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6282B1 - 유리의 화학 강화전 열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유리의 화학 강화전 열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6282B1
KR101626282B1 KR1020150042895A KR20150042895A KR101626282B1 KR 101626282 B1 KR101626282 B1 KR 101626282B1 KR 1020150042895 A KR1020150042895 A KR 1020150042895A KR 20150042895 A KR20150042895 A KR 20150042895A KR 101626282 B1 KR101626282 B1 KR 101626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substrate
heating
cooling
preheating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2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본기
김이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우인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우인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우인시스
Priority to KR1020150042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62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7/00Tempering or quenching glass products
    • C03B27/012Tempering or quenching glass products by heat treatment, e.g. for crystallisation; Heat treatment of glass products before tempering by coo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7/00Tempering or quenching glass products
    • C03B27/04Tempering or quenching glass products using ga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유리의 화학 강화 전 열처리장치는 상기 유리기판이 인입되어 상기 유리기판을 서서히 가열하여 열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온도까지 승온 예열한 후 일정 시간동안 유지시키는 등온 예열의 2단계로 예열하는 예열부와; 상기 예열부에서 예열된 상기 유리기판의 표면온도를 유리기판의 연화점에 가까운 일정 온도까지 승온 가열시킨 후, 일정 시간동안 유지시키는 등온 가열의 2단계로 가열하는 가열부와; 가열된 상기 유리기판을 일정한 열구배(Thermal Gradient)로 일정 온도까지 가온하면서 냉각시키는 가온냉각부와; 일정 온도까지 냉각된 상기 유리기판을 잠열을 없애기 위하여 상온에서 냉각시키는 상온냉각부와; 상기 유리기판이 로딩되고 위치를 잡아주는 다수 개의 지그와, 유리기판 로딩장치와, 지그 이송장치와, 유리기판 언로딩장치를 포함하는 이송장치부와; 상기 예열부, 가열부, 가온냉각부, 상온냉각부 및 이송장치부가 설치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예열부, 가열부, 가온냉각부, 상온냉각부 및 이송장치부에 동력을 전달하고 운전하며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열처리 방법은 워밍업단계인 제 1단계와; 유리기판 로딩단계인 제 2단계와; 승온예열단계와 등온예열단계로 이루어진 예열단계인 제 3단계와; 승온가열단계와 등온가열단계로 이루어진 가열단계인 제 4단계와; 가온냉각단계인 제 5단계와; 상온냉각단계인 제 6단계와; 유리기판 언로딩단계인 제 7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이 유리의 화학 강화 전 열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처리방법에 따르면 예열, 가열, 냉각 및 상온냉각을 통한 화학 강화 전 열처리로 화학 강화 시 강화 깊이(Depth of Layer)의 변화없이 표면 압축강도를 향상시키고, 굴곡 강도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리의 화학 강화전 열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처리방법{Apparatus for Heat Treatment Before Chemical Strengthening of Glass and Heat Treatment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유리의 화학 강화 전 열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리의 화학적 강화 거동(chemical strenthening behavior)을 변경시키기 위해 화학적 강화 공정 전에 유리에 열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 유리 기판의 표면 압축 강도(Compressive Strength)의 향상을 위하여 화학 강화 전 절단 가공된 유리 기판에 열을 가하고 일정 속도로 일정온도까지 냉각시킨 후 상온 냉각시키는 유리의 화학 강화 전 열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출시된 단순히 휘어진 형태의 커브드 디스플레이는 향후 벤더블(구부릴 수 있는), 폴더블(접을 수 있는), 롤러블( 말 수 있는), 스트레처블(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형태로 지속 발전할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폴러블 타입은 삼성전자가 지갑처럼 반으로 접을 수 있는 형태의 시마트폰 디스플레이 관련 특허로서 지난 2월 출원한 모바일욜 폴더블 디스플레이 관련 특허가 미국에 공개되었다.
이 특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는 화면에 아무런 손상없이 앞뒤로 자유자재로 접을 수 있으며, 절반(5:5)이나 3:7 비율로 구부리는 것이 가능하며 접히는 각도도 90도에서 완전히 두면이 맞닿아 접혀진 형태까지 구현할 수 있는 등의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스마트폰의 활용 방안과 구현 방법 등을 구체적으로 소개하였다.
이러한 벤더블, 폴더블, 롤러블, 스트레처블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보호할 수 있는 윈도우 글라스는 더 높은 표면 압축 응력을 요구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사용 시의 윈도우 글라스의 유리 표면 스크래치 발생 가능성과 사용 중 떨어트림에 대한 파손 가능성을 줄이기 위하여 모바일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윈도우 글라스의 경우 이온 치환 화학 강화를 이용하여 강도를 향상시킨다.
상기의 방법은 동일 화학 강화의 조건에서 유리의 물적 특성과 두께에 따라 표면 압축응력의 변위가 결정 되어 진다. 또한 이온 치환 화학 강화의 강화 깊이(Depth of Layer)와 표면 압축 응력은 반대적인 성향을 가지므로 유리제조 시에 결정되는 유리 물성에 의하여 결정되는 표면 압축 응력을 초과한 결과를 가질 수 없다.
현재 사용하는 윈도우 글라스의 이온 치환 강화로 달성할 수 있는 표면 압축 응력으로는 벤더블, 폴더블, 롤러블, 스트레처블 형태의 디스플레이에 사용하기는 응력이 낮은 문제점이 있어, 표면 압축 응력 더 높일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었다.
등록특허 10-0795338로 게시된 어닐링 장치는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된 챔버;상기 챔버 내에 배치되며 상호 수직한 X축, Y축, Z축 좌표계에서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왕복이동가능한 X축 스테이지; 상기 X축 스테이지 상에 배치되어 상기 Y축 방향을 따라 왕복이동가능한 Y축 스테이지; 상기 Y축 스테이지 상에 배치되어 상기 Z축 방향을 따라 왕복이동가능한 Z축 스테이지; 상기 Z축 상에 배치되어 열처리 대상이 되는 기판이 장착되는 로딩 플레이트; 및 상기 Y축 스테이지에 결합되는 하부부재와, 상기 X축과 Y축을 포함하는 XY평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상대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부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Z축 스테이지에 결합되는 상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Z축 스테이지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승강유닛;을 구비하나 본 발명과는 상이하다.
공개번호 특1998-070709로 게시된 유리제품의 어닐링 방법은 유리제품이 메쉬 벨트상에 놓여질때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탄성과 가스 투과성을 가지며 열저항 와이어로 구성된 미세 메쉬를 쿠션으로서 어닐링 레어내의 스트레칭된 컨베이어용 메쉬 벨트상에 탑재하는 단계, 평면부나 곡면부가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미세 메쉬상에 평면이나 만곡면을 가지는 유리제품을 올려놓는 단계, 및 어닐링 레어를 통과시킴으로써 유리제품을 어닐링하는 단계으로 이루어 지며, 유리제품의 어닐링 장치는 어닐링 레어내에 스트레칭된 컨베이어용 메쉬 벨트, 유리제품이 놓여진 측면의 메쉬 벨트상에 탑재된 미세 메쉬, 메쉬 벨트를 구동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 롤러, 스트레칭된 상태로 메쉬 벨트를 지지하는 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미세 메쉬는 메쉬 벨트의 폭 방향으로 소정의 공간을 두고 메쉬 벨트의 진행방향에 놓여진 복수의 미세 메쉬소자로 이루어지고, 미세 메쉬소자와 롤러가 접촉하지 아니하도록 하기위해서 미세 메쉬소자가 홈에 받아들여지도록 유리제품이 놓여진 메쉬 벨트의 표면과 접하도록 되어있는 롤러의 외부원주에 형성된 환형상 홈이 형성되나 본 발명과는 상이하다.
미국 공개 특허 US20120085130A1로 게시된 ANNEALING OF GLASS TO ALTER CHEMICAL STRENGTHENING BEHAVIOR는 글래스부를 어닐링하는 것에 있어서, 글래스부를 어닐링하는 것을 포함하고 가장 작은 제 1 온도에 있는 글래스부를 가열시켜 유지하고, 제어 냉각 과정을 이용하는 제 2 온도에 글래스부를 냉각시키는 2단계로 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예열구간, 가열구간, 냉각구간 및 상온냉각구간의 4단계로 구성되어 상이하며, 가열온도도 상이하며, 미국 공개 특허는 용융 과정 또는 후로트 공법으로 형성된 글래스부의 잔류 응력을 제거하기 위하여 어닐링하는 것으로 완성된 글래스를 이온 치환 화학 강화 전에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리기판의 화학 강화 시 형성되는 표면 압축 응력을 유리 제조 시에 결정되는 값을 크게 초과하는 값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예열, 가열, 가온냉각 및 상온냉각을 통한 화학 강화 전 열처리로 화학 강화 시 강화 깊이(Depth of Layer)의 변화없이 표면 압축강도를 높이는 유리의 화학 강화 전 열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처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유리의 화학 강화 전 열처리장치는 유리를 절단, 면취 및 연마를 통하여 제작된 유리기판을 화학강화 시 표면 압축 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화학강화 전에 상기 유리기판의 물성을 향상시키는 장치이며, 상기 유리기판이 인입되어 상기 유리기판을 서서히 가열하여 열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온도까지 승온 예열한 후 일정 시간동안 유지시키는 등온 예열의 2단계로 예열하는 예열부와; 상기 예열부에서 예열된 상기 유리기판의 표면온도를 유리기판의 연화점에 가까운 일정 온도까지 승온 가열시킨 후, 일정 시간동안 유지시키는 등온 가열의 2단계로 가열하는 가열부와; 가열된 상기 유리기판을 일정한 열구배(Thermal Gradient)로 일정 온도까지 가온하면서 냉각시키는 가온냉각부와; 일정 온도까지 냉각된 상기 유리기판을 잠열을 없애기 위하여 상온에서 냉각시키는 상온냉각부와; 상기 유리기판이 로딩되고 위치를 잡아주는 다수 개의 지그와, 상기 지그에 형상 가공된 상기 유리기판을 로딩하는 유리기판 로딩장치와, 상기 지그가 설치되어 상기 예열부, 가열부, 가온냉각부 및 상온냉각부를 통과하여 순환회전하는 지그 이송장치와, 상기 가온냉각부를 거쳐 열처리 완료된 상기 유리기판을 상기 지그에서 언로딩하는 유리기판 언로딩장치를 포함하는 이송장치부와; 상기 예열부, 가열부, 가온냉각부, 상온냉각부 및 이송장치부가 설치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예열부, 가열부, 가온냉각부, 상온냉각부 및 이송장치부에 동력을 전달하고 운전하며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상기 예열부는 보온재로 단열되고 상기 지그를 포함한 상기 지그 이송장치의 인출입부를 제외한 부분은 막혀 있는 박스 형상이며, 부식 및 온도 편차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N2 가스가 투입되고, 예열을 위한 열이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상부에는 상부예열히터가, 하부에는 하부예열히터가 고정 설치되며, 내부 온도 측정을 위한 1~3개소의 온도측정 센서가 설치된다.
상기 가열부는 보온재로 단열되고 상기 지그를 포함한 상기 지그 이송장치의 인출입부를 제외한 부분은 막혀 있는 박스 형상이며, 부식 및 온도 편차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N2 가스가 투입되고, 가열을 위한 열이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상부에는 상부가열히터가 하부에는 하부가열히터가 고정 설치되며, 내부 온도 측정을 위한 1~3개소의 온도측정 센서가 설치된다.
상기 가온냉각부는 내부에 급격한 냉각을 방지하고 일정 열구배로 냉각시키기 위하여 가온을 위한 열이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상부에는 상부가온히터가 하부에는 하부가온히터가 설치되며, 내부 온도 측정을 위한 1~3개소의 온도측정 센서가 설치된다.
상기 예열부에서의 승온 예열온도는 400~600℃ 이며, 상기 예열부에서 400~600℃ 사이의 일정 온도를 유지시키는 등온 예열시간은 예열부 전체 체류시간의 20~50% 이다.
상기 가열부에서의 승온 가열온도는 600~800℃ 이며, 상기 가열부에서 600~800℃ 사이의 일정 온도를 유지시키는 등온 가열시간은 가열부 전체 체류시간의 20~50% 이하이다.
상기 가온냉각부의 가온냉각온도는 300~500℃이다.
상기 예열부와 가열부에서의 질소 공급량은 50~200LPM(Liter Per Minute)이다.
본 발명의 열처리 방법은 상기 지그 이송장치를 가동한 후, 상기 예열부, 가열부 및 가온냉각부를 가동하여 각부의 내부 온도를 일정 온도까지 올리는 워밍업단계인 제 1단계와; 유리를 절단, 면취 및 연마를 통하여 제작된 유리기판을 상기 지그에 로딩하는 유리기판 로딩단계인 제 2단계와; 상기 유리기판의 표면온도를 400~600℃ 사이의 일정온도까지 상승시킨 후 일정시간동안 유지시키는 예열단계인 제 3단계와; 예열된 상기 유리기판의 표면온도를 유리기판의 연화점에 가까운 600~800℃ 사이의 일정 온도까지 상승시킨 후, 일정 시간동안 유지시키는 가열단계인 제 4단계와; 가열된 상기 유리기판을 급격한 냉각을 방지하고 일정 열구배로 냉각시키기 위하여 300~500℃의 일정 온도까지 가온하면서 냉각시키는 가온냉각단계인 제 5단계와; 300~500℃의 일정 온도까지 가온 냉각된 상기 유리기판을 상온에서 냉각시키는 상온냉각단계인 제 6단계와; 냉각 완료된 상기 유리기판을 상기 지그에서 언로딩하여 적재하거나 화학강화로에 이송시키는 유리기판 언로딩단계인 제 7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제 3단계는 400~600℃ 사이의 일정온도까지 상승시키는 승온예열단계인 제 3-1단계와; 400~600℃ 사이의 일정온도에서 일정 시간 체류시키는 등온예열단계인 제 3-2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제 4단계는 600~800℃ 사이의 일정 온도까지 상승시키는 승온가열단계인 제 4-1단계와; 600~800℃ 사이의 일정 온도에서 일정 시간 체류시키는 등온가열단계인 제 4-2단계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열처리장치 및 열처리 방법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유리의 화학 강화 전 열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처리방법에 따르면 예열, 가열, 냉각 및 상온냉각을 통한 화학 강화 전 열처리로 화학 강화 시 강화 깊이(Depth of Layer)의 변화없이 표면 압축강도를 향상시키고, 굴곡 강도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유리 기판의 제작 공정과 본 발명의 유리 기판 제작공정의 비교도
도 2는 본 발명의 유리의 화학 강화 전 열처리 장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유리의 화학 강화 전 열처리 장치에 따른 예열부 가열부 및 가온냉각부 단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유리의 화학 강화 전 열처리 장치에 따른 상온냉각부 단면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유리의 화학 강화 전 열처리 장치에 따른 지그 이송장치의 체인에 설치된 지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유리의 화학 강화 전 열처리 장치를 이용한 열처리 방법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유리의 화학 강화 전 열처리 장치를 이용한 열처리 방법에 다른 온도 시간 곡선
도 8은 일반 강화와 본 발명의 열처리 후 강화 결과 비교도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의 화학 강화 전 열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처리방법"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리의 화학 강화 전 열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처리방법"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의 실시 예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일반적인 유리 기판의 제작 공정과 본 발명의 유리 기판 제작공정의 비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유리의 화학 강화 전 열처리 장치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유리의 화학 강화 전 열처리 장치에 따른 예열부 가열부 및 가온냉각부 단면 개략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유리의 화학 강화 전 열처리 장치에 따른 상온냉각부 단면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유리의 화학 강화 전 열처리 장치에 따른 지그 이송장치의 체인에 설치된 지그 개략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유리의 화학 강화 전 열처리 장치를 이용한 열처리 방법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유리의 화학 강화 전 열처리 장치를 이용한 열처리 방법에 다른 온도 시간 곡선이며, 도 8은 일반 강화와 본 발명의 열처리 후 강화 결과 비교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일반적인 유리기판의 제작 공정은 1. 유리를 필요한 일정 크기로 절단하는 절단공정, 2. 절단된 면의 모서리를 깎아 둥글게 면취(Chamfer)하는 면취공정, 3. 절단부분과 모서리 부분의 표면이 곱도록 문질러 매끈하게 하는 연마공정과, 4. 알카리 알루미나 실리케이트가 포함된 일반적인 유리를 질산칼륨 용액에 침지시켜 유리의 나트륨 이온을 질산칼륨 용액의 칼륨이온과 치환하여 강화유리를 만드는 강화공정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기판 제작 공정은 1. 유리를 필요한 일정 크기로 절단하는 절단공정, 2. 절단된 면의 모서리를 깎아 둥글게 면취(Chamfer)하는 면취공정, 3. 절단부분과 모서리 부분의 표면이 곱도록 문질러 매끈하게 하는 연마공정과, 4. 연마공정을 거친 유리기판을 화학강화 시 표면 압축 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화학강화 전에 상기 유리기판(8)의 물성을 향상시키는 열처리공정. 5. 알카리 알루미나 실리케이트가 포함된 일반적인 유리를 질산칼륨 용액에 침지시켜 유리의 나트륨 이온을 질산칼륨 용액의 칼륨이온과 치환하여 강화유리를 만드는 강화공정으로 구성되어 열처리공정이 추가된다.
본 발명의 유리의 화학 강화 전 열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처리방법은 벤더블, 폴더블, 롤러블, 스트레처블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보호할 수 있는 유리기판(윈도우 글라스)는 더 높은 표면 압축 응력을 요구하므로, 강화공정 전에 압축 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화학강화 전에 상기 유리기판의 물성을 향상시키는 열처리공정을 추가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유리의 화학 강화 전 열처리장치(A)는 유리를 절단, 면취 및 연마를 통하여 제작된 유리기판(8)을 화학강화 시 표면 압축 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화학강화 전에 상기 유리기판(8)의 물성을 향상시키는 열처리를 하는 장치이다.
상기 열처리장치(A)는 상기 유리기판(8)이 인입되어 상기 유리기판(8)을 서서히 가열하여 열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온도까지 승온 예열한 후 일정 시간동안 유지시키는 등온 예열의 2단계로 예열하는 예열부(1)와; 상기 예열부(1)에서 예열된 상기 유리기판(8)의 표면온도를 유리기판의 연화점에 가까운 일정 온도까지 승온 가열시킨 후, 일정 시간동안 유지시키는 등온 가열의 2단계로 가열하는 가열부(2)와; 가열된 상기 유리기판(8)을 일정한 열구배(Thermal Gradient)로 일정 온도까지 가온하면서 냉각시키는 가온냉각부(3)와; 일정 온도까지 냉각된 상기 유리기판(8)을 보유열을 없애기 위하여 상온에서 냉각시키는 상온냉각부(4)와; 상기 유리기판(8)이 로딩되고 위치를 잡아주는 다수 개의 지그(51)와, 상기 지그(51)에 형상 가공된 상기 유리기판(8)을 로딩하는 유리기판 로딩장치(52)와, 상기 지그(51)가 설치되어 상기 예열부(1), 가열부(2), 가온냉각부(3) 및 상온냉각부(4)를 통과하여 순환회전하는 지그 이송장치(53)와, 상기 상온냉각부(4)를 거쳐 열처리 완료된 상기 유리기판(8)을 상기 지그(51)에서 언로딩하는 유리기판 언로딩장치(54)를 포함하는 이송장치부(5)와; 상기 예열부(1), 가열부(2), 가온냉각부(3), 상온냉각부(4) 및 이송장치부(5)가 설치되는 프레임부(6)와; 상기 예열부(1), 가열부(2), 가온냉각부(3), 상온냉각부(4) 및 이송장치부(5)에 동력을 전달하고 운전하며 제어하는 제어부(7)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장치부(5)는 상기 유리기판(8)이 로딩되고 위치를 잡아주는 다수 개의 지그(51)와, 상기 지그(51)에 형상 가공된 상기 유리기판(8)을 로딩하는 유리기판 로딩장치(52)와, 상기 지그(51)가 설치되어 상기 예열부(1), 가열부(2), 가온냉각부(3) 및 상온냉각부(4)를 통과하여 순환회전하는 지그 이송장치(53)와, 상기 상온냉각부(4)를 거쳐 열처리 완료된 상기 유리기판(8)을 상기 지그(51)에서 언로딩하는 유리기판 언로딩장치(54)를 포함한다.
상기 유리기판 로딩장치(52)는 상기 유리기판(8)을 쌓아 적재하는 스토커(Window Glass Storage)와, 공압이나 유압으로 가동되어 상기 유리기판(8)을 한장씩 상기 지그에 로딩하는 로더로 구성된다.
상기 로더는 상기 스토커에서 상기 유리기판(8)을 한장씩 밀어주는 푸셔와, 밀려나온 상기 유리기판(8)을 흡착 후 탈착하여 상기 지그에 내려놓는 흡탈착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지그 이송장치(53)는 상기 유리기판(8)을 상기 유리기판 로딩장치(52)을 이용하여 로딩하여 얹혀 놓을 수 있는 상기 지그(51)가 설치되며, 상기 예열부(1), 가열부(2), 가온냉각부(3), 상온냉각부(4)의 내부를 통과하여 순환하여 회전하는 2개의 체인(531) 사이에 상기 지그(51)가 설치되며, 상기 체인(531)의 양단에는 스프로킷이 형성되어 모터로 구동하는 체인컨베이어 타입이며, 상기 지그(51)와 체인(531)을 결합하는 체인연결부재(514)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는 체인을 회전 속도를 미세하게 조정하기 위하여 서보모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유리기판 언로딩장치(54)는 상기 상온냉각부(4)를 통과하고 나온 상기 유리기판(8)을 흡착하거나 기타 방법으로 적재스토리지나 강화를 위한 컨베이어에 바로 올려놓을 수 있다.
상기 유리기판(8)이 상기 예열부(1) 투입되어 상기 상온냉각부(4)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시간 즉 예열하고 가열하며 가온 냉각하고 상온냉각을 하는 열처리 시간은 1~3분이 걸린다.
상기 제어부(7)는 동력을 공급하는 MCC(Motor Control Center)를 포함하고, PLC(Programing Logic Controler)에서 상기 예열부(1), 가열부(2), 가온냉각부(3) 및 상온냉각부(4)의 온도측정센서(13, 23, 33, 41)를 통해 온도를 받아 상기 예열부(1), 가열부(2), 가온냉각부(3)의 상부히터(11, 21, 31)와 하부히터(12, 22, 32)를 제어하여 상기 예열부(1), 가열부(2), 가온냉각부(3) 및 상온냉각부(4)의 온도를 제어하고, 상기 지그 이송장치(53)로 회전속도를 제어하고 상기 유리기판 로딩장치(52)와 유리기판 언로딩장치(54)를 제어하게 피드백한다.
본 발명이 상기 열처리장치(A)는 예열, 가열, 냉각 및 상온냉각을 통한 화학 강화 전 열처리로 화학 강화 시 강화 깊이(Depth of Layer)의 변화없이 표면 압축강도를 향상시키고, 굴곡 강도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예열부(1), 가열부(2), 가온냉각부(3)는 내부 중앙으로 상기 유리기판(8)이 로딩된 상기 지그 이송장치(53)에 결합된 상기 지그(51)이 통과하여 예열, 가열 및 가온냉각을 한다.
상기 예열부(1)는 상기 유리기판(8)이 인입되어 상기 유리기판(8)을 서서히 가열하여 열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온도까지 승온 예열한 후 일정 시간동안 유지시키는 등온 예열의 2단계로 예열하며, 보온재로 단열되고 상기 지그(51)를 포함한 상기 지그 이송장치(53)의 인출입부를 제외한 부분은 막혀 있는 박스 형상이며, 부식 및 온도 편차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N2 가스가 투입되고, 예열을 위한 열이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상부에는 상부예열히터(11)가, 하부에는 하부예열히터(12)가 고정 설치되며, 내부 온도 측정을 위한 1~3개소의 온도측정센서(13)가 설치된다.
상기 예열부(1)에는 N2 가스가 투입되는 N2 투입부(14)가 형성된다.
상기 N2 투입부(14)는 내부에 균일하게 투입될 수 있게 헤더(143)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N2 투입부(14)에는 N2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유량조절밸브(141)와 유량계(142)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예열부(1)에서의 질소 공급량은 50~200LPM(Liter Per Minute)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예열부(1)에서의 승온 예열온도는 400~6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예열부(1)에서 400~600℃ 사이의 일정 온도를 유지시키는 등온 예열시간은 예열부 전체 체류시간의 20~5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부(2)는 상기 예열부(1)에서 예열된 상기 유리기판(8)의 표면온도를 유리기판의 연화점에 가까운 일정 온도까지 승온 가열시킨 후, 일정 시간동안 유지시키는 등온 가열의 2단계로 가열하며, 보온재로 단열되고 상기 지그(51)를 포함한 상기 지그 이송장치(53)의 인출입부를 제외한 부분은 막혀 있는 박스 형상이며, 부식 및 온도 편차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N2 가스가 투입되고, 가열을 위한 열이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상부에는 상부가열히터(21)가 하부에는 하부가열히터(22)가 고정 설치되며, 내부 온도 측정을 위한 1~3개소의 온도측정센서(23)가 설치된다.
상기 가열부(2)에는 N2 가스가 투입되는 N2 투입부(24)가 형성된다.
상기 N2 투입부(14)는 내부에 균일하게 투입될 수 있게 헤더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N2 투입부(14)에는 N2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유량조절밸브(141)와 유량계(142)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가열부(2)에서의 질소 공급량은 50~200LPM(Liter Per Minute)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부(2)에서의 승온 가열온도는 600~8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부(2)에서 600~800℃ 사이의 일정 온도를 유지시키는 등온 가열시간은 가열부 전체 체류시간의 20~5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가온냉각부(3)는 가열된 상기 유리기판(8)을 일정한 열구배(Thermal Gradient)로 일정 온도까지 가온하면서 냉각시키는 역할을 하며, 내부에 급격한 냉각을 방지하고 일정 열구배로 냉각시키기 위하여 가온을 위한 열이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상부에는 상부가온히터(31)가 하부에는 하부가온히터(32)가 설치되며, 내부 온도 측정을 위한 1~3개소의 온도측정센서(33)가 설치된다.
상기 가온냉각부(3)에서는 300~500℃일 때까지 가온 냉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상온냉각부(4)는 일정 온도까지 냉각된 상기 유리기판(8)을 보유열을 없애기 위하여 상온에서 냉각시킨다.
상기 상온냉각부(4)는 외부로부터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공기가 잘 통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되어야 한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지그(51)는 외형을 이루는 지그 프레임(511)과; 상기 지그 프레임(511)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리기판(8) 외부로 배출되거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 위치에 놓여지도록 하는 유리기판 지지부(512))와; 상기 유리기판(8)이 위에 로딩되며, 상기 지그 프레임(511)에 설치되어 예열, 가열 또는 냉각되면서 이송될 때 상기 유리기판(8)에 자국이 남지않도록 하는 백금 재질의 로딩와이어(513))로 구성된다.
상기 지그(51)와 체인(531)의 결합은 체인연결부재(514)로 결합된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열처리장치(A)를 이용한 열처리 방법은 유리를 절단, 면취 및 연마를 통하여 제작된 유리기판(8)을 화학강화 시 표면 압축 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화학강화 전에 상기 유리기판(8)의 물성을 향상시키는 열처리를 하는 것이다.
상기 열처리 방법에서의 열처리장치(A)는 상술한 것과 동일하므로 재기술하지은 않는다.
상기 열처리 방법은 상기 지그 이송장치(53)를 가동한 후, 상기 예열부(1), 가열부(2) 및 가온냉각부(3)를 가동하여 각부의 내부 온도를 일정 온도까지 올리는 워밍업(Warming Up)단계인 제 1단계와; 유리를 절단, 면취 및 연마를 통하여 제작된 상기 유리기판(8)을 상기 지그(51)에 로딩하는 유리기판 로딩단계인 제 2단계와; 상기 유리기판(8)의 표면온도를 400~600℃ 사이의 일정온도까지 상승시킨 후 일정시간동안 유지시키는 예열단계인 제 3단계와; 예열된 상기 유리기판(8)의 표면온도를 유리기판의 연화점에 가까운 600~800℃ 사이의 일정 온도까지 상승시킨 후, 일정 시간동안 유지시키는 가열단계인 제 4단계와; 가열된 상기 유리기판(8)을 급격한 냉각을 방지하고 일정 열구배로 냉각시키기 위하여 300~500℃의 일정 온도까지 가온하면서 냉각시키는 가온냉각단계인 제 5단계와; 300~500℃의 일정 온도까지 가온 냉각된 상기 유리기판(8)을 상온에서 냉각시키는 상온냉각단계인 제 6단계와; 냉각 완료된 상기 유리기판(8)을 상기 지그(51)에서 언로딩하여 적재하거나 화학강화로에 이송시키는 유리기판 언로딩단계인 제 7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제 1단계는 상기 지그 이송장치(53)를 가동한 후, 상기 예열부(1), 가열부(2) 및 가온냉각부(3)를 가동하여 각부의 내부 온도를 일정 온도까지 올리는 워밍업단계이며, 이렇게 각 장치를 워밍업하여야 상기 유리기판(8)이 투입되면 상기 유리기판(8)의 표면온도를 400~600℃ 사이의 일정온도까지 쉽게 올릴 수 있다.
상기 제 2단계는 유리를 절단, 면취 및 연마를 통하여 제작된 상기 유리기판(8)을 상기 지그(51)에 로딩하는 유리기판 로딩단계이다.
상기 유리기판 로딩장치(52)를 이용하여 상기 유리기판(8)을 쌓아 적재하는 스토커(Window Glass Storage)에 있는 상기 유리기판(8)을 공압이나 유압을 이용하여 한장씩 상기 지그에 로딩한다.
상기 제 3단계는 상기 유리기판(8)의 표면온도를 400~600℃ 사이의 일정온도까지 상승시킨 후 일정시간동안 유지시키는 예열단계이며, 400~600℃ 사이의 일정온도까지 상승시키는 승온예열단계인 제 3-1단계와; 400~600℃ 사이의 일정온도에서 일정 시간 체류시키는 등온예열단계인 제 3-2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제 3단계는 상기 유리기판(8)이 인입되어 상기 유리기판(8)을 서서히 가열하여 열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온도까지 승온 예열한 후 일정 시간동안 유지시키는 등온 예열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제 4단계는 예열된 상기 유리기판(8)의 표면온도를 유리기판의 연화점에 가까운 600~800℃ 사이의 일정 온도까지 상승시킨 후, 일정 시간동안 유지시키는 가열단계이며, 600~800℃ 사이의 일정 온도까지 상승시키는 승온가열단계인 제 4-1단계와; 600~800℃ 사이의 일정 온도에서 일정 시간 체류시키는 등온가열단계인 제 4-2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5단계는 가열된 상기 유리기판(8)을 급격한 냉각을 방지하고 일정 열구배로 냉각시키기 위하여 300~500℃의 일정 온도까지 가온하면서 냉각시키는 가온냉각단계이다.
상기 제 6단계는 300~500℃의 일정 온도까지 가온 냉각된 상기 유리기판(8)을 상온에서 냉각시키는 상온냉각단계이다.
상기 제 7단계는 냉각 완료된 상기 유리기판(8)을 상기 지그(51)에서 언로딩하여 적재하거나 화학강화로에 이송시키는 유리기판 언로딩단계이다.
상기 제 2단계에서 상기 제 7단계까지 즉, 상기 유리기판(8)이 로딩되고 상기 예열부(1) 투입되어 상기 상온냉각부(4)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시간 즉 예열하고 가열하며 가온 냉각하고 상온냉각을 하는 열처리 시간은 1~3분이 걸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는 상기 상기 예열부(1), 가열부(2), 가온냉각부(3) 및 상온냉각부(4)에서의 온도와, 승온예열과 등온예열, 승온가열과 등온가열의 온도분포와 열구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예열부(1)에서의 승온 예열온도는 400~600℃ 이며, 상기 예열부(1)에서 400~600℃ 사이의 일정 온도를 유지시키는 등온 예열시간(t01에서 t1까지의 시간)은 예열부 전체 체류시간의 20~5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부(2)에서의 승온 가열온도는 600~800℃ 이며, 상기 가열부(2)에서 600~800℃ 사이의 일정 온도를 유지시키는 등온 가열시간(t12에서t2까지의시간)은 가열부 전체 체류시간의 20~5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온냉각부(3)의 가온냉각온도는 300~500℃ 인 것이 바람직하며, 완만한 경사로 냉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예열부(1)에서 상온냉각부(4)로 배출될 때가지의 시간인 t4는 1~3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와 아래 표 1은 일반강화와 본발명의 열처리 후 강화의 표면압축응력 및 강화깊이 비교이며, 열처리 적용에 의한 강화 특성의 향상 효과를 나태내었다.
동일 강화조건, 강화시간에서 압축응력이 약 13%이상 향상되었다.
이것은 강화 전 열처리에 의하여 강화공정 진행시에 발생하는 표면 응력 완화 메커니즘의 진행속도가 늦어진 현상이다.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동일 강화 시간에서 표면응력은 향상이 되고 강화 깊이는 약 2% 감소하였으나 강화된 유리기판의 굴곡 특성에는 영향이 없어, 표면 압축 응력이 높을수록 유리기판이 채용되는 최종제품의 신뢰성 특성 즉, 굴곡 강도가 높게 되고 여러 가지 특성이 개선된다.
Figure 112015030042942-pat00001
본 발명이 유리의 화학 강화 전 열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처리방법에 따르면 예열, 가열, 냉각 및 상온냉각을 통한 화학 강화 전 열처리로 화학 강화 시 강화 깊이(Depth of Layer)의 변화없이 표면 압축강도를 향상시키고, 굴곡 강도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A : 열처리장치
1 : 예열부 11 : 상부예열히터
12 : 하부예열히터 13 : 온도측정센서
14 : N2 투입부 141 : 유량제어밸브
142 : 유량계 143 : 헤더
2 : 가열부 21 : 상부가열히터
22 : 하부가열히터 23 : 온도측정센서
24 : N2 투입부 241 : 유량제어밸브
242 : 유량계 243 : 헤더
3 : 가온냉각부 31 : 상부가온히터
32 : 하부가온히터 33 : 온도측정센서
4 : 상온냉각부 41 : 온도측정센서
5 : 이송장치부 51 : 지그
511 : 지그 프레임 512 : 유리기판 지지부
513 : 로딩와이어 514 :체인연결부재
52 : 유리기판 로딩장치 53 : 지그 이송장치
531: 체인 54 : 유리기판 언로딩장치
6 : 프레임부 7 : 제어부
8 : 유리기판

Claims (5)

  1. 유리를 절단, 면취 및 연마를 통하여 제작된 유리기판(8)을 화학강화 시 표면 압축 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화학강화 전에 상기 유리기판(8)의 물성을 향상시키는 열처리를 하는 열처리장치(A)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장치(A)는 상기 유리기판(8)이 인입되어 상기 유리기판(8)을 서서히 가열하여 열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400~600℃ 승온 예열한 후 예열부 전체 체류시간의 20~50% 시간동안 유지시키는 등온 예열의 2단계로 예열하는 예열부(1)와;
    상기 예열부(1)에서 예열된 상기 유리기판(8)의 표면온도를 유리기판의 연화점에 가까운 600~800℃ 승온 가열시킨 후, 가열부 전체 체류시간의 20~50% 시간동안 유지시키는 등온 가열의 2단계로 가열하는 가열부(2)와;
    가열된 상기 유리기판(8)을 일정한 열구배(Thermal Gradient)로 300~500℃ 가온하면서 냉각시키는 가온냉각부(3)와;
    300~500℃로 냉각된 상기 유리기판(8)을 보유열을 없애기 위하여 상온에서 냉각시키는 상온냉각부(4)와;
    상기 유리기판(8)이 로딩되고 위치를 잡아주는 다수 개의 지그(51)와, 상기 지그(51)에 형상 가공된 상기 유리기판(8)을 로딩하는 유리기판 로딩장치(52)와, 상기 지그(51)가 설치되어 상기 예열부(1), 가열부(2), 가온냉각부(3) 및 상온냉각부(4)를 통과하여 순환회전하는 지그 이송장치(53)와, 상기 상온냉각부(4)를 거쳐 열처리 완료된 상기 유리기판(8)을 상기 지그(51)에서 언로딩하는 유리기판 언로딩장치(54)를 포함하는 이송장치부(5)와;
    상기 예열부(1), 가열부(2), 가온냉각부(3), 상온냉각부(4) 및 이송장치부(5)가 설치되는 프레임부(6)와;
    상기 예열부(1), 가열부(2), 가온냉각부(3), 상온냉각부(4) 및 이송장치부(5)에 동력을 전달하고 운전하며 제어하는 제어부(7)로 구성된 유리의 화학 강화 전 열처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부(1)는 보온재로 단열되고 상기 지그(51)를 포함한 상기 지그 이송장치(53)의 인출입부를 제외한 부분은 막혀 있는 박스 형상이며, 부식 및 온도 편차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N2 가스가 투입되고, 예열을 위한 열이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상부에는 상부예열히터(11)가, 하부에는 하부예열히터(12)가 고정 설치되며, 내부 온도 측정을 위한 1~3개소의 온도측정센서(13)가 설치되며,
    상기 가열부(2)는 보온재로 단열되고 상기 지그(51)를 포함한 상기 지그 이송장치(53)의 인출입부를 제외한 부분은 막혀 있는 박스 형상이며, 부식 및 온도 편차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N2 가스가 투입되고, 가열을 위한 열이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상부에는 상부가열히터(21)가 하부에는 하부가열히터(22)가 고정 설치되며, 내부 온도 측정을 위한 1~3개소의 온도측정센서(23)가 설치되고,
    상기 가온냉각부(3)는 내부에 급격한 냉각을 방지하고 일정 열구배로 냉각시키기 위하여 가온을 위한 열이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상부에는 상부가온히터(31)가 하부에는 하부가온히터(32)가 설치되며, 내부 온도 측정을 위한 1~3개소의 온도측정센서(33)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의 화학 강화 전 열처리 장치
  3. 삭제
  4. 유리를 절단, 면취 및 연마를 통하여 제작된 유리기판(8)을 화학강화 시 표면 압축 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화학강화 전에 상기 유리기판(8)의 물성을 향상시키는 열처리를 하는 열처리장치(A)를 이용한 열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장치(A)는 상기 유리기판(8)이 인입되어 상기 유리기판(8)을 서서히 가열하여 열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400~600℃ 승온 예열한 후 예열부 전체 체류시간의 20~50% 시간동안 유지시키는 등온 예열의 2단계로 예열하는 예열부(1)와;
    상기 예열부(1)에서 예열된 상기 유리기판(8)의 표면온도를 유리기판의 연화점에 가까운 600~800℃ 승온 가열시킨 후, 가열부 전체 체류시간의 20~50% 시간동안 유지시키는 등온 가열의 2단계로 가열하는 가열부(2)와;
    가열된 상기 유리기판(8)을 일정한 열구배(Thermal Gradient)로 300~500℃ 가온하면서 냉각시키는 가온냉각부(3)와;
    300~500℃로 냉각된 상기 유리기판(8)을 보유열을 없애기 위하여 상온에서 냉각시키는 상온냉각부(4)와;
    상기 유리기판(8)이 로딩되고 위치를 잡아주는 다수 개의 지그(51)와, 상기 지그(51)에 형상 가공된 상기 유리기판(8)을 로딩하는 유리기판 로딩장치(52)와, 상기 지그(51)가 설치되어 상기 예열부(1), 가열부(2), 가온냉각부(3) 및 상온냉각부(4)를 통과하여 순환회전하는 지그 이송장치(53)와, 상기 상온냉각부(4)를 거쳐 열처리 완료된 상기 유리기판(8)을 상기 지그(51)에서 언로딩하는 유리기판 언로딩장치(54)를 포함하는 이송장치부(5)와;
    상기 예열부(1), 가열부(2), 가온냉각부(3), 상온냉각부(4) 및 이송장치부(5)가 설치되는 프레임부(6)와;
    상기 예열부(1), 가열부(2), 가온냉각부(3), 상온냉각부(4) 및 이송장치부(5)에 동력을 전달하고 운전하며 제어하는 제어부(7)로 구성되며,
    상기 열처리 방법은 상기 지그 이송장치(53)를 가동한 후, 상기 예열부(1), 가열부(2) 및 가온냉각부(3)를 가동하여 각부의 내부 온도를 일정 온도까지 올리는 워밍업단계인 제 1단계와;
    유리를 절단, 면취 및 연마를 통하여 제작된 상기 유리기판(8)을 상기 지그(51)에 로딩하는 유리기판 로딩단계인 제 2단계와;
    상기 유리기판(8)의 표면온도를 400~600℃ 사이의 온도까지 상승시킨 후 예열부 전체 체류시간의 20~50% 시간동안 유지시키는 예열단계인 제 3단계와;
    예열된 상기 유리기판(8)의 표면온도를 유리기판의 연화점에 가까운 600~800℃ 사이의 온도까지 상승시킨 후, 가열부 전체 체류시간의 20~50% 시간동안 유지시키는 가열단계인 제 4단계와;
    가열된 상기 유리기판(8)을 급격한 냉각을 방지하고 일정 열구배로 냉각시키기 위하여 300~500℃의 온도까지 가온하면서 냉각시키는 가온냉각단계인 제 5단계와;
    300~500℃의 온도까지 가온 냉각된 상기 유리기판(8)을 상온에서 냉각시키는 상온냉각단계인 제 6단계와;
    냉각 완료된 상기 유리기판(8)을 상기 지그(51)에서 언로딩하여 적재하거나 화학강화로에 이송시키는 유리기판 언로딩단계인 제 7단계로 구성되는 유리의 화학 강화 전 열처리 장치를 이용한 열처리방법
  5. 삭제
KR1020150042895A 2015-03-27 2015-03-27 유리의 화학 강화전 열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처리방법 KR101626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895A KR101626282B1 (ko) 2015-03-27 2015-03-27 유리의 화학 강화전 열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895A KR101626282B1 (ko) 2015-03-27 2015-03-27 유리의 화학 강화전 열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6282B1 true KR101626282B1 (ko) 2016-06-02

Family

ID=56135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2895A KR101626282B1 (ko) 2015-03-27 2015-03-27 유리의 화학 강화전 열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628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21613A (zh) * 2017-06-02 2017-08-08 东旭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能够降低不良率的化学钢化盖板玻璃的方法
KR20190113532A (ko) 2018-03-27 2019-10-0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박형 강화 유리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33575A (ko) * 2020-04-29 2021-11-08 에이그라스 주식회사 초박형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 크랙 제거 방법 및 장치
KR20220012111A (ko) * 2020-07-22 2022-02-03 (주) 엔피홀딩스 예열 챔버로의 흄가스 유입을 차단한 화학 강화로 및 이를 이용한 초박형 글라스의 강화 방법
CN115124227A (zh) * 2022-06-29 2022-09-30 贵州达沃斯光电有限公司 一种钢化玻璃加工用钢化炉装置
CN115650567A (zh) * 2022-11-01 2023-01-31 松山湖材料实验室 玻璃钢化加热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825B1 (ko) * 2010-07-28 2011-05-06 김한곤 박판유리의 곡강화 열처리 장치
WO2012077796A1 (ja) * 2010-12-10 2012-06-14 旭硝子株式会社 化学強化ガラスの製造方法
WO2012118175A1 (ja) * 2011-03-02 2012-09-07 株式会社ニコン 光学用セラミック材料の熱処理装置、光学用セラミック材料の熱処理方法、合成石英ガラスの熱処理方法、光学系の製造方法、および露光装置の製造方法
KR20130032349A (ko) * 2013-03-20 2013-04-01 주식회사 테라세미콘 인라인 열처리 장치 및 그 온도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825B1 (ko) * 2010-07-28 2011-05-06 김한곤 박판유리의 곡강화 열처리 장치
WO2012077796A1 (ja) * 2010-12-10 2012-06-14 旭硝子株式会社 化学強化ガラスの製造方法
WO2012118175A1 (ja) * 2011-03-02 2012-09-07 株式会社ニコン 光学用セラミック材料の熱処理装置、光学用セラミック材料の熱処理方法、合成石英ガラスの熱処理方法、光学系の製造方法、および露光装置の製造方法
KR20130032349A (ko) * 2013-03-20 2013-04-01 주식회사 테라세미콘 인라인 열처리 장치 및 그 온도 제어 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21613A (zh) * 2017-06-02 2017-08-08 东旭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能够降低不良率的化学钢化盖板玻璃的方法
CN107021613B (zh) * 2017-06-02 2019-05-28 东旭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能够降低不良率的化学钢化盖板玻璃的方法
KR20190113532A (ko) 2018-03-27 2019-10-0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박형 강화 유리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33575A (ko) * 2020-04-29 2021-11-08 에이그라스 주식회사 초박형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 크랙 제거 방법 및 장치
KR102373937B1 (ko) 2020-04-29 2022-03-15 에이그라스 주식회사 초박형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 크랙 제거 방법 및 장치
KR20220012111A (ko) * 2020-07-22 2022-02-03 (주) 엔피홀딩스 예열 챔버로의 흄가스 유입을 차단한 화학 강화로 및 이를 이용한 초박형 글라스의 강화 방법
KR102648988B1 (ko) * 2020-07-22 2024-03-19 (주) 엔피홀딩스 예열 챔버로의 흄가스 유입을 차단한 화학 강화로 및 이를 이용한 초박형 글라스의 강화 방법
CN115124227A (zh) * 2022-06-29 2022-09-30 贵州达沃斯光电有限公司 一种钢化玻璃加工用钢化炉装置
CN115124227B (zh) * 2022-06-29 2024-04-19 贵州达沃斯光电有限公司 一种钢化玻璃加工用钢化炉装置
CN115650567A (zh) * 2022-11-01 2023-01-31 松山湖材料实验室 玻璃钢化加热炉
CN115650567B (zh) * 2022-11-01 2023-09-22 松山湖材料实验室 玻璃钢化加热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6282B1 (ko) 유리의 화학 강화전 열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처리방법
EP302215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ending thin glass
US20130047673A1 (en) Glass Tempering Method And Apparatus
JP5149944B2 (ja) ガラス強化熱処理装置
TWI525052B (zh) 用於薄玻璃片之對流加熱處理的方法及設備
KR101149306B1 (ko) 강화유리 제조장치
WO2014129591A1 (ja) ガラス成形体の製造装置、及び、ガラス成形体の製造方法
TW201222622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a substrate
KR101477261B1 (ko) 상부 이동형 강화유리 제조 장치
JP5690475B2 (ja) 成形装置及び成形品の製造方法
KR101810753B1 (ko) 유리 성형체의 제조 방법, 및 유리 성형체의 제조 장치
US20150295124A1 (en) Manufacturing equipment for photovoltaic devices and methods
KR101258615B1 (ko) 인라인 열처리 장치
KR20120057589A (ko) 유리의 방사 처리 방법
JP2017065982A (ja) ディスプレイ用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ディスプレイ用ガラス板製造装置
KR102166492B1 (ko) 열처리 장치
JP6827685B2 (ja) 熱処理設備
KR20160002392A (ko)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 및 유리 기판
KR101284065B1 (ko) 인라인 열처리 장치
KR101258620B1 (ko) 인라인 열처리 장치
TWI690498B (zh) 玻璃基板的熱處理方法
CN105047584A (zh) 批处理式基板处理装置
JP6587844B2 (ja) ディスプレイ用ガラス板の製造方法、および、ディスプレイ用ガラス板製造装置
KR101258982B1 (ko) 인라인 열처리 장치
CN105217942B (zh) 玻璃基板的制造方法及玻璃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