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2807B1 - 자체 조정가능한 포일을 포함하는 포일 서스펜션장치 - Google Patents

자체 조정가능한 포일을 포함하는 포일 서스펜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2807B1
KR101632807B1 KR1020147006413A KR20147006413A KR101632807B1 KR 101632807 B1 KR101632807 B1 KR 101632807B1 KR 1020147006413 A KR1020147006413 A KR 1020147006413A KR 20147006413 A KR20147006413 A KR 20147006413A KR 101632807 B1 KR101632807 B1 KR 101632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il
track
arm
suspension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6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7036A (ko
Inventor
보리센
Original Assignee
타이달 세일즈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달 세일즈 에이에스 filed Critical 타이달 세일즈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40067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7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6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 F03B17/062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at right angle to flow direction
    • F03B17/065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at right angle to flow direction the flow engaging parts having a cyclic movement relative to the rotor during its rotation
    • F03B17/066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at right angle to flow direction the flow engaging parts having a cyclic movement relative to the rotor during its rotation and a rotor of the endless-chai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 F03B13/26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tide energy
    • F03B13/264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tide energy using the horizontal flow of water resulting from tide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3/00Machines or engines of reaction type; Parts or details peculiar thereto
    • F03B3/12Blades; Blade-carrying rotors
    • F03B3/14Rotors having adjustable blades
    • F03B3/145Mechanisms for adjusting the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50/00Geometry
    • F05B2250/10Geometry two-dimensional
    • F05B2250/11Geometry two-dimensional triangul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70Adjusting of angle of incidence or attack of rotating blades
    • F05B2260/71Adjusting of angle of incidence or attack of rotating blades as a function of flow veloc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ography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Magnetic Bearings And Hydrostatic Bearings (AREA)
  • Supporting Of Heads In Record-Carrier Device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전형적으로 조류인 유체 흐름(2) 속에 포일(34)이 배치되고, 상기 포일(34)은 회전축(42) 둘레에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포일(34)은 아암(40)에 의하여 트랙(4)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아암(40)은 상기 회전축(42) 둘레에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42)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소정 거리 떨어져서 서스펜션 축(48) 둘레로 상기 트랙(4)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서스펜션 축(48)은 상기 회전축(42)과 평행하게 되어 있는 자체 조정가능한 포일 서스펜션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자체 조정가능한 포일을 포함하는 포일 서스펜션장치{A DEVICE OF A SELF-ADJUSTING FOIL SUSPENSION}
본 발명은 자체 조정가능한 포일 서스펜션(foil suspension)에 관한 것이다. 특히, 전형적으로 조류(tidal flow)와 같은 유체 흐름에 포일이 놓이게 되어 포일이 회전축 둘레로 회전하게 되어 있는 자체 조정가능한 포일 서스펜션에 대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포일"이라는 용어는, 유동수(flowing water)로부터 에너지를 추출할 때 유리한 유동 패턴을 제공하기 위하여 형성된 전체적인 또는 요소적인 구조체를 의미한다. 이 용어는 또한 동일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세일(sails)을 포함한다.
유동수 속에서 여러 풀리(pulleys)에 걸쳐 이어지는 벨트에 회전가능하게 포일을 부착하는 기술은 공지되어 있다. 독일특허 GB2131490은 바람과 유동수로부터 에너지를 추출하기 위한 플랜트를 개시하고 있는데, 여기서는 두 개의 벨트가 삼각형 형태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그 벨트들 사이에 유체 흐름에 따라 조정가능하도록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된 포일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포일의 서스펜션은 비교적 단순하고, 다른 흐름 조건 하에서, 단지 제한된 각도 범위 내에서만, 가장 유리한 각도로 스스로 위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단점의 적어도 하나를 치유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또 종래 기술에 대해 유용한 대안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전형적으로 조류(tidal flow)와 같은 유체 흐름에 포일이 놓이게 되어 있고, 상기 포일은 회전축 둘레로 회전하게 되어 있는 자체 조정가능한 포일 서스펜션으로서, 상기 포일 서스펜션에서 상기 포일이 아암에 의하여 트랙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아암은 회전축 둘레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일정 거리 떨어져 서스펜션의 축 둘레에서 트랙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서스펜션 축은 상기 회전축에 평행하게 되어 있는, 자체 조정가능한 포일 서스펜션이 제공된다.
그리하여, 상기 포일은 상기 트랙에 대하여 이중 힌지(double hinging)를 가져서, 물의 흐름에 대하여 유리한 위치로 스스로 조정할 수 있는 추가의 자유도가 주어진다. 본 발명은 또한 유동 흐름 방향에서의 변화에 의해 포일의 간단한 순간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포일에 대한 흐름 방향에 있어서 그러한 변화는, 예를 들어, 상기 트랙의 방향이 변경된 상기 트랙의 부분으로 상기 포일이 들어감으로써 발생할 수 있고, 유동 흐름의 방향이 변경됨으로써 발생할 수도 있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포일의 양력(lift) 중심과, 적용 위치에서 상기 포일의 전방 부분 사이에 있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포일의 양력 중심 보다 상기 포일의 전방 부분에 더 가깝다.
상기 포일의 프로파일(profile)에 대한 상기 회전축의 위치는 우월적인 조건(prevailing conditions)으로 조절되어야 하나, 상기 포일의 전방 부분에 가까운 위치는, 일반적으로, 유리한 출발 지점이 될 것이다.
상기 아암은 상기 포일에 대하여 출발 위치로 회전하도록 편향력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출발 위치는 상기 포일의 전방 위치로부터 뒤쪽으로 돌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편향력은, 예를 들어 스프링이나 탄성 밴드 형태로 탄성부재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더 큰 설비나 플랜트에서는 가스 스프링이나 유압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할 수도 있다. 어떤 경우에는, 풀리에 걸쳐 연장하는 로프에 매달린 하중과 같이, 중력에 기반을 둔 시스템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상기 아암은 해제가능한 잠금장치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아암이 상기 포일의 전방 부분에 대하여 앞으로 돌출할 때, 상기 회전축 둘레로 상기 아암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잠금장치는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하는 힘에 의해 해제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트랙은 적어도 벨트나 가이드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암은, 예컨대 로프, 벨트 또는 체인의 형태로 트랙에 회전가능하게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더 큰 설비나 플랜트에서는, 가이드가 유리하고, 상기 아암은 가이들 블럭이나 가이드 돌리(guide dolly)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어떤 공지된 형태의 벨트나 체인은 상기 포일로부터 변위시키는 힘을 수용하고 바람직한 간격으로 몇 개의 포일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트랙은 그 길이를 따라 적어도 일부분에 스위칭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스위칭 부재는, 예를 들어, 포일이나 포일에 연결된 부재가 부딪히게 될 풀리 또는 레일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위칭 부재는 통상 상기 트랙의 방향이 변경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종류의 스위칭 부재들의 작동이 장치 적용의 부분을 설명하는 실시예에서 추가로 자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여러 가지 실험에 의하면 다음 사실이 밝혀졌다. 유체 유동의 방향에서 보아서 포일의 제1 열 뒤에 포일의 제2 열이 배치되어 있으면, 제1 열에 있는 포일이 사용가능한 에너지의 일정 부분을 흡수하게 되고, 제2 열에 있는 포일은 사용가능한 에너지의 추가 부분을 흡수하게 된다. 이것은, 유체흐름 방향에 대하여 상기 포일의 가장 바람직한 입사각에서 유체 유동이 최대 설계 속도를 초과하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포일은 더 작은 입사각으로 회전할 수 있고, 물에서 더 많은 에너지가 상기 포일의 제2 열로 가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자체 조정가능한 포일에서 실제적인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데, 특히 가장 바람직한 입사각에서 상기 포일의 수중 허용 속도에 근접하거나 초과하는 유동 속도에서 더욱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플랜트(energy plant)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일 조립체의 측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상기 포일 조립체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과 같은 것을 나타내나, 포일이 물의 흐름에 대하여 자체 조정된 후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4와 같은 것을 나타내나, 포일이 물의 흐름에 대하여 추가로 자체 조정된 후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6은 도 1의 에너지 플랜트에 대하여 적용된 포일 조립체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6의 상기 포일 조립체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도면 부호 1은 도면에서 화살표들로 표시된 유체 흐름(2)으로부터 에너지를 추출하기 위한 에너지 플랜트를 나타낸다. 상기 에너지 플랜트(1)는, 여기서 제1 방향전환 풀리(6), 제2 방향전환 풀리(8) 및 제3 방향전환 풀리(10) 둘레로 연장하는 로프의 형태로 되어 있는 트랙(4)을 구비한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트랙은(4)은 삼각형 형태를 가진다. 상기 트랙(4)의 제1 스트레치(12)는 상기 제3 방향전환 풀리(10)와 상기 제1 방향전환 풀리(6) 사이로 연장된다. 상기 트랙(4)의 제2 스트레치(14)는 상기 제1 방향전환 풀리(6)와 상기 제2 방향전환 풀리(8) 사이로 연장된다. 상기 제1 스트레치(12)와 상기 제2 스트레치(14)는 상기 유체 흐름(2)에 대해 각도를 갖고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2 방향전환 풀리(8)와 상기 제3 방향전환 풀리(10)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3 스트레치(16)는, 주된 위치에 있고, 상기 유체 흐름(2)의 흐름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되어 있다. 상기 에너지 플랜트(1)는 조류로부터 에너지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는 스위칭 풀리의 형태로 되어 있는 스위칭 부재(18)는 상기 제1 방향전환 풀리(6)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작동 부재(20)는 상기 제2 방향전환 풀리(8)에 배치되어 있고, 제2 작동 부재(22)는 상기 제3 방향전환 풀리(10)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작동 부재(20, 22)는 각각의 제2, 제3 방향전환 풀리(8, 10)로부터 축방향으로 일정거리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고정된 제1 지지부재(24)가 상기 트랙(4)의 제3 스트레치(16)에서 상기 제2 방향전환 풀리(8)에 배치되어 있다. 상응하게 고정된 제2지지부재(26)가 상기 제3 방향전환 풀리(8)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제2 지지부재(24, 26)는 여기서 지지 풀리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지지부재(24) 반대편에, 제1 불활성화 부재(28)가 배치되어 있다. 상응하게, 제2 지지부재(26)에는 제2 불활성화 부재(30)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제2 불활성화 부재(28, 30)는 여기서 불활성화 풀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트랙(4)은, 각각 제1 지지부재(24)와 제1 불활성화 부재(28) 사이 그리고 제2 지지부재(26)와 제2 불활성화 부재(30) 사이로 연장된다.
도 2는 포일(34)과, 적용 위치에 있을 때, 상부와 하부에서 자체 조정가능한 서스펜션(36)을 구비하는 포일 조립체(32)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부" 및 "하부"와같은 용어는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것이나, 당연히, 상기 포일 조립체(32)는 다른 위치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포일(34)은 공지된 원리에 따라, 유동하는 물의 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포일(34)이 조류와 같은 유체 흐름(2) 속에서 사용되고, 상기 포일(34)은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포일(34)은 흐름의 방향에서 상기 포일(34)을 따라 궁극적으로 유효한 양력이 작용하는 지점으로 정의되는 양력 중심(38)을 가진다.
상기 포일 서스펜션(36)은 회전축(42) 둘레로 회전할 수 있는 아암(40)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축(42)에 연결된 샤프트(44)가, 적용 위치에서, 상기 포일의 전방 부분(46)에서 상기 포일(34)과 아암(40)을 통하여 연장된다.
상기 아암(40)은 또한, 상기 회전축(42)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소정 거리에 떨어져 위치하고 상기 회전축(42)에 평행한 서스펜션 축(48) 둘레로 회전할 수 있다.
서스펜션 샤프트(50)가 상기 아암(40)에 부착되어 있고 서스펜션 슬리브(52) 안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서스펜션 슬리브(52)는 상기 트랙(4)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트랙(4)은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스프링 패키지 형태로 된 탄성 부재(54)가 상기 서스펜션 샤프트(50)와 상기 포일(34)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54)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포일(34)이 그 작동 위치로 회전할 때 늘어나는 제1 스프링(56)을 구비한다. 제2 스프링(58)은 상기 포일(34)이 유체 흐름(2)에 대하여 가장 바람직한 위치에 있을 때에만 맞닿게 되고, 미리 정해진 유체 속도가 초과될 때만 늘어난다. 상기 아암(40)의 위치는 도 3과 도 7에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아암(40)의 시작 위치를 구성한다.
도 6과 도 7은 도 1에 보인 에너지 플랜트에 적용될 포일 조립체(32)를 나타내고, 여기서 상기 포일 서스펜션(36)은 상기 샤프트(44) 둘레로 회전할 수 있는 가이드 슬리브(60)를 구비한다. 추가로, 상기 트랙(4)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서스펜션 샤프트(50)는 상기 아암(40) 상의 베어링 하우징(62)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탄성 부재(54)는 도 6과 도 7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여기서는 상기 포일(34) 안에 있고, 상기 샤프트(44)는 상기 아암(40)에 고정되어 연결되어 있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우선 상기 포일 조립체에 관하여 설명할 것이다.
포일(34)에 대한 유체 흐름(2)이 증가할 때, 상기 포일(34)은 상기 유체 흐름(2)에 대하여 바람직한 위치로 상기 회전축(42) 둘레로 회전하게 되고, 한편 상기 탄성 부재(54)의 제1 스프링(56)은 도 4와 도 5와 같이 늘어나게 된다. 상기 스프링(56, 58)은 도 3에만 표시되어 있다. 상기 양력 중심(38)에 대한 상기 서스펜션 축(48)의 위치는, 여러가지 다른 유체 유동 속도에서의 사용을 위한 목적에 바람직한 위치로 상기 포일(34)을 위치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도 5에 보인 바와 같은 위치에서, 상기 탄성 부재(54)의 제2 스프링(58)은 맞닿는 위치에 오고, 상기 유체 흐름(2)의 속도가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할 때만 상기 포일(34)이 상기 유체 흐름(2)에 대하여 추가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제2 스프링(58)이 늘어나게 된다.
상기 포일 조립체(32)를 대칭적인 구조로 설계함으로써, 상기 포일이 양쪽 방향으로 유체 흐름(2)에 의하여 적절히 자체조정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제 상기 에너지 플랜트(1)의 작동에 대하여 도 1,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상기 트랙(4)의 제1 스트레치(12)를 따라 이동하는 포일 조립체(32)에서, 상기 포일(34)은 상기 유체 흐름(2)에 대하여 바람직한 위치로 그 위치를 자체 조정하게 된다. 상기 포일(34)에 작용하는 유체 흐름(2)으로부터 힘이 상기 트랙(4)으로 전달되고 이어서 상기 제1 방향전환 풀리(6)를 통하여 도시되지 않은 발전기로 전달된다.
상기 포일 조립체(32)가 상기 제1 방향전환 풀리(6)에 도달할 때, 상기 포일(34)은 상기 스위칭 부재(18)를 치게 된다. 상기 트랙(4)의 이동이 계속된다는 사실에 의해, 상기 서스펜션 축(48)이 상기 트랙(4)에 의해 당겨지고, 상기 포일 조립체(32)가 상기 트랙(4)의 제2 스트레치(14)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아암(40)은 상기 포일(34)의 반대 측면으로 튕겨지고 상기 유체 흐름(2)에 대하여 자체 조정하게 된다.
상기 포일 조립체(32)가 상기 제2 방향전환 풀리(8)를 통과할 때, 상기 가이드 슬리브(60)가 상기 제1 불활성화 부재(28)에 대하여 부딪히게 된다. 상기 제1 지지부재(24)는 상기 가이드 슬리브(60)가 상기 트랙(4)에 대하여 측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아준다. 그리하여, 상기 포일(34)은, 포일(34)의 전방 부분으로부터 앞으로 돌출하는 위치로 상기 아암(40)이 상기 트랙(4)에 의하여 회전됨으로써 상기 포일(34)이 상기 트랙(4)을 따라 직선으로 되고 나서야 상기 포일(34)이 지나갈 수 있게 된다. 이 위치에서, 상기 아암(40)은 도시되지 않은 해제가능한 잠금장치에 의하여 상기 포일(34)에 대하여 잠기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포일 조립체(32)는 상기 유체 흐름(2)에 대하여 자체로 조정할 수 있게 되지 않아도 상기 트랙(4)의 상기 제3 스트레치(16)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포일 조립체(32)가 상기 제3 방향전환 풀리(10)에 도달할 때, 상기 가이드 슬리브(60)는 도시되지 않은 해제가능한 잠금장치를 그 잠금 위치로부터 이동시키는 상기 제2 비활성화 부재(22)에 대하여 부딪힌다. 그리하여, 상기 포일(34)은, 상기 포일 조립체(32)가 상기 트랙(4)의 제1 스트레치(12)로 다시 이동할 때, 상기 유체 흐름(2) 속에서 자유로이 정렬된다.
상기 에너지 플랜트(1)는 양 쪽의 조류 방향으로부터 유체 흐름(2)과 동등하게 기능하게 된다.
1: 에너지 플랜트 2: 유체 흐름
4: 트랙 6, 8, 10: 방향전환 풀리
12, 14, 16: 스트레치 18: 스위칭 부재
20, 22: 작동부재 32: 포일 조립체
34: 포일 40: 아암

Claims (10)

  1. 포일(34)이 포일 서스펜션장치에 장착되고, 상기 포일(34)은 포일(34)의 전방 부분(46)에 위치하는 회전축(42) 둘레에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는, 자체 조정가능한 포일을 포함하는 포일 서스펜션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일(34)은 아암(40)에 의하여 트랙(4)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아암(40)은 상기 회전축(42) 둘레에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42)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소정 거리 떨어져서 서스펜션 축(48) 둘레로 상기 트랙(4)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서스펜션 축(48)은 상기 회전축(42)과 평행하게 되어 있고,
    상기 아암(40)은 출발 위치로 회전하도록 편향력이 부여되어 있고, 상기 아암(40)은 상기 포일(34)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편향력은 상기 포일(34)에서 상기 아암(40)에 고정되는 탄성 부재(54)에 의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조정가능한 포일을 포함하는 포일 서스펜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42)은, 상기 포일(34)이 사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포일(34)의 양력 중심(38)과 상기 포일(34)의 전방 부분(46) 사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조정가능한 포일을 포함하는 포일 서스펜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42)은 상기 포일(34)의 양력 중심(38)에 대해서 보다, 상기 포일(34)의 전방 부분(46)에 더 가깝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조정가능한 포일을 포함하는 포일 서스펜션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40)은 해제가능한 잠금장치에 결합될 때까지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조정가능한 포일을 포함하는 포일 서스펜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4)은 적어도 벨트 또는 가이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조정가능한 포일을 포함하는 포일 서스펜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4)은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스위칭 부재(18)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조정가능한 포일을 포함하는 포일 서스펜션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부재(18)는 풀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조정가능한 포일을 포함하는 포일 서스펜션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부재(18)는 레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조정가능한 포일을 포함하는 포일 서스펜션장치.
KR1020147006413A 2011-09-21 2012-09-19 자체 조정가능한 포일을 포함하는 포일 서스펜션장치 KR1016328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O20111280 2011-09-21
NO20111280A NO333434B1 (no) 2011-09-21 2011-09-21 Anordning ved selvregulerende foiloppheng
PCT/NO2012/050178 WO2013043057A1 (en) 2011-09-21 2012-09-19 A device of a self-adjusting foil suspens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036A KR20140067036A (ko) 2014-06-03
KR101632807B1 true KR101632807B1 (ko) 2016-06-22

Family

ID=47914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6413A KR101632807B1 (ko) 2011-09-21 2012-09-19 자체 조정가능한 포일을 포함하는 포일 서스펜션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40212286A1 (ko)
EP (1) EP2758654A4 (ko)
KR (1) KR101632807B1 (ko)
CN (1) CN103814210B (ko)
CA (1) CA2845788A1 (ko)
NO (1) NO333434B1 (ko)
WO (1) WO20130430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03379A (zh) * 2014-04-21 2015-10-28 深圳市天益智网科技有限公司 水体动能电能转换装置
NO20150164A1 (no) * 2015-02-05 2016-08-08 Tidal Sails As Fremgangsmåte og anlegg for utnyttelse av en vannstrømsenergi
KR102499657B1 (ko) * 2015-05-18 2023-02-13 씨큐런트 홀딩 비.브이. 유체의 흐름으로부터 에너지를 전환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FI128463B (en) 2016-10-17 2020-05-29 Teknologian Tutkimuskeskus Vtt Oy Meripropulsiojärjestelmä
FR3069031B1 (fr) * 2017-07-12 2019-08-09 Hugues Filiputti Turbine
FR3069030B1 (fr) * 2017-07-12 2020-02-07 Institut Polytechnique De Grenoble Centrale hydroelectrique
JP6731561B1 (ja) * 2020-01-13 2020-07-29 憲郎 東福 流体発電装置及び発電装置の設置構造
NO345747B1 (en) 2020-10-20 2021-07-12 Tidal Sails As An underwater power plant comprising asymmetric foils
EP4299897A1 (en) * 2022-06-29 2024-01-03 Relidal, SL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electricity from a fluid stream in a body of wat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07069A1 (en) 2006-05-05 2008-01-10 Jurgen Diederich Fluid Energy-Harnessing Apparatus
US20090302612A1 (en) * 2007-11-23 2009-12-10 Matthew Charles Gartner Oscillating energy capture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7562A (en) * 1898-04-27 1899-06-27 William Wood Propeller.
US1522820A (en) * 1922-06-02 1925-01-13 Homola Victor Stream or current motor
US1525600A (en) * 1924-05-17 1925-02-10 George H Woolever Water motor
US3138362A (en) * 1964-01-07 1964-06-23 Dominion Eng Works Ltd Kaplan turbines
US3918827A (en) * 1974-11-19 1975-11-11 Conn J L Fuel less water pressure machine
GB2131490B (en) * 1982-08-04 1986-05-08 Roger William Bentley Device for extracting energy from wind or water
GB2131491B (en) * 1982-11-08 1986-05-08 Roger William Bentley Device for extracting energy from wind or water
JPS59120783A (ja) * 1982-12-27 1984-07-12 Hidekazu Ueda 可動羽根式かご型水車
JPS60162073A (ja) * 1984-02-03 1985-08-23 Hitachi Ltd 斜流水車用ランナベ−ン操作機構
FR2658565A1 (fr) * 1990-02-19 1991-08-23 Carre Francois Rotor-helice simplifie a regulation autonome par variation automatique de pas.
AT401409B (de) * 1995-03-08 1996-09-25 Lukas Peter Vorrichtung zur erzeugung mechanischer energie aus strömungen
EP1960659B1 (en) * 2005-12-08 2011-09-07 Theo Devaney Tidal stream energy conversion system
NO327843B1 (no) * 2008-02-14 2009-10-05 Are Borgesen Anordning ved stromningskraftverk
EP2284387A3 (en) * 2009-08-10 2013-02-27 Matthew Charles Gartner Oscillating energy capture mechanis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07069A1 (en) 2006-05-05 2008-01-10 Jurgen Diederich Fluid Energy-Harnessing Apparatus
US20090302612A1 (en) * 2007-11-23 2009-12-10 Matthew Charles Gartner Oscillating energy capture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20111280A1 (no) 2013-03-22
NO333434B1 (no) 2013-06-03
EP2758654A1 (en) 2014-07-30
CA2845788A1 (en) 2013-03-28
KR20140067036A (ko) 2014-06-03
RU2014114435A (ru) 2015-10-27
CN103814210B (zh) 2016-06-01
CN103814210A (zh) 2014-05-21
US20140212286A1 (en) 2014-07-31
EP2758654A4 (en) 2015-05-06
WO2013043057A1 (en) 201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2807B1 (ko) 자체 조정가능한 포일을 포함하는 포일 서스펜션장치
EP1654457B1 (en) Extracting energy from flowing fluids
US20130045080A1 (en) Cross flow wind or hydrokinetic turbines
US20090235660A1 (en) Device for converting wave energy
KR20140085561A (ko) 특히 조력 발전소용 수차를 위한 로터 및 그 작동 방법
WO2016179591A1 (en) Hydraulic turbine
WO1998007983A1 (es) Mejoras introducidas en sistemas eolicos de produccion de energia
US20180023535A1 (en) Method and Plant for Exploitation of the Energy of a Water Current
JP7213011B2 (ja) 水力発電装置用の流路規制装置
CA2383846A1 (en) Wind power machine
CA2974479A1 (en) Wind turbine with rotary guides
WO2009081438A2 (en) Rotary fluid motor device with a vertical axis for the production of energy
JPS642788B2 (ko)
KR101348619B1 (ko) 충격완화유닛이 구비된 풍력발전기
RU257412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аморегулируемой подвески крыла
KR20100115800A (ko) 수류에너지 추출 장치
JP2010270721A (ja) ハイブリッド垂直軸型高効率タービン及び発電装置。
KR200364417Y1 (ko) 배관 지지장치
RU2030777C1 (ru) Ветроэлектроустановка
JPH0666243A (ja) 流力動力装置
RU2169288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энергии гидравлического потока
US20200158080A1 (en) Energy conversion system
AU2012101179A4 (en) Improved cross flow wind or hydrokinetic turbines
RU94004577A (ru) Ветродвигатель
WO2007131306A1 (en) Wind turb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