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6510B1 - 박막 크로마토그래피 타입 방사선 검출기 - Google Patents

박막 크로마토그래피 타입 방사선 검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6510B1
KR101636510B1 KR1020140192559A KR20140192559A KR101636510B1 KR 101636510 B1 KR101636510 B1 KR 101636510B1 KR 1020140192559 A KR1020140192559 A KR 1020140192559A KR 20140192559 A KR20140192559 A KR 20140192559A KR 101636510 B1 KR101636510 B1 KR 101636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member
radiation
scintillator
ref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2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국
전상준
김정영
김경민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의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의학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의학원
Priority to KR1020140192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6510B1/ko
Priority to US14/921,934 priority patent/US20160187501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16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 G01T1/20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with scintillation detectors
    • G01T1/2006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with scintillation detectors using a combination of a scintillator and photodetector which measures the means radiation intens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90Plate chromatography, e.g. thin layer or paper chromatography
    • G01N30/95Detecto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Signal analy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16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 G01T1/20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with scintillation detectors
    • G01T1/2002Optical details, e.g. reflecting or diffusing lay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16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 G01T1/20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with scintillation detectors
    • G01T1/2018Scintillation-photodiode combinations
    • G01T1/20182Modular detectors, e.g. tiled scintillators or tiled photodio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16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 G01T1/20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with scintillation detectors
    • G01T1/2018Scintillation-photodiode combinations
    • G01T1/20187Position of the scintillator with respect to the photodiode, e.g. photodiode surrounding the crystal, the crystal surrounding the photodiode, shape or size of the scintilla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16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 G01T1/20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with scintillation detectors
    • G01T1/203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with scintillation detectors the detector being made of plastic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4Electric circuits
    • G01J2001/4446Type of detector
    • G01J2001/446Photodiode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박막 크로마토그래피 타입 방사선 검출기는, 방사선에 의해 가시광선을 발생하며 표면이 가시 광선을 반사하는 반사체로 덮여진 섬광체로 구성되며, 일측으로 길게 형성되고, 폭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이격되도록 배치된 다수의 발광 부재; 각각의 상기 발광 부재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발광 부재로부터 발생된 가시광선에 의해 발생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감광 센서; 및 상기 감광센서로부터 측정된 전류 값을 디지털 신호로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출력 포트;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박막 크로마토그래피 타입 방사선 검출기{Radio Thin Film Chromatography type counter}
본 발명은 다양한 액상의 핵종의 방사선을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는 검출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미래창조과학부의 한국원자력의학원 연구운영비 지원사업(과제고유번호 : 50530-2014, 과제명 : 방사성 의약품 임상이용 활성화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사선 검출기는 방사선이 존재하는 곳을 알아내거나 방사성 물질에서 방사되는 방사선의 종류, 세기, 에너지 분포, 인체에 대한 피폭선량 등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방사선 검출기의 대표적인 예로는 가이거 계수기가 있다. 가이거 계수기는 방사선에 의해 이온화된 가스에서 발생하는 전리 작용으로 인한 전하량을 측정한다. 한편, 방사선에 의해 원자가 전자나 다른 입자와 충돌함으로써 입자의 에너지 준위가 달라짐으로써 발생하는 빛을 감지하는 방사선 검출기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액상의 핵 물질에서 발생하는 방사선을 측정하는 검출기를 대상으로 한다. 액상의 핵 물질에서 발생하는 방사선을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통상적으로 크로마토그래피(chromatography)를 이용한다. 크로마토그래피는 액상의 방사성 용제를 얇은 판에 떨어뜨린 후 용제 내 물질이 얇은 판에서 이동하는 속도차를 이용해 화학성분을 분리함으로써 방사성 물질의 분포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방사선을 검출하는 방식의 일 예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1-0010187호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박막 크로마토그래피 타입 방사선 검출기는 가스의 전리작용을 이용하여 방사선을 검출하는 이온챔버 타입과 방사선에 의해 가시광선을 발생시키는 섬광결정과 광전자증배관(Photo-Multiplier Tube, PMT)을 결합한 섬광검출기 타입 두 가지가 사용되고 있다.
이온챔버를 사용한 방법은 시료의 전 면적을 한 번에 측정할 수 있고 베타선 선원과 감마선 선원 모두 측정이 가능하지만, 높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는 감마선 선원을 측정할 경우 효율일 떨어지고 사용 시 P-10 가스를 지속적으로 주입해 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섬광체와 광전자증배관을 사용한 방법은 높은 에너지를 가지는 감마선 선원의 측정에 적합하지만 시료 전 면적을 한 번에 측정할 수 없고 시료의 면을 느린 속도로 스캐닝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얇은 판에 의해 분리된 방사성 물질을 검출기가 평면적으로 이동하면서 스캐닝하는 장치가 사용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스캐너 형태의 방사선 검출기는 얇은 판에서 분리된 방사성 물질의 분포를 정밀한 분해능으로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검출기는 하나의 핵종만을 측정할 수 있도록 제조됨으로써 다양한 핵종의 검출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검출기는 전리 작용을 이용한 검출기가 사용됨으로써 검출기에 지속적으로 가스가 공급되어야 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 비용이 비싼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가스를 사용하지 않고, 섬광체와 감광센서를 이용하여 검출기를 구성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된 방사성 물질의 분포를 평면적으로 분석할 수 있으며, 종래의 검출기보다 정밀한 분해능을 가지는 박막 크로마토그래피 타입 방사선 검출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박막 크로마토그래피 타입 방사선 검출기는, 방사선에 의해 가시광선을 발생하며 표면이 가시 광선을 반사하는 반사체로 덮여진 섬광체로 구성되며, 일측으로 길게 형성되고, 폭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이격되도록 배치된 다수의 발광 부재;
각각의 상기 발광 부재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발광 부재로부터 발생된 가시광선에 의해 발생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감광 센서; 및
상기 감광센서로부터 측정된 전류 값을 디지털 신호로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출력 포트;를 포함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발광 부재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섬광체는 합성수지 섬광체, Gd2O2S, ZnS, P, Gd3A12Ga3O12, Gd2SiO5:Ce, Bi4Ge3O12, Lu1 .6Y0 .4SiO5:Ce, Lu2SiO5:Ce, CsI(Tl) 중 어느 하나의 물질을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사체는 BaSO4, TiO2, MnO, Al2O3 중 어느 하나의 물질을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사체 중에서, 상기 발광 부재로 방사선이 입사되는 방향에 배치된 반사체는 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테레프탈산염으로 제조된 합성수지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출력 포트는 외부의 데이터 획득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광 센서는 실리콘 핀 다이오드를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박막 크로마토그래피 타입 방사선 검출기는, 종래의 검출기와 달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된 액상의 방사성 물질의 분포를 다수의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진 발광 부재가 가시광선으로 변환하고, 그 가시 광선을 감광 센서가 디지털 값으로 측정하여 출력 포트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가스가 사용되지 않아서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각각의 발광 부재에 의해 분해능이 우수한 검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검출기는 데이터 획득 모듈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측정하고자 하는 방사선의 종류에 따라 방사선 검출기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으므로 사용 효율이 높은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박막 크로마토그래피 타입 방사선 검출기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검출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Ⅲ-Ⅲ 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Ⅳ-Ⅳ 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박막 크로마토그래피 타입 방사선 검출기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검출기를 포함한 방사선 검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검출기와 종래의 검출기의 성능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측정치의 주요 성능을 비교한 표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박막 크로마토그래피 타입 방사선 검출기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검출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Ⅲ-Ⅲ 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Ⅳ-Ⅳ 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박막 크로마토그래피 타입 방사선 검출기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검출기를 포함한 방사선 검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검출기와 종래의 검출기의 성능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측정치의 주요 성능을 비교한 표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박막 크로마토그래피 타입 방사선 검출기(10, 이하 "방사선 검출기"라 함)는 몸체(20)와, 감광 센서(30)와, 발광 부재(40)와, 출력 포트(5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20)는 판상의 합성수지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몸체(20)는 후술하는 감광 센서(30)와, 발광 부재(40) 및 출력 포트(50)를 설치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감광 센서(30)는 상기 몸체(20)의 일면에 배치된다. 상기 감광 센서(30)는 다수 구비된다. 상기 감광 센서(30)는 가시광선 량을 감지하여 디지털 전류 값으로 출력한다. 상기 감광 센서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감광 센서(30)는 실리콘 핀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상기 감광 센서(30)는 후술하는 발광 부재(40)에서 발생된 가시광선의 양을 측정한다. 상기 감광 센서(30)는 각각의 상기 발광 부재(40)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발광 부재(40)로부터 발생된 가시광선에 의해 발생되는 전류를 측정한다. 상기 감광 센서(30)는 후술하는 출력 포트(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발광 부재(40)는 상기 몸체(20)의 일면에 배치된다. 상기 발광 부재(40)는 다수 구비된다. 상기 발광 부재(40)는 입사되는 방사선에 의해 가시 광선을 발생시키는 섬광체(42)와 그 섬광체(42)의 표면을 덮도록 배치된 반사체(44)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 부재(40)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발광 부재(40)는 일측으로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발광 부재(40)는 서로 나란하게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예컨대, 상기 발광 부재(40)는 64개, 128개, 256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 부재(40) 각각은 특정한 위치에서의 방사성 물질의 강도를 측정하게 된다. 상기 발광 부재(40)는 각각의 상기 감광 센서(30)에 신호를 독립적으로 전달한다. 상기 발광 부재(40)를 구성하는 상기 섬광체(42)의 표면은 반사체(44)에 의해 덮인다. 상기 발광 부재(40)의 일단부는 상기 감광 센서(30)와 결합된다. 상기 감광 센서(30)와 결합되는 상기 발광 부재(40)의 면은 상기 반사체(44)에 의해 덮여지지 않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발광 부재(40)에서 발생된 가시광선은 상기 발광 부재(40)로 거의 손실 없이 전달된다고 보아도 된다. 상기 섬광체(42)는 예컨대 합성수지 섬광체, Gd2O2S, ZnS, P 중 어느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섬광체(42)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된 방사성 물질로부터 방사선을 조사받아 가시광선을 발생한다. 상기 합성수지 섬광체는 예컨대 폴리스티렌(polystyrene) 또는 폴리비닐톨루엔(polyvinyltoluene)과 같은 용매에 피-테르페닐(p-terphenyl)과 C15H11NO(PPO), C24H16N2O(POPOP) 등과 같은 용질을 섞어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섬광체(4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비교적 두꺼운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과 같은 섬광체(42) 형상은 베타선을 검출하는데 효과적이며, 도 5와 같은 섬광체(42) 형상은 감마선을 검출하는데 효과적이다.
상기 발광 부재(40)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데, 각각의 발광 부재(40)는 일정한 위치에 분포하는 방사선량을 디지털 형태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하나의 점에 떨어뜨려진 방사성 물질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되며, 그 분리되는 방향 즉, 물질이 시간에 따라 진행하는 방향은 상기 발광 부재(40)의 폭(W) 방향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베타선 검출에 적합한 상기 섬광체(42)는 합성수지 섬광체(plastic scintillator), Gd2O2S, ZnS, P 등이다. 베타선 검출에 효과적인 상기 섬광체(42)의 폭(W)은 0.7mm, 높이(H)는 0.8mm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섬광체(42) 간 간격(G)은 0.1mm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섬광체(42)의 길이(L)는 박막 크로마토그래피 필름의 크기에 따라 10~20mm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감마선 검출에 적합한 섬광체(42)는 Gd3A12Ga3O12, Gd2SiO5:Ce, Bi4Ge3O12, Lu1 .6Y0 .4SiO5:Ce, Lu2SiO5:Ce, CsI(Tl) 등이다. 감마선 검출에 효과적인 상기 섬광체(42)의 폭(W)은 0.7mm, 높이(H)는 100~200mm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섬광체(42) 간 간격(G)은 0.1mm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섬광체(42)의 길이(L)는 박막크로마토그래피 필름의 크기에 따라 10~20mm로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감마선이 베타선보다 투과율이 높기 때문에 상기 섬광체(42)에서 충분히 흡수될 수 있도록 상기 섬광체(42)의 높이를 크게 한다.
상기 반사체(44)는 상기 섬광체(42)의 표면에 페이스트 형태로 도포 된 후 가열로에서 가열함으로써 일종의 소결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체(44)의 소재로는 예컨대, BaSO4, TiO2, MnO, Al2O3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반사체(44) 중에서, 상기 발광 부재(40)로 방사선이 입사되는 면에 배치된 반사체(44)는 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테레프탈산염(소위 "MYLAR" film이라 불림)으로 제조된 합성수지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출력 포트(50)는 상기 몸체(20)의 모서리 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출력 포트(50)는 상기 감광 센서로부터 측정된 전류 값을 디지털 신호로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상기 출력 포트(50)는 상기 감광 센서(3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인가하는 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력 포트(50)는 후술하는 외부의 데이터 획득 모듈(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베타선 검출용 검출기(10)와 감마선 검출용 검출기(10)를 쉽게 교환함으로써 서로 다른 종류의 방사선을 하나의 검출 시스템으로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방사선 검출기(10)를 포함한 방사선 검출 시스템(300)의 구성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즉, 상기 방사선 검출기(10)는 데이터 획득 모듈(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데이터 획득 모듈(100)에 저장된 데이터는 컴퓨터와 같은 영상처리장치(200)에 전달되어 사람이 가시적으로 방사선의 분포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 요소를 포함한 방사선 검출기(10)의 작용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방사선 검출기(10)를 포함한 방사선 검출 시스템(300)으로 Tc-99m 방사선원을 박막 필름(thin film)에 4cm 간격으로 지름 1mm인 3개의 포인트에 각각 1μCi, 1.5μCi, 2μCi씩 떨어뜨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물질 분리 후 방사선량을 측정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검출기와 종래의 검출기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종래의 검출기로서 Eckert & Ziegler 사의 AR-2000 검출기로 동일한 시료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동일한 시료의 방사선량을 측정한 결과 본원에 따른 방사선 검출기(10)는 종래의 검출기에 비하여 충분히 우수한 ROI 값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에서 가로축은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리시 원점으로부터의 거리(위치, mm)를 나타내며, 세로축은 CPM(count per minnute)으로서 1분 동안 방사선 검출기에서 생성된 이벤트의 숫자를 표현한 것으로 측정된 방사선량을 나타낸다.
즉, 동일 방사성 물질의 검출 강도를 측정함에 있어서 ROI(Region Of Interest, 전체 영역 중 관심영역의 넓이 비율)가 본원 발명에 따른 검출기(10)에 의한 검출결과가 종래의 검출기에 의한 검출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ROI란 도 7에 도시된 그래프에서 각 피크에 대해 가로축과 그래프 사이의 면적에 대한 각 피크의 반폭치의 그래프와 가로축 사이의 넓이의 비율을 의미한다. 즉, ROI가 크다는 것은 그 피크에서의 방사성 물질이 많이 분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원 발명에 따른 방사선 검출기(10)는 종래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방사선 검출기와 비교하여 유사한 정도의 ROI 값을 나타내므로 방사선 검출 능력이 충분히 양호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원 발명에 따른 방사선 검출기(10)가 종래의 방사선 검출기에 비하여 분해능이 현저하게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방사선 검출기의 분해능을 판단하는 척도로써 FWHM(Full Width Half Maximum, 반폭치)가 사용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원 발명에 따른 방사선 검출기(10)으로 측정한 값의 FWHM 값은 종래의 방사선 검출기로 측정한 값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난 바 분해능이 종래의 검출기에 비하여 현저하게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우수한 분해능을 가지는 방사선 검출기(10)의 방사선 검출 과정을 방사선이 입사되는 순서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시료 물질에서 발생 된 방사선은 상기 발광 부재(40)로 입사된다. 상기 발광 부재(40)로 입사되는 방사선은 예컨대 베타선이나 감마선이 될 수 있다. 상기 발광 부재(40)에 입사된 방사선의 일부는 상기 발광 부재(40)를 관통하여 방출되기도 하지만, 상당한 양의 방사선은 상기 발광 부재(40)를 구성하는 상기 섬광체(42)를 구성하는 원자구조에 에너지를 전달함으로써 상기 섬광체(42)는 가시광선을 발생한다. 상기 섬광체(42)에서 발생된 가시광선은 상기 반사체(44)에 의해 상기 섬광체(42)의 외부로 발산되지 못하며 상기 발광 부재(40)를 따라 이동한다. 상기 발광 부재(40)의 일단부에 배치된 상기 감광 센서(30)는 상기 발광 부재(40)의 가시광선을 감지하여 디지털 형태의 전류를 발생한다. 즉, 상기 감광 센서(30)에 의해 출력된 전류는 하나의 발광 부재(40)에 흡수된 방사선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감광 센서(30)는 서로 미세한 간격으로 분리되도록 배치된 상기 발광 부재(40) 각각에서 흡수된 방사선량을 감지하여 상기 출력 포트(50)를 통해 순차적으로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출력 포트(50)를 통해 출력된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획득 모듈(100)에서 임시 저장하거나 정리된 후 컴퓨터와 같은 영상처리장치(200)에서 이미지프로세싱 작업을 거쳐 사람이 가시적으로 방사선량의 분포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검출기는 종래의 검출기와 달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된 액상의 방사성 물질의 분포를 다수의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진 발광 부재가 가시광선으로 변환하고, 그 가시 광선을 감광 센서가 디지털 값으로 측정하여 출력 포트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가스가 사용되지 않아서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각각의 발광 부재에 의해 분해능이 우수한 검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검출기는 데이터 획득 모듈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측정하고자 하는 방사선의 종류에 따라 방사선 검출기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으므로 사용 효율이 높은 장점이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그러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가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10 : 박막 크로마토그래피 타입 방사선 검출기
20 : 몸체
30 : 감광 센서
40 : 발광 부재
42 : 섬광체
44 : 반사체
50 : 출력 포트
100 : 데이터 획득 모듈
200 : 영상 처리 장치
300 : 방사선 검출 시스템
높이 : H
길이 : L
폭 : W

Claims (7)

  1. 방사선에 의해 가시광선을 발생하며 표면이 가시 광선을 반사하는 반사체로 덮여진 섬광체로 구성되며, 일측으로 길게 형성되고, 폭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이격되도록 배치된 다수의 발광 부재;
    각각의 상기 발광 부재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발광 부재로부터 발생된 가시광선에 의해 발생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감광 센서; 및
    상기 감광센서로부터 측정된 전류 값을 디지털 신호로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출력 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방사선은 액상의 방사성 물질에 의해 발생하며,
    상기 방사성 물질에 의해 발생되는 방사선은 베타선 또는 감마선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출력 포트는 외부의 데이터 획득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감광 센서는 각각의 상기 발광 부재의 일단부에 결합 되어, 상기 발광 부재로부터 발생된 가시광선에 의해 발생 되는 전류를 측정하며,
    상기 감광 센서와 결합 되는 상기 발광 부재의 면은 상기 반사체에 의해 덮여지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크로마토그래피 타입 방사선 검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부재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크로마토그래피 타입 방사선 검출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광체는 합성수지 섬광체, Gd2O2S, ZnS, P, Gd3A12Ga3O12, Gd2SiO5:Ce, Bi4Ge3O12, Lu1 .6Y0 .4SiO5:Ce, Lu2SiO5:Ce, CsI(Tl) 중 어느 하나의 물질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크로마토그래피 타입 방사선 검출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체는 BaSO4, TiO2, MnO, Al2O3 중 어느 하나의 물질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크로마토그래피 타입 방사선 검출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체 중에서, 상기 발광 부재로 방사선이 입사되는 방향에 배치된 반사체는 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테레프탈산염으로 제조된 합성수지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크로마토그래피 타입 방사선 검출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센서는 실리콘 핀 다이오드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크로마토그래피 타입 방사선 검출기.
KR1020140192559A 2014-12-29 2014-12-29 박막 크로마토그래피 타입 방사선 검출기 KR101636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559A KR101636510B1 (ko) 2014-12-29 2014-12-29 박막 크로마토그래피 타입 방사선 검출기
US14/921,934 US20160187501A1 (en) 2014-12-29 2015-10-23 Thin-layer chromatography type radiation det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559A KR101636510B1 (ko) 2014-12-29 2014-12-29 박막 크로마토그래피 타입 방사선 검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6510B1 true KR101636510B1 (ko) 2016-07-05

Family

ID=56163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2559A KR101636510B1 (ko) 2014-12-29 2014-12-29 박막 크로마토그래피 타입 방사선 검출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60187501A1 (ko)
KR (1) KR1016365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716B1 (ko) * 2017-12-28 2018-06-07 (주)에스에프테크놀로지 알파·베타·감마 방사선 검출기능을 갖는 스마트 슬림형 플라스틱 섬광계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35215B2 (ja) * 2016-11-21 2020-08-05 株式会社東芝 放射線検出器
US20220244228A1 (en) * 2019-04-25 2022-08-0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ystem and method for high-throughput radio thin layer chromatography analysi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1139A (ja) * 1995-11-29 1997-08-15 Hitachi Metals Ltd 放射線検出器
JP2009025149A (ja) * 2007-07-19 2009-02-05 Toshiba Corp 放射線検出器
JP2011257339A (ja) * 2010-06-11 2011-12-22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放射線画像検出装置
JP2013228366A (ja) * 2012-03-29 2013-11-07 Canon Inc 放射線検出装置及び放射線検出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1139A (ja) * 1995-11-29 1997-08-15 Hitachi Metals Ltd 放射線検出器
JP2009025149A (ja) * 2007-07-19 2009-02-05 Toshiba Corp 放射線検出器
JP2011257339A (ja) * 2010-06-11 2011-12-22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放射線画像検出装置
JP2013228366A (ja) * 2012-03-29 2013-11-07 Canon Inc 放射線検出装置及び放射線検出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716B1 (ko) * 2017-12-28 2018-06-07 (주)에스에프테크놀로지 알파·베타·감마 방사선 검출기능을 갖는 스마트 슬림형 플라스틱 섬광계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87501A1 (en) 2016-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91738C (en) High resolution 3-d position sensitive detector for gamma rays
US7518117B2 (en) Unidimensional array 3-D position sensitive ionization detector
Bolozdynya et al. A high pressure xenon self-triggered scintillation drift chamber with 3D sensitivity in the range of 20–140 keV deposited energy
JP6775033B2 (ja) シンチレータの表面に配置された光センサ
KR101636510B1 (ko) 박막 크로마토그래피 타입 방사선 검출기
Bloser et al. Scintillator gamma-ray detectors with silicon photomultiplier readouts for high-energy astronomy
Kim et al. Large-area Compton camera for high-speed and 3-D imaging
Kim et al. Position-sensitive NaI (TL) detector module for large-area Compton camera
Lin et al. The design of a scintillation system based on SiPMs integrated with gain correction functionality
Guru et al. Portable high energy gamma ray imagers
Jeon et al. Pixelated scintillator-based compact radio thin layer chromatography scanner for radiopharmaceuticals quality control
Burr et al. Evaluation of a position sensitive avalanche photodiode for PET
RU2158011C2 (ru) Детектор для регистрации нейтронов и гамма-излучения
Das et al. Development of a GAGG (Ce)-based compact 3D scanning setup for assessment of active volume in γ-ray detectors
Badawi et al. Hybrid analytical method for calibrating a standard NaI (Tl) gamma-ray scintillation detector using a lateral hexagonal radioactive source
Pavelic et al. A technology overview of active ionizing radiation dosemeters for photon fields
Suzuki et al. Gamma-ray visualization module
Kim et al. Optimization of DPC dSiPM-Based DOI Compton Camera by Monte Carlo Simulation
KR101659179B1 (ko) 모바일 방사선 센서의 검출 특성 개선을 위한 섬광체 구조
GB2449341A (en) Gamma ray detector with scintillation layer comprising elongate rods
Engels et al. A new 64-channel area detector for neutrons and gamma rays
Liao et al. A Prototype Cosmic-ray Muon Tomography System for Dry Storage Cask Monitoring
Huerta et al. Working out the position resolution on large scintillating detectors, through the" light attenuation method"
Iyudin et al. Characteristics of position sensitive detector pixels based on promising inorganic scintillators LaBr 3: Ce and CeBr 3
Johnson et al. Radiation measurements using solid-state Photomultipliers: Gammas, charged particles, and neutr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