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5957B1 - 도로 네트워크에서 움직이는 영역내의 관심지점 k 최접근 질의 결과 연산 시스템 및 그에 따른 연산방법 - Google Patents

도로 네트워크에서 움직이는 영역내의 관심지점 k 최접근 질의 결과 연산 시스템 및 그에 따른 연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5957B1
KR101625957B1 KR1020150032198A KR20150032198A KR101625957B1 KR 101625957 B1 KR101625957 B1 KR 101625957B1 KR 1020150032198 A KR1020150032198 A KR 1020150032198A KR 20150032198 A KR20150032198 A KR 20150032198A KR 101625957 B1 KR101625957 B1 KR 101625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interest
query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2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형주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32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9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308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7Spatial or temporal dependent retrieval, e.g. spatiotemporal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06F17/3024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네트워크에서 움직이는 영역내의 관심지점 k 최접근 질의 결과 연산 시스템 및 그에 따른 연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질의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요구조건을 만족하면서 가장 근접하게 위치하는 일정 갯수의 관심지점 정보를 서버로 질의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관심지점 정보 질의요청에 응답하되, 도로 세그먼트 방향성을 고려하여 상기 질의 위치에 해당하는 도로 세그먼트의 양측 경계점과 상기 질의 위치에서의 관심지점 정보 질의 결과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연산된 관심지점 정보 질의 결과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서 상기 질의 위치에서 연산된 관심지점의 객체 정보와 상기 도로 세그먼트의 경계점에서 연산된 관심지점의 객체 정보를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와 비교하여 유효한 객체정보를 연산하고, 상기 유효한 갯수의 객체정보를 상기 단말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가 상기 질의 위치에 해당하는 도로 세그먼트 내에 위치하여 상기 도로 세그먼트의 양측 경계점 중 어느 하나의 경계점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서버에 관심지점 정보를 다시 질의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질의 위치를 기준으로 관심지점 정보를 질의요청할 경우, 서버와 클라이언트 단말이 협업하여 서버에서는 질의 위치에 해당하는 도로 세그먼트의 양측 경계점과 질의 위치에서의 관심지점 정보 질의 결과를 클라이언트 단말로 제공하고, 클라이언트 단말에서는 시간대별로 변화되는 거리조건과 도로 네트워크의 방향성을 고려한 관심지점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하고, 클라이언트 단말의 현재 위치가 도로 세그먼트의 경계점을 벗어나는 경우에만 서버로 다시 관심지점 정보를 요청하도록 하여 서버에서의 계산비용과 통신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로 네트워크에서 움직이는 영역내의 관심지점 k 최접근 질의 결과 연산 시스템 및 그에 따른 연산방법{A system and method to process moving range k-nearest neighbor queries in road networks}
본 발명은 도로 네트워크에서 움직이는 영역내의 관심지점 k 최접근 질의 결과 연산 시스템 및 그에 따른 연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서버로 질의 위치를 기준으로 관심지점 정보를 질의 요청할 경우, 서버와 클라이언트 단말이 협업하여 서버에서의 계산비용과 통신비용을 절감하도록 하는 도로 네트워크에서 움직이는 영역내의 관심지점 k 최접근 질의 결과 연산 시스템 및 그에 따른 연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망, GPS 등과 같은 위치 탐색 및 서비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최근에는 이동 객체의 위치 기반 서비스를 지원하는 응용 분야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동 객체의 위치 기반 서비스는 이동 객체와 주유소 등과 같은 정적 객체의 위치 정보를 효율적으로 검색하기 위한 k-최근접 이웃 검색을 요구한다.
도로 네트워크 정보, 이동 객체의 정보, 정적 객체 정보 등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road network databases)라 하며,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에서 도로 네트워크는 방향성을 가진 그래프로 모델링 된다.
하나의 도로 세그멘트(road segment)는 그래프의 간선에 해당되며, 서로 다른 두 도로 세그멘트가 만나는 지점이 그래프의 노드에 해당된다.
또한, 도로 네트워크 위에 정류소, 학교, 호텔 등과 같은 시설물들은 정적 객체로 모델링 되며, 자동차, 사람과 같은 이동성을 가지고 있는 객체는 이동 객체로 모델링 된다.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되는 질의들은 K-최근접 이웃 검색(k-nearest neighbor queries), 영역 질의(range queries), 공간 조인 질의(spatial join queries) 등이 있다.
기존 유클리드 공간 상에서는 임의의 두 객체의 절대 위치만으로도 그 객체들 간의 유클리드 거리(직선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그러나 도로 네트워크 공간상에서 이동 객체는 미리 정의된 도로 네트워크 위로만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객체의 절대 위치만으로 객체들 간의 네트워크 거리(network distance)를 계산할 수 없다. 여기서, 두 객체간의 네트워크 거리란 도로 네트워크에서 임의의 두 객체간의 최단 경로 상에 존재하는 도로 세그멘트 길이들의 총 합이다.
즉, 절대 위치가 같아도 두 점간을 연결하는 네트워크의 상황에 따라 거리가 달라지기 때문에 임의의 두 점간의 네트워크 거리는 두 점의 절대 위치만을 가지고 계산할 수 없다. 네트워크 거리를 효율적으로 구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되어 왔으며, 대표적인 예로는 IER 기법, INE 기법, VN 기법 등이 있다.
이와 같이 두 객체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개발에 있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네트워크 계산방법에 대한 종래 기술의 한 예가 한국등록특허 제10-0709274호 "도로 네트워크 기반 이동체의 통합 색인 구조"에 개시되었다. 상기 종래기술은 도로 네트워크 기반 이동체의 현재 위치 색인 및 과거 위치 색인의 공통된 부분인 망 구조를 저장 및 관리하는 부분을 공유하고, 현재 위치에 대한 색인, 과거 위치에 대한 색인 및 현재 위치의 갱신으로 발생하는 가까운 과거 위치에 대한 생성 및 처리 기능을 통합한 색인으로, 이동체의 현재 위치 뿐만 아니라 과거 위치까지 함께 지원하기 때문에 기존 이동체 색인의 문제점인 이동체의 현재 및 과거 위치 검색시 별도의 계산 과정이 필요했던 점을 해결하며, 또한 현재 위치 색인 및 과거 위치 색인의 공통된 부분을 통합하였으므로 색인을 별도로 유지하는 것 보다 색인의 공간적인 비용 및 갱신 비용을 감소하는 목적을 가지고 도출되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에 의하더라도, 최단거리를 계산하는 방법에서도 서버와 클라이언트 단말간에 주기적으로 통신하기 때문에, 통신비용이 증가하고 서버는 클라이언트들의 요구 조건에 부합하는 객체를 검색하고 제공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 수가 증가하면, 서버의 계산 비용도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아울러, 도로 네트워크에는 방향성이 존재하고, 시간대별로 거리조건이 변화되는데, 이러한 변수를 모두 고려할 경우에는 서버에서의 계산 비용이 더욱 증대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동중에 서버에 현재 위치에서 가격이 일인당 1만원 미만이고, 삼계탕 메뉴를 포함하는 가장 가까운 3개의 식당의 위치를 관심지점으로 질의요청하게 되면, 사용자의 위치가 변함에 따라 관심지점의 위치도 변하게 되고, 사용자가 이동중에 교통사고나 공사구간에 의한 정체로 인해 거리조건이 변화될 경우 이러한 변수를 서버에서 일일이 계산하게 되면, 과부하로 인해 서버의 계산 시간이 증대되고 계산 비용이 더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시간대별로 변화되는 거리조건과 도로 네트워크의 방향성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요구하는 관심지점을 제공하면서도, 서버에서의 계산비용이 증대되지 않고 서버와 클라이언트 단말과의 통신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 네트워크에서 움직이는 영역내의 관심지점 연산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0927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버와 클라이언트 단말이 협업하여 서버의 계산비용과 통신비용을 절감시켜, 시간대별로 변화되는 거리조건과 도로 네트워크의 방향성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요구하는 관심지점 질의 결과를 제공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로 네트워크에서 움직이는 영역내의 관심지점 k 최접근 질의 결과 연산 방법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질의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요구조건을 만족하면서 가장 근접하게 위치하는 일정 갯수의 관심지점 정보를 서버로 질의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관심지점 정보 질의요청에 응답하되, 도로 세그먼트 방향성을 고려하여 상기 질의 위치에 해당하는 도로 세그먼트의 양측 경계점과 상기 질의 위치에서의 관심지점 정보 질의 결과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연산된 관심지점 정보 질의 결과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서 상기 질의 위치에서 연산된 관심지점의 객체 정보와 상기 도로 세그먼트의 경계점에서 연산된 관심지점의 객체 정보를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와 비교하여 유효한 객체정보를 연산하고, 상기 유효한 갯수의 객체정보를 상기 단말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가 상기 질의 위치에 해당하는 도로 세그먼트 내에 위치하여 상기 도로 세그먼트의 양측 경계점 중 어느 하나의 경계점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서버에 관심지점 정보를 다시 질의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서버에서 연산되는 관심지점 정보 질의 결과를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의 질의 요구조건에 부합되는 객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객체를 도로 네트워크상에 각 객체의 위치정보에 따라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질의 위치에 속하는 도로 세그먼트의 양측 경계점과 상기 질의 위치에서 도로의 방향성을 고려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요구된 일정 갯수의 가장 근접한 관심지점을 정보를 각각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아울러,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와 비교하여 유효한 객체정보를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에서 유효한 객체정보값과 동일한 객체정보값이 산출되는 관심지점 유효구역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가 관심지점 유효구역을 벗어날 경우, 상기 단말에 관심지점의 객체정보를 현재 위치에서 유효한 객체정보로 갱신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또한, 상기 관심지점 유효구역을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관심지점 유효구역의 경계점인 유효 출구의 위치를 도로상에 추출한다.
아울러, 상기 관심지점 유효구역을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서 전송된 도로 세그먼트의 질의 위치와 인접하는 도로 세그먼트의 양측 경계점 중 하나 이상의 경계점 각각을 기준으로 하는 관심 지점 정보 질의 결과와 상기 질의 위치를 기준으로 도로의 방향성을 고려하여 산출된 관심지점 정보 질의 결과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관심지점 유효구역의 경계점인 유효 출구가 상기 질의 위치와 상기 인접하는 하나 이상의 경계점 각각과 상기 질의 위치 사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더욱이, 상기 관심지점 유효구역을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유효 출구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된 도로 세그먼트 상에서 관심지점 질의 위치의 가상적인 이동에 따른 주변 객체들과의 거리변동을 고려하여 상기 유효 출구의 위치를 도로상에서 계산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제공된다.
또한, 상기 도로상에 추출된 각 유효 출구의 위치를 상기 단말의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가 관심지역 유효구역에서 상기 유효 출구를 벗어날 경우, 유효한 갯수의 객체정보를 갱신시켜 상기 단말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단말에서 도로 세그먼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할당된 값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도로 세그먼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할당된 값이 변화된 경우 이전에 연산된 관심지점 정보 결과에 영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서 이전에 연산된 관심지점 정보 결과에 영향이 있는 경우, 상기 변화된 도로 세그먼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할당된 값을 이용하여 관심지점 정보를 서버로 재질의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 네트워크에서 움직이는 영역내의 관심지점 k 최접근 질의 결과 연산 시스템은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질의 요구조건에 부합되고, 질의 위치를 기준으로 가장 근접하게 위치하는 일정 갯수의 관심지점 정보 질의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관심지점 정보 질의 요청에 응답하되, 도로 세그먼트 방향성을 고려하여 상기 질의 위치에 해당하는 도로 세그먼트의 양측 경계점과 상기 질의 위치에서의 관심지점 정보 질의 결과를 연산하는 관심지점 질의 결과 연산부와, 상기 관심지점 질의 결과 연산부에서 연산된 관심지점 정보 질의 결과를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서버와, 특정 요구조건에 부합되고, 질의 위치를 기준으로 가장 근접하게 위치하는 일정 갯수의 관심지점 정보 질의를 상기 서버에 요청하는 질의 요청부와, 상기 전송부에서 전송되는 관심지점 정보 질의 결과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움직이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현재 위치 확인부와, 상기 질의 위치에서 연산된 관심지점의 객체 정보와 상기 도로 세그먼트의 경계점에서 연산된 관심지점의 객체 정보를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와 비교하여 유효한 객체정보를 연산하는 유효 객체정보 연산부와, 상기 유효 객체정보 연산부에서 연산된 유효한 갯수의 객체정보를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한 관심지점 정보 질의 결과로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질의 결과 제공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포함하여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관심지점 질의 결과 연산부는 도로 세그먼트상에 위치하는 각 객체의 위치정보와 객체의 속성정보가 분류저장되는 객체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객체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요구하는 조건에 부합되는 객체정보를 추출하는 객체정보 추출모듈과, 상기 객체정보 추출모듈에서 추출된 객체의 위치정보와 상기 질의 위치에 해당하는 도로 세그먼트의 양측 경계점과 상기 질의 위치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에서 요구하는 갯수의 유효 관심지점 정보를 산출하는 관심지점 연산모듈을 포함하여 제공된다.
또한, 상기 유효 객체정보 연산부는 상기 질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관심지점 정보 질의 결과와 동일한 관심지점 정보 질의 결과를 제공하는 관심지점 유효구역을 연산하는 관심지점 유효구역 연산모듈을 더 포함하여 제공된다.
아울러, 상기 관심지점 유효구역 연산모듈은 상기 관심지점 유효구역의 경계점인 유효 출구의 도로상 위치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상기 유효 출구의 도로상 위치정보를 상기 질의 결과 제공 인터페이스로 한다.
또한, 상기 관심지점 유효구역 연산모듈은 상기 질의 위치와 인접하는 하나 이상의 경계점 각각을 기준으로 하는 관심지점 정보 질의 결과와 상기 질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관심지점 정보 질의 결과를 비교하는 질의 결과 비교블럭과, 상기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관심지점 유효구역의 경계점인 유효 출구가 상기 질의 위치와 상기 인접하는 하나 이상의 경계점 각각과 상기 질의 위치 사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유효 출구 확인블럭을 포함하여 제공된다.
아울러, 상기 관심지점 유효구역 연산모듈은 상기 유효 출구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된 도로 상에서 관심지점 정보 질의의 기준 위치의 가상적인 이동에 따른 주변의 객체들과의 거리의 변동을 고려하여 상기 유효 출구의 상기 도로상 위치를 계산하는 위치 계산블럭을 더 포함하여,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가 상기 유효 출구의 위치를 통과할 경우, 상기 질의 결과 제공 인터페이스에 단말의 현재 위치에서의 갱신된 일정 갯수의 유효 관심지점 정보가 제공되도록 한다.
더욱이, 상기 질의 요청부는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가 상기 질의 위치에 해당하는 도로 세그먼트 내에 위치하여 상기 도로 세그먼트의 양측 경계점 중 어느 하나의 경계점을 벗어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질의 요청부로 관심지점 정보를 다시 질의요청하는 재질의요청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여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질의 위치를 기준으로 관심지점 정보를 질의요청할 경우, 서버와 클라이언트 단말이 협업하여 서버에서는 질의 위치에 해당하는 도로 세그먼트의 양측 경계점과 질의 위치에서의 관심지점 정보 질의 결과를 클라이언트 단말로 제공하고, 클라이언트 단말에서는 시간대별로 변화되는 거리조건과 도로 네트워크의 방향성을 고려한 관심지점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하고, 클라이언트 단말의 현재 위치가 도로 세그먼트의 경계점을 벗어나는 경우에만 서버로 다시 관심지점 정보를 요청하도록 하여 서버에서의 계산비용과 통신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단말 및 객체들을 포함하는 도로 네트워크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도로 네트워크에서 움직이는 영역내의 관심지점 k 최접근 질의 결과를 연산하여 제공하는 관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심지점 k 최접근 질의 결과 연산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서버에서 관심지점 정보 질의 결과를 연산하는 과정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관심지점 유효구역을 연산하는 과정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성을 가지는 도로 세그먼트 상에 위치한 질의 위치에서 두 교차점 사이에서 가상의 질의 위치를 움직임에 따라 객체까지 이르는 거리를 계산하는 다양한 경우의 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와 같은 경우의 수에 따라 방향성을 가지는 도로 세그먼트상에서 객체까지 이르는 거리를 연산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도로 네트워크 예시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된 각 관심지점에서 가상의 질의 위치에 따른 유효한 객체정보를 연산하기 위해 각 객체별로 거리값을 연산한 도면이다.
도 9는 관심지점 유효구역을 산출하기 위해 상기의 객체를 하나의 도면에 중첩시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네트워크에서 움직이는 영역내의 관심지점 k 최접근 질의 결과 연산 시스템에서 서버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네트워크에서 움직이는 영역내의 관심지점 k 최접근 질의 결과 연산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 단말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관심지점 유효구역 연산모듈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단말 및 객체들을 포함하는 도로 네트워크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서 q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질의 위치를 나타내며, a부터 f까지는 관심지점, 즉 POI(Point of interest)를 가리킨다.
이때, POI는 식당, 주유소, 학교 등을 나타내는 객체를 의미한다. 또한, 그래프 위의 수(number)는 두 지점간의 거리를 의미하며 노드 n1부터 n8 각각은 도로 세그멘트 각각의 교차점 또는 경계점을 가리킨다. 이때, 그래프 위의 수(number)는 두 지점간의 거리를 나타낼 수도 있고, 도로 네트워크에서 도로의 트래픽을 고려한 가중치가 부여된 두 지점 간의 도달시간을 나타낼 수도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도로 네트워크 상에 두 개의 노드 또는 객체 사이의 거리가 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노드 n1과 인접한 객체 a까지의 거리는 8이며, 노드 n1과 노드 n3까지의 거리는 6으로 표시되었다.
한편, 노드 n3와 n5 사이의 도로 세그멘트에는 방향성(orientation)이 존재한다. 즉, 노드 n3로부터 n5까지 일방 통행임이 표시되었다.
한편, 도 1의 실시예에서 질의 위치 q와 가장 가까운 객체는 거리로 보았을 경우, b 객체가 거리가 2로서 가장 가깝게 나타나며, 그 외 d,f 객체가 거리가 6으로 그 다음 순으로 가깝게 위치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실제 질의 위치 q에서 도로 세그먼트의 방향성을 고려하게 되면, b 객체는 실제 질의 위치 q에서 접근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또한, d 객체는 노드 n5와 n4 사이의 도로 세그먼트상에 위치하여 d 객체로 도달하기 위해서는 질의 위치 q에서 노드 n5를 거친다음, 노드 n4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하나 노드 n4에서 n5 방향으로 도로 세그먼트가 일방 통행이어 객체 d로는 도달할 수 없게 된다.
이에, 실제 질의 위치 q에서 도로의 방향성을 고려하여 접근할 수 있는 최단 거리내의 객체는 거리가 6인 f 객체가 유효한 관심지점으로 채택됨을 알 수 있다.
도 2는 도로 네트워크에서 움직이는 영역내의 관심지점 k 최접근 질의 결과를 연산하여 제공하는 관계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심지점 k 최접근 질의 결과 연산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관심지점 k 최접근 질의 결과 연산 방법은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사용자가 질의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요구조건을 만족하면서 질의 위치에 가장 근접하게 위치하는 일정 갯수의 관심지점 정보를 서버로 질의 요청한다(S310). 여기서 질의 위치는 도로 네트워크상에 클라이언트 단말의 현재 위치이거나 사용자가 임의로 요구하는 임의 위치일 수도 있다.
그리고 서버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질의 요청에 응답하여 질의 결과를 연산하게 되는데, 이때에 도로 세그먼트 방향성을 고려하여 상기 질의 위치에 해당하는 도로 세그먼트의 양측 경계점과 상기 질의 위치에서의 관심지점 정보 질의 결과를 연산하게 된다(S320).
이렇게 연산된 관심지점 정보 질의 결과는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된다(S330).
그런 다음, 단말에서는 상기와 같이 전송된 관심지점 정보를 단말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관심지점 정보는 서버에서 전송되는 모든 관심지점 정보가 출력되는 것이 아니라,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요구한 질의 위치에서 가장 근접하게 이동 가능한 일정 갯수의 관심지점 객체정보이다.
이러한 관심지점 객체정보는 질의 위치에서 연산된 관심지점의 객체 정보와 도로 세그먼트의 경계점 즉 시작점과 끝점에서 연산된 관심지점의 객체 정보를 단말의 현재 위치와 비교하여 유효한 객체정보를 연산하여, 유효한 갯수의 객체정보를 단말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한다(S340).
여기서 현재 위치가 질의 위치와 동일한 도로 세그먼트상에 있지 않고, 현 위치에서 떨어진 지점에서 특정 도로 세그먼트상에서의 질의 위치에 대한 관심지점 정보를 요청할 경우,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가 질의 위치에 해당하는 도로 세그먼트의 경계내로 진입하기 전까지는 상기에서 연산된 유효한 객체정보값이 그대로 유지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그러나 현재 위치가 질의 위치와 동일한 도로 세그먼트상에 있다고 가정하면, 현재 위치가 질의 위치에서 도로 세그먼트상에서 이동됨에 따라 유효한 객체정보값이 달라질 수 있다.
이에, 클라이언트 단말에서는 질의 위치에 해당하는 도로 세그먼트상의 현재 위치에서 유효한 객체정보값과 동일한 객체정보값이 산출되는 관심지점 유효구역을 연산하여, 이러한 관심지점 유효구역을 경계로 하여 단말의 현재 위치가 관심지점 유효구역을 벗어날 경우, 단말에 관심지점의 객체정보를 현재 위치에서 유효한 객체정보로 재갱신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관심지점 유효구역은 구역의 경계점인 유효 출구를 포함하며, 이러한 유효 출구의 위치를 도로상에 추출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관심지점 유효구역과 유효 출구 위치 연산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로 네트워크의 실시예를 통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서버에서 클라이언트 단말로 도로 세그먼트의 양측 경계점에서의 관심지점 정보 질의결과를 단말에서 요구한 일정 갯수로 제공되어, 단말의 위치가 질의 위치에 해당하는 도로 세그먼트 내에서 양측 경계점 중 어느 하나의 경계점을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350), 단말의 현재 위치가 도로 세그먼트상에서 벗어나지 않는다면, 단말에서 전송받은 기존의 질의결과값을 기초로 하여 유효한 객체정보를 산출하도록 하여, 서버로부터 별도의 통신이 필요없어 통신과부하가 발생되지 않게 되며, 도로 세그먼트의 경게점을 벗어나는 경우에만 서버에 다시 관심지점 정보를 질의요청하여(S360), 이동되는 도로 세그먼트에서의 관심지점 정보를 다시 연산하여 단말로 수신하도록 한다.
아울러, 클라이언트 단말에서는 도로 세그먼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할당된 값을 모니터링하여(S370), 도로 세그먼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할당된 값이 변화된 경우 이전에 연산된 관심지점 정보 결과에 영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380).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이전에 연산된 관심지점 정보 결과에 영향이 있는 경우에는 변화된 도로 세그먼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할당된 값을 이용하여 관심지점 정보를 서버로 재질의요청하게 된다(S360).
도 4는 서버에서 관심지점 정보 질의 결과를 연산하는 과정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서버는 먼저 클라이언트 단말에서의 질의 요구조건에 부합되는 객체를 먼저 추출한다(S410). 그리고 추출된 객체를 각 객체의 위치정보에 따라 도로 네트워크상에 활성화시키고(S420), 활성화된 객체와 질의 위치를 기준으로 도로 세그먼트상의 방향성을 고려하여 질의 위치, 도로 세그먼트의 양측 경계점 각 지점마다 사용자가 요구한 일정 갯수의 가장 근접한 관심지점 정보를 연산하게 된다(S430).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사용자가 특정 질의 위치 또는 실제 현재 위치를 질의 위치로 고려하여 음식점 중, 일인당 1만원에서 2만원 내의 비용이 소요되는 질의 요구조건으로, 질의 위치를 기준으로 가장 근접한 2개의 관심지점 정보를 서버에 요청한다면, 서버에서는 이러한 질의요청을 수신하여 관심지점 정보 결과를 연산하게 되는데, 이러한 관심지점 정보를 연산하기 이전에 먼저, 클라이언트 단말에서의 요구조건에 부합하는 객체를 추출하여 활성화시키게 된다.
이는 서버에서 도로 네트워크에서의 다양한 정보의 객체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에 사용자의 요청에 부합되는 객체만 추출하여 도로 네트워크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즉, 단말에서의 요구조건인 음식점 업종에 해당하는 객체를 추출하고, 그리고 이러한 음식점 중 가격대 정보가 단말의 요청에 부합되는 음식점 객체만을 선별하여 질의 위치 근방 도로 네트워크상에 일정 범위내로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 질의 위치에 해당하는 도로 세그먼트의 관심지점 정보를 연산하게 되는데, 이러한 관심지점 정보 연산방법은 질의 위치에 해당하는 도로 세그먼트의 시작점에서 도로 세그먼트의 방향성을 고려하여 연산된 관심지점과, 상기 도로 세그먼트의 끝점에서 도로 세그먼트의 방향성을 고려하여 연산된 관심지점과, 질의 위치에서 도로 세그먼트의 방향성을 고려하여 연산된 관심지점 정보를 연산한다.
도 1의 실제 도로 네트워크상에서 상기 관심지점 정보 연산방법을 예들 들어 설명하자면, 질의 위치 q는 노드 n3과 노드 n5 사이의 도로 세그먼트에 속하므로, 도로 세그먼트의 시작점 즉, 노드 n3과 도로 세그먼트의 끝점 즉, 노드 n5에서 도로 세그먼트의 방향성을 고려하여 관심지점을 연산하도록 한다. 각 위치에서의 관심지점은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요구한 2개의 가장 근접한 객체를 산출하도록 한다.
노드 n3과 연결된 도로 세그먼트에서는 노드 n5 방향으로만 방향성이 있으며, 노드 n1과 노드 n2측으로는 방향성을 가지지 않는다. 이에 노드 n3에서의 관심지점은 거리가 2만큼 떨어진 a 객체와 거리가 3만큼 떨어진 b 객체로 산출된다.
노드 n5와 연결된 도로 세그먼트에서는 노드 n4에서 노드 n5으로 방향성을 가지며, 노드 n5에서 노드 n7로 향하는 방향성을 가지게 된다. 이에 노드 n5에서 노드 n4로는 접근할 수 없어 d 객체는 관심지점에서 제외되며, 거리가 2인 f 객체와 거리가 3인 c 객체가 관심지점으로 산출된다.
그리고 질의 위치 q에서는 b 객체가 2로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으나 방향성이 노드 n3에서 노드 n5로 이루어져 접근할 수 없으며, 또한 d 객체도 접근할 수 없게 된다. 이에 질의 위치 q에서 6만큼 떨어진 f 객체와 7만큼 떨어진 c 객체가 관심지점으로 산출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산출된 질의 위치 q에 해당하는 도로 세그먼트의 시작점에 해당하는 노드 n3에서의 관심지점은 객체 a와 객체 b이고, 질의 위치 q에 해당하는 도로 세그먼트의 끝점에 해당하는 노드 n5에서의 관심지점은 f 개체와 c 개체임을 알 수 있으며, 질의 위치 q에서 관심지점으로 선택된 f 객체와 c 개체와 비교하면, 질의 위치 q에서의 관심지점과 노드 n5에서의 관심지점이 동일함을 알 수 있다.
이에, 질의 위치 q에서 노드 n5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질의 위치가 변동되더라도 노드 n5를 통과하기 전까지는 관심지점이 질의 위치에서의 객체정보와 동일하여 노드 n5까지는 관심지점 유효구역에 해당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관심지점 유효구역내에 단말이 위치하게 되면, 구역 내에서는 더이상의 유효한 객체를 연산하지 않고 기존 유효객체값을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관심지점 유효구역을 연산하는 과정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질의 위치에서의 관심지점 질의 결과와 질의 위치와 인접한 제 1 경계점에서의 관심지점 질의 결과를 비교한다(S510).
비교한 결과, 질의 위치와 제 1 경계점에서 산출된 관심지점의 질의 결과가 동일할 경우에는 질의 위치와 제 1 경계점 사이에는 유효 출구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S520). 여기서 제 1 경계점은 도로 세그먼트에서 양측 경계점 중 일측 즉 시작점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질의 위치와 제 1 경계점 사이에 유효 출구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은 질의 위치와 제 1 경계점 사이에는 관심지점 정보가 변화되지 않고 유지되는 관심지점 유효구역에 해당됨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질의 위치와 제 1 경계점 사이에 유효 출구가 존재하지 않게 되면, 제 1 경계점과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경계점을 기준으로 관심지점 정보 질의 결과와 질의 위치에서의 관심지점 질의 결과를 비교한다(S530). 여기서 제 2 경게점은 도로 세그먼트에서 양측 경계점 중 타측 즉 끝점에 해당되며, 비교결과 제 2 경계점과 질의 위치에서의 관심지점 질의 결과가 동일할 경우에는 제 1경계점과 제 2 경계점 사이 즉, 질의 위치가 속하는 도로 세그먼트의 전 영역이 관심지점 유효구역으로 관심지점 결과값이 변화되는 유효 출구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S520).
이와 달리 질의 위치와 제 1 경계점에서 산출된 관심지점의 질의 결과를 비교한 결과, 질의 결과가 동일하지 않게 되면, 질의 위치와 제 1 경계점 사이에는 유효 출구가 존재하게 된다(S540).
유효 출구가 존재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관심지점 질의의 질의 위치의 가상적인 이동에 따른 주변의 객체들과의 거리의 변동을 고려하여 도로 세그먼트상에 유효 출구의 위치를 계산한다(S550).
그리고 계산된 유효 출구 위치정보를 단말의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단말의 현재 위치가 관심지역 유효구역에서 유효 출구를 벗어날 경우, 유효한 갯수의 객체정보를 갱신시켜 단말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한다(S560).
아래에서는 도로 네트워크의 실시예를 통해 질의 위치의 이동에 따른 각 객체와의 거리를 계산하고, 계산된 거리값에 의해 관심지점 유효구역을 연산하는 방법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성을 가지는 도로 세그먼트 상에 위치한 질의 위치에서 두 교차점 사이에서 가상의 질의 위치를 움직임에 따라 객체까지 이르는 거리를 계산하는 다양한 경우의 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두 교차점 사이에서 가상의 질의 위치는 노드 α부터 노드 β까지 진행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객체 O가 해당 도로 세그멘트에 대하여 가질 수 있는 위치 관계의 실시예 각각을 도시한다.
도 6(a)는 두 교차점 사이에 객체 O가 질의 위치 진행방향으로 존재하는 경우이다. 가상의 질의 위치가 노드 α인 경우, 가상의 기준 위치로부터 객체 O까지의 거리는 len(α, O)로 나타낼 수 있다. 가상의 질의 위치 q가 노드 α로부터 객체 O 방향으로 이동하면 가상의 질의 위치 q로부터 객체 O까지의 거리는 점점 감소할 것이다. 가상의 질의 위치 q가 객체 O를 지나 노드 β 방향으로 이동하면, 가상의 질의 위치 q로부터 객체 O까지의 거리는 점차 멀어지게 되나, 도로의 방향성이 노드 α에서 노드 β 방향으로 이루어져, 가상의 질의 위치 q에서 객체 O로는 접근할 수 없게 되어 가상의 질의 위치 q가 객체 O를 지나치는 순간 거리는 유효하지 않게 된다.
도 6(b)는 객체 O가 노드 α 너머에 위치하는 경우가 도시된다. 가상의 질의 위치 q가 노드 α인 경우, 가상의 질의 위치 q로부터 객체 O까지의 거리는 d(α, O)로 표시된다. 가상의 질의 위치 q가 노드 α로부터 노드 β로 이동함에 따라 가상의 질의 위치 q로부터 객체 O까지의 거리는 선형적으로 증가하여, 노드 β에서 객체 O까지의 거리는 d(α, O) + len(α, β) 이나, 도로의 방향성이 노드 α에서 노드 β 방향으로 일방통행으로 이루어져, 이 경우에서는 객체 O와의 거리는 유효하지 않게 된다.
도 6(c)는 객체 O가 노드 β 너머에 위치하는 경우가 도시된다. 가상의 질의 위치 q가 노드 β인 경우, 가상의 질의 위치 q로부터 객체 O까지의 거리는 d(β, O)로 표시된다. 가상의 질의 위치 q가 노드 α로부터 노드 β로 이동함에 따라 가상의 질의 위치 q로부터 객체 O까지의 거리는 선형적으로 감소할 것이다. 선형적인 감소를 역산하면, 이 경우 노드 α에서 객체 O까지의 거리는 len(α, β) + d(β, O)이며, 노드 α에서 노드 β 구간내에서는 거리가 모두 유효하게 된다.
도 7은 도 6에서와 같은 경우의 수에 따라 방향성을 가지는 도로 세그먼트상에서 객체까지 이르는 거리를 연산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을 참조하면, 도로 세그먼트는 노드 n2에서 노드 n5를 거쳐 노드 n3으로 일방통행의 방향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방향성을 고려하여 객체 O의 거리를 연산하게 되면, 도 7(b)와 같은 값을 얻을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가상의 질의 위치 q가 노드 n2에서 객체 O까지의 거리는 1이며, 객체 O와 접근되면서 거리가 감소하고, 가상의 질의 위치 q가 객체 O를 지난 이후에는 객체 O를 향해 역주행되지 않고 노드 n5와 n3 및 n2를 거쳐 객체 O로 접근됨을 알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도로 네트워크 예시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된 각 관심지점에서 가상의 질의 위치에 따른 유효한 객체정보를 연산하기 위해 각 객체별로 거리값을 연산한 도면이다.
전술한 단말의 요구에 의해 질의 위치 q가 속하는 도로 네트워크의 양측 경계점과 질의 위치상에서 가장 근접한 2개의 관심지점으로는 객체 a, b, c, f가 산출되었으며, 도 8은 가상의 질의 위치 q에 의해 상기에서 산출된 각 객체의 거리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는 객체 a의 거리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객체 a가 노드 n2와 노드 n3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 노드 n3과 노드 n5상에 위치하는 질의 위치 q가 접근할 수 없는 방향으로 거리가 유효하지 않게 된다.
도 8(b)는 객체 b의 거리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가상의 질의 위치 q가 노드 n3에서 객체 b로 향할때에는 거리가 감소하면서 유효하나, 가상의 질의 위치 q가 객체 b를 통과하게 되면 거리가 증가되나 접근할 수 없어 거리가 유효하지 않게 된다.
도 8(c)는 객체 c의 거리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가상의 질의 위치 q가 노드 n3에서 노드 n5로 이동하면서 거리가 감소하며 전체 도로 세그먼트 상에서 유효하게 나타난다.
도 8(d)는 객체 f의 거리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객체 c와 같이 가상의 질의 위치 q가 노드 n3에서 노드 n5로 이동하면서 거리가 감소하며 전체 도로 세그먼트 상에서 유효하게 나타난다.
이렇게 각 객체의 거리변화를 나타낸 도면을 중첩시켜 관심지점 유효구역을 산출하도록 한다.
도 9는 관심지점 유효구역을 산출하기 위해 상기의 객체를 하나의 도면에 중첩시켜 도시한 도면으로, 도 9(a)는 상기의 각 관심지점에서 방향성을 고려하여 유효한 거리값만 나타낸 도면이고, 도 9(b)는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요구한 질의 위치에서 가장 근접한 2개의 관심지점의 갯수에 따라 선택되어지는 유효한 객체의 한계치를 굵은 선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b)에서와 같이 질의 위치에 속하는 도로 세그먼트상에서 노드 n3에서 객체 b까지는 가장 근접한 2개의 관심지점이 객체 a와 객체 f로 동일하며, 객체 b와 노드 n5사이에는 객체 f와 객체 c가 가장 근접한 2개의 관심지점으로 산출된다.
이와 같이, 도로 세그먼트 상에 노드 n3과 n5 사이에는 질의 위치 q의 이동에 따라 관심지점의 객체값 결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객체 b의 위치가 유효 출구로 추출된다.
즉, 단말의 위치가 노드 n3에서 객체 b로 이동될 경우에는 단말의 화면상에 관심지점이 객체 a와 객체 f로 표시되도록 하고, 단말의 위치가 객체 b의 위치를 넘어설 경우 유효 출구를 감지하여 단말의 화면상에 관심지점이 객체 f와 객체 c로 변환되어 표시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네트워크에서 움직이는 영역내의 관심지점 k 최접근 질의 결과 연산 시스템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네트워크에서 움직이는 영역내의 관심지점 k 최접근 질의 결과 연산 시스템에서 서버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네트워크에서 움직이는 영역내의 관심지점 k 최접근 질의 결과 연산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 단말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관심지점 유효구역 연산모듈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로 네트워크에서 움직이는 영역내의 관심지점 k 최접근 질의 결과 연산 시스템은 수신부(110), 관심지점 질의 결과 연산부(120) 및 전송부(130)를 포함하는 서버(100)와, 질의 요청부(210), 수신부(220), 현재 위치 확인부(230), 유효 객체정보 연산부(240) 및 인터페이스(250)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단말(200)을 포함하여 제공된다.
먼저 도 10을 참조하여 서버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수신부(110)는 클라이언트 단말(200)로부터의 질의 요청정보를 수신한다. 단말에서의 질의 요청정보는 질의 요구조건에 부합되는 객체로서, 질의 위치를 기준으로 가장 근접하게 위치하는 일정 갯수의 관심지점 정보이다.
관심지점 질의 결과 연산부(120)는 수신부(110)에서 수신된 관심지점 정보 질의 요청에 응답하되, 도로 세그먼트 방향성을 고려하여 질의 위치에 해당하는 도로 세그먼트의 양측 경계점 즉, 시작점과 끝점에서의 각 관심지점 정보와, 질의 위치에서의 관심지점 정보 질의 결과를 연산하게 되는데, 이러한 관심지점 질의 결과 연산부(120)는 객체정보 데이터베이스(121)와 객체정보 추출모듈(122) 및 관심지점 연산모듈(1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객체정보 데이터베이스(121)는 도로 세그먼트상에 위치하는 각 객체의 위치정보와 객체의 속성정보가 분류되는 것으로, 속성정보는 음식점, 주유소, 약국, 병원, 미용실 등 각 객체의 업체 종류 정보와, 판매음식 메뉴정보, 가격정보, 업체 규모정보 등의 업체 내부정보 등을 포함하여 체계적으로 분류된다.
객체정보 추출모듈(122)은 클라이언트 단말(200)의 요구 조건에 부합되는 객체정보를 추출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200)에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조건이 음식 가격이 인당 1~2만원대의 삼계탕을 판매하는 음식점을 찾고자 하면, 객체정보 추출모듈(122)에서는 객체정보 데이터베이스(121)에 저장되어 있는 각 객체의 속성정보를 검사하여 관련 조건에 부합하는 객체정보를 추출한다.
관심지점 연산모듈(123)은 객체정보 추출모듈(122)에서 추출된 객체의 위치정보와 상기 질의 위치에 해당하는 도로 세그먼트의 양측 경계점과 상기 질의 위치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에서 요구하는 갯수의 유효 관심지점 정보를 산출한다.
전송부(130)는 관심지점 질의 결과 연산부(120)에서 연산된 관심지점 정보 질의 결과를 클라이언트 단말(200)로 전송한다.
아래에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질의 요청부(210)는 특정 요구조건에 부합되고, 질의 위치를 기준으로 가장 근접하게 위치하는 일정 갯수의 관심지점 정보 질의를 서버(100)에 요청한다. 이러한 질의 요청부(210)는 단말의 현재 위치가 질의 위치에 해당하는 도로 세그먼트 내에 위치하여 도로 세그먼트의 양측 경계점 중 어느 하나의 경계점을 벗어나는 것이 감지될 경우 질의 요청부(210)로 관심지점 정보를 다시 질의요청하는 재질의 요청 제어모듈(21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신부(220)는 서버(100)의 전송부(130)에서 전송되는 관심지점 정보 질의 결과를 수신한다.
현재 위치 확인부(230)는 GPS 정보를 통해 움직이는 클라이언트 단말(200)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한다.
유효 객체정보 연산부(240)는 질의 위치에서 연산된 관심지점의 객체 정보와 상기 도로 세그먼트의 경계점에서 연산된 관심지점의 객체 정보를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와 비교하여 유효한 객체정보를 연산한다. 이렇게 연산된 유효 객체정보는 질의 결과 제공 인터페이스(25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아울러, 유효 객체정보 연산부(240)는 질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관심지점 정보 질의 결과와 동일한 관심지점 정보 질의 결과를 제공하는 관심지점 유효구역을 연산하는 관심지점 유효구역 연산모듈(241)을 더 포함하여 제공된다.
이러한 관심지점 유효구역 연산모듈(241)은 관심지점 유효구역의 경계점인 유효 출구의 도로상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유효 출구의 도로상 위치정보를 질의 결과 제공 인터페이스(250)로 제공한다.
관심지점 유효구역 연산모듈(241)을 도 12을 참조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관심지점 유효구역 연산모듈(241)은 질의 결과 비교블럭(241a)과 유효 출구 확인블럭(241b) 및 위치 계산블럭(241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질의 결과 비교블럭(241a)은 질의 위치와 인접하는 하나 이상의 경계점 각각을 기준으로 하는 관심지점 정보 질의 결과와 질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관심지점 정보 질의 결과를 비교한다. 이러한 관심지점 정보 질의 결과는 상기 서버(100)의 관심지점 질의 결과 연산부(120)에서 연산되어 단말로 전송된 정보이고, 경계점은 질의 위치가 속하는 도로 세그먼트의 양측 시작점과 끝점을 나타낸다.
유효 출구 확인블럭(241b)은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관심지점 유효구역의 경계점인 유효 출구가 질의 위치와 인접하는 하나 이상의 경계점 각각과 질의 위치 사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으로, 질의 위치에서의 관심지점 질의 결과 정보와 경계점에서의 관심지점 질의 결과 정보가 동일하면 유효 출구가 존재하지 않으며, 관심지점 질의 결과 정보가 동일하지 않을 경우에 유효 출구가 존재하게 된다.
위치 계산블럭(241c)은 유효 출구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된 도로상에 관심지점 정보 질의 기준 위치의 가상적인 이동에 따른 주변의 객체들과의 거리 변동을 고려하여 유효 출구의 도로상 위치를 계산한다.
이렇게 계산된 유효 출구 정보에 의해, 단말의 현재 위치가 유효 출구를 통과할 경우에는 이전에 제공된 일정 갯수의 유효 관심지점 정보가 단말의 현재 위치에서의 유효 관심지점 정보로 갱신시켜 질의 결과 제공 인터페이스(250)에 제공되도록 한다.
질의 결과 제공 인터페이스(250)는 상기와 같이 유효 객체정보 연산부(240)에서 연산된 유효한 갯수의 객체정보를 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한 관심지점 정보 질의 결과로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 서버 110 : 수신부
120 : 관심지점 질의 결과 연산부 121 : 객체정보 데이터베이스
122 : 객체정보 추출모듈 123 : 관심지점 연산모듈
130 : 전송부
200 : 클라이언트 단말 210 : 질의 요청부
211 : 재질의 요청 제어모듈 220 : 수신부
230 : 현재 위치 확인부 240 : 유효 객체정보 연산부
241 : 관심지점 유효구역 연산모듈 241a : 질의 결과 비교블럭
241b : 유효 출구 확인블럭 241c : 위치 계산블럭
250 : 질의 결과 제공 인터페이스

Claims (15)

  1.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질의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요구조건을 만족하면서 가장 근접하게 위치하는 일정 갯수의 관심지점 정보를 서버로 질의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관심지점 정보 질의요청에 응답하되, 도로 세그먼트 방향성을 고려하여 상기 질의 위치에 해당하는 도로 세그먼트의 양측 경계점과 상기 질의 위치에서의 관심지점 정보 질의 결과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연산된 관심지점 정보 질의 결과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서 상기 질의 위치에서 연산된 관심지점의 객체 정보와 상기 도로 세그먼트의 경계점에서 연산된 관심지점의 객체 정보를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와 비교하여 유효한 객체정보를 연산하고, 상기 유효한 갯수의 객체정보를 상기 단말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가 상기 질의 위치에 해당하는 도로 세그먼트 내에 위치할 경우에는 상기 서버에서 상기 단말로 전송된 관심지점 정보 질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단말에서 유효한 객체정보를 연산하도록 하고,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가 상기 질의 위치에 해당하는 도로 세그먼트상에서 상기 도로 세그먼트의 양측 경계점 중 어느 하나의 경계점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상기 서버에 관심지점 정보를 다시 질의요청하고,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가 상기 질의 위치에 해당하는 도로 세그먼트의 경계내로 진입하기 전까지는 상기 단말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된 객체정보값이 그대로 유지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네트워크에서 움직이는 영역내의 관심지점 k 최접근 질의 결과 연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연산되는 관심지점 정보 질의 결과를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의 질의 요구조건에 부합되는 객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객체를 도로 네트워크상에 각 객체의 위치정보에 따라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질의 위치에 속하는 도로 세그먼트의 양측 경계점과 상기 질의 위치에서 도로의 방향성을 고려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요구된 일정 갯수의 가장 근접한 관심지점을 정보를 각각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네트워크에서 움직이는 영역내의 관심지점 k 최접근 질의 결과 연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와 비교하여 유효한 객체정보를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에서 유효한 객체정보값과 동일한 객체정보값이 산출되는 관심지점 유효구역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가 관심지점 유효구역을 벗어날 경우, 상기 단말에 관심지점의 객체정보를 현재 위치에서 유효한 객체정보로 갱신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네트워크에서 움직이는 영역내의 관심지점 k 최접근 질의 결과 연산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지점 유효구역을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관심지점 유효구역의 경계점인 유효 출구의 위치를 도로상에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네트워크에서 움직이는 영역내의 관심지점 k 최접근 질의 결과 연산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지점 유효구역을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서 전송된 도로 세그먼트의 질의 위치와 인접하는 도로 세그먼트의 양측 경계점 중 하나 이상의 경계점 각각을 기준으로 하는 관심 지점 정보 질의 결과와 상기 질의 위치를 기준으로 도로의 방향성을 고려하여 산출된 관심지점 정보 질의 결과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관심지점 유효구역의 경계점인 유효 출구가 상기 질의 위치와 상기 인접하는 하나 이상의 경계점 각각과 상기 질의 위치 사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네트워크에서 움직이는 영역내의 관심지점 k 최접근 질의 결과 연산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지점 유효구역을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유효 출구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된 도로 세그먼트 상에서 관심지점 질의 위치의 가상적인 이동에 따른 주변 객체들과의 거리변동을 고려하여 상기 유효 출구의 위치를 도로상에서 계산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네트워크에서 움직이는 영역내의 관심지점 k 최접근 질의 결과 연산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상에 추출된 각 유효 출구의 위치를 상기 단말의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가 관심지역 유효구역에서 상기 유효 출구를 벗어날 경우, 유효한 갯수의 객체정보를 갱신시켜 상기 단말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네트워크에서 움직이는 영역내의 관심지점 k 최접근 질의 결과 연산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서 도로 세그먼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할당된 값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도로 세그먼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할당된 값이 변화된 경우 이전에 연산된 관심지점 정보 결과에 영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서 이전에 연산된 관심지점 정보 결과에 영향이 있는 경우, 상기 변화된 도로 세그먼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할당된 값을 이용하여 관심지점 정보를 서버로 재질의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네트워크에서 움직이는 영역내의 관심지점 k 최접근 질의 결과 연산 방법.
  9.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질의 요구조건에 부합되고, 질의 위치를 기준으로 가장 근접하게 위치하는 일정 갯수의 관심지점 정보 질의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관심지점 정보 질의 요청에 응답하되, 도로 세그먼트 방향성을 고려하여 상기 질의 위치에 해당하는 도로 세그먼트의 양측 경계점과 상기 질의 위치에서의 관심지점 정보 질의 결과를 연산하는 관심지점 질의 결과 연산부와,
    상기 관심지점 질의 결과 연산부에서 연산된 관심지점 정보 질의 결과를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서버와;
    특정 요구조건에 부합되고, 질의 위치를 기준으로 가장 근접하게 위치하는 일정 갯수의 관심지점 정보 질의를 상기 서버에 요청하는 질의 요청부와,
    상기 전송부에서 전송되는 관심지점 정보 질의 결과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움직이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현재 위치 확인부와,
    상기 질의 위치에서 연산된 관심지점의 객체 정보와 상기 도로 세그먼트의 경계점에서 연산된 관심지점의 객체 정보를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와 비교하여 유효한 객체정보를 연산하는 유효 객체정보 연산부와,
    상기 유효 객체정보 연산부에서 연산된 유효한 갯수의 객체정보를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한 관심지점 정보 질의 결과로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질의 결과 제공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질의 요청부는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가 상기 질의 위치에 해당하는 도로 세그먼트 내에 위치하여 상기 도로 세그먼트의 양측 경계점 중 어느 하나의 경계점을 벗어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질의 요청부로 관심지점 정보를 다시 질의요청하는 재질의요청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여,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가 상기 질의 위치에 해당하는 도로 세그먼트 내에 위치할 경우에는 상기 서버에서 상기 단말로 전송된 관심지점 정보 질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단말에서 유효한 객체정보를 연산하도록 하고,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가 상기 질의 위치에 해당하는 도로 세그먼트상에서 상기 도로 세그먼트의 양측 경계점 중 어느 하나의 경계점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상기 재질의요청 제어모듈에서 상기 서버로 관심지점 정보를 다시 질의요청하고,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가 상기 질의 위치에 해당하는 도로 세그먼트의 경계내로 진입하기 전까지는 상기 질의 결과 제공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된 객체정보값이 그대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네트워크에서 움직이는 영역내의 관심지점 k 최접근 질의 결과 연산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지점 질의 결과 연산부는
    도로 세그먼트상에 위치하는 각 객체의 위치정보와 객체의 속성정보가 분류저장되는 객체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객체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요구하는 조건에 부합되는 객체정보를 추출하는 객체정보 추출모듈과,
    상기 객체정보 추출모듈에서 추출된 객체의 위치정보와 상기 질의 위치에 해당하는 도로 세그먼트의 양측 경계점과 상기 질의 위치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에서 요구하는 갯수의 유효 관심지점 정보를 산출하는 관심지점 연산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네트워크에서 움직이는 영역내의 관심지점 k 최접근 질의 결과 연산 시스템.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객체정보 연산부는
    상기 질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관심지점 정보 질의 결과와 동일한 관심지점 정보 질의 결과를 제공하는 관심지점 유효구역을 연산하는 관심지점 유효구역 연산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네트워크에서 움직이는 영역내의 관심지점 k 최접근 질의 결과 연산 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지점 유효구역 연산모듈은 상기 관심지점 유효구역의 경계점인 유효 출구의 도로상 위치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상기 유효 출구의 도로상 위치정보를 상기 질의 결과 제공 인터페이스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네트워크에서 움직이는 영역내의 관심지점 k 최접근 질의 결과 연산 시스템.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지점 유효구역 연산모듈은
    상기 질의 위치와 인접하는 하나 이상의 경계점 각각을 기준으로 하는 관심지점 정보 질의 결과와 상기 질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관심지점 정보 질의 결과를 비교하는 질의 결과 비교블럭과,
    상기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관심지점 유효구역의 경계점인 유효 출구가 상기 질의 위치와 상기 인접하는 하나 이상의 경계점 각각과 상기 질의 위치 사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유효 출구 확인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네트워크에서 움직이는 영역내의 관심지점 k 최접근 질의 결과 연산 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지점 유효구역 연산모듈은
    상기 유효 출구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된 도로 상에서 관심지점 정보 질의의 기준 위치의 가상적인 이동에 따른 주변의 객체들과의 거리의 변동을 고려하여 상기 유효 출구의 상기 도로상 위치를 계산하는 위치 계산블럭을 더 포함하여,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가 상기 유효 출구의 위치를 통과할 경우, 상기 질의 결과 제공 인터페이스에 단말의 현재 위치에서의 갱신된 일정 갯수의 유효 관심지점 정보가 제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네트워크에서 움직이는 영역내의 관심지점 k 최접근 질의 결과 연산 시스템.
  15. 삭제
KR1020150032198A 2015-03-09 2015-03-09 도로 네트워크에서 움직이는 영역내의 관심지점 k 최접근 질의 결과 연산 시스템 및 그에 따른 연산방법 KR101625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2198A KR101625957B1 (ko) 2015-03-09 2015-03-09 도로 네트워크에서 움직이는 영역내의 관심지점 k 최접근 질의 결과 연산 시스템 및 그에 따른 연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2198A KR101625957B1 (ko) 2015-03-09 2015-03-09 도로 네트워크에서 움직이는 영역내의 관심지점 k 최접근 질의 결과 연산 시스템 및 그에 따른 연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5957B1 true KR101625957B1 (ko) 2016-05-31

Family

ID=56099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2198A KR101625957B1 (ko) 2015-03-09 2015-03-09 도로 네트워크에서 움직이는 영역내의 관심지점 k 최접근 질의 결과 연산 시스템 및 그에 따른 연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595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83589A (zh) * 2020-09-14 2021-01-05 西北工业大学 一种低采样率下的实时车辆k近邻查询方法
CN112507047A (zh) * 2020-06-16 2021-03-16 中山大学 一种基于兴趣点偏好的最优有序路径查询方法
CN112594937A (zh) * 2020-12-16 2021-04-0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热水器的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220058209A (ko) * 2020-10-30 2022-05-0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 네트워크에서 다중 k-최원접 이웃 검색 질의 그룹 처리 방법 및 도로 네트워크에서 다중 k-최원접 이웃 검색 질의 그룹을 처리하는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525B1 (ko) * 2013-04-29 2014-10-23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도로 네트워크에서 움직이는 영역 질의의 안전 출구 위치를 계산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525B1 (ko) * 2013-04-29 2014-10-23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도로 네트워크에서 움직이는 영역 질의의 안전 출구 위치를 계산하는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07047A (zh) * 2020-06-16 2021-03-16 中山大学 一种基于兴趣点偏好的最优有序路径查询方法
CN112507047B (zh) * 2020-06-16 2024-03-26 中山大学 一种基于兴趣点偏好的最优有序路径查询方法
CN112183589A (zh) * 2020-09-14 2021-01-05 西北工业大学 一种低采样率下的实时车辆k近邻查询方法
CN112183589B (zh) * 2020-09-14 2022-04-22 西北工业大学 一种低采样率下的实时车辆k近邻查询方法
KR20220058209A (ko) * 2020-10-30 2022-05-0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 네트워크에서 다중 k-최원접 이웃 검색 질의 그룹 처리 방법 및 도로 네트워크에서 다중 k-최원접 이웃 검색 질의 그룹을 처리하는 장치
KR102416960B1 (ko) 2020-10-30 2022-07-0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 네트워크에서 다중 k-최원접 이웃 검색 질의 그룹 처리 방법 및 도로 네트워크에서 다중 k-최원접 이웃 검색 질의 그룹을 처리하는 장치
CN112594937A (zh) * 2020-12-16 2021-04-0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热水器的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5957B1 (ko) 도로 네트워크에서 움직이는 영역내의 관심지점 k 최접근 질의 결과 연산 시스템 및 그에 따른 연산방법
US6819919B1 (en) Method for providing matching and introduction services to proximate mobile users and service providers
US20160227367A1 (en) Method of providing positioning data to mobile device
US20060266830A1 (en) Location-based recommendation system
JP6693506B2 (ja) 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94649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rivacy protected navigation between mobile terminals
US8938358B1 (en) System and method for suggesting alternative travel destinations
KR101154732B1 (ko) 신뢰도 기반의 무선랜 ap를 이용한 무선 디바이스의 실시간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CN101529866A (zh) 本地无线网接入点和移动设备间基于呈现的通信
CN106030332A (zh) 用于确定设备的位置的定位系统
US201901786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navigation service of disabled person
US9752888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computing location of safe exit for moving range query in road network
KR20210030146A (ko) 프랜차이즈 점포 입지 추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1129808B1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의 인맥 추천 방법
US2016019830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ndoor geospatial information for indoor location-based services, and user terminal
WO2014195922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cision support in relation to geolocalization of a candidate's residence and workplace
KR102377652B1 (ko) 제어된 교통신호정보를 이용한 보행자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6776993B (zh) 一种基于时序约束活动意向的路径推荐方法及系统
GB2570853A (en) Identifying sites visited by a user device
KR20190029411A (ko) 이미지 검색 방법, 및 이미지 검색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1137548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위치 기반 사람 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12847B1 (ko) 방향성을 가지는 도로 네트워크에서 움직이는 k최근접 질의의 안전출구 위치를 계산하는 방법
KR100513998B1 (ko) 키워드 네임을 이용한 위치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방법
WO2012043300A1 (ja) 情報提供サーバ、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002898A (ja) 案内情報生成装置、案内情報生成方法および案内情報生成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