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1103B1 - 헤드셋을 통한 프로젝터 기능의 휴대 단말기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헤드셋을 통한 프로젝터 기능의 휴대 단말기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1103B1
KR101631103B1 KR1020090009494A KR20090009494A KR101631103B1 KR 101631103 B1 KR101631103 B1 KR 101631103B1 KR 1020090009494 A KR1020090009494 A KR 1020090009494A KR 20090009494 A KR20090009494 A KR 20090009494A KR 101631103 B1 KR101631103 B1 KR 101631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projector
headset
mod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9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0164A (ko
Inventor
최영일
김성배
김보성
김태영
김필준
조영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9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1103B1/ko
Priority to US12/699,165 priority patent/US8825038B2/en
Priority to EP10152689.5A priority patent/EP2216969B1/en
Publication of KR20100090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0164A/ko
Priority to US14/463,808 priority patent/US936336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8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herein functions are triggered by incoming communication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04M1/6066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including a wireless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36Arrangements for screening incoming calls, i.e.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all before deciding whether to answer 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73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specially adapted for enhanced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ojector or beamer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젝터 기능의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기능의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은 헤드셋으로부터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프로젝터 모듈이 구동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프로젝터 모듈이 구동 상태인 경우, 상기 명령 신호를 프로젝터 모듈을 제어하는 신호로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신호에 따라 프로젝터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사용자는 헤드셋으로 편리하게 프로젝터 기능을 제어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가 프로젝터 기능을 실행하고 있는 경우에도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다른 기능들을 실행시킬 수 있다.
프로젝터(Projector), 블루투스(Bluetooth), 헤드셋(Headset)

Description

헤드셋을 통한 프로젝터 기능의 휴대 단말기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HAVING PROJECTION FUNCTION BY USING HEADSET}
본 발명은 프로젝터 기능의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헤드셋을 이용하여 프로젝터 기능의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 보급률의 급속한 증가로 휴대 단말기는 이제 현대인의 생활 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고유의 음성 통화 서비스뿐만 아니라 각종 데이터 전송 서비스와 다양한 부가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기능상 멀티미디어 통신기기로 변모하게 되었다.
최근에는 프로젝터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가 개발되었으며,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스크린에 영상을 투사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각종 영상 데이터들을 여러 사람이 함께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든 프로젝터가 요구되는 회의를 진행할 수 있게 되었다.
휴대 단말기가 프로젝터 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휴 대 단말기 본체가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런데 만약 사용자의 손이 닿기 힘든 위치(예를 들면, 사용자의 키보다 높은 위치)에 휴대 단말기를 고정시키는 경우에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에 명령을 입력하는데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만약 휴대 단말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기기를 사용한다면 휴대 단말기에 명령을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선 또는 무선 헤드셋을 이용하여 프로젝터 기능을 제어하거나 프로젝터 기능 실행 중에 휴대 단말기의 다른 기능들을 제어하는 기술 개발은 미흡한 실정에 있다.
본 발명은 헤드셋을 이용하여 프로젝터 기능의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헤드셋을 이용하여 프로젝터 기능의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은 헤드셋으로부터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프로젝터 모듈이 구동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프로젝터 모듈이 구동 상태인 경우, 상기 명령 신호를 프로젝터 모듈을 제어하는 신호로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신호에 따라 프로젝터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은 프로젝터 모듈을 구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통화 호를 수신하는 단계, 휴대 단말기에 미리 설정된 통화 호 처리 모드를 확인하는 단계, 헤드셋으로 통화 호 수신을 알리는 단계 및 헤드셋으로부터 통화 호 연결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통화 호와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기능의 휴대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 컨텐츠를 스크린에 투사하는 프로젝터 모듈부, 적어도 하나의 헤드셋과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헤드셋 통신부 및 헤드셋으로부터 명령 신호를 수신하면 프로젝터 모듈부가 구동 상태인지 판단하고, 프로젝터 모듈부가 구동 상태인 경우, 상기 명령 신호를 프로젝터 모듈부의 제어 신호로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신호에 따라 프로젝터 모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기능의 휴대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 컨텐츠를 스크린에 투사하는 프로젝터 모듈부, 적어도 하나의 헤드셋과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헤드셋 통신부, 통화 호의 수신 및 연결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부 및 무선통신부를 통해 통화 호를 수신하면 휴대 단말기에 미리 설정된 통화 호 처리 모드를 확인하며, 헤드셋으로 통화 호 수신을 알리고, 헤드셋으로부터 통화 호 연결 명령을 수신하면, 무선통신부를 제어하여 수신된 통화 호와 연결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사용자는 헤드셋으로 편리하게 프로젝터 기능을 제어할 수 있으며, 프로젝터 기능 실행 중에도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다른 기능들을 편리하게 실행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Portable Multimedia Player-PMP),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스마트 폰(Smart Phone),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모든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100)와 헤드셋(2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휴대 단말기(100)는 프로젝터 모듈을 구비하며 헤드셋(200)과 연결이 가능하다. 헤드셋(200)이 유선 헤드셋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헤드셋(200)의 커넥터와 휴대 단말기(100)에 구비된 헤드셋 연결부가 결합됨으로써 헤드셋(200)과 휴대 단말기(100)는 연결된다. 헤드셋(200)에는 키입력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헤드셋(200)의 종류에 따라 키입력부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셋(200)의 키입력부는 1개의 키로 형성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키들로 형성될 수 있다.
헤드셋(200)이 무선 헤드셋의 경우에는 헤드셋(200)과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음성 신호, 제어 신호 등의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게 된다. 헤드셋(200)과 휴대 단말기(100) 사이에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데 사용되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는 일반적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이 사용된다.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는 대표적으로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지그비(Zigbee)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근거리에서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서 블루투스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블루투스 통신 방식은 2.4GHz 대역의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밴드가 사용된다. ISM 밴드는 별도의 라이센스 없이 자유롭게 사용될 수 있으며, 블루투스 통신 방식은 ISM 밴드 아래로 2MHz 대역과 위로 3.5MHz 대역의 가드 밴드를 두어 다른 장치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블루투스 통신 방식은 기본적으로 주파수 호핑 방식을 사용한다.
휴대 단말기(100)가 조회(inquiry) 신호를 방송하면, 조회 스캔(inquiry scan)을 수행하는 헤드셋(200)은 조회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조회 응답 신호(inquiry response)를 휴대 단말기(100)로 송신한다. 휴대 단말기(100)는 조회 신호를 방송하고 헤드셋(200)으로부터 조회 응답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주변에 위치하는 블루투스 통신 기기들을 파악할 수 있다. 조회된 블루투스 기기 목록 중 특정 헤드셋(헤드셋(200))이 선택되면 휴대 단말기(100)는 페이지(page) 신호를 헤드셋(200)으로 송신한다. 페이지 스캔(page scan)을 수행하는 헤드셋(200)은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페이지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 신호(slave response)를 휴대 단말기(100)로 송신한다. 휴대 단말기(100)는 마스터 응답 신호(master response)를 헤드셋(200)으로 송신한다. 휴대 단말기(100)는 페이지 과정을 통해 헤드셋(200)과 통신 채널을 설정하며, 사용자에 의해 핀코드(Pin Code)가 입력되면 휴대 단말기(100)는 헤드셋(200)과의 연결 과정(connecting)을 수행하고, 연결 과정이 완료되면 휴대 단말기(100)와 헤드셋(200)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무선통신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1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80)로 출력하고, 제어부(18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부(120)는 영사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로서 그림, 사진, 문서 등 휴대 단말기(100)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를 스크린 상에 확대 투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코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재생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부(130)는 휴대 단말기(100)가 다른 휴대 단말기로부터 통화 호 수신 시, 이에 대응하는 효과음을 출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 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4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통화 호 처리 모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통화 호 처리 모드에는 통화 호 연결 모드, 통화 호 차단 모드, 프로젝터 동시 수행 모드가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통화 호 처리 모드 설정 메뉴에서 상기 통화 호 처리 모드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저장부(140)는 선택된 통화 호 처리 모드에 관한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
블루투스 모듈부(150)는 블루투스 통신 가능한 기기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음성 신호, 제어 신호 등의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모듈부(150)는 블루투스 헤드셋에 해당하는 헤드셋(200)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한다. 블루투스 모듈부(150)는 헤드셋(200)으로부터 명령 신호에 해당하는 AT 커맨드(AT command)를 수신하여,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가 다른 휴대 단말기로부터 통화 호를 수신하는 경우, 블루투스 모듈부(15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헤드셋(200)으로 통화 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송신한다.
입력부(160)는 휴대 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80)에 전달한다. 입력부(160)는 숫자키, 방향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 기반의 휴대 단말기의 경우에는 터치 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센서(image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등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경우 상기 센서들도 입력부(16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표시부(17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로 형성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의 부팅 화면, 대기 화면, 표시 화면, 통화 화면, 기타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70)는 프로젝터 모듈부(120)가 스크린에 영상을 투사할 때, 투사하는 영상과 동일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단말기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80)는 블루투스 모듈부(150)를 제어하여 헤드셋(200)으로부터 명령 신호에 해당하는 AT 커맨드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헤드셋(200)으로부터 명령 신호(AT command)를 수신하면 현재 프로젝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현재 프로젝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상태인 경우, 제어부(180)는 헤드셋(200)으로부터 수신하는 명령 신호(AT command)를 프로젝터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신호로 인식한다. 현재 프로젝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상태가 아닌 경우에 제어부(180)는 헤드셋(200)으로부터 수신하는 명령 신호를 통화 호 연결 명령 신호로서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80)는 통화 호 처리 모드를 설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통화 호를 수신하는 경우, 설정된 통화 호 처리 모드를 확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블루투스 모듈부(150)를 제어하여 헤드셋(200)으로 통화 호 수신을 알리는 신호를 송신한다. 제어부(180)는 블루투스 모듈부(150)를 제어하여 헤드셋(200)으로부터 통화 호 연결 명령 신호를 수신하면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수신된 통화 호와 연결을 수행한다.
이상으로 프로젝터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이하에서는 헤드셋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100)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으로 프로젝터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휴대 단말기(100)는 조회(inquiry), 페이지(page) 과정을 거쳐 헤드셋(200)과 연결(connect) 과정을 수행하였으며, 휴대 단말기(100)가 헤드셋(200)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에 해당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헤드셋(200)이 유선 헤드셋에 해당하는 경우, 헤드셋(200)의 커넥터와 휴대 단말기(100)의 헤드셋 연결부가 결합되어 헤드셋(200)이 휴대 단말기(100)에 음성 신호 또는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310단계에서 제어부(180)는 블루투스 모듈부(150)를 통해 헤드셋(200)으로부터 명령 신호를 수신한다. 휴대 단말기(100)와 헤드셋(200)간의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로는 HFP(HandsFreeProfile)이 사용되며, HFP 기능을 갖는 헤드셋(200)은 휴대 단말기나 모뎀을 제어하기 위해 정의된 AT 커맨드(AT command)를 휴대 단말기(100) 로 송신한다. 일반적으로 헤드셋(200)은 AT 커맨드 중 AT+BVRA 또는 AT+BLDN을 사용한다. 헤드셋(200)은 상기 AT+BVRA 및 AT+BLDN 신호를 구별하여 휴대 단말기(100)로 송신하며, 헤드셋(200)의 종류에 따라 AT+BVRA 및 AT+BLDN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이 다를 수 있다. 헤드셋(200)에는 사용자의 입력이 가능한 키입력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키를 입력하면 헤드셋(200)은 AT 커맨드를 블루투스 모듈부(150)로 송신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키를 입력하는 시간또는 입력하는 횟수를 변경시켜 입력함으로써 AT+BVRA 및 AT+BLDN 신호를 구별하여 휴대 단말기(10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AT 커맨드로서 AT+BVRA 및 AT+BLDN만을 예시로 들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단말기(100)와 헤드셋(200)간에 정의된 모든 AT 커맨드가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헤드셋(200)이 유선 헤드셋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사용자가 헤드셋(200)에 구비된 키를 입력하면 헤드셋(200)은 휴대 단말기(100)로 명령 신호를 송신한다. 헤드셋의 키 입력부에 구비된 키의 개수에 따라 사용자는 선택적으로 키를 입력할 수 있으며, 헤드셋(200)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의 종류, 키 입력 시간을 구별하여 휴대 단말기(100)로 명령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헤드셋(200)으로부터 명령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180)는 320단계에서 현재 프로젝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현재 프로젝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상태인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헤드셋(200)으로부터 수신한 명령 신호를 프로젝터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명령 신호로서 인식하며, 330단계에서 프로젝터 모듈부(120)를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슬라이드 순서에 따라 현재 투사하는 슬라이드의 다음 슬라이드를 스크린에 투사한다. 설정된 슬라이드 순서에 따라 다음 슬라이드를 표시하는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헤드셋(200)으로부터 수신되는 명령 신호의 종류에 따라 제어부(180)는 프로젝터 어플리케이션의 여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헤드셋(200)에 구비된 키를 길게 입력하고, 헤드셋(200)이 이에 대응하는 명령 신호를 블루투스 모듈부(150)로 송신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100)에 정의된 기능에 따라 실행 중인 프로젝터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프로젝터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종료함에 따라 프로젝터 모듈부(120)의 구동을 종료한다.
헤드셋(200)이 유선 헤드셋으로 구성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헤드셋(200)으로부터 수신되는 명령 신호의 종류에 따라 다음 슬라이드 투사, 이전 슬라이드 투사, 연속보기(슬라이드 쇼) 기능 실행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헤드셋(200)에 복수의 키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 사용자는 키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으며, 헤드셋(200)은 각각의 키 입력 마다 서로 다른 명령 신호를 휴대 단말기(100)에 송신할 수 있다.
320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현재 프로젝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340단계에서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대기 화면 상태에서 헤드셋(200)으로부터 AT+BVRA를 수신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통화 호 연결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180)는 현재 프로젝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아닌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정의된 기능인 통화 호 연결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휴대 단말기(100)가 대기 화면 어플리케이션이 아닌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는 경우에 헤드셋(200)으로부터 명령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현재 실행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헤드셋(200)으로부터 명령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프로젝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수신하는 명령 신호를 프로젝터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명령 신호로 인식하며, 프로젝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정의된 기능 수행 명령 신호로 인식함으로써 사용자는 헤드셋(200)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프로젝터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헤드셋(200)으로 프로젝터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100)를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도 휴대 단말기(100)는 조회(inquiry), 페이지(page) 과정을 거쳐 헤드셋(200)과 연결(connect) 과정을 수행하였으며, 휴대 단말기(100)는 헤드셋(200)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에 해당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헤드셋(200)이 유선 헤드셋에 해당하는 경우, 헤드셋(200)의 커넥터와 휴대 단말기(100)의 헤드셋 연결부가 결합되며 헤드셋(200)이 휴대 단말기(100)에 음성 신호 또는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410단계에서 제어부(180)는 프로젝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프로젝터 모 듈부(120)를 제어하여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를 스크린에 투사한다.
제어부(180)가 프로젝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무선통신부(110)는 420단계에서 통화 호를 수신한다. 무선통신부(110)는 제어부(180)로 통화 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며, 제어부(180)는 430단계에서 설정된 통화 호 처리 모드를 확인한다.
통화 호 처리 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며,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0)에 구비된 일반 메뉴 또는 사용자 설정 메뉴를 통해 통화 호 처리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통화 호 처리 모드에는 통화 호 연결 모드, 통화 호 차단 모드, 프로젝터 동시 수행 모드가 포함될 수 있다. 도 5는 통화 호 처리 모드 설정 메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통화 호 처리 모드로서 프로젝터 동시 수행 모드가 설정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80)는 430단계에서 통화 호 처리 모드가 프로젝터 동시 수행 모드로 설정되었음을 확인하고, 440단계에서 블루투스 모듈부(150)를 제어하여 헤드셋(200)으로 통화 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송신한다. 제어부(180)는 헤드셋(200)으로 신호 송신 시, 헤드셋(200)이 통화 호가 수신되었다는 이벤트 발생에 대응하는 효과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헤드셋(200)에서 수신된 효과음을 인식하여 현재 통화 호가 수신되었음을 알 수 있다. 사용자는 헤드셋(200)에 구비된 입력부를 이용하여 통화 호를 연결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통화 호 연결에 대응하는 키를 입력하면 헤드셋(200)은 블루투스 모듈부(150)로 통화 호 연결 요청 신호(명령 신호)를 송신하며, 블루투스 모듈부(150) 는 상기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80)로 송신한다.
제어부(180)는 450단계에서 헤드셋(200)으로부터 통화 호 연결 요청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수신된 경우, 460단계에서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통화 호를 연결한다. 이후 제어부(180)는 470단계에서 프로젝터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를 계속 유지한다. 470단계 이후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헤드셋(200)으로부터 명령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제어부(180)는 이를 프로젝터 어플리케이션 제어 명령 신호로 인식하고 다음 슬라이드를 투사하거나 프로젝터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할 수 있다.
450단계에서의 판단결과 헤드셋으로부터 통화 호 연결 요청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80)는 통화 호 연결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470단계에서 프로젝터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470단계 이후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헤드셋(200)으로부터 명령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제어부(180)는 이를 프로젝터 어플리케이션 제어 명령 신호로서 인식하고 다음 슬라이드를 투사하거나 프로젝터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할 수 있다.
430단계에서 통화 호 처리 모드가 통화 호 연결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제어부(180)는 440단계에서 블루투스 모듈부(150)를 제어하여 헤드셋(200)으로 통화 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송신한다. 이어 제어부(180)는 450단계에서 헤드셋으로부터 통화 호 연결 요청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수신된 경우, 460단계에서 통화 호를 연결하며, 현재 실행 중인 프로젝터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한다. 이후에 헤드셋(200)으로부터 명령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이를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100) 제어 명령으로 인식하고, 통화 기능을 종료하거나 음성 인식 기능을 실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만일 제어부(180)가 450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헤드셋으로부터 통화 호 연결 요청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프로젝터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고 이후에 헤드셋(200)으로부터 명령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이를 프로젝터 어플리케이션 제어 명령 신호로 인식한다.
430단계에서 통화 호 처리 모드가 통화 호 차단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제어부(180)는 440단계 내지 460단계의 과정을 생략하고 470단계로 진행하여 프로젝터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다. 이후에 헤드셋(200)으로부터 명령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이를 프로젝터 어플리케이션 제어 명령 신호로 인식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프로젝터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서 통화 호를 수신했을 때, 설정된 통화 호 처리 모드에 따라 통화 호와 프로젝터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는 헤드셋을 이용하여 프로젝터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서도 통화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 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100)와 헤드셋(2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으로 프로젝터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으로 프로젝터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통화 호 처리 모드 설정 메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19)

  1. 프로젝터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 모듈의 동작 중에, 통화 호를 수신하는 동작;
    프로젝터 동시 수행 모드 및 통화 호 차단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통화 호 처리 모드들 중 현재 설정된 통화 호 처리 모드를 확인하는 동작;
    설정된 통화 호 처리 모드가 상기 프로젝터 동시 수행 모드인 경우, 상기 수신한 통화 호를 연결하는 동작; 및
    설정된 통화 호 처리 모드가 상기 통화 호 차단 모드인 경우, 상기 프로젝터 모듈의 동작을 유지하면서 상기 수신한 통화 호를 차단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하는 동작은
    상기 프로젝터 모듈의 동작을 유지하면서, 상기 수신한 통화 호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화 호 처리 모드들은 통화 호 연결 모드를 포함하고,
    설정된 통화 호 처리 모드가 상기 프로젝터 동시 수행 모드인 경우, 상기 프로젝터 모듈의 동작을 유지하면서, 상기 수신한 통화 호를 연결하고,
    설정된 통화 호 처리 모드가 상기 통화 호 연결 모드인 경우, 상기 프로젝터 모듈의 동작을 종료하고 상기 수신한 통화 호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호 처리 모드는 사용자의 선택에 기반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 모듈의 동작을 유지하는 경우, 사용자의 입력에 기반하여 출력된 슬라이드를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외부의 전자 장치를 통하여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의 전자 장치는 헤드셋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AT+BVRA(Attention Bluetooth Voice Recognition Activation) 신호 또는 AT+BLDN(Attention Bluetooth Last Dialed Number)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통화 호 수신 전에 상기 통화 호 처리 모드를 설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11. 삭제
  12.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출력하는 프로젝터 모듈; 및
    상기 프로젝터 모듈의 동작 중에, 통화 호를 수신하고, 프로젝터 동시 수행 모드 및 통화 호 차단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통화 호 처리 모드들 중 현재 설정된 통화 호 처리 모드를 확인하고, 설정된 통화 호 처리 모드가 상기 프로젝터 동시 수행 모드인 경우, 상기 수신한 통화 호를 연결하고, 설정된 통화 호 처리 모드가 상기 통화 호 차단 모드인 경우, 상기 프로젝터 모듈의 동작을 유지하면서 상기 수신한 통화 호를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는
    이미지, 비디오, 문서,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삭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의 동작을 유지하면서 상기 수신한 통화 호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화 호 처리 모드들은 통화 호 연결 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통화 호 처리 모드가 상기 프로젝터 동시 수행 모드인 경우, 상기 프로젝터 모듈의 동작을 유지하면서, 상기 수신한 통화 호를 연결하고, 설정된 통화 호 처리 모드가 상기 통화 호 연결 모드인 경우, 상기 프로젝터 모듈의 동작을 종료하고 상기 수신한 통화 호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호 처리 모드는 사용자의 선택에 기반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반하여 통화 호를 수신하기 전에 통화 호 처리 모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9. 삭제
KR1020090009494A 2009-02-05 2009-02-05 헤드셋을 통한 프로젝터 기능의 휴대 단말기 제어 방법 KR101631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494A KR101631103B1 (ko) 2009-02-05 2009-02-05 헤드셋을 통한 프로젝터 기능의 휴대 단말기 제어 방법
US12/699,165 US8825038B2 (en) 2009-02-05 2010-02-03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having projection function by using headset
EP10152689.5A EP2216969B1 (en) 2009-02-05 2010-02-04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having projection function by using headset
US14/463,808 US9363363B2 (en) 2009-02-05 2014-08-20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having projection function by using heads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494A KR101631103B1 (ko) 2009-02-05 2009-02-05 헤드셋을 통한 프로젝터 기능의 휴대 단말기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164A KR20100090164A (ko) 2010-08-13
KR101631103B1 true KR101631103B1 (ko) 2016-06-16

Family

ID=42111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9494A KR101631103B1 (ko) 2009-02-05 2009-02-05 헤드셋을 통한 프로젝터 기능의 휴대 단말기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8825038B2 (ko)
EP (1) EP2216969B1 (ko)
KR (1) KR1016311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20575B1 (ja) * 2008-09-12 2009-02-04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
KR102097452B1 (ko) 2013-03-28 2020-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7327A (ja) 2000-08-31 2002-03-15 Kengo Tsuji 映写装置付き携帯電話
US20060203998A1 (en) * 2005-03-08 2006-09-14 Oded Ben-Arie Eyeglass-attached video display based on wireless transmission from a cell phone
WO2008117098A1 (en) * 2007-03-27 2008-10-02 Gert Frederik Meyer A mobile telephone comprising a projector and a separable handse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70922A1 (en) 2000-07-03 2002-01-0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a display system, a display apparatus, and an electronic accessory device for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KR100664027B1 (ko) * 2005-01-03 2007-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음성통화 처리방법
US20090036158A1 (en) 2005-09-09 2009-02-05 Nikon Corporation Projector-attached electronic equipment
CN2904481Y (zh) * 2005-11-10 2007-05-23 晶通信息(上海)有限公司 具备人机接口装置操控功能的蓝牙立体声耳机
KR100724888B1 (ko) * 2006-02-14 2007-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운드 출력 제어방법
US20080039072A1 (en) * 2006-08-11 2008-02-14 Bloebaum L Scott Mobile radio terminal with headset assembly having multi-function user input button and method
US8260618B2 (en) 2006-12-21 2012-09-04 Nuance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control of devices through a wireless headset using voice activ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7327A (ja) 2000-08-31 2002-03-15 Kengo Tsuji 映写装置付き携帯電話
US20060203998A1 (en) * 2005-03-08 2006-09-14 Oded Ben-Arie Eyeglass-attached video display based on wireless transmission from a cell phone
WO2008117098A1 (en) * 2007-03-27 2008-10-02 Gert Frederik Meyer A mobile telephone comprising a projector and a separable hands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57243A1 (en) 2014-12-04
US8825038B2 (en) 2014-09-02
KR20100090164A (ko) 2010-08-13
EP2216969B1 (en) 2016-12-14
EP2216969A1 (en) 2010-08-11
US20100197361A1 (en) 2010-08-05
US9363363B2 (en) 201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72334B (zh) 蓝牙配对连接方法、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101763747B1 (ko) 블루투스 통신 방법 및 시스템
CN105608861B (zh) 电子设备控制方法及装置
KR101478030B1 (ko) 블루투스 기기 검색 및 연결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장치
CN101246417B (zh) 音频数据流输入/输出无间断软件切换的方法和系统
KR100690243B1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1083684A (zh) 控制电子设备的方法及电子设备
CN103873676B (zh) 手持式电子装置及其来电通话处理方法
KR100726233B1 (ko) 블루투스 휴대기기의 발신 장치 및 방법
JP2017513416A (ja) データ伝送方法、装置、設備、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11093133B (zh) 无线设备控制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432071B (zh) 通话控制方法及电子设备
US10575143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secondary feature
CN109788114B (zh) 一种通话处理方法及终端
KR101631103B1 (ko) 헤드셋을 통한 프로젝터 기능의 휴대 단말기 제어 방법
CN103376975A (zh) 一种控制方法及装置、移动通信终端
KR101737638B1 (ko)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
KR20150009072A (ko) 동작모드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CN111158929B (zh) 一种应用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2011013648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hanging telephony mode in portable terminal
KR20060066312A (ko) 리모콘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US9749983B2 (en) Communication system, electronic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JP2003115917A (ja) ハンズフリーシステム
KR101973457B1 (ko) 전자 장치에서 출력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EP4216060A1 (en) Remote assistance method and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