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3155B1 - 착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통신 단말기,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착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통신 단말기,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3155B1
KR101633155B1 KR1020130032215A KR20130032215A KR101633155B1 KR 101633155 B1 KR101633155 B1 KR 101633155B1 KR 1020130032215 A KR1020130032215 A KR 1020130032215A KR 20130032215 A KR20130032215 A KR 20130032215A KR 101633155 B1 KR101633155 B1 KR 101633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oming signal
pairing
unit
communication
exter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2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7149A (ko
Inventor
정형록
이창우
이건영
박소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30032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3155B1/ko
Publication of KR20140117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7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T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ANDARDS FOR 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T2001/00Standards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T2001/209Applications
    • H04T2001/2091Call 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 Forwarding [CF], Cell Barring [C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통신 단말기,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착신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와; 외부장치와의 페어링 과정을 통해 설정된 페어링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 신호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상기 페어링 정보에 대응되는 외부장치에 전달하여 표시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착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통신 단말기,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RECORDING MEDIUM FOR PROCESSING A RECEIVING SIGNAL}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신 신호가 소정의 외부 장치와 연동 처리되도록 하는 통신 단말기,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음성 통화 호를 수신할 수 있고, 단문 메지시나 멀티미디어 메시지와 같은 문자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또한 특정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푸쉬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처럼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음성 통화 호, 문자 메시지, 푸쉬 메시지 등이 수신될 때 이동통신 단말기는 그 사실을 사용자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리 알림 방식의 경우 스피커를 통해 소정의 벨 소리를 출력할 수 있고, 진동 알림 방식의 경우 진동 모터의 동작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또는 화면 알림 방식의 경우 화면상에서 깜빡임 효과를 주거나 대기화면을 활성화시키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각종 착신 신호(음성 통화 착신 신호, 문자 메시지 착신 신호, 푸쉬 메시지 착신 신호)의 수신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는 이러한 여러 가지 알림 방식들 중 복수 개를 조합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도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림 방식은 모두 해당 단말기 상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이러한 착신 신호의 수신 상태를 그 수신 시점에 즉시 인지하기 위해서는 화면 알림 방식의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을 지속적으로 바로보고 있어야 하고, 진동 알림 방식의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휴대하고 있거나 그 진동에 의한 소음이 들릴 정도로 가까운 위치에 있어야 하며, 소리 알림 방식의 경우에도 그 알림 벨 소리가 들릴 수 있는 거리 이내에 위치하고 있어야 한다.
즉, 상술한 다양한 알림 방식은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휴대하고 있는 경우에 효과적인 알림 방식인 것이다.
그런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항상 이동통신 단말기를 휴대하고 있는 것은 아니며 특히 댁내에 머물고 있는 동안에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텔레비전 또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를 시청하거나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조작하느라 이동통신 단말기를 휴대하지 않는 시간이 많을 수 있는 것이다. 더 나아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충전하고 있는 동안에도 마찬가지로 휴대하고 있을 수는 없는 것이다.
이처럼 이동통신 단말기를 휴대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화가 오거나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가 그 수신 상태를 즉시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공개특허 10-2004-006415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원격지에 있는 타 장치로 호 착신 상태 또는 착신 메시지 내용 등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착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통신 단말기,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는, 착신 신호를 감지하는 착신 신호 감지부와; 외부장치와의 페어링 과정을 통해 설정된 페어링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로부터 페어링 정보를 추출하는 페어링 정보 추출부와; 상기 착신 신호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상기 페어링 정보에 대응되는 외부장치에 전달하여 표시를 요청하는 착신 신호 포워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착신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와; 외부장치와의 페어링 과정을 통해 설정된 페어링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 신호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상기 페어링 정보에 대응되는 외부장치에 전달하여 표시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폰 등 이동통신 단말기를 휴대하지 않고 다른 통신 장치를 이용하고 있는 경우라도 그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신하는 착신 신호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현재 이용하고 있는 통신 장치에서 즉시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대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통신 단말기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제어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통신 시스템은 통신 단말기(100), 액세스 포인트(200), 외부 장치, 통신 태그(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00)는 무선 통신 접속 장치의 일 예로써, 통신 단말기(100)가 근거리 무선 랜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액세스 포인트(200)는 통신 단말기(100)와 무선 구간을 통해 WiFi 통신하고 다른 외부 장치와는 유선 구간을 통해 통신하여 통신 단말기(100)와 외부 장치와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액세스 포인트(200)를 일 예로 하고 있지만 무선 구간을 통해 통신 단말기(100)와 통신하고 해당 통신 단말기(100)가 다른 장치 즉,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든7 무선 통신 접속 장치가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외부 장치는 통신 단말기(100)와 통신하여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따라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외부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어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에 소정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를 자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소정 정보가 해당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장치는 일종의 텔레비전 그 자체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외부 장치는 텔레비전(310)에 연결되어 있는 셋탑박스(300)인 것을 일 예로 한다.
따라서 셋탑박스(300)는 인터넷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텔레비전(310)에 전송하여 표시되도록 하고,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에 따라 해당 텔레비전(310)에 소정의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통신 태그(400)는 통신 단말기(100)와 통신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통신 단말기(100)(100)와 근접 통신의 일 예인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을 수행하는 NFC 태그에 해당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통신 태그(400)는 통신 단말기(1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NFC 태그라고 가정하지만, 이러한 통신 태그(400)는 통신 단말기(100)와 접촉된 상태에서만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통신 단말기(100)는 기지국 등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착신 신호를 감지하는 경우 그 착신 신호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외부장치에 전달하여 표시를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통신 단말기(100)의 표시 요청은 반드시 시각적인 표시 요청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진동이나 소리의 출력을 이용한 표시 요청 등 다양한 방식으로의 표시 요청일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 단말기(100)는 외부 장치와 미리 페어링을 과정을 수행하여 페어링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다.
통신 단말기(100)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 무선 구간을 통해 상대방과 통신할 수 있는 장치로서, 통신 단말기(100)가 수신하는 착신 신호는 상대방이 전송한 신호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단말기(100)가 수신하는 착신 신호는 상대방과의 음성 통화를 위한 음성 호 착신 신호, 영상 통화를 위한 영상 호 착신 신호, 문자 메시지 수신을 위한 문자 메시지 착신 신호, 푸쉬 메시지 수신을 위한 푸쉬 메시지 착신 신호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서 문자 메시지 착신 신호는 sms(short messaging service),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등의 착신에 따른 착신 신호일 수 있고, 푸쉬 메시지 착신 신호는 통신 단말기(100)에 포함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거나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깨우기 위해 수신되는 착신 신호일 수 있다.
이러한 통신 단말기(100)의 구체적인 기능은 도 2의 기능 블록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100)는 착신 신호 감지부(110), 페어링 정보 추출부(120), 착신 신호 포워딩부(130), 태그 통신부(140), 페어링 수행부(150), 판단부(160), 기능 활성화부(170), 표시 제어부(180), 저장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착신 신호 감지부(110)는 착신 신호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착신 신호의 종류는 음성, 문자 등 상술한 바와 같고, 착신 신호 감지부(110)는 이러한 다양한 착신 신호가 외부로부터 예를 들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저장부(190)에는 통신 단말기(100)의 수행에 필요한 정보 또는 통신 단말기(100)의 각종 기능 수행에 따라 발생하는 정보가 저장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저장부(190)는 전원 차단시에도 그 저장된 정보가 삭제되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저장부(190)에 저장되는 정보의 일 예로써, 외부 장치와의 페어링 과정을 통해 설정될 수 있는 페어링 정보가 저장될 수 있고, 사용자 등에 의해 기 설정된 특정 액세스 포인트 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다.
페어링 정보 추출부(120)는 저장부(190)로부터 페어링 정보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저장부(190)로부터 추출하는 페어링 정보에는 통신 대상인 외부 장치에 대한 각종 정보, 예를 들어 네트워크 주소, 암호화 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착신 신호 포워딩부(130)는 착신 신호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페어링 정보 추출부(120)에 의해 추출한 페어링 정보에 대응되는 외부장치에 전달하여 표시를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착신 신호 포워딩부(130)는 페어링 정보에 포함된 네트워크 주소와 암호화 키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하고 특히 착신 신호에 대응되는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착신 신호 포워딩부(130)는 착신 신호에 포함된 메시지를 그대로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도 있고, 또는 착신 신호의 종류에 따라 착신 신호에서 일부의 데이터를 추출 또는/및 가공하고 그 가공한 메시지를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도 있다.
태그 통신부(140)는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외부의 통신 태그(400)와 접촉 또는 비접촉 통신(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통신 태그(400)로부터 매칭 대상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매칭 대상 정보는 복수 개의 통신 태그(400)가 존재하는 경우 각 통신 태그(400)에 매칭된 장치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 장치 즉, 셋탑박스(300)에 대한 네트워크 주소일 수 있다.
페어링 수행부(150)는 태그 통신부(140)에 수신된 매칭 대상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하고, 페어링 수행에 따른 페어링 정보를 저장부(190)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앞서 저장부(190)에 저장되어 있다고 설명한 페어링 정보는 상술한 태그 통신부(140)와 페어링 수행부(150)에 의해 저장된 것일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예로써 페어링 수행부(150)가 존재하지 않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 경우 통신 태그(400)에 이미 셋탑박스(300)에 대한 페어링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태그 통신부(140)는 그러한 통신 태그(400)와 통신을 수행하여 그 통신 태그(400)로부터 셋탑박스(300)에 대응되는 페어링 정보를 수신한 후 저장부(190)에 저장할 수 있다.
판단부(160)는 기 설정된 무선 통신 접속 장치 즉, 액세스 포인트(200)와 통신 접속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 단말기(100) 주변에는 복수 개의 통신 접속 장치가 있고, 그 중 저장부(190)에 기 설정된 특정 액세스 포인트(200).....<번호 주의>와 통신 접속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여기서 기 설정된 액세스 포인트(200)와 통신 접속이 이루어졌다는 의미는 신호의 세기 확인을 위한 초기 통신이 이루어졌다는 의미가 아니라 실제 근거리 무선랜 접속을 위한 통신 접속이 이루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통신 단말기(100)가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위해서 해당 액세스 포인트(200)를 경유하도록 설정되었음을 의미한다.
또한 판단부(160)는 전원과 연결된 충전 케이블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충전을 위해 사용자가 전원과 연결된 충전 케이블을 통신 단말기(100)의 충전 포트(미 도시함)에 접속하는 경우 판단부(160)는 충전 케이블의 접속을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기능 활성화부(170)는 판단부(160)의 판단 결과 기 설정된 무선 통신 접속 장치와 통신이 이루어진 경우, 착신 신호 포워딩 기능을 활성화한다.
여기서 착신 신호 포워딩 기능은 앞서 설명한 착신 신호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페어링 정보에 대응되는 외부장치에 전달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구체적인 예로써 기능 활성화부(170)는 착신 신호 포워딩부(130)가 참조하는 설정 플래그를 기능 활성화로 세팅할 수 있다.
물론 기능 활성화가 착신 신호 포워딩부(130)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고, 페어링 정보 추출부(120)나, 태그 통신부(140)나 페어링 수행부(150) 등에도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즉, 기능 활성화부(170)의 착신 신호 포워딩 기능의 활성화 제어에 따라 페어링 수행부(150)는 기 설정된 매칭 대상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하고, 페어링 수행에 따른 페어링 정보를 저장부(190)에 저장할 수도 있는 것이다.
반대로 판단부(160)의 판단 결과 기 설정된 무선 통신 접속 장치와 통신 접속이 해제된 경우, 기능 활성화부(170)는 착신 신호 포워딩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기능도 수행한다.
표시 제어부(180)는 판단부(160)의 판단 결과 충전 케이블이 연결된 경우 착신 신호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페어링 정보에 대응되는 외부장치에 전달하는 착신 신호 포워딩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팝업 메시지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표시 제어부(180)는 통신 단말기(100)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100)의 충전 시에 착신 신호 포워딩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팝업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미 도시함)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한편, 앞서 설명한 기능 활성화부(170)는 판단부(160)의 판단 결과 충전 케이블이 연결된 경우, 착신 신호 포워딩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100)를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제어 흐름을 설명한다.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NFC 태그와 이동통신 단말기(100) 간의 통신에 의해 착신 신호가 셋탑박스(300)에 전달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통신 단말기(100)와 액세스 포인트(200)는 이미 WiFi 통신을 위한 설정이 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근접한 통신 단말기(100)와 NFC 태그에 상호 간에 통신이 이루어짐으로써(단계 S1) 통신 단말기(100)가 NFC 태그를 감지한 경우(단계 S3), 통신 단말기(100)는 NFC 태그에 매칭 대상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고(단계 S5), 이러한 요청에 따라 NFC 태그는 자신에게 매칭되어 있는 장치에 관한 정보 즉, 매칭 대상 정보를 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한다(단계 S7).
예를 들어 매칭 대상 정보에는 셋탑박스(300)의 아이피 주소 또는 맥 주소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통신 단말기(100)는 NFC 태그로부터 수신한 매칭 대상 정보를 이용하여 셋탑박스(300)와 페어링을 수행한다(단계 S9). 여기서 페어링을 수행한다는 것은 상호간 데이터 교환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페어링 과정에는 암호화 통신을 위한 암호화 키의 교환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통신 단말기(100)는 페어링 수행을 통해 획득한 페어링 정보를 저장한다(단계 S11).
이후, 통신 단말기(100)는 착신 신호가 감지되면(단계 S13) 그 착신 신호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생성한다(단계 S13). 예를 들어 통신 단말기(100)는 음성 호 착신 신호가 수신되면 그 음성 호 착신 신호에서 발신 번호를 추출하고, 그 추출한 발신 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고, 또는 문자 메시지 착신 신호가 수신된 경우 통신 단말기(100)는 문자 메시지 착신 신호에 포함된 텍스트 메시지를 추출하고 그 추출한 텍스트 메시지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통신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발신자정보 표시 옵션 또는 내용 표시 옵션을 선택받을 수 있는데, 여기서 발신자정보 표시 옵션은 통신 단말기(100)에 기 저장된 주소록에서 해당 발신자 번호에 대응되는 이름을 추출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옵션이고, 내용표시 옵션은 텍스트 메시지 내용의 일부를 표시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옵션이다.
통신 단말기(100)는 이러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각종 옵션 설정에 따른 정보들이 셋탑박스(300)에 전송할 메시지에 포함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통신 단말기(100)는 기 저장된 페어링 정보를 추출하고(단계 S17), 그 추출한 페어링 정보를 이용하여 셋탑박스(300)에 앞서 착신 신호에 대응하여 생성한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S19). 이때 통신 단말기(100)는 액세스 포인트(200)를 경유하여 셋탑박스(300)에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다.
셋탑박스(300)는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와 TV(310) 영상 화면을 결합하고(단계 S21), 그 결합한 화면을 TV(310)에 전송하여(단계 S23) 표시되도록 한다(단계 S25). 이에 따라 TV(310)를 시청하는 시청자는 TV(310) 화면을 통해 통신 단말기(100)에 착신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V(310) 화면 영상의 일부에 발신 번호가 표시됨에 따라 시청자는 통신 단말기(100)에 전화가 걸려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셋탑박스(300)는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TV(31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셋탑박스(300)가 보다 더 적극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단말기(100)가 직접 표시될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각종 옵션 정보와 착신 신호와 관련된 기초 데이터만 전송하면, 셋탑박스(300)가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옵션 정보 및 기초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제 TV(310)에 보여질 메시지를 생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4는 통신 태그(400)로부터 매칭 대상 정보 대신에 외부 장치의 페어링 정보를 수신하여 이용하는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통신 태그(400)를 감지한 통신 단말기(100)가(단계 S33) 그 통신 태그(400)에 페어링 정보를 요청하고(단계 S35), 통신 태그(400)로부터 외부 장치에 대응되는 페어링 정보를 수신하고(단계 S37) 저장한다(단계 S41).
여기서 통신 태그(400)로부터 수신되는 페어링 정보라는 것은 외부 장치와 별도의 페어링 과정이 없더라도 해당 외부 장치에 착신 신호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로서, 단순히 해당 외부 장치의 아이피 주소에 해당할 수도 있다.
이후의 과정 즉, 단계 S43 내지 단계 S45는 도 3의 단계 S13 내지 단계 S25에 대응되는 것이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특정 액세스 포인트(200)에 접속됨에 따라 착신 신호 포워딩 기능을 활성화하는 제어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우선,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특정 액세스 포인트 정보와 외부 장치 즉 셋탑박스(300)에 대응되는 페어링 정보는 미리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한다(단계 S61, 단계 S63).
통신 단말기(100)는 액세스 포인트(200)와 통신을 수행하고(단계 S65), 기 설정된 액세스 포인트(200)에 통신 접속이 이루어진 경우(단계 S67), 착신 신호 포워딩 기능을 활성화한다(단계 S69).
예를 들어 저장부(190)에 특정 액세스 포인트 정보(예를 들어 AP_1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AP_1(200) 과의 통신 접속이 이루어진 경우 통신 단말기(100)는 착신 신호 포워딩 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이다.
착신 신호 포워딩 기능이 활성화된 이후의 과정 즉, 단계 S73 내지 단계 S85의 과정은 앞서 설명한 단계 S43 내지 단계 S55의 과정과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AP_1(200) 과의 통신 접속이 해제된 경우 통신 단말기(100)는 착신 신호 포워딩 기능을 비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착신 신호가 수신되더라도 통신 단말기(100)는 셋탑박스(300)로 착신 신호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는다.
앞선 실시예에서는 페어링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페어링 정보 대신에 외부 장치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되었다.
이 경우 특정 액세스 포인트(200)로의 접속을 감지한 경우(단계 S97) 통신 단말기(100)는 기 저장된 외부 장치 정보를 추출하고(단계 S98), 추출한 외부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셋탑박스(300)와 페어링을 수행하고(단계 S99), 페어링 정보를 저장한다(단계 S100).
이후의 과정 즉, 단계 S101 내지 단계 S115는 도 5의 단계 69 내지 단계 S85에 대응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도 7은 충전 케이블에 연결되는 경우에 통신 단말기(100)에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낸다.
즉, 전원에 연결된 충전 케이블의 접속을 감지하는 경우(단계 S121) 통신 단말기(100)는 팝업 메시지를 표시하여(단계 S123) 사용자로 하여금 착신 신호 포워딩 기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따라 착신 신호 포워딩 기능이 설정되는 경우(단계 S125) 통신 단말기(100)는 착신 신호 포워딩 기능을 활성화시킨다(단계 S127).
착신 신호 포워딩 기능이 활성화된 이후의 과정 즉, 착신 신호가 수신되었을 때 그 착신 신호에 대응되는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은 앞선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충전 케이블 연결을 감지한 경우 팝업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통신 단말기(100)는 그러한 팝업 메시지 표시와 함께 또는 팝업 메시지를 표시하지 않고 자동으로 착신 신호 포워딩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발신 번호가 TV에 표시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문자 메시지의 내용이 그대로 TV에 표시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통신 단말기는 착신 신호에서 문자 메시지를 추출하여 셋탑박스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 : 통신 단말기 200 : 액세스 포인트
300 : 셋탑박스 310 : TV
400 : 통신 태그 110 : 착신 신호 감지부
120 : 페어링 정보 추출부 130 : 착신 신호 포워딩부
140 : 태그 통신부 150 : 페어링 수행부
160 : 판단부 170 : 기능 활성화부
180 : 표시 제어부 190 : 저장부

Claims (21)

  1.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외부의 통신 태그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통신 태그로부터 매칭 대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매칭 대상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하고, 페어링 수행에 따른 페어링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착신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페어링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 신호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상기 추출한 페어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장치에 전달하여 표시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신호는 음성/영상 호 착신 신호, 문자 메시지 착신 신호와, 푸쉬 메시지 착신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신호에 대응되는 메시지에는 상기 착신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무선 통신 접속 장치와 통신 접속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착신 신호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상기 페어링 정보에 대응되는 외부장치에 전달하는 착신 신호 포워딩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신호 포워딩 기능의 활성화에는 기 설정된 매칭 대상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하고, 페어링 수행에 따른 페어링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무선 통신 접속 장치와의 통신 접속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착신 신호 포워딩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전원과 연결된 충전 케이블의 연결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착신 신호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상기 페어링 정보에 대응되는 외부장치에 전달하는 착신 신호 포워딩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팝업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충전 케이블의 연결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착신 신호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상기 페어링 정보에 대응되는 외부장치에 전달하는 착신 신호 포워딩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11. 제1항 내지 제3항,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2. 저장부와;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외부의 통신 태그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통신 태그로부터 매칭 대상 정보를 수신하는 태그 통신부와;
    상기 태그 통신부에 수신된 매칭 대상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하고, 페어링 수행에 따른 페어링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페어링 수행부와;
    착신 신호를 감지하는 착신 신호 감지부와;
    상기 착신 신호 감지부에서 착신 신호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저장부로부터 페어링 정보를 추출하는 페어링 정보 추출부와;
    상기 착신 신호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상기 페어링 정보 추출부에서 추출한 페어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장치에 전달하여 표시를 요청하는 착신 신호 포워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신호는 음성/영상 호 착신 신호, 문자 메시지 착신 신호와, 푸쉬 메시지 착신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신호에 대응되는 메시지에는 상기 착신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5. 삭제
  16. 삭제
  17. 제12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무선 통신 접속 장치와 통신 접속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 기 설정된 무선 통신 접속 장치와 통신 접속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착신 신호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상기 페어링 정보에 대응되는 외부장치에 전달하는 착신 신호 포워딩 기능을 활성화하는 기능 활성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활성화부의 상기 착신 신호 포워딩 기능의 활성화 제어에 따라 기 설정된 매칭 대상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하고, 페어링 수행에 따른 페어링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페어링 수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 기 설정된 무선 통신 접속 장치와 통신 접속이 해제된 경우, 상기 기능 활성화부는 상기 착신 신호 포워딩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20. 제12항에 있어서,
    전원과 연결된 충전 케이블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충전 케이블이 연결된 경우 상기 착신 신호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상기 페어링 정보에 대응되는 외부장치에 전달하는 착신 신호 포워딩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팝업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21. 제12항에 있어서,
    전원과 연결된 충전 케이블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충전 케이블이 연결된 경우, 상기 착신 신호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상기 페어링 정보에 대응되는 외부장치에 전달하는 착신 신호 포워딩 기능을 활성화하는 기능 활성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KR1020130032215A 2013-03-26 2013-03-26 착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통신 단말기,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101633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215A KR101633155B1 (ko) 2013-03-26 2013-03-26 착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통신 단말기,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215A KR101633155B1 (ko) 2013-03-26 2013-03-26 착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통신 단말기,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149A KR20140117149A (ko) 2014-10-07
KR101633155B1 true KR101633155B1 (ko) 2016-06-23

Family

ID=51990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2215A KR101633155B1 (ko) 2013-03-26 2013-03-26 착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통신 단말기,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31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098B1 (ko) * 2014-10-15 2021-09-09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연결을 위한 전자 장치 및 통신 연결 방법
KR101705752B1 (ko) 2015-01-02 2017-02-10 주식회사 케이티 기기 등록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4151A (ko) 2003-01-09 2004-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단말기의 착신 알림방법
KR101325835B1 (ko) * 2006-10-02 2013-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정보의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영상정보의 무선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티브이 장치
KR20100112917A (ko) * 2009-04-10 2010-10-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를 이용한 게시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게시판 서비스 서버, 셋탑박스 및 시스템
KR101272714B1 (ko) * 2011-07-14 2013-06-10 최용주 무선 cid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동글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149A (ko) 2014-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78569B (zh) 网络调整方法及装置
US8532573B2 (e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40114702A (ko) 상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70061103A (ko) 설비의 작업 상태를 설정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WO2021081796A1 (zh) 寻呼信令接收方法和装置、寻呼信令发送方法和装置
JP2010081436A (ja) 無線通信システム、携帯通信端末、表示装置および着信確認方法
CN105791532A (zh) 一种来电提醒的方法以及终端
WO2012098802A1 (ja) ローカル情報配信システム
CN111010721A (zh) 无线配网方法、无线配网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633155B1 (ko) 착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통신 단말기,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JP4365893B2 (ja) 無線通信端末、及び携帯電話機
KR101874087B1 (ko) 무선 태그를 이용한 통화 기능 제어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CN105049899A (zh) 电视投影控制方法、装置和终端设备
JP2011234218A (ja) 車両用の無線通信システム、車載装置、携帯通信端末、および車両用の無線通信方法
JP2010074372A (ja) 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および報知情報の送受信方法
JP2009194586A (ja) 通信システム
TW201427382A (zh) 通訊轉接系統及方法
CN107172199A (zh) 一种移动终端的状态更新方法及装置
KR101748369B1 (ko) 통신 단말 장치, 멀티미디어 단말 장치, 단말 장치 연동 시스템 및 방법
CN108696914B (zh) 扫描智能设备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145584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 설정 방법
CN105636079A (zh) 网络确定方法及装置
KR101767425B1 (ko) 단말 장치 연동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1711469B1 (ko) 모바일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과,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메시지 전송 방법
KR20120119830A (ko) 문자 대화를 지원하는 장치 및 문자 대화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