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5924B1 -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내의 배터리 모니터링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내의 배터리 모니터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5924B1
KR101635924B1 KR1020147006475A KR20147006475A KR101635924B1 KR 101635924 B1 KR101635924 B1 KR 101635924B1 KR 1020147006475 A KR1020147006475 A KR 1020147006475A KR 20147006475 A KR20147006475 A KR 20147006475A KR 101635924 B1 KR101635924 B1 KR 101635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state
voltage
electronic device
portable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6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6069A (ko
Inventor
발 발렌틴
Original Assignee
애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플 인크. filed Critical 애플 인크.
Publication of KR20140046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6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2Monitoring battery levels, e.g. power saving mode being initiated when battery voltage goes below a certain leve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6Constructional arrangements for indicating electrical conditions or variables, e.g. visual or audible indic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35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involving only voltage measur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 H04W52/02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by controlling a display operation or backlight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04W52/02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switching on or off only a part of the equipment circuit blo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개시된 실시예들은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내의 배터리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동작 동안, 배터리가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게 전력을 공급하는 동안 시스템은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그 후,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미리 결정된 예비 용량에 도달할 때, 시스템은 배터리의 전압을 모니터링한다. 그 후, 배터리의 모니터링된 전압이 미리 결정된 종단 전압에 도달할 때, 시스템은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저전력 사용 상태로 놓는다.

Description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내의 배터리 모니터링{MONITORING A BATTERY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본 실시예들은 배터리를 모니터링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들은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내의 배터리를 모니터링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내의 배터리 충전 상태는 배터리 가스 게이지에 의해 모니터링된다. 충전 상태는 종종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는 다른 여러가지 중에서, 남아있는 배터리 수명을 인지할 수 있고, 따라서 그들의 사용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의 충전 상태는, 배터리가 디바이스를 더 이상 구동할 수 없기 전에 디바이스가 질서 정연하게 셧다운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된다.
그러나,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할 때, 배터리 가스 게이지들은 통상적으로 어느 정도의 부정확성이 있다. 따라서 배터리 가스 게이지가,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미리 결정된 예비 용량(reserve capacity)에 도달한 것으로 판정하면,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들은 일반적으로 셧다운한다. 미리 결정된 예비 용량은, 질서 정연하게 디바이스를 셧다운 시키기 위해 배터리의 남아있는 충전 상태가 항상 충분하도록, 배터리 가스 게이지에서의 예상된 부정확성들보다 크게 설정된다. 그러나, 이 결과로, 디바이스가 셧다운된 후에도 종종 배터리에 몇몇 사용 가능한 충전량이 남아 있다. 이러한 충전의 남은 상태는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사용 가능하지 않고, 따라서, 사실상 사용자에게 사용 가능한 배터리의 전체 용량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배터리 전력 공급형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들의 사용은, 충전의 예비 상태(reserve state)의 사용을 허용하기 위해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내의 배터리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용이하게 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내의 배터리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동작 동안, 배터리가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는 동안 시스템은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다음으로,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미리 결정된 예비 용량에 도달할 때, 시스템은 배터리의 전압을 모니터링한다. 그 후, 배터리의 모니터링된 전압이 미리 결정된 종단 전압에 도달할 때, 시스템은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저전력 사용 상태로 둔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은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배터리 가스 게이지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미리 결정된 예비 용량에 도달할 때, 그 방법은 추가적으로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최소 상태의 충전값(minimal state of charge value)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최소 상태의 충전값은 충전의 1% 상태이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배터리의 모니터링된 전압이 미리 결정된 종단 전압 이하의 미리 결정된 수의 일시적 강하들(transient dips)을 갖는 경우, 시스템은 배터리로부터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인출된 전력을 감소시킨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배터리로부터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인출된 전력을 감소시키는 것은, 화면 밝기(brightness)를 감소시키는 것, 스피커 볼륨을 감소시키는 것, 및 라디오 트랜시버(radio transceiver)를 셧다운시키는 것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저전력 사용 상태로 두는 것은,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셧다운 상태로 두는 것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미리 결정된 예비 용량은 배터리의 2% 충전상태와 배터리의 4% 충전상태 사이이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및 랩탑 컴퓨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도 1a는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를 모니터링하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도 1b는 실시예의 동작의 설명을 돕기 위해 서로의 상부(top)에 겹쳐진, 두 가지 예시적인 배터리의 충전 상태 그래프들을 도시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 내의 배터리를 모니터링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면들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도면 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의 설명은 임의의 당업자가 실시예들을 제조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제시되고,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그 요건의 맥락에서 제공된다. 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실시예들 및 애플리케이션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원에 개시된 원리들 및 특징들에 부합하는 최대의 범위가 부여될 것이다.
본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데이터 구조들 및 코드는 통상적으로, 컴퓨터 시스템용 코드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디바이스 또는 매체일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상에 저장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들, 자기 테이프, CD들(컴팩트 디스크들), DVD들(디지털 다기능 디스크들 또는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들)과 같은 자기 및 광학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현재 알려지거나 이후에 개발될, 코드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세한 설명부에 기술된 방법들 및 프로세스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 코드 및/또는 데이터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이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상에 저장된 코드 및/또는 데이터를 판독하고 실행하면, 컴퓨터 시스템은 데이터 구조들과 코드로서 구현되고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내에 저장된 방법들 및 프로세스들을 수행한다.
또한, 본원에 기술된 방법들 및 프로세스들은 하드웨어 모듈들 또는 장치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듈들 또는 장치는,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SIC: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특정 시점에 특정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코드의 일부를 실행하는 전용 또는 공유 프로세서, 및/또는 현재 알려지거나 이후에 개발될 다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하드웨어 모듈들 또는 장치가 활성화될 때, 그것들은 그것들에 포함된 방법들 및 프로세스들을 수행한다.
도 1a는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를 모니터링하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는 배터리 모니터링 유닛(BMU; 104)에 연결되고, 전류 감지 저항기(108)를 통해 시스템(106)에 연결되는 배터리(102)를 포함한다. BMU(104)는 통신 링크(110)를 통해 시스템(106)과 통신하고, BMU(104)는 배터리 가스 게이지(112)를 포함한다.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는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랩탑 컴퓨터, 또는 임의의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 배터리에 의해 전력 공급되는 임의의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다. 배터리(102)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전력 공급 가능한 임의의 유형의 배터리일 수 있고, 임의의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배터리(102)는 둘 이상의 별도의 배터리 및/또는 배터리 셀을 포함한다.
BMU(104)는 배터리(102)의 전압 및 전류 감지 저항기(108)를 통해 배터리(102)에서 흘러나오는 전류를 모니터링한다. BMU(104)는 시스템(106)으로부터의 별도의 프로세서 또는 동일한 프로세서 상에서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BMU(104)와 시스템(106)은, 휘발성 메모리(도시되지 않음)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의 다른 리소스들을 공유할 수 있다. 시스템(106)은, 도 1a에 별도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의 모든 다른 기능부들을 나타낼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배터리 가스 게이지(112)는 배터리(102)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배터리(102)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임의의 프로세스나 메커니즘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배터리 가스 게이지(112)는, 배터리(102)의 전압, 배터리(102)로부터 인출된 전류, 배터리(102)의 배터리 화학 및 사이클링 이력(chemistry and cycling history), 및 배터리(102)와 유사한 배터리들에 기초하는 성능 데이터를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 정보를 사용한다. 또한, 배터리 가스 게이지(112)는 배터리(102)에 대한 미리 결정된 예비 용량을 나타내는 값을 저장한다. 미리 결정된 예비 용량은,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의 사용자 또는 제조업자에 의해 입력된 미리 결정된 값일 수 있거나, 배터리 가스 게이지(112)에 의한 배터리(102)의 충전 상태의 모니터링에 있어, 잠재적 부정확성을 고려하기 위해 버퍼로서 배터리 가스 게이지(112)에 의해 계산되고 입력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미리 결정되고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값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미리 결정된 예비 용량은 BMU(104) 또는 시스템(106)과 같은,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 내의 다른 곳에 저장된다.
동작 동안,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는 배터리(102)에 의해 전력 공급된다. 전력이 배터리(102)에서 인출될 때, 배터리 가스 게이지(112)는 배터리(102)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BMU(104)는 시스템(106)에게 배터리 가스 게이지(112)에 의해 모니터링된 충전 상태에서 미리 결정된 예비 용량을 뺀 것을 전달한다. 시스템(106)은 모니터링된 배터리(102)의 충전 상태에서 미리 결정된 예비 용량을 뺀 것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정보는, 배터리(102) 충전의 풀 상태(full state)의 백분율 또는 배터리(102) 충전의 풀 상태(full state)에서 미리 결정된 예비 용량을 뺀 것의 백분율, 또는 배터리(102) 충전의 상대적인 상태를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의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형식으로서 디스플레이된다.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가 배터리(102)로부터 전력을 계속 인출하게 되면, 결국 배터리 가스 게이지(112)에 의해 모니터링된 배터리(102)의 충전 상태는 미리 결정된 예비 용량과 같거나 그 이하가 될 때까지 떨어질 것이다. 이 수준에 도달하면, BMU(104)는 배터리(102)의 충전 상태가 1%임을 통신 링크(110)를 통해 시스템(106)에 전달한다. BMU(104)는 본 발명에서 벗어나지 않고 배터리(102) 충전의 임의의 최소 상태를 나타내는 값을 시스템(106)에 전달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컨대, BMU(104)는 시스템(106)에게 배터리(102)의 충전 상태가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의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0%보다 높은 가장 낮은 충전 상태임을 전달할 수 있다.
그 후 BMU(104)는 배터리(102)의 전압을 모니터링하고, BMU(104)에 의해 배터리(102)로부터 측정된 전압이 미리 결정된 종단 전압에 도달할 때까지 배터리(102)의 충전 상태는 1%임을 통신 회선(110)을 통해 시스템(106)에 계속 전달한다. BMU(104)는, 배터리(102)로부터 측정된 전압이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종단 전압에 도달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종단 전압 이하인 일시적 전압 강하들의 수, 지속 기간, 또는 주파수, 또는 미리 결정된 종단 전압 이하의 정상 상태 또는 지속성 전압 측정.
또한, 몇몇 실시예들에서, BMU(104)가 미리 결정된 종단 전압 또는 몇몇 다른 미리 결정된 문턱 전압 이하의 하나 이상의 일시적 전압 강하를 측정하는 경우, BMU(104)가 배터리(102)로부터의 전압이 미리 결정된 종단 전압에 도달한 것으로 판정하기 전에, BMU(104)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의 하나 이상의 리소스들에 의해 인출된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통신 링크(110)를 통해 시스템(106)에게 신호를 보낸다. 예컨대, BMU(104)가 시스템(106)에게 배터리(104)로부터의 전압의 미리 결정된 수의 일시적 전압 강하들이 미리 결정된 종단 전압 이하라고 전달한 후에, 시스템(106)은 다음 작업들 중 하나 이상을 통하여 배터리(102)로부터 인출된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화면의 밝기를 감소시킴, 스피커의 볼륨을 감소시킴, 또는 라디오 트랜시버와 같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셧다운함.
또한, BMU(104)가 수, 주파수, 또는 지속 시간에서 다른 미리 결정된 문턱값들을 초과하는, 미리 결정된 종단 전압 이하의 더 많은 일시적인 전압 강하들을 측정함에 따라, BMU(104)는 시스템(106)에게 통신 링크(110)를 통해 화면의 밝기, 또는 스피커의 볼륨을 더욱 감소시키거나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의 하나 이상의 다른 리소스들을 셧다운하는 것과 같은 추가의 조치들을 취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시스템(106)은 또한 취해지고 있는 조치들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의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BMU(104)가 배터리(102)의 전압이 미리 결정된 종단 전압에 도달한 것으로 판정하면, BMU(104)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가 저전력 사용 상태로 갈 수 있게 하는 신호를, 통신 링크(110)를 통해 시스템(106)에게 전달한다. 저전력 사용 상태는 최대 절전(hibernate) 상태, 셧다운 상태, 또는 배터리(102)로부터 인출되는 추가의 전력을 최소화시키거나 중지시키는 임의의 다른 상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이 신호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가 셧다운되어야 함을 시스템(106)에게 나타내는 플래그를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미리 결정된 종단 전압은,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의 제조업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고,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가, 배터리(102)로부터 인출되는 추가의 전력을 최소화시키거나 중지시키는 저전력 사용 상태로, 질서 정연하고 데이터 손실 또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 상의 다른 잠재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 없이, 들어갈 수 있도록 하기에 충분하도록 선택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예컨대, 심지어 높은 부하 작동 조건에서도, 배터리(102)로부터의 전압이 저전압(brownout voltage)에 도달하기 전에,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가 질서 정연하게 셧다운될 수 있도록, 종단 전압은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에 대한 저전압 위로 충분히 높게 선택될 수 있다.
도 1b는 실시예의 동작의 설명을 돕기 위해 서로의 상부에 겹쳐진, 두 가지 예시적인 배터리의 충전 상태 그래프들을 도시한다. 그래프의 세부 사항들을 강조하는 것을 돕기 위해 도 1b의 축들은 일정한 비례로 도시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나의 그래프는 디스플레이된 충전 상태 대 배터리 용량 곡선(122)을 묘사하고, 도 1b의 좌측 상의 수직 축을 디스플레이된 충전 상태(126)로 사용하는 반면, 다른 그래프는 배터리 전압 대 배터리 용량 곡선(124)을 묘사하고, 도 1b의 우측 상의 수직 축을 배터리 전압(128)으로 사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의 동작 동안, 전력이 배터리(102)로부터 빠져 나감에 따라, 배터리 가스 게이지(112)에 의해 결정된 충전 상태에서 미리 결정된 예비 용량을 뺀 것은,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BMU(104)에 의해 시스템(106)에게 보고된다. 이것은 디스플레이된 충전 상태 대 배터리 용량 곡선(122)에 의해 묘사된다.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가 배터리(102)로부터 전력을 계속 인출함에 따라, 배터리 가스 게이지(112)에 의해 모니터링된 배터리(102)의 충전 상태는, 미리 결정된 예비 용량과 동일해질 때까지 계속 떨어질 것이다. 도 1b에 묘사된 실시예들에서, 시스템(106)은 최소 충전 상태(예컨대 이 실시예에서는 1%)보다 낮은 배터리(102)의 충전 상태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최소 충전 상태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가 저전력 사용 상태로 들어가기 시작할 때까지 디스플레이된다.
배터리 가스 게이지(112)가 배터리(102)의 충전 상태가 미리 결정된 예비 용량과 동일한 수준으로 감소되었다고 판정하면, BMU(104)는 배터리(102)의 충전 상태가 1%인 것을 시스템(106)에 계속 보고한다. 그 후 BMU(104)는 배터리 전압 대 배터리 용량 곡선(124)에 묘사된 바와 같이 배터리(102)의 전압을 모니터링한다.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가 배터리(102)로부터 전력을 계속 빠져 나가게 함에 따라, 배터리(102)의 전압은 종단 전압(134)에 도달할 때까지 떨어진다. 이렇게 되면, BMU(104)는 통신 링크(110)를 통해 시스템(106)에게, 배터리(102)로부터 추가의 전력이 인출되는 것을 중단시키는 상태로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가 들어 가도록 하는 셧다운 신호를 전달한다. 편의를 위해, 우측 축 배터리 전압(128) 상의 종단 전압(134)은 디스플레이된 충전 상태(126) 축 상의 0%와 일렬로 묘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터리(102)의 전압이 종단 전압에 도달하는 시점과, 배터리 가스 게이지(112)가 배터리(102)의 충전 상태가 미리 결정된 예비 용량(예컨대 디스플레이된 충전 상태(126) 축 상의 0%)과 동일하다고 판정하는 시점 사이의, 배터리(102)의 충전 상태는 예비 충전 상태(132)에 의해 나타나고,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에 의해 사용 가능하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내의 배터리를 모니터링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우선,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내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SOC: state of charge)가 모니터링된다(단계 202). 그 후 SOC가 미리 결정된 예비 용량 이하가 아니라면(단계 204), 프로세스는 단계 202로 되돌아 간다. SOC가 미리 결정된 예비 용량 이하라면(단계 204), 프로세스는 SOC가 1%와 동일하다고 보고한다(단계 206). 배터리 전압은 모니터링되고(단계 208), 만약 종단 전압 이하가 아니라면(단계 210), 프로세스는 단계 208로 되돌아 간다. 모니터링된 배터리 전압이 종단 전압 이하라면(단계 210),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는 셧다운된다(단계 212).
다양한 실시예들의 전술한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의 목적으로만 제시되었다. 그것들은 개시된 형태로 본 발명을 배제하거나 국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많은 수정과 변형이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또한, 상기 개시는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Claims (26)

  1.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내의 배터리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배터리가 상기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powering)하는 동안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면서,
    상기 충전 상태가 미리 결정된 예비 용량(reserve capacity)을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충전 상태를 계속 모니터링하고,
    상기 충전 상태가 상기 미리 결정된 예비 용량 이하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에서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모니터링하는 것으로 전환하는(switching) 단계; 및
    상기 배터리가 상기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는 동안 상기 전압을 모니터링하면서,
    상기 모니터링된 전압이 미리 결정된 종단 전압 이하인 경우 상기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셧다운 상태 및 최대 절전(hibernation) 상태 중 하나의 상태로 놓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종단 전압은 상기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저전압(brownout voltage) 보다 높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배터리 가스 게이지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상기 미리 결정된 예비 용량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최소 충전 상태 값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충전 상태 값은 1% 충전 상태인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예비 용량은 상기 배터리의 2% 충전 상태와 상기 배터리의 4% 충전 상태 사이에 있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및 랩탑 컴퓨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0.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내의 배터리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상기 배터리에 결합되는 충전 상태 모니터링부 - 상기 충전 상태 모니터링부는, 상기 배터리가 상기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는 동안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면서, 상기 충전 상태가 미리 결정된 예비 용량을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충전 상태를 계속 모니터링하고, 상기 충전 상태가 상기 미리 결정된 예비 용량 이하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에서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모니터링하는 것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됨 - ;
    상기 배터리 및 상기 충전 상태 모니터링부에 결합되는 전압 모니터링부 - 상기 전압 모니터링부는, 상기 충전 상태가 상기 미리 결정된 예비 용량 이하인 것으로 확인되는 동안 상기 전압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됨 - ; 및
    상기 배터리 및 상기 전압 모니터링부에 결합되는 배터리 사용 제어부 - 상기 배터리 사용 제어부는, 상기 모니터링된 전압이 미리 결정된 종단 전압 이하인 경우, 상기 모니터링된 전압이 제1 기준을 만족한다면 상기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가 동작하는 것을 유지하면서 상기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배터리로부터 인출되는 전력을 감소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액션을 실행하고, 상기 모니터링된 전압이 제2 기준을 만족한다면 상기 전압 모니터링부에 의해 모니터링된 상기 전압이 상기 미리 결정된 종단 전압에 도달할 때 상기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셧다운 상태 및 최대 절전 상태 중 하나의 상태로 놓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하고,
    상기 종단 전압은 상기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저전압 보다 높은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상태 모니터링부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배터리 가스 게이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상태 모니터링부에 결합되고, 상기 충전 상태 모니터링부에 의해 모니터링된 상기 충전 상태가 상기 미리 결정된 예비 용량에 도달하는 경우에 상기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최소 충전 상태 값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최소 충전 상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충전 상태 값은 1% 충전 상태인 디바이스.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예비 용량은 상기 배터리의 2% 충전 상태와 상기 배터리의 4% 충전 상태 사이에 있는 디바이스.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및 랩탑 컴퓨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19.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내의 배터리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배터리가 상기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는 동안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면서,
    상기 충전 상태가 미리 결정된 예비 용량을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충전 상태를 계속 모니터링하고,
    상기 충전 상태가 상기 미리 결정된 예비 용량 이하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에서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모니터링하는 것으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배터리가 상기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는 동안 상기 전압을 모니터링하면서,
    상기 모니터링된 전압이 미리 결정된 종단 전압 이하인 경우,
    상기 모니터링된 전압이 제1 기준을 만족한다면 상기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가 동작하는 것을 유지하면서 상기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배터리로부터 인출되는 전력을 감소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액션을 실행하고,
    상기 모니터링된 전압이 제2 기준을 만족한다면 상기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셧다운 상태 및 최대 절전 상태 중 하나의 상태로 놓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종단 전압은 상기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저전압 보다 높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배터리 가스 게이지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배터리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전력을 감소시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션은, 화면 밝기(brightness)를 감소시키는 것, 스피커 볼륨을 감소시키는 것, 및 라디오 트랜시버(radio transceiver)를 셧다운시키는 것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은, 상기 모니터링된 전압의 상기 미리 결정된 종단 전압 이하의 일시적 전압 강하들(transient voltage dips)의 빈도(frequency)가 상기 미리 결정된 종단 전압 이하의 일시적 전압 강하들의 미리 결정된 빈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준은, 상기 모니터링된 전압의 정상 상태(steady-state) 전압 측정이 상기 미리 결정된 종단 전압 이하인지 여부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KR1020147006475A 2011-09-12 2012-08-17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내의 배터리 모니터링 KR1016359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33717P 2011-09-12 2011-09-12
US61/533,717 2011-09-12
US13/363,213 2012-01-31
US13/363,213 US9307495B2 (en) 2011-09-12 2012-01-31 Monitoring a battery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PCT/US2012/051290 WO2013039646A1 (en) 2011-09-12 2012-08-17 Monitoring a battery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7324A Division KR101770933B1 (ko) 2011-09-12 2012-08-17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내의 배터리 모니터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6069A KR20140046069A (ko) 2014-04-17
KR101635924B1 true KR101635924B1 (ko) 2016-07-04

Family

ID=4782926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6475A KR101635924B1 (ko) 2011-09-12 2012-08-17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내의 배터리 모니터링
KR1020167017324A KR101770933B1 (ko) 2011-09-12 2012-08-17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내의 배터리 모니터링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7324A KR101770933B1 (ko) 2011-09-12 2012-08-17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내의 배터리 모니터링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9307495B2 (ko)
EP (1) EP2756715B1 (ko)
KR (2) KR101635924B1 (ko)
CN (1) CN103718618B (ko)
AU (2) AU2012309049B2 (ko)
TW (1) TWI505082B (ko)
WO (1) WO20130396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63913B2 (en) * 2012-07-06 2016-02-16 Blackberry Limited Controlling current draw
WO2014204649A1 (en) * 2013-06-18 2014-12-24 Rocketship, Inc. Battery management system
JP5961767B2 (ja) * 2013-10-25 2016-08-02 ▲華▼▲為▼終端有限公司Huawei Device Co., Ltd. シャットダウン閾値電圧を調整するための方法、スタートアップ方法、およびそれらの電子デバイス
KR102257902B1 (ko) 2014-07-29 2021-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종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팩 및 그 충전 방법
US20160064961A1 (en) * 2014-09-02 2016-03-03 Apple Inc. User-behavior-driven battery charging
CN104301547B (zh) 2014-10-15 2016-03-02 深圳市中兴移动通信有限公司 电池电量的管理方法和移动终端
CA2967222C (en) 2014-11-12 2023-10-31 Rinat Neuroscience Corp. Inhibitory chimeric antigen receptors
US10345383B2 (en) * 2015-07-07 2019-07-09 Hand Held Products, Inc. Useful battery capacity / state of health gauge
CN105916195A (zh) * 2016-05-31 2016-08-3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智能功放外放的方法和装置
US10237830B1 (en) 2017-08-31 2019-03-19 Google Llc Dynamic battery power management
US10913325B2 (en) 2017-09-22 2021-02-09 Thermo King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unit shutdown based on system operational parameters
TWI672586B (zh) * 2017-11-10 2019-09-21 威剛科技股份有限公司 應用於智慧型機器人的省電系統及其省電方法
CN110191215B (zh) * 2019-01-18 2021-03-02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终端及处理方法
US11275119B2 (en) * 2019-09-13 2022-03-15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Methods and system for a battery
TWI833086B (zh) * 2021-05-31 2024-02-2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供電控制方法及其相關可攜式電子裝置
US11962179B2 (en) * 2021-06-22 2024-04-16 Zebra Technologies Corporation Control of a display panel of a barcode reader to indicate a battery leve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17685A1 (en) * 2003-05-29 2005-01-27 Glynne Rees Battery life monitor and battery state of charge monitor
US20050237024A1 (en) * 2004-04-23 2005-10-27 Masaki Hogari Method of charging secondary battery, method of calculating remaining capacity rate of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EP1098202B1 (en) 1999-11-05 2006-02-15 GE Medical Systems Information Technologies, Inc. Dual-mode fuel gauge for display in battery-powered equipment
US20100088051A1 (en) * 2006-11-30 2010-04-08 Panasonic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battery, and battery remaining capacity display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5083A (en) * 1989-08-25 1991-11-12 Staodyn, Inc. Microprocessor controlled electronic stimulating device having a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for
JPH0587896A (ja) * 1991-09-30 1993-04-06 Pfu Ltd バツテリ残量検出・補正方式
US6643527B2 (en) 1992-02-27 2003-11-04 Fujitsu Limited Power switching unit of a portable telephone capable of monitoring and controlling a battery supply voltage thereof
IL113477A0 (en) * 1995-04-25 1995-07-31 Yaffe Yacob A device for warning when a vehicle battery has almost ended its ability to start the motor
JP3017102B2 (ja) 1996-09-09 2000-03-06 日本電気移動通信株式会社 電池残量表示装置
US6107985A (en) * 1997-10-30 2000-08-22 Ericsson Inc. Backlighting circuits including brownout detection circuits responsive to a current through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and related methods
US6967647B2 (en) * 2003-01-02 2005-11-22 Fujitsu Limite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brightness of portable information device, and portable information device
CN1519855A (zh) * 2003-01-22 2004-08-11 捷诚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省电模式的存储器装置及具有省电模式的存储器的电子装置
JP3925507B2 (ja) * 2004-04-23 2007-06-06 ソニー株式会社 二次電池の充電方法および電池パック
US8286013B2 (en) * 2004-07-01 2012-10-09 Broadcom Corporatio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multi-tiered power save operation
US7848527B2 (en) 2006-02-27 2010-12-07 Apple Inc. Dynamic power management in a portable media delivery system
PL2010988T3 (pl) * 2006-04-24 2018-10-31 Nokia Technologies Oy Układ i sposób zarządzania i sterowania komunikacją bliskiego zasięgu dla mobilnego urządzenia wielofunkcyjnego, gdy urządzenie jest nienaładowane lub tylko częściowo naładowane
JP2010239817A (ja) * 2009-03-31 2010-10-21 Brother Ind Ltd 情報表示装置
TWI460959B (zh) * 2009-05-15 2014-11-11 Dynapack Internat Technology Corp Charging system of battery module and charging method thereof
JP2011223862A (ja) * 2010-03-25 2011-11-04 Sanyo Electric Co Ltd 移動体の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これを搭載した移動体
US8531160B2 (en) * 2010-08-11 2013-09-10 A123 Systems, Inc. Rechargeable battery management
US8450978B2 (en) * 2010-08-27 2013-05-2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onitoring a rechargeable battery with multiple parameter update rates
KR101829834B1 (ko) * 2010-08-31 2018-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
US9052368B2 (en) * 2010-12-15 2015-06-09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Negative peak voltage detection for enhanced FuelGauge empty voltage prediction
CN102074990A (zh) * 2011-01-18 2011-05-25 厦门马思特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太阳能系统及其充放电控制方法
TWM406785U (en) * 2011-01-21 2011-07-01 Shin Kong Aerotech Internat Co Ltd Portable device with power indication function and system for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98202B1 (en) 1999-11-05 2006-02-15 GE Medical Systems Information Technologies, Inc. Dual-mode fuel gauge for display in battery-powered equipment
US20050017685A1 (en) * 2003-05-29 2005-01-27 Glynne Rees Battery life monitor and battery state of charge monitor
US20050237024A1 (en) * 2004-04-23 2005-10-27 Masaki Hogari Method of charging secondary battery, method of calculating remaining capacity rate of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US20100088051A1 (en) * 2006-11-30 2010-04-08 Panasonic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battery, and battery remaining capacity display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6069A (ko) 2014-04-17
AU2016200510A1 (en) 2016-02-18
AU2016200510B2 (en) 2017-06-01
US9307495B2 (en) 2016-04-05
US9831701B2 (en) 2017-11-28
CN103718618B (zh) 2018-03-30
EP2756715A1 (en) 2014-07-23
TWI505082B (zh) 2015-10-21
AU2012309049B2 (en) 2015-10-29
KR101770933B1 (ko) 2017-08-23
TW201329694A (zh) 2013-07-16
KR20160081993A (ko) 2016-07-08
AU2012309049A1 (en) 2014-01-16
CN103718618A (zh) 2014-04-09
US20130063097A1 (en) 2013-03-14
EP2756715B1 (en) 2017-09-27
US20160172879A1 (en) 2016-06-16
WO2013039646A1 (en) 201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5924B1 (ko)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내의 배터리 모니터링
US20160064961A1 (en) User-behavior-driven battery charging
US8415926B2 (en) In-situ battery health detector and end-of-life indicator
US8198856B2 (en) Electronic apparatus, charging method therefor, and battery
US20130257382A1 (en) Managing Cycle and Runtime in Batterie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20110267007A1 (en) Discharge method for a battery pack
EP2568564A1 (en) Battery charge/discharg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5119307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の充電制御方法
EP3546961B1 (en) Battery leakage current detection method, device and circuit
JP2006304548A (ja) 充電制御装置
CN112098864B (zh) 漏电流检测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9774062B2 (en) Storage battery, control method of storage battery,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JPWO2011013248A1 (ja) 残量表示プログラム、残量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23535441A (ja) バッテリ抵抗算出装置および方法
US20140019790A1 (en) Monitoring a battery in an electronic device
CN116560485A (zh) 智能终端设备的电源管理方法及系统
KR102107731B1 (ko) 배터리 원격제어 및 관리시스템과 그 운용방법
KR101342529B1 (ko) 전력 저장 장치의 제어기, 제어 방법 및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US9360530B2 (en) Method and system for energy storage capacity estimation of battery cells
US20150028880A1 (en) Electronic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WO2023272423A1 (en) Reserve battery capacity determinations
US20160294194A1 (en) Power supply device, power supply method, control device, and program
WO2023197685A1 (zh) 充电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11083154A (ja) 携帯電話等の携帯情報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