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5407B1 - 관부재의 장력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관부재의 장력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5407B1
KR101635407B1 KR1020140124845A KR20140124845A KR101635407B1 KR 101635407 B1 KR101635407 B1 KR 101635407B1 KR 1020140124845 A KR1020140124845 A KR 1020140124845A KR 20140124845 A KR20140124845 A KR 20140124845A KR 101635407 B1 KR101635407 B1 KR 101635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pipe
expansion
tub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4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4467A (ko
Inventor
류승걸
박재욱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4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5407B1/ko
Publication of KR20160034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4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7/00Drilling rods or pipes; Flexible drill strings; Kellies; Drill collars; Sucker rods; Cables; Casings; Tubings
    • E21B17/01R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1/00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 F16L51/02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making use of bellows or an expansible folded or corrugated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부재의 장력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부재의 장력 조절 장치는 신축관을 구비하는 관부재; 관부재에 설치되어 신축관이 압축되도록 고정하는 고정부; 관부재에 설치되어 관부재의 장력을 계측하는 장력 계측 장치; 및 관부재의 장력에 따라 신축관의 압축 정도가 조절되도록 고정부를 제어하여 신축관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관부재의 장력 조절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TENSION OF PIPE MEMBER}
본 발명은 관부재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추 등 해상에서의 작업을 위한 구조물의 일종으로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이 알려져 있다.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은 상하 방향의 동요가 비교적 적어 극한환경의 해역에도 투입 및 운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최근 원유, 가스 등의 채굴지가 연안지역에서 극지방이나 심해지역으로 이동되면서,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의 수요는 점차 증대되고 있다.
파랑이나 조류, 조수에 의한 이동을 방지하여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계류라인(mooring line)으로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을 계류하고 있다. 해양의 파랑이나 조수, 조류, 해양 구조물의 규모 등 여러 가지 해양 환경 및 작업 조건에 따라 계류라인에 큰 계류력이 작용하여 계류라인이 끊어지는 등의 사고 발생시,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이 해수면의 정위치에서 이탈하게 되며, 지정된 좌표에서 과도하게 벗어날 경우, 심해 매니폴드(manifold)와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 간을 연결하는 라이저관(riser)에 허용치를 초과하는 큰 장력이 인가되어 라이저관이 손상되거나 끊어지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라이저관의 손상이나 파괴는 기름 유출에 따른 해양 오염과 같은 중대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66349호(2014.06.02.공개)에는 해저 파이프의 응력 해소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관부재의 장력에 따라 신축관의 길이를 적응적으로 조절함으로써 관부재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관부재의 장력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라이저관의 손상 및 파괴를 방지하여 기름 유출 및 해양 오염을 방지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관부재의 장력 조절 장치는 신축관을 구비하는 관부재; 상기 관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신축관을 압축되도록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관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관부재의 장력을 계측하는 장력 계측 장치; 및 상기 관부재의 장력에 따라 상기 신축관의 압축 정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고정부를 제어하여 상기 신축관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신축관의 일단과 타단을 와이어로 연결하여 상기 신축관을 압축되도록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고정부는, 상기 신축관의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의 일측을 권취하여 상기 신축관을 압축되도록 고정하는 권취부; 및 상기 신축관의 타단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의 타측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 장치는, 상기 관부재의 장력이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을 초과시, 상기 와이어가 인출되도록 상기 권취부를 제어하여 상기 신축관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신축관의 일단에 설치되고, 실린더로드를 구동하여 상기 신축관을 압축되도록 고정하는 구동실린더; 및 상기 신축관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로드에 연결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 장치는, 상기 관부재의 장력이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을 초과시, 상기 실린더로드가 인출되도록 상기 구동실린더를 제어하여 상기 신축관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관부재의 장력에 따라 신축관의 길이를 적응적으로 조절함으로써 관부재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과 해저 작업 설비 간을 연결하는 라이저관의 손상 및 파괴를 방지하여 기름 유출 및 해양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부재의 장력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부재의 장력 조절 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부재의 장력 조절 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로서, 신축관의 길이가 증가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부재의 장력 조절 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부재의 장력 조절 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관부재의 장력 조절 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관부재의 장력 조절 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로서, 신축관의 길이가 증가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공지된 구성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가급적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부재의 장력 조절 장치는 신축관을 구비하는 관부재; 신축관을 압축되도록 고정하는 고정부; 관부재의 장력을 계측하는 장력 계측 장치; 및 관부재의 장력에 따라 고정부를 제어하여 신축관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관부재의 장력에 따라 신축관의 길이를 적응적으로 조절함으로써 관부재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부재의 장력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해양 구조물(10)의 라이저관(40)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 장치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부재의 장력 조절 장치(100)를 설명한다. 해양 구조물(10)은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20)과 해저 작업 설비(30) 및 라이저관(40)을 포함할 수 있다.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20)은 원유나 천연가스 등의 자원을 수집하는 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plant, FPSO), 부유식 액화천연가스설비(floating liquid natural gas plant), 부유식 원유저장 해양 구조물(floating storage unit, FSU)과 같은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일 수 있다.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20)은 예를 들어, 해수면 상부 구조물에 원유, 가스, 해저광물 등의 탐사, 채취, 저장, 가공, 수송 등을 위한 설비, 원유 등의 탐사를 위한 시추 설비, 원유 등의 가공을 위한 정제 설비, 가스 등의 재기화 설비, 해상 자원의 저장이나 수송을 위한 터미널 설비 등을 탑재하여 해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이저관의 장력 조절 장치는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목적 및 용도를 갖는 해양 구조물의 라이저관에 활용되는 것도 가능하며, 특정 용도나 목적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라이저관(40)은 예를 들어, 해저(50)에 설치된 심해 매니폴드(manifold)와 같은 해저 작업 설비(30)에 의하여 수집된 원유나 천연가스 등의 자원을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20)로 이송하기 위한 통로로서,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20)과 해저(50)에 설치된 해저 작업 설비(30) 간을 연결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라이저관(40)은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20)과 해저 작업 설비(30) 간에 통신과 전원 케이블을 연결하거나 그 밖의 다른 용도나 목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부재의 장력 조절 장치(100)는 라이저관(40)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2개의 관부재의 장력 조절 장치(100)가 라이저관(40)의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나, 관부재의 장력 조절 장치(100)는 라이저관(40)에 1개 혹은 3개 이상 설치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부재의 장력 조절 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부재의 장력 조절 장치(100)는 적어도 일부에 신축관(110)을 구비하는 관부재, 고정부(120), 장력 계측 장치(130) 및 조절 장치(140)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관부재'는 신축관(110)만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지칭하거나, 신축관(110) 및 이의 일측 혹은 양측에 구비된 커넥터(connector)를 포함하는 구성을 지칭하거나, 혹은 라이저관(40) 및 신축관(110)을 모두 포함하는 구성을 지칭한다.
관부재는 자원과 같은 물질이나, 통신 혹은 전원 케이블 등이 통과될 수 있도록 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관부재는 유연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관부재는 신축관(110) 및 이의 양측에 구비된 커넥터(112,114)를 포함할 수 있다. 신축관(110)은 이의 길이 방향으로 압축 또는 팽창이 가능한 주름 구조를 갖는 주름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넥터(112,114)는 예를 들어 라이저관(40)과 같은 배관을 신축관(110)과 연결하기 위해 신축관(110)의 양측에 제공될 수 있다.
커넥터(112,114)는 예시적으로, 내측면에 나사부를 구비하여 라이저관(40)과 같은 배관에 나사 결합되거나, 커플러(coupler)와 같은 기구에 의해 원터치 방식으로 배관에 연결될 수 있으나, 그 밖의 다양한 방법으로 신축관(110)과 배관을 연결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라이저관(40)과 같은 배관의 일측에 주름 구조를 형성하여 별도의 커넥터 없이 신축관(110)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고정부(120)는 관부재에 설치되어 신축관(110)을 압축되도록 고정한다. 일 실시 예로, 고정부(120)는 신축관(110)의 일단과 타단을 와이어(124)로 연결하여 신축관(110)을 압축되도록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와이어 고정부는 와이어(124)의 일측을 권취하는 권취부(122) 및 와이어(124)의 타측을 고정하는 고정부재(126)를 포함할 수 있다.
권취부(122)는 신축관(110)의 일단에 설치되고, 와이어(124)의 일측을 권취하여 신축관(110)을 압축되도록 고정할 수 있다. 고정부재(126)는 신축관(110)의 타단에 설치되어 와이어(124)의 타측을 고정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권취부(122)는 제1 커넥터(112)에 설치되어 와이어(124)의 일측을 권취하고, 고정부재(126)는 제2 커넥터(114)에 설치되어 와이어(124)의 타측을 고정할 수 있다.
권취부(122)는 구동모터와 같은 구동부재에 의해 와이어(124)가 권취된 드럼을 회전시켜 와이어(124)를 인출하거나 권취할 수 있다. 고정부재(126)는 와이어(124)의 타측을 고정하는 고리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권취부(122)는 와이어(124)를 권취하여 와이어(124)의 장력에 의하여 신축관(110)을 압축시킬 수 있다.
장력 계측 장치(130)는 관부재에 설치되어 관부재의 장력을 계측한다. 장력 계측 장치(130)는 와이어(124)의 장력을 측정함으로써 관부재의 장력을 계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124)의 초기 장력을 기준으로 와이어(124)의 장력 변화량이 산출되면, 산출한 와이어(124)의 장력 변화량으로부터 관부재의 장력을 계측할 수 있다.
조절 장치(140)는 관부재의 장력에 따라 신축관(110)의 압축 정도가 조절되도록 고정부(120)를 제어하여 신축관(110)의 길이를 조절한다. 조절 장치(140)는 관부재의 장력이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을 초과시, 와이어(124)가 풀리도록 권취부(140)의 구동부재(예를 들어,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신축관(110)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조절 장치(140)는 관부재의 장력에 따라 고정부(12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값을 산출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와 메모리(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다르게, 조절 장치(140)의 일부(예를 들어, 제어부 및 메모리)는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20)의 관제실(미도시)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관부재의 장력 정보를 유/무선으로 관제실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부가 관부재 측에 설치될 수 있다.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20)의 관제실은 관부재의 장력 정보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받고,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통해 관부재의 장력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관부재의 장력 정보가 허용치를 초과하는 경우,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부 등의 경고 장치를 통해 경고등을 발생하여, 관제실의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다.
고정부(120)는 관부재의 장력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명령을 입력받아 신축관(110)의 길이를 조절할 수도 있고, 관제실의 관리자에 의해 수동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 수동 제어의 일 예로서, 관제실의 관리자는 관부재의 장력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관부재의 장력 정보가 미리 설정한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시, 버튼이나 터치 패널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신축관(110)의 길이를 증가시키도록 고정부(12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부(120)는 관제실로부터 전송된 제어명령에 따라 신축관(110)의 압축 정도를 조절하여 신축관(1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부재의 장력 조절 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로서, 신축관의 길이가 증가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관부재의 장력이 증가하면, 와이어(124)의 장력 또한 증가하므로, 와이어(124)의 장력 변화로부터 관부재의 장력의 증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조절 장치(140)는 관부재에 허용치 이상의 장력이 걸릴 경우, 권취부(122)를 제어하여 와이어(124)를 인출시킴으로써 신축관(110)의 길이를 증가시키고, 그에 따라 관부재의 장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관부재의 장력 증가에 따라 와이어(124)를 인출한 후에도 신축관(110)이 여전히 압축되어 있는 상태이면, 관부재의 장력이 더욱 크게 증가하게 될 때 다시 와이어(124)를 인출시켜 신축관(110)을 더욱 확장함으로써 관부재의 장력을 추가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신축관(110)의 탄성 복원력이 완전히 사라질 때까지 관부재의 장력 조절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부재의 장력 조절 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3의 실시 예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관부재의 장력 조절 장치(100)는 이를 구성하는 고정부(120), 장력 계측 장치(130) 및 조절 장치(140)가 관부재의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고정부(120), 장력 계측 장치(130) 및 조절 장치(140)는 관부재의 목적이나 용도, 그 밖의 필요에 따라 관부재의 측면에 3개 이상 적용될 수도 있다.
도 4의 실시 예에 의하면, 관부재의 둘레 방향으로의 장력의 분포에 따라 신축관(110)의 길이 증가량을 둘레 방향별로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부재의 특정 방향으로 집중되는 장력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고, 관부재의 특정 방향으로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관부재를 장시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부재의 장력 조절 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된 실시 예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장력 계측 장치(130)는 와이어(124)의 장력을 측정하는 대신, 직접 관부재의 장력을 측정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장력 계측 장치(130)는 예를 들어, 라이저관(40)과 커넥터(112,114)의 연결 부분에 설치되어 라이저관(40)이 커넥터(112,114)를 당기는 힘이나 압력 등을 측정하여 관부재의 장력을 측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관부재의 장력 조절 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6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된 실시 예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고정부(120)는 신축관(110)의 일단에 설치되어 실린더로드(128a)를 구동하여 신축관(110)을 압축되도록 고정하는 구동실린더(128) 및 신축관(110)의 타단에 설치되어 실린더로드(128a)에 연결되는 고정부재(129)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20)는 구동실린더(128)의 실린더로드(128a)를 매개로 신축관(110)의 일단과 타단을 연결한 상태에서, 실린더로드(128a)를 당겨 신축관(110)을 압축시킬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구동실린더(128)는 제1 커넥터(112)에 설치되어 실린더로드(128a)를 구동하고, 고정부재(129)는 제2 커넥터(114)에 설치되어 실린더로드(128a)의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장력 계측 장치(130)는 고정부재(129) 측에 설치되어 실린더로드(128a)에 의한 장력을 측정함으로써 관부재의 장력을 계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력 계측 장치(130)의 초기 장력을 기준으로 실린더로드(128a)에 의한 장력의 변화량이 산출되면, 산출한 장력의 변화량으로부터 관부재의 장력을 계측할 수 있다.
조절 장치(140)는 관부재의 장력에 따라 신축관(110)의 압축 정도가 조절되도록 고정부(120)의 구동실린더(128)를 제어하여 신축관(110)의 길이를 조절한다. 조절 장치(140)는 관부재의 장력이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을 초과시, 실린더로드(128a)가 인출되도록 구동실린더(128)를 제어하여 신축관(110)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관부재의 장력 조절 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로서, 신축관의 길이가 증가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관부재의 장력이 증가하면, 실린더로드(128a)에 의해 고정부재(129) 측에 가해지는 장력 또한 증가하게 되며, 이러한 장력 변화로부터 관부재의 장력의 증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조절 장치(140)는 구동실린더(128)를 제어하여 실린더로드(128a)를 인출시킴으로써 신축관(110)의 길이를 증가시키고, 관부재의 장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부재의 장력 조절 장치(100)는 해양 구조물(10)의 라이저관(40)의 장력을 조절하는 목적 및 용도로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관부재의 장력을 조절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부재의 장력 조절 장치(100)는 라이저관과 같은 관부재에 걸리는 장력에 따라 적응적으로 신축관(11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관부재의 장력을 해소하여 관부재의 파손을 방지하고, 라이저관의 파손에 의해 기름이나 천연가스 등이 해양에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며,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가능한 실시 예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문언적 기재 그 자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는 기술적 가치가 균등한 범주의 발명에 대하여까지 미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해양 구조물 20: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
30: 해저 작업 설비 40: 라이저관
50: 해저 100: 관부재의 장력 조절 장치
110: 신축관 112,114: 커넥터
120: 고정부 122: 권취부
124: 와이어 126,129: 고정부재
128: 구동실린더 128a: 실린더로드
130: 장력 계측 장치 140: 조절 장치

Claims (6)

  1. 신축관을 구비하는 관부재;
    상기 관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신축관이 압축되도록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관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관부재의 장력을 계측하는 장력 계측 장치; 및
    상기 관부재의 장력에 따라 상기 신축관의 압축 정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고정부를 제어하여 상기 신축관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신축관의 일단과 타단을 와이어로 연결하여 상기 신축관이 압축되도록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고정부는,
    상기 신축관의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의 일측을 권취하여 상기 신축관이 압축되도록 고정하는 권취부; 및
    상기 신축관의 타단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의 타측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관부재의 장력 조절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장치는, 상기 관부재의 장력이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을 초과시, 상기 와이어가 인출되도록 상기 권취부를 제어하여 상기 신축관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관부재의 장력 조절 장치.
  5. 신축관을 구비하는 관부재;
    상기 관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신축관이 압축되도록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관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관부재의 장력을 계측하는 장력 계측 장치; 및
    상기 관부재의 장력에 따라 상기 신축관의 압축 정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고정부를 제어하여 상기 신축관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신축관의 일단에 설치되고, 실린더로드를 구동하여 상기 신축관이 압축되도록 고정하는 구동실린더; 및
    상기 신축관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로드에 연결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관부재의 장력 조절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장치는, 상기 관부재의 장력이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을 초과시, 상기 실린더로드가 인출되도록 상기 구동실린더를 제어하여 상기 신축관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관부재의 장력 조절 장치.
KR1020140124845A 2014-09-19 2014-09-19 관부재의 장력 조절 장치 KR101635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845A KR101635407B1 (ko) 2014-09-19 2014-09-19 관부재의 장력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845A KR101635407B1 (ko) 2014-09-19 2014-09-19 관부재의 장력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4467A KR20160034467A (ko) 2016-03-30
KR101635407B1 true KR101635407B1 (ko) 2016-07-04

Family

ID=55660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4845A KR101635407B1 (ko) 2014-09-19 2014-09-19 관부재의 장력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54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3187A (ko) * 2016-08-25 2018-03-0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해저 유전용 파이프라인의 유체유동 모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1802B1 (ko) * 2019-04-05 2022-10-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펌프 타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9043A (ja) * 2006-09-29 2008-04-17 Sankei Giken:Kk 管継手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267B1 (ko) * 2012-11-23 2019-09-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저 파이프의 응력 해소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9043A (ja) * 2006-09-29 2008-04-17 Sankei Giken:Kk 管継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3187A (ko) * 2016-08-25 2018-03-0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해저 유전용 파이프라인의 유체유동 모사장치
KR101885616B1 (ko) * 2016-08-25 2018-08-0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해저 유전용 파이프라인의 유체유동 모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4467A (ko) 2016-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62717A (en) Riser for great water depths
US4427033A (en) Bending strain relief with adjustable stiffness
CN203097850U (zh) 一种深水钻井隔水管应急解脱装置
GB1107541A (en) Laying an underwater pipeline from a floating vessel
BR0016701B1 (pt) método de abandono de uma tubulação, sistema de abandono e resgate, embarcação de assentamento de tubulação, método e sistema para desconexão de uma linha de guincho de uma tubulação.
CN102269296B (zh) 海底管道穿越浮式生产储油装置系统铺设工艺
KR101635407B1 (ko) 관부재의 장력 조절 장치
NL2002120C (en) Method for guiding a cable or conduit through a hole in a wall and universal wall entry system for performing the method.
CN104457637A (zh) 一种海底管道弯曲变形状态监测系统及方法
CN108109755A (zh) 一种水密型脐带光电混合缆
AU2008301214B2 (en) Vibration isolation section
CN110805011A (zh) 基于气泡羽流技术的多用途隔污装置
EP3384574B1 (en) Bend limiting device for a cable connected to a floating marine installation or vessel
KR102328877B1 (ko) 수중 드론용 엄빌리컬 케이블
CN209658784U (zh) 一种大型船舶电缆绑扎固定装置
CN203518963U (zh) 一种海底管道弯曲变形状态监测装置
CN109131750B (zh) 一种浮标吊放缓冲机构及布放方法
US7241075B2 (en) Umbilical anchoring clamp
JP6097772B2 (ja) 電力ケーブルの修理用ジョイント
CN209233445U (zh) 一种海底电缆专用软接头
CN106678444A (zh) 用于在位浮式平台的钢制悬链线立管的安装方法
JP2009213279A (ja) 海底ケーブルの布設方法および海底ケーブル
CN205158956U (zh) 一种轻型前导段电缆
CN115183056B (zh) 一种新型rov自动调整托管架装置及调整方法
JP2023511526A (ja) 導管アンカ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