20)의 필터의 필터링되는 주파수가 조정되며, 휴대용 개인단말(200)에서 수신된 증폭기 이득신호에 따라 신호전처리부(20)의 증폭기의 이득이 조정될 수 있다.The frequency at which the filter of the signal preprocessing unit 20 is filtered can be set in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200 and the gain of the amplifier of the signal preprocessing unit 20 can also be set. That is, the filtered frequency of the filter of the signal preprocessing unit 2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filtering frequency signal received at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200, and the signal preprocessing unit 20 can be adjusted.

연산처리부(50)는 신호전처리부(20)로 부터 수신된 경부근 근활성 신호를 통신부(60)를 통해 전송하기 위한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연산처리부(50)는 전원부(70)의 배터리를 체크하여 배터리의 잔량을 디스플레이부(80)에 표시하고, 휴대용 개인단말(200)과 연결여부를 판단하여 디스플레이부(80)에 표시하고, 무선통신 연결여부(예를들어, 블루투스 작동상태, 블루투스의 페어링 여부)를 판단하여 디스플레이부(80)에 표시한다.The arithmetic processing unit 50 converts the light muscle activity signal received from the signal preprocessing unit 20 into a signal for transmiss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60. The operation processing unit 50 checks the battery of the power supply unit 70 to display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on the display unit 80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80 ,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wireless communication is connected (for example, whether the Bluetooth is in an operating state or Bluetooth is paired),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80.

통신부(60)는 연산처리부(50)로부터 수신된 경부근 근활성 신호를 무선으로 휴대용 개인단말(200)로 전송한다.The communication unit 60 wirelessly transmits the light muscle active signal received from the arithmetic processing unit 50 to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200.

전원부(70)는 신호전처리부(20), 연산처리부(50), 통신부(60), 디스플레이부(8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배터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70 is a means for supplying power to the signal preprocessing unit 20, the arithmetic processing unit 50, the communication unit 60, and the display unit 80, and may be a battery.

디스플레이부(80)는 연산처리부(50)로 부터 수신된 배터리의 잔량, 휴대용 개인단말(200)과 연결여부, 무선통신 연결여부를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80 displays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received from the calculation processing unit 50, whether or not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200,

도 5는 도 4의 근전도 검출기의 외관 일예를 나타낸다. Fig. 5 shows an example of the appearance of the electromyogram detector of Fig.

근전도 검출기(90)의 상면에는 디스플레이부(80), 전원 온/오프(ON/OFF) 스위치(94), 작동알림 표시등(97)를 구비하며, 일 측면에 커넥터부(95)를 구비한다. The electromyogram detector 90 is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80, a power on / off switch 94 and an operation notification indicator 97 on its upper surface and a connector 95 on one side thereof .

디스플레이부(80)에는 배터리의 잔량 표시부(82), 휴대용 개인단말 연결 표시부(84), 무선통신 연결 표시부(86)을 구비한다.The display unit 80 includes a battery remaining amount display unit 82, a portable personal terminal connection display unit 84,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display unit 86.

배터리의 잔량 표시부(82)는 배터리 형태내 막대형식으로 잔량을 표시한다.The battery remaining amount display portion 82 displays the remaining amount in the form of a battery type bar.

휴대용 개인단말 연결 표시부(84)는 화살표형식으로 표시된 아이콘이 점등되거나 점멸되는 것으로 휴대용 개인단말(200)과의 연결여부를 표시한다.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connection display unit 84 displays whether or not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200 is connected with the icon indicated by an arrow in the form of an arrow.

무선통신 연결 표시부(86)는 무선통신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점등되거나 점멸되는 것으로 무선통신 연결여부((즉, 블루투스 페어링 여부)를 표시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display unit 86 displays whether th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is established (i.e., whether or not Bluetooth is paired) by the icon indicating wireless communication being turned on or blinking.

전원 온/오프(ON/OFF) 스위치(94)는 근전도 검출기(90)의 전원을 온/오프(ON/OFF)하기 위한 스위치이다.The power ON / OFF switch 94 is a switch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of the electromyogram detector 90.

작동알림 표시등(97)은 근전도 검출기(90)의 작동중인지 여부를 점등되거나 점멸됨으로써 나타내는 표시등이다.The operation notification indicator 97 is an indicator that indicates whether the electromyogram detector 90 is in operation by being turned on or blinking.

커넥터부(95)는 경부근 근전도 센서부(10)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로, 경부근 근전도 센서부(10)의 케이블 연결단자(18)가 탈착된다.The connector portion 95 is a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light-emitting electromyographic sensor portion 10, and the cable connection terminal 18 of the light-emitting electromyographic sensor portion 10 is detached.

케이블 연결단자(18)는 경부근 근전도 센서부(10)의 신호검출전극(12, 14)의 연결선(19)과 기준전극(16)의 연결선(19)이 모아져 형성된 단자이다.The cable connection terminal 18 is a terminal formed by collecting the connection line 19 of the signal detection electrodes 12 and 14 and the connection line 19 of the reference electrode 16 of the light EMG sensor unit 10.

도 5는, 상면에서, 상단에 디스플레이부(80)를 위치시키고, 중간부에 작동알림 표시등(97)를 위치시키고, 하단에 전원 온/오프(ON/OFF) 스위치(94)를 위치시키고, 하단 측면에 커넥터부(95)를 위치시키고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디스플레이부(80), 작동알림 표시등(97), 전원 온/오프(ON/OFF) 스위치(94), 커넥터부(95) 등은 다양한 형태로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5 shows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unit 80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the operation notification light 97 is positioned on the middle part, the power ON / OFF switch 94 is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And the connector portion 95 is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display portion 80. The display portion 80, the operation notification indicator 97, the power on / off switch 94 And the connector portion 95 may be provided at various positions in various forms.

도 6은 본 발명의 경부근 근전도 센서부를 사용자가 장착한 일예를 나타내며, 도 7은 경부근 근전도 센서부의 전극의 일예를 나타낸다.Fig. 6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light-emitting electromyographic senso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by a user, and Fig. 7 shows an example of electrodes in the light-EMG sensor unit.

도 6에서와 같이, 경부근 근전도 신호, 즉, 경부근 근활성 신호를 2채널로 수신한다. 즉, 목의 좌우양측에서 근전도 신호를 검출한다. 따라서, 좌우 양측에 2개의 신호검출전극들(12, 14)이 각각 장착되고, 기준전극(16)은 쇄골부위에 장착된다. 여기서, 기준전극(16)은 좌우 양측에 또는 일측에 장착될 수 있으며, 머리에서 귀뒤의 부분 또는 쇄골부분 등에 부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a light-wave EMG signal, that is, a light muscle active signal is received on two channels. That is, EMG signals are detected on both sides of the neck. Therefore, two signal detecting electrodes 12 and 14 are mount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respectively, and the reference electrode 16 is mounted on the collarbone area. Here, the reference electrode 16 may be mounted on both sides or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may be attached to the back portion of the ear or the collarbone portion or the like.

도 7의 (a)는 일회용 접착용 근전도 패치 전극으로서 전도성 스냅(snap)을 구비한 Ag/AgCl 패치 타입 전극을 나타내며, 도 7의 (b)는 경부근 근전도 센서부(10)의 전극(12, 14, 16)의 연결선(19)의 끝단에 있는 스냅 결합부와 경부근 근전도 센서부의 전극(12, 14, 16)의 스냅을 나타낸다. 즉, 상기 스냅 결합부와 상기 스냅이 결합되어, 경부근 근전도 센서부(10)에서 검출된 경부근 근활성 신호가 근전도 검출기(90)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7 (a) shows an Ag / AgCl patch type electrode having a conductive snap as a disposable electro-magnetic patch electrode for a disposable adhesive, and Fig. 7 (b) 14, 16) of the electromyographic sensor part near the light-coupling part and the light-coupling part at the end of the connection line 19 of the light-emitting part 14, 16, That is, the snap engaging portion and the snap are engag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light muscle activity signal detected by the light EMG sensor unit 10 can be transmitted to the electromyogram detector 90.

연결선(19)의 일단에는 케이블 연결단자(18)가 장착되어 있으며, 다른 일단에는 스냅 결합부가 장착되어 있다.A cable connecting terminal 18 is attached to one end of the connecting line 19, and a snap coupling part is attached to the other end.

도 8은 본 발명의 휴대용 경부근 운동훈련 시스템의 사용상태도이다.8 is a use state diagram of a portable light exercise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경부근 근전도 센서부(10)를 장착하고, 경부근 근전도 센서부(10)의 전극(12, 14, 16)의 스냅을 연결선(19)의 스냅 결합부와 결합시키고, 연결선(19)의 케이블 연결단자(18)를 근전도 검출기(90)의 커넥터부(95)와 결합시킨다.The user mounts the light EMG sensor unit 10 and the snap of the electrodes 12, 14 and 16 of the light path electromyogram sensor unit 10 is engaged with the snap engagement part of the connection line 19, And the cable connection terminal 18 of the electromyogram detector 90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portion 95 of the electromyogram detector 90.

그리고, 사용자는 휴대용 개인단말(200)을 보면서, 휴대용 개인단말(200)의 운동처방 등에 따라 운동을 행한다.The user exercises according to the exercise prescription of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200 while watching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200. [

도 9는 본 발명의 휴대용 개인단말에서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한 경우의 메인 조정화면의 일예이고, 도 10은 도 9의 메인 조정화면에서 사용자 관리를 선택하였을 때의 일예이고, 도 11은 도 9의 메인 조정화면에서 환경설정을 선택하였을 때의 일예이고, 도 12는 도 9의 메인 조정화면에서 피드백 훈련을 선택하였을 때의 일예이고, 도 13a 및 도 13b는 도 9의 메인 조정화면에서 근전도 측정을 선택하였을 때의 일예이다. 도 14는 도 9의 메인 조정화면에서 측정기록을 선택하였을 때의 일예이다.FIG. 9 shows an example of a main adjustment screen when an application program is executed in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shows an example when user management is selected on the main adjustment screen in FIG. 9, Fig. 12 shows an example when the feedback training is selected in the main adjustment screen of Fig. 9, and Fig. 13A and Fig. 13B show examples of the electromyogram measurement in the main adjustment screen of Fig. This is an example when selected. Fig. 14 shows an example when measurement recording is selected in the main adjustment screen of Fig.

휴대용 개인단말(200)에서 소정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초기에 메인 조정화면이 뜨게 되어있다. 메인화면은 일측에 사용자 관리(210), 측정기록(220), 근전도 측정(230), 피드백 훈련(240), 환경설정(250)의 5가지 버튼이 있고, 다른 일측에 지정된 사용자명과 어플리케리션 프로그램에 대한 간략한 소개가 표시된다.When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200 executes a predetermined application program, a main adjustment screen is initially displayed. The main screen has five buttons on one side: a user management 210, a measurement record 220, an EMG measurement 230, a feedback training 240, and an environment setting 250. The user name and application A brief introduction to the program is displayed.

사용자 관리(210)는, 도 10에서와 같이, 사용자 목록이 표시되며, 목록에서 사용자를 선택(터치)하면 현재 사용자가 해당 사용자로 변경되면서 상세정보가 표시된다. 사용자 목록은 사용자의 훈련횟수, 최종훈련 날짜와 시간 등이 표시된다. 사용자 관리(210)에서“정보수정”버튼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세정보를 바꿀 수 있고, “신규등록”버튼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신규 등록할 수 있으며, “삭제”버튼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삭제가 가능하다.As shown in FIG. 10, the user management 210 displays a user list. When a user is selected (touched) in the list, the current user is changed to the corresponding user and detailed information is displayed. The user list displays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has been trained, the date and time of the last training, and so on. The detail information of the user can be changed by using the " modify information " button in the user management 210, the user can be newly registered using the " new registration " button, Is possible.

환경설정(250)에는 도 11에서와 같이, 장비, 사운드, 필터, 백업 등에 대한 화견을 설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현재의 휴대용 개인단말(200)과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되어 있는 근전도 검출기(90)의 명칭을 볼 수 있으며, 음성 보조신호를 미리 들어보거나 켜고 끄는 것이 가능하다.11, the environment setting unit 250 is a means for setting an object for equipment, sounds, filters, backups, and the like, and includes an EMG detector 90 connected to the current portable personal terminal 200 via Bluetooth communication You can see the name, listen to the audio auxiliary signal in advance, turn it on and off.

도 11의 (a)는 메인 조정화면에서 환경설정을 선택하였을 때의 환경설정 화면이다.11 (a) is an environment setting screen when an environment setting is selected on the main adjustment screen.

도 11의 (b)는 도 11의 (a)의 환경설정 화면에서, '장비' 버튼을 클릭하였을 때의 화면으로, 현재의 휴대용 개인단말(200)과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되어 있는 근전도 검출기(90)의 명칭을 화면상 출력하고 있다. 11 (b) is a screen when the 'equipment' button is clicked on the environment setting screen of FIG. 11 (a), and the electromyogram detector 90 ) On the screen.

도 11의 (c)는 도 11의 (a)의 환경설정 화면에서, '사운드' 버튼을 클릭하였을 때의 화면으로, 미리듣기를 위한 '시작', '준비', 'relax' 버튼들을 눌러, 음성 보조신호로 출력되는 '준비', '시작', 'relax'의 음성을 듣고, '시작', '준비', 'relax' 음성보조신호 각각을 온 또는 오프 (on/off) 할 수 있다.11 (c) is a screen when the 'sound' button is clicked on the environment setting screen of FIG. 11 (a), and the 'start', 'ready' It is possible to turn on / off each of the 'start', 'ready', and 'relax' voice auxiliary signals by listening to the voice of 'ready', 'start'

도 11의 (d)는 도 11의 (a)의 환경설정 화면에서, '필터' 버튼을 클릭하였을 때의 화면으로, 근전도 검출기(90)의 신호전처리부(20)에서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의 주파수를 선택할 수 있으며, 또한 근전도 검출기(90)의 신호전처리부(20)에서 신호의 증폭 이득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피드백 훈련에서의 차트 최대값(훈련차트 최대값)과 과도한 힘이 들어갔을 때의 알림음(relax) 발생을 위한 기준값을 입력(설정)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각각 “설정”과 “uV Set"을 눌러 저장한다. 훈련차트 최대값은 피드백 훈련 시, 그래프에서 근활성 값이 최대로 나올 수 있는 값이다. 알림음(relax) 발생을 위한 기준값인 “경고기준값”은 흉쇄유돌근의 과도한 근활성을 방지하기 위해 설정하는 기준값으로 설정된 기준값을 넘으면 알림음이 발생한다.11 (d) is a screen when the 'filter' button is clicked on the configuration screen of FIG. 11 (a), and a filter for eliminating noise in the signal preprocessing unit 20 of the electromyogram detector 90 And the signal pre-processing unit 20 of the electromyogram detector 90 can select the amplification gain of the signal. In addition, you can input (set) the maximum value of the chart in the feedback training (the maximum value of the training chart) and the reference value for the relaxation when excessive force is applied. In this case, "The maximum value of the training chart is the value at which the muscle activity value can be maximized in the graph during the feedback training. The reference value" alert reference value "for the occurrence of relaxation is the excessive muscle activity of the sternocleidomastoid muscle A warning sound is generated when the reference value set as the reference value is exceeded.

도 11의 (e)는 도 11의 (a)의 환경설정 화면에서, '백업' 버튼을 클릭하였을 때의 화면으로, 메인서버(300)의 데이터 베이스 상에 환자별 측정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이다. 백업 데이터의 명칭(예로, 도 11의 (e) 중 '백업1')을 입력하고, “전송” 버튼을 누르면 모든 측정데이터를 메인서버에 저장한다. 추후, PC에서 웹부라우져를 이용하여 소정 홈페이지를 통해 메인서버에 접근하여 이들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11 (e) is a screen when the 'backup' button is clicked on the environment setting screen of FIG. 11 (a), and means for storing patient-specific measurement data on the database of the main server 300 to be. The name of the backup data (for example, 'backup 1' in FIG. 11 (e)) is input, and if the "transfer" button is pressed, all measurement data is stored in the main server. In the future, the PC can access the main server through a web site using a Web browser to check these data.

피드백 훈련(240)에서는, 도 12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준비', '시작', 'relax'의 신호에 따라 경부근의 훈련을 행하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자는 '시작' 신호에 따라 경부근의 수축을 시작하며, 차트 최대값과 운동훈련에서 불필요한 근육에 힘이 주어졌을 때에 'relax' 신호에 따라 경부근 이완(relax)을 행하다.In the feedback training 240, as shown in FIG. 12, as a means for allowing the user to perform training in the vicinity of light according to the signals of 'preparation', 'start' and 'relax' , And relaxes near the light according to the "relax" signal when the maximum value of the chart and the exercise are given to the unnecessary muscles in the training.

도 12의 (a)는 메인 조정화면에서 피드백 훈련을 선택하였을 때의 피드백 훈련 화면이다.12 (a) is a feedback training screen when feedback training is selected on the main adjustment screen.

도 12의 (b)는 도 12의 (a)의 피드백 훈련 화면에서, '훈련방법' 버튼을 클릭하였을 때의 화면으로, 훈련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볼 수 있고, '돌아가기' 버튼을 선택하여 다시 피드백 훈련 화면으로 올 수 있다.12 (b) is a screen when the 'training method' button is clicked on the feedback training screen of FIG. 12 (a),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training method can be seen, You can come back to the feedback training screen.

도 12의 (c)는 도 12의 (a)의 피드백 훈련 화면에서, '장치연결' 버튼을 클릭하였을 때의 화면으로, 휴대용 개인단말(200)과 근전도 검출기(90)가 연결이 되면 안내가 나타나게 되고, 사용자는 이를 확인한 후 '훈련시작' 버튼을 눌러서 훈련을 시작할 수 있다.FIG. 12C is a screen when the 'device connection' button is clicked on the feedback training screen of FIG. 12A. Whe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200 and the electromyogram detector 90 are connected, And the user can confirm the result and start training by pressing the 'Start Training' button.

도 12의 (d)는 도 12의 (a)의 피드백 훈련 화면에서, '훈련시작' 버튼을 클릭하였을 때의 화면으로, 사용자의 경부근의 수축 강도에 따라 차트에 표시된다. 만약 사용자의 경부근의 수축 강도가 환경설정에서 정의한 기준값을 넘어서게 되면 음성보조신호(relax)가 출력되어 이완할 것을 안내한다.12 (d) is a screen when the 'start training' button is clicked on the feedback training screen of FIG. 12 (a), and is displayed on the chart according to the contraction intensity near the user's light. If the shrinkage intensity near the user's light exceeds the reference value defined in the environment setting, a voice assist signal (relax) is output to guide the user to relax.

도 12의 (e)는 도 12의 (d)의 피드백 훈련 화면에서, 훈련 종료를 나타내는 화면으로, 훈련시간이 종료되면, 결과 화면으로 전환되는 안내창이 나타나며, 상기 안내창 내의 '확인' 버튼을 누르면 결과보기 화면으로 이동한다.12 (e) is a screen showing the end of training in the feedback training screen of Fig. 12 (d). When the training time is over, a guidance window for switching to the result screen appears, Press to move to the result view.

도 12의 (f)는 훈련 종료된 후의 결과보기 화면으로, 결과화면에서는 훈련시간 전체의 근수측 신호가 그래프로 그려진다.Fig. 12 (f) shows a result viewing screen after completion of training. In the result screen, a logarithmic signal of the entire training time is drawn as a graph.

근전도 측정(230)은, 도 13a 및 도 13b에서와 같이, 경부근 부착 방법을 알려주며, 경부근 측정을 하게 하는 화면이 표시되면, 경부근 근전도의 측정을 시작하기 전에 근전도 검출기(90)와 경부근 근전도 센서부(10)의 전극(12, 14, 16)를 연결하라는 안내가 출력된다. 13A and FIG. 13B, when the screen for performing the light-to-light measurement is displayed, the electromyogram detector (90) and the light-intensity detector A guide to connect the electrodes 12, 14, 16 of the nearby electromyographic sensor unit 10 is output.

다시말해, 피드백 훈련(240)은 훈련 방법 안내화면과 훈련을 시작하는 화면이 표시된다. 먼저 측정을 시작하기전에 근전도 검출기(90)와 측정센서(3)를 연결하라는 안내가 나온다. 훈련 시작 후, 경부근의 수축 정도에 따라 차트가 움직이고 환경설정(250)에서 설정한 값을 벗어나면 음성 보조 신호 ‘relax’가 출력되어 이완할 것을 안내하여 정상적인 움직임을 유도한다. 30초 훈련이 종료되면 결과값을 보여주는 화면으로 전환하여 훈련시간 전체의 근활성 신호가 그래프로 표시된다.In other words, the feedback training 240 displays a training method guide screen and a screen for starting training. The user is first instructed to connect the electromyogram detector 90 and the measurement sensor 3 before starting the measurement. After the start of the training, when the chart mov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ntraction near the light and is out of the value set in the environment setting 250, the voice auxiliary signal 'relax' is output to guide the relaxation and induce normal motion. When the 30-second training is finished, the screen is switched to the display showing the result value, and the muscle activation signal of the whole training time is displayed as a graph.

도 13a의 (a)는 메인 조정화면에서 근전도 측정을 선택하였을 때의 근전도 측정 화면이다.13A is an electromyogram measurement screen when electromyography measurement is selected on the main adjustment screen.

도 13a의 (b)는 도 13a의 (a)의 근전도 측정 화면에서, '측정방법' 버튼을 클릭하였을 때의 화면으로, 부착 방법 등 경부근 근전도의 측정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볼 수 있고, '돌아가기' 버튼을 선택하여 다시 근전도 측정 화면으로 올 수 있다.13A is a screen when the 'MEASURING METHOD' button is clicked on the EMG measurement screen of FIG. 13A (a),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easurement method of light EMF, such as the attachment method, You can return to the EMG measurement screen by selecting the 'Return' button.

도 13a의 (c)는 사용자의 상대적 자발적 등척성 수축(relative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RVIC)가 없음을 나타내는 안내창이 출력된 경우로, 즉, 지정된 사용자의 상대적 자발적 등척성 수축(RVIC)정보가 없을 경우(예로, 최초 측정 시 등)에, RVIC가 없다는 안내창이 출력된다. 사용자가 상기 안내창에서 '확인' 을 클릭하면 상기 안내창은 사라진다.FIG. 13 (c) shows a case where a guide window is displayed indicating that there is no relative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RVIC) of the user, that is, when there is no relative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RVIC) information of the designated user , At the time of initial measurement, etc.), a guidance window indicating that there is no RVIC is displayed. When the user clicks 'OK' in the guide window, the guide window disappears.

도 13a의 (d)는 도 13의 (a)의 근전도 측정 화면에서, '장치연결' 버튼을 클릭하였을 때의 화면으로, '장치연결' 버튼을 누르고 휴대용 개인단말(200)과 근전도 검출기(90)가 연결되면 측정을 시작하라는 안내문구와 함께 알림음이 출력된다. 이렇게 휴대용 개인단말(200)과 근전도 검출기(90)가 연결되면, 도 13a의 (e)에서와 같이, '측정시작' 버튼을 눌러서 측정을 시작한다. 측정중에는 “준비”, “시작”의 음성 보조 신호가 출력되며 경부근 근수축의 측정 정보가 실시간으로 그래프로 나타내어진다.13 (d) is a screen when the 'device connection' button is clicked on the EMG measurement screen of FIG. 13 (a), and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200 and the electromyogram detector 90 ) Is connected, a warning tone is displayed with a message to start measurement. When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the electromyogram detector 90, the measurement is started by pressing the 'start measurement' button as shown in FIG. 13 (e). During the measurement, the voice auxiliary signal of "Preparation" and "Start" is output and the 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muscle contraction near the light is displayed in real time as a graph.

도 13b의 (a)는 경부근 근전도의 측정이 완료된 화면으로, 경부근 근수축의 측정이 완료되면 '1OFF', '2OFF', '3OFF' 의 3가지 버튼이 나타나고 각각의 버튼을 눌러서 측정구간을 지정할 수 있다. '1OFF', '2OFF', '3OFF'는 경부근 근전도의 측정 그래프 중에서 3개의 구간을 지정하기 위한 버튼이다.FIG. 13B is a screen on which measurement of the light EMG is completed. When measurement of the muscle contraction is completed, three buttons of '1 OFF', '2 OFF' and '3 OFF' are displayed. Can be specified. '1OFF', '2OFF', and '3OFF' are buttons for designating three sections in the measurement graph of EMG around the light.

도 13b의 (b)는 도 13b의 (a)의 근전도 측정 화면에서 '1OFF' 버튼이 눌려졌을 때의 화면으로, 즉, 첫 번째 구간을 지정하는 화면이며, 손으로 회색 마스크바를 이동하여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3개의 구간을 모두 결정할 수 있다.FIG. 13B is a screen when the '1 OFF' button is pressed on the electromyogram measurement screen of FIG. 13B (a), that is, the screen for designating the first section. By moving the gray mask bar by hand, Can be adjusted. In this way, all three intervals can be determined.

도 13b의 (c)는 3개의 구간을 모두 결정한 후의 화면으로, 즉, '1OFF', '2OFF', '3OFF'의 3개의 버튼을 눌러 각각 구간을 지정하여, 이렇게 3개의 구간을 모두 결정하고 '설정완료' 버튼을 누르면, "모든 설정이 완료되었습니까? 데이터를 저장하고, 결과화면으로 전환합니다"라는 안내창이 출력되며, 상기 안내창 중 '네' 버튼을 선택하면 결과화면(도 13b의 (d))을 볼 수 있다.In FIG. 13B, (c) of FIG. 13B is a screen after all three intervals are determined, that is, three buttons of '1OFF', '2OFF' and '3OFF' When the 'Setup Complete' button is clicked, a guide window is displayed, 'All the settings are completed? The data is saved and the screen is switched to the result screen'. When the 'Yes' button is selected in the guide window, d) can be seen.

여기서는 RVIC 측정하는 것으로, RVIC 측정에는 SCM 결과값을 계산하지 않기 때문에 결과화면이 없으므로, 도 13b의 (d)과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 그러나, 일반 측정에서는 도 13b의 (e)와 같이 SCM 결과값 백분율로 보여준다.Here, the RVIC measurement is performed. Since the SCM result value is not calculated for the RVIC measurement, there is no result screen, so a screen as shown in FIG. 13 (d) appears. However, in the general measurement, as shown in (e) of FIG. 13B, the SCM result value is shown as a percentage.

다시말해, 근전도 측정(230)은 경부근 부착 방법을 알려주는 안내화면과 측정을 시작하는 화면이 표시된다. 측정을 시작하기전에 근전도 검출기(90)와 경부근 근전도 센서부(10)의 전극(12, 14, 16)를 연결하라는 안내가 나온다. In other words, the EMG measurement (230) displays a guidance screen informing the light attachment method and a screen for starting the measurement. Before starting the measurement, guidance is given to connect the electromyogram detector 90 to the electrodes 12, 14, 16 of the light-EMG sensor unit 10.

만약 선택하여 지정한 사용자의 상대적 자발적 등척성 수축(RVIC) 정보가 없을 경우(최초 사용자의 경우), RVIC가 없기 때문에 이에 대한 안내가 나오며 RVIC 측정을 먼저 실시한다. 즉, 본 응용프로그램을 처음 사용할 경우, 사용자의 RVIC를 구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경부근에 어떠한 힘도 가하지 않을 경우의 경부근 근전도를 검출하고, 사용자가 경부근에 힘을 가하였을 때의 경부근 근전도를 측정하여, RVIC를 검출한다.If there is no relative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RVIC) information for the selected user (for the first user), the RVIC is not available and the RVIC measurement is performed first. That is, when the application program is used for the first time, in order to obtain the RVIC of the user, the light EMG is detected when the user does not apply any force to the light, and when the user applies force to the light, And detects the RVIC.

그후에 근전도 측정을 시작하기 위한 “준비”와 “시작”의 음성 보조 신호가 출력되며 근활성 측정 정보가 실시간 그래프 형태로 표시된다. 30초 측정이 완료되면 측정 구간을 지정하고 해당 구간을 평가하여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좌, 우측 경부근의 근활성 수준을 백분율로 표시하여 균형적 움직임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Thereafter, a voice auxiliary signal of "Preparation" and "Start" for starting EMG measurement is outputted and the muscle activity measurement information is displayed in a real time graph form. Once the measurement is completed for 30 seconds, it is possible to specify the measurement interval and to adjust and evaluate the interval. Also, it is possible to judge the degree of the balanced motion by indicating the muscle activity level near the left and right light as a percentage.

도 14의 (a)는 메인 조정화면에서 측정기록을 선택하였을 때의 측정 기록 화면이다. 측정기록은 개개인 마다 별도로 저장되며, 현재 지정된 사용자의 목록만 조회할 수 있다. RVIC 측정의 경우 RVIC로 표시되며, 목록에서 1개만 있을 수 있다. 피드백 훈련은 TRAIN으로 표시되고 근전도 측정은 CHECK로 표시된다. SCM정보와 측정시간을 표시하며 “상세보기”를 이용하여 보다 자세한 정보를 볼 수 있다.14 (a) is a measurement recording screen when measurement recording is selected on the main adjustment screen. The measurement records are stored separately for each individual, and only the list of currently designated users can be viewed. For RVIC measurements, it is indicated as RVIC, and there can only be one in the list. Feedback training is indicated by TRAIN and EMG measurement by CHECK. It displays SCM information and measurement time, and you can get more information by using "Detailed view".

도 14의 (b)는 도 14의 (a)에서 'TRAIN'을 선택하고 '상세보기' 버튼을 선택한 경우의 화면이다. 피드백 훈련(TRAIN)의 경우에는 훈련시의 차트(도 14의 (b)의 좌측)와 전체 평균 값(도 14의 (b)의 우측)만 표시된다.FIG. 14B is a screen when 'TRAIN' is selected in FIG. 14A and a 'Detailed View' button is selected. In the case of the feedback training (TRAIN), only the chart at the time of training (left side of FIG. 14 (b)) and the total average value (right side of FIG. 14 (b)) are displayed.

도 14의 (c)는 도 14의 (a)에서 'CHECK'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세보기' 버튼을 선택한 경우의 화면이다. 이 경우는 근전도 측정인 경우로, 그래프와 함깨 선택구간 구간의 평균인 AVG정보가 기본적으로 표시되고, 일반 측정의 경우 SCM 과 함께 측정 당시에 비교 데이터로 사용된 RVIC의 값을 출력한다.FIG. 14C is a screen when one of 'CHECK' is selected in FIG. 14A and a 'Detailed View' button is selected. In this case, the AVG information, which is the average of the interval of the selection interval, is displayed basically with the graph, and in the case of the general measurement, the value of the RVIC used as the comparison data at the time of measurement is output together with the SCM.

다시말해, 측정기록(220)은 운동훈련을 실시한 대상자 별도로 저장되어, 선택하여 지정한 사용자의 근전도 측정, 피드백 훈련 기록과 목록을 조회할 수 있다. RVIC 측정의 경우 RVIC로 표시되고, 피드백 훈련은 TRAIN으로 표시되며, 근전도 측정은 CHECK로 표시된다. 각 항목을 선택하면 저장된 기록과 정보를 나중에도 확인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measurement record 220 can be stored separately for the person who exercised the exercise, and can select and monitor the user's electromyogram, feedback training record and list. In case of RVIC measurement, RVIC is indicated, feedback training is indicated by TRAIN, and EMG measurement is indicated by CHECK. If you select each item, you can check the saved record and information later.

도 15는 본 발명의 휴대용 경부근 운동훈련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위한 흐름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사용자 관리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7은 도 15의 측정기록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8은 도 15의 근전도 측정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9는 도 15의 피드백 훈련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20은 도 15의 환경설정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 15 is a flowchart for schematically explaining a driving method of a portable light exercise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user management step of FIG. 15, 15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electromyogram measurement step of FIG. 15, FIG. 19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feedback training step of FIG. 15, and FIG. 20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setting step of FIG. Fig.

도 15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소정 응용프로그램을 휴대용 개인단말(200)에서 실행하면, 휴대용 개인단말(200)의 연산처리부(미도시)는 도 9에서와 같이 메인화면에 구비된 5개의 버튼을 사용자가 설정함에 따라, 사용자 관리단계, 측정기록 관리단계, 근전도 측정단계, 피드백 훈련단계, 환경설정단계 중 하나로 진행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5, when the predetermined application pro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ecuted in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200, the operation processing unit (not shown) of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200 displays five buttons The user may proceed to one of the user management step, the measurement record management step, the EMG measurement step, the feedback training step, and the environment setting step.

도 16은 도 15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관리버튼을 누름에 의해 연산처리부(미도시)는 사용자 관리단계로 진행된 경우로, 사용자 관리단계는 사용자 목록관리단계(S110), 신규등록단계(S120), 정보수정단계(S130), 삭제단계(S140)을 구비한다. 즉, 사용자 관리단계는 사용자 관리화면(참고 도 10)에서 4개의 버튼 중 하나를 사용자가 설정함에 따라, 사용자 목록관리단계(S110), 신규등록단계(S120), 정보수정단계(S130), 삭제단계(S140) 중 하나를 진행하게 된다.FIG. 16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operation processing unit (not shown) proceeds to the user management step by the user pressing the user management button in FIG. 15, and the user management step includes a user list management step S110, a new registration step S120, A correction step (S130), and a deletion step (S140). That is, the user management step may include a user list management step (S110), a new registration step (S120), an information modification step (S130), and a deletion step (S110)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40.

사용자 목록관리단계(S110)로 진행하게 되면, 사용자 목록이 표시되고, 목록에서 사용자를 선택(터치)하면 현재 사용자가 해당 사용자로 변경되면, 메인서버(300)로부터 변경된 해당 사용자의 상세정보를 읽어들여, 휴대용 개인단말(200)에 표시한다(S115).In step S110, the user list is displayed. When the current user is changed to the corresponding user,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changed user is read from the main server 300 And displays it on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200 (S115).

신규등록단계(S120)로 진행하게 되면, 이름, 성별, 생년월일, 체중, 신장 등의 사용자의 상세정보를 사용자가 입력하면 이를 메인서버(300)에 저장하여 사용자의 신규 등록을 행한다(S125).When the user enters detailed information of the user such as name, sex, date of birth, weight, height, etc. in the new registration step S120, the user stores the detailed information in the main server 300 and newly registers the user in step S125.

정보수정단계(S130)로 진행하게 되면, 수정된 사용자의 상세정보가 입력되면 이를 메인서버(300)에 저장하여 데이터를 갱신한다(S135).When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modified user is inputted, the main server 300 stores the updated detailed information and updates the data (S135).

삭제단계(S140)로 진행하게 되면, 메인서버(300)에서 사용자를 삭제하고, 상기 사용자의 데이터를 삭제한다(S145).In step S 140, the main server 300 deletes the user and deletes the user data in step S 145.

도 17은 도 15에서 사용자가 측정기록 버튼을 누름에 의해 연산처리부(미도시)는 측정기록 관리단계로 진행된 경우로, 측정기록 관리단계는 RVIC기록 관리단계(S210), 피드백 훈련(TRAIN)기록 관리단계(S230), 근전도 측정(CHECK)기록 관리단계(S250)을 구비한다(도 14 참조). FIG. 17 shows a case where the operation processing unit (not shown) proceeds to the measurement record management step by the user pressing the measurement record button in FIG. 15, and the measurement record management step includes the RVIC record management step S210, A management step S230, and an EMG measurement record management step S250 (see FIG. 14).

RVIC기록 관리단계(S210)는 현재 지정된 사용자의 측정기록 들 중, RVIC 측정 데이터를 선택하면, 메인서버(300)로부터 읽어들인, 그 사용자의 RVIC 측정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S215). The RVIC record management step S210 displays RVIC measurement data of the user read from the main server 300 when the RVIC measurement data is selected from among the measurement records of the currently designated user (S215).

피드백 훈련(TRAIN)기록 관리단계(S230)는 현재 지정된 사용자의 측정기록 들 중, 소정 피드백 훈련(TRAIN)기록을 선택하고(S235), '상세보기' 버튼을 선택하면(S240), 소정 피드백 훈련시에 측정한 근활성 신호에 대한 그래프(차트)와 전체 평균값 등을 출력한다(S245).The TRAIN recording management step S230 selects a predetermined TRAIN recording among the measurement records of the currently designated user at step S235 and selects a detailed view button at step S240, A graph (chart) of the muscle activity signal measured at the time of measurement, and an overall average value are output (S245).

근전도 측정(CHECK)기록 관리단계(S250)는 현재 지정된 사용자의 측정기록 들 중, 근전도 측정(CHECK)기록을 선택하고(S255), '상세보기' 버튼을 선택하면(S260), 소정 근전도 측정(CHECK) 기록을 출력하되, 이 기록에는 선택구간의 평균값, RVIC 값, SCM(%) 값 등이 포함되어 있다(S265).The EMG measurement record management step S250 selects the EMG measurement record among the measurement records of the currently designated user at step S255 and selects the detailed view button at step S260 to perform predetermined EMG measurement CHECK) record, which includes the average value of the selection interval, the RVIC value, the SCM (%) value, and the like (S265).

도 18은 도 15에서 사용자가 근전도 측정 버튼을 누름에 의해 연산처리부(미도시)는 근전도 측정단계로 진행된 경우로, 근전도 측정단계는, 메인으로 되돌아가기 단계(S310), 측정방법 안내단계(S320), 장치연결 단계(S330), 최초측정 단계(S340), 일반측정 단계(S3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도 13a 및 도 13b 참조).FIG. 18 shows a case where the operation processing unit (not shown) proceeds to the electromyogram measuring step by the user pressing the electromyogram measuring button in FIG. 15, the electromyogram measuring step is a step of returning to the main step S310, A device connecting step S330, an initial measuring step S340, and a general measuring step S360 (see FIGS. 13A and 13B).

메인으로 되돌아가기 단계(S310)는 '메인' 버튼을 선택한 경우로, 메인 화면으로 돌아가며(S315), 측정방법 안내단계(S320)는 '측정방법' 버튼을 선택한 경우로, 휴대용 개인단말(200)의 연산처리부(미도시)는 전극 부착 방법 등에 대한 안내 화면을 출력한다(S325).If the 'measurement method' button is selected in the measurement method guide step S320,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200 returns to the main menu (S315) (Not shown) outputs a guidance screen for the electrode attaching method or the like (S325).

장치연결 단계(S330)는 '장치연결' 버튼을 선택한 경우로, 휴대용 개인단말(200)의 연산처리부(미도시)는 전극이 사용자에게 장착되고, 휴대용 개인단말(200)과 근전도 검출부(100)가 불루투스 페어링되어 연결됨을 확인하고, 이것이 확인되면, 측정을 시작하라는 안내문구와 함께 알림음을 출력시킨다(S335).An operation processing unit (not shown) of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200 is equipped with an electrode and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200 and the electromyogram detection unit 1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s confirmed to be Bluetooth-paired and connected, and if it is confirmed, a notification sound is output together with a message to start measurement (S335).

최초측정 단계(S340)는 사용자의 상대적 자발적 등척성 수축(RVIC)을 측정한 바가 없는 최초측정의 경우로, 휴대용 개인단말(200)의 연산처리부(미도시)는 상대적 자발적 등척성 수축(RVIC)의 측정을 시작을 알리고, RVIC를 측정하고 저장하되(S343), 이 측정시, “준비”, “시작”의 음성 보조 신호를 출력시키며(S345), 이에 따라 사용자가 근 수축을 행하면, 그 근수축의 측정 정보가 실시간으로 그래프로 나타내고(S347), 측정 완료되면(S349), 3개의 측정구간을 지정, 다시말해, 1OFF”, “2OFF”, “3OFF”의 3가지 버튼 각각을 사용자가 눌러서 측정구간 지정하면(S351), 그 결과를 화면에 출력한다(S353).The initial measurement step S340 is the initial measurement that has not measured the relative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RVIC) of the user and the calculation processing unit (not shown) of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200 measures the relative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RVIC) (Step S343). In this measurement, a voice assist signal of " preparation " and " start " is outputted in step S345. Accordingly, when the user performs muscle contraction, The measurement information is displayed in real time in a graph in step S347. When the measurement is completed (S349), three measurement intervals are designated, that is, If specified (S351), the result is output to the screen (S353).

일반측정 단계(S360)는 이미 RVIC를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에 대한 근 수축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 휴대용 개인단말(200)의 연산처리부(미도시)는 이 측정시, “준비”, “시작”의 음성 보조 신호를 출력하며(S363), 이에 따라 사용자가 근 수축을 행하면, 그 근수축의 측정 정보가 실시간으로 그래프로 나타내고(S365), 측정 완료되면(S367), 3개의 측정구간을 지정, 다시말해, 1OFF”, “2OFF”, “3OFF”의 3가지 버튼 각각을 사용자가 눌러서 측정구간 지정하고(S369), 그 결과를 화면에 출력한다(S371).The general measurement step S360 stores the muscle contraction data for the user who has already stored the RVIC. The calculation processing unit (not shown) of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20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 preparation " (S363). When the user performs the muscle contraction, the 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muscle contraction is displayed in a graph in real time (S365). When the measurement is completed (S367), three measurement intervals are designated Quot; 1OFF ", " 2OFF ", and " 3OFF " are pressed by the user in step S369, and the result is displayed on the screen in step S371.

도 19는 도 15에서 사용자가 피드백 훈련 버튼을 누름에 의해 연산처리부(미도시)는 피드백 훈련단계로 진행된 경우로, 피드백 훈련단계는, 메인으로 되돌아가기 단계(S410), 훈련방법 안내단계(S420), 장치연결 단계(S430), 훈련시작 단계(S4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도 12 참조).FIG. 19 shows a case where the operation processing unit (not shown) proceeds to the feedback training step by the user pressing the feedback training button in FIG. 15, and the feedback training step is a step of returning to the main step (S410) ), A device connection step S430, and a training start step S440 (see FIG. 12).

메인으로 되돌아가기 단계(S410)는 '메인' 버튼을 선택한 경우로, 메인 화면으로 돌아가며(S415), 훈련방법 안내단계(S420)는 '훈련방법' 버튼을 선택한 경우로, 휴대용 개인단말(200)의 연산처리부(미도시)는 훈련방법에 대한 안내 화면을 출력한다(S425).If the 'training method' button is selected in the training method guide step S420,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200 returns to the main menu (S415) The arithmetic processing unit (not shown) of the training method outputs a guidance screen for the training method (S425).

장치연결 단계(S430)는 '장치연결' 버튼을 선택한 경우로, 휴대용 개인단말(200)의 연산처리부(미도시)는 전극이 사용자에게 장착되고, 휴대용 개인단말(200)과 근전도 검출부(100)가 불루투스 페어링되어 연결됨을 확인하고, 이것이 확인되면, 훈련을 시작하라는 안내문구와 함께 알림음을 출력시킨다(S335).The operation unit (not shown) of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200 is equipped with an electrode and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200 and the electromyogram detection unit 1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device connection step (S430) Is confirmed to be Bluetooth-paired, and if it is confirmed, a notification sound is output together with a message to start training (S335).

훈련시작 단계(S440)는 사용자가 경부근 수축 훈련을 하면, 경부근의 수축 강도를 실시간으로 그래프로 출력하며(S443), 이러한 훈련 중, 환경설정에서 정의한 기준값을 넘어서게 되면 “relax” 음성신호 출력되게 되며(S445), 기 설정된 훈련횟수를 넘어서거나, 경부근 수축강도가 환경설정에서 정의한 기준값을 넘어서면, 경부근 수축 훈련이 종료되면(S447), 훈련 결과를 화면에 출력하게 된다(S449).In the training start step S440, if the user performs the shrink training, the shrinkage intensity near the light is output in real time as a graph (S443). If the training value exceeds the reference value defined in the environment setting, (S445). When the light intensity contraction is over (S447), the result of the training is displayed on the screen (S449). If the light intensity exceeds the reference value defined in the environment setting, .

도 20은 도 15에서 사용자가 환경설정 버튼을 누름에 의해 연산처리부(미도시)는 환경설정단계로 진행된 경우로, 환경설정단계는, 장비설정단계(S510), 사운드설정단계(S520), 필터설정단계(S530), 백업설정단계(S5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도 11 참조).FIG. 20 shows a case where an operation processing unit (not shown) proceeds to an environment setting step by the user pressing an environment setting button in FIG. 15, and the environment setting step includes an equipment setting step S510, a sound setting step S520, A setting step S530, and a backup setting step S540 (see FIG. 11).

장비설정단계(S510)는 지정되어 있는 장비명칭, 즉, 근전도 검출기(90)과, 연결 가능한 bluetooth 장치, 즉, 휴대용 개인단말(200)들의 목록이 출력되고(S513), 소정 근전도 검출기(90)와 소정 휴대용 개인단말(200)의 블루투스 페어링을 행하며(S515), 이렇게 블루투스 페어링되면, 연결된 장비가 화면에 출력된다.The device setting step S510 outputs a list of the designated device name, i.e., the EMG detector 90 and the connectable Bluetooth device, i.e.,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200 (S513) (Step S515), and when the Bluetooth is paired, the connected device is displayed on the screen.

사운드설정단계(S520)는 측정 중에 사용되는 음성 보조신호를 사용자가 미리 들어보고, On/Off를 설정하는 것으로(S525), 측정 중에 사용되는 음성 보조신호를 켜거나 끌 수 있다.In the sound setting step S520, the user preliminarily hears the voice auxiliary signal used during the measurement and sets On / Off (S525), thereby turning on or off the voice auxiliary signal used during the measurement.

필터설정단계(S530)는 피드백 훈련에서의 훈련차 트최대값과 경고 기준값을 사용자가 입력한다(S535). In the filter setting step (S530), the user inputs the maximum value of the training schedule in the feedback training and the warning reference value (S535).

백업설정단계(S540)는 휴대용 개인단말(200)는 측정정보를 메인서버로 전송하여 저장하게 하고(S543), 추후 사용자는 측정정보를 웹을 통해 메인서버에서 확인한다(S545).In the backup setting step S540,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200 transmits the measurement information to the main server and stores the measurement information in step S543. The user then confirms the measurement information on the main server through the web at step S545.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Modification is possible.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equivalents or equivalent variation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3 : 측정센서 10 : 경부근 근전도 센서부
12, 14 : 신호검출전극들 16 : 기준전극
18 : 케이블 연결단자 19 : 연결선
20 : 신호전처리부 50 : 연산처리부
60 : 통신부 70 : 전원부
80 : 디스플레이부 82 : 배터리의 잔량 표시부
84 : 휴대용 개인단말 연결 표시부 86 : 무선통신 연결 표시부
90 : 근전도 검출기 94 : 전원 온/오프(ON/OFF) 스위치
95 : 커넥터부 97 : 작동알림 표시등
100 : 경부근 근전도 검출부 200 : 휴대용 개인단말
210 : 사용자 관리 220 : 측정기록
230 : 근전도 측정 240 : 피드백 훈련
250 : 환경설정 300 : 메인서버
400 : 데이터 저장용 단말
3: Measurement sensor 10: Light-EMG sensor unit
12, 14: signal detecting electrodes 16: reference electrode
18: Cable connection terminal 19: Connection cable
20: signal preprocessing unit 50: arithmetic processing unit
60: communication unit 70:
80: Display unit 82: Battery remaining amount indicator
84: portable personal terminal connection display part 86: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display part
90: EMG detector 94: Power ON / OFF switch
95: Connector section 97: Operation notification indicator
100: light-EMG detector 200: portable personal terminal
210: User management 220: Measurement record
230: EMG measurement 240: Feedback training
250: Configuration 300: Main server
400: terminal for storing data

Claims (20)

경부근에 근전도 전극을 부착하여 경부근 근활성 신호를 검출하는, 경부근 근전도 검출부;
경부근 근전도 검출부로부터 수신된 경부근 근활성신호로부터 근활성도를 분석하고, 운동방법을 포함하는 운동처방을 출력하는, 휴대용 개인단말;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휴대용 경부근 운동훈련 시스템에 있어서,
경부근은 흉쇄유돌근(SCM)이며,
흉쇄유돌근의 근활성 비율(SCM(%))의 계산은
SCM(%) = (AVG/RVIC)×100
(단, RVIC는 기 저장된 사용자의 상대적 자발적 등척성 수축 값, AVG는 경부근 근전도 검출부로부터 수신된 경부근 근활성신호의 평균)
에 의해 구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경부근 운동훈련 시스템.
A light-to-light EMG detector for detecting a light muscle active signal by attaching an electromyogram electrode near the light;
A portable personal terminal for analyzing the muscle activity from the light muscle activity signal received from the light EMG detector and outputting the exercise prescription including the exercise method;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portable light-
Around the stomach is the sternocleidomastoid muscle (SCM)
Calculation of muscle activity ratio (SCM (%)) of sternocleidomastoid muscle
SCM (%) = (AVG / RVIC) 100
(Where RVIC is the relative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value of the pre-stored user, AVG is the average of the light activity signals received from the light EMG detector)
Wherein the light intensity is obta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경부근에 근전도 전극을 부착하여 경부근 근활성 신호를 검출하는, 경부근 근전도 검출부;
경부근 근전도 검출부로부터 수신된 경부근 근활성신호의 평균(AVG)과, 기 저장된 사용자의 상대적 자발적 등척성 수축(RVIC)을 이용하여 경부근 근활성도를 검출하는, 휴대용 개인단말;
휴대용 개인단말로부터, 수신된 경부근 근활성도에 따라, 운동방법을 포함하는 운동처방을 휴대용 개인단말로 전송하는, 메인서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경부근 운동훈련 시스템.
A light-to-light EMG detector for detecting a light muscle active signal by attaching an electromyogram electrode near the light;
A portable personal terminal for detecting a light muscle activity using an average AVG of the light muscle activity signal received from the light EMG detector and a relative spontaneous isometric contraction (RVIC) of the user stored previously;
A main server for transmitting, from a portable personal terminal, an exercise prescription including a motion method to a portable personal terminal in accordance with the received light muscle activity;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light-based exercise training system.
제2항에 있어서,
경부근은 흉쇄유돌근(S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경부근 운동훈련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SCM) in the vicinity of the light.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부근 근전도 검출부는,
목의 좌우양측에서 경부근 근전도를 검출하는, 2채널로 이루어진, 경부근 근전도 센서부;
경부근 근전도 센서부로부터 수신된 경부근 근활성신호를, 증하고 잡음을 제거하는 전처리를 행하고 무선으로 휴대용 개인단말로 전송하는, 근전도 검출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경부근 운동훈련 시스템.
The light-EMG detecting uni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 light-to-light EMG sensor unit having two channels for detecting EMG near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neck;
An electromyogram detector for performing a preprocessing process for increasing the light muscle activity signal received from the light EMG sensor unit and removing noise, and transmitting the signal to a portable personal terminal by radio;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light-based exercise training system.
제4항에 있어서,
근전도 검출기와 휴대용 개인단말 사이의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경부근 운동훈련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electromyogram detector and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is performed using Bluetooth.
제4항에 있어서, 근전도 검출기는
증폭기와 필터를 구비하여, 경부근 근전도 센서부로부터 수신된 경부근 근활성 신호를 증폭하고 잡음을 제거하며,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전처리부;
신호전처리부로 부터 수신된 경부근 근활성 신호를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기 위한 신호로 변환하는, 연산처리부;
연산처리부로부터 수신된 경부근 근활성 신호를 무선으로 휴대용 개인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경부근 운동훈련 시스템.
5.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electromyogram detector
A signal preprocessing unit having an amplifier and a filter to amplify a light muscle active signal received from the light path electromyogram sensor unit, remove noise, and convert the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 arithmetic processing unit for converting the light muscle activity signal received from the signal preprocessing unit into a signal for transmiss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 light muscle active signal received from the operation processing unit to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light-based exercise training system.
제4항에 있어서,
경부근 근전도 센서부에서 1채널은 흉쇄유돌근(SCM)에 장착되는 2개의 신호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경부근 운동훈련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one channel in the vicinity of the light EMG sensor unit includes two signal electrodes mounted on the SCM.
제7항에 있어서,
경부근 근전도 센서부에서 1채널은 머리에서 귀 뒤의 부분 또는 쇄골부분에 부착되는, 1개의 기준전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경부근 운동훈련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one channel in the light EMG sensor unit further comprises one reference electrode attached to the back of the ear or the collarbone portion of the ear.
제3항에 있어서,
흉쇄유돌근의 근활성 비율(SCM(%))의 계산은
SCM(%) = (AVG/RVIC)×100
(단, RVIC는 기 저장된 사용자의 상대적 자발적 등척성 수축 값, AVG는 경부근 근전도 검출부로부터 수신된 경부근 근활성신호의 평균)
에 의해 구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경부근 운동훈련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Calculation of muscle activity ratio (SCM (%)) of sternocleidomastoid muscle
SCM (%) = (AVG / RVIC) 100
(Where RVIC is the relative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value of the pre-stored user, AVG is the average of the light activity signals received from the light EMG detector)
Wherein the light intensity is obta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제2항에 있어서,
메인서버는 데이터 고유번호, 사용자 고유번호, 훈련과 측정과 RVIC를 구분값, 측정일시와 최대 수의적 등척성 수축(MVIC) 값과 SCM 값과 AVG 값을 포함하는 결과정보, MVIC의 데이터 고유번호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경부근 운동훈련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main server includes data identification number, user identification number, discrimination between training and measurement and RVIC, result information including measurement date and time, maximum isometric contraction (MVIC) value, SCM value and AVG value, Wherein the portable light-weight exercise training system comprises:
제8항에 있어서,
신호검출전극 및 기준전극은 일회용 접착용 근전도 패치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경부근 운동훈련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ignal detection electrode and the reference electrode are electrosurgical patch electrodes for disposable adhesive.
제11항에 있어서,
신호검출전극 및 기준전극은 중앙에 스냅을 구비한 Ag/AgCl 패치 타입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경부근 운동훈련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ignal detection electrode and the reference electrode are Ag / AgCl patch type electrodes having a snap at the center.
제4항에 있어서, 근전도 검출기는
배터리의 잔량, 휴대용 개인단말과 연결여부, 무선통신 연결여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경부근 운동훈련 시스템.
5.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electromyogram detector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whether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and whether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제4항에 있어서,
휴대용 개인단말은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노트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경부근 운동훈련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is any one of a smart phone, a smart pad, and a laptop.
제14항에 있어서,
휴대용 개인단말은 안드로이드 앱에서 실행되도록 구성된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경부근 운동훈련 시스템.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has an application program configured to be executed in an Android application.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휴대용 개인단말은 경부근 근활성 신호, 경부근 근활성도를 출력하며,
경부근 운동훈련을 가이드 하기 위한 음성신호 및 영상신호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경부근 운동훈련 시스템.
3.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handheld personal terminal outputs a light muscle activity signal and a light muscle activity signal,
And outputs a voice signal and an image signal for guiding the exercise training near the light.
경부근에 근전도 전극을 부착하여 경부근 근활성 신호를 검출하는 경부근 근전도 검출부와, 상기 경부근 근전도 검출부로부터 수신된 경부근 근활성신호로부터 근활성도를 분석하고 운동방법을 포함하는 운동처방을 출력하는 휴대용 개인단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휴대용 경부근 운동훈련 시스템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휴대용 개인단말은, 사용자의 경부근 수축 훈련에 따른 경부근의 수축 강도를 실시간으로 그래프로 화면에 출력하는, 경부근 수축강도 출력단계;
사용자의 경부근의 수축 강도가 기설정된 기준값을 넘을 경우, 기준값 초과의 알림을 위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기준값 초과 알림단계;
기 설정된 훈련횟수를 넘어서거나, 기준값 초과 알림단계에서 기준값 초과의 알림을 위한 음성신호가 출력되었다면, 경부근 수축 훈련을 종료를 알리는, 훈련종료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경부근 운동훈련 시스템의 구동방법.
And a control unit that analyzes the muscle activity from the light muscle activity signal received from the light EMG detecting unit and outputs a motion prescription including a motion method A method for driving a sports light system for a portable light including a portable personal terminal,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includes a light-shrinking intensity output step of outputting on a screen a shrinking intensity in the vicinity of light according to a user's shrinking training in real time in a graph;
A reference value excess notification step of outputting a voice signal for notification of exceeding a reference value when the shrinkage intensity of the user's light exceeds a preset reference value;
A training termination step of informing the end of the light-shrinking training if a voice signal for exceeding a preset number of training or a notification for exceeding a reference value is outputted in the reference value excess notification step;
The method of driving a portable light-based exercise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
제17항에 있어서,
휴대용 개인단말은 훈련방법에 대한 안내 화면을 출력하는 훈련방법 안내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경부근 운동훈련 시스템의 구동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further comprises a training method guide step of outputting a guidance screen for the training method.
제18항에 있어서,
휴대용 개인단말은 근전도 검출부와 불루투스 페어링되어 연결됨을 확인하는, 장치연결 확인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경부근 운동훈련 시스템의 구동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And a device connection confirmation step of confirming that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is paired with the electromyogram detection unit and Bluetooth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제17항에 있어서,
휴대용 개인단말은 사용자의 경부근의 수축 강도로서 흉쇄유돌근의 근활성 비율을 검출하며,
흉쇄유돌근의 근활성 비율(SCM(%))의 계산은
SCM(%) = (AVG/RVIC)×100
(단, RVIC는 기 저장된 사용자의 상대적 자발적 등척성 수축 값, AVG는 경부근 근전도 검출부로부터 수신된 경부근 근활성신호의 평균)
에 의해 구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경부근 운동훈련 시스템의 구동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detects the muscle activity rate of the sternocleidomastoid muscle as the shrinkage intensity near the user's light,
Calculation of muscle activity ratio (SCM (%)) of sternocleidomastoid muscle
SCM (%) = (AVG / RVIC) 100
(Where RVIC is the relative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value of the pre-stored user, AVG is the average of the light activity signals received from the light EMG detector)
And the driving speed of the portable light-weight exercise training system i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KR1020150007213A 2015-01-15 2015-01-15 Portable Monitoring Device System and Methods for Neck Muscle Contraction KR1016404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213A KR101640441B1 (en) 2015-01-15 2015-01-15 Portable Monitoring Device System and Methods for Neck Muscle Contra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213A KR101640441B1 (en) 2015-01-15 2015-01-15 Portable Monitoring Device System and Methods for Neck Muscle Contra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0441B1 true KR101640441B1 (en) 2016-07-19

Family

ID=56616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7213A KR101640441B1 (en) 2015-01-15 2015-01-15 Portable Monitoring Device System and Methods for Neck Muscle Contra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0441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71802A (en) * 2018-08-14 2018-11-23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A kind of neck muscle potentiometric detection test method of automotive performance
KR20190022131A (en) * 2017-08-25 2019-03-06 김태완 Apparatus for assisting the drive of electric wheel chair and electric wheel chair having the same
CN112569565A (en) * 2020-12-10 2021-03-30 浙江大学德清先进技术与产业研究院 Neck function exercise identification method and system
EP3979902A4 (en) * 2019-06-06 2023-01-11 Powell Mansfield, Inc. Transmembrane sensor to evaluate neuromuscular func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222B1 (en) * 2008-12-30 2011-01-19 주식회사 비솔 A wireless electromyogram system
KR101328539B1 (en) * 2011-10-14 2013-11-13 (주)아람솔루션 Muscular exercise prescription system using bioelectrical diagnosis of muscle and method thereof
JP5493453B2 (en) * 2009-04-28 2014-05-14 横浜ゴム株式会社 Vehicle evaluation method and vehicle evalu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222B1 (en) * 2008-12-30 2011-01-19 주식회사 비솔 A wireless electromyogram system
JP5493453B2 (en) * 2009-04-28 2014-05-14 横浜ゴム株式会社 Vehicle evaluation method and vehicle evaluation device
KR101328539B1 (en) * 2011-10-14 2013-11-13 (주)아람솔루션 Muscular exercise prescription system using bioelectrical diagnosis of muscle and method thereof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2131A (en) * 2017-08-25 2019-03-06 김태완 Apparatus for assisting the drive of electric wheel chair and electric wheel chair having the same
KR101973784B1 (en) * 2017-08-25 2019-04-30 김태완 Apparatus for assisting the drive of electric wheel chair and electric wheel chair having the same
CN108871802A (en) * 2018-08-14 2018-11-23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A kind of neck muscle potentiometric detection test method of automotive performance
EP3979902A4 (en) * 2019-06-06 2023-01-11 Powell Mansfield, Inc. Transmembrane sensor to evaluate neuromuscular function
CN112569565A (en) * 2020-12-10 2021-03-30 浙江大学德清先进技术与产业研究院 Neck function exercise identification method and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18807B2 (en)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physiologic parameters of a subject
KR20210052028A (en) Telerehabilitation and Self-management System for Home based Cardiac and Pulmonary Rehabilitation
KR100750597B1 (en) Gait trainer with exercise prescription capability
US795525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ducing emotions
KR101640441B1 (en) Portable Monitoring Device System and Methods for Neck Muscle Contraction
KR101180087B1 (en) Active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and system
CN101630349B (en) Novel remote rehabilitation and treatment device based on body feel network
EP3132739A1 (en) Enhancing vehicle system control
CN108140422A (en) For disposing the disposal plant of the abnormal gait of people and method
CN201658782U (en) Portable cardio-pulmonary function exercising and guiding device
JP2011512222A (en) System and kit for stress and relaxation management
WO2006090371A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hysiological and psycho-physiological monitoring and uses thereof
JP7136022B2 (en) Processing system, walking training system,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08634943A (en) The cardiopulmonary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virtually combined with real time monitoring
JP7066360B2 (en) Electrical muscle stimulator
KR20180003151U (en) Yoga mat and yoga breath training system
US109601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ersonal health and a method for treatment of autonomic nervous system related dysfunctions
WO2018161896A1 (en) Remote rehabilitation system
KR101042780B1 (en) Real time psychophysiology-health monitering system using eyeglass
KR20130129637A (en) A biofeedback system and method using emg for rehabilitation therapy system for muscle endurance
CN106845077A (en) A kind of Telemedicine System parameter configuring system
US20170046494A1 (en) System for Assisting a Helper in the Resuscitation of a Person with Circulatory Arrest
KR20160100699A (en) Rehabilitation monitoring apparatus
US20240057926A1 (en) Neurofeedback rehabilitation system
KR102532911B1 (en) Right posture guidance system using avat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