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6304A - Crickets Raising Device - Google Patents

Crickets Rais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6304A
KR20190026304A KR1020170113008A KR20170113008A KR20190026304A KR 20190026304 A KR20190026304 A KR 20190026304A KR 1020170113008 A KR1020170113008 A KR 1020170113008A KR 20170113008 A KR20170113008 A KR 20170113008A KR 20190026304 A KR20190026304 A KR 20190026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grooves
groove
partition plates
hemisphe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0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혜옥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귀뚜람푸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귀뚜람푸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귀뚜람푸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3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6304A/en
Publication of KR20190026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30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27/00Animals characterised by species
    • A01K2227/70Invertebrates
    • A01K2227/706Insects, e.g. Drosophila melanogaster, medfl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A cricket breeding device aligns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partition plates perpendicularly at regular intervals in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o form the breeding device in a shape of a checkerboard grid. Since crickets can mov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 large cricket habitat space and increase production of crickets per unit area.

Description

귀뚜라미 사육장치{Crickets Raising Device}{Crickets Raising Device}

본 발명은 귀뚜라미 사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의 상부격판과 하부격판을 가로와 세로를 일정한 간격으로 직각이 되게 맞추어 바둑판 모양의 격자 형태로 사육장치를 형성하여 귀뚜라미의 상하 이동과 좌우 이동이 가능하므로 대량의 귀뚜라미 서식 공간을 형성하며, 단위 면적당 귀뚜라미의 생산을 높일 수 있는 귀뚜라미 사육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raising a cricket, and more particularly,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diaphragms can be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rranged at right angles to form a checkerboard lattice, So that a large amount of cricket habitat space can be formed and a cricket breeding device capable of increasing the production of crickets per unit area.

유엔산하 식량농업기구(FAO)는 전세계 인구가 점차 늘어나 2050년 90억명을 넘어설 것으로 보고 있다.The United Nations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 expects the world population to grow by more than 9 billion by 2050.

인구 증가와 소득 증대에 따라 식량수요 역시 급증할 전망이다. 늘어나는 식량수요를 조달하기 위해서는 2050년까지 식량 생산량을 두 배 이상 늘려야 하는 상황이다.Demand for food will also surge as population and income increase. In order to meet growing food demand, food production needs to be doubled by 2050.

그러나 현재의 식량 생산량은 기술 발전에도 불구하고 인구 증가 속도를 쫓아가지 못하고 있다. 이는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수확량을 충분히 얻을 수 있는 농지가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However, current food production has not been able to keep pace with population growth despite technological advances.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farmland that can get enough yields due to climate change is decreasing.

이러한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UN에서 미래 식량으로 추천하는 곤충산업은 친환경적이며 생산성이 뛰어나다.In response to these environmental changes, the insect industry recommended by the UN for future food is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highly productive.

곤충 사육은 가축 사육에 비해 물과 사료, 공간의 사용량이 적고,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도 적다는 평가다. 곤충 사육 시 발생하는 온실가스의 배출량이 가축 사육의 10%에 불과해 보다 친환경적이기도 하다.Compared to livestock breeding, insect rearing is an evaluation that water, feed, and space are less used and adverse effects on the environment are less.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insect breeding are also more environmentally friendly, accounting for only 10% of livestock rearing.

그러나 곤충 식품의 성패는 사실상 주재료인 곤충의 안정적인 공급 여부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같은 이유로 곤충 식용화에 대한 관심은 귀뚜라미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기술에 주목하고 있다.However,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success or failure of insect food depends on the availability of stable insects. For this reason, interest in insect edification focuses on technologies that can produce crickets in large quantities.

종래 곤충 중에서 귀뚜라미를 대량으로 사육하는 경우에는 귀뚜라미 알 판에서 10~13일 정도 보관하면 알에서 유충이 부화하고, 이렇게 부화한 귀뚜라미 유충을 곤충 사육장치로 이동하여 45~60일 정도 사육하게 된다.In the case of breeding a large amount of crickets among insects, if larvae are kept in the cricket plate for 10 to 13 days, the larvae hatch in the eggs, and the larvae of the hatched crickets are transferred to the insect breeding apparatus and raised for 45 to 60 days.

선행문헌과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귀뚜라미 사육장치는 선반 위에 얹혀진 사육통 내부에 복수의 계란판을 수평으로 중첩하여 배치하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하며, 계란판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서 귀뚜라미들이 서식할 수 있도록 한다.As in the prior art, the prior art poultry breeding device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egg plates are horizontally overlapped and placed in a mutually opposing direction in a breeding container placed on a shelf, and crickets are inhabited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egg plates .

계란판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는 경우, 귀뚜라미가 상하 이동이 불가능하므로 대량의 귀뚜라미 서식 공간을 형성하는데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사육통 내부의 계란판을 들어내어 작업하는 것이 불편하여 단위 면적당 귀뚜라미의 생산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When the eggs are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rickets can not move up and down. Therefore, there is a limit to form a large cricket habitat space. In addition, it is inconvenient to lift the egg plate inside the husk, There is a limit to height.

계란판의 재질은 신문지 조각이나 폐지를 이용하여 압축시킨 조형 종이를 의미한다.The material of the egg plate means a model paper which is compressed by using newspaper piece or waste paper.

따라서, 귀뚜라미가 계란판을 섭취하게 되면, 계란판의 유해 성분이 귀뚜라미의 체내에 유입되어 부분적으로 체내에 축적된다.Therefore, when crickets consume the egg plate, the harmful components of the egg plate are introduced into the body of the cricket and partially accumulated in the body.

이렇게 유해 성분이 축적된 귀뚜라미를 사람이 식용하는 경우 인체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There is a problem that if crickets with accumulated harmful components are edible by humans, they adversely affect the human body.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741999호(등록일: 2017년 05월 25일), 발명의 명칭: "귀뛰라미 서식공간을 위한 구조물"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741999 (Registered Date: May 25, 2017), Title of the invention: "Structure for the eutrophic habitat space"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상부격판과 하부격판을 가로와 세로를 일정한 간격으로 직각이 되게 맞추어 바둑판 모양의 격자 형태로 사육장치를 형성하여 귀뚜라미의 상하 이동과 좌우 이동이 가능하므로 대량의 귀뚜라미 서식 공간을 형성하며, 단위 면적당 귀뚜라미의 생산을 높일 수 있는 귀뚜라미 사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ertically moving and horizontally moving a cricket by arranging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diaphragms at right angles at regular intervals in the form of a checkerboard lattice Therefo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ricket breeding device capable of forming a large cricket habitat space and increasing cricket production per unit area.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귀뚜라미 사육장치는,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ricket-

서로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고, 수직으로 나란하게 세워진 복수의 하부격판과, 상기 각각의 하부격판에 직각 방향으로 수직 상방에서 끼워져 결합되고, 서로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며, 수직으로 나란하게 세워진 복수의 상부격판을 가로와 세로를 일정한 간격으로 직각이 되게 맞추어 바둑판 모양의 격자 형태로 이루어진 격판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lurality of lower partition plat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nd vertically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 plurality of upper partition plates arranged vertically above the lower partition plates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nd a diaphragm module formed in a lattice shape in a checkerboard shape so as to be orthogonal to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귀뚜라미 사육장치는,In the cricket fee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각각의 상부격판은 일정 두께로 수직으로 세워지는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의 일측에 반구 형태의 제1 홈이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제1 홈의 양쪽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제1 격판삽입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몸체의 타측에 상기 각각의 제1 홈에 대응하는 반구 형태의 제2 홈이 복수개 형성되는 하부격판; 및Wherein each of the upper diaphragms has a first body vertically erected at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plurality of hemispherical first grooves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on one side of the first body, A plurality of second grooves in the form of hemisphere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first grooves ar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ody, the first diaphragm insertion grooves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일정 두께로 수직으로 세워지는 제2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의 일측에 반구 형태의 제3 홈이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제3 홈의 양쪽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제2 격판삽입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2 몸체의 타측에 상기 제3 홈에 대응하는 반구 형태의 제4 홈이 복수개 형성되는 상부격판을 포함하고,A plurality of third grooves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 hemispherical shape on one side of the second body, the second grooves ar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both sides of the third groove, And an upper diaphragm having a plurality of fourth grooves in the form of hemispheres corresponding to the third grooves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body,

상기 하부격판과 상기 상부격판을 복수개 형성하여 상기 각각의 상부격판의 제1 격판삽입홈을 수직 상방에서 상기 각각의 하부격판의 제2 격판삽입홈을 직각 방향으로 끼워 결합하여 가로와 세로를 일정한 간격으로 직각이 되게 맞추어 바둑판 모양의 격자 형태를 이루는 격판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lurality of the lower partition plates and the upper partition plates are formed so that the first partition plate insertion grooves of the respective upper partition plates are vertically upwardly inserted into the second partition plate insertion grooves of the respective lower partition plates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And a diaphragm module in the form of a checkerboard grid.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사육장치에서 귀뚜라미의 상하 이동과 좌우 이동이 가능하므로 대량의 귀뚜라미 서식 공간을 형성하며, 단위 면적당 귀뚜라미의 생산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since the cricket can be moved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in the breeding device, a large cricket habitat space can be formed and the production of cricket per unit area can be enhanced.

본 발명은 격자 형태로 사육장치를 구성하여 사육장치의 제조 및 분리가 편리하고 이로 인하여 청소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a breeding device in the form of a lattice to facilitate the manufacture and separation of the breeding device, thereby facilitating cleaning.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귀뚜라미 사육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귀뚜라미 사육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격판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상부격판과 하부격판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귀뚜라미 사육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부격판 또는 하부격판을 나타내는 격판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상부격판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상부격판에서 덮개부를 접은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격판모듈의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격판모듈의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ricket rai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cricket rai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iaphragm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upper partition plate and a lower partition pla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ricket rai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artition plate showing an upper partition plate or a lower partition plat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upper partitio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lid is folded in the upper parti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n expanded state of a diaphragm modu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diaphragm modul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 발명의 귀뚜라미 사육장치는 귀뚜라미의 상하 이동과 좌우 이동이 가능하므로 대량의 귀뚜라미 서식 공간을 형성하며, 단위 면적당 귀뚜라미의 생산을 높일 수 있다.The cricke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ove crickets up and down and move left and right, thereby forming a large cricket habitat space and increasing the production of crickets per unit area.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귀뚜라미 사육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귀뚜라미 사육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격판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상부격판과 하부격판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귀뚜라미 사육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cricket rais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cricket rais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 and 4 FIG.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upper partition plate and a lower partition plat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ricket holder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pparatus.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귀뚜라미 사육장치(100)는 내부에 일정 공간을 형성한 사육통(10)과 상기 사육통(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격판부재(140)를 포함한다.The cricket rai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eeding box 10 having a certain space therein and a diaphragm member 140 installed inside the breasts box 10.

본 발명의 격판부재(140)는 사육통(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사육통(10)을 제외하여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다.Although the diaphragm member 14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being installed inside the breasts box 10,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breasts box 10.

격판부재(140)는 복수의 격판모듈(110)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각각의 격판모듈(110)의 상부에 평판 형태의 수평판(111)을 탑재한 후, 상기 수평판(111)의 위에 상기 격판모듈(110)을 탑재하며, 상기 격판모듈(110)과 상기 수평판(111)을 순차적으로 서로 번갈아 적층한다.The diaphragm member 140 is formed of a plurality of diaphragm modules 110. The diaphragm member 140 is mounted on the diaphragm module 110 and then mounted on the horizontal plate 111 The diaphragm module 110 is mounted, and the diaphragm module 110 and the horizontal plate 111 are sequentially stacked alternately.

격판모듈(110)은 종이(골판지)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서로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고, 수직으로 세워진 복수의 하부격판(120)과, 상기 각각의 하부격판(120)에 직각 방향으로 끼워져 결합되고, 서로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며, 수직으로 세워진 복수의 상부격판(130)을 포함한다.The diaphragm module 110 includes a plurality of lower diaphragms 120 formed of paper (corrugated cardboard) or plastic material and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at regular intervals and vertically arranged, And a plurality of vertically spaced upper diaphragms 130 spaced from one another at regular intervals.

각각의 하부격판(120)은 수직으로 나란하게 세워져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배열된다.Each of the lower partition plates 120 is vertically arranged in parallel and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eft-right direction.

각각의 상부격판(130)은 상기 각각의 하부격판(120)에 수직 상방에서 끼워져 결합되고, 수직으로 나란하게 세워져 상기 각각의 하부격판(120)이 배열된 방향에서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배열되어 상기 각각의 하부격판(120)에 각각 결합된다.Each upper diaphragm 130 is vertically aligned with the lower diaphragm 120 and is vertically arranged and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wer diaphragms 120 are arranged And are coupled to the respective lower partition plates 120, respectively.

각각의 상부격판(130)은 일정 두께로 수직으로 세워지는 제1 몸체(131)와, 상기 제1 몸체(131)의 일측에 반구 형태의 제1 홈(132)이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제1 홈(132)의 양쪽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제1 격판삽입홈(135)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몸체(132)의 타측에 상기 각각의 제1 홈(132)에 대응하는 반구 형태의 제2 홈(136)이 복수개 형성된다.Each of the upper diaphragms 130 includes a first body 131 vertically erected at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plurality of first grooves 132 in the form of hemispher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one side of the first body 131 A first diaphragm insertion groove 135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groove 132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first grooves 132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ody 132, A plurality of hemispherical second grooves 136 are formed.

각각의 상부격판(130)은 제1 홈(132)과 제1 격판삽입홈(135)이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어 서로 번갈아 가면서 상기 제1 몸체(131)의 일측에 복수개 형성된다.Each of the upper diaphragms 13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rst grooves 132 and first diaphragm insertion grooves 135 on one side of the first body 131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제2 홈(136)은 상기 제1 홈(132)에 대응되는 위치에 데칼코마니 형태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된다.The second grooves 136 are symmetrically formed in the form of a decalcomania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ooves 132, and a plurality of the second grooves 136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제1 격판삽입홈(135)은 입구 측에서 제2 홈(136) 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태의 상부홈(133)과, 상기 상부홈(133)에서 연장되어 직선 형태의 하부홈(134)으로 이루어져 Y 형태로 파져 있다.The first diaphragm insertion groove 135 has a tapered upper groove 133 that narrows toward the second groove 136 from the entrance side and a lower groove 134 that extends from the upper groove 133 and is straight, It is in Y shape.

각각의 하부격판(120)은 일정 두께로 수직으로 세워지는 제2 몸체(121)와, 상기 제2 몸체(121)의 일측에 반구 형태의 제3 홈(122)이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제3 홈(122)의 양쪽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제2 격판삽입홈(125)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2 몸체(121)의 타측에 상기 제3 홈(122)에 대응하는 반구 형태의 제4 홈(126)이 복수개 형성된다.Each of the lower partition plates 120 includes a second body 121 vertically erected at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plurality of third grooves 122 having a hemispherical shap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one side of the second body 121 And a second diaphragm insertion groove 125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both sides of the third groove 122. The second diaphragm insertion groove 125 is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body 121, A plurality of fourth grooves 126 are formed.

각각의 하부격판(120)은 제3 홈(122)과 제2 격판삽입홈(125)이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어 서로 번갈아 가면서 상기 제2 몸체(121)의 일측에 복수개 형성된다.Each of the lower partition plates 120 has a plurality of third grooves 122 and a plurality of second partition plate insertion grooves 125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body 121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제4 홈(126)은 상기 제3 홈(122)에 대응되는 위치에 데칼코마니 형태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된다.The fourth grooves 126 are symmetrically formed in the form of a decalcomania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third grooves 122, and a plurality of the grooves 126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제2 격판삽입홈(125)은 입구 측에서 제4 홈(126) 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태의 상부홈(123)과, 상기 상부홈(123)에서 연장되어 직선 형태의 하부홈(124)으로 이루어져 Y 형태로 파져 있다.The second diaphragm insertion groove 125 has a tapered upper groove 123 that narrows from the entrance side toward the fourth groove 126 and a lower groove 124 extending from the upper groove 123 and having a straight shape, It is in Y shape.

상부격판(130)과 하부격판(120)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상부격판(130)과 하부격판(120)의 결합 시 상하를 반대 방향으로 하며, 격판이 끼워지는 방향으로 명명한 용어이다.The upper diaphragm 130 and the lower diaphragm 120 have the same structure and are term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aphragm is inserted when the upper diaphragm 130 and the lower diaphragm 120 are coupled with each other.

격판모듈(110)은 상기 각각의 상부격판(130)의 제1 격판삽입홈(135)과 상기 각각의 하부격판(120)의 제2 격판삽입홈(125)을 직각 방향으로 끼워 결합함으로써 가로와 세로를 일정한 간격으로 직각이 되게 맞추어 바둑판 모양의 격자 형태가 된다.The diaphragm module 110 is formed by inserting the first diaphragm insertion grooves 135 of the upper diaphragm 130 and the second diaphragm insertion grooves 125 of the respective lower diaphragm 120 in a right angle direction, It is shaped like a checkerboard lattice by vertically aligning at a regular interval.

격판부재(140)는 격판모듈(110)의 상부에 평판 형태의 수평판(111)을 탑재하고, 상기 탑재된 수평판(111)의 위에 상기 격판모듈(110)을 다시 탑재하고, 상기 격판모듈(110)의 위에 수평판(111)을 탑재하는 방식으로 상기 격판모듈(110)과 상기 수평판(111)을 순차적으로 서로 번갈아 복수개 적층한다.The diaphragm member 140 has a flat plate 111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diaphragm module 110 and the diaphragm module 110 is mounted on the mounted horizontal plate 111 again, A plurality of the diaphragm module 110 and the horizontal plate 111 are sequentially stacked alternately in such a manner that the horizontal plate 111 is mounted on the upper plate 110. [

수평판(111)은 평판 형태로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어 일정 크기의 원형홈(112)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The horizontal plate (111) has a plurality of circular grooves (112) of a predetermined siz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in the form of a flat plate.

격판부재(140)는 수평판(111)의 원형홈(112), 제1 홈(132), 제2 홈(136), 제3 홈(122), 제4 홈(126)을 통해 격판모듈(110)에서 귀뚜라미의 상하 이동과 좌우 이동이 용이하여 대량의 귀뚜라미 서식 공간을 손쉽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단위 면적당 귀뚜라미의 생산을 높일 수 있다.The diaphragm member 140 is connected to the diaphragm module 110 through the circular grooves 112 of the horizontal plate 111, the first grooves 132, the second grooves 136, the third grooves 122, 110), it is possible to easily form a large cricket habitat space by moving the cricket up and down and moving left and right, thereby increasing the production of cricket per unit area.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부격판 또는 하부격판을 나타내는 격판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artition plate showing an upper partition plate or a lower partition plat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격판(200)은 일정 두께로 수직으로 세워지는 제1 몸체(201)와, 상기 제1 몸체(201)의 상부 일측에 반구 형태의 제1 홈(202)이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제1 홈(202)의 양쪽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제1 격판삽입홈(205)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몸체(201)의 하부 일측에 상기 제1 홈(202)에 대응하는 반구 형태의 제2 홈(206)이 복수개 형성한다.The diaphragm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201 vertically erected at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first groove 202 in the form of a hemispherical shape on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body 201 A first diaphragm inserting groove 205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groove 202. The first diaphragm inserting groove 205 is formed at a lower side of the first body 201, A plurality of hemispherical second grooves 206 corresponding to the grooves 202 are formed.

상기 격판(200)은 제1 실시예의 상부격판 또는 하부격판일 수 있다.The diaphragm 200 may be an upper diaphragm or a lower diaphragm of the first embodiment.

제1 몸체(201)는 일측면을 따라 길이 방향의 지지턱(21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턱(211)의 상부에 일측면을 따라 길이 방향의 절개홈(212)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홈(212)의 상부에 일측면을 따라 길이 방향의 지지판(213)이 형성된다.The first body 201 is formed with a longitudinally extending support rib 211 along one side thereof and a longitudinally extending cutout groove 212 is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rib 211, A longitudinal support plate 21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groove 212.

길이 방향의 지지판(213)은 90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수직으로 세워져 있던 지지판(213)이 절개홈(212)에 삽입되며 수평 방향으로 지지턱(211)에 지지되어 고정된다.When the longitudinal support plate 213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90 degrees, the vertically standing support plate 213 is inserted into the cutout groove 212 and is supported and fixed to the support tab 21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지지판(213)은 귀뚜라미가 서식 공간을 증대하기 위한 기능을 하며, 제1 몸체(201)에 맞닿도록 수직으로 세워져 있거나 수평 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다.The support plate 213 functions to increase the habitat of the cricket, and can be vertically erected or horizontally extended to abut the first body 201.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상부격판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상부격판에서 덮개부를 접은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upper partitio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is folded in the upper parti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상부격판(300)은 일정 두께로 수직으로 세워지는 제1 몸체(301)와, 상기 제1 몸체(301)의 상부 일측에 반구 형태의 제1 홈(302)이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제1 홈(302)의 양쪽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제1 격판삽입홈(305)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몸체(301)의 하부 일측에 상기 제1 홈(302)에 대응하는 반구 형태의 제2 홈(306)이 복수개 형성하며, 상기 제1 몸체(301)의 하부에 일정 길이와 너비의 덮개부(310)가 형성된다.The upper partitions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301 vertically erected at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first groove 302 in the form of a hemispherical shape on one side of the first body 301, A first diaphragm inserting groove 305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groove 302 and the first diaphragm inserting groove 305 is formed at a lower side of the first body 301, A plurality of hemispherical second grooves 306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ooves 302 are formed and a lid 31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is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body 301.

제1 격판삽입홈(305)은 입구 측에서 제2 홈(306) 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태의 상부홈(303)과, 상기 상부홈(303)에서 연장되어 직선 형태의 하부홈(304)으로 이루어져 Y 형태로 파져 있다.The first diaphragm insertion slot 305 has a tapered upper groove 303 narrowing toward the second groove 306 from the entrance side and a lower groove 304 extending from the upper groove 303 and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It is in Y shape.

덮개부(310)는 상기 제1 몸체(301)와 접하는 경계 부분에 절개선(312)이 형성되어 접힌다. 덮개부(310)는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어 관통구(311)를 복수개 형성한다.The lid 310 is folded by forming a folding line 312 at a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lid 310 and the first body 301. The lid portions 3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to form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11.

격판모듈은 전술한 각각의 하부격판(120)을 하부에 두고 각각의 하부격판(120)의 제2 격판삽입홈(125)에 각각의 상부격판(300)의 제1 격판삽입홈(305)을 직각 방향으로 끼워 결합한 후 상기 덮개부(310)를 절개선(312)에 의해 직각 방향으로 접게 된다.The diaphragm module is provided with the first diaphragm insertion grooves 305 of the upper diaphragm 300 in the second diaphragm insertion grooves 125 of the respective lower diaphragm 120 with the respective lower diaphragms 120 below And then the lid 310 is fold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olding direction by the cut-out 312.

상부격판(300)은 하부격판(120)에 끼워질 때, 덮개부(310)가 위로 향하고 제1 격판삽입홈(305)이 아래로 향하도록 한다.When the upper diaphragm 300 is fitted into the lower diaphragm 120, the lid part 310 faces upward and the first diaphragm insertion groove 305 faces downward.

덮개부(310)는 제1 실시예의 수평판(111)의 역할을 담당하게 되는 것이다.The lid unit 310 serves as the horizontal plate 111 of the first embodiment.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격판모듈의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격판모듈의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10 is a view showing an expanded state of the diaphragm modul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diaphragm modul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격판모듈(400)은 사각형 형태의 바닥면(410)과 상기 바닥면(410)의 양쪽으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제1 측벽부(420, 430)와, 상기 바닥면(410)의 양쪽으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측벽부(440)와 제3 측벽부(450)를 포함한다.The diaphragm module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tangular bottom surface 410 and a pair of first side wall portions 420 and 430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410, And a second side wall part 440 and a third side wall part 450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410.

각각의 제1 측벽부(420, 430)는 바닥면(410)과 접하는 경계 부분에 절개선(422, 432)이 형성되어 접힌다.Each of the first side wall portions 420 and 430 is folded with the folded portions 422 and 432 formed at the boundary portion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410.

각각의 제1 측벽부(420, 430)는 중간 부분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423, 433)를 형성한다.Each of the first side wall portions 420 and 430 forms a protrusion 423 and 433 protruding upward in the middle portion.

바닥면(410)에는 절개선(422, 432)의 근처에 하부에 위치한 격판모듈(400)의 돌출부(423, 433)가 삽입되어 결합하는 결합홈(412, 413)이 형성된다. Coupling grooves 412 and 413 ar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410 to engage with protrusions 423 and 433 of the diaphragm module 400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in the vicinity of the cutouts 422 and 432.

각각의 제1 측벽부(420, 430)는 상기 각각의 제2 측벽부(440)와 제3 측벽부(450)가 형성된 방향인 양측으로 연장되어 한 쌍의 결합부(424, 425, 434, 435)를 각각 형성한다.Each of the first sidewall portions 420 and 430 extends to both sid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spective second sidewall portions 440 and the fourth sidewall portions 450 are formed and has a pair of engagement portions 424, 425, 434, 435, respectively.

제2 측벽부(440)는 중심 부분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접일 수 있는 제2 절개부(443)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절개부(443)를 통해 제2 상부면(441)과 제2 하부면(442)을 구분한다.The second sidewall portion 440 is formed with a second cutout portion 443 which can be horizontally tangent along the central portion and is formed with the second upper surface 441 and the second cutout portion 442 through the second cutout portion 443, The surface 442 is divided.

제2 상부면(441)은 반구 형태의 제2 상부홈(441a)이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어 형성된다.The second upper surface 441 is formed with a second upper groove 441a in a hemispherical shap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제2 하부면(442)은 반구 형태의 제2 하부홈(442a)이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제2 상부홈(441a)에 대응되는 위치에 데칼코마니 형태로 대칭되게 형성된다.The second lower surface 442 is formed with a hemispherical second bottom groove 442a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nd symmetrically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upper groove 441a in a decalcomania form.

따라서, 제2 상부면(441)는 제2 절개부(443)를 이용하여 접으면, 제2 상부면(441)의 제2 상부홈(441a)과 제2 하부면(442)의 제2 하부홈(442a)의 형태가 일치하면서 반구형 홈(441a, 442a)이 형성된다.When the second upper surface 441 is folded using the second cutout 443, the second upper surface 441 and the second lower surface 442 of the second lower surface 442 of the second upper surface 441, The hemispherical grooves 441a and 442a are formed while conforming the shapes of the grooves 442a.

제2 상부면(441)에는 상기 제2 상부홈(441a)과 상기 제2 상부홈(441a)의 사이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제2 돌기부(445)가 각각 형성된다.The second upper surface 441 is formed with a second protrusion 445 protruding upwardly between the second upper groove 441a and the second upper groove 441a.

제2 하부면(442)은 바닥면(410)과 접하는 경계 부분에 절개선이 형성되어 접힌다. 바닥면(410)에는 절개선 근처에 상기 제2 돌기부(445)가 삽입되어 결합하는 제2 삽입홈(444)이 상기 제2 돌기부(445)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The second lower surface 442 is folded with a folded portion formed at a boundary portion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410. A second insertion groove 444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41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rotrusion 445 by insertion of the second protrusion 445 near the incision.

제3 측벽부(450)는 중심 부분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접일 수 있는 제3 절개부(453)를 형성하고, 상기 제3 절개부(453)를 통해 제3 상부면(451)과 제3 하부면(452)을 구분한다.The third sidewall portion 450 is formed with a third cutout portion 453 which can be horizontally tangent along the center portion and is formed with the third upper surface 451 and the third lower cutout portion 453 through the third cutout portion 453. [ Thereby separating the surface 452.

제3 상부면(451)은 반구 형태의 제3 상부홈(451a)이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어 형성된다.The third upper surface 451 is formed with third upper grooves 451a of hemispherical shap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제3 하부면(452)은 반구 형태의 제3 하부홈(452a)이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제3 상부홈(451a)에 대응되는 위치에 데칼코마니 형태로 대칭되게 형성된다.The third lower surface 452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with third lower grooves 452a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nd symmetrically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upper grooves 451a in the form of a decalcomania.

따라서, 제3 상부면(451)는 제3 절개부(453)를 이용하여 접으면, 제3 상부면(451)의 제3 상부홈(451a)과 제3 하부면(452)의 제3 하부홈(452a)의 형태가 일치하면서 반구형 홈(451a, 452a)이 형성된다.When the third upper surface 451 is folded using the third cutout 453, the third upper surface 451a of the third upper surface 451 and the third lower surface 452a of the third lower surface 452, The hemispherical grooves 451a and 452a are formed while conforming the shapes of the grooves 452a.

제3 상부면(451)에는 상기 제3 상부홈(451a)과 상기 제3 상부홈(451a)의 사이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제3 돌기부(455)가 각각 형성된다.The third upper surface 451 is formed with a third protrusion 455 protruding upwardly between the third upper groove 451a and the third upper groove 451a.

제3 하부면(452)은 바닥면(410)과 접하는 경계 부분에 절개선이 형성되어 접힌다. 바닥면(410)에는 절개선 근처에 상기 제3 돌기부(455)가 삽입되어 결합하는 제3 삽입홈(454)이 상기 제3 돌기부(455)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The third lower surface 452 is formed by folding at a boundary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410. A third insertion groove 454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41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protrusion 455 by inserting the third protrusion 455 near the incision.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 따른 격판모듈(400)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shown in FIG. 11, the assembly process of the diaphragm module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will now be described.

제2 상부면(441)는 제2 절개부(443)를 이용하여 접어서 상기 제2 상부면(441)과 상기 제2 하부면(442)을 수직으로 세우며 복수의 제2 돌기부(445)를 바닥면(410)에 형성된 복수의 제2 삽입홈(444)에 삽입한다.The second upper surface 441 is folded by using the second cutout portion 443 to vertically set the second upper surface 441 and the second lower surface 442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445 to the bottom And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second insertion grooves 444 formed in the surface 410. [

제3 상부면(451)는 제3 절개부(453)를 이용하여 접어서 상기 제3 상부면(451)과 상기 제3 하부면(452)을 수직으로 세우며 복수의 제3 돌기부(455)를 바닥면(410)에 형성된 복수의 제3 삽입홈(454)에 삽입한다.The third upper surface 451 is folded by using the third cut portion 453 to vertically set the third upper surface 451 and the third lower surface 452 and the plurality of third protruding portions 455 to the bottom And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third insertion grooves 454 formed in the surface 410. [

각각의 제1 측벽부(420, 430)는 절개선(422, 432)을 이용하여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접는다.Each of the first side wall portions 420 and 430 is folded to be vertically erected using the cut-outs 422 and 432.

결합부(424, 425)는 제2 상부면(441)과 제2 하부면(442)의 사이의 공간으로 접어 넣으며, 결합부(434, 435)는 제3 상부면(451)과 제3 하부면(452)의 사이의 공간으로 접어 넣는다.The engaging portions 424 and 425 are folded into a space between the second upper surface 441 and the second lower surface 442 and the engaging portions 434 and 435 are fold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third upper surface 451 and the third lower surface 442. [ Fold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surfaces 452.

복수의 격판모듈(400)은 상하로 적층하는 경우, 제1 격판모듈(400)의 돌출부(423, 433)를 상기 제1 격판모듈(400)의 상부에 적층하는 제2 격판모듈(400)의 결합홈(412, 413)에 삽입하여 고정한다.A plurality of diaphragm modules 400 may be stacked on top of the first diaphragm module 400 by stacking protrusions 423 and 433 of the first diaphragm module 400 on the first diaphragm module 400 And inserted and fixed in the coupling grooves 412 and 413.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implemented only by the apparatus and / or method, but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for realizing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And such an embodiment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100: 귀뚜라미 사육장치
110: 격판모듈
120: 하부격판
130: 상부격판
140: 격판부재
200: 격판
300: 상부격판
400: 격판모듈
100: Cricket raising device
110: diaphragm module
120: Lower partition
130: upper diaphragm
140: diaphragm member
200: diaphragm
300: upper diaphragm
400: diaphragm module

Claims (7)

서로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고, 수직으로 나란하게 세워진 복수의 하부격판(120)과, 상기 각각의 하부격판(120)에 직각 방향으로 수직 상방에서 끼워져 결합되고, 서로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며, 수직으로 나란하게 세워진 복수의 상부격판(130)을 가로와 세로를 일정한 간격으로 직각이 되게 맞추어 바둑판 모양의 격자 형태로 이루어진 격판모듈(1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뚜라미 사육장치.A plurality of lower partition plates 120 spaced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nd vertically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nd vertically upwardly coupled to the lower partition plates 120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And a diaphragm module (110) formed in a grid-like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upper diaphragms (130) formed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상부격판(130)은 일정 두께로 수직으로 세워지는 제1 몸체(131)와, 상기 제1 몸체(131)의 일측에 반구 형태의 제1 홈(132)이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제1 홈(132)의 양쪽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제1 격판삽입홈(135)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몸체(132)의 타측에 상기 각각의 제1 홈(132)에 대응하는 반구 형태의 제2 홈(136)이 복수개 형성되고,
각각의 하부격판(120)은 일정 두께로 수직으로 세워지는 제2 몸체(121)와, 상기 제2 몸체(121)의 일측에 반구 형태의 제3 홈(122)이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제3 홈(122)의 양쪽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제2 격판삽입홈(125)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2 몸체(121)의 타측에 상기 제3 홈(122)에 대응하는 반구 형태의 제4 홈(126)이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뚜라미 사육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upper diaphragms 130 includes a first body 131 vertically erected at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plurality of hemispherical first grooves 13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one side of the first body 131, A first diaphragm insertion groove 135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groove 132 and a second diaphragm 135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ody 132,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hemispherical second grooves 136 are formed,
Each of the lower partition plates 120 includes a second body 121 vertically erected at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plurality of third grooves 122 having a hemispherical shap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one side of the second body 121 And a second diaphragm insertion groove 125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both sides of the third groove 122. The second diaphragm insertion groove 125 is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body 121, Wherein a plurality of fourth grooves (126) are form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격판삽입홈(135)과 상기 제2 격판삽입홈(125)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태의 상부홈(123, 133)과, 상기 상부홈(123, 133)에서 연장되어 직선 형태의 하부홈(124, 134)으로 이루어져 Y 형태로 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뚜라미 사육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diaphragm insertion slot 135 and the second diaphragm insertion slot 125 are formed with tapered upper grooves 123 and 133 that become narrower from one side to the other and extend from the upper grooves 123 and 133 And the lower crests (124) and (134) of the linear shape are fused in a Y-shap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모듈(110)의 상부에 평판 형태의 수평판(111)을 탑재하고, 상기 탑재된 수평판(111)의 위에 상기 격판모듈(110)을 다시 탑재하고, 상기 격판모듈(110)의 위에 수평판(111)을 탑재하는 방식으로 상기 격판모듈(110)과 상기 수평판(111)을 순차적으로 서로 번갈아 복수개 적층하는 격판부재(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뚜라미 사육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 flat plate 111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diaphragm module 110 and the diaphragm module 110 is mounted on the mounted horizontal plate 111, And a diaphragm member (140) for sequentially stacking the diaphragm module (110) and the horizontal plate (111) alternately in such a manner that the horizontal plate (111) is mounted there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격판(120) 또는 상기 상부격판(130)은 일측면을 따라 길이 방향의 지지턱(21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턱(211)의 상부에 일측면을 따라 길이 방향의 절개홈(212)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212)의 상부에 일측면을 따라 길이 방향의 지지판(213)이 형성되며,
상기 길이 방향의 지지판(213)은 90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수직으로 세워져 있던 상기 지지판(213)이 상기 절개홈(212)에 삽입되며 수평 방향으로 상기 지지턱(211)에 지지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뚜라미 사육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 longitudinal support rib 211 is formed along one side of the lower partition 120 or the upper partition 130 and a longitudinal incision groove 212 is formed along one side of the support rib 211 A longitudinal support plate 213 is formed along one side surface of the cutout groove 212,
When the support plate 21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90 degrees, the support plate 213, which is vertically erected, is inserted into the cutout groove 212 and supported and fixed by the support tab 21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rein the cricket breeding device compris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격판(130)은 상기 제2 홈(136)이 형성된 일측 하단에 일정 길이와 너비의 덮개부(310)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몸체(132)와 접하는 경계 부분에 절개선(312)을 형성하여 상기 덮개부(310)를 상기 절개선(312)에 의해 직각 방향으로 접게 되며, 상기 덮개부(310)는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어 관통구(311)를 복수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뚜라미 사육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upper diaphragm 130 is formed with a lid 31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at a lower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groove 136 and an incision 312 is formed at a boundary portion contacting the first body 132, Wherein the lid part (310) is fold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ut-away part (312), and the lid part (310) is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to form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11) Breeding device.
상기 각각의 상부격판(130)은 일정 두께로 수직으로 세워지는 제1 몸체(131)와, 상기 제1 몸체(131)의 일측에 반구 형태의 제1 홈(132)이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제1 홈(132)의 양쪽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제1 격판삽입홈(135)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몸체(132)의 타측에 상기 각각의 제1 홈(132)에 대응하는 반구 형태의 제2 홈(136)이 복수개 형성되는 하부격판(120); 및
일정 두께로 수직으로 세워지는 제2 몸체(121)와, 상기 제2 몸체(121)의 일측에 반구 형태의 제3 홈(122)이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제3 홈(122)의 양쪽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제2 격판삽입홈(125)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2 몸체(121)의 타측에 상기 제3 홈(122)에 대응하는 반구 형태의 제4 홈(126)이 복수개 형성되는 상부격판(130)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격판(120)과 상기 상부격판(130)을 복수개 형성하여 상기 각각의 상부격판(130)의 제1 격판삽입홈(135)을 수직 상방에서 상기 각각의 하부격판(120)의 제2 격판삽입홈(125)을 직각 방향으로 끼워 결합하여 가로와 세로를 일정한 간격으로 직각이 되게 맞추어 바둑판 모양의 격자 형태를 이루는 격판모듈(1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뚜라미 사육장치.
Each of the upper diaphragms 130 includes a first body 131 vertically erected at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plurality of hemispherical first grooves 13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one side of the first body 131, A first diaphragm insertion groove 135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groove 132 and a second diaphragm 135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ody 132, A lower partition 120 in which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hemispherical second grooves 136 are formed; And
A plurality of third grooves 122 having a hemispherical shape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one side of the second body 121 and a plurality of third grooves 122 And a fourth groove 126 in the form of a hemisphe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third groove 122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body 121, And an upper partition plate (130)
A plurality of the lower partition plates 120 and the upper partition plates 130 are formed so that the first partition plate insertion grooves 135 of the respective upper partition plates 130 are vertically arranged above the second partition plates 120 of the respective lower partition plates 120, And a diaphragm module (110) having a grid-like shape formed by inserting the insertion grooves (125) in a right angle direction so as to be orthogonal to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KR1020170113008A 2017-09-05 2017-09-05 Crickets Raising Device KR2019002630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008A KR20190026304A (en) 2017-09-05 2017-09-05 Crickets Rais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008A KR20190026304A (en) 2017-09-05 2017-09-05 Crickets Rais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304A true KR20190026304A (en) 2019-03-13

Family

ID=65762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008A KR20190026304A (en) 2017-09-05 2017-09-05 Crickets Rais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6304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298Y1 (en) * 2018-09-28 2020-03-16 안병철 Pad For Insect Inhabitation
KR102557411B1 (en) * 2022-06-24 2023-07-20 (주)신성엔지니어링 Biotope system of insects for balanced eco conservation in the urban area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1999B1 (en) 2016-10-17 2017-05-31 이삼구 Structure for Farming Cricke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1999B1 (en) 2016-10-17 2017-05-31 이삼구 Structure for Farming Cricke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298Y1 (en) * 2018-09-28 2020-03-16 안병철 Pad For Insect Inhabitation
KR102557411B1 (en) * 2022-06-24 2023-07-20 (주)신성엔지니어링 Biotope system of insects for balanced eco conservation in the urban are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9671A (en) Stack type plant-pots
US4878313A (en) Container assembly
KR20190026304A (en) Crickets Raising Device
JP7165686B2 (en) Containers and combinations of containers and spawning structures
US8151516B1 (en) Floral displays
US10501232B1 (en) Adjustable wrap-around container system
CN107864876A (en) Rearging cage keeper
US4094270A (en) Fish egg incubating device
KR20190019522A (en) auto-breeding system for cricket
JP3231144U (en) Egg packaging container
KR20190021527A (en) Edible Insect Breeding Device
KR102607125B1 (en) Insect breeding apparatus
ES2955388T3 (en) Egg tray for holding eggs in an incubation chamber
KR200359298Y1 (en) Packing box for eggs
JP2599107Y2 (en) Spawning and rearing case for ornamental fish tank
CN220776931U (en) Space volume adjustable breeds cage
KR200476323Y1 (en) Pizza box
CN215286342U (en) Egg packing box
KR100586717B1 (en) various purposes chicken cage
CN210083865U (en) Structure adjustable chick warehousing and transportation corrugated box
JP4852446B2 (en) Partition
CN211643235U (en) Double-open egg box
EP0664952B1 (en) Box having therein poison bait agent
JPH0142449Y2 (en)
JP2024017704A (en) Hydroponic cultivation panel and hydroponic cultivation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