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0346B1 - 유기 랭킨 사이클 발전시스템의 열교환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랭킨 사이클 발전시스템의 열교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0346B1
KR101640346B1 KR1020150090588A KR20150090588A KR101640346B1 KR 101640346 B1 KR101640346 B1 KR 101640346B1 KR 1020150090588 A KR1020150090588 A KR 1020150090588A KR 20150090588 A KR20150090588 A KR 20150090588A KR 101640346 B1 KR101640346 B1 KR 101640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
organic material
organic
waste heat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0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병주
Original Assignee
임병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병주 filed Critical 임병주
Priority to KR1020150090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03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0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23/00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 F01K23/02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25/00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special working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lants operating in closed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K25/02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special working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lants operating in closed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fluid remaining in the liquid ph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27/00Plants for converting heat or fluid energy into mechanical energ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K27/02Plants modified to use their waste heat, other than that of exhaust, e.g. engine-friction h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 Equipment That Uses Special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물을 미립자 형태로 분사시켜 열교환 파이프와 열교환시킴으로써, 유기물을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 유기 랭킨 사이클 발전시스템의 열교환 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유기 랭킨 사이클 발전시스템의 열교환 장치는 열교환 하우징과, 폐열순환라인과 연결되도록 열교환 하우징에 구비되는 폐열 열교환부와, 열교환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외부로 부터 액상의 유기물이 공급되도록 유기물 공급라인과 연결되고, 유기물 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유기물을 열교환 하우징의 내부에 분사하는 유기물 분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기 랭킨 사이클 발전시스템의 열교환 장치{HEAT EXCHANGER OF OCR POWER GENERATING SYSTEM}
본 발명은 유기 랭킨 사이클 발전시스템의 열교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기물을 미립자 형태로 분사하여 열교환함으로써, 유기물을 효율적으로 기화시킴은 물론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기 랭킨 사이클 발전시스템의 열교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 들어오면서 환경, 에너지 문제는 전 세계 모든 나라에서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으며, 환경, 에너지산업은 21 세기에 가장 각광받는 유망산업 및 국가경쟁력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또한, 지구온난화 문제에 대응하고 고유가 시대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화석연료 에너지를 대체할 만한 신재생 에너지의 보급, 확대가 필수적이며, 전세계적으로 신재생 에너지 산업을 부가가치가 높은 차세대 산업으로 인식하고 관련 산업 육성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화석연료가 아닌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시스템의 효율향상을 위한기술 개발이 선결 문제로서 가장 주목받고 있으며, 그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산업폐열이나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한 유기랭킨 사이클의 효율향상에 대한 기술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인 랭킨 사이클(Rankine cycle) 발전시스템은 증발기(Evaporator)를 통과하면서 고압이 된 증기가 터빈(Turbine)을 회전시킴으로써 발생되는 축동력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시스템이다. 기존의 랭킨사이클은 작동유체(working fluid)로서 물(water)을 사용하고 있으며, 고온의 열원에 대해서는 효율적인 작동유체이지만, 열원 온도가 중저온(70~400℃)일 경우에는 시스템 효율 저하로 인한 경제성의 문제로 그 적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중저온 열원의 적용시에 발생되는 기존 랭킨 사이클의 효율저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인 유기랭킨 사이클(ORC: Organic Rankine Cycle)은 작동유체로서 물을 사용하지 않고 유기혼합물(organic compound)을 사용한다. 즉, 유기랭킨 사이클 발전시스템은 화력발전 시스템과 기본 구성은 동일하지만 유기 혼합물을 작동유체로 사용하는 발전시스템으로 정의할 수 있다.
유기랭킨 사이클은 기존의 랭킨 사이클과는 달리 비교적 엑서지(exergy)가 낮은 저열원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해내는 시스템으로 낮은 에너지 열원에서 작동해야 하기 때문에 작동유체로는 비등점이 낮고, 증기압이 높아야 하며, 터빈의 입구 질량유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잠열(latent heat)이 작고, 밀도가 큰 것이 상대적으로 유리하다. 중저온 열원을 사용함으로 인해 사이클 효율이 10% 내외로 낮기 때문에 주로 산업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열이나 배열을 회수하는 하부 사이클(bottoming cycle)로 활용된다.
여기서, 유기 혼합물은 비등점이 낮아 저온에서도 기화되기 때문에 중저온 배열, 태양열, 지열 등을 이용하여 랭킨 사이클 시스템을 운용할 수 있으며, 주로 사용되는 유기 혼합물은 프레온(freon) 계열의 냉매와 프로판(propane) 등의 탄화수소계(hydrocarbon series) 물질 등이 적용되고 있다.
통상의 유기랭킨 사이클은 펌프(pump), 증발기, 터빈 그리고 응축기(condensor)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상적인 사이클의 각 과정은 펌프에서의 압축과정, 증발기에서의 흡열 과정, 터빈에서의 팽창 과정, 응축기에서의 방열 과정으로 구성된다.
터빈 출구에서의 과열(superheated) 상태의 유기혼합물은 응축기에서 응축되어 포화(saturated) 액상으로 펌프에 의해 압축된다. 펌프의 압축에 의해 과냉(subcooled) 상태로 된 유기혼합물은 증발기에서 열원과의 열교환을 통해 포화증발온도에 도달한 후, 기상으로 증발하게 된다.
증발기 출구에서의 포화증기 유기혼합물이 터빈에서 팽창됨으로써 발생되는 팽창일(expansion work)은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되며, 터빈과 연결된 발전기에 의해 전력이 생산된다. 터빈 출구에서의 유기혼합물은 과열상태로 응축기로 유입되어, 다시 응축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38186호(등록일: 2013년12월02일)에는 "유기물 랭킨 사이클 발전장치의 증발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유기랭킨 사이클 발전은 액체 상태의 유기물을 폐열과 열교환하므로, 열교환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유기물을 미립자 형태로 분사시켜 열교환시켜 유기물을 효율적으로 기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 랭킨 사이클 발전시스템의 열교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랭킨 사이클 발전시스템의 열교환 장치는, 열교환 하우징; 폐열순환라인과 연결되도록 상기 열교환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폐열 열교환부; 및 상기 열교환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외부로 부터 액상의 유기물이 공급되도록 유기물 공급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유기물 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상기 유기물을 상기 열교환 하우징의 내부에 분사하는 유기물 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폐열 열교환부는, 상기 폐열순환라인과 연결되도록 상기 열교환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폐열 인입튜브; 상기 폐열 인입튜브와 이격되도록 상기 열교환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폐열순환라인과 연결되는 폐열 배출튜브; 및 상기 페열 인입튜브와 상기 폐열 배출튜브를 연결하는 복수의 열교환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기물 분사부는, 상기 유기물 공급라인과 연결되도록 상기 열교환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유기물 인입튜브; 상기 유기물 인입탱크에 이격되게 구비되는 유기물 공급파이프; 상기 유기물 공급파이프에 구비되는 유기물 분사노즐; 및 상기 폐열 열교환부에 의해 기화되는 유기물 증기가 배출되도록 상기 열교환 하우징에 구비되는 증기 배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랭킨 사이클 발전시스템의 열교환 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유기물을 미립자 형태로 분사시켜 폐열 열교환부와 열교환시키므로, 유기물을 효율적으로 기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유기물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랭킨 사이클 발전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랭킨 사이클 발전시스템의 열교환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랭킨 사이클 발전시스템의 열교환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실시예에 따른 유기 랭킨 사이클 발전시스템의 열교환 장치를 도시한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랭킨 사이클 발전시스템의 열교환 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랭킨 사이클 발전시스템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랭킨 사이클 발전시스템의 열교환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랭킨 사이클 발전시스템의 열교환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실시예에 따른 유기 랭킨 사이클 발전시스템의 열교환 장치를 도시한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랭킨 사이클 발전시스템은 프레임(10)와, 프레임(10)에 구비되는 유기물 저장탱크(20), 발전기(30), 응축기(40) 및 열교환 장치(100)를 포함한다.
유기물 저장탱크(20)는 열교환 장치(100)와 연결되도록 프레임(10)에 구비되며, 내부에 액상의 유기물이 저장되고 컴프레서를 통해 액상의 유기물을 열교환 장치(100)에 고압으로 공급한다.
발전기(30)는 열교환 장치(100)와 연결되도록 프레임(10)에 구비되며, 열교환 장치(100)에서 기화되는 유기물 증기의 압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전기를 발생한다.
응축기(40)는 발전기(30) 및 유기물 저장탱크(20)와 연결되도록 프레임(10)에 구비되며, 발전기(30)를 통과하는 유기물 증기를 응축하여 액체상태로 변화시킨다.
열교환 장치(100)는 유기물 저장탱크(20)에 저장되는 액상의 유기물이 고압으로 공급되어 미립자 형태로 분사되면서 폐열과 열교환되어 기화되고, 기화되는 유기물 증기를 발전기(30)로 배출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랭킨 사이클 발전시스템의 열교환 장치(100)를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랭킨 사이클 발전시스템의 열교환 장치(100)는 프레임(10)에 설치되는 열교환 하우징(110)과, 폐열순환라인(101)과 연결되도록 열교환 하우징(110)과 결합되는 폐열 열교환부(120)와, 유기물 공급라인(103)과 연결되도록 열교환 하우징(110)과 결합되는 유기물 분사부(130)를 포함한다.
열교환 하우징(110)은 외부케이스(111)와, 외부케이스(111)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케이스(113)와, 외부케이스(111)와 내부케이스(113) 사이에 구비되는 단열부재(115)를 포함한다. 또한, 열교환 하우징(110)은 상면 및 하면이 개구되며, 개구된 상면 및 하면이 덮개(117)에 의해 밀폐된다.
폐열 열교환부(120)는 폐열순환라인(101)과 연결되도록 열교환 하우징(110)에 구비되며, 열교환 하우징(110)의 내부로 폐열을 순환시킨다. 이러한, 폐열 열교환부(120)는 폐열순환라인(101)과 연결되도록 열교환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폐열 인입튜브(121)와, 폐열순환라인(101)과 연결되도록 열교환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폐열 배출튜브(123)와, 폐열 인입튜브(121)와 폐열 배출튜브(123)를 연결하는 열교환 파이프(125)를 포함한다.
폐열 인입튜브(121)는 중공 형태를 가지며, 폐열 인입조절밸브(127)를 통해 열교환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된다. 폐열 인입조절밸브(127)는 열교환 하우징(110)의 일측에 위치하며, 일단부가 열교환 하우징(110)의 내부로 노출하도록 열교환 하우징(110)에 결합된다. 이때, 폐열 인입튜브(121)는 일단부가 폐열 인입조절밸브(127)에 결합된다.
폐열 배출튜브(123)는 중공 형태를 가지며, 폐열 인입튜브(121)와 이격되게 열교환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폐열 배출튜브(123)는 폐열 배출조절밸브(129)를 통해 열교환 하우징(110)에 결합된다. 폐열 배출조절밸브(129)는 열교환 하우징(110)의 타측에 위치하며, 일단부가 열교환 하우징(110)의 내부로 노출하도록 열교환 하우징(110)에 결합된다.
열교환 파이프(125)는 일단부가 폐열 인입튜브(121)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폐열 배출튜브(123)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파이프(125)는 폐열 인입튜브(121) 및 폐열 배출튜브(12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유기물 분사부(130)에서 분사되는 유기물 미립자와 열교환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굴곡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폐열 열교환부(120)는 열교환 하우징(110)의 내부 압력에 따라 폐열 인입조절밸브(127) 및 폐열 배출조절밸브(129)의 개폐정도가 조절된다.
유기물 분사부(130)는 열교환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외부로 부터 액상의 유기물이 공급되도록 유기물 공급라인(103)과 연결된다. 이러한, 유기물 분사부(130)는 유기물 공급라인(103)을 통해 공급되는 액상의 유기물을 열교환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분사시킨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분사부(130)는, 유기물 공급라인(103)과 연결되도록 열교환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유기물 인입튜브(131)와, 유기물 인입튜브(131)에 이격되게 구비되는 유기물 공급파이프(133)와, 유기물 공급파이프(133)에 구비되는 유기물 분사노즐(135)을 포함한다.
또한, 유기물 분사부(130)는 열교환 파이프(125)와 열교환됨에 따라 기화되는 유기물 증기가 열교환 하우징(110)에서 배출되도록 열교환 하우징(110)에 구비되는 증기 배출부재(137)를 더 포함한다.
유기물 인입튜브(131)는 폐열 인입튜브(121) 또는 폐열 배출튜브(123)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열교환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유기물 공급조절밸브(139)를 통해 열교환 하우징(110)의 내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유기물 인입튜브(131)는 중공 형태를 가지며, 일단부가 유기물 공급조절밸브(139)에 결합된다.
이때, 유기물 공급조절밸브(139)는 일단부가 열교환 하우징(110)의 내부로 노출하도록 열교환 하우징(110)에 결합된다. 또한, 유기물 공급조절밸브(139)는 유기물 인입튜브(131)로 공급되는 유기물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
유기물 공급파이프(133)는 열교환 파이프(125) 사이에 각각 배치되도록 일단부가 유기물 인입튜브(131)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밀폐된다. 이로 인해, 유기물 공급파이프(133)로 공급되는 유기물이 유기물 분사노즐(135)로 분사된다.
유기물 분사노즐(135)은 유기물 공급파이프(133)에 이격되게 복수개 구비된다.
증기 배출부재(137)는 개폐조절되며, 폐열 열교환부(120)에 의해 기화되는 유기물 증기의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유기물 증기를 배출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공급라인(103)은 유기물 저장탱크(20)와 연결되어 컴프레서를 통해 유기물이 고압으로 공급되고, 증기 배출부재(137)는 발전기(30)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랭킨 사이클 발전시스템의 열교환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발전소의 배기가스나, 배수처리되는 폐온수 등과 같은 열교환매체를 폐열순환라인(101)으로 공급하면 열교환매체가 폐열 열교환부(120)를 순환하게 되고, 열교환 파이프(125)를 통해 열교환 하우징(110) 내부에서 분사되는 유기물을 가열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폐열순환라인(101)으로 공급되는 열교환매체가 폐열 인입튜브(121), 열교한 파이프(125) 및 폐열 배출튜브(123)를 차례로 거치면서 순환함과 동시에 유기물 순환라인(103)으로 공급되는 액상의 유기물이 유기물 인입튜브(131)와 유기물 공급파이프(133)를 거쳐 유기물 분사노즐(135)로 분사된다. 이때, 유기물 분사노즐(135)에서는 유기물이 미립자 형태로 분사된다.
그리고, 유기물 분사노즐(135)에서 분사되는 미립자 형태의 유기물이 유기물 공급파이프(133)와 열교환되면서 기화되어 증기배출부재(137)로 배출된다. 이로 인하여, 폐열과 유기물의 열교환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열교환 하우징(120)의 내부 압력에 따라 폐열 인입조절밸브(127), 폐열 배출조절밸브(129), 유기물 공급조절밸브(139)의 개폐정도가 조절된다. 이로 인하여, 열교환 하우징(120)의 압력을 적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랭킨 사이클 발전시스템의 열교환 장치(100)는 유기물을 미립자 형태로 분사시켜 폐열 열교환부(120)와 열교환시키므로, 유기물을 효율적으로 기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유기물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유기 랭킨 사이클 발전시스템의 열교환 장치 110 : 열교환 하우징
120 : 폐열 열교환부 121 : 폐열 인입튜브
123 : 폐열 배출튜브 125 : 열교환 파이프
130 : 유기물 분사부 131 : 유기물 인입튜브
133 : 유기물 공급파이프 135 : 유기물 분사노즐

Claims (3)

  1. 열교환 하우징; 폐열순환라인과 연결되도록 상기 열교환 하우징에 구비되는 폐열 열교환부; 및 상기 열교환 하우징에 구비되며, 외부로 부터 액상의 유기물이 공급되도록 유기물 공급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유기물 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상기 유기물을 상기 열교환 하우징의 내부에 분사하는 유기물 분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폐열 열교환부는, 상기 폐열순환라인과 연결되도록 상기 열교환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폐열 인입튜브; 상기 폐열 인입튜브와 이격되도록 상기 열교환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폐열순환라인과 연결되는 폐열 배출튜브; 및 상기 페열 인입튜브와 상기 폐열 배출튜브를 연결하는 복수의 열교환 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유기물 분사부는, 상기 유기물 공급라인과 연결되도록 상기 열교환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유기물 인입튜브; 상기 유기물 인입튜브에 이격되게 구비되는 유기물 공급파이프; 상기 유기물 공급파이프에 구비되는 유기물 분사노즐; 및 상기 폐열 열교환부에 의해 기화되는 유기물 증기가 배출되도록 상기 열교환 하우징에 구비되는 증기 배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열교환 하우징은, 외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와 상기 내부케이스 사이에 구비되는 단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파이프는,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유기물 공급파이프는, 상기 열교환파이프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랭킨 사이클 발전시스템의 열교환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50090588A 2015-06-25 2015-06-25 유기 랭킨 사이클 발전시스템의 열교환 장치 KR101640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588A KR101640346B1 (ko) 2015-06-25 2015-06-25 유기 랭킨 사이클 발전시스템의 열교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588A KR101640346B1 (ko) 2015-06-25 2015-06-25 유기 랭킨 사이클 발전시스템의 열교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0346B1 true KR101640346B1 (ko) 2016-07-15

Family

ID=56506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0588A KR101640346B1 (ko) 2015-06-25 2015-06-25 유기 랭킨 사이클 발전시스템의 열교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034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0282A (ja) * 1996-11-19 1998-06-19 Carrier Corp 蒸気圧縮冷却システム
KR20120115698A (ko) * 2011-04-11 2012-10-19 한국기계연구원 액상매체 분사식 팽창/증발기를 이용하는 증기 사이클
WO2014179583A2 (en) * 2013-05-01 2014-11-06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Falling film evaporator for power generation system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0282A (ja) * 1996-11-19 1998-06-19 Carrier Corp 蒸気圧縮冷却システム
KR20120115698A (ko) * 2011-04-11 2012-10-19 한국기계연구원 액상매체 분사식 팽창/증발기를 이용하는 증기 사이클
WO2014179583A2 (en) * 2013-05-01 2014-11-06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Falling film evaporator for power generation system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807848B (zh) 双流体蒸汽式双发电装置
US7891188B2 (en) Apparatus for producing power using geothermal liquid
EP2846008B1 (en) Steam turbine plant
KR101553196B1 (ko) 유기 랭킨 바이너리 사이클 발전시스템
CN104832229A (zh) 一种布列顿-有机朗肯型太阳能热发电方法及装置
JP6161358B2 (ja) 有機ランキンサイクルシステム
CN204691835U (zh) 一种布列顿-有机朗肯型太阳能热发电装置
Cioccolanti et al. Performance assessment of a solar trigeneration system for residential applications by means of a modelling study
KR101247772B1 (ko) 유기 랭킨 사이클을 이용한 선박의 발전장치
CN104236161A (zh) 一种余热回收利用系统
CN109869937A (zh) 一种蒸汽、热水机组
KR101640346B1 (ko) 유기 랭킨 사이클 발전시스템의 열교환 장치
KR200462803Y1 (ko) 태양열 집열장치를 이용한 열원 발전장치
WO2013143041A1 (zh) 热辐射内循环发电装置
KR101528935B1 (ko) 복수기 폐열 발전시스템
CN105275759A (zh) 一种槽式太阳能热电联产制药热能动力系统
CN103089355B (zh) 蒸汽朗肯-低沸点工质朗肯联合循环发电装置
KR102285675B1 (ko) 냉동공조기 실외기 폐열 및 태양열 이용 유기 랭킨 사이클 발전장치
CN203717053U (zh) 低温蒸汽发电机系统
CN109209800A (zh) 一种不用工质泵的冷热水温差的发电装置
TWM527042U (zh) 地熱濕蒸氣發電系統
CN207751040U (zh) 一种基于分布式的太阳能光热利用系统
Bajaj et al. Organic Rankine Cycle and Its Working Fluid Selection—A Review
WO2015016693A1 (ru) Тепловая гидроэлектростанция
CN202417847U (zh) 太阳能换热发电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