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2266B1 - Mounting structure of fixed blade, plate-shaped fixed blade and crusher - Google Patents
Mounting structure of fixed blade, plate-shaped fixed blade and crush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32266B1 KR101632266B1 KR1020090059126A KR20090059126A KR101632266B1 KR 101632266 B1 KR101632266 B1 KR 101632266B1 KR 1020090059126 A KR1020090059126 A KR 1020090059126A KR 20090059126 A KR20090059126 A KR 20090059126A KR 101632266 B1 KR101632266 B1 KR 1016322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ade
- fixed
- fixed blade
- rotary
- crush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10008 shea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29910001315 Tool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953 base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22 bl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49 combustible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Landscapes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요약) 경제성이 풍부하고, 고정날의 교환 작업이 간편한 고정날의 설치 구조, 칩 형상의 고정날 및 파쇄 장치를 제공한다.(Summary) Provided are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a fixed blade which is economical and which is easy to replace the fixed blade, a chip-shaped fixed blade and a crusher.
(해결 수단) 소정 축심 둘레로 회전하는 파쇄 로터(6)의 둘레면에 배열 고정된 복수의 회전날(7)의 회동 경로에 배치되고, 회전날(7)과 맞물려서 피파쇄물을 전단 파쇄하는 고정날(8)의 설치 구조로서, 파쇄 로터(6)의 축심 방향을 따라 복수의 고정날(8)이 배열된 복수의 고정날 지지 부재(12)을, 파쇄 로터(6)과 대향 배치된 테이블(5)의 단차부에 고정날(8)이 회전날(7)과 대향하도록 배열해서 볼트 고정하고, 파쇄 로터(6)와 접촉하는 일 없이 고정날 지지 부재(12)를 상기 단차부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한 안내부를 구비한다.(7), which is arrang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crushing rotor (6) rotating around a predetermined axis, and which is engaged with the rotary blade (7) to shear crush the crushed material A plurality of fixed blade supporting members 12 having a plurality of fixed blades 8 arrange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crushing rotor 6 are arranged on the table 6 opposed to the crushing rotor 6, The fixed blade 8 is arranged to face the rotary blade 7 at the stepped portion of the fixed blade supporting member 12 so as to be bolted to the stepped portion of the fixed blade supporting member 12 As shown in Fig.
고정날, 파쇄 장치, 고정날 설치 구조 Fixing blade, crushing device, fixing blade mounting structure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정 축심 둘레로 회전하는 파쇄 로터의 둘레면에 배열 고정된 복수의 회전날의 회동 경로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날과 맞물려서 피파쇄물을 전단 파쇄하는 고정날의 설치 구조, 판상의 고정날, 및 파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a fixed blade disposed in a rotating path of a plurality of rotating blades arranged and fix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crushing rotor rotating around a predetermined axis and for crushing a crushed material by engaging with the rotating blade, And a crusher.
파쇄 장치는 원통 형상의 파쇄 로터의 둘레면에 고정된 복수의 회전날과 복수의 고정날이 상기 파쇄 로터의 회전에 따라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회전날과 상기 고정날에 의해 피파쇄물을 전단해서 파쇄하는 장치이다.The crushing device is arranged such that a plurality of rotary blades and a plurality of fixed blades fixed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crushing rotor face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crushing rotor, and the blades are sheared by the rotary blades and the fixed blades It is a device to crush.
그리고, 복수의 회전날은 파쇄 로터의 둘레면에 고정되고, 각 회전날이 파쇄 로터의 축심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파형이 되도록 배열되어 있다.The plurality of rotary blades are fixed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ttering rotor, and the rotary blades are arranged so as to have a waveform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ttering rotor.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허문헌 1에는 단면이 정방형의 각기둥 형상이고, 파쇄 로터의 둘레면에 배열 고정된 복수의 회전날과 맞물리도록 장척 판 형상 부재의 선단에 삼각 형상의 고정 칼날부(81)가 복수 형성된 톱날 형상의 고정날(80)이 개시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1, in
고정날(80)은 테이블(82)의 단차부에 볼트(83)를 통해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 고정되고, 고정날(80)의 표리 양면에 고정 칼날부(81)가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날(80)의 표면이 마모되면 표리 반전해서 이면을 사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The
그러나, 고정 칼날부(81)뿐만 아니라 고정날(80) 전체를 공구강이나 초경합금 등의 고가인 경질 재료로 일체적으로 형성할 경우에는, 고정날(80)을 표리 반전해서 사용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어도 복수의 고정 칼날부(81)의 일부가 마모되거나, 또는 파손되어 피파쇄물의 파쇄에 지장을 초래하면, 나머지의 고정 칼날부(81)가 충분히 사용 가능한 상태이여도 고정날(80) 전체를 교환할 필요가 있어 비경제적이었다.However, when the
또한, 고정날의 경사면과 회전날의 경사면이 전단 개시시에 어떤 전단 각도를 이루도록, 고정날이 파쇄 로터의 회전 축심의 전방으로 내려가는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고정날의 경사면이 회전축의 회전 축선에 대하여 소정의 거리 어긋난 위치의 단차부에 접촉해서 고정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고정날을 이탈할 때에 상기 고정날의 배면 하부가 단차부에 간섭해서 교환 작업도 번잡했다.The fixed blade is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fixed blade falls forward of the rotational axis of the crushing rotor so that the inclined surface of the fixed blade and the inclined surface of the rotating blade form a certain shear angle at the start of shear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ack surface of the fixed blade interferes with the stepped portion when the fixed blade is detached, and the exchange work is also troublesome.
그래서 본 출원인은, 특허문헌 2에 있어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강제의 고정용 기재(90)와 초경합금제의 날끝 부재(91)를, 동 등의 접합용 금속과 상하 일체로 접합하고, 스폿페이싱(spot facing)을 구비한 볼트 구멍(92)이 관통 형성된 복수의 고정날체(93)를, 회동날체의 회동 경로의 사이마다 들어가도록 기대 프레임(94)에 육각구멍붙이 볼트(95)를 통해서 개별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한 파쇄 장치의 고정날 설치 구조를 제안했다.12, the present applicant has proposed a technique in which a forcing
또한 특허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1축 전단 파쇄 장치는 피파쇄 물을 투입하는 호퍼와, 호퍼의 하방에 배치된 파쇄 처리부와, 파쇄 처리부를 향해서 수평 방향으로부터 피파쇄물을 압박하는 압박 기구 등을 구비하고 있다.Also, a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3, the single-shaft shearing-and-crushing apparatus comprises a hopper for feeding a crushed material, a crushing unit disposed below the hopper, a crushing unit for crushing the crushed material from the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crushing unit, And the like.
도 2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쇄 처리부(290)는 축심 둘레로 회전하는 파쇄 로터(291)의 둘레면에 둘레 방향으로 형성된 오목부로서의 홈부(292)에 고정된 선단 V자 형상의 회전날(293)과, 파쇄 로터(291)의 축심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회전날(293)과 맞물려서 피파쇄물을 전단 파쇄하는 선단 V자 형상의 고정날(294)을 구비하고 있다.25 (a), the
이러한 회전날(293)은 파쇄 로터(291)의 홈부(292)에 파형으로 배치된 회전날 부착 시트(293b)에, 1변이 수십㎜정도인 단일의 칩 형상(일정 두께를 갖는 판상)의 칼날체(293a)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날(294)은 파쇄 로터에 대향해서 배치된 테이블에 고정된 평판(294b)의 선단부에 파쇄 로터(291)의 축심 방향을 따라 V자 날(294a)이 형성되어 있다.The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파쇄 로터에 대향해서 배치된 테이블에 고정된 평판(294b)의 선단부에 파쇄 로터(291)의 축심 방향을 따라 V자 날(294a)이 형성된 고정날(294) 대신에, 도 2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쇄 로터와 대향해서 배치된 테이블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고정날 지지 부재(295b)의 선단부에 파쇄 로터의 축심 방향을 따라 고정날 부착 시트(295c)를 형성하고, 고정날 부착 시트(295c)에 1변이 수십㎜정도인 단일의 칩 형상의 칼날체(295a)를 부착해서 구성된 고정날(295)이 제안되어 있다.Instead of the
(선행 기술문헌)(Prior art document)
(특허문헌)(Patent Literature)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0-325810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0-325810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2004-89876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4-89876
(특허문헌 3) 일본 특허공개 평 9-57139호 공보(단락 0015, 도 2 참조)(Patent Document 3)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9-57139 (paragraph 0015, see Fig. 2)
특허문헌 2에 기재된 파쇄 장치의 고정날의 설치 구조에 의하면, 복수의 고정날체(93)의 일부가 마모되거나, 또는 파손되어 교환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그 고정날체(93)만을 교환해서 운전할 수 있고, 또한 고정날체(93)의 교환 작업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fixed blade of the crusher described in
그러나, 고정날체(93)의 제작 비용이 높다는 문제, 고정날체(93)측으로부터 기대 프레임(94)에 볼트(95)로 고정하는 구성 때문에 칼날의 표리를 바꾸어서 사용할 수 없고, 러닝 코스트도 높다고 하는 문제, 파쇄 장치의 운전시에 피파쇄물이 볼트(95)의 육각구멍이나, 볼트 구멍(92)의 스폿 페이싱 부분에 막혀, 교환 작업시에는 그것들을 제거하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어 개량이 요망되고 있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경제성이 풍부하고, 고정날의 교환 작업이 간편한 고정날의 설치 구조, 고정날 지지 부재, 칩 형상의 고정날, 및 파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xed blade mounting structure, a fixed blade supporting member, a chip-shaped fixed blade, and a crusher which are economical and easy to exchange fixed blades.
상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고정날의 설치 구조의 제 1 특징 구성은, 소정 축심 둘레로 회전하는 파쇄 로터의 둘레면에 배열 고정된 복수의 회전날의 회동 경로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날과 맞물려서 피파쇄물을 전단 파쇄하는 고정날의 설치 구조로서, 상기 파쇄 로터의 축심 방향을 따라 복수의 고정날이 배열된 고정날 지지 부재를 상기 파쇄 로터와 대향 배치된 테이블의 단차부에 상기 고정날이 상기 회전날과 대향하도록 배열해서 고정하고, 상기 고정날 지지 부 재를 상기 단차부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한 안내부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a first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xed blade installation structure, which is arranged in a rotation path of a plurality of rotary blades arranged and fix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crushing rotor, Wherein a fixed blade supporting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fixed blades arrange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crushing rotor is disposed at a stepped portion of the table arranged opposite to the crushing rotor, And a guiding portion for arranging and fixing the fixed blade so as to face the rotary blade and for releasing the fixed blade supporting member from the stepped portion.
상술의 구성에 의하면, 고정날을 파쇄 로터의 회전 축심보다 하방에 설치하고, 회전날과 고정날의 경사면이 소정의 앙각을 가져서 맞물리는 경우에도 안내부에 의해 로터 및 회전날과, 고정날이 접촉하는 것을 회피하여 고정날 지지 부재를 단차부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으므로 교환 작업이 간편해진다.According to the above construction, even when the fixed blade is disposed below the rotary axis of the crushing rotor and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rotary blade and the fixed blade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elevation angle, the rotor and the rotary blade, The fixed blade support member can be detached from the stepped portion by avoiding the contact, so that the replacement work is simplified.
동 제 2 특징 구성은, 상술의 제 1 특징 구성에 추가로, 상기 안내부는 상기 고정날 지지 부재의 배면 하부가 상기 파쇄 로터측으로 경사지는 모따기부로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first feature, the guide portion is constituted by a chamfered portion in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back surface of the fixed blade supporting member is inclined toward the crushing rotor.
상술의 구성에 의하면, 고정날 지지 부재의 배면 하부에 형성한 모따기부에 의해 테이블에 접촉하지 않고 착탈할 수 있으므로 교환 작업이 간편해진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since the chamfered portion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back surface of the fixed blade support member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without being in contact with the table, the exchange operation is simplified.
동 제 3 특징 구성은, 상술의 제 1 특징 구성에 추가로, 상기 안내부가 상기 고정날 지지 부재의 배면과 상기 단차부의 상승면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스페이서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The thir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resides in that, in addition to the first feature described above, the guide portion is constituted by a spacer block detachably fixed between the back surface of the fixed blade supporting member and the rising surface of the stepped portion.
상술의 구성에 의하면, 스페이서 블록을 분리하는 것에 의해 생긴 고정날 지지 부재의 배면과 단차부의 상승면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여 고정날 지지 부재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으므로 교환 작업이 간편해진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since the fixed blade supporting member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by using the space between the back surface of the fixed blade supporting member and the rising surface of the stepped portion formed by separating the spacer block, the replacement work is simplified.
동 제 4 특징 구성은, 상술의 제 1 내지 제 3 중 어느 하나의 특징 구성에 추가로, 고정날 지지 부재는 복수의 고정날을 개별적으로 수용하는 오목 형상의 부착 시트가 배열 형성되고, 각 부착 시트에 수용된 칩 형상의 고정날이 상기 고정날 지지 부재의 이면으로부터 볼트 고정되어 있는 점에 있다.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features, the fixed blade support member is formed by arranging concave attachment sheets for individually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fixed blades, And a fixed blade in the form of a chip housed in the sheet is bolted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fixed blade supporting member.
상술의 구성에 의하면, 고정날에는 볼트와 맞물리는 암나사만을 형성하면 되고, 볼트의 머리를 수용하는 스폿 페이싱을 작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고정날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고정날은 마모되어도 표리면 및 180도 회전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고정날 지지 부재에 공구강이나 초경합금 등의 고가인 재료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고정날만 공구강이나 초경합금 등을 사용하면 되고, 또한 칼날부가 마모되었을 때에도 표리면 또는 180도 회전시켜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이 뛰어나고, 또한 교환 작업도 간편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 construction, only the female screw engaged with the bolt can be formed in the fixed blade, and it is not necessary to form the spot pacing for accommodating the head of the bolt,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fixed blade can be reduced. The fixed blade can be used by rotating the top and bottom surfaces and 180 degrees even if it is worn. It is not necessary to use an expensive material such as tool steel or cemented carbide for the fixed blade supporting member and tool steel or cemented carbide can be used only for the fixed blade and also when the blade portion is worn, , And the exchange operation is also simplified.
동 제 5 특징 구성은, 상술의 제 4 특징 구성에 추가로, 상기 회전날과 상기 고정날은 각각 산형상의 칼날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날과 상기 고정날의 칼날부가 경사 자세로 맞물리도록 상기 고정날이 배치되고, 상기 파쇄 로터의 회전에 따르는 상기 회전날의 칼날부의 궤적과 상기 고정날의 칼날부의 간극이 상기 고정날의 칼날 폭의 중앙부에서 최소가 되도록 상기 고정날의 각 칼날부가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The fifth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n addition to the fourth characteristic feature, the rotary blade and the fixed blade each have a mountain-shaped blade, and the fixed and fixed blade are fixed Wherein each blade of the fixed blade has a straight line shape so that the locus of the blade of the blade and the gap of the blade of the fixed blade following the rotation of the crushing rotor is minimized at the center of the blade width of the fixed blade Is formed.
상술의 구성에 의하면, 파쇄 로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날과 고정날 사이에서 전단 파쇄될 때에 피파쇄물에 대하여 칼날 폭 전역에 걸쳐서 적당한 전단력을 얻을 수 있으므로, 작은 토크로 파쇄 로터를 회전시키면서도 매우 원활하게 파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hen the shearing-force is applied between the rotary blade and the fixed blade rotating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hattering rotor, a suitable shearing force can be obtained over the blade width over the entire width of the blade, It can be broken smoothly.
동 제 6 특징 구성은, 상술의 제 4 또는 제 5 특징 구성에 추가로, 상기 고정날이 각기둥으로 구성되고, 상기 칼날부가 상기 고정날의 표면 및 이면이 측면과 교차하는 엣지부이며, 상기 부착 시트에의 수용 자세를 식별하는 식별 수단이 형성 되어 있는 점에 있다.The sixth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n addition to the fourth or fifth feature, the fixed blade is formed of a prism, and the blade portion is an edge portion where the front surface and the back surface of the fixed blade intersect with the side surface, And an identification means for identifying the receiving position on the seat is formed.
상술의 구성에 의하면, 고정날은 식별 수단에 의해 부착 시트로의 수용 자세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고, 또한 다른 형상의 고정날에는 다른 식별 수단을 형성함으로써 고정날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fixed blade can easily identify the receiving posture to the attachment sheet by the identification means, and the fixed blade of the different shape can be identified by forming another identification means.
동 제 7 특징 구성은, 상술의 제 4 내지 제 6 중 어느 하나의 특징 구성에 추가로, 상기 부착 시트는 상기 회전날의 한쪽 칼날부가 상기 고정 칼날부의 한쪽 칼날부에 대하여 날뿌리로부터 맞물리고, 상기 회전날의 다른쪽 칼날부가 상기 고정날의 다른쪽 칼날부에 대하여 날끝으로부터 맞물리도록, 인접하는 고정날의 경사면이 다른 각도로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The seventh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n addition to any one of the fourth to sixth features, the attachment sheet has one blade portion of the rotary blade engaged with the blade root with respect to one blade portion of the fixed blade portion, And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adjacent fixed blades are formed at different angles so that the other blade of the rotary blade is engaged with the blade at the other blade of the fixed blade.
상술의 구성에 의하면, 우선, 상기 회전날의 한쪽 칼날부가 상기 고정 칼날부의 한쪽 칼날부에 대하여 날뿌리로부터 맞물리고, 다음에 상기 회전날의 다른쪽 칼날부가 상기 고정날의 다른쪽 칼날부에 대하여 날끝으로부터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피파쇄물에 대하여 항상 1점에서 가위와 같이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작은 토크로 파쇄 로터를 회전하면서도 매우 원활하게 파쇄할 수 있게 되어, 진동이나 소음을 저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력 비용도 저감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 construction, first, one blade of the rotary blade is engaged with the blade at one blade of the fixed blade, and then the other blade of the rotary blade is rotated about the other blade of the fixed blade It is engaged from the tip of the blade. Therefore, since the force acts like a scissor at one point on the object to be crushed, the crushing rotor can be crushed very smoothly even though the crushing rotor is rotated with a small torque, so that vibration and noise can be reduced and the power cost can be reduced .
동 제 8 특징 구성은, 상술의 제 1 내지 제 7 중 어느 하나의 특징 구성에 추가로, 상기 고정날 지지 부재에 상기 테이블에 대하여 상기 고정날 지지 부재를 장착/이탈하기 위한 조작 지그와 맞물리는 설치 구멍이 배면측에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The eigh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addition to any one of the first to seventh featured features, the fixed blade supporting member is engaged with an operation jig for mounting / disengaging the fixed blade supporting member with respect to the table And the mounting hole is formed so as to be inclined to the back surface side.
상술의 구성에 의하면, 회전날과 고정날의 접촉을 회피하고, 고정날 지지 부 재를 테이블으로부터 착탈할 수 있으므로 교환 작업이 간편해진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contact between the rotary blade and the fixed blade can be avoided, and the fixed blade support member can be attached / detached from the table.
본 발명에 의한 고정날 지지 부재의 특징 구성은, 상술의 제 1 내지 제 8 중 어느 하나의 특징 구성을 구비한 고정날의 설치 구조에 장착되는 점에 있다.The feature of the fixed blade suppor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is mounted on the fixed blade installation structure having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features.
본 발명에 의한 칩 형상의 고정날의 제 1 특징 구성은, 상술의 제 1 내지 제 8 중 어느 하나의 특징 구성을 구비한 고정날의 설치 구조에 장착되는 점에 있다.The first feature of the chip-shaped fixed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is mounted on the fixed blade mounting structure provided with any one of the first to eighth featured structures.
동 제 2 특징 구성은, 상기의 제 1 특징 구성에 추가로, 표면 및 이면이 측면과 교차하는 엣지부에 의해 4쌍의 칼날부가 형성된 각기둥으로 구성된 점에 있다.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addition to the first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the first and the second features are constituted by prisms each having four pairs of blade portions formed by edge portions where the front surface and the back surface intersect the side surface.
상술의 구성에 의하면, 하나의 고정날의 표리 및 전후를 교체함으로써 새로운 칼날부를 합계 4회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new blade portion can be used four times in total by replacing the front and back sides of one fixed blade.
본 발명에 의한 파쇄 장치의 특징 구성은, 상술의 제 1 내지 제 8 중 어느 하나의 특징 구성을 구비한 고정날의 설치 구조를 구비한 점에 있다.The characteristic construction of the cru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comprises a fixed blade mounting structure having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features of the first to eighth aspects.
(발명의 효과)(Effects of the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경제성이 풍부하고, 고정날의 교환 작업이 간편한 고정날의 설치 구조, 칩 형상의 고정날 지지 부재, 고정날 및 파쇄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INDUSTRIAL APPLICABILITY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a fixed blade, a fixed blade supporting member in the form of a chip, a fixed blade and a crusher, which are economical and easy to replace the fixed blade.
이하에, 본 발명에 의한 고정날의 설치 구조, 칩 형상(일정 두께를 갖는 판상)의 고정날 및 파쇄 장치의 제 1 실시형태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irst embodiment of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fixed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ed blade of the chip shape (plate with a certain thickness) and the crusher will be described.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쇄 장치(1)는 전화(電化) 제품, 건축 폐재, 플라스틱 등의 피파쇄물을 투입하는 수납 호퍼(2)와, 호퍼(2)에 투입된 피파쇄물을 파쇄 처리하는 파쇄 처리부(3)와, 파쇄 처리부(3)를 향해서 수평방향으로부터 피파쇄물을 압박하는 압입 푸셔(4)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 the crushing
압입 푸셔(4)는 유압 펌프(도시 생략)로부터의 압유에 의해 신축 작동하는 유압 실린더의 피스톤에 연결된 암(4a)이 푸셔(4)의 후단에 연결되어, 테이블(5) 상을 슬라이딩 또한 진퇴 이동 가능하게 구동된다.The push-in pusher 4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pusher 4 by an
파쇄 처리부(3)는 수납 호퍼(2)의 하방에 배치되고, 전동기(M)의 동력에 의해 소정 축심 둘레로 회전하는 파쇄 로터(6)의 둘레면에 배열 고정된 산형상의 칼날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회전날(7)과, 회전날(7)의 회동 경로에 배치된 산형상의 칼날부를 구비한 고정날(8)이 맞물려서 압입 푸셔(4)에 의해 밀려들어가는 피파쇄물을 전단 파쇄한다.The crushing processing section 3 is provided below the
파쇄 처리부(3)의 하부에는 파쇄 처리부(3)에 의해 소정 사이즈 이하로 파쇄된 피파쇄물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스크린 기구(10)와, 스크린 기구(10)를 통과한 피파쇄물을 수용하는 배출 호퍼(11)가 설치되어 있다.In the lower part of the crushing processing section 3, there are provided a
스크린 기구(10)는 파쇄 로터(6)의 회전 궤적에 따른 호 형상으로 만곡 형성되고, 다수의 작은 구멍이 형성된 펀칭 메탈 등으로 구성되며, 파쇄 처리부(3)에서 파쇄된 피파쇄물 중 스크린 기구(10)의 작은 구멍보다 작은 직경의 파쇄물이 스크린 기구(10)로부터 낙하해서 배출 호퍼(11)에 수용된다.The
이하, 상술의 파쇄 처리부(3)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above-mentioned crushing processing unit 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회전날(7)은 도 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면이 정방형의 각기둥으 로 구성되고, 파쇄 로터(6)의 둘레부에 소정의 피치로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다수의 V자 형상의 홈(6v) 내에 형성된 복수개의 부착 시트(6a)의 각각에 볼트(6b)로 조여 부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A, the
도 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회전날(7)은 이웃하는 홈(6v)에 설치되어서 근접하는 회전날(7)끼리가 그 정점을 연결하면 파형 형상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2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날(7)은 회전날(7)의 날끝의 선단 궤적이 파쇄 로터(6)의 회전 축심으로부터 가장 원거리가 되도록, 경사면이 파쇄 로터(6)의 회전 축심 방향에 대하여 각도(θ) 경사시켜서 부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b), the
고정날(8)은 도 3의 (a), (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및 이면이 측면과 교차하는 엣지부에 의해 날끝의 각도가 γ인 4쌍의 칼날부가 형성된 각기둥이고, 피파쇄물과의 마찰 등에 의해 날끝 및 칼날부가 무디어졌을 때에는 고정날(8)의 표리, 전후를 교체하여, 4쌍의 칼날부 중 새로운 칼날부에 의해 파쇄 처리를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날뿌리측의 측면이 교차하는 엣지에 후술하는 부착 시트(13)로의 수용 자세를 식별하는 식별 수단으로서의 노치(16)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3 (a), 3 (b) and 3 (c), the
고정날(8)은, 도 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치(16)가 형성된 엣지가 고정날(8)의 날뿌리측이 되도록 고정날 지지 부재(12)의 끝부를 따라 배열 형성된 복수의 오목 형상의 부착 시트(13)에 수용되고,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부착 시트(13)의 이면으로부터 볼트(14)로 조여 부착된다. 그리고, 고정날 지지 부재(12)는 고정날(8)이 회전날(7)과 대향하도록, 파쇄 로터(6)와 대향 배치된 테 이블(5)의 단차부에 상면으로부터 볼트(15)로 고정된다.4 (a), the fixed
부착 시트(13)는 고정날(8)의 파쇄 로터(6)와 대향하지 않는 이면 및 2측면과 접촉해서 지지하도록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날(8)의 날끝의 방향을 다르게 하면 끼워넣을 수 없거나, 또는 끼워넣을 수 있다고 해도 덜컹거린다. 따라서, 작업원은 날끝의 방향이 적절하지 않은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으므로 고정날의 설치시의 날끝 방향의 확인 작업이 간편해진다.Since the
고정날(8)을 부착 시트(13)에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는, 볼트 선단면이 고정날과 대략 동일면으로 함으로써 볼트 구멍에 피파쇄물이 걸리거나 끼이거나 해서, 암나사가 변형하거나 파손되거나 하지 않고, 표리면을 교체하여 사용할 때에 볼트의 착탈이 용이하게 된다.In the state where the fixed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날(7)과 고정날(8)의 칼날부가 각도(δ) 경사져서 맞물리도록 고정날(8)을 배치하면, 도 6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칼날 각도가 90도인 회전날(7)의 경우의, 고정날(8)의 칼날부(8', 8")에 대한 파쇄 로터(6)의 회전에 따르는 칼날부(7', 7")의 궤적은 곡선으로 된다.As shown in Fig. 5, when the fixed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날(8)의 칼날 각도가 90도이면 회전날(7)의 칼날부(7', 7")의 궤적과 고정날(8)의 칼날부(8', 8")의 간극은 회전날(7)의 날뿌리측이 작아지고, 날끝측이 커지며, 전단력은 날뿌리측에 치우쳐서 발생하게 된다. 6 (a), when the blade angle of the fixed
그래서,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간극이 고정날(8)의 칼날부(8', 8")의 칼날 폭의 중앙부에서 최소가 되도록 고정날(8)의 날끝 각도(γ)를 설정하면 상기 간극의 기울기가 감소하여 칼날 폭의 중앙부에서 최대의 전단력을 얻는다. 또한, 상기 각도(δ)를 대략 14.7도로 설정했을 때에 날끝 각도(γ)는 대략 85도가 된다.6 (b), the blade edge angle? (?) Of the fixed
상술의 구성에 의해, 압입 푸셔(4)에 의해 파쇄 처리부(3)를 향해서 압박된 피파쇄물이 파쇄 로터(6)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날(7)과 고정날(8) 사이에서 전단 파쇄됨에 있어서, 피파쇄물에 대하여 항상 1점에서 힘이 작용한다. 따라서, 작은 토크로 파쇄 로터(6)를 회전시키면서도 매우 원활하게 피파쇄물이 파쇄되게 되어, 진동이나 소음을 저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력 비용도 저감할 수 있게 된다.With the above construction, the object to be crushed by the push-in pusher 4 toward the crushing processing section 3 is transferred between the
다음에, 고정날(8)의 교환 작업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replacement operation of the fixed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날 지지 부재(12)의 배면 하부는 파쇄 로터(6)측에 안내부로서 모따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는 테이블(5)에 장착/이탈시키기 위한 조작 지그로서의 무두볼트(18)를 맞물림 가능한 볼트 구멍(17)이 배면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4 (b), a lower portion of the back surface of the fixed
고정날(8)의 마모나 결손이 생겼을 때에 고정날을 교환하기 위한 작업 순서를 설명한다. 우선, 도 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날 지지 부재(12)를 테이블(5)에 고정하는 볼트(15)을 분리함과 아울러 볼트 구멍(17)에 무두볼트(18)를 결합한다. 그 후에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두볼트(18)를 기립시켜 고정날 지지 부재(12)를 테이블(5)로부터 이간시키고, 도 7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날 지지 부재(12)를 테이블(5)로부터 끌어 올린다. 이렇게 해서, 고정날 지지 부재(12)는 고정날(8)과 회전날(7)이 접촉하지는 일 없이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고정날(8)은 볼트(14)를 분리하여 교환한다.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working procedure for replacing the fixed blade when the fixed
이렇게, 고정날 지지 부재(12)의 배면의 하부는 파쇄 로터(6)측에 모따기 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날(7)과 고정날(8)의 접촉을 막으면서 고정날 지지 부재(12)의 분리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Since the lower portion of the back surface of the fixed
또한, 새로운 고정날을 조여 부착한 교환용의 고정날 지지 부재를 준비해 두면, 고정날 지지 부재를 교환하는 것만으로 고정날의 교환 작업을 기다리지 않고 운전을 바로 재개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fixed blade support member for replacement which is fastened with a new fixed blade is prepared, the operation can be immediately restarted without waiting for the replacement of the fixed blade by simply replacing the fixed blade support member.
또한, 안내부는 고정날 지지 부재(12)의 배면의 하부를 파쇄 로터(6)측에 모따기한 구성에 한하지 않고, 도 4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날 지지 부재(12)의 배면의 하부에 노치(26)를 형성하는 구성이나, 도 4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날 지지 부재(12)의 배면에 스페이서(24)를 볼트(25)에 의해 테이블(5)에 고정하는 구성이어도 좋다.The guide por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back surface of the fixed
이 경우, 도 7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트(25)를 분리하여 스페이서(24)를 테이블(5)로부터 분리하고, 고정날 지지 부재(12)를 테이블(5)에 고정하는 볼트(15)를 분리함과 아울러 볼트 구멍(17)에 무두볼트(18)를 결합한다. 그 후에 도 7의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날 지지 부재(12)를 파쇄 로터(6)와 반대측으로 어긋나게 하여, 도 7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날 지지 부재(12)를 테이블(5)로부터 끌어 올린다.7 (d), the
이렇게, 안내부를 구비함으로써 고정날 지지 부재(12)는 고정날(8)과 회전 날(7)이 접촉하는 일없이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고정날(8)은 볼트(14)를 분리하여 교환하게 된다. 따라서, 무두볼트(18)를 맞물림 가능한 볼트 구멍(17)은 배면측에 경사져서 형성할 필요는 없다.By providing the guide portion in this manner, the fixed
이하에, 본 발명에 의한 고정날의 설치 구조, 칩 형상의 고정날 및 파쇄 장치의 제 2 실시형태를 설명한다.A second embodiment of a fixed blade mounting structure, a chip-shaped fixed blade and a crus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제 1 실시형태에서는 고정날 지지 부재(12)에 4개의 고정날(8)을 수평으로 지지할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고정날 지지 부재에는 고정날을 반드시 수평으로 부착할 필요는 없고, 도 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면이 수평한 고정날(8)과, 경사면이 수평면으로부터 소정의 앙각을 가진 고정날(9)을 교대로 구비한 고정날 지지 부재(19)여도 된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four fixed
이 경우, 도 3의 (d), (e), (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날(9)에는 표면 및 이면이 측면과 교차하는 엣지부에 의해 각도(η)를 가지고 칼날부가 형성된 각기둥으로 구성되고, 날뿌리측의 측면이 교차하는 엣지에 후술하는 부착 시트(20)로의 수용 자세를 식별함과 아울러 고정날(8)과 식별하는 식별 수단으로서의 노치(21)가 형성되어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S. 3 (d), 3 (e), and 3 (f), the
고정날(8, 9)은, 도 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치(16, 21)가 형성된 엣지가 고정날(8, 9)의 날뿌리측이 되도록 고정날 지지 부재(19)의 끝부를 따라 배열 형성된 복수의 오목 형상의 부착 시트(13, 20)에 수용되고, 도 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부착 시트(13, 20)의 이면으로부터 볼트(14)에 의해 조여 부착된다. 그리고, 고정날 지지 부재(19)는 고정날(8, 9)이 회전날(7)과 대향하도록 파 쇄 로터(6)와 대향해서 배치된 테이블(5)에 상면으로부터 볼트(15)로 고정된다. 이 때 고정날(8, 9)에 형성한 노치(16, 21)와 대응하는 식별 수단(22, 23)을 각 부착 시트(13, 20)에 각각 형성해 둠으로써 고정날(8, 9)의 설치 자세의 식별이 용이해진다.The fixed
또한, 부착 시트(13)의 앙각(β)은 0도로 설정되고, 부착 시트(20)의 앙각(α)은 20도∼30도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20도∼25도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대략 23도로 설정되어 있다.The elevation angle beta of the
부착 시트(13, 20)는 각각 고정날(8, 9)의 파쇄 로터와 대향하지 않는 이면 및 2측면과 접촉해서 지지하도록 오목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날(8, 9)은 각각 날끝의 방향, 또는 고정날(8, 9) 자체를 다르게 하면 끼워넣을 수 없거나, 또는 끼워넣을 수 있었다고 해도 덜컹거린다. 따라서, 작업원은 날끝의 방향이 적절하지 않은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으므로 고정날의 설치시의 날끝 방향의 확인 작업이 간편해진다.Since the
도 1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쇄 로터(6)의 둘레면에 배열된 복수의 회전날(7)의 칼날부(7', 7")에 대응하여 앙각이 다른 고정날(8, 9)이 배열되게 된다. 즉, 인접하는 고정날(8)의 한쪽 칼날부(8')와 고정날(9)의 한쪽 칼날부(9")의 조합, 및 고정날(8)의 다른쪽 칼날부(8")와 고정날(9)의 다른쪽 칼날부(9')의 맞물림에 의해 파쇄 처리가 행하여지게 된다.10 (a), the fixed
파쇄 롤러(6)에 고정된 회전날(7)은 파쇄 롤러(6)의 회전에 따라 앙각이 각도(α)로 설정된 고정날(9)에 대하여 날뿌리로부터 날끝에 걸쳐서 맞물리고, 그 후 에 앙각이 수평으로 설정된 고정날(8)에 대하여 날끝으로부터 날뿌리에 걸쳐서 맞물리게 된다.The
상술의 회전날(7) 칼날부(7', 7")의 궤적과 고정날(8) 칼날부(8', 8")의 간극과 칼날 각도의 관계와 마찬가지로, 회전날(7)의 칼날부(7', 7")의 궤적과 고정날(9)의 칼날부(9', 9") 간극은, 상기 간극이 고정날(9)의 칼날부(9', 9")의 칼날 폭의 중앙부에서 최소가 되도록 고정날(9)의 날끝 각도(η)를 설정하면 상기 간극의 치우침이 감소하고, 칼날 폭의 중앙부에서 최대의 전단력을 얻는다. 또한, 상기 각도(α)를 대략 23도로 설정했을 때에 날끝 각도(η)는 대략 90.9도가 된다.Lik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jectory of the blade 7 ', 7' 'of the
이 제 2 실시형태와 같이 이웃하는 고정날의 앙각을 다르게 하고, 한쪽의 고정날에는 회전날이 날뿌리로부터, 다른쪽의 고정날에는 회전날이 날끝으로부터 맞물리는 경우, 반드시 회전날의 칼날부의 궤적과 고정날의 칼날부의 간극이 고정날의 칼날 폭의 중앙부에서 최소가 되도록 설정하지 않아도 좋다.In the case where the angle of elevation of the adjacent fixed blade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rotary blade is engaged with the rotary blade from the blade root and the rotary blade is engaged with the other fixed blade from the blade edge, It is not necessary to set the gap between the trajectory and the blade portion of the fixed blade to be minimum at the center of the blade width of the fixed blade.
예를 들면, 도 10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앙각(α)으로 설정된 고정날(9)에 대하여 회전날(7)은 날뿌리로부터 날끝에 걸쳐서 맞물리기 때문에, 상기 간극을 회전날(7)의 날뿌리에 가까운 쪽이 최소가 되도록 구성하고, 도 10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앙각(β)으로 설정된 고정날(8)에 대하여 회전날(7)은 날끝으로부터 날뿌리에 걸쳐서 맞물리기 때문에, 상기 간극을 회전날(7)의 날끝에 가까운 쪽이 최소가 되도록 구성해도 좋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b), since the
이렇게 구성하면, 고정날(8, 9)의 각각에 회전날(7)이 맞물림 처음에 전단력을 강하게 작용시킬 수 있으므로 피파쇄물을 놓치지 않고 효율적으로 파쇄할 수 있 다. 반대로, 시트 형상의 피파쇄물을 처리할 경우에는, 고정날(8, 9)의 각각과 회전날(7)의 맞물림 마지막에 전단력을 강하게 작용시킴으로써 효율적으로 파쇄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상기 간극의 최소가 되는 위치는 피파쇄물에 의해 적당하게 최적으로 설정된다.With this structure, since the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면, 고정날 지지 부재에는 공구강이나 초경합금 등의 고가인 재료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고정날만 공구강이나 초경합금 등을 사용하면 되고, 또한 칼날부가 마모되었을 때에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게 된다.With the construc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not necessary to use expensive materials such as tool steel and cemented carbide for the fixed blade supporting member, and tool steels or cemented carbide can be used only for the fixed blade, and the blade can be easily exchanged do.
날끝 각도(γ, η), 앙각(α, β), 경사각도(θ, δ)는 상술의 예에 한정되지 않고, 각각의 구체적인 각도는 파쇄 로터, 회전날, 고정날 등과의 위치 관계에 의해 구해지는 것이며, 각 칼날부에 의해 피파쇄물을 전단할 때에 항상 1점에서 가위처럼 힘이 작용하여, 작은 토크로 파쇄 로터를 회전하면서도 매우 원활하게 파쇄할 수 있는 각도가 적당하게 설정된다.The angle of the cutter edges γ and η, the elevation angles α and β and the inclination angles θ and δ are not limited to the examples described above and the respective specific angles may be determined by the positional relationship with the crushing rotor, And a force acts like a scissor at one point at the time of shearing the object to be crushed by each of the blades, so that an angle at which the crushing rotor can be crushed very smoothly while rotating the crushing rotor with a small torque is appropriately set.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고정날 지지 부재(12)에 고정날(8)을 4개 구비한 구성 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고정날 지지 부재(12)에 구비하는 고정날(8)의 개수는 4개에 한하지 않고 2개나 7개이어도 된다. 고정날 지지 부재의 분리 작업이 번잡하게 되지 않도록 적당하게 설정된다.The number of the fixed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고정날의 엣지에 형성한 노치를 식별 수단으로 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식별 수단은 노치에 한하지 않고, 또한 반드시 엣지에 형성할 필요도 없으며, 각인, 도장 기타, 부착 시트로의 수용 자세 및, 고정날의 상위를 식별 가능한 것이면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notch formed on the edge of the fixed blade is used as the identification means. However, the identification means is not limited to the notch and is not necessarily formed on the edge, The receiving posture of the fixed blade, and the upper part of the fixed blade.
구체적으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착 시트(13, 20)의 코너부에 돌기부(27)를 형성하고, 고정날(8, 9)에 형성한 식별 수단으로서의 모따기부(28)와 결합시킴으로써 부착 시트(13, 20)로의 수용 가능하게 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돌기부(27)와 모따기부(28)의 결합에 의해 용이하게 날끝 방향을 식별할 수 있고, 또한 모따기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고정날의 사용이 곤란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9, protruding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테이블(5)에 단차부를 형성하여 고정날 지지 부재(12)를 고정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테이블(5)과 고정날 지지 부재(12)를 고정하는 부재를 별체로 형성하여 단차부로 하는 구성이어도 된다.The table 5 and the member for fixing the fixed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고정날을 칩 형상으로 형성하여 고정날 지지 부재에 고정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복수개의 삼각 형상의 고정날을 장척 판 형상의 고정날 지지 부재에 일체 형성하고, 전체로서 톱날 형상의 고정날로 하는 구성 이어도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xed blade is formed into a chip shape and fixed to the fixed blade support member has been described. However, a plurality of triangular fixed blades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fixed blade support member in the form of a long plate, Shaped fixed blade.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고정날을 고정날 지지 부재의 이면으로부터 볼트로 고정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고정날에 볼트의 머리를 수용 가능한 스폿 페이싱을 형성하고, 고정날측으로부터 고정날 지지 부재에 볼트로 고정하도록 구성해도 좋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ixing blade is fixed with the bolt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fixed blade support member.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spot pacing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head of the bolt in the fixed blade, It may be configured to be fixed.
이상의 구성에 의해, 축심 둘레로 회전하는 파쇄 로터의 둘레면에 배열 고정된 복수의 회전날의 회동 경로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날과 맞물려서 피파쇄물을 전단 파쇄하는 고정날의 설치 구조로서, 상기 파쇄 로터의 축심 방향을 따라 복수의 고정날이 배열된 고정날 지지 부재를 상기 파쇄 로터와 대향해서 배치된 테이블의 단차부에 상기 고정날이 상기 회전날과 대향하도록 배열해서 고정하고, 상기 고정날 지지 부재를 상기 단차부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한 안내부를 구비하고 있는 고정날의 설치 구조가 실현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re is provided an installation structure for a fixed blade arranged in a rotating path of a plurality of rotary blades arranged and fix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shattering rotor rotating around a shaft, A fixed blade supporting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fixed blades arrange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or is arranged and fixed to the stepped portion of the table arranged opposite to the blasting rotor so that the fixed blade faces the rotating blade, And a guide portion for releasing the member from the stepped portion.
이상 설명한 파쇄 처리부를 구성하는 회전날, 고정날 및 부착 시트나, 고정날의 설치 구조, 고정날 지지 부재 및 파쇄 장치의 구체적 구성은 실시형태의 기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에 의한 작용 효과를 갖는 범위에 있어서 적당하게 변경해서 설계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The specific configurations of the rotary blade, the fixed blade and the attachment sheet,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fixed blade, the fixed blade support member and the crusher constituting the crushing processing unit described above are not limited to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It is needless to say that it can be designed and modified appropriately in the range including the above.
이하, 파쇄 장치에 관한 다른 발명을 제 3 실시형태로서 설명한다.Hereinafter, another invention related to the crush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as a third embodiment.
일반적으로, 시장에서 회수된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폴리에틸렌, PET병 등의 폐플라스틱 제품이나, 종이류의 슈레더 더스트(shredder dust)나 잡지 등의 가연성 폐기물은 대략 입방체로 압축 곤포된 베일(veil)품 등의 덩어리 형상물로서 처리장에 반입되고, RPF(Refuse Paper & Plastic Fuel)로서 재이용하기 위해 파쇄 장치로 파쇄된 후, 가열 용융되어서 고화된다.In general, waste plastic products such as polypropylene (PP), polystyrene (PS), polyethylene and PET bottles recovered in the market, and combustible wastes such as shredder dust and magazines of paper are compressed and packed in a substantially cubic form And it is crushed by a crushing device to be reused as RPF (Refuse Paper & Plastic Fuel), then melted by heating and solidified.
베일품 등의 덩어리 형상물에는 금속이나 콘크리트편 등의 고형 이물이 혼입되어 있는 경우도 있고, 덩어리 형상물을 즉시 1축 전단 파쇄 장치로 파쇄하면 덩어리 형상물에 혼입된 고형 이물이 1변이 수십㎜로 작은 칩 형상의 회전날과 고정날의 약간의 간극에 말려들어 칼날체가 크게 손상될 우려가 있다.A solid foreign body such as a metal or a concrete piece may be mixed into a lump form such as a bale article or the like, and if the lump form is immediately crushed by a single-axis shear crusher, a solid foreign matter mixed into the lump form may be a chip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blade is caught by a slight gap between the rotating blade and the fixed blade, and the blade is greatly damaged.
따라서, 1축 전단 파쇄 장치로 미세 파쇄 처리하기 전에, 덩어리 형상물을 조파쇄하는 2축 전단 파쇄 장치가 필요하게 되어 설비 비용이나 관리 비용이 높아져 있었다.Therefore, a two-shaft shearing-and-crushing apparatus for crushing a lumpy material is required before finely crushing the single-shaft shear-crushing apparatus, and facility cost and management cost have been increased.
그래서, 덩어리 형상물을 파쇄하기 위해서 2축 전단 파쇄 장치 대신에 1변이 100㎜ 전후의 큰 칼날체로 형성된 칩 형상의 회전날과 고정날을 구비한 1축 전단 파쇄 장치에 의해 베일품을 조파쇄하는 것이 고려되지만, 일반적으로, 칼날체는 공구강이나 초경합금 등의 고가인 재료로 구성되어 베일품 등을 조파쇄하기 위해서 하나의 큰 칼날체를 제조할 경우에는 제조 비용이 높아지고, 또한 강도 밸런스를 고려하면 두께가 두껍고 중량물로 되기 때문에 운반이나 설치 등의 때에 취급이 곤란하게 된다.Therefore, in order to crush a lumpy product, it is preferable to crush the bale product by a single-shaft shearing device having a chip-like rotary blade and a fixed blade formed by a large blade body having a side of about 100 mm on one side instead of the two- However, in general, when the blade body is made of expensive material such as tool steel or cemented carbide and the blade body is roughly crushed to produce a large blade body,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and considering the strength balance, It becomes thick and heavy, so that it becomes difficult to handle in transportation or installation.
또한, 그러한 큰 칼날체를 파쇄 로터의 둘레면이나, 고정날 지지 부재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큰 오목부를 절삭가공에 의해 형성할 필요가 있어 파쇄 로터나 고정날 지지 부재의 제조 비용이 높아지게 된다.Further, in order to attach such a large blade body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ushing rotor or to the fixed blade supporting member, it is necessary to form a large concave portion by cutting, and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crushing rotor and the fixed blade supporting member becomes high.
또한, 미세 파쇄와 조파쇄에서 다른 종류의 칼날체를 준비해서 공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뿐만 아니라 관리 비용도 높아지게 된다.In addition, sinc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d supply different kinds of blade bodies in the fine crushing and rough crushing, the manufacturing cost as well as the management cost are increased.
그래서, 1축 전단 파쇄 장치에 사용되는 미세 파쇄 처리용의 칼날체로, 베일품 등의 덩어리 형상물을 조파쇄 가능하게 하면서도, 제조 비용뿐만 아니라 관리 비용의 저감을 꾀할 수 있는 파쇄 장치를 설명한다.Therefore, a crushing device capable of crushing a lumpy material such as a bale product with a blade for fine crushing used in a single-axis shear crushing device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s well as the management cost.
도 13∼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쇄 장치(101)는 전화 제품, 건축 폐재, 플라스틱 등의 피파쇄물을 투입하는 수납 호퍼(102)와, 수납 호퍼(102)에 투입된 피파쇄물을 파쇄 처리하는 파쇄 처리부(110)와, 파쇄 처리부(110)를 향해서 수평방향으로부터 피파쇄물을 압박하는 압입 푸셔(103)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13 to 16, the crushing
압입 푸셔(103)는 유압 펌프(도시 생략)로부터의 압유에 의해 신축 작동하는 유압 실린더의 피스톤에 연결된 암(103a)이 압입 푸셔(103)의 후단에 연결되고, 테이블(104) 상을 슬라이딩 또한 진퇴 이동 가능하게 구동된다.The push-in
파쇄 처리부(110)는 수납 호퍼(102)의 하방에 배치되고, 소정 축심 둘레로 회전하는 파쇄 로터(105)의 둘레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고정된 선단 V자 형상의 회전날(120)과, 파쇄 로터(105)의 축심 방향을 따라 대향 배치되어 회전날(120)과 맞물려서 피파쇄물을 전단 파쇄하는 선단 V자 형상의 고정날(130)로 구성된다. 그리고, 압입 푸셔(103)에 의해 파쇄 처리부(110)를 향해서 압박된 피파쇄물은 파쇄 로터(105)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날(120)과 고정날(130) 사이에서 전단 파쇄된다. 또한, 파쇄 로터(105)는 전동기(M)의 동력이 벨트 및 감속기(도시 생략)를 통해서 전달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crushing
회전날(120)의 날끝이 고정날(130)과 맞물릴 때의 앙각은 대략 14.7도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elevation angle when the blade edge of the
파쇄 처리부(110)의 하부에는 회전날(120)과 고정날(130)에 의해 소정 사이즈 이하로 파쇄된 피파쇄물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스크린 기구(106)와, 스크린 기구(106)를 통과한 파쇄물을 수용하는 배출 호퍼(107)가 설치되어 있다. A
스크린 기구(106)는 회전날(120)의 회전 궤적에 따른 호 형상으로 만곡 형성되고, 다수의 개구가 형성된 펀칭 메탈로 구성되며, 파쇄 처리부(110)에서 파쇄된 피파쇄물 중 스크린 기구(106)의 개구보다 작은 파쇄물이 상기 개구로부터 낙하해서 배출 호퍼(107)에 수용된다.The
또한, 스크린 기구는 다수의 개구가 형성된 펀칭 메탈로 구성할 경우에 한하 지 않고, 회전날(120)의 회전 궤적에 따른 호 형상으로 만곡 형성된 평판에 복수의 슬릿 형상의 개구부를 구비하고, 그 길이 방향 엣지 중 상기 파쇄 로터의 회전 방향측의 엣지가 수평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고, 상기 회전날의 궤적에 따라 상기 엣지의 경사 방향이 교대로 스위칭하도록 형성된 구성이어도 좋다.In addition, the screen mechanism is not limited to a punching metal having a plurality of openings. The screen mechanism may have a plurality of slit-shaped openings formed in a flat plate curved in a arc shape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locus of the
도 14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쇄 로터(105)의 둘레면의 둘레방향에는 횡단면 형상이 역사다리꼴의 오목부인 홈부(105a)가 소정의 피치로 서로 평행하게 복수 형성된다. 그리고, 복수의 회전날(120)은 각각 이웃하는 홈부(105a)에 설치된 가장 가까운 회전날(120)끼리의 정점을 연결하면 V자 형상으로 되도록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14A and 14B,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ushing
회전날(12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회전날(120)은 도 1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부(105a)에 고정되는 회전날 부착 시트(124)와, 회전날 부착 시트(124)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 3개의 칼날체(121)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5A, the
칼날체(121)는, 도 15의 (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리 양면의 능선에 칼날부(122)가 형성되고, 중앙에 회전날 부착 시트(124)에 부착하기 위한 볼트 구멍(123)이 형성된 사각기둥으로 구성되어 있다. 날끝이 되는 각은 90도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칼날체(121)의 표리 양면의 모든 능선에 칼날부(122)를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As shown in Figs. 15 (b) and 15 (c), the
회전날(120)을 구성하는 칼날체(121)는, 일본 특허공개 평 9-57138호 공보에서 제안된 종래의 미세 파쇄용의 1축 전단 파쇄 장치의 회전날을 구성하는 칼날체 와 공용할 수 있다.The
회전날 부착 시트(124)는, 도 16의 (a), (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면(124b)이 파쇄 로터(105)의 홈부(105a)를 따르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칼날체(121)의 회전날 부착 시트(124)의 측면 후방은 고정날(130)과 간섭하지 않도록 모따기(124e)가 이루어진 형상을 하고 있다. 칼날체(121)를 부착하는 설치면(124a)에는 3개의 칼날체 중 하나는 날끝 위치에, 다른 칼날체는 칼날부가 상기 날끝 위치에 배치된 칼날체의 칼날부에 연결되는 위치에, 각각 착탈할 수 있게 볼트 구멍(124d)이 소정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칼날체(121)는 설치면(124a)에 부착되어서 이면(124c)측에서 볼트로 고정된다.16 (a), (b), and (c), the
이러한 회전날 부착 시트(124)의 주위가 도 17의 (a), (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부(105a)의 소정 위치에 용접부(W)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회전날 부착 시트(124)는 홈부(105a)에 용접하지 않고, 볼트 등을 이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해도 좋다.17 (a), (b), and (c), the periphery of the rotating
또한, 도 18의 (c), (d),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날 부착 시트(124)의 칼날체(121)의 설치면(124a)측에는 회전날(120)의 날뿌리측의 칼날체(121b, 121c)의 인접하는 2면에 접해서 상기 칼날체(121b, 121c)를 위치 결정하는 안내면을 구비한 안내 부재(125)가 구비되어 있다.18 (c), (d), and (e), on the mounting
안내 부재(125)는 홈부(105a)의 중앙부에 구비된 안내 부재(125a)와 홈부(105a)의 양측부에 구비된 안내 부재(125b, 125c)로 구성되고, 도 1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칼날체(121)를 3개 조합시킨 형상의 지그(140)에 의해 파쇄 로 터(105)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The
지그(140)는, 도 18의 (b)과 같이, 칼날체(121)를 회전날 부착 시트(124)에 3개 부착했을 때에 회전날(120)의 날끝측의 칼날체(121a)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한쌍의 칼날체(121b, 121c)가 약간 거리 d만큼 이간해서 부착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이것은, 복수의 칼날체(121)는 각각 설계 상은 동일한 치수로 제작되지만, 실제로는 각각 치수가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칼날체(121)가 간섭해서 회전날 부착 시트(124)에 대하여 설계 대로의 위치에 부착되지 않거나, 또한 부착했을 때에 수납이 나빠서 고정날(130)의 칼날부와의 간극에 치우침이 생기거나, 또한 고정날(130)과 간섭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plurality of
이것에 대하여, 칼날체(121)의 코너부를 모따기하는 것도 고려되지만, 회전날(120)의 칼날부에 칼날체(121)의 모따기 한 개소가 생겨 파쇄 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it is also considered to chamfer the corner portion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지그(140)를, 도 18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날 부착 시트(124)의 설치면(124a)의 소정 위치에 접촉시켜, 칼날체(121)의 볼트 구멍(123)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볼트 구멍(141)에 회전날 부착 시트(124)의 이면으로부터 볼트를 관통시켜서 고정하고, 안내 부재(125a, 125b, 125c)를 날뿌리측의 칼날체(121b, 121c)의 하부 측면에 상당하는 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파쇄 로터(105)에 용접부(W)로 고정된다.The
따라서, 안내 부재(125)는 회전날(120)의 날뿌리측의 칼날체(121b, 121c)를 약간 거리 d만큼 이간시켜서 위치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칼날체(121)가 제작 치수보다 조금 크게 제작된 경우에도, 날뿌리의 칼날체(121b, 121c)의 코너부가 접촉하는 일없이 부착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날끝측의 칼날체(121a)가 소정 위치보다 고정날(130)측으로 돌출해서 부착되는 것을 막아서 고정날(130)과 간섭할 우려가 없어진다. 이상과 같이, 거리(d)는 칼날체(121b, 121c)의 코너부가 접촉하지 않는 적당한 거리가 선택된다.Therefore, the
또한, 안내 부재(125a)는 날끝 위치에 배치되는 칼날체(121a)의 날끝과 간섭하지 않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Further, the
또한, 안내 부재(125)는 회전날 부착 시트(124)와 일체로 형성해도 좋다.Further, the
도 18의 (d),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날(120)의 날뿌리 위치에 배치된 칼날체(121b, 121c), 파쇄 로터(105), 안내 부재(125)의 간극(127)에 피파쇄물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차폐 부재(126)가 회전날(120)에 대향하여 용접부(W)로 고정된다.The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회전날 부착 시트(124)의 설치면(124a), 안내 부재(125) 및 차폐 부재(126)에 의해 형성된 공간(128)에 있어서, 회전날(120)의 날뿌리 위치에 칼날체(121b, 121c)가, 회전날(120)의 날끝 위치에 칼날체(121a)가 끼워져 장착된다. 그리고, 각각 칼날체(121)가 회전날 부착 시트(124)의 이면으로부터 볼트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서 회전날(120)로 된다.19, in the
이하에, 고정날(130)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ixed
고정날(130)은, 도 2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쇄 로터(105)의 축심 방향을 따라 파쇄 로터(105)와 대향해서 배치된 테이블(104)에 형성된 단차부에 착탈 가능의 고정날 지지 부재(134)와, 고정날 지지 부재(134)에 형성된 고정날 부착 시트(135)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 3개의 칼날체(131)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실시형태에서는 고정날 지지 부재(134)는 2개의 고정날(130)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20A, the fixed
칼날체(131)는, 도 20의 (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리 양면의 능선에 칼날부(132)가 형성되고, 중앙에 고정날 지지 부재(134)에 부착하기 위한 볼트 구멍(133)이 형성된 사각기둥으로 구성되어 있다. 날끝으로 되는 각은 85.2도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칼날체(131)의 표리 양면의 모든 능선에 칼날부(132)를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As shown in Figs. 20 (b) and 20 (c), the
또한, 고정날(130)을 구성하는 칼날체(131)는, 도 2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미세 파쇄용의 1축 전단 파쇄 장치의 고정날(295)을 구성하는 칼날체(295a)와 공용할 수 있다.The
도 21의 (a), (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날 지지 부재(134)에는 파쇄 로터(105)와 대향해서 배치된 테이블(104)의 단차부에 상면으로부터 볼트를 관통시킬 수 있는 볼트 구멍(137)과, 고정날 지지 부재(134)의 끝부를 따라 오목 형상의 고정날 부착 시트(135)가 형성된다. 그리고, 복수의 사각기둥의 칼날체(131a)의 하나가 날끝 위치에, 다른 칼날체(131b, 131c)의 칼날부가 칼날체(131a)의 칼날부에 연결되는 위치에, 각각의 칼날체(131)를 고정날 부착 시 트(135)의 이면으로부터 부착하여 고정날(130)로 된다.21 (a), 21 (b) and 21 (c), the fixed
이상과 같이, 회전날(120), 고정날(130)은 각각 3개의 칼날체(121, 131)를 구비해서 구성된다. 이것에 의해,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칼날체(121)의 4개분의 크기의 칼날체(151)에 의해 회전날(150)을 구성할 경우에 비하여, 홈부(105b)와 같이 파쇄 로터(105)를 크게 V자 형상으로 절삭하지 않아도 되고, 사선부(105c)분 만큼 가공의 시간과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고정날도 같다.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큰 칼날체(151)의 1개로 회전날(150)을 구성했을 경우, 피파쇄물과의 마모나 파손에 의해 칼날부가 무디어졌을 때는, 반전 또는 회전시켜도 합계 4회 밖에 사용할 수 없다.In addition, when the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 의한 칼날체의 설치 구조에 의하면, 회전날(120) 및 고정날(130)은 각각 3개의 칼날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칼날체가 마모나 파손되어 무디어져도 각 칼날체를 반전 또는 회전시켜서 날끝 위치 및 상기 날끝에 연결되는 위치에 부착함으로써 합계 6회 사용할 수 있다.In contrast,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blad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회전날(120)을 3개의 칼날체로 구성할 경우를 예로 설명하면, 도 2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칼날체(121a)를 날끝 위치에, 다른 칼날체(121b, 121c)를 날뿌리 위치에 배치했다고 한다. 이 때, 칼날체(121a)의 칼날부(a1, a2)와, 칼날체(121b)의 칼날부(b1), 칼날체(121c)의 칼날부(c2)가 회전날(120)의 칼날부로 된다.22A, first, the
파쇄 장치의 사용에 의해, 상기 회전날(120)의 칼날부가 무디어지면, 도 2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칼날체(121b)를 날끝 위치에, 다른 칼날체(121a, 121c)를 날뿌리 위치에 배치하고, 칼날체(121b)를 회전시켜서 칼날부(b3, b4)로, 칼날체(121a)를 회전시켜서 칼날부(a3), 칼날체(121c)의 칼날부(c1)로 회전날(120)의 칼날부를 구성한다.When the blade of the
또한, 상기 회전날(120)의 칼날부가 무디어지면, 도 22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칼날체(121c)를 날끝 위치에, 다른 칼날체(121a, 121b)를 날뿌리 위치에 배치하고, 칼날체(121c)를 회전시켜서 칼날부(c3, c4)로, 칼날체(121a)의 칼날부(a4), 칼날체(121b)를 회전시켜서 칼날부(b2)로 회전날(120)의 칼날부를 구성한다. 즉, 칼날체(121a, 121b, 121c)의 한 면으로 3회 사용할 수 있다.22 (c), the
또한, 상기 회전날(120)의 칼날부가 무디어해지면, 칼날체(121a, 121b, 121c)의 각각을 반전해서 표리를 바꾸고, 상술과 같은 순서를 취함으로써 3회 더 사용할 수 있고, 3개의 칼날체(121a, 121b, 121c)로 합계 6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고정날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In addition, when the blade of the
또한, 회전날(120) 및 고정날(130)을 부착 시트에 부착한 상태에 있어서, 볼트 선단면이 칼날체와 대략 동일면이 되도록 함으로써 볼트 구멍에 피파쇄물이 걸리거나 끼이거나 해서 암나사가 변형되거나 파손되거나 하지 않고, 칼날체(121, 131)의 표리면을 교체하여 사용할 때나 교환할 때에 볼트의 착탈이 용이해진다.In addition, in the state where the
이하에, 제 3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파쇄 장치에 관련되는 변형예를 설명한다. 또한, 상술한 제 3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Modifications related to the crusher described in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third embodiment described above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회전날(120)의 칼날체(121)의 날끝이 되는 각은 90도 로, 고정날(130)의 칼날체(131)의 날끝이 되는 각은 85.2도로 설정하고, 회전날(120)의 날끝이 고정날(130)과 맞물릴 때의 앙각이 대략 14.7도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칼날체를 예각(87.5도)으로 형성된 각과, 둔각(92.5도)으로 형성된 각을 갖는 마름모꼴의 사각기둥으로 형성함으로써 회전날과 고정날의 칼날체를 공용할 수 있다.The edge angle of the
예를 들면 예각(87.5도)으로 형성된 각을 회전날의 날끝이 되도록 배치하고, 둔각(92.5도)으로 형성된 각이 고정날의 날끝이 되도록 배치하거나, 또는 그 반대로, 둔각(92.5도)으로 형성된 각을 회전날의 날끝이 되도록 배치하거나, 예각(87.5도)으로 형성된 각이 고정날의 날끝이 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For example, an angle formed by an acute angle (87.5 degrees) is arranged to be a tip of a rotary blade, an angle formed by an obtuse angle (92.5 degrees) is arranged to be a tip of a fixed blade, or vice versa, The angle may be arranged to be the tip of the rotary blade, or the angle formed by the acute angle (87.5 degrees) may be the edge of the fixed blade.
이와 같이, 예각과 둔각의 코너부를 갖는 마름모꼴의 사각기둥으로 형성함으로써 회전날에 사용되는 칼날체와, 고정날에 사용되는 칼날체를 공용할 수 있으므로, 양산 효과에 의해 각각의 칼날체의 제조 비용을 크게 저감할 수 있고, 제조 비용뿐만 아니라 관리 비용도 저감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knife body used for the rotary blade and the blade body used for the fixed blade can be shared by forming the wedge-shaped rectangular pillar having acute-angled and obtuse-angle corners, manufacturing cost of each blade body Can be greatly reduc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as well as the management cost can be reduced.
또한, 이러한 칼날체는 미세 파쇄용의 1축 전단 파쇄 장치의 회전날과 고정날에도 적용할 수 있다.Such a blade body can also be applied to a rotary blade and a fixed blade of a single-shaft shearing device for micro-crushing.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회전날 부착부로서 파쇄 로터(105)의 둘레면에 둘레방향으로 홈부(105a)를 형성할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회전날 부착부의 구조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파쇄 로터(105)의 둘레면에 회전날(120)을 배치하는 위치에만 오목부를 형성하고, 오목부에 회전날 부착 시트(124)를 부착하는 구성이어도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회전날(120) 및 고정날(130)은 각각 3개의 칼날체를 구비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칼날체의 개수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3개 이상의 홀수개, 예를 들면 7개 구비한 구성이어도 된다. 칼날체를 7개 사용해서 회전날을 구성하면, 상기 칼날체를 날끝 위치 및 상기 날끝에 연결되는 위치에 반전 또는 회전시켜서 부착함으로써 상기 칼날체를 합계 7회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칼날체를 3개 이상의 홀수개로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큰 칼날체를 사용할 경우에 비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횟수를 많게 할 수 있다.Although the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고정날 지지 부재(134)에 고정날(130)을 2쌍 구비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고정날 지지 부재에 고정날을 1쌍 또는 3쌍 이상의 복수 구비한 구성이어도 되고, 고정날 지지 부재의 분리 작업이 번잡하게 되지 않도록 적당하게 설정된다. 또한, 반드시 테이블에 고정날 지지부 시트를 부착하기 위한 단차부를 형성할 필요는 없고, 또한, 고정날 지지 부재를 구비하는 일없이 테이블에 고정날 부착 시트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날 부착 시트에 칼날체를 부착하는 구성이어도 된다.The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칼날체를 구성하는 재질에 대해서 명시하지 않았지만, 초경합금, 공구강 등의 피파쇄물에 대하여 충분한 강도를 갖는 재질로부터 선정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blade body is not specified, but it is selected from a material having sufficient strength for the object to be crushed such as a cemented carbide, a tool steel or the like.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회전날의 날끝이 고정날과 맞물릴 때의 앙각이 대략 14.7도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렇게 회전날의 날끝이 고정날과 맞물릴 때의 앙각이 14.7도로 구성할 경우에 한하지 않고, 회전날의 날끝이 고정날과 맞물릴 때의 앙각이 0도보다 커지도록 배치함으로써, 우선 회전날의 날끝이 고정날에 대하여 맞물리고, 그 후 날뿌리가 맞물리도록 구성할 수 있어, 피파쇄물에 대하여 전단력을 회전날의 날끝으로부터 날뿌리에 걸쳐서 작용시킴으로써 파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회전날의 칼날체 및 고정날의 칼날체의 날끝 각도도 회전날의 날끝이 고정날과 맞물릴 때의 앙각에 따라 적당하게 설정된다.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elevation angle when the blade edge of the rotary blade is engaged with the fixed blade is approximately 14.7 degrees. 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elevation angle when the blade edge of the rotary blade is engaged with the fixed blade is 14.7 degrees The blade edge of the rotary blade is first engaged with the fixed blade and then the blade root is engaged with the blad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rushing efficiency by applying a shearing force to the crushed material from the blade edge of the rotary blade to the blade root. The angle of the blade edge of the blade body of the rotary blade and the blade body of the fixed blade is appropriately set according to the elevation angle when the blade edge of the rotary blade is engaged with the fixed blade.
또한, 이웃하는 고정날의 앙각을 다르게 하여, 한쪽의 고정날에는 회전날이 날뿌리로부터, 다른쪽의 고정날에는 회전날이 날끝으로부터 맞물리도록 구성해도 좋다. 압입 푸셔(103)에 의해 파쇄 처리부(110)를 향해서 압박된 피파쇄물이 파쇄 로터(105)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날과 고정날 사이에서 전단 파쇄됨에 있어서, 피파쇄물에 대하여 항상 1점에서 전단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작은 토크로 파쇄 로터(105)를 회전시키면서도 매우 원활하게 파쇄할 수 있게 되어, 진동이나 소음을 저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력 비용도 저감할 수 있게 된다.Further, the elevating angle of the adjacent fixed blade may be different, and the rotary blade may be engaged with the rotary blade from the blade root, and the rotary blade may be engaged with the other fixed blade from the blade edge. The object to be crushed pressed by the press-
또한 회전날 칼날부의 궤적과 고정날 칼날부의 간극은 반드시 고정날의 칼날 폭의 중앙부에서 최소가 되도록 설정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회전날은 어떤 앙각의 고정날에 대하여 날뿌리로부터 날끝에 걸쳐서 맞물리고, 상기 간극이 회전날의 날뿌리에 가까운 쪽에서 최소가 되도록 구성하고, 회전날은 상기 고정날과 다른 앙각의 고정날에 대하여 날끝으로부터 날뿌리에 걸쳐서 맞물리고, 상기 간극이 회전날의 날끝에 가까운 쪽에서 최소가 되도록 구성해도 좋다.Also, the locus of the rotary blade portion and the clearance of the fixed blade portion may not necessarily be set to be minimum at the center of the blade width of the fixed blade. For example, the rotary blade may be engaged with a blade edge from a blade root to a fixed blade at an elevation angle, and the gap may be a minimum at a side near the blade root of the rotary blade, The blade may be engaged with the fixed blade from the blade tip to the blade blade root and the gap may be minimized on the side closer to the blade tip of the rotary blade.
이렇게 구성하면, 이웃하는 고정날의 각각에 회전날이 맞물림 처음에 전단력을 강하게 작용시킬 수 있으므로 피파쇄물을 놓치는 일없이 효율적으로 파쇄할 수 있다. 반대로, 시트 형상의 피파쇄물을 처리할 경우에는 이웃하는 고정날의 각각과 회전날의 맞물림 마지막에 전단력을 강하게 작용시킴으로써 효율적으로 파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간극의 최소가 되는 위치는 피파쇄물에 의해 적당하게 최적으로 설정된다.With such a configuration, since the rotating blade can engage with each of the adjacent fixed blades at first, the shearing force can be acted strongly, so that the crushed material can be efficiently broken without missing the object to be crushed.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processing the sheet-like objec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break the sheet by strongly applying the shearing force to each of the adjacent fixed blades and the end of the engagement of the rotary blades. 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at which the gap is minimum is suitably set optimally by the object to be crushed.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회전날의 칼날체 및 고정날의 칼날체가 각각 회전날 부착 시트 및 고정날 부착 시트의 이면으로부터 볼트로 고정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칼날체를 두껍게 형성해서 양면에 볼트의 머리를 수용 가능한 스폿 페이싱을 형성하고, 칼날체측으로부터 볼트로 고정하도록 구성해도 좋다.The blade body of the rotary blade and the blade body of the fixed blade are fixed by bolts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rotary blade attaching sheet and the fixed blade attaching sheet, respectively.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blade body thick, It is possible to form the spot pacing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blade body and fix it with the bolt from the blade body side.
상술한 실시형태예에서는 표리 양면의 능선에 칼날부가 형성된 3장의 칼날체로 산형의 회전날 또는 고정날의 칼날체를 구성할 경우를 설명했지만, 상기 복수의 칼날체는 적어도 사각기둥의 한 면을 구성하는 4변, 또는 상기 한 면의 1개의 특정 정점을 끼우는 상기 한 면의 2변과 상기 한 면의 대향면의 1개의 정점을 끼우는 상기 대향면의 2변이며 상기 특정 정점을 통과하는 사각기둥의 대각선이 지나는 다른 정점을 끼우는 2변에 칼날부가 형성되고, 날끝 위치 및 상기 날끝에 연결되는 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복수매의 칼날체로 산형의 회전날 또는 고정날의 칼날체를 구성하는 것이면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case has been described in which a blade of a mountain-shaped rotary blade or a fixed blade is constituted by three blade bodies having blade portions formed on the ridgelines on both sides of the front and back surfaces. However, the plurality of blade bodies may constitute at least one square- , Or two sides of the one face sandwiching one specific vertex of the one face and two sides of the opposite face sandwiching one vertex of the opposite face of the one face and sandwiching the quadrangular pole A blade having a blade at two sides sandwiching another vertex passing through a diagonal line and constituting a blade of a mountain-shaped rotary blade or a fixed blade by a plurality of blade bodies which are detachable at a blade tip position and a position connected to the blade tip .
예를 들면, 사각기둥의 한 면을 구성하는 4변, 또는 상기 한 면의 1개의 특정 정점을 끼우는 상기 한 면의 2변과 상기 한 면의 대향면의 1개의 정점을 끼우는 상기 대향면의 2변이며 상기 특정 정점을 통과하는 사각기둥의 대각선이 지나는 다른 정점을 끼우는 2변에 칼날부가 형성된 3장의 칼날체를 사용하면, 회전날이 마모 되었을 경우에 각각의 칼날체를 반전 또는 회전시켜서 날끝 위치 및 상기 날끝에 연결되는 위치 중 어느 하나에 부착함으로써, 동일한 칼날체의 조합으로 합계 3회 새로운 칼날부를 구성할 수 있다. 이 횟수는, 동일한 구성의 단일의 큰 사각기둥의 칼날체를 사용할 경우의 횟수인 2회보다 많아지고, 재이용 가능한 횟수가 증가한다.For example, four sides constituting one face of a quadrangular column, or two sides of the one face sandwiching one specific vertex of the one face and two faces of the opposing face sandwiching one vertex of the opposite face of the one face, When three blade bodies each having a blade portion on two sides sandwiching another vertex passing through the diagonal line of the quadrangular pole passing through the specific vertex are used, when the rotary blade is worn, each blade body is reversed or rotated, And a position connected to the blade edge, a new blade part can be constituted three times in total by the combination of the same blade bodies. This number increases more than twice, which is the number of times when a single large square column of the same configuration is used, and the number of reusable times increases.
이러한 칼날체는, 모재 금속의 표면에 초경합금으로 만든 칼날부를 붙이는 구성을 채용할 경우에 적합하게 된다.Such a blade body is suitable for adop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blade made of a cemented carbide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a base metal.
예를 들면, 도 2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각기둥의 모재 금속(166)의 한 면에 초경합금(167)을 붙이고, 초경합금(167)의 4변이 칼날부(161, 162, 164, 165)가 되도록 구성한다.24A, a cemented
또한, 도 2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각기둥의 모재 금속(176)의 한 면을 구성하는 4변에 칼날부가 되는 초경합금(177)를 붙이고, 상기 4변이 칼날부(171, 172, 174, 175)로 되도록 구성한 칼날체나, 도 24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각기둥의 모재 금속(186)의 한 면의 1개의 특정 정점(180)을 끼우는 상기 한 면의 2변(181, 182)과 상기 한 면의 대향면의 1개의 정점을 끼우는 상기 대향면의 2변이며 상기 특정 정점(180)을 지나는 사각기둥의 대각선이 지나는 다른 정점(183)을 끼우는 2변(184, 185)에, 초경합금의 칼날부(181, 182, 184, 185)가 형성된 칼날체와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24 (b), a cemented
즉, 제 3 실시형태에는 파쇄 장치 및 칼날의 설치 구조에 대해서 이하의 발명이 기재되어 있다.That is, in the third embodiment, the following inventions are described for the crushing device and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blade.
제 1의 특징 구성은, 소정 축심 둘레로 회전하는 파쇄 로터의 둘레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고정된 선단 V자 형상의 회전날과, 상기 파쇄 로터의 축심 방향을 따라 대향 배치되고, 상기 회전날과 맞물려서 피파쇄물을 전단 파쇄하는 선단 V자 형상의 고정날을 구비하고 있는 파쇄 장치의 칼날의 설치 구조로서, 상기 회전날이 상기 오목부에 고정된 회전날 부착 시트와, 상기 회전날 부착 시트에 착탈 가능한 복수의 사각기둥의 칼날체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칼날체 중 하나가 날끝 위치에 배치되고, 다른 칼날체는 칼날부가 상기 날끝 위치에 배치된 칼날체의 칼날부에 연결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The first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resides in a rotor comprising a rotary V-shaped rotary blade fixed to a concave portion form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crushing rotor rotating around a predetermined axial center, And a blade having a V-shaped front end for shearing the object to be crushed, the rotary blade attaching sheet having the rotary blade fixed to the concave portion, Wherein one of the plurality of blade bodies is disposed at a blade tip position and the other blade body is disposed at a position connected to a blade portion of the blade blade disposed at the blade tip position It is in point.
상술의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작은 칼날체로 산형의 큰 칼날체를 구축할 수 있게 된다. 그러한 산형의 칼날체를 구축하면 날끝의 대향 부위에 칼날체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파쇄 로터의 둘레면에 칼날체를 부착하기 위한 큰 오목부를 절삭가공에 의해 형성할 필요가 없어지고, 파쇄 로터의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mountain-shaped large blade body with a plurality of small blade bodies.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blade body at the opposite end of the blade tip, so that there is no need to form a large recess for attaching the blade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lade rotor by cutting, Can be reduced.
또한, 큰 칼날체가 복수의 작은 칼날체를 조합시켜서 구축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칼날체가 경량이 되어 취급이 용이해진다. 또한 예를 들면, 각각의 칼날체를 미세 파쇄용의 파쇄 장치의 회전날의 칼날체와 공용할 수 있게 구성하면, 양산 효과에 의해 각각의 칼날체의 제조 비용을 크게 저감할 수 있고, 제조 비용뿐만 아니라 관리 비용도 저감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arge blade body is construct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small blade bodies, the respective blade bodies become lightweight, and handling is facilitated. Furthermore, for example, if the respective blade bodies are constructed to be compatible with the blade body of the rotating blade of the crushing device for fine crushing, the manufacturing cost of each blade body can be greatly reduced by the mass production effect, In addition, management costs can be reduced.
제 2의 특징 구성은, 상기의 제 1의 특징 구성에 추가로, 상기 복수의 칼날체는 적어도 사각기둥의 한 면을 구성하는 4변, 또는 상기 한 면의 1개의 특정 정 점을 끼우는 상기 한 면의 2변과 상기 한 면의 대향면의 1개의 정점을 끼우는 상기 대향면의 2변이며 상기 특정 정점을 통과하는 사각기둥의 대각선이 지나는 다른 정점을 끼우는 2변에 칼날부가 형성되어, 날끝 위치 및 상기 날끝에 연결되는 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first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the plurality of blade bodies include at least four sides constituting at least one side of a square pillar, A blade portion is formed at two sides of two opposite sides of the opposite surface of the opposite face of the one face and sandwiching another vertex passing through the diagonal line of the square pillar passing through the specific vertex, And to be detachable at a position connected to the blade edge.
상술의 구성에 의하면, 파쇄 처리에 의해 회전날이 마모되었을 경우에 각 칼날체를 반전 또는 회전시켜서 날끝 위치 및 상기 날끝에 연결되는 위치 중 어느 하나에 부착함으로써, 적어도 사각기둥의 한 면을 구성하는 4변, 또는 상기 한 면의 1개의 특정 정점을 끼우는 상기 한 면의 2변과 상기 한 면의 대향면의 하나의 정점을 끼우는 상기 대향면의 2변이며 상기 특정 정점을 지나는 사각기둥의 대각선이 지나는 다른 정점을 끼우는 2변에 형성된 칼날부 중, 미사용의 칼날부를 회전날의 칼날부로서 재이용할 수 있어 단일의 대형 칼날체를 사용할 경우보다 재이용 가능한 횟수가 증가하여 보다 경제성이 우수하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hen the rotary blade is worn by the crushing process, each blade is inverted or rotated to be attached to either the blade tip position or the blade tip, thereby forming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quare pole Four sides, or two sides of the one face sandwiching one specific vertex of the one face and two sides of the opposing face sandwiching one vertex of the opposite face of the one face and the diagonal line of the square pillar passing the specific vertex The unused blade portion can be reused as the blade portion of the rotary blade among the blade portions formed at the two sides sandwiching the other vertexes passing therebetween. Thus, the number of times that a single large blade body can be reused is increased.
예를 들면 표리 양면의 능선에 칼날부가 형성된 단일의 큰 사각기둥의 칼날체를 사용하면, 회전날이 마모되었을 경우에 칼날체를 반전 또는 회전시켜서 부착함으로써 4회의 새로운 칼날부를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복수매의 칼날체, 예를 들면 표리 양면의 능선에 칼날부가 형성된 3장의 칼날체로 산형의 회전날을 구성하면, 각각의 칼날체를 반전 또는 회전시켜서 날끝 위치 및 상기 날끝에 연결되는 위치 중 어느 하나에 부착함으로써 동일한 칼날체의 조합으로 4회보다 많게 새로운 칼날부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if a single large square column sieve having blade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ridgelines is used, four new blade portions can be formed by reversing or rotating the blade body when the rotary blade is worn. On the contrary, when a plurality of blade bodies, for example, three blade bodies formed with ridges on both sides of the front and back surfaces are used to form an angular rotary blade, each blade body is reversed or rotated to form a blade tip position and a position It is possible to constitute a new blade portion more than four times by combining the same blade bodies.
예를 들면, 사각기둥의 한 면을 구성하는 4변, 또는 상기 한 면의 하나의 특 정 정점을 끼우는 상기 한 면의 2변과 상기 한 면의 대향면의 하나의 정점을 끼우는 상기 대향면의 2변이며 상기 특정 정점을 통과하는 사각기둥의 대각선이 지나는 다른 정점을 끼우는 2변에, 칼날부가 형성된 단일의 큰 사각기둥의 칼날체를 사용하면, 회전날이 마모되었을 경우에 칼날체를 반전 또는 회전시켜서 부착함으로써 새로운 칼날부를 2회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예를 들면 사각기둥의 한 면을 구성하는 4변, 또는 상기 한 면의 하나의 특정 정점을 끼우는 상기 한 면의 2변과 상기 한 면의 대향면의 하나의 정점을 끼우는 상기 대향면의 2변이며 상기 특정 정점을 통과하는 사각기둥의 대각선이 지나는 것 다른 정점을 끼우는 2변에, 칼날부가 형성된 3장의 칼날체로 산형의 회전날을 구성하면, 각각의 칼날체를 반전 또는 회전시켜서 날끝 위치 및 상기 날끝에 연결되는 위치 중 어느 하나에 부착함으로써 동일한 칼날체의 조합으로 새로운 칼날부를 3회 구성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four sides constituting one face of a quadrangular pyramid, or two sides of the one face sandwiching one specific vertex of the one face and one face of the opposing face sandwiching one vertex of the opposite face of the one face Using a single large rectangular column blade body having two sides and two side edges sandwiching the other vertex passing through the diagonal line of the quadrangle passing through the specific vertex, if the blade is worn, So that the new blade portion can be formed twice. On the other hand, for example, four sides constituting one side of a quadrangular pyramid, or two sides of the one side sandwiching one specific vertex of the one side and the opposite side of the one side of the opposite side of the one side, And a diagonal line passing through the quadrangular pole passing through the specific vertex. When the rotary blade is formed by three blade bodies having blade portions formed on two sides sandwiching another vertex, each blade body is reversed or rotated, Position and the position connected to the edge of the blade, a new blade part can be formed three times by a combination of the same blade bodies.
제 3의 특징 구성은, 상기 제 1 또는 제 2 특징 구성에 추가로, 상기 오목부의 횡단면 형상이 역사다리꼴로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의 양단측 및 중앙부에 상기 회전날의 날뿌리 위치에 배치된 칼날체의 인접하는 2면에 접해서 상기 칼날체를 위치 결정하는 안내면을 구비한 안내 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점에 있다.The thir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n addition to the first or second features, the concave portion is formed in an inverted trapezoidal shape in cross section, and a blade disposed at both ends and a central portion of the concave portion, And a guide member having a guide surface for contacting the two adjacent surfaces of the sieve to position the blade.
상기 구성에 의하면, 오목부의 횡단면 형상을 회전날의 날뿌리 위치에 배치된 칼날체에 접촉하는 형상으로 형성하지 않아도 좋으므로 절삭 가공이 용이하게 되고, 파쇄 로터의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오목부의 양단측 및 중앙부에 구비된 안내 부재의 안내면에 회전날의 날뿌리측의 칼날체의 인접하는 2면을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칼날체를 위치 결정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고, 교환 작업이 간 편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sinc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cave portion does not have to be formed in a shape in contact with the blade body disposed at the blade root position of the rotary blade, the cutting process is facilitat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crushing rotor can be reduced. In addition, it is easy to position the blade body by contacting two adjacent surfaces of the blade body on the blade root side of the rotary blade to the guide surfaces of the guide member provided at both ends and the center of the concave portion, do.
제 4의 특징 구성은, 상기의 제 3 특징 구성에 추가로,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회전날의 날끝 위치에 배치되는 칼날체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1쌍의 칼날체를 약간 이간해서 위치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third aspect, the guide member is configured to position the pair of knives disposed adjacent to the blade body disposed at the blade edge position of the rotary blade slightly apart from each other It is in point that it is.
각각의 칼날체는 설계 상은 동일한 치수로 제작되지만, 실제로는 각각 치수가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칼날체가 간섭하고, 회전날 부착 시트에 대하여 설계 대로의 위치에 부착되지 않는 등의 우려가 있다.Each of the blade bodies is manufactured to have the same size in terms of design, but in reality, each blade body is interfered with each other because of different sizes, and there is a fear that the blade is not attached to the rotary blade attachment sheet at the position as designed.
상술의 구성에 의하면, 날뿌리측의 칼날체의 각이 접촉하는 일이 없어지므로, 부착했을 때에 수용이 나빠지거나, 고정날의 칼날부와의 간극에 치우침이 생기거나, 또한 날끝측의 칼날체가 소정 위치보다 고정날측으로 돌출해서 부착됨으로써 고정날과 간섭할 우려가 없어지기 때문에, 각각의 칼날체를 적절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since the angle of the blade body on the blade root side is prevented from being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housing can be deteriorated when the blade body is attached or a gap may be formed in the gap between the blade and the blade, It is possible to arrange the respective blade bodies at appropriate positions because there is no fear of interfering with the fixed blade by being attached to the fixed blade side more than the predetermined position.
제 5의 특징 구성은, 상술의 제 3 또는 제 4 특징 구성에 추가로, 상기 회전날의 날뿌리 위치에 배치된 칼날체와 상기 파쇄 로터의 간극에, 파쇄물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차폐 부재가 회전날에 대향해서 구비되어 있는 점에 있다.According to a fifth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third or fourth feature, the shielding member for preventing clogging of the crushed product is provided on the gap between the blade body and the crushing rotor disposed at the blade root position of the rotary blade, It is located opposite to the blade.
상술의 구성에 의하면, 큰 칼날체가 복수의 작은 칼날체를 조합시켜서 구축 됨으로써 발생하는, 날뿌리 위치에 배치된 칼날체와 상기 파쇄 로터에 형성된 횡단면 형상이 역사다리꼴의 오목부의 간극에 파쇄물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rushed material from clogging in the gap between the blade body disposed at the blade root position and the concave portion having the inverted trapezoidal cross-sectional shape formed in the crushing rotor, which is generated when the large blade body is construct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small blade bodies .
제 6의 특징 구성은, 상술의 제 1로부터 제 5 중 어느 하나의 특징 구성에 추가로, 상기 회전날은 적어도 3개 이상의 홀수개의 칼날체로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The sixth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resides in that, in addition to any one of the first to fifth features, the rotary blade is constituted by at least three or more odd number of blade bodies.
상술의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표리 양면의 능선에 칼날부가 형성된 각 칼날체를 반전 또는 회전시켜서 날끝 위치 및 상기 날끝에 연결되는 위치 중 어느 하나에 부착함으로써 4회보다 많은 새로운 칼날부를 구성할 수 있다. 칼날체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3개 또는 7개이며, 각 칼날체의 칼날부를 동시에 다 쓸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for example, each of the blade bodies provided with blade portions on the ridgelines on both sides can be reversed or rotated to be attached to the blade tip position and to the blade tip, thereby forming a new blade portion more than four times have. The number of blade bodies is preferably three or seven, and blade portions of each blade body can be used at the same time.
제 7의 특징 구성은, 소정 축심 둘레로 회전하는 파쇄 로터의 둘레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고정된 선단 V자 형상의 회전날과, 상기 파쇄 로터의 축심 방향을 따라 대향해서 배치되고, 상기 회전날과 맞물려서 피파쇄물을 전단 파쇄하는 선단 V자 형상의 고정날을 구비하고 있는 파쇄 장치의 칼날의 설치 구조로서, 상기 고정날이 상기 파쇄 로터의 축심 방향을 따라 상기 파쇄 로터와 대향해서 배치된 테이블의 끝부에 형성된 고정날 부착 시트와, 상기 고정날 부착 시트에 착탈 가능한 복수의 사각기둥의 칼날체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칼날체 중 하나가 날끝 위치에 배치되고, 다른 칼날체는 칼날부가 상기 날끝 위치에 배치된 칼날체의 칼날부에 연결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The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tating blade having a tip V-shape fixed to a concave portion form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crushing rotor rotating around a predetermined axis and a rotating blade disposed opposite to the rotating shaft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rushing rotor, And a fixed blade having a V-shaped front end for shearing the crushed material by engaging with the crushing rotor, wherein the fixed blade is disposed on the table arranged opposite to the crushing rotor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crushing rotor A fixed blade attaching sheet formed at an end of the cutting blade and a blade body of a plurality of rectangular columns detachable from the fixed blade attaching sheet, wherein one of the plurality of blade bodies is disposed at a blade tip position, And is disposed at a position connected to the blade portion of the blade body disposed in the blade body.
상술의 구성에 의하면, 고정날에 대하여 제 1의 특징 구성에 의한 작용 효과와 같은 작용 효과가 얻어지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constitution, the same effect as that of the first feature of the fixed blade can be obtained.
제 8의 특징 구성은, 소정 축심 둘레로 회전하는 파쇄 로터의 둘레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고정된 선단 V자 형상의 회전날과, 상기 파쇄 로터의 축심 방향을 따라 대향해서 배치되고, 상기 회전날과 맞물려서 피파쇄물을 전단 파쇄하는 선단 V자 형상의 고정날을 구비하고 있는 파쇄 장치의 칼날의 설치 구조로서, 상기 고정 날이 상기 파쇄 로터의 축심 방향을 따라 상기 파쇄 로터와 대향해서 배치된 테이블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고정날 지지 부재와, 상기 고정날 지지 부재에 형성된 고정날 부착 시트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복수의 사각기둥의 칼날체로 구성되고, 상기복수의 칼날체 중 하나가 날끝 위치에 배치되고, 다른 칼날체는 칼날부가 상기 날끝 위치에 배치된 칼날체의 칼날부에 연결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The eigh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tating blade having a V-shaped tip end fixed to a recess formed i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crushing rotor rotating around a predetermined axis and a rotating blade disposed opposite to the rotating shaft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rushing rotor, And a fixed blade having a V-shaped front end for shearing the crushed material by engaging with the crushing rotor, wherein the fixed blade is disposed on a table disposed opposite to the crushing rotor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crushing rotor Wherein the fixed blade support member includes a fixed blade support member which is detachably attachable to and detachable from the fixed blade support member and a fixed blade supporting sheet member formed on the fixed blade support member, And the blade is disposed at a position connected to the blade of the blade body disposed at the blade tip position.
상술의 구성에 의하면, 고정날에 대하여 제 1의 특징 구성에 의한 작용 효과와 같은 작용 효과가 얻어지게 됨과 아울러, 고정날 지지 부재가 테이블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고정날의 교환 작업이 보다 간편해진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since the same effect as that of the first feature of the fixed blade can be obtained, and the fixed blade support member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table, It becomes easy.
제 9의 특징 구성은, 상술의 제 7 또는 제 8 특징 구성에 추가로, 상기 복수의 칼날체는 적어도 사각기둥의 한 면을 구성하는 4변, 또는 상기 한 면의 1개의 특정 정점을 끼우는 상기 한 면의 2변과 상기 한 면의 대향면의 1개의 정점을 끼우는 상기 대향면의 2변이며 상기 특정 정점을 통과하는 사각기둥의 대각선이 지나는 다른 정점을 끼우는 2변에 칼날부가 형성되고, 날끝 위치 및 상기 날끝에 연결되는 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The ninth characterizing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n addition to the seventh or eighth characterizing feature, the plurality of knives are at least four sides constituting at least one side of a square pillar, A blade portion is formed at two sides of two opposite sides of the one surface and two opposite sides of the opposing surface sandwiching one vertex of the opposite surface of the one surface and sandwiching another vertex passing through the diagonal line of the square pillar passing through the specific vertex, And to be detachable at a position connected to the end of the blade.
상술의 구성에 의하면, 고정날에 대하여 제 2 특징 구성에 의한 작용 효과와 같은 작용 효과가 얻어지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stitution, the same effect as that of the second feature of the fixed blade can be obtained.
제 10의 특징 구성은, 상술의 제 7로부터 제 9 중 어느 하나의 특징 구성에 추가로, 상기 고정날은 적어도 3개 이상의 홀수개의 칼날체로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The tenth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n addition to any one of the seventh to ninth aspects, the fixed blade is constituted by at least three or more odd number of blade bodies.
상술의 구성에 의하면, 고정날에 대하여 제 6의 특징 구성에 의한 작용 효과 와 같은 작용 효과가 얻어지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constitution, the same effect as that of the sixth feature of the fixed blade can be obtained.
제 3 실시형태에 사용되는 칼날체는, 예각과 둔각의 코너부를 갖는 마름모꼴의 사각기둥으로 형성되고, 상기 예각과 둔각의 코너부의 한쪽이 회전날의 날끝이 되고, 다른쪽이 고정날의 날끝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lade body used in the third embodiment is formed of a rhomboidal quadrangular column having corners at an acute angle and an obtuse angle and one of the corners of the acute angle and the obtuse angle serves as a blade tip of the rotary blade, .
상술의 구성에 의하면, 회전날을 구성하는 칼날체와, 고정날을 구성하는 칼날체를 공용할 수 있으므로, 양산 효과에 의해 각각의 칼날체의 제조 비용을 크게 저감할 수 있고, 제조 비용뿐만 아니라 관리 비용도 저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since the blade body constituting the rotary blade and the blade body constituting the fixed blade can be shared, the manufacturing cost of each blade body can be greatly reduced by the mass production effect, The management cost can also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파쇄 장치의 개략도,1 is a schematic view of a shred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의 (a)는 파쇄 로터의 요부 확대도, (b)는 파쇄 로터의 개략도,Fig. 2 (a)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crushing rotor, Fig. 2 (b) is a schematic view of the crushing rotor,
도 3의 (a)는 고정날의 평면도, (b)는 고정날의 정면도, (c)는 고정날의 우측면도, (d)는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고정날의 평면도, (e)는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고정날의 정면도, (f)는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고정날의 우측면도Fig. 3 (a) is a plan view of the fixed blade, Fig. 3 (b) is a front view of the fixed blade, (F) is a right side view of the fixed blad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nd
도 4의 (a)는 고정날 지지부의 개략도, (b)는 고정날 지지부의 단면도, (c)는 고정날 지지부의 단면도, (d)는 고정날 지지부의 단면도,FIG. 4A is a schematic view of the fixed blade supporting portion, FIG. 4B is a sectional view of the fixed blade supporting portion, FIG. 4C is a sectional view of the fixed blade supporting portion,
도 5는 파쇄 처리부의 설명도,5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the crushing processing unit,
도 6의 (a)는 회전날의 칼날부와 고정날의 칼날부의 설명도, (b)는 회전날의 칼날부와 고정날의 칼날부의 설명도,FIG. 6A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blade portion of a rotary blade and a blade portion of a fixed blade, FIG. 6B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blade portion of the rotary blade,
도 7의 (a)는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고정날 지지부의 개략도, (b)는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고정날 지지부의 단면도,FIG. 7A is a schematic view of a fixed blade supporting por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FIG. 7B is a sectional view of a fixed blade supporting por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도 8의 (a)는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고정날 지지부의 사시도, (b)는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고정날 지지부에 고정날을 부착하는 설명도, (c)는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고정날의 경사각의 설명도FIG. 8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xed blade suppor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 8B is an explanatory view for attaching the fixed blade to the fixed blade suppor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nd FIG. Explanation of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xed blade by
도 9는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식별 수단을 구비한 고정날 및 고정날 지지 부재의 설명도,9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fixed blade and a fixed blade supporting member provided with an identification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0의 (a)는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회전날의 칼날부와 고정날의 칼날부의 설명도, (b)는 제 2 실시형태 회전날의 칼날부와 고정날의 칼날부의 설명도, (c)는 제 2 실시형태 회전날의 칼날부와 고정날의 칼날부의 설명도,FIG. 10A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blade portion of a rotary blade and a blade portion of a fixed blad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FIG. 10B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blade portion of the rotary blade and a blade portion of the fixed blade, c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the blade portion of the rotary blade and the blade portion of the fixed blad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11은 종래의 고정날의 설치 구조의 설명도11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onventional installation structure of a fixed blade;
도 12는 종래의 고정날의 설치 구조의 설명도,12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onventional installation structure of a fixed blade,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파쇄 장치의 개략도,13 is a schematic view of a shred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의 (a)는 파쇄 로터의 좌측면도, (b)는 파쇄 로터의 정면도,Fig. 14 (a) is a left side view of the crushing rotor, Fig. 14 (b) is a front view of the crushing rotor,
도 15의 (a)는 회전날의 사시도, (b)는 칼날체의 정면도, (c)는 칼날체의 평면도,FIG. 15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tary blade, FIG. 15B is a front view of the blade body, FIG. 15C is a plan view of the blade body,
도 16의 (a)는 회전날 부착 부재의 평면도, (b)는 회전날 부착 부재의 좌측면도, (c)는 회전날 부착 부재의 정면도,Fig. 16A is a plan view of the rotary blade attaching member, Fig. 16B is a left side view of the rotary blade attaching member, Fig. 16C is a front view of the rotary blade attaching member,
도 17의 (a)는 파쇄 로터에 부착된 회전날 부착 부재의 평면도, (b)는 파쇄 로터에 부착된 회전날 부착 부재의 좌측면도, (c)는 파쇄 로터에 부착된 회전날 부착 부재의 정면도,Fig. 17A is a plan view of the rotary blade attaching member attached to the crushing rotor, Fig. 17B is a left side view of the rotary blade attaching member attached to the crushing rotor, Fig. 17C is a cross- Front view,
도 18의 (a)는 지그의 설명도, (b)는 칼날체의 정면도, (c)는 안내 부재 설치의 설명도, (d)는 평판 설치의 설명도, (e)는 칼날체가 부착된 회전날 부착 부재의 설명도,Fig. 18 (a)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jig, Fig. 18 (b) is a front view of the blade body, Fig.
도 19는 회전날 부착 부재로의 회전날의 설치를 설명하는 사시도,19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installation of a rotary blade to the rotary blade attachment member,
도 20의 (a)는 고정날 지지 부재와 고정날의 사시도, (b)는 칼날체의 정면도, (c)는 칼날체의 평면도Fig. 20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xed blade supporting member and the fixed blade, Fig. 20 (b) is a front view of the blade body,
도 21의 (a)는 고정날 지지 부재의 정면도, (b)는 고정날 지지 부재의 평면도의 A-A선 단면도, (c)는 고정날 지지 부재의 평면도,Fig. 21A is a front view of the fixed blade supporting member, Fig. 21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the plan view of the fixed blade supporting member, Fig. 21C is a plan view of the fixed blade supporting member,
도 22의 (a)는 칼날체의 설치 설명도, (b)는 칼날체의 설치 설명도, (c)는 칼날체의 설치 설명도,Fig. 22 (a)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installation of the blade body, Fig. 22 (b) is an installation explanatory view of the blade body,
도 23은 큰 회전날의 설명도,23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large rotary blade,
도 24의 (a)는 다른 실시형태의 칼날체의 설명도, (b)는 다른 실시형태의 칼날체의 설명도, (c)는 다른 실시형태의 칼날체의 설명도,FIG. 24A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blade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24B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blade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24C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blade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25의 (a)는 종래의 미세 파쇄용 파쇄 장치의 파쇄 처리부의 설명도, (b)는 미세 파쇄용 파쇄 장치의 고정날의 설명도,Fig. 25 (a)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rushing treatment section of a conventional fine crushing crushing apparatus, Fig. 25 (b) is an explanatory view of a fixed blade of a fine crushing crushing apparatus,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 : 파쇄 장치 2 : 수납 호퍼1: crushing device 2: storage hopper
3 : 파쇄 처리부 4 : 압입 푸셔3: crushing treatment section 4: press-fit pusher
4a : 암 5 : 테이블4a: Arm 5: Table
6 : 파쇄 로터 6a : 부착 시트6:
6b : 볼트 6v : 홈6b:
7 : 회전날 7', 7" : 칼날부7: rotating
8 : 고정날 8', 8" : 칼날부8: Fixing
9 : 고정날 9', 9" : 칼날부9: Fixing
10 : 스크린 기구 11 : 배출 호퍼10: Screen device 11: Discharge hopper
12 : 고정날 지지 부재 13 : 부착 시트12: Fixing blade supporting member 13: Attachment sheet
14 : 볼트 15 : 볼트14: Bolt 15: Bolt
16 : 노치 17 : 볼트 구멍16: notch 17: bolt hole
18 : 무두볼트 19 : 고정날 지지 부재18: tongue bolt 19: fixed blade supporting member
20 : 부착 시트 21 : 노치20: Attachment sheet 21: Notch
22 : 식별 수단 23 : 식별 수단22: Identification means 23: Identification means
24 : 스페이서 25 : 볼트24: spacer 25: bolt
26 : 노치 27 : 돌기부26: notch 27: projection
28 : 모따기부 α : 앙각28: chamfer α: elevation angle
β : 앙각 γ : 각도β: elevation angle γ: angle
η : 각도 θ : 각도?: Angle?: Angle
δ : 각도 M : 전동기隆: angle M: electric motor
Claims (12)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8-179641 | 2008-07-09 | ||
JP2008179641A JP5410042B2 (en) | 2008-07-09 | 2008-07-09 | Fixed blade mounting structure, chip-shaped fixed blade and crushing device |
JPJP-P-2009-087618 | 2009-03-31 | ||
JP2009087618A JP5537828B2 (en) | 2009-03-31 | 2009-03-31 | Crushing device blade mounting structure, blade body and crushing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6532A KR20100006532A (en) | 2010-01-19 |
KR101632266B1 true KR101632266B1 (en) | 2016-06-21 |
Family
ID=41815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59126A Active KR101632266B1 (en) | 2008-07-09 | 2009-06-30 | Mounting structure of fixed blade, plate-shaped fixed blade and crush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3226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466298B2 (en) | 2015-09-17 | 2019-02-06 | 株式会社テクノクラフト | Golf play support system |
CN114345500A (en) * | 2022-01-17 | 2022-04-15 | 中山斯瑞德环保科技有限公司 | Stationary knife structur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96710A (en) * | 2004-04-06 | 2005-10-27 | Watabe Seikosho:Kk | Crusher |
JP2007244956A (en) * | 2006-03-14 | 2007-09-27 | Zeno Kogu Kk | Rotating blade or stationary blade of single spindle type crushing apparatus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33694A (en) * | 1995-03-28 | 1996-10-22 | 홍건희 | Dial mounting device of tire vulcanization mold |
JP3122725B2 (en) * | 1998-02-27 | 2001-01-09 | ウエノテックス株式会社 | Single-shaft crusher |
-
2009
- 2009-06-30 KR KR1020090059126A patent/KR10163226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96710A (en) * | 2004-04-06 | 2005-10-27 | Watabe Seikosho:Kk | Crusher |
JP2007244956A (en) * | 2006-03-14 | 2007-09-27 | Zeno Kogu Kk | Rotating blade or stationary blade of single spindle type crushing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6532A (en) | 2010-01-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410042B2 (en) | Fixed blade mounting structure, chip-shaped fixed blade and crushing device | |
JP6185770B2 (en) | Grinding device with grinding rotor with continuous knife | |
CA2875260C (en) | Interlocking tip for demolition and construction equipment | |
JP5089242B2 (en) | Fixed blade of shear crusher | |
KR101632266B1 (en) | Mounting structure of fixed blade, plate-shaped fixed blade and crusher | |
US7044037B2 (en) | Tip for demolition and construction equipment | |
US20050116075A1 (en) | Crushing device | |
US8038088B2 (en) | Comminuting device with counter-rotating rotors | |
CN105233935A (en) | Industrial paper shredder with paper scrap compression function | |
WO2005105310A1 (en) | Shredder for the shredding of recyclable industrial waste | |
JP5537828B2 (en) | Crushing device blade mounting structure, blade body and crushing device | |
JP5576692B2 (en) | Fixed blade unit and crushing device | |
JP3761178B2 (en) | Shear type crusher | |
KR200168145Y1 (en) | Combination device of chopper knife of scrap chopper | |
JP2000117133A (en) | Crusher | |
JP2673669B2 (en) | Cutting machine | |
CN114786818A (en) | Single-shaft type crushing device | |
JP3761177B2 (en) | Shear type crusher | |
JP4010163B2 (en) | Crusher blade | |
CN215087793U (en) | Crusher and main shaft assembly thereof | |
JP3115558B2 (en) | Cutting blade for crusher | |
JP2000325811A (en) | Crushing machine | |
JP2010036061A (en) | Crusher for industrial waste | |
JPH1157517A (en) | Crushing rotary blade | |
HK1161857A (en) | Installation structure for rotating blade of crusher and crusher using such installation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212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5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6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8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6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6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5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