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5201B1 - 세탁물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5201B1
KR101635201B1 KR1020090001670A KR20090001670A KR101635201B1 KR 101635201 B1 KR101635201 B1 KR 101635201B1 KR 1020090001670 A KR1020090001670 A KR 1020090001670A KR 20090001670 A KR20090001670 A KR 20090001670A KR 101635201 B1 KR101635201 B1 KR 101635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hole
closing means
cabinet
op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1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2262A (ko
Inventor
이정환
김혁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1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5201B1/ko
Publication of KR20100082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2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covers 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71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revolving do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4Opening, closing or locking of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세탁물을 투입하는 투입구와, 투입구의 일측에 로크홀이 구비되는 캐비닛과,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도어와, 캐비닛을 바라보는 도어의 일면에 형성된 로크 어셈블리와, 로크홀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로크홀의 개방 및 폐쇄하는 로크홀 개폐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탁물 처리 장치{LAUNDRY TREATMENT MACHINE}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세탁물 처리 장치의 구동 후 도어가 열림되면 도어가 닫힘되지 않도록 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물 처리 장치는 세제와 세탁수 및 세탁물이 드럼 내에 투입된 상태에서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드럼과 세탁물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세탁하는 기기로서, 세탁물의 손상이 거의 없고 세탁물이 서로 엉키지 않는 장점을 가지므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세탁물 처리 장치는 캐비닛 내측에 저수조인 터브가 설치되고, 상기 터브의 내측에는 드럼이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는 드럼 내부의 세탁물을 투입 및 인출하도록 캐비닛에 결합되는 도어를 구비한다.
세탁중에 도어가 개방될 경우 드럼 내의 세제, 세탁수, 세탁물이 빠져 나와 주변을 더럽히게 되므로, 도어를 캐비닛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도어의 일측에는 갈고리 형상의 로크 어셈블리가 구비되고, 캐비닛에는 상기 로크 어셈블리 가 결합되도록 도어 록 장치가 구비된다.
사용자가 세탁물 처리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 도어를 개방한 후, 세탁물을 드럼 내부로 투입하고 도어를 닫은 후 세탁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세탁이 끝난 후 도어를 개방하여 드럼 내부의 세탁물을 인출하여 말리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캐비닛 플레이트(10)의 전방측 상단에는 세탁물 처리 장치의 각종 구성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미도시)와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가 내장된 콘트롤패널(2)이 결합된다.
캐비닛(20)의 하부는 나사 또는 후크 형태의 걸림편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캐비닛 플레이트(10)의 전방측 하단부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캐비닛(20)의 중앙부에는 세탁기 내부의 드럼(30)과 연통되는 출입구(21)가 형성되고, 상기 출입구(21)의 일측에는 출입구(21)를 개폐하는 도어(40)가 힌지(5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어(40)에는 로크 어셈블리(41)가 형성되고, 캐비닛(20)의 출입구(21) 일측에 상기 로크 어셈블리(41)가 삽입되는 로크홀(22)이 형성된다.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상기 로크홀(22)과 대응하는 캐비닛(20)의 내측에는 상기 로크 어셈블리(41)가 로크홀(22)을 통해 삽입되었을 때 로크 어셈블리(41)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록킹 메커니즘(locking mechanism)이 구성된다. 상기 록킹 메커니즘은 세탁물 처리 장치의 구동이 끝났을 때 자동으로 도어(40)를 해제하는 장치로, 상기 로크 어셈블리(41)가 로크홀(22)에 삽입되어 도어가 잠금되면, 드럼(30) 안에서 도 어(40)를 열지 못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 최근 어린 아이 또는 동물들이 실수로 세탁기 내부에 들어갔다가, 도어가 닫히는 바람에 산소 부족으로 질식사 하는 일이 생기고 있다.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는 드럼 내부로 쉽게 들어갈 수 있으며, 도어가 닫히면 안쪽에서 바깥으로 열지도 못하므로, 대부분 어린이 및 동물들의 보호를 위한 안전도어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사용자는 세탁이 끝난 후에도 도어를 닫힌 상태로 유지하는 경우가 많으며, 상기와 같이 세탁물 처리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도어를 닫힌 상태로 방치하게 되면, 드럼 내부에 남아있는 수분에 의해 드럼 내부에 곰팡이 등과 같이 인체에 해로운 물질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세탁물 처리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도어를 열린 상태로 유지시켜 드럼 내부에 곰팡이 등의 이물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물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시 로크홀 개폐수단을 사용하여 도어의 개방을 통해 드럼의 밀폐를 방지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가 무의도적으로 닫히게 되어, 아동들이나 동물들이 갇히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세탁물을 투입하는 투입구와, 투입구의 일측에 로크홀이 구비되는 캐비닛과,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도어와, 캐비닛을 바라보는 도어의 일면에 형성된 로크 어셈블리와, 로크홀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로크홀의 개방 및 폐쇄하는 로크홀 개폐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로크홀 개폐수단은 캐비닛에 형성되고, 로크홀 개폐수단이 로크홀 방향으로 이동하여 로크홀의 적어도 일부분을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로크홀 개폐수단는 플레이트와, 플레이트는 회전가능하게 회전축에 의해 캐비닛과 연결되고, 상기 로크홀 개폐수단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로크홀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캐비닛에는 로크홀에 인접하게 고정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돌기는 로크홀 개폐수단을 소정 각도 이내로 회전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캐비닛에는 로크홀 개폐수단의 손잡이부의 이동 경로를 따라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홀에 손잡이부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손잡이부는 관통홀을 따라 로크홀 개폐수단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로크홀 개폐수단는 캐비닛 내에 구비되고, 로크홀에 대응하는 홀을 구비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홀에 이격되게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홀 개폐수단은 손잡이부의 이동에 의해 로크홀 방향으로 이동하여, 홀이 로크홀과 이격되고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로크홀의 적어도 일부분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캐비닛에는 로크홀에 연장되게 가이드홀을 구비하고, 상기 로크홀 방향의 가이드홀 일단에는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홀에는 로크홀 개폐수단의 손잡이부가 삽입되어 가이드 홀에서 이동하되, 돌기에 의해 가이드 홀 내에서만 이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캐비닛은 로크홀 개폐수단의 손잡이부 이동경로에 대응하는 관통홀을 구비고, 플레이트는 회전가능하게 회전축을 사용하여 캐비닛과 연결되고 상기 로크 홀 개폐수단의 손잡이부는 관통홀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로크홀 개폐수단은 손잡이부의 이동에 의해 로크홀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로크홀 개폐수단은 로크홀에 인접하게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이동부재와, 이동부재를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와, 이동부재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 부를 구비하며, 이동부재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이동하여 가이드부를 따라 로크홀을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솔레노이드는 세탁물 처리 장치가 전원이 온되면 전원이 인가되어, 이동부재가 솔레노이드 방향으로 이동하여 로크홀을 개방시키고, 세탁물 처리 장치의 전원이 오프되면 솔레노이드로의 전원이 차단되어 이동부재가 로크홀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솔레노이드는 전원이 인가되어 이동부재가 로크홀을 개방시키도록 하고, 조작버튼에 의해 솔레노이드에 전원을 차단시키거나, 도어가 열림되면 전원이 차단되어 이동부재가 로크홀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는 도어와 캐비닛 사이에 로크홀 개폐수단을 구비하여 세탁물 처리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 도어가 잠금되어 일어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는, 세탁물 처리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 도어를 캐비닛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시킨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드럼의 통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는 터브 내부에 곰팡이 등과 같은 이물질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가 무의도적으로 닫히게 되어, 아동들이나 동물들이 갇히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불의의 사고 등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세탁물 처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의 도어(200)가 개방된 상태를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어(200) 및 캐비닛(110)의 투입구(111)이 종래의 세탁물 처리 장치보다 지면에서 더 높게 배치되어 사용자가 허리를 많이 굽히지 않고도 세탁물의 출입이 용이하게 된다.
도어(200)는 캐비닛(110)의 투입구(111) 전면을 대부분 덮는 형상으로 이루어져있어 도어(200)를 열고 닫는 편의성 뿐만 아니라 세탁물 출입시 공간이 넓게 보이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외부에 드러나는 세탁물 처리 장치의 전면에는 미감을 위한 코팅이나 다양한 데코레이션이 가능하게 된다.
세탁물 처리 장치는 크게 외면을 이루는 캐비닛(110), 도어(200), 세탁물 및 세탁과정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드럼(110)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도어 글래스(201)와, 상기 도어(200)와 캐비닛(110)을 결합되어 닫힘되도록 하는 로크 어셈블리(240)로 구성된다.
로크 어셈블리(240)는 후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어(200)와 마주보는 캐비닛(110)에 로크홀(120)에 삽입되어 도어(200)가 잠금된다.
캐비닛(110)의 내측에는 상기 로크 어셈블리(240)가 로크홀(120)을 통해 삽입되었을 때 로크 어셈블리(240)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록킹 메커니즘(locking mechanism: 300)이 구성된다. 상기 록킹 메커니즘(300: 도 3a에 도시)은 세탁물 처리 장치의 구동이 끝났을 때 자동으로 도어(200)를 해제하는 장치로, 상기 로크 어셈블리(240)가 로크홀(120)에 삽입되어 도어(200)가 잠금되면, 드럼(140) 안에서 도어(200)를 열지 못한다.
세탁물 처리 장치의 구동 후 및 구동이 없을 시 도어(200)가 닫힘 되는 것을 방지하는 로크홀 개폐수단(400)을 구비한다. 상기 로크홀 개폐수단(400)은 캐비닛 (110) 내부에 구비되어, 캐비닛(110) 내부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로크홀 개폐수단(400)은 플레이트(401)와, 플레이트(401) 일측에 구비되어 캐비닛(110)과 연결시키는 회전축(410)과, 타측에는 플레이트(401)를 이동시키는 손잡이 부(420)를 구비하며, 캐비닛(110)에는 관통홀(112)을 구비하여, 상기 로크홀 개폐수단(400)의 손잡이부(420)가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로크홀 개폐수단(400)은 캐비닛(110) 내부에서 회전축(410)을 중심으로 결합하되, 손잡이부(420)가 관통홀(112)에 삽입되게 하여, 로크홀 개폐수단(400)의 플레이트(401)가 로크홀(120) 방향으로 이동되게 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세탁물 처리 장치의 일부 정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세탁물 처리 장치의 일부 정면도. 상기 도 3a는 세탁물 처리 장치의 구동을 원할시 로크홀(120)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2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3b는 세탁물 처리 장치의 구동 후 및 도어(200)가 열림되어 로크홀(120)을 폐쇄시킨 것을 타나낸 것으로, 캐비닛(110) 내부에서 바라본 로크홀 개폐부재(400)를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로크홀 개폐수단(400)은 제1 고정홈(402)에 삽입되는 회전축(410)과, 플레이트(401) 타측에 구비된 손잡이 부(420)로 구성된다. 플레이트(401)는 예를 들어, 직경이 상이한 호가 겹쳐진 형태로, 달 형상으로 형성되나, 그 외의 사각형태 삼각형태 등 여러 형태를 플레이트(401)에 적용시킬 수 있다. 로크홀 개폐수단(400)의 손잡이부(420)는 캐비닛(110)에 관통되게 설치되되, 상기 캐비닛(110)에는 손잡이부(420)의 이동 경로에 대응되게 형성된 관통홀(112)과, 회전축(410)이 삽입되도록 제2 고정홈(117)을 구비한다.
세탁물 처리 장치의 구동 후 및 도어(200)가 열림되면 로크홀 개폐수단(400)을 로크홀(12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어(200)가 열림되면 로크홀 개폐수단(400)의 손잡이부(420)가 관통홀(112)을 따라 로크홀(120)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손잡이부(420)에 의해 상기 로크홀 개폐수단(400)이 로크홀(120)의 적어도 일부분을 차단시킨다. 따라서, 로크홀(120)이 막힘되어 도어(200)의 로크 어셈블리가 로크홀(120)에 삽입되지 않게 한다.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세탁물 처리 장치의 일부 측면도이다. 캐비닛(110)과, 캐비닛에(110) 결합된 로크홀 차단부재(400)와, 로크홀 차단부 재(400) 후면으로 결합된 록킹 메커니즘(300)을 나타낸 세탁물 처리 장치의 일부 측면도이다.
캐비닛에(110)는 관통홀(112)이 구비되고, 로크홀 차단부재(400)는 일측에 회전축(410)에 의해 캐비닛(110)과 연결되며, 타단에는 손잡이부(420)를 구비하여 캐비닛(110)의 관통홀(112)에 삽입되게 한다. 상기 로크홀 차단부재(400)는 관통홀(112)을 따라 손잡이부(420)를 사용하여 이동하여, 로크홀(120)을 개폐시킨다.
로크홀 차단부재(400)의 후면으로 구비된 록킹 메커니즘(300)은 도어(200)의 로크 어셈블리(240)가 로크홀(120)에 삽입되면, 로크 어셈블리(240)가 세탁물 처리 장치의 구동중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것이다. 록킹 메커니즘(300)은 통상에 사용되고 있는 것들 중의 하나로 사용한다.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세탁물 처리 장치의 일부 정면도이다. 상기 제2 실시예의 로크홀 개폐수단(400')이 적용된 세탁물 처리 장치의 일부를 상세히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제1 실시예와 다르게 캐비닛(110) 외부에 설치되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로크홀 개폐수단(400')은 제2 실시예의 로크홀 개폐수단(400: 도 3a에 도시)의 플레이트(401)와, 플레이트(401) 일측에 구비된 제1 고정홈(402)과, 제1 고정홈(402)에 삽입되는 회전축(410)은 동일하나 타측에 구비된 손잡이부(430)의 형태가 달리 형성된 것으로, 상기 로크홀 개폐수단(400')는 캐비닛(110)과 소정간격 이 격되게 형성되되, 상기 회전축(410)에 의해 캐비닛(110)과 결합하고, 상기 손잡이 부(430)을 사용하여 회전축(410)을 중심으로 플레이트(401)를 이동시킨다.
캐비닛(110)의 로크홀(120)의 하측에는 로크홀 개폐수단(400')이 일정각도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돌기부(113)를 구비하고, 상기 돌기부(113)는 예를 들어, 손잡이 부(430)의 외형과 동일하게 형성되었으나, 그외의 직육면체, 원형 등등 여러 형태의 돌기부(113)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로크홀 개폐수단(400')은 도어(200)가 열림되면 로크홀 개폐수단(400')의 손잡이부(430)를 이용하여 회전축(410)을 중심으로 로크홀(120)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로크홀 개폐수단(400')의 플레이트(401)가 로크홀(120)의 적어도 일부분을 차단시키고, 상기 로크홀 개폐수단(400')은 돌기부(113)에 의해 회전이 중단된다. 따라서, 상기 로크홀 개폐수단(400')에 의해 도어(200)의 로크 어셈블리(240)가 로크홀(120)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로크홀 개폐수단(400')의 플레이트(401)는 예를 들어, 달 형태로 형성되었으나 이것을 실시예에 불과하면, 직사각형 형태 등의 여러 형태의 플레이트(401)를 적용하여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세탁물 처리 장치의 일부 정면도이다. 도 4a는 로크홀 개폐수단(500)이 캐비닛(110)의 이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로크홀 개폐수단(500)은 플레이트(501)와, 상기 플레이트(501)에는 로크홀(121)과 동일한 크기의 홀(510)을 구비하고, 상기 홀(510)에 이격되게 로크홀 개 폐수단(500)의 이동시키는 손잡이 부(520)를 구비한다. 상기 손잡이 부(520)는 캐비닛(110)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측 일부의 직경이 좀더 크게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드(501)의 후면으로 로크홀 개폐수단(500)을 고정지지하는 가이드부(530)를 더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부(530)는 로크홀(120)의 이동 경로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캐비닛(110)과 결합되어 상기 로크홀 개폐수단(500)이 캐비닛(110)에서 이격되지 않도록 한다.
캐비닛(110)에는 로크홀(121)을 구비하고, 상기 로크홀(121)에 연장되게 일측으로 가이드홀(114)을 구비하고, 상기 로크홀(121)에 가까운 가이드홀(114)에 일측에 돌기부(114a)를 구비한다.
로크홀 개폐수단(500)은 로크홀(121)에 일치되게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홀(114)의 일단에 손잡이부(520)가 로크홀(121)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세탁물 처리 장치가 구동된 후 및 도어(200)가 열림되면, 상기 손잡이부(520)를 이용하여 로크홀(121) 방향으로 이동시키되, 가이드부(530)에 의해 가이드홀(114)을 벗어나지 않고, 상기 로크홀 개폐수단(500)의 플레이트(501)가 캐비닛(110)의 로크홀(121)의 적어도 일부분을 차단시키므로, 도어(200)의 로크 어셈블리가 로크홀(121)에 삽입되지 않도록 한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세탁물 처리 장치의 일부 분리 사시도이다. 캐비닛(110)과, 캐비닛(110)의 내부에 형성된 로크홀 개폐수단(500)의 분리 사시도이다.
상기 캐비닛(110)에는 로크홀(121)과, 로크홀(121)에 연장되게 형성된 가이 드홀(114)이 구비되고, 가이드홀(114) 일측에는 돌기부(114a)를 구비한다.
캐비닛(110) 이내에 구비되는 로크홀 개폐수단(500)에는 플레이트(501)와, 플레이트(501)에는 로크홀(121)과 동일한 홀(510)을 구비하고, 로크홀(121)에 이격되게 손잡이부(520)가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501) 후면으로 플레이트(501)를 지지하는 가이드부(530)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530)는 로크홀 개폐수단(500)이 캐비닛(110)과 이격되지 않도록 하고, 가이드 부(530)는 캐비닛(110)과 결합된다.
상기 로크홀 개폐수단(500)의 상기 손잡이 부(520)는 가이드홀(114) 일단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손잡이 부(520)는 로크홀 개폐수단(500)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거나, 따로 형성되어 플레이트(501)에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부(520)는 가이드홀(114)에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가진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세탁물 처리 장치의 일부 정면도이다. 도 4c는 로크홀 개폐수단(500)이 캐비닛(110) 이내에서 이동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로크홀 개폐수단(500)은 플레이트(501)와, 플레이트(501)에 구비된 홀(510)과, 홀(510)에 이격되게 형성된 손잡이부(520)와, 상기 플레이드(501) 후면으로 로크홀 개폐수단(500)을 고정하는 가이드 부(530)로 구성된다. 상기 홀(510)은 로크홀(121)과 같거나 크게 형성되고, 손잡이부(520)는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로크홀 개폐수단(500)은 캐비닛(110) 이내에 구비되되, 가이드 부(530)에 의해 캐비닛(510)에서 이격되지 않도록 하고, 캐비닛(110)에 구비된 가이드홀(114)을 따라 손잡이 부가 로크홀(12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세탁물 처리장치의 구동 후 및 도어(200)가 열림되면, 로크홀 개폐수단(500)의 손잡이 부(520)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로크홀 개폐수단(500)의 플레이트(501)가 로크홀(121)의 적어도 일부분을 막게 된다. 따라서, 로크홀 개폐수단(500)의 플레이트(501)가 로크홀(121)의 적어도 일부분을 차단시키므로, 도어(200)가 닫힘되지 않는다.
상기 도4a~ 4c에 나타난 로크홀 개폐수단(500)의 손잡이부(520)는 상측 일부가 돌출된 원기둥형태로 형성되나, 그외의 육면체 등의 형태로 제작되어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10)에 형성된 가이드홀(114)의 위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세탁물 처리 장치의 일부 정면도이다. 로크홀 개폐수단(600)은 캐비닛(110) 이내에 구비되되, 로크홀 개폐수단(600)의 일측에 연결된 회전축(610)에 따라 캐비닛(110) 이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로크홀 개폐수단(600)에 플레이트(601)와, 플레이트(601)의 일측에 제1 고정홈(602)을 구비하여 회전축(610)과 연결되도록 하고, 중앙에는 로크홀(121)과 같거나 크게 형성된 홈(620)을 구비하고, 상기 홀(620)과 이격되게 형성되되, 캐비닛(110)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손잡이부(630)를 구비한다.
캐비닛(110)에는 로크홀(121)과, 로크홀(121)에 일측으로 이격되게 제2 고정홈(117)을 구비하여 회전축(610)과 연결되고, 로크홀(121) 타측으로는 상기 손잡이부(630)의 이동경로에 대응하는 관통홀(115)을 구비한다.
로크홀 개폐수단(600)은 캐비닛(110) 이내에서 회전축(610)에 의해 캐비닛(110)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캐비닛(110)의 관통홀(115)에 로크홀 개폐수단(600)의 손잡이부(630)가 삽입되되, 상기 관통홀(115) 이내에서 이동가능하다.
도어(200)가 닫힘 되면, 로크홀 개폐수단(600)의 홀(620)이 로크홀(121)과 일치하도록 하고, 도어(200)가 열림 되면, 로크홀 개폐수단(600)의 손잡이부(630)를 관통홀(115)을 따라 이동시키고, 상기 로크홀 개폐수단(600)은 손잡이부(630)와 함께 이동하고, 로크홀 개폐수단(600)의 플레이트(610)가 이동하여, 로크홀(121)의 적어도 일부분을 차단시키게 된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세탁물 처리 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도 5b는 제5 실시예의 캐비닛(110)의 일부와 로크홀 개폐수단(600)의 분리하여 상세히 나타내었다.
로크홀 개폐수단(600)은 플레이트(601)와, 플레이트(601)의 중앙에 구비된 홀(620)과, 홀(620)의 일측에 구비된 제1 고정홈(602)과, 홀(620)의 타측에 구비된 손잡이부(630)로 구성된다. 제1 고정홈(602)에는 회전축이 삽입되어 캐비닛(110)과 로크홀 개폐수단(600)을 연결시키고, 손잡이부(630)는 캐비닛(110)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캐비닛(110)은 도어(200)의 로크 어셈블리(240)가 삽입되는 로크홀(121)을 구비하고, 상기 로크홀(121)의 일측에는 제2 고정홈(117)을 구비하여 회전축(610)과 연결되고, 타측에는 관통홀(115)을 구비하여 로크홀 개폐수단(600)의 손잡이부(630)가 삽입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캐비닛(110)과 결합한 로크홀 개폐수단(600)은 손잡이 부(630)에 의해 회전축(610)을 기점으로 회전가능하다.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세탁물 처리 장치의 일부 정면도이다. 도 5c는 세탁물 처리 장치의 구동 후 및 도어(200)가 열림되었을 때 로크홀 개폐수단(600)이 회전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로크홀 개폐수단(600)의 손잡이부(630)를 캐비닛(110)의 관통홀(115)을 따라 회전시키고, 상기 로크홀 개폐수단(600)은 손잡이부(630)와 함께 회전축(610)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로크홀 개폐수단(600)의 홀(610)과 로크홀(121)이 어긋나기 시작하면서, 플레이트(601)가 로크홀(121)의 적어도 일부분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로크홀(121)이 차단됨에 따라 도어(200)가 캐비닛(110) 방향으로 이동하여 닫힘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의 세탁물 처리 장치의 일부 측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의 세탁물 처리 장치의 일부 측면도이다.
제5 실시예의 로크홀 개폐수단은 캐비닛(110) 내부에 구비되되, 로크홀(120)에 인접하게 구비된 이동부재(700)를 구비한다. 또한, 로크홀 개폐수단은 상기 이동 부재(700)의 상측으로 솔레노이드(720)와, 솔레노이드(720) 중심에서 로크홀(120) 방향으로 상기 이동 부재(700)의 이동경로에 대응되게 가이드부(710)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부(710)는 절곡된 ㄴ형태이되, 하측에 안착부를 구비하여, 상기 이동부재(700)이 로크홀(120)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로크홀 개폐수단의 이동부재(700)는 솔레노이드(700)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이동가능하도록, 자성체 또는 스틸 등의 성분으로 구성된다.
도 6a에는 로크홀 개폐수단의 가이드부(710)의 후면으로 록킹 메커니즘(300)이 구비되며, 도 6b에서 록킹 매커니즘(300)을 도시하지 않았지만 록킹 어셈블리(300)가 구비된다.
록킹 매커니즘(300)은 로크홀(120)에 도어(200)의 로크 어셈블리(240)가 삽입되면, 상기 로크 어셈블리(240)를 고정시켜 로크 어셈블리(240)가 로크홀(12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통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록킹 매커니즘(300)을 적용하였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로크홀 개폐수단은 세탁물 처리 장치의 전원이 온되면 솔레노이드(720)에 전원이 인가되어 이동부재(700)가 솔레노이드(720) 내부로 이동하여, 로크홀(120)이 개방되어, 도어(200)의 로크 어셈블리(240)가 삽입 가능하게 된다.
또한, 세탁물 처리 장치가 오프되면, 솔레노이드(72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게 되어 이동부재(700)가 솔레노이드(720)로부터 분리 이탈되어, 가이드 부(720)을 따라 로크홀(120)에 이동하되, 가이드 부(710)에 하단의 안착부에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재(700)는 솔레노이드(72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을때 로크홀(120)을 폐쇄하여, 상기 도어(200)가 닫힘 되지 않도록 한다.
솔레노이드(720)는 세탁물 처리 장치의 온/오프에 대응하여 전원이 인가되는 방법 말고도, 도어(200)의 열림 닫힘에 따라 전원을 인가시키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도어(200)가 열림되면 솔레노이드(72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도록 하여 로크 홀(120)을 폐쇄시키고, 도어(200)를 닫힘되게 할 경우에는 버튼을 구비하여 솔레노이드에 전원을 인가하여 이동부재(700)가 로크홀(120)을 개방시키도록 하도록 하며, 그 외의 솔레노이드(720)에 전원을 인가하는 방법은 통상에 사용되는 방법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동부재(700)의 형태 및 솔레노이드(720) 형태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제작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의 세탁물 처리 장치의 일부 사시도이다. 상기 제6 실시예의 이동부재(700) 및 솔레노이드(720)를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이동부재(700)는 로크홀(120)에 인접하게 형성되되, 캐비닛(110)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로크홀(120)을 감싸듯이 이동부재(700)의 이동 경로에 대응하게 가이드부(710)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710)의 하단에는 단턱부를 구비하여 상기 이동부재(700)가 로크홀(120)에서 크게 벗어 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솔레노이드(720)는 가운데 홈(721)을 구비한 형태로, 이동부재(700)는 상기 솔레노이드(720)의 홈(721) 내부에 출입한다.
이동부재(700)는 솔레노이드(720)에 전원이 인가되면 솔레노이드(720) 방향으로 이동하여 로크홀(120)을 개방시키고, 상기 솔레노이드(72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로크홀(120) 방향으로 이동하여 로크홀(120)을 폐쇄시킨다.
상기 도 2~ 도 6c에 나타난 세탁물 처리 장치의 도면 중 캐비닛 내부에서 본 로크홀 개폐수단과 캐비닛과 로크홀을 나타내었으며, 상기 로크홀에 로크 어셈블리가 삽입될 경우에 상기 로크 어셈블리를 고정하여 도어가 닫힘되게 하는 도어 락이 구비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필요하지 않아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는 캐비닛의 로크홀에 인접하게 로크홀 개폐수단을 구비하고, 세탁물 처리 장치가 구동 중일 때는 로크홀에 인접하게 고정되고, 세탁물 처리 장치의 구동 후 및 도어가 열림되면 로크홀 개폐수단을 로크홀 방향으로 이동시켜, 로크홀의 적어도 일부분을 차단시켜 도어의 로크 어셈블리가 캐비닛의 로크홀에 삽입되지 않게 하여, 세탁물 처리 장치의 구동 후 및 도어가 열림된 상태에서 아이들 및 동물들이 드럼 내부에 들어가 도어가 닫힘 되어 생길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한다.
또한, 세탁물 처리 장치의 구동 후 세탁물 처리 장치의 사용하기 까지 도어가 열림됨에 따라 도어가 닫힘되어 드럼 내부가 밀폐되어 곰팡이 등의 미생물의 번식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 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세탁물 처리 장치의 정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세탁물 처리 장치의 일부 정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세탁물 처리 장치의 일부 정면도.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세탁물 처리 장치의 일부 측면도.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세탁물 처리 장치의 일부 정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세탁물 처리 장치의 일부 정면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세탁물 처리 장치의 일부 사시도.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세탁물 처리 장치의 일부 정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세탁물 처리 장치의 일부 정면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세탁물 처리 장치의 일부 사시도.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세탁물 처리 장치의 일부 정면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의 세탁물 처리 장치의 일부 측면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의 세탁물 처리 장치의 일부 측면도.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의 세탁물 처리 장치의 일부 사시도.

Claims (12)

  1. 세탁물을 투입하는 투입구와, 투입구의 일측에 로크홀이 구비되는 캐비닛;과,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도어;와,
    캐비닛을 바라보는 도어의 일면에 형성된 로크 어셈블리;와,
    로크홀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로크홀을 개방 및 폐쇄하는 로크홀 개폐수단;을 구비하고,
    로크홀 개폐수단는 플레이트와, 플레이트의 일측에 구비되어 캐비닛과 연결되며 플레이트가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로크홀 개폐수단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로크홀을 개폐하고,
    캐비닛에는 로크홀에 인접하게 고정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돌기는 로크홀 개폐수단을 소정 각도 이내로 회전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로크홀 개폐수단은 캐비닛에 형성되고, 로크홀 개폐수단이 로크홀 방향으로 이동하여 로크홀의 적어도 일부분을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로크홀 개폐수단의 일측에는 손잡이부가 구비되고, 로크홀 개폐수단은 상기 손잡이 부를 사용하여 로크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
  6. 세탁물을 투입하는 투입구와, 투입구의 일측에 로크홀이 구비되는 캐비닛;과,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도어;와,
    캐비닛을 바라보는 도어의 일면에 형성된 로크 어셈블리;와,
    로크홀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로크홀을 개방 및 폐쇄하는 로크홀 개폐수단;을 구비하고,
    로크홀 개폐수단는 플레이트와, 플레이트의 일측에 구비되어 캐비닛과 연결되며 플레이트가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로크홀 개폐수단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로크홀을 개폐하고,
    로크홀 개폐수단의 일측에는 손잡이부가 구비되고,
    캐비닛에는 로크홀 개폐수단의 손잡이부의 이동 경로를 따라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홀에 손잡이부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손잡이부는 관통홀을 따라 로크홀 개폐수단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
  7. 세탁물을 투입하는 투입구와, 투입구의 일측에 로크홀이 구비되는 캐비닛;과,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도어;와,
    캐비닛을 바라보는 도어의 일면에 형성된 로크 어셈블리;와,
    로크홀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로크홀을 개방 및 폐쇄하는 로크홀 개폐수단;을 구비하고,
    로크홀 개폐수단는 캐비닛 내에 구비되고, 로크홀에 대응하는 홀을 구비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홀에 이격되게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홀 개폐수단은 손잡이부의 이동에 의해 로크홀 방향으로 이동하여, 홀이 로크홀과 이격되고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로크홀의 적어도 일부분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캐비닛에는 로크홀에 연장되게 가이드홀을 구비하고, 상기 로크홀 방향의 가이드홀 일단에는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홀에는 로크홀 개폐수단의 손잡이부가 삽입되어 가이드 홀에서 이동하되, 돌기에 의해 가이드 홀 내에서만 이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캐비닛은 로크홀 개폐수단의 손잡이부 이동경로에 대응하는 관통홀을 구비고, 플레이트는 회전가능하게 회전축을 사용하여 캐비닛과 연결되고 상기 로크홀 개폐수단의 손잡이부는 관통홀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로크홀 개폐수단은 손잡이부의 이동에 의해 로크홀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
  10. 세탁물을 투입하는 투입구와, 투입구의 일측에 로크홀이 구비되는 캐비닛;과,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도어;와,
    캐비닛을 바라보는 도어의 일면에 형성된 로크 어셈블리;와,
    로크홀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로크홀을 개방 및 폐쇄하는 로크홀 개폐수단;을 구비하고,
    로크홀 개폐수단은 로크홀에 인접하게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이동부재와, 이동부재를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와, 이동부재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 부를 구비하며, 이동부재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이동하여 가이드부를 따라 로크홀을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솔레노이드는 세탁물 처리 장치가 전원이 온되면 전원이 인가되어, 이동부재가 솔레노이드 방향으로 이동하여 로크홀을 개방시키고, 세탁물 처리 장치의 전원이 오프되면 솔레노이드로의 전원이 차단되어 이동부재가 로크홀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솔레노이드는 전원이 인가되어 이동부재가 로크홀을 개방시키도록 하고, 조작버튼에 의해 솔레노이드에 전원을 차단시키거나, 도어가 열림되면 전원이 차단되어 이동부재가 로크홀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
KR1020090001670A 2009-01-08 2009-01-08 세탁물 처리 장치 KR101635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670A KR101635201B1 (ko) 2009-01-08 2009-01-08 세탁물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670A KR101635201B1 (ko) 2009-01-08 2009-01-08 세탁물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262A KR20100082262A (ko) 2010-07-16
KR101635201B1 true KR101635201B1 (ko) 2016-06-30

Family

ID=42642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1670A KR101635201B1 (ko) 2009-01-08 2009-01-08 세탁물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52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32294A1 (en) * 2022-09-05 2024-03-06 Arçelik Anonim Sirketi A laundry washer and/or dryer comprising a locking memb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6358A (ja) * 2004-03-10 2005-09-22 Glory Ltd 自動販売機の補助ロッ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445B1 (ko) * 2004-06-01 2012-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6358A (ja) * 2004-03-10 2005-09-22 Glory Ltd 自動販売機の補助ロッ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262A (ko) 2010-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5964B2 (en) Detergent supply apparatus of washing machine
ES2377207T3 (es) Puerta para una máquina de lavar tipo de tambor
US9107561B2 (en) Table top dishwasher
KR101443636B1 (ko) 드럼세탁기의 도어
PL1770198T3 (pl) Ładowana od góry pralka ze środkami blokującymi pokrywę
KR101635201B1 (ko) 세탁물 처리 장치
WO2019052367A1 (zh) 一种滚筒洗衣机
KR101624742B1 (ko) 세탁물 처리 장치
KR101011899B1 (ko) 세탁물 처리 장치
JP2008289696A (ja) 弾球遊技機
JP7465392B2 (ja) ドラム式回転槽を有する電気機器
EP1245712A3 (en) Top loading washer with a washing drum in the machine housing
CN114575116B (zh) 家用电器
JP4846056B2 (ja) 弾球遊技機
KR101275205B1 (ko) 식기세척기의 세제박스 어셈블리
JP5043228B2 (ja) 弾球遊技機
JP5450728B2 (ja) 弾球遊技機
JP4845808B2 (ja) 弾球遊技機
EP3617385B1 (en) A door for washing and/or drying machines
KR101234038B1 (ko) 드럼세탁기의 도어
JP5043225B2 (ja) 弾球遊技機
JP2014138839A (ja) 弾球遊技機
JP5374621B2 (ja) 弾球遊技機
JP5623610B2 (ja) 弾球遊技機
CN116869291A (zh) 一种具有防盗功能的物证存放用密集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