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5886B1 - 발광모듈 - Google Patents

발광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5886B1
KR101625886B1 KR1020140147711A KR20140147711A KR101625886B1 KR 101625886 B1 KR101625886 B1 KR 101625886B1 KR 1020140147711 A KR1020140147711 A KR 1020140147711A KR 20140147711 A KR20140147711 A KR 20140147711A KR 101625886 B1 KR101625886 B1 KR 101625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bstrate
light source
cover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7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9907A (ko
Inventor
곽진성
김용진
정서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7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886B1/ko
Priority to US14/552,078 priority patent/US9939144B2/en
Publication of KR20160049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9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83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the elements having apertures, ducts or channels, e.g. heat radiation h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4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은 몸체, 상기 몸체의 일면에 위치되는 광원유닛, 상기 몸체의 일면과 마주보는 상기 몸체의 타면에 위치되는 다수의 방열핀, 상기 몸체의 일면에서 상기 몸체의 타면 방향으로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공기가 유동되는 에어홀, 상기 에어홀의 테두리에서 상기 몸체의 타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에어홀과 연통되어 공기가 안내되는 공기 안내부 및 상기 광원유닛을 덮고 상기 에어홀과 대응되는 커버홀을 가지는 광학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커버는, 상기 커버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아래로 연장된 이너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이너 격벽은 상기 에어홀 주변의 상기 몸체에 일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광모듈{LIGHTING DEVICE MODULE}
실시예는 발광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또는 실외의 조명등으로 전구나 형광등이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전구 또는 형광등의 경우 수명이 짧아 자주 교환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형광등은 그 사용시간이 지남에 따라 열화가 발생하여 조도가 점차 떨어지는 현상이 과도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우수한 제어성, 빠른 응답속도, 높은 전기광 변환효율, 긴 수영, 적은 소비전력 및 높은 휘도의 특성 및 감성 조명을 구현할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를 채용하는 여러 가지 형태의 조명 모듈이 개발되고 있다.
발광 다이오드(LED)는 전기 에너지를 빛으로 변환하는 반도체 소자의 일종이다. 발광 다이오드는 형광등, 백열등 등 기존의 광원에 비해 저소비전력, 반영구적인 수명, 빠른 응답속도, 안전성, 환경친화성의 장점을 가진다. 이에 기존의 광원을 발광 다이오드로 대체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미 발광 다이오드는 실내 외에서 사용되는 각종 액정표시장치, 전광판, 가로등 등의 조명 장치의 광원으로서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발광소자는 조립의 편의성, 외부의 충격 및 수분에서 보호하기 위해서 발광모듈 형태로 제작된다.
발광모듈은 다수의 발광소자가 높은 밀도로 집적되어서 높은 열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또한, 광 반도체를 광원으로 사용한 조명장치는 최근 실외의 경관 조명용이나 보안용 등으로도 활용되는 바, 제품의 조립과 시공이 편리해야 하고, 대기 중에 노출되어 사용되는 제품인 만큼 방수성의 유지 또한 관건 중의 하나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점검 및 보수가 편리하고 분리 및 체결이 간편함은 물론, 방수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구조를 지닌 장치의 개발이 절실하다고 할 것이다.
실시예는 발광소자에서 발생된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하고, 체결이 간단하며, 방수 성능이 우수한 에 따른 발광모듈 및 조명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은 몸체, 상기 몸체의 일면에 위치되는 광원유닛, 상기 몸체의 일면과 마주보는 상기 몸체의 타면에 위치되는 다수의 방열핀, 상기 몸체의 일면에서 상기 몸체의 타면 방향으로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공기가 유동되는 에어홀, 상기 에어홀의 테두리에서 상기 몸체의 타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에어홀과 연통되어 공기가 안내되는 공기 안내부 및 상기 광원유닛을 덮고 상기 에어홀과 대응되는 커버홀을 가지는 광학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커버는, 상기 커버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아래로 연장된 이너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이너 격벽은 상기 에어홀 주변의 상기 몸체에 일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의 발광모듈에 의하면, 공기 안내부와 에어홀의 내부는 발광모듈의 외부 보다 높은 온도를 가지게 되고, 공기 안내부와 에어홀 내의 공기는 부력을 받아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발광소자의 외부 영역 중 하부 영역의 차가운 공기가 유입되게 되므로,(굴뚝 효과) 발광모듈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에어홀과 공기 안내부를 통과한 공기의 유속은 일반적인 열에 의한 대류 보다 빨라서, 열 방출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잇다.
또한, 실시예는 별도의 팬을 사용하지 않고도, 팬을 사용하여 냉각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조명기기를 사용하면, 굴뚝효과로 인해 발광모듈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고, 별도의 팬을 사용하지 않아서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에어홀 주변에 광학커버가 끼움되어서 에어홀에서 유입되는 수분 및 이물질을 방지하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실시예는 에어홀에 주변에 형성되어 에어홀에서 유입되는 수분을 방지하는 이너 결합홈이 에어홀의 내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어서, 에어홀로 유동되는 공기의 간섭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광원유닛을 감싸게 아우터 격벽이 형성되어서 광학커버가 광원유닛으로 유입되는 수분 및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아우터 격벽의 일부와 기판의 테두리가 광원 안착홈에 끼워지므로, 광원유닛을 효과적으로 고정하며 방수 성능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존재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의 사시도,
도 2 는 도 1의 발광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3 은 도 1의 발광모듈의 정면도,
도 4 는 도 1의 발광모듈의 측면도,
도 5는 도 1의 발광모듈의 배면도,
도 6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의 일면과 광원유닛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도 6b는 도 1에 따른 발광모듈의 A-A선을 취한 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커버의 단면도,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커버를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8는 실시예에 발광모듈의 공기유속 분포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을 포함하는 모듈 어레이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모듈 어레이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발광모듈을 포함하는 조명기기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의 사시도, 도 2 는 도 1의 발광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3 은 도 1의 발광모듈의 정면도, 도 4 는 도 1의 발광모듈의 측면도, 도 5는 도 1의 발광모듈의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100)은 몸체(120), 몸체(120)의 일면에 위치되는 광원유닛(110), 몸체(120)의 일면과 마주보는 몸체(120)의 타면에 위치되는 다수의 방열핀(130), 몸체(120)의 일면에서 몸체(120)의 타면 방향으로 몸체(120)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공기가 유동되는 에어홀(122), 에어홀(122)의 테두리에서 몸체(120)의 타면 방향으로 연장되고, 에어홀(122)과 연통되어 공기가 안내되는 공기 안내부(160) 및 광원유닛(110)을 덮고 에어홀(122)과 대응되는 커버홀(143)을 가지는 광학커버(140)를 포함한다.
광원유닛(110)은 빛을 생성하는 모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원유닛(110)은 기판(112)과 기판(112) 상에 배치되고, 기판(1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광소자(111)를 포함한다.
기판(112)은 몸체(120)의 일 면에 배치된다. 여기서, 몸체(120)의 일면은 도 1에서 몸체(120)의 상면을 의미한다. 이러한 기판(112)은 몸체(120)의 일 면에 대응하여 사각형의 판 형상을 갖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다각형 형상, 타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기판(112)은 절연체에 회로 패턴이 인쇄된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일반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메탈 코아(Metal Core) PCB, 연성(Flexible) PCB, 세라믹 PCB 등일 수 있다.
여기서, 광원유닛(110)은 인쇄회로기판 위에 패키지 하지 않은 LED 칩을 직접 본딩할 수 있는 COB(Chips On Board)일 수 있다. COB는 세라믹 재질을 포함하여 열에 대한 내열성 및 절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기판(112)의 상면은 광을 효율적으로 반사할 수 있는 재질로 코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판(112)의 상면은 백색 또는 은색의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발광소자(111)는 하나 또는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발광소자(111)가 배치되는 경우, 각각의 발광소자(111)는 서로 다른 색을 출광하거나, 서로 다른 색온도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광원유닛(110)의 몸체(120)의 일면에 형성된 광원 안착홈(121)에 위치되어서, 몸체(1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광원 안착홈(121)은 몸체(120)의 일면이 함몰되어 형성되고, 기판(112)은 광원 안착홈(121)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져서 광원 안착홈(121)에 결합될 수 있다.
물론,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광원 안착홈(121)은 기판(112)의 테두리와의 사이에 광학커버(140)의 아우터 격벽(145)(146)이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는 기판(112)을 몸체(120)에 결합하는데 볼트와 같은 패스너(f)가 이용된다. 몸체(120)와 기판(112)에는 각각 패스너(f)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홈 및 홀(114-1, 114)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기판(112)에는 돌출되어 광학커버(140)가 삽입되는 얼라이먼트 홀(115)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기판(112)에는 에어홀(122)과 연통되는 기판홀(113)이 형성될 수 있다.
기판홀(113)은 에어홀(122)과 수직(Y축 방향)적으로 중첩되게 위치되고, 서로 연통되어서,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수직의 의미는 수학적 의미의 완전한 수직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공학적 의미에서 오차를 포함하는 수직을 의미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기판홀(113)은 에어홀(122)에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를 가진다. 기판홀(113)은 기판(112)의 폭 방향 중앙에 기판(1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이때, 기판(112)상에 위치되는 다수의 발광소자(111)는 기판홀(113)을 감싸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판홀(113)은 기판(112)이 Y축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고, 발광소자(111)들은 X-Z축 평면에서 기판홀(113)을 감싸게 배치될 수 있다.
기판(112)과 광원 안착홈(121)의 사이에는 열 전달을 향상시키는 방열 패드(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열 패드(150)는 광원 안착홈(121)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열 전달이 우수하고, 접착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열 패드(150)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열 패드(150)는 필름 형상을 가지고, 에어홀(122)과 연통되는 패드홀(153)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120)는 광원유닛(110)이 안착되는 장소를 제공하고, 광원유닛(110)에서 발생된 열을 방열핀(130)에 전달한다. 열 전달 효율을 높이기 위해, 몸체(120)는 열 방출 효율이 뛰어 난 금속 재질 또는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몸체(120)의 재질은 알루미늄(Al), 니켈(Ni), 구리(Cu), 은(Ag), 주석(S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몸체(120)는 폴리프탈아미드(PPA:Polyphthalamide)와 같은 수지 재질, 실리콘(Si), 알루미늄(Al), 알루미늄 나이트라이드(AlN), 액정폴리머(PSG, photo sensitive glass), 폴리아미드9T(PA9T), 신지오택틱폴리스티렌(SPS), 금속 재질, 사파이어(Al2O3), 베릴륨 옥사이드(BeO), 세라믹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120)는 사출 성형, 에칭 공정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몸체(120)의 일면에는 광원유닛(110)이 위치되고, 몸체(120)의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에는 발열핀(130)이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몸체(120)는 일면에 광원유닛(110)이 안착되는 광원 안착홈(121)이 형성되고,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에 다수의 방열핀(130)이 위치될 수 있다.
몸체(120)는 플레이트 형상이고, 평면(X-Z축 평면) 형상은 사각형일 수 있다.
몸체(120)의 모서리에는 조명기기 등에 결합될 때, 나사가 관통하는 나사홀(126)이 형성될 수 있다.
광원유닛(110)이 결합되고, 광학커버(140)가 결합되는 몸체(120)의 일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특히, 도 3을 참조하면, 방열핀(130)은 공기와 접촉되는 면적을 극대화 하기 위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열핀(130)은 몸체(120)의 타면(예를 들면, 하부면)에서 하부 방향(Y축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방열핀(130)은 일정한 피치를 가지고 다수 개가 배치될 수 있고, 방열핀(130)의 폭은 몸체(120)의 열을 효과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도록, 몸체(120)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방열핀(130)의 몸체(120)와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고,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방열핀(130)은 열 전달이 우수한 물질, 예를 들면, 알루미늄(Al), 니켈(Ni), 구리(Cu), 은(Ag), 주석(S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방열핀(130)은 몸체(120)의 폭 방향(X축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몸체(120)의 길이(Z축 방향)방향으로 일정한 피치를 가지며 다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방열핀(130)의 중앙부(131)는 방열핀(130)의 양단부(133) 보다 몸체(120) 방향으로 함몰될 수 있다.
발광소자(111)는 방열핀(130)의 양단부(133)와 수직적으로 중첩되게 위치되므로, 방열핀(130)의 양단부(133)는 방열핀(130)의 중앙부(131) 보다 높게 형성되어서, 공기와 접촉면적을 확대하고, 방열핀(130)의 중앙부(131)는 제조비용을 절약할 수 있게 형성된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에어홀(122)은 몸체(120)의 일면에서 방열핀(130) 방향(Y축 방향)으로 몸체(120)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공기가 유동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에어홀(122)은 몸체(120)의 중앙 부위에 몸체(12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에어홀(122)은 기판(112)에 형성되는 기판홀(113), 광학커버(140)에 형성되는 커버홀(143) 및 방열 패드(150)에 형성되는 패드홀(153)과 수직적으로 중첩되며,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에어홀(122)은 에어홀(122)의 내측과 외측 사이의 온도차에 의해 공기를 순환시키고, 이 순환되는 공기는 방열핀(130) 및 몸체(120)의 냉각을 가속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어홀(122)은 방열핀(130)들의 중앙부(131)와 수직적으로 중첩되게 위치되고, 발광소자(111)들은 방열핀(130)의 양단부(133)와 수직적으로 중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에어홀(122)은 몸체(120)의 중앙 부위에 제 1방향(Z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발광소자(111)들은 에어홀(1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발광소자(111)들의 과반수 이상은 에어홀(122)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변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발광소자(111)들이 2열로 제1방향으로 다수 개가 배치되고, 발광소자(111)의 열 사이에 에어홀(122)이 제1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에어홀(122)의 길이방향의 변에 발광소자(111)들의 과반수 이상이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열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기판홀(113)은 에어홀(122)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방에서 보아, 에어홀(122)의 면적은 몸체(120)의 면적 대비 10% 내지 20%일 수 있다.
에어홀(122)의 테두리에서 몸체(120)의 타면 방향(Y축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에어홀(122)과 연통되어 공기가 안내되는 공기 안내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도 5를 참조하면, 공기 안내부(160)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테두리가 에어홀(122)의 테두리와 중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즉, 공기 안내부(160)는 에어홀(122)을 감싸는 굴뚝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기 안내부(160)의 내면은 에어홀(122)의 내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어서, 공기 안내부(160)와 에어홀(122)의 사이에서 공기의 유동이 방해되지 않게 할 수 있다.
공기 안내부(160)는 열 전달 효율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기 안내부(160)의 재질은 알루미늄(Al), 니켈(Ni), 구리(Cu), 은(Ag), 주석(S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안내부(160)는 폴리프탈아미드(PPA:Polyphthalamide)와 같은 수지 재질, 실리콘(Si), 알루미늄(Al), 알루미늄 나이트라이드(AlN), 액정폴리머(PSG, photo sensitive glass), 폴리아미드9T(PA9T), 신지오택틱폴리스티렌(SPS), 금속 재질, 사파이어(Al2O3), 베릴륨 옥사이드(BeO), 세라믹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안내부(160)는 다수의 방열핀(130) 중 적어도 일부와 열적으로 연결되어서, 발광소자(111)에서 방열핀(130)으로 전달된 열이 공기 안내부(160)로 전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 안내부(160)의 외면에는 다수의 방열핀(130) 중 적어도 일부가 연결될 수 있다.
공기 안내부(160)의 내부에 발열핀(130)이 위치되지 않으므로, 공기 안내부(160)로 유동되는 공기가 발열핀(130)에 의해 간섭되지 않는다.
또한, 몸체(120)에는 발광소자(111)에 전원을 공급하는 커넥터(190)과 관통하는 커넥터홀(124)이 형성될 수 있다.
광학커버(140)는 광원유닛(110)을 덮어서, 광원유닛(110)에서 생성되는 광을 성질을 변경하고, 외부에서 광원유닛(110)으로 침투되는 수분을 방지한다.
광학커버(140)는 휘도 및 빛의 조사 면적의 증감을 위하여 표면에 광확산 도료(미도시)가 도포되도록 하거나 광확산 필름(미도시)을 부착시키거나, 광학 광확산 물질이 혼합된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등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광확산 도료는 PMMA 또는 실리콘 등과 같은 유기입자 비드(bead)를 포함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의 광학커버(140)의 경우, 몸체(120)에 조립하기 용이하고, 광원유닛(110)을 외부와 밀폐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서, 광학커버(140)와 광학커버(140)가 삽입되는 몸체(120)의 일면의 구조에 대해 상술하도록 한다.
도 6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의 일면과 광원유닛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도 6b는 도 1에 따른 발광모듈의 A-A선을 취한 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커버의 단면도,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커버를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광학커버(140)의 상세한 구조를 설명하기 전에, 광학커버(14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몸체(120)의 구조에 관해 상술한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몸체(120)의 일면에는 적어도 광원유닛(110)을 커버하며, 광원유닛(110)을 밀폐하는 광학커버(140)가 삽입되어 결합되게 된다.
예를 들면, 몸체(120)의 일면에는 에어홀(122)에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이너 결합홈(210)이 형성된다.
이너 결합홈(210)은 후술하는 광학커버(140)의 이너 격벽(144)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장소를 제공한다.
이너 결합홈(210)은 상부에서 보아 에어홀(122)을 감싸게 에어홀(122)의 둘레방향을 따라 몸체(120)의 일면에 형성된다.
예를 들면, 이너 결합홈(210)은 몸체(120)의 일면(상면)이 아래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너 결합홈(210)의 형상 및 크기는 이너 격벽(144)과 대응된다.
다른 예를 들면, 도 6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몸체(120)의 일면에는 아래로 함몰되어 적어도 광원유닛(110)의 기판(112)이 안착되는 광원 안착홈(121)이 형성되고, 이너 결합홈(210)은 광원 안착홈(121)의 바닥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돌기(221,222)들에 의해 정의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120)는 제1 이너 돌기(221)와, 제2 이너 돌기(222)를 더 포함하고, 이너 결합홈(210)은 제1 이너 돌기(221)와, 제2 이너 돌기(22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제1 이너 돌기(221)는 몸체(120)의 일면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제1 이너 돌기(221)는 상부에서 보아 에어홀(122)의 주변에서 에어홀(122)을 감싸게 배치된다.
또한, 공기의 유동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제1 이너 돌기(221)의 내측면(Inner side surface)은 에어홀(122)의 내측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이너 돌기(221)는 제2 이너 돌기(222) 보다 에어홀(122)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제2 이너 돌기(222)는 제1 이너 돌기(221)와 함께 이너 결합홈(210)을 정의한다. 즉, 제2 이너 돌기(222)는 제1 이너 돌기(221)에서 외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제1 이너 돌기(221)를 감싸게 배치된다.
이 때, 제2 이너 돌기(222)는 광원유닛(110)의 기판홀(113)에 끼움된다. 구체적으로, 기판홀(113)은 제2 이너 돌기(222)의 외면 형상에 대응되게 형상되고, 제2 이너 돌기(222)는 기판홀(113)의 내부에 끼움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 이너 돌기(222)의 두께는 기판(112)의 두께와 대응될 수 있다.
한편, 전체적으로, 몸체(120)의 일면의 구조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몸체(120)의 일면의 중앙에는 에어홀(122)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에어홀(122)을 감싸며 이너 결합홈(210)을 정의하는 제1 이너 돌기(221) 및 제2 이너 돌기(222)가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120)의 일면에서 이너 결합홈(210)과 몸체(120)의 일면의 테두리 사이에는 광원유닛(110)의 기판(112)이 안착되는 광원 안착홈(121)이 정의 된다.
여기서, 광원 안착홈(121)은 적어도 기판(112)이 내부에 위치되도록 기판(112)의 크기와 형상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광원 안착홈(121)은 상부에서 보아 이너 결합홈(210)과 몸체(120) 일면의 가장자리를 제외한 영역이 아래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광원 안착홈(121)은 기판(112) 보다 확장된 크기를 가져서, 후술하는 아우터 격벽(145)(146)이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광원 안착홈(121)의 주변에는 광원 안착홈(121)의 둘레를 따라 광학커버(140)의 테두리가 안착되는 커버 안착홈(149)이 형성된다.
여기서, 기판(112)의 두께를 고려하여서, 광원 안착홈(121)의 바닥은 커버 안착홈(149)의 바닥 보다 하부에 위치되고, 광원 안착홈(121)은 커버 안착홈(149)의 내부에 수용된다.
또한, 몸체(120)의 일면에는 광원유닛(110)의 커버홈(148)에 삽입되는 아우터 돌기(225)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아우터 돌기(225)는 기판(112)의 외측면(테두리)과의 사이에 아우터 격벽(145)(146)(상세히는, 제1 아우터 격벽(145))이 삽입되는 공간(227)을 정의한다.
구체적으로, 아우터 돌기(225)는 상부에서 보아 기판(112)의 둘레를 따라 기판(112)을 감싸고, 기판(112)에서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 때, 광원 안착홈(121)은 아우터 돌기(225)와 제2 이너 돌기(222)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몸체(120)에는 후술하는 제2 아우터 격벽(146)이 삽입되는 아우터 결합홈(2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결합홈(228)은 제2 아우터 격벽(146)이 삽입되는 공간을 정의한다. 아우터 결합홈(228)은 기판(112)을 감싸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아우터 결합홈(228)은 아우터 돌기(225)와 커버 안착홈(149)의 사이에 정의 된다.
특히, 광학커버(140)와 기판(112)의 두께를 감안하면, 몸체(120)의 일면에 광학커버(140)에 대응되는 커버 안착홈(149)이 함몰되어 형성되고, 커버 안착홈(149)의 내부에 커버 안착홈(149) 보다 아래로 함몰된 광원 안착홈(121)이 형성되면서, 광원 안착홈(121)과 같은 높이로, 이너 결합홈(210) 및 아우터 결합홈(228)의 바닥이 형성된다.
이 때, 제1 이너 돌기(221), 제2 이너 돌기(222), 아우터 돌기(225)가 몸체(120)의 일면(상세히는 광원 안착홈(121)의 바닥)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이너 결합홈(210) 및 아우터 결합홈(228)을 정의한다.
물론, 제1 이너 돌기(221), 제2 이너 돌기(222), 아우터 돌기(225)의 상단은 커버 안착홈(149)의 바닥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120)의 테두리에는 후술하는 광학커버(140)의 끼움 날개(147)가 삽입되는 삽입홈(121b)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광학커버(140)는 삽입홈(121b)이 끼움되지 않고 접착제 등으로 접착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홈(121b)은 몸체(120)의 일면의 양단에서 돌출된 돌출단(121a)이 양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삽입홈(121b)은 커버 안착홈(149)의 외측면이 외측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하, 상술한 몸체(120)의 일면에 삽입 결합되는 광학커버(140)에 대해 설명한다.
도 6b 내지 7b를 참조하면, 예를 들면, 광학커버(140)는 플레이트(Plate) 형상으로 적어도 광원유닛(110)을 커버한다.
다른 예를 들면, 광원유닛(110)의 발광소자(111)에서 생성되는 광의 지향각을 변경시키기 위해 발광소자(111)에 대응되는 렌즈(141)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광학커버(140)는 광학 플레이트(142)와 광학 플레이트(142)에 배치되는 렌즈(141)를 포함한다.
렌즈(141)는 발광소자(111)에서 생성된 광을 확산시킨다. 렌즈(141)는 그 형상에 따라 발광소자(111)에서 생성된 빛의 확산각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렌즈(141)는 볼록한 형태로 발광소자(111)를 몰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렌즈(141)는 광을 투과하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렌즈(141)는 투명한 실리콘, 에폭시, 및 기타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렌즈(141)는 광확산 효과를 도모할 수 있도록 볼록 렌즈 또는 오목 렌즈(이하 미도시)를 적용할 수 있다.
렌즈(141)는 광확산 효과의 도모를 위하여 도 6b과 같이 적어도 둘 이상의 타원구(141a, 141b)를 광학 플레이트(142)에 대하여 경사지게 겹쳐 배치된 형상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광학 플레이트(142)는 적어도 기판(112)과 발광소자(111)의 상부를 덮고, 기판(112) 보다 확장된 크기를 가진다.
광학 플레이트(142)에는 발광소자(111)에 대응되는 위치에 렌즈(141)가 구비된다.
광학 플레이트(142)에는 에어홀(122)과 대응되는 커버홀(143)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홀(143)은 광학 플레이트(142)의 중앙에 상하방향(Y축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광학커버(140)는 이너 격벽(144)을 더 포함한다.
이너 격벽(144)은 몸체(120)의 일면에 삽입 결합되어 에어홀(122) 방향에서 광원유닛(110)으로 유입되는 수분을 방지한다.
이너 격벽(144)은 에어홀(122) 주변을 형성하는 몸체(120)에 일면에 삽입된다.
이너 격벽(144)은 몸체(120)의 일면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 및 이물질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너 격벽(144)은 이너 결합홈(210)에 빈틈 없이 맞물리게 결합된다. 이때, 이너 결합홈(210)에는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너 격벽(144)은 광학 플레이트(142)에서 에어홀(122)에 대응되는 커버홀(143)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아래로 연장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이너 격벽(144)은 광학 플레이트(142)의 커버홀(143)과의 사이에 제1 이너 돌기(221)가 지지되는 공간(142a)을 형성한다.
또한, 실시예에 광학커버(140)는 아우터 격벽(145)(146)을 더 포함한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 광학커버(140)는 아우터 격벽(145)(146)만 포함하거나, 이너 격벽(144)만 포함하거나, 아우터 격벽(145)(146) 및 이너 격벽(144)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우터 격벽(145)(146)은 몸체(120)의 일면에 삽입 결합되어 몸체(120)의 가장자리에서 광원유닛(110)으로 유입되는 수분을 방지한다.
아우터 격벽(145)(146)은 적어도 광원유닛(110)을 감싸게 몸체(120)에 일면의 가장자리에 삽입된다.
아우터 격벽(145)(146)은 몸체(120)의 일면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 및 이물질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우터 격벽(145)(146)은 아우터 결합홈(228)에 빈틈 없이 맞물리게 결합된다. 이때, 아우터 결합홈(228)에는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우터 격벽(145)(146)은 광학커버(140)의 가장자리에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아래로 연장된다. 아우터 격벽(145)(146)은 상부에서 보아 적어도 광원유닛(110)이 위치되는 폐공간을 형성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아우터 격벽(145)(146)은 기판(112)의 외면을 감싸게 배치된다. 여기서, 외면은 상방에서 보아 에어홀(122)을 감싸는 면 중 에어홀(122)에서 멀게 이격된 면을 의미할 것이다.
또한, 아우터 격벽(145)(146)은 광원 안착홈(121)에 기판(112)과 함께 끼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아우터 격벽(145)이 기판(112)과 함께 광원 안착홈(121)에 끼워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아우터 격벽(145)(146)(상세히는, 제1 아우터 격벽(145))은 아우터 돌기(225)와 기판(112)의 외측면(테두리)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227)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우터 격벽(145)(146)은 제1 아우터 격벽(145)과 제2 아우터 격벽(146)을 포함한다.
제1 아우터 격벽(145)은 기판(112)의 외면과 접하며, 기판(112)을 감싸게 배치된다.
제2 아우터 격벽(146)은 제1 아우터 격벽(145)과 이격되어 제1 아우터 격벽(145)을 감싸게 배치된다. 제2 아우터 격벽(146)은 제1 아우터 격벽(145)과 함께 커버홈(148)을 정의한다.
커버홈(148)에는 아우터 돌기(225)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아우터 격벽(145)(146)은 광학 플레이트(142)의 가장자리에서 내부로 이격된다. 즉, 아우터 격벽(145)(146)은 광학 플레이트(142)의 가장자리에 커버 안착홈(149)에 안착되는 공간(142b)을 정의한다.
광학커버(140)는 광학 플레이트(142)에서 돌출되어 얼라이먼트 홀(115)에 삽입되는 얼라이먼트 돌기(142c)를 구비한다.
또한, 미설명 도면부호 149는 패스너(f)의 헤드가 위치되는 헤드홈이다.
이때, 아우터 결합홈(228)은 커버 안착홈(149)의 가장자리에서 중앙으로 이격되어 위치되어 위치될 수 있다.
광학커버(140)는 몸체(120)에 삽입되는 끼움 날개(147)를 더 포함한다.
끼움 날개(147)는 몸체(120)에 형성된 삽입홈(121b)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삽입홈(121b)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끼움 날개(147)는 광학 플레이트(142)의 양단에서 길이 또는 폭 방향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될 수 있다.
도 8는 실시예에 발광모듈(100)의 공기유속 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8를 참조하여서, 발광모듈의 공기의 흐름과 방열을 설명하도록 한다.
발광모듈(100)은 일반적으로 지상의 물체를 조명하기 위해서, 발광소자(111)가 중력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발광소자(111)에 전원이 인가되면, 발광소자(111)에서 빛이 발생되고, 열이 발생된다.
발광소자(111)에서 발생된 열은 기판(112)과, 방열 패드(150)에 전달되고, 몸체(120), 공기 안내부(160) 및 방열핀(130)으로 확산된다.
특히, 발광소자(111)에 발생된 열은 열전달률이 우수한 몸체(120)와, 방열핀(130) 및 공기 안내부(160)로 대부분이 전달될 것이다.
따라서, 발광모듈(100)의 외부와 내부는 온도차가 발생된다.
특히, 공기 안내부(160) 및 에어홀(122)의 내부는 발광모듈(100)의 외부 보다 높은 온도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공기 안내부(160)와 에어홀(122) 내의 공기는 부력을 받아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발광소자(111)의 외부 영역 중 하부 영역의 차가운 공기가 유입되게 된다(굴뚝 효과).
이러한, 공기의 순환은 외부 공기와 발광소자(111)의 방열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특히,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에어홀(122)과 공기 안내부(160)를 통과한 공기의 유속은 다른 공기의 유속 보다 빠르다.
따라서, 실시예는 별도의 팬을 사용하지 않고도, 팬을 사용하여 냉각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을 포함하는 모듈 어레이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모듈 어레이의 평면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모듈 어레이(30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발광모듈(100)이 결합되어 배열된다.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실시예에 따른 모듈 어레이(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발광모듈(100)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듈 어레이(300)는 발광모듈(100)들이 발광모듈(100)의 몸체(120)의 일면과 나란한 방향(X-Z 평면방향, 이하 수평방향이라 함)으로 다수 개가 배열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모듈 어레이(300)는 다수의 발광모듈(100)들이 일정한 피치를 가지고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듈 어레이(300)는 다수의 발광모듈(100)들이 발광모듈(100)의 폭 방향 또는/및 길이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모듈 어레이(300)는 발광모듈(100)들 사이에 일면에서 타면방향(Y축 방향, 이하 수직방향이라 함)으로 형성되어 공기가 유동되는 공기 유동홀(310)이 형성된다.
공기 유동홀(310)은 발광모듈(100)들 사이에 위치되어서, 공기 유동홀(310)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공기 순환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공기 유동홀(310)의 내부는 발광소자(111)에서 몸체(120)를 통해 전달받은 열에 의해 가열되고, 가열된 공기는 부력에 의해 상부로 상승하며 공기 유동홀(310)의 아래에서 위로 향하는 공기 유동을 형성하게 된다.(이른바 굴뚝효과)
따라서, 발광모듈(100) 사이에 공기 유동홀(310)이 형성되어서, 발광모듈(100)에서 발생된 열을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예를 들면, 공기 유동홀(310)은 서로 인접한 2개의 발광모듈(100)의 몸체(1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 유동홀(310)은 제1발광소자 모듈(100-1)의 몸체(120)와 제1발광소자 모듈(100-1)와 인접하는 제2발광소자 모듈(100-2)의 몸체(1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서로 인접한 2개의 발광소자 모듈의 몸체(120)의 측면(127)은 공기 유동홀(310)의 내주면 중 일부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몸체(120)의 측면(127)은 일면 및 타면과 수직인 면으로 몸체(120)의 측방향 외면을 형성하는 면이다.
물론, 공기 유동홀(310)은 제1발광소자 모듈(100-1)과 폭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2발광소자 모듈(100-2)의 사이에 위치될 수도 있고, 제1발광소자 모듈(100-1)와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3발광소자 모듈(100-3) 사이에 위치될 수도 있다.
모듈 어레이(300)는 서로 인접한 발광모듈(100)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320)는 서로 인접한 발광모듈(100)들의 몸체(12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재(320)는 서로 이격되어 2개가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재(320)는 공기 유동홀(310)의 테두리를 형성하게 되므로, 열 전달이 우수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부재(320)는 열 전달이 우수한 물질, 예를 들면, 알루미늄(Al), 니켈(Ni), 구리(Cu), 은(Ag), 주석(S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서로 이격된 2개의 연결부재(320)의 측면(321)과, 서로 인접한 발광소자 모듈 들(100)의 몸체(120)의 측면(127)이 공기 유동홀(310)의 내주면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재(320)의 측면(321)은 X-Z축 평면과 수직인 면을 의미할 것이다.
예를 들면, 공기 유동홀(310)의 단면형상은 사각형, 다각형 및 원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공기 유동홀(310)의 단면형상이 사각형인 경우, 제1발광소자 모듈(100-1)과 제1발광소자 모듈(100-1)에 인접하는 제2발광소자 모듈(100-2)의 몸체(120)의 측면(127)이 사각형의 마주보는 양면을 형성하고, 제1발광소자 모듈(100-1)과 제2발광소자 모듈(100-2)을 연결하는 2개의 연결부재(320)의 측면(321)이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면을 형성할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복수 개의 발광모듈(100) 들은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발광모듈(100)들 사이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320)에 의해 연결된다. 이때, 연결부재(320)의 측면(321)과 인접한 발광소자 모듈들의 몸체(120)의 측면(127)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는 공기 유동홀(310)이 형성된다.
또한, 연결부재(320)는 몸체(120)의 측면(127) 중 모서리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부재(320)는 몸체(120)의 측면(127) 중 모서리에 인접하게 위치되어서, 공기 유동홀(310)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고, 공기 유동홀(310)의 내부와 외부 간에 공기순환을 더욱 촉진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320)는 몸체(12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몸체(120)와 별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발광모듈을 포함하는 조명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조명기기(1000)는 발광모듈(100)이 결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외간을 형성하는 본체(1100)와,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미도시)가 내장되고, 지지부와 연결하는 연결부(120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의 조명기기(1000)는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시예의 조명기기(1000)는 가로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체(1100)는 적어도 2개의 발광모듈(100)이 위치하는 공간을 제고하도록 다수의 프레임(1110)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200)는 내부에 전원부가 내장되고, 외부에 본체를 고정하는 지지부(미도시)와 본체를 연결한다.
실시예의 조명기기(1000)를 사용하면, 굴뚝효과로 인해 발광모듈(100)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고, 별도의 팬을 사용하지 않아서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발광모듈
120: 몸체
110: 광원유닛
130: 방열핀
122: 에어홀
160: 공기 안내부

Claims (17)

  1. 몸체;
    상기 몸체의 일면에 위치되는 광원유닛;
    상기 몸체의 일면과 마주보는 상기 몸체의 타면에 위치되는 다수의 방열핀;
    상기 몸체의 일면에서 상기 몸체의 타면 방향으로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공기가 유동되는 에어홀;
    상기 에어홀의 테두리에서 상기 몸체의 타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에어홀과 연통되어 공기가 안내되는 공기 안내부; 및
    상기 광원유닛을 덮고 상기 에어홀과 대응되는 커버홀을 가지는 광학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커버는,
    상기 커버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아래로 연장된 이너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이너 격벽은 상기 에어홀 주변의 상기 몸체에 일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면에는 상기 이너 격벽이 삽입되도록 상기 이너 격벽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이너 결합홈을 더 포함하는 발광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일면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이너 돌기와,
    상기 제1 이너 돌기와 함께 상기 이너 결합홈을 정의하는 제2 이너 돌기를 포함하는 발광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너 돌기는 상기 제2이너 돌기 보다 상기 에어홀에 인접하고,
    상기 제1 이너 돌기의 내측면은 상기 에어홀의 내측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는 발광모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유닛은,
    상기 에어홀과 대응되는 기판홀을 가지고, 상기 몸체의 일면에 안착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위치되는 다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이너 돌기는 상기 기판홀에 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는 상기 기판홀을 감싸게 배치되는 발광모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커버는,
    상기 광학커버의 가장자리에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아래로 연장된 아우터 격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아우터 격벽은 상기 광원유닛이 위치되는 폐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몸체에 일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면에는 아래로 함몰되어 적어도 상기 기판이 안착되는 광원 안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 격벽은 상기 광원 안착홈에 상기 기판과 함께 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격벽은 상기 기판의 외면을 감싸게 배치되는 발광모듈.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격벽은,
    상기 기판의 외면과 접하는 제1 아우터 격벽과,
    상기 제1 아우터 격벽과 이격되어 상기 제1 아우터 격벽을 감싸게 배치되는 제2 아우터 격벽과,
    상기 제1 아우터 격벽과 제2 아우터 격벽 사이에 정의되는 커버홈을 포함하는 발광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면에는 상기 커버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커버홈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아우터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 돌기는 상기 기판의 외측면과의 사이에 상기 제1 아우터 격벽이 삽입되는 공간을 정의하는 발광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제2 아우터 격벽이 삽입되는 아우터 결합홈을 더 포함하는 발광모듈.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커버는 상기 몸체에 삽입되는 끼움 날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테두리에는 상기 끼움 날개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더 포함되는 발광모듈.
  14. 몸체;
    상기 몸체의 일면에 위치되는 광원유닛;
    상기 몸체의 일면과 마주보는 상기 몸체의 타면에 위치되는 다수의 방열핀;
    상기 몸체의 일면에서 상기 몸체의 타면 방향으로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공기가 유동되는 에어홀;
    상기 에어홀의 테두리에서 상기 몸체의 타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에어홀과 연통되어 공기가 안내되는 공기 안내부; 및
    상기 광원유닛을 덮고 상기 에어홀과 대응되는 커버홀을 가지는 광학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커버는,
    상기 광학커버의 가장자리에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아래로 연장된 아우터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아우터 격벽은 상기 광원유닛이 위치되는 폐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몸체에 일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모듈.
  15. 제1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안내부는 상기 다수의 방열핀 중 적어도 일부와 열적으로 연결되는 발광모듈.
  16. 제1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안내부의 외면에는 상기 방열핀 중 일부가 연결되는 발광모듈.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면에는 상기 광학커버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광학커버가 안착되는 커버 안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 결합홈은 상기 커버 안착홈의 가장자리에서 중앙으로 이격되어 위치되는 발광모듈.

KR1020140147711A 2013-11-25 2014-10-28 발광모듈 KR101625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711A KR101625886B1 (ko) 2014-10-28 2014-10-28 발광모듈
US14/552,078 US9939144B2 (en) 2013-11-25 2014-11-24 Light emitting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711A KR101625886B1 (ko) 2014-10-28 2014-10-28 발광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907A KR20160049907A (ko) 2016-05-10
KR101625886B1 true KR101625886B1 (ko) 2016-05-31

Family

ID=56021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7711A KR101625886B1 (ko) 2013-11-25 2014-10-28 발광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588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845B1 (ko) 2009-12-24 2010-09-10 쎄딕(주) 냉각 유로를 갖는 엘이디 모듈
KR101234742B1 (ko) 2012-08-23 2013-02-19 주식회사 대한트랜스 조명용 엘이디 모듈스트링
KR101310365B1 (ko) 2012-03-16 2013-09-23 주식회사 포스코엘이디 발광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845B1 (ko) 2009-12-24 2010-09-10 쎄딕(주) 냉각 유로를 갖는 엘이디 모듈
KR101310365B1 (ko) 2012-03-16 2013-09-23 주식회사 포스코엘이디 발광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KR101234742B1 (ko) 2012-08-23 2013-02-19 주식회사 대한트랜스 조명용 엘이디 모듈스트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907A (ko) 201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39144B2 (en) Light emitting module
US10989861B2 (en) Edgelit LED blade fixture
US9518724B2 (en) Light emitting device module array
KR101472403B1 (ko) 발광소자 모듈
JP5756502B2 (ja) 照明装置
US9657923B2 (en) Light emitting module
TWI515387B (zh) 路燈及其發光設備
JP5287547B2 (ja) 発光素子ランプ及び照明器具
KR20150060499A (ko) 모듈 어레이
TW201348646A (zh) 發光二極體燈具
JP5757214B2 (ja) Led照明装置
CN104520642A (zh) 光学半导体照明装置
KR20170005664A (ko) 광원모듈
JP2012069396A (ja) 照明ユニットおよび照明装置
KR101829375B1 (ko) 발광모듈
KR101472400B1 (ko) 모듈 어레이
KR101625886B1 (ko) 발광모듈
KR101760295B1 (ko) 발광모듈
JP2016051649A (ja) 照明器具
KR101742674B1 (ko) 조명 장치
KR102018660B1 (ko) 모듈 어레이
KR102075668B1 (ko) 조명 장치
KR101932063B1 (ko) 조명 장치
JP2015046303A (ja) ランプ
JP2016051650A (ja) 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