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7962B1 - 비상 전력용 연료 공급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상 전력용 연료 공급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7962B1
KR101637962B1 KR1020140084752A KR20140084752A KR101637962B1 KR 101637962 B1 KR101637962 B1 KR 101637962B1 KR 1020140084752 A KR1020140084752 A KR 1020140084752A KR 20140084752 A KR20140084752 A KR 20140084752A KR 101637962 B1 KR101637962 B1 KR 101637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fire
emergency
load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4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5585A (ko
Inventor
전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온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온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온테크
Priority to KR1020140084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7962B1/ko
Publication of KR20160005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5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9/00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 F02D29/06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peculiar to engines driving electric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3/00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화재나 정전시 안전 시설로 비상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비상 전력용 연료 공급 제어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비상 연료를 비상 연료 탱크에 저장하고, 소방 연료를 소방 연료 탱크에 저장하며, 상기 비상 연료 탱크와 소방 연료 탱크 사이에 잠금 밸브를 구비하는 연료 탱크부; 해당하는 상기 비상 연료와 소방 연료 중 어느 하나를 공급받아 발전 전력을 생산하는 전력 발전부; 및 상기 시설에 구성되어 상기 전력 발전부로부터 상기 발전 전력을 공급받아 소방 부하와 비상 부하 중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부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발전부는 상기 부하부로 해당하는 발전 전력을 공급시 해당하는 연료의 상태를 체크하여 부족시 상기 잠금 밸브를 개방시켜 상기 소방 연료 탱크와 비상 연료 탱크간 연료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지속적으로 발전 전력을 생산하여 부하부로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상 전력용 연료 공급 제어 시스템{SYSTEM FOR CONTROLLING FUEL SUPPLY FOR EMERGENCY POWER}
본 발명은 연료 공급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나 정전시 안전 시설로 비상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비상 전력용 연료 공급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정 규모 이상의 건물은 건물 이용자의 안전을 위해 경보설비 , 소방 설비 및 소화설비를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규정되어 왔다. 이러한 안전 설비들은 동작을 위한 전원 공급이 필요로 하며, 이를 위해 비상용 발전기를 설치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왔었다.
이러한 종래의 비상용 발전기는 화재, 정전시에만 자동 또는 수동으로 동작하고, 미리 정해진 부하에 대해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경보설비, 소방설비 및 소화설비가 운영될 수 있었다. 여기서, 부하는 일반부하, 비상부하 및 소방부하 등으로 구분된다.
상기 일반부하는 건물의 운영, 이용자의 생활에 따라 전력을 소모하는 부하들이고, 비상부하와 소방부하는 화재, 정전 및 재해 등이 발생한 경우 전력을 소모하는 부하들이다.
이중에서, 비상 부하의 일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일부, 조명 일부 및 방송 시설 등은 재해가 발생하지 않은 상황에서는 일반 부하로 이용되고, 재해가 발생되는 경우 비상 부하의 역할도 수행하여 재해 상황을 해소하기 위한 부하로 이용되었다.
이러한 부하들 중 비상용 발전기는 비상부하와 소방부하에 대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예비전력으로 이용된다. 비상부하의 일부와 일반부하는 재해가 발생하지 않은 상황에는 상용 전력원에 의해 동작하고, 재해가 발생하는 경우 비상 부하와 소방 부하는 비상용 발전기에 의한 발전 전력이 선택적으로 공급되어 재해 대응을 위해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비상전력 시스템은 정전 초기 또는 발전기 구동 직후 소방부하와 비상부하가 함께 발전전력에 의해 운영된다. 즉, 재해가 발생하면 비상 부하와 소방 부하에 대한 전원이 비상용 발전기로 절체되면서 비상용 발전기에 의해 발전 전력이 동시에 공급되어 동작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비상용 발전기는 비상 부하와 소방 부하에 발전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연료를 공급받아야만 발전 전력을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연료 탱크에 저장된 연료 상태를 향시 체크해야만 되었다. 이때, 비상용 발전기에 쓰이는 연료는 통상 비상 부하와 소방 부하마다 각기 다른 연료 탱크에 저장되었다.
이에 따라, 종래의 비상용 발전기는 재해시 소방 부하로 오랜동안 발전 전력을 공급하고자 할 경우에 소방 부하용 연료가 부족한 사태가 발생하게 되면 소방 부하로 발전 전력을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와는 반대로, 재해 해제후, 종래의 비상용 발전기는 비상 부하로 오랜동안 발전 전력을 공급할 경우에 비상 부하용 연료가 부족한 사태가 발생하게 되면 비상 부하로 발전 전력을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1. 한국실용신안등록 : 제200380373호, 등록일자 : 2005년 03월 22일, 고안의 명칭 : 내연기관의 연료 공급 제어장치. 2. 한국등록특허 : 제101014501호, 등록일자 : 2011년 02월 07일, 발명의 명칭 : 연료공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소방 부하와 비상 부하중 선택적으로 비상 발전기에서 발전 전력을 장시간 공급이 필요하더라도 연료 탱크에 저장된 연료의 이동을 제어하여 안정적으로 해당하는 부하로의 발전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비상 전력용 연료 공급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비상 연료를 비상 연료 탱크에 저장하고, 소방 연료를 소방 연료 탱크에 저장하며, 상기 비상 연료 탱크와 소방 연료 탱크 사이에 잠금 밸브를 구비하는 연료 탱크부; 해당하는 상기 비상 연료와 소방 연료 중 어느 하나를 공급받아 발전 전력을 생산하는 전력 발전부; 및 상기 시설에 구성되어 상기 전력 발전부로부터 상기 발전 전력을 공급받아 소방 부하와 비상 부하 중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부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발전부는 상기 부하부로 해당하는 발전 전력을 공급시 해당하는 연료의 상태를 체크하여 부족시 상기 잠금 밸브를 개방시켜 상기 소방 연료 탱크와 비상 연료 탱크간 연료 이동을 제어하는 비상 전력용 연료 공급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기 전력 발전부는 상기 해당하는 연료의 상태를 체크창을 통해 확인하여 연료 부족시 상기 잠금 밸브를 개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연료 공급 제어 시스템은 상기 연료의 상태를 체크하는데 필요한 상기 연료 탱크부의 내부에 높이 측정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비상 연료와 소방 연료의 상태를 체크한 연료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높이 측정 센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기 전력 발전부는 상기 비상 연료를 이용하여 발전 전력을 생산한 후 이를 상기 비상 부하로 공급하고, 상기 소방 연료를 이용하여 발전 전력을 생산한 후 이를 상기 소방 부하로 공급하는 발전 전력 제어부; 상기 높이 측정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상기 비상 연료와 소방 연료의 연료 상태 정보를 제공받는 연료 상태 체크부; 상기 소방 부하로 발전 전력을 공급하는 동안, 상기 연료 상태 정보에 포함된 소방 연료 부족 신호를 제공받을 경우 상기 잠금 밸브를 개방시켜 상기 비상 연료 탱크에 저장된 비상 연료를 상기 소방 연료 탱크안으로 주입시키는 제1 잠금 밸브 제어부; 및 상기 비상 부하로 발전 전력을 공급하는 동안, 상기 연료 상태 정보에 포함된 비상 연료 부족 신호를 제공받을 경우 상기 잠금 밸브를 개방시켜 상기 소방 연료 탱크에 저장된 소방 연료를 상기 비상 연료 탱크안으로 주입시키는 제2 잠금 밸브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기 높이 측정 센서부는 상기 연료 탱크부에 저장된 연료들의 높이를 체크하는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비상 전력용 연료 공급 제어 시스템은 시설에서 발생되는 화재를 감시하여 화재 신호를 생성하는 화재 신호 감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력 발전부는 상기 화재 신호를 제공받거나 상기 부하부로의 주전력원의 전력 공급이 중단될 경우에 가동되어 해당하는 부하로의 발전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시설의 화재를 감시하고, 화재발생시 화재신호를 생성하는 소방신호부; 상기 부하에 주전력을 공급하는 주전력원; 상기 부하와 상기 주전력원을 중계하여 연결하며, 상기 부하와 상기 주전력원의 연결 및 차단을 위한 절체기를 가지는 수배전반; 및 비상 연료를 비상 연료 탱크에 저장하고, 소방 연료를 소방 연료 탱크에 저장하며, 상기 비상 연료 탱크와 소방 연료 탱크 사이에 잠금 밸브를 구비하는 연료 탱크부; 발전기를 구비하고, 화재 또는 상기 주전력원의 정전을 포함하는 재해발생시 상기 화재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주전력의 정전을 감지하여 재해를 확인하고, 상기 재해 발생에 따라 상기 절체기를 제어하여 상기 부하부에 연결되며, 해당하는 상기 비상 연료와 소방 연료 중 어느 하나를 공급받아 발전 전력을 생산하는 전력 발전부; 및 상기 시설에 구성되어 상기 전력 발전부로부터 상기 발전 전력을 공급받아 소방 부하와 비상 부하 중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부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발전부는 상기 부하부로 해당하는 발전 전력을 공급시 해당하는 연료의 상태를 체크하여 부족할 경우에 상기 잠금 밸브를 개방시켜 상기 소방 연료 탱크와 비상 연료 탱크간 연료 이동을 제어하는 비상 전력용 연료 공급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른 상기 전력 발전부는 상기 해당하는 연료의 상태를 체크창을 통해 확인하여 연료 부족시 상기 잠금 밸브를 개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른 연료 공급 제어 시스템은 상기 연료의 상태를 체크하는데 필요한 상기 연료 탱크부의 내부에 높이 측정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비상 연료와 소방 연료의 상태를 체크한 연료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높이 측정 센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른 상기 전력 발전부는 상기 비상 연료를 이용하여 발전 전력을 생산한 후 이를 상기 비상 부하로 공급하고, 상기 소방 연료를 이용하여 발전 전력을 생산한 후 이를 상기 소방 부하로 공급하는 발전 전력 제어부; 상기 높이 측정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상기 비상 연료와 소방 연료의 연료 상태 정보를 제공받는 연료 상태 체크부; 상기 소방 부하로 발전 전력을 공급하는 동안, 상기 연료 상태 정보에 포함된 소방 연료 부족 신호를 제공받을 경우 상기 잠금 밸브를 개방시켜 상기 비상 연료 탱크에 저장된 비상 연료를 상기 소방 연료 탱크안으로 주입시키는 제1 잠금 밸브 제어부; 및 상기 비상 부하로 발전 전력을 공급하는 동안, 상기 연료 상태 정보에 포함된 비상 연료 부족 신호를 제공받을 경우 상기 잠금 밸브를 개방시켜 상기 소방 연료 탱크에 저장된 소방 연료를 상기 비상 연료 탱크안으로 주입시키는 제2 잠금 밸브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럴 경우,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른 상기 높이 측정 센서부는 상기 연료 탱크부에 저장된 연료들의 높이를 체크하는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필요에 따라 소방 부하 및 비상 부하 중 어느 하나로 발전 전력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부족한 연료를 이웃하고 있는 연료 탱크에 저장된 연료로 잠금 밸브의 개폐를 통해 채울 수 있는 관계로, 채워진 연료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발전 전력을 생산하여 부하부로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지속적으로 생산된 발전 전력을 해당하는 부하로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음으로써, 경보 설비, 소방 설비 및 소화 설비를 향상 가동시킬 수 있게 되어 부하의 정지에 의한 화재, 재산 및 인명 피해를 사전에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이 측정 센서부 또는 체크창의 구비로 인하여 전력 발전부에서 연료 상태를 수시로 체크함으로써 잠금 밸브의 개폐를 통한 연료의 이동을 전력 발전부에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연료 부족으로 인한 발전 전력 미공급 사태를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료 공급 제어 시스템(1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발전부(12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료 공급 제어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료 공급 제어 시스템의 전력 발전부(3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료 공급 제어 시스템(1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료 공급 제어 시스템(100)은 비상 전력용 연료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연료 탱크부(110), 전력 발전부(120), 부하부(130), 높이 측정 센서부(140), 수배전반(150) 및 화재 신호 감지부(160)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연료 탱크부(110)는 비상 연료를 저장하는 비상 연료 탱크(111)와 소방 연료를 저장하는 소방 연료 탱크(112)를 구비한다. 이때, 비상 연료와 소방 연료는 동일한 연료, 예컨대 디젤, 가솔린 또는 중유중 어느 하나의 연료이다. 이러한 연료들은 내연 기관용 발전기일 경우에 발전 전력을 생산하기 위하여 필요한 연료들이다.
이러한 연료 탱크부(110)는 비상 연료 탱크(111)와 소방 연료 탱크(112)를 이웃하여 배치하여 구비하거나 서로 떨어져 배치되는 것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비상 연료 탱크(111)와 소방 연료 탱크(112)에는 체크창(114)을 구비하고 상기 비상 연료 탱크(111)와 소방 연료 탱크(112)의 사이에는 잠금 밸브(113)를 구비한다.
상기 체크창(114)은 해당하는 연료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창으로서 연료 부족을 확인하게 되면 잠금 밸브(113)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잠금 밸브(113)가 개방되면 이웃하고 있는 연료, 예컨대 비상 연료 탱크(111)에 저장된 연료를 소방 연료 탱크(112)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반대로, 소방 연료 탱크(112)에 저장된 연료를 비상 연료 탱크(111)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체크창(114)이 아닌 연료 탱크부(110)에 저장된 연료들의 높이를 측정하고 이를 토대로 잠금 밸브(113)의 개방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차후에 도 2에서 살펴볼 예정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력 발전부(120)는 연료 탱크부(110)에 저장된 비상 연료와 소방 연료 중 어느 하나를 공급받아 발전 전력을 생산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차단기, 절체기 및 부하 차단기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여 재해 발생시 위와 같은 연료를 공급받아 발전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이러한 전력 발전부(120)는 디젤, 가솔린 또는 중유를 연료로 하는 내연기관을 이용하는 발전기일 수 있으며, 운전반 탑재형, 운전반 별치형, 공냉식, 매연저감장치 탑재형, 저소음형(방화구획이 불필요한 외함 구조 적용) 및 옥외형을 하나 또는 복수의 병렬 운전형으로 설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전력 발전부(120)는 수배전반(150)을 통해 부하부(130)로 발전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로는, 상기 수배전반(150)은 재해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주전력원(101)으로부터 공급되는 주전력을 부하에 공급하고 있으며, 재해가 발생된 상태에서는 비상발전부(120)로부터 공급되는 발전 전력을 이후에 설명될 부하부(130)로 공급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전력 발전부(120)는 재해 발생시 수배전반(150)을 통해 부하(130)와 수배전반에서 공급되는 주전력원(101)의 연결을 차단하고, 생산된 발전전력을 부하(130)로 공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전력 발전부(120)는 발전 전력을 소방부하에 우선 공급하도록 수배전반(150)의 연결을 제어하고, 발전 전력의 여유에 따라 비상 부하(132) 및 일반 부하를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발전 전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배전반(150)은 발전 전력의 공급시 전력 발전부(120)의 제어에 따라 소방 부하(131) 및 비상 부하(132)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투입하게 되며 과부하에 따라 소방부하 이외의 부하를 차단 또는 투입하여 부하부(130)에 대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부하부(130)는 경보설비 , 소방 설비 및 소화설비와 같은 안전 설비가 필수적으로 설치된 시설(시설물)에 존재하는 전력 공급원으로서, 재해가 발생하지 않은 통상적인 경우에 수배전반(150)의 주전력원(101)으로부터 주전력을 제공받아 전력을 소모하고, 소기의 기능을 수행하며, 재해가 발생하는 경우에 전력 발전부(120)로부터 발전 전력을 제공받아 동작된다.
이를 위해 상기 부하부(130)는 재해 상황에서 방재 및 인명의 구조를 위해 일반부하, 비상부하 및 소방부하를 포함한다. 상기 소방부하 및 비상부하는 관련법규, 규칙 등에 의해 정의되는 부하로 소방, 방재, 대피와 같은 재해 대응을 위해 필요한 부하를 의미한다. 일례로, 소방부하는 소방펌프, 각종 감지기, 피난을 위한 조명 등 재해시 필수적으로 운영되어야 하는 부하를 의미한다.
반면, 상기 비상부하는 재해가 발생하지 않은 상황 속에 시설의 안전 유지 보조, 시설 이용자의 편의 제공을 위한 용도로 이용되고, 재해 상황하에서는 대피, 방재를 위한 보조 용도로 이용되는 부하, 예컨대 엘리베이터 조명과 같은 부하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부하부(130)는 전력 발전부(120)로부터 재해 상황이나 정전시 앞서 설명한 전력 발전부(120)로부터 발전 전력을 공급받아 소방 부하(131)와 비상 부하(132)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이와 같이, 소방 부하(131)와 비상 부하(132)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앞서 설명한 전력 발전부(120)에서 지속적으로 발전 전력을 공급받아야만 한다.
그러나, 기존에는 소방 부하(131)로 오랜동안 발전 전력을 전력 발전부(120)에서 소방 부하(131)로 공급할 경우 비상 부하(132)용 연료가 바닥이나 제대로 작동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위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전력 발전부(120)는 부하부(130)로 해당하는 발전 전력을 공급시 해당하는 연료의 상태를 연료 탱크부(110)로부터 체크하게 된다.
예를 들면, 소방 연료 탱크(112)에 저장된 소방 연료의 상태를 체크 결과, 부족하다고 판단되면, 연료 탱크부(110)에 구비된 잠금 밸브(113)를 개방시켜 소방 연료 탱크(112)와 비상 연료 탱크(111)간 연료 이동을 제어하게 된다.
즉, 비상 연료 탱크(111)에 저장된 비상 연료를 소방 연료 탱크(112)로 이동되도록 잠금 밸브(113)를 개방하게 되고, 비상 연료 탱크(111)에 저장된 비상 연료가 부족하다고 판단되면, 소방 연료 탱크(112)에 저장된 소방 연료를 비상 연료 탱크(111)안으로 이동되도록 잠금 밸브(113)의 개방을 전력 발전부(120)에서 제어하게 된다.
이때, 소방 연료 및 비상 연료의 상태를 체크한다는 의미는 연료들의 높이, 밀도, 무게와 같은 상태를 가리킨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연료가 얼마나 있는지를 알 수 있는 수단이라면 본 실시예에서 적용됨은 물론이다. 여기서, 연료들의 높이를 체크하기 위하여 높이 측정 센서를 구비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측정 센서부(1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높이 측정 센서로 이루어져 앞서 설명한 연료 탱크부(110)에 저장된 연료들의 높이를 체크하게 된다. 그러나, 센서 대신 연료의 높이를 알 수 있는 다른 수단이라면 본 실시예에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신호 감지부(150)는 경보설비 , 소방 설비 및 소화설비와 같은 안전 설비가 필수적으로 설치된 시설(시설물)에서 발생되는 화재를 감시하여 화재 신호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화재 신호는 앞서 설명한 전력 발전부(120)로 공급될 수 있다.
그 이유로서, 상기 전력 발전부(120)는 정전시 수배전반의 주전력원(101)에서 부하부(130)로의 전력 공급이 중단될 경우에 이를 확인하여 가동시키고자 화재 신호 감지부(150)로부터 화재 신호를 제공받거나 정전시의 정전 신호를 제공받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전력 발전부(120)는 갑작스런 주전력원(101)에서 부하부(130)로의 전력 공급이 중단되는 이유로 인하여 가동되는 발전기이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전력 발전부(12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발전부(12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발전부(120)는 발전 전력 제어부(121), 연료 상태 체크부(122), 제1 잠금 밸브 제어부(123) 및 제2 잠금 밸브 제어부(124)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발전 전력 제어부(121)는 필요시 비상 부하(132)로 발전 전력을 공급하고자 연료 탱크부(110)에서 제공된 비상 연료를 이용하여 발전 전력을 생산한 후 이를 비상 부하(132)로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필요시 소방 부하(131)로 발전 전력을 공급하고자 연료 탱크부(110)에서 제공된 소방 연료를 이용하여 발전 전력을 생산한 후 이를 소방 부하(131)로 공급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상태 체크부(122)는 높이 측정 센서부(140)로부터 측정된 비상 연료와 소방 연료의 연료 상태 정보를 제공받는다. 이때, 연료 상태 정보는 연료 탱크부(110)에 남아있는 비상 연료와 소방 연료의 크기를 알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1 잠금 밸브 제어부(123)는 소방 부하(131)로 발전 전력을 공급하는 동안, 연료 상태 체크부(122)에서 체크된 연료 상태 정보에 포함된 소방 연료 부족 신호를 제공받을 경우 연료 탱크부(110)에 구비된 잠금 밸브(113)를 개방시키도록 제어하여 비상 연료 탱크(111)에 저장된 비상 연료를 소방 연료 탱크(112)안으로 주입시킬 수 있게 된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제2 잠금 밸브 제어부(124)는 비상 부하(132)로 발전 전력을 공급하는 동안, 연료 상태 체크부(122)에서 체크된 연료 상태 정보에 포함된 비상 연료 부족 신호를 제공받을 경우 연료 탱크부(110)에 구비된 잠금 밸브(113)를 개방시키도록 제어하여 소방 연료 탱크(112)에 저장된 소방 연료를 비상 연료 탱크(111)안으로 주입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부하부(130)로 해당하는 발전 전력을 공급시 해당하는 연료의 상태를 전력 발전부(120)에서 체크하여 부족시 잠금 밸브(113)를 개방시키고 이를 통해 소방 연료 탱크(112)와 비상 연료 탱크(111)간 연료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소방 부하(131) 또는 비상 부하(132) 중 어느 하나가 장시간 지속되더라도 연료 부족없이 발전 전력을 부하부(130)로 안정되게 공급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료 공급 제어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료 공급 제어 시스템의 전력 발전부(3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료 공급 제어 시스템(200)은 소방신호부(80), 주전력원(10), 수배전반(20), 전력 발전부(30) 및 부하부(40)를 포함한다. 각 구성에 대하여 순서에 관계없이 설명할 예정이다.
여기서, 주전력원(10)으로부터 공급되는 주전력은 자동구간개폐기(211) 및 MOF(Metering out of fit, 계기용 변압변류기, 212)를 통해 변압기(213)에 공급된다. 변압기(213)는 주전력을 부하부(40)에서 이용할 수 있는 저압으로 변환하여 부하부(40)에 공급한다. 이때, 부하부(40)와 전력 변환기 사이에는 기중차단기(ACB, 214)가 설치되어 사고시 부하부(40)와 주전력의 연결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변압 및 배전 과정에서 전력관리 시스템(22)의 전력수요제어기(221), 역률제어기(222) 및 관리 시스템(223)이 주전력의 수전 및 배전을 관리하고, 부하부(40)에 의해 사용되는 전력을 모니터링하여 모니터링 결과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20)는 진상용 콘덴서(215) 및 서지보호기(216)를 구비하며, 진상용 콘덴서(215)와 서비보호기(216)를 회로에 연결 또는 차단하기 위한 차단기(MCCB, 217, 21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력 발전부(30)는 절체기(23)와 연결되며, 절체기(23)에 의해 부하부(40)와 연결되거나 차단된다. 절체기(23)는 소방신호부(80)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한 비상발전부(30)에 의해 제어되어 부하(40) 전부 또는 일부가 비상발전부(30)와 연결되도록 전원절체를 수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부하부(40)는 일반부하(50), 비상부하(60) 및 소방부하(70)로 구분되고, 일반부하(50)는 주전력에 연결되고, 비상부하(60) 및 소방부하(70)는 절체기(23)를 통해 주전력에 연결된다.
그러나, 화재시에는 일반부하(50)가 주전력이 차단되기 전까지는 주전력에 의해 운영되고, 주전력이 차단되는 경우 절체기(23)를 이용하여 전력 발전부(30)에 연결하여 운영하게 된다. 그리고, 정전시에는 절체기(23)에 의해 바로 전력 발전부(30)와 연결하여 발전전력에 의해 운영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비상발전부(30)는 소방 신호부(80)로부터 화재 신호를 수신하거나, 전력 관리 시스템(22)에서 전달되는 주전력의 검출값 또는 직접 측정한 주전력의 검출값을 통해 정전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통해 재해 발생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재해가 발생하면, 전력 발전부(30)는 각 절체기(23)를 제어하여 절체기(23)에 연결된 부하(40)가 주전력원(10)과 차단되도록 함과 동시에, 발전 전력을 생산하여 주전력원(10)으로부터 분리된 부하부(40)에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전력 발전부(30)는 부하부(40)와의 연결을 위해 절체기(23)를 우선 제어하여 부하(40)측과 전력 발전부(30)가 연결되도록 한 후, 각 부하부(40)에 구성되는 차단기(52, 62, 72)를 제어하여 선택적으로 일반 부하(50), 비상 부하(60) 및 소방 부하(70)를 연결하여 발전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부하부(40)중 특히 비상 부하(60) 및 소방 부하(70)로 발전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발전 전력 생산에 필요한 연료를 공급받아야만 전력 발전부(30)에서 발전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료 탱크부(90)를 더 구비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연료 탱크부(90)는 비상 연료를 저장하는 비상 연료 탱크(91)와 소방 연료를 저장하는 소방 연료 탱크(92)를 구비한다. 이때, 비상 연료와 소방 연료는 동일한 연료, 예컨대 디젤, 가솔린 또는 중유 중 어느 하나의 연료이다. 이러한 연료들은 내연 기관용 전력 발전부(30)일 경우에 발전 전력을 생산하기 위하여 필요한 연료들이다.
이러한 연료 탱크부(90)는 비상 연료 탱크(91)와 소방 연료 탱크(92)를 이웃하여 배치하여 구비하거나 서로 떨어져 배치되는 것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비상 연료 탱크(91)와 소방 연료 탱크(92)에는 체크창(94)을 구비하고 상기 비상 연료 탱크(91)와 소방 연료 탱크(92)의 사이에는 잠금 밸브(93)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체크창(94)은 해당하는 연료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창으로서 연료 부족을 확인하게 되면 잠금 밸브(93)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잠금 밸브(93)가 개방되면 이웃하고 있는 연료, 예컨대 비상 연료 탱크(91)에 저장된 연료를 소방 연료 탱크(92)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체크창(94)이 아닌 연료 탱크부(91)에 저장된 연료들의 높이를 측정하고 이를 토대로 잠금 밸브(93)의 개방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차후에 설명할 예정이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전력 발전부(30)는 연료 탱크부(90)에 저장된 비상 연료와 소방 연료 중 어느 하나를 공급받아 발전 전력을 생산하고, 이를 해당하는 부하부(40)로 공급하게 된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기(31), 발전제어부(32), 차단기(331) 및 계측 소자(325)를 포함한다. 또한, 발전 제어부(32)는 제어기(321), 계측기(322), 계전기(323) 및 통신기(324)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발전기(31)는 재해 발생시 발전 제어부(32)의 제어의 동작하여 발전 전력을 생산하고, 차단기(331), 절체기(23) 및 부하 차단기(52, 62, 72)에 의해 부하부(40)와 연결되어 발전 전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발전기(31)는 디젤, 가솔린 또는 중유를 연료로 하는 내연기관을 이용한 발전기일 수 있으며, 운전반 탑재형, 운전반 별치형, 공냉식, 매연저감장치 탑재형, 저소음형(방화구획이 불필요한 외함 구조 적용), 옥외형을 하나 또는 복수의 병렬 운전형으로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반면, 발전 제어부(32)는 소방신호부(80) 또는 전류계, 전압계와 같은 측정장치에 의해 정전 및 화재를 포함하는 재해 상황을 확인하고, 재해 발생시 발전기(31)를 구동시켜 발전전력을 확보함과 아울러, 부하 차단기(52, 62, 72) 및 차단기(331)에 의해 발전전력을 부하부(40)에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발전 제어부(32)는 부하(40)에 대한 전력 공급에 있어 소방 부하(70)에 우선적으로 발전 전력을 공급하고, 여유 전력량에 따라 비상부하(60), 일반부하(50)의 순으로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이를 위해, 발전 제어부(32)는 재해가 발생하면 부하부(40)와 주전력의 연결을 끊어 부하부(40)로의 전력 공급을 중단시킨다. 그리고, 발전기(31)에 의해 발전전력이 생산되면, 절체기(23)와 차단기(331)에 의해 소방부하(70)와 비상발전부(30)를 연결하고, 소방 부하(70)에 구성되는 부하 차단기(72)를 연결하여 소방부하(70)에 전력이 공급되게 한다.
발전 제어부(32)는 소방부하(70)에 발전전력을 공급하는 한편, 발전전력과 소방부하(70)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량을 비교하여 발전전력의 여유분을 산출하고, 발전전력의 여유가 있는 경우 비상부하(60)의 부하 차단기(621)를 연결하여 비상 부하(60)에도 발전 전력이 공급되게 한다.
또한, 발전 제어부(32)는 비상 부하(60)와 소방 부하(70)에 발전전력을 공급하면서 발전전력의 여유전력을 계산하며, 여유전력이 있는 경우 일반 부하(50)의 부하차단기(52)를 연결하여 일반부하(50)에도 발전전력이 공급되게 한다.
특히, 발전 제어부(32)는 비상 부하(60)의 연결시 엘리베이터 부하와 같이 시설 이용자의 대피, 소방 인력의 투입, 방재의 보조가 가능한 비상 부하를 다른 비상 부하(60)에 비해 우선하여 발전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배전반(20), 전력 발전부(30) 및 부하부(40)간의 제어 관계를 통해 비상 부하(60)와 소방 부하(70)중 어는 하나로 선택적으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앞서 설명한 전력 발전부(30)에서 지속적으로 발전 전력을 공급 받아야만 한다.
그러나, 기존에는 소방 부하(70)로 오랜동안 발전 전력을 전력 발전부(30)에서 소방 부하(70)로 공급할 경우 또는 반대인 경우 비상 부하(60)용 연료가 바닥이나 제대로 작동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위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전력 발전부(30)는 부하부(40)로 해당하는 발전 전력을 공급시 해당하는 연료의 상태를 연료 탱크부(90)로부터 체크하게 된다.
예를 들면, 소방 연료 탱크(92)에 저장된 소방 연료의 상태를 체크 결과, 부족하다고 판단되면, 연료 탱크부(90)에 구비된 잠금 밸브(93)를 개방시켜 소방 연료 탱크(92)와 비상 연료 탱크(91)간 연료 이동을 제어하게 된다.
즉, 비상 연료 탱크(91)에 저장된 비상 연료를 소방 연료 탱크(92)로 이동되도록 잠금 밸브(93)를 개방하게 되고, 비상 연료 탱크(91)에 저장된 비상 연료가 부족하다고 판단되면, 소방 연료 탱크(92)에 저장된 소방 연료를 비상 연료 탱크(91)안으로 이동되도록 잠금 밸브(93)의 개방을 전력 발전부(30)에서 제어하게 된다.
이때, 소방 연료 및 비상 연료의 상태를 체크한다는 의미는 연료들의 높이, 밀도, 무게와 같은 상태를 가리킨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연료가 얼마나 있는지를 알 수 있는 수단이라면 본 실시예에서 적용됨은 물론이다. 여기서, 연료들의 높이를 체크하기 위하여 높이 측정 센서를 구비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측정 센서부(95)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높이 측정 센서로 이루어져 앞서 설명한 연료 탱크부(90)에 저장된 연료들의 높이를 체크하게 된다. 그러나, 센서 대신 연료의 높이를 알 수 있는 다른 수단이라면 본 실시예에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앞서 설명한 부하부(40)는 각 부하를 소그룹의 부하로 구분하고, 각 소그룹의 부하별로 부하 차단기(521, 621, 721)를 두어 연결/차단을 제어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각 부하부(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 부하(50), 비상부하(60) 및 소방부하(70)로 구분된다.
그리고, 일반부하(50), 비상부하(60) 및 소방부하(70) 각각은 부하의 종류, 부하량, 사용 목적, 회로 구성 등에 따라 1 내지 N 개의 소그룹 부하로 구분된다. 즉, 일반부하1(511) 내지 일반부하N(514), 비상부하1(611) 내지 비상부하N(614), 소방부하1(711) 내지 소방부하N(71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부하 차단기(52, 62, 72)도 소그룹 부하(511 내지 514, 611 내지 614, 711 내지 713) 각각의 단속을 제어하기 위해 각 소그룹 부하에 대응되어 복수로 구성되고, 전력 발전부(30)에 의해 단속(연결또는 끊음) 제어를 받는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전력 발전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하부(40)로 해당하는 발전 전력을 공급시 해당하는 연료의 상태를 체크하여 부족시 잠금 밸브(93)를 개방시켜 소방 연료 탱크(92)와 비상 연료 탱크(91)간 연료 이동을 제어하고자 발전 전력 제어부(34), 연료 상태 체크부(35), 제1 잠금 밸브 제어부(36) 및 제2 잠금 밸브 제어부(37)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발전 전력 제어부(34)는 필요시 비상 부하(132)로 발전 전력을 공급하고자 연료 탱크부(90)에서 제공된 비상 연료를 이용하여 발전 전력을 생산한 후 이를 비상 부하(60)로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필요시 소방 부하(70)로 발전 전력을 공급하고자 연료 탱크부(90)에서 제공된 소방 연료를 이용하여 발전 전력을 생산한 후 이를 소방 부하(70)로 공급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상태 체크부(35)는 높이 측정 센서부(95)로부터 측정된 비상 연료와 소방 연료의 연료 상태 정보를 제공받는다. 이때, 연료 상태 정보는 연료 탱크부(90)에 남아있는 비상 연료와 소방 연료의 크기를 알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1 잠금 밸브 제어부(36)는 소방 부하(70)로 발전 전력을 공급하는 동안, 연료 상태 체크부(35)에서 체크된 연료 상태 정보에 포함된 소방 연료 부족 신호를 제공받을 경우 연료 탱크부(90)에 구비된 잠금 밸브(93)를 개방시키도록 제어하여 비상 연료 탱크(91)에 저장된 비상 연료를 소방 연료 탱크(92)안으로 주입시킬 수 있게 된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제2 잠금 밸브 제어부(37)는 비상 부하(60)로 발전 전력을 공급하는 동안, 연료 상태 체크부(35)에서 체크된 연료 상태 정보에 포함된 비상 연료 부족 신호를 제공받을 경우 연료 탱크부(90)에 구비된 잠금 밸브(93)를 개방시키도록 제어하여 소방 연료 탱크(92)에 저장된 소방 연료를 비상 연료 탱크(91)안으로 주입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수배전반(20), 전력 발전부(30) 및 부하부(40)간의 제어 관계를 통해 부하부(40)로 해당하는 발전 전력을 공급시 해당하는 연료의 상태를 전력 발전부(30)에서 체크하여 부족시 잠금 밸브(93)를 개방시키고 이를 통해 소방 연료 탱크(92)와 비상 연료 탱크(91)간 연료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소방 부하(70) 또는 비상 부하(60) 중 어느 하나가 장시간 지속되더라도 연료 부족없이 발전 전력을 부하부(40)로 안정되게 공급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 : 주전력원 20 : 수배전반
30 : 비상발전부 31 : 발전기
32 : 발전제어부 34 : 전력 제어부
35 : 연료 상태 체크부 36 : 제1 잠금 밸브 제어부
37 : 제2 잠금 밸브 제어부 40 : 부하
50 : 일반부하 52, 62, 72 : 부하차단기
60 : 비상부하 70 : 소방부하
80 : 소방신호부 90 : 연료 탱크부
91 : 비상 연료 탱크 92 : 소방 연료 탱크
95 : 높이 측정 센서부 100 : 연료 공급 제어 시스템
110 : 연료 탱크부 111 : 비상 연료 탱크
112 : 소방 연료 탱크 113 : 잠금 밸브
94, 114 : 체크창 120 : 전력 발전부
130 ; 부하부 140 ; 높이 측정 센서부
150 : 수배전반 160 : 화재 신호 감지부
211 ; 자동구간개폐기 212 : MOF 213 : 변압기
214 : 기중차단기 215 : 진상용 콘덴서
216 : 서지보호기 271, 218 : MCCB
321 : 제어기 322 : 계측기
323 : 계전기 324 : 통신기

Claims (11)

  1. 비상 연료를 비상 연료 탱크에 저장하고, 소방 연료를 소방 연료 탱크에 저장하며, 상기 비상 연료 탱크와 소방 연료 탱크 사이에 잠금 밸브를 구비하는 연료 탱크부;
    상기 비상 연료와 소방 연료 중 어느 하나를 공급받아 발전 전력을 생산하는 전력 발전부; 및
    상기 전력 발전부로부터 상기 발전 전력을 공급받아 소방 부하와 비상 부하 중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부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발전부는,
    상기 부하부로 상기 발전 전력을 공급할 경우 해당하는 연료의 상태를 체크하여 연료 부족시 상기 잠금 밸브를 개방시켜 상기 소방 연료 탱크와 비상 연료 탱크간 연료 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비상 연료를 이용하여 발전 전력을 생산한 후 이를 상기 비상 부하로 공급하고, 상기 소방 연료를 이용하여 발전 전력을 생산한 후 이를 상기 소방 부하로 공급하는 발전 전력 제어부;
    상기 높이 측정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상기 비상 연료와 소방 연료의 연료 상태 정보를 제공받는 연료 상태 체크부;
    상기 소방 부하로 발전 전력을 공급하는 동안, 상기 연료 상태 정보에 포함된 소방 연료 부족 신호를 제공받을 경우 상기 잠금 밸브를 개방시켜 상기 비상 연료 탱크에 저장된 비상 연료를 상기 소방 연료 탱크안으로 주입시키는 제1 잠금 밸브 제어부; 및
    상기 비상 부하로 발전 전력을 공급하는 동안, 상기 연료 상태 정보에 포함된 비상 연료 부족 신호를 제공받을 경우 상기 잠금 밸브를 개방시켜 상기 소방 연료 탱크에 저장된 소방 연료를 상기 비상 연료 탱크안으로 주입시키는 제2 잠금 밸브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전력용 연료 공급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발전부는,
    상기 해당하는 연료의 상태를 체크창을 통해 확인하여 연료 부족시 상기 잠금 밸브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전력용 연료 공급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의 상태를 체크하는데 필요한 상기 연료 탱크부의 내부에 높이 측정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비상 연료와 소방 연료의 상태를 체크한 연료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높이 측정 센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전력용 연료 공급 제어 시스템.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측정 센서부는,
    상기 연료 탱크부에 저장된 연료들의 높이를 체크하는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전력용 연료 공급 제어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시설에서 발생되는 화재를 감시하여 화재 신호를 생성하는 화재 신호 감지부;를 더 포함할 경우,
    상기 전력 발전부는,
    상기 화재 신호를 제공받거나 상기 부하부로의 주전력원의 전력 공급이 중단될 경우에 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전력용 연료 공급 제어 시스템.
  7. 시설의 화재를 감시하고, 화재발생시 화재신호를 생성하는 소방신호부;
    부하에 주전력을 공급하는 주전력원;
    상기 부하와 상기 주전력원을 중계하여 연결하며, 상기 부하와 상기 주전력원의 연결 및 차단을 위한 절체기를 가지는 수배전반; 및
    비상 연료를 비상 연료 탱크에 저장하고, 소방 연료를 소방 연료 탱크에 저장하며, 상기 비상 연료 탱크와 소방 연료 탱크 사이에 잠금 밸브를 구비하는 연료 탱크부;
    발전기를 구비하고, 화재 또는 상기 주전력원의 정전을 포함하는 재해발생시 상기 화재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주전력의 정전을 감지하여 재해를 확인하고, 상기 재해 발생에 따라 상기 절체기를 제어하여 상기 부하에 연결되며, 해당하는 상기 비상 연료와 소방 연료 중 어느 하나를 공급받아 발전 전력을 생산하는 전력 발전부; 및
    상기 시설에 구성되어 상기 전력 발전부로부터 상기 발전 전력을 공급받아 소방 부하와 비상 부하 중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부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발전부는,
    상기 부하부로 해당하는 발전 전력을 공급시 해당하는 연료의 상태를 체크하여 부족할 경우에 상기 잠금 밸브를 개방시켜 상기 소방 연료 탱크와 비상 연료 탱크간 연료 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비상 연료를 이용하여 발전 전력을 생산한 후 이를 상기 비상 부하로 공급하고, 상기 소방 연료를 이용하여 발전 전력을 생산한 후 이를 상기 소방 부하로 공급하는 발전 전력 제어부;
    상기 높이 측정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상기 비상 연료와 소방 연료의 연료 상태 정보를 제공받는 연료 상태 체크부;
    상기 소방 부하로 발전 전력을 공급하는 동안, 상기 연료 상태 정보에 포함된 소방 연료 부족 신호를 제공받을 경우 상기 잠금 밸브를 개방시켜 상기 비상 연료 탱크에 저장된 비상 연료를 상기 소방 연료 탱크안으로 주입시키는 제1 잠금 밸브 제어부; 및
    상기 비상 부하로 발전 전력을 공급하는 동안, 상기 연료 상태 정보에 포함된 비상 연료 부족 신호를 제공받을 경우 상기 잠금 밸브를 개방시켜 상기 소방 연료 탱크에 저장된 소방 연료를 상기 비상 연료 탱크안으로 주입시키는 제2 잠금 밸브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전력용 연료 공급 제어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발전부는,
    상기 해당하는 연료의 상태를 체크창을 통해 확인하여 연료 부족시 상기 잠금 밸브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전력용 연료 공급 제어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의 상태를 체크하는데 필요한 상기 연료 탱크부의 내부에 높이 측정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비상 연료와 소방 연료의 상태를 체크한 연료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높이 측정 센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전력용 연료 공급 제어 시스템.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측정 센서부는,
    상기 연료 탱크부에 저장된 연료들의 높이를 체크하는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전력용 연료 공급 제어 시스템.
KR1020140084752A 2014-07-07 2014-07-07 비상 전력용 연료 공급 제어 시스템 KR101637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752A KR101637962B1 (ko) 2014-07-07 2014-07-07 비상 전력용 연료 공급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752A KR101637962B1 (ko) 2014-07-07 2014-07-07 비상 전력용 연료 공급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585A KR20160005585A (ko) 2016-01-15
KR101637962B1 true KR101637962B1 (ko) 2016-07-08

Family

ID=55173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4752A KR101637962B1 (ko) 2014-07-07 2014-07-07 비상 전력용 연료 공급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796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414Y1 (ko) * 2003-07-14 2003-10-3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비상발전용 연료공급 배관
JP2004257300A (ja) 2003-02-26 2004-09-16 Hitachi Ltd 非常用ディーゼル発電設備
JP2005020879A (ja) 2003-06-25 2005-01-20 Green Energy Kk 非常用発電機を活用した無停電システムと方法
KR101180391B1 (ko) * 2012-04-19 2012-09-10 주식회사 라온테크 비상전력 공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상전력 공급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373Y1 (ko) 2004-12-31 2005-03-29 김동수 내연기관의 연료 공급 제어장치
KR101014501B1 (ko) 2008-11-24 2011-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공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7300A (ja) 2003-02-26 2004-09-16 Hitachi Ltd 非常用ディーゼル発電設備
JP2005020879A (ja) 2003-06-25 2005-01-20 Green Energy Kk 非常用発電機を活用した無停電システムと方法
KR200331414Y1 (ko) * 2003-07-14 2003-10-3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비상발전용 연료공급 배관
KR101180391B1 (ko) * 2012-04-19 2012-09-10 주식회사 라온테크 비상전력 공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상전력 공급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585A (ko) 2016-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4604B1 (ko) 소방전원 보존형 자가발전기
DK2020560T3 (en) Electronic flow sensor
KR101727060B1 (ko) 비상발전기와 에너지 저장장치를 포함하는 통합 전력관리 시스템
KR20110025061A (ko) 전력공급 시스템
KR101180391B1 (ko) 비상전력 공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상전력 공급방법
GB2494151A (en) Emergency light fittings with remote mains monitoring
CN102983547A (zh) 不间断供电式漏电试验综合保护系统
KR101211834B1 (ko) 배전 시스템
KR20180096357A (ko) IoT 기반 이동통신용 스마트 분전반 제어 장치
KR102413963B1 (ko) 전기차 충전기
WO2007061109A1 (ja) エレベータ自動着床装置
KR101306018B1 (ko) 자가 진단 지능형 발전기를 이용한 무인 안전 점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무인 안전 점검 방법
KR101637962B1 (ko) 비상 전력용 연료 공급 제어 시스템
KR101084058B1 (ko) 차단기 자동 제어 기능을 구비한 특고전압 수전설비
CN110843564A (zh) 一种电动车智能充换电系统
CN205581275U (zh) 一种铁路电力机车蓄电池亏电检测报警装置
KR100806773B1 (ko) 지능형 누전차단기의 자동 복귀장치
KR102058077B1 (ko) 자가 진단 지능형 발전기를 이용한 무인 안전 점검 시스템
CN112865026B (zh) 一种自动消防安全的智能配电方法及系统
KR101817964B1 (ko) 세대 내 비상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
JP2005304263A (ja) 発電システム
CN206922506U (zh) 一种智能集成控制柜电路
AU2008100741A4 (en) A traffic signal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0961542B1 (ko) 전력품질단말장치
KR20100006560U (ko) 고압 단상 부하개폐기가 내장된 이동용 단상 변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