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0313B1 - 산업용 안면보호장비 - Google Patents

산업용 안면보호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0313B1
KR101630313B1 KR1020150172922A KR20150172922A KR101630313B1 KR 101630313 B1 KR101630313 B1 KR 101630313B1 KR 1020150172922 A KR1020150172922 A KR 1020150172922A KR 20150172922 A KR20150172922 A KR 20150172922A KR 101630313 B1 KR101630313 B1 KR 101630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sheet replacement
installation member
face
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2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배호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현대종합상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현대종합상사 filed Critical 유한회사 현대종합상사
Priority to KR1020150172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03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61F9/06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PSAFETY DEVICES IN GENERAL; SAFETY DEVICES FOR PRESSES
    • F16P1/00Safety devices independent of the control and operation of any machine
    • F16P1/06Safety devices independent of the control and operation of any machine specially designed for wel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장작업이나 샌딩작업시 작업자의 안면에 착용하는 산업용 안면보호장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면보호장비에 낱장교체필름을 설치하여 안면보호장비에 마련된 보호경의 오염 및 훼손을 방지하고, 작업공간이 협소한 곳에서 도장작업이나 샌딩작업시 상기 낱장교체필름의 교체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산업용 안면보호장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작업자의 안면에 위치된 상태로 시야 확보를 위한 시야확보공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방에 설치되어 작업중 발생하는 이물질이나 파편으로부터 작업자의 안면을 보호하는 안면보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산업용 안전 보호장비에 있어서, 상기 안면보호부는, 상기 시야확보공과 대응되는 전면시야공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몸체의 전방에 결합되되 길이방향 일측 내주연에 걸림절개구가 설치되고, 길이방향 타측에 절개인입홈이 형성된 필름설치부재; 상기 필름설치부재의 전면시야공을 가리도록 그 필름설치부재의 배면에 설치되되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필름설치부재의 절개인입홈을 통해 상기 필름설치부재의 배면방향으로 인입되어 상기 걸림절개구에 걸림되게 설치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필름설치부재의 전면 외측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낱장교체필름; 상기 낱장교체필름을 상기 필름설치부재의 배면에 밀착시켜 그 낱장교체필름이 상기 필름설치부재의 배면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필름긴장부재; 상기 필름긴장부재와 상기 몸체 사이에 설치되는 시야확보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산업용 안면보호장비{INDUSTRIAL FACE PROTECTIVE EQUIPMENT}
본 발명은 도장작업이나 샌딩작업시 작업자의 안면에 착용하는 산업용 안면보호장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면보호장비에 낱장교체필름을 설치하여 안면보호장비에 마련된 보호경의 오염 및 훼손을 방지하고, 작업공간이 협소한 곳에서 도장작업이나 샌딩작업시 상기 낱장교체필름의 교체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산업용 안면보호장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샌딩작업, 쇼트작업, 도장작업 시 작업자의 눈을 보호하고,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보호경이 구비된 산업용 고글이나 작업자의 두부와 안면을 동시에 보호하기 위해 방호두건에 형성된 시야창에 보호경이 구비된 산업용 고글을 결합한 방호두건을 착용하고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상기 산업용 고글은 일반적으로 본체 전면부에 시야창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 시야창에 일체로 보호경이 형성되어 있으며, 탄성밴드를 머리에 끼워 착용하게되거나 방호두건 등에 결합되어 착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산업용 고글은 상기 보호경이 샌딩작업, 쇼트작업, 도장작업으로 인해 오염되면 작업자가 상기 고글을 벗고 보호경을 일일이 닦거나, 오염정도가 심하면 고글 자체를 다른 것으로 교체하여 왔다.
이 과정에서 작업과정이 중단되어 작업시간이 많이 걸려 작업 능률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상기 보호경이 제대로 닦이지 않아 작업자의 시야확보가 선명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때, 작업자의 시야확보가 선명하지 않아 작업시 작업자가 안전사고에 노추되고,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오염정도가 심한 경우에는 상기 고를 자체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교체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 등록특허 제10-1118674호와 같이 보호경의 전면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여러장의 필름을 적층하여 순차적으로 제거 가능하게 형성된 필름부재를 포함한 산업용 방호두건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재된 산업용 방호두건은 동일한 접착력을 갖는 다수개의 적층된 필름부재로 인해 순차적으로 제거되지 않고, 다수개가 한번에 제거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작업 장갑 및 다수의 장비를 착용한 작업자가 보호경에 접착된 얇은 필름부재를 한장씩 제거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호경의 전방에 다수개의 낱장교체필름을 설치하여 상기 보호경의 오염을 방지하면서 원활한 시야확보가 가능하도록 하고, 오염된 낱장교체필름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성 향상 및 작업능률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고, 오염된 낱장교체필름의 제거시 그 오염된 낱장교체필름만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산업용 안면보호장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작업자의 안면에 위치된 상태로 시야 확보를 위한 시야확보공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방에 설치되어 작업중 발생하는 이물질이나 파편으로부터 작업자의 안면을 보호하는 안면보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산업용 안전 보호장비에 있어서, 상기 안면보호부는, 상기 시야확보공과 대응되는 전면시야공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몸체의 전방에 결합되되 길이방향 일측 내주연에 걸림절개구가 설치되고, 길이방향 타측에 절개인입홈이 형성된 필름설치부재; 상기 필름설치부재의 전면시야공을 가리도록 그 필름설치부재의 배면에 설치되되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필름설치부재의 절개인입홈을 통해 상기 필름설치부재의 배면방향으로 인입되어 상기 걸림절개구에 걸림되게 설치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필름설치부재의 전면 외측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낱장교체필름; 상기 낱장교체필름을 상기 필름설치부재의 배면에 밀착시켜 그 낱장교체필름이 상기 필름설치부재의 배면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필름긴장부재; 상기 필름긴장부재와 상기 몸체 사이에 설치되는 시야확보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낱장교체필름은, 상기 필름설치부재의 배면에 다수개가 중첩되게 설치되되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걸림절개구가 걸림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끼움공이 형성되고, 상기 필름설치부재의 전면 외측에 노출되는 길이방향 타측에는 파지면부가 형성된다.
또한, 다수개의 상기 낱장교체필름를 상호 중첩하여 상기 필름설치부재에 설치시, 최전방에 위치하는 낱장교체필름의 상기 파지면부는 펼쳐진 상태에 있도록 하고, 최전방에 위치하는 낱장교체필름의 배면에 중첩되는 낱장교체필름들은 상기 파지면부가 접혀지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필름설치부재의 길이방향 타측으로 노출된 각각의 낱장교체필름 배면에 부착되어 최전방에 위치하는 낱장교체필름의 제거시, 최전방에 위치하는 낱장교체필름의 배면에 위치하는 낱장교체필름의 파지면부가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마찰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절개구에 걸림되는 상기 낱장교체필름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절개파선이 형성되고, 상기 필름설치부재에는, 상기 필름설치부재의 전면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낱장교체필름의 길이방향 타측을 가압하는 필름가압부재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필름가압부재는, 상기 필름설치부재의 설치홈 내측에 설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필름설치부재의 길이방향 타측에 노출된 상기 낱장교체필름을 가압하는 가압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경의 전방에 설치된 다수개의 낱장교체필름으로 인해 작업공간이 협소한 공간에서 상기 보호경의 오염 및 훼손을 방지하여 작업능률이 향상됨은 물론 상기 낱장교체필름의 제거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어 사용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오염된 낱장교체필름만이 용이한 제거를 통해 필요 이상의 낱장교체필름이 제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낱장교체필름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안면보호장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안면보호장비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설치부재의 배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개의 낱장교체필름이 중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찰편이 설치된 부위의 낱장교체필름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낱장교체필름의 배면상태를 나타낸 배면도,
도 7은 최전방 낱장교체필름을 잡아당겨 교체시, 그 배면의 낱장교체필름의 파지면부가 마찰편에 의해 펼쳐지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가압부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가압부재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안면보호장비를 방호두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안면보호장비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부', '하부', '전방', '후방', '전면', '배면'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안면보호장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안면보호장비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설치부재의 배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개의 낱장교체필름이 중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찰편이 설치된 부위의 낱장교체필름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낱장교체필름의 배면상태를 나타낸 배면도이며, 도 7은 최전방 낱장교체필름을 잡아당겨 교체시, 그 배면의 낱장교체필름의 파지면부가 마찰편에 의해 펼쳐지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가압부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가압부재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안면보호장비는 작업자의 안면에 위치된 상태로 시야 확보를 위한 시야확보공(110)이 형성된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전방에 설치되어 작업중 발생하는 이물질이나 파편으로부터 작업자의 안면을 보호하는 안면보호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산업용 안전 보호장비에 있어서, 상기 안면보호부(200)는 상기 몸체(100)의 전방에 설치되는 필름설치부재(300)와, 상기 필름설치부재(300)에 설치되는 낱장교체필름(400)과, 상기 낱장교체필름(400)의 배면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필름긴장부재(500)와, 상깅 필름긴장부재(500)와 상기 몸체(100) 사이에 설치되는 시야확보판(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100)는 작업자의 눈부위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형성되며,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안면보호장비의 기본적인 골격을 이루게 된다. 즉, 상기 몸체(100)는 작업자의 안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작업자의 시야확보를 위한 시야확보공(11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시야확보공(110)은 상기 몸체(100)를 작업자의 안면에 위치시키는 경우, 작업자의 눈 부위가 보일 수 있도록 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나 작업중 답답함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시야확보공(110)을 작업자의 눈과 코를 포함하는 안면부위가 외부에서 보일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안면보호장비를 안면에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시야확보공(110)이 작업자의 눈 부위가 보이는 정도의 크기를 갖는 경우 작업자가 답답함을 느끼게 되어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시야확보공(110)의 크기를 작업자의 눈과 코를 포함하는 부위가 외부에서 보일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작업중 답답함을 덜 느껴 작업능률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몸체(100)의 양측단에 그 본체를 작업자의 안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밴드(150)가 결합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고정밴드(150)는 고무밴드 형태로 작업자의 두부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도, 상기 시야확보공(110)이 형성된 몸체(100)의 전방에는 상기 시야확보판(600), 필름긴장부재(500), 상기 낱장교체필름(400)이 설치된 상기 필름설치부재(300)를 순차적으로 수용하는 수용공간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안면보호부의 필름설치부재(300)는 상기 시야확보공(110)과 대응되는 전면시야공(310)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몸체(100)의 전방에 결합되되 길이방향 일측 내주연에 걸림절개구(320)가 설치되고, 길이방향 타측에 절개인입홈(330)이 형성된다.
즉, 상기 필름설치부재(300)는 상기 몸체(100)의 전방에 형성되는 상기 수용공간부(130)에 수용되어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10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필름설치부재(300)의 일측이 상기 몸체(100)의 길이방향 일측에 힌지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몸체(100)의 길이방향 타측단에 착탈결합된다. 즉, 상기 필름설치부재(300)의 타측에 형성되는 걸림체(340)가 상기 몸체(100)의 타측에 형성되는 걸림홈(170)에 탄성결합되는 방식에 의해 착탈결합되는 것이고, 상기 걸림절개구(320)는 일측에 날카로운 걸림날(360)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낱장교체필름(400)은 상기 필름설치부재(300)의 전면시야공(310)을 가리도록 그 필름설치부재의 배면에 설치되되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필름설치부재(300)의 절개인입홈(330)을 통해 상기 필름설치부재(300)의 배면방향으로 인입되어 상기 걸림절개구(320)에 걸림되게 설치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필름설치부재(300)의 전면 외측에 노출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낱장교체필름(400)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걸림절개구(320)에 걸림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끼움공(420)이 형성되고, 상기 필름설치부재(300)의 전면 외측에 노출되는 길이방향 타측에는 상기 낱장교체필름(400)의 교체시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면부(410)가 연장형성된다.
즉, 상기 낱장교체필름(400)의 길이방향 일측을 상기 필름설치부재(300)에 형성된 절개인입홈(330)을 통해 상기 필름설치부재(300)의 배면방향으로 인입시키면 상기 필름설치부재(300)의 배면에 상기 낱장교체필름(400)이 위치하게 되고, 그러한 상태에서 상기 걸림끼움공(420)을 상기 걸림절개구(320)에 걸림되게 함으로써 상기 낱장교체필름(400)을 상기 필름설치부재(300)의 배면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낱장교체필름(400)의 길이방향 타측에 형성된 상기 파지면부(410)는 상기 필름설치부재(300)의 전면 외측에 노출된 상태에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낱장교체필름(400)은 상기 필름설치부재(300)의 배면에 다수개가 중첩되게 설치됨으로써 작업중 필요에 따라 훼손된 낱장교체필름을 신속하게 제거하여 새로운 낱장교체필름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 경우, 다수개의 상기 낱장교체필름을 상호 중첩하여 상기 필름설치부재(300)에 설치시, 최전방에 위치하는 낱장교체필름의 파지면부는 펼쳐진 상태에 있도록 하고, 그 최전방에 위치하는 낱장교체필름의 배면에 중첩되는 다른 낱장교체필름들은 상기 파지면부(410)가 접혀진 상태에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최전방에 위치하는 낱장교체필름이 훼손되어 제거시 그 최전방 낱장교체필름의 바로 뒤에 위치하는 낱장교체필름의 파지면부가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낱장교체필름의 제거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용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이때, 상기 필름설치부재(300)의 길이방향 타측으로 노출된 각각의 낱장교체필름 배면에는 낱장교체필름의 제거시, 제거되는 낱장교체필름의 배면에 위치하는 낱장교체필름의 파지면부가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마찰편(430)이 부착된다.
즉, 상기 필름설치부재(300)의 길이방향 타측으로 노출된 각각의 낱장교체필름 배면에 상기 마찰편(430)이 부착되어 최전방에 위치하는 낱장교체필름이 훼손되어 제거시, 제거되는 낱장교체필름의 배면에 위치하는 낱장교체필름의 파지면부(410)가 상기 마찰편(430)에 의해 펼쳐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절개구(320)에 걸림되는 상기 낱장교체필름(400)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훼손된 낱장교체필름의 파지면부를 잡아당겨 제거시, 제거되는 낱장교체필름의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걸림절개구(320)에 의해 원활히 찢겨짐으로써 낱장교체필름을 손쉽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절개파선(440)이 형성된다.
상기 필름긴장부재(500)는 상기 낱장교체필름(400)을 상기 필름설치부재(300)의 배면에 밀착시켜 그 낱장교체필름이 상기 필름설치부재(300)의 배면에서 팽팽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필름긴장부재(500)는 상기 필름설치부재(300)에 형성된 전면시야공(310)와 대응되는 대응시야공(510)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필름설치부재(300)의 배면에 설치된 상기 낱장교체필름(400)의 배면에 밀착되어 상기 필름설치부재(300)를 상기 몸체(100)에 결합시, 상기 낱장교체필름(400)과 후술되는 상기 시야확보판(600)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낱장교체필름(400)을 밀착시킴으로써 낱장교체필름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시야확보판(600)은 상기 필름긴장부재(500)와 상기 몸체(10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100)의 시야확보공(110)의 전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면, 투명한 소재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시야확보판(600)은 외부의 충격에도 잘 파손되지 않으면서 파손되더라도 작업자의 안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가벼우면서도 가공성이 뛰어난 아크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시야확보판(600)은 상기 몸체(100)에 형성된 수용공간부(130)에 설치되어 상기 시야확보공(110)을 커버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100)의 전방에 별도의 걸림부(미도시)를 형성하거나 접착테이브 등의 접착수단을 통해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필름설치부재(300)에는, 그 필름설치부재의 전면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낱장교체필름(400)의 길이방향 타측을 가압하는 필름가압부재(700)가 설치된다.
즉, 다수개의 낱장교체필름을 상호 중첩하고, 각각의 낱장교체필름에 형성된 파지면부를 접혀지게 설치하는 경우, 상기 낱장교체필름이 PE재질로 이루어진 재질의 특성상 접혀진 파지면부가 펼쳐지려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낱장교체필름(400)의 길이방향 타측을 상기 필름가압부재(700)에 의해 가압하여 낱장교체필름의 길이방향 타측을 고정하면서 각각의 낱장교체필름에 형성된 파지면부가 펼쳐지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필름가압부재(700)는 상기 필름설치부재(300)의 설치홈(350) 내측에 설치되는 탄성부재(710)와 상기 탄성부재(71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필름설치부재(300)의 길이방향 타측에 노출된 상기 낱장교체필름(400)을 가압하는 가압구(7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설치홈(350)의 내측에는 상기 가압구(720)를 상기 낱장교체필름(400)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스프링(730)이 설치된다.
즉, 다수개의 낱장교체필름을 제거시 상기 가압구(720)가 상기 가압스프링(730)에 의해 상기 낱장교체필름(400)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다수개의 낱장교체필름을 견고히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필름가압부재의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최전방에 위치한 낱장교체필름이 훼손되어 제거시, 제거될 최전방의 낱장교체필름에 형성된 파지면부를 잡아당김으로써 제거하게 된다.
이때, 파지면부를 잡고 잡아당기게 되면 제거되는 낱장교체필름으로 인해 상기 필름가압부재(700)의 가압구(720)가 상기 설치홈(350)의 외측으로 잡아당겨진다.
그러한 상태에서 낱장교체필름의 제거가 완료되면 상기 탄성부재(710)에 의해 상기 가압구(720)가 설치홈(350) 내측으로 인입되고, 그와 동시에 상기 가압스프링(730)에 의해 상기 낱장교체필름(400)을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거되는 낱장교체필름의 배면에 설치된 마찰편(430)에 의해 그 제거되는 낱장교체필름의 배면에 위치하는 낱장교체필름의 파지면부가 용이하게 펼쳐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안면보호장비는 작업중 상기 낱장교체필름의 훼손이나 오염시, 낱장교체필름의 교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선명한 작업 시야를 신속하게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낱장교체필름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하여 사용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안면보호장비는 상기 몸체(100)에 형성되는 고정밴드 대신에 상기 몸체(100)의 배면측으로 전면에 두건시야창(미도시)이 형성된 방호두건(800)이 결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산업용 안면보호장비가 장착된 방호두건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방호두건(800)의 하단에는 조임용 고무밴드를 설치하고, 상기 방호두건(800)에는 에어콤푸레셔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그 내부로 공급하는 에어라인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안정보호장비에 작업자의 머리 내지 어깨까지 덮어쓸 수 있도록 하는 방호두건을 설치함으로써 작업중 발생되는 파편이나 미세먼지로부터 작업자의 두부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선명한 작업시야를 신속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가압구의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가압구(720)에 가설홈(750)을 형성하고, 그 가설홈(750)의 내측에 회전가능한 회전볼(760)을 설치함으로서 상기 낱장교체필름(400)의 용이한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가설홈(750)의 내측에 스프링(770)을 설치하여 상기 회전볼(760)이 탄성에 의해 상기 가설홈(750)의 내측에서 상하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볼(760)은 구 형상의 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가설홈(750)을 상기 가압구(7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고, 그 가설홈의 내측에 일정길이를 갖는 봉체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100: 몸체 200:안면보호부
300: 필름설치부재 400: 낱장교체필름
410: 파지면부 420: 걸림끼움공
430: 마찰편 440: 절개파선
500: 필름긴장부재 510: 대응시야공
600: 시야확보판 700: 필름가압부재
710: 탄성부재 720: 가압구
730: 가압스프링

Claims (7)

  1. 작업자의 안면에 위치된 상태로 시야 확보를 위한 시야확보공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방에 설치되어 작업중 발생하는 이물질이나 파편으로부터 작업자의 안면을 보호하는 안면보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산업용 안전 보호장비에 있어서,
    상기 안면보호부는, 상기 시야확보공과 대응되는 전면시야공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몸체의 전방에 결합되되 길이방향 일측 내주연에 걸림절개구가 설치되고, 길이방향 타측에 절개인입홈이 형성된 필름설치부재; 상기 필름설치부재의 전면시야공을 가리도록 그 필름설치부재의 배면에 설치되되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필름설치부재의 절개인입홈을 통해 상기 필름설치부재의 배면방향으로 인입되어 상기 걸림절개구에 걸림되게 설치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필름설치부재의 전면 외측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낱장교체필름; 상기 낱장교체필름을 상기 필름설치부재의 배면에 밀착시켜 상기 낱장교체필름이 상기 필름설치부재의 배면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필름긴장부재; 상기 필름긴장부재와 상기 몸체 사이에 설치되는 시야확보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안면보호장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낱장교체필름은, 상기 필름설치부재의 배면에 다수개가 중첩되게 설치되되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걸림절개구가 걸림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끼움공이 형성되고, 상기 필름설치부재의 전면 외측에 노출되는 길이방향 타측에는 파지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안면보호장비.
  3. 제2항에 있어서,
    다수개의 상기 낱장교체필름를 상호 중첩하여 상기 필름설치부재에 설치시, 최전방에 위치하는 낱장교체필름의 상기 파지면부는 펼쳐진 상태에 있도록 하고, 최전방에 위치하는 낱장교체필름의 배면에 중첩되는 낱장교체필름들은 상기 파지면부가 접혀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안면보호장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설치부재의 길이방향 타측으로 노출된 각각의 낱장교체필름 배면에 부착되어 최전방에 위치하는 낱장교체필름의 제거시, 최전방에 위치하는 낱장교체필름의 배면에 위치하는 낱장교체필름의 파지면부가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마찰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안면보호장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절개구에 걸림되는 상기 낱장교체필름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절개파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안면보호장비.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설치부재에는, 상기 필름설치부재의 전면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낱장교체필름의 길이방향 타측을 가압하는 필름가압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안면보호장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가압부재는, 상기 필름설치부재의 설치홈 내측에 설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필름설치부재의 길이방향 타측에 노출된 상기 낱장교체필름을 가압하는 가압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안면보호장비.
KR1020150172922A 2015-12-07 2015-12-07 산업용 안면보호장비 KR101630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922A KR101630313B1 (ko) 2015-12-07 2015-12-07 산업용 안면보호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922A KR101630313B1 (ko) 2015-12-07 2015-12-07 산업용 안면보호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0313B1 true KR101630313B1 (ko) 2016-06-14

Family

ID=56192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2922A KR101630313B1 (ko) 2015-12-07 2015-12-07 산업용 안면보호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03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514Y1 (ko) * 2017-06-15 2018-10-02 대한민국 농작업용 고글
KR20220095648A (ko) * 2020-12-30 2022-07-07 한국광기술원 오염물 제거가 가능한 증강현실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595Y1 (ko) * 2006-01-18 2006-04-24 박춘배 산업용 고글
KR20110011404A (ko) * 2009-07-28 2011-02-08 김응우 산업용 방호두건
KR20140002621U (ko) * 2012-10-25 2014-05-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롤 필름이 구비된 작업용 방호두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595Y1 (ko) * 2006-01-18 2006-04-24 박춘배 산업용 고글
KR20110011404A (ko) * 2009-07-28 2011-02-08 김응우 산업용 방호두건
KR20140002621U (ko) * 2012-10-25 2014-05-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롤 필름이 구비된 작업용 방호두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514Y1 (ko) * 2017-06-15 2018-10-02 대한민국 농작업용 고글
KR20220095648A (ko) * 2020-12-30 2022-07-07 한국광기술원 오염물 제거가 가능한 증강현실 장치
KR102561450B1 (ko) * 2020-12-30 2023-07-31 한국광기술원 오염물 제거가 가능한 증강현실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2310B1 (ko) 투시창 보호용 투명필름시트가 결합된 안면 보호구
US11759362B2 (en) Tear-off lens capture
US20230218032A1 (en) Adhesive mountable stack of removable layers
AU2016308063B2 (en) Lens protection systems
US9610198B2 (en) Protection device for a welder
US9861529B2 (en) Mask removable type automatic shading goggles
US8434168B2 (en) Weight balancing face shield
KR101630313B1 (ko) 산업용 안면보호장비
US20110285957A1 (en) Limited access and antifog protective eyewear for welding
KR20140005520U (ko) 보호 필름을 구비한 안전모
US9097386B2 (en) Portable work screen with at least two supports comprising magnets and a semi rigid screen
KR100565383B1 (ko) 방호두건용 보안경
KR101941197B1 (ko) 이중보호 기능을 갖는 기능성 차광고글
US20020071088A1 (en) Pair of safety glasses utilizing hinged protective lenses
KR101295880B1 (ko) 고글이 장착된 방호 두건
KR200465531Y1 (ko) 안과용 눈 보호구
US2959787A (en) Welding shield
KR200354851Y1 (ko) 방호두건용 보안경
CN219375169U (zh) 一种可拆卸镜片式冷焊机焊帽
KR20190068120A (ko) 먼지제거가 가능하고 편리하게 붙일 수 있는 액정보호필름
KR20120085595A (ko) 산업용 고글 및 그 고글이 장착된 안전 보호구
KR20140002324A (ko) 휴대폰 보호필름 구조체
KR200406128Y1 (ko) 블라스팅 작업용 안면보호 마스크
KR200293552Y1 (ko) 쇼트작업용 방호두건
JP2010243704A (ja) 防塵眼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