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0257B1 -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0257B1
KR101630257B1 KR1020140090869A KR20140090869A KR101630257B1 KR 101630257 B1 KR101630257 B1 KR 101630257B1 KR 1020140090869 A KR1020140090869 A KR 1020140090869A KR 20140090869 A KR20140090869 A KR 20140090869A KR 101630257 B1 KR101630257 B1 KR 101630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esh
providing system
module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0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0780A (ko
Inventor
위영철
최정주
조현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핀그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핀그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핀그램
Priority to KR1020140090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0257B1/ko
Publication of KR20160010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0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11Transformation of image signals corresponding to virtual viewpoints, e.g. spatial image interpo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mage Generation (AREA)

Abstract

2D 이미지(예를 들면, 3D 아이콘)로부터 3D 이미지(예를 들면, 3D 아이콘)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2D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2D 이미지로부터 상기 2D 오브젝트 또는 상기 2D 이미지에 상응하는 외곽선을 추출하는 라인 추출모듈, 추출된 상기 외곽선에 기초하여 3D 메쉬를 생성하는 3D 메쉬 생성모듈 및 생성된 상기 3D 메쉬 및 상기 2D 이미지에 기초하여, 3D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3D 오브젝트 생성모듈을 포함하는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3D image providing system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2D 이미지(예를 들면, 2D 아이콘)로부터 3D 이미지(예를 들면, 3D 아이콘)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소기업청의 첫걸음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된 스마트폰상에서 다양한 입력에 실시간 반응하는 3D 메쉬 생성 엔진 개발 연구(과제고유번호: 1425081344)의 결과물로서 산출된 것이다.
컴퓨터나 스마트폰과 같은 컴퓨팅 시스템의 전통적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는 사용자가 파일이나 폴더를 선택하거나 혹은 특정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아이콘이 제공된다. 즉, 사용자는 특정 아이콘을 선택(예를 들면, 클릭 혹은 터치)함으로써, 해당 아이콘에 상응하는 파일이나 폴더를 선택 또는 실행하거나 해당 아이콘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통적인 아이콘은 2D 이미지의 일종이지만, 최근에는 사용자에게 보다 나은 사용자 경험이나 심미감을 주기 위하여 3D 형태의 아이콘이 제공되는 경우도 많다.
종래에 3D 아이콘을 제작하는 방법으로 2D 이미지에 3D 효과(예를 들면, 음영 효과나 그라데이션 효과)를 주는 방법이나 3D 오브젝트를 모델링하고 이를 일 측면에서 바라본 형태를 렌더링함으로써 3D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으로 생성되는 3D 아이콘은 실제로는 2D 이미지에 불과하므로 이러한 방식으로 생성되는 아이콘에 대해서는 3D 오브젝트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법들(예를 들면, 물리 시뮬레이션 등)을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아이콘 자체를 3D 오브젝트의 형태로 제작하고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에서 3D 오브젝트를 렌더링하는 방식도 있으나 이러한 방식에서는 3D 오브젝트를 모델링해야 하는 별도의 단계가 더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미 제작되어 있는 2D 이미지를 기반으로 물리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3D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를 제공할 수 있는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2D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2D 이미지로부터 상기 2D 오브젝트 또는 상기 2D 이미지에 상응하는 외곽선을 추출하는 라인 추출모듈, 추출된 상기 외곽선에 기초하여 3D 메쉬를 생성하는 3D 메쉬 생성모듈 및 생성된 상기 3D 메쉬 및 상기 2D 이미지에 기초하여, 3D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3D 오브젝트 생성모듈을 포함하는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3D 메쉬 생성모듈은, 추출된 상기 외곽선에 의해 형성되는 2D 면(surface)을 인플레이팅(inflating)하여 상기 3D 메쉬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은, 추출된 상기 외곽선에 의해 형성되는 2D 면에 대한 테셀레이션(tessellation)을 수행하여, 2D 메쉬를 생성하는 2D 메쉬 생성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3D 메쉬 생성모듈은, 생성된 상기 2D 메쉬를 인플레이팅하여 상기 2D 오브젝트에 상응하는 3D 메쉬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은, 상기 2D 메쉬에 상기 2D 이미지를 매핑하여, 상기 3D 오브젝트에 입혀질 텍스쳐 정보를 생성하는 텍스쳐 생성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3D 오브젝트 생성모듈은, 생성된 상기 3D 메쉬 및 상기 텍스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3D 오브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라인 추출모듈은, 2D 이미지에 포함된 각 픽셀의 알파 값(투명도)에 기초하여 상기 외곽선을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은, 상기 3D 이미지의 선택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3D 오브젝트 상에 압력이 가해져 변형되는 것을 시뮬레이션하는 시뮬레이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뮬레이션 모듈은 질량-스프링-댐퍼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3D 오브젝트 상에 압력이 가해져 변형되는 것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은, 생성된 상기 3D 오브젝트를 렌더링(rendering)하여 상기 2D 오브젝트에 상응하는 3D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렌더링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2D 오브젝트는 2D 아이콘이며, 상기 3D 이미지는 3D 아이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은, 상기 3D 이미지의 선택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2D 이미지의 선택명령에 매핑된 액션을 수행하는 액션 수행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이, 2D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2D 이미지로부터 상기 2D 오브젝트 또는 상기 2D 이미지에 상응하는 외곽선을 추출하는 라인 추출단계, 상기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이, 추출된 상기 외곽선에 기초하여 3D 메쉬를 생성하는 3D 메쉬 생성단계 및 상기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이, 생성된 상기 3D 메쉬 및 상기 2D 이미지에 기초하여, 3D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3D 오브젝트 생성단계를 포함하는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3D 메쉬 생성단계는, 추출된 상기 외곽선에 의해 형성되는 2D 면을 인플레이팅하여 상기 3D 메쉬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 제공방법은, 추출된 상기 외곽선에 의해 형성되는 2D 면에 대한 테셀레이션을 수행하여, 2D 메쉬를 생성하는 2D 메쉬 생성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3D 메쉬 생성단계는, 생성된 상기 2D 메쉬를 인플레이팅하여 상기 3D 메쉬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2D 메쉬에 상기 2D 이미지를 매핑하여, 상기 3D 오브젝트에 입혀질 텍스쳐 정보를 생성하는 텍스쳐 생성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3D 오브젝트 생성단계는, 생성된 상기 3D 메쉬 및 상기 텍스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3D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라인 추출단계는, 2D 이미지에 포함된 각 픽셀의 알파 값(투명도)에 기초하여 상기 외곽선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3D 이미지의 선택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3D 오브젝트 상에 압력이 가해져 변형되는 것을 시뮬레이션하는 시뮬레이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뮬레이션 단계는, 질량-스프링-댐퍼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3D 오브젝트 상에 압력이 가해져 변형되는 것을 시뮬레이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이, 생성된 상기 3D 오브젝트를 렌더링하여 3D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렌더링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2D 오브젝트는 2D 아이콘이며, 상기 3D 이미지는 3D 아이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은, 상기 3D 이미지의 선택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2D 이미지의 선택명령에 매핑된 액션을 수행하는 액션 수행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으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이, 상술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기존에 이미 제작되어 있는 2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여 3D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3D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별도로 3D 오브젝트를 모델링해야 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3D 이미지의 생성에 필요한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 종래 스마트폰에 구비되어 애플리케이션의 2D 아이콘을 3D 아이콘으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에서 구동되는 각종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별도로 3D로 제작되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마치 3D 아이콘을 통해 스마트폰과 인터페이싱하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의 구성환경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2D 이미지로부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이 3D 오브젝트 혹은 3D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이 2D 면으로부터 3D 메쉬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의 구성환경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200)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컴퓨터, 랩탑, 데스크탑, 워크스테이션, 서버 등을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며, 휴대전화, 스마트폰, 타블렛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또는 기타 무선 접속 기능을 갖는 핸드헬드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컴퓨팅 장치 또는 다른 무선 모뎀에 연결된 프로세싱 장치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메모리 장치(220)에 2D 이미지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2D 이미지는 2D 아이콘일 수 있으며, 이 경우 특정 2D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특정 2D 아이콘에 상응하는 파일 혹은 폴더를 선택 또는 실행하거나 상기 특정 2D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로부터 2D 아이콘 혹은 후술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생성되는 3D 아이콘에 대한 선택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장치(예를 들면, 터치 스크린(21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100)은 상기 메모리 장치(220)에 저장된 2D 이미지에 기초하여 3D 오브젝트 또는 3D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100)은 상기 사용자 단말(200)이 구비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예를 들면, 터치 스크린(210)) 상에 생성된 3D 오브젝트를 렌더링하거나 3D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도 1은 예시에 불과하며,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100)의 구성요소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200)과 물리적으로 분리된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100)은 상기 사용자 단말(200)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각종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100)은 라인추출모듈(110), 2D 메쉬 생성모듈(120), 텍스쳐 생성모듈(130), 3D 메쉬 생성모듈(140), 3D 오브젝트 생성모듈(150), 렌더링모듈(160), 시뮬레이션모듈(170) 및 액션수행모듈(18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술한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는 반드시 본 발명의 구현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100)은 이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예컨대, 라인추출모듈(110), 2D 메쉬 생성모듈(120), 텍스쳐 생성모듈(130), 3D 메쉬 생성모듈(140), 3D 오브젝트 생성모듈(150), 렌더링모듈(160), 시뮬레이션모듈(170) 및/또는 액션수행모듈(180) 등)의 기능 및/또는 리소스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구비할 수 있으며, 반드시 하나의 물리적인 구성요소를 의미하거나 하나의 장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구비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논리적인 결합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서로 이격된 장치에 설치되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들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각각의 기능 또는 역할별로 별도로 구현되는 구성들의 집합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라인추출모듈(110), 2D 메쉬 생성모듈(120), 텍스쳐 생성모듈(130), 3D 메쉬 생성모듈(140), 3D 오브젝트 생성모듈(150), 렌더링모듈(160), 시뮬레이션모듈(170) 및/또는 액션수행모듈(180)는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고, 동일한 물리적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라인추출모듈(110), 2D 메쉬 생성모듈(120), 텍스쳐 생성모듈(130), 3D 메쉬 생성모듈(140), 3D 오브젝트 생성모듈(150), 렌더링모듈(160), 시뮬레이션모듈(170) 및/또는 액션수행모듈(180) 등 각각의 모듈을 구성하는 세부요소 역시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하고,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한 세부요소가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각각의 모듈들이 수행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1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2D 이미지로부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100)이 3D 오브젝트 혹은 3D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라인 추출모듈(110)은 2D 이미지로부터 외곽선을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2D 이미지는 2D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라인 추출모듈(110)은 상기 2D 이미지로부터 상기 2D 오브젝트 또는 상기 2D 이미지에 상응하는 외곽선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2D 이미지(10)는 2D 오브젝트 인 도형 및 문자(VCL)를 포함하고 있으며, 도 4의 2D 이미지(21)는 별 형태의 2D 오브젝트를 포함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라인 추출모듈(110)은 2D 이미지의 외곽선을 추출할 수 있다. 2D 이미지의 외곽선이라고 함은 상기 2D 이미지의 바운더리를 형성하는 선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라인 추출모듈(120)은 도 3의 2D 이미지(10)로부터 상기 2D 이미지(10)의 외곽선(11)을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라인 추출모듈(110)은 2D 이미지에 포함된 2D 오브젝트의 외곽선을 추출할 수 있다. 2D 오브젝트의 외곽선이라고 함은 상기 2D 오브젝트의 바운더리를 형성하는 선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라인 추출모듈(120)은 도 4의 2D 이미지(21)로부터 상기 2D 이미지(21)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외곽선(22)을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라인 추출모듈(110)은 상기 2D 이미지에 포함된 2D 오브젝트의 컨벡스 헐(Convex Hull)을 2D 오브젝트의 외곽선으로 추출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라인 추출모듈(110)은 2D 이미지에 포함된 각 픽셀의 알파 값(투명도)에 기초하여 2D 오브젝트의 외곽선을 추출할 수 있다. 2D 이미지 경우 오브젝트를 구성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알파 값이 일정 수치 이하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라인 추출모듈(120)은 상기 2D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판단하기 위하여 각 픽셀의 알파 값이 일정 수치(예를 들어, 0) 이하인 픽셀만을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픽셀에 의해 구성되는 2D 오브젝트의 외곽선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2D 메쉬 생성모듈(120)은 추출된 상기 외곽선에 의해 형성되는 2D 면에 대한 테셀레이션(tessellation)을 수행하여, 2D 메쉬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2D 메쉬 생성모듈(120)에 의해 수행되는 테셀레이션 과정을 통해 상기 상기 외곽선에 의해 형성되는 2D 면으로부터 폴리곤(예를 들어, 삼각형 또는 사각형 등)으로 채워진 2D 메쉬가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2D 메쉬 생성모듈(120)은 도 3의 2D 이미지의 외곽선(1)에 의해 형성되는 2D 면에 대한 테셀레이션을 수행하여 2D 메쉬(12)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3D 메쉬 생성모듈(140)은 상기 라인 추출모듈(110)에 의해 추출된 외곽선에 기초하여 3D 메쉬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3D 메쉬 생성모듈(140)은 추출된 상기 외곽선에 의해 형성되는 2D 면(surface)을 인플레이팅(inflating)하여 상기 3D 메쉬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3D 메쉬 생성모듈(140)은 상기 2D 메쉬 생성모듈(120)에 의해 생성된 2D 메쉬를 인플레이팅하여 상기 2D 오브젝트에 상응하는 3D 메쉬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3D 메쉬 생성모듈(1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2D 메쉬(12)를 인플레이팅하여 3D 메쉬(14)을 생성할 수 있다.
도 5는 상기 3D 메쉬 생성모듈(140)이 2D 면으로부터 3D 메쉬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3D 메쉬 생성모듈(140)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D 면에 대한 화소 수준의 등 간격 샘플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3D 메쉬 생성모듈(140)은 샘플 정점의 내외부에 대한 2차원 마칭 큐브 알고리즘에 의해 경계를 추출하고, 경계로부터의 L1 거리(맨하탄 거리)에 의한 정점 분할집합(partition) Si(0<=i<=n)를 구성할 수 있다(여기서, S0는 경계를 이루는 정점의 집합, S1은 S0에 포함된 정점과 직접 에지로 연결된 정점의 집합, Sj(2<=j<=n)는 Sj-1에 포함된 정점과 직접 에지로 연결된 정점 중 Sj-2에 속하지 않는 정점의 집합임). 또한, 상기 3D 메쉬 생성모듈(140)은 정점 분할집합 Si(0<=i<=n)의 높이(±zi)를 다양한 스케일로 보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3D 메쉬 생성모듈(140)은 3D 메쉬의 형태를 볼록하게 만들기 위하여 경계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보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정점 분할집합의 높이(z)는 경계로부터 상기 특정 정점 분할집합까지의 L1거리(x)에 대하여 단조 증가하는 임의의 함수(예를 들어, z=log(x+1) 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도 5(b) 참조). 이후, 상기 보간된 정점 분할집합의 높이(±z)를 상기 2D 메쉬에 적용하여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은 3D 메쉬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텍스쳐 생성모듈(130)은 상기 2D 메쉬에 상기 2D 이미지를 매핑하여 3D 오브젝트에 입혀질 텍스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텍스쳐 생성모듈(1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2D 메쉬(12)에 2D 이미지(10)을 매핑하여 텍스쳐 정보(13)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텍스쳐 생성모듈(110)은 상기 2D 메쉬에 포함된 각각의 폴리곤을 그에 상응하는 상기 2D 이미지상의 픽셀과 매핑하여 텍스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3D 오브젝트 생성모듈(150)은 상기 3D 메쉬 생성모듈(140)에 의해 생성된 3D 메쉬 및 상기 텍스쳐 생성모듈(130)에 의해 생성된 텍스쳐 정보에 기초하여, 3D 오브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3D 오브젝트 생성모듈은 생성된 상기 3D 메쉬 상에 상기 텍스쳐 생성모듈(130)에 의해 생성된 텍스쳐 정보를 반영함으로써, 상기 3D 오브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3D 오브젝트 생성모듈(1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3D 메쉬(14)와 텍스쳐 정보(13)에 기초하여 3D 오브젝트(15)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렌더링 모듈(160)은 생성된 상기 3D 오브젝트를 렌더링(rendering)하여 상기 2D 오브젝트에 상응하는 3D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200) 상의 터치 스크린(210)에 3D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는 상기 3D 이미지 중 어느 한 지점을 선택(예를 들어, 터치)함으로써 상기 3D 이미지에 대한 선택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3D 이미지에 대한 선택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시뮬레이션 모듈(170)은 상기 3D 오브젝트 상에 압력이 가해져 변형되는 것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모듈(170)은 사용자가 선택(예를 들어, 터치)한 지점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뮬레이션 모듈(170)은 질량-스프링-댐퍼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3D 오브젝트 상에 압력이 가해져 변형되는 것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뮬레이션 모듈(17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3D 오브젝트(15)가 선택된 경우, 압력에 의해 변형된 형태(16)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
한편, 질량-스프링-댐퍼 시뮬레이션은 탄성적인 오브젝트의 사실적인 변형을 표현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시뮬레이션 방법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렌더링 모듈(70)은 시뮬레이션된 결과(즉, 3D 오브젝트의 변형) 를 렌더링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상기 2D 이미지는 2D 아이콘이며, 상기 3D 이미지는 3D 아이콘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2D 이미지는 특정 파일 혹은 폴더에 대응되거나 특정 액션(기능)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액션 수행모듈(180)은, 상기 3D 이미지의 선택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2D 이미지의 선택명령에 매핑된 액션(예를 들어, 파일이나 폴더의 선택 또는 실행 혹은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100)이 2D이미지로부터 그에 상응하는 3D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를 렌더링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100)은 별 모양의 2D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2D 이미지(21)로부터 상기 2D 오브젝트에 상응하는 외곽선(22)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100)은 추출된 상기 외곽선(22)에 의해 형성되는 2D 면에 대한 테셀레이션을 수행하여 2D 메쉬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2D 메쉬를 인플레이팅하여 상기 2D 오브젝트에 상응하는 3D 메쉬(23)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100)은 상기 2D 메쉬에 상기 2D 이미지를 매핑하여 상기 3D 오브젝트에 입혀질 텍스쳐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3D 메쉬(23) 및 텍스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3D 오브젝트(24)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상기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100)은 상기 3D 이미지의 선택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3D 오브젝트 상에 압력이 가해져 변형되는 것을 시뮬레이션하고(도 4의 참조번호 25 참조), 시뮬레이션 결과를 렌더링할 수 있다(도 4의 참조번호 26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기존에 이미 제작되어 있는 2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여 3D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3D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별도로 3D 오브젝트를 모델링해야 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3D 이미지의 생성에 필요한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200)이 스마트폰(예를 들면, 안드로이드 OS가 설치된 휴대단말)인 경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100)은 스마트폰의 런처(luncher) 애플리케이션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100)은 종래 스마트폰에 구비되어 애플리케이션의 2D 아이콘을 3D 아이콘으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스마트폰에서 구동되는 각종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별도로 3D로 제작되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마치 3D 아이콘을 통해 스마트폰과 인터페이싱하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구현 예에 따라서, 상기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100)은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싱글 코어 CPU혹은 멀티 코어 CPU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체상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기타 구성 요소에 의한 메모리로의 액세스는 메모리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100)으로 하여금, 상술한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 제공방법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 제공방법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 및 대상 프로그램도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2D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2D 이미지로부터 상기 2D 오브젝트 또는 상기 2D 이미지에 상응하는 외곽선을 추출하는 라인 추출모듈;
    추출된 상기 외곽선에 기초하여 3D 메쉬를 생성하는 3D 메쉬 생성모듈; 및
    생성된 상기 3D 메쉬 및 상기 2D 이미지에 기초하여, 3D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3D 오브젝트 생성모듈을 포함하는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은,
    추출된 상기 외곽선에 의해 형성되는 2D 면에 대한 테셀레이션(tessellation)을 수행하여, 2D 메쉬를 생성하는 2D 메쉬 생성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3D 메쉬 생성모듈은,
    생성된 상기 2D 메쉬를 인플레이팅하여 상기 2D 오브젝트에 상응하는 3D 메쉬를 생성하는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은,
    상기 2D 메쉬에 상기 2D 이미지를 매핑하여, 상기 3D 오브젝트에 입혀질 텍스쳐 정보를 생성하는 텍스쳐 생성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3D 오브젝트 생성모듈은,
    생성된 상기 3D 메쉬 및 상기 텍스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3D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추출모듈은,
    2D 이미지에 포함된 각 픽셀의 알파 값(투명도)에 기초하여 상기 외곽선을 추출하는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은,
    상기 3D 이미지의 선택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3D 오브젝트 상에 압력이 가해져 변형되는 것을 시뮬레이션하는 시뮬레이션 모듈을 더 포함하는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 모듈은
    질량-스프링-댐퍼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3D 오브젝트 상에 압력이 가해져 변형되는 것을 시뮬레이션하는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은,
    생성된 상기 3D 오브젝트를 렌더링(rendering)하여 상기 2D 오브젝트에 상응하는 3D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렌더링 모듈을 더 포함하는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D 오브젝트는 2D 아이콘이며, 상기 3D 이미지는 3D 아이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은,
    상기 3D 이미지의 선택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2D 이미지의 선택명령에 매핑된 액션을 수행하는 액션 수행모듈을 더 포함하는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
  10.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이, 2D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2D 이미지로부터 상기 2D 오브젝트 또는 상기 2D 이미지에 상응하는 외곽선을 추출하는 라인 추출단계;
    상기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이, 추출된 상기 외곽선에 기초하여 3D 메쉬를 생성하는 3D 메쉬 생성단계; 및
    상기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이, 생성된 상기 3D 메쉬 및 상기 2D 이미지에 기초하여, 3D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3D 오브젝트 생성단계를 포함하는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 제공방법은,
    추출된 상기 외곽선에 의해 형성되는 2D 면에 대한 테셀레이션을 수행하여, 2D 메쉬를 생성하는 2D 메쉬 생성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3D 메쉬 생성단계는,
    생성된 상기 2D 메쉬를 인플레이팅하여 상기 3D 메쉬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 제공방법..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2D 메쉬에 상기 2D 이미지를 매핑하여, 상기 3D 오브젝트에 입혀질 텍스쳐 정보를 생성하는 텍스쳐 생성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3D 오브젝트 생성단계는,
    생성된 상기 3D 메쉬 및 상기 텍스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3D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 제공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추출단계는,
    2D 이미지에 포함된 각 픽셀의 알파 값(투명도)에 기초하여 상기 외곽선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 제공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3D 이미지의 선택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3D 오브젝트 상에 압력이 가해져 변형되는 것을 시뮬레이션하는 시뮬레이션 단계를 더 포함하는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 제공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 단계는,
    질량-스프링-댐퍼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3D 오브젝트 상에 압력이 가해져 변형되는 것을 시뮬레이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 제공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이, 생성된 상기 3D 오브젝트를 렌더링하여 3D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렌더링 단계를 더 포함하는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 제공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2D 오브젝트는 2D 아이콘이며, 상기 3D 이미지는 3D 아이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 제공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은,
    상기 3D 이미지의 선택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2D 이미지의 선택명령에 매핑된 액션을 수행하는 액션 수행단계를 더 포함하는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 제공방법.
  19. 제10항 또는 제12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20.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으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이, 제10항 또는 제12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
KR1020140090869A 2014-07-18 2014-07-18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630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869A KR101630257B1 (ko) 2014-07-18 2014-07-18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869A KR101630257B1 (ko) 2014-07-18 2014-07-18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0780A KR20160010780A (ko) 2016-01-28
KR101630257B1 true KR101630257B1 (ko) 2016-06-15

Family

ID=55309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0869A KR101630257B1 (ko) 2014-07-18 2014-07-18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02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29285A (zh) * 2019-01-17 2019-05-07 广州华多网络科技有限公司 熔线格特效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098794B1 (ko) 2018-11-05 2020-04-0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삼차원 브레인 신경회로 영상을 이용한 웹 기반 셀 프로파일 분석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3166A (ko) * 2009-11-13 2011-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3d 오브젝트 렌더딩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794B1 (ko) 2018-11-05 2020-04-0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삼차원 브레인 신경회로 영상을 이용한 웹 기반 셀 프로파일 분석 시스템 및 방법
CN109729285A (zh) * 2019-01-17 2019-05-07 广州华多网络科技有限公司 熔线格特效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0780A (ko) 2016-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54531B2 (en) Displaying a three dimensional user interface
US8610714B2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manipulating graphical objects
KR102165124B1 (ko) 동적 그래픽 인터페이스 셰도우들
US20140002443A1 (en) Augmented reality interface
US20170213394A1 (en) Environmentally mapped virtualization mechanism
US9269324B2 (en) Orientation aware application demonstration interface
JP2023171435A (ja) 複合現実において動的仮想コンテンツを生成するデバイスおよび方法
CN105144243A (zh) 数据可视化
CN112258653A (zh) 弹性对象的渲染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160050295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디지털 수채 영상 재현 방법
CN109584377A (zh) 一种用于呈现增强现实内容的方法与设备
KR20180058895A (ko) 스마트 기기와 연동하는 증강현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증간현실 구현 방법
US20140292754A1 (en) Easy selection threshold
CN106683152B (zh) 三维视觉效果模拟方法及装置
US100676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ttributes of plane element
CN111127469A (zh) 缩略图显示方法、装置、存储介质以及终端
Suárez et al. An open source virtual globe framework for iOS, Android and WebGL compliant browser
KR101630257B1 (ko) 3d 이미지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Levkowitz et al. Cloud and mobile web-based graphics and visualization
KR102005492B1 (ko) 3차원 메쉬 데이터 간소화 방법 및 장치
KR102403256B1 (ko) 기계학습을 위한 프리핸드 스케치 이미지 생성 방법 및 시스템
RU2637903C2 (ru) Способ и компьюте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здания симплифицированных границ графических объектов
WO2016107356A1 (zh) 一种基于静态图片的动态交互方法和装置
US202303602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asynchronous tile-based terrain generation
EP2767973A1 (en) User terminal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