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8148B1 -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8148B1
KR101638148B1 KR1020140179724A KR20140179724A KR101638148B1 KR 101638148 B1 KR101638148 B1 KR 101638148B1 KR 1020140179724 A KR1020140179724 A KR 1020140179724A KR 20140179724 A KR20140179724 A KR 20140179724A KR 101638148 B1 KR101638148 B1 KR 101638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battery cell
line
control circuit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9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1927A (ko
Inventor
박재성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9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8148B1/ko
Publication of KR20160071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1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7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직렬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상기 배터리 모듈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제어 회로; 상기 배터리 셀 각각에서 분기된 라인마다 연결되는 다이오드; 및 상기 제어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배터리 모듈의 최상위 배터리 셀에서 분기된 라인 및 상기 다이오드의 최상위 다이오드와 연결되는 전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OWER IN BATTERY MANAGEMENT SYSTEM}
본 명세서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는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에 관한 것으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제어 회로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전압의 배터리를 사용하는 산업기기, 가정기기 및 자동차 등 다양한 장치가 등장하고 있으며 특히 자동차 기술분야에서는 고전압 배터리 사용이 더욱 활발해지고 있다.
가솔린이나 중유 등의 화석연료를 주연료로 사용하는 내연 엔진을 이용하는 자동차는 대기오염 등 공해발생에 심각한 영향을 주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공해발생을 줄이기 위하여,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Hybrid) 자동차의 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전기자동차(EV; electric Vehicle)는 석유 연료와 엔진을 사용하지 않고, 전기 배터리와 전기 모터를 사용하는 자동차를 말한다. 즉, 배터리에 축적된 전기로 모터를 회전시켜서 자동차를 구동시키는 전기자동차는 가솔린 자동차보다 먼저 개발되었으나, 배터리의 무거운 중량 및 충전에 걸리는 시간 등의 문제 때문에 실용화되지 못하다가 최근 에너지 및 환경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1990년대부터 실용화를 위한 연구가 시작하였다.
한편, 최근 배터리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전기자동차 및 화석연료와 전기에너지를 적응적으로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HEV)가 상용화되고 있다.
HEV는 가솔린과 전기를 함께 동력원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연비 개선 및 배기가스 저감 측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이러한 HEV도 가솔린 자동차와의 가격 차이를 어떻게 극복하느냐가 관건으로서, 2차 전지 탑재량을 전기자동차의 1/3수준까지 낮출 수 있어 완전한 전기 자동차로 진화하는 중간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러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는 HEV 및 EV 자동차는 충방전이 가능한 다수의 2차 전지(cell)가 하나의 팩(pack)으로 형성된 배터리를 주동력원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배기가스가 전혀 없으며 소음이 아주 작은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는 자동차는 배터리의 성능이 자동차의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각 전지 셀의 전압, 전체 배터리의 전압 및 전류 등을 측정하여 각 전지 셀의 충방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뿐만 아니라, 각 전지 셀을 센싱하는 셀 센싱 IC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해당 셀의 안정적인 컨트롤이 가능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100)은 복수의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스택(10), 차량 전자 장치(20) 및 배터리 모니터링 장치(30)를 포함한다.
배터리 스택(10)은 복수의 배터리 모듈(11, 12)을 포함하며, 배터리 모듈(11, 12)은 복수의 배터리 셀(13)을 포함한다. 배터리 스택(10)은 충전된 고전압 직류 전력을 차량 충전 장치(20)에 공급한다.
배터리 모니터링 장치(30)는 복수의 MCU(31, 32)와 상기 MCU를 제어하는 BCU(33)를 포함한다. 배터리 모니터링 장치(30)는 배터리 스택과 연결되어 배터리 스택(10)의 충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배터리 스택(10)의 충방전 동작을 제어한다.
복수의 MCU(31, 32)는 각각 복수의 배터리 모듈(11, 12)과 연결되어 배터리 모듈(11, 12) 또는 배터리 셀(13)의 작동 특성을 모니터링한다. 예를 들어, MCU(31)는 배터리 모듈(11) 또는 배터리 셀(13)의 전압, 전류, 충전 상태, 온도 등과 같은 작동 특성을 모니터링한다.
또한, 복수의 MCU(31, 32)는 각각 복수의 배터리 모듈(11, 12)과 연결되어 배터리 모듈(11, 12) 또는 배터리 셀(13)의 작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MCU(31)는 배터리 모듈(11) 또는 배터리 셀(13)을 모니터링한 결과를 통해 배터리 모듈(11) 또는 배터리 셀(13)을 충전 또는 방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BCU(33)는 복수의 MCU(31, 32)와 연결되어 복수의 MCU(31, 32)로부터 배터리 모듈(11, 12) 또는 배터리 셀(13)의 작동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는다. 또한, BCU(33)는 복수의 MCU(31, 32)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배터리 모듈(11, 12) 또는 배터리 셀(13)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복수의 MCU(31, 32)에게 전달할 수 있다.
복수의 MCU(31, 32)는 배터리 모듈(11, 12)을 제어하고 BCU(33)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구동 전력을 외부로부터 공급을 받아야 하며, 통상 복수의 MCU(31, 32)는 별도의 전원이 연결되거나 또는 BCU(33)를 통해서 저전력을 공급받는다.
그러나 차량의 시동이 꺼져 있는 경우 복수의 MCU(31, 32)는 BCU(33)로부터 전력 공급을 받지 못해 배터리 모듈(11, 12)의 적절한 셀 밸런싱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MCU가 상시 동작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통상 MCU는 아이들 모드(Idle mode) 상태, 즉 비활성화 상태에 있다가 해당 배터리 모듈의 제어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BCU(33)로부터 웨이크업(wake-up) 신호를 수신하여 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종래기술에 따르면 MCU는 BCU(33)로부터 상시 전원을 공급받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 소모 및 BMS 시스템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1189582호(2012.10.04 등록)에는 차량용 배터리의 단위 셀간 전압 검출 라인의 단선을 검출하기 위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복수의 MCU(31, 32)에 공급되는 전원이 단선되는 경우에 대응하기 위한 방법은 제시되어 있지 않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제어 회로와 연결된 전원 라인에 단선이 될 경우에도 다이오드를 통해 제어 회로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제어 회로와 연결된 전원 라인에 단선이 될 경우에도 단선된 하위 셀과 연결된 전압 측정 라인에서 분기된 라인을 통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제1 측면에 따르면, 차량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직렬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상기 배터리 모듈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제어 회로; 상기 배터리 셀 각각에서 분기된 라인마다 연결되는 다이오드; 및 상기 제어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배터리 모듈의 최상위 배터리 셀에서 분기된 라인 및 상기 다이오드의 최상위 다이오드와 연결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전원 공급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셀 각각과 상기 제어 회로 사이의 라인에 직렬로 연결된 저항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다이오드는 상기 배터리 셀 각각과 상기 저항의 사이에서 분기된 라인마다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는 상기 배터리 모듈에서 N번째 배터리 셀이 단선된 경우, 상기 N-1번째 배터리 셀의 전압을 상기 N-1번째 배터리 셀에서 분기된 라인을 통해 공급받아 상기 제어 회로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는 최상위 배터리 셀에서 분기된 라인부터 N번째 배터리 셀에서 분기된 라인까지 인접한 라인이 단선된 경우, 기설정된 제어 회로의 최소 동작 전압을 초과하는 배터리 셀의 전압을 상기 N-1번째 배터리 셀에서 분기된 라인을 통해 공급받아 상기 제어 회로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다이오드는 최상위 배터리 셀에서 분기된 라인부터 기설정된 제어 회로의 최소 동작 전압을 초과하는 배터리 셀에서 분기된 라인까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제2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모듈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전원 공급 방법에 있어서, N번째 배터리 셀의 라인에서 단선이 발생하는 단계; 상기 단선된 N번째 배터리 셀의 하위 N-1번째 배터리 셀에서 분기된 라인을 통해 다이오드에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N-1번째 배터리 셀에서 분기된 라인과 연결된 다이오드를 턴-온하는 단계; 및 상기 턴-온된 다이오드를 통해 제어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전원 공급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는 최상위 배터리 셀에서 분기된 라인부터 N번째 배터리 셀에서 분기된 라인까지 인접한 라인이 단선된 경우, 기설정된 제어 회로의 최소 동작 전압을 초과하는 배터리 셀의 전압을 상기 N-1번째 배터리 셀에서 분기된 라인을 통해 공급받아 상기 제어 회로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제어 회로와 연결된 전원 라인에 단선이 될 경우에도 다이오드를 통해 제어 회로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제어 회로와 연결된 전원 라인에 단선이 될 경우에도 단선된 하위 셀과 연결된 전압 측정 라인에서 분기된 라인을 통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전원 공급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서 단선 발생시에도 전원을 공급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전원 공급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명세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전원 공급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배터리 관리 시스템(200)은 다수의 배터리 셀(CV1, CV2, CV3, CV4, CV5)을 포함한 배터리 모듈, 제어 회로(210), 전원부(220) 및 다이오드(230)를 포함한다.
이하, 본 명세서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배터리 모듈은 직렬 연결된 다수의 배터리 셀(CV1, CV2, CV3, CV4, CV5)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배터리 셀을 제1 내지 제5 배터리 셀(CV1, CV2, CV3, CV4 및 CV5)로 총 5개의 경우로 한정하여 도시하였다. 그러나 배터리 셀의 개수는 이보다 적거나 많을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다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다수의 배터리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위해, 단순히 특정 개수의 배터리 셀로 이루어진 배터리 모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배터리 모듈이 아닌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로 이루어진 배터리 팩에서도 동일한 전원 공급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 팩은 일반적인 차량의 저전압 배터리에 비해 고전압을 출력하는 배터리 팩이다. 고전압 배터리는 엔진과 모터를 통해 주행하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자동차에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 팩의 양단에는 모터가 필요에 따라 부하로서 연결되거나, 얼터네이터 등이 필요에 따라 충전기로서 연결될 수 있다.
제어 회로(210)는 배터리 모듈과 연결되어 각 배터리 셀(CV1, CV2, CV3, CV4, CV5)들의 충방전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또한, 제어 회로(210)는 모니터링된 충방전 상태에 따라 필요시 셀 밸런싱을 수행할 수 있다.
각 배터리 셀(CV1, CV2, CV3, CV4, CV5)의 양극(+) 및 음극(-) 단자는 각각 라인을 통해 제어 회로(210)와 연결된다. 여기서, 제어 회로(210)와 연결된 라인은 다수의 배터리 셀(CV1, CV2, CV3, CV4, CV5) 각각의 충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측정 라인일 수 있다.
각 라인에는 보호저항 역할을 수행하는 저항(R1, R2, R3, R4, R5)이 연결되어 있다. 즉, 저항(R1, R2, R3, R4, R5)은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셀 각각과 제어 회로(210) 사이의 라인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저항(R1, R2, R3, R4, R5)의 타단을 통해서 커패시터가 각 배터리 셀들(CV1, CV2, CV3, CV4, CV5)과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저항(R)과 커패시터는 RC 필터를 구성함으로써, 각 배터리 셀(CV1, CV2, CV3, CV4, CV5)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다이오드(230)는 다수의 배터리 셀(CV1, CV2, CV3, CV4, CV5) 각각에서 분기된 라인마다 연결되어 있다.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셀 각각과 제어 회로(210) 사이의 라인에 직렬로 연결된 저항을 더 포함하는 경우, 다이오드(230)는 배터리 셀(CV1, CV2, CV3, CV4, CV5) 각각과 저항(R1, R2, R3, R4, R5)의 사이에서 분기된 라인마다 연결된다. 즉, 다이오드(230)는 제1 내지 제4 다이오드(D1, D2, D3, D4)를 포함하고, 다이오드(230)는 배터리 셀과 연결된 저항의 앞 단에서 분기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직렬로 연결된 저항(R1 내지 R5)의 앞 단에서부터 측정 라인을 분기하여 각 분기한 라인 사이에 다이오드(230)가 추가된다. 최상위 라인은 직접 전원 라인과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
만약, 저항(R1 내지 R5)의 뒷 단에서 라인이 분기되면, 공급 전류(Supply current)로 인해 저항(R1 내지 R5) 양단에 전압 강하(drop)가 발생하게 되어, 정확한 전압을 측정할 수 없다. 따라서 각 라인은 저항(R1 내지 R5)의 앞 단에서 분기된다.
전원부(220)는 제어 회로(210)에 전원을 공급하고, 배터리 모듈의 최상위 배터리 셀에서 분기된 라인 및 다이오드(230)의 최상위 다이오드와 연결된다.
일례로, 복수의 배터리 셀로 이루어진 배터리 모듈에서 N번째 배터리 셀이 단선된 경우를 살펴보기로 한다.
N번째 배터리 셀의 양극 단자와 연결된 라인이 단선되면, N-1번째 배터리 셀의 전압이 N-1번째 배터리 셀에서 분기된 라인을 통해 N-1번째 다이오드에 인가된다. 그러면, 다이오드는 턴-온(Turn ON)되어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어서, N-1번째 배터리 셀의 전압이 턴-온된 다이오드를 거쳐 전원부(220)로 공급된다.
변형 예로, 최상위 배터리 셀에서 분기된 라인부터 N번째 배터리 셀에서 분기된 라인까지 인접한 라인이 단선된 경우를 살펴보기로 한다.
최상위 배터리 셀에서 분기된 라인부터 N번째 배터리 셀의 양극 단자와 연결된 라인이 모두 단선되면, 전원부(220)는 N-1번째 배터리 셀의 전압을 N-1번째 배터리 셀에서 분기된 라인을 통해 공급받는다. 그리고 전원부(220)는 제어 회로(210)에 N-1번째 배터리 셀의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N-1번째 배터리 셀의 전압은 제어 회로(210)가 동작 가능하도록 기설정된 제어 회로(210)의 최소 동작 전압을 초과한다.
한편, 다이오드(230)는 최상위 배터리 셀에서 분기된 라인부터 기설정된 제어 회로(210)의 최소 동작 전압을 초과하는 배터리 셀에서 분기된 라인까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배터리 셀(CV1, CV2)의 전압 합이 제어 회로(210)가 동작 가능한 전압을 초과하지만, 제1 배터리 셀(CV1)의 전압만으로는 동작 가능한 전압 미만인 경우, 다이오드(230)는 제1 다이오드(D1)를 제외하고, 상위 제2 배터리 셀(CV2)과 대응되는 제2 다이오드(D2)부터 각 분기된 라인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전원 라인이 단선될 경우에 제어 회로(210)가 동작을 수행하지 않지만, 배터리 관리 시스템(200)의 전원 공급 장치는 간단한 다이오드 추가와 네트워크 라인 연결로 전원 라인의 단선 시에도 제어 회로(210)에 전원을 유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서 단선 발생시에도 전원을 공급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위 배터리 셀인 제5 배터리 셀(CV5)과 연결된 라인에서 단선(301)이 발생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5번째 배터리 셀(CV5)의 양극 단자와 연결된 라인이 단선(301)되면, 4번째 배터리 셀(CV4)의 전압이 4번째 배터리 셀(CV4)에서 분기된 라인을 통해 4번째 다이오드(D4)에 인가된다. 그러면, 다이오드는 턴-온(Turn ON)되어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어서, 4번째 배터리 셀의 전압이 턴-온된 다이오드를 거쳐 전원부(220)로 공급된다.
따라서 제4 배터리 셀(CV4)부터 분기된 라인을 통해 제4 다이오드(D4)로 이어지는 전압 공급 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원부(220)는 이러한 전압 공급 라인을 통해 배터리 셀의 전압을 수신할 수 있다.
변형 예로, 제5 배터리 셀(CV5)에서 분기된 라인부터 3번째 배터리 셀(CV3)의 양극 단자와 연결된 라인이 모두 단선되면, 전원부(220)는 2번째 배터리 셀의 전압을 2번째 배터리 셀에서 분기된 라인을 통해 공급받는다. 그리고 전원부(220)는 제어 회로(210)에 2번째 배터리 셀의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2번째 배터리 셀의 전압은 제어 회로(210)가 동작 가능하도록 기설정된 제어 회로(210)의 최소 동작 전압을 초과한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전원 공급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복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모듈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전원 공급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200)에서 배터리 셀(CV1, CV2, CV3, CV4 CV5)의 전원 라인에서 단선(301)이 발생한다(S402). 일례로, N번째 배터리 셀의 라인에서 단선이 발생할 수 있다.
단선된 배터리 셀의 하위 셀의 전압 라인을 통해 다이오드(230)에 인가된다(S404). 즉, 단선된 N번째 배터리 셀의 하위 N-1번째 배터리 셀에서 분기된 라인을 통해 다이오드에 전압이 인가된다.
하위 배터리 셀과 연결된 다이오드(230)는 턴-온(Turn ON)된다(S406). 즉, N-1번째 배터리 셀에서 분기된 라인과 연결된 다이오드가 턴-온된다.
전원부(220)는 턴-온된 다이오드를 통해 제어 회로(210)에 전원을 공급한다(S408).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명세서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명세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명세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10: 배터리 팩
11, 12, 13: 배터리 모듈
20: 차량 전자 장치
30: 배터리 제어장치
31, 32: MCU
33: BCU
200: 전원 공급 장치
210: 제어 회로
220: 전원부
230: 다이오드

Claims (7)

  1.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직렬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상기 배터리 모듈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제어 회로;
    상기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셀 각각과 상기 제어 회로 사이의 라인에 직렬로 연결된 저항;
    상기 배터리 셀 각각과 상기 저항의 사이에서 분기된 라인마다 연결되는 다이오드; 및
    상기 제어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배터리 모듈의 최상위 배터리 셀에서 분기된 라인 및 상기 다이오드의 최상위 다이오드와 연결되는 전원부;
    를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전원 공급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배터리 모듈에서 N번째 배터리 셀이 단선된 경우, N-1번째 배터리 셀의 전압을 N-1번째 배터리 셀에서 분기된 라인을 통해 공급받아 상기 제어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전원 공급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최상위 배터리 셀에서 분기된 라인부터 N번째 배터리 셀에서 분기된 라인까지 인접한 라인이 단선된 경우, 기설정된 제어 회로의 최소 동작 전압을 초과하는 배터리 셀의 전압을 N-1번째 배터리 셀에서 분기된 라인을 통해 공급받아 상기 제어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전원 공급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는
    최상위 배터리 셀에서 분기된 라인부터 기설정된 제어 회로의 최소 동작 전압을 초과하는 배터리 셀에서 분기된 라인까지 연결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전원 공급 장치.
  6. 복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모듈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전원 공급 방법에 있어서,
    N번째 배터리 셀의 라인에서 단선이 발생하는 단계;
    상기 단선된 N번째 배터리 셀의 하위 N-1번째 배터리 셀에서 분기된 라인을 통해 다이오드에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N-1번째 배터리 셀에서 분기된 라인과 연결된 다이오드를 턴-온하는 단계; 및
    상기 턴-온된 다이오드를 통해 제어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전원 공급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는
    최상위 배터리 셀에서 분기된 라인부터 N번째 배터리 셀에서 분기된 라인까지 인접한 라인이 단선된 경우, 기설정된 제어 회로의 최소 동작 전압을 초과하는 배터리 셀의 전압을 상기 N-1번째 배터리 셀에서 분기된 라인을 통해 공급받아 상기 제어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전원 공급 방법.
KR1020140179724A 2014-12-12 2014-12-12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KR101638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724A KR101638148B1 (ko) 2014-12-12 2014-12-12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724A KR101638148B1 (ko) 2014-12-12 2014-12-12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927A KR20160071927A (ko) 2016-06-22
KR101638148B1 true KR101638148B1 (ko) 2016-07-08

Family

ID=56365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9724A KR101638148B1 (ko) 2014-12-12 2014-12-12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81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7123A (ko) * 2021-06-11 2022-12-20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04622A1 (ja) 2008-07-08 2010-01-14 三菱電機株式会社 太陽光発電装置
JP2013226042A (ja) 2009-02-17 2013-10-31 Hitachi Ltd 電池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3168B1 (ko) * 2010-08-20 2012-10-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력 저장 시스템,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JP6268712B2 (ja) * 2013-01-31 2018-01-31 ミツミ電機株式会社 保護ic及び保護回路及び電池電圧監視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04622A1 (ja) 2008-07-08 2010-01-14 三菱電機株式会社 太陽光発電装置
JP2013226042A (ja) 2009-02-17 2013-10-31 Hitachi Ltd 電池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927A (ko) 2016-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428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over-charging of battery
CN101174711B (zh) 电池管理系统及其驱动方法
EP2993074A1 (en) Battery pack and hybrid vehicle including the battery pack
KR101628942B1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단선 진단 장치 및 방법
US9698615B2 (en) Electric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electric vehicle
CN101162844A (zh) 车辆的电池管理系统
KR101584261B1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4112876A (zh) 电池模块及其控制方法
KR101610921B1 (ko) 선택적 스위칭을 이용한 절연 저항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610927B1 (ko) 배터리 셀 밸런싱 장치 및 방법
CN104052092A (zh) 车载动力电池的充电系统及其车载动力电池的充电方法
KR20160068522A (ko) 배터리 버스바의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KR20130065351A (ko) 데이지 체인 방식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
JP2016530863A (ja) エネルギー貯蔵システムのバランス調整を行う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1856068B1 (ko) 배터리 팩 전압을 이용한 절연 저항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601717B1 (ko) 밸런싱 소요시간을 이용한 배터리 셀 밸런싱 장치 및 방법
KR20160071207A (ko) 배터리 셀의 과충전 보호 장치 및 방법
CN102468519A (zh) 延长插电式混合动力车电池寿命的装置与方法
KR101610908B1 (ko) 배터리 전압 측정회로의 진단 장치 및 그 방법
KR101927123B1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단선 진단 장치 및 방법
KR101948102B1 (ko) 배터리 역전압 보호 장치
KR20160067599A (ko) 배터리 버스바의 과전압 보호 장치 및 방법
KR101638148B1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KR101628850B1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KR20160071929A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