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8165B1 - 음성호 연결 중 추가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음성호 연결 중 추가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8165B1
KR101638165B1 KR1020140122188A KR20140122188A KR101638165B1 KR 101638165 B1 KR101638165 B1 KR 101638165B1 KR 1020140122188 A KR1020140122188 A KR 1020140122188A KR 20140122188 A KR20140122188 A KR 20140122188A KR 101638165 B1 KR101638165 B1 KR 101638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data
customer terminal
customer
st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2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1871A (ko
Inventor
구경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2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8165B1/ko
Publication of KR20160031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1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07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remote contro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04M11/066Telephone sets adapted for data transm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85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102Making use of the called party identif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136Administration or customisation of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음성호 연결 중 추가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매장 단말 장치와 별도의 장치로서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고객 단말 장치 및 상기 매장 단말 장치가 음성호 연결되는 경우, 매장 단말 장치로부터 고객 단말 장치의 호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로부터 어플리케이션에 입력된 명령을 데이터 전송 입력으로 하여, 데이터호 연결 및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행하는 추가 단말을 통해 기존의 매장에 구비된 유선 전화를 교체하지 않고서도 고객 문의 전화에 대해 보다 효과적인 응대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음성호 연결 중 추가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SYSTEM FOR PROVIDING DATA SERVICE USING ADDITIONAL TERMINAL DURING VOICE CALL CONNECTION, METHOD OF PROVIDING DATA SERVICE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음성호 연결 중 추가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매장의 사용자가 유선 전화기로 고객과 상담하면서 추가 단말을 이용하여 고객에게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 가능한 음성호 연결 중 추가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콜센터가 아닌 일반 매장에는 유선 전화가 구비되어 있고, 고객은 유선 전화 번호로 전화를 하여 문의를 하게 된다. 고객은 주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이 가능함에도, 일반 매장에 구비된 유선 전화로는 음성 채널만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장 사용자는 음성 서비스만이 가능한 실정이다.
즉, 매장 사용자가 기존 매장에 구비된 유선 전화를 교체하지 아니하고도, 추가 단말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함으로써, 고객과 유선 전화를 하면서 고객의 휴대 전화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면 보다 효과적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매장의 사용자가 유선 전화기로 고객과 상담하면서 추가 단말을 이용하여 고객에게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새로운 서비스 기술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대두된다.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2-0137552호, 2012년 12월 24일 공개 (명칭: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양방향 고객 상담 시스템 및 그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매장에 구비된 유선 전화로 음성호 연결 중 추가 단말을 이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 문의 전화에 대해 보다 효과적인 응대를 제공 가능케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추가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유선 전화의 호정보를 수신함으로써, 기존의 매장에 구비된 유선 전화를 교체하지 않고서도 고객에게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 가능케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는, 고객 단말 장치 및 매장 단말 장치가 음성호 연결되는 경우, 상기 음성호의 발신 정보 및 수신 정보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호정보를 수신하는 호정보 수신부;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설치된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사용자의 데이터 통신 요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고객 단말 장치와 데이터호 연결을 수행하는 데이터호 연결부; 및 상기 데이터호를 통해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고객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고객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상기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에 따른 결과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통신부를 포함한다.
이 때, 호정보 수신부는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설치된 백그라운드 에이전트가 음성호 발신 이벤트 및 음성호 수신 이벤트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하여 상기 매장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에 사전 매핑된 단말 장치에 전송한 상기 호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는 상기 매장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에 사전 매핑된 단말 장치일 수 있다.
이 때, 호정보 수신부는 상기 매장 단말 장치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가 인터넷을 통해 상기 매장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에 사전 매핑된 단말 장치에 전송한 상기 호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는 상기 매장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에 사전 매핑된 단말 장치일 수 있다.
이 때, 호정보 수신부는 상기 매장 단말 장치에 연결된 전화번호 검출 장치가 상기 음성호의 수신 정보를 감지하여 상기 매장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에 사전 매핑된 단말 장치에 전송한 상기 호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는 상기 매장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에 사전 매핑된 단말 장치일 수 있다.
이 때, 데이터 통신부는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상기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에 따른 결과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에 연결된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설치된 백그라운드 에이전트로 푸시 알림을 전송하여 상기 결과 데이터를 상기 고객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 통신부는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상기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에 따른 결과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에 연결된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푸시 알림을 전송하여, 상기 고객 단말 장치가 상기 푸시 알림을 팝업 다이얼로그를 통해 상기 고객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고, 고객의 상기 팝업 다이얼로그에 대한 조작에 따라 상기 결과 데이터를 상기 고객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 통신부는 상기 결과 데이터를 상기 고객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경우, 및 상기 푸시 알림을 상기 팝업 다이얼로그를 통해 상기 고객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경우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있어서, 진동 및 알림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 통신부는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상기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에 따른 결과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에 연결된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고객 단말 장치로 유알엘(Uniform Resource Locator; URL) 주소가 포함된 메시지를 전송하여, 고객의 상기 메시지에 대한 조작에 따라 상기 유알엘 주소에 연결된 상기 결과 데이터를 상기 고객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 통신부는 상기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으로서 상품 선택 명령 및 결제 요청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선택된 상품의 결제를 요청하고, 예약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예약 완료 정보를 전송하고, 쿠폰 전송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쿠폰을 전송하고, 사진 선택 명령 및 사진 전송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선택된 사진을 전송하고, 동영상 선택 명령 및 동영상 전송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선택된 동영상을 전송하고, 멤버십 가입 요청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멥버십 가입을 위한 정보 입력을 요청하고, 코브라우징(co-browsing) 요청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상기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 신호를 전송하고, 배송지 입력 요청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배송지 정보 입력을 요청하고, 배송지 입력 확인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입력된 배송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 통신부는 상기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에 연결된 서버에서 상기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에 상응하는 상기 결과 데이터를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성호 연결 중 추가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은, 고객 단말 장치 및 매장 단말 장치가 음성호 연결되는 경우, 상기 음성호의 발신 정보 및 수신 정보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에 설치된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사용자의 데이터 통신 요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고객 단말 장치와 데이터호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호를 통해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고객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고객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상기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에 따른 결과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설치된 백그라운드 에이전트가 음성호 발신 이벤트 및 음성호 수신 이벤트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하여 상기 매장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에 사전 매핑된 단말 장치에 전송한 상기 호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는 상기 매장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에 사전 매핑된 단말 장치일 수 있다.
이 때, 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매장 단말 장치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가 인터넷을 통해 상기 매장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에 사전 매핑된 단말 장치에 전송한 상기 호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는 상기 매장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에 사전 매핑된 단말 장치일 수 있다.
이 때, 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매장 단말 장치에 연결된 전화번호 검출 장치가 상기 음성호의 수신 정보를 감지하여 상기 매장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에 사전 매핑된 단말 장치에 전송한 상기 호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는 상기 매장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에 사전 매핑된 단말 장치일 수 있다.
이 때, 고객 단말 장치에 상기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에 따른 결과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에 연결된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설치된 백그라운드 에이전트로 푸시 알림을 전송하여 상기 결과 데이터를 상기 고객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고객 단말 장치에 상기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에 따른 결과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에 연결된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푸시 알림을 전송하여, 상기 고객 단말 장치가 상기 푸시 알림을 팝업 다이얼로그를 통해 상기 고객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고, 고객의 상기 팝업 다이얼로그에 대한 조작에 따라 상기 결과 데이터를 상기 고객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고객 단말 장치에 상기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에 따른 결과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결과 데이터를 상기 고객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경우, 및 상기 푸시 알림을 상기 팝업 다이얼로그를 통해 상기 고객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경우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있어서, 진동 및 알림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고객 단말 장치에 상기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에 따른 결과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에 연결된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고객 단말 장치로 유알엘(Uniform Resource Locator; URL) 주소가 포함된 메시지를 전송하여, 고객의 상기 메시지에 대한 조작에 따라 상기 유알엘 주소에 연결된 상기 결과 데이터를 상기 고객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고객 단말 장치에 상기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에 따른 결과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으로서 상품 선택 명령 및 결제 요청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선택된 상품의 결제를 요청하고, 예약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예약 완료 정보를 전송하고, 쿠폰 전송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쿠폰을 전송하고, 사진 선택 명령 및 사진 전송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선택된 사진을 전송하고, 동영상 선택 명령 및 동영상 전송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선택된 동영상을 전송하고, 멤버십 가입 요청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멥버십 가입을 위한 정보 입력을 요청하고, 코브라우징(co-browsing) 요청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상기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 신호를 전송하고, 배송지 입력 요청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배송지 정보 입력을 요청하고, 배송지 입력 확인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입력된 배송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고객 단말 장치에 상기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에 따른 결과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에 연결된 서버에서 상기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에 상응하는 상기 결과 데이터를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성호 연결 중 추가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고객 단말 장치와 음성호 연결되는 매장 단말 장치; 상기 매장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에 사전 매핑된 별도의 장치로서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매장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고객 단말 장치 및 상기 매장 단말 장치가 음성호 연결되는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 상기 매장 단말 장치 및 상기 매장 단말 장치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 중 어느 하나로부터 호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상기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을 매장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전달하는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 및 상기 고객 단말 장치 및 상기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 간 데이터호 연결을 중계하고, 상기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에 상응하도록 상기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매장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매장에 구비된 유선 전화로 음성호 연결 중 추가 단말을 이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 문의 전화에 대해 보다 효과적인 응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추가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유선 전화의 호정보를 수신함으로써, 기존의 매장에 구비된 유선 전화를 교체하지 않고서도 고객에게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호 연결 중 추가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호 연결 중 추가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호 연결 중 추가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호 연결 중 추가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전체적으로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호 연결 중 추가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호 연결 중 추가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고객 단말 장치(110), 매장 단말 장치(120),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130), 매장 어플리케이션 서버(140) 및 고객 어플리케이션 서버(150)를 포함한다.
이 때, 고객 단말 장치(110) 및 매장 단말 장치(120)는 공공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고객 단말 장치(110) 및 매장 단말 장치(120)는 공공 전화 교환망을 통해 음성호(voice call)가 연결될 수 있다.
고객 단말 장치(110)는 고객이 매장에 전화를 걸거나, 매장으로부터 전화를 받기 위한 단말 장치이다.
고객 단말 장치(110)의 사용자는 매장에 전화를 걸고,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 받는 대상이라는 의미에서 고객 혹은 서비스 이용자(111)로 정의한다.
고객 단말 장치(110)는 스마트폰(smart phone)과 같이 음성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이 동시에 가능한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고객 단말 장치(110)는 푸시 알림을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고객 단말 장치(110)는 푸시 알림을 팝업 다이얼로그 형태로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고객 단말 장치(110)는 유알엘(Uniform Resource Locator; URL) 주소가 포함된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고객 단말 장치(110)는 유알엘 주소 외에, 결과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한 링크가 포함된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 방식,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방식을 포함할 수 있고, 특정 메시지 서비스 방식에 한하지 아니한다.
이 때, 고객 단말 장치(110)는 푸시 알림, 팝업 다이얼로그 및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 단말 장치(110)는 푸시 알림, 팝업 다이얼로그 또는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있어서, 진동 및 알림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매장 단말 장치(120)는 매장에 구비되어 서비스 이용자(111)가 매장의 전화 번호로 전화를 걸어 종업원이 전화를 받거나, 종업원이 서비스 이용자(111)에게 전화를 걸기 위한 단말 장치이다.
매장 단말 장치(120)의 사용자는 매장의 종업원으로서, 고객과 전화 통화를 하며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상이라는 의미에서 점원 혹은 서비스 제공자(112)로 정의한다(이 때, 특허청구범위에서는 서비스 제공자(112)를 '사용자'로 기재하였다).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130)는 매장에 구비되거나, 서비스 제공자(112)가 소지한 단말 장치로서, 서비스 이용자(111)가 매장의 전화 번호로 전화를 거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푸쉬 알림 등을 표시하고,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자(112)가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고, 어플리케이션을 조작하여 고객 단말 장치(110)에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 장치이다.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130)는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PC, 스마트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매장 어플리케이션 서버(140)는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130)에서 요청한 데이터를 고객 단말 장치(110)에 전송하는 중계 서버이다.
이 때, 매장 어플리케이션 서버(140)는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130)에 저장되거나,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고객 단말 장치(1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매장 어플리케이션 서버(140)는 데이터의 중계에 더불어,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130)에서 요청한 데이터를 직접 생성하여 고객 단말 장치(11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매장 어플리케이션 서버(140)는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130)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는 결제 정보, 예약 정보, 컨텐츠, 멤버십 정보, 포인트 정보, 쿠폰 정보, 코브라우징(co-browsing)을 위한 디스플레이 신호 및 배송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컨텐츠는 어플리케이션 및 웹 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 및 웹 페이지에 포함된 사진 또는 그림과 같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 음원 파일과 같은 오디오 파일, 2D/3D 영상, 문서 등 사용자가 시/청각을 통해 인식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코브라우징을 위한 디스플레이 신호는 종업원 및 고객이 동일한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고객 어플리케이션 서버(150)는 고객 단말 장치(110)에서 입력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서버이다.
이 때, 고객 어플리케이션 서버(150)는 고객이 결제 수행 정보, 멤버십 가입 정보 및 배송지 정보 등을 입력하는 경우, 입력된 데이터에 상응하여 각각 결제 수행, 멤버십 등록, 배송지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고객 단말 장치(110), 매장 어플리케이션 서버(140) 및 고객 어플리케이션 서버(150) 각각은 데이터를 전달하는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는 인터넷 프로토콜(IP)을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 서비스 및 끊기는 현상이 없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피망, 아이피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망을 통합한 아이피망 구조인 올 아이피(All IP)망 등일 수 있으며, 유선망, Wibro(Wireless Broadband)망, WCDMA를 포함하는 3세대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및 LTE 망을 포함하는 3.5세대 이동통신망, LTE advanced를 포함하는 4세대 이동통신망, 위성통신망 및 와이파이(Wi-Fi)망 중에서 하나 이상을 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고객 단말 장치(110) 및 매장 어플리케이션 서버(140) 사이에 사용되는 네트워크,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130) 및 매장 어플리케이션 서버(140) 사이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 고객 단말 장치(110) 및 고객 어플리케이션 서버(150) 사이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 각각은 서로 상이한 것일 수도 있고, 동일한 것일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130)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130)는 호정보 수신부(210), 데이터호 연결부(220) 및 데이터 통신부(230)를 포함한다.
호정보 수신부(210)는 고객 단말 장치 및 매장 단말 장치가 음성호 연결되는 경우, 상기 음성호의 발신 정보 및 수신 정보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호정보를 수신한다.
이 때, 호정보는 상기 고객 단말 장치의 식별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고객 단말 장치의 식별 번호는 고객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고객 단말 장치를 다른 장치와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일 수 있다.
이 때,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130)에는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130)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은 고객 단말 장치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과 구분하기 위해 각각 매장 어플리케이션 및 고객 어플리케이션으로 구분한다.
이 때, 매장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로부터 매장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입력 받아,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130)를 매장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에 매핑할 수 있다.
이 때, 매장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매장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를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130)의 식별 정보와 한 쌍으로 매장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전달하고, 매장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한 쌍으로 전송된 식별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호정보 수신부(210)는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설치된 백그라운드 에이전트가 음성호 발신 이벤트 및 음성호 수신 이벤트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하여 상기 매장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에 사전 매핑된 단말 장치에 호정보를 전송하면 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호정보 수신부(210)는 상기 매장 단말 장치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가 인터넷을 통해 상기 매장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에 사전 매핑된 단말 장치에 상기 호정보를 전송하면 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호정보 수신부(210)는 상기 매장 단말 장치에 연결된 전화번호 검출 장치가 상기 음성호의 수신 정보를 감지하여 상기 매장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에 사전 매핑된 단말 장치에 상기 호정보를 전송하면 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130)는 고객 단말 장치 및 매장 단말 장치의 음성호 연결 중 매장 사용자가 지정한 추가 단말이 고객 단말 장치, 매장 단말 장치 혹은 통신사로부터 호정보를 획득하여 고객 단말 장치에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 가능케 하여, 별도의 비용 없이 고객에게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호 연결부(220)는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설치된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사용자의 데이터 통신 요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고객 단말 장치와 데이터호 연결을 수행한다.
이 때, 데이터호 연결부(220)는 상기 호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매장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요청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매장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에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가 사전 매핑된 경우, 매장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지 아니한 상태에서도, 푸시 알림을 통해 자동으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호 연결부(220)는 상기 매장 어플리케이션이 구동하여 고객 단말 장치와 데이터호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 통신 요청은 매장 어플리케이션 구동과 동시에 생성된 것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매장 어플리케이션을 조작하여 생성된 것일 수 있다.
데이터 통신부(230)는 데이터호를 통해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고객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고객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상기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에 따른 결과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 때, 데이터 통신부(230)는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상기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이 있는 경우, 이에 상응하는 결과 데이터를 매장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경유하여 고객 단말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 통신부(230)는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상기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이 있는 경우, 매장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이에 상응하는 결과 데이터를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매장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에 저장되거나,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고객 단말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매장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데이터의 중계에 더불어,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에서 요청한 데이터를 직접 생성하여 고객 단말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 통신부(230)는 상기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으로서 상품 선택 명령 및 결제 요청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선택된 상품의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이 상품 대금 결제를 요청하는 경우, 사용자는 매장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상품을 선택하고, 결제 요청을 입력하면, 상기 데이터 통신부(230)가 고객 단말 장치에 해당 상품의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 통신부(230)는 매장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해당 상품의 정보를 전송하고, 매장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결제 정보를 생성하여 고객 단말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송이 가능한 슈퍼마켓이나 과일, 야채, 생선 매장 등에 있어서 고객이 특정 상품에 대해 구두로 결제를 요청하면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상품에 대한 결제 요청을 하면 매장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경유하여 고객 단말 장치에 결제 요청 메시지 및 결제 수행 정보 입력 창이 표시되고, 고객이 결제 수행 정보를 입력하여 결제 완료 시 상품을 배송함으로써, 고객이 매장에 직접 방문하지 아니하고도 보다 편리하게 상품을 구입할 수 있다.
이 때, 결제 방법은 카드 결제, direct carrier billing, PayPal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 통신부(230)는 예약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예약 완료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이 서비스 예약을 요청하는 경우, 사용자는 매장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서비스를 예약 선택하면, 데이터 통신부(230)는 고객 단말 장치에 예약 결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약이 가능한 음식점이나 미용실 등에 있어서 고객이 특정 시간, 메뉴 혹은 담당 스타일리스트를 예약을 요청하면 사용자가 매장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시간에 대한 예약 정보를 등록할 수 있고, 고객이 이를 메시지를 통해 확인함으로써, 고객이 매장에 직접 방문하지 아니하고도 보다 상세한 예약을 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 통신부(230)는 쿠폰 전송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쿠폰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고객에게 쿠폰 수신 의사를 확인하여, 고객에게 쿠폰 수신 의사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는 매장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고객이 사용 가능한 쿠폰을 선택하고, 데이터 통신부(230)는 고객 단말 장치에 쿠폰을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 통신부(230)는 사진 선택 명령 및 사진 전송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선택된 사진을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 통신부(230)는 동영상 선택 명령 및 동영상 전송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선택된 동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고객에게 소개할 상품과 관련된 사진 혹은 동영상을 선택할 수 있고, 데이터 통신부(230)는 고객 단말 장치에 해당 상품에 상응하여 저장된 사진 혹은 동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의류, 신발 매장 등에 있어서, 고객이 구매를 희망하는 상품을 사용자가 매장 어플리케이션에서 선택하고, 해당 상품의 사진을 전송하면, 고객이 이를 메시지를 통해 확인함으로써, 고객이 매장에 직접 방문하지 아니하고도 상품 이미지와 함께 상품 안내가 가능하다.
이 때, 데이터 통신부(230)는 멤버십 가입 요청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멥버십 가입을 위한 정보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멤버십이나 포인트를 이용 가능한 매장에 있어서, 사용자가 고객에게 멤버십 가입 의사를 확인하여, 고객에게 멤버십 가입 의사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는 매장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멤버십 가입용 정보 입력을 요청하고, 데이터 통신부(230)는 고객 단말 장치로 멤버십 가입용 정보 입력을 위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 통신부(230)는 코브라우징(co-browsing) 요청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상기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에서 해당 매장의 홈페이지를 브라우징하는 경우, 데이터 통신부(230)는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 신호를 고객 단말 장치에 전송하여 사용자가 매장의 홈페이지를 고객과 함께 브라우징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 통신부(230)는 배송지 입력 요청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배송지 정보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 통신부(230)는 배송지 입력 확인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입력된 배송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배송 정보 입력 요청을 할 수 있고, 고객은 배송 정보 입력을 직접 입력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배송 정보 등록이 가능하다. 또한, 고객이 사용자에게 구두로 요청한 배송 정보를 사용자가 입력한 뒤, 이를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를 고객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통신부(230)는 고객 단말 장치에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는 경우, 데이터 전송 완료 메시지 또는 고객 단말 장치에서 수행한 결과에 대한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호 연결 중 추가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특히,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호 연결 중 추가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을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 관점에서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호 연결 중 추가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은 고객 단말 장치 및 매장 단말 장치가 음성호 연결되는 경우, 상기 음성호의 발신 정보 및 수신 정보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호정보를 수신한다(S310).
도 3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단계(S310)에 앞서,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에는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매장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매장 어플리케이션에는 사용자로부터 매장 단말 장치 식별 정보가 입력되어, 단계(S310)는 어플리케이션에 입력된 매장 단말 장치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매장 단말 장치에 음성호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매장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호정보는 고객 단말 장치의 식별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고객 단말 장치의 식별 번호는 고객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고객 단말 장치를 다른 장치와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일 수 있다.
이 때, 매장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로부터 매장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입력 받아,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130)를 매장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에 매핑할 수 있다.
이 때, 매장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매장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를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130)의 식별 정보와 한 쌍으로 매장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전달하고, 매장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한 쌍으로 전송된 식별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310)는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설치된 백그라운드 에이전트가 음성호 발신 이벤트 및 음성호 수신 이벤트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하여 상기 매장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에 사전 매핑된 단말 장치에 호정보를 전송하면 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310)는 상기 매장 단말 장치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가 인터넷을 통해 상기 매장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에 사전 매핑된 단말 장치에 상기 호정보를 전송하면 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310)는 상기 매장 단말 장치에 연결된 전화번호 검출 장치가 상기 음성호의 수신 정보를 감지하여 상기 매장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에 사전 매핑된 단말 장치에 상기 호정보를 전송하면 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호 연결 중 추가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은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설치된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사용자의 데이터 통신 요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고객 단말 장치와 데이터호 연결을 수행한다(S320).
이 때, 단계(S320)는 상기 호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요청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매장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에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가 사전 매핑된 경우, 매장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지 아니한 상태에서도, 푸시 알림을 통해 자동으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될 수 있다.
이 때, 단계(S320)는 상기 매장 어플리케이션이 구동하여 고객 단말 장치와 데이터호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 통신 요청은 매장 어플리케이션 구동과 동시에 생성된 것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매장 어플리케이션을 조작하여 생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호 연결 중 추가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은 데이터호를 통해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고객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고객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상기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에 따른 결과 데이터를 전송한다(S330).
이 때, 단계(S330)는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상기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이 있는 경우, 이에 상응하는 결과 데이터를 매장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경유하여 고객 단말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330)는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상기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이 있는 경우, 매장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이에 상응하는 결과 데이터를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매장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에 저장되거나,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고객 단말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매장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데이터의 중계에 더불어,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에서 요청한 데이터를 직접 생성하여 고객 단말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330)는 상기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으로서 상품 선택 명령 및 결제 요청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선택된 상품의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330)는 예약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예약 완료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330)는 쿠폰 전송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쿠폰을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330)는 사진 선택 명령 및 사진 전송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선택된 사진을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330)는 동영상 선택 명령 및 동영상 전송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선택된 동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330)는 멤버십 가입 요청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멥버십 가입을 위한 정보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330)는 코브라우징(co-browsing) 요청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상기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330)는 배송지 입력 요청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배송지 정보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330)는 배송지 입력 확인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입력된 배송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330)는 고객 단말 장치에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는 경우, 데이터 전송 완료 메시지 또는 고객 단말 장치에서 수행한 결과에 대한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호 연결 중 추가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전체적으로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특히,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호 연결 중 추가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을 결제 정보 전송의 예를 들어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호 연결 중 추가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은 고객이 고객 단말 장치(110)를 통해 매장 단말 장치(120)에 음성호 연결을 요청하고, 점원이 매장 단말 장치(120)를 통해 음성호 연결을 수락하여 고객 단말 장치(110) 및 매장 단말 장치(120)가 음성호 연결된다(S410, S411).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호 연결 중 추가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은 매장 단말 장치(120)가 매장 단말 장치(120)와 매핑된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130)에 고객 단말 장치(110) 및 매장 단말 장치(120)의 호정보를 전송한다(S420).
단계(S420)에서,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13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매장 단말 장치(120)의 식별 번호가 입력되어 매장 단말 장치(120) 및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130)가 매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호 연결 중 추가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은 호정보를 수신한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130)가 자동으로, 혹은 점원의 조작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S430).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호 연결 중 추가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은 고객이 점원에게 음성으로 상품의 결제를 요청하는 경우, 점원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결제 대상이 되는 상품을 선택하고, 결제 요청을 하면,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130)가 결제 대상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데이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S431).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호 연결 중 추가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은 결제 대상 정보를 수신한 매장 어플리케이션 서버(140)가 결제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고객 단말 장치에 전송한다(S432, S433).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호 연결 중 추가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은 결제 정보를 수신한 고객 단말 장치(110)가 고객에게 이를 푸시 알림을 통해 알리고, 자동으로, 혹은 고객의 조작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S434).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호 연결 중 추가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은 고객이 입력한 결제 수행을 위한 정보(카드 정보)를 고객 어플리케이션 서버(150)에 전송하고, 고객 어플리케이션 서버(150)가 결제를 수행한다(S435, S436).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호 연결 중 추가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은 결제가 정상적으로 완료된 경우, 고객 어플리케이션 서버(150)가 결제 완료 메시지를 데이터 고객 단말 장치(110)에 전송하고, 고객 단말 장치(110)가 매장 어플리케이션 서버(140)를 경유하여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130)에 결제 완료 메시지를 전달하면, 고객 단말 장치(110) 및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130)는 결제 완료 메시지를 각각 점원 및 고객에게 표시한다(S440 내지 S444).
본 발명에 따른 음성호 연결 중 추가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스마트폰 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프로그램 또는 스마트폰 앱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모든 형태의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성호 연결 중 추가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매장에 구비된 유선 전화로 음성호 연결 중 추가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유선 전화의 호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매장에 구비된 유선 전화를 교체하지 않고서도 고객 문의 전화에 대해 보다 효과적인 응대를 가능케 함으로써, 산업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110: 고객 단말 장치 120: 매장 단말 장치
130: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 140: 매장 어플리케이션 서버
150: 고객 어플리케이션 서버 210: 호정보 수신부
220: 데이터호 연결부 230: 데이터 통신부

Claims (23)

  1. 삭제
  2. 고객 단말 장치 및 매장 단말 장치가 음성호 연결되는 경우, 상기 음성호의 발신 정보 및 수신 정보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호정보를 수신하는 호정보 수신부;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설치된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사용자의 데이터 통신 요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고객 단말 장치와 데이터호 연결을 수행하는 데이터호 연결부; 및
    상기 데이터호를 통해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고객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고객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상기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에 따른 결과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호정보 수신부는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설치된 백그라운드 에이전트가 음성호 발신 이벤트 및 음성호 수신 이벤트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하여 상기 매장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에 사전 매핑된 단말 장치에 전송한 상기 호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
  3. 고객 단말 장치 및 매장 단말 장치가 음성호 연결되는 경우, 상기 음성호의 발신 정보 및 수신 정보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호정보를 수신하는 호정보 수신부;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설치된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사용자의 데이터 통신 요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고객 단말 장치와 데이터호 연결을 수행하는 데이터호 연결부; 및
    상기 데이터호를 통해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고객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고객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상기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에 따른 결과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호정보 수신부는
    상기 매장 단말 장치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가 인터넷을 통해 상기 매장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에 사전 매핑된 단말 장치에 전송한 상기 호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
  4. 고객 단말 장치 및 매장 단말 장치가 음성호 연결되는 경우, 상기 음성호의 발신 정보 및 수신 정보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호정보를 수신하는 호정보 수신부;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설치된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사용자의 데이터 통신 요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고객 단말 장치와 데이터호 연결을 수행하는 데이터호 연결부; 및
    상기 데이터호를 통해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고객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고객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상기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에 따른 결과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호정보 수신부는
    상기 매장 단말 장치에 연결된 전화번호 검출 장치가 상기 음성호의 수신 정보를 감지하여 상기 매장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에 사전 매핑된 단말 장치에 전송한 상기 호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
  5. 청구항 2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부는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상기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에 따른 결과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에 연결된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설치된 백그라운드 에이전트로 푸시 알림을 전송하여 상기 결과 데이터를 상기 고객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
  6. 청구항 2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부는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상기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에 따른 결과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에 연결된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푸시 알림을 전송하여, 상기 고객 단말 장치가 상기 푸시 알림을 팝업 다이얼로그를 통해 상기 고객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고, 고객의 상기 팝업 다이얼로그에 대한 조작에 따라 상기 결과 데이터를 상기 고객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부는
    상기 결과 데이터를 상기 고객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경우에 있어서, 진동 및 알림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제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
  8. 청구항 2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부는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상기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에 따른 결과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에 연결된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고객 단말 장치로 유알엘(Uniform Resource Locator; URL) 주소가 포함된 메시지를 전송하여, 고객의 상기 메시지에 대한 조작에 따라 상기 유알엘 주소에 연결된 상기 결과 데이터를 상기 고객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
  9. 청구항 2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부는
    상기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으로서 상품 선택 명령 및 결제 요청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선택된 상품의 결제를 요청하고,
    예약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예약 완료 정보를 전송하고,
    쿠폰 전송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쿠폰을 전송하고,
    사진 선택 명령 및 사진 전송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선택된 사진을 전송하고,
    동영상 선택 명령 및 동영상 전송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선택된 동영상을 전송하고,
    멤버십 가입 요청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멥버십 가입을 위한 정보 입력을 요청하고,
    코브라우징(co-browsing) 요청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상기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 신호를 전송하고,
    배송지 입력 요청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배송지 정보 입력을 요청하고,
    배송지 입력 확인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입력된 배송지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
  10. 청구항 2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부는
    상기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에 연결된 서버에서 상기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에 상응하는 상기 결과 데이터를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전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
  11. 삭제
  12. 고객 단말 장치 및 매장 단말 장치가 음성호 연결되는 경우, 상기 음성호의 발신 정보 및 수신 정보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에 설치된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사용자의 데이터 통신 요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고객 단말 장치와 데이터호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호를 통해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고객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고객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상기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에 따른 결과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설치된 백그라운드 에이전트가 음성호 발신 이벤트 및 음성호 수신 이벤트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하여 상기 매장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에 사전 매핑된 단말 장치에 전송한 상기 호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호 연결 중 추가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13. 고객 단말 장치 및 매장 단말 장치가 음성호 연결되는 경우, 상기 음성호의 발신 정보 및 수신 정보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에 설치된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사용자의 데이터 통신 요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고객 단말 장치와 데이터호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호를 통해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고객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고객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상기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에 따른 결과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매장 단말 장치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가 인터넷을 통해 상기 매장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에 사전 매핑된 단말 장치에 전송한 상기 호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호 연결 중 추가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14. 고객 단말 장치 및 매장 단말 장치가 음성호 연결되는 경우, 상기 음성호의 발신 정보 및 수신 정보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에 설치된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사용자의 데이터 통신 요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고객 단말 장치와 데이터호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호를 통해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고객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고객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상기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에 따른 결과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매장 단말 장치에 연결된 전화번호 검출 장치가 상기 음성호의 수신 정보를 감지하여 상기 매장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에 사전 매핑된 단말 장치에 전송한 상기 호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호 연결 중 추가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2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상기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에 따른 결과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에 연결된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설치된 백그라운드 에이전트로 푸시 알림을 전송하여 상기 결과 데이터를 상기 고객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호 연결 중 추가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2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상기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에 따른 결과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에 연결된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푸시 알림을 전송하여, 상기 고객 단말 장치가 상기 푸시 알림을 팝업 다이얼로그를 통해 상기 고객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고, 고객의 상기 팝업 다이얼로그에 대한 조작에 따라 상기 결과 데이터를 상기 고객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호 연결 중 추가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상기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에 따른 결과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결과 데이터를 상기 고객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경우에 있어서, 진동 및 알림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제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호 연결 중 추가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상기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에 따른 결과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결과 데이터를 상기 고객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경우, 및 상기 푸시 알림을 상기 팝업 다이얼로그를 통해 상기 고객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경우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있어서, 진동 및 알림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제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호 연결 중 추가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2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상기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에 따른 결과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에 연결된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고객 단말 장치로 유알엘(Uniform Resource Locator; URL) 주소가 포함된 메시지를 전송하여, 고객의 상기 메시지에 대한 조작에 따라 상기 유알엘 주소에 연결된 상기 결과 데이터를 상기 고객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호 연결 중 추가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2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상기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에 따른 결과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으로서 상품 선택 명령 및 결제 요청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선택된 상품의 결제를 요청하고,
    예약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예약 완료 정보를 전송하고,
    쿠폰 전송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쿠폰을 전송하고,
    사진 선택 명령 및 사진 전송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선택된 사진을 전송하고,
    동영상 선택 명령 및 동영상 전송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선택된 동영상을 전송하고,
    멤버십 가입 요청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멥버십 가입을 위한 정보 입력을 요청하고,
    코브라우징(co-browsing) 요청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상기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 신호를 전송하고,
    배송지 입력 요청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배송지 정보 입력을 요청하고,
    배송지 입력 확인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입력된 배송지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호 연결 중 추가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21.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2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상기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에 따른 결과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에 연결된 서버에서 상기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에 상응하는 상기 결과 데이터를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전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호 연결 중 추가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22. 청구항 2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2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23. 고객 단말 장치와 음성호 연결되는 매장 단말 장치;
    상기 매장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에 사전 매핑된 별도의 장치로서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매장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고객 단말 장치 및 상기 매장 단말 장치가 음성호 연결되는 경우, 상기 고객 단말 장치, 상기 매장 단말 장치 및 상기 매장 단말 장치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 중 어느 하나로부터 호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상기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을 매장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전달하는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 및
    상기 고객 단말 장치 및 상기 데이터 서비스용 단말 장치 간 데이터호 연결을 중계하고, 상기 매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에 상응하도록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매장 어플리케이션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호 연결 중 추가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40122188A 2014-09-15 2014-09-15 음성호 연결 중 추가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638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188A KR101638165B1 (ko) 2014-09-15 2014-09-15 음성호 연결 중 추가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188A KR101638165B1 (ko) 2014-09-15 2014-09-15 음성호 연결 중 추가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1871A KR20160031871A (ko) 2016-03-23
KR101638165B1 true KR101638165B1 (ko) 2016-07-11

Family

ID=55645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2188A KR101638165B1 (ko) 2014-09-15 2014-09-15 음성호 연결 중 추가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8165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444B1 (ko) 2011-04-19 2013-11-14 (주)언이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양방향 고객 상담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1871A (ko) 2016-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5800B2 (en) Interactive personalized e-experience system and method
US20090024530A1 (en) Automatic gift messaging system
US20150242086A1 (en) Drag and drop event system and method
US20070233732A1 (en) Content request, storage and/or configuration systems and methods
US83924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symbol command language with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8817959B1 (en) System for handling messages and distributing information
US20150213490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argeted Advertising During Communication Through Communication Provider
US1070578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digital object identifier
KR101661014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타겟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40157B1 (ko) 전화번호와 매핑된 url 정보 호출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가정보 제공 방법
JP5914415B2 (ja) 通話管理システム、通話管理方法及び通話管理プログラム
US20150046341A1 (en) Apparatus for Customer Relations Management
JP2015526040A (ja) 検索機能を有する代表電話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10992661B2 (en) Method for connecting a mobile terminal with a server of a service provider via an operator platform
US20130275220A1 (en) Method and system for advertising
US20200092389A1 (en) Method and system for optimising the delivery of content to mobile devices using microzones and macrozones
KR101638165B1 (ko) 음성호 연결 중 추가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6203930B2 (ja) エージェントプログラム、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提供方法
KR101268762B1 (ko) 스마트 자동응답시스템 및 상기 스마트 자동응답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1810764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타겟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68189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상품 주문 방법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JP6140060B2 (ja)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提供方法
KR20170017068A (ko)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635912B1 (ko) 통화중 호를 온라인 주문으로 연결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서버
KR20220027478A (ko) 유선 전화 및/또는 웹 기반의 손님 대기를 접수하고 처리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