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6545B1 - 경화시간 조절형 내염성 보수재 및 그라우팅재와 이를 활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및 후면 동공부 그라우팅 복원화 공법 - Google Patents

경화시간 조절형 내염성 보수재 및 그라우팅재와 이를 활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및 후면 동공부 그라우팅 복원화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6545B1
KR101636545B1 KR1020150139381A KR20150139381A KR101636545B1 KR 101636545 B1 KR101636545 B1 KR 101636545B1 KR 1020150139381 A KR1020150139381 A KR 1020150139381A KR 20150139381 A KR20150139381 A KR 20150139381A KR 101636545 B1 KR101636545 B1 KR 101636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ncrete
grouting
curing time
citr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9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수
정연용
Original Assignee
오에스이엔씨 주식회사
김홍수
정연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에스이엔씨 주식회사, 김홍수, 정연용 filed Critical 오에스이엔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9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65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36Inorganic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4B14/022 and C04B14/04 - C04B14/34
    • C04B14/365Gypsum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16/0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 C04B16/061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16/0625Polyalkenes, e.g. polyethylene
    • C04B16/0633Polypropyl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4Portland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50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application
    • C04B41/453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application applied as a solution, emulsion, dispersion or suspension
    • C04B41/4543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application applied as a solution, emulsion, dispersion or suspension by spraying, e.g. by atomi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0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 광물질을 이용한 경화시간 조절형 내염성 보수재 및 경화시간 조절형 내염성 그라우팅재의 제조방법과, 이를 활용하여 시공면의 비표면 형상의 최적화를 위한 치핑방법을 활용한 터널, 암거, 교량 등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및 후면 동공부 그라우팅 복원화 공법에 관한 것이다.본 발명은, 미세 광물질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보수재의 경화시간(완결)을 최단 1 시간부터 최장 72 시간까지 다양하게 조절하여, 사계절이 뚜렷한 국내의 기후, 용도, 장소, 공사기간 등 다양한 여건하에서도 콘크리트 보수공사를 효율적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시공면의 비표면 형상의 최적화를 위한 치핑방법을 이용한 터널, 암거, 교량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및 후면 동공부 그라우팅 복원화 공법 공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경화시간 조절형 내염성 보수재 및 그라우팅재와 이를 활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및 후면 동공부 그라우팅 복원화 공법{Hardening Time Controlling Chemical Resistance Repair Materials and Grouting materials and Concrete Structure Reparing Method and Cavity Restoring Method by Grouting}
본 발명은 미세 광물질을 이용한 경화시간 조절형 내염성 보수재(Hardening Time Controlling Chemical Resistance Repair Materials) 및 경화시간 조절형 내염성 그라우팅재(Hardening Time Controlling Chemical Resistance Grouting Materials)의 제조방법과, 이들 보수재 및 그라우팅재를 이용하여 시공면의 비표면 형상의 최적화를 위한 치핑방법을 활용한 터널, 암거, 교량 등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수하는 공법 및 후면 동공부를 그라우팅에 의해 복원화하는 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미세 광물질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보수재의 경화시간(완결)을 최단 1 시간부터 최장 72 시간까지 다양하게 조절하여, 사계절이 뚜렷한 국내의 기후, 용도, 장소, 공사기간 등 다양한 여건하에서도 콘크리트 보수공사를 효율적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시공면의 비표면 형상의 최적화를 위한 치핑방법을 이용한 터널, 암거, 교량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및 후면 동공부 그라우팅 복원화 공법 공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경화시간이 한정되면서 열화현상으로 인해 박리, 박락, 부식, 팽창되는 철근 콘크리트 단면 보수재를 사용하여 농한기(늦가을 ~ 초봄)에만 실시하는 농업용 수리 시설물 단면 보수공사의 경우, 경화속도가 늦어서 동결융해 등 이상경화가 발생될 우려를 안고 있다.
또한, 이처럼 경화시간이 한정된 보수재는 항상 습윤 상태에 있는 하수암거 구조물의 보수공사의 경우 프라이머(신구 접착재)의 경화지연으로 보수재와 콘크리트 모체와의 부착력이 저하될 수 있는 우려를 안고 있다.
또한, 뜨거운 여름철 보수공사의 경우 일정한 경화시간을 갖는 보수재는 높은 온도에 의하여 균열 저항성에 취약한 단점을 안고 있다.
또한, 열화된 콘크리트의 제거면이 일정치 않으므로 돌출된 골재 등 비규격화된 콘크리트 비표면은 보수재의 시공시 또 다른 하자원인이 될 수 있는 우려를 안고 있다.
경화시간 조절가능한 콘크리트의 염해 및 중성화 보수재로는 한국특허공개 제10-2015-0071919호가 있다.
이 공개기술은, 콘크리트의 중성화 또는 염해를 방지하거나 진행을 차단시켜 구조물의 안정성과 사용성을 개선하면서도 콘크리트의 압축강도/휨강도, 부착강도 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콘크리트 보수재를 인산암모니움과 산화마그네슘으로 구성되는 마그네시아 인산염 시멘트와, 상기 마그네시아 인산염 시멘트의 응결 및 경화시간을 지연시키는 지연제를 포함한다. 또한, 콘크리트 보수용 모르타르는 인산암모니움과 산화마그네슘으로 구성되는 마그네시아 인산염 시멘트와, 상기 마그네시아 인산염 시멘트의 응결 및 경화시간을 지연시키는 지연제를 포함하는 모르타르로서,상기 인산암모니움/산화마그네슘의 비율이 70% 이상으로 구성된다.
한국특허공개 제10-2015-0071919호
본 발명은 종래 단면 보수재에 관련된 문제점을 개선하도록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제1목적은 미세 광물질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보수재의 경화시간(완결)을 최단 1 시간부터 최장 72시간까지 다양하게 조절하여 사계절이 뚜렷한 국내의 기후, 용도, 장소, 공사기간 등 다양한 여건하에서도 콘크리트 보수공사를 효율적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경화시간 조절형 내염성 보수재 및 그라우팅재와, 이를 활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및 후면 동공부 그라우팅 복원화 공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내염해성 보수재에 의해 보수시공 후 콘크리트를 염해로부터 보호 가능하도록 하여, 하수암거 구조물, 해양구조물, 교량구조물, 하수처리장, 정수장 등의 화학적인 열화(침식)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에 적합한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열화된 콘크리트의 표면의 제거(치핑:chipping)시, 보수재와 콘크리트 모체와의 접착력 증대를 위하여 콘크리트의 비표면적을 확대하도록 치핑면을 "V" 형상의 홈 형태로 일정하게 만들어 비표면적이 2배 ~ 3배 정도 증가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견고한 접착면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4목적은 강력한 수중 불분리 특성을 갖는 내염해성 그라우팅 주입재를 이용하여 암거 및 터널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후면 동공부를 효율적으로 복원화시키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경화시간 조절형 내염성 보수재는, 입경 1.5mm 이하의 천연 규사 30 ~ 45중량%, 1종 포틀랜드 시멘트 30 ~ 45중량%, C12A7 미세 광물질(분말도: 10,000 braine(cm2/g) 이상) 1 ~ 10중량%, C3A 미세 광물질(분말도: 10,000 braine(cm2/g) 5 ~ 15중량%, 알파형 반수석고 1 ~ 10중량%, 친수성 폴리프로필렌 단섬유(길이:10mm) 0.5 ~ 5중량%, 감수제 0.1 ~ 2중량%, 리튬실리케이트 0.1 ~ 2중량%, 구연산 0.1 ~ 2중량%, 수산화리튬 0.1 ~ 2중량%, 기포제거제 0.1 ~ 2중량%, 순도 99.9% 이상의 아크릴수지분말 중량비 0.5 ~ 5중량%, 알루미늄 금속분말 0.001 ~ 0.01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경화시간 조절형 내염성 보수재를 활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은, 열화부 콘크리트를 제거하는 공정; 표면을 고압 살수 세척하는 공정; 경화시간 조절형 내염성 몰탈 보수재로 단면을 복구하는 공정; 및 내염해성 표면강화제를 도포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화부 콘크리트 제거공정은, V자 형상 홈의 형상화를 통한 치핑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경화시간 조절형 내염성 보수재를 활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은, 열화부 콘크리트를 제거하는 공정; 철근부식부를 제거 및 방청 처리하는 공정; 표면을 고압 살수 세척하는 공정; 경화시간 조절형 내염성 몰탈 보수재로 단면을 복구하는 공정; 및 내염해성 표면강화제를 도포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화부 콘크리트 제거공정은, V자 형상 홈의 형상화를 통한 치핑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후면 동공부 주입용 그라우트재는, 입경 0.5mm 이하의 천연 규사 30 ~ 45중량%, 1종 포틀랜드 시멘트 중량비 30 ~ 45중량%, C12A7 미세 광물질(분말도 : 10,000 braine(cm2/g) 이상) 1 ~ 15중량%, C3A 미세 광물질(분말도 : 10,000 braine(cm2/g) 5 ~ 15중량%, 알파형 반수석고 1 ~ 10중량%, 친수성 폴리프로필렌 단섬유(길이:10mm) 0.5 ~ 5중량%, 감수제 0.1 ~ 5중량%, 폴리카르본산 고성능유동화제 0.1 ~ 1중량%, 수중 불분리제(웰검) 0.01 ~ 2중량%, 리튬실리케이트 0.1 ~ 2중량%, 수산화리튬 0.1 ~ 2중량%, 구연산 0.05 ~ 0.8중량%, 순도 99% 이상의 아크릴수지 분말 0.5 ~ 5중량%, 알루미늄 금속분말 0.001 ~ 0.01중량%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후면 동공부 그라우팅 복원화 공법은, 비파괴로 콘크리트 후면 동공부를 검사하는 공정; 주입구 간격을 결정하는 공정; 동공부 중심 주입구를 천공하는 것; 경화시간 조절형 후면 동공부 주입용 그라우트재를 동공부에 주입 시공하는 공정; 및 급결수지재를 이용하여 주입구를 폐쇄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미세 광물질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보수재의 경화시간(완결)을 최단 1시간부터 최장 72시간까지 다양하게 조절 가능함으로써, 사계절이 뚜렷한 국내의 기후, 용도, 장소, 공사기간 등 다양한 여건하에 콘크리트 보수공사를 보다 효율적으로 시공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내염해성 특성을 갖는 콘크리트 보수재 및 동공부 주입용 그라우트재는 시공 및 복원 후 터널 및 암거 콘크리트 구조물을 염해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하수암거 구조물, 해양구조물, 교량구조물, 하수처리장, 정수장 등의 화학적인 열화(침식)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시 장기적인 내구성을 증대시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 년한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셋째, 콘크리트의 단면보수에서 열화된 콘크리트의 표면의 제거(치핑:chipping)시, 보수재가 부착되는 콘크리트 모체와의 접착력 증대를 위하여 콘크리트의 비표면적을 최대한 확대하고자 치핑면을 "V" 형상의 홈 형태로 일정하게 만들면 비표면적이 2배 ~ 3배 정도 증가되어 보다 넓은 비표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 모체와 보수재와의 견고한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는 치핑방법의 규격화를 통하여 효율적인 시공품질을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의 기술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넷째, 강력한 수중 불분리 특성을 갖는 내염해성 후면 동공부 그라우팅 주입재를 이용하여 암거 및 터널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후면 동공부를 효율적으로 복원함으로써 최근 수도권 도심부 도로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싱크홀의 발생원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복원화 기술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후면 동공부 주입용 그라우트재는 강력한 수중 불분리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복원화 공사시 후면부내에 상존하는 지하수의 흐름에 의해서 주입된 그라우트재의 손실이 없어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동공부 복원화 공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경화시간 조절형 내염해성 콘크리트 단면보수재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단면복구방법의 공정 순서도로써,
도 1은 철근 비노출시 콘크리트 단면복구 및 단면보강공정 순서도,
도 2는 철근부식노출 콘크리트 단면복구 및 단면보강공정 순서도,
도 3은 경화시간 조절형 내염해성 후면 동공부 그라우트재를 이용하여 후면 동공부 복원화공법 순서도로써, 터널 및 암거형 콘크리트 구조물을 후면 동공부 복원화 공정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최근 도심지 도로주변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싱크홀의 발생원인은 수로 암거주변의 누수로 인해 동공이 발생되고, 동공이 확대되어 포트홀이 생기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경화시간 조절형 내염해성 후면 동공부 그라우팅공법을 통하여 암거 및 터널 콘크리트 구조물의 후면에 발생된 동공부를 복원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종래의 기술은 콘크리트 보수재의 경화시간이 개별적으로 한정되어 있어 기후, 용도, 장소, 공사기간 등의 다양화 보수공사 현장의 여건을 충족하는데 일정한 한계를 가지고 있었으나, 본 발명은 경화시간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어서 광범위한 영역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내염해성 보수재는 보수시공 후 콘크리트를 염해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하수암거 구조물, 해양구조물, 교량구조물, 하수처리장, 정수장등의 화학적인 열화(침식)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에 적합한 기술이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보수재의 경화시간이 일정하여 콘크리트 표면이 습한 상태에서는 프라이머(신구 접착재)를 처리해야 하는 추가공정을 포함하고 있어 콘크리트 표면이 습윤한 상태에서는 시공이 불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은 보수재의 경화시간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 표면이 습한 상태에서도 프라이머(신구 접착재)를 처리하는 공정이 필요없이 보수재를 시공할 수 있다.
또한, 암거 및 터널 콘크리트 구조물의 후면에 발생된 동공부를 복원시키기 위한 종래의 기술은 그라우팅 주입재의 경화시간이 길고, 수중 불분리 특성이 미약하여 암거 및 터널 콘크리트 구조물의 후면에 발생된 동공부를 채움에 있어 동공부에 흐르는 지하수 및 유출수에 의하여 그라우팅재가 손실 또는 유실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여 재시공하거나 완공이 불가능한 사례들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경화시간 조절형 및 내염해성 그라우팅 주입재를 사용하여 경화시간을 단축시키며 강력한 수중 불분리성을 부여하여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또한, 종래 보수 시공하고자 하는 열화된 콘크리트의 표면 제거(치핑:chipping) 기술은 치핑장치(도구)와 치핑깊이에 관한 것일 뿐, 보수재와 이 보수재가 부착되는 콘크리트 표면의 형상에 대하여는 특별히 정하고 있지 않은바, 본 발명에서는 열화된 콘크리트의 표면 제거(치핑)시, 보수재와 콘크리트 모체와의 접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콘크리트의 비표면적을 확대하도록 치핑면을 "V" 형상의 홈 형태로 일정하게 만든다. 따라서 비표면적이 2배 ~ 3배 정도 증가되어 보다 견고한 접착면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경화시간을 최단 1시간에서 최장 72시간까지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콘크리트 보수공법에 비하여 기후, 용도, 장소, 공사기간 등의 다양한 보수공사 현장의 여건을 충족할 수 있어 광범위한 영역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이며, 경제적으로도 공사단축 등으로 막대한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 단면보수공사의 합리적 해결방안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화시간 조절형 내염해성 콘크리트 단면 보수재는, 입경 1.5mm 이하의 천연 모래 30 ~ 45 중량%, 1종 포틀랜드 시멘트 30 ~ 45중량%, C12A7 미세 광물질(분말도 : 10,000 braine(cm2/g) 이상) 1 ~ 10중량%, C3A 미세 광물질(분말도 : 10,000 braine(cm2/g) 5 ~ 15중량%, 알파형 반수석고 1 ~ 10 중량%, 친수성 폴리프로필렌 단섬유(길이:10mm) 0.5 ~ 5중량%, 감수제 0.1 ~ 2중량%, 리튬실리케이트 0.1 ~ 2중량%, 수산화리튬 0.1 ~ 2중량%, 구연산 분말 0.1 ~ 2%, 기포제거제 0.1 ~ 2중량%, 순도 99.9% 이상의 아크릴수지분말 0.5 ~ 5중량%, 알루미늄 금속분말 0.001 ~ 0.01중량%로 구성된다.
상기 C12A7 미세 광물질(분말도 : 10,000 braine(cm2/g)은 광물질 급결제로서 보수재 및 그라우트재의 경화시간을 용도에 맞게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재료이다. 경화시간을 짧게 하기 위하여 과도한 양을 첨가하면 작업시간이 급격하게 짧아져서 시공성이 저하되므로 상기의 재료중 지연제로서의 역할을 하는 구연산의 사용량을 병행하여 조절함으로서 필요한 작업시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C12A7 미세 광물질의 적정 사용량은 전체의 1 ~ 10중량%가 적합하다.
또한, C3A 미세 광물질은 알파형 반수석고와 반응하여 보수재 및 주입재의 무수축성, 상세히 설명하면 시멘트의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수축률을 보상하기 위한 팽창성 발현을 위하여 잔골재의 조립율 및 시멘트의 사용함량에 따라 C3A 미세 광물질의 적정 사용량은 전체의 5 ~ 15중량%, 알파형 반수석고는 1 ~ 10중량%의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친수성 폴리프로필렌 단섬유는 보수재의 급격한 수분증발로 인해 발생하는 건조수축 균열을 억제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사용량이 과다하면 제조 및 시공시 엉김현상이 발생하므로 사용량은 전체의 0.5 ~ 5중량%가 바람직하다.
감수제는 보수재 및 주입재에서 물 사용량을 감소시켜 제1목적은 고강도성의 발현을 위한 것이고, 제2목적은 시공시 수분함량을 최소화시켜 수분증발을 억제하여 건조수축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적정사용량은 0.1 ~ 2중량%가 적합하다.
또한, 리튬실리케이트는 보수시공하고자 하는 콘크리트가 열화되어 중성화가 진행중이므로 알카리 회복과 수밀성을 향상시켜 시공 후 안정된 콘크리트 구조물로 복원시킴으로서 내구 년한을 보다 길게 연장시키고자 사용하며, 적정사용량은 전체 조성물의 0.1 ~ 2중량%가 바람직하다.
아울러, 수산화리튬은 경화시간을 조절하기 위하여 C12A7 미세 광물질의 급결제를 과도하게 변화시킴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수화반응의 불안정성을 통한 비정상 경화현상(팽창 등)을 사전에 제거하기 위한 경화촉진제로서 사용하며, 적정사용량은 전체조성물의 0.1 ~ 2중량%가 적합하다.
순도 99.9% 이상의 아크릴수지분말은 내화학성이 가장 뛰어난 에멀젼 분말로서 특히, 내염해성 보수재의 핵심원료로서의 성능을 발현시키는 역할을 하며, 적정사용량은 전체 조성물의 0.5 ~ 5중량%가 바람직하다.
또한, 지연제인 구연산은 C12A7 미세 광물질의 급결성을 제어하여 보수재 및 주입재의 작업시간을 연장하기 위하여 사용하며, C12A7 미세 광물질의 사용량과 비례하여 사용하며, 적정 사용량은 0.1 ~ 2중량%가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조성물로 구성된 경화시간 조절형 내염해성 콘크리트 단면보수재의 실시예에 대하여 배합표를 표 1에, 시험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1은 중량부 단위로서, 각 경화시간별 시멘트 중량부에 대하여 다른 성분들을 소정 중량부로 배합한 것이다.
삭제
경화시간 조절형 내염해성 콘크리트 단면보수재의 배합표
원 료
경화시간
별 배합
시멘트 모래 C12A7 C3A 알파형 반수석고 폴리프로
필렌섬유
아크릴
수지
감수재 구연산 기포제거제 리튬실리케이트 수산화리튬 알루미늄금속분말
1시간 40 35 5 5 5 0.5 5 0.2 1 0.2 1.5 1.6 0.005
2시간 45 33 3 6 5 0.5 5 0.2 0.5 0.2 0.5 1 0.005
4시간 46.4 33 1 8 5 0.5 5 0.2 0.1 0.2 0.1 0.5 0.005
6시간 47 33 0.5 8 5 0.5 5 0.2 0.05 0.2 0.1 0.1 0.005
12시간 47 33 0.3 8 5 0.5 5 0.2 0.01 0.2 0.1 0.05 0.005
24시간 47 33 0.2 8 5 0.5 5 0.2 - 0.2 0.1 0.01 0.005
48시간 48 33 0.1 8 5 0.5 5 0.2 - 0.2 0.1 - 0.005
72시간 48 33 0.1 8 5 0.5 5 0.2 - 0.2 0.1 - 0.005
경화시간 조절형 내염해성 콘크리트 단면보수재의 시험결과
배합번호
평가요소
기준/
단위
1시간 2시간 4시간 6시간 12시간 24시간 48시간 72시간 시험기준
부착강도 kgf/cm2 12 13 14 14 16 16 18 18 KSM 2609
경화시간별 압축강도 kgf/cm2 250 380 402 410 420 420 520 530 KS M 6010
경화시간별
휨강도
kgf/cm2 5.6 6.2 6.6 6.6 6.6 6.6 9.6 10.6 KSM 2609
길이변화율 이상유무 -0.01 -0.01 -0.01 -0.01 -0.01 -0.01 -0.02 -0.015 KS M 5000
5% 황산용액 7일 침지후 무게변화 이상유무 내화학성
균열성 이상유무
또한, 상기와 같은 조성물로 구성된 경화시간 조절형 내염해성 콘크리트 단면 보수재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단면 복구방법의 실시예를 도 1과 도 2로 나타내었다. 도 1은 철근 비노출시 콘크리트 단면복구 및 단면보강방법이고, 도 2는 철근부식노출 콘크리트 단면복구 및 단면보강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후면 동공부 주입용 그라우트재는 입경 0.5mm 이하의 천연 규사 30 ~ 45중량%, 1종 포틀랜드 시멘트 중량비 30 ~ 45중량%, C12A7 미세 광물질(분말도 : 10,000 braine(cm2/g) 이상) 1 ~ 15중량%, C3A 미세 광물질(분말도 : 10,000 braine(cm2/g) 5 ~ 15중량%, 알파형 반수석고 1 ~ 10중량%, 길이 10mm의 친수성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0.5 ~ 5중량%, 감수제 0.1 ~ 5 중량%, 폴리카르본산 고성능 유동화제 0.1 ~ 1중량%, 수중 불분리제(웰검) 0.01 ~ 2중량%, 리튬실리케이트 0.1 ~ 2중량%, 수산화리튬 0.1 ~ 2중량%, 구연산 0.05 ~ 0.8중량%, 순도 99% 이상의 아크릴수지 분말 0.5 ~ 5중량%, 알루미늄 금속분말 0.001 ~ 0.01중량%로 구성되는 조성물이다.
상기 C12A7 미세 광물질(분말도 : 10,000 braine(cm2/g)은 광물질 급결제로서 보수재 및 그라우트재의 경화시간을 용도에 맞게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재료이다. 경화시간을 짧게 하기 위하여 과도한 양을 첨가하면 작업시간이 급격하게 짧아져서 시공성을 떨어뜨리므로 상기의 재료중 지연제로서의 역할을 하는 구연산의 사용량을 병행하여 조절함으로서 필요한 작업시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C12A7 미세 광물질의 적정 사용량은 전체의 1 ~ 15중량%가 적합하다.
또한, C3A 미세 광물질은 알파형 반수석고와 반응하여 보수재 및 주입재의 무수축성, 상세히 설명하면 시멘트의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수축률을 보상하기 위한 팽창성이 발현시키기 위하여 잔골재의 조립율 및 시멘트의 사용함량에 따라 C3A 미세 광물질의 적정사용량은 전체의 5 ~ 15중량%, 알파형 반수석고는 1 ~ 10중량%의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감수제는 보수재 및 주입재에서 물 사용량을 감소시켜 제1목적은 고강도성의 발현을 위한 것이고, 제2목적은 시공시 수분함량을 최소화시켜 수분증발을 억제하여 건조수축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적정사용량은 0.1 ~ 5중량%가 적합하다.
또한, 리튬실리케이트는 보수 시공하고자 하는 콘크리트가 열화되어 중성화가 진행중이므로 알카리 회복과 수밀성을 향상시켜 시공 후 안정된 콘크리트 구조물로 복원시킴으로서 내구 년한을 보다 길게 연장시키고자 사용하며, 적정사용량은 전체 조성물의 0.1 ~ 2중량%가 바람직하다.
아울러, 수산화리튬은 경화시간을 조절하기 위하여 C12A7 미세 광물질의 급결제를 과도하게 변화시킴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수화반응의 불안정성을 통한 비정상 경화현상(팽창 등)을 사전에 제거하기 위한 경화촉진제로서 사용하며 적정사용량은 전체 조성물의 0.1 ~ 2중량%가 적합하다.
또한, 폴리카르본산 고성능 유동화제는 후면 동공부 주입용 그라우트제의 주입성능, 즉 고유동 성능을 발현하는 재료이며 사용량이 과다하면 골재 분리현상이 발생하여 주입시 재료분리로 인한 막힘 현상이 발생하며, 사용량이 적으면 주입성이 떨어져서, 적정사용량은 전체조성물의 0.1 ~ 1중량%이다.
아울러 수중 불분리제인 웰검은 후면 동공부 그라우트가 지하수 및 유출수 등에 의하여 손실되거나 수중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그 사용량이 과다하면 점성이 증대되어 유동성 즉 주입성능이 저하되며 그 사용량이 낮으면 수중 불분리성이 저하되므로 그 적정사용량은 전체 조성물의 0.01 ~ 2중량%가 바람직하다.
순도 99.9% 이상의 아크릴수지 분말은 내화학성이 가장 뛰어난 에멀젼 분말로서 특히, 내염해성 보수재의 핵심원료로서의 성능을 발현시키는 역할을 하며, 적정 사용량은 전체 조성물의 0.5 ~ 5중량%가 바람직하다.
또한, 지연제인 구연산은 C12A7 미세 광물질의 급결성을 제어하여 보수재 및 주입재의 작업시간을 연장하기 위하여 사용하며, C12A7 미세 광물질의 사용량과 비례하여 사용하며, 적정사용량은 0.05 ~ 0.8중량%가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조성물로 구성된 경화시간 조절형 내염해성 후면 동공부 그라우트재의 실시예에 대하여 배합표를 표 3에, 시험결과를 표 4에 각각 나타내었다. 표 3은 중량부 단위로서, 각 경화시간별 시멘트 중량부에 대하여 다른 성분들을 소정 중량부로 배합한 것이다.
경화시간 조절형 내염해성 후면 동공부 주입용 그라우트재의 배합표
제품원료
경화시간
별 배합
시멘트 천연규사 C12A7 C3A 알파형반수석고 수중불분리제 폴리카르본산유동화제 리튬실리케이트 수산화리튬 구연산 기포제거제 아크릴수지 알루미늄분말 합계
1시간 32 32 14 10 5 0.1 0.2 1 0.5 0.8 0.2 5 0.0005 100.8005
2시간 35 35 10 8 5 0.2 0.2 0.8 0.3 0.4 0.2 5 0.0007 100.1007
4시간 37 39 5 8 5 0.2 0.2 0.5 0.2 0.2 0.1 5 0.0008 100.4008
6시간 39 40 2 8 5 0.2 0.2 0.3 0.1 0.1 0.1 5 0.001 100.001
12시간 41 42 1 6 5 0.3 0.3 0.1 0.1 0.05 0.1 5 0.001 100.951
24시간 42 42 0.5 5 5 0.3 0.3 0.1 0.1 - 0.1 5 0.001 100.401
48시간 42 43 - 5 5 0.3 0.3 0.1 0.05 - 0.1 5 0.001 100.851
72시간 42 43 - 5 5 0.3 0.3 0.1 0.05 - 0.1 5 0.001 100.851
경화시간 조절형 내염해성 후면 동공부 주입용 그라우트재의 시험결과
배합번호
평가요소
기준/
단위
1시간 2시간 4시간 6시간 12시간 24시간 48시간 72시간 시험기준
부착강도 kgf/cm2 11 11 12 13 14 15 16 17 KSM 2609
경화시간별 압축강도 kgf/cm2 240 350 380 400 400 410 450 480 KS M 6010
경화시간별
휨강도
kgf/cm2 5.2 5.4 5.8 5.8 5.8 6.0 6.5 7.5 KSM 2609
길이변화율 이상유무 -0.01 -0.01 -0.01 -0.01 -0.01 -0.01 -0.02 -0.015 KS M 5000
유동성 mm 240 245 250 260 265 260 260 260 KS L 5111
5% 황산용액 7일 침지후 무게변화 이상유무 내화학성
균열성 이상유무
수중불분리성 이상유무
또한, 상기와 같은 조성물로 구성된 경화시간 조절형 내염해성 후면 동공부 그라우트재를 이용하여 후면 동공부 복원화공법의 실시예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은 터널 및 암거형 콘크리트 구조물을 후면 동공부 복원화 공법이다.

Claims (7)

  1. 입경 1.5mm 이하의 천연 규사 30 ~ 45중량%, 1종 포틀랜드 시멘트 30 ~ 45 중량%, C12A7 미세 광물질(분말도 : 10,000 braine(cm2/g) 이상) 1 ~ 10중량%, C3A 미세 광물질(분말도 : 10,000 braine(cm2/g) 5 ~ 15중량%, 알파형 반수석고 1 ~ 10중량%, 길이 10mm의 친수성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0.5 ~ 5중량%, 감수제 0.1 ~ 2중량%, 리튬실리케이트 0.1 ~ 2중량%, 구연산 0.1 ~ 2중량%, 수산화리튬 0.1 ~ 2중량%, 기포제거제 0.1 ~ 2중량%, 순도 99.9% 이상의 아크릴수지분말 0.5 ~ 5중량%, 알루미늄 금속분말 0.001 ~ 0.01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시간 조절형 내염성 보수재.
  2. 열화부 콘크리트를 제거하는 공정;
    표면을 고압살수 세척하는 공정;
    입경 1.5mm 이하의 천연 규사 30 ~ 45중량%, 1종 포틀랜드 시멘트 30 ~ 45 중량%, C12A7 미세 광물질(분말도 : 10,000 braine(cm2/g) 이상) 1 ~ 10중량%, C3A 미세 광물질(분말도 : 10,000 braine(cm2/g) 5 ~ 15중량%, 알파형 반수석고 1 ~ 10중량%, 길이 10mm의 친수성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0.5 ~ 5중량%, 감수제 0.1 ~ 2중량%, 리튬실리케이트 0.1 ~ 2중량%, 구연산 0.1 ~ 2중량%, 수산화리튬 0.1 ~ 2중량%, 기포제거제 0.1 ~ 2중량%, 순도 99.9% 이상의 아크릴수지분말 0.5 ~ 5중량%, 알루미늄 금속분말 0.001 ~ 0.01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된 경화시간 조절형 내염성 보수재로 단면을 복구하는 공정; 및
    내염해성 표면강화제를 도포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비노출시 콘크리트 단면복구 및 단면보강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부 콘크리트 제거공정은
    V자 형상 홈의 형상화를 통한 치핑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비노출시 콘크리트 단면복구 및 단면보강방법.
  4. 열화부 콘크리트를 제거하는 공정;
    철근부식부를 제거 및 방청처리하는 공정;
    표면을 고압살수 세척하는 공정;
    입경 1.5mm 이하의 천연 규사 30 ~ 45중량%, 1종 포틀랜드 시멘트 30 ~ 45 중량%, C12A7 미세 광물질(분말도 : 10,000 braine(cm2/g) 이상) 1 ~ 10중량%, C3A 미세 광물질(분말도 : 10,000 braine(cm2/g) 5 ~ 15중량%, 알파형 반수석고 1 ~ 10중량%, 길이 10mm의 친수성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0.5 ~ 5중량%, 감수제 0.1 ~ 2중량%, 리튬실리케이트 0.1 ~ 2중량%, 구연산 0.1 ~ 2중량%, 수산화리튬 0.1 ~ 2중량%, 기포제거제 0.1 ~ 2중량%, 순도 99.9% 이상의 아크릴수지분말 0.5 ~ 5중량%, 알루미늄 금속분말 0.001 ~ 0.01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된 경화시간 조절형 내염성 보수재로 단면을 복구하는 공정; 및
    내염해성 표면강화제를 도포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노출시 콘크리트 단면복구 및 단면보강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부 콘크리트 제거공정은
    V자 형상 홈의 형상화를 통한 치핑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노출시 콘크리트 단면복구 및 단면보강방법.
  6. 입경 0.5mm 이하의 천연 규사 30 ~ 45 중량%, 1종 포틀랜드 시멘트 중량비 30 ~ 45중량%, C12A7 미세 광물질(분말도 : 10,000 braine(cm2/g) 이상) 1 ~ 15중량%, C3A 미세 광물질(분말도 : 10,000 braine(cm2/g) 5 ~ 15중량%, 알파형 반수석고 1 ~ 10중량%, 길이 10mm의 친수성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0.5 ~ 5중량%, 감수제 0.1 ~ 5중량%, 폴리카르본산 고성능유동화제 0.1 ~ 1중량%, 수중 불분리제 0.01 ~ 2중량%, 리튬실리케이트 0.1 ~ 2중량%, 수산화리튬 0.1 ~ 2중량%, 구연산 0.05 ~ 0.8중량%, 순도 99% 이상의 아크릴수지 분말 0.5 ~ 5중량%, 알루미늄 금속분말 0.001 ~ 0.01중량%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후면 동공부 주입용 그라우트재.
  7. 비파괴로 콘크리트 후면 동공부를 검사하는 공정;
    주입구 간격을 결정하는 공정; 동공부 중심 주입구를 천공하는 것;
    입경 0.5mm 이하의 천연 규사 30 ~ 45 중량%, 1종 포틀랜드 시멘트 중량비 30 ~ 45중량%, C12A7 미세 광물질(분말도 : 10,000 braine(cm2/g) 이상) 1 ~ 15중량%, C3A 미세 광물질(분말도 : 10,000 braine(cm2/g) 5 ~ 15중량%, 알파형 반수 석고 1 ~ 10중량%, 길이 10mm의 친수성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0.5 ~ 5중량%, 감수제 0.1 ~ 5중량%, 폴리카르본산 고성능유동화제 0.1 ~ 1중량%, 수중 불분리제 0.01 ~ 2중량%, 리튬실리케이트 0.1 ~ 2중량%, 수산화리튬 0.1 ~ 2중량%, 구연산 0.05 ~ 0.8중량%, 순도 99% 이상의 아크릴수지 분말 0.5 ~ 5중량%, 알루미늄 금속분말 0.001 ~ 0.01중량%을 혼합하여 제조된 경화시간 조절형 후면 동공부 주입용 그라우트재를 동공부에 주입 시공하는 공정; 및
    급결지수재를 이용하여 주입구를 폐쇄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후면 동공부 그라우팅 복원화 공법.
KR1020150139381A 2015-10-02 2015-10-02 경화시간 조절형 내염성 보수재 및 그라우팅재와 이를 활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및 후면 동공부 그라우팅 복원화 공법 KR101636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381A KR101636545B1 (ko) 2015-10-02 2015-10-02 경화시간 조절형 내염성 보수재 및 그라우팅재와 이를 활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및 후면 동공부 그라우팅 복원화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381A KR101636545B1 (ko) 2015-10-02 2015-10-02 경화시간 조절형 내염성 보수재 및 그라우팅재와 이를 활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및 후면 동공부 그라우팅 복원화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6545B1 true KR101636545B1 (ko) 2016-07-05

Family

ID=56502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9381A KR101636545B1 (ko) 2015-10-02 2015-10-02 경화시간 조절형 내염성 보수재 및 그라우팅재와 이를 활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및 후면 동공부 그라우팅 복원화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654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23638A (zh) * 2016-08-26 2016-12-14 北海金匠水泥制品有限责任公司 水泥预制构件裂缝补强方法
KR101825635B1 (ko) * 2017-01-12 2018-03-23 주식회사 태을이앤씨 도로 또는 교면 포장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또는 교면 포장방법
CN109180117A (zh) * 2018-11-16 2019-01-11 石家庄铁道大学 一种混凝土结构外观色差修补材料及其施工方法
KR20210006670A (ko) * 2019-07-09 2021-01-19 오에스이엔씨 주식회사 무기계 세라믹 시트를 복층으로 접착하고 보강한 기둥과 바닥면, 보강한 기둥과 슬라브를 고탄성 보강꺽쇠를 이용하여 앙카로 고정하는 보강꺽쇠 일체형 내진보강공법
KR102441340B1 (ko) * 2021-08-20 2022-09-08 (주)유성테크 전신주 보강용 보강재를 이용한 전신주 보강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7042A (ja) * 2008-01-15 2009-07-30 Denki Kagaku Kogyo Kk 耐海水性セメントアスファルトモルタル用急硬性セメン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耐海水性セメントアスファルトモルタル
KR100941932B1 (ko) * 2009-08-31 2010-02-11 지에스씨개발엔지니어링(주) 리바운더 제로형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재 조성물과 이를 열화방지 코팅제와 함께 이용한 보수보강공법
KR20150071919A (ko) 2013-12-19 2015-06-29 주식회사 삼진비티 경화시간 조절가능한 콘크리트의 염해 및 중성화 보수재
KR101536118B1 (ko) * 2014-12-26 2015-07-14 주식회사 유니온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47895B1 (ko) * 2014-11-18 2015-08-31 매일종합건설(주)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수용성 라텍스 모르타르 및 이의 제조 및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7042A (ja) * 2008-01-15 2009-07-30 Denki Kagaku Kogyo Kk 耐海水性セメントアスファルトモルタル用急硬性セメン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耐海水性セメントアスファルトモルタル
KR100941932B1 (ko) * 2009-08-31 2010-02-11 지에스씨개발엔지니어링(주) 리바운더 제로형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재 조성물과 이를 열화방지 코팅제와 함께 이용한 보수보강공법
KR20150071919A (ko) 2013-12-19 2015-06-29 주식회사 삼진비티 경화시간 조절가능한 콘크리트의 염해 및 중성화 보수재
KR101547895B1 (ko) * 2014-11-18 2015-08-31 매일종합건설(주)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수용성 라텍스 모르타르 및 이의 제조 및 시공방법
KR101536118B1 (ko) * 2014-12-26 2015-07-14 주식회사 유니온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23638A (zh) * 2016-08-26 2016-12-14 北海金匠水泥制品有限责任公司 水泥预制构件裂缝补强方法
KR101825635B1 (ko) * 2017-01-12 2018-03-23 주식회사 태을이앤씨 도로 또는 교면 포장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또는 교면 포장방법
CN109180117A (zh) * 2018-11-16 2019-01-11 石家庄铁道大学 一种混凝土结构外观色差修补材料及其施工方法
KR20210006670A (ko) * 2019-07-09 2021-01-19 오에스이엔씨 주식회사 무기계 세라믹 시트를 복층으로 접착하고 보강한 기둥과 바닥면, 보강한 기둥과 슬라브를 고탄성 보강꺽쇠를 이용하여 앙카로 고정하는 보강꺽쇠 일체형 내진보강공법
KR102236651B1 (ko) * 2019-07-09 2021-04-06 오에스이엔씨 주식회사 무기계 세라믹 시트를 복층으로 접착하고 보강한 기둥과 바닥면, 보강한 기둥과 슬라브를 고탄성 보강꺽쇠를 이용하여 앙카로 고정하는 보강꺽쇠 일체형 내진보강공법
KR102441340B1 (ko) * 2021-08-20 2022-09-08 (주)유성테크 전신주 보강용 보강재를 이용한 전신주 보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6545B1 (ko) 경화시간 조절형 내염성 보수재 및 그라우팅재와 이를 활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및 후면 동공부 그라우팅 복원화 공법
KR101340856B1 (ko) 내구성 및 수밀성이 우수한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16462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방지 및 단면보수용 폴리머 몰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열화방지 및 단면보수방법
KR101203919B1 (ko) 스티렌-프로페노에이트계 터폴리머 라텍스로 개질된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보수공법
KR101422206B1 (ko) 고성능 유동성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보호 공법
KR101672714B1 (ko) 자기 치유성, 내구성 및 강도가 향상된 초속경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보수방법
KR101644846B1 (ko)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보호용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시공방법
KR102068714B1 (ko) 내중성화 속경성 보수보강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시공법
KR100913255B1 (ko) 단면보강용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사용공법
KR101352903B1 (ko) 유동성 및 시공성이 우수한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주입 보수공법,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처리 공법 및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보호처리 공법
KR101873782B1 (ko) 내구성능이 개선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유지 보수 방법
KR101084040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366521B1 (ko) 휨바가 설치된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판 및 단면보수 모르타르 조성물을 이용한 중성화, 염해, 화학적부식으로 인한 피해를 입은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공법
KR100973497B1 (ko) 속경성 시멘트 조성물, 이를 이용한 속경성 모르타르 조성물 및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KR101065209B1 (ko) 폴리숙신이미드가 결합된 폴리머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오염물질 분해 및 스케일 방지용 단면 보수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단면 보수 보강 방법
KR102362416B1 (ko) 도로 측구 콘크리트 및 도로 노면 파손부의 단면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708879B1 (ko) 내구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보수 공법
KR101891567B1 (ko) 강도 및 내구성이 개선된 보수용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 방법
KR101616103B1 (ko) 염해와 동해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보수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 방법
KR100625411B1 (ko) 고인성 항균성 단면복구 조성물과 유리섬유봉을 함께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공법
KR101590547B1 (ko) 콘크리트 단면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의 보수 보강 공법
KR100643524B1 (ko) 단면복구용 모르타르 및 이를 이용한 단면복구방법
KR101006890B1 (ko) 한중 모르타르용 시멘트 조성물, 한중 모르타르 및 이를 이용한 단면 복구방법
KR20130011560A (ko) 보수용 폴리머 혼입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공법
KR101489653B1 (ko) 속경성 폴리머 개질 방수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도로 보수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