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5904B1 - 단위 세대용 통신 단자함 설치 구조 - Google Patents

단위 세대용 통신 단자함 설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5904B1
KR101625904B1 KR1020160031039A KR20160031039A KR101625904B1 KR 101625904 B1 KR101625904 B1 KR 101625904B1 KR 1020160031039 A KR1020160031039 A KR 1020160031039A KR 20160031039 A KR20160031039 A KR 20160031039A KR 101625904 B1 KR101625904 B1 KR 101625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ox
moving
shaft
main body
posi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1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철
Original Assignee
(주)세정이에프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정이에프씨 filed Critical (주)세정이에프씨
Priority to KR1020160031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9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25Cabin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23Constructional details using sliding mechanisms for accessing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1/00Constructional details of selecting arrangements
    • H04Q2201/10Housing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1/00Constructional details of selecting arrangements
    • H04Q2201/18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위 세대용 통신 단자함 설치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단위 세대용 통신 단자함 설치 구조는 벽체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며, 설정된 다수의 배치 위치를 연결하는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는 단자함 본체부와; 상기 설정된 다수의 배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다수의 개구에 배치되는 다수의 커버; 및 설정된 상기 다수의 배치 위치 중, 어느 하나의 배치 위치가 선택되면, 상기 단자함 본체부를 상기 레일부를 따라 선택된 상기 배치 위치에 이동 배치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위 세대용 통신 단자함 설치 구조{INSTALLATION STRUCTURE OF COMMUNICATION TERMINAL BOX}
본 발명은 단위 세대용 통신 단자함 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자함의 위치를 가변시켜 배치하도록 함과 아울러, 해당 위치에서 벽체에 탈착되는 단자홈들이 단자함의 통신 단자들을 끼워 배치하도록 하여, 단자함 자체가 실내에 노출되도록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단위 세대용 통신 단자함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대용 통신 단자함(世帶用 通信 端子函)이라고 하면, 외부에서 각 가정 내로 인입되는 TV 케이블, 인터넷 통신케이블, 전화 통신케이블, 홈네트워크관련 통신케이블 등을 제어하는 통신장치가 설치되어 유지 보수를 위하여 개폐가능한 개폐문을 구비한 함체이다.
공동주택(아파트, 다세대주택 등)은 면적에 따라 거실 1개, 침실 2∼4개로 구성된다. 종래 공동주택의 각 거실과 침실에는 전화 등의 통신을 위한 배관 및 배선이 버스배선(BUS wiring)으로 아날로그통신용 케이블인 티아이브이 케이블(TIV cable)을 사용하여 구성되며, 각 세대별로 세대단자함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종래 공동주택에서 초고속 정보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중간단자함으로부터 각 세대내로 인입되는 첫번째 인출구까지 4페어 유티피 케이블(UTP cable)을 설치하여 이곳 한곳에서만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종래 공동주택의 경우에는 첫번째 인출구가 설치되는 한곳을 제외한 나머지 다른 침실이나 거실에서는 기존의 멀티배선을 그대로 이용하는 방식으로 사용하므로, 초고속 정보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다.
최근에는 국가에서 초고속 정보통신의 인식확산 및 활성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초고속 정보통신 기반을 갖춘 일정규모 이상의 아파트 및 업무용 건물의 구내통신설비에 대해 인증마크(엠블럼)를 부여하는 엠블럼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따라서 신규로 일정규모 이상의 주거용 및 업무용 건물을 건축하는 경우에는 엠블럼을 인증받기 위하여 심사기준에 맞도록 구내통신설비를 설계하여 설치하고 있다.
종래의 세대단자함 설치방법은 콘크리트 벽면에 드릴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천공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설치작업이 어렵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소음, 먼지, 진동 등을 발생시켜 설치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공동주택의 입주자에게 여러가지로 불편함을 야기하게 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0-0061989호(2010.06.10)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세대용 통신 단자함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자함의 위치를 가변시켜 배치하도록 함과 아울러, 해당 위치에서 벽체에 탈착되는 단자홈들이 단자함의 통신 단자들을 끼워 배치하도록 하여, 단자함 자체가 실내에 노출되도록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단위 세대용 통신 단자함을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단위 세대용 통신 단자함 설치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단위 세대용 통신 단자함 설치 구조는 벽체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며, 설정된 다수의 배치 위치를 연결하는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는 단자함 본체부와; 상기 설정된 다수의 배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다수의 개구에 배치되는 다수의 커버; 및 설정된 상기 다수의 배치 위치 중, 어느 하나의 배치 위치가 선택되면, 상기 단자함 본체부를 상기 레일부를 따라 선택된 상기 배치 위치에 이동 배치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레일부를 따라 상기 단자함 본체부를 이동시키는 이동 모터와, 설정된 상기 다수의 배치 위치 중, 어느 하나의 배치 위치를 선택하는 선택기와, 상기 선택기에 의해 상기 어느 하나의 배치 위치가 선택되며, 상기 단자함 본체부를 선택된 상기 배치 위치에 이동 배치시키도록 상기 이동 모터를 구동시키는 제어기를 구비한다.
상기 레일부는, 설정된 다수의 배치 위치를 연결하도록 상기 벽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안내 레일과, 상기 안내 레일에 이동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단자함 본체부가 고정되는 이동 체인과, 상기 이동 체인에 연결되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이동 체인을 이동시키는 이동 기어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 모터의 모터축은, 상기 이동 기어의 회전 중심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기어를 회전시킨다.
상기 다수의 개구 각각의 인근에는, 승강되는 승강축을 갖는 승강 실린더들이 설치된다.
상기 다수의 커버 각각은, 상기 승강축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축의 승강 동작에 따라 상기 개구를 개폐한다.
상기 승강축은, 제 1승강축과, 제 2승강축을 구비한다.
상기 제 1승강축은, 상기 승강 실린더에 연결되어 승강된다.
상기 제 2승강축의 일단은, 상기 제 1승강축의 타단에 힌지 연결된다.
상기 제 2승강축의 타단은, 상기 다수의 커버 각각의 단부에 힌지 연결된다.
상기 다수의 개구 각각의 주변 영역에는, 상기 다수의 커버 각각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된다.
상기 승강 실린더들은, 상기 제어기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승강축을 승강시킨다.
상기 단자함 본체부의 단면부에는, 다수의 통신 단자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커버에는, 상기 다수의 통신 단자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안내하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단자함 본체부의 후면부에는, 상기 단자함 본체부를 전후진 시키도록 신축되는 축을 갖는 실린더가 설치된다.
상기 실린더는, 상기 이동 체인에 고정 부재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단자함 본체부가 설정된 상기 다수의 배치 위치 중, 어느 하나의 배치 위치에 이동되면, 상기 실린더를 사용한 축을 전진시켜, 상기 다수의 통신 단자를 상기 다수의 커버 중, 해당 위치에 대응되는 커버에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홀에 끼워져 외부로 노출시킨다.
상기 단자함 본체부의 외곽 테두리에는, 상기 내부 공간에서의 공기를 흡입하는 팬이 설치된다.
상기 팬을 통해 강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벽체에 설치되는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은, 단자함의 위치를 가변시켜 배치하도록 함과 아울러, 해당 위치에서 벽체에 탈착되는 단자홈들이 단자함의 통신 단자들을 끼워 배치하도록 하여, 단자함 자체가 실내에 노출되도록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위 세대용 통신 단자함 설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단위 세대용 통신 단자함 설치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커버들의 배치 및 단자함 본체부의 이동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통신 단자들이 커버의 관통홀들에 끼워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 하여, 본 발명의 단위 세대용 통신 단자함 설치 구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위 세대용 통신 단자함 설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단위 세대용 통신 단자함 설치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커버들의 배치 및 단자함 본체부의 이동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통신 단자들이 커버의 관통홀들에 끼워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단위 세대용 통신 단자함 설치 구조는 벽체(1) 내측 공간(1a)에 설치되며, 설정된 다수의 배치 위치(a)를 연결하는 레일부(100)와,
상기 레일부(10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는 단자함 본체부(200)와,
상기 설정된 다수의 배치 위치(a)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다수의 개구(11)에 배치되는 다수의 커버(300)와,
설정된 상기 다수의 배치 위치(a) 중, 어느 하나의 배치 위치가 선택되면, 상기 단자함 본체부(200)를 상기 레일부(100)를 따라 선택된 상기 배치 위치에 이동 배치시키는 이동부(400)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부(400)는, 상기 레일부(100)를 따라 상기 단자함 본체부(200)를 이동시키는 이동 모터(410)와, 설정된 상기 다수의 배치 위치(a) 중, 어느 하나의 배치 위치(a)를 선택하는 선택기(420)와, 상기 선택기(420)에 의해 상기 어느 하나의 배치 위치(a)가 선택되며, 상기 단자함 본체부(200)를 선택된 상기 배치 위치(a)에 이동 배치시키도록 상기 이동 모터(410)를 구동시키는 제어기(4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레일부(100)는, 설정된 다수의 배치 위치(a)를 연결하도록 상기 벽체(1)의 내부 공간(1a)에 설치되는 안내 레일(110)과, 상기 안내 레일(110)에 이동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단자함 본체부(200)가 고정되는 이동 체인(120)과, 상기 이동 체인(120)에 연결되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이동 체인(120)을 이동시키는 이동 기어(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 모터(410)의 모터축(미도시)은, 상기 이동 기어(130)의 회전 중심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기어(130)를 회전시킨다.
상기 다수의 개구(11) 각각의 인근에는, 승강되는 승강축(510)을 갖는 승강 실린더들(500)이 설치된다.
상기 다수의 커버(300) 각각은, 상기 승강축(510)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축(510)의 승강 동작에 따라 상기 개구(11)를 개폐한다.
상기 승강축(510)은, 제 1승강축(511)과, 제 2승강축(512)을 구비한다.
상기 제 1승강축(512)은, 상기 승강 실린더(500)에 연결되어 승강된다.
상기 제 2승강축(512)의 일단은, 상기 제 1승강축(511)의 타단에 힌지 연결된다.
상기 제 2승강축(512)의 타단은, 상기 다수의 커버(300) 각각의 단부에 힌지 연결된다.
상기 힌지에는 토션 스프링(513)이 설치된다.
상기 다수의 개구(11) 각각의 주변 영역에는, 상기 다수의 커버(300) 각각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12)이 형성된다.
상기 승강 실린더들(500)은, 상기 제어기(430)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승강축(510)을 승강시킨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단자함 본체부(200)의 단면부에는, 다수의 통신 단자(21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커버(300)에는, 상기 다수의 통신 단자(21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안내하는 다수의 관통홀(310)이 형성된다.
상기 단자함 본체부(200)의 후면부에는, 상기 단자함 본체부(200)를 전후진 시키도록 신축되는 축(221)을 갖는 실린더(220)가 설치된다.
상기 실린더(220)는, 상기 이동 체인(120)에 고정 부재(140)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제어기(430)는, 상기 단자함 본체부(200)가 설정된 상기 다수의 배치 위치(a) 중, 어느 하나의 배치 위치(a)에 이동되면, 상기 실린더(220)를 사용한 축(221)을 전진시켜, 상기 다수의 통신 단자(210)를 상기 다수의 커버(300) 중, 해당 위치에 대응되는 커버(300)에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홀(310)에 끼워져 외부로 노출시킨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단자함 본체부(200)의 외곽 테두리에는, 상기 내부 공간(1a)에서의 공기를 흡입하는 팬(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팬을 통해 강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벽체(1)에 설치되는 배출관(미도시)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의 구성 및 작용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단자함의 위치를 가변시켜 배치하도록 함과 아울러, 해당 위치에서 벽체에 탈착되는 단자홈들이 단자함의 통신 단자들을 끼워 배치하도록 하여, 단자함 자체가 실내에 노출되도록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단위 세대용 통신 단자함 설치 구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벽체
100 : 레일부
200 : 단자함 본체부
300 : 커버
400 : 이동부

Claims (4)

  1. 벽체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며, 설정된 다수의 배치 위치를 연결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는 단자함 본체부;
    상기 설정된 다수의 배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다수의 개구에 배치되는 다수의 커버; 및
    설정된 상기 다수의 배치 위치 중, 어느 하나의 배치 위치가 선택되면, 상기 단자함 본체부를 상기 레일부를 따라 선택된 상기 배치 위치에 이동 배치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세대용 통신 단자함 설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레일부를 따라 상기 단자함 본체부를 이동시키는 이동 모터와,
    설정된 상기 다수의 배치 위치 중, 어느 하나의 배치 위치를 선택하는 선택기와,
    상기 선택기에 의해 상기 어느 하나의 배치 위치가 선택되며, 상기 단자함 본체부를 선택된 상기 배치 위치에 이동 배치시키도록 상기 이동 모터를 구동시키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세대용 통신 단자함 설치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설정된 다수의 배치 위치를 연결하도록 상기 벽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안내 레일과,
    상기 안내 레일에 이동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단자함 본체부가 고정되는 이동 체인과,
    상기 이동 체인에 연결되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이동 체인을 이동시키는 이동 기어를 구비하되,
    상기 이동 모터의 모터축은, 상기 이동 기어의 회전 중심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기어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세대용 통신 단자함 설치 구조.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개구 각각의 인근에는, 승강되는 승강축을 갖는 승강 실린더들이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커버 각각은, 상기 승강축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축의 승강 동작에 따라 상기 개구를 개폐하되,
    상기 승강축은,
    제 1승강축과, 제 2승강축을 구비하되,
    상기 제 1승강축은, 상기 승강 실린더에 연결되어 승상되고,
    상기 제 2승강축의 일단은, 상기 제 1승강축의 타단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 2승강축의 타단은, 상기 다수의 커버 각각의 단부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개구 각각의 주변 영역에는, 상기 다수의 커버 각각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 실린더들은, 상기 제어기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승강축을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세대용 통신 단자함 설치 구조.

KR1020160031039A 2016-03-15 2016-03-15 단위 세대용 통신 단자함 설치 구조 KR101625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039A KR101625904B1 (ko) 2016-03-15 2016-03-15 단위 세대용 통신 단자함 설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039A KR101625904B1 (ko) 2016-03-15 2016-03-15 단위 세대용 통신 단자함 설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5904B1 true KR101625904B1 (ko) 2016-05-31

Family

ID=56099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1039A KR101625904B1 (ko) 2016-03-15 2016-03-15 단위 세대용 통신 단자함 설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59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716B1 (ko) 2017-07-14 2017-11-03 주식회사대명전력 송배전용 전선단자함 결합구조
KR102210569B1 (ko) * 2020-09-07 2021-02-03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모바일과 연계한 통신 통합 관리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645B1 (ko) 2006-11-13 2007-04-13 주식회사 천일건축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통합단자함 구조
KR101504935B1 (ko) 2015-02-25 2015-03-23 (주)부건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세대별 통신 단자함
KR101526919B1 (ko) 2015-02-26 2015-06-09 (주)부건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내 통신 케이블 연결용 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645B1 (ko) 2006-11-13 2007-04-13 주식회사 천일건축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통합단자함 구조
KR101504935B1 (ko) 2015-02-25 2015-03-23 (주)부건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세대별 통신 단자함
KR101526919B1 (ko) 2015-02-26 2015-06-09 (주)부건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내 통신 케이블 연결용 커넥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716B1 (ko) 2017-07-14 2017-11-03 주식회사대명전력 송배전용 전선단자함 결합구조
KR102210569B1 (ko) * 2020-09-07 2021-02-03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모바일과 연계한 통신 통합 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0477B1 (en) Modular device backbone for a network of user-swappable products
CA2277797C (en) Communications cable interconnec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an open office architecture
US20080055849A1 (en) Intelligent Outdoor Cabinet
KR101504935B1 (ko) 공동주택 세대별 통신 단자함
KR101625904B1 (ko) 단위 세대용 통신 단자함 설치 구조
KR101749649B1 (ko) 정보통신 리모델링용 공동주택 세대단자함 장치
TWI332482B (en) Door frame of a shaft door with a control arrangement and method for access to a control unit
KR102156205B1 (ko) 공동주택의 통신 단자함 시스템
JP2005312184A (ja) 無線アクセスライン延伸装置
KR100607472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 전선보호덕트
KR102115019B1 (ko) 정보통신 리모델링용 공동주택 서랍식 세대단자함
EP0869229A2 (en) Lighting device
CN203513004U (zh) 无机房电梯装置
FI101493B (fi) Rakennus
TW202026504A (zh) 用於建築之核心物
KR100938930B1 (ko) 방폭형 배전함
KR101071944B1 (ko) 태양광 발전 아파트
CN211428666U (zh) 一种物联网工程配电箱
KR20080002704U (ko) 공동주택의 주방 및 실내 겸용 환기설비
KR20040095066A (ko) 공장용 환기창문의 자동 개폐장치
CN201637906U (zh) 家庭信息箱
SE529235C2 (sv) Förfarande för att åstadkomma schakt med minst två installationsmoduler i en flervåningsbyggnad, installationsmodul och flervåningsbyggnad med installationsmodul
KR100788126B1 (ko) 유압리프트에 의해 승하강되는 통신캐비넷을 구비한 지하수용함체
RU2681150C1 (ru) Подъемная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с подъемной панелью
RU2672068C1 (ru) Подъемная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с фиксированной панелью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