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2477B1 - 육계의 성장촉진용 사료첨가제, 이를 이용한 사료 조성물 및 사육 방법 - Google Patents

육계의 성장촉진용 사료첨가제, 이를 이용한 사료 조성물 및 사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2477B1
KR101632477B1 KR1020130168682A KR20130168682A KR101632477B1 KR 101632477 B1 KR101632477 B1 KR 101632477B1 KR 1020130168682 A KR1020130168682 A KR 1020130168682A KR 20130168682 A KR20130168682 A KR 20130168682A KR 101632477 B1 KR101632477 B1 KR 101632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broiler
present
feed composition
we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8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0265A (ko
Inventor
김인호
조진호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68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477B1/ko
Publication of KR20150080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0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47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계의 성장촉진용 사료첨가제, 이를 이용한 사료 조성물 및 사육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축의 도축 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축 피부 부산물을 단백질 분해효소로 처리하여 얻은 가축 피부 부산물의 효소 분해물을 포함하여 육계의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육계의 성장율은 증가시킬 수 있고 사료요구율은 감소시킬 수 있는 육계의 성장촉진용 사료첨가제, 이를 이용한 사료 조성물 및 사육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육계의 성장촉진용 사료첨가제, 이를 이용한 사료 조성물 및 사육 방법{A feed additive for improving growth performance of broiler, a feed composition and a breed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육계의 성장촉진용 사료첨가제, 이를 이용한 사료 조성물 및 사육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축의 도축 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축 피부 부산물을 단백질 분해효소로 처리하여 얻은 가축 피부 부산물의 효소 분해물을 포함하여 육계의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육계의 성장율은 증가시킬 수 있고 사료요구율은 감소시킬 수 있는 육계의 성장촉진용 사료첨가제, 이를 이용한 사료 조성물 및 사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료 성분은 사료 배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가금류 사료의 일부에 대해 통상적이지 않는 사료를 이용하는 것은 매우 효과적이고 사료분쇄기에서 경제적으로 사료를 만들수 있도록 한다(Sahraei et al., International Journal of Agriculture: Research and Review, 2012, 2, 352-356). 가금류 사료에 포함된 고기와 뼈 분말의 증가된 수준은 이들의 통상적인 사료보다 더 값싼 단백질, 칼슘 및 인의 공급원으로서 부분적으로 가격을 줄여줄 수 있다.
동물과 가금류 도축 기술에 있어 인상적 변화는 개별적인 가공 라인을 통해 고기와 뼈, 가금류 부산물, 가죽, 혈액 및 동물 피부와 같은 다양한 동물 및 가금류 부산물을 생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는 것이다. 현재 이러한 동물 및 가금류 부산물은 폐기될 경우 환경에 위험이 될 정도로 많은 양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폐기되는 가축 피부 부산물을 활용할 수 있는 사료첨가제를 개발하고자 연구한 결과, 가축의 도축 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축 피부 부산물을 단백질 분해효소로 처리하여 얻은 가축 피부 부산물의 효소 분해물을 육계에게 급여한 경우 육계의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육계의 성장율은 증가시킬 수 있고 사료요구율은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40936호(2002.5.31.)
본 발명의 목적은 폐기되는 가축 피부 부산물을 이용한 육계의 성장촉진용 사료첨가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사료첨가제를 포함하는 육계 사육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사료 조성물을 육계에게 급여하여 육계를 사육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가축의 도축 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축 피부 부산물을 단백질 분해효소로 처리하여 얻은 가축 피부 부산물의 효소 분해물을 포함하는 육계의 성장촉진용 사료첨가제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계육은 우육이나 돈육과 같은 다른 포유동물의 육류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살코기 부분에 지방 함량이 낮아 소비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계육의 생산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는 육계의 성장률을 증가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육계의 성장률을 증가시킬 수 있는 사료첨가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현재 가축의 도축 과정에서 많은 양의 가축 피부 부산물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가축의 도축 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축 피부 부산물은 가금류를 위한 단백질 공급원이 될 수 있으나, 그대로 사용될 경우 가금류가 소화시키기 어려워 이용에 제한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저렴한 가격으로 육계의 성장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사료첨가제를 개발하고자 연구한 결과, 가축의 도축 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축 피부 부산물을 단백질 분해효소로 처리하여 얻은 가축 피부 부산물의 효소 분해물을 육계에게 급여한 경우 육계의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육계의 성장율은 증가시킬 수 있고 사료요구율(feed conversion ratio, FCR)은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본 발명에서 최초로 규명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가축 피부 부산물"은 가축의 도축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로서, 가축의 피부 부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축 피부 부산물은 돼지 또는 소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돼지로부터 유래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단백질 효소는 펩신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축 피부 부산물의 단백질 분해효소 처리는 바람직하기로 단백질 효소를 포함하는 아세트산 수용액 중에 가축 피부 부산물을 침지하여 수행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기로, 상기 가축 피부 부산물은 침지 전에 분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침지 시 온도는 1 내지 10℃일 수 있으며, 침지 시간은 24 시간 내지 72 시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돼지 껍질 또는 소 가죽을 물로 세척하고, 0.5% Na2S와 0.3% 비이온계면활성제 용액에 18시간 동안 침지한 다음, 다시 물로 세척하고, 0.5% Na2CO3에 18시간 동안 침지한 후 분쇄하여 분말 형태의 가축 피부 부산물을 얻고, 상기 분말 형태의 가축 피부 부산물을 1% 펩신을 포함하는 30배 부피의 0.5M 아세트산 수용액 중에 4℃에 48시간 동안 침지한 후, 상기 침지 혼합물을 2000g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나서 침전물과 상층액을 개별적으로 건조하여 각각의 건조 분말을 혼합하여 최종적으로 가축 피부 부산물의 효소 분해물을 얻었다.
본 발명의 가축 피부 부산물의 효소 분해물은 육계의 성장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육계에게 돼지 피부 유래 효소 분해물을 급여하고 이들의 성장율을 조사한 결과, 기초 사료만을 급여한 경우에 비해 돼지 피부 유래 효소 분해물을 급여한 경우에 육계의 성장율은 증가하고 사료요구율은 감소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육계의 성장촉진용 사료첨가제를 포함하는 육계 사육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육계의 성장촉진용 사료첨가제는 바람직하기로 전체 사료 조성물의 100 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육계의 성장촉진용 사료첨가제를 상기 범위로 포함함으로써 육계의 성장율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사료 조성물은 상기 육계의 성장촉진용 사료첨가제 이외에, 육계의 유지와 성장을 위해 반드시 사료로부터 공급되어야 할 필수 영양소로서 에너지, 아미노산, 광물질, 비타민 및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에너지는 일반적으로 육계 사육용 사료 조성물에서 많은 요구량으로 인해 가장 비싼 영양소이며, 탄수화물과 지방 그리고 단백질(아미노산)의 3가지 공급원이 주로 에너지 공급원으로 사용된다. 동물에게 일반적으로 에너지 공급원의 관점으로 보면, 탄수화물이 가장 중요한 에너지 공급원이고, 다음으로 지방이 중요한 에너지 공급원으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탄수화물 공급원으로는 옥수수, 밀, 수수, 귀리, 보리, 호밀, 조, 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옥수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탄수화물 공급원은 바람직하기로 전체 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 내지 7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옥수수는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의 탄수화물 공급원으로서 사용된다. 옥수수는 육계 사료에 가장 많이 이용되는 사료 원료로 전분질이 많고 조섬유 함량이 적은 편으로 소화가 잘되며 곡류 사료중 조지방의 함량(4~6%)이 비교적 높은 편이다. 옥수수는 조섬유 함량이 비교적 낮아 소화율이 좋고 기호성이 양호하나 단백질의 함량이 낮고 특히 lysine과 tryptophan이 부족하며 질이 낮아 이용율이 떨어진다. 본 발명에서, 옥수수는 바람직하기로 전체 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 내지 7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단백질 공급원은 에너지와 아미노산의 공급을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대두박, 옥수수 글루텐 밀, 채종박, 옥수수 글루텐 밀, 면실박, 홍화박, 참깻묵, 알팔파, 루핀박, 어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단백질 공급원은 바람직하기로 전체 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5 내지 5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대두박은 육계 사육용 사료 조성물의 단백질 공급원으로서 사용된다. 대두박은 대두에서 기름을 추출하고 난 부산물로서 조단백질 함량이 44~50% 정도로 높을 뿐만 아니라 아미노산이 균형되어 부족된 단백질과 아미노산 결합을 보충해 준다. 본 발명에서, 대두박은 바람직하기로 전체 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4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옥수수 글루텐 밀은 옥수수 전분제조 과정에서 생산되는 부산물로 단백질 함량이 40%로 매우 높아 가금류 사육용 사료 조성물의 단백질 공급원으로서 사용된다. 옥수수 글루텐 밀은 라이신(lysin)이 절대적으로 부족하지만 크산토필(xanthophyll) 함량이 300 mg/kg 이상으로 육계나 산란계에 있어서 착색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에서, 옥수수 글루텐 밀은 바람직하기로 전체 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지방 공급원으로는 대두유, 채종유, 우지, 어유, 코코넛유, 야자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지방 공급원은 바람직하기로 전체 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1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대두유는 상기한 바와 같이 지방 공급원으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대두유는 바람직하기로 전체 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1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광물질은 가축의 체내에서 골격을 형성하고 또 대사과정 중에서 중요한 영양소로서 이용될 수 있다. 광물질은 가축의 체내에 분포되어있는 정도에 따라 그 요구량이 달라질 수 있는데, 보통 Ca, P, Na, Cl, K, Mg의 요구량은 많으며, Fe, Zn, I, Se, Mn, Cu 등의 요구량은 미량으로 알려져 있는데 사료에 있어서 K, Mg, Mn, S 등은 사료속에 충분히 함유되어 부족 되지 않으나 그 외의 광물질은 사료에 첨가 급여하여 주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광물질 공급원으로는 인산칼슘, 석회석, 미네랄 프리믹스, 및 탄산칼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산칼슘은 육계 사육용 사료 조성물의 인(P) 및 칼슘(Ca) 공급원으로서 사용된다. 사료용 인산칼슘의 종류에는 제1인산칼슘, 제2인산칼슘, 및 제3인산칼슘으로 구별되어지며, 제3인산칼슘이 안정성면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인산칼슘은 바람직하기로 전체 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5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석회석은 육계 사육용 사료 조성물의 칼슘 보급을 위해 사용되는 사료용 석회석으로서, CaCO3의 함량이 높을수록 좋고, 100-200 메쉬(mesh)의 입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석회석은 바람직하기로 전체 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2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미네랄 프리믹스는 육계에게 필요한 미네랄을 사료의 배합 시 원료들과 혼합이 용이하게 미리 제조한 혼합물을 의미한다. 미네랄은 가금류의 체내에서 골격을 형성하고 또 대사과정 중에서 중요한 영양소로서 이용될 수 있다. 미네랄은 가축의 체내에 분포되어있는 정도에 따라 그 요구량이 달라질 수 있는데, 보통 Ca, P, Na, Cl, K, Mg의 요구량은 많으며, Fe, Zn, I, Se, Mn, Cu 등의 요구량은 미량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미네랄 프리믹스는 시판되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각 미네랄들의 적정 혼합 비율은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미네랄 프리믹스는 전체 사료 1kg 당 Zn, 37.5 mg; Mn, 37.5 mg; Fe, 37.5 mg; Cu, 3.75 mg; I, 0.83 mg; 및 Se, 0.23 mg을 제공하는 양으로 구성된 것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미네랄 프리믹스는 바람직하기로 전체 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5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비타민은 육계에 있어서 그 요구량이 극히 적지만 체내에서 각각 고유한 역할을 하는 유기물로서 모든 동물세포의 정상적인 대사작용에 필수적인 물질이다. 이러한 비타민은 지용성비타민과 수용성비타민으로 나누어진다. 지용성 비타민에는 비타민A, D, E, K가 있으며, 수용성비타민에는 비타민 B군(티아민, 리보플라민, 나이아신, 판토테닉산, 비타민 B6, 콜린, 폴라신, 비타민 B12)과 비타민 C가 있다. 이들 비타민류는 사료의 가공이나 저장의 단계에서 광선, 온도, 효소, 산소 등의 작용에 의해서 분해되기 쉽고 그 역가가 저하되기 쉽기 때문에 사료의 배합 시 첨가해줄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 비타민 프리믹스는 가축에게 필요한 비타민을 사료의 배합 시 원료들과 혼합이 용이하게 미리 제조한 혼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비타민 프리믹스는 시판되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각 비타민들의 적정 혼합 비율은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비타민 프리믹스는 전체 사료 1kg 당 비타민 A 15,000 IU; 비타민 D3 3,750 IU; 비타민 E 37.5 mg; 비타민 K3 2.55 mg; 티아민 3 mg; 리보플라빈 7.5 mg; 비타민 B6 4.5 mg; 비타민 B12 24 ug; 니아신 51 mg; 엽산 1.5 mg; 비오틴 0.2 mg; 판토텐산 13.5 mg을 제공하는 양으로 구성된 것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비타민 프리믹스는 바람직하기로 전체 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5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료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소금, 아미노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소금은 사료 조성물의 나트륨(Na) 및 염소(Cl) 공급원으로서 사용된다. 나트륨과 염소는 각각 체내에서 세포외 주요 양이온과 음이온이다. 염소는 소화액의 주요 음이온이다. 소금은 옥수수 및 대두박 위주의 사료에서 가축의 나트륨 및 칼륨 요구량을 충족시킬 수 있다. 나트륨이나 염소가 결핍되면 가축의 성장이 둔화되고, 사료효율이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소금은 바람직하기로 전체 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1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아미노산은 단백질 공급원을 통해 공급될 수도 있지만, 특히 필수적으로 필요한 필수아미노산의 경우 별도로 첨가하여 가축의 흡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별도로 첨가할 수 있는 아미노산의 종류로는 라이신, 메치오닌, 트레오닌 등이다. 본 발명에서, 별도로 첨가되는 아미노산은 바람직하기로 전체 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사료 조성물은 옥수수 40 내지 70 중량부, 대두박 20 내지 40 중량부, 대두유 3 내지 10 중량부, 미네랄 프리믹스 0.01 내지 0.5 중량부, 및 비타민 프리믹스 0.01 내지 0.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기로, 상기 사료 조성물은 옥수수 40 내지 70 중량부, 대두박 20 내지 40 중량부, 옥수수 글루텐 밀 5 내지 10 중량부, 대두유 3 내지 10 중량부, 인산칼슘 0.5 내지 5 중량부, 석회석 0.05 내지 2 중량부, 미네랄 프리믹스 0.01 내지 0.5 중량부, 비타민 프리믹스 0.01 내지 0.5 중량부, 소금 0.05 내지 1 중량부, 및 아미노산 0.01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사료 조성물을 육계에게 급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육계의 사육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육계의 성장촉진용 사료첨가제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은 육계에 급여함으로써 육계의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육계의 성장율은 증가시킬 수 있고 사료요구율은 감소시킬 수 있어 육계를 효율적으로 사육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가축의 도축 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축 피부 부산물을 단백질 분해효소로 처리하여 얻은 가축 피부 부산물의 효소 분해물을 육계에게 급여한 경우 육계의 성장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결과적으로 육계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사료첨가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료첨가제를 사료 조성물에 배합하여 육계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사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사료 조성물을 육계에 급여하여 육계의 성장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사육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실시예 1: 가축 피부 부산물의 효소 분해물 준비
가축 피부 부산물의 가수분해 분말(hydrolyzed render meal, HRM)과 가축 피부 부산물의 효소 분해물은 우신 식품회사(대한민국, 경기도, 포천)로부터 얻었다. HRM은 돼지 껍질을 이용하여 130℃와 500kpa의 수증기하에 건조 가공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가축 피부 부산물의 가수분해 분말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돼지 껍질 및 소 가죽을 10분 동안 깨끗한 물에서 씻었다. 그리고 나서 씻은 생피를 0.5% Na2S와 0.3% 비이온계면활성제 용액에 18시간 동안 침지하였다. 껍질을 제거하고 20분 동안 씻었고 그리고 나서 0.5% Na2CO3에 18시간 동안 침지하였다. 마지막에 껍질을 씻고 나서 보다 작게 잘라서 분쇄기에서 분쇄하였다. 그리고 나서 상기 분말을 30배 용량의 1% 펩신(1:10000 희석된 펩신사용, 원료 가축 피부의 건조중량에 기초하여 계산됨)을 포함한 0.5M 아세트산 수용액에 4℃에 48시간 동안 침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2000g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나서 침전물과 상층액을 개별적으로 건조하였다. 각각의 건조 분말을 혼합하여 최종 생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 실험 설계 및 동물 사육
총 720마리의 하루된 아바 에이커(Arbor Acre) 수컷 육계를 상업 부화장(Yang Ji Company, Cheonan, Choongnam, Korea)으로부터 구했다. 육계의 체중을 재고 무작위적으로 각 우리당 15 마리를 포함하도록 48 개의 우리(1.75 m × 1.75 m)에 넣었는데 각 사료처리군당 12개의 반복실험군을 가졌다. 초기 평균 체중은 43.0±4.5g(SD)이고 본 실험은 35일 동안 수행하였다. 실험 설계는 4개의 사료처리군으로 구성되었다: 대조군, 기초사료(BD); 3 중량% HRM을 포함하는 기초사료(HRM); 3 중량% 돼지 껍질 효소 분해물을 포함하는 기초 사료(SSM); 3 중량% 소 가죽 효소 분해물을 포함하는 기초 사료(CHM).
각각의 사료 처리군의 사료의 조성은 하기 표 1에 요약하였다. 다음의 2가지 단계의 사료과정을 이용하였다: 1일부터 12일까지의 초기사료와 12일부터 35일까지의 후기 사료. 기초사료(BD)는 권고량을 충족하거나 이를 초과하는 양으로 NRC(National Research Council, 1994)의 영양 권고량으로 조성하였다. 가수분해된 가공 분말(HRM), 돼지 껍질 효소 분해물(SSM), 소 가죽 효소 분해물(CHM)은 기초사료에 대두박 3 중량%를 대신하여 첨가하였다. 4개 사료의 조단백질, 신진대사 에너지, 리신과 메티오닌 함량을 동일하게 조정하였다.
모든 사료들은 매쉬 형태로 급여하였고 실험기간 동안 사료와 물에 임의대로 접근이 허용되었다. 육계들은 깨끗한 쌀겨 혹은 콩깍지가 깔린 콘크리트 바닥을 가지는 스테인레스강 우리에서 사육하였다. 모든 우리는 같은 실내에 있고 온도는 처음 3일 동안은 대략 33℃를 유지하였고 그리고 나서 24℃에 도달할 때까지 매주 3℃씩 낮추었다. 인공적인 빛은 형광등을 이용하여 24시간/일 동안 제공하였다.
Item Starter diet Finisher diet
BD* HRM* SSM* CHM* BD* HRM* SSM* CHM*
Ingredients, %
Corn 55.67 57.37 56.57 56.39 63.21 65.08 64.48 64.17
Soybean meal 28.25 23.43 24.63 24.53 24.61 19.61 19.18 19.56
Corn gluten meal 6.50 6.50 6.50 6.50 3.50 3.50 3.50 3.50
HRM - 3.00 - - 3.00 -
SSM - - 3.00 - - 3.00
CHM - - 3.00 - - 3.00
Soybean oil 5.50 5.50 5.50 5.50 4.89 4.89 4.89 4.89
Tricalcium phosphate 2.46 2.46 2.46 2.46 2.29 2.29 2.29 2.29
Limestone 0.89 0.89 0.89 0.89 0.75 0.75 0.75 0.75
Sodium chloride 0.20 0.20 0.20 0.20 0.20 0.20 0.20 0.20
DL-methionine,98% 0.17 0.19 0.19 0.19 0.19 0.19 0.19 0.19
L-lysine?C 0.21 0.31 0.28 0.29 0.21 0.32 0.33 0.30
Vitamin premix** 0.20 0.20 0.20 0.20 0.20 0.20 0.20 0.20
Mineral premix*** 0.20 0.20 0.20 0.20 0.20 0.20 0.20 0.20
Calculated composition
ME, kcal/kg 3113 3125 3107 3110 3063 3088 3066 3078
CP, % 22.00 22.05 21.88 22.03 19.00 19.02 19.09 19.05
EE 5.88 5.98 5.71 5.39 5.82 5.75 5.62 5.99
Lysine, % 1.10 1.11 1.10 1.12 1.01 1.01 1.00 1.03
Ca, % 1.01 1.00 1.01 1.03 0.90 1.00 1.01 1.05
Available P, % 0.80 0.81 0.80 0.79 0.75 0.81 0.80 0.80
Met + Cys, % 0.89 0.88 0.88 0.88 0.84 0.83 0.83 0.83
Analyzed composition
ME, kcal/kg 3115 3122 3109 3115 3065 3069 3066 3071
CP 22.30 22.46 22.38 22.39 19.10 19.32 19.30 19.31
EE 5.49 5.87 5.99 5.59 5.98 5.88 5.69 5.89
Ca 1.00 1.02 1.03 1.02 0.91 0.92 0.92 0.92
Met + Cys 0.88 0.87 0.87 0.87 0.85 0.84 0.84 0.84
Available P 0.45 0.46 0.46 0.46 0.40 0.41 0.41 0.41
Starter diets, provided during day 1 to 25. *BD, basal diet; HRM, hydrolyzed render meal; SSM, swine skin meal; CHM, cattle hide meal. **Provided per kilogram of diet: 15,000 IU of vitamin A, 3,750 IU of vitamin D3, 37.5 mg of vitamin E, 2.55 mg of vitamin K3, 3 mg of thia-min, 7.5 mg of riboflavin, 4.5 mg of vitamin B6, 24 ㎍ of vitamin B12, 51 mg of niacin, 1.5 mg of folic acid, 0.2 mg of biotin, and 13.5 mg of pantothenic acid. ***Provided per kilogram of diet: 37.5 mg of Zn (as ZnSO4), 37.5 mg of Mn (MnO2), 37.5 mg of Fe (as FeSO4·7H2O), 3.75 mg of Cu (as CuSO4·5H2O), 0.83 mg of I (as KI), and 0.23 mg of Se (as Na2SeO3·5H2O).
실시예 3: 화학적 분석
모든 사료와 단백질 원료는 AOAC(Association of Official Analysis Chemistry, 2000)에 의해 기술된 과정에 따라 DM, 조단백질, 섬유질, 조회분, 에테르 추출물, 칼슘(Ca) 및 인(P)을 측정하기 위해 분석하였다. Ca은 습식 회분 과정 후에 원자흡광광도법에 의해 분석되었고 P은 비색법에 의해 측정되었다. 모든 시료의 아미노산 조성은 110℃에서 24시간 동안 6N HCl로 산가수분해를 시킨 후에 아미노산 분석기(Biochrom 20; Pharmacia Biotech, Cambridge, Englan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황-함유 아미노산은 하룻밤 동안 차가운 과포름산 산화를 수행하고 이어서 가수분해시킨 후에 분석하였다. 에너지는 Parr 6100 oxygen bomb calorimeter (Parr instrument Co., Moline, Illinois,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분석된 SBM, HRM, SSM와 CHM의 영양조성은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Item, % SBM HRM SSM CHM
DM 88.14 89.25 90.01 89.92
EE 0.85 3.18 4.31 4.45
CF 3.68 2.12 3.01 3.11
Crude ash 6.25 3.05 3.02 3.10
Ca 0.40 0.80 0.66 0.78
Total P 0.60 0.75 0.71 0.69
Crude protein 46.00 65.00 52.00 48.00
Essential amino acid
Arginine 3.11 3.38 3.45 3.00
Histidine 1.08 1.46 1.66 0.98
Isoleucine 1.95 1.31 1.43 1.12
Leucine 3.24 2.99 3.38 2.37
Lysine 2.46 2.01 2.03 1.95
Methionine 0.54 0.58 0.53 0.40
Phenylalanine 2.15 1.83 2.17 1.30
Threonine 1.68 0.98 0.95 1.34
Tryptophan 0.45 - - -
Valine 2.16 1.95 2.39 1.45
Non essential amino acid
Alanine 1.95 4.47 5.46 3.52
Aspartic acid 5.09 3.46 3.69 3.19
Cystine 0.63 0.12 0.07 0.17
Glumatic acid 8.22 6.75 7.11 5.20
Glycine 1.89 8.35 10.69 6.73
Proline 2.85 5.82 6.10 4.30
Serine 2.24 1.34 0.90 1.89
Tyrosine 1.67 1.27 1.46 0.81
SBM, soybean meal; HRM, hydrolyzed render meal; SSM, swine skin meal; CHM, cattle hide meal.
실시예 4: 파라미터의 측정
체중(BW)과 사료섭취량은 12, 25일에 실험 시작 시점과 실험의 끝에 우리 단위로 측정하였다. 그리고 나서 이런 데이터는 우리당 체중증가(BWG)와 사료섭취량(FI)뿐만 아니라 사료요구율(FCR)를 측정하는데 이용하였다. 실험의 끝에 12 마리의 육계(우리당 3마리의 육계)는 각 처리군으로부터 무작위적으로 선택되고 나서 혈액시료를 멸균된 주사기를 이용하여 날개맥으로부터 수집하였다. 수집 후에 시료의 반은 진공(겔을 포함하는 항응고제) 혹은 K3EDTA 진공관으로 즉시 옮겨지고(Becton Dickinson Vacutainer Systems, Franklin Lakes, NJ) 추가적 분석 때까지 -4℃ 냉장고에 저장되었다. 시료의 나머지는 혈청을 분리하기 위해 3000 ×g로 15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그리고 나서 혈청에서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 농도는 자동생화학분석기(HITACHI 747, Hitachi, Tokyo,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추가적으로 백혈구(WBC), 적혈구(RBC)와 림프구 수준를 자동혈액분석기(ADVIA 120, Bayer, NY,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35일에 12 마리의 육계(3 마리의 육계/ 우리)를 무작위적으로 각 처리군으로부터 선택하고 그리고 나서 경추파열법에 의해 도축하고 나서 간, 지라, 파브리시우스낭, 가슴근육, 복부지방과 모래주머니를 제거하고 씻었다. 기관무게는 BW의 백분율로 표현하였다. 가슴살 L*(백색도), a*(적색도)와 b*(황색도) 값을 Minolta CR410 chromameter (Konica Minolta Sensing Inc., Osaka, Japan)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pH 값은 각 시료에 대해 pH 미터를 이용하여 두번씩 측정하였다(Fisher Scientific, Pittsburgh, PA).
통계 분석을 위하여, 모든 데이터들을 실험단위로서 규정된 우리를 가지고 SAS(SAS Institute, 1996)의 General Linear Models procedure를 이용하여 ANOVA에 의해 분석하였다. 모든 처리군 사이에서 차이는 던컨의 다중범위검정에 의해 분리되었다(Duncan, 1955). 0.05보다 낮은 확률값은 유의적으로 간주되었다.
실시예 5: 결과 분석
상기 실시예 2 내지 4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수행한 실험 결과를 하기 표 3 내지 표 6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먼저 가축 피부 부산물의 효소 분해물이 육계의 성장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Items BD HRM SSM CHM SE 유의성
수준
1-11 d
BWG, g 221 225 223 224 7 NS
FI, g 312 321 330 327 6 NS
FCR 1.412 1.427 1.480 1.460 0.054 NS
12-25 d
BWG, g 756 820 793 781 23 NS
FI, g 1,263 1,320 1,267 1,279 21 NS
FCR 1.671 1.610 1.598 1.638 0.028 NS
26-35 d
BWG, g 743b 849a 844a 753b 24 *
FI, g 1,460 1,538 1,464 1,453 30 NS
FCR 1.965a 1.812ab 1.735b 1.930a 0.048 *
1-35 d
BWG, g 1,720b 1,893a 1,860a 1,759b 22 *
FI, g 3,036b 3,179a 3,061b 3,059b 25 *
FCR 1.765a 1.679bc 1.646c 1.739ab 0.023 *
BD, basal diet; HRM, BD with 3% hydrolyzed render meal; SSM, BD with 3% swine skin meal; CHM, Basal diet with 3% cattle hide meal.
Standard error.
a,b, cMeans in the same row with different superscripts differ.
*significant different (P<0.05); NSno significance.
상기 표 3을 통해, 실험의 처음 11일 동안 BWG는 각각 HRM, CHM와 SSM(225g, 224g와 223g)에서보다 BD(221g)에서 보다 낮음을 알 수 있다. 실험의 25일까지 다른 처리군보다 HRM 처리군에서 가장 높은 성장(820g)을 하였다(P>0.05). 그러나 시장성이 있는 연령에서 모든 HRM(849g와 1893g)와 SSM(844g와 1860g) 처리군은 다른 처리군보다 유의적으로 보다 높았다(P<0.05). 전체 실험 기간동안 HRM 처리군을 급여한 육계는 다른 처리군과 비교하여 가장 높은 FI(3179g)을 보였다(P<0.05). 1-11일 실험 기간 동안 FCR은 다른 처리군에서 보다 BD 처리군(1.412)에서 보다 낮았고(P>0.05) 반면에 시장성이 있는 연령까지 SSM 처리군(1.646)은 각각 BD, HRM와 CHM 처리군(1.679, 1.739와 1.765)과 비교하여 FCR이 가장 낮았다(P<0.05).
가축 피부 부산물의 효소 분해물이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Items BD HRM SSM CHM SE 유의성
수준
pH 5.54 5.63 5.67 5.80 0.09 NS
L* (Lightness) 55.58 56.48 54.35 55.58 1.33 NS
a* (Redness) 12.49 12.36 12.23 13.03 0.61 NS
b* (Yellowness) 9.28b 11.37a 9.70ab 11.18ab 0.60 *
BD, basal diet; HRM, BD with 3% hydrolyzed render meal; SSM, BD with 3% swine skin meal; CHM, Basal diet with 3% cattle hide meal.
Standard error.
a, bMeans in the same row with different superscripts differ.
*significant different (P<0.05); NSno significance.
상기 표 4를 통해, 육계육의 황색도(b*)는 기초사료(9.28)에서 보다 HRM 처리군(11.37)에서 유의적으로 보다 높음을 알 수 있다(P<0.05). pH, 백색도(L*) 및 적색도(a*)는 사료처리군에 의해 영향받지 않았다.
가축 피부 부산물의 효소 분해물이 상대적 기관무게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Items, % BD HRM SSM CHM SE 유의성
수준
Liver 2.25 2.53 2.61 2.52 0.16 NS
Spleen 0.10 0.12 0.12 0.12 0.01 NS
Bursa of Fabricius 0.16 0.16 0.18 0.17 0.02 NS
Breast muscle 18.38 17.86 17.17 17.40 0.61 NS
Abdominal fat 1.34 1.54 1.53 1.19 0.32 NS
Gizzard 0.93 1.09 0.90 0.94 0.09 NS
BD, basal diet; HRM, BD with 3% hydrolyzed render meal; SSM, BD with 3% swine skin meal; CHM, Basal diet with 3% cattle hide meal.
Standard error.
NSno significance.
상기 표 5를 통해, 간, 지라, 파브리시우스낭, 가슴근육, 복부지방과 모래주머니의 상대적 기관무게는 사료처리군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음을 알 수 있다(P>0.05).
가축 피부 부산물의 효소 분해물이 육계의 혈액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Items, % BD HRM SSM CHM SE 유의성
수준
RBC, 106/ul 2.09 2.11 2.11 1.95 0.05 NS
WBC, 103/ul 375.48 388.23 397.76 326.78 22.71 NS
Lymphocyte, % 69.50 76.00 77.50 82.75 6.42 NS
AST 224.75 251.25 226.00 210.75 19.39 NS
BD, basal diet; HRM, BD with 3% hydrolyzed render meal; SSM, BD with 3% swine skin meal; CHM, Basal diet with 3% cattle hide meal.
Standard error.
NSno significance.
상기 표 6을 통해, RBC 농도, WBC 농도, AST 활성 및 림프구 수준은 사료처리군 간에 어떤 차이도 없음을 알 수 있다(P>0.05).

Claims (6)

  1. 돼지의 도축 과정에서 발생되는 돼지 껍질을 펩신으로 처리하여 얻은 돼지 껍질의 효소 분해물을 포함하는 12일령 이후 육계의 사료요구율 감소용 사료첨가제.
  2. 삭제
  3. 육계에 있어서의 사료요구율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제1항의 사료첨가제를 육계에게 12일령 이후에 급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방법.
  4. 제1항의 사료첨가제를 포함하는 12일령 이후 육계 사육용 사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첨가제는 전체 사료 조성물의 100 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된 사료 조성물.
  6. 제4항의 사료 조성물을 육계에게 12일령 이후에 급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육계의 사육 방법.
KR1020130168682A 2013-12-31 2013-12-31 육계의 성장촉진용 사료첨가제, 이를 이용한 사료 조성물 및 사육 방법 Active KR101632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682A KR101632477B1 (ko) 2013-12-31 2013-12-31 육계의 성장촉진용 사료첨가제, 이를 이용한 사료 조성물 및 사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682A KR101632477B1 (ko) 2013-12-31 2013-12-31 육계의 성장촉진용 사료첨가제, 이를 이용한 사료 조성물 및 사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265A KR20150080265A (ko) 2015-07-09
KR101632477B1 true KR101632477B1 (ko) 2016-06-22

Family

ID=53792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8682A Active KR101632477B1 (ko) 2013-12-31 2013-12-31 육계의 성장촉진용 사료첨가제, 이를 이용한 사료 조성물 및 사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2477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581B1 (ko) * 2000-11-25 2003-08-14 주식회사 남전물산 도계 부산물을 이용하는 애완동물기호성 사료의 제조방법
KR20030031067A (ko) * 2003-03-24 2003-04-18 (주)경기화학약품상사 우내피 또는 돈피 슬러지를 이용한 사료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265A (ko) 2015-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terling et al. Responses of broiler chickens to cottonseed-and soybean meal-based diets at several protein levels
Rosenfeld et al. The effect of using different levels of shrimp meal in broiler diets
Ramasubburayan et al. Characterization and nutritional quality of formic acid silage developed from marine fishery waste and their potential utilization as feed stuff for common carp Cyprinus carpio fingerlings
Hernández et al. Partial replacement of fish meal by porcine meat meal in practical diets for Pacific white shrimp (Litopenaeus vannamei)
Jahanian et al. Effect of extrusion processing of soybean meal on ileal amino acid digestibility and growth performance of broiler chicks
CN102669492A (zh) 一种瘦肉型育肥猪用饲料
Nørgaard et al. Salmon protein hydrolysate as a protein source in feed for young pigs
Nourmohammadi et al. Plasma thyroid hormone concentrations and pH values of some GI-tract segments of broilers fed on different dietary citric acid and microbial phytase levels
Khajepour et al. Dietary crude protein, citric acid and microbial phytase and their interacts to influence growth performance, muscle proximate composition and hematocrite of common carp, Cyprinus carpio L, juveniles
Abdollahi et al. Influence of soybean bioactive peptides on performance, foot pad lesions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broilers
Djissou et al. Use of Moringa oleifera leaves and maggots as protein sources in complete replacement for fish meal in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diets
KR101657750B1 (ko) 산란계 산란율 증가용 사료첨가제, 이를 이용한 사료 조성물 및 사육 방법
Sembratowicz et al. The effect of diet with fermented soybean meal on blood metabolites and redox status of chickens
Kaiser et al. Effects of supplemented anti-nutritive substances from rapeseed on growth and health performance of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Lee et al. Haemoglobin powder as a dietary fish meal replacer in juvenile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Temminck et Schlegel)
Dan et al. Nutritional evaluation of soybean meal after fermentation with two fish gut bacterial strains, Bacillus cereus LRF5 and Staphylococcus caprae CCF2 in formulated diets for Labeo rohita fingerlings
Ali et al. Synergetic role of energy and oat with enzymes on physiological performance of broiler
Laining et al. Influence of dietary phytic acid on growth, feed intake, and nutrient utilization in juvenile Japanes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Nwanna et al. Phosphorus requirements of African catfish, Clarias gariepinus, based on broken-line regression analysis methods
KR101632477B1 (ko) 육계의 성장촉진용 사료첨가제, 이를 이용한 사료 조성물 및 사육 방법
CN116349799A (zh) 一种提高蛋鸡产蛋性能的低豆粕节粮饲料及其制备方法
CN105639068A (zh) 一种仔猪配合饲料
AU2014348514B2 (en) Methods of feeding animals fermentation cell mass
Sumanasekara et al. Effect of protease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s, carcass and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iler chicken fed with low protein diets
CN109907181A (zh) 一种低鱼粉蛋白珍珠龙胆石斑鱼配合饲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4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0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6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6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