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1215B1 - 회동 가능한 노즐유닛을 갖는 비데 - Google Patents

회동 가능한 노즐유닛을 갖는 비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1215B1
KR101631215B1 KR1020090074590A KR20090074590A KR101631215B1 KR 101631215 B1 KR101631215 B1 KR 101631215B1 KR 1020090074590 A KR1020090074590 A KR 1020090074590A KR 20090074590 A KR20090074590 A KR 20090074590A KR 101631215 B1 KR101631215 B1 KR 101631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unit
power transmitting
bidet
transmitting memb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4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7091A (ko
Inventor
이현강
안중근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4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1215B1/ko
Publication of KR20110017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7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세척수의 토출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회동 가능한 노즐유닛을 갖는 비데가 개시된다.
상기한 회동 가능한 노즐유닛을 갖는 비데는 비데본체에 설치되는 노즐유닛 장착부와, 상기 노즐유닛 장착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노즐유닛, 및 상기 노즐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노즐유닛을 회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회동 가능한 노즐유닛을 갖는 비데에 의하면, 구동부를 통해 노즐유닛을 회동시킬 수 있으므로, 세척수의 토출방향을 회동시켜 세정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비데, 노즐유닛, 회동, 헬리컬 기어

Description

회동 가능한 노즐유닛을 갖는 비데{BIDET HAVING A NOZZLE UNIT WHICH IS CAPABLE OF ROTATING}
본 발명은 비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정 및 비데를 위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유닛을 구비하는 비데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인간 생활의 편의성을 도모하고자 기술개발로 인한 다양한 제품들이 사회나 가정에 등장하여 상용화되고 있다. 그 중 최근 사용이 증대되고 있는 제품 중의 하나가 비데이다.
일반적으로 비데는 좌변기에 설치되고, 비데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조작부의 조작으로 노즐을 통해 세척수를 분사시켜 항문의 세정 및 여성의 국부 세정 또는 맛사지 세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기기이다.
세정 기능은 용변을 본 후,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로 휴지 없이 항문을 세정하는 기능이고, 비데 기능은 세척수로 여성들의 국부를 자동으로 세정하는 기능이며, 맛사지 세정 기능은 세척수가 분사되는 노즐을 연속 반복적으로 전,후진시켜 이의 운동으로 맛사지 효과를 얻도록 하는 세정 기능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세정, 비데, 맛사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노즐은 비데 본체로부터 입출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노즐로부터 세척수가 분사되는 분사구는 노즐의 선단에 구비되는데, 사용자에 따라 세척수가 분사되는 분사구의 위치를 조정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런데, 상기 분사구의 위치 조정, 즉 노즐의 위치 조정은 단순히 노즐의 전후진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는 실정이며, 따라서 노즐의 전,후진과 더불어 노즐의 좌,우 방향의 이동에 의한 분사구의 위치 조정이 필요한 실정이다.
세척수의 토출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회동 가능한 노즐유닛을 갖는 비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동 가능한 노즐유닛을 갖는 비데는 비데본체에 설치되는 노즐유닛 장착부와, 상기 노즐유닛 장착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노즐유닛, 및 상기 노즐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노즐유닛을 회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노즐유닛은 상기 노즐유닛 장착부에 구비되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노즐유닛몸체와, 상기 노즐유닛몸체로부터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연장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재는 일단이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노즐유닛몸체에 고정되며, 타단부측에는 상기 회동축이 관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여 상기 구동부에 의해 구동시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구동부는 상기 노즐유닛의 회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 동력전달부재, 및 일단이 제1 동력전달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연장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에 의해 상기 연장부재를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제2 동력전달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동력전달부재와 상기 제2 동력전달부재는 치차부를 구비하며, 상기 치차부에 의해 회전운동이 직선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제1 동력전달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제1 동력전달부재의 길이방향으로 걸림부가 연장형성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노즐유닛 장착부에 구비되는 안내홈 내에서 회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부를 통해 노즐유닛을 회동시킬 수 있으므로, 세척수의 토출방향을 회동시켜 세정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동부(180)를 통해 노즐유닛(160)을 회동시켜 세정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노즐유닛(160) 전체를 좌,우로 이동시켜 세정위치를 조정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노즐유닛(160)이 비데몸체(120) 내부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동 가능한 노즐유닛을 갖는 비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동 가능한 노즐유닛을 갖는 비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회동 가능한 노즐유닛을 갖는 비데(100, 이하 '비데'라고 함)는 좌변기(10)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비데본체(120), 노즐유닛 장착부(140, 도 2 참조), 노즐유닛(160), 및 구동부(180, 도 2 참조)를 포함한다.
비데본체(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변기(10)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고정 설치된다. 또한, 비데본체(120)는 내부에 다양한 부품이 설치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비데본체(120)는 일측에 비데(100)의 각종 기능을 선택하거나,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조작 판넬(130)을 구비할 수 있으며, 조작판넬(130)에는 비데의 각종 기능을 선택하거나 동작을 실행시키는 각종 조작 버튼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비데본체(120)에는 노즐유닛(160)이 입출되는 개구부(122)가 구비되며, 사용자가 조작판넬(130)에 설치된 조작버튼을 누르면 노즐유닛(160)이 전진하여 개구부(122)를 통해 비데본체(120)로부터 토출된다.
한편, 노즐유닛 장착부(140), 노즐유닛(160), 및 구동부(180)는 비데본체(120)에 구비된다. 이에 대한 사항은 아래에서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동 가능한 노즐유닛을 갖는 비데의 부분사시도이고, 도 3a는 도 2의 'A'부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2의 'B'부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 도 3a, 도 3b를 참조하면, 노즐유닛 장착부(140)는 비데본체(120)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즉, 노즐유닛 장착부(140)는 개구부(122)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비데본체(120)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노즐유닛 장착부(140)는 노즐유닛(160)이 상부에 안착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안착홈(142, 도 3a 참조)을 구비하는 안착대(144)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노즐유닛(160)은 안착대(144)에 형성된 안착홈(142)에 안착되어 구동부(180)에 의 해 구동시 안착홈(142) 내에서 회동된다.
또한, 안착대(144)에는 노즐유닛(160)의 회전 중심을 이루는 회동축(146, 도 3a 참조)이 고정 장착되는 장착홀(147)이 구비될 수 있다. 회동축(146)은 노즐유닛(160)이 구동부(180)에 의해 회동시 노즐유닛(160)이 회동축(146)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노즐유닛(160)에 연결된다.
한편, 노즐유닛 장착부(140)에는 구동부(180)의 장착을 위한 설치부(148)를 구비하며, 설치부(148)의 일단에는 안내홈(148a)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노즐유닛(160)은 노즐유닛 장착부(14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다시 말해, 노즐유닛(160)은 노즐유닛 장착부(140)의 안착대(144)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노즐유닛(160)은 회동축(146)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노즐유닛몸체(162)와, 노즐유닛몸체(162)로부터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연장부재(164)를 구비할 수 있다.
노즐유닛몸체(162)는 세척수의 토출을 위한 다수개의 부품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노즐유닛몸체(162)에는 예를 들어, 세정노즐(162a), 비데노즐(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세정노즐(162a), 비데노즐을 전,후진 시키기 위한 구동장치(예를 들어, 구동모터, 동력전달부 등), 그리고 세척수의 공급을 위한 호스 연결구(162b)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노즐유닛몸체(162)에 구비되는 상기한 구성은 노즐유닛(160)에 일반적으로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구성에 해당하므로 자세한 설 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노즐유닛몸체(162)는 연장부재(164)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연결부(162c)를 구비할 수 있다. 연결부(162c)에는 내부로 회동축(146)이 관통되어 장착된다. 한편, 연결부(162c)가 노즐유닛 장착부(140)의 안착대(144) 상에 안착되는데, 이에 따라 노즐유닛(160)이 노즐유닛 장착부(140)에 장착되는 것이다.
연장부재(164)는 노즐유닛몸체(162)의 저면으로부터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한편, 연장부재(164)는 노즐유닛몸체(162)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노즐유닛몸체(162)에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연장부재(164)에는 회동축(146)이 관통되는 관통홀(164a)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연장부재(164)의 일단, 즉 연장부재(164)의 끝단부는 구동부(180)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연장부재(16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80)에 의해 회동축(146)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한편, 구동부(180)는 노즐유닛(160)에 연결되어 노즐유닛(160)을 회동시킨다. 이를 위해, 구동부(180)는 구동원(182), 제1 동력전달부재(184), 및 제2 동력전달부재(186)를 구비할 수 있다.
구동원(182)은 노즐유닛(160)의 회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한편, 구동원(182)은 스태핑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구동원(182)이 스태핑모터로 이루어져 노즐유닛(160)이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정해진 각도만큼 회동 가능할 수 있다.
한편, 구동원(182)은 제어부(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신호에 따라 구동원(182)을 제어하여 노즐유닛(160)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제1 동력전달부재(184)는 구동원(182)에 연결되어 구동원(182)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제2 동력전달부재(186)에 전달한다. 이를 위해 제1 동력전달부재(184)의 외부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차부(184a)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동력전달부재(184)는 헬리컬 기어일 수 있다.
또한, 제1 동력전달부재(184)는 노즐유닛 장착대(140)에 구비되는 설치부(148)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제1 동력전달부재(184)는 구동원(182)에 의해 회전되며, 구동원(182)으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을 외부면에 형성된 치차부(184a)를 통해 제2 동력전달부재(186)로 전달한다.
그리고, 제1 동력전달부재(184)의 일단에는 제1 동력전달부재(184)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걸림부(184b)를 구비할 수 있다. 걸림부(184b)는 제1 동력전달부재(184)가 노즐유닛 장착대(140)의 설치부(148)에 장착되는 경우 설치부(148)의 일단에 구비된 안내홈(148a)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 동력전달부재(184)가 구동원(182)에 의해 회동시, 걸림부(184b)는 안내홈(148a) 내에서 이동되고, 계속해서 제1 동력전달부재(184)가 회동되더라도 안내홈(148a)의 양끝단에 걸림부(184b)가 걸리게 되어 제1 동력전달부재(184)는 더 이상 회동되지 못한다.
즉, 제1 동력전달부재(184)의 걸림부(184b)와 노즐유닛 장착대(140)에 구비 되는 안내홈(148a)에 의해 제1 동력전달부재(184)의 회동 반경이 제한된다.
한편, 제2 동력전달부재(186)는 일단이 제1 동력전달부재(182)에 연결되고, 타단이 연장부재(164)에 연결되어, 구동원(182)으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을 통해 연장부재(164)를 회동축(146)을 중심으로 회동시킨다.
이를 위해 제2 동력전달부재(186)의 타단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동력전달부재(184)에 구비되는 치차부(184a)에 치차결합되는 치차부(186a)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동력전달부재(186)로 전달된 구동력이 제2 동력전달부재(186)에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제1 동력전달부재(186)에 결합된 제2 동력전달부재(186)는 제1 동력전달부재(184)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구동원(182)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동력전달부재(184)와 제2 동력전달부재(186)에 구비되는 치차부(184a,186a)를 통해 회전운동에서 직선운동으로 변환된다.
한편, 제2 동력전달부재(186)가 제1 동력전달부재(184)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므로, 제2 동력전달부재(186)에 연결된 연장부재(164)는 회동축(146)을 중심을 회동된다.
결국, 구동원(182)으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에 의해 노즐유닛(160)은 회동축(146)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동력전달부재(186)가 연장부재(164)에 장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동력전달부재(186)는 연장부재(16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동부(180)를 통해 노즐유닛(160)을 회동시킬 수 있으므로, 세척수의 토출방향을 회동시켜 세정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구동부(180)를 통해 노즐유닛(160)을 회동시켜 세정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노즐유닛(160)을 좌,우로 이동시켜 세정위치를 조정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노즐유닛(160)이 비데몸체(120) 내부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비데몸체(120) 내부에는 많은 부품들이 설치되어 내부공간의 효율적 활용이 비데(100)의 설계시 중요한 인자로 작용한다. 그런데, 본 발명은 공간활용 측면에서 노즐유닛(160) 전체를 좌,우로 이동시켜 세정위치를 조정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공간활용 효율이 높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동 가능한 노즐유닛을 갖는 비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동 가능한 노즐유닛을 갖는 비데의 부분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의 'A'부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2의 'B'부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동 가능한 노즐유닛을 갖는 비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회동 가능한 노즐유닛을 갖는 비데
120 : 비데본체
140 : 노즐유닛 장착부
160 : 노즐유닛
180 : 구동부

Claims (6)

  1. 삭제
  2. 비데본체에 설치되는 노즐유닛 장착부;
    상기 노즐유닛 장착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노즐유닛; 및
    상기 노즐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노즐유닛을 회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유닛은 상기 노즐유닛 장착부에 구비되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노즐유닛몸체와, 상기 노즐유닛몸체로부터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연장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 가능한 노즐유닛을 갖는 비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재는
    일단이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노즐유닛몸체에 고정되며, 타단부측에는 상기 회동축이 관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여 상기 구동부에 의해 구동시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 가능한 노즐유닛을 갖는 비데.
  4. 제3항에 있어서, 구동부는
    상기 노즐유닛의 회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
    상기 구동원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 동력전달부재; 및
    일단이 제1 동력전달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연장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에 의해 상기 연장부재를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제2 동력전달부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 가능한 노즐유닛을 갖는 비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력전달부재와 상기 제2 동력전달부재는 치차부를 구비하며, 상기 치차부에 의해 회전운동이 직선운동으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 가능한 노즐유닛을 갖는 비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력전달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제1 동력전달부재의 길이방향으로 걸림부가 연장형성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노즐유닛 장착부에 구비되는 안내홈 내에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 가능한 노즐유닛을 갖는 비데.
KR1020090074590A 2009-08-13 2009-08-13 회동 가능한 노즐유닛을 갖는 비데 KR101631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590A KR101631215B1 (ko) 2009-08-13 2009-08-13 회동 가능한 노즐유닛을 갖는 비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590A KR101631215B1 (ko) 2009-08-13 2009-08-13 회동 가능한 노즐유닛을 갖는 비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091A KR20110017091A (ko) 2011-02-21
KR101631215B1 true KR101631215B1 (ko) 2016-06-16

Family

ID=43775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4590A KR101631215B1 (ko) 2009-08-13 2009-08-13 회동 가능한 노즐유닛을 갖는 비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12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20524B (zh) * 2013-08-23 2017-12-19 厦门优胜卫厨科技有限公司 一种可左右摆动的卫生功能装置
WO2015122736A1 (ko) * 2014-02-17 2015-08-20 코웨이 주식회사 노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장치
KR102554944B1 (ko) * 2021-07-22 2023-07-12 이누스(주) 비데 세척노즐 구동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2526A (ja) 1998-12-24 2000-07-11 Aisin Seiki Co Ltd 人体局部洗浄装置
KR200335795Y1 (ko) 2003-09-26 2003-12-11 요요전자 주식회사 비데의 노즐 구조
KR200343421Y1 (ko) 2003-12-15 2004-03-04 허정원 위생세정기의 노즐 회전장치
KR100804304B1 (ko) * 2007-05-04 2008-02-1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비데기의 노즐 신장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2526A (ja) 1998-12-24 2000-07-11 Aisin Seiki Co Ltd 人体局部洗浄装置
KR200335795Y1 (ko) 2003-09-26 2003-12-11 요요전자 주식회사 비데의 노즐 구조
KR200343421Y1 (ko) 2003-12-15 2004-03-04 허정원 위생세정기의 노즐 회전장치
KR100804304B1 (ko) * 2007-05-04 2008-02-1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비데기의 노즐 신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091A (ko) 2011-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1751B1 (ko) 좌변기용 비데
KR101631215B1 (ko) 회동 가능한 노즐유닛을 갖는 비데
JP3165079B2 (ja) シャワー装置
EP3434836A1 (en) Sterilized water spray device and bidet seat having same
KR101866983B1 (ko) 노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변좌와 비데
CN100595398C (zh) 喷管装置
JP2009161936A (ja) 温水洗浄ノズルの掃除装置及び温水洗浄装置
KR102570436B1 (ko) 노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KR100634839B1 (ko) 휴대형 여성 국부 세정기구
CN107227777B (zh) 杀菌水喷射装置以及配备该杀菌水喷射装置的洁身器
EP4357545A1 (en) Spray washing apparatus, method for oscillating spray washing, and smart toilet
JP2007247281A (ja) 温水洗浄装置
JP4591542B2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KR20090021553A (ko) 위생세정기의 회동식 노즐장치
KR100804304B1 (ko) 비데기의 노즐 신장장치
KR20100079264A (ko) 좌변기용 비데
CN101368404B (zh) 喷管装置
KR101685953B1 (ko) 유량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비데
KR101849082B1 (ko) 비데 장치
CN217537222U (zh) 一种喷洗装置及智能便器
JP3085582B2 (ja) 衛生洗浄装置
KR200341896Y1 (ko) 세정기의 기계식 트윈노즐 구동장치
JP2000237702A (ja) 洗浄装置
KR20090080779A (ko) 좌변기용 변좌
JPH015253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