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4208B1 - Data processing system for measurement and operation record about air emission sources - Google Patents

Data processing system for measurement and operation record about air emission sour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4208B1
KR101634208B1 KR1020150001072A KR20150001072A KR101634208B1 KR 101634208 B1 KR101634208 B1 KR 101634208B1 KR 1020150001072 A KR1020150001072 A KR 1020150001072A KR 20150001072 A KR20150001072 A KR 20150001072A KR 101634208 B1 KR101634208 B1 KR 101634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acility
emission source
pollutant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10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철
김지영
한종수
강대일
홍지형
김형천
이영아
박세영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50001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420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2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ollutant emission source management system. The system includes: a business place device which transmits air pollutant emission source information including the operation time of air pollutant emitting facilities, power consumption of air pollution prevention facilities, and self-measured information about pollutants discharged from the air pollutant emitting facilities to an air pollutant emission source management device; and the air pollutant emission source management device which stores, manages, and verifies the air pollutant emission source related information. The air pollutant emission source management device compares and reviews the operation time of the air pollutant emitting facilities, power consumption of the air pollution prevention facilities, and self-measured information about the pollutants discharged from the air pollutant emitting facilities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operation time of the air pollutant emitting facilities and check the operation status of the air pollutant emitting facilities of the business place.

Description

대기배출원 측정 및 운영기록 전산화 시스템{DATA PROCESSING SYSTEM FOR MEASUREMENT AND OPERATION RECORD ABOUT AIR EMISSION SOURCES} 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asurement system for an atmospheric emission source,

본 발명은 대기배출원 관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기배출원 측정 및 운영기록 전산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ir source manage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source measurement and operation record computerization system.

인구밀도가 높은 대도시지역은 교통량이 증가하고 상업, 경제활동이 활발해짐에 따라 도시 대기질이 악화되고, 대기오염현상도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다. 대도시의 대기오염은 주로 산업, 경제, 주거 등 다양한 인간 활동에 의하여 발생된 대기오염 물질에 의하여 발생한다. 아황산가스(SO2), 질소산화물(NOx), 불소화합물(HF), 일산화탄소(CO), 암모니아(NH3), 염화수소(HCI) 등과 같은 대기오염물질로 인한 국민건강이나 환경에 관한 위해(危害)를 예방하고 대기환경을 적정하고 지속가능하게 관리·보전하기 위한 대기배출원 측정 및 운영기록 전산화 시스템이 요구된다.In urban areas with high population density, urban air quality deteriorates as traffic volume increases, commercial and economic activities become more active, and air pollution is also complicated. Air pollution in large cities is mainly caused by air pollutants generated by various human activities such as industry, economy, and housing. Hazardous to public health or the environment due to air pollutants such as sulfur dioxide (SO 2 ), nitrogen oxides (NOx), fluorine compounds (HF), carbon monoxide (CO), ammonia (NH 3 ), hydrogen chloride ), And an airborne emission source measurement and operation record computerization system for proper and sustainable management and conservation of the atmospheric environment is required.

종래에는 배출시설 관리와 국가 배출량 통계작성을 위해 사업장들이 배출시설·방지시설 운영기록부 및 자가측정사항 자료를 매일 작성 및 보관하도록 해 사업장들의 업무가 과중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해당 정부기관이나 업체 또는 연구단체 등에서 개별적으로 대기오염과 관련된 배출원, 배출물질, 방지시설 등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였기에 이를 종합적으로 관리하지 못하였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기오염과 관련된 정보를 종합적으로 관리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이 경우에도, 사업장에서의 배출시설 운용정보를 해당 사업장이 신고한 내용에 기반할 수 밖에 없었으며, 인허가된 사업장의 각종 시설의 연결구조나 전체적인 사업장의 시설 형태가 잘 파악되지 않아서 대기배출원 측정 및 운영기록의 전산체계화를 통한 통합 관리에 어려움이 있었다.In the past, in order to manage the discharge facilities and the national emission statistics, the workplaces were required to prepare and store the emission records and the self-measurement data every day. The management of information on the emission sources, the emission materials, and the prevention facilities related to air pollution were individually managed by the organizations, and thus they were not managed in a comprehensive manner. In addition, there was an attempt to comprehensively manage the information related to air pollution. However, in this case, it was necessary to base the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of the emission facility in the workplace on the report of the relevant site. Because the facility type of the whole workplace was not well understood, it was difficult to integrate management through systematization of measurement and operation records of air emission sources.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대기배출원 측정 및 운영기록 전산화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The technic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emission source measurement and operation record computerization system.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수의 사업장의 대기배출원 관련 정보를 통합 관리하기 위한 전산화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technic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uterized system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information related to atmospheric emission sources at a plurality of sites.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대기배출원 자기측정 정보의 검증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 further technic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verifying atmospheric source self-measurement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대기배출원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시스템은 사업장에서 운용되는 배출시설의 가동시간 정보, 대기오염 방지시설의 전력사용량 정보 및 상기 배출시설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자가측정사항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대기배출원 관련 정보를 상기 대기배출원 관리장치로 전송하는 사업장 장치, 및 상기 대기배출원 관련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검증하는 대기배출원 관리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대기배출원 관리장치는 상기 배출시설 가동시간 정보, 상기 방지시설의 전력사용량 정보 및 상기 오염물질의 자가측정사항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기배출원 관련 정보를 검증하여 검증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검증결과를 상기 사업장 장치로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emission source management system. The system includes at least one of an operation time information of an exhaust facility operated in a workplace, information on power consumption of an air pollution control facility, and information on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including self-measurement item information of a pollutant discharged from the exhaust facility, And an atmospheric emission source management device for storing, managing, and verifying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related information, wherein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management device includes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time of the exhaust facility, the power usage amount information of the prevention facility, Based on the self-measurement item information of the pollutants, generates the verification result, and provides the generated verification result to the business apparatus.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대기배출원 관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대기배출원 관리장치는 사업장에서 운용되는 배출시설의 배출시설 가동시간 정보, 대기오염 방지시설의 전력사용량 정보 및 상기 배출시설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자가측정사항 정보를 포함하는 대기배출원 관련 정보를 사업장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사업장에 대한 대기배출원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대기배출원 관련 정보를 관리 및 검증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배출시설 가동시간 정보, 상기 방지시설의 전력사용량 정보 및 상기 오염물질의 자가측정사항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기배출원 관련 정보에 관한 검증결과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managing an atmospheric emission source.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management device includes atmospheric emission source-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operation time information of the emission facility operated at the workplace, information on electric power consumption of the air pollution control facility, and self-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pollutant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facility, And a processor for managing and verifying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related information, wherein the processor is configured to receive at least one of the emission operation time information, the emission facility operation time information, The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and the self-measurement item information of the pollutant.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대기배출원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사업장에서 운용되는 배출시설의 배출시설 가동시간 정보, 대기오염 방지시설의 전력사용량 정보 및 상기 배출시설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자가측정사항정보를 포함하는 대기배출원 관련 정보를 사업장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대기배출원 관련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 상기 대기배출원 관련 정보를 검증하고 검증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검증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는 배출시설 가동시간 정보, 상기 방지시설의 전력사용량 정보 및 상기 오염물질의 자가측정사항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기배출원 관련 정보에 관한 상기 검증결과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managing an atmospheric emission source. The method includes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including the operation time information of the exhaust facility operated at the workplace, the electric power consumption amount information of the air pollution prevention facility, and the self-measurement item information of the pollutant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facility, Storing and managing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related information, and verifying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related information and generating a verification result, wherein the generating of the verification result comprises: And generating the verification result on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related information based on the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of the pollutant and the self-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pollutant.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에 사업장들이 배출시설·방지시설 운영기록부 및 자가측정사항 자료를 매일 서면으로 작성 및 보관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시스템 로그인 및 입력을 통하여 한번의 입력을 통하여 여러 제출 업무에 필요한 서류를 시스템을 통하여 조회 및 출력할 수 있게 되어, 관련 부서 및 담당기관에서의 업무경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of establishing and storing the daily operation records and the self-measurement items of the facilities in the past, It is possible to inquire and output the documents necessary for the work through the system, and it is possible to obtain a work reduction effect in the related departments and the related organization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추후 배출부과금에 대한 내용을 사업장에서 자치단체로 별도의 서류 형태로 제출할 필요가 없으며, 문서 작성 및 자료수집의 번거로움을 덜 수 있다. 또한 관련 정보의 검증을 통하여 사업장 및 대기배출원 관련 자료의 누락 없이 정확하고 신뢰도 높은 자료를 수집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자치단체 등의 점검 기관에서 사업장으로 직접 지도점검시에 확인이 가능했었던 운영기록자료를 시스템을 통하여 상시 확인 및 감독할 수 있으며, 사업장에 대하여 대기배출시설 운영을 철저하게 하도록 만드는 효과가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necessary to submit the contents of the later emission allowance in the form of a separate document from the workplace to the self-governing organization, and the burden of document preparation and data collection can be reduced. In addition, through the verification of relevant information, accurate and reliable data can be collected and managed without omission of workplace and air emission source data.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lways check and supervise the operation record data, which was able to be confirmed at the time of the direct inspection, from the inspection institutions such as the local governments through the system, and to make the operation of the air discharge facilities thorough It is effectiv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기배출원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배출원 전산화 운영 및 활용 체계도의 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사업자현황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시설정보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가동시간 정보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방지시설 운전사항 정보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시설보수사항 정보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자가측정사항 정보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사용량 정보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오염물질발생량 검증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배출시설 가동시간 및 자가측정사항 검증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사용량 검증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기배출원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ir emission sour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ample of a computerized operation and utilization system of an atmospheric emission sou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business entity status input screen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acility information input screen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peration time information input screen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preventive facility operation item information input screen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acility maintenance item information input screen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elf-measurement item information input screen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usage amount information input screen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taminant generation amount verification screen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time and a self-measurement item verification screen of a discharge facility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usage amount verification screen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ir emission sourc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hardware)나 소프트웨어(software)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ddition, the term "to" or the like in the specification refers to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기배출원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ir emission sour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대기배출원 관리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사업장 장치(100) 및 대기배출원 관리장치(150)을 포함한다. 사업장 장치(100)는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이 설치된 사업장(또는 대기배출신고대상 사업장)에 구비될 수 있다.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이 설치된 사업장이 다수인 경우 사업장 장치(100) 각 사업장별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업장 장치(100)는 다수일 수 있다. 여기서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이라 함은 대기오염물질을 대기에 배출하는 시설물, 기계, 기구, 그 밖의 물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대기오염물질이란 대기 중에 존재하는 물질 중 관련 법규(예를 들어, 대기환경보전법 제7조)에 따른 심사·평가 결과 대기오염의 원인으로 인정된 가스·입자상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n air emission source management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business establishment 100 and an air emission source management device 150. The workplace apparatus 100 may be installed in a workplace (or a workplace subject to air emission notification) where an air pollutant discharge facility is installed. In the case where there are a plurality of places where the air pollutant emission facility is installed, the site apparatus 100 may be provided for each site, and in this case, the site apparatus 100 may be a plurality of sites. Here, the term "air pollutant discharge facility" may include facilities, machinery, apparatuses and other objects that discharge air pollutants into the air. Here, air pollutants may include gases or particulate matter that are recognized as the cause of air pollution as a result of examination and evaluation according to relevant laws (for example, Article 7 of the Air Quality Preservation Act) among the substances present in the atmosphere.

사업장 장치(100)는 메모리(105), 프로세서(110) 및 송수신부(120)를 포함한다. 메모리(105)는 프로세서(11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110)을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송수신부(120)는 프로세서와 연결되어 유/무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한다. The workplace device 100 includes a memory 105, a processor 110, and a transceiver 120. The memory 105 is connected to the processor 110 and stores various information for driving the processor 110. [ The transceiver unit 120 is connected to the processor to transmit and / or receive a wired / wireless signal.

프로세서(110)는 해당 사업장의 사업장현황 및 시설정보를 포함하는 사업장 정보를 생성하고 송수신부(120)를 통하여 대기배출원 관리장치(150)로 전송한다. 상기 사업장 정보는 유저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사업장 장치(100)에 입력될 수 있다.The processor 110 generates workplace information including the workplace status and facility information of the workplace and transmits the workplace information to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management device 150 through the transceiver 120. The business site information may be input to the business entity apparatus 100 by a user interface.

프로세서(110)는 해당 사업장에서 운용되는 배출시설 가동시간 정보, 대기오염 방지시설(이하 방지시설)의 운전사항 정보 및 상기 배출시설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자가측정사항정보를 포함하는 대기배출원 관련 정보를 생성하고 송수신부(120)를 통하여 대기배출원 관리장치(150)로 전송한다. 일 예로, 프로세서(110)는 자가측정부(미도시)를 통하여 대기분야 오염물질 자가측정사항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대기배출원 관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외부에서 측정대행을 수행하는 시설 또는 단말을 통하여 측정된 대기분야 오염물질 자가측정사항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대기배출원 관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대기분야 오염물질 자가측정사항정보라 함은 상기 배출시설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자가측정사항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지시설의 운전사항 정보는 방지시설의 전력사용량을 포함하고, 처리용량, 처리오염물질, 처리효율 및 사용약품 등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기분야 오염물질 자가측정 사항정보는 오염물질의 종류, 배출기간 및 배출량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기상현황, 일자 및 배출가스 현황, 연료명 및 사용량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대기오염 방지시설이란 대기오염물질배출시설로부터 나오는 대기오염물질을 연소조절에 의한 방법 등으로 없애거나 줄이는 시설을 포함한다. The processor 110 is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hat analyzes information on operation time of the exhaust facility operated in the workplace,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of the air pollution control facilit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revention facility) and information on the air pollution source And transmits it to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management device 150 throug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20. [ For example, the processor 110 may acquire atmospheric pollutant self-measurement item information through a self-measurement unit (not shown) and generate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related information. As another example, it is possible to acquire the atmospheric pollutant self-measurement item information measured through the facility or the terminal performing an external measurement agency, and to generate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related information. Here, the atmospheric pollutant self-measurement item information may include self-measurement item information of the pollutant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facility. The driving condition information of the prevention facility include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prevention facility, and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such as treatment capacity, treatment pollutants, treatment efficiency, and chemicals to be used. The atmospheric pollutant self-measurement item information may include the type of pollutant, the period of emission and the amount of emission, and may further include a weather status, a date and an emission status, a fuel name and a usage amount. Here, the air pollution prevention facility includes facilities for eliminating or reducing air pollutants coming from the air pollutant discharge facility by means of combustion control.

대기배출원 관리장치(150)는 메모리(155), 프로세서(160) 및 송수신부(170)를 포함한다. 메모리(155)는 프로세서(16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160)을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송수신부(170)는 프로세서와 연결되어 유/무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한다.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management device 150 includes a memory 155, a processor 160, and a transceiver 170. The memory 155 is connected to the processor 160 and stores various information for driving the processor 160. The transceiver unit 170 is connected to the processor and transmits and / or receives a wired / wireless signal.

송수신부(170)는 사업장 장치(100)로부터 상기 사업장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송수신부(170)는 사업장 장치(100)로부터 상기 대기배출원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The transceiver unit 170 receives the business establishment information from the business establishment apparatus 100. Also, the transceiver unit 170 receives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related information from the business apparatus 100.

메모리(155)는 상기 사업정 정보 및 상기 대기배출원 관련 정보를 저장한다. The memory 155 stores the business definition information and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related information.

프로세서(160)는 상기 대기배출원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사업장의 배출허용기준 초과여부, 배출되는 상기 오염물질의 종류, 상기 배출기간, 상기 배출량 및 자가측정사항 정보를 관리하고, 디스플레이 등의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한 출력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프로세서(160)는 해당 사업장의 시설형태를 계층구조로 도식화하여 관리하되, 해당 사업장의 상기 배출시설, 상기 방지시설 및 상기 배출구의 연결관계를 도식화하여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한 출력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60)는 해당 사업장의 상기 방지시설 설치여부와 상기 오염물질 배출량의 관계에 관한 정보를 비교 관리하고 출력 기능을 제공한다.Based on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related information, the processor 160 manages the excess emission limit of the workplace, the type of the discharged pollutant, the emission period, the emission amount, and the self-measurement information, To provide an output function. In addition, the processor 160 may provide a function of outputting through the external interface by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facility type of the workplace in a hierarchical structure, and illustrat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discharge facility, the prevention facility, and the discharge port of the workplace . In addition, the processor 160 compares and manages inform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installation of the preventive facility and the amount of pollutant emission at the workplace, and provides an output function.

프로세서(160)는 상기 대기배출원 관련 정보를 검증하고 검증 결과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상기 배출시설 가동시간, 오염물질발생량, 자가측정사항, 및 사용량 등을 검증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60)는 상기 배출시설 가동시간 정보, 상기 방지시설의 운전사항 정보(또는 전력사용량 정보) 및 상기 대기분야 오염물질의 자가측정사항정보를 비교검토하고, 이를 기반으로 해당 사업장의 상기 배출시설 가동시간 정보의 신뢰성을 확인(또는 검증)하고, 상기 배출시설의 가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상기 확인한 배출시설 가동시간 정보의 신뢰성 및 상기 배출시설의 가동상태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검증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검증결과를 송수신부(170)을 통하여 사업장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60)는 후술하는 표 1에 따른 사업장 종에 따른 오염물질 발생량 및/또는 기간별 측정횟수가 기준과 다른 경우 오염물질발생량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검증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60 verifies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related information and generates a verification result. For example, the processor 160 may verify the operation time of the discharge facility, the amount of pollutants generated, the self-measurement items, and the usage amount. For example, the processor 160 may compare the operation time information of the discharge facility, the operation information (or power usage information) of the prevention facility, and the self-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pollutant in the air space, The reliability of the discharge facility operation time information can be confirmed (or verified), and the operation state of the discharge facility can be confirmed. The processor 160 generates the verification result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reliability of the identified exhaust facility operation time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exhaust facility, and transmits the generated verification result to the transmitter / Can be provided to the workplace apparatus (100). As another example, the processor 160 may verify that there is an error in the amount of pollutants generated when the amount of pollutants generated according to the plant type and / or the number of measurements per period according to the following Table 1 is different from the standard.

또한, 메모리(155)는 상기 대기배출원 관련 과거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프로세서(160)는 상기 과거 정보와 현재의 대기배출원 관련 정보를 비교하여 특정 항목의 값이 과거의 특정 시점과 비교하여 차이가 일정 비율(%) 이상인 경우 해당 항목의 값이 오류가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오류가 있는 항목에 관한 정보를 상기 검증결과에 포함시켜서 송수신부(170)를 통하여 사업장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60)는 상기 사업장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사업장에 대한 검증결과를 송수신부(170)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60)는 검증 결과를 사업장 장치 외의 외부 장치로 송수신부(170)를 통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memory 155 stores past information related to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and the processor 160 compares the past information with the current atmospheric emission source related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value of the item as an error and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item with an error to the business unit 100 throug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70 by including it in the verification result have. In this case, the processor 160 can provide the verification result of the workplace through the transceiver 170 based on the workplace information. In addition, the processor 160 may transmit the verification result to an external device other than the workplace device through the transceiver 170. [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대기배출원 관리 시스템(10)은 등록 장치(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등록 장치(180)는 대상사업장 등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대상사업장 등록 정보를 상기 대기배출원 관리장치(1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대상사업장 관리장치(150)의 프로세서(160)는 상기 대상사업장 등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기배출원 관리장치(150)로 접속하는 사업장 장치(100)를 식별할 수 있다. Meanwhile, the air emission source management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egistration device 180. The registration device 180 may generate the target business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generated business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to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management device 150. [ In this case, the processor 160 of the target workplace management apparatus 150 can identify the workplace apparatus 100 connected to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management apparatus 150 based on the target workplace registration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기배출원 관리 시스템(10)은 원격감시장치(190) 및 다수의 측정단말(1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측정단말(195) 각각은 사업장별 오염물질의 측정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즉, 각 측정단말(195)은 각각의 사업장 배출시설에 별도로 설치되어 상기 사업장 배출시설에서 배출되는 상기 오염물질을 측정하고, 상기 오염물질의 측정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오염물질의 측정결과는 오염물질의 종류, 배출기간 및 배출량을 포함할 수 있다. 측정단말(195)는 상기 오염물질의 측정결과를 실시간으로 원격감시장치(19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단말(195)는 상기 오염물질의 측정결과를 5분 또는 40분 평균자료로 생성하여 저장하고, 생기 생성된 오염물질의 측정결과를 실시간으로 원격감시장치(190)로 전송할 수 있다. 원격감시장치(190)는 상기 오염물질의 측정결과를 관리하고, 상기 오염물질의 측정결과에 대한 정보를 상기 대기배출원 관리장치(1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대기배출원 관리장치(150)의 프로세서(160)는 상기 사업장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자가측정사항정보와 상기 원격감시장치(190)로부터 수신한 오염물질의 측정결과에 대한 정보를 서로 비교검토하고, 상기 사업장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대기분야 오염물질의 자가측정사항정보의 신뢰성을 검증하고, 해당 사업장의 시설가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ir emission source management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emote monitoring device 190 and a plurality of measurement terminals 195. Each of the measuring terminals 195 can acquire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pollutant for each workplace. That is, each of the measuring terminals 195 may be separately installed at each of the workplace exhaust facilities, and the pollutants discharged from the workplace exhaust facility may be measured and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pollutants may be obtained. The result of the measurement of the pollutant may include the type of the pollutant, the period of emission, and the emission amount. The measuring terminal 195 may transmit the result of the pollutant measurement to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190 in real time. For example, the measuring terminal 195 may generate and store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pollutants as a 5-minute or 40-minute average data, and transmit the result of measurement of the pollutant generated in real time to the remote monitoring apparatus 190 . The remote monitoring apparatus 190 may manage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pollutant and may transmit information on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pollutant to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management apparatus 150. In this case, the processor 160 of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management device 150 compares the self-measurement item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usiness unit 100 with the information about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contaminant received from the remote monitor 190 Verifies the reliability of the self-measurement item information of the atmospheric pollutants received from the above-mentioned workplace apparatus 100, and confirms the operation state of the facility.

본 발명에서 프로세서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는 유선 또는 무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베이스밴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가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때, 본 발명에 따른 기법은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A processor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another chipset, a logic circuit, and / or a data processing device. The memory may include read-only memory (ROM), random access memory (RAM), flash memory, memory cards, storage media, and / or other storage devices. The transceiver may include a baseband circuit for processing wired or wireless signals. When the embodiment is implemented by software or a program, the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a module (process, function, and the like) that performs the function. The module is stored in memory and can be executed by the processor. The memory may be internal or external to the processor and may be coupled to the processor by any of a variety of well known means.

한편,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이 설치된 사업장(또는 대기배출신고대상 사업장)은 연간 대기오염물질 발생량의 합계에 따라 1종 사업장 내지 5종 사업장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종 내지 5종 사업장은 다음 표와 같이 구분될 수 있으며, 구분 기준이 되는 발생량은 관련 법규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business site (or a business site subject to air emission notification) where air pollutant emission facilities are installed can be classified into one to five business sites, depending on the total amount of air pollutants generated annually. For example, one or five types of business sites can be classified 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종별Type 대기오염물질 발생량 구분Air Pollutant Emission Classification 측정횟수Number of measurements 1종 사업장1 workplace 대기오염물질 발생량의 합계가 연간 80톤 이상인 사업장Workplaces with a total of at least 80 tons of air pollutants annually 주 1회 측정Measure once a week 2종 사업장2 workplace 대기오염물질 발생량의 합계가 연간 20톤 이상 80톤 미만인 사업장Businesses with a total of at least 20 tons of air pollutants and less than 80 tons of pollutants annually 월 2회 측정Measure twice a month 3종 사업장Three kinds of work place 대기오염물질 발생량의 합계가 연간 10톤 이상 20톤 미만인 사업장Workplaces where the total amount of air pollutants generated is 10 tons or more but less than 20 tons per year 년 6회 측정Measure 6 times a year 4종 사업장4 kind work place 대기오염물질 발생량의 합계가 연간 2톤 이상 10톤 미만인 사업장Businesses with a total of at least 2 tons of air pollutants and less than 10 tons of pollutants annually 년 2회 측정Measure twice a year 5종 사업장5 kinds of work place 대기오염물질 발생량의 합계가 연간 2톤 미만인 사업장Sites where the total amount of air pollutants generated is less than 2 tons per year 년 2회 측정Measure twice a year

본 발명은 상기 대상이 되는 모든 사업장들에 대하여 적용될 수 있고, 또는 1종 내지 5종의 사업장들 중 일부 종의 사업장, 예를 들어 1종 내지 3종 사업장에 대하여만 적용될 수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ll of the above-mentioned business sites, or may be applied only to some of the one to five business sites, for example, one or three business site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들에는 사업장 등록 및 대기배출원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program)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로그램은 대기배출원 관리시스템 프로그램이라고 불릴 수 있으며, 각 장치들은 해당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각 장치는 상호간에 약속된 권한에 따라 본 발명에 대응되는 범위 내에서 프로그램의 일부 기능이 서로 다르게 동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기배출원 관리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The devi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program for business registration and management of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which may be referred to as an atmospheric emission source management system program, can do. In this case,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some of the functions of the program may operate differently within the range correspon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pending on the rights promised to each other. Hereinafter, a method for performing the management of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using the above-described progra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12. FIG.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배출원 전산화 운영 및 활용 체계도의 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사업자현황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시설정보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가동시간 정보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방지시설 운전사항 정보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시설보수사항 정보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자가측정사항 정보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사용량 정보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FIG. 2 is an example of a computerized operation and utilization system of an atmospheric emission sou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business entity status input screen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acility information input screen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creen for inputting a preventive facility operation item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acility maintenance item information input screen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elf-measurement item information input screen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usage amount information input screen provid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각 장치를 구비하는 주체를 예시적으로 나타내었으며 본 발명에 따른 각 장치가 해당 주체에 필수적으로 결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In FIG. 2, a main body having each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emplarily shown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and each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coupled to the main body.

도 2를 참조하면,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대기배출원 관리 시스템은 대기배출원 관리시스템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대기배출신고대상 사업장이 본 시스템을 통하여 정의된 사업장현황, 시설정보, 가동시간정보, 방지시설운전사항정보, 자가측정사항정보, 사용량정보를 입력하면, 관리자가 이를 검증하고, 검증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각종시설의 가동여부, 오염물질 현황, 배출량 현황, 사업장의 시설정보 등의 결과를 전산화하여 관리할 수 있고, 대기정책이나 연구자료에 활용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air emission sour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based on an air emission source management system program. When the user inputs information, information on prevention facility oper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on self-measurement items, and usage information, the administrator verifies the data and processes the verified data to determine whether or not facilities are in operation, pollutant status, The results can be computerized and managed, and can be used for atmospheric policy or research data.

보다 상세하게는, 자치단체에 구비된 등록 장치를 통하여 대상사업장 등록 정보가 시스템에 등록된 상태에서, 사업장(사업장 관리자)이 사업장 장치를 통하여 로그인하면, 도 3 및 도 4와 같이 사업장 현황 및 시설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 출력된다. 출력된 화면에서, 사업장은 사업장현황 및 시설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사업장현황의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업자번호, 사업장명, 사업장 종 정보, 업소형태 등을 포함하는 일반현황과 본사 및 사업장의 소재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시설정보 입력 화면의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설구조를 확인할 수 있도록 시설구도등록기능이 있으며, 각 시설에 대한 정보 입력 및 확인이 가능하다. More specifically, when a business place (manager of a business place) logs in through the business place apparatus while the target business place registration information is registered in the system through a registration apparatus provided in a local government, as shown in FIG. 3 and FIG. 4, A screen for inputting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output screen, the business site can input the business status and facility information. As shown in FIG. 3, the business status can include a general status including a business number, a business name, a business type information, a business typ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 head office and a business location. In the case of the facility information input screen, as shown in FIG. 4, there is a facility composition registration function so that the facility structure can be confirmed, and information on each facility can be inputted and confirmed.

또한 사업장이 사업장 장치를 통하여 로그인하면,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동시간정보, 방지시설 운전사항정보, 시설보수사항 정보, 자가측정사항 정보, 사용량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 출력된다. 상기 가동시간정보, 방지시설 운전사항정보, 시설보수사항 정보, 자가측정사항 정보, 사용량정보 등을 포괄하여 운영기록이라 불릴 수 있다. 상기 가동시간정보 및 상기 시설운전사항정보는 일자별로 구분되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시설보수사항 정보, 상기 자가측정사항 정보는 사건이 발생될 경우 해당 날짜에 대하여 입력할 수 있고, 사용량 정보는 월 단위로 그 합계를 입력할 수 있다. Also, when the business site is logged in through the business site apparatus, a screen for inputting operation time information, prevention facility operation item information, facility repair item information, self-measurement item information, and usage amount information as shown in FIGS. 5 to 9 . Operation time information, prevention facility operation information, facility repair information, self-measurement information, usage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operation time information and the facility operation condition information may be separately classified by date. The facility maintenance item information and the self-measurement item information can be input for the corresponding date if an event occurs, and the total can be input for the usage amount information for each month.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시간정보는 배출시설별 가동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지시설 운전사항정보는 배출시설별 방지시설의 전력사용량, 처리용량, 처리오염물질, 처리효율 및 사용약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설보수사항 정보는 각 방지시설에 대한 보수기간, 보수자, 보수 명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가측정사항 정보는 기상현황, 일자 및 배출가스 현황, 오염물질의 종류, 오염물질의 농도, 오염물질의 시간당배출량, 연료명 및 사용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량 정보는 배출시설별 사용연료 및 사용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량 정보는 사용연료에 따른 발열량 및 황 함량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동시간정보, 방지시설 운전사항정보, 자가측정사항 정보는 직접 입력할 수도 있고, 엑셀 파일 업로드를 통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operation time information may include an operation time for each discharge facility. As shown in FIG. 6, the prevention facility oper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electric power consumption, treatment capacity, treatment pollutants, treatment efficiency, and chemicals used in the prevention facilities for each emission facility. As shown in FIG. 7, the facility maintenance item information may include a maintenance period, a maintenance person, and a maintenance specification for each prevention facility. As shown in FIG. 8, the self-measurement item information may include a weather status, a date and an emission gas status, a type of a pollutant, a concentration of a pollutant, an hourly discharge amount of a pollutant, a fuel name and a usage amount. As shown in FIG. 9, the usage amount information may include fuel consumption and usage amount by the emission facility. The usage amount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on calorific value and sulfur content depending on the fuel used. The operation time information, the prevention facility operation item information, and the self-measurement item information may be directly input or may be inputted through an Excel file upload.

한국환경공단에서는 각 사업장에 설치된 측정 단말을 통하여 사업장별 오염물질의 측정결과를 획득하고, 구비된 원격감시장치를 통하여 측정결과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오염물질의 측정결과는 오염물질의 종류, 배출기간 및 배출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결과에 관한 정보는 클린시스(cleansys) 데이터라고 불릴 수 있다. The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KEPAC) can obtain measurement results of pollutants at work sites through measuring terminals installed at each workplace, and input information about the measurement results through the provided remote monitoring device. The result of the measurement of the pollutant may include the type of the pollutant, the period of emission, and the emission amount. Information about the measurement result may be referred to as cleansys data.

국립환경과학원에서는 대기배출원 관리장치를 통하여 상기 시스템에 입력된 대기배출원 관련 정보의 검증 및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Th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can perform verification and analysis of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inputted into the system through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management device.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오염물질발생량 검증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배출시설 가동시간 및 자가측정사항 검증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사용량 검증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FIG. 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taminant generation amount verification screen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exhaust facility activation time and self-measurement item verification screen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usage amount verification screen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된 정보로 계산된 값과 입력된 오염물질 발생량의 차이값이 일정 비율 이상이거나, 오염물질 발생량이 상기 표 1에 따른 사업장 종에 따른 오염물질 발생량 및/또는 기간별 측정횟수가 기준과 다른 경우 오염물질발생량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검증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시간 및 시설운전사항의 경우 모든 날짜에 입력되어야 하며, 입력이 누락될 경우 오류가 있는 것으로 검증할 수 있다. 자가측정사항 정보는 배출허용기준보다 높을 경우 오류로 검증하며, 입력된 가스유량과 시스템에서 자동계산된 가스유량을 비교하여 차이가 일정비율 이상일 경우 오류가 있는 것으로 검증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되어야 할 정보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또는 과거 특정 시점(기간 포함)의 사용량 정보와 상기 현재 입력된 사용량 정보를 비교하여 차이가 일정 비율 이상인 경우 사용량 정보의 해당 항목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검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격감시장치를 통하여 입력된 측정결과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자가측정사항정보를 검증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value calculated by the input information and the input pollutant generation amount is equal to or more than a certain ratio, or the amount of pollutant generated is the amount of pollutant generated and / If the frequency is different from the standard, it can be verified that there is an error in the pollutant generation amount. Also, as shown in FIG. 11, in case of operation time and facility operation items, it should be inputted on all dates, and if there is an input missing, it can be verified that there is an error. The self-measurement information is verified as error if it is higher than the emission allowance criterion, and it can be verified that there is an error when the input gas flow rate is compared with the automatically calculated gas flow rate and the difference is more than a certain ratio. 12, when the information to be input is not inputted or the usage information of the past specific time (including the period) is compared with the currently input usage information, if the difference is more than a certain ratio, Can be verified as having an error. Also, the self-measurement item information can be verified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measurement result input through the remote monitoring apparatus.

상기 검증 결과는 해당 사업자에 제공되며, 접근 권한에 따라 해당 사업자 외에도 자치단체, 국립환경과학원 또는 그 외의 외부 단체 등에서도 열람할 수 있다. 사업장, 자치단체, 국립환경과학원에서 로그인을 통하여 시스템에 접속하는 경우 그 로그인 정보에 따라 각각 그 접근 권한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자료조회 및 엑셀 자료 추출 등의 접근은 일반적으로 모두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증 결과에 따라 기 입력된 자료의 오류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사업장의 경우 해당 사업장의 자료만을 접근할 수 있고, 자치단체는 법규 및 시행령 등에 의하여 정해진, 해당 자치단체가 자치관할하는 사업장들의 자료를 접근할 수 있다. 반면, 국립환경과학원에서는 통합적인 대기배출원 관리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전국 사업장 자료들을 접근할 수 있다. The result of the verification is provided to the relevant company. Depending on the access authority, the verification result can be read by the local government, th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or other external organizations in addition to the relevant operator. When accessing the system through a login from a business site, a municipality, or th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the access rights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login information. In this case, access to the data retrieval and the excel data extraction is generally possible . ≪ / RTI > In addition, the error history of the previously input data can be confirmed according to the verification result. However, in the case of a workplace, only the data of the relevant workplace can be accessed, and the self-governing organization can access the data of the self-governing work sites set by laws and ordinances. On the other hand, th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has access to national workplace data in general for the management of integrated air emission sources.

상술한 본 발명에 따라 종래에 사업장들이 배출시설·방지시설 운영기록부 및 자가측정사항 자료를 매일 서면으로 작성 및 보관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시스템 로그인 및 입력을 통하여 한번의 입력을 통하여 여러 제출 업무에 필요한 서류를 시스템을 통하여 조회 및 출력할 수 있게 되어, 관련 부서 및 담당기관에서의 업무경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추후 배출부과금에 대한 내용을 사업장에서 자치단체로 별도의 서류 형태로 제출할 필요가 없으며, 자치단체에서 상기 시스템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기에, 문서 작성 및 자료수집의 번거로움을 덜 수 있으며, 국립환경과학원에서는 사업장 및 대기배출원 관련 자료의 누락 없이 정확하고 신뢰도 높은 자료를 수집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자치단체에서 사업장으로 직접 지도점검시에 확인이 가능했었던 운영기록자료를 시스템을 통하여 상시 확인 및 감독할 수 있으며, 사업장에 대하여 대기배출시설 운영을 철저하게 하도록 만드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of daily writing and storing daily operation records of the facilities and the self-measurement items, It is possible to inquire and output the documents necessary for the submission work through the system, and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alleviating the work in the related departments and the related agencies.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need to submit the contents of the later emission allowance in the form of a separate document from the workplace to the self-governing organization, and the self-governing organization can confirm the data through the system, ,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can collect and manage accurate and reliable data without omission of workplace and air emission source data. Als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stantly check and supervise the operation record data, which was able to be confirmed at the time of the direct check from the municipality to the business site, through the system, and make it possible to thoroughly operate the air discharge facility to the business site.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기배출원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ir emission sourc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대기배출원 관리장치는 대상사업장 등록 정보를 수신한다(S1300). 대기배출원 관리장치는 등록 장치로부터 상기 대상사업장 등록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등록 장치는 자치단체에 구비될 수 있다. 대기배출원 관리장치는 상기 대상사업장 등록 정보를 기반으로 사업장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management device receives the target business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S1300).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management device may receive the target business site registration information from the registration device, for example, the registration device may be provided in the municipality.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management apparatus can identify the business establishment apparatus based on the above-mentioned business establishment registration information.

대기배출원 관리장치는 사업장 정보 및 대기배출원 관련 정보를 사업장 장치로부터 수신한다(S1310). 상기 사업장 정보는 사업장현황 및 시설정보를 포함한다. 사업장현황은 사업자번호, 사업장명, 사업장 종 정보, 업소형태 등을 포함하는 일반현황과 본사 및 사업장의 소재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시설정보는 해당 사업장에 구비된 배출시설 및 해당 배출시설에 설치된 방지시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management device receives the information of the business site and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from the business site device (S1310). The above-mentioned workplace information includes a workplace status and facility information. The business status can include the general status including business number, business name, business type information, type of business,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head office and business location. The facility information may include the emission facilities provided at the worksite and information on the prevention facilities installed in the emission facilities.

대기배출원 관련 정보는 배출시설 가동시간정보, 방지시설 운전사항정보, 자가측정사항정보, 사용량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기배출원 관련 정보는 시설보수사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지시설 운전사항정보는 배출시설별 방지시설의 전력사용량, 처리용량, 처리오염물질, 처리효율 및 사용약품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may include the emission facility operation time information, the prevention facility operation information, the self measurement information, and the usage information. In addi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facility maintenance item. The prevention facility oper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power consumption, treatment capacity, treatment pollutants, treatment efficiency, and chemicals used in the prevention facilities for each emission facility.

대기배출원 관리장치는 상기 사업장 정보 및 상기 대기배출원 관련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S1320). 이 경우 대기배출원 관리장치는 해당 사업장의 시설형태를 계층구조로 도식화하여 관리 및 출력할 수 있다. 대기배출원 관리장치는 해당 사업장의 상기 배출시설, 상기 방지시설 및 상기 배출구의 연결관계를 도식화하여 관리 및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대기배출원 관리장치는 상기 대기배출원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사업장의 배출허용기준 초과여부,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종류, 배출기간, 배출량 및 자가측정여부에 관한 정보를 관리 및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대기배출원 관리장치는 해당 사업장의 상기 방지시설 설치여부와 상기 오염물질 배출량의 관계에 관한 정보를 비교 관리 및 출력할 수 있다.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management device stores and manages the business site information and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related information (S1320). In this case, the air emission source management device can manage and output the facility type of the workplace in a hierarchical structure.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management device can graphically manage and output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emission facility, the prevention facility, and the outlet of the workplace. In addition, the air emission source management apparatus can manage and output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emission limit of the establishment is exceeded, the kind of the emitted pollutant, the emission period, the emission amount, and the self measurement based o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In addition,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management apparatus can compare and manage the informatio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installation of the preventive facility and the emission amount of the pollutant.

대기배출원 관리장치는 상기 대기배출원 관련 정보를 검증하고 검증결과를 생성한다(S1330).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management device verifies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related information and generates a verification result (S1330).

일 예로, 입력된 정보로 계산된 발생량과 입력된 오염물질 발생량의 차이값이 일정 비율 이상이거나, 오염물질 발생량이 상기 표 1에 따른 사업장 종에 따른 오염물질 발생량 및/또는 기간별 측정횟수가 기준과 다른 경우 오염물질발생량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검증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amount of the input calculated and the amount of the input pollutant generated is more than a certain ratio, or the amount of pollutant generated is the amount of pollutant generated and / In other cases, it can be verified that there is an error in the amount of pollutants generated.

다른 예로, 상기 배출시설 가동시간 정보, 상기 방지시설의 운전사항 정보(또는 전력사용량 정보) 및 상기 오염물질의 자가측정사항정보를 비교검토하고, 이를 기반으로 해당 사업장의 상기 배출시설 가동시간을 검증할 수 있다. Another example is to compare the operation time information of the discharge facility, the operation information (or power usage information) of the preventive facility and the self-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pollutant, and verify the operation time of the discharge facility can do.

또 다른 예로, 상기 배출시설 가동시간 및 시설운전사항의 경우 모든 날짜에 입력되어야 하며, 입력이 누락될 경우 오류가 있는 것으로 검증할 수 있다. 자가측정사항 정보는 배출허용기준보다 높을 경우 오류로 검증하며, 입력된 가스유량과 시스템에서 자동계산된 가스유량을 비교하여 차이가 일정비율 이상일 경우 오류가 있는 것으로 검증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in the case of the operation time of the discharge facility and the operation of the facility, it should be entered on every date, and if the input is missing, it can be verified that there is an error. The self-measurement information is verified as error if it is higher than the emission allowance criterion, and it can be verified that there is an error when the input gas flow rate is compared with the automatically calculated gas flow rate and the difference is more than a certain ratio.

또 다른 예로, 각각의 사업장 배출시설에 별도로 설치된 측정 단말을 통하여 상기 배출시설에서 배출되는 상기 오염물질의 측정결과를 획득하는 원격감시장치로부터 상기 측정결과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미도시), 상기 측정결과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자가측정사항정보를 검증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method may include receiving information about the measurement result from a remote monitoring device that obtains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pollutant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facility through a measurement terminal installed separately at each facility discharge facility (Not shown), and can verify the self-measurement item inform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measurement result.

또 다른 예로, 수신되어야 할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또는 과거 특정 시점(기간 포함)의 사용량 정보와 상기 현재 입력된 사용량 정보를 비교하여 차이가 일정 비율 이상인 경우 상기 사용량 정보의 해당 항목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검증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the information to be received is not received, or the usage amount information of the past specific time (including the period) is compared with the currently input usage amount information, if the difference is more than a certain ratio, .

대기배출원 관리장치는 상기 생성된 검증결과를 상기 사업장 장치로 제공한다(S1340). 사업자 장치는 상기 검증결과를 기반으로 오류가 발생한 항목의 정보를 수정하여, 수정된 대기배출원 관련 정보를 상기 대기배출원 관리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대기배출원 관리장치는 필요에 따라 해당 사업자 장치 외의 외부 기관 및 장치에도 상기 검증결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management apparatus provides the generated verification result to the business entity apparatus (S1340). The business entity apparatus can correct the information of the error occurrence item based on the verification result and transmit the modified atmospheric emission source related information to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management apparatus. On the other hand,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management apparatus may provide the above verification results to external organizations and devices other than the business apparatuses as necess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3)

대기배출원 관리 시스템으로서,
사업장에서 운용되는 배출시설의 가동시간 정보, 대기오염 방지시설의 운전사항 정보 및 상기 배출시설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자가측정사항정보를 포함하는 대기배출원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상기 생성한 대기배출원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저장한 대기배출원 관련 정보를 대기배출원 관리장치로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사업장 장치;
상기 대기배출원 관련 정보를 상기 사업장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수신한 대기배출원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저장한 대기배출원 관련 정보를 관리하고 검증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상기 대기배출원 관리장치; 및
상기 사업장의 배출시설에 별도로 설치되어 상기 배출시설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종류, 배출기간 및 배출농도를 포함하는 오염물질의 측정결과를 획득하는 측정 단말; 및
상기 측정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오염물질의 측정결과를 관리하고, 상기 오염물질의 측정결과에 대한 정보를 상기 대기배출원 관리장치로 전송하는 원격감시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대기오염 방지시설의 운전사항 정보는 상기 대기오염 방지시설의 전력사용량, 처리용량, 처리오염물질, 처리효율 및 사용약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대기배출원 관리장치의 프로세서는 상기 배출시설 가동시간 정보, 상기 대기오염 방지시설의 운전사항 정보 및 상기 오염물질의 자가측정사항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기배출원 관련 정보를 검증하여 검증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대기배출원 관리장치의 송수신부는 상기 생성된 검증결과를 상기 사업장 장치로 제공하며,
상기 대기배출원 관리장치의 프로세서는,
상기 오염물질의 자가측정정보에 포함된 상기 오염물질의 종류, 배출기간 및 배출농도를 기반으로 상기 사업장의 종에 따른 오염물질 발생량 및 기간별 측정횟수가 해당 사업장의 종에 따른 기준과 다를 경우 상기 오염물질 발생량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검증하고,
상기 배출시설의 가동시간 정보, 상기 대기오염 방지시설의 운전사항 정보 및 상기 배출시설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자가측정사항정보를 비교검토하여 상기 배출시설의 가동시간을 검증하고,
상기 배출시설의 가동시간 정보에 누락된 날짜가 존재하는 경우 오류가 있는 것으로 검증하고,
상기 오염물질의 자가측정사항정보가 기 설정된 배출허용기준보다 높을 경우 오류가 있는 것으로 검증하고,
상기 사업장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오염물질의 자가측정사항정보와 상기 원격감시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오염물질의 측정결과에 관한 정보를 비교검토하여 상기 자가측정사항정보의 신뢰성을 검증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배출원 관리 시스템.
As an air source management system,
A processor for generating atmospheric emission source 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operating time information of an emission facility operated at a business site, operation information of an air pollution prevention facility, and self-measurement item information of a pollutant discharged from the emission facility, A memory unit for storing related information, and 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stored atmospheric emission source related information to an atmospheric emission source management apparatus;
A processor for receiving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related information from the plant equipment, a memory for storing the received atmospheric emission source-related information, and a processor for managing and verifying the stored atmospheric emission source related information; And
A measurement terminal separately installed in a discharge facility of the workplace to acquire a measurement result of a pollutant including a kind of a pollutant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facility, a discharge period, and a discharge concentration; And
And a remote monitoring device for managing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pollutants received from the measurement terminal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pollutants to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management device,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air pollution control facility includes information on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air pollution control facility, the treatment capacity, the pollutants to be treated, the treatment efficiency,
The processor of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management device verifies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related information based on the operation time information of the exhaust facility,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atmospheric pollution prevention facility, and the self-measurement item information of the pollutant,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of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management device provides the generated verification result to the business facility,
The processor of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management device,
If the amount of pollutants generat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workplace and the number of times of measurement by period are different from the criterion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workplace based on the kind, the discharge period and the discharge concentration of the pollutant contained in the self-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pollutant, It is verified that there is an error in the amount of material generated,
The operation time of the discharge facility,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air pollution control facility, and the self-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pollutant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facility,
If there is a missing date in the operation time information of the discharge facility, it is verified that there is an error,
If the self-measurement item information of the pollutant is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emission allowance criterion, it is verified that there is an error,
And the reliability of the self-measurement item information is verified by comparing the self-measurement item information of the pollutant received from the workplace apparatus with the information about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pollutant received from the remote monitoring apparatus. Air Source Management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업장 장치는 상기 사업장의 사업장현황 및 시설정보를 포함하는 사업장 정보를 상기 대기배출원 관리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대기배출원 관리장치는 상기 사업장의 시설형태를 계층구조로 도식화하여 관리하되, 상기 사업장의 상기 배출시설, 상기 대기오염 방지시설 및 배출구의 연결관계를 도식화하여 관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배출원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usiness entity apparatus transmits the business entity information including the business status of the business entity and the facility information to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management device,
Wherein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management apparatus schematically manages the facility type of the business site in a hierarchical structure and manages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exhaust facility, the air pollution prevention facility, and the exhaust port of the business site, .
제 4항에 있어서,
대상사업장 등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대기배출원 관리장치로 전송하는 등록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기배출원 관리장치는 상기 대상사업장 등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기배출원 관리장치로 접속하는 상기 사업장 장치를 식별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배출원 관리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registration device for generating the target business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business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to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management device,
Wherein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management apparatus identifies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management apparatus to be connected to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management apparatus based on the target business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배출원 관리장치는 상기 대기배출원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사업장의 배출허용기준 초과여부, 배출되는 상기 오염물질의 종류, 상기 배출기간, 상기 배출농도 및 자가측정여부에 관한 정보의 관리 및 출력 기능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배출원 관리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air emission source management apparatus manages and outputs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emission limit of the plant is exceeded, the type of the emitted pollutant, the emission period, the emission concentration, and the self-measurement based on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Wherein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management system provides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management system.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배출원 관리장치는 상기 사업장의 상기 대기오염 방지시설의 설치여부와 상기 오염물질 배출농도와의 관계에 관한 정보의 비교 기능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배출원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management device provides a function of comparing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air pollution control facility is installed at the business sit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the pollutant emission.
대기배출원 관리장치로서,
사업장에서 운용되는 배출시설의 배출시설 가동시간 정보, 대기오염 방지시설의 운전사항 정보 및 상기 배출시설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자가측정사항 정보를 포함하는 대기배출원 관련 정보를 사업장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사업장에 대한 대기배출원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대기배출원 관련 정보를 관리 및 검증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대기오염 방지시설의 운전사항 정보는 상기 대기오염 방지시설의 전력사용량, 처리용량, 처리오염물질, 처리효율 및 사용약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배출시설 가동시간 정보, 상기 대기오염 방지시설의 운전사항 정보 및 상기 오염물질의 자가측정사항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기배출원 관련 정보에 관한 검증결과를 생성하되,
상기 오염물질의 자가측정정보에 포함된 상기 오염물질의 종류, 배출기간 및 배출농도를 기반으로 상기 사업장의 종에 따른 오염물질 발생량 및 기간별 측정횟수가 해당 사업장의 종에 따른 기준과 다를 경우 상기 오염물질 발생량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검증하고,
상기 배출시설의 가동시간 정보, 상기 대기오염 방지시설의 운전사항 정보 및 상기 배출시설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자가측정사항정보를 비교검토하여 상기 배출시설의 가동시간을 검증하고,
상기 배출시설의 가동시간 정보에 누락된 날짜가 존재하는 경우 오류가 있는 것으로 검증하고,
상기 오염물질의 자가측정사항정보가 기 설정된 배출허용기준보다 높을 경우 오류가 있는 것으로 검증하고,
상기 사업장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오염물질의 자가측정사항정보와, 상기 사업장의 배출시설에 별도로 설치된 측정 단말을 통해 상기 배출시설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종류, 배출기간 및 배출농도를 포함하는 오염물질의 측정결과를 획득하는 원격감시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오염물질 의 측정결과에 대한 정보를 비교검토하여 상기 자가측정사항정보의 신뢰성을 검증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배출원 관리장치.
An apparatus for managing an atmospheric emission source,
A transmission / reception section for receiving atmospheric emission source-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the operation time information of the emission facility operated at the workplace,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air pollution prevention facility, and the self-measurement item information of the pollutant emitted from the emission facility, ;
A memory unit for storing atmospheric emission source related information for the business site;
And a processor for managing and verifying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related information,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air pollution control facility includes information on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air pollution control facility, the treatment capacity, the pollutants to be treated, the treatment efficiency,
The processor comprising:
Generating the verification result on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related information based on the emission facility operation time information,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air pollution prevention facility, and the self-measurement item information of the pollutant,
If the amount of pollutants generat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workplace and the number of times of measurement by period are different from the criterion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workplace based on the kind, the discharge period and the discharge concentration of the pollutant contained in the self-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pollutant, It is verified that there is an error in the amount of material generated,
The operation time of the discharge facility,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air pollution control facility, and the self-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pollutant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facility,
If there is a missing date in the operation time information of the discharge facility, it is verified that there is an error,
If the self-measurement item information of the pollutant is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emission allowance criterion, it is verified that there is an error,
The self-measurement item information of the pollutant received from the business facility, and the type of the pollutant including the kind of the pollutant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facility, the discharge period, and the discharge concentration through the measurement terminal separately installed in the discharge facility of the plant And the reliability of the self-measurement item information is verified by comparing the information on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pollutant received from the remote monitoring apparatus that acquires the measurement result.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생성된 검증결과를 상기 사업장 장치로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배출원 관리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provides the generated verification result to the business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별도의 등록 장치로부터 대상사업장 등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상사업장 등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업장 장치를 식별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배출원 관리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transceiver receives the target business establishment information from a separate registration device,
Wherein the processor identifies the business entity device based on the business entity registration information.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사업장 장치로부터 상기 사업장의 사업장현황 및 시설정보를 포함하는 사업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업장의 시설형태를 계층구조로 도식화하여 관리하되,
상기 사업장의 시설형태를 계층구조로 도식화하여 관리함은, 상기 사업장의 상기 배출시설, 상기 대기오염 방지시설 및 배출구의 연결관계를 도식화하여 관리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배출원 관리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transceiver receives business site information including the business status of the business site and facility information from the business entity device,
The processor manages the facility type of the workplace in a hierarchical structure,
Wherein the facility type of the workplace is managed in a hierarchical structure and managed by schematically manag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discharge facility, the air pollution prevention facility, and the discharge port of the workplace.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기배출원 관련 정보를 관리 및 검증함에 있어, 상기 대기배출원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업장의 배출허용기준 초과여부,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종류, 배출기간, 배출농도 및 자가측정여부에 관한 정보의 관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배출원 관리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In managing and verifying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the processor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exceed the emission limit of the plant based on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related information, the type of the discharged pollutant, the discharge period, And the management of the information is performed.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기배출원 관련 정보를 관리 및 검증함에 있어, 상기 사업장의 상기 대기오염 방지시설의 설치여부와 상기 오염물질 배출농도와의 관계에 관한 정보를 비교 관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배출원 관리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processor manages and verifies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related information, and compares and manages information about whether the atmospheric pollution prevention facility is installed in the workpla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llutant emission concentration and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management method .
대기배출원 관리 장치에 포함된 프로세서에 의한 대기배출원 관리 방법으로,
상기 대기배출원 관리 장치에 포함된 송수신부를 통해 사업장에서 운용되는 배출시설의 배출시설 가동시간 정보, 대기오염 방지시설의 운전사항 정보 및 상기 배출시설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자가측정사항정보를 포함하는 대기배출원 관련 정보를 사업장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대기배출원 관리 장치에 포함된 메모리부에 상기 수신한 대기배출원 관련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대기배출원 관련 정보를 검증하고 검증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및
각각의 사업장 배출시설에 별도로 설치된 측정 단말을 통하여 상기 배출시설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종류, 배출기간 및 배출농도를 포함하는 오염물질의 측정결과를 획득하는 원격감시장치로부터 상기 오염물질의 측정결과에 관한 정보를 상기 대기배출원 관리 장치에 포함된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대기오염 방지시설의 운전사항 정보는 상기 대기오염 방지시설의 전력사용량, 처리용량, 처리오염물질, 처리효율 및 사용약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검증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는 배출시설 가동시간 정보, 상기 대기오염 방지시설의 운전사항 정보 및 상기 오염물질의 자가측정사항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기배출원 관련 정보에 관한 상기 검증결과를 생성하되,
상기 오염물질의 자가측정정보에 포함된 상기 오염물질의 종류, 배출기간 및 배출농도를 기반으로 상기 사업장의 종에 따른 오염물질 발생량 및 기간별 측정횟수가 해당 사업장의 종에 따른 기준과 다를 경우 상기 오염물질 발생량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검증하고,
상기 배출시설의 가동시간 정보, 상기 대기오염 방지시설의 운전사항 정보 및 상기 배출시설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자가측정사항정보를 비교검토하여 상기 배출시설의 가동시간을 검증하고,
상기 배출시설의 가동시간 정보에 누락된 날짜가 존재하는 경우 오류가 있는 것으로 검증하고,
상기 오염물질의 자가측정사항정보가 기 설정된 배출허용기준보다 높을 경우 오류가 있는 것으로 검증하고,
상기 사업장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오염물질의 자가측정사항정보와 상기 원격감시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오염물질의 측정결과에 관한 정보를 비교검토하여 상기 자가측정사항정보의 신뢰성을 검증하는 것을 포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배출원 관리 방법.
A method for managing an atmospheric emission source by a processor included in an atmospheric emission source management apparatus,
The operation time information of the discharge facility of the discharge facility operated in the workplace,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air pollution prevention facility, and the self-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pollutant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facility throug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included in the above- Receiving source related information from a workplace device;
Storing and managing the received atmospheric emission source related information in a memory unit included in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management apparatus;
Verifying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related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and generating a verification result; And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pollutant is obtained from the remote monitoring apparatus which obtains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pollutant including the kind of the pollutant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facility, the discharge period and the discharge concentration through the measurement terminal installed separately at each workplace discharge facility Receiving information via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included in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management device,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air pollution control facility includes information on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air pollution control facility, the treatment capacity, the pollutants to be treated, the treatment efficiency,
Generating the verification result on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related information based on the exhaust facility operation time information,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air pollution control facility, and the self-measurement item information of the pollutant,
If the amount of pollutants generat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workplace and the number of times of measurement by period are different from the criterion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workplace based on the kind, the discharge period and the discharge concentration of the pollutant contained in the self-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pollutant, It is verified that there is an error in the amount of material generated,
The operation time of the discharge facility,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air pollution control facility, and the self-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pollutant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facility,
If there is a missing date in the operation time information of the discharge facility, it is verified that there is an error,
If the self-measurement item information of the pollutant is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emission allowance criterion, it is verified that there is an error,
And verifying the reliability of the self-measurement item information by comparing the self-measurement item information of the pollutant received from the workplace apparatus with the information about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pollutant received from the remote monitoring apparatus How to manage an atmospheric source of emissions.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검증결과를 상기 사업장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대기배출원 관리 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And providing the generated verification result to the business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6항에 있어서,
별도의 등록 장치로부터 대상사업장 등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사업장 등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업장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배출원 관리 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Receiving target business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from a separate registration device; And
Further comprising identifying the business premises device based on the target business premises registration information.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업장 장치로부터 상기 사업장의 사업장현황 및 시설정보를 포함하는 사업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업장의 시설형태를 계층구조로 도식화하여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사업장의 시설형태를 계층구조로 도식화하여 관리함은, 상기 사업장의 상기 배출시설, 상기 대기오염 방지시설 및 배출구의 연결관계를 도식화하여 관리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배출원 관리 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Receiving business site information including a business site status and facility information of the business site from the business entity device; And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Wherein the facility type of the workplace is managed in a hierarchical structure and managed by schematically manag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discharge facility, the air pollution prevention facility, and the discharge port of the workplace.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배출원 관련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대기배출원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사업장의 배출허용기준 초과여부,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종류, 배출기간, 배출농도 및 자가측정여부에 관한 정보의 관리를 수행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배출원 관리 방법.
22. The method of claim 21,
The step of storing and manag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may include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exceeds the emission limit of the site based on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related information, the type of the discharged contaminant, Management of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배출원 관련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사업장의 상기 대기오염 방지시설의 설치여부와 상기 오염물질 배출농도와의 관계에 관한 정보를 비교 관리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배출원 관리 방법.
23.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step of storing and managing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related information includes a step of comparing and managing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atmospheric pollution prevention facility of the workplace is install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llutant emission concentration and the atmospheric emission source management Way.
KR1020150001072A 2015-01-06 2015-01-06 Data processing system for measurement and operation record about air emission sources KR1016342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072A KR101634208B1 (en) 2015-01-06 2015-01-06 Data processing system for measurement and operation record about air emission sour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072A KR101634208B1 (en) 2015-01-06 2015-01-06 Data processing system for measurement and operation record about air emission sourc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4208B1 true KR101634208B1 (en) 2016-06-29

Family

ID=56365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1072A KR101634208B1 (en) 2015-01-06 2015-01-06 Data processing system for measurement and operation record about air emission sourc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4208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3879B1 (en) * 2017-06-26 2018-03-30 한국환경공단 System for detecting abnormality data,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cordable medium storing the method
KR101977041B1 (en) * 2017-11-22 2019-08-28 주식회사 이쓰리 Apparatus selecting facility discharging harmful objects
KR20200059030A (en) * 2018-11-20 2020-05-28 주식회사 에어콕 Apparatus selecting facility discharging harmful objects using dron
CN111461167A (en) * 2020-03-02 2020-07-28 平安国际智慧城市科技股份有限公司 Pollution source position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based on big data
CN111461167B (en) * 2020-03-02 2024-06-07 平安国际智慧城市科技股份有限公司 Pollution source position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based on big data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994B1 (en) * 2010-06-29 2011-03-07 대한민국 Greenhouse gas-clean air policy support system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994B1 (en) * 2010-06-29 2011-03-07 대한민국 Greenhouse gas-clean air policy support system and method thereof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기배출원관리시스템* *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3879B1 (en) * 2017-06-26 2018-03-30 한국환경공단 System for detecting abnormality data,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cordable medium storing the method
KR101977041B1 (en) * 2017-11-22 2019-08-28 주식회사 이쓰리 Apparatus selecting facility discharging harmful objects
KR20200059030A (en) * 2018-11-20 2020-05-28 주식회사 에어콕 Apparatus selecting facility discharging harmful objects using dron
KR102174492B1 (en) 2018-11-20 2020-11-04 주식회사 에어콕 Apparatus selecting facility discharging harmful objects using dron
CN111461167A (en) * 2020-03-02 2020-07-28 平安国际智慧城市科技股份有限公司 Pollution source position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based on big data
CN111461167B (en) * 2020-03-02 2024-06-07 平安国际智慧城市科技股份有限公司 Pollution source position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based on big dat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ou Unwatched pollution: The effect of intermittent monitoring on air quality
US1141687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greenhouse gas emissions associated with an entity
Feinberg et al. Examining spatiotemporal variability of urban particulate matter and application of high-time resolution data from a network of low-cost air pollution sensors
CN108510248B (en) Construction project environment approval system capable of achieving comprehensive monitoring
KR101500438B1 (en) Real-time odor monitoring system
KR101634208B1 (en) Data processing system for measurement and operation record about air emission sources
Sepasgozar et al. Measuring non-road diesel emission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 synopsis of the literature
Wang et al. Multiscale methane measurements at oil and gas facilities reveal necessary frameworks for improved emissions accounting
KR2016000878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reenhouse gases and energy integration management
Tainio et al. Intake fraction variability between air pollution emission sources inside an urban area
Long et al. Synthesis and health-based evaluation of ambient air monitoring data for the Marcellus Shale region
CN114186765A (en) Household garbage end disposal monitoring system and server with same
KR101634212B1 (en) Management system for self-measurement information of air pollution emission sources
Morosele et al. The impacts of commissioning coal-fired power stations on air quality in South Africa: insights from ambient monitoring stations
CN111352953A (en) Enterprise environment-friendly management and reporting system
Kimbal et al. Monitoring diesel particulate matter and calculating diesel particulate densities using Grimm Model 1.109 real-time aerosol monitors in underground mines
Newcomer et al. Capture efficiency of portable high-efficiency air filtration devices used during building construction activities
Shanmugasundaram Role of nano-sensors towards CO 2 concentrations in an indoor classroom environment to improve occupational health
Rodriguez et al. Anduyog: A web-based application for relief and casualty monitoring and early warning system for local government units in the Philippines
KR102587681B1 (en) Remote management system for air polu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umar Repercussions of the COVID-19 Pandemic on the Air Quality of Chennai, India.
Wang et al. Analysis of characteristics and causes of gas explosion accidents: a historical review of coal mine accidents in China
Calixto et al. Developing An Environmental Monitoring Dashboard to Identify Construction Activities That Affect On-Site Air Quality and Noise
Wirawan et al. Design of a NodeMCU-Based Real-Time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Using the Blynk Application
Zou Unwatched pollution: The effect of incomplete monitoring on air qua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