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2219B1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2219B1
KR101632219B1 KR1020140090338A KR20140090338A KR101632219B1 KR 101632219 B1 KR101632219 B1 KR 101632219B1 KR 1020140090338 A KR1020140090338 A KR 1020140090338A KR 20140090338 A KR20140090338 A KR 20140090338A KR 101632219 B1 KR101632219 B1 KR 101632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sump
insulating portion
cabine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0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9877A (ko
Inventor
신갑수
윤상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0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219B1/ko
Priority to US14/673,346 priority patent/US9814367B2/en
Priority to CN201510228079.8A priority patent/CN105310624B/zh
Priority to EP15170039.0A priority patent/EP2974645B1/en
Publication of KR20160009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9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25Arrangements or adaption of recirculation or discharge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09Insulation arrangements, e.g. for sound damping or heat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비닛,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세척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터브의 하부에 위치되는 섬프, 상기 랙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어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랙, 상기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분사암으로 공급하는 펌프, 상기 펌프가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펌프를 상기 섬프에 연결하며, 상기 펌프에서 발생된 진동이 상기 섬프로 전달되는 것을 감쇄하는 적어도 2개의 절연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 {DISH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세제와 세척수를 이용하여 식기나 조리도구 등(이하, '세척대상')에 뭍은 음식물 찌꺼기와 같은 오물을 세척하는 기기이다.
일반적인 식기세척기는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구비되어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랙, 상기 랙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 세척수를 저장하는 섬프,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분사암에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종래 식기세척기는 펌프에서 발생된 진동이 캐비닛이나 터브로 전달될 수 있었는데, 펌프에서 발생된 진동이 캐비닛이나 터브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소음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분사암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펌프에서 발생된 진동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 가능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캐비닛;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세척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터브의 하부에 위치되는 섬프; 상기 랙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어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랙; 상기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분사암으로 공급하는 펌프; 상기 펌프가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펌프를 상기 섬프에 연결하며, 상기 펌프에서 발생된 진동이 상기 섬프로 전달되는 것을 감쇄하는 적어도 2개의 절연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상기 절연부는 상기 캐비닛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펌프의 측면을 상기 섬프에 지지시키는 제1절연부 및 제2절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섬프는 세척수가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터브와 저장부를 구분하는 커버; 상기 커버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저장부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회수홀; 상기 저장부를 상기 커버에 연결하며 상기 제1절연부 및 상기 제2절연부가 지지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절연부와 상기 제2절연부는 상기 펌프를 상기 연결부가 위치된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인장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섬프는 상기 연결부에 구비되어 상기 펌프의 상부면이 수용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는 상기 펌프의 상부면과 상기 수용부의 표면이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펌프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섬프는 상기 연결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절연부 및 상기 제2절연부가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펌프는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1체결부 및 제2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절연부는 제1바디; 상기 제1지지부가 착탈 가능하도록 상기 제1바디에 구비되는 제1지지부 체결홀; 상기 제1체결부가 착탈 가능하도록 상기 제1바디에 구비되는 제1바디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절연부는 제2바디; 상기 제2지지부가 착탈 가능하도록 상기 제2바디에 구비되는 제2지지부 체결홀; 상기 제2체결부가 착탈 가능하도록 상기 제2바디에 구비되는 제2바디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 슬릿은 상기 캐비닛의 높이방향에 나란한 상기 제1바디의 길이방향의 폭이 상기 제1바디의 너비방향 폭보다 길게 구비되고, 상기 제2바디 슬릿의 길이는 상기 캐비닛의 높이방향에 나란한 상기 제2바디의 길이방향 폭이 상기 제2바디의 너비방향 폭보다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는 상기 수용부와 상기 펌프의 상부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와 상기 펌프의 상부면 사이를 소정거리 이격시키며, 상기 펌프에서 발생된 진동이 상기 섬프로 전달되는 것을 감쇄하는 제3절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절연부, 상기 제2절연부 및 상기 제3절연부는 탄성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펌프로 안내하되 상기 펌프에서 발생된 진동이 상기 섬프로 전달되는 것을 감쇄하는 제4절연부; 상기 펌프에서 배출된 세척수를 상기 분사암으로 안내하되 상기 펌프에서 발생된 진동이 상기 분사암으로 전달되는 것을 감쇄하는 제5절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섬프는 상기 수용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3절연부가 지지되는 제3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절연부는 상기 펌프의 상부면에 접촉하는 제3바디; 상기 제3바디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3지지부에 접촉되며 상기 제3바디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지지부는 상기 펌프가 상기 절연부의 인장력에 의해 이동할 때 상기 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절연부는 상기 제3바디의 표면이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되는 홈 또는 상기 제3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커버의 하부를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되 상기 커버의 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절연부는 상기 펌프가 상기 커버의 하부공간 중 상기 저장부가 구비되지 않은 공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펌프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분사암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펌프에서 발생된 진동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 가능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식기세척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섬프, 펌프 및 절연부의 분해도이다.
도 3은 섬프와 펌프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식기세척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하여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터브(11),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어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랙(191, 193), 상기 랙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3, 5), 상기 터브 내부로 분사된 세척수를 회수하는 섬프(13), 상기 섬프(13)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분사암(3, 5)으로 공급하는 펌프(8)를 포함한다.
상기 랙은 제1랙(191, 상부랙), 제1랙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랙(193, 하부랙)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에는 터브(11)를 개폐시키는 도어(16)가 구비되며, 상부랙(191)과 하부랙(193)은 상기 도어(16)가 터브(11)를 개방한 때 캐비닛(1)에서 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터브(11)의 내주면에는 상기 랙(191, 193)들이 상기 도어(16)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레일(미도시)이 구비되고, 상기 랙들에는 상기 레일(미도시)에 지지되는 롤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섬프(13)는 세척수가 저장되는 저장부(133), 상기 저장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터브(11)와 저장부(133)를 구분하는 커버(15), 상기 저장부(133)를 상기 커버(15)에 연결하는 연결부(131)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커버(15)에는 커버(15)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저장부(133)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회수홀(15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수홀(151)은 커버(15)가 제공하는 영역 중 저장부(133)의 상부에 위치된 영역에만 구비될 수도 있고, 커버(15)의 전 영역에 구비되어 터브(11) 내부의 세척수를 연결부(131)로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131)는 상기 회수홀(151)을 통해 유입되는 세척수를 상기 저장부(133)로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부(133)를 향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11)는 상기 커버(15)의 상부공간에 위치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분사암(3, 5)을 통해 터브에 분사된 세척수가 별도의 장치 없이도 회수홀(151) 및 연결부(131)를 통해 저장부(133)로 회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커버(15)는 캐비닛(1)의 내부공간을 구분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연결부(131)는 상기 커버(15)의 하부에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31)는 상기 커버(15)의 하부공간을 모두 감싸도록 구비(커버의 평면적과 바디의 평면적이 동일)될 수도 있고, 회수홀(151)이 형성된 공간만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저장부(133)는 상기 커버(15)가 캐비닛(1)의 바닥면을 향해 오목하게 절곡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저장부(133)의 단면적은 상기 연결부(131)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도록 구비되되 상기 저장부(133)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부(133)의 단면적이 상기 연결부(131)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도록 구비되면, 저장부(133)가 구비되지 않은 연결부(131)의 하부영역에 펌프(8)를 위치시킬 수 있어 식기세척기(100)의 부피를 최소화 가능할 것이다.
상기 저장부(133)는 급수원(미도시)에 연결된 급수유로(135)를 통해 세척수를 공급받고, 저장부(133)에 저장된 세척수는 배수유로(137) 및 배수펌프(139)를 통해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에 구비되는 분사암은 상기 터브(11) 내부에 구비되어 하부랙(193)에 수납된 세척대상을 세척하는 하부암(5), 상부랙(191)에 수납된 세척대상을 세척하는 상부암(3)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암(5) 및 상부암(3)은 펌프(8) 및 공급유로(7)를 통해 세척수를 공급받게 되는데, 상기 공급유로(7)는 하부암(5)에 연결되는 제1공급유로(71), 상부암(3)에 연결된 제2공급유로(73), 각 공급유로(71, 73)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전환밸브(7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암(5)이 상기 터브(11)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경우, 하부암(5)은 커버(15)에 구비된 홀더(17)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공급유로(71)는 상기 홀더(17)에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암(3)이 상기 터브(11)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면, 상기 상부암(3)은 제2공급유로(7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펌프(8)는 임펠러(85)가 구비된 하우징(81), 상기 하우징(81) 내부로 세척수가 유입되는 유입구(84), 상기 하우징(181) 내부의 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출구(82), 상기 하우징(181)의 외부에 구비되어 임펠러(186)를 회전시키는 모터(87)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84)는 유입구 연결관(97)을 통해 저장부(133)에 연결되고, 상기 배출구(82)는 배출구 연결관(99)을 통해 전환밸브(75)에 연결된다.
따라서, 모터(87)에 전력이 공급되어 임펠러(85)가 회전하면, 섬프(13)에서 하우징(81)으로 유입된 물은 배출구(82)를 통해 전환밸브(75)로 이동하고, 전환밸브(75)에 공급된 물은 전환밸브(75)에 의해 개방되는 공급유로(71, 73)를 따라 상부암(3)이나 하부암(5)에 공급된다.
상기 펌프(8)는 절연부(91, 92, 93, 94, 95)를 통해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되는데, 상기 절연부는 펌프(8)에서 발생된 진동을 감쇄하여 펌프(8)에 발생된 진동이 섬프(13) 및 캐비닛(1)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다.
본 발명에 구비된 절연부는 상기 펌프(8)의 외주면과 상기 캐비닛(1)의 바닥면을 소정거리 이격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펌프(8)의 외주면과 상기 섬프(13)를 소정거리 이격시키는 수단으로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구비되는 절연부는 상기 펌프(8)의 바닥면과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을 소정거리 이격시키는 제1절연부(93) 및 제2절연부(95)만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1절연부와 제2절연부에 더해 상기 펌프(8)의 상부면과 상기 섬프(13)를 소정거리 이격시키는 제3절연부(91)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펌프(8)의 상부면에는 하우징(81) 내부에 구비된 임펠러(85)를 회전시키는 모터(87)가 구비되므로, 상기 제3절연부(91)는 모터(87)와 섬프(13)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수단이 된다.
또한, 상기 제1절연부(93) 및 제2절연부(95)는 펌프(8)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하우징(81)의 바닥면이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수단이 된다.
상기 제3절연부(91)는 모터(87)의 상부면에 접촉하는 제3바디(911), 상기 제3바디(911)에서 돌출되어 상기 섬프의 연결부(131)나 상기 커버(15) 중 어느 하나에 접촉하는 돌기(913)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제3절연부(91)가 연결부(131)에 접촉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이 경우 연결부(131)에는 펌프의 상부면이 수용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138)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부(138)는 연결부(131)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되 캐비닛(1)의 바닥면에 나란한 수용바디(1381), 상기 수용바디(1381)에서 캐비닛(1)의 바닥면을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되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1플랜지(1383) 및 제2플랜지(1385)로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3절연부(91)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수용부(138)에는 상기 돌기(913)가 지지되는 제3지지부(132)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제3지지부(132)는 상기 수용바디(1381)의 표면이 상기 커버(15)를 향해 오목하게 절곡된 형태 또는 상기 수용바디(1381)의 표면에서 캐비닛의 바닥면을 향해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돌기(913)가 수용 가능한 공간을 제공한다.
어느 경우에나 상기 제3지지부(132)는 상기 수용부(138)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저장부(133)를 향해 구비되어 상기 펌프(8)를 조립할 때 상기 돌기(913)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제1절연부와 제2절연부의 인장력에 의해 펌프가 이동할 때 펌프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절연부(91)는 모터(87)의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는 한 어떠한 재질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고무와 같은 탄성부재가 일례가 될 수 있다.
한편, 모터(87)의 진동이 섬프(13)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돌기(913)의 단면적은 상기 제3바디(911)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제3바디(911)가 제3바디(91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홀 또는 상기 제3바디(911)의 표면이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되는 홈(상기 돌기(913)의 원주면을 따라 배치)을 포함하도록 구비된다면 제3바디(911)의 진동감쇄 효과는 더 커질 것이다.
상기 제1절연부(93)는 일단은 상기 연결부(13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81)에 연결되는 제1바디(93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931) 역시 펌프(8)에서 발생된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는 한 어떠한 재질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고무와 같은 탄성부재가 일례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131) 및 상기 하우징(81)에는 상기 제1바디(931)에 결합되는 제1지지부(134) 및 제1체결부(86)가 각각 구비되어야 한다. 도 2는 제1바디(931)가 연결부(131)에 위치된 수용부(138)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으로, 이 경우 상기 제1지지부(134)는 수용부(138)를 형성하는 제1플랜지(1383)에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제1바디(931)가 제1지지부(134)나 제1체결부(86)에 결합되는 구조는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는데, 도 2와 도 3은 제1지지부(134)는 수용부(138)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되고, 제1체결부(86)는 하우징(81)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제1바디(931)에는 상기 제1지지부(134)가 삽입되는 제1지지부 체결홀(933) 및 상기 제1체결부(86)가 삽입되는 제1바디 슬릿(935)이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바디 슬릿(935)은 상기 제1바디(93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1바디(931)의 길이방향(캐비닛의 높이방향)의 폭이 상기 제1바디(931)의 너비방향(캐비닛의 너비방향) 폭보다 더 길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제1바디(931)와 제1체결부(86)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절연부(95)는 상기 제1절연부(93)와 동일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절연부(95) 역시 진동의 감쇄가 가능한 재질로 구비되는 제2바디(951), 제2바디(951)에 구비되는 제2지지부 체결홀(953) 및 제2바디 슬릿(955)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용부(138)의 외주면(제2플랜지(1385))에는 상기 제2지지부 체결홀(953)에 삽입되는 제2지지부(136)가 구비되고, 상기 펌프(8)에는 상기 하우징(81)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바디 슬릿(955)에 삽입되는 제2체결부(88)가 더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제2바디 슬릿(955)은 상기 제2바디(95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2바디(951)의 길이방향(캐비닛의 높이방향)의 폭이 상기 제2바디(951)의 너비방향(캐비닛의 너비방향) 폭보다 더 길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제1절연부(93), 제2절연부(95) 및 제3절연부(91)는 펌프(8)를 수용부(138)에 고정시키는 경우를 설명한 것이지만, 본 발명에 구비되는 절연부들은 펌프(8)를 상기 커버(15)에 고정시키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술한 구조만을 가진 식기세척기(100)는 펌프(8)와 저장부(133)를 연결하는 유입구 연결관(97), 펌프(8)와 전환밸브(75)를 연결하는 배출구 연결관(99)을 통해 펌프(8)의 진동이 섬프(13)나 캐비닛(1)으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입구 연결관(97)과 배출구 연결관(99)은 진동을 흡수 가능한 재질(탄성부재 등)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유입구 연결관(97)과 배출구 연결관(99)은 각각 제4절연부 및 제5절연부로써 기능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식기세척기(100)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펌프(8)를 섬프(13)에 고정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제1지지부 체결홀(933)을 제1지지부(134)에 삽입하여 제1절연부(93)를 수용부(138)에 고정하고, 제2지지부 체결홀(953)을 제2지지부(136)에 삽입하여 제2절연부(95)를 수용부(138)에 고정한다.
제1절연부(93)와 제2절연부(95)가 고무와 같은 진동감쇄 부재로 구비되므로 작업자는 제1바디(931) 및 제2바디(951)를 잡아당겨 제1바디 슬릿(935)과 제2바디 슬릿(955)이 하우징의 제1체결부(86)와 하우징 제2체결부(88) 각각에 연결되도록 한다.
이후 작업자는 모터(87)의 상부면에 안착된 제3절연부(91)를 제3지지부(132)에 결합시키게 되는데, 이 경우 제3지지부(132)는 제3절연부의 돌기(913)의 이동을 안내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가 돌기(913)를 제3지지부(132)에 위치시키기만 하면 제1절연부와 제2절연부의 탄성(제1절연부와 제2절연부가 펌프를 섬프 방향으로 당기는 인장력) 및 제3지지부(132)의 안내에 의해 펌프(8)는 설정된 위치로 이동하여 도 3과 같이 섬프(13)에 고정될 것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절연부(93)와 제2절연부(95)가 펌프(8)에 제공하는 인장력의 크기는 펌프의 상부면이 수용부(138)의 표면과 소정거리(L) 이격되는 정도의 인장력이면 충분하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본 발명 식기세척기(100)는 펌프(8)의 진동이 섬프(13)나 캐비닛(1)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식기세척기의 소음과 진동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부(131)의 하부공간 중 저장부(133)가 구비되지 않은 공간에 펌프(8)가 위치되므로 식기세척기의 부피를 최소화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캐비닛 11: 터브 13: 섬프
131: 연결부 132: 제3지지부 134: 제1지지부
136: 제2지지부 133: 저장부 135: 급수유로
137: 배수유로 배수펌프139 15: 커버
151: 회수홀 16: 도어 17: 홀더
3: 상부암 5: 하부암 7: 공급유로
71: 제1공급유로 73: 제2공급유로 75: 전환밸브
8: 펌프 81: 하우징 82: 배출구
84: 유입구 86: 제1체결부 88: 제2체결부
85: 임펠러 87: 모터 91: 제3절연부
911: 제3바디 913: 돌기 93: 제1절연부
931: 제1바디 933: 제1지지부 체결홀 935: 제1바디 슬릿
95: 제2절연부 97: 제4절연부(유입구 연결관)
99: 제5절연부(배출구 연결관)

Claims (15)

  1. 캐비닛;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세척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터브의 하부에 위치되는 섬프;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어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랙;
    상기 랙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
    상기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분사암으로 공급하는 펌프;
    상기 펌프가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펌프를 상기 섬프에 연결하며, 상기 펌프에서 발생된 진동이 상기 섬프로 전달되는 것을 감쇄하는 적어도 2개의 절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는
    상기 캐비닛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펌프의 측면을 상기 섬프에 지지시키며, 상기 펌프를 상기 섬프가 위치된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인장력을 제공하는 제1절연부 및 제2절연부;
    상기 펌프의 상부면과 상기 섬프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펌프에서 발생된 진동이 상기 섬프로 전달되는 것을 감쇄하는 제3절연부;를 포함하며,
    상기 섬프는
    세척수가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터브와 상기 저장부를 구분하는 커버;
    상기 커버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저장부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회수홀;
    상기 저장부를 상기 커버에 연결하며, 상기 제1절연부 및 상기 제2절연부가 지지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구비되어 상기 펌프의 상부면이 수용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3절연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3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절연부는 상기 펌프의 상부면에 접촉하는 제3바디; 상기 제3바디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3지지부에 접촉되며 상기 제3바디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3지지부는 상기 펌프가 상기 제1절연부 및 상기 제2절연부의 인장력에 의해 이동할 때 상기 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홈;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부와 상기 제2절연부는 상기 펌프를 상기 연결부가 위치된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인장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프는 상기 연결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절연부 및 상기 제2절연부가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펌프는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1체결부 및 제2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부는 제1바디; 상기 제1지지부가 착탈 가능하도록 상기 제1바디에 구비되는 제1지지부 체결홀; 상기 제1체결부가 착탈 가능하도록 상기 제1바디에 구비되는 제1바디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절연부는 제2바디; 상기 제2지지부가 착탈 가능하도록 상기 제2바디에 구비되는 제2지지부 체결홀; 상기 제2체결부가 착탈 가능하도록 상기 제2바디에 구비되는 제2바디 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 슬릿은 상기 캐비닛의 높이방향에 나란한 상기 제1바디의 길이방향의 폭이 상기 제1바디의 너비방향 폭보다 길게 구비되고,
    상기 제2바디 슬릿의 길이는 상기 캐비닛의 높이방향에 나란한 상기 제2바디의 길이방향 폭이 상기 제2바디의 너비방향 폭보다 길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부, 상기 제2절연부 및 상기 제3절연부는 탄성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펌프로 안내하되 상기 펌프에서 발생된 진동이 상기 섬프로 전달되는 것을 감쇄하는 제4절연부;
    상기 펌프에서 배출된 세척수를 상기 분사암으로 안내하되 상기 펌프에서 발생된 진동이 상기 분사암으로 전달되는 것을 감쇄하는 제5절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2. 삭제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절연부는
    상기 제3바디의 표면이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되는 홈 또는 상기 제3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커버의 하부를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되 상기 커버의 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절연부는 상기 펌프가 상기 커버의 하부공간 중 상기 저장부가 구비되지 않은 공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펌프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KR1020140090338A 2014-07-17 2014-07-17 식기세척기 KR101632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338A KR101632219B1 (ko) 2014-07-17 2014-07-17 식기세척기
US14/673,346 US9814367B2 (en) 2014-07-17 2015-03-30 Dishwasher
CN201510228079.8A CN105310624B (zh) 2014-07-17 2015-05-07 洗碗机
EP15170039.0A EP2974645B1 (en) 2014-07-17 2015-06-01 Dishwa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338A KR101632219B1 (ko) 2014-07-17 2014-07-17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877A KR20160009877A (ko) 2016-01-27
KR101632219B1 true KR101632219B1 (ko) 2016-06-21

Family

ID=53269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0338A KR101632219B1 (ko) 2014-07-17 2014-07-17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14367B2 (ko)
EP (1) EP2974645B1 (ko)
KR (1) KR101632219B1 (ko)
CN (1) CN10531062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99788B2 (en) 2017-11-21 2019-12-10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pump hangar to reduce motor noise
CN108175351A (zh) * 2018-03-28 2018-06-1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洗碗机及其洗涤泵安装组件
US11589726B2 (en) * 2019-03-26 2023-02-28 Whirlpool Corporation Mounting bracket for a dishwasher
KR102447805B1 (ko) * 2021-01-06 2022-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20240002850A (ko) * 2022-06-30 2024-0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845Y1 (ko) * 2003-11-11 2004-02-14 씨티엠(주) 식기세척기용 펌프모터 브래킷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80740A (en) 1956-12-28 1959-04-07 Waste King Corp Dishwasher with vibration-preventing motor and impeller mount
FR2642881B1 (fr) 1989-02-03 1995-03-31 Esswein Sa Procede d'isolement acoustique des sources de bruits dans un lave-vaisselle et lave-vaisselle mettant en oeuvre ce procede
DE9211880U1 (de) 1992-09-03 1994-01-05 Licentia Gmbh Anordnung zur Halterung und Aufhängung von Motor-/Pumpen-Aggregaten in Haushalt-Geschirrspülmaschinen
DE9215365U1 (de) 1992-11-11 1994-03-17 Licentia Gmbh Anordnung und Halterung der Laugenumwälzpumpe samt Antriebsmotor in Haushalt-Geschirrspülmaschinen
TW200605836A (en) 2004-04-09 2006-02-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ishwasher
KR101238083B1 (ko) 2005-12-21 2013-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KR20100110549A (ko) * 2009-04-03 2010-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101634172B1 (ko) * 2009-04-03 2016-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20140045203A (ko) * 2012-10-08 2014-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섬프유닛
KR101981582B1 (ko) 2013-01-07 2019-05-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구동회로 일체형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845Y1 (ko) * 2003-11-11 2004-02-14 씨티엠(주) 식기세척기용 펌프모터 브래킷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74645B1 (en) 2017-05-03
CN105310624B (zh) 2018-11-20
US20160015242A1 (en) 2016-01-21
US9814367B2 (en) 2017-11-14
KR20160009877A (ko) 2016-01-27
EP2974645A1 (en) 2016-01-20
CN105310624A (zh) 2016-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2219B1 (ko) 식기세척기
US9700194B2 (en) Dishwasher
KR102007843B1 (ko) 식기세척기
EP2710945B1 (en) Dishwashing machine
US7794549B2 (en) Drip shield for a drawer-type dishwasher
EP2805662A1 (en) Nozzle assembly and dishwasher having the same
KR101980706B1 (ko) 식기세척기
CN108185941B (zh) 一种外置水管的抽屉式洗碗机
KR102352392B1 (ko) 식기세척기
KR20160136595A (ko) 식기세척기
CN106377213B (zh) 导轨组件及用水家用电器
KR102058074B1 (ko) 식기세척기
KR20160136596A (ko) 식기세척기
CN106659356B (zh) 洗碟机及其制造方法
KR101980705B1 (ko) 식기세척기
US9962058B2 (en) Dishwasher
WO2011093047A1 (ja) 食器洗い機
KR102674534B1 (ko) 식기 세척기
KR20040023108A (ko) 식기세척기의 배수호스 고정장치
KR20110045761A (ko) 식기세척기
KR20170008456A (ko) 식기세척기
KR20150000268A (ko) 식기세척기
KR20200137440A (ko) 식기 세척기
KR20150009399A (ko) 식기세척기
KR20190075029A (ko) 식기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