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7125B1 - Insect breed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Insect breed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7125B1
KR102607125B1 KR1020210039022A KR20210039022A KR102607125B1 KR 102607125 B1 KR102607125 B1 KR 102607125B1 KR 1020210039022 A KR1020210039022 A KR 1020210039022A KR 20210039022 A KR20210039022 A KR 20210039022A KR 102607125 B1 KR102607125 B1 KR 102607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ct
boxes
box
stacked
st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90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33652A (en
Inventor
박성락
Original Assignee
(주)케이엠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엠피 filed Critical (주)케이엠피
Priority to KR1020210039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7125B1/en
Publication of KR20220133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36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1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판(110)의 각 변에서 직립된 복수의 직립벽(120)과, 바닥판(110)의 하면에서 하향 돌출되어 영역을 구획하는 한 쌍의 구획벽(141, 142)과, 각 직립벽(120)에서 동일한 크기와 형상으로 관통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개구창(130)를 포함하는 곤충 상자(10)와, 복수의 곤충 상자(10)들이 복수의 층을 이루도록 적층 되는 곤충 사육 장치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upright walls 120 standing upright on each side of the floor plate 110, a pair of partition walls 141 and 142 that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loor plate 110 to partition an area, An insect box (10) including one or more opening windows (130) formed through the same size and shape in each upright wall (120), and an insect rearing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insect boxes (10) are stacked to form a plurality of layers. Includes.

Description

곤충 사육 장치{INSECT BREEDING APPARATUS}Insect breeding device {INSECT BREED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곤충 상자 및 이를 이용한 곤충 사육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ect box and an insect rearing device using the same.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에서 배포한 2017년도 개정 식용곤충 안전사육 매뉴얼을 인용하면, 곤충은 발전가능성이 무한한 소재로서 전 세계적으로 20억 명의 인구가 식용곤충을 먹고 있다. 주로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집중되어 있지만, 최근에는 미국과 유럽에서도 에너지 바, 시리얼, 과자 등 곤충을 이용한 가공식품이 인기를 얻고 있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전 세계적인 인구의 증가, 동물성 단백질(육류)의 가격 상승, 환경문제 등이 대두되면서 전 세계적인 기존의 축산업의 연장선에서 곤충을 이용하는 식용곤충학(Entomophagy)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Quoting from the 2017 revised edible insect safe rearing manual distribu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of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insects are a material with infinite development potential, and 2 billion people around the world eat edible insects. Although mainly concentrated in Africa and Asia, processed foods using insects, such as energy bars, cereals, and snacks, have recently become popular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Entering the 21st century, as the global population increases, the price of animal protein (meat) rises, and environmental problems emerge, interest in edible entomology (Entomophagy), which uses insects as an extension of existing livestock farming around the world, is increasing.

따라서 최근에는 서구사회를 중심으로 식용곤충 자원 이용을 위한 연구개발이 시작되고 있으며 유엔식량농업기구(FAO)도 기아 퇴치, 영양 보충,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해서는 곤충 식용이 아주 훌륭한 대안임을 주장한 바 있다.Therefore, research and development to use edible insect resources has recently begun, mainly in Western society, and th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AO) has also argued that eating insects is an excellent alternative to eradicate hunger, supplement nutrition, and reduce environmental pollution.

그러므로 최근에는 미래의 대체 식량으로서 곤충 사육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현재의 사육법은 농가 실정 및 사육기술에 따라 갈색거저리가 벽을 타고 탈출할 수 없는 표면의 재질 (플라스틱, 비닐, 매끈한 종이 등)로서 일반적인 공구상자로 알려진 플라스틱 박스(270 × 450 × 100 mm)와 빵상자(580 × 350 × 150 mm) 등을 사육상자로 사용한다.Therefore, interest in and investment in insect farming as an alternative food source for the future is increasing recently. The current breeding method is a plastic box (270 Use a bread box (580 × 350 × 150 mm) as a breeding box.

예를 들면, 플라스틱 소형사육상자( 27 × 45 cm)에 배지(먹이 층) 두께를 3 cm로 했을 때, 1cm³ 당 2 ∼ 8마리 정도를 27°C 기준 10 ∼ 12령 까지 3개월 동안 사육하여 식용으로 사용하고 먹이는 유기물(밀기울, 농업부산물, 가축사료 등)을 공급하며 수분섭취를 위하여 주 2회 내지 3회 채소잎, 과일껍질, 수박껍질을 보충하여 주고, 공간활용을 위하여 여러 칸으로 쌓을 수 있는 사육선반을 이용한다.For example, when the thickness of the medium (food layer) is 3 cm in a small plastic breeding box (27 Organic matter (wheat bran, agricultural by-products, livestock feed, etc.) used and fed as food is supplied, and vegetable leaves, fruit peels, and watermelon peels are supplemented two to three times a week for moisture intake, and the food can be stacked in several compartments to utilize space. Use an available breeding shelf.

하지만 이와 같은 사육법은 채소잎, 과일껍질, 수박껍질을 주기적으로 전처리 및 공급해야 하고, 섭취 후에 남은 찌꺼기는 청결한 사육환경을 위하여 제거하여야 하기 때문에 노동력이 많이 소모되었다. However, this breeding method requires a lot of labor because vegetable leaves, fruit peels, and watermelon peels must be preprocessed and supplied periodically, and the residue remaining after consumption must be removed to ensure a clean breeding environment.

특히, 사육선반은 한정된 공간을 활용하기 위하여 복수의 사육 캐비넷이 적층된 구조가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곤충 사육 방식은 복수의 캐비넷(또는 상자)가 적층된 구조임에 따라 먹이를 공급할 때, 균일한 양을 공급하기가 어렵고, 청소시에는 적층 구조를 해체한 뒤에 청소를 진행하기에 노동력이 많이 필요하여 인건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particular, breeding shelves typically have a structure in which multiple breeding cabinets are stacked to utilize limited space. This conventional insect rearing method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cabinets (or boxes) are stacked, so it is difficult to supply a uniform amount of food, and when cleaning, the stacked structure must be dismantled before cleaning. There is a problem that labor costs increase because a lot of labor is require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130629호(2020.11.19)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2-0130629 (2020.11.19)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곤충 상자(10)들의 관리와 먹이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곤충 상자(10) 및 이를 이용한 곤충 사육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sect box (10) that can smoothly manage and feed the insect boxes (10) and an insect rearing device using the same. In provid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following example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바닥판의 각 변에서 직립된 복수의 직립벽으로 이루어지 곤충 상자를 포함하고, 곤충 상자는 바닥판의 하면에서 하향 돌출되어 내부 영역을 구획하는 한 쌍의 구획벽 및 각 직립벽에서 동일한 크기와 형상으로 관통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개구창을 포함할 수 있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sect box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upright walls erected on each side of a bottom plate, and the insect box includes a pair of partition walls that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d partition the inner area, and each It may include one or more opening windows formed through the upright wall with the same size and shape.

또한, 본 발명은 위 실시예의 곤충 상자를 이용하여 곤충 사육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insect breeding device using the insect box of the above embodiment.

곤충 사육 장치는 위 실시예의 곤충 상자들이 복수의 층을 이루도록 적층 되되, 각 층의 곤충 상자들은 직립벽들 중 하나가 밀착된 상태에서 상 하측의 곤충 상자들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정렬 및 적층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insect rearing device, the insect boxes of the above embodiment are stacked to form a plurality of layers, and the insect boxes on each layer are aligned and stacked in a direction that intersects the upper and lower insect boxes with one of the upright walls in close contact. It is characterized by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자들의 적층시에 균형과, 공간의 분할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먹이 공급과 내부의 청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stacking boxes, balance and space division can be accurately achieved, so that feeding and interior cleaning can be easily performed.

또한, 본 발명은 적층된 상자들 간에 맞물리는 형상임에 따라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적층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safety by maintaining the stacked state even when external vibration or impact is applied, as the stacked boxes are interlocked.

도 1은 본 발명의 곤충 상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4는 곤충 상자를 이용한 곤충 사육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분해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A-A'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B-B' 단면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ect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side view of Figure 1.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ect rearing device using an insect box.
Figure 5 is an exploded view of Figure 4.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4.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ure 4.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고 의도된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identical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Additionally, the size or shap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erms specifically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for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elem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elem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곤충 상자 및 이를 이용한 곤충 사육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sect box and the insect breeding device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곤충 상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ect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and Figure 3 is a side view of Figure 1.

도 1 내지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곤충 상자(10)는 상부가 개방되고, 바닥판(110)과, 바닥판(110)의 각 변에서 직립 된 총 4개의 직립벽(120)과, 각 벽면들에서 개방되는 개구창(130)와, 바닥판(110)의 하면에서 하향 돌출되어 설정된 영역을 구획하는 한 쌍의 구획벽(141, 142)과, 구획벽(141, 142) 내의 구획된 영역에서 상호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장바(144)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1 to 3, the insect box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pen top, a bottom plate 110, and a total of four upright walls 120 erected on each side of the bottom plate 110. and an opening window 130 that opens on each wall, a pair of partition walls 141 and 142 that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loor plate 110 and partition a set area, and partition walls 141 and 142.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extension bars 144 extending in directions that intersect each other in the partitioned area.

바닥판(110)은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편평한 판재로서 플라스틱, 목재, 금속, 합성수지, 종이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바닥판(110)의 각 변은 상호 대향되는 제1변과 제3변의 길이가 동일하고, 제2변과 제4변의 길이가 동일하다. 아울러 제1변과 제2변은 그 길이에 차이가 있다.The bottom plate 110 is a flat plate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can be made of any one of plastic, wood, metal, synthetic resin, and paper. Here, the opposite sides of each side of the bottom plate 110 have the same length as the first and third sides, and the same length as the second side and the fourth side. Additionally, there is a difference in length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ides.

직립벽(120)은 바닥판(110)의 제1변 내지 제4변에서 각각 직립된 제1벽(121) 내지 제4벽(124)을 포함한다. 여기서 직립벽(120)들은 상호 마주보는 위치의 벽들의 폭이 동일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벽(121)과 제3벽(123)은 상호 폭이 동일하고, 제2벽(122)과 제4벽(124)의 폭이 동일하되, 제1벽(121)과 제2벽(122)의 폭과 길이는 동일하지 않다. The upright wall 120 includes first walls 121 to 4, respectively, upright on the first to fourth sides of the bottom plate 110. Here, the upright walls 120 have the same width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For exampl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wall 121 and the third wall 123 have the same width, and the second wall 122 and the fourth wall 124 have the same width. The width and length of the first wall 121 and the second wall 122 are not the same.

더욱 바람직하게로는 제2벽(122)과 제4벽(124) 사이를 중심선(C_C')으로 구획할 때, 양측의 영역이 동일한 면적을 갖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획된 면적들이 동일할 경우에 곤충의 먹이 급여시에 구획된 영역 내에 균일한 양을 급여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기 때문이다. More preferably, when the second wall 122 and the fourth wall 124 are divided by the center line C_C', the areas on both sides have the same area. This is because when the divided areas are the same, it is very easy to feed a uniform amount within the divided area when feeding insects.

개구창(130)은 바닥판(110)의 직립벽(120)을 관통하는 공간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호 마주보는 제1벽(121)과 제3벽(123)은 각각 하나의 개구창(130)이 형성될 수 있고, 제2벽(122)과 제4벽(124)은 각각 2개의 개구창(130)이 형성될 수 있다. 각 벽(121~124)에 형성된 개구창(130)들은 모두 폭과 높이 및 면적이 동일하다. 이와 같은 개구창(130)들의 면적의 동일성은 상술한 바와 같이 마주보는 제2벽(122)과 제4벽(124)의 중심선(C_C')을 기준으로 영역을 구획했을 때, 구획된 면적이 동일하여 개구창(130)를 통하여 균일한 양의 먹이 급여와, 곤충 상자들의 적층시에 연통하여 타 곤충 상자로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The opening window 130 is formed as a space penetrating the upright wall 120 of the bottom plate 110. Here, the first wall 121 and the third wall 123 facing each other may each have one opening window 130, and the second wall 122 and the fourth wall 124 may each have two openings. A window 130 may be formed. The opening windows 130 formed in each wall 121 to 124 all have the same width, height, and area. The identity of the areas of the opening windows 130 is tha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area is divided based on the center line (C_C') of the opposing second wall 122 and the fourth wall 124, the divided area is This is to provide a uniform amount of food through the opening window 130 and to communicate with the insect boxes when they are stacked to enable access to other insect boxes.

구획벽(141, 142)은 시작점과 끝점이 연결되도록 바닥판(110)의 하면에서 내부 영역을 구획하도록 연장된다. 구획벽(141, 142)은 한 쌍으로서 상호 이격 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구획된 내측 영역들의 면적은 동일하다. The partition walls 141 and 142 exten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10 to partition the inner area so that the starting point and the ending point are connected. The partition walls 141 and 142 may be formed as a pair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areas of the partitioned inner regions are the same.

또한, 구획벽(141, 142)들은 바닥판(110)의 변들과 설정된 간격(이하에 제1 이격 공간(143a)이라 칭함)을 두고 하향 돌출되고, 한 쌍의 구획벽(141, 142)들은 중심부에서 빈 공간(이하, 제2 이격 공간(143b)으로 칭함)을 두고 이격된다.In addition, the partition walls 141 and 142 protrude downward at a set distance from the sides of the bottom plate 1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irst space 143a), and the pair of partition walls 141 and 142 are They are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with an empty sp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econd space 143b).

도 3을 참조하면, 제1 이격 공간(143a)은 구획벽(141, 142)과 바닥판(110)의 하면 사이에서 단차 형상을 갖으며, 제2 이격 공간(143ㅠ)은 양측 구획벽(141, 142) 사이에 내향된 홈의 형상을 갖는다. Referring to FIG. 3, the first separation space 143a has a step shape between the partition walls 141 and 142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10, and the second separation space 143ㅠ has partition walls on both sides ( 141, 142) and has the shape of an inward-facing groove.

여기서 제1 이격 공간(143a)은 바닥판(110)의 각 변에서 구획벽(141, 142)까지의 거리(l1)가 각 직립벽(120)들의 상단(120a) 폭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 폭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거리(l1)를 갖는다. Here, the first separation space 143a is such that the distance l1 from each side of the bottom plate 110 to the partition walls 141 and 142 is equal to or the width of the top 120a of each upright wall 120. It has a distance (l1) that can accommodate .

마찬가지로 제2 이격 공간(143b)은 하측에서 적층된 다른 직립벽(120)의 상단(120a)이 끼워지는 공간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2 이격 공간(143b)은 양측의 구획벽(141, 142)들 사이의 폭이 2개의 직립벽(120)들 상단(120a)을 더한 길이(l2)를 갖는다. 즉, 제2 이격 공간(143b)은 제1 이격 공간(143a)과 직립벽(120)의 상단(120a) 폭의 최소 2배이다. Likewise, the second separation space 143b is formed as a space into which the upper end 120a of the other upright walls 120 stacked from the lower side is inserted. Accordingly, the second separation space 143b has a length l2 equal to the width between the partition walls 141 and 142 on both sides plus the upper ends 120a of the two upright walls 120. That is, the second space 143b is at least twice the width of the first space 143a and the top 120a of the upright wall 120.

그러믈 본 발명의 곤충 상자(10)는 후술되는 곤충 사육 장치에서 전방향을 통해 동일한 양의 먹이 급여 및 청소 등 관리와 유지가 용이할 수 있는 장치를 구현하기 위하여 내부 영역의 구획이 용이하고, 적층시 별다른 고정 장치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외부 충격으로부터 견고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However, the insect box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partition the internal area in order to implement a device that can be easily managed and maintained, such as feeding and cleaning the same amount of food in all directions in the insect breeding device described later, Its characteristic feature is that it can maintain sturdiness from external shock even without any special fixing devices during lamination.

이하에서는 위와 같은 곤충 상자(10)들의 적층을 이용한 곤충 사육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n insect rearing device using stacking of the above insect boxes 10 will be described.

도 4는 곤충 상자(10)를 이용한 곤충 사육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 도면, 도 6은 도 4의 A-A' 단면도, 도 7은 도 4의 B-B' 단면도이다.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ect rearing device using the insect box 10, FIG. 5 is an exploded view of FIG. 4,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4,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4.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곤충 사육 장치는 복수의 곤충 상자(10a, 10a', 10a'', 10b, 10b', 10b'')들이 적층 된 적층체(G1, G2, G3)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곤충 사육 장치는 복수의 곤충 상자(10a, 10a', 10a'', 10b, 10b', 10b'')로 이루어진 제1 적층체(G1)와, 제1 적층체(G1)의 상부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적층되는 제2 적층체(G2)와, 제2 적층체(G2)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적층되는 제3 적층체(G3)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4 to 7, the insect bree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ack (G1, G2, G3) in which a plurality of insect boxes (10a, 10a', 10a'', 10b, 10b', 10b'') are stacked. )am. For example, the insect bree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ack (G1)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sect boxes (10a, 10a', 10a'', 10b, 10b', 10b''), and a first stack ( It may include a second laminate (G2) stack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upper part of G1) and a third laminate (G3) stack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second stack (G2).

여기서 곤충 사육 장치는 도면 및 위 설명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1 적층체(G1) 내지 제3 적층체(G3)로서 그 숫자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이중 곤충 상자의 도면부호는 각 적층체를 구분하기 위하여 앞서 설명한 도면부호와 다른 부호를 부여하였으나, 그 구조는 앞서 설명한 곤충 상자(10)와 동일하다. Here, the number of the insect rearing devices is not limited to the first stack (G1) to the third stack (G3) as described in the drawings and the above description. However, this i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reference numbers for the double insect box are different from those described above in order to distinguish each stack, but the structure is the same as the insect box 10 described above.

제1 적층체(G1)는 제1상자(10a)와 제2상자(10b)가 제1방향으로 연장되어 측부의 직립벽(122, 124)들이 밀착된 상태로 정렬된다. 여기서 제1상자(10a)와 제2상자(10b)는 바닥판의 각 변에서 직립된 직립벽들이 형성된다. 개구창(130)은 직립벽에 속한 각 벽들에서 동일 위치에 형성된다. 즉, 개구창(130)은 직립벽(120)들 중 전면과 후면의 제1벽과 제3벽(121, 123) 각 1개의 개구창(130), 양 측부의 제2벽과 제4벽(122, 124)에 각 2개의 개구창(130)이 형성된다. In the first laminate G1, the first box 10a and the second box 10b extend in a first direction and the side upright walls 122 and 124 are aligned in close contact. Here, the first box 10a and the second box 10b have upright walls formed on each side of the bottom plate. The opening window 130 is formed at the same position in each wall belonging to the upright wall. That is, the opening window 130 is one opening window 130 in each of the first and third walls 121 and 123 on the front and rear sides among the upright walls 120, and the second and fourth walls on both sides. Two opening windows 130 are formed at each of (122, 124).

따라서 제1 적층체(G1)에서 제1상자(10a)의 제2벽(122)과, 제2상자(10b)의 제4벽(124)은 상호 밀착된 상태로 정렬되며, 각각의 개구창(130)들의 위치가 일치함에 따라 연통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first laminate G1, the second wall 122 of the first box 10a and the fourth wall 124 of the second box 10b are align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each opening window As the positions of (130) match, they can be connected.

제2 적층체(G2)는 제1상자(10a')와 제2상자(10b')가 제2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적층체(G1)의 상부에 적층된다. 여기서 제2방향은 제1방향과 교차 되는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The second stack G2 includes a first box 10a' and a second box 10b'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and stacked on top of the first stack G1. Here, the second direction can be defined as the direction that intersects the first direction.

이때, 제2 적층체(G2)의 제1상자(10a')와 제2상자(10b')의 바닥판(110) 하면에서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진 구획벽(141, 142)들은 제1 적층체(G1)의 동일 면적을 갖는 영역에 적층 될 수 있다.At this time, a pair of partition walls 141 and 142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ottom plate 110 of the first box 10a' and the second box 10b' of the second laminate G2 are formed on the first laminate G2. (G1) can be stacked in an area with the same area.

예를 들면, 제1 적층체(G1)는 제1상자(10a)와 제2상자(10b)가 인접하게 배치됨에 따라 총 4개의 동일한 면적을 갖는 총 4개의 면적으로 구획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stack G1 may be divided into a total of four areas with a total of four equal areas as the first box 10a and the second box 10b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제1 적층체(G1)는 제1방향과 제2방향으로 각각 중심선(C1)(C2)을 구획하면, 제1중심선(C1)과 제2중심선(C2)의 교차되는 지점을 중심으로 4개의 영역(a1, a2, a3,a4)으로 구획될 수 있다. The first laminate (G1) is divided into four center lines (C1) and (C2) in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respectively, centered on the intersection point of the first center line (C1) and the second center line (C2). It can be divided into areas (a1, a2, a3, a4).

따라서 제2 적층체(G2)는 제1 적층체(G1)와 교차되는 방향인 제2방향으로 정렬되면서 제1 적층체(G1)에 적층 될 때, 제2 적층체(G2)의 제1상자(10a')와 제2상자(10b')의 바닥판(110) 하면에 형성된 구획벽(141', 142')들이 위와 같이 나뉘어진 영역들에 끼움된다. Therefore, when the second laminate (G2) is aligned in the second direction, which is the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laminate (G1), and is laminated on the first laminate (G1), the first box of the second laminate (G2) Partitioning walls 141' and 142'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ottom plate 110 of (10a') and the second box (10b') are inserted into the divided areas as above.

즉, 제2 적층체(G2)에서 제1상자(10a')의 구획벽(141', 142')은 제1 적층체(G1)의 a1 영역과 a2 영역에 각각 끼움되고, 제2상자(10b')의 한 쌍의 구획벽(141', 142')은 제1 적층체(G1)의 a3와 a4 영역에 각각 끼움된다. That is, in the second stack G2, the partition walls 141' and 142' of the first box 10a'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a1 area and the a2 area of the first box G1, and the second box ( The pair of partition walls 141' and 142' of 10b') are respectively fitted into areas a3 and a4 of the first laminate G1.

여기서 제1 적층체(G1)의 제1상자(10a)와 제2상자(10b)의 직립벽(120) 상단(120a)은 제2 적층체(G2)의 제1상자(10a')와 제2상자(10b')의 바닥판(110)의 변에서 구획벽(141', 142') 사이의 공간인 제1 이격 공간(143a)으로 끼움된다. Here, the top 120a of the upright wall 120 of the first box 10a and the second box 10b of the first stack G1 is the first box 10a' of the second stack G2. It is inserted into the first space 143a, which is the space between the partition walls 141' and 142', at the side of the bottom plate 110 of the two boxes 10b'.

또한, 제1 적층체(G1)의 제1상자(10a)와 제2상자(10a)의 직립벽(120)들에서 상호 밀착되는 제2벽(122)과 제4벽(124)의 상단(120a)은 제2 적층체(G2)의 구획벽(141', 142')들 사이의 제2 이격 공간(143b') 내로 삽입된다. In addition, the upper ends of the second wall 122 and the fourth wall 124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on the upright walls 120 of the first box 10a and the second box 10a of the first laminate G1 ( 120a)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pace 143b' between the partition walls 141' and 142' of the second stack G2.

즉, 제2 적층체(G2)는 제1 적층체(G1)의 직립벽(120)들 상단이 바닥판(110)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제2 이격 공간(143b')으로 끼움 되고, 제1 적층체(G1)의 직립벽(120)들 중, 예를 들면, 상호 맞닿은 제2벽(122)과 제4벽(124)을 제외한 나머지 제1벽과 제3벽(121. 123)들의 상단(120a)이 제1 이격 공간(143a')에 위치되도록 적층된다. That is, the second stack G2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pace 143b'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plate 110 at the top of the upright walls 120 of the first stack G1, and the first stack G1 Among the upright walls 120 of the laminate G1, for example, the tops of the first and third walls 121 and 123, excluding the second wall 122 and the fourth wall 124,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120a) is stacked so that it is located in the first space (143a').

제3 적층체(G3)는 제1 적층체(G1)와 동일한 방향으로 정렬되는 제1상자(10a'')와 제2상자(10b'')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3 적층체(G3)의 제1상자(10a'')와 제2상자(10b'')는 제2방향으로 정렬된 제2 적층체(G2)의 상부에서 제1방향으로 정렬되어 적층된다.The third stack G3 is composed of a first box 10a'' and a second box 10b'' align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stack G1. Here, the first box 10a'' and the second box 10b'' of the third laminated body G3 are align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stacked on the top of the second laminated body G2 aligned in the second direction. do.

이때, 제3 적층체(G3)의 제1상자(10a'')와 제2상자(10b'')는 바닥판(110)의 하면에서 하향 돌출된 구획벽(141, 142)들로 인하여 상술한 제1 이격 공간(143a'')과 제2 이격 공간(143b'')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적층체(G2)의 직립벽(120)들 중, 상호 맞닿은 제2벽(122)과 제4벽(124)을 제외한 나머지 상단(120a)들이 제3 적층체(G3)의 제1 이격 공간(143a'')으로 끼움된다. 그리고 상호 맞닿은 제2 적층체(G2)의 제2벽(122)과 제4벽(124)은 제3 적층체(G3)의 제2 이격 공간(143b'')으로 끼움된다. At this time, the first box 10a'' and the second box 10b'' of the third laminate G3 have the partition walls 141 and 142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10, as described above. A first separation space 143a'' and a second separation space 143b'' may be formed. Accordingly, among the upright walls 120 of the second stack G2, the upper ends 120a other than the second wall 122 and the fourth wall 124 tha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re the first walls 120 of the third stack G3. It is inserted into the separation space 143a''. And the second wall 122 and the fourth wall 124 of the second stack G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re inserted into the second space 143b'' of the third stack G3.

즉, 본 발명에 따른 곤충 사육 장치는 상호 교차되는 방향으로 정렬된 곤충 상자(10)들이 적층시에 상하측에서 상호 맞물리는 방식으로 적층될 수 있어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으로부터 견고함을 유지할 수 있다. That is, the insect bree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tacked in such a way that the insect boxes 10 aligned in mutually intersecting directions are interlocked at the top and bottom when stacked, thereby maintaining robustness against external shock or vibration. .

또한, 본 발명은 앞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각 곤충 상자(10)들에 형성되는 개구창(130)가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서 전후 좌우 방향에서 각 상자들로 접근 가능하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windows 130 formed in each insect box 10 are formed to have the same size, so that each box can be accessed from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 각 적층체들에 포함된 곤충 상자(10)는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형상의 개구창(130)가 각각 형성됨에 따라 상호 교차되는 방향으로 정렬 및 적층된다 하더라도 전방향에서 목표 상자로의 접근이 가능하다. For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ct boxes 10 included in each laminate are aligned and stacked in directions that intersect each other as opening windows 130 of the same shape are formed at the same location, but are targeted in all directions. Access to the box is possible.

따라서, 예를 들면, 작업자가 제1방향 측에서 위치하여 반대측에 위치한 제2 적층체(G2)의 제1상자(10a')로 접근이 필요한 경우라면, 작업자는 기구 또는 손을 제2상자(10b')의 개구창(130)를 통하여 제1상자(10a')의 내측으로 접근할 수 있다. Therefore, for example, if the worker is located from the first direction and needs to approach the first box 10a' of the second stack G2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the worker may use a tool or hand to move the second box ( The inside of the first box 10a' can be accessed through the opening window 130 of 10b').

또한, 작업자는 제1 적층체(G1)에서 제2상자(10b) 측에 위치될 때, 제1상자(10a)와 제2상자(10b)가 상호 동일한 개구창(130)을 형성하기에 제2상자(10b)의 개구창(130)를 연통하여 제1상자(10a)로의 접근이 가능하다. In addition, when the worker is positioned on the second box 10b side of the first laminate G1, the first box 10a and the second box 10b form the same opening window 130, so Access to the first box (10a) is possible by connecting the opening windows (130) of the two boxes (10b).

즉, 본 발명은 각 곤충상자들이 상하로 적층 될 때, 상측과 하측의 곤충상자들이 상호 교차되는 방향으로 정렬되나 동일한 위치와 형상으로서 직립벽(120)에 개구창(130)을 형성할 수 있어 복수의 층을 이루어 다수가 적층 된다 하더라도 전방향에서 목표 상자에 대한 접근 및 관찰이 가능하다.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each insect box is stacked up and down, the upper and lower insect boxes are aligned in a direction that intersects each other, but the opening window 130 can be formed in the upright wall 120 at the same position and shape. Even if multiple layers are stacked, access to and observation of the target box is possible from all directions.

10, 10a, 10a', 10a'', 10b, 10b', 10b'' : 곤충 상자
G1, G2, G3 : 적층체
110 : 바닥판
120, 121, 122, 123, 124 : 직립벽
130 : 개구창
141, 142 : 구획벽
143a, 143b : 이격 공간
144 : 연장바
10, 10a, 10a', 10a'', 10b, 10b', 10b'': Insect box
G1, G2, G3: Laminate
110: bottom plate
120, 121, 122, 123, 124: Upright wall
130: opening window
141, 142: partition wall
143a, 143b: separation space
144: extension bar

Claims (11)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면이 개방되고, 바닥판(110)의 각 변에서 직립된 복수의 직립벽(120)과, 바닥판(110)의 하면에서 하향 돌출되어 영역을 구획하는 한 쌍의 구획벽(141, 142)과, 각 직립벽(120)에서 동일한 크기와 형상으로 관통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개구창(130)를 포함하는 복수의 곤충 상자(10)들로 적층되는 곤충 사육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곤충 사육 장치는
복수의 층을 이루도록 적층 되되,
각 층에서 동일한 개수로 복수의 곤충 상자(10)들이 밀착되어 배치되되, 각 층의 곤충 상자(10)들은 직립벽(120)들 중 하나가 밀착된 상태에서 상 하측의 곤충 상자(10)들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정렬 및 적층 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곤충 사육 장치는
복수의 곤충 상자(10)들이 밀착되어 제1방향으로 정렬되는 제1 적층체(G1); 및 복수의 곤충 상자(10)들이 밀착되어 제1방향과 교차되는 제2방향으로 정렬되는 제2 적층체(G2); 를 포함하고,
제1 적층체(G1)와 제2 적층체(G2)가 교번적으로 적층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며,
각 층에서 밀착된 복수의 곤충 상자(10)들의 가로길이의 합은 밀착된 복수의 곤충 상자(10)들의 세로길이의 합과 동일하며, 각 층에서 밀착된 복수의 곤충 상자(10)들이 이루는 평면의 테두리는 정사각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사육 장치.
The upper surface is open, a plurality of upright walls 120 standing upright on each side of the bottom plate 110, and a pair of partition walls 141 and 142 that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10 to partition the area. And, an insect rearing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insect boxes (10) stacked with one or more opening windows (130) formed through each upright wall (120) with the same size and shape,
The insect breeding device is
Stacked to form multiple layers,
The same number of a plurality of insect boxes 10 on each floor are arranged in close contact, and the insect boxes 10 on each floor are arranged in close contact with one of the upright walls 120, and the insect boxes 10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ligned and stacked in a direction that intersects with; Characterized by
The insect breeding device is
A first stack (G1) in which a plurality of insect boxes (10) are closely adhered and aligned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stack (G2) in which a plurality of insect boxes (10) are closely adhered and aligned in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Including,
The first laminate (G1) and the second laminate (G2) are alternately stacked; Characterized by
The sum of the horizontal lengths of the plurality of insect boxes 10 in close contact on each floor is equal to the sum of the vertical lengths of the plurality of insect boxes 10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plurality of insect boxes 10 in close contact with each floor are formed. An insect bree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rder of the plane forms a square.
삭제delete 청구항 6에 있어서, 구획벽(141, 142)은
한 쌍으로서 상호 이격되어 그 사이에 이격 된 공간(143b)을 형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사육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partition walls (141, 14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a pair to form a spaced space 143b between them; Insect breeding device characterized by .
청구항 제8항에 있어서, 제1 적층체(G1)에서 상호 밀착된 직립벽(120)들의 상단(120a)이 제2 적층체(G2)의 하면에 형성된 구획벽(141, 142)들 사이의 이격 된 공간(143a)으로 끼움 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사육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upper ends (120a) of the upright walls (120)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first laminate (G1) are between the partition walls (141, 142)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laminate (G2). Fitted into spaced apart space (143a); Insect breeding device characterized by .
청구항 제6항에 있어서, 제1 적층체(G1) 및 제2 적층체(G2)의 각 곤충 상자(10)들은
바닥판(110)의 각 변에서 구획벽(141, 142)들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사육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each insect box (10) of the first stack (G1) and the second stack (G2) is
An insect rea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spaced space is formed between the partition walls (141, 142) on each side of the bottom plate (110).
청구항 10항에 있어서, 직립벽(120)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측에 적층된 곤충 상자(10)들의 바닥판(110)의 각 변에서 구획벽(141, 142)들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끼움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사육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at least one of the upright walls (120)
Fitted into spaced spaces between the partition walls 141 and 142 at each side of the bottom plate 110 of the insect boxes 10 stacked on the upper side; Insect breeding device characterized by .
KR1020210039022A 2021-03-25 2021-03-25 Insect breeding apparatus KR1026071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022A KR102607125B1 (en) 2021-03-25 2021-03-25 Insect breed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022A KR102607125B1 (en) 2021-03-25 2021-03-25 Insect breed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3652A KR20220133652A (en) 2022-10-05
KR102607125B1 true KR102607125B1 (en) 2023-11-29

Family

ID=83596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9022A KR102607125B1 (en) 2021-03-25 2021-03-25 Insect breed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712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03455B2 (en) 2005-01-05 2009-03-17 Schaefer Systems International, Inc. Cross-stacking container
JP2019218089A (en) * 2018-06-19 2019-12-26 三甲株式会社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215U (en) * 2016-07-11 2018-01-19 심정택 Stackable drawer insects breeding case
KR20180000571U (en) * 2016-08-18 2018-02-28 정영호 worm raise cage
KR20200100564A (en) * 2020-08-06 2020-08-26 고석동 Insect breeding box
KR102457691B1 (en) 2020-11-25 2022-10-21 아이원랩 주식회사 An artificial intelligence drone equipped with a system that detects defects based on real-time sensor data, and method for detecting defects in artificial intelligence drones using a system that detects defects based on real-time sensor dat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03455B2 (en) 2005-01-05 2009-03-17 Schaefer Systems International, Inc. Cross-stacking container
JP2019218089A (en) * 2018-06-19 2019-12-26 三甲株式会社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3652A (en) 202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27103A (en) Cabinet of improved design and construction
US8640652B2 (en) Modular pet house and entertainment system
US9226488B2 (en) Insect trap and monitor
US20060042560A1 (en) Cat scratching apparatus
US9867482B1 (en) Shelving system with interlocking containers
US20060225663A1 (en) Reptile housing structure
USD979880S1 (en) Dried cheese pet chew
DE2739536A1 (en) PACKAGE FOR FRAGILE U-SHAPED BOWLS
US20120060765A1 (en) Collapsible Cat Activity Apparatus
US6058609A (en) Knife holder
KR102607125B1 (en) Insect breeding apparatus
US20050051108A1 (en) Pet playhouse
USD967552S1 (en) Dog crate
JP3217349U (en) Tiered folding pet cage
US20150059624A1 (en) Pallet
US20140262911A1 (en) Stackable carrier
US20120222623A1 (en) Wall mounted modular pet bed
USD977733S1 (en) Bird feeder shelter
KR101785103B1 (en) Transport box for Insects
ES2489190T3 (en) One piece foldable reinforced case
KR20190026304A (en) Crickets Raising Device
US20150351367A1 (en) Modular furniture system for cats
USD891518S1 (en) Lottery ticket dispenser array with stacked lottery ticket modules
US7748538B2 (en) Holder for pet food bowls and dishes and a kit for making said holder
US20170020102A1 (en) Support For A Vertical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