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8575B1 - 모바일기기용 스마트 티켓 애플리케이션 및 모바일 스마트 티켓을 이용한 입장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기기용 스마트 티켓 애플리케이션 및 모바일 스마트 티켓을 이용한 입장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8575B1
KR101638575B1 KR1020140105375A KR20140105375A KR101638575B1 KR 101638575 B1 KR101638575 B1 KR 101638575B1 KR 1020140105375 A KR1020140105375 A KR 1020140105375A KR 20140105375 A KR20140105375 A KR 20140105375A KR 101638575 B1 KR101638575 B1 KR 101638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cket
information
mobile device
smar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5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2560A (ko
Inventor
강신혁
계동훈
허유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스포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스포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스포츠
Publication of KR20150122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2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모바일기기용 스마트 티켓 애플리케이션 및 모바일 스마트 티켓을 이용한 입장 서비스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스마트 티켓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기기의 저장부에 티켓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티켓 정보를 이용하여 게이트 시스템에 의해 광학적으로 식별되는 제 1 티켓 이미지를 모바일기기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티켓 정보에 포함된 입장 일시의 소정 시간 전부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제 1 티켓 이미지를 락스크린(Lock Screen)에 표시하는 단계;를 실행하기 위하여 상기 모바일기기의 저장매체에 저장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스마트 티켓을 이용한 입장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의 모바일기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기기의 저장부에 티켓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티켓 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기기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제 1 티켓 이미지를 상기 티켓 정보에 포함된 입장 일시의 소정 시간 전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락스크린(Lock Screen)에 표시하는 단계; 및 게이트 시스템의 티켓 식별 단말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락스크린에 표시된 상기 제 1 티켓 이미지를 식별하여 입장을 허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기기용 스마트 티켓 애플리케이션 및 모바일 스마트 티켓을 이용한 입장 서비스 방법 {Smart-Ticket Application For Mobile Device And Entrance Service Method Using Moble Smart-Ticket}
본 발명은 모바일기기용 애플리케이션과 이를 이용하는 입장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전자 정보 형태의 티켓, 이른바 스마트 티켓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신속하고 편리하게 입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모바일기기용 스마트 티켓 애플리케이션과 이를 이용한 입장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영화관, 공연장, 전람회장 또는 운동경기장 등 입장 티켓이 활용되는 분야에서 온라인 티켓 서비스 현황을 살펴보면, 구매자가 티켓 예매를 할 경우, 티켓 구입 매수와 상관없이 하나의 주문에 대하여 부여된 예매 번호를 이동통신 단말기 등 모바일기기의 단문 메세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세지(MMS)의 형태로 수신하여 모바일기기에 저장하거나, 이메일(E-mail)로 수신된 전자 티켓 형태로 저장하고, 이들을 이용하여 현장 발권으로 티켓을 발급받아 보관하거나 사용하는 실정이다. 즉, 온라인 티켓 예매시스템을 이용하더라도 현장 발권을 통해 티켓을 장당 출력하여, 현장 직원에게 확인을 받고 입장하는 구조이다.
티켓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온라인 예매 시스템을 통해 티켓을 예매했음에도 불구하고 현장에 미리 도착하여 무인 발권기 또는 발권창구를 통해 입장 티켓을 발권 받아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철도 승차권과 같은 일부 분야에서는 홈 티켓 발권과 같이 사용자가 집에서 프린터를 이용하여 티켓을 발권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운영하기도 하나, 티켓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는 데에 많은 노력이 소요되고, 사용자가 이러한 기능에 부합하는 프린터를 갖춰야하는 제약이 따른다.
한편, 서비스 제공자의 입장에서는 현장 발권기나 발권창구를 운영하는 데에 많은 비용과 노력이 소요되고, 위변조 방지 기능이 부여되거나 전자적 인식이 가능한 티켓을 제공하는 데에도 역시 많은 비용과 노력이 소요된다. 이러한 비용과 노력을 절감하기 위하여 모바일기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정보나 이미지를 티켓으로 활용하고자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미지의 복사와 전달이 용이한 모바일기기의 특성상 티켓의 무단 복제 및 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추가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또한, 전자 정보 형태의 티켓을 영화관, 공연장, 전람회장 또는 운동경기장 등의 게이트에서 확인하고 입장을 허가하는 과정에도 개선의 여지가 많다. 단문메세지나 멀티미디어 메세지 또는 이미지 파일 형태로 사용자의 모바일기기에 저장되어 있는 티켓을 사용자가 직접 찾아서 화면에 출력하여 게이트에서 확인받는 과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이는 입장 대기 시간의 증가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영화관, 공연장, 전람회장 또는 운동경기장 등의 입장을 위한 전자 정보 형태의 스마트 티켓을 입장객(모바일기기 사용자)의 모바일기기에 저장 및 화면 출력을 통해 사용하되, 사용자가 입장 시에 별도로 모바일기기에 저장된 티켓을 찾거나 특정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신속하고 편리하게 티켓을 확인받고 입장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기기용 스마트 티켓 애플리케이션과 이를 이용하는 입장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스마트 티켓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기기의 저장부에 티켓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티켓 정보를 이용하여 게이트 시스템에 의해 광학적으로 식별되는 제 1 티켓 이미지를 모바일기기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티켓 정보에 포함된 입장 일시의 소정 시간 전부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제 1 티켓 이미지를 락스크린(Lock Screen)에 표시하는 단계;를 실행하기 위하여 상기 모바일기기의 저장매체에 저장된다.
상기 티켓 정보를 이용하여 그 입장 대상 이벤트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티켓 이미지를 모바일기기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티켓 이미지를 락스크린에 표시하기 전에 소정의 시간 동안 애플리케이션의 실행과 무관하게 상기 제 2 티켓 이미지를 락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티켓 이미지를 락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는, 주기적으로 외부 URL로부터 상기 입장 대상 이벤트 관련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관련 정보를 상기 락스크린에 함께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티켓 정보는 텍스트 데이터 형식으로 이루어진 제 1 티켓 정보와 이미지 데이터 형식으로 이루어진 제 2 티켓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티켓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티켓 이미지를 구성하고, 상기 제 2 티켓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티켓 이미지를 구성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른 모바일 스마트 티켓을 이용한 입장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의 모바일기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기기의 저장부에 티켓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티켓 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기기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제 1 티켓 이미지를 상기 티켓 정보에 포함된 입장 일시의 소정 시간 전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락스크린(Lock Screen)에 표시하는 단계; 및 게이트 시스템의 티켓 식별 단말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락스크린에 표시된 상기 제 1 티켓 이미지를 식별하여 입장을 허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영화관, 공연장, 전람회장 또는 운동경기장 등의 입장을 위한 전자 정보 형태의 스마트 티켓을 입장객(모바일기기 사용자)의 모바일기기에 저장 및 화면 출력을 통해 사용하되, 사용자가 입장 시에 별도로 모바일기기에 저장된 티켓을 찾거나 특정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신속하고 편리하게 티켓을 확인받고 입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입장 대기 시간을 줄이고 입장객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여부와 상관없이 입장 일시보다 소정 시간 앞서 해당 티켓의 입장 대상 이벤트 관련 정보들이 입장객의 모바일기기 락스크린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해당 입장 대상 이벤트에 대한 입장 유도는 물론, 추가적으로 관련 행사나 서비스 등에 대한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티켓 시스템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티켓 시스템에서 모바일기기와 게이트 시스템을 좀 더 상세히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티켓 시스템에서 모바일기기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동작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티켓 시스템에서 시간 순서에 따른 정보의 이동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락스크린 표시 화면의 예를 보인다.
도 6은 상기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의 이동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상기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락스크린 표시 화면의 구현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및 위젯 모듈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티켓 시스템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티켓 시스템은 모바일기기(10), 티켓 예매 시스템(20) 및 게이트 시스템(30)을 포함한다. 모바일기기(10)는 무선 및 유선 통신망을 통해 티켓 예매 시스템(20)에 접속된다. 티켓 예매 시스템(20)과 게이트 시스템(30)은 전용 회선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티켓 예매 시스템(30)은 티켓 구매 대금의 전자 결제를 위해 결제 시스템(25)과 연결되고, 구매자 정보를 저장, 관리 및 제공하는 멤버쉽 서버(40)와도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티켓 시스템은 기존 현장 발권 체계와의 호환성을 위해 티켓 예매 시스템(20)에 연결되어 기존 방식의 티켓을 발권하는 현장 발권기(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게이트 시스템(30)은 모바일기기(10)를 통해 발권된 스마트 티켓과 현장 발권기(22)를 통해 발권된 기존 방식의 티켓을 모두 인식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제 시스템(25)은 티켓 대금을 다양한 방법으로 지불할 수 있도록 카드사, 은행, 상품권 사업자 등의 시스템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결제 시스템(25)을 통해 대금을 지불하고 연간 회원권, 시즌권, 복수 게임권(복수 입장권) 등의 선불권을 구입한 경우에는 상기 티켓 예매 시스템(25)이 사용자의 모바일기기(10) 또는 멤버쉽 서버(40)에 저장된 선불권을 이용하여 티켓 대금을 결제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선불권 외에 다양한 이벤트 쿠폰, 마일리지, 포인트 등의 활용도 가능하다.
상기 모바일기기(10)에는 스마트 티켓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마트 티켓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기기(10)의 통신부(11), 연산부(12), 저장부(13) 및 표시부(14)를 활용하고,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티켓 예매 시스템(20)에 접속하여 기능을 수행한다. 다만, 티켓 예매 등 적어도 일부의 기능은 모바일기기(10)에 설치된 웹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티켓 예매 시스템(20)에 접속된 상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티켓 시스템에서 모바일기기와 게이트 시스템을 좀 더 상세히 보이는 블록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 티켓의 예매, 발권, 저장 및 사용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은 웹 기반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여기서는 모바일기기용 스마트 티켓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되는 경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모바일기기(10)에 설치된 스마트 티켓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통신부(11)를 통해 모바일기기(10) 외부의 티켓 예매 시스템(20)에 접속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기기(10)의 연산부(12), 저장부(13) 및 표시부(14)를 활용하면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티켓 예매 시스템(20)에 스마트 티켓 예매에 필요한 정보를 보내고, 예매 정보 등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확인을 위한 정보를 표시부(14)에 표시할 수 있다.
예매가 완료된 후,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티켓 애플리케이션은 티켓 예매 시스템(20)으로부터 스마트 티켓의 발권 정보, 예컨대 숫자 또는 숫자와 문자로 코드화된 발권 번호를 수신한다. 한편, 티켓 예매 시스템(20)으로부터 우선 예매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시기에 다시 상기 티켓 예매 시스템(20)에 스마트 티켓의 발권을 요청할 수도 있다. 티켓 예매 시스템(20)으로부터 스마트 티켓의 발권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기기의 연산부(12)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티켓 발권 정보로부터 텍스트 데이터 형식의 제 1 티켓 정보와, 상기 제 1 티켓 정보에 일대일로 대응되는 이미지 데이터 형식의 제 2 티켓 정보를 생성하여 모바일기기(10)의 저장부(13)에 각각 저장한다.
상기 제 1 티켓 정보는 발권된 티켓의 관리를 위해 미리 설정된 텍스트 데이터 형식에 따른 것일 수 있는데, 좀 더 바람직하게는 티켓 관리 및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원 프로토콜에 따른 텍스트 데이터 형식을 충족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카드에뮬레이션(Card Emulation) 기능의 프로토콜(ISO 14443규약)에 부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 티켓 정보는 모바일기기의 저장부(13) 중 임의의 저장 공간에 저장될 수 있다. 현재까지의 모바일기기(10)에 있어서 전술한 카드에뮬레이션 기능의 프로토콜은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에서만 지원이 되어왔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USIM 메모리를 포함하는 제 1 저장부에 상기 제 1 티켓 정보를 저장하는 방식의 실시예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최근 발표된 안드로이드 운영체계(OS) 4.4버전(일명 키켓이라 불림)부터는 호스트카드에뮬레이션(HCE, Host Card Emulation)이라 하여, NFC를 지원하는 카드에뮬레이션 기능을 모바일기기의 애플리케이션에 수용 가능하게 함으로써,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할당된 임의의 저장 공간을 활용하여 상기 제 1 티켓 정보를 저장할 수 있게 되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 예로서 상기 제 1 티켓 정보는 모바일기기의 저장부(13) 중 제 1 저장부(131)에 저장되고, 제 2 티켓 정보는 제 2 저장부(132)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저장부(131)는 모바일기기(10)의 USIM에 포함된 저장 공간(memory)일 수 있다. 상기 제 2 저장부(132)는 모바일기기(10)의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메모리 카드 등)의 저장 공간일 수 있다.
상기 제 1 저장부(131), 예컨대 USIM 메모리에 저장된 스마트 티켓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깅(tagging)을 통해 비접촉식으로 게이트 시스템(30)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게이트 시스템(30)은 NFC 동글(dongle)(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시스템(30)은 NFC 동글(31)을 통해 식별된 티켓 정보를 통신부(32)를 통해 티켓 예매 시스템(20)에 송신하고, 상기 티켓 예매 시스템(20)의 티켓 유효성 체크 결과에 따른 입장 허가 또는 입장 불허 신호를 다시 수신하여, 그에 따라 게이트 작동부(33)를 구동하여 게이트를 개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티켓 예매 시스템(20)으로부터 모바일기기(10)에 수신되는 티켓 발권 정보에는 복수의 티켓 발권 정보가 포함될 수 있는데, 복수의 티켓 발권 정보에는 하나의 발권 번호와, 동일한 예매 번호로부터 발권된 티켓의 매수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를 수신한 모바일기기(10)는 상기 하나의 발권 번호로부터 상기 동일한 예매 번호로부터 발권된 티켓의 매수만큼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발권 번호를 생성하여 복수의 티켓 각각의 발권 정보를 완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티켓 시스템에서 모바일기기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동작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모바일기기(10)에서 스마트 티켓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연산부(12)를 유동적으로 활용하여 필요한 여러 가지 연산을 수행하면서 통신부(11)와 저장부(13), 그리고 표시부(14)를 제어하여 필요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여기서는 티켓 예매 시스템으로부터 스마트 티켓 발권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저장하고, 확인 및 사용하는 기능에 관계된 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스마트 티켓 애플리케이션은 전술한 바와 같이 수신된 스마트 티켓 발권 정보로부터 제 1 티켓 정보와 제 2 티켓 정보를 생성한다. 이러한 작업은 주로 연산부(12)에서 이루어진다. 좀 더 구체적으로, 해당 스마트 티켓의 목적이 운동 경기장 입장인 경우를 예로 들면, 텍스트 데이터 형식인 제 1 티켓 정보는 해당 경기의 명칭, 장소, 시간, 좌석, 티켓 고유의 발권 번호 등에 해당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티켓 정보는 USIM 관리모듈(121)에 의해 NFC 기반 모바일 터치 서비스의 표준 규격인 'USIM 티켓 애플릿(applet)'에 부합하도록 가공되고, 제 1 저장부(131)인 USIM 메모리에 저장된다. 여기서, 'USIM 티켓 애플릿'이란 이동통신사 들의 참여로 특정 통신사나 제휴사에 관계없이 모바일기기(10)가 NFC 기반으로 결제, 쿠폰, 티켓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정된 통신 표준 규격의 하나이다.
아래의 표 1은 USIM 티켓 애플릿의 티켓 정보를 영화 티켓의 예로서 정리한 것이다.
항목 크기(Byte) 설명 비고
제휴사 ID 1 제휴사 구분 ID HEX
계열사 ID 1 계열사 구분 ID HEX
가맹점 ID 10 가맹점 구분 ID HEX
예매번호 5 티켓 예매 번호 (예매번호+FFFF로 정의) HEX
영화명 40 영화 제목 최대 한글 20자, 영문 40자
한글은 KSC5601, 영문은 ASCII 기준
HEX
상영관 4 상영관 정보 HEX
상영일시 5 상영 일시 BCD
티켓종류 1 티켓 종류 HEX
좌석번호 8 좌석 번호 HEX
티켓 ID 8 티켓 구분 ID (발권 번호+FFF로 정의) BCD
티켓인증코드 1 티켓 인증 코드 HEX
티켓상태 1 티켓 상태 HEX
확장정보 1 스탬프 확장 정보를 저장하는 파일의 위치와 레코드 정보 HEX
한편, 티켓 이미지 생성 모듈(122)은 상기 스마트 티켓 발권 정보로부터 상기 제 1 티켓 정보에 일대일로 대응되는 티켓의 이미지를 이미지 데이터 형식으로 생성하고, 이를 제 2 저장부(132)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제 2 저장부(132)는 모바일기기(10)의 저장부(13) 중 일부의 저장 영역으로서 물리적으로는 내장 메모리에 속할 수도 있고, 메모리 카드와 같은 외장 메모리에 속할 수도 있다. 상기 제 2 저장부(132)는 스마트 티켓 애플리케이션에 할당된 저장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 2 티켓 정보에 따른 티켓 이미지는 바코드나 QR코드 등과 같은 이미지 형태의 코드를 포함할 수 있고, 기존의 종이 티켓과 유사한 형태로 상기 스마트 티켓 발권 정보 중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가 필요한 정보를 이미지로 표현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티켓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보유한 티켓, 즉 티켓 예매 시스템(20)으로부터 발권되어 모바일기기(10)의 저장부(13)에 저장된 각각의 스마트 티켓들을 리스트 형태로 표시할 수 있고, 그중 사용자가 확인 또는 사용 등의 목적으로 선택한 티켓을 표시부(14)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할 티켓을 선택하면 USIM 메모리인 제 1 저장부(131)에 저장된 상기 제 1 티켓 정보에 대응되는 제 2 티켓 정보 즉, 해당 스마트 티켓의 이미지를 호출하여 표시부(14)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마트 티켓의 저장 및 확인 방식은, NFC 기반의 서비스가 가능하나 상대적으로 저장 공간이 부족한 USIM 메모리와, NFC 태깅은 불가능하나 상대적으로 저장 공간이 넉넉한 내장 또는 외장 메모리를 효과적으로, 그리고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티켓 시스템에서 시간 순서에 따른 정보의 이동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운동 경기 티켓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로서 스마트 티켓 시스템에 멤버쉽 서버(40)가 포함된 경우를 예로 든 것이나 하나의 실시예를 정보 흐름의 관점에서 설명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티켓 구매자가 모바일기기(10)를 이용하여 티켓 예매 시스템(20)에 티켓 구매를 요청한다(a12). 어떤 경기인지 어떤 좌석을 원하는지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티켓 예매 시스템(20)은 멤버쉽 서버(40)에 구매자의 멤버쉽 정보 조회를 요청(a24)하고, 그 결과로 멤버쉽 가입 여부와 개인 식별 정보, 적립된 쿠폰, 마일리지, 포인트 등의 멤버쉽 정보(a42)를 수신한다. 구매자의 결제 요청에 따라 티켓 예매 시스템(20)이 결제 시스템(25)에 결제 요청(a25)을 전달하고, 결제완료(a52) 정보를 수신하면, 다시 구매자의 모바일기기(10)로 티켓 예매 완료(a21) 사실을 통보한다. 이때, 티켓 예매 정보도 함께 전달된다. 상기 티켓 예매 시스템(20)은 멤버쉽 서버(40)에도 예매 정보(a242)를 전달하여 멤버쉽 서비스에 활용되도록 할 수 있다.
모바일기기(10)는 수신된 티켓 예매 정보를 저장(s11)한다. 티켓 구매자는 언제든지 저장된 티켓 예매 정보를 호출하여 티켓 예매 시스템(20)에 티켓의 발권을 요청(b12)할 수 있다. 티켓 예매 시스템(20)은 티켓을 발권(S21)하고, 해당 티켓의 발권 정보(b21)를 모바일기기(10)로 전송한다. 이때, 티켓 예매 시스템(20)은 상기 발권 정보(b24)를 멤버쉽 서버(40)에 제공할 수 있다. 티켓 발권 정보(b21)를 수신한 모바일기기(10)는 전술한 방법으로 스마트 티켓의 발권 정보를 저장(s12)한다. 한편, 여기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모바일기기(10)와 테켓 예매 시스템(20) 사이에서, 티켓 예매 완료(a21) 사실 통보와 동시에 티켓 발권 정보를 곧바로 제공할 수도 있음은 상기 도 2를 참조한 설명에서 전술한 바 있다.
티켓 구매자는 이미 발권된 스마트 티켓을 모바일기기(10)에 소지하고 있으므로, 해당 경기의 경기 일시에 경기장에 도착하여 별도의 현장 발권 절차 없이 NFC 태깅 또는 티켓 이미지 스캐닝(c12)을 통해 게이트 시스템(30)에 티켓 정보를 제공하고 입장할 수 있다. 게이트 시스템(30)은 식별된 티켓 정보를 티켓 예매 시스템(20)으로 전송하여 해당 티켓의 유효성을 체크(c32)하고, 그 결과에 따른 입장 허가(c23)를 받아 게이트를 개방한다. 이때, 상기 티켓 예매 시스템(20)은 식별된 티켓 정보를 자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발권 정보와 대조하는 방식으로 유효성을 체크하고, 유효한 경우 체크인 정보를 모바일기기(10)에 전송한다. 한편, 상기 티켓 예매 시스템(20)은 유효성 체크 결과가 반영된 입장 정보(c24)를 멤버쉽 서버(40)에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모바일기기(10)의 USIM 메모리에 저장된 스마트 티켓을 NFC 태깅을 통해 게이트 시스템(30)에 전송하는 경우, 게이트 시스템(30)은 NFC 동글 연동 프로토콜 규격에 의해 USIM 메모리 내의 티켓을 분석하여 당일 경기에 해당하는 티켓을 확인하는 로직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체크인 정보를 티켓 예매 시스템에 남겨 재사용을 방지하고, 티켓 예매 시스템이 자동으로 티켓 정산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모바일기기(10)는 체크인 정보(c21)를 수신하면, 그 저장부에서 사용된 스마트 티켓을 찾아 이를 비활성화(s13)한다. 이를 통해 티켓의 중복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체크인 정보(c21)는 모바일기기(10)에서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의 모드를 경기장 외부 모드에서 경기장 내부 모드로 전환하는 데에 활용될 수도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영화관, 공연장, 전람회장 또는 운동경기장 등에서 모바일기기의 저장부에 저장된 스마트 티켓을 활용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입장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입장 서비스의 관점에서, 모바일기기용 스마트 티켓 애플리케이션의 락스크린 응용 기능과 이를 이용한 입장 서비스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락스크린 표시 화면의 예를 보인다.
도 5의 (a)는 저장된 스마트 티켓의 티켓 정보에 포함된 입장 일시(3월 10일 오후 6시) 보다 소정의 시간, 예컨대 1시간 전부터 모바일기기의 락스크린 표시화면(14L)에 표시되는 제 1 티켓 이미지(T1)가 포함된 정보 표시창(W1)을 보이고, 도 5의 (b)는 상기 (a)의 제 1 티켓 이미지(T1)가 표시되기 전에 소정의 시간 동안, 일 예로 상기 입장 일시의 1일 전부터 입장 일시의 1시간 전까지의 시간 동안 락스크린 표시화면(14L)에 제 2 티켓 이미지(T2)를 포함하는 정보 표시창(W2)이 표시된 모습을 보인다.
락스크린 표시화면(14L)은 모바일기기가 장시간 사용되지 않거나 사용자 조치로 잠금 상태에 있을 때 모바일기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으로, 밀어서 잠금 해제하는 패턴이나, 비밀번호 입력창 또는 암호 패턴 입력을 위한 기본 도트 패턴 등이 표시되는 화면을 말한다. 여기에 표시되는 내용은 모바일기기에 탑재된 락스크린 애플리케이션(Lock Screen Application) 및 락스크린 위젯(Lock Screen Widget)에 의해 가공될 수 있다.
상기 제 1 티켓 이미지(T1)는 영화관, 공연장, 전람회장 또는 운동경기장 등의 게이트 시스템에서 티켓 식별 단말기를 통해 광학적으로 식별되는 것으로서, 예컨대 바코드나 QR코드 등 다양한 형태의 패턴이나 컬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 티켓 이미지(T1)는 상기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언급된 제 2 티켓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 2 티켓 이미지(T2)는 모바일기기의 저장부에 저장된 티켓 정보 중 텍스트 데이터 형식의 제 1 티켓 정보로부터 발췌된 주요 정보의 내용을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제 2 티켓 이미지(T2)는 해당 티켓의 입장 대상 이벤트에 대한 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예컨대, 영화 티켓의 경우에는 영화제목과 상영관, 상영 회차 등의 정보가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티켓 이미지(T2)를 포함하는 정보 표시창(W2)에는 해당 티켓의 입장 대상 이벤트 그 자체뿐만 아니라 그와 관련된 정보들이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보들은 상기 티켓 정보에 외부 연동 URL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URL로부터 주기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영화 출연진의 팬사인회와 같이 해당 영화, 공연 또는 경기에 관련된 이벤트 정보나, 극장, 공연장 또는 경기장 주변의 판촉행사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6은 상기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의 이동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스마트 티켓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기기의 저장부(13)에 티켓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티켓 정보를 이용하여 게이트 시스템(30)에 의해 광학적으로 식별되는 제 1 티켓 이미지를 모바일기기의 위젯(Widget) 화면에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티켓 정보에 포함된 입장 일시의 소정 시간 전부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제 1 티켓 이미지를 락스크린(Lock Screen)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정을 실행한다.
본 도면에서 D 영역은 티켓 정보를 저장하고 티켓 이미지를 락스크린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을 보인다. 티켓 정보는 사용자(U4)가 락스크린 애플리케이션(P2)을 통해 티켓 정보를 직접 입력(d42)하거나, 락스크린에서 연계하는 티켓 구매 사이트를 이용하여 티켓을 구매하여 저장하는 방식으로 모바일기기의 저장부(13)에 저장(d21)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티켓 정보는 해당 모바일기기(10)에 탑재되어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 예컨대 전술한 스마트 티켓 애플리케이션(P1)을 통해 발권받아 저장된 것을 호출(d12)하여 상기 락스크린 애플리케이션(P2)을 통해 저장(d21)될 수도 있다. 락스크린 애플리케이션(P2)은 상기 티켓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티켓 이미지를 모바일기기의 화면에, 좀 더 구체적으로는 위젯 화면에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선택에 따라 제 2 티켓 이미지도 위젯 화면에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모바일기기의 저장부(13)에 저장하고, 그 다음 단계에서 이를 락스크린 위젯(P3)에 제공하여 락스크린 화면에 표시하도록 한다.
본 도면에서 E 영역은 락스크린에 입장을 위한 제 1 티켓 이미지를 표시하기 전에, 락스크린 애플리케이션(P2) 내의 스케줄러에 의해 주기적으로 외부 연계 URL, 예컨대 외부 이벤트 시스템(60)으로부터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티켓 이미지와 함께 락스크린에 제공하는 과정을 보인다. 애플리케이션 또는 위젯을 통하여 내부 스케줄러가 실행되면 주기적으로 저장부(13)에 저장된 티켓 정보를 체크(e21)하여 락스크린 화면에 보여준다. 여기서 티켓 정보는 이미지 형태로 가공되어 보여질 수 있고, 예컨대 락스크린에는 전술한 제 2 티켓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조회된 티켓 정보에 외부 이벤트 시스템(60)에 대한 URL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는 해당 URL 정보로 조회(e26)하여 상기 제 2 티켓 이미지를 표시하기 전에 락스크린의 정보 표시창에 함께 표시할 관련 정보를 수집(e62)하고, 이를 상기 티켓 정보와 함께 락스크린 위젯(P3)에 전송(e23)하여 락스크린의 정보 표시창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 F 영역은 락스크린에 표시된 티켓 이미지를 이용하여 게이트를 통과하는 과정을 보인다. 티켓의 목적인 입장 대상 이벤트의 일시가 가까워져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면, 예컨대 운동경기 시작보다 한 시간 전이 되면, 락스크린 애플리케이션(P2)은 모바일기기의 저장부(13)에 저장된 티켓 이미지, 좀 더 구체적으로 전술한 제 1 티켓 이미지를 호출(f21)하여 이를 락스크린 위젯(P3)에 제공(23)하여 락스크린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 사용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거나 티켓 이미지가 포함된 특정 파일이나 메세지를 찾지 않고도, 락스크린 화면을 게이트 시스템(30)의 티켓 식별 단말기에 인식시키고(f33) 게이트를 통과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입장객들의 대기시간을 감축시키고,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락스크린 애플리케이션(P2)이 전술한 스마트 티켓 애플리케이션(P1)과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으로 모바일기기(10) 내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락스크린 애플리케이션(P2)은 실제로는 상기 스마트 티켓 애플리케이션(P1)과 통합된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모바일기기에 설치될 수 있음을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상기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락스크린 표시 화면의 구현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및 위젯 모듈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여기서 락스크린 애플리케이션 모듈(P2)은 위젯을 콘트롤하기 위한 이벤트와 데이터를 위젯 모듈(P30)에 제공하거나, 위젯 모듈(P30)에서 조회를 요청한 티켓 정보 및 티켓 이미지를 저장부(13)로부터 조회하여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모바일기기에서 위젯을 등록하기 위한 정보 등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락스크린에 위젯을 등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및 정보를 제공한다.
위젯 모듈(P30)은 락스크린 애플리케이션 모듈(P2)에서 받은 이벤트 및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화면을 통해 사용자 이벤트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또는 화변을 통한 사용자 이벤트를 위젯 프로바이더(widget provider)를 통해 수신하고, 그 결과를 위젯 서비스(widget service)로 전달한다. 위젯 호스트를 통하여 해당 락스크린 표시화면(14L)으로 정보를 전달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10: 모바일기기
11: 통신부 12: 연산부
13: 저장부 131: 제 1 저장부
132: 제 2 저장부 14: 표시부
14L: 락스크린 표시화면 20: 티켓 예매 시스템
22: 현장 발권기 25: 결제 시스템
30: 게이트 시스템 40: 멤버쉽 서버
W1,W2: 정보 표시창 T1, T2: 제 1 및 제 2 티켓 이미지
P2: 락스크린 애플리케이션 P3: 락스크린 위젯

Claims (5)

  1. 모바일기기의 저장부에 티켓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티켓 정보를 이용하여 게이트 시스템에 의해 광학적으로 식별되는 제 1 티켓 이미지를 모바일기기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단계;
    제 1 티켓 이미지를 모바일기기의 잠금 상태 화면인 락스크린(Lock Screen)을 구성하는 락스크린 위젯에 제공하여 상기 제 1 티켓 이미지가 포함된 락스크린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티켓 정보에 포함된 입장 일시보다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 전부터 상기 제 1 티켓 이미지가 포함된 락스크린을 상기 모바일기기가 잠금 상태일 때 표시하는 단계;를 실행하기 위하여 상기 모바일기기의 저장매체에 저장된,
    모바일기기용 스마트 티켓 애플리케이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티켓 이미지를 구성하는 단계와 병렬적으로, 상기 티켓 정보를 이용하여 그 입장 대상 이벤트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티켓 이미지와 다른 제 2 티켓 이미지를 모바일기기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티켓 이미지를 상기 락스크린 위젯에 제공하여 상기 제 2 티켓 이미지가 포함된 락스크린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티켓 정보에 포함된 입장 일시보다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 전부터 상기 제 1 티켓 이미지가 포함된 락스크린을 표시하기 전까지의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제 2 티켓 이미지가 포함된 락스크린을 상기 모바일기기가 잠금 상태일 때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기기용 스마트 티켓 애플리케이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티켓 이미지를 락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는, 주기적으로 외부 URL로부터 상기 입장 대상 이벤트 관련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관련 정보를 상기 락스크린에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스마트 티켓 애플리케이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티켓 정보는 텍스트 데이터 형식으로 이루어진 제 1 티켓 정보와 이미지 데이터 형식으로 이루어진 제 2 티켓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티켓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티켓 이미지를 구성하고, 상기 제 2 티켓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티켓 이미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스마트 티켓 애플리케이션.
  5. 삭제
KR1020140105375A 2014-04-22 2014-08-13 모바일기기용 스마트 티켓 애플리케이션 및 모바일 스마트 티켓을 이용한 입장 서비스 방법 KR1016385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7783 2014-04-22
KR1020140047783 2014-04-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560A KR20150122560A (ko) 2015-11-02
KR101638575B1 true KR101638575B1 (ko) 2016-07-13

Family

ID=54599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5375A KR101638575B1 (ko) 2014-04-22 2014-08-13 모바일기기용 스마트 티켓 애플리케이션 및 모바일 스마트 티켓을 이용한 입장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857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695B1 (ko) 2011-06-22 2012-08-07 주식회사 미니게이트 이용자 특성에 따른 모바일 에코 시스템 및 이의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385B1 (ko) * 2006-11-03 2008-10-24 주식회사 아이콘랩 모바일 티켓 광고 적용 장치, 모바일 티켓 광고 적용 방법및 그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695B1 (ko) 2011-06-22 2012-08-07 주식회사 미니게이트 이용자 특성에 따른 모바일 에코 시스템 및 이의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560A (ko) 2015-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65464C (en) Mobile terminal, mobile terminal program, checkpoint management system, and checkpoint management method
US20170169422A1 (en) Digital Token System for Physical Medium Digitalization and Physical Store Optimization
US20130124236A1 (en) Electronic ticket system
US20180300712A1 (en) App card-linked representative card, and payment system and payment method thereof
KR20150122554A (ko) 티켓 선물이 가능한 모바일기기용 스마트 티켓 애플리케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티켓 시스템
JP2017004488A (ja) 電子チケット管理装置及び電子チケット管理方法
KR101350735B1 (ko) 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광고 시스템 및 그 광고 방법
TW201535285A (zh) 具有門禁卡機能和儲值卡機能的雙功能卡片及其電腦施行方法
KR101631609B1 (ko) 사용자 자동 인증 전자지갑 서비스 제공 방법
JP4236124B1 (ja) 小口金清算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638575B1 (ko) 모바일기기용 스마트 티켓 애플리케이션 및 모바일 스마트 티켓을 이용한 입장 서비스 방법
US20100318384A1 (en) Method of purchasing a ticket for a journey on transportation means
JP6616587B2 (ja) 施設利用者管理装置および施設利用者管理システム
KR102185174B1 (ko) 외국인관광객의 세금환급시스템 및 방법
JP4709970B2 (ja) 自動販売機システム
KR20190050875A (ko) 다중 사용이 가능한 바코드 인식 방법
KR20150122555A (ko) 티켓 저장 및 사용을 위한 모바일기기용 스마트 티켓 애플리케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티켓 시스템
KR100788594B1 (ko) 쿠폰 또는 교환권 제공 기능이 구비된 자동화기기
KR20110084001A (ko) 결제 결과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JP5180014B2 (ja) ポイントサービスシステムのポイント会員登録方法
KR100758337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현금영수증 등록 처리 시스템 및방법
KR20070052612A (ko) 특정 장소(전시장 등)에서 특정 카드를 이용한 결제시할인이 적용되는 쿠폰 운용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쿠폰운용장치, 기록매체
KR20230065771A (ko) 배송정보 보안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95977A (ko) Nfc 기능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을 이용한 전시회 멤버십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13101439A (ja) 定期乗車券利用システム、券売装置及び定期乗車券利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