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7187B1 - 이미지에 기반한 랜덤 넘버 생성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에 기반한 랜덤 넘버 생성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7187B1
KR101637187B1 KR1020140170535A KR20140170535A KR101637187B1 KR 101637187 B1 KR101637187 B1 KR 101637187B1 KR 1020140170535 A KR1020140170535 A KR 1020140170535A KR 20140170535 A KR20140170535 A KR 20140170535A KR 101637187 B1 KR101637187 B1 KR 101637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image
images
random number
rand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0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6318A (ko
Inventor
김동영
이충희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40170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7187B1/ko
Publication of KR20160066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ocessing data by operating upon the order or content of the data handled
    • G06F7/58Random or pseudo-random number gener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07Image acquisi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이미지에 기반하여 랜덤 넘버를 생성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이미지에 기반한 랜덤 넘버 생성장치는 입력 컬러 영상을 생성하고자 하는 랜덤 넘버의 개수(n)만큼 분할하여 n개의 서브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분할부와; 상기 n개의 서브 영상 각각에 적용될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랜덤하게 선택하는 영상처리 알고리즘 선택부와; 상기 n개의 서브 영상 각각에 선택된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그레이 스케일 영상(gray-scale image)를 획득하는 영상 처리부와; 및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된 n개의 서브 영상 각각의 화소 값을 이용하여 n개의 랜덤 넘버를 생성하는 랜덤 넘버 연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미지에 기반한 랜덤 넘버 생성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RANDOM NUBER USING A PREFER IMAGE}
본 발명은 랜덤 넘버 생성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미지에 기반하여 랜덤 넘버를 생성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난수 생성기(RNG)는 다양한 전자 기기에 사용될 수 있는데, 이를테면 복권기계, 도박 기계, 과학적 모델링 시뮬레이션, 재정 모델링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나 알고리즘 테스트, 방정식의 풀이, 및 컴퓨터 보안과 같은 것들에 사용될 수 있다. 암호화 난수 생성기는 컴퓨터 보안 응용예들에 보다 적합할 수 있는데, 이를테면 암호, 디지털 서명(부인봉쇄(non-repudiation)를 포함), 개인 통신 프로토콜, 및 메시지 무결성과 같은 것들이다.
난수(Random Number)는 어느 유한 개의 수로 조립된 수의 계열로, 거기에는 주기성이 없고 각각의 수치 값은 그 이전에 출현한 수의 배열에 관계 없이 독립적으로 정해진다. 이것에는 이론적인 분포에 따르는 난수(일양 안수, 지수 난수, 프와송 난수, 정규 난수 등)나 경험적으로 산출될 수 있는 난수가 있다.
다시 말해, 난수는 무작위성(randomness)을 가진 비트 열(bit sequence) 또는 그 비트 열에 해당하는 수를 의미한다.
난수 생성기는 쉽게 말해 무작위로 암호를 생성해 내 특수한 키 없이 이를 알아낼 수 없게 만드는 장치다. 지금까지는 높은 제품 단가를 비롯해 CPU 성능, 메모리 같은 디바이스의 물리적 제약성으로 인해 많은 영역에서 의사난수(Pseudo Random Number) 생성기를 활용했지만 그 한계로 인해 순수 난수생성(TRNG: true random number generation)의 시대가 열릴 조짐이다.
한편, 진정한 의미의 난수 생성기는 다음 세 가지 조건을 갖춰야 한다.
첫째, 비트가 생성되기 이전에 어떤 비트 값을 가질지 예측이 불가능해야 (unpredictable)한다.
둘째, 이전에 생성된 비트 값과 이후에 생성될 비트 값 간의 상관관계가 전혀 없어야(uncorrelated) 한다.
셋째, 생성된 비트 열이 어느 한 비트로 편향되지 않아야(unbiased) 한다.
예컨대, 의사난수 생성기는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난수를 생성하는데, 입력되는 시드(Seed)에 따라 일정한 난수가 만들어진다는 점에서 전술한 세 가지 조건을 충족하기 힘들다.
또한, 순수 난수 생성기의 경우, 난수 생성의 상관관계가 전혀 없다는 면에서 전술한 세 가지 조건을 충족하지만 난수를 생성하기 위해 엄청난 연산량이 요구되기 때문에 CPU 성능 등의 자원 활용에 한계가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입력된 영상 이미지를 분할한 서브 영상 각각에 랜덤하게 선택된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처리된 결과를 이용하여 랜덤 넘버를 생성함으로써, 기존의 의사난수 생성기에 비해 난수 생성의 임의성이 향상된 랜덤 넘버 생성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이미지에 기반한 랜덤 넘버 생성장치는, 입력 컬러 영상을 생성하고자 하는 랜덤 넘버의 개수(n)만큼 분할하여 n개의 서브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분할부와; 상기 n개의 서브 영상 각각에 적용될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랜덤하게 선택하는 영상처리 알고리즘 선택부와; 상기 n개의 서브 영상 각각에 선택된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그레이 스케일 영상(gray-scale image)를 획득하는 영상 처리부와; 및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된 n개의 서브 영상 각각의 화소 값을 이용하여 n개의 랜덤 넘버를 생성하는 랜덤 넘버 연산부를 포함한다.
상기 랜덤 넘버 연산부는,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된 n개의 서브 영상 각각을 적분 영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된 n개의 서브 영상 각각에 대한 화소 값 합(sum)을 연산한다.
또한, 상기 랜덤 넘버 연산부는 상기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된 n개의 서브 영상 각각의 화소 값 합에 mod 연산을 수행하여 n개의 랜덤 넘버를 생성한다.
상기 랜덤 넘버 연산부는, 상기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된 n개의 서브 영상 각각에 랜덤하게 순서를 배정하고, 배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n개의 랜덤 넘버가 배치될 숫자 자리(digit place)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이미지에 기반한 랜덤 넘버 생성장치는 상기 n개의 서브 영상 각각에 랜덤하게 순서를 배정하는 순서 배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랜덤 넘버 연산부는, 배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n개의 랜덤 넘버가 배치될 숫자 자리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이미지에 기반한 랜덤 넘버 생성방법은, (a) 입력 컬러 영상을 생성하고자 하는 랜덤 넘버의 개수(n)만큼 분할하여 n개의 서브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와; (b) 상기 n개의 서브 영상 각각에 적용될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랜덤하게 선택하는 단계와; (c) 상기 n개의 서브 영상 각각에 선택된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그레이 스케일 영상(gray-scale image)를 획득하는 단계와; 및 (d)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된 n개의 서브 영상 각각의 화소 값을 이용하여 n개의 랜덤 넘버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d) 단계는,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된 n개의 서브 영상 각각을 적분 영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된 n개의 서브 영상 각각에 대한 화소 값 합(sum)을 연산하는 단계와; 상기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된 n개의 서브 영상 각각의 화소 값 합에 mod 연산을 수행하여 n개의 랜덤 넘버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d) 단계는, 상기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된 n개의 서브 영상 각각에 랜덤하게 순서를 배정하고, 배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n개의 랜덤 넘버가 배치될 숫자 자리(digit place)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이미지에 기반한 랜덤 넘버 생성방법은, 상기 n개의 서브 영상 각각에 랜덤하게 순서를 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d) 단계는, 배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n개의 랜덤 넘버가 배치될 숫자 자리(digit place)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된 영상 이미지를 분할한 서브 영상 각각에 랜덤하게 선택된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처리된 결과를 이용하여 랜덤 넘버를 생성함으로써, 기존의 의사난수 생성기에 비해 난수 생성의 임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에 기반한 랜덤 넘버 생성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이미지에 기반한 랜덤 넘버 생성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6자리의 랜덤 넘버가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에 기반한 랜덤 넘버 생성방법이 실행되는 컴퓨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급적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에 기반한 랜덤 넘버 생성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에 기반한 랜덤 넘버 생성장치는 영상 분할부(10), 알고리즘 선택부(20), 영상 처리부(30) 및 랜덤 넘버 연산부(40)를 포함한다. 또한, 랜덤 넘버 생성장치는 상기 영상 분할부(10)에서 분할된 n개의 서브 영상 각각에 랜덤하게 순서를 배정하는 순서 배정부(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영상 분할부(10)는 입력된 컬러 영상 이미지를 복수의 서브 영상으로 분리한다. 예컨대, n개(혹은 n 자릿수)의 랜덤 넘버가 필요하다고 가정하면, 영상 분할부(10)는 입력된 컬러 영상 이미지를 n개의 서브 영상으로 분리한다. 이 때, 컬러 영상 이미지는 동일한 면적을 갖는 n개의 서브 영상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 랜덤하게 선정된 면적을 갖는 n개의 서브 영상으로 분리될 수도 있다.
즉, 영상 분할부(10)는 입력된 컬러 영상 이미지를 n개의 서브 영상으로 등분할 수 있으나, n개의 서브 영상이 동일한 면적을 가지면서 분할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면적을 갖도록 분할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순서 배정부(50)는 분할된 n개의 서브 영상 각각에 랜덤하게 순서를 배정한다. 예컨대, 입력된 컬러 영상의 좌상측으로부터 우하측 방향으로 순서가 배정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입력된 컬러 영상의 우하측으로부터 좌상측 방향으로 순서가 배정될 수 있으며 분할된 서브 영상에 대한 순서의 배정은 랜덤하게 수행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한편, 서브 영상에 배정된 순서는 각 서브 영상으로부터 생성된 랜덤 넘버가 배치될 숫자 자리(digit place)를 결정하는데 이용된다. 예컨대, 6자리의 랜덤 넘버를 생성하는데 있어 최좌상측에 위치한 서브 영상에 '1'이란 순서가 배정되고, 최우하측에 위치한 서브 영상에 '6'이란 순서가 순서대로 배정된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최좌상측에 위치한 서브 영상(순서 1)에서 생성된 랜덤 넘버가 'a' 최우하측에 위치한 서브 영상(순서 6)에서 생성된 랜덤 넘버를 'b'라고 한다면, 최종적으로 생성되는 랜덤 넘버는 'axxxxb'와 같은 값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최종적으로 생성되는 랜덤 넘버가 순서(1)-순서(2)-순서(3)-순서(4)-순서(5)-순서(6) 순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배치 순서 역시 랜덤하게 결정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영상처리 알고리즘 선택부(20)는 분할된 각 서브 영상에 적용될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랜덤하게 선택한다. 각 서브 영상에 적용될 영상처리 알고리즘은 컬러 영상을 그레이 스케일(gray-scale) 변환시키기 위한 알고리즘을 의미한다. 예컨대, 이러한 알고리즘으로 널 변환(Null Transformation), 역 변환(Inverse Transformation), 대수 변환(Logarithm Transformation), 감마 상관관계 변환(Gamma Correlation Transformation), 비트 플레인 슬라이싱 변환(Bit Plane Slicing Transformation) 등이 있을 수 있다.
영상 처리부(30)는 상기 n개의 서브 영상 각각에 선택된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n개의 서브 영상에 대한 그레이 스케일 영상(gray-scale image)를 획득한다.
랜덤 넘버 연산부(40)는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된 n개의 서브 영상 각각의 화소 값을 이용하여 n개의 랜덤 넘버를 생성한다.
상기 랜덤 넘버 연산부는(40)는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된 n개의 서브 영상 각각을 적분 영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된 n개의 서브 영상 각각에 대한 화소 값 합(sum)을 연산하고, 상기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된 n개의 서브 영상 각각의 화소 값 합에 mod 연산을 수행하여 n개의 랜덤 넘버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랜덤 넘버 연산부(40)는 생성된 n개의 랜덤 넘버의 숫자 자리(digit place)를 결정하여 이에 따라 n개의 랜덤 넘버를 배치한다. 이 때, 상기 랜덤 넘버 연산부(40)는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된 n개의 서브 영상 각각에 랜덤하게 순서를 배정하고 배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n개의 랜덤 넘버가 배치될 숫자 자리(digit place)를 결정할 수 있다.
생성된 랜덤 넘버가 배치될 숫자 자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순서 배정부(50)가 n개의 서브 영상 각각에 먼저 배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지만, 이와 달리 랜덤 넘버 연산부(40)에서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된 n개의 서브 영상 각각에 배정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순서 배정부(50)의 구성은 필요하지 않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에 기반하여 랜덤 넘버가 생성되는 과정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이미지에 기반한 랜덤 넘버 생성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6자리의 랜덤 넘버가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영상 분할부(10)는 입력된 컬러 영상 이미지를 복수의 서브 영상으로 분리한다(S10).
예컨대, 6개(자리)의 랜덤 넘버가 필요하다고 가정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영상은 6개의 서브 영상으로 분할된다. 이 때, 컬러 영상 이미지는 동일한 면적을 갖는 6개의 서브 영상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 랜덤하게 선정된 면적을 갖는6개의 서브 영상으로 분리될 수도 있다. 도 3에는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6등분된 서브 영상이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이하에서는 등분 분할된 서브 영상을 기초로 랜덤 넘버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그리고, 순서 배정부(50)는 분할된 6개의 서브 영상 각각에 랜덤하게 순서를 배정한다(S20). 예컨대, 입력된 컬러 영상의 좌상측으로부터 우하측 방향으로 순서가 배정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입력된 컬러 영상의 우하측으로부터 좌상측 방향으로 순서가 배정될 수 있으며 분할된 서브 영상에 대한 순서의 배정은 랜덤하게 수행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3에는 입력된 컬러 영상의 좌상측으로부터 우하측 방향으로 순서가 배정된 결과가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즉, 입력 영상의 최좌상측에 위치한 서브 영상에 '1'이란 순서가 배정되고, 최우하측에 위치한 서브 영상에 '6'이란 순서가 순서대로 배정된다.
이어, 영상처리 알고리즘 선택부(20)는 분할된 각 서브 영상에 적용될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랜덤하게 선택한다(S30).
각 서브 영상에 적용될 영상처리 알고리즘은 컬러 영상을 그레이 스케일(gray-scale) 변환시키기 위한 알고리즘을 의미한다. 예컨대, 이러한 알고리즘으로 널 변환(Null Transformation), 역 변환(Inverse Transformation), 대수 변환(Logarithm Transformation), 감마 상관관계 변환(Gamma Correlation Transformation), 비트 플레인 슬라이싱 변환(Bit Plane Slicing Transformation) 등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제1 서브 영상(a)에 적용될 영상처리 알고리즘으로 널 변환 알고리즘이 선택되고, 제2 서브 영상(b)에 적용될 영상처리 알고리즘으로는 역 변환 알고리즘, 제6 서브 영상(f)에 적용될 영상처리 알고리즘으로는 감마 상관관계 변환 알고리즘이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서브 영상에 적용될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랜덤하게 선택함으로써, 각 서브 영상에서 생성되는 랜덤 넘버의 임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영상 처리부(30)는 상기 6개의 서브 영상 각각에 선택된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6개의 서브 영상에 대한 그레이 스케일 영상(gray-scale image)를 획득한다(S40).
다음으로, 랜덤 넘버 연산부(40)는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된 6개의 서브 영상 각각의 화소 값을 이용하여 6개의 랜덤 넘버를 생성한다(S50).
6개의 서브 영상을 이용하여 6개의 랜덤 넘버를 생성하는 과정은 각각의 서브 영상의 화소 값의 합(sum)을 연산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레이 스케일 변환된 서브 영상의 각 픽셀은 0에서 255 사이의 화소 값을 갖는데, 각 서브 영상에 대한 적분 영상을 구함으로써 용이하게 화소 값의 합을 연산할 수 있다.
여기서, 적분 영상(integral image)은 각 픽셀에 이전 픽셀까지의 화소 값의 합이 더해진 영상을 의미한다. 예컨대, 화소 값은 최좌상측에 위치한 픽셀의 화소 값을 시작으로 합 연산되고, 이에 따라 최우하측에 위치한 픽셀에 모든 픽셀의 화소 값의 합이 할당된다.
그리고, 랜덤 넘버 연산부(40)는 6개의 서브 영상 각각에서 연산된 화소 값의 합에 mod 연산을 수행하여 6개의 랜덤 넘버를 생성한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서브 영상(a)에서 연산된 화소 값의 합이 87, 제2 서브 영상(b)의 화소 값의 합이 1593, 제3 서브 영상(c)의 화소 값의 합이 8, 제4 서브 영상(d)의 화소 값의 합이 781, 제5 서브 영상(e)의 화소 값의 합이 833, 제6 서브 영상(f)의 화소 값이 합이 5라고 가정하자.
mod 연산은 기 설정된 값(예컨대, 11)을 이용한 나머지 연산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a mod b라고 하면, a를 b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각 서브 영상에서 mod 연산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면, 제1 서브 영상(a)에서는 화소 값의 합 87을 11로 나눈 나머지인 10이 연산 결과 출력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제2 서브 영상(b)에서는 9, 제3 서브 영상(c)에서는 9, 제4 서브 영상(d)에서는 0, 제5 서브 영상(e)에서는 8, 제6 서브 영상(f)에서는 5가 mod 연산 결과 출력된다.
이후, 랜덤 넘버 연산부(40)는 각 서브 영상에서 출력된 랜덤 넘버를 단계 S20에서 배정된 순서대로 배치한다. 그 결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9/8/0/8/5와 같은 결과가 출력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단계 S20에서 분할된 각 서브 영상에서 숫자 자리를 결정할 순서를 배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로서, S50 단계에서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된 각 서브 영상에서 숫자 자리를 결정한 후, 결정된 숫자 자리의 순서대로 생성된 랜덤 넘버를 배치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단계 S20은 필요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에 기반한 랜덤 넘버 생성방법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구현되거나, 또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21)와, 메모리(123)와, 사용자 입력 장치(126)와, 데이터 통신 버스(122)와, 사용자 출력 장치(127)와, 저장소(128)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각각의 구성 요소는 데이터 통신 버스(122)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한다.
컴퓨터 시스템은 네트워크에 커플링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1)는 중앙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이거나, 혹은 메모리(123) 및/또는 저장소(128)에 저장된 명령어를 처리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123) 및 상기 저장소(128)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혹은 비휘발성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메모리(123)는 ROM(124) 및 RAM(125)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에 기반한 랜덤 넘버 생성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에 기반한 랜덤 넘버 생성방법이 컴퓨터 장치에서 수행될 때,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명령어들이 본 발명에 따른 인식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에 기반한 랜덤 넘버 생성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과는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입력 컬러 영상을 생성하고자 하는 랜덤 넘버의 개수(n)만큼 분할하여 n개의 서브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분할부와;
    상기 n개의 서브 영상 각각에 적용될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랜덤하게 선택하는 영상처리 알고리즘 선택부와;
    상기 n개의 서브 영상 각각에 선택된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그레이 스케일 영상(gray-scale image)를 획득하는 영상 처리부와; 및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된 n개의 서브 영상 각각의 화소 값을 이용하여 n개의 랜덤 넘버를 생성하는 랜덤 넘버 연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랜덤 넘버 연산부는,
    상기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된 n개의 서브 영상 각각에 랜덤하게 순서를 배정하고, 배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n개의 랜덤 넘버가 배치될 숫자 자리(digit place)를 결정하는 것
    인 이미지에 기반한 랜덤 넘버 생성장치.
  2. 입력 컬러 영상을 생성하고자 하는 랜덤 넘버의 개수(n)만큼 분할하여 n개의 서브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분할부와;
    상기 n개의 서브 영상 각각에 적용될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랜덤하게 선택하는 영상처리 알고리즘 선택부와;
    상기 n개의 서브 영상 각각에 선택된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그레이 스케일 영상(gray-scale image)를 획득하는 영상 처리부와; 및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된 n개의 서브 영상 각각의 화소 값을 이용하여 n개의 랜덤 넘버를 생성하는 랜덤 넘버 연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n개의 서브 영상 각각에 랜덤하게 순서를 배정하는 순서 배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랜덤 넘버 연산부는, 배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n개의 랜덤 넘버가 배치될 숫자 자리를 결정하는 것
    인 이미지에 기반한 랜덤 넘버 생성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 넘버 연산부는,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된 n개의 서브 영상 각각을 적분 영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된 n개의 서브 영상 각각에 대한 화소 값 합(sum)을 연산하는 것
    인 이미지에 기반한 랜덤 넘버 생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 넘버 연산부는,
    상기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된 n개의 서브 영상 각각의 화소 값 합에 mod 연산을 수행하여 n개의 랜덤 넘버를 생성하는 것
    인 이미지에 기반한 랜덤 넘버 생성장치.
  5. 삭제
  6. (a) 입력 컬러 영상을 생성하고자 하는 랜덤 넘버의 개수(n)만큼 분할하여 n개의 서브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와;
    (b) 상기 n개의 서브 영상 각각에 적용될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랜덤하게 선택하는 단계와;
    (c) 상기 n개의 서브 영상 각각에 선택된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그레이 스케일 영상(gray-scale image)를 획득하는 단계와; 및
    (d)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된 n개의 서브 영상 각각의 화소 값을 이용하여 n개의 랜덤 넘버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된 n개의 서브 영상 각각에 랜덤하게 순서를 배정하고, 배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n개의 랜덤 넘버가 배치될 숫자 자리(digit place)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이미지에 기반한 랜덤 넘버 생성방법.
  7. (a) 입력 컬러 영상을 생성하고자 하는 랜덤 넘버의 개수(n)만큼 분할하여 n개의 서브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와;
    (b) 상기 n개의 서브 영상 각각에 적용될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랜덤하게 선택하는 단계와;
    (c) 상기 n개의 서브 영상 각각에 선택된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그레이 스케일 영상(gray-scale image)를 획득하는 단계와; 및
    (d)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된 n개의 서브 영상 각각의 화소 값을 이용하여 n개의 랜덤 넘버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n개의 서브 영상 각각에 랜덤하게 순서를 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d) 단계는,
    배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n개의 랜덤 넘버가 배치될 숫자 자리(digit place)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이미지에 기반한 랜덤 넘버 생성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d) 단계는,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된 n개의 서브 영상 각각을 적분 영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된 n개의 서브 영상 각각에 대한 화소 값 합(sum)을 연산하는 단계와;
    상기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된 n개의 서브 영상 각각의 화소 값 합에 mod 연산을 수행하여 n개의 랜덤 넘버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이미지에 기반한 랜덤 넘버 생성방법.
  9. 삭제
KR1020140170535A 2014-12-02 2014-12-02 이미지에 기반한 랜덤 넘버 생성장치 및 그 방법 KR101637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535A KR101637187B1 (ko) 2014-12-02 2014-12-02 이미지에 기반한 랜덤 넘버 생성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535A KR101637187B1 (ko) 2014-12-02 2014-12-02 이미지에 기반한 랜덤 넘버 생성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318A KR20160066318A (ko) 2016-06-10
KR101637187B1 true KR101637187B1 (ko) 2016-07-07

Family

ID=56190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0535A KR101637187B1 (ko) 2014-12-02 2014-12-02 이미지에 기반한 랜덤 넘버 생성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71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66639B2 (en) 2018-05-11 2022-06-2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quantum random numb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32084A (zh) * 2022-09-20 2023-05-16 马上消费金融股份有限公司 视频流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4270A (ja) * 2003-12-05 2005-06-30 Kiki Mimori 画像データを利用した非アルゴリズム的乱数の作成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1720B2 (ja) * 1992-02-17 1999-07-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符号化による映像信号符号化装置
KR20110079311A (ko) * 2009-12-31 2011-07-07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영상 처리 장치 및 영상 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4270A (ja) * 2003-12-05 2005-06-30 Kiki Mimori 画像データを利用した非アルゴリズム的乱数の作成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66639B2 (en) 2018-05-11 2022-06-2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quantum random nu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318A (ko) 2016-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148437B (zh) 用于联邦学习的计算任务加速处理方法、装置及设备
US201201735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true random numbers using computing device
CN110493201B (zh) 一种数据的处理方法、装置和系统
CN108961141A (zh) 矢量地图的双重零水印方法、系统、存储介质及服务器
JP6044738B2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10693625B2 (en) Security processor, application processor including the same, and operating method of security processor
CN109241490B (zh) 一种面向区块链的x11动态哈希方法及装置
KR100629495B1 (ko) 그룹 키 생성방법
KR101637187B1 (ko) 이미지에 기반한 랜덤 넘버 생성장치 및 그 방법
AU201828248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random numbers using physical variations present in material samples
Rajagopalan et al. Hide and seek in silicon–Performance analysis of Quad block Equisum Hardware Steganographic systems
CN110232284B (zh) 一种图像加密方法及装置
CN111241568A (zh) 加密方法、解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0677552A (zh) 一种基于完备分组基的无载体信息隐藏方法
US985800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host keys for storage devices
CN112272082B (zh) 图像加密/解密的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EP3232319B1 (en) Random number generation apparatus, random number generation method and program
CN114465728B (zh) 攻击椭圆曲线签名算法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190127704A (ko) 암호화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소수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CN112182593A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6260572B (zh) 数据杂凑处理方法、数据验证方法及电子设备
US202401604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random sequences, and device and medium thereof
US20220400005A1 (en) Generating prime numbers
Chen Uniform Random Number Generation With Jumping Facilities
CN117156178A (zh) 一种图像加密方法、装置、设备及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