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5579B1 - 레이더 신호 송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레이더 신호 송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5579B1
KR101635579B1 KR1020150083536A KR20150083536A KR101635579B1 KR 101635579 B1 KR101635579 B1 KR 101635579B1 KR 1020150083536 A KR1020150083536 A KR 1020150083536A KR 20150083536 A KR20150083536 A KR 20150083536A KR 101635579 B1 KR101635579 B1 KR 101635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dipole antenna
radar signal
flat plat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3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민
김영완
채희덕
박종국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3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55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61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 H01Q21/062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using dipole a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2013/0236Special technical features
    • G01S2013/0245Radar with phased array antenn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이폴 안테나의 팔을 구부리고 지향체를 구부린 방향과 일치하게 분리형으로 2개를 배치하는 다이폴 안테나 장치를 구비하는 레이더 신호 송수신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레이더 신호를 생성하는 레이더 신호 생성부; 및 레이더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으로서, 평판 상에 대칭으로 형성되는 제1 도체와 제2 도체를 포함하는 도체부; 제1 도체와 제2 도체에 접속되는 급전부; 및 평판 상에서 제1 도체와 제2 도체 각각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를 두고 미리 정해진 길이의 것으로 분리 형성되는 제1 지향체와 제2 지향체를 포함하는 지향체부를 포함하는 다이폴 안테나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레이더 신호 송수신 장치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ar signal with dipole antenna}
본 발명은 다이폴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이더 신호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분리형 지향체를 포함하는 다이폴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이더 신호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다이폴 안테나의 경우 E-plane 방향의 지향성으로 인해 광각의 빔 조향시 빔 조향이 불가능한 음영 영역이 발생하고 빔 패턴 상에서는 null-점(에너지 방사가 되지 않는 각)이 발생한다. 그래서 음영 영역 가까이 빔 조향을 하게 되면 능동 반사가 증가하여 송신으로 방사된 출력의 반사파가 반도체 송수신 모듈에 미치는 영향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지향체를 사용하는 다이폴 안테나의 경우 지향체가 없는 다이폴 안테나에 비해 지향성이 더욱 증가하기 때문에 빔 폭이 감소되어 음영 영역이 발생하지 않은 빔 조향 가능 범위가 더욱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8-0035785호는 다이폴 안테나에 대하여 제안하고 있다. 그런데 이 다이폴 안테나는 다이폴의 회전 및 선회 각도를 조절하여 지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이폴 안테나의 팔을 구부리고 지향체를 구부린 방향과 일치하게 분리형으로 2개를 배치하는 다이폴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이더 신호 송수신 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평판 상에 대칭으로 형성되는 제1 도체와 제2 도체를 포함하는 도체부; 상기 제1 도체와 상기 제2 도체에 접속되는 급전부; 및 상기 평판 상에서 상기 제1 도체와 상기 제2 도체 각각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를 두고 미리 정해진 길이의 것으로 분리 형성되는 제1 지향체와 제2 지향체를 포함하는 지향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폴 안테나 장치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지향체와 상기 제2 지향체는 상기 다이폴 안테나 장치의 신호 출력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지향체의 길이 방향은 상기 제2 지향체의 길이 방향과 다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이폴 안테나 장치의 신호 출력 방향에 대한 상기 제1 지향체의 경사각은 상기 다이폴 안테나 장치의 신호 출력 방향에 대한 상기 제2 지향체의 경사각과 다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도체와 상기 제2 도체는 일단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구부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지향체의 길이 방향 및 상기 제2 지향체의 길이 방향은 상기 제1 도체의 구부러진 방향 및 상기 제2 도체의 구부러진 방향에 각각 평행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이폴 안테나 장치는 상기 평판의 일단으로부터 적어도 일측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너비를 가지면서 형성되는 반사판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사판은 상기 평판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상기 너비를 가지면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이폴 안테나 장치는 다면체 형태의 것으로서, 일면이 상기 평판에 밀착 형성되고 타면이 상기 반사판에 밀착 형성되는 절연체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연체는 상기 평판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너비를 가지면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이더 신호를 생성하는 레이더 신호 생성부; 및 상기 레이더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으로서, 평판 상에 대칭으로 형성되는 제1 도체와 제2 도체를 포함하는 도체부; 상기 제1 도체와 상기 제2 도체에 접속되는 급전부; 및 상기 평판 상에서 상기 제1 도체와 상기 제2 도체 각각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를 두고 미리 정해진 길이의 것으로 분리 형성되는 제1 지향체와 제2 지향체를 포함하는 지향체부를 포함하는 다이폴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신호 송수신 장치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이더 신호 송수신 장치는 다기능 레이더 시스템에 장착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구성을 통하여 다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음영이 발생하지 않는 빔 조향 범위가 광각까지 증가된다. 즉 광각까지 빔 조향이 가능하여 능동 면형 위상 배열 레이다에 적합하다.
둘째, 레이더 빔 운용 범위에서의 능동 반사 최소화를 통해 안테나 방사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빔 조향시 발생될 수 있는 반도체 송수신 모듈의 손상 및 성능 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부배열 안테나를 구성하는 배열 소자의 일측면 투영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배열 안테나의 시뮬레이션 모델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부배열 안테나의 시뮬레이션 모델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지향체를 포함하는 다이폴 안테나의 구조 및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5 내지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폴 안테나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기능 레이다와 같이 능동 면형 위상 배열 레이다에 사용되는 안테나는 레이다의 운용 목적에 따라 광각으로 빔 조향이 가능해야 한다. 이러한 레이다의 동작을 위해 안테나를 구성하는 복사 소자는 빔 조향이 되지 않는 음영 영역이 최소화되도록 넓은 빔폭을 만족해야 한다. 또한 복사 소자 후단에 붙어있는 반도체 송수신 모듈에 미치는 송신 반사파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모든 빔 조향 범위에 대해 능동 반사를 최소화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광각의 빔 조향이 가능하고 모든 빔 조향 범위에서 능동 반사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로 분리형 지향체를 사용한 다이폴 안테나를 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부배열 안테나를 구성하는 배열 소자의 일측면 투영도이다.
능동 면형 위상 배열 레이다용 안테나에 사용되는 다이폴 안테나는 자계면(H-plane) 방향으로는 빔폭이 넓고 전계면(E-plane) 방향으로는 전류 분포에 의해 어느 정도의 지향성을 가진다. 그런데 다이폴 안테나의 앞쪽에 지향체를 둘 경우에는 이 지향체의 영향으로 지향성이 증가하여 H-plane과 E-plane 방향 모두 빔폭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기능 레이더용 분리형 지향체를 포함하는 다이폴 안테나에 대하여 제안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따르면, 배열 소자(100)는 분리형 지향체(110), 도체(120), 급전 라인(130), 절연체(Isolator; 140), 반사판(Reflector; 150) 및 평판(160)을 포함한다.
분리형 지향체(110)는 평판(160) 상에서 도체(120)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떨어진 채 형성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분리형 지향체(110)는 적어도 두개로 구성될 수 있다. 분리형 지향체(110)는 사선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지향성을 증가시켜 빔폭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얻게 할 수 있다.
도체(120)는 신호를 자유 공간으로 방사하는 것으로서, 다이폴 안테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체(120)는 적어도 한쌍의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도체(120)는 각 소자의 일단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구부러진 채 대칭형으로 평판(16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급전 라인(130)는 도체(120)를 구성하는 모든 소자들에 연결되며, 180도 위상차를 가지도록 도체(120)에 신호를 인가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급전 라인(130)는 BALUN(BALanced to UNbalanced (transformer)) 기술을 고려하여 도체(120)를 구성하는 모든 소자들에 연결될 수 있다.
절연체(140)는 배열 소자(100)와 이 배열 소자(100)에 인접하는 인접 소자 간 결합 억제용 구조물이다. 위 아래로 인접한 다이폴 안테나 포트들끼리 전계 벡터에 의한 결합이 생기는데, 전계의 특성은 전계 벡터와 평행한 방향의 도체에 부딪히면 전계가 사라지는 현상이 있다. 절연체(140)는 이와 같은 특성을 이용하여 위 아래 인접 소자들 간 결합을 억제함으로써 포트들 간 격리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절연체(140)는 전계면에 대한 E-plane Isolator로서, 평판(160)의 적어도 일측단에(바람직하게는 양측단에) 일정 두께와 너비를 가지면서 부착 형성될 수 있다.
반사판(150)은 후면으로 흐르는 신호를 전방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평판(160)의 일단에 부착 또는 끼움 형성되어 배열 소자(100)들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형성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반사판(150)은 본 실시예에서 다이폴 안테나의 전방향성 패턴을 전방으로 반사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반사판(150)은 반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구리 등의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평판(160) 상에는 분리형 지향체(110), 도체(120), 급전 라인(130) 등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PCB 형태로 평판(160) 상에 분리형 지향체(110), 도체(120), 급전 라인(130) 등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상 배열 소자(1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안테나는 복수개의 배열 소자(100)들이 정렬된 것이다. 이하 이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배열 안테나의 시뮬레이션 모델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배열 소자(100)는 소켓(210)에 끼움 형성되며, 부배열 안테나(200)는 배열 소자(100)가 끼움 형성된 소켓(210)들이 일렬로 밀착된 채 정렬됨으로써 형성된다.
한편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부배열 안테나의 시뮬레이션 모델에 대한 측면도이다.
한편 반사판(15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16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 소재의 것으로 지지부재(170)가 구성되고 그 지지부재(170)의 일측면에 반사판(150)이 부착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는 다이폴 안테나의 팔을 구부리고 지향체를 구부린 방향과 일치하게 분리형으로 2개를 배치하여 기존의 다이폴 안테나가 가지고 있는 E-plane 상의 지향성을 감소시켜 빔폭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는 빔 조향이 불가능한 음영 영역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광각의 빔 조향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빔 조향 범위에서의 능동 반사가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지향체를 포함하는 다이폴 안테나의 구조 및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일반적인 다이폴 안테나는 도 4의 (a)와 같은 구조와 빔 패턴을 갖는다. 이러한 다이폴 안테나가 지향성을 높이기 위하여 지향체를 사용할 수 있는데, 지향체를 사용하게 되면 안테나 특성상 지향성은 증가하나, 빔폭이 감소되어 면 배열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의 빔 조향 각도를 증가시킬 시 음영 영역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이폴 안테나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 지향체 2개를 사선으로 배치하여 면 배열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에서 빔 조향이 불가능한 음영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빔폭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이폴 안테나는 이에 따라 빔 조향이 불가능한 음영 영역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능동 반사 계수도 최소화되어 반도체 송수신 모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폴 안테나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다이폴 안테나에 2개의 도파기를 설치한 구조의 시뮬레이션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경우 평면형 다이폴 안테나의 빔이 좁기 때문에 빔 조향시 조향 음영 영역이 넓다. 반면 본 발명에서와 같이 2개의 도파기를 설치한 구조는 넓은 빔을 가지기 때문에 빔 조향시 조향 음영 영역을 좁힐 수 있다.
도 5는 레이더의 안테나 장치가 빔을 조향할 경우 생기는 능동 반사 손실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빔을 조향하면 각각 배열 소자에 위상이 달라지게 되며, 이로 인해 특정 빔 조향 각도에서 반사 손실이 커지게 되어 안테나 장치의 반도체 송수신 모듈 손상 및 성능 저하가 발생된다. 따라서 레이더의 성능은 당연히 저하된다.
레이더가 빔 조향을 할 시, 능동 반사 계수는 원하는 주파수 및 빔 조향 각도에서 작은 값을 가져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 조향 각도 θ가 0° ~ 70°이고 φ를 0° ~ 360°로 하여 빔 조향한 경우 가장 큰 값의 능동 반사 손실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도 6은 안테나의 빔폭을 2D로 plot한 도면이다. 도 6의 (a)가 일반적인 다이폴 안테나의 2D 빔 패턴을 도시한 것이며, 도 6의 (b)가 본 발명에 따라 분리형 지향체를 포함하는 다이폴 안테나의 2D 빔 패턴을 도시한 것이다.
한편 도 7의 (a)는 빔 조향 각도 θ = 0° ~ 70°, φ = 0° ~ 360°의 조건에서 빔 조향한 경우 일반적인 다이폴 안테나의 능동 반사 손실을 도시한 것이고, 도 7의 (b)는 빔 조향 각도 θ = 0° ~ 70°, φ = 0° ~ 360°의 조건에서 빔 조향한 경우 본 발명에 따라 분리형 지향체를 포함하는 다이폴 안테나의 능동 반사 손실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리형 지향체를 포함한 구조의 빔폭이 넓어져, 능동 반사 손실이 감소됨을 알 수 있다. 즉 원하는 빔 조향각에서 분리형 지향체를 포함하는 다이폴 안테나의 능동 반사 손실이 월등히 좋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다기능 레이다와 같이 능동 면형 위상 배열을 사용하는 레이다용 복사 소자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이폴 안테나는 PCB 타입의 복사 소자를 사용하는 모든 레이더의 안테나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기능 레이더(Multifunction radar)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일실시 형태로부터 추론 가능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이폴 안테나 장치는 도체부, 급전부 및 지향체부를 포함한다.
도체부는 평판 상에 대칭으로 형성되는 제1 도체와 제2 도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도체부는 도 1의 도체(120)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제1 도체와 제2 도체는 일단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구부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급전부는 제1 도체와 제2 도체에 접속되는 것이다. 이러한 급전부는 도 1의 급전 라인(130)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지향체부는 평판 상에서 제1 도체와 제2 도체 각각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를 두고 미리 정해진 길이의 것으로 분리 형성되는 제1 지향체와 제2 지향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즉 지향체부는 제1 도체와 제2 도체 각각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떨어진 채 평판 상에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가지도록 분리 형성되는 제1 지향체와 제2 지향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지향체부는 도 1의 분리형 지향체(110)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제1 지향체와 제2 지향체는 다이폴 안테나 장치의 신호 출력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향체의 길이 방향은 제2 지향체의 길이 방향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다이폴 안테나 장치의 신호 출력 방향에 대한 제1 지향체의 경사각은 다이폴 안테나 장치의 신호 출력 방향에 대한 제2 지향체의 경사각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향체의 길이 방향 및 제2 지향체의 길이 방향은 제1 도체의 구부러진 방향 및 제2 도체의 구부러진 방향에 각각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다이폴 안테나 장치는 반사판과 절연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반사판은 평판의 일단으로부터 적어도 일측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너비를 가지면서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반사판은 도 1의 반사판(150)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반사판은 평판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너비를 가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
절연체는 다면체 형태의 것으로서, 일면이 상기 평판에 밀착 형성되고 타면이 상기 반사판에 밀착 형성되는 것이다. 일례로, 이러한 절연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태의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절연체는 도 1의 절연체(140)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절연체는 평판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너비를 가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다이폴 안테나 장치를 구비하는 레이더 신호 송수신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레이더 신호 송수신 장치는 레이더 신호 생성부 및 다이폴 안테나 장치를 포함한다.
레이더 신호 생성부는 레이더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다.
다이폴 안테나 장치는 레이더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이다. 다이폴 안테나 장치에 대해서는 전술하였는 바,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레이더 신호 송수신 장치는 본 실시예에서 다기능 레이더 시스템에 장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USB 메모리, CD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기록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상세한 설명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레이더 신호를 생성하는 레이더 신호 생성부; 및
    상기 레이더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장치로서, 평판 상에 대칭으로 형성되는 제1 도체와 제2 도체를 포함하되, 상기 안테나 장치의 신호 출력 방향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비스듬히 휘어져 형성되는 상기 제1 도체와 상기 제2 도체를 포함하는 도체부; 상기 제1 도체와 상기 제2 도체에 접속되는 급전부; 및 상기 평판 상에서 상기 제1 도체와 상기 제2 도체 각각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를 두고 미리 정해진 길이의 것으로 분리 형성되는 제1 지향체와 제2 지향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도체와 상기 제2 도체에 각각 평행하게 길이 형성되는 지향체부를 포함하는 다이폴 안테나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신호 송수신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향체의 길이 방향은 상기 제2 지향체의 길이 방향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신호 송수신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폴 안테나 장치의 신호 출력 방향에 대한 상기 제1 지향체의 경사각은 상기 다이폴 안테나 장치의 신호 출력 방향에 대한 상기 제2 지향체의 경사각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신호 송수신 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폴 안테나 장치는,
    상기 평판의 일단으로부터 적어도 일측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너비를 가지면서 형성되는 반사판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신호 송수신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상기 평판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상기 너비를 가지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신호 송수신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폴 안테나 장치는,
    다면체 형태의 것으로서, 일면이 상기 평판에 밀착 형성되고 타면이 상기 반사판에 밀착 형성되는 절연체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신호 송수신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는 상기 평판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너비를 가지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신호 송수신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더 신호 송수신 장치는 다기능 레이더 시스템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신호 송수신 장치.
KR1020150083536A 2015-06-12 2015-06-12 레이더 신호 송수신 장치 KR101635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536A KR101635579B1 (ko) 2015-06-12 2015-06-12 레이더 신호 송수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536A KR101635579B1 (ko) 2015-06-12 2015-06-12 레이더 신호 송수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5579B1 true KR101635579B1 (ko) 2016-07-01

Family

ID=56500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3536A KR101635579B1 (ko) 2015-06-12 2015-06-12 레이더 신호 송수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557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7770A (ko) 2017-12-26 2019-07-04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모듈 및 안테나 장치
KR20190104290A (ko) 2019-08-29 2019-09-09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CN110764057A (zh) * 2019-10-29 2020-02-07 合肥市民靖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雷达信号强化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2353A (ja) * 2000-08-22 2002-02-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レーダ装置および校正方法
JP2006325255A (ja) * 2006-08-01 2006-11-30 Denki Kogyo Co Ltd 2周波共用ダイポールアンテナ装置
KR101345764B1 (ko) * 2012-08-21 2014-01-0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쿼시 야기 안테나
KR20150021238A (ko) * 2013-08-20 2015-03-02 재단법인 씨윗코리아 레이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2353A (ja) * 2000-08-22 2002-02-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レーダ装置および校正方法
JP2006325255A (ja) * 2006-08-01 2006-11-30 Denki Kogyo Co Ltd 2周波共用ダイポールアンテナ装置
KR101345764B1 (ko) * 2012-08-21 2014-01-0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쿼시 야기 안테나
KR20150021238A (ko) * 2013-08-20 2015-03-02 재단법인 씨윗코리아 레이더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7770A (ko) 2017-12-26 2019-07-04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모듈 및 안테나 장치
US10790573B2 (en) 2017-12-26 2020-09-2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ntenna module and antenna apparatus
US11509039B2 (en) 2017-12-26 2022-11-2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ntenna module and antenna apparatus
KR20190104290A (ko) 2019-08-29 2019-09-09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CN110764057A (zh) * 2019-10-29 2020-02-07 合肥市民靖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雷达信号强化设备
CN110764057B (zh) * 2019-10-29 2021-12-21 合肥市民靖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雷达信号强化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90422B2 (ja) 蛇行導波路を利用して二重偏波信号を生成するためのアンテナアレイシステム
US9287633B2 (en) Dual frequency coupling feed antenna and adjustable wave beam module using the antenna
JP4379541B2 (ja) アンテナ装置、アレイアンテナ、マルチセクタアンテナ、および高周波送受波装置
CN101640316B (zh) 微带阵列天线
US20140266953A1 (en) Antenna having split directors and antenna array comprising same
EP2058900A1 (en) Multibeam antenna
KR101307113B1 (ko) 원편광 루프 반사 안테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20050103608A (ko) 원편파 수신용 정방 격자 혼 배열 안테나
US11336031B2 (en) Antenna, array antenna, sector antenna, and dipole antenna
US9263807B2 (en) Waveguide or slot radiator for wide E-plane radiation pattern beamwidth with additional structures for dual polarized operation and beamwidth control
US10756446B2 (en) Planar antenna structure with reduced coupling between antenna arrays
WO2001065640A1 (fr) Antenne a ondes de fuite dielectrique a structure monocouche
CN112787098A (zh) 二维圆极化宽角扫描相控阵天线
KR101635579B1 (ko) 레이더 신호 송수신 장치
US20210135343A1 (en) Base station antenna and multiband base station antenna
CN110867643B (zh) 宽波束天线、天线阵以及应用该天线阵雷达
KR101628815B1 (ko) 다이폴 안테나 장치
JP5609772B2 (ja) 広角指向性アンテナ
KR101517475B1 (ko) 다중대역 복편파 패치 안테나
US20220352644A1 (en) Multi-band antenna
JP5605285B2 (ja) ダイポールアレーアンテナ
KR102266625B1 (ko) 차량용 무지향성 안테나 장치
JP6216267B2 (ja) アンテナ用ユニット
KR20160080037A (ko) 정합 소자가 필요 없는 고이득 진행파 안테나
Aylapogu et al. High gain switched beam Yagi-Uda antenna for millimeter wave commun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