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4651B1 - Connecting assembly for operating push-pull doorlock - Google Patents

Connecting assembly for operating push-pull door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4651B1
KR101634651B1 KR1020140124433A KR20140124433A KR101634651B1 KR 101634651 B1 KR101634651 B1 KR 101634651B1 KR 1020140124433 A KR1020140124433 A KR 1020140124433A KR 20140124433 A KR20140124433 A KR 20140124433A KR 101634651 B1 KR101634651 B1 KR 101634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bevel
pulling
handle
p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44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33484A (en
Inventor
류상우
하영규
Original Assignee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4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4651B1/en
Publication of KR20160033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34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6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핸들을 당기거나 미는 것으로 문을 개방 및 잠금 하도록 구성된 푸쉬-풀 도어락의 작동연결 구조체로서, 상기 문의 일측면에 설치된 커버 본체; 상기 커버 본체에서 당기는 방향으로 작동하는 당김 핸들; 상기 당김 핸들의 내부면에 형성된 걸림 브라켓; 상기 커버 본체의 하판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것으로 모티스를 구동시키는 모티스 회동체; 및 상기 모티스 회동체에 수직방향으로 기어연결되며 일단 상기 걸림 브라켓에 걸림되는 베벨 연동 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푸쉬-풀 도어락의 작동연결 구조체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rating connection structure for a push-pull door lock configured to open and lock a door by a user pulling or pushing a handle, the door connecting structure comprising: a cover bod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oor; A pulling handle operating in a pulling direction from the cover body; A latching bracket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pulling handle; A motor provided on the lower plate of the cover body and rotated to drive the motor; And a bevel interlocking gear which is gear-connected to the motis pivoting body in a vertical direction and which is once engaged with the engagement bracket.

Description

푸쉬-풀 도어락의 작동연결 구조체{Connecting assembly for operating push-pull doorlock} A push-pull door lock assembly is disclosed.

본 발명은 푸쉬-풀 도어락의 작동연결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 게는 푸쉬-풀 도어락의 외측(front) 본체에 설치되는 푸쉬-풀 도어락의 작동연결 구조체에 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rating connection structure for a push-pull door lock,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perating connection structure for a push-pull door lock installed in a front body of a push-pull door lock.

일반적으로, 도어락에는 레버 형태의 내외측 핸들이 구비되어 있다. 도 1a는 종래의 도어락을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도 1a와 같이 종래의 도어락은 내측핸들(1)을 회전시켜 도어(D)의 데드볼트(2)를 작동시킴으로써 도어(D)의 잠금해체가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는다.Generally, door locks are provided with lever-shaped inner and outer handles. 1A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door lock. As shown in Fig. 1A, a conventional door lock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door handle D is unlocked by operating the deadbolt 2 of the door D by rotating the inner handle 1 Structure.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도어락은 데드볼트(2)의 잠금상태를 해정하기 위해 문이 열리는 방향과 수직방향의 힘을 가한 상태에서 도어(D)가 개방되는 방향으로의 추가적인 힘을 가해야 하므로 사용자들에게 사용상의 불편함을 야기하였다(신속하고 직관적인 작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disengage the locking state of the dead bolt 2, a conventional door lock having such a structure must apply an additional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oor D is opened in a state in which a vertical force is applied to the door opening direction, (It is difficult to operate quickly and intuitively).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데드볼트가 해정되는 소위 '푸쉬-풀 타입'(Push-Pull type)의 도어락이 개시되어 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so-called push-pull type door lock has been disclosed in which a dead bolt is unlocked when a force is applied in a direction in which a door is opened.

도 1b는 종래의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을 보여주는 상태도로서, 도 1b와 같이 이러한 종래의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은 내측핸들(3)과 외측핸들(4)에 도어(D)가 열리는 방향의 힘을 가하여 래치볼트(5)를 해정하고 도어(D)를 여는 방식이다. 도 2에서 미설명부호 '7'은 레버이고, '8'은 회동 샤프트이며, '6'은 데드볼트이다.1B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push-pull type door lock. As shown in FIG. 1B, such a conventional push-pull type door lock has a door lock mechanism in which the door D is opened in the inner handle 3 and the outer handle 4 A force is applied to unlock the latch bolt 5, and the door D is opened. In FIG. 2, reference numeral 7 denotes a lever, 8 denotes a pivot shaft, and 6 denotes a deadbolt.

한편, 이러한 종래의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은 핸들의 어느 곳을 누르더라도 모티스와 구동(데드볼트 및 래치볼트의 구동)을 확실히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도어락 장치의 작동성능과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다. On the other hand, in such a conventional push-pull type door lock,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operating performance of the door lock device to ensure that the motris and the driving (drive of the dead bolt and the latch bolt) can be reliably performed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handle.

한편, 종래의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은 누름 동작으로 인해 전달되는 누르는 힘을 얼마나 정확하게 모티스의 회동체로 전달하느냐가 작동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중요한 인자가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push-pull type door lock, how to accurately transmit the pressing force transmitted due to the pushing operation to the rotating body of the Mortice is an important factor for ensuring the operational reliability.

그러나, 종래의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는 이러한 작동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링크구조나 관절구조 등이 제안되었지만, 종래의 연결 구조는 전체적인 연결구조가 복잡하고, 작동의 직관성 및 장기간 사용에 따른 내구성 저하 등의 문제가 제기되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push-pull type door lock, various link structures and joint structures have been proposed to enhance such operational reliability. However, in the conventional connection structure, the overall connection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the intuitiveness of operation and the durability The problem was raised.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푸쉬-풀 도어락의 외측 본체에 설치되는 모티스 연결 구조를 보다 간소화하여 작동성능을 향상시키고 오작동을 방지하고 구조적으로 간소화된 푸쉬-풀 도어락의 작동연결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ush-pull door lock device and a push- And to provide a connection structure.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사용자가 핸들을 당기거나 미는 것으로 문을 개방 및 잠금 하도록 구성된 푸쉬-풀 도어락의 작동연결 구조체로서, 상기 문의 일측면에 설치된 커버 본체; 상기 커버 본체에서 당기는 방향으로 작동하는 당김 핸들; 상기 당김 핸들의 내부면에 형성된 걸림 브라켓; 상기 커버 본체의 하판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것으로 모티스를 구동시키는 모티스 회동체; 및 상기 모티스 회동체에 수직방향으로 기어연결되며 일단 상기 걸림 브라켓에 걸림되는 베벨 연동 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푸쉬-풀 도어락의 작동연결 구조체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perating connection structure for a push-pull door lock configured to open and lock a door by a user pulling or pushing a handle, the door connecting structure comprising: A pulling handle operating in a pulling direction from the cover body; A latching bracket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pulling handle; A motor provided on the lower plate of the cover body and rotated to drive the motor; And a bevel interlocking gear which is gear-connected to the motis pivoting body in a vertical direction and which is once engaged with the engagement bracket.

상기 베벨 연동 기어는 일부에 기어부가 형성되어 상기 모티스 회동체와 기어연결되고, 상기 기어부의 양측면에는 회전축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은 상기 커버 본체의 내부에 축지지되며, 상기 기어부의 원주방향으로의 일지점에는 상기 걸림 브라켓이 간섭되도록 연장돌출된 걸림단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The bevel interlocking gear is formed in a part of the bevel interlocking gear and is gear-connected to the motis pivotal body. The rotation shaft is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gear part, and the rotation shaft is pivotally supported inside the cover body. It is preferable that a hook has a protruding end protruded to interfere with the retaining bracket.

상기 걸림 브라켓의 선단은 상기 베벨 연동 기어의 걸림단을 들어올리는 방향에 위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And the tip end of the latching bracket is positioned in a direction to lift up the latching end of the bevel interlocking gear.

본 발명에 따르면, 당김 핸들의 내부에 걸림 브라켓이 장착되고, 모티스를 작동시키는 모티스 회동체는 걸림 브라켓과 모티스 회동체 사이의 베벨 연동 기어를 통해 직관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작동성능을 확보함과 동시에 구조적으로 간소화 되면서 제작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atching bracket is mounted inside the pulling handle, and the Mortice pivoting body for operating the Mortise is intuitively connected through the bevel interlocking gear between the latching bracket and the Mortise pivoting body, So that the manufactur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도 1a는 종래의 도어락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1b는 종래의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을 보여주는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작동연결 구조체의 커버 본체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작동연결 구조체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작동연결 구조체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작동연결 구조체의 구성요소의 배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당김 핸들이 하강된 상태를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작동연결 구조체의 일반적인 상태를 보여주는 투시도,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작동연결 구조체의 각 기어의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내부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작동연결 구조체의 베벨 연동 기어의 단품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작동연결 구조체의 모티스 회전체의 단품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작동연결 구조체의 내부 프레임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내부 프레임의 측단면도, 및
도 13은 도 11의 내부 프레임의 설치된 투영도이다.
Fig. 1A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door lock,
1B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push-pull type door lock,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 cover body of an operating connection structure of a push-pul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operating connection structure of a push-pul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operating connection structure of a push-pul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of components of an operating connection structure of a push-pul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operating state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ulling handle is lowered in the state of Fig. 5,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eneral state of an operating connection structure of a push-pul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8 is an internal structural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gears of an operating connection structure of a push-pul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evel interlocking gear of the operating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ush-pull door lo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ingle perspective view of a motis rotating body of an operating connection structure of a push-pul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ner frame of an operative connection structure of a push-pul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inner frame of Fig. 11, and Fig.
Figure 13 is an installed projection view of the inner frame of Figure 11;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커버 본체(100)에서 당김 핸들(10)이 당겨지는 구조로 이루어진 일명 프론트 본체에 적용된다. 구체적으로, 도 2에서 (a)는 일반적인 상태에서 당김 핸들(10)의 상태를 보여주고 있고, 도 2에서 (b)는 당김 핸들(b)을 당긴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즉 본 발명에 적용되는 프론트 본체는 커버 본체(100)의 하판(40)에서 당김 핸들(10)을 당기는 구조로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so-called front bod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pull handle 10 is pulled from the cover body 100. 2 (a) shows the state of the pulling handle 10 in a general state, and Fig. 2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pulling handle b is pulled. That is, the front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being provided with a structure for pulling the pull handle 10 from the lower plate 40 of the cover body 100.

도 3을 참조하면, 당김 핸들(10)의 내부에는 걸림 브라켓(12)이 고정되는데, 구체적으로 당김 핸들(10)의 내부에는 걸림 포스트(15)가 돌출 형성되고, 이 걸림 포스트(15)의 단부에 걸림 브라켓(12)이 고정된다. 이에 따라 걸림 브라켓(12)은 걸림 포스트(15)에 대략 'ㄱ'자 형상을 이루도록 고정된다.3, a locking bracket 12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pulling handle 10. Specifically, a locking post 15 protrudes inside the pulling handle 10, And the latching bracket 12 is fixed to the end portion. Accordingly, the latching bracket 12 is fixed to the latching post 15 so as to have a substantially "A" shape.

도 5를 참조하면, 당김 핸들(10)은 커버 본체(100)에 장착되는 하판(40)에서 승하강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하판(40)에는 평면상에서 회전하도록 모티스 회전체(30)가 장착되는데, 이 모티스 회전체(30)는 중앙에 형성된 샤프트공(31)에 샤프트가 장착되고 샤프트는 모티스의 작동레버(미도시)와 연결되어 모티스 회전체(30)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 모티스의 작동(데드볼트 및 레치볼트의 작동)이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5, the pulling handle 10 is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by a lower plate 40 mounted on the cover body 100. On the other hand, the lower plate 40 is mounted with a motoris rotating body 30 so as to rotate on a plane. The motoris rotating body 30 is mounted with a shaft on a shaft hole 31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Operation of the dead bolt and the latch bolt) is performed by the rotation of the mottic rotor 30.

도 4 및 도 11 내지 13을 참조하면, 당김 핸들(10)은 하판(40)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하판(40)에는 내부 프레임(19)이 고정된다. 이 내부 프레임(19)에는 내부 포스트(17)와 내부 측벽(18)이 형성되고, 이 내부 포스트(17)와 내부 측벽(18)의 사이에 베벨 연동 기어(20)의 회전축(22)의 양측이 축지지된다. 이에 따라 당김 핸들(10)은 하판(40)에 고정된 내부 프레임(19)과 별개로 승하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하판(40)에는 모티스 회동체(3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모티스 회동체(30)에 수직방향으로 베벨 연동 기어(20)가 기어 연결됨으로써 모티스 회동체(30)와 베벨 연동 기어(20)는 내부 프레임(19)과 별도로 서로 연동작동될 수 있다(즉 당김 핸들의 작동에 따라 내부 프레임(19)에서 베벨 연동 기어(20)가 작동하고 베벨 연동 기어(20)의 작동에 의해 하판(40)에서 모티스 회동체(30)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4 and 11 to 13, the pulling handle 10 is vertically movable up and down by the lower plate 40, and the inner frame 19 is fixed to the lower plate 40. An inner post 17 and an inner sidewall 18 are formed in the inner frame 19. Between the inner post 17 and the inner sidewall 18, . The pulling handle 10 is structured so as to ascend and descend separately from the inner frame 19 fixed to the lower plate 40. The lower plate 40 is provided with a rotatable mothis rotary body 30 and a bevel interlocking gear 20 is gear-connect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the motis rotary body 30, The bevel interlocking gear 20 is operated in the inner frame 19 and the bevel interlocking gear 20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bevel interlocking gear 20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pulling handle The operation of the Mortice pivoting body 30 can be performed in the lower plate 40).

한편 모티스 회동체(30)의 원주방향의 일부에는 기어부(34)가 형성되는데, 이 기어부(34)는 경우에 따라 모티스 회동체(30)의 전부 또는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gear portion 34 is formed in a part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marti rolling body 30, which may be formed on all or a part of the marti rolling body 30 as occasion demands.

또한 모티스 회동체(30)의 기어부(34)에는 베벨 연동 기어(20)가 기어 연결된다. 이 베벨 연동 기어(20)의 기어부(24)는 모티스 회동체(30)의 기어부(34)와 기어 연결되는데, 베벨 연동 기어(20)는 모티스 회동체(30)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직각방향으로 서로 연동되는 베벨기어 타입으로 서로 배치된다. Further, a bevel interlocking gear 20 is gear-connected to the gear portion 34 of the motis turning body 30. The gear portion 24 of the bevel interlock gear 20 is connected to the gear portion 34 of the motortar rotary member 30 so that the bevel interlock gear 20 is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the motortar rotary member 30 And are arranged in a bevel gear typ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in a perpendicular direction.

구체적으로, 베벨 연동 기어(20)는 커버 본체(100)의 내부에 축 지지되도록 양측에 한 쌍의 회전축(22)이 형성되고, 원주방향으로 일측으로 돌출형성된 걸림단(21)이 형성되고, 걸림단(21)의 하부에 걸림 브라켓(12)이 위치되어, 도 3과 같이 걸림 브라켓(12)이 들어 올려지는 방향으로 이동(즉, 상기 걸림 브라켓(12)은 상기 핸들(10)에 나사체결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핸들(10)을 사용자가 당기는 작동)하면, 도 5와 같이 걸림 브라켓(12)의 선단이 베벨 연동 기어(20)의 걸림단(21)을 들어올려 베벨 연동 기어(20)가 반 시계방향으로 선회하고, 이 선회 방향을 따라 기어 연결된 하부의 모티스 회동체(30)가 일측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Specifically, the bevel interlock gear 20 is provided with a pair of rotation shafts 22 on both sides thereof so as to be pivotally supported inside the cover body 100, and a locking step 21 protruding in one direc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The latching bracket 12 is position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latching end 21 and mov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atching bracket 12 is lifted up as shown in FIG. The front end of the engagement bracket 12 lifts the engagement end 21 of the bevel interlocking gear 20 so that the bevel interlocking gear 20 (see FIG. 5)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the lower motts pivoting body 30, which is geared along the pivoting direction, is configured to rotate in one direc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당김 핸들(10)의 내부에 고정된 걸림 브라켓(12)이 당김 핸들(10)의 당김시, 모티스 회동체(30)와 기어 연결된 베벨 연동 기어(20)를 상부로 들어올림으로써 직접적으로 모티스 회동체(30)를 선회시키고, 이를 통해 모티스의 작동(잠금해정에 따른 문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ngaging bracket 12 fixed to the inside of the pulling handle 10 pulls up the bevel interlocking gear 20 that is gear-connected to the motive rotating body 30 when pulling the pulling handle 10 The mothis rotary body 30 is turned directly, thereby enabling the operation of the mothis (door opening due to unlocking).

또한, 당김 핸들(10)의 당김 작용이 완료한 후에는 모티스 회동체(30)은 일부에 탄성지지된 토션 스프링(50)에 의해 일측으로 회전되었다가 다시 원위치로 모티스 회동체(30)를 되돌리도록 구성된다. After the pulling operation of the pulling handle 10 is completed, the mottles pivoting body 30 is rotated to one side by the torsion springs 50 elastically supported in a part thereof, and then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to return the mottles pivoting body 30 .

즉, 도 7과 같이, 본 발명은 당김 핸들(10)을 당기는 동작에 의해 베벨 연동기어(20)가 들어 올려지는 방향으로 선회되도록 하고, 이러한 동작에 연동하여 베벨 연동 기어(30)를 통해 당김 핸들(10)을 들어올리는 작용을 모티스 회동체(30)의 회전으로 연계시켜 모티스의 잠금상태 해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7,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evel interlock gear 20 is pivo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evel interlock gear 20 is lifted by pulling the pull handle 10, The operation of lifting the handle 10 can be linked to the rotation of the motis pivoting body 30 so that the locking state of the motis can be released.

도 8을 참조하면, 모티스 회동체(30)는 기어부(34)를 제외한 나머지에 걸림 블럭(35)이 형성되고 걸림 블럭(35)에는 토션 스프링(50)의 선단이 고정되어 모티스 회동체(30)가 일측으로 회전되었다가 토션 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8, a locking block 35 is formed on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motive body 30 except for the gear portion 34 and the tip of the torsion spring 50 is fixed to the locking block 35, 30 may be rotated to one side and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torsion spring 50.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당김 핸들(10)의 내부에 걸림 포스트(15)와 걸림 브라켓(12)을 설치하고, 이 걸림 브라켓(12)에 맞닿는 베벨 연동 기어(20)를 설치하여 베벨 연동 기어(20)를 매개로 하판(40)에 설치된 모티스 회동체(30)를 선회시킴으로써 모티스의 해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us constituted, the engaging post 15 and the engaging bracket 12 are provided inside the pulling handle 10 and the bevel interlocking gear 20 which abuts the engaging bracket 12 is provided, 20 can be rotated to rotate the Mortis pivotal body 30 provided on the lower plate 40 so that the Mortise can be unfolded.

이에 따라 당김 핸들(15)에 작용하는 당기는 힘의 손실됨이 없이, 직접적으로 베벨 연동 기어(20)를 통해 모티스 회동체(30)를 직접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모티스의 작동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당김 핸들(10)와 베벨 연동 기어(20)가 직접적으로 연동되는 방식이므로, 종래의 기타의 구동부품(링크연결을 위한 부품)을 배제하고 직접적으로 모티스 회동체(30)를 구동시킬 수 있어 부품 개수를 최소화하여 제품의 원가를 줄이고, 작동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is allows the motice to be actuated by directly rotating the motive body pivoting body 30 directly through the bevel interlocking gear 20 without loss of pulling force acting on the pulling handle 15. [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in which the pulling handle 10 and the bevel interlocking gear 20 are directly linked to each other, so that it is possible to directly drive the motions pivoting member 30 without excluding other conventional driving components (parts for link connection) So that the number of components can be minimized, the cost of the product can be reduced, and the reliability of operation can be improved.

또한 당김 핸들을 당기는 동작이 직접적으로 베벨 연동 기어(20)를 회동시켜 모티스 회동체(30)를 회전시켜 모티스 잠금해제 설정이 가능한 구조이므로 직관적인 작동이 가능하여 작동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Also, since the operation of pulling the pulling handle directly rotates the bevel interlocking gear 20 to rotate the motis pivoting body 30 to allow setting of the motis unlocking, it is possible to intuitively operate and to ensure the operational reliability.

아울러, 별도의 링크구조가 불필요하므로, 연결을 위한 부품의 개수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어 오작동을 야기하는 인자를 줄일 수 있고, 당기 핸들(10)과 하판(40) 사이에서 베벨 연동 기어가 모티스 회동체(30)에 수직한 방향(베벨기어 타입)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종래의 링크연결 구조에서 발생하는 유격을 줄일 수 있고, 링크 사이사이에서 발생하는 힘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Since a separate link structure is not required, the number of components for connection can be remarkably reduced, and the number of factors causing malfunction can be reduced, and a bevel interlocking gear can be provided between the pulling handle 10 and the lower plate 40, By configuring to operat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dy 30 (bevel gear typ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learance occurring in the conventional link connection structure and to minimize the loss of force generated between the links.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0: 커버 본체
10: 당김 핸들
20: 베벨 연동 기어
21: 걸림단
22: 회전축
30: 모티스 회동체
40: 하판
50: 토션 스프링
100: Cover body
10: Pull handle
20: Bevel interlock gear
21:
22:
30: Mortise rotator
40: Lower plate
50: Torsion spring

Claims (4)

사용자가 핸들을 당기거나 미는 것으로 문을 개방 및 잠금 하도록 구성된 푸쉬-풀 도어락의 작동연결 구조체로서,
상기 문의 일측면에 설치된 커버 본체(100);
상기 커버 본체(1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지도록 설치된 당김 핸들(10);
상기 당김 핸들(10)의 내부면에 형성된 걸림 브라켓(12);
상기 커버 본체(100)의 하판(40)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것으로 모티스를 구동시키며 탄성력에 의해 회전되었다가 원상태로 복귀되는 모티스 회동체(30); 및
상기 모티스 회동체(30)에 수직방향으로 기어연결되며 일단이 상기 걸림 브라켓(12)에 걸림되는 베벨 연동 기어(20)를 포함하고,
상기 베벨 연동 기어(20)는 일부에 기어부(24)가 형성되어 상기 모티스 회동체(30)와 기어연결되고, 상기 기어부(24)에는 회전축(22)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22)은 상기 커버 본체(100)의 내부에 축지지되며, 상기 기어부(24)의 일부에는 상기 걸림 브라켓(12)이 간섭되도록 연장돌출된 걸림단(21)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 브라켓(12)의 일부는 상기 당김 핸들(10)에 연결되며, 상기 걸림 브라켓(12)의 일측 선단은 상기 당김 핸들(10)을 당기는 동작에 따라 상기 베벨 연동 기어(20)의 걸림단(21)을 들어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도어락의 작동연결 구조체.
A working connection structure of a push-pull door lock configured to open and lock a door by a user pulling or pushing the handle,
A cover body 10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oor;
A pull handle (10) installed to pull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over body (100);
A locking bracket (12)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ulling handle (10);
A mortise pivoting body 30 which is installed on the lower plate 40 of the cover body 100 and rotates by being driven by the elastic force to return to its original state; And
And a bevel interlocking gear (20) geared vertically to the mott body pivoting body (30) and having one end engaged with the engagement bracket (12)
The bevel interlocking gear 20 is formed with a gear portion 24 and is connected to the motive rotational body 30 by a gear. A rotation shaft 22 is formed in the gear portion 24, And a hooking step 21 is formed in a part of the gear part 24 so as to protrude to interfere with the engaging bracket 12,
A part of the engaging bracket 12 is connected to the pulling handle 10 and one end of the engaging bracket 12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end of the bevel interlocking gear 20 by pulling the pulling handle 10, (21) is lifted. ≪ Desc / Clms Page number 13 >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40)에는 내부 프레임(19)이 설치되고,
상기 내부 프레임(19)에는 상기 모티스 회동체(30)가 하부에 배치된 내부 포스트(17)와,
상기 내부 포스트(17)와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내부 측벽(18)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포스트(17)와 상기 내부 측벽(18) 사이에 상기 베벨 연동 기어(20)의 상기 회전축(22)이 축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도어락의 작동연결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plate (40) is provided with an inner frame (19)
The inner frame (19) is provided with an inner post (17) having the moti swing body (30)
An inner side wall 18 spaced apart from the inner post 17 is formed,
Wherein the rotary shaft (22) of the bevel interlock gear (20) is pivotally supported between the inner post (17) and the inner side wall (18).




KR1020140124433A 2014-09-18 2014-09-18 Connecting assembly for operating push-pull doorlock KR1016346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433A KR101634651B1 (en) 2014-09-18 2014-09-18 Connecting assembly for operating push-pull door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433A KR101634651B1 (en) 2014-09-18 2014-09-18 Connecting assembly for operating push-pull doorlo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3484A KR20160033484A (en) 2016-03-28
KR101634651B1 true KR101634651B1 (en) 2016-06-30

Family

ID=56352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4433A KR101634651B1 (en) 2014-09-18 2014-09-18 Connecting assembly for operating push-pull door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465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906B1 (en) 2006-12-01 2008-03-06 이병노 Unlocking device for sliding doors
KR101383289B1 (en) * 2013-01-18 2014-04-09 주식회사 아이레보 Inner forced locking assembly of push-pull doorlock
KR101404510B1 (en) * 2013-12-11 2014-06-10 동성산업 주식회사 Push and pull type door loc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906B1 (en) 2006-12-01 2008-03-06 이병노 Unlocking device for sliding doors
KR101383289B1 (en) * 2013-01-18 2014-04-09 주식회사 아이레보 Inner forced locking assembly of push-pull doorlock
KR101404510B1 (en) * 2013-12-11 2014-06-10 동성산업 주식회사 Push and pull type door 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3484A (en) 2016-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0508B1 (en) Door lock mortise
CN101871284A (en) Mechatronic anti-theft lock body
JP3835606B2 (en) Electric lock
CN107605284B (en) Self-suction side door lock unlocking clutch mechanism
KR101631687B1 (en) Connecting assembly for push-pull doorlock
KR200402198Y1 (en) Dead bolt controller for digital door lock
KR101634651B1 (en) Connecting assembly for operating push-pull doorlock
KR101370517B1 (en) Anti forced locking assembly for push-pull doorlock
KR102014746B1 (en) Unlocking assembly for door lock
CN201991312U (en) Pinion and rack driving mechanism for electronic lock
KR101962437B1 (en) Rotation Assembly to unlock doorlock in both side
CN105971395A (en) Push-pull type handle lock
KR101383289B1 (en) Inner forced locking assembly of push-pull doorlock
KR101777640B1 (en) Digital door rock
KR102060741B1 (en) Auto unlocking assembly for door lock using driving module
GB2457680A (en) A latch arrangement for an automotive door
CN211342182U (en) Connecting rod device of motor lock body and motor lock body
EP2148029A1 (en) Automatic lock
WO2015126163A1 (en) Mortise door lock having improved dead bolt supporting force
KR101480507B1 (en) Door lock mortise
CN208486673U (en) A kind of lock body
JP5352654B2 (en) Vehicle door lock device
KR101793490B1 (en) Assembly for swiching push and pull mode of door lock handle
KR101360100B1 (en) Push-pull assembly for doorlock
CN110952838A (en) Rotating block capable of being unlocked in two-way linkage manner and lock body with rotating b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