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7301B1 - Sliding unit for side sliding seat of vehicle - Google Patents

Sliding unit for side sliding seat of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7301B1
KR101637301B1 KR1020140170357A KR20140170357A KR101637301B1 KR 101637301 B1 KR101637301 B1 KR 101637301B1 KR 1020140170357 A KR1020140170357 A KR 1020140170357A KR 20140170357 A KR20140170357 A KR 20140170357A KR 101637301 B1 KR101637301 B1 KR 101637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late
elastic
sliding unit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03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66246A (en
Inventor
이용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0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7301B1/en
Publication of KR20160066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2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3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02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의 사이드 슬라이딩 시트용 슬라이딩 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사이드 슬라이딩 시트용 슬라이딩 유닛은 차체의 플로워 패널에 차폭 방향으로 장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의 일측부에 차폭 방향으로 구성되는 레일; 상기 레일의 일측에 차체 전후방향으로 구성되는 고정판; 상기 레일을 따라 각각 차폭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연결 브라켓을 통하여 상호 연결되며, 차량용 시트가 조립되는 슬라이더; 상기 고정판에 연결되는 탄성판; 및 일단이 상기 탄성판의 타단에 연결되며, 타단은 손잡이를 형성하는 작동레버를 포함한다.A sliding unit for a side sliding seat of a vehicle is disclosed. A sliding unit for a side sliding sea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mounted on a floor panel of a vehicle body in a vehicle width direction; A rail formed on one side of the frame in a vehicle width direction; A fixed plate disposed at one side of the rai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 slider installed to be slidable along the rails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nd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nnection bracket, and a vehicle seat being assembled; An elastic plate connected to the fixing plate; And an operation lev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plate and the other end forming a handle.

Description

차량의 사이드 슬라이딩 시트용 슬라이딩 유닛{SLIDING UNIT FOR SIDE SLIDING SEAT OF VEHICL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ing unit for a side sliding seat of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사이드 슬라이딩 시트용 슬라이딩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가 장착되는 슬라이더의 이동방향과 이를 조작하기 위한 작동레버의 작동방향을 상호 평행하게 하여 조작력의 효율성 및 사이드 슬라이딩 시트의 작동성을 향상시키는 차량의 사이드 슬라이딩 시트용 슬라이딩 유닛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ing unit for a side sliding seat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liding unit for a side sliding seat of a vehicle, in which a moving direction of a slider on which a seat is mounted is parallel to an operating direction of an operating lever To a sliding unit for a side sliding seat of a vehicle which improves operability.

일반적으로 대형 버스에 적용되는 차량의 사이드 슬라이딩 시트는 탑승자간의 신체접촉을 최소화하도록 시트간의 거리 조절을 통해 넓고 편안한 탑승공간을 제공하여 탑승자의 안락한 탑승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Generally, a side sliding seat of a vehicle applied to a large-sized bus provides a spacious and comfortable boarding space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eats so as to minimize body contact between passengers, thereby providing a comfortable boarding environment for the occupant.

종래의 차량의 사이드 슬라이딩 시트용 슬라이딩 유닛은 가이드 레일, 슬라이더, 록킹부, 제어레버로 구성된다.A conventional sliding unit for a side sliding seat of a vehicle includes a guide rail, a slider, a locking portion, and a control lever.

가이드 레일은 차체의 플로워 패널의 상면에 차체에 대해 차폭 방향으로 설치되고, 슬라이더는 상측에 시트가 장착된 상태로 가이드 레일의 상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 하게 결합된다.The guide rail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panel of the vehicle body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ody, and the slider is slidably engag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rom the upper side of the guide rail while the seat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상기 록킹부는 슬라이더를 고정하여 이동여부를 결정하는 것으로, 상기 조작레버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가 시트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에 구성된다. The locking part determines whether the slider is fixed by moving the slider, and the slider is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move the sea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즉, 사용자는 시트를 일정거리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어레버를 조작하면, 슬라이더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록킹 상태에 있던 록킹부가 해제되고, 이때 사용자가 시트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밀게 되면, 그 조작력에 의해 슬라이더가 가이드 레일 상에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user operates the control lever to move the seat to the left or right side of a certain distance, the locking portion in the locked state is released to prevent the slider from moving. When the user pushes the seat to the left or right side, The slider slid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guide rails due to the operation force.

이러한 종래의 차량의 사이드 슬라이딩 시트용 슬라이딩 유닛의 구성 및 작동은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차량의 사이드 슬라이딩 시트용 슬라이딩 유닛은 시트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하여 통로 상에 구성된 제어레버를 조작하게 되는데, 이때, 제어레버를 조작하는 조작력과 함께 시트를 밀어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미는 힘이 동시에 요구된다.
즉, 사용자는 상기 시트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하여 조작레버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시트를 미는 두 가지의 힘이 필요하여 사용자가 사이드 슬라이딩 시트를 조작하는 것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시트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통로 상에서 시트를 슬라이드 이동시켜야하기 때문에 다른 탑승자의 통로 이용을 방해하는 단점이 있다.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such a conventional sliding unit for a side sliding seat of a vehicle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following prior art documents.
However, in the conventional sliding unit for a side sliding seat of a vehicle, the control lever configured on the passageway is operated to slide the seat. At this time, the pushing force for pushing and sliding the seat together with the operating force for operating the control lever Is required.
That is, the user has two disadvantages that it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operate the side sliding sheet, since the user has to operate the operating lever to slide the seat and simultaneously push the seat.
Further, since the user has to slide the seat on the passageway in order to slide the sea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hinders the passengers from using the passageway.

대한민국실용신안공개번호 제1998-051923호(공개일 1998.10.07)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8-051923 (Publication date 1998.10.07)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작동레버의 조작에 따른 탄성판의 변형패턴을 이용하여 연결 브라켓 상의 록킹홀에 대하여 고정핀이 삽입 및 이탈되도록 구성하여 슬라이더의 이동방향과 작동레버의 작동방향을 상호 평행하게 하게 함으로써 조작력의 효율성 및 사이드 슬라이딩 시트의 작동성을 향상시키는 차량의 사이드 슬라이딩 시트용 슬라이딩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xing pin is inserted into and removed from the locking hole on the connection bracket by using the deformation pattern of the elastic plat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so that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lider and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operation lever are parallel So a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operation force and the operability of the side sliding sheet.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차체의 플로워 패널에 차폭 방향으로 장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의 일측부에 차폭 방향으로 구성되는 레일; 상기 레일의 일측에 차체 전후방향으로 구성되는 고정판; 상기 레일을 따라 각각 차폭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연결 브라켓을 통하여 상호 연결되며, 차량용 시트가 조립되는 슬라이더; 상기 고정판에 연결되는 탄성판; 및 일단이 상기 탄성판의 타단에 연결되며, 타단은 손잡이를 형성하는 작동레버를 포함하는 차량의 사이드 슬라이딩 시트용 슬라이딩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In one or mo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frame mounted on a floor panel of a vehicle body in a vehicle width direction; A rail formed on one side of the frame in a vehicle width direction; A fixed plate disposed at one side of the rai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 slider installed to be slidable along the rails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nd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nnection bracket, and a vehicle seat being assembled; An elastic plate connected to the fixing plate; And an operating lev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plate and the other end forming a handle.

또한, 상기 프레임은 차체 길이방향으로 전측 및 후측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측 및 후측 프레임의 중앙부에는 상기 작동레버의 일측을 힌지 연결하는 지지핀이 설치될 수 있다.The frame may include front and rear fram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nd support pins for hinging one side of the operation lever may be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and rear frames.

또한, 상기 레일은 상기 전,후측 프레임의 일측부에 연결판을 통하여 양 단부가 각각 고정되는 전,후측 레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Further, the rails may be formed of front and rear rails on both ends of the front and rear frames, the opposite ends of which are fixed to each other through a connecting plate.

또한, 상기 고정판은 상기 전,후측 레일의 일측에 차체 전후방향으로 구성되며, 고정홀을 갖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plate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front and rear side rai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nd may have a fixing hole.

또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복수의 록킹홀을 갖는 연결 브라켓을 통하여 상호 연결되는 전,후측 슬라이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lider may include a front slider and a rear slider, which are slidably mounted along the rail and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nnection bracket having a plurality of locking holes.

또한, 상기 연결 브라켓은 H형 브라켓으로 형성되며, 중앙을 따라 3개의 록킹홀이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connection bracket is formed of an H-shaped bracket, and three locking holes may be form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enter.

또한, 상기 탄성판은 일단부에 탄성부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판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판에 형성되는 고정홀을 통하여 상기 연결 브라켓에 형성되는 록킹홀에 삽입 및 이탈되는 고정핀을 상기 탄성부에 구성할 수 있다.The elastic plate may have an elastic portion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xing plate to have a fixing pin inserted into and disengaged from a locking hole formed in the connection bracket through a fixing hole formed in the fixing plate, can do.

또한, 상기 탄성판의 탄성부는 상기 고정판의 하면에 접촉되어 연결되는 접촉면; 상기 작동레버의 일단과 연결되어 조작력을 전달하는 작동면; 상기 접촉면의 일단과 상기 작동면의 타단을 S자 형상의 곡선으로 연결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Further, the elastic portion of the elastic plate may be a contact surface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An operation surfac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operation lever to transmit operation force; And an elastic surface for connecting the one end of the contact surface and the other end of the operation surface with an S-shaped curve to provide an elastic force.

또한, 상기 고정핀은 상기 접촉면과 탄성면을 관통하여 상기 작동면 상에 상향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pin may be fixed upward on the operating surface through the contact surface and the elastic surface.

또한, 상기 탄성판은 일정폭의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elastic plate may be formed of a leaf spring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작동레버의 조작에 따른 탄성판의 변형패턴을 이용하여 연결 브라켓 상의 록킹홀에 대하여 고정핀이 삽입 및 이탈되도록 구성하여 슬라이더의 고정상태를 쉽게 제어하며, 슬라이더의 이동방향과 작동레버의 작동방향을 상호 평행하게 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작은 힘으로도 사이드 슬라이딩 시트를 효율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른 시트 사용의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in is inserted and removed with respect to the locking hole on the connection bracket by using the deformation pattern of the elastic plat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to easily control the fixed state of the slider, By making the operating directions of the operating levers parallel to each other, the user can efficiently operate the side sliding sheets even with a small force,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 shee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사이드 슬라이딩 시트용 슬라이딩 유닛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사이드 슬라이딩 시트용 슬라이딩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사이드 슬라이딩 시트용 슬라이딩 유닛에 적용되는 조작레버의 조작에 따른 탄성판의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사이드 슬라이딩 시트용 슬라이딩 유닛의 정위치 및 이동위치로의 작동 상태도이다.
1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sliding unit for a side sliding sea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liding unit for a side sliding sea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tate diagram of an elastic plate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n operation lever applied to a sliding unit for a side sliding sea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a sliding unit for a side sliding sea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roper position and a moving posi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사이드 슬라이딩 시트용 슬라이딩 유닛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사이드 슬라이딩 시트용 슬라이딩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FIG. 1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sliding unit for a side sliding sea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liding unit for a side sliding sea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ortion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사이드 슬라이딩 시트용 슬라이딩 유닛은 프레임(10), 전,후측 레일(21)(23), 고정판(25), 전,후측 슬라이더(31)(33), 탄성판(40) 및 작동레버(50)로 구성된다.1 and 2, a sliding unit for a vehicle side sliding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10, front and rear rails 21 and 23, a fixing plate 25, (31) 33, an elastic plate (40), and an operation lever (50).

상기 프레임(10)은 시트 레그(5)를 통해 차체의 플로워 패널(미도시)에 차폭 방향으로 장착되며, 차체 길이방향으로 전측 및 후측 프레임(11)(13)으로 구성된다.The frame 10 is mounted to the floor panel (not shown) of the vehicle body through the seat leg 5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nd is composed of the front and rear frames 11 and 1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또한, 상기 전측 및 후측 프레임(11)(13)은 2개의 연결판(15)을 통하여 연결되는데, 상기 2개의 연결판(15)은 상기 전측 및 후측 프레임(11)(13)의 일측부에서 상호 연결한다.The front and rear frames 11 and 1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wo connecting plates 15. The two connecting plates 15 ar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ront and rear frames 11 and 13 Interconnect.

상기 전,후측 레일(21)(23)은 상기 프레임(10) 상의 일측부에 차폭방향으로 전후측에 각각 배치되는데, 상기 전측 및 후측 프레임(11)(13)의 일측부에 설치된 상기 연결판(15)을 통하여 양 단부가 각각 고정된다.The front and rear rails 21 and 23 are dispos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frame 10 and the front and rear rails 21 and 23 ar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ront and rear frames 11 and 13, (15).

그리고 상기 고정판(25)은 상기 전측 및 후측 레일(21)(23)의 일측 하부에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판(25)은 상기 전측 및 후측 레일(21)(23)의 각 일측 하부에 차체 전후방향으로 배치되어 고정되며, 중앙에는 고정홀(27)이 형성된다. And the fixing plate 25 is formed at a lower side of one side of the front and rear side rails 21 and 23. Here, the fixing plate 25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s of one side of each of the front and rear side rails 21, 2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nd a fixing hole 27 is formed at the center.

상기 전,후측 슬라이더(31)(33)는 상기 전측 및 후측 레일(21)(23)을 따라 차폭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front and rear sliders 31 and 33 are slidably movable along the front and rear rails 21 and 23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이러한 전,후측 슬라이더(31)(33)는 연결 브라켓(35)을 통하여 상호 연결되며, 상기 연결 브라켓(35)의 중앙에는 차폭방향을 따라 3개의 록킹홀(37)이 형성된다. The front and rear sliders 31 and 3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connection bracket 35 and three locking holes 37 ar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onnection bracket 35 along the vehicle width direction.

여기서, 상기 연결 브라켓(35)은 H형 브라켓으로 형성되며, 중앙을 따라 3개의 록킹홀(37)이 등간격으로 형성된다.Here, the connection bracket 35 is formed of an H-shaped bracket, and three locking holes 37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enter.

이러한 전,후측 슬라이더(31)(33)는 각각 상기 전측 및 후측 레일(21)(23)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측 및 후측 슬라이더(31)(33) 상에는 사이드 슬라이딩 시트(1)가 조립된다.The front and rear sliders 31 and 33 are provided so as to be slidable along the front and rear rails 21 and 23 respectively and the side sliding sheet 1 is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sliders 31 and 33, .

상기 탄성판(40)은 일단부에 탄성부(41)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판(25)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판(25)의 고정홀(27)을 통하여 상기 연결 브라켓(35)의 록킹홀(37)에 삽입 및 이탈되는 고정핀(49)이 상기 탄성부(41)에 구성된다.The resilient plate 40 is formed at one end with an elastic portion 41 and is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plate 25 and is fixed to the fixing plate 25 through the fixing hole 27, A fixing pin (49) inserted into or removed from the hole (37) is formed in the elastic portion (41).

즉, 상기 탄성판(40)은 탄성부(41)의 변형패턴에 따라 상기 연결 브라켓(35) 상의 록킹홀(37)에 대하여 상기 고정핀(49)을 삽입하거나 이탈되도록 하여 상기 전,후측 슬라이더(31)(33)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하거나 해제하게 된다.That is, the elastic plate 40 inserts or detaches the fixing pin 49 from the locking hole 37 on the connection bracket 35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pattern of the elastic part 41, (31) and (33).

여기서, 상기 탄성판(40)의 탄성부(41)는 접촉면(43), 작동면(45) 및 탄성면(47)으로 구성된다.Here, the elastic portion 41 of the elastic plate 40 is composed of the contact surface 43, the operation surface 45, and the elastic surface 47.

즉, 상기 접촉면(43)은 상기 고정판(25)의 하면에 접촉되는 평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판(25)의 하면을 지지한다.That is, the contact surface 43 is formed in a plane contacting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25, and supports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25.

상기 작동면(45)은 역시 평면으로 이루어져 선단이 상기 작동레버(50)의 일단에 연결되어 조작력을 전달받는다.The operation surface 45 is also flat and has a distal e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operation lever 50 to receive operating force.

또한, 상기 탄성면(47)은 상기 접촉면(43)의 일단과 상기 작동면(45)의 타단을 S자 형상의 곡선으로 연결하여 탄성을 갖는다. The elastic surface 47 has elasticity by connecting one end of the contact surface 43 and the other end of the operation surface 45 by an S-shaped curve.

또한, 상기 고정핀(49)은 상기 접촉면(43)과 탄성면(47)을 관통하여 상기 작동면(45) 상의 중앙에 상향 고정된다. The fixing pin 49 penetrates the contact surface 43 and the elastic surface 47 and is fixed upward at the center on the operation surface 45.

그리고 상기 작동레버(50)는 상기 전,후측 프레임(11)(13)의 중앙을 연결하여 설치된 지지핀(17)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탄성판(40)의 작동면(45) 선단에 힌지핀(51)에 의해 힌지 연결되며, 타단은 손잡이(53)를 형성한다.The operation lever 50 is rotat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pin 17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front and rear frames 11 and 13 and has one end fixed to the operation surface (45) is hinged by a hinge pin (51) and the other end forms a handle (53).

즉, 상기 작동레버(50)를 조작하게 되면, 접촉면(43)이 상기 고정판(25)에 지지된 상태로, 조작력에 의해 탄성면(47)이 자체 탄성에 의해 변형되면서 상기 작동면(45)이 상하로 거동하게되고, 이에 따라, 상기 작동면(45)에 구성된 고정핀(49)이 록킹홀(37)로부터 이탈되거나 삽입되는 작동을 이룬다. That is, when the operation lever 50 is operated, the elastic surface 47 is deformed by the self-elasticity by the operation force while the contact surface 43 is supported by the fixed plate 25, So that the fixing pin 49 formed on the operating surface 45 is moved away from or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 37. As a result,

여기서, 상기 탄성판(40)은 하나의 판재를 절곡 성형한 일정폭의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Here, the elastic plate 40 is formed of a leaf spring having a constant width formed by bending a single plate material.

이하,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차량의 사이드 슬라이딩 시트용 슬라이딩 유닛의 작동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liding unit for a side sliding seat of a vehicle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사이드 슬라이딩 시트용 슬라이딩 유닛에 적용되는 조작레버의 조작에 따른 탄성판의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사이드 슬라이딩 시트용 슬라이딩 유닛의 정위치 및 이동위치로의 작동 상태도이다.3 is a state view of an elastic plate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n operating lever applied to a sliding unit for a side sliding sea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peration state of the unit to the correct position and the movement position.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작동레버(50)를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고정핀(49)이 전,후측 레일(21)(23)을 연결하는 고정판(25)의 고정홀(27)을 통하여 전,후측 슬라이더(31)(33)를 연결하는 연결 브라켓(35) 상의 하나의 록킹홀(37)에 삽입된 상태를 이룬다.(S1) 3, when the operation lever 50 is not operated, the fixing pin 49 is inserted through the fixing hole 27 of the fixing plate 25 connecting the front and rear side rails 21 and 23 And is inserted into one locking hole 37 on the connection bracket 35 connecting the front and rear sliders 31 and 33. (S1)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작동레버(50)를 좌측으로 밀게되면, 지지핀(17)을 기준으로 힌지 작동에 의해 작동레버(50)의 일단이 상기 탄성판(40)의 작동면(45) 선단을 들어 올리게 된다. In this state, when the user pushes the operation lever 50 to the left, one end of the operation lever 50 is pushed by the hinge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in 17 to the tip of the operation surface 45 of the elastic plate 40 .

그러면, 상기 탄성판(40)은 작동면(45)의 일측(P1)이 탄성면(47)의 일측에 지지되어 탄성면(47)의 변형에 의해 타측(P2)이 하측으로 벌어지는 거동을 이룬다.One side P1 of the operating surface 45 is supported on one side of the elastic surface 47 so that the other side P2 spreads downward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elastic surface 47 .

즉, 상기 작동면(45)과 탄성면(47)이 접촉되는 일측(P1)이 지지점이 되어 상기 작동면(45)과 탄성면(47)의 타측(P2)이 접촉면(43)으로부터 벌어지는 하향 거동을 이루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작동면(45)의 중앙에 구성된 고정핀(49)이 하향 이동하면서 상기 전,후측 슬라이더(31)(33)를 연결하는 연결 브라켓(35) 상의 록킹홀(37)로부터 이탈하게 된다.(S2)That is, one side P1 of the operating surface 45 and the elastic surface 47 is a supporting point, and the working surface 45 and the other side P2 of the elastic surface 47 are separated from the contact surface 43 The fixing pin 49 formed at the center of the operating surface 45 moves downward and the locking hole 37 on the connection bracket 35 connecting the front and rear sliders 31 and 33 (S2)

반대로, 사용자가 작동레버(50)를 우측으로 당기면, 지지핀(17)을 기준으로 힌지 작동에 의해 작동레버(50)의 일단이 상기 탄성판(40)의 작동면(45) 선단을 아래로 내리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pulls the operation lever 50 to the right, one end of the operation lever 50 is moved downward by the hinge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in 17 to the lower end of the operation surface 45 of the elastic plate 40 .

그러면, 상기 탄성판(40)은 작동면(45)의 일측(P1)이 탄성면(47)의 일측과 벌어지면서 탄성면(47)의 변형에 의해 타측(P2)이 하측으로 벌어지는 거동을 이룬다.The elastic plate 40 is configured such that one side P1 of the actuating surface 45 is extended to one side of the elastic surface 47 and the other side P2 is deformed downward due to deformation of the elastic surface 47 .

즉, 상기 작동면(45)과 탄성면(47)의 일측(P1)과 타측(P2)은 모두 접촉면(43)으로부터 벌어지는 하향 거동을 이루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작동면(45)의 중앙에 구성된 고정핀(49)이 하향 이동하면서 상기 전,후측 슬라이더(31)(33)를 연결하는 연결 브라켓(35) 상의 록킹홀(37)로부터 이탈하게 된다.(S3)That is, one side (P1) and the other side (P2) of the working surface (45) and the elastic surface (47) both form a downwardly inclined behavior from the contact surface (43) The fixing pin 49 moves downward and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hole 37 on the connection bracket 35 connecting the front and rear sliders 31 and 33. In step S3,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레버(50)의 조작에 따른 고정핀(49)의 작동을 통하여 전체적인 차량의 사이드 슬라이딩 시트용 슬라이딩 유닛의 작동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liding unit for a side sliding seat of the vehicle as a whole will be describ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fixing pin 49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lever 50 as described above.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초기상태에서는 상기 도 3의 (S1)과 같은 상태로, 고정시트(7)에 대하여 사이드 슬라이딩 시트(1)가 접촉된 상태로, 이때, 고정핀(49)은 연결 브라켓(35) 상의 3개의 록킹홀(37) 중, 바깥쪽인 도 4의(S11)와 같이 최우측 록킹홀(37a)에 삽입되어 사이드 슬라이딩 시트(1)의 고정상태를 유지한다. 3, in the initial state, the side sliding sheet 1 is in contact with the fixing seat 7 in a state similar to that of FIG. 3 (S1). At this time, the fixing pin 49 Out of the three locking holes 37 on the connection bracket 35 is inserted into the rightmost locking hole 37a as shown at S11 in Fig. 4 to keep the side sliding sheet 1 in a fixed state.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사이드 슬라이딩 시트(1) 상에 착석하여, 도 3의 (S2)와 같이, 작동레버(50)를 도면상의 좌측으로 밀게 되면, 고정핀(49)은 상기 연결 브라켓(35) 상의 록킹홀(37)로부터 이탈하면서 록킹 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작동레버(50)를 미는 힘은 전,후측 레일(21)(23)에 대하여 전,후측 슬라이더(31)(33)가 바깥쪽 즉, 도면상의 우측으로 미는 힘으로 작용하여 사이드 슬라이딩 시트(1)가 고정시트(7)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된다.3 (S2), when the user pushes the operation lever 50 to the left side in the figure, the fixing pin 49 comes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bracket 35 The pushing force of the operating lever 50 is transmitted to the front and rear side rails 21 and 23 by the front and rear sliders 31 and 33 That is, the side sliding sheet 1 moves away from the fixed seat 7 by acting as a pushing force toward the right side in the drawing.

이때, 이동이 완료된 상태로, 작동레버(50)를 놓으면, 상기 고정핀(49)은 탄성판(40)의 복원에 의해 연결 브라켓(35) 상의 3개의 록킹홀(37) 중, 안쪽인 도 4의 (S12)와 같이, 최좌측 록킹홀(37b)에 삽입되어 사이드 슬라이딩 시트(1)가 바깥쪽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고정상태를 유지시킨다. At this time, when the operating lever 50 is placed in the state where the movement is completed, the fixing pin 49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side of the three locking holes 37 on the connection bracket 35 by restoration of the elastic plate 40 The side sliding sheet 1 is inserted into the leftmost locking hole 37b and held in a fixed state in a state in which the side sliding sheet 1 is moved outward as shown in S12 of FIG.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는 커버(3)가 설치되어 상기 작동레버(50)의 회전각을 제한할 수 있다.4, a cover 3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10 to limit the rotation angle of the operation lever 50. [

즉, 작동레버(50)의 과도한 회전을 제한하여 탄성판(40)의 내구성을 보존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durability of the elastic plate 40 can be conserved by restricting the excessive rotation of the operation lever 5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사이드 슬라이딩 시트용 슬라이딩 유닛은 작동레버(50)의 조작에 따른 탄성판(40)의 변형패턴을 이용하여 연결 브라켓(35) 상의 록킹홀(37)에 대하여 고정핀(49)이 삽입 및 이탈되도록 구성하여 전,후측 슬라이더(31)(33)의 고정상태를 쉽게 제어하며, 전,후측 슬라이더(31)(33)의 이동방향과 작동레버(50)의 작동방향을 상호 평행하게 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작은 힘으로도 사이드 슬라이딩 시트를 효율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sliding unit for the side sliding sheet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deformation pattern of the elastic plate 4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lever 50 to move the locking hole 37 on the connecting bracket 35, Rear sliders 31 and 33 and the movable slider 31 and 33 to move the slider 31 and 33 relative to the moving lever 50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the side sliding sheet efficiently with a small force.

이상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all changes to the scope that are deemed to be valid.

1: 사이드 슬라이딩 시트
3: 커버
5: 시트 레그
7: 고정시트
10: 프레임
11: 전측 프레임
13: 후측 프레임
15: 연결판
17: 지지핀
21: 전측 레일
23: 후측 레일
25: 고정판
27: 고정홀
31: 전측 슬라이더
33: 후측 슬라이더
35: 연결 브라켓
37: 록킹홀
37a: 최우측 록킹홀
37b: 최좌측 록킹홀
40: 탄성판
41: 탄성부
43: 접촉면
45: 작동면
47: 탄성면
49: 고정핀
50: 작동레버
51: 힌지핀
53: 손잡이
1: Side sliding seat
3: cover
5: seat leg
7: Fixed sheet
10: frame
11: Front frame
13: rear frame
15: Connection plate
17: Support pin
21: front rail
23: rear rail
25: Fixing plate
27: Fixing hole
31: Front slider
33: rear side slider
35: Connection bracket
37: Locking hole
37a: Rightmost locking hole
37b: leftmost locking hole
40: elastic plate
41:
43: contact surface
45: Working surface
47: elastic face
49: Fixing pin
50: Operation lever
51: Hinge pin
53: Handle

Claims (10)

차체의 플로워 패널에 차폭 방향으로 장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상의 일측부에 차폭 방향으로 구성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의 일측에 차체 전후방향으로 구성되는 고정판과, 상기 레일을 따라 각각 차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연결 브라켓을 통하여 상호 연결되며 차량용 시트가 조립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고정판에 연결되는 탄성판과, 일단이 상기 탄성판에 연결되며 타단은 손잡이를 형성하는 작동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판은, 일단부에 탄성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판의 하부에 연결되어 그 고정판에 형성된 고정홀을 통하여 상기 연결 브라켓에 형성된 록킹홀에 삽입 및 이탈되는 고정핀을 탄성부에 구성하되, 상기 고정판에 접촉되는 접촉면과, 상기 작동레버와 연결되는 작동면과, 상기 접촉면과 작동면을 연결하며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촉면은 고정판의 하면에 접촉되어 연결되고, 상기 작동면은 작동레버와 연결되어 조작력을 전달하며, 상기 탄성면은 접촉면과 작동면을 S자 형상의 곡선으로 연결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차량의 사이드 슬라이딩 시트용 슬라이딩 유닛.
A frame mounted on the floor panel of the vehicle body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 rail formed on one side of the frame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 fixing plate formed on one side of the rai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nd an operating lever which is connected to the elastic plate and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elastic plat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elastic plate,
Wherein the resilient plate has a resilient portion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a fixing pin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xing plate and inserted into and disengaged from a locking hole formed in the connection bracket through a fixing hole formed in the fixing plate, A contact surface contacting the fixed plate, an operation surface connected to the operation lever, and an elastic surface connecting the contact surface and the operation surface to provide an elastic force,
Wherein the contact surface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and the operation surface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lever to transmit operation force and the elastic surface is a side surface of the vehicle which provides an elastic force by connecting the contact surface and the operation surface with an S- Sliding unit for sliding she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차체 길이방향으로 전측 및 후측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측 및 후측 프레임의 중앙부에는 상기 작동레버의 일측을 힌지 연결하는 지지핀이 설치되는 차량의 사이드 슬라이딩 시트용 슬라이딩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ame
And a support pin for hinging one side of the operation lever is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front and rear fram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전,후측 프레임의 일측부에 연결판을 통하여 양 단부가 각각 고정되는 전,후측 레일로 이루어지는 차량의 사이드 슬라이딩 시트용 슬라이딩 유닛.
3. The method of claim 2,
The rail
And a pair of front and rear rails fixed to one side of the front and rear frames through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pla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상기 전,후측 레일의 일측에 차체 전후방향으로 구성되며, 고정홀을 갖는 차량의 사이드 슬라이딩 시트용 슬라이딩 유닛.
The method of claim 3,
The stationary plate
A sliding unit for a side sliding seat of a vehicle having a fixing hole, the sliding unit being formed in a front-rear direction of a vehicle body on one side of the front and rear side rai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복수의 록킹홀을 갖는 연결 브라켓을 통하여 상호 연결되는 전,후측 슬라이더로 이루어지는 차량의 사이드 슬라이딩 시트용 슬라이딩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lider
And a front and rear sliders tha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nnecting bracket having a plurality of locking holes, which are slidably installed along the rai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브라켓은
H형 브라켓으로 형성되며, 중앙을 따라 3개의 록킹홀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차량의 사이드 슬라이딩 시트용 슬라이딩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bracket
A sliding unit for a side sliding seat of a vehicle, the sliding unit comprising an H-shaped bracket and three locking holes form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ent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접촉면과 탄성면을 관통하여 작동면 상에 상향 고정되는 차량의 사이드 슬라이딩 시트용 슬라이딩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pin
And is fixed upward on the working surface through the contact surface and the elastic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판은
일정폭의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의 사이드 슬라이딩 시트용 슬라이딩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astic plate
A sliding unit for a side sliding seat of a vehicle, the sliding unit comprising a leaf spring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KR1020140170357A 2014-12-02 2014-12-02 Sliding unit for side sliding seat of vehicle KR1016373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357A KR101637301B1 (en) 2014-12-02 2014-12-02 Sliding unit for side sliding seat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357A KR101637301B1 (en) 2014-12-02 2014-12-02 Sliding unit for side sliding seat of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246A KR20160066246A (en) 2016-06-10
KR101637301B1 true KR101637301B1 (en) 2016-07-07

Family

ID=56190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0357A KR101637301B1 (en) 2014-12-02 2014-12-02 Sliding unit for side sliding seat of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7301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282Y1 (en) * 2000-02-22 2000-07-15 한일이화주식회사 A transferable apparatus of the automobile seat right and left
KR100410721B1 (en) 2001-04-30 2003-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hifter of seat for bu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16231A (en) * 1981-12-29 1983-07-11 Tachikawa Spring Co Ltd Transversely sliding seat apparatus
JPH1051923A (en) 1996-07-31 1998-02-20 Kanefuji Sangyo Kk Tool for terminating coaxial cab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282Y1 (en) * 2000-02-22 2000-07-15 한일이화주식회사 A transferable apparatus of the automobile seat right and left
KR100410721B1 (en) 2001-04-30 2003-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hifter of seat for b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246A (en) 2016-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5889B2 (en) Vehicle seat sliding device
TWI255171B (en) Stopper apparatus for slide rail
US8899702B2 (en) Latch mechanism,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removing a shell cover from a shell base using the same
US9873359B2 (en) Child safety seat
KR101991252B1 (en) Extensible apparatus for seat cushion in vehicle
US9247821B1 (en) Modified back rack
EP2418095B1 (en) Pressing assembly of an embossing seal
GB2505993A (en) Shoulder belt height adjustment mechanism for child seat
US11458866B2 (en) Seat slider device
JP2015093578A (en) Seat slide device
KR101637301B1 (en) Sliding unit for side sliding seat of vehicle
KR102001504B1 (en) Locking apparatus of seat rail for vehicle
JP2006160178A (en) Mounting structure of vehicle seat
ITMI20090186A1 (en) TILE CUTTER WITH HEIGHT ADJUSTABLE TOOL HOLDER.
JP6140546B2 (en) Slide rail device for vehicle seat
JP7129846B2 (en) seat slide device
JP6679410B2 (en) Seat slide device
KR101044067B1 (en) Headrest Moving Device
CN201948441U (en) Height adjusting device for chair armrest
KR102586269B1 (en) Locking apparatus of seat rail for vehicle
JP6030391B2 (en) Chair
KR20160013405A (en) Apparatus for adjusting height of armrest
US20150366354A1 (en) Chair back height adjustment mechanism and chair
KR20110004984A (en) The chair seat board
JP7408526B2 (en) seat slid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