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7602B1 - 디바이스 양방향 m2m 리소스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디바이스 양방향 m2m 리소스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7602B1
KR101997602B1 KR1020130009917A KR20130009917A KR101997602B1 KR 101997602 B1 KR101997602 B1 KR 101997602B1 KR 1020130009917 A KR1020130009917 A KR 1020130009917A KR 20130009917 A KR20130009917 A KR 20130009917A KR 101997602 B1 KR101997602 B1 KR 101997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urce
donor
api
donor devi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9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7717A (ko
Inventor
김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30009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7602B1/ko
Publication of KR20140097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7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은 M2M 시스템에서 각각 독립된 기능과 리소스를 탑재한 디바이스 리소스를 가상화하여 리소스 활용도를 높이되 효율적인 디바이스간 접속 방식을 통해, 저사양, 비표준 디바이스의 수용이 용이하고 유지 보수 비용은 저렴하며 안정적이고 Server/Client 방식(중앙서버에 종속적인 방식)에 준하는 성능을 보장할 수 있는 M2M 리소스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M2M 시스템 전체의 가상화를 통하여, 네트워크 시스템의 복잡성을 해소하고 운용-관리의 최적화를 높이는 유연성을 실현하며, 높은 보안성과 가용성을 가질 수 있고, 더욱 안전하고 활발하게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호환성 검사 방식에 의한 새로운 리소스 정보 전달 방식을 적용한 M2M 리소스 관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디바이스 양방향 M2M 리소스 관리 방법 {Resource Dependency Service Method for M2M Resource Management}
본 발명은 다수의 M2M(Machine to Machine, 사물지능통신) 디바이스(또는 Machine)의 제어와 M2M 서비스를 위한 리소스의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저사양, 비표준 디바이스를 수용하여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는 M2M 시스템의 특성을 고려하여 유지 보수 비용은 저렴하며 안정적이고 성능을 보장하는 M2M 리소스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M2M 시스템은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uman-Computer Interaction)의 요소를 필요로 하지 않는 디바이스 간의 상호작용으로 제어와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말한다. M2M 시스템은 디바이스-게이트웨이-서버(Device(Machine)-Gateway-Server) 구조로 구성되며, ETSI 표준 TS 102 690 M2M Resource Management and Procedures 에서는 각각에서 상호 리소스를 관리하도록 그 절차를 정의하고 있다. M2M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게이트웨이 기반의 서버-디바이스(또는 클라이언트) 구조를 바탕으로 하여, 서버에 종속적이며, 서버가 불안정하거나 다운될 경우 시스템 안정성에 치명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M2M 네트워크가 확장될수록 서버의 확장 비용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되는 비용부담의 요소를 가지고 있다.
기존의 Server/Client 모델을 완전히 벗어나지 못한 도 1과 같은 형태의 M2M 시스템에는 중앙서버가 존재하여 그 중앙서버에 각 디바이스가 접속하며 중앙서버에서는 디바이스들의 위치와 Device들이 가진 데이터의 메타정보(예, 파일 공유에서 각 디바이스가 가진 파일 목록)관리한다. 기존 Server/Client 모델과의 다른 점은 중앙서버는 데이터들의 메타정보만을 관리해서 검색 결과 등을 요청한 디바이스에게 줄뿐이며 실제 데이터의 전송과 통신은 직접 디바이스들 간에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대한 M2M 시스템의 운영에 관하여, 대한민국특허출원번호 10-2005-7007308, "네트워크에서 공유 리소스의 사용방법 및 장치"를 참조할 수 있다. 이러한 중앙서버에 종속적인 방식에서는 디바이스들을 전체 검색하지 않고 서버에 한번만 요청하면 되므로 디바이스 간 검색이 빠르지만, 디바이스가 많아질수록 중앙서버에 부담이 더해지게 된다. 즉, 네트워크가 커질수록 서버의 용량을 늘려야 되며 이것은 곧 비용으로 이어진다. 또한, 중앙서버가 동작하지 않으면 전체 네트워크가 사용불능 상태에 이르게 되어 시스템 안정성에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M2M의 정의에 충실한 도 2와 같은 형태의 기존의 M2M 시스템은 피어가 모두 동등하다는 개념으로 정의 된다. 즉,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디바이스(또는 피어)들은 똑같이 Server/Gateway/Device의 역할을 수행하며 검색이나 데이터 전송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한 M2M 시스템의 운영에 관하여, 대한민국특허출원번호 10-2009-0077874, "복합 네트워크 망을 통한 외부 디바이스의 기능 공유 방법 및 그 장치"를 참조할 수 있다. 이러한 독립적 노드 방식에서는 디바이스 간의 기능 공유가 가능하고 네트워크 확장성이 높고 시스템 전체가 셧다운(shutdown)되기 어렵지만,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과 라우팅의 어려움이라는 결정적인 단점이 있다. 모든 디바이스가 동등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라우팅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디바이스가 없으며, 이 때문에 한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를 찾거나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디바이스들을 건너 다니면서 찾아가게 된다. 이는 곧 검색기간의 증가로 이어지며 이러한 경로 찾기 과정에서 용량이 낮은 디바이스를 거쳐갔을 경우 그 시간이 매우 크게 증가하게 된다. 또한 이런 라우팅 방법으로 인해 심지어는 네트워크 내에서 도달할 수 없는 디바이스가 생기길 수도 있다. 물론 이런 단점들을 라우팅 알고리즘으로 많이 개선시킨 경우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성능면에서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네트워크 전체를 관리하거나 통제하기가 매우 힘들기 때문에 특정 기업이나 기관에서 이러한 네트워크로 특정 M2M 시스템을 구축하기가 다른 시스템 네트워크에 비해서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M2M 시스템에서 각각 독립된 기능과 리소스를 탑재한 디바이스 리소스를 가상화하여 리소스 활용도를 높이되 효율적인 디바이스간 접속 방식을 통해, 저사양, 비표준 디바이스의 수용이 용이하고 유지 보수 비용은 저렴하며 안정적이고 Server/Client 방식(중앙서버에 종속적인 방식)에 준하는 성능을 보장할 수 있는 M2M 리소스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M2M 시스템 전체의 가상화를 통하여, 네트워크 시스템의 복잡성을 해소하고 운용-관리의 최적화를 높이는 유연성을 실현하며, 높은 보안성과 가용성을 가질 수 있고, 더욱 안전하고 활발하게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호환성 검사 방식에 의한 새로운 리소스 정보 전달 방식을 적용한 M2M 리소스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먼저, 본 발명의 특징을 요약하면,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네트워크 상의 중앙서버를 통해서 게이트웨이와 M2M 디바이스를 관리하며 M2M 디바이스의 제어 및 데이터를 이용한 M2M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M2M 리소스 관리 방법은, (A) 피기부자 디바이스에서 네트워크 상의 디바이스들로 잉여 리소스의 기부의사를 질의하는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고,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여 잉여 리소스를 검색하는 기부자 디바이스로부터 기부 가능한 리소스 정보가 포함된 리소스 기부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피기부자 디바이스에서 상기 기부자 디바이스로 상기 리소스 정보에 대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셋(set)의 실행을 호출하여 해당 응답을 수신하는 호환성 검사를 수행하고 상기 기부자 디바이스와 페어링(pairing)하여, 상기 리소스 정보를 이용하는 기능이 상기 기부자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도록 하기 위한 리소스 공유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기부자 디바이스가 해당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응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B) 단계에서, 상기 피기부자 디바이스는 상기 호환성 검사를 위하여, 상기 기부자 디바이스로 상기 리소스 정보에 대한 해당 리소스의 생성을 요청하여 상기 기부자 디바이스로부터 해당 하나 이상의 API와 관련 파라미터의 속성이 포함된 리소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B) 단계에서, 상기 피기부자 디바이스는 수신한 상기 API의 속성에 해당 데이터를 대입한 상기 API의 셋의 실행을 상기 기부자 디바이스로 호출하고 상기 기부자 디바이스로부터 해당 실행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부자 디바이스는 상기 실행 결과를 불린(Boolean) 타입으로 응답한다.
(B) 단계에서, 상기 기부자 디바이스는 상기 요청에 따라 복수의 API와 관련 파라미터의 속성이 포함된 리소스 정보를 상기 피기부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며, 상기 피기부자 디바이스는 수신한 상기 복수의 API에 대하여 API 단위로 하나씩 상기 호환성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B) 단계에서, 상기 피기부자 디바이스는 수신한 상기 API를 데이터 프로세스 또는 제어 프로세스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하위 API를 포함한 각 API의 속성에 해당 데이터를 대입한 상기 API의 셋의 실행을 상기 기부자 디바이스로 호출하고 상기 기부자 디바이스로부터 해당 실행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브로드캐스팅은, 주기적으로 이루어지거나, 미리 설정된 시간에 이루어지거나, 또는 사용자의 명령 입력에 의해 수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M2M 리소스 관리 방법은, (C) 상기 피기부자 디바이스는 상기 기부자 디바이스로부터 해당 실행 결과를 수신한 후, 상기 호환성 검사가 진행된 관련 API와 실행 결과에 대해 형상 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에 관리하고, 다음에 이루어지는 상기 브로드캐스팅과 상기 리소스 기부 메시지의 수신을 통한 상기 기부자 디바이스와의 접속 시에, 상기 기부자 디바이스로 상기 요청과 해당 API와 관련 파라미터의 속성이 포함된 리소스 정보의 수신을 포함한 상기 호환성 검사를 생략하고 상기 기부자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다음에 이루어지는 상기 브로드캐스팅과 상기 리소스 기부 메시지의 수신을 통한 상기 기부자 디바이스와의 접속 시에,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이전에 상기 호환성 검사가 이루어진 중복되는 API의 심볼이나 파라미터를 제외한 것에 대하여만 상기 호환성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네트워크 상의 중앙서버를 통해서 게이트웨이와 M2M 디바이스를 관리하며 M2M 디바이스의 제어 및 데이터를 이용한 M2M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M2M 시스템은, 네트워크 상의 디바이스들로 잉여 리소스의 기부의사를 질의하는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는 피기부자 디바이스; 및 브로드캐스팅되는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여 잉여 리소스를 검색하고 기부 가능한 리소스 정보가 포함된 리소스 기부 메시지를 상기 피기부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기부자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피기부자 디바이스에서 상기 기부자 디바이스로 상기 리소스 정보에 대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셋(set)의 실행을 호출하여 해당 응답을 수신하는 호환성 검사를 수행하고 상기 기부자 디바이스와 페어링(pairing)하여, 상기 리소스 정보를 이용하는 기능이 상기 기부자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도록 하기 위한 리소스 공유 정보를 상기 기부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며, 상기 기부자 디바이스는 해당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상기 피기부자 디바이스로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M2M 리소스 관리 방법에 따르면, 리소스 공유에 있어서 서버/게이트웨이의 리소스를 낭비하지 않고 성능은 유지하면서 안정정인 Resource Dependency Service를 제공할 수 있으며, 서버/게이트웨이는 본 발명을 통해 유지보수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고, 확장된 리소스를 바탕으로 네트워크 전체를 관리하거나 통제의 역할에 집중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는 본연의 라우팅에 리소스를 집중함으로써 효과적으로 M2M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가상화를 바탕으로 한 호환성 검사 절차에 있어서 아래의 장점을 가진다.
(1) 높아진 리소스의 활용률: 물리적 리소스들과 리소스 풀에 대한 동적인 공유를 가능하게 해주며, 이를 통해 더 높은 리소스의 활용률을 얻을 수 있다. 특히 평균 워크로드보다 훨씬 적은 가변적인 워크로드(workload, 작업량) 상황에서는 더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2) 낮아진 관리 비용: 관리해야 하는 물리적 리소스들의 대수를 줄여줌으로써 관리 인력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물리적 리소스들의 복잡성을 숨겨주고, 자동화, 정보화를 통해 공통된 관리 작업을 단순화 시키고 작업량 관리의 자동화를 가능하게 해준다. 뿐만 아니라 가상화는 비표준 관리도구를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3) 사용의 유연성과 높아진 가용성: 빠르게 변화하는 비즈니스 니즈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리소스들이 동적으로 재구성되고 활용될 수 있도록 해준다. 사용자 레벨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고도 물리적 리소스가 제거되거나 업그레이드 또는 변경될 수 있도록 지원해준다.
(4) 향상된 보안: 단순한 공유 메커니즘에서는 불가능한 분리와 격리를 가능하게 해서 데이터와 서비스에 대하여 통제되고 안전한 액세스를 제공한다.
(5) 증가된 확장성: 리소스 파티셔닝 및 단일화(Aggregation)는 가상화된 리소스가 개별 물리적 리소스보다 더 작아지거나 혹은 더 커질 수 있게 해준다. 이를 통해 물리적 리소스의 구성 변경이 없어도 필요한 만큼의 적정한 확장성을 얻을 수 있다.
(6) 리소스의 집중을 통한 네트워크 관리의 효율성 증가와 통제 비용 감소: 서버의 중요한 역할로 시스템의 네트워크 전체를 관리하거나 통제를 뽑을 수 있다. M2M 시스템에서 표준 TS 102 690 M2M Resource Management and Procedures에서 정의하듯 NSCL은 Resource Management에 상당부분의 리소스를 할당하여야 한다. 한정된 리소스에서 다양한 역할의 우선순위를 배분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하므로 M2M시스템의 안정성에 치명적이다. 본 발명의 각 디바이스를 통한 Resource Dependency Service를 통해 도 15와 같이 독립적인 네트워크 전체를 관리하거나 통제의 역할을 부여하여 독자적으로 안정성을 보장하고 서버와 연동하여 서버의 부하를 줄이고 시스템 전체의 안정성 지수를 올릴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저 사양의 M2M 시스템 호환성을 확보하여 확장성과 보안, 그리고 높은 리소스 활용을 기대할 수 있다.
도1은 기존의 M2M 시스템의 일례이다.
도2는 기존의 M2M 시스템의 다른 예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적용될 ETSI 표준에서 정의하고 있는 M2M 서비스 네트워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2M 리소스 관리 방법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의 잉여 리소스 기부의 응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서 잉여 리소스 기부의 응답을 직접 수행하는 호스팅 디바이스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서 로컬 SCL을 거쳐 잉여 리소스 기부의 응답을 수행하는 호스팅 디바이스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Machine Emulation을 통한 검사 절차에서 피기부자 디바이스가 리소스 기부 등록의 요청 시에 관련 리소스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Machine Emulation을 통한 검사 절차에서 호환성 검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Machine Emulation을 통한 검사 절차에서 API 단위 실행 호출과 불린(Boolean) 리턴값의 응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Machine Emulation을 통한 검사 절차에서 API 단위 실행 호출과 불린(Boolean) 리턴값의 응답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2M 리소스 관리 방법에서 디바이스 간 리소스 공유에 대한 실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Machine Emulation을 통한 검사 절차에서 mgmtCmd Resource에 의한 호환성 검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2M 리소스 관리 방법에서의 형상관리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2M 리소스 관리 방법에 따른 각 디바이스를 통한 Resource Dependency Service에서 네트워크 관리 방법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앞서 언급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전제를 만족하도록 하였다. 첫째, 본 발명에서는 도 1과 같은 서버 종속적 형태의 성능과 비슷한 수준이거나 그 이상의 성능을 가지도록 하였으며, 둘째, 본 발명을 통해 도 2와 같은 독립 노드 수준의 비용 절감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3과 같은 ETSI M2M 표준을 따르는 M2M 서비스 네트워크 구조에서 디바이스 양방향 M2M 리소스 관리 방법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적용될 ETSI 표준에서 정의하고 있는 M2M 서비스 네트워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이와 같은 M2M 서비스 네트워크 구조를 갖는 M2M 시스템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M2M 서비스를 위한 기본적인 네트워크 구조는, 크게 M2M 네트워크 도메인(Network Domain)에 NSCL(Network Service Capability Layer)을 탑재한 M2M 중앙서버(또는 플랫폼), M2M 디바이스 도메인에 센서 등 다양한 M2M 디바이스(D, D') 및 게이트웨이 도메인에 GSCL(Gateway Service Capability Layer)을 탑재한 게이트웨이(G)로 구성된다. M2M 디바이스(D, D')에는 DSCL(Device Service Capability Layer) 또는 서비스를 지원하는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DA)을 탑재할 수 있으며, M2M 중앙서버에 서비스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NA), 게이트웨이(G)에 서비스를 지원하는 게이트웨이 어플리케이션(GA)이 탑재될 수 있다.
M2M 네트워크 도메인의 M2M 중앙서버는 엑세스 네트워크를 포함한 코어 네트워크(예, 이동통신망, 유무선 인터넷 등 포함)를 통해 M2M 디바이스(D, D') 또는 게이트웨이(G)와 통신하여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NA)의 지원으로 M2M 디바이스(D, D') 및 게이트웨이의 제어와 M2M 서비스(디바이스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른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로 모니터링 정보 등의 제공)를 지원하며, DSCL에 미들웨어 NIP(Network Interworking Proxy)의 지원으로 레가시 디바이스(d)와 연동할 수 있고, 이외에도 네트워크 관리 기능(MAS, MSBF) 등을 수행한다. M2M 디바이스(D, D')는 DSCL에 미들웨어 DIP(Device Interworking Proxy)의 지원과 함께, 또는 게이트웨이(G)는 GSCL에 미들웨어 GIP(Gateway Interworking Proxy)의 지원과 함께, M2M 로컬 네트워크(예, 유선, 무선 근거리통신망, 또는 경우에 따라 이동통신망, 유무선 인터넷 등 포함)를 통해 레가시 디바이스(d)를 수용해 연동할 수 있다.
ETSI 표준에서 정의하고 있는 서비스 기능들(Service Capabilities)(DSCL, GSCL, DSCL)과는 각각의 인터페이스, 즉, mIa(NA-NSCL 인터페이스), mId(중앙서버(NCSL)과 게이트웨이(GSCL)/디바이스(DSCL) 간 인터페이스), dIa(디바이스 내부(DA-DSCL) 인터페이스 또는 디바이스(DA)와 게이트웨이(GSCL) 간 인터페이스)를 위한 리소스 정보를 활용하며, 각각의 서비스 기능들(DSCL, GSCL, DSCL)에서 서비스에 필요한 속성 정보 등 리소스 정보를 관리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2M 리소스 관리 방법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디바이스들의 중앙서버에 대한 리소스(또는 자원) 검색 요청으로 인한 중앙서버의 리소스 낭비와 성능 저하를 회피하고자, 리소스 검색 요청 절차에 대한 역 발상을 통해 서버 종속 비용 절감 방식을 적용한다. 즉, 각 디바이스가 리소스를 요청하는 것이 아니라, 잉여 리소스의 기부의사를 질의하는 메시지(잉여리소스 기부의사 질의 메시지)를 네트워크의 디바이스들에 브로드캐스팅(주기적, 설정시간, 또는 사용자의 명령 입력에 의한 수동적인 브로드캐스팅 가능)한다. 각 디바이스에서 브로드캐스팅에 의한 정보 수신을 위한 소정의 필터링 초기화한 후(101), 브로드캐스팅되는 기부의사 질의 메시지를 수신하고(102), 이에 대해 잉여 리소스의 기부의사가 있는 디바이스에서 응답을 받아(103) 소정의 호환성 검사와 페어링(pairing) 과정을 진행하여(104) 상시적으로 잉여 리소스들에 대한 정보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디바이스는 리소스 혹은 기능이 필요한 경우에만, 브로드캐스팅 되는 잉여리소스 기부의사 질의 메시지에 대해서만 반응하면 된다. 시스템들에 남아있는 유휴 리소스들을 효과적으로 접근함으로써 중앙서버는 네트워크 상의 리소스 존재여부를 검색해야 하는 부담과 게이트웨이(G)는 라우팅에 대한 부담에서 벗어나게 된다. 또한 종래의 도 1과 같은 중앙서버에 종속적인 방식에서는 네트워크가 확장될수록 중앙서버에서 검색에 대한 부담이 늘어나고 성능 유지를 위한 서버 유지보수 비용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되지만, 그러나 본 발명의 위와 같은 방식을 적용하게 되면 네트워크 확장에 대한 추가 비용 없이 리소스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도 4와 같이 잉여리소스 기부에 대한 호환성 검사와 페어링(pairing) 과정(104)을 통한 안정성과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해, 소정의 검사 수단(예, Machine Emulation)을 통한 호환성 검사 절차를 진행한다. 기존의 표준 M2M을 지원하는 디바이스들은 동일 M2M 플랫폼 상에서 실행된다. 그러나 각각은 지원하는 리소스의 종류와 타입이 상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바이스들이 서로 호환될 수 있는지 여부와 패어링된 이후에 자기 자신의 시스템에 악영향은 없는지 검사하는 절차를 진행해야 한다. 표준 TS 102 690 M2M Resource Management and Procedures에서는 리소스 관리에 대한 절차를 정의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한 Reference Point를 통해 상대 시스템에 대한 호환성을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단위로 검사한다. 또한 반복적인 테스트 프로세스의 실행을 통해 시스템 안정성을 검사한다.
하기하는 바와 같이 가상화를 바탕으로 한 본 발명의 호환성 검사 관련 과정은 실제 존재하는 물리적 리소스들을 논리적 리소스들의 형태로 나타내, 물리적 리소스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에서는 논리적 형태로 처리된다. 본 발명의 호환성 검사 관련 기술이 이들 논리적 리소스들과 실제 물리적 리소스들에 대한 연결을 담당해 줌으로써 가상화 리소스(논리적 리소스)를 이용하는 대상(어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은 더 이상 어떤 리소스들이 사용되는지를 구체적으로 알 필요는 없다. 호환성 테스트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를 실제적인 리소스들과 분리하는 이러한 형태는, 대상(어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으로 하여금 동일한 리소스를 공유하게 해주고, 리소스들을 개별 리소스라기 보다는 논리적인 리소스 풀로서 사용하고 다루게 해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스템들에 남아있는 유휴 리소스들을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접근함으로써 파일 관리의 경우를 예를 들면, 실제로는 최대 사용 가능한 공간이 300MB 밖에 안 되는 상황에서도 마치 1TB의 스토리지가 단독으로 붙어 있는 것처럼 간주하여 실행될 수 있다. 호환성 테스트 과정은 실제로 존재하는 물리적 리소스들에 대한 중재자 역할을 해주는 기술로써 유휴 리소스를 찾아내 줌으로써 스토리지 용량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켜 주는 것이다.
이와 같은 호환성 테스트 과정은 기존 기술에서는 서버의 성능을 고려하여 개발단계에서만 고려되거나, 실행 중에는 최소한의 네트워크 접속여부에 대한 검사만을 실행하는 등 축소 진행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호환성 테스트 과정에서는, 최초 접속 시 호환성 검사를 진행하여 안정성을 확보하며 GSCL, NSCL의 성능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디바이스(또는 Machine)의 내부적으로 호환성 검사 경험을 축적하여 형상 관리를 한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중복 테스트를 피함으로써 테스트에 대한 비용관리를 최적화할 수 있다.
호환성 테스트 결과에 대한 자체적인 형상관리를 통해 M2M 네트워크 전체에 대한 중앙서버에서의 네트워크 전체를 관리하거나 통제에 대한 비용을 절감하게 된다. M2M 디바이스는 자신과 안정적으로 호환되는 종(species)에 대한 정보를 스스로 관리함으로써 자신과 연결되었던 모든 디바이스에 대한 안정성(안정적 서비스)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디바이스 간 연결에 대한 디바이스에서의 검사 경험(Machine Experience)이 누적될수록 전체 M2M 네트워크의 구성 요소들에 대한 네트워크 전체적 관리나 통제에 대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M2M 시스템 상에서 디바이스가 효율적인 역할을 위해서 [표1]과 같은 방식과 절차에 대한 동작을 수행한다. 이하 이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표1]
Figure 112013008612533-pat00001
역 발상을 통해 리소스 요청으로 인한 서버 종속 비용 절감 방식([표1]의 (1)). 이는 도 1의 기존 기술과 같이 리소스가 필요한 디바이스가 서버로 필요한 리소스와 기능을 보유한 디바이스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는 방식에 대한 비효율성을 극복하고자, 도 4와 같이 전체 M2M 시스템 상에서 리소스 요청 방식을 변경하여 비효율성을 극복한다. 즉, 디바이스 자신의 잉여리소스에 대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통해 네트워크상의 다른 디바이스에게 상시 제공하도록 한다(도 4 참조). 이러한 방식은 네트워크가 확장되더라도 추가비용 없이 리소스 기부의 절차를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M2M 디바이스 간의 리소스 기부는 도 5와 같이 디바이스의 잉여 리소스 판단에서 시작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의 잉여 리소스 기부의 응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와 같이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DA) 등의 이슈어(issuer) 에서 잉여리소스 기부의사 질의 메시지가 브로드캐스팅되면(issuer requests to discover), 이를 수신하는 다른 디바이스들은, 데몬 형태로 항시 실행되며 디바이스의 잉여 리소스를 관리하는, SCL의 기능 수행 수단 중 하나인 ResourceManager를 통하여, 잉여 리소스(예, 어떤 기능은 가지고 있으나 현재 일시적으로 또는 계속하여 사용되지 않는 기능에 대한 리소스)가 있는 지를 검색하고 잉여 리소스 기부의사를 결정할 수 있다(local processing).
이때 ResourceManager는 잉여 리소스의 기부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되(discovery response), 잉여 리소스를 관리하고 있는 디바이스의 ResourceManager는 위와 같이 기부 가능한 리소스 정보(예,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리스트)가 검색되면 번들(Bundle) 타입으로 리소스의 기부 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한다. 이를 수신하는 N개의 피 기부 디바이스의 ResourceManager는 부족한 리소스 정보를 수집 후 판단하여 리소스 공유를 위한 호환성 검사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리소스 기부는 가용 한도에서 1:N 형태로 지원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DA) 이외에 중앙서버의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NA)나 게이트웨이 어플리케이션(GA), 또는 디바이스, 중앙서버, 게이트웨이의 각 SCL에서도, 잉여리소스 기부의사 질의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거나, 위와 같은 료소들에서 브로드캐스팅되는 잉여 리소스의 기부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이슈어(issuer) 에서 잉여리소스 기부의사 질의 메시지가 브로드캐스팅되면(issuer requests to discover), 도 6과 같이 잉여 리소스를 관리하고 있는 호스팅 디바이스 SCL의 ResourceManager는 기부 가능한 리소스 정보(예,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리스트)가 검색되면 번들(Bundle) 타입으로 리소스의 기부 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하는 응답을 하거나, 일정 정책에 따라 해당 리소스 정보에 접근이 허용되지 않으면 오류 응답을 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리소스 정보를 응답받는 디바이스의 ResourceManager는 이를 옵저버 패턴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도 7과 같이, 예를 들어,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DA)으로부터 잉여리소스 기부의사 질의 메시지가 브로드캐스팅되면, 이를 수신하는 로컬 SCL(예, DSCL, GSCL)이 이를 호스팅 SCL(예, 다른 DSCL 등)로 전달하고, 이에 따라 잉여 리소스를 관리하고 있는 디바이스 호스팅 SCL의 ResourceManager는 기부 가능한 리소스 정보(예,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리스트)가 검색되면 번들(Bundle) 타입으로 리소스의 기부 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하는 응답을 하거나, 일정 정책에 따라 해당 리소스 정보에 접근이 허용되지 않으면 오류 응답을 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리소스 정보를 응답받는 디바이스의 ResourceManager는 이를 옵저버 패턴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Machine Emulation을 통한 검사 절차에서 피기부자 디바이스가 리소스 기부 등록의 요청 시에 관련 리소스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와 같이 기부 가능한 리소스 정보(예,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리스트)를 포함한 리소스 기부 메시지를 다른 디바이스(기부자 디바이스) 등으로부터 응답받은, 피기부자 디바이스는 잉여리소스 기부에 대한 호환성 검사와 페어링(pairing) 과정(104)을 통한 안정성과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해, 소정의 검사 수단(예, Machine Emulation)을 통한 검사 절차를 진행한다([표1]의 (2)). 이때 도 8과 같이 피기부자 디바이스는 콘테이너에 n개의 속성(attribute) 중 해당 리소스 정보(URI리스트)를 <contentInstances>에 기입(subscriptions)하여 이용하기 위하여, 기부자 디바이스에 <container> Resource WRITE(콘테이너에 리소스 기부의 등록)를 요청할 수 있다. 이는 ResourceManager가 Reference Point(참조 포인트)를 이루어질 수 있으며, ETSI 표준 TS 102 690 M2M Resource Management and Procedures에서 정의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container> Resource WRITE(콘테이너에 리소스 기부의 등록) 요청을 받은 기부자 디바이스는, 먼저 [표 2]와 같이 리소스 중 <contentInstances> 생성 Attribute(속성)을 이용해, 검사할 리소스 기부 API 심볼을 소정의 심볼릭 링크에 기입한다.
API 심볼릭 링크를 바탕으로 피기부자 디바이스는 API단위의 검사 데이터를 산출하여, 산출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호환성을 준비 판단하게 된다. 피기부자 디바이스는 심볼릭 링크에 적정 Attribute(속성) 범위를 달리하면서 반복적으로 호출하여 호출할 때마다 그에 대한 불린(Boolean) 리턴값을 받게 된다. 불린(Boolean) 값을 반환 값으로 설정하였으므로 사람의 판단 없이 디바이스 스스로 검사결과에 대한 판단이 가능하다. 피기부자 디바이스에 의해 기부자 디바이스와의 리소스 호환성 검사가 이와 같이 완료되면 이후 리소스 기부(또는 공유) 절차를 진행한다.
[표 2] contentInstance description
Figure 112013008612533-pat00002
도 9는 본 발명의 Machine Emulation을 통한 검사 절차에서 호환성 검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피기부자 디바이스는 도 9와 같이, 수집 작성된 리소스 정보(URI리스트)를 통해 호환성을 검사를 할 수 있다. 피기부자 디바이스 ResourceManager는 리소스 정보(URI리스트)에 대하여 기부자 디바이스에 Machine <container> resource의 생성을 요청한다(201). 기부자 디바이스는 <contentInstances>를 통해 기부할 리소스의 API 심볼릭 링크를 바탕으로 <contentInstances> resource를 생성한다(202). 즉, 기부자 디바이스는 ResourceManager에 의해 분류된 하나 이상의 API(들)와 그와 관련된 파라미터들을 <contentInstances> resource의 속성으로 하여 리소스 정보를 생성한다(203). 기부자 디바이스는 요청에 대한 해당 리소스 정보(URI리스트)를 (MINE 타입) 응답하며(204), 피기부자 디바이스는 응답받은 리소스 정보(URI리스트)에 대한 API단위의 검사 데이터를 산출하여, 산출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호환성을 검사할 수 있다(205). MINE: Multi-purpose Intrernet Mail Ext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Machine Emulation을 통한 검사 절차에서 API 단위 실행 호출과 불린(Boolean) 리턴값의 응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피기부자 디바이스는 도 8과 같은 contentInstances(도 8참조)에 리소스 정보(URI리스트)에 대한 API들을 데이터 흐름(디바이스에서의 어떤 기능의 실행 결과 데이터와 관련된 프로세스(수집, 가공, 저장 등))과 제어 흐름(디바이스의 제어와 관련된 프로세스(명령, 동작, 실행 등))으로 분류하여 관리하고(301), API단위의 검사에서 이와 같이 분류된 API들에 대한 API 심볼릭 링크에 적정 Attribute(속성) 범위를 달리하면서 반복적으로 기부자 디바이스에 실행을 호출하여 호출할 때마다 그에 대한 불린(Boolean) 리턴값을 받게 되는데, 데이터 흐름 API에 대한 것인지, 또는 제어 흐름 API에 대한 것인지 여부에 따라 최상위의 contentInstances를 검색하여 그에 포함된 하위 API들을 포함한 API셋(set) 또는 <contentInstances>의 실행을 호출 기부자 디바이스에 호출하여 그 결과를 리턴받을 수 있다(302, 303). 이때 기부자 디바이스는 불린(Boolean) 리턴값을 반환하여 피기부자 측에서 직관적인 자동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contentInstances>에 해당 리소스를 생성 등록하며(305), 기부자 디바이스는 실행 결과가 불린(Boolean) 타입이 아니라면 그 결과를 Wrapper를 이용해 자동으로 불린(Boolean) 타입 리턴값으로 변환하여 반환하며 <contentInstances>에 해당 리소스를 생성 등록한다(304).
도 11은 본 발명의 Machine Emulation을 통한 검사 절차에서 API 단위 실행 호출과 불린(Boolean) 리턴값의 응답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피기부자 디바이스는 contentInstances(도 8참조)에 관리하는 리소스 정보(URI리스트)에 대한 API들(심볼)에 대하여 필요한 속성(또는 파라미터)에 해당 데이터를 대입하여 해당 API셋(set) 또는 <contentInstances>의 실행 호출을 준비하며(401), 하나씩 실행 호출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호환성 검사 프로세스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402), 피기부자 디바이스는 해당 실행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403), 기부자 디바이스는 수신되는 API셋(set) 또는 <contentInstances>를 추상화된 하나의 인스턴스로 판단 자동으로 불린(Boolean) 타입 리턴값으로 그 실행 결과를 반환하며 <contentInstances>에 해당 리소스를 생성 등록한다(404). 이와 같이 기부자 디바이스는 실행 호출을 통하여 각 테스트 프로세스를 통해 실행 결과들을 수집하여 데이터 흐름에 대한 응답성, 스트레스 테스트에 대한 결과 등을 반환 받아 안정성과 호환성을 판단할 수 있다(405).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2M 리소스 관리 방법에서 디바이스 간 리소스 공유에 대한 실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먼저 디바이스의 핸들링(Handling)을 위한 API들이 [표 3]와 같은 심볼과 속성(또는 파라미터)들을 관리한다고 할 때, 각각의 심볼은 <contentInstance>에 대입하고 짝이 되는 Parameter(Attribute)는 [표 4](draw 심볼에 대한 Parameter(Attribute)의 예)처럼 <contentInstance>의 attribute로 대입하여 Resource를 TS 102 690 M2M Resource Management and Procedures에 맞추어 작성한다.
즉, 피기부자 디바이스는 동작 중 필요에 따라, 어떤 기능의 고장, 동작 불가, 또는 탑재하지 않은 어떤 기능의 필요성을 판단하고(501), 해당 필요 기능을 기부자 디바이스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4와 같이 잉여 리소스의 기부의사를 질의하는 메시지(잉여리소스 기부의사 질의 메시지)를 네트워크의 디바이스들에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502). 이에 따라 피기부자 디바이스는 잉여 리소스의 기부의사가 있는 기부자 디바이스에서 응답을 받아(503) 도 8 ~ 도 11 과 같은 소정의 호환성 검사를 진행하고, 페어링(pairing) 과정을 진행한 후(504), 해당 기능에 대한 제어 흐름이나 데이터 흐름에 대한 리소스 공유 정보를 기부자 디바이스로 전송함으로써(505), 기부자 디바이스가 해당 기능을 대신 실행하도록 하는 M2M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506). 예를 들어, 피기부자 디바이스가 중앙서버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어떤 정보를 표시하고자 할 때, 기부자 디바이스로 해당 기능에 대한 제어 흐름이나 데이터 흐름에 대한 리소스 공유 정보를 전송하여 기부자 디바이스가 해당 정보를 수신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해당 정보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일반적인 리소스 CPU, HDD, Memory 리소스 등 일반적인 임베디드 컴퓨팅을 위한 리소스와 Display, Battery, Camera등의 해당 기능을 위한 고유 리소스 역시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효율적으로 Resource Dependency Service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대상 로컬 네트워크 지역에 설치되는 M2M 디바이스로서 M2M 서비스의 다양한 모니터링 목적에 따라 화재, 침입발생, 노인 및 아이(노유자) 관찰, 사유지 보안, 매장 감시, 각종 시설 감시 등 주변 상황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다양한 디바이스, 예를 들어, 움직임 감지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풍향 센서, 압력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이나, 헬스 정보 모니터링을 위한 혈압계, 체온계, 심박계 등의 디바이스가 될 수도 있으며, 기타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서비스를 위한 디바이스가 설치 사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기부자 디바이스는 해당 기능을 대신 실행한 결과를 피기부자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으며(507), 이에 따라 피기부자 디바이스는 중앙 서버로 통보함으로써 중앙 서버가 다른 서버 또는 사용자들의 이동 통신 단말들로 그 정보를 활용한 M2M 서비스를 할 수도 있다.
[표3] display 디바이스 사용을 위한 APIs
Figure 112013008612533-pat00003
[표4] draw 심볼에 대한 attribute
Figure 112013008612533-pat00004
도 13은 본 발명의 Machine Emulation을 통한 검사 절차에서 mgmtCmd Resource에 의한 호환성 검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ETSI M2M 표준에서는 RestFull 방식을 기본적으로 지원하지만 nonRestfull 방식도 지원하고 있다. nonRestfull 방식의 리소스 기부를 위하여 디바이스만의 고유기능을 원격제어 하기 위한 Attribute(속성)을 정의한다. 도 13의 절차에 따라 mgmtCmd Resource로 제어 명령을 통해 리소스의 기부를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피기부자 디바이스에서 ResourceManager는 리소스 정보(URI리스트)의 기부 의사를 밝힌 디바이스에 mgmtCmd Resource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601). 기부자 디바이스는 <contentInstances>를 통해 기부할 리소스의 API 심볼릭 링크를 바탕으로 mgmtCmd resource를 생성한다(602). 즉, 기부자 디바이스는 ResourceManager에 의해 분류된 API와 그와 관련된 파라미터들을 mgmtCmd resource의 속성으로 하여 리소스 정보를 생성한다(603). 기부자 디바이스는 요청에 대한 해당 리소스 정보(URI리스트)의 execInstance를 생성하여 등록(WRITE)하도록 응답하며(604), 피기부자 디바이스는 응답받은 리소스 정보(URI리스트)를 등록하고 이에 대한 API단위의 검사 데이터를 산출하여, 산출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호환성을 검사할 수 있다(605). 호환성 검사에서 기부자 디바이스는 해당 호출에 대한 성공 여부를 피기부자 디바이스로 응답한다(606).
위와 같은 본 발명의 M2M 리소스 관리 방법을 위한 이상의 절차는 디바이스 자체 리소스를 사용하여 운영된다. M2M 시스템에서 서버 하위 단말(게이트웨이, 디바이스 등)의 용량은 다양하다. 디바이스들의 용량을 고려하여 위와 같은 검사 절차를 빈번히 실행하는 것은 디바이스 성능에 위험요소이다. 그래서, 타 디바이스와 접속 시에 Full Test를 진행하고 결과에 대한 형상관리가 필요하다([표1]의 (3) 참조). 기 테스트(검사)를 했던 디바이스의 경우 갱신된 리소스와 기능에 한하여 추가적인 절차만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과정에서 "기부요청에 대한 URI 응답 과정(204)" 절차에서 호환성을 테스트해야 할 API 심볼들을 URI 셋(set)으로 작성하였다. 기 테스트 결과에 대한 중복되는 URI를 배제하여 URI 셋(set)의 수를 줄여서 테스트 하게 되면, 리소스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공유 과정에 대한 도 12와 같은 예에서, [표 3]과 같이 테스트해야 할 URI 셋(set)에 대한 API들의 심볼과 Parameter(Attribute)가 작성되었다고 했을 때, 두 번째 접속(다음에 이루어지는 도 4의 브로드캐스팅과 리소스 기부 메시지의 수신을 통한 기부자 디바이스와의 접속)부터는 위와 같은 형상관리를 통해 위의 테스트 과정을 수행할 필요 없이(리소스 기부/공유를 위한 리소스 생성 요청을 위한 접속(도 9의 201~204 참조) 없이) 곧바로 기부과정(도 12의 505 ~ 507 참조)으로 진입할 수 있다. 만약 세 번째(또는 두번째) 접속 시에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표 5]의 이탤릭체와 같이 추가/변경된 API 심볼이나 파라미터가 있을 경우 해당 심볼만(해당 심볼이 포함된 API) 추가적으로 호환성 검사하여(도 9의 201~204 참조) 디바이스의 리소스 사용을 최소화한다. [표 5]의 경우는 draw심볼의 추가된 파라미터 ARGB 검사와 추가된 심볼 dispatchDraw와 해당 파라미터 canvas에 대한 검사만 추가 진행한다.
[표 5] 추가된 심볼
Figure 112013008612533-pat00005
위와 같은 형상관리를 통한 테스트 프로세스의 경험축적과정에 따른 최소 작성된 호환성 프로세스는 작성 당시의 고려사항만을 반영하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도 14]와 같이 각 디바이스는 매번 호환성 검사의 실시마다의 결과(API 또는 그 심볼, 해당 속성, 반환값 등)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호환성 프로세스의 경험치를 반영하고, 경험치가 반영된 호환성 프로세스는 횟수가 늘어 날수록 테스트의 신뢰성이 증가할 수 있다. 안정적인 호환이 가능한 속성의 범위를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평균값을 획득하여 그 이상의 심볼이나 파라미터가 추가될 때 해당 검사만 이루어지도록 적용할 수도 있다.
이와 본 발명의 M2M 리소스 관리 방법에 따라, 리소스의 집중을 통한 네트워크 관리의 효율성 증가와 통제 비용 감소될 수 있다([표1]의 (4) 참조). 서버의 중요한 역할로 시스템의 네트워크 전체를 관리하거나 통제를 뽑을 수 있다. M2M 시스템에서 표준 TS 102 690 M2M Resource Management and Procedures에서 정의하듯 NSCL은 Resource Management에 상당부분의 리소스를 할당하여야 한다. 한정된 리소스에서 다양한 역할의 우선순위를 배분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하므로 M2M시스템의 안정성에 치명적이다. 본 발명의 각 디바이스를 통한 Resource Dependency Service를 통해 도 15와 같이 독립적으로 네트워크 전체를 관리하거나 통제의 역할을 부여하여 독자적으로 안정성을 보장하고 서버와 연동하여 서버의 부하를 줄이고 시스템 전체의 안정성 지수를 올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 저 사양의 M2M 시스템 호환성을 확보하여 확장성과 보안, 그리고 높은 리소스 활용을 기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0)

  1. (A) 피기부자 디바이스에서 네트워크 상의 디바이스들로 잉여 리소스의 기부의사를 질의하는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고,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여 잉여 리소스를 검색하는 기부자 디바이스로부터 기부 가능한 리소스 정보가 포함된 리소스 기부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피기부자 디바이스에서 상기 기부자 디바이스로 상기 리소스 정보에 대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셋(set)의 실행을 호출하여 해당 응답을 수신하는 호환성 검사를 수행하고 상기 기부자 디바이스와 페어링(pairing)하여, 상기 리소스 정보를 이용하는 기능이 상기 기부자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도록 하기 위한 리소스 공유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기부자 디바이스가 해당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응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상의 디바이스들이, 상호 리소스 공유를 위한 해당 리소스의 존재여부의 검색을 직접 수행하고 동적인 상기 리소스 공유를 통해 리소스 활용이 향상된 M2M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리소스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B) 단계에서, 상기 피기부자 디바이스는 상기 호환성 검사를 위하여, 상기 기부자 디바이스로 상기 리소스 정보에 대한 해당 리소스의 생성을 요청하여 상기 기부자 디바이스로부터 해당 하나 이상의 API와 관련 파라미터의 속성이 포함된 리소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리소스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B) 단계에서, 상기 피기부자 디바이스는 수신한 상기 API의 속성에 해당 데이터를 대입한 상기 API의 셋의 실행을 상기 기부자 디바이스로 호출하고 상기 기부자 디바이스로부터 해당 실행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리소스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자 디바이스는 상기 실행 결과를 불린(Boolean) 타입으로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리소스 관리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B) 단계에서, 상기 기부자 디바이스는 상기 요청에 따라 복수의 API와 관련 파라미터의 속성이 포함된 리소스 정보를 상기 피기부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며, 상기 피기부자 디바이스는 수신한 상기 복수의 API에 대하여 API 단위로 하나씩 상기 호환성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리소스 관리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B) 단계에서, 상기 피기부자 디바이스는 수신한 상기 API를 데이터 프로세스 또는 제어 프로세스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하위 API를 포함한 각 API의 속성에 해당 데이터를 대입한 상기 API의 셋의 실행을 상기 기부자 디바이스로 호출하고 상기 기부자 디바이스로부터 해당 실행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리소스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캐스팅은, 주기적으로 이루어지거나, 미리 설정된 시간에 이루어지거나, 또는 사용자의 명령 입력에 의해 수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리소스 관리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C) 상기 피기부자 디바이스는 상기 기부자 디바이스로부터 해당 실행 결과를 수신한 후, 상기 호환성 검사가 진행된 관련 API와 실행 결과에 대해 형상 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에 관리하고, 다음에 이루어지는 상기 브로드캐스팅과 상기 리소스 기부 메시지의 수신을 통한 상기 기부자 디바이스와의 접속 시에, 상기 기부자 디바이스로 상기 요청과 해당 API와 관련 파라미터의 속성이 포함된 리소스 정보의 수신을 포함한 상기 호환성 검사를 생략하고 상기 기부자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리소스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에 이루어지는 상기 브로드캐스팅과 상기 리소스 기부 메시지의 수신을 통한 상기 기부자 디바이스와의 접속 시에,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이전에 상기 호환성 검사가 이루어진 중복되는 API의 심볼이나 파라미터를 제외한 것에 대하여만 상기 호환성 검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리소스 관리 방법.
  10. 네트워크 상의 디바이스들로 잉여 리소스의 기부의사를 질의하는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는 피기부자 디바이스; 및 브로드캐스팅되는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여 잉여 리소스를 검색하고 기부 가능한 리소스 정보가 포함된 리소스 기부 메시지를 상기 피기부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기부자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피기부자 디바이스에서 상기 기부자 디바이스로 상기 리소스 정보에 대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셋(set)의 실행을 호출하여 해당 응답을 수신하는 호환성 검사를 수행하고 상기 기부자 디바이스와 페어링(pairing)하여, 상기 리소스 정보를 이용하는 기능이 상기 기부자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도록 하기 위한 리소스 공유 정보를 상기 기부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며, 상기 기부자 디바이스는 해당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상기 피기부자 디바이스로 응답하되,
    상기 네트워크 상의 디바이스들이, 상호 리소스 공유를 위한 해당 리소스의 존재여부의 검색을 직접 수행하고 동적인 상기 리소스 공유를 통해 리소스 활용이 향상된 M2M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시스템.
KR1020130009917A 2013-01-29 2013-01-29 디바이스 양방향 m2m 리소스 관리 방법 KR101997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917A KR101997602B1 (ko) 2013-01-29 2013-01-29 디바이스 양방향 m2m 리소스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917A KR101997602B1 (ko) 2013-01-29 2013-01-29 디바이스 양방향 m2m 리소스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7717A KR20140097717A (ko) 2014-08-07
KR101997602B1 true KR101997602B1 (ko) 2019-07-09

Family

ID=51744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9917A KR101997602B1 (ko) 2013-01-29 2013-01-29 디바이스 양방향 m2m 리소스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76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903B1 (ko) * 2015-10-27 2020-08-2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운영 장치 및 방법
KR102170159B1 (ko) * 2015-10-27 2020-10-2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운영 장치 및 방법
KR102148371B1 (ko) * 2015-10-28 2020-08-2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운영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550B1 (ko) * 2000-11-21 2004-07-30 이동원 클라이언트 컴퓨터 자원 활용 방법 및 서버
US7653684B2 (en) * 2004-12-03 2010-01-26 Microsoft Corporation Enabling inter-subsystem resource sharing
KR101000793B1 (ko) * 2008-10-29 2010-12-14 전자부품연구원 모바일 디바이스, 리소스 공유 방법 및 리소스 공유 네트워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7717A (ko) 2014-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62760B2 (en) 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US9507630B2 (en) Application context transfer for distributed computing resources
Malik et al. Cloud computing and internet of things integration: Architecture, applications, issues, and challenges
Petrolo et al. The design of the gateway for the cloud of things
Lewis et al. Architectural tactics for cyber-foraging: Results of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KR102499219B1 (ko) 동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상호운용가능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처리
KR20180132826A (ko) Nfv를 통한 풀 기반 m2m 서비스 계층 구축
JP5352367B2 (ja) 仮想マシン起動端末および仮想マシン起動プログラム
US20210092073A1 (en) Resource trees by management controller
US8606908B2 (en) Wake-up server
US7966394B1 (en) Information model registry and brokering in virtualized environments
CN111352716B (zh) 一种基于大数据的任务请求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JP2020534605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サービス層メッセージテンプレート
KR101997602B1 (ko) 디바이스 양방향 m2m 리소스 관리 방법
US20140073370A1 (en) Method of mobile device resource reuse in mobile cloud
Le et al. Managing on-demand sensing resources in IoT cloud systems
CN109005071B (zh) 一种决策部署方法和调度设备
CN112953992A (zh) 网络系统、通信与组网方法、设备及存储介质
WO2022237255A1 (zh) 计算节点的管理方法及管理系统
CN112655185A (zh) 软件定义网络中的服务分配的设备、方法和存储介质
CN112799849B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046730B1 (ko) 서비스 요소들
US8041671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homogeneous view of a distributed common information model (CIM) within a heterogeneous virtual system environment
CN114327784A (zh) 基于位置信息的Kubernetes存储资源绑定方法、系统、设备及介质
Grazioli et al. Code migration in mobile clouds with the NAM4J middlewa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