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4678B1 - Cricket rearing box and wall using cricket rearing - Google Patents

Cricket rearing box and wall using cricket rea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4678B1
KR101634678B1 KR1020160030694A KR20160030694A KR101634678B1 KR 101634678 B1 KR101634678 B1 KR 101634678B1 KR 1020160030694 A KR1020160030694 A KR 1020160030694A KR 20160030694 A KR20160030694 A KR 20160030694A KR 101634678 B1 KR101634678 B1 KR 101634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cricket
partition
wall
parti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06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춘흠
변형완
Original Assignee
최춘흠
변형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춘흠, 변형완 filed Critical 최춘흠
Priority to KR1020160030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467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6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27/00Animals characterised by species
    • A01K2227/70Invertebrates
    • A01K2227/706Insects, e.g. Drosophila melanogaster, medfl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icket rearing box and a dividing wall for cricket rearing.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ricket rearing box and a diving wall for cricket rearing, which prevent crickets from escaping and enable crickets stuck to a dividing part to be easily removed by forming the diving part such that the height of the diving part is 15 cm or more lower than that of the box. A cricket rearing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lumn-shaped box (100) of which a top part is opened; and a diving part (200) which is installed such that the height of the highest part in the dividing part is 15 cm or more lower than that of the box (100), and in which walls are formed such that a plurality of column-shaped spaces are formed. Penetration holes are formed in predetermined positions of the dividing part.

Description

귀뚜라미 사육 상자 및 귀뚜라미 사육용 구획벽 {CRICKET REARING BOX AND WALL USING CRICKET REARING}{CRICKET REARING BOX AND WALL USING CRICKET REARING}

본 발명은 귀뚜라미 사육 상자 및 귀뚜라미 사육용 구획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박스의 높이보다 15cm이상 높이가 낮도록 구획부를 형성하여, 귀뚜라미의 탈출을 방지하고 구획부에 붙은 귀뚜라미를 털어내는 것이 용이한 귀뚜라미 사육 상자 및 귀뚜라미 사육용 구획벽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icket breeding box and a partition wall for raising a cricket.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viding wall for raising a cricket, Easy cricket breeding box and cricket breeding compartment wall.

한국 농림축산식품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 농촌진흥청은 일반식품 원료로 고소애(갈색거저리 유충)와 쌍별귀뚜라미를 인정한다고 밝혔다.The Ministry of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nd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aid that they admit crickets and other crickets as common food ingredients.

세계적 선호도가 높고, 안전성이 입증된 2종이 일반식품원료로 등록되면서 식용곤충 산업이 활성화될 전망이다. Edible insect industry is expected to be activated as two kinds of foods with high global preference and proven safety are registered as general food raw materials.

해외에서도 귀뚜라미 등 곤충의 식품 활용도가 높아지는 추세다. 해외 전문가들은 2020년 38조원 규모의 시장이 형성될 것이란 전망을 내놓고 있다. 유엔국제식량농업기구(FAO)는 곤충을 '작은가축(little cattle)'으로 명명했고, 벨기에는 곤충 10종을 식품원료로 인정한 상태다.Overseas, the use of food such as crickets is also increasing. Overseas experts are forecasting that a market of 38 trillion won will be formed by 2020. The United Nations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 has named insects "little cattle," and Belgium has 10 species of insects as food ingredients.

식용곤충의 중요성은 식량자원 생산에 필요한 물발자국(water footprint)의 양도 비교적 적다는 장점도 있다.The importance of edible insects also has the advantage that the amount of water footprint required to produce food resources is relatively small.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25년 지구 전체 인구의 2/3가 물부족 스트레스에 시달리게 되는 상황이 도래한다고 우려한다. 소고기 1kg에 들어가는 물의 양이 2만 2천 리터인 반면, 곤충은 냉온동물이라 체온 유지를 하지않아 매우 적은 양만으로, 더 많은 단백질과 영양소를 공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AO), two-thirds of the world's population in 2025 will suffer from water stress. While the amount of water in 1 kg of beef is 22,000 liters, insects are cold animals and do not maintain their body temperature, so they can supply more protein and nutrients in very small quantities.

더욱이 곤충은 풍부한 아미노산과 높은 담백질 함량, 포화지방보다 불포화 지방산 함량이 높다. 영양학적 가치가 매우 크고 쇠고기와 비교해 미네랄과 비타민, 섬유질의 함량도 훨씬 풍부한 것이 식용곤충이다.Moreover, insects have high amino acid content, high protein content, and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than saturated fat. The nutritional value is very large and the content of minerals, vitamins and fibers is much richer than that of beef.

식용곤충자원은 국내ㅇ외 시장의 급속한 관심속에 식품, 제과, 제빵, 음료시장, 천연신약 시장에 진입할 것으로 보이며, 앞으로 농가 소득 확대 및 6차 관광과 연계하는 등 농업의 미래성장산업화의 선두주자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The edible insect resources are expected to enter the food, confectionery, baking, beverage market and natural market with the rapid interest of the domestic market. In addition, .

귀뚜라미는 메뚜기목(Orthoptera), 여치아목([0002] Ensifera), 귀뚜라미상과(Grylloidea), 귀뚜라미과(Gryllidae)에 속하는 곤충의 총칭이다. 귀뚜라미의 이용 역사를 살펴보면, 동양에선 애완곤충으로 이용한 자료들을 찾아 볼 수 있는데, 중국 당나라시대(AD618∼906), 일본(1095년), 우리나라는 이규보(1168∼1241)의 동국이상국집 등이다. 중국은 송나라시대부터 귀뚜라미 사육이 대중화되어 귀뚜라미싸움 놀이를 즐기기 시작하였고, 지금도 성행하고 있다. 또한 애완동물의 먹이 충 및 낚시미끼로 이용하기 위해 미국 Fluker farms는 1953년 귀뚜라미 농장을 설립한 후 자동화 사육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현재에는 귀뚜라미가 갖고 있는 다량의 기능성 물질 때문에 가축 사료소재로 이용되고 있으며, 급성 및 유전독성 시험에서도 이상이 없음이 밝혀졌다. 뿐만 아니라, 간보호, 항피로, 소염효과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정되어 향후 귀뚜라미 사육은 농가 주요 소득 작목으로 기대되고 있다.Crickets are a generic term for insects belonging to the Orthoptera, the Ensifera, the Grylloidea, and the Gryllidae. The history of the use of crickets can be found in the East as pets have been used as insects in the Tang Dynasty (AD618-906), Japan (1095), and Korea, Lee Kyu-bo (1168-1241). Since the Song Dynasty, China has been popularizing cricket breeding and enjoying cricket fighting, and it is still active. In addition, Fluker farms in the United States have established a cricket farm in 1953 and have automated breeding facilities for pet feeding and fishing lures. In addition, it is now being used as livestock feed material due to the large amount of functional materials crickets have found to have no abnormality in acute and genotoxicity tests. In addition, it has been proved to be effective for liver protection, anti-fatigue, anti-inflammatory effect and the like, and it is expected that cricket raising will be the main income of farm household in the future.

또한, 귀뚜라미는 오메가-3 계열 지방산, 특히 DHA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을 뿐 아니라, 키토산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세계에서 유일하게 먹이용 곤충으로 사육될 수 있는 품종으로 알려져 있다.In addition, crickets are rich in omega-3 fatty acids, especially DHA, are rich in chitosan, and are known to be the only breed that can be reared as food insects in the world.

상기한 오메가-3 계열 지방산은 불포화 지방산 중에서도 탄소 측쇄의 맨 끝에서부터 3번째 탄소에 이중결합을 갖는 필수 지방산으로서, 이 필수 지방산은 세포의 조직을 구성하는 성분으로 신체의 신진대사를 촉진함은 물론 신체의 성장과 두뇌 발달에 반드시 필요한 영양소일 뿐 아니라, 오메가-3 계열 지방산은 혈액 중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를 통한 각종 심장 혈관계 질환의 예방과 항종양 효과 및 학습 능력의 저하 예방 효과 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The above-mentioned omega-3 fatty acid is an essential fatty acid having a double bond at the third carbon from the end of the carbon side chain among the unsaturated fatty acids. The essential fatty acid is a constituent of cellular tissues and promotes metabolism of the body Omega-3 fatty acids have been shown to prevent cholesterol-lowering effects of various kinds of cardiovascular diseases, antitumor effect and prevention of lowering of learning ability, as well as nutrients essential for body growth and brain development.

일반적으로 귀뚜라미를 사육하는 경우, 귀뚜라미가 탈출하지 못하는 높이의 미끄러운 용기(리빙박스 등)에 계란판 등으로 은신처를 만들어 사용한다. Generally, when raising crickets, a shelter is made by using an egg plate or the like on a slippery container (such as a living box) where crickets can not escape.

그러나, 계란판은 구하기도 어렵고 일반적으로 대량(6만장 이상)으로 구입하여야 하기 때문에 구매 비용이 크며, 또한 이를 보관하여야 하는 장소도 별도로 마련하고 관리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egg plate is difficult to obtain and generally requires a large amount (more than 60,000 sheets) to be purchased, so that the purchase cost is high,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 place where the egg plate is to be stored must be additionally provided and managed.

또한, 귀뚜라미를 채집하려면 일일이 계란판에 붙은 귀뚜라미를 털어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o collect crickets, crickets attached to egg plates must be shaken one by one, so that it takes a long time to work.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01648호에서는 귀뚜라미 대량 사육 방법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으나, 계란판 및 젖은 신문지 등으로 인해 귀뚜라미만 포집하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2-0001648 discloses a method for mass rearing of crickets, bu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ollect only crickets due to an egg plate and a wet newspaper.

한국공개특허 [10-2002-0001648](공개일자: 2002년01월09일)Korean Patent Publication [10-2002-0001648] (Publication date: January 09, 200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박스의 높이보다 15cm이상 높이가 낮도록 구획부를 형성하여, 귀뚜라미의 탈출을 방지하고 구획부에 붙은 귀뚜라미를 털어내는 것이 용이한 귀뚜라미 사육 상자 및 귀뚜라미 사육용 구획벽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rusher which prevents a cricket from escaping and a cricket attached to the crus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ricket breeding box and a cricket breeding partition wall which are easy to shake off.

본 발명의 실 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뚜라미 사육 상자는, 상부가 개구된 기둥 형상의 박스(100); 및 가장 높은 부분의 높이가 상기 박스(100)의 높이 보다 15cm이상 낮게 구비되며, 기둥 형상의 공간이 다수 구획되도록 벽이 형성된 구획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구획부(200)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ricket breeding box comprising: a box-shaped box having an opened top; And a partition (200) having a height of the highest part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box (100) by 15 cm or more and having a wall such that a plurality of columnar spaces are partitioned,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at a determined position.

또한, 상기 박스(100)는 단프라(DANPLA) 재질로 벽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the box 100 is formed of a wall made of DANPLA material.

또, 상기 박스(100)는 접고 펴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부 모서리가 회동부(110)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ox 10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dge thereof is connected to the rotary part 110 so that the box 100 can be folded and unfolded.

또한, 상기 구획부(20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측 끝단부터 일정 높이까지 세로 방향으로 관통된 결합슬릿(211)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고, 미리 결정된 영역이 관통된 이동통로(212)이 다수 형성된 구획벽(210);을 포함하며, 구획벽(210) 간의 결합슬릿(211)과 결합슬릿(211)의 끼움 결합으로 상기 구획부(200)를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artition 20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coupling slits 211 penetrat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from a lower end to a predetermined heigh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ncludes a moving passage 212 through which a predetermined region passes, And the partition 200 is assembled by fitting the slit 211 between the slit 211 and the slit 211 between the slit 211 and the slit 211.

또, 상기 이동통로(212)은 상측방향 또는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vement passage 212 is characterized in that its size becomes smaller toward the upper direction or the lower direction.

또한, 상기 결합슬릿(211)은 일정 두께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직선구간(A)과, 상기 직선구간(A)의 형태와 다른 변형구간(Ba, Bb, Bc)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upling slit 211 has a linear section A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modified sections Ba, Bb, Bc different from the linear section A.

또, 상기 구획부(200)는 상기 변형구간(Bb, Bc)의 일부 또는 전부가 결합슬릿(211)과 결합슬릿(211) 간의 끼움 결합으로 상기 구획부(200)를 조립 시 걸리는 이탈방지홀(213a, 213b)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artition 200 may be formed in a manner that part or all of the deformation sections Bb and Bc are engaged with the coupling slit 211 and the coupling slit 211, (213a, 213b) are further formed.

또한, 상기 구획부(200)는 일측 모서리 어느 하나의 이동통로(212)로부터 대각선 방향의 이동통로(212)들 및 타측 모서리 어느 하나의 이동통로(212)을 통과하여 폐루프를 형성하며, 폐루프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각도제한부(220);를 포함하며, 상측 방향에서 하측방향으로 결합되는 구획벽(210)과 하측 방향에서 상측 방향으로 결합되는 구획벽(210)이 이루는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artition 200 passes through one of the moving passages 212 at one corner and passes through the moving passages 212 in the diagonal direction and one of the moving passages 212 at the other corner to form a closed loop, And an angle limiting unit 220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loop, wherein the angle between the partition wall 210 coupled from the upper direction to the lower direction and the partition wall 210 coupled from the lower direction to the upper direction is adjusted .

아울러, 상기 귀뚜라미 사육 상자는 상기 박스(100) 내부에 크기가 서로 다른 상기 구획부(20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ricket breeding box is provided with the dividing section 200 having different sizes inside the box 1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뚜라미 사육용 구획벽은, 귀뚜라미 사육 상자에 사용되는 귀뚜라미 사육용 구획벽(200)에 있어서,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측 끝단부터 일정 높이까지 세로 방향으로 관통된 결합슬릿(211)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고, 미리 결정된 영역이 관통된 이동통로(212)이 다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cricket breeding partition wall 200 used in the cricket breed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ition wall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has a longitudinally extending A plurality of slits 211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plurality of moving passages 212 through which predetermined regions pass are 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뚜라미 사육 상자 및 귀뚜라미 사육용 구획벽에 의하면, 박스의 높이보다 15cm이상 높이가 낮도록 구획부를 형성하여, 귀뚜라미의 탈출을 방지하고, 구획부가 수직으로 벽을 형성하고 있어 귀뚜라미를 털어내기 용이함으로써, 귀뚜라미를 포획할 때 소모되는 인력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cricket breeding box and the cricket breeding partition wal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ition is formed to have a height of 15 cm or mor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box to prevent the cricket from escaping,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ave manpower and time consumed when capturing a cricket by making it easy to shake the cricket.

또한, 단프라 재질로 박스를 제작함으로써, 일반적인 프라스틱상자(일명 리빙박스 등)와 비교하면 20% 수준의 가격으로 더욱 가볍고 저렴한 박스(100)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making the box with a single-piece material,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lighter and cheaper box 100 at a price of 20% as compared with a general plastic box (a living box or the like).

또, 박스의 상부모서리를 회동부로 연결함으로써, 접고 펴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상부 모서리의 고정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Also, by connecting the upper edge of the box to the turning portion, it is possible to fold and stretch, and at the same time, the fixing force of the upper edge is increased.

또한, 회동부의 바깥쪽을 상부로 돌출시킴으로써, 다른 박스를 적층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Further, by protruding the outer side of the pivot portion to the upper side, it is easy to laminate other boxes.

또, 결합슬릿과 이동통로가 형성된 구획벽을 끼움결합하여 구획부를 조립함으로써, 구획부의 제작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고,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partitioning portion can be reduced by assembling the partitioning portion by engaging and fitting the partitioning wall having the joining slit and the moving passage,

또한, 이동통로의 크기를 달리 함으로써, 작은 개체가 큰 개체를 피해 이동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Further, by varying the size of the movement passage, it is possible to easily move a small object from a large object.

또, 직선구간과 변형구간으로 결합슬릿을 형성함으로써, 구획벽 간의 결합이 용이해 지게 하거나, 구획벽 간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coupling slit in the straight section and the deformation section, the coupling between the partition walls can be facilitated or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partition walls can be enhanced.

또한, 구획벽에 이탈방지홀을 형성함으로써, 변형구간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구획벽 간의 결합력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by forming the separation preventing holes in the partition wal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formation of the deformation section from being deformed, and at the same tim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partition walls can be further increased.

또, 구획부에 구획벽 간에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제한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구획벽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더 많은 구획부를 박스에 넣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artition por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the angle restricting portion for adjusting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partition wall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artition wall can be prevented from departing and more partition portions can be put into the box.

아울러, 다양한 크기의 구획부를 박스 내부에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귀뚜라미다 보다 큰 귀뚜라미의 위협을 피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providing partitioned portions of various sizes inside the box, it is easy to avoid threats of crickets larger than various types of cricke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뚜라미 사육 상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박스의 전개도.
도 4는 도 3의 조립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상부 모서리가 회동부로 연결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뚜라미 사육용 구획벽의 평면도.
도 7은 도 6 다수를 조립하는 예를 보여주는 조립도.
도 8은 도 7이 조립된 사시도.
도 9는 도 6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0은 결합슬릿의 크기가 다른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1 내지 도 12는 직선구간과 변형구간의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3 내지 도 14는 이탈방지홀의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5는 도 1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16은 도 5에 도 8의 구획부를 네 개 구비한 예를 보여주는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17은 도 8에 각도제한부가 추가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8은 도 17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19는 도 15의 구획부를 도 16의 구획부와 같이 접을 수 있도록 각조제한부를 조절한 예를 보여주는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20은 도 1의 A-A'의 정면도.
도 21은 도 1의 상부에 도 1의 구획부 보다 작은 구획부를 적층한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icket breed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view of Fig.
3 is an exploded view of the box shown in Fig.
Fig. 4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Fig. 3;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upper edge of Fig. 4 is connected to the turning portion. Fig.
6 is a plan view of a partition wall for breeding cricke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assembly view showing an example of assembling a plurality of Figure 6;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assembled with Figure 7;
FIG. 9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6; FIG.
10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size of the engaging slit is different;
11 to 12 are plan views showing examples of a straight section and a modified section.
Figs. 13 to 14 are plan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n escape prevention hole. Fig.
FIG. 15 is a plan view of FIG. 1 as viewed from above. FIG.
FIG. 16 is a plan view as seen from above, showing an example in which four compartments in FIG. 8 are provided in FIG. 5;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n angle restricting portion is added to Fig.
18 is a top plan view of Fig. 17; Fig.
FIG. 19 is a top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dividing section of FIG. 15 is adjusted in such a manner that the dividing section of FIG. 15 is folded like the dividing section of FIG. 16;
20 is a front view of A-A 'in Fig. 1;
FIG. 2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partition smaller than the partition of FIG. 1 is stacked on the upper part of FIG. 1;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comprises" or "having ", etc. is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nd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in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 of the term appropriately in order to describe its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unless otherwise defined, technical terms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be unnecessarily blurred are omitted. The following drawings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drawings,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addition,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among th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뚜라미 사육 상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박스의 전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상부 모서리가 회동부로 연결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뚜라미 사육용 구획벽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6 다수를 조립하는 예를 보여주는 조립도이고, 도 8은 도 7이 조립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6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10은 결합슬릿의 크기가 다른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11 내지 도 12는 직선구간과 변형구간의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13 내지 도 14는 이탈방지홀의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15는 도 1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16은 도 5에 도 8의 구획부를 네 개 구비한 예를 보여주는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며, 도 17은 도 8에 각도제한부가 추가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며, 도 19는 도 15의 구획부를 도 16의 구획부와 같이 접을 수 있도록 각조제한부를 조절한 예를 보여주는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20은 도 1의 A-A'의 정면도이며, 도 21은 도 1의 상부에 도 1의 구획부 보다 작은 구획부를 적층한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icket breed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view of FIG. 1, FIG. 3 is an exploded view of the box shown in FIG. 1,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upper edge of FIG. 4 is connected to a turning part, FIG. 6 is a plan view of a partition wall for a cricket rai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6, Fig. 10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size of the engaging slit, and Figs. 11 to 12 13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eparture prevention hole, FIG. 15 is a plan view of FIG. 1 viewed from above, and FIG. 16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traight line section and a deforming section, Show examples with four parts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n angle restricting portion is added in Fig. 8, Fig. 18 is a plan view from the top in Fig. 17, and Fig. 19 is a plan view in a state in which the partition in Fig. FIG. 20 is a front view of the A-A 'of FIG. 1, and FIG. 2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part of FIG. 1 in which a partition smaller than the partition of FIG. 1 is stacked Fig.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뚜라미 사육 상자은 박스(100) 및 구획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구획부(200)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뚜라미 사육 상자.1 and 2, a cricket breed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x 100 and a compartment 200,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ompartment 200 The cricket breeding box be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박스(100)는 상부가 개구된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box 100 is formed in a columnar shape with an open top.

상기 박스(100)는 일반 적으로 사각기둥 형태의 박스(100)를 사용한다. The box 100 generally uses a square pillar box 100.

이는, 귀뚜라미 사육 시 사육시설 내부에 다수의 박스(100)를 보관 및 관리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This is to make it easy to store and manage a large number of boxes 100 in a breeding facility when breeding crickets.

구획부(200)는 가장 높은 부분의 높이가 상기 박스(100)의 높이 보다 15cm이상 낮게 구비되며, 기둥 형상의 공간이 다수 구획되도록 벽이 형성된다.The partition 200 is formed such that the height of the highest portion is 15 cm or mor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box 100, and the wall is formed such that a plurality of columnar spaces are partitioned.

상기 구획부(200)는 귀뚜라미의 탈출을 방지하면서 가장 높도록 하는 것이 귀뚜라미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It is possible to mass-produce the cricket by making the partition 200 the highest while preventing the cricket from escaping.

사육용으로 키우는 귀뚜라미 성체의 점프력은 3~15cm 정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상기 구획부(200)의 가장 높은 부분의 높이를 박스(100)의 높이보다 15cm이상 낮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known that the cricket adult raising for breeding is about 3 ~ 15cm.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of the highest part of the partition 200 is 15 cm or mor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box 100.

그러나, 혹시 모를 귀뚜라미의 탈출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구획부(200)의 가장 높은 부분의 높이를 박스(100)의 높이보다 20cm이상 낮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However,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height of the highest part of the partition 200 is 20 cm or mor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box 100 to prevent the cricket from escaping.

귀뚜라미 대량 사육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작업성으로, 종래에 계란판 등을 이용할 경우, 귀뚜라미를 포획할 때 가장 많은 인력 및 시간이 소모된다. The most important thing in mass rearing of crickets is workability, and when using an egg plate in the past, the most labor and time are consumed when capturing crickets.

더군다나, 계란판을 털면서 귀뚜라미를 죽이면 안 되기 때문에 조심스럽게 측벽에 계란판 측면(가느다란 부분)을 부딪혀야 한다. 또한, 계란판의 돌출 및 함몰된 구조의 특성상 방향을 바꾸어 가며 여러 번 털어내야 완벽하게 귀뚜라미를 털어낼 수 있다. Furthermore, you should not kill the crickets while you are shaking the egg plate, so you should carefully hit the side of the egg plate (the slender part) on the side wall. In addition, due to the protruded and depressed structure of the egg plate, it is necessary to shake it several times, changing the direction, to completely cricket the cricket.

즉, 계란판에 붙은 귀뚜라미를 털어내기 위해 계란판을 앞 뒤 방향 및 각도를 달리하여 여러 번 털어내는 작업을 계란판 마다 해 주어야야 하므로 작업량이 늘어나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게 된다.In other words, in order to shake off the crickets attached to the egg plate, it is necessary to shake the egg plate several times with different back and forth directions and angles. Therefore, the work amount is increased and the work time is increased.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뚜라미 사육 상자에 구비되는 구획부(200)는 수직방향으로만 벽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하방으로 가속을 주는 한 번의 작업으로 모든 귀뚜라미를 안전하게 털어낼 수 있다.However, since the partition 200 provided in the cricket breed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wall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all the crickets can be safely shaken by one operation of accelerating downward.

예를 들어, 60(W) * 150(D) * 50(H) 사이즈의 박스(100)에 귀뚜라미 만 마리를 사육하기 위해서는 계란판 48 장 정도를 넣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계란판을 최소 48 번 털어주어야 한다.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o put about 48 egg plates in a box 100 having a size of 60 (W) * 150 (D) * 50 (H) in order to raise only crickets. In this case, the eggs must be shaken at least 48 times.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부(200)를 둘 넣어 주었을 경우 최소 2 번 털어주면 귀뚜라미를 털어내는 작업이 끝난다.
However, as shown in FIG. 1, if the compartment 200 is put in two, at least two shakes are required to break the cricket.

상기 박스(100)는 단프라(DANPLA) 재질로 벽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box 100 may be formed of a wall made of DANPLA material.

단프라(DANPLA)는 "DAN(작업을 위한 부표) + PLAstic(플라스틱) or PLAte(판)"의 합성어로 폴리프로필렌 공중합(PP Coplymer) 수지를 압출법에 의하여 일체 중공 구조식과 골판상 구조식 플라스틱 카본 보드로써 강하고 가볍고 내수, 내유, 내약품성이 우수하여 탄력성 유지 및 단열, 차음 효과도 가지는 재질이다.DANPLA is a compound word of "DAN (buoy for work) + PLAstic (plastic) or PLAte (plate)", which is made by extruding a PP Coplymer resin into an integral hollow structure and a corrugated structure plastic carbon As a board, it is strong, light, and has excellent water resistance, oil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elasticity maintenance, insulation and sound insulation.

단프라 재질로 박스(100)를 제조할 시 일반적인 프라스틱상자(일명 리빙박스 등)와 비교하면 20% 수준의 가격으로 더욱 가볍고 저렴한 박스(100)를 제조할 수 있다.When manufacturing the box 100 from a single-piece material, a lighter and cheaper box 100 can be manufactured at a price of 20% as compared with a general plastic box (such as a living box).

또한, 단프라 재질의 박스(100)의 표면은 미끄럽게 형성되어 귀뚜라미가 기어 올라오지 못할 정도의 마찰계수를 가지고 있다.
Also, the surface of the box 100 made of short plastic is formed slippery and has a coefficient of friction such that the cricket can not climb up.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뚜라미 사육 상자의 박스(100)는 접고 펴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부 모서리가 회동부(110)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box 100 of the cricket breed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dge thereof is connected to the swivel portion 110 so that the box 100 can be folded and unfolded.

상기 회동부(110)는 경첩과 같은 원리로 회동이 가능하며, 상기 박스(100)를 안정적으로 접고 펴는 것을 도와준다.The rotary part 110 is rotatable on the same principle as the hinge, and helps to stably fold and unfold the box 100.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재단하여 도 4와 같은 박스(100)를 조립할 수 있다. 이때에도 박스(100)를 접고 펴는 것이 가능하나 상부 모서리의 접합부분이 분리될 가능성이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해 상기 회동부(110)로 상부 모서리를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box 100 shown in FIG. 4 can be assembled by cutting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fold and unfold the box 100, but the joint portion of the upper edge may be separated.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it is preferable to fix the upper edge with the rotary part 110.

이때, 상기 회동부(110)는 상부 중 바깥쪽을 돌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는, 다른 박스를 적층하기 용이하도록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함이다.
At this time, the rotary part 110 may protrude outward from the upper part. This is to serve as a guide for facilitating stacking of other boxes.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뚜라미 사육 상자의 구획부(20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측 끝단부터 일정 높이까지 세로 방향으로 관통된 결합슬릿(211)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고, 미리 결정된 영역이 관통된 이동통로(212)이 다수 형성된 구획벽(210)을 포함하며, 구획벽(210) 간의 결합슬릿(211)과 결합슬릿(211)의 끼움 결합으로 상기 구획부(200)를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6 to 8, the partition 200 of the cricket rais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ncludes a coupling slit 211 And a plurality of moving passages 212 through which a predetermined region is passed are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210. The partition wall 21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lits 211 between the partition walls 210, And the partition part 200 is assembled by fitting.

상기 구획벽(210)은 귀뚜라미가 미끄러지지 않을 정도의 마찰계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골판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artition wall 210 has a coefficient of friction such that the cricket does not slip, and corrugated cardboard or the like can be used.

예를 들어, 60(W) * 150(D) * 50(H) 사이즈의 박스(100)에 귀뚜라미 만 마리를 사육하기 위해서는 계란판 48 장 정도를 넣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란판은 한 장당 90원 정도에 구매가 가능하여, 하나의 박스(100)에 들어가는 계란판을 구매하는데 4,320원 정도의 비용이 소요된다. 그러나, 골판지로 제작할 경우 3,200원(1,600원 * 2) 정도의 비용이 소요되며 계란판 보다 귀뚜라미를 포획할 때 더 적은 인력 및 시간으로 작업이 가능하다.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o put about 48 egg plates in a box 100 having a size of 60 (W) * 150 (D) * 50 (H) in order to raise only crickets. Egg plates can be purchased at a price of about 90 won per sheet, and it costs about 4,320 won to purchase an egg plate for one box 100. However, it costs about 3,200 won (KRW 1,600 * 2) when it is made of corrugated cardboard, and it can work with fewer manpower and time when capturing cricket than egg plate.

상기 결합슬릿(211)은 상기 구획벽(210)간의 결합을 위해 형성한 것이고, 상기 이동통로(212)은 귀뚜라미가 상기 구획벽(210)을 통과하기 용이하도록 형성한 것이다.The coupling slit 211 is formed for coupling between the partition walls 210, and the movement passage 212 is formed so that a cricket can easily pass through the partition wall 210.

귀뚜라미를 하나의 사육 상자에 다량 사육하려면 귀뚜라미가 서로 겹치지 않고 자리를 잡을 수 있도록 벽면이 많은 것이 좋은데 이때, 귀뚜라미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상기 구획벽(210)에 이동통로(21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feed a large amount of crickets into a single breeding box, it is desirable to have a large number of walls so that the crickets do not overlap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moving passage 212 in the partition wall 210 so that the crickets can be easily moved Do.

다수의 시험 결과, 귀뚜라미가 스트레스 받지 않고 이동이 용이하도록 세로 방향으로 적어도 둘 이상의 이동통로(212)을 가로방향으로 다수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a result of a plurality of tests, it is preferable to form at least two or more traveling passages 21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lateral direction so that the crickets can be moved easily without being stressed.

예를 들어, 도 6과 같은 구획벽(210)을 프레스 가공 등으로 용이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이렇게 만들어진 구획벽(210) 다수를 도 7과 같이 결합슬릿(211)간 끼움결합 하여 조립하면 도 8과 같은 구획부(200)를 만들 수 있다.For example, the partition wall 210 shown in Fig. 6 can be easily made by press working or the like. When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210 are assembled by fitting the coupling slits 211 as shown in FIG. 7, the partition 200 as shown in FIG. 8 can be formed.

이때, 도 8의 경우, 행 방향과 열 방향 바닥 및 상부에 형성된 홈이 엇갈리게 되는데, 바닥의 홈이 고르게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 도 9와 같이 상부에도 홈을 형성할 수 있다.8, the grooves formed in the bottom and top of the row direction and the column direction are staggered. In order to uniformly form grooves on the bottom, grooves may also be formed on the top as shown in FIG.

이때, 상기 결합슬릿(211)의 길이는 상기 구획벽(210)의 높이의 1/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구획벽(210)간의 결합 시 행 방향과 열 방향 구획벽(210) 모두가 바닥에 닿도록 하여 상기 구획부(200)를 안정감 있도록 조립하기 위함이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of the coupling slit 211 is at least one-half of the height of the partition wall 210. This is because both the row direction and the column direction partition walls 210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loor when the partition walls 210 are coupled, so that the partition 200 is securely assembled.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뚜라미 사육 상자의 이동통로(212)은 상측방향 또는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movement passage 212 of the cricket breed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of the movement passage 212 decreases toward the upper direction or the lower direction.

귀뚜라미는 먹이가 부족할 경우 동족을 잡아먹는 특성이 있는데, 이때, 작은 귀뚜라미가 큰 귀뚜라미를 피해 도망갈 수 있도록, 어느 한 쪽 방향으로 갈수록 이동통로(212)의 크기를 작게 하여, 작은 개체가 큰 개체를 피해 도망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cricket has a characteristic of catching a clan when food is scarce.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moving passage 212 is reduced toward one direction so that a small cricket can escape from a large cricket, So that they can escape.

이때, 도 10 과 같이 상부에서 조립되는 구획벽(210)과 하부에서 조립되는 구획벽(210)의 이동통로(212) 크기가 작아지는 방향을 반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reverse the direction in which the size of the passage 212 of the compartment wall 210 assembled at the upper portion and the partition wall 210 assembled at the lower portion is reduced as shown in FIG.

예를 들어, 도 10의 하측 구획벽(210)을 도 7의 하부와 같이 배치하고, 도 10의 상측 구획벽(210)을 도 7의 상부와 같이 배치하여 조립할 경우, 바닥측에 작은 이동통로(212)이 형성되고, 상측에 큰 이동통로(212)이 형성된다. 이때, 작은 귀뚜라미를 잡아먹으려는 큰 귀뚜라미가 있다면, 작은 귀뚜라미는 바닥의 이동통로(212)로 옆 공간으로 도망갈 수 있고, 큰 귀뚜라미는 작은 귀뚜라미를 잡으려면 상부로 이동하여 큰 이동통로(212)로 옆 공간으로 이동하고 다시 하부로 이동하여야 하여 이동 경로가 상당히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작은 개체가 큰 개체를 피해 이동하기 용이한 구조가 형성된다.
For example, when the lower partition wall 210 of FIG. 10 is arranged as shown in the lower part of FIG. 7 and the upper partition wall 210 of FIG. 10 is arranged as shown in the upper part of FIG. 7, (212) is formed, and a large moving passage (212) is formed on the upper side. At this time, if there is a large cricket to eat the small cricket, the small cricket can escape to the side space by the floor moving passage 212, and the large cricket moves upward to move to the large moving passage 212 to catch the small cricket. It is necessary to move to the side space and move to the lower part again, so that the movement path becomes considerably long. Therefore, a structure in which small objects are easily moved away from large objects is formed.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뚜라미 사육 상자의 결합슬릿(211)은 일정 두께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직선구간(A)과, 상기 직선구간(A)의 형태와 다른 변형구간(Ba, Bb, Bc)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11 to 12, the joining slit 211 of the cricket ho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raight section A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other modified sections Ba, Bb, and Bc are formed.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슬릿(211)의 형태를 하부로 갈수록 점점 두꺼워 지는 변형구간(Ba)을 형성하게 되면, 구획벽(210) 간의 결합이 용이해진다.As shown in FIG. 11, if the shape of the coupling slit 211 is formed as a deformation section Ba which becomes gradually thicker toward the bottom, the coupling between the partition walls 210 becomes easy.

도 8과 같은 형태의 구획부(200)는 상측으로 들어올릴 시, 구획부(200)를 상부에서 바라볼 때 직각사각형 형태(도 18 참조)의 경우, 행 방향과 열 방향 구획벽(210)의 분리될 우려가 있다. 이는 작업을 더디게 할 수 있는 요소로, 행 방향과 열 방향 구획벽(210)이 분리되지 않도록 구획부(200)를 상부에서 바라볼 때 평행사변형의 형태(도 19 참조)로 약간 접어 상기 구획부(200)는 상측으로 들어올려야 한다. 8, when the partition 200 is viewed from the top, the partition 20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see FIG. 18) There is a risk of separation. This is a factor that can slow down the operation. When the partition 200 is viewed from the upper part so as not to separate the row direction and the column direction partition wall 210, the partition 200 is slightly folded into a parallelogram shape (see FIG. 19) (200) should be lifted upward.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행 방향과 열 방향 구획벽(210)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도록 도 12와 같은 변형구간(Bb)을 형성하게 되면, 구획부(200)는 상측으로 들어올릴 시, 구획벽(210) 간의 결합력을 높여준다.
In order to solve this inconvenience, if the deformation section Bb as shown in FIG. 12 is formed so that the separation between the row direction and the column direction partition wall 210 is not easy, when the partition section 200 is lifted upward, Thereby increasing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walls 210.

그러나, 도 12와 같은 구획벽(210)의 형태는 장시간 사용할 경우, 변형구간(Bb)의 형태가 변형될 우려가 있다. 이를 해소하고자,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뚜라미 사육 상자의 구획부(200)는 상기 변형구간(Bb, Bc)의 일부 또는 전부가 결합슬릿(211)과 결합슬릿(211) 간의 끼움 결합으로 상기 구획부(200)를 조립 시 걸리는 이탈방지홀(213a, 213b)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partition wall 210 as shown in FIG. 12 is used for a long time, the shape of the deformation section Bb may be deformed. 13 to 14, a partition 200 of a cricket cage box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rt or all of the modified sections Bb and Bc, And the separation slit 211 may be formed in the separation preventing hole 213a or 213b when the partition 200 is assembled.

예를 들어, 도 13과 같이 변형구간(Bb)이 형성된 경우,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이탈방지홀(213a)을 형성하여 상기 변형구간(Bb)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결합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eformation section Bb is formed as shown in FIG. 13, the deformation preventing section 213a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eformation section Bb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deformation section Bb, .

또한, 도 14와 같이 변형구간(Bc)이 형성된 경우,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이탈방지홀(213b)을 형성하여 상기 변형구간(Bb)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결합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14, when the deformation section Bc is formed, the deformation preventing section 213b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eformation section Bc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deformation section Bb, .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뚜라미 사육 상자의 구획부(200)는 일측 모서리 어느 하나의 이동통로(212)로부터 대각선 방향의 이동통로(212)들 및 타측 모서리 어느 하나의 이동통로(212)을 통과하여 폐루프를 형성하며, 폐루프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각도제한부(220)를 포함하며, 상측 방향에서 하측방향으로 결합되는 구획벽(210)과 하측 방향에서 상측 방향으로 결합되는 구획벽(210)이 이루는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17 to 19, the partition 200 of the cricket cage box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moving passages 212 in the diagonal direction from one of the moving passages 212 at one corner, A partition wall 210 which includes an angle restricting portion 220 which can pass through any one of the other moving passages 212 to form a closed loop and whose length is adjustable in the closed loop and which is coupl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nd the angle formed by the partition wall 210 couple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can be adjusted.

귀뚜라미를 다량 사육하기 위해서, 구획부(200)가 형성한 벽면의 면적이 넓을수록 바람직하다. 도 15와 같은 박스(100)를 이용할 경우, 상기 박스(100)의 크기를 키우지 않고 구획부(200)가 형성한 벽면의 면적을 넓히기 위해 도 16과 같이 구획부(200)를 약간 접어 다 많은 구획부(200)를 박스(100) 안에 넣을 수 있다.The greater the area of the wall surface formed by the partitioning part 200 is, the larger the cricket is to be raised. When the box 100 shown in FIG. 15 is used, in order to enlarge the area of the wall surface formed by the partition 200 without increasing the size of the box 100, the partition 200 is slightly folded The partition 200 can be placed in the box 100. [

이때, 도 17과 같이 각도제한부(220)를 구비하고, 상기 각도제한부(220)의 길이를 조절하여 구획부(200) 간에 형성된 예각 또는 둔각을 조절할 수 있다.17, the angle limiting unit 220 may be provided and the acute angle or the obtuse angle formed between the partition units 200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angle limiting unit 220.

이때, 도 17과 같이 상기 각도제한부(220)가 일측 모서리 어느 하나의 이동통로(212)로부터 대각선 방향의 이동통로(212)들 및 타측 모서리 어느 하나의 이동통로(212)을 통과하여 폐루프를 형성하게 되면 모든 구획벽(210)이 상기 각도제한부(220)와 연결된다. 이는, 구획벽(210)의 이탈을 방지하는 데에도 도움을 준다.17, the angle restricting portion 220 passes through one of the moving passages 212 at one corner and the moving passages 212 in the diagonal direction and one of the moving passages 212 at the other corner, All of the partition walls 210 are connected to the angle restricting portion 220. This also helps prevent separation of the partition wall 210.

이 경우, 귀뚜라미를 털어내기 위해 상기 구획부(200)를 상측으로 들어올려도 구획벽(21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partition wall 210 from being separated even when lifting up the partition 200 upward to shake the cricket.

도 18과 같은 구획벽(210)의 각도제한부(220)의 폐루프 길이를 줄이게 되면, 도 19와 같이 구획벽(210)이 접히게 된다.When the closed loop length of the angle restricting portion 220 of the partition wall 210 as shown in FIG. 18 is reduced, the partition wall 210 is folded as shown in FIG.

상기 각도제한부(220)는 일반적인 끈을 묶어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폐루프의 길이 조절도 매듭의 위치를 달리하여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아웃도어 용품등에 사용되는 원리로 끈의 폐루프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The angle restricting part 220 can be used by bundling a general string.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closed loop can be adjusted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knot. Alternatively, various members capable of adjusting the closed loop length of the string by the principle used in outdoor products and the like can be used.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뚜라미 사육 상자는 상기 박스(100) 내부에 크기가 서로 다른 상기 구획부(20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1, the cricket breed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dividing section 200 having different sizes inside the box 100.

이는, 작은 귀뚜라미가 주로 사용하는 구획부(200)와 큰 귀뚜라미가 주로 사용하는 구획부(200)를 구분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distinguish the partition 200 mainly used by small crickets and the partition 200 mainly used by large crickets.

즉, 작은 귀뚜라미는 작은 구획부(200)에 모여 살아 큰 귀뚜라미의 위협을 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at is, the small crickets are gathered in the small compartment 200 so as to avoid the threat of living large crickets.

이때, 상기 구획부(200)를 모두 바닥에 1 단으로 배치(도 20 참조)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적층구조로 배치(도 21 참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arrange all the partition 200 in one stage on the floor (see FIG. 20), but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the partition 200 in a stacked structure (see FIG. 21).

도 6, 도 9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뚜라미 사육용 구획벽(210)은 귀뚜라미 사육 상자에 사용되는 귀뚜라미 사육용 구획벽(200)에 있어서,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측 끝단부터 일정 높이까지 세로 방향으로 관통된 결합슬릿(211)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고, 미리 결정된 영역이 관통된 이동통로(212)이 다수 형성된다.6, 9 to 14, the cricket breeding partition wall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rtition wall 200 for cricket raising used in a cricket breeding box, A plurality of engagement slits 211 penetrat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from a lower end to a predetermined height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plurality of movement passages 212 through which a predetermined region passes are formed.

상기 결합슬릿(211)은 상기 구획벽(210)간의 결합을 위해 형성한 것이고, 상기 이동통로(212)은 귀뚜라미가 상기 구획벽(210)을 통과하기 용이하도록 형성한 것이다.The coupling slit 211 is formed for coupling between the partition walls 210, and the movement passage 212 is formed so that a cricket can easily pass through the partition wall 210.

귀뚜라미를 하나의 사육 상자에 다량 사육하려면 귀뚜라미가 서로 겹치지 않고 자리를 잡을 수 있도록 벽면이 많은 것이 좋은데 이때, 귀뚜라미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상기 구획벽(210)에 이동통로(21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feed a large amount of crickets into a single breeding box, it is desirable to have a large number of walls so that the crickets do not overlap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moving passage 212 in the partition wall 210 so that the crickets can be easily moved Do.

다수의 시험 결과, 귀뚜라미가 스트레스 받지 않고 이동이 용이하도록 세로 방향으로 적어도 둘 이상의 이동통로(212)을 가로방향으로 다수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a result of a plurality of tests, it is preferable to form at least two or more traveling passages 21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lateral direction so that the crickets can be moved easily without being stressed.

예를 들어, 도 6과 같은 구획벽(210)을 프레스 가공 등으로 용이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이렇게 만들어진 구획벽(210) 다수를 도 7과 같이 결합슬릿(211)간 끼움결합 하여 조립하면 도 8과 같은 구획부(200)를 만들 수 있다.For example, the partition wall 210 shown in Fig. 6 can be easily made by press working or the like. When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210 are assembled by fitting the coupling slits 211 as shown in FIG. 7, the partition 200 as shown in FIG. 8 can be formed.

이때, 도 8의 경우, 행 방향과 열 방향 바닥 및 상부에 형성된 홈이 엇갈리게 되는데, 바닥의 홈이 고르게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 도 9와 같이 상부에도 홈을 형성할 수 있다.8, the grooves formed in the bottom and top of the row direction and the column direction are staggered. In order to uniformly form grooves on the bottom, grooves may also be formed on the top as shown in FIG.

이때, 상기 결합슬릿(211)의 길이는 상기 구획벽(210)의 높이의 1/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구획벽(210)간의 결합 시 행 방향과 열 방향 구획벽(210) 모두가 바닥에 닿도록 하여 상기 구획부(200)를 안정감 있도록 조립하기 위함이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of the coupling slit 211 is at least one-half of the height of the partition wall 210. This is because both the row direction and the column direction partition walls 210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loor when the partition walls 210 are coupled, so that the partition 200 is securely assembled.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뚜라미 사육 상자의 이동통로(212)은 상측방향 또는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movement passage 212 of the cricket breed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of the movement passage 212 decreases toward the upper direction or the lower direction.

귀뚜라미는 먹이가 부족할 경우 동족을 잡아먹는 특성이 있는데, 이때, 작은 귀뚜라미가 큰 귀뚜라미를 피해 도망갈 수 있도록, 어느 한 쪽 방향으로 갈수록 이동통로(212)의 크기를 작게 하여, 작은 개체가 큰 개체를 피해 도망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cricket has a characteristic of catching a clan when food is scarce.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moving passage 212 is reduced toward one direction so that a small cricket can escape from a large cricket, So that they can escape.

이때, 도 10 과 같이 상부에서 조립되는 구획벽(210)과 하부에서 조립되는 구획벽(210)의 이동통로(212) 크기가 작아지는 방향을 반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reverse the direction in which the size of the passage 212 of the compartment wall 210 assembled at the upper portion and the partition wall 210 assembled at the lower portion is reduced as shown in FIG.

예를 들어, 도 10의 하측 구획벽(210)을 도 7의 하부와 같이 배치하고, 도 10의 상측 구획벽(210)을 도 7의 상부와 같이 배치하여 조립할 경우, 바닥측에 작은 이동통로(212)이 형성되고, 상측에 큰 이동통로(212)이 형성된다. 이때, 작은 귀뚜라미를 잡아먹으려는 큰 귀뚜라미가 있다면, 작은 귀뚜라미는 바닥의 이동통로(212)로 옆 공간으로 도망갈 수 있고, 큰 귀뚜라미는 작은 귀뚜라미를 잡으려면 상부로 이동하여 큰 이동통로(212)로 옆 공간으로 이동하고 다시 하부로 이동하여야 하여 이동 경로가 상당히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작은 개체가 큰 개체를 피해 이동하기 용이한 구조가 형성된다.
For example, when the lower partition wall 210 of FIG. 10 is arranged as shown in the lower part of FIG. 7 and the upper partition wall 210 of FIG. 10 is arranged as shown in the upper part of FIG. 7, (212) is formed, and a large moving passage (212) is formed on the upper side. At this time, if there is a large cricket to eat the small cricket, the small cricket can escape to the side space by the floor moving passage 212, and the large cricket moves upward to move to the large moving passage 212 to catch the small cricket. It is necessary to move to the side space and move to the lower part again, so that the movement path becomes considerably long. Therefore, a structure in which small objects are easily moved away from large objects is formed.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뚜라미 사육 상자의 결합슬릿(211)은 일정 두께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직선구간(A)과, 상기 직선구간(A)의 형태와 다른 변형구간(Ba, Bb, Bc)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11 to 12, the joining slit 211 of the cricket ho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raight section A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other modified sections Ba, Bb, and Bc are formed.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슬릿(211)의 형태를 하부로 갈수록 점점 두꺼워 지는 변형구간(Ba)을 형성하게 되면, 구획벽(210) 간의 결합이 용이해진다.As shown in FIG. 11, if the shape of the coupling slit 211 is formed as a deformation section Ba which becomes gradually thicker toward the bottom, the coupling between the partition walls 210 is facilitated.

도 8과 같은 형태의 구획부(200)는 상측으로 들어올릴 시, 구획부(200)를 상부에서 바라볼 때 직각사각형 형태(도 18 참조)의 경우, 행 방향과 열 방향 구획벽(210)의 분리될 우려가 있다. 이는 작업을 더디게 할 수 있는 요소로, 행 방향과 열 방향 구획벽(210)이 분리되지 않도록 구획부(200)를 상부에서 바라볼 때 평행사변형의 형태(도 19 참조)로 약간 접어 상기 구획부(200)는 상측으로 들어올려야 한다. 8, when the partition 200 is viewed from the top, the partition 20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see FIG. 18) There is a risk of separation. This is a factor that can slow down the operation. When the partition 200 is viewed from the upper part so as not to separate the row direction and the column direction partition wall 210, the partition 200 is slightly folded into a parallelogram shape (see FIG. 19) (200) should be lifted upward.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행 방향과 열 방향 구획벽(210)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도록 도 12와 같은 변형구간(Bb)을 형성하게 되면, 구획부(200)는 상측으로 들어올릴 시, 구획벽(210) 간의 결합력을 높여준다.
In order to solve this inconvenience, if the deformation section Bb as shown in FIG. 12 is formed so that the separation between the row direction and the column direction partition wall 210 is not easy, when the partition section 200 is lifted upward, Thereby increasing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walls 210.

그러나, 도 12와 같은 구획벽(210)의 형태는 장시간 사용할 경우, 변형구간(Bb)의 형태가 변형될 우려가 있다. 이를 해소하고자,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뚜라미 사육 상자의 구획부(200)는 상기 변형구간(Bb, Bc)의 일부 또는 전부가 결합슬릿(211)과 결합슬릿(211) 간의 끼움 결합으로 상기 구획부(200)를 조립 시 걸리는 이탈방지홀(213a, 213b)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partition wall 210 as shown in FIG. 12 is used for a long time, the shape of the deformation section Bb may be deformed. 13 to 14, a partition 200 of a cricket cage box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rt or all of the modified sections Bb and Bc, And the separation slit 211 may be formed in the separation preventing hole 213a or 213b when the partition 200 is assembled.

예를 들어, 도 13과 같이 변형구간(Bb)이 형성된 경우,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이탈방지홀(213a)을 형성하여 상기 변형구간(Bb)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결합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eformation section Bb is formed as shown in FIG. 13, the deformation preventing section 213a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eformation section Bb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deformation section Bb, .

또한, 도 14와 같이 변형구간(Bc)이 형성된 경우,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이탈방지홀(213b)을 형성하여 상기 변형구간(Bb)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결합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14, when the deformation section Bc is formed, the deformation preventing section 213b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eformation section Bc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deformation section Bb, .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박스 200: 구획부
210: 구획벽
211: 결합슬릿 212: 이동통로
213a, 213b: 이탈방지홀
220: 각도제한부
A: 직선구간
Ba, Bb, Bc: 변형구간
100: Box 200:
210: compartment wall
211: engaging slit 212:
213a and 213b:
220:
A: Straight line
Ba, Bb, Bc: deformation section

Claims (10)

상부가 개구된 기둥 형상의 박스(100);
가장 높은 부분의 높이가 상기 박스(100)의 높이 보다 15cm이상 낮게 구비되며, 기둥 형상의 공간이 다수 구획되도록 벽이 형성된 구획부(200);
를 포함하되,
상기 구획부(200)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구획부(20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측 끝단부터 일정 높이까지 세로 방향으로 관통된 결합슬릿(211)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고, 미리 결정된 영역이 관통된 이동통로(212)이 다수 형성된 구획벽(210);
을 포함하며,
구획벽(210) 간의 결합슬릿(211)과 결합슬릿(211)의 끼움 결합으로 상기 구획부(200)를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구획부(200)는
일측 모서리 어느 하나의 이동통로(212)로부터 대각선 방향의 이동통로(212)들 및 타측 모서리 어느 하나의 이동통로(212)을 통과하여 폐루프를 형성하며, 폐루프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각도제한부(220);
를 포함하며,
상측 방향에서 하측방향으로 결합되는 구획벽(210)과 하측 방향에서 상측 방향으로 결합되는 구획벽(210)이 이루는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뚜라미 사육 상자.
A columnar box (100) having an open top;
A partition (200) having a height of the highest part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box (100) by 15 cm or more and a wall formed so as to partition a plurality of columnar spaces;
, ≪ / RTI &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partition 200,
The partitioning part (200)
A partition wall 210 formed in a plate shape and form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slits 211 penetrat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from a lower end to a predetermined heigh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having a plurality of moving passages 212 through which a predetermined region is passed;
/ RTI >
The partitioning part 200 is assembled by fitting the coupling slit 211 and the coupling slit 211 between the partition walls 210,
The partitioning part (200)
The angle of the closed loop passing through one of the moving passages 212 in the diagonal direction from one of the moving passages 212 and one of the moving passages 212 on the other side to form a closed loop, (220);
/ RTI >
Wherein an angle between the partition wall (210) coupled from the upper direction to the lower direction and the partition wall (210) coupled from the lower direction to the upper direction is adjust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100)는
단프라(DANPLA) 재질로 벽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뚜라미 사육 상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x (100)
A cricket breeding box featuring a wall formed of DANPLA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100)는
접고 펴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부 모서리가 회동부(110)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뚜라미 사육 상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x (100)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dge is connected to the swivel (110) so that it can be folded and unfold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로(212)은
상측방향 또는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뚜라미 사육 상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vement passage 212
And the size of the cricket becomes smaller toward the upper direction or the lower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슬릿(211)은
일정 두께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직선구간(A)과,
상기 직선구간(A)의 형태와 다른 변형구간(Ba, Bb, Bc)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뚜라미 사육 상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slits 211
A straight section A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Ba, Bb, Bc) different from the shape of the straight line section (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200)는
상기 변형구간(Bb, Bc)의 일부 또는 전부가 결합슬릿(211)과 결합슬릿(211) 간의 끼움 결합으로 상기 구획부(200)를 조립 시 걸리는 이탈방지홀(213a, 213b)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뚜라미 사육 상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partitioning part (200)
A part or all of the deformation sections Bb and Bc are further formed with escape preventing holes 213a and 213b which are engaged with each other when the dividing section 200 is assembled by the fitting engagement between the engaging slit 211 and the engaging slit 211 Characteristic cricket breeding box.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귀뚜라미 사육 상자는
상기 박스(100) 내부에 크기가 서로 다른 상기 구획부(20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뚜라미 사육 상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ricket breeding box
And the partition (200) having a different size is provided inside the box (100).
삭제delete
KR1020160030694A 2016-03-15 2016-03-15 Cricket rearing box and wall using cricket rearing KR1016346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694A KR101634678B1 (en) 2016-03-15 2016-03-15 Cricket rearing box and wall using cricket rea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694A KR101634678B1 (en) 2016-03-15 2016-03-15 Cricket rearing box and wall using cricket rear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4678B1 true KR101634678B1 (en) 2016-06-29

Family

ID=56365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0694A KR101634678B1 (en) 2016-03-15 2016-03-15 Cricket rearing box and wall using cricket rea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4678B1 (en)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3869B1 (en) * 2016-08-16 2018-01-04 유남재 Insect inhabitation structure and breeding house for insect
KR20180062834A (en) 2016-12-01 2018-06-11 이재홍 Cricket tableware
KR101891815B1 (en) * 2018-01-30 2018-08-2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홀인원 Rearing Equipment For Cricket
KR20180121713A (en) * 2017-04-28 2018-11-08 박영호 Apparatus for Cricket Rearing with Grid-Shape Arranged Foldable Rectangular Tub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90004203A (en) * 2017-07-03 2019-01-11 한동석 Cricket rearing box and wall using cricket rearing
KR20190019522A (en) 2017-08-18 2019-02-27 주식회사 피움이앤씨 auto-breeding system for cricket
KR20190019523A (en) 2017-08-18 2019-02-27 주식회사 피움이앤씨 cricket rearing box
KR20190034764A (en) 2017-09-25 2019-04-03 양승선 Cricket breeding apparatus
KR101970312B1 (en) 2018-10-05 2019-04-18 이상무 Cricket breeding equipment
KR20190073891A (en) 2017-12-19 2019-06-27 (주)헬퍼로보텍 Apparatus for Rearing Imago of Industrial Insects
KR20190113236A (en) 2018-03-28 2019-10-08 양승선 Cricket breeding apparatus
CN111183959A (en) * 2019-12-27 2020-05-22 杨逢春 Standardized device for collecting hermetia illucens eggs
KR20200064782A (en) * 2018-11-29 2020-06-08 노태범 Insects breeding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012Y1 (en) * 1999-12-30 2000-06-15 성기영 Packing Box of Concussion-deadening for using winding paper
KR20020001648A (en) 2000-06-28 2002-01-09 이승우 The method of rearing cricket
CN2475283Y (en) * 2001-04-27 2002-02-06 中国科学院动物研究所 Foldable lavarium of lapidoptera insect suitable for industrialized production
KR200271044Y1 (en) * 2001-11-21 2002-04-09 원도원 Corner member for packing box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012Y1 (en) * 1999-12-30 2000-06-15 성기영 Packing Box of Concussion-deadening for using winding paper
KR20020001648A (en) 2000-06-28 2002-01-09 이승우 The method of rearing cricket
CN2475283Y (en) * 2001-04-27 2002-02-06 中国科学院动物研究所 Foldable lavarium of lapidoptera insect suitable for industrialized production
KR200271044Y1 (en) * 2001-11-21 2002-04-09 원도원 Corner member for packing box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블로그 - 귀뚜라미 구매(2015.06.24. 공개)* *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3869B1 (en) * 2016-08-16 2018-01-04 유남재 Insect inhabitation structure and breeding house for insect
KR20180062834A (en) 2016-12-01 2018-06-11 이재홍 Cricket tableware
KR101987532B1 (en) * 2017-04-28 2019-10-01 박영호 Apparatus for Cricket Rearing with Grid-Shape Arranged Foldable Rectangular Tub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80121713A (en) * 2017-04-28 2018-11-08 박영호 Apparatus for Cricket Rearing with Grid-Shape Arranged Foldable Rectangular Tub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90004203A (en) * 2017-07-03 2019-01-11 한동석 Cricket rearing box and wall using cricket rearing
KR101954443B1 (en) * 2017-07-03 2019-05-23 한동석 Cricket rearing box and wall using cricket rearing
KR20190019522A (en) 2017-08-18 2019-02-27 주식회사 피움이앤씨 auto-breeding system for cricket
KR20190019523A (en) 2017-08-18 2019-02-27 주식회사 피움이앤씨 cricket rearing box
KR20190034764A (en) 2017-09-25 2019-04-03 양승선 Cricket breeding apparatus
KR20190073891A (en) 2017-12-19 2019-06-27 (주)헬퍼로보텍 Apparatus for Rearing Imago of Industrial Insects
KR101891815B1 (en) * 2018-01-30 2018-08-2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홀인원 Rearing Equipment For Cricket
KR20190113236A (en) 2018-03-28 2019-10-08 양승선 Cricket breeding apparatus
KR101970312B1 (en) 2018-10-05 2019-04-18 이상무 Cricket breeding equipment
KR20200064782A (en) * 2018-11-29 2020-06-08 노태범 Insects breeding device
KR102218231B1 (en) * 2018-11-29 2021-02-19 노태범 Insects breeding device
CN111183959A (en) * 2019-12-27 2020-05-22 杨逢春 Standardized device for collecting hermetia illucens eggs
WO2021128669A1 (en) * 2019-12-27 2021-07-01 杨逢春 Standardised apparatus for collecting hermetia ilucens egg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4678B1 (en) Cricket rearing box and wall using cricket rearing
US7219622B1 (en) Insect proof food dish
CN207284739U (en) Brood and be bred as body cage body equipment and poultry cage
KR101691584B1 (en) Insect raising water bottle
KR20180134172A (en) Rearing equipment for cricket
WO2011104002A1 (en) Application system for the application of several propagation colonies of beneficial animals into an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crop
KR101954443B1 (en) Cricket rearing box and wall using cricket rearing
ES2367388B1 (en) Insect trap in flying phase, use of said trap and corresponding manufacturing procedure.
KR20190034764A (en) Cricket breeding apparatus
EP1737288B1 (en) Growth platform for greenery, designed for use as a feeding base for animals
KR102554257B1 (en) A beehive feeding plate
KR20100029683A (en) A vessel of distribution for predatory mites
KR101970312B1 (en) Cricket breeding equipment
KR102607125B1 (en) Insect breeding apparatus
CN101347111B (en) Trap for perfect insect of diamondback moth
JP7079961B2 (en) How to get rid of mice
Francis-Baker Bees and Beekeeping
KR101145708B1 (en) Article for exterminating vermin
KR20190019523A (en) cricket rearing box
Cassidy et al. A study of the food of three fish species from the Portage Lakes, Ohio
KR101127974B1 (en) Article for exterminating vermin
Nyameasem et al. Pest incidence, mortality, aestivation, feed intake and growth in West African giant snail (Achatina achatina) reared under different housing systems
Edwards Good bug, bad bug
KR101081230B1 (en) Duck spawning device
Stiglitz et al. The Complete Idiot's Guide to Beekeeping: Everything the Budding Beekeeper Needs for a Healthy, Productive Hi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