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4343B1 - 스마트폰 앱을 통한 단말기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앱을 통한 단말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4343B1
KR101634343B1 KR1020140074203A KR20140074203A KR101634343B1 KR 101634343 B1 KR101634343 B1 KR 101634343B1 KR 1020140074203 A KR1020140074203 A KR 1020140074203A KR 20140074203 A KR20140074203 A KR 20140074203A KR 101634343 B1 KR101634343 B1 KR 101634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bluetooth
smartphone
radio
pt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4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5011A (ko
Inventor
임광재
Original Assignee
임광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광재 filed Critical 임광재
Priority to KR1020140074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4343B1/ko
Publication of KR20150145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5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04M1/0256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wherein the modules are operable in the detached state, e.g. one module for the user interface and one module for the trans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루투스 무전기와 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전기와 녹음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s)이 설치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무전기 기능 및 무선 블루투스 마이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스마트폰과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s)을 이용하여 별도의 산업용 무전기나 무선 마이크를 구입하지 않아도 자신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소형의 블루투스 단말기로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통신 및 녹음 기능을 무선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PTT(push to talk) 버튼과 PTT 버튼이 눌리는 동안 PTT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스마트폰으로 PTT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한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하고, 마이크 전환 스위치 작동 시 스마트폰 및 블루투스 스피커와 페어링(Pairing)하여 음성 송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 앱을 통한 단말기 장치{Terminal Equipment Through Smart Phone Applications}
본 발명은 블루투스 무전기와 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전기와 녹음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s)이 설치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무전기 기능 및 무선 블루투스 마이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스마트폰과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s)을 이용하여 별도의 산업용 무전기나 무선 마이크를 구입하지 않아도 자신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소형의 블루투스 단말기로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통신 및 녹음 기능을 무선으로 수행할 수 있다.
미국의 모토롤라 사가 한국에서 발표한 세계 최초의 스마트폰 무전기인 모델명 더블비(Double V)라는 상용 기술이 있다. 이 기술은 기존의 스마트폰과 무전기의 하드웨어를 하나의 하드웨어로 결합하였으며, 스마트폰에 무전기를 사용할 수 있는 앱(소프트웨어, '어플' 이라고 함)을 탑재하였다. 이 제품은 스마트폰의 앱을 사용하며 동시에 무전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이 제품은 전통적인 산업 현장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무전기의 기능을 스마트폰에 부가한 제품이다. 이 기술에서 스마트폰은 이동 통신망에 연결되어 사용하고, 무전기는 아이덴(Iden) 통신 방식을 채용하여 TRS(Trunked Radio System, 주파수 공용 통신)망을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의 더블비라는 상용 기술에 포함된 스마트폰은, 카메라의 성능과 스피커 소리가 작아 사용자의 불만을 야기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품에 적용된 CPU(퀄컴 MSM8655, 1.2Ghz), 플러시 메모리(4G), 램 메모리(1G), 액정화면(4.3인치, 960×540픽셀) 등의 하드웨어 뿐만 아니라 스프트웨어도 여타(애플, 삼성전자, 엘지전자 등)의 첨단 스마트폰과 비교할 경우, 부족한 점이 많다.
이에 소비자가 사용하는 스마트폰을 그대로 이용하면서, 무전기의 기능을 추가로 제공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학교, 학원, 마트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유선이나 무선 마이크의 경우, 마이크와 스피커가 세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가로 판매되고 있기에 블루투스 무선 마이크가 개발된다면, 현재 유통에서 많이 판매되고 있는 블루투스 스피커와 페어링(Pairing)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무선 마이크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을 통한 무선 녹음도 가능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무전기와 녹음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s)이 설치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무전기 기능 및 무선 블루투스 마이크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별도의 블루투스 스피커와 페어링(Pairing)하여 사용 할 수 있는 단말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PTT 신호의 전송 및 수신을 제어하기 위한 PTT 버튼;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음성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마이크 기능으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 전환 스위치; 및 무전기와 녹음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과 블루투스를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PTT 버튼이 눌리는 동안 PTT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가 상기 음성 출력부에서 증폭되어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여 무전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마이크 전환 스위치가 작동되는 경우 블루투스 스피커와 블루투스 페어링을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마이크 입력을 상기 블루투스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상기 블루투스 스피커로 전달하여 무선 마이크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마이크 전환 스위치 작동시 상기 스마트폰과 블루투스 페어링을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마이크 입력을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달하여 상기 스마트폰에서 녹음되도록 하여 녹음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기 및 스마트폰은, 블루투스를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삭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기의 출력부는,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기는 블루투스 스피커와 페어링(Pairing)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재의 스마트폰은 하드웨어의 발전과 함께 많은 강력한 기능들이 포함되어 있으나, 전용 무전기에 비해 스피커와 마이크의 성능이 낮고, PTT 버튼의 경우에도 화면을 매번 터치해야 하는 단점이 있는 실정이다.
이에 무전기와 녹음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s)이 설치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무전기 기능 및 무선 블루투스 마이크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별도의 블루투스 스피커와 페어링(Pairing)하여 사용 할 수 있는 단말기 장치를 제공한다면 상기 스마트폰의 단점들을 극복하고 일반 산업용 무전기와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스마트폰을 통한 무선 녹음 및 블루투스 스피커를 통한 무선 마이크로도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이 있다.
도 1은 스마트폰 앱을 통한 블루투스 무전기와 마이크 단말기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스마트폰 앱을 통한 블루투스 무전기와 마이크 단말기 장치의 일실시예 흐름도.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스마트폰 앱을 통한 블루투스 무전기와 마이크 단말기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앱을 통한 블루투스 무전기와 마이크 단말기 장치는, 송수신 안테나(11) 및 RF(Radio Frequency)스위치(12)를 통하여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기 위한 수신부(복조부)(14), 중앙 처리 장치(CPU)(16)로부터의 제어 데이타 신호에 따라 수신부(복조부)(14)로 부터 전달 받은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부(증폭부)(17), 중앙 처리 장치(CPU)(16)로부터의 제어 데이타 신호에 따라 송신부(변조부)(13)로 부터 전달 받은 음성 신호를 RF스위치(12) 및 송수신 안테나(11)를 통하여 스마트폰에 전달된다.
무선 마이크의 경우, 마이크 전환 스위치(15)와 중앙 처리 장치(CPU)(16)로부터의 제어 데이타 신호에 따라 송신부(변조부)(13)로 부터 전달 받은 음성 신호를 RF스위치(12) 및 송수신 안테나(11)를 통하여 블루투스 스피커에 전달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앱을 통한 블루투스 무전기와 마이크 단말기 장치의 동작을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앱을 통한 블루투스 무전기와 마이크 단말기 장치의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스마트폰 및 블루투스 마이크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장치 간의 통신 방법을 나타낸다.
먼저 송수신 안테나(11) 및 RF(Radio Frequency)스위치(12)로 판단된 신호를 중앙 처리 장치(CPU)에서 분석하여(21) 변조나 복조 신호 판단 및 송신, 수신 시 오디오 입, 출력 판단(23) 후 증폭하여 마이크 입력 및 오디오 출력을 가능하게 한다.
11: 송 수신 안테나 12: RF스위치 13: 송신부 14: 수신부 15: 마이크 전환 스위치 16: 중앙 처리 장치(CPU) 17: 오디오 출력부(증폭부)
21: 송신, 수신 신호 분석 및 판단 22: 변조, 복조 신호 입 출력 23: 송신, 수신 시 오디오 입 출력 판단 24: 마이크 입력 및 오디오 출력

Claims (1)

  1. PTT 신호의 전송 및 수신을 제어하기 위한 PTT 버튼;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음성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마이크 기능으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 전환 스위치; 및
    무전기와 녹음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과 블루투스를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PTT 버튼이 눌리는 동안 PTT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가 상기 음성 출력부에서 증폭되어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여 무전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마이크 전환 스위치가 작동되는 경우 블루투스 스피커와 블루투스 페어링을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마이크 입력을 상기 블루투스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상기 블루투스 스피커로 전달하여 무선 마이크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마이크 전환 스위치 작동시 상기 스마트폰과 블루투스 페어링을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마이크 입력을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달하여 상기 스마트폰에서 녹음되도록 하여 녹음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단말기 장치.
KR1020140074203A 2014-06-18 2014-06-18 스마트폰 앱을 통한 단말기 장치 KR101634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4203A KR101634343B1 (ko) 2014-06-18 2014-06-18 스마트폰 앱을 통한 단말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4203A KR101634343B1 (ko) 2014-06-18 2014-06-18 스마트폰 앱을 통한 단말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011A KR20150145011A (ko) 2015-12-29
KR101634343B1 true KR101634343B1 (ko) 2016-06-28

Family

ID=56366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4203A KR101634343B1 (ko) 2014-06-18 2014-06-18 스마트폰 앱을 통한 단말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43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45225B (zh) * 2018-12-07 2022-04-15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电子设备远场语音且可动态调整的蓝牙交互方法
KR200496004Y1 (ko) * 2020-11-24 2022-10-11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Trs 단말을 이용한 음성 송수신 및 녹음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536B1 (ko) * 2013-09-02 2014-01-08 주식회사 신풍전자 원격 ptt 통신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8572A (ko) * 2007-07-18 2009-01-22 주식회사 케이엠티 복합형 블루투스 헤드셋
US8676243B2 (en) * 2008-12-03 2014-03-18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ual/multi-watch for group PTT services
KR101047518B1 (ko) * 2009-01-06 2011-07-25 (주)세화전자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 쇼울더 마이크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쇼울더 마이크 통신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536B1 (ko) * 2013-09-02 2014-01-08 주식회사 신풍전자 원격 ptt 통신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011A (ko) 2015-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2557B2 (en) RFFE for dual connectivity
KR101436593B1 (ko) Rf 듀얼밴드를 이용한 무선 송수신 장치
JP2009531975A5 (ko)
EP2961140A1 (en) Novel approach for enabling mixed mode behavior using microphone placement on radio terminal hardware
AU2003249110A1 (en) Portable audio playback device with bass enhancement
CN103828479A (zh) 蓝牙通信的装置、系统和方法
KR101634343B1 (ko) 스마트폰 앱을 통한 단말기 장치
CN111279669A (zh) 具有数字双向无线电功能的智能电话和蓝牙耳机
JP2011527131A5 (ko)
CN101610306B (zh) 无线通信装置
KR20060122107A (ko) 에프엠 모듈을 이용한 음성 송수신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TWI545930B (zh) Interphone switch and a method with dual dual dual dual PTT transmit receive functions
KR20170083594A (ko) 무선 통신의 방법, 웨어러블 설비, 이동 단말 및 시스템
CN201887917U (zh) 一种用于教学的无线话筒和接收器
KR20170122695A (ko) PTT(Push To Talk) 감지 기능을 구비한 무전기
JP6215067B2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その通信設定方法
US20090080494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1524801B1 (ko) 마이크로폰 무선 수신기, 마이크로폰 무선 송신기, 및 이들을 포함하는 마이크로폰 무선 시스템
US9924363B2 (en) Wireless security system for wireless audio device
JP2009005267A (ja) 無線機
CN210839557U (zh) 提供实时录音的无线音频传输系统
US20200012475A1 (en) Terminal device, control method, and audio data reproduction system
KR101586126B1 (ko) 단일 송수신회로 중계기 겸용 휴대무전기
KR20170061567A (ko) 송수신 전환 잡음 제거 기능을 구비한 ptt 무전기
KR10136631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입출력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