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6618B1 -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의 하드 코팅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하드 코팅 필름 및 편광 필름 - Google Patents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의 하드 코팅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하드 코팅 필름 및 편광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6618B1
KR101626618B1 KR1020090093372A KR20090093372A KR101626618B1 KR 101626618 B1 KR101626618 B1 KR 101626618B1 KR 1020090093372 A KR1020090093372 A KR 1020090093372A KR 20090093372 A KR20090093372 A KR 20090093372A KR 101626618 B1 KR101626618 B1 KR 101626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hard coating
solvent
composition
ta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3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5581A (ko
Inventor
홍승모
임거산
김기용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3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6618B1/ko
Publication of KR20110035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5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6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2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2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9D201/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 C09D201/06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containing oxygen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리아세틸 셀롤로오스 필름의 하드 코팅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하드 코팅 필름 및 편광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하드 코팅용 조성물은 산소 원자의 질량 분율이 10% 이상인 용매를 포함하고, 상기 용매는 하기 식 1 로 표현되는 SPDS값이 1 이하인 용매 1종 이상; 및 SPDS 값이 15 이상인 용매 1 종 이상을 함유하는 혼합 용매일 수 있다:
[식 1]
SPDS = (SPTAC - SPSOL)2
본 발명의 하드 코팅용 조성물은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하드 코팅 필름의 외관을 향상시키고, 필름과의 밀착성이 우수하며, 투명성 및 내찰상성, 경도 및 내굴곡성 등 물리적 강도가 우수한 하드 코팅 필름 제공할 수 있으며, 양질의 편광자 보호용 하트 코팅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 하드 코팅 필름, 투명성, 용해도 상수, 산소 질량 분률

Description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의 하드 코팅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하드 코팅 필름 및 편광 필름 {Hard coating composition for triacetyl cellulose, hard coating film and polarizing film comprising thereof}
본 발명은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의 하드 코팅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하드 코팅 필름 및 편광 필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경화 후 필름의 외관을 향상시키고 광학적 특성을 유지시키며, 내굴곡성, 막강도 및 내찰상성 등 물리적 강도가 우수한 필름을 제공하는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의 하드 코팅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하드 코팅 필름 및 편광 필름에 관한 것이다.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riacetyl cellulose, TAC) 필름은 이의 일 면에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여 각종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TFT-LCD), 유기전자발광 디스플레이(OLED) 편광판의 편광자를 보호하기 위한 하드 코팅 필름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일반 하드 코팅용 조성물의 경우 TAC 필름과의 상관관계를 무시하고 용매의 조성을 조절하여 사용하므로 하드 코팅 필름에 무지개 현상이 나타나거나 투명성 등이 손상되어 표시 품위가 저하될 수 있으며, TAC 필름 손상으로 인한 막강도 저하나, 내굴곡성 저하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가 용이하고, 외관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투명성이 높으며, 내굴곡성, 고경도, 내찰상성 등 물리적 강도가 우수한 하드 코팅 필름을 제공하는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의 하드 코팅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하드 코팅 필름 및 편광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산소 원자를 함유하고,
상기 산소 원자의 질량 분율이 용매에 대하여 10% 이상인 용매를 포함하는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의 하드 코팅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용매는 하기 식 1 로 표현되는 SPDS값이 1 이하인 용매 1종 이상; 및 SPDS 값이 15 이상인 용매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 용매일 수 있다:
[식 1]
SPDS = (SPTAC - SPSOL)2
(식 1 에서,
SPTAC 는 TAC 필름의 용해도 상수(solubility parameter)이며,
SPSOL 은 용매의 용해도 상수이다.)
상기 혼합 용매의 용해도 상수(SPMDS )는 하기 식 2 로 표현되며,
상기 혼합 용매의 용해도 상수는 1 내지 20일 수 있다:
[식 2]
SPMDS = (SPTAC - SPM)2
(식 2 에서,
SPM = SP1 φ1 + SP2 φ2 + …… + SPn φn 이며;
φ는 각 용매의 부피 분율을 나타내며;
SPTAC 는 TAC 필름의 용해도 상수(solubility parameter)이다)
상기 혼합 용매는 조성물에 대하여 20 내지 8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 및
상기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의 적어도 일 면에 적층된 본 발명의 하드 코팅용 조성물로 형성된 하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하드 코팅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하드 코팅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드 코팅용 조성물은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에 사용하기 적합한 용매 조성으로 이루어져 하드 코팅 필름 제조시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의 손상으로 야기되는 막강도, 내굴곡성 등의 저하를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드 코팅용 조성물은 필름의 외관이 미려하고 광학 성능과 기계적 물성이 향상된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하드 코팅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드 코팅용 조성물은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에 하드 코팅층을 형성시 코팅성이 우수하고 투명성이 손상되지 않으며, 무지개 현상을 막을 수 있다.
이하,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riacetyl cellulose, TAC)필름에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용매를 포함하는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의 하드 코팅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하드 코팅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용매로 기재 필름인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고려하여 일정 상관 관계에 있는 물질을 사용하면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하드 코팅 필름의 외관이 향상되고 투명성 및 물리적 강도가 향상된다.
본 발명의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의 하드 코팅용 조성물은 산소 원자를 함유하는 용매를 포함한다. 상기 산소 원자를 함유하는 용매의 경우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의 표면을 부식시켜, 밀착성 등 코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산소 원자를 함유하지 않는 용매는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의 표면을 부식시키기 어려워 하드 코팅층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으며, 무지개 현상이 개선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산소 원자를 함유하는 용매에서 상기 산소 원자는 용매에 대하여 질량 분율이 10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산소 원자의 질량 분율이 10 %미만인 경우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의 부식 정도가 미미하며 하드 코팅층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산소 원자의 질량 분율은 산소 원자의 총 분자량을 용매의 총 분자량으로 나눈 값을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 다. 예를 들어, 메탄올(CH2OH)의 경우, 산소 원자의 총 분자량은 16, 용매의 총 분자량은 32이므로 산소 원자의 질량 분율은 (16×1)×100/32=50%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산소 원자를 함유하는 용매는 산소 원자를 함유하는 것이라면 어떤 형태의 용매라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수산기, 에스테르 또는 에테르 결합을 포함하는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2-프로판올, 1-부탄올, 2-부탄올, 이소부틸알콜, 1-펜타놀, 디아세톤알콜, 2-메톡시에탄올, 2-에톡시에탄올, 2-부톡시에탄올 등의 알코올계 용매;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디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계 용매; 및 메틸아세테이트, 에티아세테이트, n-부틸아세테이트, 이소부틸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테르계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산소 원자를 함유하는 용매는 하기 식 1 로 표현되는 SPDS 값이 1 이하인 용매와 SPDS 값이 15 이상인 용매를 포함하는 혼합 용매일 수 있다:
[식 1]
SPDS = (SPTAC - SPSOL)2
상기 식 1 에서, SPTAC 는 TAC 필름의 SP 값이며, SPSOL 은 용매의 SP이다.
상기 TAC 필름과 용매의 SP는 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값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Polymer Handbook(4th Ed. J. Brandrup외)”의 VII/671 ~ VII/714에 제시되어 있는 값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SP는 (△H/V)1/ 2 로 정의할 수 있으며, ΔH는 몰 증발 엔탈피, V는 몰 부피를 나타낸다.
하드 코팅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용매와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과의 혼화성 및 부식의 정도는 용매 및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의 용해도 상수(solubility parameter, SP)의 상관 관계로 알 수 있으며, 상기 식 1 로 표현되는 SPDS 값이 1 이하인 용매는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 표면을 일정량 이상 부식시킬 수 있다.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의 표면을 일정량 녹이면 계면간의 요철 발생으로 무지개 현상을 막을 수 있으며, 밀착성, 코팅성 등이 향상될 수 있는 반면에, 부식의 정도가 커서 계면간의 요철이 너무 커지면 헤이즈값이 상승하거나, 백화 현상이 발생하고, 기계적인 물성, 특히 막강도 및 내굴곡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 표면의 부식성이 큰 상기 SPDS 값이 1 이하인 용매와 부식의 정도가 작은 SPDS 값이 15 이상인 용매를 동시에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 용매는 SPDS 값이 1 이하인 용매를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으며, SPDS 값이 15 이상인 용매도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혼합 용매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혼합 용매의 용해도 상수(SPMDS)는 하기 식 2 로 표현될 수 있다:
[식 2]
SPMDS = (SPTAC - SPM)2
상기 식 2 에서, SPM = SP1 Φ1 + SP2 Φ2 + ‥‥ + SPn Φn 이며, Φ는 각 용매의 부피 분율이고, SPTAC 는 TAC 필름의 용해도 상수이다.
상기 SPMDS 값은 1 내지 20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7 일 수 있다. 상기 SPMDS 값이 1 미만이면, 백화 및 헤이즈 증가 현상이 있을 수 있고, 20을 초과하면 무지개 현상이 나타나고, 밀착성이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의 하드 코팅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용매는 하드 코팅용 조성물에 대하여 20 내지 8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용매가 2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코팅성이 저하되고 외관이 나빠질 수 있으며, 8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막 두께를 높일 수 없어 하드 코팅의 특성을 구현 할 수 없다.
본 발명의 하드 코팅용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표면 조절용 첨가제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표면 조절용 첨가제는 표면 장력을 낮춰 표면 평활성을 향상시키고, 하드 코팅 필름 제조시 기재 필름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킨다.
상기 표면 조절용 첨가제로는 불소계, 실리콘계 또는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표면 조절용 첨가제는 하드 코팅용 조성물에 대하여 0.1 내지 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표면 장력이 높아 코팅시 레벨링성등이 저하될 수 있으며, 1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백화 현상이 발생하여 헤이즈 값이 높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드 코팅용 조성물은 막 강도 및 내스크래치성 향상을 위한 금속 나노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나노 입자의 구체적인 예로는, 실리카, 티타늄 옥사이드, 인듐 틴 옥사이드, 안티몬 틴 옥사이드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하드 코팅용 조성물은 대전 방지성능 구현을 위해 대전방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전방지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불소계, 실리콘계, 금속이온 착화합물, 이온성 액체, 전도성 고분자, 금속 미립자 분산물 및 탄소나노튜브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하드 코팅용 조성물은 상기 성분외에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계에 공지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당업자가 임의로 그 함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드 코팅용 조성물은 자외선 경화, 열 경화등 경화 방식을 이용하는 조성물 및 용매를 건조하여 막을 형성하는 락카 형태의 코팅 조성물을 모두 포함 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경화 형태의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하드 코팅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하드 코팅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드 코팅 필름은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 상기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의 적어도 일 면에 적층된 상기 본 발명의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의 하드 코팅용 조성물로 형성된 하드 코팅층을 포함한다. 상기 하드 코팅 필름은 기재 필름인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과 상관 관계가 있는 용매를 포함하는 하드 코팅층을 포함하여 외관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물리적 강도등이 향상된다.
상기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은 기재 필름으로 편광자 보호를 위한 하드 코팅 필름으로 적합하다. 상기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의 두께는 제한되지 않으나, 30 내지 15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드 코팅층은 슬롯 코터(slot coater), 롤코터(roll coater), 리버스 롤코터(reverse roll coater), 리버스 그라비아 코터(gravure coater),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터(micro gravure coater), 바코터(bar coater) 및 다이코터(die coater)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드 코팅 필름은 편광자를 보호하기 위한 하드 코팅 필름으로 사용될 수 있다.
편광 필름은 편광자의 양 면에 편광자를 보호할 수 있는 필름을 접합시킨 필름으로 상기 하드 코팅 필름은 편광자의 일 면에 접합되어 편광자 보호용으로 사용되며, 이 부분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최외각 부분으로 외관이 미려하여야만 하고, 외부환경으로부터 패널 및 편광자를 보호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하드 코팅 필름을 편광자 보호용으로 사용시 편광자와의 접착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기재 필름의 하드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배면에 화학적 처리를 통한 개질, 프라이머 처리, 코로나 처리를 하거나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수계 접착제가 바람직하나 그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편광자의 하드 코팅 필름이 접착되지 않은 다른 배면에는 상기 언급된 접착제와 동일한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하드 코팅 필름에 사용된 동일한 또는 이질의 필름을 합착하고 이 필름의 일 면에 점착제를 도공하여 점착층을 형성한다. 상기 점착제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아크릴계 점착제, 자외선 경화형 점착제, 열 경화형 점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은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하여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할 수 있으 며, 색 콘트라스트(contrast)의 향상을 위해 안료 및 카본블랙(carbon black)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점착제 및 접착제는 대전방지제를 포함할 수 있고, 별도의 대전방지 코팅을 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점착층 및 하드 코팅층을 보호하기 위해 박리 필름 및 보호 필름을 적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화될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시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거나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6> 하드 코팅용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용매를 제조하여, 이를 EB-1290(에스케이 사이텍사) 55중량부, DPHA(일본화약사) 30중량부, 2-히드록시 메타아크릴레이트10중량부, 이가큐어 184(시바스페셜티) 4중량부 및 BYK-337 1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과 1:1 중량비로 혼합하여 자외선 경화형 하드 코팅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 에서 용매함량은 부피 분율이다.
용매 SPDS 산소
함량
질량%
실 시 예 비 교 예
1 2 3 1 2 3 4 5 6
메틸에틸
케톤
0.03 22.00 50 40 50 100
시클로
헥사논
0.58 16.00 10 50
에틸
아세테이트
0.41 36.00 50 50
2-프로판
알코올
21.72 27.00 50 50 40 50 50 100
2-메톡시
에탄올
35.52 42.00 10 50
톨루엔 0.41 0.00 50 50
SPM 21.25 21.31 20.98 23.95 20.85 18.2 19.3 19.0 23.5
SPMDS 5.81 6.10 4.58 26.11 4.04 0.41 0.21 0.03 21.72
< 실시예 비교예 > 하드 코팅 필름의 제조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하드 코팅 조성물을 후지필름사의 80 ㎛ TAC 필름의 일 면에 경화 후 코팅층의 두께가 5㎛가 되도록 바코터(#10)를 이용하여 코팅 후, 60 ℃ 오븐에서 1분 동안 건조하였다. 이어서, 조도 80W/cm2, 광량 700 mJ/cm2 조건으로 고압 수은 램프를 이용하여 경화시켜 하드 코팅 필름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표면 평활성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하드 코팅용 조성물로 형성된 하드 코팅 필름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표면 평활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상기 하드 코팅 필름의 하드 코팅용 조성물이 도포된 표면을 전등광에 비춰서 기울기 20~30도의 방향에서 관찰하여, 표면층의 균일성(미시적인 응집의 유무)이나, 하드 코팅층의 표면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요철이나 주름의 유무를 다음의 기준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 와 같다.
A: 표면층에 미시적인 응집이 없어 균일하고, 하드 코팅층에 요철이나 주름이 확인되지 않는다.
B: 표면층에 미시적인 응집이 보이지만 매우 경미하고, 하드 코팅층에 요철이나 주름이 확인되지 않는다.
C: 표면층에 미시적인 응집이 보이지만, 하드 코팅층에 요철이나 주름이 확인되지 않는다.
D: 표면층에 미시적인 응집이 현저히 보이고, 하드 코팅층에도 요철이나 주름이 보인다.
< 실험예 2> 막강도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하드 코팅 필름을 대상으로 연필경도 시험기(PHT, 한국 석보과학 사제)를 이용하여 500 g 의 하중을 걸고 연필경도를 측정하였다. 연필은 미쯔비시 제품을 사용하고 한 연필 경도당 5회 실시하였다. 다음과 같이 스크래치가 2개 이상이면 불량으로 판정하였다.
스크래치: 0 →OK
스크래치: 1 →OK
스크래치: 2 이상 →NG
< 실험예 3> 밀착성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하드 코팅 필름의 하드 코팅용 조성물이 도포된 면에 1 mm 간격으로 가로, 세로 각각 11개의 직선을 그어 100개의 정사각형을 만든 후, 테이프(CT-24, 일본 니치방 사제)을 이용하여 3회 박리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100개의 사각형 3개를 테스트하여 평균치를 기록하였다. 하기와 같이 밀착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 에 나타내었다.
밀착성 = n / 100
n : 전체 사각형 중 박리되지 않는 사각형 수
100 : 전체 사각형의 개수
(하나도 박리되지 않았을 시 100 / 100)
< 실험예 4> 굴곡성 평가
A4 사이즈(29.7×21.0 cm)의 정방형 형상으로 절단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하드 코팅 필름를 지름이 다른 30 cm 길이의 둥근 봉에 말아서 크랙이 생성되는 봉의 지름을 이용하여 다음의 기준으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 에 나타내었다.
A: 1 cm 이하에서 크랙 발생
B: 5 cm 이하에서 크랙 발생
C: 10 cm 이하에서 크랙 발생
D: 15 cm 이하에서 크랙 발생
< 실험예 5> 투과도/ Haze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하드 코팅 필름을 대상으로 Suga사의HZ-1 Haze Meter를 이용하여 각 필름의 투과도와 Haze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 에 나타내었다.
< 실험예 6> 무지개 현상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하드 코팅 필름의 하드 코팅용 조성물이 도포된 표면을 전등광에 비춰서 기울기 20~30도의 방향에서 관찰하여, 무지개 현상 유무를 다음의 기준으로 육안으로 판단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 와 같다.
A: 육안으로 무지개 현상을 볼수 없음
B: 미세하게 무지개 현상이 보이나 크게 판단하기 어려움
C: 한가지 색톤으로 무지개 현상을 볼 수 있음
D: 여러 가지 색톤으로 무지개 현상을 볼 수 있음
Figure 112009060430017-pat00001
상기 표 2 에 의하면, 산소 원자를 포함하면서 SPDS 가 1 이하인 용매와 15이상인 용매를 포함하는 혼합 용매를 사용하는 실시예의 하드 코팅 조성물로 형성된 하드 코팅 필름의 경우 무지개 현상을 개선 하면서도 투과도나 헤이즈의 광학 성능과 기계적 성능이 우수하였다.
산소 원자를 포함하는 용매중에서 SPDS 가 1 이하인 용매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 2 및 비교예 6의 하드 코팅용 조성물로 형성된 하드 코팅 필름의 경우 무지개 현상이 심하게 나타났다. 산소 원자를 포함하는 용매중에서 SPDS 가 1 이하인 용매만을 포함하는 하드 코팅 조성물로 형성된 하드 코팅 필름인 비교예 4 및 5 의 경우 TAC 필름의 부식 정도가 지나쳐 표면 평활성이 저하되었으며, 막경도 및 굴곡성 등의 물리적 강도가 저하되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과의 특정 상관 관계에 있는 용매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하드 코팅 필름의 외관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과의 밀착성이 높고, 투명성 및 내찰상성, 경도 및 내굴곡성 등의 물리적 강도가 우수한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하드 코팅 필름을 제공한다.

Claims (6)

  1. 산소 원자를 함유하고,
    상기 산소 원자의 질량 분율이 용매에 대하여 10 % 이상인 용매를 포함하며,
    상기 용매가 하기 식 1 로 표현되는 SPDS 값이 1 이하인 용매 1종 이상; 및 SPDS 값이 15 이상인 용매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 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의 하드 코팅용 조성물.
    [식 1]
    SPDS = (SPTAC - SPSOL)2
    (식 1 에서,
    SP는 용해도 상수(solubility parameter)를 의미하며,
    SPTAC 는 TAC 필름의 SP 값이며, SPSOL 은 용매의 SP 값이다.)
  2. 삭제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혼합 용매의 용해도 상수(SPMDS) 는 하기 식 2 로 표현되며,
    상기 혼합 용매의 용해도 상수(SPMDS)가 1 내지 2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의 하드 코팅용 조성물.
    [식 2]
    SPMDS = (SPTAC - SPM)2
    (식 2 에서,
    SPM = SP1 φ1 + SP2 φ2 + …… + SPn φn 이며;
    φ는 각 용매의 부피 분율을 나타내며;
    SPTAC 는 TAC 필름의 용해도 상수(solubility parameter)이다)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조성물에 대하여 20 내지 8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의 하드 코팅용 조성물.
  5.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
    상기 필름의 적어도 일 면에 적층된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하드 코팅용 조성물로 형성된 하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코팅 필름.
  6. 제5항의 하드 코팅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필름.
KR1020090093372A 2009-09-30 2009-09-30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의 하드 코팅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하드 코팅 필름 및 편광 필름 KR101626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3372A KR101626618B1 (ko) 2009-09-30 2009-09-30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의 하드 코팅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하드 코팅 필름 및 편광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3372A KR101626618B1 (ko) 2009-09-30 2009-09-30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의 하드 코팅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하드 코팅 필름 및 편광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5581A KR20110035581A (ko) 2011-04-06
KR101626618B1 true KR101626618B1 (ko) 2016-06-01

Family

ID=44043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3372A KR101626618B1 (ko) 2009-09-30 2009-09-30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의 하드 코팅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하드 코팅 필름 및 편광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66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6688A1 (en) * 2016-09-21 2018-03-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member, polarization member, and display device employing polymer fil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5595A (ja) * 2007-07-31 2009-02-19 Jgc Catalysts & Chemicals Ltd ハードコート膜付基材およびハードコート膜形成用塗布液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29862B2 (ja) * 2004-10-06 2010-03-10 日東電工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反射防止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光学素子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8163205A (ja) * 2006-12-28 2008-07-17 Catalysts & Chem Ind Co Ltd 透明被膜形成用塗料および透明被膜付基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5595A (ja) * 2007-07-31 2009-02-19 Jgc Catalysts & Chemicals Ltd ハードコート膜付基材およびハードコート膜形成用塗布液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6688A1 (en) * 2016-09-21 2018-03-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member, polarization member, and display device employing polymer film
US10310154B2 (en) 2016-09-21 2019-06-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member, polarization member, and display device employing polymer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5581A (ko) 201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8904B1 (ko) 반사방지용 코팅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 필름
US9296177B2 (en) Optical layered body, polarizer, and image display device
TWI531810B (zh) An antistatic hard coat film,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 polarizing plate, and an image display device
KR20100124657A (ko) 눈부심 방지성 필름 및 그 제조 방법과 표시 장치
JP6453689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KR20080070349A (ko) 방현성 하드코팅액 및 이를 사용한 고경도 하드코팅 필름
JP2001287308A (ja) プラスチック積層体および画像表示保護フイルム
US11312794B2 (en) Protective film, optical film, laminate, polarizing plate,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plate
TW201329174A (zh) 抗靜電塗料、抗靜電薄膜之製造方法及其所製得之抗靜電薄膜
JP2012128086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と液晶表示装置
EP2693237B1 (en) Antireflection film and polarizing plate
JP2004287392A (ja) 光学フィルム
JP6453690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KR101626618B1 (ko)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의 하드 코팅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하드 코팅 필름 및 편광 필름
JP2014134573A (ja) 反射防止フィルム
JP2006178276A (ja) 反射防止積層フィルム
JP2004331796A (ja) 透明性被膜形成用塗料とそれを用いた透明性被膜及びそれを備えた透明基材並びに光学部材
JP2020157592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WO2019146622A1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60150335A (ko) 부착력이 우수한 반사방지필름
KR20240011799A (ko) 하드 코트 필름, 광학 부재, 및 화상 표시 장치
JP6192255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20013154A (ja) 光学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およ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6337790A (ja) 反射防止積層フィルム
JP2011028074A (ja) 反射防止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