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5702B1 - P2p 연결을 기초로 클라이언트 노드에 서비스하는 서비스 인프라스트럭처 - Google Patents

P2p 연결을 기초로 클라이언트 노드에 서비스하는 서비스 인프라스트럭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5702B1
KR101635702B1 KR1020150009271A KR20150009271A KR101635702B1 KR 101635702 B1 KR101635702 B1 KR 101635702B1 KR 1020150009271 A KR1020150009271 A KR 1020150009271A KR 20150009271 A KR20150009271 A KR 20150009271A KR 101635702 B1 KR101635702 B1 KR 101635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service
connection
service node
rem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9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6822A (ko
Inventor
치밍 쿠오
유리 카오
Original Assignee
드룽텍 시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4/205,393 external-priority patent/US9774669B2/en
Application filed by 드룽텍 시오., 엘티디. filed Critical 드룽텍 시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50106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6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42Peer-to-peer [P2P] networks using topology management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87Peer-to-peer [P2P] networks using cross-functional networking aspects
    • H04L67/1091Interfacing with client-server systems or between P2P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 노드에 서비스하는 인프라스트럭처에 관한 것으로, 이 인프라스트럭처는 다수의 제1 서비스노드; 다수의 제2 클라이언트 노드; 및 노드들 사이에 연결을 하도록 하는 연결정보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계서버를 포함하고, 각각의 서비스노드는 P2P 연결 각각을 통해 다수의 제2 클라이언트 노드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 서비스를 제공하며, 다수의 제1 서비스노드들 중의 제1 서비스노드는 클라이언트로 기능하여 제2 서비스노드로부터 서비스를 받는다.

Description

P2P 연결을 기초로 클라이언트 노드에 서비스하는 서비스 인프라스트럭처{SERVICE INFRASTRUCTURE FOR SERVING CLIENT NODES BASED ON P2P CONNECTIONS}
본 발명은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P2P(point to point) 연결을 이용한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P2P 네트웍은 연결성을 염두에 둔 플랫폼을 구축할 때 점점더 중요한 기술이 되고있다. 그러나, 네트웍 셋업의 복잡성을 걱정하지 않고 노드 사이에 P2P 연결을 어떻게 설정하고 모든 클라이언트 장치들에 제공되는 서비스를 어떻게 극대화하는가는 여전히 큰 문제이다. 본 발명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인프라스트럭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P2P 연결을 이용해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서비스하는 통합 인프라스트럭처를 제공하는데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 노드들에 서비스하는 인프라스트럭처에 관한 것으로, 이 인프라스트럭처는 P2P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ID를 각각 갖는 다수의 서비스노드; 및 노드들 사이에 연결을 하도록 하는 연결정보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계서버를 포함하고, 첫번째 서비스노드와 두번째 서비스노드의 ID가 연계서버에 등록되고, 다수의 서비스노드들이 P2P 연결 각각을 통해 클라이언트 노드에 서비스를 제공하며, 다수의 서비스노드들 중의 첫번째 서비스노드와 두번째 서비스노드 사이에 P2P 연결이 설정된다.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 노드들에 서비스하는 인프라스트럭처에 관한 것으로, 이 인프라스트럭처는 다수의 서비스노드; 및 노드들 사이에 연결을 하도록 하는 연결정보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계서버를 포함하는데, 각각의 서비스노드가 P2P 연결 각각을 통해 클라이언트 노드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 서비스를 제공하며, 다수의 서비스노드들 중의 첫번째 서비스노드는 클라이언트 노드로 기능하여 두번째 서비스노드로부터 서비스를 받는다.
이런 인프라스트럭처에서, 두번째 서비스노드의 ID가 연계서버에 등록되는데, 첫번째 서비스노드는 연계서버와 통신하여, 연계서버가 제공한 연결정보에 따라 첫번째 서비스노드와 두번째 서비스노드 사이에 P2P 연결을 설정한다.
또, 첫번째 서비스노드의 ID가 연계서버에 등록되는데, 첫번째 클라이언트 노드가 연계서버와 통신하여, 연계서버가 제공한 연결정보에 따라 첫번째 서비스노드에 P2P 연결을 설정한다.
본 발명은 프로세서와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기도 한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때 다수의 클라이언트 노드 각각에 P2P 연결을 설정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이 모듈에 들어있고; 이 전자장치는 첫번째 서비스노드처럼 기능하여 클라이언트 노드에 서비스를 제공하며; 두번째 서비스노드와 P2P 연결을 설정하여 전자장치가 클라이언트 노드처럼 기능하여 두번째 서비스노드로부터 서비스를 받기도 한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정보통신 시스템의 아키텍처를 보여주는 제1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정보통신 시스템의 아키텍처를 보여주는 제2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정보통신 시스템의 아키텍처를 보여주는 제3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정보통신 시스템의 아키텍처를 보여주는 제4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정보통신 시스템의 아키텍처를 보여주는 제5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정보통신 시스템의 아키텍처를 보여주는 제6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정보통신 시스템의 아키텍처를 보여주는 제7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라 원격장치를 다수의 연계서버 그룹에 등록하는 것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계서버와 관리서버의 연결과 동작의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장치와 연계서버의 연결과 동작의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근접장치와 원격장치의 연결과 동작의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IOTC의 아키텍처를 보여주는 도면;
도 13A~D는 본 발명에 따른 집적회로의 블록도;
도 14A~B는 본 발명에 따라 P2P 연결을 설정할 때의 2개 연결장치의 블록도;
도 15는 클라이언트 노드에 서비스하는 인프라스트럭처;
도 16은 집적 서비스노드의 블록도.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이 설명은 예를 든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은 원격 정보통신 시스템과 그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원격 정보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원격장치, 관리서버, 및 적어도 하나의 연계서버를 포함한다. 원격 정보통신 시스템에서 적어도 하나의 근접장치와 원격장치 사이의 링크설정을 근접장치가 요청한다. 원격 정보통신 시스템의 연결방법은 아래 단계들을 포함한다: A. 적어도 하나의 원격장치가 인터넷을 통해 원격장치를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계서버의 어드레스를 제공할 것을 관리서버에 요청; B. 원격장치가 관리서버가 제공한 어드레스에 따라 연계서버에 정보를 등록; C. 근접장치가 인터넷을 통해 특정 원격장치를 찾을 것을 관리서버에 요청; D. 관리서버가 연계서버의 어드레스에 응답해 특정 원격장치를 근접장치에 등록; E. 응답된 어드레스에 따라 특정 원격장치와의 링크를 설정하도록 근접장치가 연계서버에 요청; F. 근접장치의 요청에 따라 연계서버가 근접장치와 특정 원격장치 사이에 링크를 설정. 본 발명은 이런 특징을 갖는다: 연계서버와 원격장치가 도메인명이나 IP를 공중에 오픈할 필요가 없음; 모든 근접장치가 특정 원격서버를 찾을 것을 관리서버에 요청할 수 있음; 관리서버가 근접장치에 연계서버의 IP 제공; 근접장치가 근접장치와 원격장치 사이에 링크를 설정하도록 연계서버에 요청. 따라서, 연계서버나 원격장치가 해커의 침입을 당할 가능성이 줄어든다. 또, 근접장치가 고정 IP를 갖거나 고정 IP나 도메인명을 기억할 필요도 없다. 따라서, 근접장치의 유저는 링크에 관한 많은 기술적 문제점들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이런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실제 원격 정보통신 시스템을 예로 드는데, 이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관리서버, 적어도 하나의 연계서버 및 적어도 하나의 원격장치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정보통신 시스템의 아키텍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관리서버(11,12)는 서로를 백업하는 관리서버 그룹(1)을 구성한다. 관리서버(11,12) 각각은 장치 리스트와 서버 리스트를 저장한다. 장치 리스트는 등록이 허용된 다수의 원격 장치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서버 리스트는 다수의 연계서버의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여러 서비스 제공자들에 의해 관리되는 다수의 연계서버들이 서버 리스트에 포함된다. 서버 리스트는 여러 종류의 장치들을 지원하는 다수의 연계서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서버 리스트가 여러 지리적 장소들에 분산된 다수의 연계서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 리스트와 서버 리스트는 서로간에 매핑 관계를 갖는다. 도 1에서 보듯이, 원격 정보통신 시스템은 2개의 연계서버(201,211)를 갖는다. 연계서버(201,202)는 각각 다른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관리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계서버(201,202)는 서로를 백업하는 연계서버 그룹 A(20)를 구성하고, 연계서버(211,212)도 서로를 백업하는 연계서버 그룹 B(21)를 구성한다. 설명의 편의상, 관리서버 그룹(1), 연계서버 그룹 A(20) 및 연계서버 그룹 B(21)를 이후 연계된 표적들의 서버를 표현하는데 사용한다. 원격 정보통신 시스템은 원격장치 A(31), 원격장치 B(32) 및 원격장치 C(33)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장치 리스트는 원격장치들의 정보를 저장한다. 원격장치 A~C(31~33)는 각각 고유 ID를 갖는다. 원격장치 A~C(31~33)를 관리하는 서비스 제공자의 정보는 관리서버 그룹(1)의 장치리스트에 사전에 저장된다. 연계서버 그룹 A(20), 연계서버 그룹 B(21), 원격장치 A~C(31~33)가 인터넷에 접속되면, 연계서버 그룹 A~B(20,21)가 인터넷을 통해 관리서버 그룹(1)에 서버등록정보(92)를 전송하여 IP와 컨피그레이션(예; 사양, 연계상태 등)을 등록한다. 이어서, 관리서버 그룹(1)은 연계서버 그룹 A~B(20,21)가 서버리스트에 저장되어 있는 적격 서버인지를 확인한다. 적격서버이면 관리서버 그룹(1)은 등록이 되어있는 연계서버 그룹 A~B(20,21)에 각각 반응한다. 원격장치 A, B 또는 C가 이들을 지원할 수 있는 서버를 찾고자할 때는 연계서버 요청정보(91)를 인터넷을 통해 관리서버 그룹(1)에 전송한다. 이어서, 관리서버 그룹(1)은 원격장치 A, B 또는 C가 장치리스트에 저장되어 있는 적격 장치인지를 확인하고, 적격장치라면 관리서버 그룹(1)이 연계된 표적들을 반응시킨다.
실제로는 연계서버 그룹 A~B(20,21)가 각각 다른 서비스제공자의 관리를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관리서버 그룹(1)이 연계서버 그룹 A(20)에 원격장치 A(31)를 할당하고, 연계서버 그룹 A는 원격장치 A(31)를 지원하는 서비스 제공자의 관리를 받는다. 마찬가지로, 관리서버 그룹(1)이 연계서버 그룹 B(21)에 원격장치 B(32)와 C(33)를 할당하고, 연계서버 그룹 B는 원격장치 B(32)와 C(33)를 지원하는 서비스 제공자의 관리를 받는다. 원격장치 A~C(31~33)는 각각 다른 종류의 상품에 속하고, 관리서버 그룹(1)이 이들을 각각 연계서버 그룹 A(20)와 B(21)에 할당한다. 또, 원격장치 A~C(31~33)가 각각 다른 지리적 장소에 있고, 관리서버 그룹(1)이 이들 각각을 부근의 연계서버 그룹 A(20)나 B(21)에 할당하기도 한다.
도 2에 의하면, 연계 어드레스에 따라, 관리서버 그룹(1)은 원격장치 A(31)에 반응하고, 원격장치 A는 연계서버 그룹 A(20)에 연결되어 연계서버 그룹 A에 정보를 등록함으로써, 연계서버 그룹 A(20)가 원격장치 A(31)의 IP를 학습하도록 한다.
도 3에 의하면, 본 발명의 원격 정보통신 시스템에 하나 이상의 근접장치(4)가 연결되어 있다. 근접장치(4)를 관리서버 그룹(1)에 연결하려면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가 필요하다. 근접장치(4)는 API를 통해 특정 원격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근접장치(4)가 API를 통해 연계표적으로서 원격장치 A(31)를 선택한다고 하면, 연계표적 요청정보(94)를 API를 통해 관리서버 그룹(1)에 보내, 근접장치를 원격장치 A(31)에 연결할 어떤 연계서버 그룹을 요구한다. 관리서버 그룹(1)은 특정 원격장치 A(31)를 등록하는 연계서버 그룹 A(20)의 장소를 제공한다. API를 통해, 관리서버 그룹(1)이 근접장치(4)에 반응하는 장소에 따라 근접장치(4)가 연계서버 그룹 A(20)에 연결된다. 다음, 도 4에 의하면, 근접장치(4)는 원격장치 A(31)에 연결되기 위해 연계서버 그룹 A(20)에 연계 요청정보(95)를 보낸다. 연계서버 그룹 A(20)는 홀펀칭 기술을 사용할 우선권을 갖고, 홀펀칭 정보(960,961)를 근접장치(4)와 원격장치 A(31)에 각각 보내 근접장치(4)와 특정 원격장치 A(31) 사이에 P2P 링크(97)를 설정한다. 근접장치(4)는 P2P 링크(97)를 통해 원격장치 A(31)의 정보를 구하거나 원격장치 A를 제어할 수 있다. 홀펀칭 기술에 대해서는 미국특허공개 2009/0100309와 GB 공개 2475279를 참조한다. 홀펀칭 기술은 본 발명이 아닌 종래의 기술적 특징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의하면, 연계서버 그룹 A(20)가 홀펀칭 과정을 끝내지 않았으면 근접장치(4)와 특정 원격장치 A(31) 사이에 데이터패킷을 보낸다.
근접장치(4)는 관리서버 그룹(1)을 통하지 않고는 연계서버 그룹 A~B(20,21)의 IP들을 구할 수 없다. 따라서, 연계서버 그룹 A~B(20,21)의 IP나 기계적 사양의 변화는 근접장치(4)가 연계 표적을 찾는 것을 방해하지 못한다. 이런 특징에 의해, 연계서버 그룹의 아키텍처(예; 양, 사양, 종류 등)를 시장 수요에 맞게 바꿀 수 있다. 예컨대, 온라인으로 어떤 종류의 상품이 증가하면, 이 상품을 지원하는 연계서버를 필요한 부하용량을 충족하도록 증설할 수 있다.
도 7에 의하면, 새로운 연계서버 그룹들을 추가하거나 IP와 같은 연계정보를 바꾸거나 연계서버 그룹내의 머신 수를 바꿀 때 필요한 것은, 서버 리스트를 갱신하고 연계서버 그룹이 서버등록정보(92)를 관리서버 그룹(1)에 다시 등록하기만 하면 된다. 원격장치의 수나 종류를 바꾸거나 원격장치를 등록한 연계서버 그룹을 바꿀 때는, 장치 리스트를 업데이트하고 원격장치가 연계서버 그룹에 연계서버 그룹의 정보를 요청해야 한다.
도 7은 원격 정보통신 시스템을 확장하는 예의 블록도로서, 시스템에 원격장치 D(34)를 추가한다. 본 발명에서 지원되는 원격장치의 갯수나 어드레스는 관리서버 그룹(1)의 장치리스트를 갱신해 바꿀 수 있다. 원격장치 A~D(31~34)는 관리서버 그룹(1)에 연계서버 요청정보(91)를 다시 보내 새로 이용할 수 있는 연계서버 그룹들을 요청하고 학습할 수 있다. 도 7과 같이, 연계서버 그룹 B(21)에 새로운 연계서버(213)를 추가하고, 연계서버(221~223)로 이루어진 새로운 연계서버 그룹 C(22)를 시스템에 추가한다. 마찬가지로, 관리서버 그룹(1)의 서버리스트를 갱신하여 원격 정보통신 시스템의 연계서버의 컨텐츠를 확장한다. 본 발명에서, 원격장치나 연계서버의 양, 사양 및 종류는 서버리스트나 장치리스트를 갱신하고 관리서버 그룹(1)에 한번더 등록하기만 하면 요구에 맞춰 확장하거나 바꿀 수 있다. 따라서, 제조업자는 수요에 맞춰 시스템의 부하용량을 쉽게 바꿀 수 있다.
본 발명의 원격 정보통신 시스템에서는 동일한 원격장치를 여러 연계서버 각각에 등록할 수 있다. 도 8과 같이, 원격 정보통신 시스템은 연계서버 그룹 A, D, E(20,23,24)를 갖는다. 연계서버 그룹 D(23)는 연계서버(231,232)를 갖고, 연계서버 그룹 E(24)는 연계서버(241,242)를 갖는다. 원격장치 A(31)가 연계서버 요청정보(91)를 관리서버 그룹(1)에 보낸 뒤, 관리서버 그룹(1)은 원격장치 A(31)에 반응하여 이것을 연계서버 그룹 A, D, E(20,23,24)에 등록할 수 있다. 이런 특징에 의해, 연계서버 그룹 A, D, E(20,23,24)는 공동으로 원격장치 A(31)를 지원할 수 있다. 연계서버 그룹 A(20)가 고장나거나 오프라인이 되어도, 원격장치 A(31)를 연계서버 그룹 D(23)나 E(24)에 등록할 수 있다. 또, 원격장치 A(31)가 모바일 장치이면, 관리서버 그룹(1)이 이 원격장치 A(31)를 가장 가까운 연계서버 그룹에 할당할 수 있다.
원격장치와 연계서버 그룹 사이의 매핑관계는 표 1과 같다.
연계서버 코드 원격장치 시리얼넘버 비고


서비스제공자 A
Ser 01
Ser 02
Ser 03
D01, D02, D03, D04, D05 Ser 01 : Shanghai
Ser 02 : Tokyo
Ser 03 : LA
Ser 04
Ser 05
D06, D07, D08, D09 Ser 04 : NY
Ser 05 : Berlin
서비스제공자 B Ser 11
Ser 12
D11, D12, D13, D14 Ser 11 : Paris
Ser 12 : Cairo
원격장치와 연계서버 그룹 사이의 매핑관계
표 1의 예에서, 관리서버의 서버리스트는 서비스제공자 A가 관리하는 연계서버 Ser01~Ser05와 서비스제공자 B가 관리하는 연계서버 Ser11~Ser12를 저장한다. 원격장치 D01~05는 연계서버 Ser01~03의 레지스터에 할당된다. D01~05는 각각 원격장치의 시리얼넘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원격장치마다 고유 시리얼넘버가 있어, 관리서버나 연계서버는 원격장치를 확인하거나 인식할 수 있다. 근접장치의 요청에 의해, 연계서버 Ser01~03은 근접장치와 원격장치 D01~05 사이에 링크를 설정한다. 연계서버 Ser01~03은 기능이 같아 서로를 백업할 수 있다. 연계서버 Ser01~03은 각각 다른 지리적 장소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연계서버 Ser01~03이 상하이, 도코, LA에 각각 위치하여, 원격장치 D01~05는 가까운 연계서버에 등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원격장치 D06~09는 연계서버 Ser04~05의 레지스터에 할당되고, 원격장치 D11~14는 서비스제공자 B가 관리하는 연계서버 Ser11~12의 리지스터에 할당된다. 원격장치 D01이 인터넷에 접속하여 관리서버에 연계서버를 요청하면, 관리서버는 원격장치 D01에 연계서버 Ser01~05의 어드레스들을 제공하므로, 원격장치 D01은 언제라도 정상적인 연계서버를 찾을 수 있다.
원격 정보통신 시스템에서, 연계서버 그룹들은 서로를 백업할 수 있다. 또, 연계서버 그룹마다 다수의 연계서버가 있어, 본 발명은 멀티-백업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주 안정적이고, 오작동이 일어날 때에도 제대로 작동한다.
도 9는 연계서버와 관리서버의 동작 순서도이다. 하나 이상의 연계서버가 인터넷에 접속하거나(S01 단계) 연계서버의 IP나 포트가 바뀌면(S02 단계), 연계서버가 인터넷을 통해 관리서버에 연결되어 관리서버에 서버등록정보를 전송한다(S03 단계). 관리서버는 서버등록정보를 확인하고 연계서버가 서버리스트에 있는 적격한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S04 단계). 적격하다고 결정되면, 연계서버는 서버등록정보에 따라 서버를 갱신하고(S05 단계), 레지스터가 한 연계서버를 확인한다(S06 단계). 따라서, 연계서버는 이 확인을 받는다(S07 단계). 관리서버가 연계서버 그룹의 최신 상태를 기록하는 것을 보증하기 위해, S03 단계가 주기적으로 실행된다(S09 단계). 레지스터가 S04 단계에서 실패하면, 이 연계서버는 서버리스트에 없는 부적격 서버임을 뜻한다. 이 경우, 관리서버는 레지스터를 실패한 연계서버를 확인하고(S08 단계), 연계서버가 확인을 받는다(S07 단계).
도 10은 원격장치가 인터넷에 접속해 관리서버에게 연계서버를 제공할 것을 요청하는 과정의 순서도이다. 먼저, 원격장치가 연계서버의 어드레스를 제공하라는 요청을 관리서버에 보낸다(S11 단계). 다음, 관리서버가 이 요청이 유효한지를 검사한다(S12 단계). 요청이 유효하면 관리서버는 연계서버의 어드레스로 원격장치에 응답한다(S13 단계). 요청이 유효하지 않으면, 관리서버는 원격장치에 거절 메시지로 응답한다(S14 단계). 다음, 원격장치는 관리서버가 제공한 연계서버에 연결된다. 원격장치는 장치등록정보를 연계서버에 보내고(S15 단계), 연계서버가 장치등록정보를 받는다(S16 단계). 다음, 연계서버가 원격장치에 응답을 보낸다(S17 단계). 따라서, 연계서버는 원격장치와 통신하는데 필요한 IP와 어드레스를 학습한다. 연계서버가 원격장치에 접속할 수 있도록, 원격장치는 주기적으로 S15 단계로 돌아가 연계서버에 정보를 재전송한다(S18 단계). 이 주기는 조절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10분, 30분 또는 다른 적당한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연계서버는 원격장치의 최신 상태를 자주 학습할 수 있다. 더 긴 주기로, 원격장치가 관리서버에 주기적으로 요청하여 연계서버의 최신 어드레스와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S19 단계). 더 긴 주기는 24시간일 수 있다.
도 11은 유저가 근접장치를 이용해 원격장치에 연결하라고 요청하는 과정의 순서도이다. 유저는 근접장치의 API를 이용해 특정 원격장치를 선택하고, 근접장치는 API를 통해 특정 원격장치를 찾으라고 관리서버에 요청한다(S21 단계). 관리서버는 원격장치가 등록된 연계서버의 어드레스로 근접장치에 응답한다(S22). 따라서, 근접장치는 연계서버를 학습해 특정 원격장치에 연결할 수 있다. 다음, 근접장치는 근접장치와 원격장치 사이에 링크를 설정할 것을 연계서버에 요청한다(S23). 연계서버는 근접장치와 원격장치에 홀펀칭 과정을 실행할 우선권을 갖는다(S24). 홀펀칭 과정이 성공적이면 근접장치와 원격장치가 P2P 전송을 한다(S25). 홀펀칭 과정이 실패하면, 연계서버는 근접장치와 원격장치 사이에 데이터패킷을 보낸다(S26).
이상 설명한 기술을 통해, 원격장치와 연계서버는 IP와 도메인명을 직접 공개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해커의 침입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 근접장치는 관리서버만을 이용해 특정 원격장치가 등록된 연계서버를 찾을 수 있으면서도, 고정된 IP가 불필요함은 물론 연계서버의 IP 어드레스나 도메인명을 기억할 필요도 없다. 근접장치가 관리서버가 지원하는 API를 갖는 한, 유저는 연계서버를 찾으라고 관리서버에게 요청할 원격장치를 선택하기만 하면 된다. 관리서버 및 연계서버와의 연계와 같은 나머지 과정들은 API에 의해 자동으로 실행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작동의 복잡성을 크게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제조업자가 원격서버에 로그인하여 장치리스트와 서버리스트를 업데이트하기만 하면 제조업자가 원격장치의 수량, 사양, 종류를 바꿀 수도 있다. 즉, 제조업자는 장치의 부하에 맞게 원격장치와 연계서버의 수량, 사양 및 종류를 바꿀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원격장치는 (감시카메라, 방범시스템, 연기/화재 경보와 같은) 보안장치이거나 (냉장고나 에어컨과 같은) 가정용 전기기기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근접장치는 휴대폰, 컴퓨터, PDA처럼 AV 정보를 플레이할 수 있는 AV 플레잉 기능을 갖는 장치여야 한다.
일례로, P2P 연결을 설정하는 통신시스템은 ID를 갖는 네트웍 장치나 서비스장치; 서비스장치와 클라이언트 장치 사이의 P2P 연결을 단말기나 클라이언트 장치가 설정하도록 하는 연결정보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계서버를 포함한다. 여기서 서비스장치의 ID는 적어도 하나의 연계서버에 등록되고, 클라이언트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연계서버와 통신하면서 연계서버가 제공한 연결정보에 따라 서비스 장치와 P2P 연결을 한다. P2P가 설정되면 클라이언트 장치는 연계서버에 등록될 필요가 없다.
클라이언트 장치가 P2P 연결을 하기 전에 먼저 ID를 가질 필요가 없는데, 이는 클라이언트 장치가 ID를 갖고 P2P 연결을 위해서는 이 ID를 서버에 등록해야만 하는 종래의 기술과는 구분된다.
관리서버와 연계서버의 기능들을 하나의 연결서버로 통합할 수 있는데, 이때 서비스장치는 자체 UID를 연결서버에 등록하고, 클라이언트 장치는 그 뒤에야 연결서버와 통신하여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서비스 장치로 P2P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칙가 서비스 장치의 UID 정보를 갖는 한, 클라이언트 장치는 연결서버에 접촉해 서비스 노드에 P2P 연결을 할 수 있고, 이는 클라이언트 장치가 자체 UID를 가질 필요가 없음을 뜻한다. 필요한 서버의 갯수는 클라이언트와 서비스 장치들을 지원하는 네트웍의 규모에 달려있다.
관리서버 그룹과 연계서버 그룹 외에, 관리서버 및/또는 연계서버의 모든 고장을 보고하고 관리서버 및/또는 연계서버 사이의 부하균형을 맞추도록 백엔드 관리서버 그룹을 추가할 수 있다. 예컨대, 관리서버들 중의 하나가 고장나면, 백엔드 관리서버가 이 시나리오를 감지하고 고장난 관리서버를 향한 모든 요청들을 다른 관리서버로 돌릴 수 있다. 마찬가지로, 관리서버나 연계서버중의 하나가 과부하면, 백엔드 관리서버가 이 시나리오를 감지하고 부하균형을 위해 과부하 서버를 향한 요청의 일부를 다른 서버로 돌릴 수 있다.
API 모듈을 여러 다른 플랫폼들에 통합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IOTC(1200; Internet of Things Cross-platform)의 아키텍처를 보여준다. 애플리케이션 계층이 IOTC 플랫폼(1210)을 통한 P2P 연결을 하도록 API(1201~1206)를 통해 P2P 서비스를 요청하여 ARM, X86, MIPS 등의 여러 프로세서나 Windows, Linux, IOS, Android 등의 운용시스템으로 플랫폼들에 균일하고 통합된 솔루션을 제공한다. 또, 다른 IOTC 플랫폼과 통신하는 네트워킹 계층과, IP 캠이나 RFID와 같은 다른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센싱계층이나 디바이스 계층도 제공된다.
IC 기술의 급속 발달로, 하나의 IC에 점점더 많은 디자인이 통합될 수 있다. 이때문에, 비용절감은 물론, P2P 연결로 장치들을 연결하는 PnP(Plug and Play)도 가능하다. 도 13A는 본 발명에 따른 IC(1300)의 블록도이다. IC(1300)는 CPU(1301)나 프로세서, 및 특정 원격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IOTC API 모듈(1303)을 포함하는데, IOTC API 모듈(1303)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특정 원격장치가 등록된 연계서버의 어드레스 정보를 제공할 것을 관리서버에 요청하는 명령어들이 들어있고, IOTC API 모듈(1303)은 관리서버가 제공한 연계서버의 어드레스 정보에 따라 IC와 특정 원격장치 사이에 P2P 연결을 설정할 것을 연계서버에 요청한다.
도 13B와 같이, IC(1350)가 IOTC API 모듈(1303), 운용시스템 모듈(1304) 및 네트워킹 모듈(1305)을 갖기도 한다.
또, 도 13C와 같이, IC(1360)가 UID(Unique Identification) 모듈(1302), IOTC API 모듈(1303), 운용시스템 모듈(1304) 및 네트워킹 모듈(1305)을 갖기도 한다. UID 모듈(1302)은 IC(1360)를 포함한 전자장치를 관리서버와 연계서버에 등록하는 등록과정을 실행하여 다른 장치들이 전자장치와 P2P 연결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도 13D와 같이, IC(1370)가 브라우저/애플리케이션 모듈(1306), IOTC API 모듈(1303), 운용시스템 모듈(1304) 및 네트워킹 모듈(1305)을 갖기도 한다. 브라우저/애플리케이션 모듈(1306)은 API 모듈을 통해 원격장치와 P2P 연결을 한다.
API 모듈, 운용시스템 모듈, 네트워킹 모듈 또는 CPU는 IP 카메라, 휴대폰, 저장장치와 같은 전자장치에 패키지될 수 있다. 즉, CPU와 API 모듈을 2개 이상의 IC로 묶을 수 있다. IC에 관한 이상의 설명을 전자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으므로, 더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A는 관리서버와 연계서버에 의해 P2P 연결이 되었을 때 2개의 연결장치의 블록도로서, 2개 연결장치들은 각각 클라이언트 장치(1400)와 원격 서비스장치(1410)이다. 클라이언트 장치(1400)는 IC에 통합되거나 전자장치에 결합되고; 원격 서비스장치(1410)도 IC에 통합되거나 전자장치에 결합된다. 도 14A에서 보듯이, 원격 서비스장치(1410)는 CPU(1411), UID 모듈(1412), IOTC API 모듈(1413), 운용시스템 모듈(1414) 및 네트워킹 모듈(1415)을 갖는다. UID 모듈(1412)은 원격 서비스장치(1410)를 관리서버와 연계서버에 등록하는 등록과정을 실행하여 클라이언트 장치(1400)가 원격 서비스장치(1410)와 P2P 연결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클라이언트 장치(1400)는 CPU(1401), 브라우저/애플리케이션 모듈(1402), IOTC API 모듈(1403), 운용시스템 모듈(1404) 및 네트워킹 모듈(1405)을 갖는다. 브라우저/애플리케이션 모듈(1402)은 API 모듈을 통해 원격 서비스장치(1410)와 P2P 연결을 할 수 있다.
단말기나 클라이언트 장치나 네트워킹 장비나 전자장치를 위한 ID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1차원 바코드나 QR코드와 같은 패턴의 이미지를 생성하는데 이미지센서를 사용할 수 있는데, 입력된 ID 정보는 P2P 연결을 설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휴대폰과 같은 프록시 장치는 이미지센서, 키보드, 터치스크린과 같은 프록시 휴대폰의 입력기를 통해 다른 단말기나 전자장치의 ID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도 14B는 관리서버와 연계서버에 의해 P2P 연결이 설정되었을 때의 2개 연결장치의 블록도로서, 연결장치는 각각 클라이언트 장치(1400)와 서비스 장치(1410)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장치(1410)는 CPU(1411), UID 모듈(1412), IOTC API 모듈(1413), 운용시스템 모듈(1414) 및 네트워킹 모듈(1415)을 갖는다. UID 모듈(1412)은 서비스장치(1410)를 관리서버와 연계서버에 등록하는 등록과정을 실행하여 클라이언트 장치(1400)가 서비스장치(1410)와 P2P 연결을 할 수 있도록 한다. UID 모듈(1412)은 서비스장치(1410)의 ID 정보 입력을 위해 1차원 바코드나 QR코드와 같은 패턴의 이미지를 입력하고, 입력된 ID 정보를 등록과정에서 이용해 서비스장치(1410)를 관리서버와 연계서버에 등록한다. 클라이언트 장치(1400)는 CPU(1401), 서비스장치의 ID 정보를 입력하는 UID 입력모듈(1406), IOTC API 모듈(1403), 운용시스템 모듈(1404) 및 네트워킹 모듈(1405)을 갖는다. 예컨대, UID 입력모듈(1406)은 IOTC API 모듈(1403)을 통해 서비스장치(1410)와 P2P 연결을 하도록 서비스장치의 ID 정보를 입력한다.
다음 클라이언트 노드를 위한 인프라스트럭처를 설명하는데, 인프라스트럭처는 P2P 연결 설정을 위한 ID를 각각 갖는 다수의 서비스노드; 및 서비스노드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정보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계서버를 포함한다. 이때 첫번째 서비스노드의 ID와 두번째 서비스노드의 ID를 연계서버에 등록하고, 다수의 서비스노드들이 각각 P2P 연결을 통해 클라이언트 노드에 서비스를 제공하며, P2P 연결이 첫번째 서비스노드와 두번째 서비스노드 사이에 설정된다.
도 15는 클라이언트 노드들을 서비스하는 인프라스트럭처의 개념도로서, 노드들 사이의 P2P 연결을 위해 모든 노드들이 연계서버와의 네트웍(1550)에 연결된다. 이 인프라스트럭처는 첫번째 서비스노드인 IP 캠(1501), 두번째 서비스노드인 저장장치(1502), 및 휴대폰(1503)이나 PAD(1504)와 같은 다수의 클라이언트 노드를 갖는데,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P2P 연결은 연계서버를 통해 휴대폰(1503)이나 PAD(1504)와 IP 캠(1501)이나 저장장치(1502) 사이에 설정되고, 첫번째와 두번째 서비스노드들의 ID는 P2P 연결을 위해 연계서버에 등록된다. 저장장치(1502)는 IP 캠(1501)과 P2P 연결되어 IP 캠이 취한 이미지를 받는다. 즉, 서비스노드는 클라이언트 장치에 서비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클라이언트 장치처럼 행동하여 다른 서비스노드로부터 서비스를 받기도 한다. 또, 서비스노드가 하나 이상의 서비스노드들로부터 서비스를 받고 자동적으로 클라이언트 장치에 조인트 프레젠테이션을 할 수도 있다.
휴대폰(1503)이나 PAD(1504)와 같은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첫번째 서비스노드인 IP 캠(1501)으로부터 이미지를 받거나, 두번째 서비스노드인 저장장치(1502)의 데이터에 P2P 연결(1511~1514) 각각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또, 두번째 서비스노드(1502)를 첫번째 서비스노드(1501)에 연결하여 두번째 서비스노드가 첫번째 서비스노드의 이미지를 받는 클라이언트 단말기처럼 행동하고 이미지를 저장장치에 저장하도록 할 수도 있다. 휴대폰(1503)은 IP 캠에 저장된 이미지에 접근하거나 IP 캠에서 직접 동영상을 받을 수 있다. 즉, 휴대폰, 노트북, 패드와 같은 클라이언트 장치에 좀더 동적이고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M2M 연결을 이룰 수 있다. 일례로, 다수의 IP 캠 서비스노드들이 두번째 서비스노드의 저장장치에 이미지를 전송하면, 휴대폰과 같은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두번째 서비스노드를 통해 IP 캠의 모든 이미지에 접근할 수 있다. 또, 두번째 서비스노드가 클라우드 스토리지팜에 있을 수 있다. 즉, 서비스노드들 사이에 M2M 인터페이스가 이루어질 수 있고, 서비스노드가 클라이언트 노드를 흡수하여 클라이언트 장치에 통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인프라스트럭처에서, 서비스노드의 ID는 연계서버에 등록되는데, 클라이언트 장치에 좀더 많은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모든 2개의 서비스노드들 사이를 연결하는 관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노드의 ID를 연계서버에 등록하되, 각각의 서비스노드가 원격 서비스노드의 ID를 입력하여 이들 사이에 동적으로 연결을 설정한다. 요컨대, 많은 수의 서비스노드들을 서로 연결해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서비스노드를 연결하는 방법은 많다.
두번째 서비스노드의 ID를 연계서버에 등록하고, 첫번째 서비스노드는 연계서버와 통신하여, 연계서버가 제공한 연결정보에 따라 양쪽 서비스노드 사이에 P2P 연결이 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인프라스트럭처에서, 첫번째 서비스노드의 ID를 연계서버에 등록하고, 첫번째 클라이언트 노드가 연계서버와 통신하여, 연계서버가 제공한 연결정보에 따라 첫번째 서비스노드에 대해 P2P 연결을 하도록 한다.
프로세서와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장치에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다수의 클라이언트 노드들 각각과 P2P 연결을 하도록 하는 명령어가 들어있고, 이 전자장치는 첫번째 서비스노드처럼 행동하여 다수의 클라이언트 노드에 서비스를 제공하며, 두번째 서비스노드와 P2P 연결을 한다. 전자장치가 클라이언트 노드처럼 행동하여 두번째 서비스노드로부터 서비스를 받기도 한다.
도 16은 클라이언트 장치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클라이언트 노드처럼 행동하여 다른 서비스노드로부터 서비스를 받는 집적 서비스노드의 블록도이다. 서비스장치(1600)는 CPU(1601); 클라이언트 장치와의 P2P 연결을 위해 연계서버에 등록하기 위한 UID 모듈(1602); 원격 서비스노드의 ID를 입력하고 원격 서비스노드와의 P2P 연결을 설정하는 UID 입력모듈(1603); IOTC API 모듈(1604); 운용시스템 모듈(1605) 및 네트워킹 모듈(1606)을 갖는다. UID 모듈(1602)은 관리서버나 연계서버에 서비스장치(1600)를 등록하는 등록과정을 실행하여, 클라이언트 장치가 서비스장치(1600)와 P2P 연결을 하도록 한다. UID 입력모듈(1603)는 원격 서비스노드와의 P2P 연결을 위해 원격 서비스노드의 ID를 입력하는데, 원격 서비스노드의 ID 정보 입력을 위한 입력 패턴은 1차원 바코드나 QR코드와 같은 이미지이고, 입력된 ID 정보를 이용해 서비스장치와 원격 서비스노드 사이에 P2P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상의 설명은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예를 든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런 설명으로부터 많은 변형이나 변경을 예상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할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Claims (15)

  1. 클라이언트 노드를 서비스하는 인프라스트럭처에 있어서:
    P2P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서비스노드의 대응 인터넷 프로토콜 어드레스를 확인할 고유 ID를 각각 갖는 다수의 서비스노드; 및
    적어도 하나의 연계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고유 ID 각각이 상기 연계서버에 등록되며, 상기 연계서버가 P2P 연결 설정을 위해 고유 ID 각각을 대응 인터넷 프로토콜 어드레스에 맵하는 매핑을 포함하고, 첫번째 서비스노드의 첫번째 ID와 두번째 서비스노드의 두번째 ID가 상기 연계서버에 등록되며, 다수의 서비스노드들이 P2P 연결을 통해 다수의 클라이언트 노드들에 각각 서비스를 제공하고, 첫번째 클라이언트 노드는 연계서버와 통신하면서 첫번째 서비스노드의 첫번째 고유 ID에 따라 첫번째 서비스노드와 첫번째 클라이언트 노드 사이에 첫번째 P2P 연결을 설정하며, 두번째 서비스노드는 연계서버와 통신하면서 첫번째 서비스노드의 첫번째 고유 ID에 따라 첫번째 서비스노드와 두번째 서비스노드 사이에 두번째 P2P 연결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프라스트럭처.
  2. 제1항에 있어서, 인터넷을 통해 P2P 연결을 설정하도록 연계서버에 연결되는 관리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연계서버들 중의 하나를 다수의 서비스장치 각각에 연결하며, 서비스장치들이 대응 연계서버에 각각 등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프라스트럭처.
  3. 제1항에 있어서, 첫번째 서비스노드가 연계서버와 통신하여, 두번째 서비스노드의 두번째 고유 ID에 따라 첫번째 서비스노드와 두번째 서비스노드 사이에 세번째 P2P 연결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프라스트럭처.
  4. 제1항에 있어서, 첫번째 클라이언트 노드가 연계서버와 통신하여, 두번째 서비스노드의 두번째 고유 ID에 따라 두번째 서비스노드에 네번째 P2P 연결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프라스트럭처.
  5. 제1항에 있어서, 두번째 클라이언트 노드가 연계서버와 통신하여, 두번째 서비스노드의 두번째 고유 ID에 따라 두번째 클라이언트 노드와 두번째 서비스노드 사이에 다섯번째 P2P 연결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프라스트럭처.
  6. 제1항에 있어서, 두번째 클라이언트 노드가 연계서버와 통신하여, 첫번째 서비스노드의 첫번째 고유 ID에 따라 두번째 클라이언트 노드와 첫번째 서비스노드 사이에 여섯번째 P2P 연결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프라스트럭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두번째 서비스노드가 클라이언트 노드처럼 기능하여, 두번째 P2P 연결을 통해 첫번째 서비스노드로부터 서비스를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프라스트럭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노드들 각각은 클라이언트 노드의 대응 인터넷 프로토콜 어드레스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연계서버에 등록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프라스트럭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50009271A 2014-03-12 2015-01-20 P2p 연결을 기초로 클라이언트 노드에 서비스하는 서비스 인프라스트럭처 KR1016357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205,393 US9774669B2 (en) 2011-01-28 2014-03-12 Service infrastructure for serving client nodes based on P2P connections
US14/205,393 2014-03-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822A KR20150106822A (ko) 2015-09-22
KR101635702B1 true KR101635702B1 (ko) 2016-07-01

Family

ID=54245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9271A KR101635702B1 (ko) 2014-03-12 2015-01-20 P2p 연결을 기초로 클라이언트 노드에 서비스하는 서비스 인프라스트럭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570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05854A1 (en) * 2000-07-06 2003-06-05 Vilhjalmur Thorsteinsso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nd coordinating devices and appliances, such as from a central portal and via a wide-area communications network
US20100185771A1 (en) * 2009-01-22 2010-07-22 Selim Gurun System and method for hybrid communication mechanism utilizing both communication server-based and direct endpoint-to-endpoint connecti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05854A1 (en) * 2000-07-06 2003-06-05 Vilhjalmur Thorsteinsso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nd coordinating devices and appliances, such as from a central portal and via a wide-area communications network
US20100185771A1 (en) * 2009-01-22 2010-07-22 Selim Gurun System and method for hybrid communication mechanism utilizing both communication server-based and direct endpoint-to-endpoint connec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822A (ko) 2015-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4668B2 (en) Communication system for establishing P2P connections and the corresponding devices using the same
JP6751094B2 (ja) 無線通信をサポートする方法、機器およびシステム
US9439026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between machine to machine M2M service provider networks
AU2017427437A1 (en) Pdu type setting method, ue policy setting method, and related entity
KR20170118815A (ko) 메시지 버스 서비스 디렉토리
US11638138B2 (en) Device-to-device content providing method
JP4637366B2 (ja) データネットワークの負荷管理
JP6674041B2 (ja) アクセス方法、装置、デバイス、及びシステム
CN106331115A (zh) 一种支持多台设备连接的分布式可扩展服务器系统
KR102423812B1 (ko) 안정적인 분산형 M2M/IoT 서비스들의 가능화
US9774916B2 (en) Information concentrating center capable of making P2P connections with remote client devices
US9774669B2 (en) Service infrastructure for serving client nodes based on P2P connections
CN111107039A (zh) 一种基于tcp连接的通信方法、装置及系统
KR101635702B1 (ko) P2p 연결을 기초로 클라이언트 노드에 서비스하는 서비스 인프라스트럭처
CN111010425A (zh) 一种服务器连接方法、负载均衡设备及电子设备
WO2014067313A1 (zh) 终端外设的注销方法和装置
CN106506236A (zh) 一种无线接入点自动申报的方法、装置和系统
KR101997602B1 (ko) 디바이스 양방향 m2m 리소스 관리 방법
TWI566592B (zh) 能與遠端客戶裝置建立點對點連接之信息聚集中心
CN111385371B (zh) Mac地址获取方法、装置和设备
JP6929803B2 (ja) 移動通信装置、プログラム及び通信システム
US20190312929A1 (en) Information synchronization method and device
WO2015027456A1 (zh) Wtp接入方法、管理方法、装置及系统
WO2022254517A1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JP6081391B2 (ja) Pbxシステム、携帯電話端末、携帯電話端末のプログラム、およびpbxシステムの携帯電話端末の加入者情報登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