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5829B1 - 토목섬유와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구비한 광폭침목 및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한 아스팔트 직결궤도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토목섬유와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구비한 광폭침목 및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한 아스팔트 직결궤도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5829B1
KR101625829B1 KR1020150114717A KR20150114717A KR101625829B1 KR 101625829 B1 KR101625829 B1 KR 101625829B1 KR 1020150114717 A KR1020150114717 A KR 1020150114717A KR 20150114717 A KR20150114717 A KR 20150114717A KR 101625829 B1 KR101625829 B1 KR 101625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de
horizontal
vertical movement
rail
concret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4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혁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14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8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00Ballastway; Other means for supporting the sleepers or the track; Drainage of the ballastway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00Ballastway; Other means for supporting the sleepers or the track; Drainage of the ballastway
    • E01B1/002Ballastless track, e.g. concrete slab trackway, or with asphalt layers
    • E01B1/004Ballastless track, e.g. concrete slab trackway, or with asphalt layers with prefabricated elements embedded in fresh concrete or asphal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00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 E01B3/28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made from concrete or from natural or artificial stone
    • E01B3/32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made from concrete or from natural or artificial stone with armouring or reinforcement
    • E01B3/34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made from concrete or from natural or artificial stone with armouring or reinforcement with pre-tensioned armouring or reinforc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1/00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 E01B2201/04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by bolting, nailing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2/00Characteristics of moving parts of rail systems, e.g. switches, special frogs, tongues
    • E01B2202/08Locking devices or mechanisms for inhibiting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광폭침목 및 콘크리트패널의 모서리에 제1 및 제2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설치하고, 광폭침목 및 콘크리트패널의 하부에 토목섬유를 부착함으로써, 광폭침목 및 콘크리트패널에 가해지는 직접적인 충격을 억제할 수 있고, 광폭침목 및 콘크리트패널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광폭침목의 모서리에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광폭침목의 중앙부 단면을 슬림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광폭침목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토목섬유와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구비한 광폭침목 및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한 아스팔트 직결궤도 및 그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토목섬유와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구비한 광폭침목 및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한 아스팔트 직결궤도 및 그 시공방법 {DIRECT FASTENED ASPHALT TRACK USING EACH WIDE SLEEPER AND CONCRETE SLAB PANEL HAVING GEOTEXTILE AND HORIZONTAL-VERTICAL MOVEMENT RESTRAINING APPARATUS,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아스팔트 직결궤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토목섬유(Geotextile) 및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아스팔트 직결궤도용 광폭침목(Wide Sleeper) 또는 콘크리트패널(Concrete Panel)의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을 구속하는, 토목섬유와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구비한 광폭침목 및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한 아스팔트 직결궤도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차 등이 주행하게 되는 궤도(Track)는 노반 위에 도상(Roadbed)을 마련하고, 그 도상 위에 침목 및 레일을 배치한 것이 널리 알려져 있다. 여기서, 도상은 레일 및 침목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차 하중을 넓게 분산시켜 노반에 전달하고, 침목을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궤도재료로서, 자갈(또는 쇄석)이나 콘크리트가 사용된다.
이러한 궤도의 구조는, 노반 위에 형성한 도상에 침목을 배열하고, 그 위에 한 쌍의 레일을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부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궤도를 구성하는 도상으로는 밸러스트(Ballast), 슬래브(Slab) 등이 있으며, 노선의 다양한 조건을 고려하여 선정되고 있다. 특히, 자갈, 쇄석 등의 밸러스트를 이용한 밸러스트 도상 궤도가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자갈, 쇄석 등의 밸러스트는 침목을 확실히 유지하고, 열차로부터 레일 및 침목을 거쳐 전해지는 하중을 노반에 균등하게 분산시키며, 궤도에 탄성을 갖게 하며, 댐핑 등의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야 하고, 궤도의 배수를 좋게 하여 분니나 잡초의 발생을 방지하는 등의 기능을 갖고 있다.
한편, 열차의 고속화에 따라 궤도구조가 자갈궤도에서 점차 콘크리트 슬래브 궤도 부설로 변화하고 있다. 예를 들면, 고속철도 등의 궤도를 부설함에 있어서 궤도틀림 발생이 큰 문제가 되고 있고, 자갈을 이용한 일반 자갈도상 궤도의 경우, 열차 통행시의 자갈 비산 등의 문제가 크게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토사 지반에 대해서도 콘크리트 슬래브 궤도를 이용하는 방안이 고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이러한 콘크리트 슬래브 궤도의 경우, 콘크리트 슬래브 궤도의 손상시에 유지보수가 어렵고, 또한, 콘크리트 양생으로 인한 건설 기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 등이 있다.
전술한 콘크리트 슬래브 궤도 또는 콘크리트 노반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침목 직결궤도가 적용되는 아스팔트 노반 및 궤도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아스팔트 노반은 콘크리트 노반에 비해서 온도에 따른 아스팔트 재료의 소성 변형이 크게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으로 철도에 부합하는 새로운 아스팔트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아스팔트 노반은 탄성계수가 낮기 때문에 작용하중에 대하여 변형의 발생이 콘크리트 노반에 비해 크게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중에 의한 아스팔트의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재료의 물리적 성질 개선과 더불어 작용하중의 크기를 줄여야 한다.
예를 들면, 도로에서 통행 차량에 의해 아스팔트 면에 발생되는 윤하중 응력과 철도에 작용하는 축중에 의한 침목 하면의 응력을 비교하면, 도로의 윤하중 응력이 0.94MPa이고, 철도의 침목 하면의 응력이 0.498MPa이다. 즉, 도로의 아스팔트에 작용하는 응력이 철도의 침목 하면에 작용하는 응력에 비해 크게 발생하고 있다. 여기서, 철도의 침목 하면에 작용하는 응력이 도로에 비해 작은 이유로서, 철도는 축중이 도로에 비해 크지만 침목 또는 슬래브 궤도에 의한 접지 면적이 도로에 비해 넓기 때문이다. 또한, 도로와 철도의 하중을 비교하면, 도로의 접지압이 철도에 비해 작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아스팔트 상면에 작용하고 있는 압력이 철도가 도로에 비해 낮지만 아스팔트 소성 변형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아스팔트 상면에 작용하는 응력의 감소가 더욱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 기존의 침목의 폭보다 다소 넓은 광폭침목(Wide Sleeper)을 적용함으로써 아스팔트 상면에 작용되는 응력을 낮출 수 있고, 작용 응력 저감으로 인해 변형량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도 1a 내지 도 1d는 각각 종래의 기술에 따른 침목 구속장치를 예시하는 단면도들로서, 도 1a는 GETRAC??A1 슬래브 궤도 시스템을 나타내고, 도 1b는 침목 중앙부에 클립형태 체결구를 사용한 연결 시스템을 나타내며, 도 1c는 Walter 시스템을 나타내며, 도 1d는 BTD 시스템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GETRAC??A1 슬래브 궤도 시스템(10)은, 동결방지층 강화노반(FPL: 11), HBL(12), ASL multi-layer(13), 콘크리트 침목(14), 레일 체결구(15), 레일(16), Channel-grooved 포켓(17), 콘크리트 앵커 블록(18) 및 고무 베어링(19)을 포함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GETRAC??A1 슬래브 궤도 시스템(10)은 아스팔트 노반에 침목의 고정 정착을 위하여 전단앵커인 콘크리트 앵커 블록(18) 중앙부에 콘크리트 앵커블록(18)을 이용하여 구속한다. 즉, 아스팔트 노반(13)에 형성시킨 천공홀에 콘크리트 앵커 블록(18)을 삽입 설치하고, 상기 콘크리트 앵커 블록(18)에 콘크리트 침목(14)의 저면 홈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침목(14)에 가해지는 횡저항력 및 종저항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 앵커 블록(18)인 전단앵커는 설치가 간단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상하 방향에 대한 고정 정착은 이루어지지 않고, 단순히 콘크리트 침목(14)의 무게로 침목이 아스팔트 노반(13)에 고정 정착 되고 있을 뿐이라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침목 중앙부에 클립형태 체결구를 사용한 연결 시스템(20)은 FPL(21), HBL(22), CBL(23), 콘크리트 침목(24), 레일 체결구(25), 레일(26) 및 클립형태 체결구(27)를 포함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침목 중앙부에 클립형태 체결구를 사용한 연결 시스템(20)은 콘크리트 침목(24)을 클립형태 체결구(27)로 구속한다.
또한,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Walter 시스템(30)은, FPL(31), HBL(32), ASL multi-layer(33), 모노 블록 침목(34), 레일 체결구(35), 레일(36) 및 강철 앵커(37)를 포함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Walter 시스템(30)은 모노 블록 침목(34)을 관통하는 강철 앵커(37)에 의한 연결한다.
또한,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BTD 시스템(40)은, FPL(41), HBL(42), CBL(43), 콘크리트 침목(44), 레일 체결구(45), 레일(46) 및 스틸 플러그(steel plug: 47)를 포함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BTD 시스템(40)은 콘크리트 침목(44) 중앙에 구멍을 뚫어 스틸 플러그(47)로 고정한다.
한편,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침목 직결궤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 궤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스팔트 노반상에 적용가능한 궤도의 종류는 크게 도 2에 도시된 침목 직결궤도(50) 및 도 3에 도시된 콘크리트 슬래브 궤도(60)로 구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콘크리트 슬래브 궤도(60)는 종방향 및 횡방향 수평저항력 확보에 유리하며 좌굴에 대한 위험이 낮아 궤도 틀림 발생이 적게 발생되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초기 건설비용이 높고 중량이 커서 시공성이 불량하며, 노반 부등침하로 인한 대변형 발생시에 궤도 조정이 불리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침목 직결궤도(50)는 초기건설비용이 저렴하고 중량이 작아 시공성이 우수하며 궤도의 선형 및 부등침하 발생시 유지보수가 유리한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종방향 및 횡방향 수평저항력 확보를 위한 전단보강장치의 설치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아스팔트 노반이 상온에 노출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아스팔트 노반의 고온 시 점탄성 거동에 의한 소성 변형에 대한 고려가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아스팔트 노반상 직결궤도는 아스팔트 노반상에 침목을 직접 연결하는 궤도형식으로서, 장대레일 종하중이나 시제동하중과 같이 침목의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대하여 침목의 이동을 방지할 목적으로 침목의 중앙부나 단부에 전단보강장치(Shear Key)를 설치하여야 한다. 또한, 이동하는 열차하중으로 인해 침목의 들뜸 현상이 발생되면 열차 운행성 및 열차탈선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침목의 종횡저항력 확보 및 침목 들뜸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하여 열차 운행에 안전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한편, 기존 독일에서 아스팔트 노반상 직결궤도용 침목에 적용한 GETRAC A1, GETRAC A3 침목시스템에서는 아스팔트 노반상 직결되는 침목의 종방향 및 횡방향 저항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아스팔트 노반을 천공한 후에 콘크리트 블록(DOWEL STONE)을 삽입시켜 침목 중앙부의 홀과 단순 결합시키는 구조를 적용한 바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침목 또는 콘크리트패널은 중앙부에 전단키, 전단앵커 또는 전단돌기를 설치하여 수평이동을 구속한다. 따라서 이러한 전단키, 전단앵커 또는 전단돌기를 설치하기 위해서 침목의 중앙부의 두께나 폭이 크게 설계되고 있기 때문에 비경제적이라는 측면이 있다. 특히, 침목 또는 콘크리트패널의 중앙부에 콘크리트 돌기를 설치한 타입의 경우, 열차 주행에 의한 수직 하중에는 추종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열차 반복하중에 의한 피로가 누적될 소지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4-36898호(공개일: 2014년 3월 26일), 발명의 명칭: "아스팔트 노반의 침목 및 콘크리트패널 고정 장치와 그 시공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270942호(출원일: 2012년 11월 7일), 발명의 명칭: "아스팔트 노반용 전단고정 장치를 구비한 침목 및 그 시공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266111호(출원일: 2012년 11월 7일), 발명의 명칭: "아스팔트 노반용 탄성패드와 전단고정 장치를 구비한 침목 및 그 시공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4-132797호(공개일: 2014년 11월 19일), 발명의 명칭: "앵커형 전단보강장치를 구비한 궤도 및 그 시공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4-132798호(공개일: 2014년 11월 19일), 발명의 명칭: "밴드형 전단보강장치를 구비한 궤도 및 그 시공방법" 미국 등록특허번호 제6,764,022호(출원일: 202년 8월 1일), 발명의 명칭: "Double Sleeper For GETRAC A3 Fixed Track"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706786호(출원일: 2005년 5월 31일), 발명의 명칭: "프리캐스트 슬래브 궤도 시스템 및 시공방법"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광폭침목 및 콘크리트패널의 모서리에 제1 및 제2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설치하고, 광폭침목 및 콘크리트패널의 하부에 토목섬유를 부착함으로써, 광폭침목 및 콘크리트패널에 가해지는 직접적인 충격을 억제할 수 있고, 광폭침목 및 콘크리트패널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토목섬유와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구비한 광폭침목 및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한 아스팔트 직결궤도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광폭침목의 모서리에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광폭침목의 중앙부 단면을 슬림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광폭침목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토목섬유와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구비한 광폭침목 및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한 아스팔트 직결궤도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토목섬유와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구비한 광폭침목을 이용한 아스팔트 직결궤도는, 아스팔트 노반상에 설치되는 광폭침목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토목섬유 및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구비하는 아스팔트 직결궤도에 있어서, 침목 중앙부, 상기 침목 중앙부의 양 측면에 형성된 레일 직하부 및 상기 레일 직하부의 상면에 형성된 레일체결장치 안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아스팔트 노반상에 배치되는 광폭침목; 상기 아스팔트 노반 사이의 마찰 저항성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광폭침목의 레일 직하부 하면에 부착되는 토목섬유; 상기 광폭침목의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을 구속하도록 상기 광폭침목의 일측 모서리에 설치되는 제1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 상기 광폭침목의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을 구속하도록 상기 제1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와 대각선 방향의 상기 광폭침목의 타측 모서리에 설치되는 제2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 및 레일을 체결하도록 상기 광폭침목의 레일 직하부 상에 설치되는 레일체결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광폭침목의 레일 직하부는 상기 침목 중앙부의 폭보다 넓은 광폭으로 상기 침목 중앙부 양 측면에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레일체결장치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광폭침목은 상기 침목 중앙부 및 레일 직하부 내에 PC 강선이 매립 인장되도록 상기 광폭침목용 몰드에 PC 강선을 인장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토목섬유는 접착성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콘크리트 타설 직후에 상기 레일 직하부의 저면에 부착하는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 각각은, 상기 광폭침목의 모서리에 배치되고, 레일 종방향 이동 구속부 및 횡방향 이동 구속부가 절곡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광폭침목의 수직이동을 구속하도록 상기 광폭침목의 상면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수직이동 구속 스프링;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배치된 수직이동 구속 스프링을 고정하는 스프링 고정 브래킷;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상기 아스팔트 노반상에 고정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체결부재; 및 상기 스프링 고정 브래킷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고정하는 고정 브래킷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광폭침목의 측면에 밀착되어 레일 종방향 이동을 구속하도록 절곡 형성되는 종방향 이동 구속부, 및 상기 광폭침목의 단부에 밀착되어 레일 횡방향 이동을 구속하도록 절곡 형성되는 횡방향 이동 구속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냉간압연강판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제1 관통홀 및 상기 고정 브래킷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토목섬유와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구비한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한 아스팔트 직결궤도는, 아스팔트 노반상에 설치되는 콘크리트패널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토목섬유 및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구비하는 아스팔트 직결궤도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노반상에 배치되는 콘크리트패널; 상기 아스팔트 노반 사이의 마찰 저항성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콘크리트패널의 하면에 부착되는 토목섬유; 상기 콘크리트패널의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을 구속하도록 상기 콘크리트패널의 일측 모서리에 설치되는 제1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 상기 콘크리트패널의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을 구속하도록 상기 제1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와 대각선 방향의 상기 콘크리트패널의 타측 모서리에 설치되는 제2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 및 레일을 체결하도록 상기 콘크리트패널 상에 설치되는 레일체결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토목섬유와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구비한 광폭침목을 이용한 아스팔트 직결궤도의 시공방법은, 아스팔트 노반상에 설치되는 광폭침목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토목섬유 및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구비하는 아스팔트 직결궤도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a) 몰드를 이용하여 침목 중앙부와 레일 직하부로 이루어진 광폭침목을 프리캐스트 제작하는 단계; b) 상기 광폭침목의 레일 직하부에 토목섬유를 부착하는 단계; c) 상기 광폭침목의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을 구속하도록 상기 광폭침목의 제1 모서리에 제1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광폭침목의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을 구속하도록 상기 광폭침목의 제1 모서리의 대각선 방향의 제2 모서리에 제2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및 e) 상기 광폭침목의 레일 직하부의 상면에 형성된 레일체결장치를 이용하여 레일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b) 단계의 토목섬유는 접착성을 향상시키도록 콘크리트 타설 직후에 상기 광폭침목의 저면에 부착하는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아스팔트 노반상에 천공기를 이용하여 천공을 실시하여 천공홀을 형성하는 단계; c-2) 상기 천공홀 하부에 확공 앵커너트를 설치하는 단계; c-3) 상기 광폭침목의 모서리에 레일 종방향 및 횡방향 이동 구속부가 밀착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의 위치를 정렬하는 단계; c-4)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아스팔트 노반상에 고정되도록 풀림방지 볼트인 베이스 플레이트 체결부재를 체결하는 단계; c-5) 상기 광폭침목 상에 수직이동 구속 스프링의 위치를 정렬하는 단계; c-6)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및 수직이동 구속 스프링 상에 스프링 고정 브래킷을 배치하는 단계; 및 c-7) 상기 스프링 고정 브래킷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고정되도록 풀림방지 볼트인 고정 브래킷 체결부재를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토목섬유와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구비한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한 아스팔트 직결궤도의 시공방법은, 아스팔트 노반상에 설치되는 콘크리트패널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토목섬유 및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구비하는 아스팔트 직결궤도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a) 콘크리트패널을 프리캐스트 제작하는 단계; b) 상기 콘크리트패널의 하부에 토목섬유를 부착하는 단계; c) 상기 콘크리트패널의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을 구속하도록 상기 콘크리트패널의 제1 모서리에 제1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d) 기 콘크리트패널의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을 구속하도록 상기 콘크리트패널의 제1 모서리의 대각선 방향의 제2 모서리에 제2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및 e) 상기 콘크리트패널의 상면에 형성된 레일체결장치를 이용하여 레일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b) 단계의 토목섬유는 접착성을 향상시키도록 콘크리트 타설 직후에 상기 콘크리트패널의 저면에 부착하는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폭침목 및 콘크리트패널의 모서리에 제1 및 제2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설치하고, 광폭침목 및 콘크리트패널의 하부에 토목섬유를 부착함으로써, 광폭침목 및 콘크리트패널에 가해지는 직접적인 충격을 억제할 수 있으며, 광폭침목 및 콘크리트패널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폭침목의 모서리에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광폭침목의 중앙부 단면을 슬림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광폭침목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폭침목 및 콘크리트패널의 파손에 의한 유지관리 시에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용이하게 교체 시공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d는 각각 종래의 기술에 따른 침목 구속장치를 예시하는 단면도들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침목 직결궤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 궤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토목섬유와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구비한 광폭침목을 이용한 아스팔트 직결궤도의 구성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광폭침목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f는 도 4에 도시된 광폭침목을 제작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사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토목섬유와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구비한 광폭침목을 이용한 아스팔트 직결궤도의 시공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토목섬유와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구비한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한 아스팔트 직결궤도의 구성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에서 베이스 플레이트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에서 스프링 고정 브래킷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에서 수직이동 구속 스프링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가 광폭침목에 체결된 것을 예시하는 사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토목섬유와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구비한 광폭침목을 이용한 아스팔트 직결궤도의 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의 시공 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토목섬유와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구비한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한 아스팔트 직결궤도의 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의 시공 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광폭침목(110)을 이용한 아스팔트 직결궤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토목섬유와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구비한 광폭침목을 이용한 아스팔트 직결궤도의 구성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광폭침목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5의 a)는 광폭침목의 사시도이고, 도 5의 b)는 광폭침목의 평면도이며, 도 5의 c)는 광폭침목의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토목섬유와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구비한 광폭침목을 이용한 아스팔트 직결궤도는, 아스팔트 노반(200) 상에 설치되는 광폭침목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토목섬유 및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구비하는 아스팔트 직결궤도로서, 광폭침목(110), 토목섬유(Geotextile: 120), 제1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130), 제2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140), 레일 체결장치(150) 및 레일(160)을 포함한다.
광폭침목(1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목 중앙부(111), 상기 침목 중앙부(111)의 양 측면에 형성된 레일 직하부(112) 및 상기 레일 직하부(112)의 상면에 형성된 레일체결장치 안착부(113)를 구비하며, 상기 아스팔트 노반(200) 상에 배치된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폭침목(110)의 레일 직하부(112)는 상기 침목 중앙부(111)의 폭보다 넓은 광폭(Wide Width)으로 상기 침목 중앙부(111)의 양 측면에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레일체결장치 안착부(11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광폭침목(110)은 상기 침목 중앙부(111) 및 레일 직하부(112) 내에 PC 강선이 매립 인장되도록 상기 광폭침목용 몰드에 PC 강선을 인장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광폭침목(110)의 침목 중앙부(111)는, 후술되는 레일 직하부(112)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레일 직하부(112)보다 작은 폭을 가지도록 횡방향(레일 형성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연장된 수평판 형태로 형성된다. 종래에는 침목 중앙부(111)에 전단고정장치로서 전단앵커를 설치하기 위한 삽입홀을 형성시켰기 때문에 구조적인 취약부(Weak Point)가 침목 중앙부(111)에 발생될 수 있었지만 본 발명은 침목 중앙부(111)에 전단앵커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기 때문에 역시 상기 삽입홀도 필요 없어 취약부가 침목 중앙부에 발생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레일 직하부(112)는, 상기 침목 중앙부(111)의 양 측방에 연속으로 형성되는 수평판 형태로서, 상기 침목 중앙부(111)의 폭보다 넓은 광폭(Wide Width)으로 형성되고, 레일체결장치 안착부(113)가 상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침목 중앙부(111) 및 레일 직하부(112)는, 후술하는 광폭침목용 몰드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일체형으로 프리캐스트 제작된다. 또한, 상기 침목 중앙부(111) 및 레일 직하부(112) 내에 PC 강선이 매립 인장되도록 상기 광폭침목용 몰드에 복수개의 PC 강선을 인장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스팔트 직결궤도용 광폭침목(110)에 따르면, 아스팔트 노반상의 직결궤도용 침목으로서 침목 하면의 폭이 일반 침목보다 넓은 광폭타입의 침목을 형성함으로써 열차하중에 의한 아스팔트 노반의 발생응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스팔트 노반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응력 발생 수준을 낮추어 아스팔트 노반의 소성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다.
토목섬유(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스팔트 노반(200) 사이의 마찰 저항성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광폭침목(110)의 레일 직하부(112) 하면에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토목섬유(120)는 접착성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콘크리트 타설 직후에 상기 레일 직하부(112)의 저면에 부착하는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토목섬유(Geotextile: 120)는 아스팔트 노반(200) 사이의 마찰 저항성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레일 직하부(112)의 하면에 부착된다. 상기 토목섬유(120)는 대부분의 직결궤도에 적용되며, 수평하중 지지를 위한 마찰력 증가와 고저 조정 시에 사용되고 있고, 상기 토목섬유(120)는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콘크리트 타설 직후에 상기 레일 직하부(112)의 저면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스팔트 직결궤도용 광폭침목(110)에 따르면, 광폭침목 형성시 광폭침목의 레일 직하부의 저면에 토목섬유(120)를 미리 부착하여 제작함으로써 아스팔트 노반 시공시의 시공오차를 일부 보정할 수 있고, 열차하중의 충격을 흡수하여 하부의 아스팔트 노반에 하중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며, 열차하중을 아스팔트 노반에 균등하게 전달하여 응력집중에 따른 파괴를 미연에 방지하고, 광폭침목의 하면과 아스팔트 노반 사이의 마찰 저항성을 향상시켜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작용하는 수평력을 제어할 수 있다.
레일체결장치(150)는 레일(160)을 체결하도록 상기 광폭침목(110)의 레일 직하부(112) 상에 설치된다.
제1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130)는 상기 광폭침목(110)의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을 구속하도록 상기 광폭침목(110)의 일측 모서리에 설치된다.
제2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140)는 상기 광폭침목(110)의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을 구속하도록 상기 제1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130)와 대각선 방향의 상기 광폭침목(110)의 타측 모서리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후술하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130, 140) 각각은, 상기 광폭침목(110)의 모서리에 배치되고, 레일 종방향 이동 구속부(132) 및 횡방향 이동 구속부(133)가 절곡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131); 상기 광폭침목(110)의 수직이동을 구속하도록 상기 광폭침목(110)의 상면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 상에 배치되는 수직이동 구속 스프링(137);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 상에 배치된 수직이동 구속 스프링(137)을 고정하는 스프링 고정 브래킷(134);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를 상기 아스팔트 노반(200) 상에 고정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체결부재(135); 및 상기 스프링 고정 브래킷(134)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 상에 고정하는 고정 브래킷 체결부재(136)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는, 상기 광폭침목(110)의 측면에 밀착되어 레일 종방향 이동을 구속하도록 절곡 형성되는 종방향 이동 구속부(132), 및 상기 광폭침목(110)의 단부에 밀착되어 레일 횡방향 이동을 구속하도록 절곡 형성되는 횡방향 이동 구속부(13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는 냉간압연강판(SPCC)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체결부재(135)가 관통하는 제1 관통홀(H1) 및 상기 고정 브래킷 체결부재(136)가 관통하는 제2 관통홀(H2)이 형성된다.
한편, 아스팔트층 및 침목 저면의 거칠기를 보충하기 위해 토목섬유(120)가 사용된다. 조기 탈형을 통해 제작되는 BBS3과 같은 광폭침목은 상대적으로 투박하며 거친 저면을 가지게 된다. 토목섬유(120)는 광폭침목(110)에서 전달된 하중이 균일하게 전달되어 아스팔트가 균등한 응력을 받도록 한다. 이러한 토목섬유(120)는, 광폭침목 BBS3이 높은 탄성을 가진 Vossloh 300-1 체결장치(공칭강성도 22.5KN/mm)를 사용하기 때문에, 열차 주행 시 나타날 수 있는 레일 처짐에 따른 침목을 따라 전달되는 하중에 대한 회복 기능 또는 감쇠 기능을 저감시키려는 목적도 가진다.
예를 들면, 광폭침목(110)의 제작 과정에서 광폭침목(110)은 위와 아래가 뒤집힌 형상의 틀 속에서 제작되는데, 상기 토목섬유(120)를 틀 위에 올려놓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하중 재하판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와 토목섬유(120)를 누른다. 이때, 상기 토목섬유(120)의 일부가 콘크리트를 덮게 되며, 상기 토목섬유(120)에 대한 제원은 다음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Figure 112015078748149-pat00001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침목은 전단키, 전단앵커 또는 전단돌기를 설치하기 위해서 침목의 중앙부의 두께나 폭이 크게 설계되지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가 설치되는 광폭침목(110)의 경우, 중앙부의 두께 또는 폭이 슬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폭침목(110)의 구조해석에 의거하여 결정된 광폭침목(110)의 형태 및 단면치수를 적용하여 광폭침목(110) 시작품 제작을 위해서는 침목 몰드를 제작해야 한다. 이러한 광폭침목(110)의 몰드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몰드 형태로 제작하며, 제작시 콘크리트 다짐 및 진동시 충격이 가해질 수 있으므로 견고하게 제작되어야 하고, 또한, 재사용시 변형이 없도록 하여야 하며, 매립전의 위치 및 제품의 외형치수가 정확하도록 매우 정교하게 제작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스팔트 직결궤도용 광폭침목(110)은 열차하중에 의한 아스팔트 노반의 발생응력을 최소화하여 아스팔트 노반의 두께를 최적화할 수 있고, 아스팔트 노반의 소성변형이 작게 발생되도록 침목 하면의 폭을 일반침목보다 넓게 적용한 광폭타입의 침목을 적용하였다. 또한, 광폭침목(110)의 길이가 길수록 하중지지면에서는 유리하겠지만, 경제성 및 시공성 등을 고려하여 현재 사용되는 국철침목과 동일한 2,400㎜를 적용하였다. 또한, 아스팔트 직결궤도용 광폭침목(110)의 좌우 측면에는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수평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전단저항 장치인 제1 및 제2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130, 140)를 설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130, 140)는 앵커볼트로 아스팔트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폭침목(110)의 하중재하부는 단면두께를 최대로 확보하여 열차하중에 의한 침목의 변형 및 구조적 안전성을 최대화하였으며, 하중이 재하되지 않는 광폭침목(110)의 중앙부는 강선배치를 고려하여 최소화함으로써, 구조적 안전성 및 경제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폭침목(110)의 폭원은 하중의 분배 효과를 최대화하고, 시공성 등을 고려하여 레일직하부(112)는 500㎜를 적용하였고, 광폭침목(110)의 중앙부(111)는 단면을 최적화하여 300㎜로 설정하였다. 또한, 상기 광폭침목(110)의 높이로서, 레일직하부(112)는 207㎜를 적용하였고, 침목의 중앙부(111)는 강선 배치를 고려하여 구조해석을 수행한 결과를 고려하여 최적두께인 140㎜로 설정하였다. 또한, 공용중인 광폭침목(110)의 부등침하 발생시 균열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광폭침목(110)의 모든 측면을 바닥면과 수직을 유지하도록 설계하였고, 모서리를 가능한 한 줄여서 운반 및 부설시 광폭침목(110)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표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스팔트 직결궤도용 광폭침목(110)의 주요 제원을 기존의 국내외 광폭침목과 비교한 것이다.
Figure 112015078748149-pat00002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스팔트 직결궤도용 광폭침목(110)은 현재 독일에서 아스팔트 노반상 직결궤도용 침목으로 사용되고 있는 Getrac A3 광폭침목과 비교하였을 경우, 침목높이 및 폭원을 최적화하여 침목의 중량비율을 약 75%, 하면지지면적 비율을 약 80% 수준으로 낮추어 침목의 중량을 경량화함으로서 침목의 시공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폭침목(110)에 적용된 설계기준은 기존 침목설계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설계기준 및 해설(2012. 한국콘크리트학회)』 및 『PC침목 설계시방서(철도청 훈령 제1423호)』에 의하여 PC침목 내 강연선의 긴장력을 산정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의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다. 또한, PC침목의 콘크리트 허용응력은 『철도설계지침 KR Code-2012 (2012. 한국철도시설공단)』에 따르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다.
Figure 112015078748149-pat00003
Figure 112015078748149-pat00004
또한, 상기 광폭침목(110)의 단면 특성은 다음의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다.
Figure 112015078748149-pat00005
한편, 도 6a 내지 도 6f는 도 4에 도시된 광폭침목을 제작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사진들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토목섬유와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구비한 광폭침목을 이용한 아스팔트 직결궤도의 시공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토목섬유와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구비한 광폭침목을 이용한 아스팔트 직결궤도에서, 광폭침목 시작품의 제작과정은,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를 제작하고, 이후,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몰드를 청소하고 강선을 배치한다.
다음으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선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고, 이후,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철근 및 기타자재를 투입한다.
다음으로,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이후,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설된 콘크리트를 증기양생시킴으로써 광폭침목을 제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토목섬유와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구비한 광폭침목을 이용한 아스팔트 직결궤도는, 먼저, 침목 중앙부(111) 및 레일 직하부(112)로 이루어진 아스팔트 직결궤도용 광폭침목(110)을 몰드를 사용하여 프리캐스트 제작한다. 이때, 상기 광폭침목(110)의 침목 중앙부(111) 양측에 형성된 레일 직하부(112)는 각각 상기 침목 중앙부(111)의 폭보다 넓은 광폭(Wide Width)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침목 중앙부(111) 및 레일 직하부(112) 내에 PC 강선이 매립 인장되도록 상기 광폭침목용 몰드에 복수개의 PC 강선을 인장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광폭침목(110)의 레일 직하부(112)에 토목섬유(120)를 부착한다. 이때, 상기 토목섬유(120)는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콘크리트 타설 직후에 상기 레일 직하부(112)의 저면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1 및 제2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130, 140)를 상기 광폭침목(110)의 대각선 방향의 제1 및 제2 모서리에 각각 설치한다.
다음으로, 상기 광폭침목(110)의 레일 직하부(112)의 상면에 형성된 레일체결장치(150)에 레일(160)을 설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스팔트 직결궤도용 광폭침목(110)의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침목의 설계기준강도 fck=50MPa 이상 확보하여야 하며, 이때, 휨강도(재령28일)는 KS F 2408에 따른 시험결과 소정강도 50MPa 이상이어야 한다. 또한, 상기 광폭침목(110)의 내부에 예를 들면, 총 16가닥의 2.9㎜*3연선 강선은 PC 강선으로서, 상기 PC 강선은 KS D 7002 (PC 강선 및 PC 강연선)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여야 하며, 항복점≥33.8kN, 인장강도≥38.2kN으로 한다. 이때, 상기 PC 강선에 긴장력이 고르게 전달될 수 있도록 예비인장 전에 개별 인장기에 의해 각 PC 강선에 같은 인장력으로 인장 후 예비 인장을 실시한다. 또한, 상기 PC 강선은 설계하중인 초기 긴장력의 80% 이상으로 20분 이상 예비 인장하여 해방한 후에 본 인장을 실시한다. 단, 설계하중(초기긴장력)은 3.12tonf로서, PC 강선 2.9㎜ 3연선 16가닥 기준이며 KS D 7002를 따른다. 또한, 상기 PC 강선의 긴장은 총 16가닥의 모든 강선이 균등하게 긴장되어야 하며, 프리텐션 방식으로 제작하는 침목의 단부는 PC 강선이 침목저면에서 직각방향이 되게 절단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스팔트 직결궤도용 광폭침목(110)의 제조를 위해 상기 광폭침목용 몰드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는데, 상기 콘크리트 타설은 비빈 후 1시간 이내에 완료하며, 상기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 온도는 10∼30℃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이때, 치밀한 콘크리트가 되도록 재료분리가 일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충분히 다져야 하며, 콘크리트 타설 및 다짐시 상기 광폭침목용 몰드 내부에 조립된 부속자재에 닿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스팔트 직결궤도용 광폭침목(110)의 제조를 위해서 콘크리트 타설 직후 레일 직하부 저면에 토목섬유(120)를 부착하여 접착성을 향상시키고, 이때, 아스팔트 직결궤도용 광폭침목(110)의 상면 및 측면은 매끈하게 마무리하여야 하며, 모서리 부분은 상세제작도면에 표시된 형태와 치수가 정밀하게 제작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스팔트 직결궤도용 광폭침목(110)의 제조를 위해서 양생을 실시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타설이 완료된 콘크리트는 즉시 양생용 덮개를 덮어 직사광선을 차단하고, 표면이 건조되지 않도록 급격한 온도변화가 일어나지 않도록 보호하여야 한다. 이때, 양생 온도는 55℃를 넘지 않아야 되고, 양생 시간은 상대 습도 60%일 때 콘크리트강도가 50%에 도달하는 시간으로 한다. 또한, 양생 공간은 급격한 온도변화 및 국부적인 온도 차이 또는 온도 변화가 일어나지 않도록 설비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스팔트 직결궤도용 광폭침목(110)은, 상기 광폭침목용 몰드로부터 탈형한 이후에 표면이 급격한 온도 변화나 건조 등에 노출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스팔트 직결궤도용 광폭침목(110), 아스팔트 노반(200) 상의 직결궤도용 침목으로서, 침목 하면의 폭이 일반 침목보다 넓은 광폭타입의 침목을 형성함으로써 열차하중에 의한 아스팔트 노반(200)의 발생응력을 최소화하고, 이에 따라 아스팔트 노반(200)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응력 발생 수준을 낮추어 아스팔트 노반의 소성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다.
[콘크리트패널(170)을 이용한 아스팔트 직결궤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토목섬유와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구비한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한 아스팔트 직결궤도의 구성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토목섬유와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구비한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한 아스팔트 직결궤도는, 아스팔트 노반(200) 상에 설치되는 콘크리트패널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토목섬유 및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구비하는 아스팔트 직결궤도로서, 콘크리트패널(170), 토목섬유(Geotextile: 120), 제1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130), 제2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140), 레일 체결장치(150) 및 레일(160)을 포함한다.
콘크리트패널(170)은 상기 아스팔트 노반(200) 상에 배치된다.
토목섬유(120)는 상기 아스팔트 노반(200) 사이의 마찰 저항성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콘크리트패널(170)의 하면에 부착된다. 이때, 상기 토목섬유(120)는 접착성을 향상시키도록 콘크리트 타설 직후에 상기 콘크리트패널(170)의 저면에 부착하는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레일체결장치(150)는 레일(160)을 체결하도록 상기 콘크리트패널(170) 상에 설치된다.
제1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130)는 상기 콘크리트패널(170)의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을 구속하도록 상기 콘크리트패널(170)의 일측 모서리에 설치된다.
제2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140)는 상기 콘크리트패널(170)의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을 구속하도록 상기 제1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130)와 대각선 방향의 상기 콘크리트패널(170)의 타측 모서리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130, 140) 각각은, 상기 콘크리트패널(170)의 모서리에 배치되고, 레일 종방향 이동 구속부(132) 및 횡방향 이동 구속부(133)가 절곡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131); 상기 콘크리트패널(170)의 수직이동을 구속하도록 상기 콘크리트패널(170)의 상면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 상에 배치되는 수직이동 구속 스프링(137);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 상에 배치된 수직이동 구속 스프링(137)을 고정하는 스프링 고정 브래킷(134);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를 상기 아스팔트 노반(200) 상에 고정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체결부재(135); 및 상기 스프링 고정 브래킷(134)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 상에 고정하는 고정 브래킷 체결부재(136)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는, 상기 콘크리트패널(170)의 측면에 밀착되어 레일 종방향 이동을 구속하도록 절곡 형성되는 종방향 이동 구속부(132), 및 상기 콘크리트패널(170)의 단부에 밀착되어 레일 횡방향 이동을 구속하도록 절곡 형성되는 횡방향 이동 구속부(13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는 냉간압연강판(SPCC)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체결부재(135)가 관통하는 제1 관통홀(H1) 및 상기 고정 브래킷 체결부재(136)가 관통하는 제2 관통홀(H2)이 형성된다.
전술한 도 7 및 도 8a를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폭침목 또는 콘크리트패널의 수평수직이동을 구속하는 제1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130)는, 각각 아스팔트 노반(200) 상에 설치되어 광폭침목(110) 또는 콘크리트패널(170)의 이동을 구속하는 구속장치로서, 베이스 플레이트(131), 수직이동 구속 스프링(137), 스프링 고정 브래킷(134), 베이스 플레이트 체결부재(135) 및 고정 브래킷 체결부재(136)를 포함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제2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140)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며, 편의상 상기 제1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13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31)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폭침목(110) 또는 콘크리트패널(170)의 모서리에 배치되고, 레일 종방향 이동 구속부(132) 및 횡방향 이동 구속부(133)가 절곡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는 광폭침목(110) 또는 콘크리트패널(170)의 측면에 밀착되어 레일 종방향 이동을 구속하도록 절곡 형성되는 종방향 이동 구속부(132)가 형성되며, 또한, 상기 광폭침목(110) 또는 콘크리트패널(170)의 단부에 밀착되어 레일 횡방향 이동을 구속하도록 절곡 형성되는 횡방향 이동 구속부(13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는 냉간압연강판(SPCC)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체결부재(135)가 관통하는 제1 관통홀(H1) 및 상기 고정 브래킷 체결부재(136)가 관통하는 제2 관통홀(H2)이 형성된다.
수직이동 구속 스프링(137)은 상기 광폭침목(110) 또는 콘크리트패널(170)의 수직이동을 구속하도록 상기 광폭침목(110) 또는 콘크리트패널(170)의 상면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 상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직이동 구속 스프링(137)은 최대 10mm의 수직탄성 변위에 적응할 수 있도록 스프링강(SUP)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직이동 구속 스프링(137)은, 광폭침목(110)의 수직이동을 구속하도록 상기 광폭침목(110)의 상면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 상에 배치되며, 스프링 고정 브래킷(134)으로부터 절곡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부분의 일부가 상기 횡방향 이동 구속부(133)와 접하도록 형성되며, 상단부는 일정한 반경을 가진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광폭침목(110)의 상면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스프링 고정 브래킷(134)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 상에 배치된 수직이동 구속 스프링(137)을 고정한다.
베이스 플레이트 체결부재(135)는 풀림방지 볼트로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를 상기 아스팔트 노반(200) 상에 고정한다.
고정 브래킷 체결부재(136)는 풀림방지 볼트로서, 상기 스프링 고정 브래킷(134)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 상에 고정한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에서 베이스 플레이트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9의 a)는 수직 단면도이고, 도 9의 b)는 평면도이며, 도 9의 c)는 베이스 플레이트가 실제로 제작된 것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는, 상기 광폭침목(110) 또는 콘크리트패널(170)의 측면에 밀착되어 레일 종방향 이동을 구속하도록 절곡 형성되는 종방향 이동 구속부(132)가 형성되며, 또한, 상기 광폭침목(110) 또는 콘크리트패널(170)의 단부에 밀착되어 레일 횡방향 이동을 구속하도록 절곡 형성되는 횡방향 이동 구속부(13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는 냉간압연강판(SPCC)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체결부재(135)가 관통하는 제1 관통홀(H1) 및 상기 고정 브래킷 체결부재(136)가 관통하는 제2 관통홀(H2)이 형성된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에서 스프링 고정 브래킷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0의 a)는 평면도이고, 도 10의 b)는 스프링 고정 브래킷이 실제로 제작된 것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에 형성된 제2 관통홀(H2)에 대응하는 제3 관통홀(H3)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 상에 배치된 수직이동 구속 스프링(137)을 고정한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에서 수직이동 구속 스프링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130, 140)에서, 수직이동 구속 스프링(137)은 최대 10mm의 수직탄성 변위에 적응할 수 있도록 스프링강(SUP) 재질로 형성되며, 또한, 상기 광폭침목(110) 또는 콘크리트패널(170)의 수직이동을 구속하도록 상기 광폭침목(110) 또는 콘크리트패널(170)의 상면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7) 상에 배치된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가 광폭침목에 체결된 것을 예시하는 사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130, 140)에서, 종방향 및 횡방향의 수평이동은 종방향 및 횡방향 이동 구속장치(132, 133)에 의하여 구속되고, 또한, 수직 방향의 이동은 수직이동 구속 스프링(137)을 사용함으로써 열차의 이동에 따른 변위를 추종할 수 있는 방식으로서, 광폭침목(110) 또는 콘크리트패널(170)에 작용하는 응력을 경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130, 140)는, 먼저, 아스팔트 노반(200)의 상부에 천공을 실시한 후에 확공 앵커너트(도시되지 않음)를 설치하고, 이후, 상기 제1 및 제2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130, 140)를 각각 설치한 후, 풀림방지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하여 시공하는 방식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전단키 또는 전단앵커 또는 전단돌기 방식의 침목 및 콘크리트패널 구속장치는 중앙부에 고정하는 방식이 대부분이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130, 140)를 광폭침목(110) 또는 콘크리트패널(170)의 모서리에 각각 설치함으로써 광폭침목(110)의 중앙부 단면을 슬림화할 수 있고, 상기 광폭침목(110) 또는 콘크리트패널(170)에 가해지는 직접적인 충격을 억제할 수 있으며, 상기 광폭침목(110) 또는 콘크리트패널(170)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광폭침목(110) 또는 콘크리트패널(170)의 파손에 의한 유지관리 시에 구속장치를 쉽게 해체하여 교체 시공할 수 있다.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한 아스팔트 직결궤도의 시공 방법]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토목섬유와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구비한 광폭침목을 이용한 아스팔트 직결궤도의 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의 시공 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토목섬유와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구비한 광폭침목을 이용한 아스팔트 직결궤도의 시공 방법은, 먼저, 몰드를 이용하여 침목 중앙부(111)와 레일 직하부(112)로 이루어진 광폭침목(110)을 프리캐스트 제작한다(S110).
다음으로, 상기 광폭침목(110)의 레일 직하부(112)에 토목섬유(120)를 부착한다(S120).
다음으로, 상기 광폭침목(110)의 제1 모서리에 제1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130)를 설치하고(S130), 또한, 상기 광폭침목(110)의 제1 모서리의 대각선 방향의 제2 모서리에 제2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140)를 설치한다(S140).
구체적으로, 도 14를 참조하면, 아스팔트 노반(200) 상에 설치되는 광폭침목(110)의 수평수직이동을 구속하는 구속장치의 시공 방법으로서, 먼저, 아스팔트 노반(200) 상에 천공기를 이용하여 천공을 실시하여 천공홀을 형성하고(S131), 다음으로, 상기 천공홀 하부에 확공 앵커너트를 설치한다(S132).
다음으로, 광폭침목(110)의 모서리에 레일 종방향 및 횡방향 이동 구속부(132, 133)가 밀착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31)의 위치를 정렬한다(S133). 이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를 상기 광폭침목(110)의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는, 상기 광폭침목(110)의 측면에 밀착되어 레일 종방향 이동을 구속하는 종방향 이동 구속부(132)가 절곡 형성되고, 상기 광폭침목(110)의 단부에 밀착되어 레일 횡방향 이동을 구속하는 횡방향 이동 구속부(133)가 절곡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가 아스팔트 노반(200) 상에 고정되도록 풀림방지 볼트인 베이스 플레이트 체결부재(135)를 체결한다(S134). 이때, 제1 및 제2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130, 140)를 소정의 토크를 주어 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광폭침목(110) 상에 수직이동 구속 스프링(137)의 위치를 정렬한다(S135).
다음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 및 수직이동 구속 스프링(137) 상에 스프링 고정 브래킷(134)을 배치한다(S136).
다음으로, 상기 스프링 고정 브래킷(134)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 상에 고정되도록 풀림방지 볼트인 고정 브래킷 체결부재(136)를 체결한다(S137).
따라서 수평이동 구속장치(132, 133)에 의해 레일 종방향 및 횡방향의 광폭침목(110)의 이동을 구속하고, 또한, 수직이동 구속 스프링(137)에 의해 열차 하중의 상하 이동에 따른 변형을 추종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5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광폭침목(110)의 레일 직하부(112)의 상면에 형성된 레일체결장치(150)를 이용하여 레일(160)을 설치한다(S150).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한 아스팔트 직결궤도의 시공 방법]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토목섬유와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구비한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한 아스팔트 직결궤도의 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의 시공 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토목섬유와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구비한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한 아스팔트 직결궤도의 시공 방법은, 먼저, 콘크리트패널(170)을 프리캐스트 제작한다(S210).
다음으로, 상기 콘크리트패널(170)의 하부에 토목섬유(120)를 부착한다(S220).
다음으로, 상기 콘크리트패널(170)의 제1 모서리에 제1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130)를 설치하고(S230), 또한, 상기 콘크리트패널(170)의 제1 모서리의 대각선 방향의 제2 모서리에 제2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140)를 설치한다(S240).
구체적으로, 도 16을 참조하면, 아스팔트 노반(200) 상에 설치되는 콘크리트패널(170)의 수평수직이동을 구속하는 구속장치의 시공 방법으로서, 먼저, 아스팔트 노반(200) 상에 천공기를 이용하여 천공을 실시하여 천공홀을 형성하고(S131), 다음으로, 상기 천공홀 하부에 확공 앵커너트를 설치한다(S132).
다음으로, 콘크리트패널(170)의 모서리에 레일 종방향 및 횡방향 이동 구속부(132, 133)가 밀착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31)의 위치를 정렬한다(S133). 이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를 상기 콘크리트패널(170)의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는, 상기 콘크리트패널(170)의 측면에 밀착되어 레일 종방향 이동을 구속하는 종방향 이동 구속부(132)가 절곡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패널(170)의 단부에 밀착되어 레일 횡방향 이동을 구속하는 횡방향 이동 구속부(133)가 절곡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가 아스팔트 노반(200) 상에 고정되도록 풀림방지 볼트인 베이스 플레이트 체결부재(135)를 체결한다(S134). 이때, 제1 및 제2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130, 140)를 소정의 토크를 주어 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콘크리트패널(170) 상에 수직이동 구속 스프링(137)의 위치를 정렬한다(S135).
다음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 및 수직이동 구속 스프링(137) 상에 스프링 고정 브래킷(134)을 배치한다(S136).
다음으로, 상기 스프링 고정 브래킷(134)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 상에 고정되도록 풀림방지 볼트인 고정 브래킷 체결부재(136)를 체결한다(S137).
따라서 수평이동 구속장치(132, 133)에 의해 레일 종방향 및 횡방향의 상기 콘크리트패널(170)의 이동을 구속하고, 또한, 수직이동 구속 스프링(137)에 의해 열차 하중의 상하 이동에 따른 변형을 추종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5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콘크리트패널(170)의 상면에 형성된 레일체결장치(150)를 이용하여 레일(160)을 설치한다(S250).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광폭침목 및 콘크리트패널의 모서리에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광폭침목 및 콘크리트패널에 가해지는 직접적인 충격을 억제할 수 있으며, 광폭침목 및 콘크리트패널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광폭침목의 모서리에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광폭침목의 중앙부 단면을 슬림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광폭침목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광폭침목 및 콘크리트패널의 파손에 의한 유지관리 시에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용이하게 교체 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갈도상 궤도와 콘크리트 슬래브 궤도 적용에 있어서의 유지보수성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장단점을 상호보완하고 극복할 수 있으며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고속 대역에 적합한 신개념의 아스팔트 노반 및 궤도 구조를 개발하고 그에 부합하는 궤도 구조를 개발할 수 있다. 또한, 아스팔트 층 및 침목 저면의 거칠기를 보충하기 위한 토목섬유와, 열차의 이동에 따른 변위를 추종할 수 있는 방식으로 침목에 작용하는 응력을 경감할 종횡, 수직방향의 구속장치를 활용함으로써 궤도의 전체적인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광폭침목
120: 토목섬유(Geotextile)
130: 제1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
140: 제2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
150: 레일 체결장치
160: 레일
170: 콘크리트패널
111: 침목 중앙부
112: 레일 직하부
113: 레일체결장치 안착부
131: 베이스 플레이트
132: 종방향 이동 구속부
133: 횡방향 이동 구속부
134: 스프링 고정 브래킷
135: 베이스 플레이트 체결부재
136: 고정 브래킷 체결부재
137: 수직이동 구속 스프링
200: 아스팔트 노반

Claims (20)

  1. 아스팔트 노반(200) 상에 설치되는 광폭침목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토목섬유 및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구비하는 아스팔트 직결궤도에 있어서,
    침목 중앙부(111), 상기 침목 중앙부(111)의 양 측면에 형성된 레일 직하부(112) 및 상기 레일 직하부(112)의 상면에 형성된 레일체결장치 안착부(113)를 구비하며, 상기 아스팔트 노반(200) 상에 배치되는 광폭침목(110);
    상기 아스팔트 노반(200) 사이의 마찰 저항성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광폭침목(110)의 레일 직하부(112) 하면에 부착되는 토목섬유(120);
    상기 광폭침목(110)의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을 구속하도록 상기 광폭침목(110)의 일측 모서리에 설치되는 제1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130);
    상기 광폭침목(110)의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을 구속하도록 상기 제1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130)와 대각선 방향의 상기 광폭침목(110)의 타측 모서리에 설치되는 제2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140); 및
    레일(160)을 체결하도록 상기 광폭침목(110)의 레일 직하부(112) 상에 설치되는 레일체결장치(15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130, 140) 각각은, 상기 광폭침목(110)의 모서리에 배치되고, 레일 종방향 이동 구속부(132) 및 횡방향 이동 구속부(133)가 절곡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131); 상기 광폭침목(110)의 수직이동을 구속하도록 상기 광폭침목(110)의 상면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 상에 배치되며, 스프링 고정 브래킷(134)으로부터 절곡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부분의 일부가 상기 횡방향 이동 구속부(133)와 접하도록 형성되며, 상단부는 일정한 반경을 가진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광폭침목(110)의 상면에 접하는 수직이동 구속 스프링(137);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 상에 배치된 수직이동 구속 스프링(137)을 고정하는 스프링 고정 브래킷(134);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를 상기 아스팔트 노반(200) 상에 고정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체결부재(135); 및 상기 스프링 고정 브래킷(134)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 상에 고정하는 고정 브래킷 체결부재(136);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는, 상기 광폭침목(110)의 측면에 밀착되어 레일 종방향 이동을 구속하도록 절곡 형성되는 종방향 이동 구속부(132), 및 상기 광폭침목(110)의 단부에 밀착되어 레일 횡방향 이동을 구속하도록 절곡 형성되는 횡방향 이동 구속부(133)가 형성되는 토목섬유 및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구비한 광폭침목을 이용한 아스팔트 직결궤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폭침목(110)의 레일 직하부(112)는 상기 침목 중앙부(111)의 폭보다 넓은 광폭(Wide Width)으로 상기 침목 중앙부(111)의 양 측면에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레일체결장치 안착부(11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 및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구비한 광폭침목을 이용한 아스팔트 직결궤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폭침목(110)은 상기 침목 중앙부(111) 및 레일 직하부(112) 내에 PC 강선이 매립 인장되도록 광폭침목용 몰드에 PC 강선을 인장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 및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구비한 광폭침목을 이용한 아스팔트 직결궤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토목섬유(120)는 접착성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콘크리트 타설 직후에 상기 레일 직하부(112)의 저면에 부착하는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 및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구비한 광폭침목을 이용한 아스팔트 직결궤도.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는 냉간압연강판(SPCC)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체결부재(135)가 관통하는 제1 관통홀(H1) 및 상기 고정 브래킷 체결부재(136)가 관통하는 제2 관통홀(H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와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구비한 광폭침목을 이용한 아스팔트 직결궤도.
  8. 아스팔트 노반(200) 상에 설치되는 콘크리트패널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토목섬유 및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구비하는 아스팔트 직결궤도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노반(200) 상에 배치되는 콘크리트패널(170);
    상기 아스팔트 노반(200) 사이의 마찰 저항성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콘크리트패널(170)의 하면에 부착되는 토목섬유(120);
    상기 콘크리트패널(170)의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을 구속하도록 상기 콘크리트패널(170)의 일측 모서리에 설치되는 제1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130);
    상기 콘크리트패널(170)의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을 구속하도록 상기 제1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130)와 대각선 방향의 상기 콘크리트패널(170)의 타측 모서리에 설치되는 제2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140); 및
    레일(160)을 체결하도록 상기 콘크리트패널(170) 상에 설치되는 레일체결장치(15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130, 140) 각각은, 상기 콘크리트패널(170)의 모서리에 배치되고, 레일 종방향 이동 구속부(132) 및 횡방향 이동 구속부(133)가 절곡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131); 상기 콘크리트패널(170)의 수직이동을 구속하도록 상기 콘크리트패널(170)의 상면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 상에 배치되며, 스프링 고정 브래킷(134)으로부터 절곡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부분의 일부가 상기 횡방향 이동 구속부(133)와 접하도록 형성되며, 상단부는 일정한 반경을 가진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콘크리트패널(170)의 상면에 접하는 수직이동 구속 스프링(137);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 상에 배치된 수직이동 구속 스프링(137)을 고정하는 스프링 고정 브래킷(134);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를 상기 아스팔트 노반(200) 상에 고정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체결부재(135); 및 상기 스프링 고정 브래킷(134)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 상에 고정하는 고정 브래킷 체결부재(136);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는, 상기 콘크리트패널(170)의 측면에 밀착되어 레일 종방향 이동을 구속하도록 절곡 형성되는 종방향 이동 구속부(132), 및 상기 콘크리트패널(170)의 단부에 밀착되어 레일 횡방향 이동을 구속하도록 절곡 형성되는 횡방향 이동 구속부(13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와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구비한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한 아스팔트 직결궤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토목섬유(120)는 접착성을 향상시키도록 콘크리트 타설 직후에 상기 콘크리트패널(170)의 저면에 부착하는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와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구비한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한 아스팔트 직결궤도.
  10. 삭제
  11. 삭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는 냉간압연강판(SPCC)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체결부재(135)가 관통하는 제1 관통홀(H1) 및 상기 고정 브래킷 체결부재(136)가 관통하는 제2 관통홀(H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와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구비한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한 아스팔트 직결궤도.
  13. 아스팔트 노반(200) 상에 설치되는 광폭침목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토목섬유 및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구비하는 아스팔트 직결궤도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a) 몰드를 이용하여 침목 중앙부(111)와 레일 직하부(112)로 이루어진 광폭침목(110)을 프리캐스트 제작하는 단계;
    b) 상기 광폭침목(110)의 레일 직하부(112)에 토목섬유(120)를 부착하는 단계;
    c) 상기 광폭침목(110)의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을 구속하도록 상기 광폭침목(110)의 제1 모서리에 제1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130)를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광폭침목(110)의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을 구속하도록 상기 광폭침목(110)의 제1 모서리의 대각선 방향의 제2 모서리에 제2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140)를 설치하는 단계; 및
    e) 상기 광폭침목(110)의 레일 직하부(112)의 상면에 형성된 레일체결장치(150)를 이용하여 레일(160)을 설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b) 단계의 토목섬유(120)는 접착성을 향상시키도록 콘크리트 타설 직후에 상기 광폭침목(110)의 저면에 부착하는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아스팔트 노반(200) 상에 천공기를 이용하여 천공을 실시하여 천공홀을 형성하는 단계; c-2) 상기 천공홀 하부에 확공 앵커너트를 설치하는 단계; c-3) 상기 광폭침목(110)의 모서리에 레일 종방향 및 횡방향 이동 구속부(132, 133)가 밀착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31)의 위치를 정렬하는 단계; c-4)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가 아스팔트 노반(200) 상에 고정되도록 풀림방지 볼트인 베이스 플레이트 체결부재(135)를 체결하는 단계; c-5) 상기 광폭침목(110) 상에 스프링 고정 브래킷(134)으로부터 절곡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부분의 일부가 상기 횡방향 이동 구속부(133)와 접하도록 형성되며, 상단부는 일정한 반경을 가진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광폭침목(110)의 상면에 접하는 수직이동 구속 스프링(137)의 위치를 정렬하는 단계; c-6)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 및 수직이동 구속 스프링(137) 상에 스프링 고정 브래킷(134)을 배치하는 단계; 및 c-7) 상기 스프링 고정 브래킷(134)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 상에 고정되도록 풀림방지 볼트인 고정 브래킷 체결부재(136)를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c-3) 단계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는, 상기 광폭침목(110)의 측면에 밀착되어 레일 종방향 이동을 구속하는 종방향 이동 구속부(132)가 절곡 형성되고, 상기 광폭침목(110)의 단부에 밀착되어 레일 횡방향 이동을 구속하는 횡방향 이동 구속부(133)가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와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구비한 광폭침목을 이용한 아스팔트 직결궤도의 시공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종방향 및 횡방향 이동 구속부(132, 133)에 의해 레일 종방향 및 횡방향의 광폭침목(110)의 이동을 구속하고, 상기 수직이동 구속 스프링(137)에 의해 열차 하중의 상하 이동에 따른 변형을 추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와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구비한 광폭침목을 이용한 아스팔트 직결궤도의 시공방법.
  17. 아스팔트 노반(200) 상에 설치되는 콘크리트패널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토목섬유 및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구비하는 아스팔트 직결궤도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a) 콘크리트패널(170)을 프리캐스트 제작하는 단계;
    b) 상기 콘크리트패널(170)의 하부에 토목섬유(120)를 부착하는 단계;
    c) 상기 콘크리트패널(170)의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을 구속하도록 상기 콘크리트패널(170)의 제1 모서리에 제1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130)를 설치하는 단계;
    d) 기 콘크리트패널(170)의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을 구속하도록 상기 콘크리트패널(170)의 제1 모서리의 대각선 방향의 제2 모서리에 제2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140)를 설치하는 단계; 및
    e) 상기 콘크리트패널(170)의 상면에 형성된 레일체결장치(150)를 이용하여 레일(160)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b) 단계의 토목섬유(120)는 접착성을 향상시키도록 콘크리트 타설 직후에 상기 콘크리트패널(170)의 저면에 부착하는 부직포이며,
    상기 c) 단계는, c-1) 아스팔트 노반(200) 상에 천공기를 이용하여 천공을 실시하여 천공홀을 형성하는 단계; c-2) 상기 천공홀 하부에 확공 앵커너트를 설치하는 단계; c-3) 상기 콘크리트패널(170)의 모서리에 레일 종방향 및 횡방향 이동 구속부(132, 133)가 밀착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31)의 위치를 정렬하는 단계; c-4)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가 아스팔트 노반(200) 상에 고정되도록 풀림방지 볼트인 베이스 플레이트 체결부재(135)를 체결하는 단계; c-5) 상기 콘크리트패널(170) 상에 스프링 고정 브래킷(134)으로부터 절곡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부분의 일부가 상기 횡방향 이동 구속부(133)와 접하도록 형성되며, 상단부는 일정한 반경을 가진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콘크리트패널(170)의 상면에 접하는 수직이동 구속 스프링(137)의 위치를 정렬하는 단계; c-6)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 및 수직이동 구속 스프링(137) 상에 스프링 고정 브래킷(134)을 배치하는 단계; 및 c-7) 상기 스프링 고정 브래킷(134)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 상에 고정되도록 풀림방지 볼트인 고정 브래킷 체결부재(136)를 체결하는 단계; 포함하며,
    상기 c-3) 단계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는, 상기 콘크리트패널(170)의 측면에 밀착되어 레일 종방향 이동을 구속하는 종방향 이동 구속부(132)가 절곡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패널(170)의 단부에 밀착되어 레일 횡방향 이동을 구속하는 횡방향 이동 구속부(133)가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와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구비한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한 아스팔트 직결궤도의 시공방법.
  18. 삭제
  19. 삭제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종방향 및 횡방향 이동 구속부(132, 133)에 의해 레일 종방향 및 횡방향의 상기 콘크리트패널(170)의 이동을 구속하고, 상기 수직이동 구속 스프링(137)에 의해 열차 하중의 상하 이동에 따른 변형을 추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와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구비한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한 아스팔트 직결궤도의 시공방법.
KR1020150114717A 2015-08-13 2015-08-13 토목섬유와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구비한 광폭침목 및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한 아스팔트 직결궤도 및 그 시공방법 KR101625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4717A KR101625829B1 (ko) 2015-08-13 2015-08-13 토목섬유와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구비한 광폭침목 및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한 아스팔트 직결궤도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4717A KR101625829B1 (ko) 2015-08-13 2015-08-13 토목섬유와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구비한 광폭침목 및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한 아스팔트 직결궤도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5829B1 true KR101625829B1 (ko) 2016-06-02

Family

ID=56135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4717A KR101625829B1 (ko) 2015-08-13 2015-08-13 토목섬유와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구비한 광폭침목 및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한 아스팔트 직결궤도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5829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9801A (ja) * 1992-07-15 1994-02-22 Railway Technical Res Inst 弾性体を取り付けたまくらぎの製造方法
JPH0624001U (ja) * 1992-08-31 1994-03-29 株式会社ミツテック 軌道の橋桁と橋まくらぎの締結金具
KR20030020830A (ko) * 2001-09-04 2003-03-10 프라이데러 인프라스트룩투르테케닉 게엠베하 운트 컴파니 케이지 게트락 a3 고정 트랙용 이중 침목
KR100706786B1 (ko) 2005-05-31 2007-04-11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프리케스트 슬래브 궤도 시스템 및 시공방법
KR101266111B1 (ko) 2012-11-07 2013-05-2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아스팔트 노반용 탄성패드와 전단고정 장치를 구비한 침목 및 그 시공 방법
KR101270942B1 (ko) 2012-11-07 2013-06-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아스팔트 노반용 전단고정 장치를 구비한 침목 및 그 시공 방법
JP2014005604A (ja) * 2012-06-21 2014-01-16 Railway Technical Research Institute 軌道スラブの拘束構造、拘束治具、軌道スラブの拘束構造の形成方法
KR20140036898A (ko) 2012-09-18 2014-03-2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아스팔트 노반의 침목 및 슬래브 패널 고정 장치와 그 시공 방법
KR20140132798A (ko) 2013-05-06 2014-11-1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밴드형 전단보강장치를 구비한 궤도 및 그 시공방법
KR20140132797A (ko) 2013-05-06 2014-11-1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앵커형 전단보강장치를 구비한 궤도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9801A (ja) * 1992-07-15 1994-02-22 Railway Technical Res Inst 弾性体を取り付けたまくらぎの製造方法
JPH0624001U (ja) * 1992-08-31 1994-03-29 株式会社ミツテック 軌道の橋桁と橋まくらぎの締結金具
KR20030020830A (ko) * 2001-09-04 2003-03-10 프라이데러 인프라스트룩투르테케닉 게엠베하 운트 컴파니 케이지 게트락 a3 고정 트랙용 이중 침목
KR100706786B1 (ko) 2005-05-31 2007-04-11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프리케스트 슬래브 궤도 시스템 및 시공방법
JP2014005604A (ja) * 2012-06-21 2014-01-16 Railway Technical Research Institute 軌道スラブの拘束構造、拘束治具、軌道スラブの拘束構造の形成方法
KR20140036898A (ko) 2012-09-18 2014-03-2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아스팔트 노반의 침목 및 슬래브 패널 고정 장치와 그 시공 방법
KR101266111B1 (ko) 2012-11-07 2013-05-2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아스팔트 노반용 탄성패드와 전단고정 장치를 구비한 침목 및 그 시공 방법
KR101270942B1 (ko) 2012-11-07 2013-06-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아스팔트 노반용 전단고정 장치를 구비한 침목 및 그 시공 방법
KR20140132798A (ko) 2013-05-06 2014-11-1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밴드형 전단보강장치를 구비한 궤도 및 그 시공방법
KR20140132797A (ko) 2013-05-06 2014-11-1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앵커형 전단보강장치를 구비한 궤도 및 그 시공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국 등록특허번호 제6,764,022호(출원일: 202년 8월 1일), 발명의 명칭: "Double Sleeper For GETRAC A3 Fixed Tra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8932B2 (en) Ballastless track system
US9222225B2 (en) Pre-stressed concrete track slab of slab-type ballast-less track
KR102279940B1 (ko) 접속 영역용 레일 체결 장치
KR101293285B1 (ko) 교량 구조물의 고정 주행 트랙
US8146834B2 (en) Concrete carriageway for rail vehicles
KR101722994B1 (ko) 아스팔트 콘크리트궤도 접속부 구조 및 그 시공방법
EP2074261B1 (en) Resilient rail support block assembly
KR20170053959A (ko) 열차 운행을 고려하여 철도궤도를 개량하기 위한 급속경화궤도용 콘크리트 장침목 블록 및 그 시공 방법
KR20150111547A (ko) 아스팔트 노반상 직결궤도용 광폭침목 및 그 시공 방법
KR20120039429A (ko) 철도궤도용 프리캐스트 레일슬래브 및 이를 이용한 매립식 철도궤도 구조
JP4934779B2 (ja) 乗降場構成体および乗降場設置方法
KR101266111B1 (ko) 아스팔트 노반용 탄성패드와 전단고정 장치를 구비한 침목 및 그 시공 방법
KR20140005507A (ko) 철도교량 단부 횡단 궤도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1625829B1 (ko) 토목섬유와 수평수직이동 구속장치를 구비한 광폭침목 및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한 아스팔트 직결궤도 및 그 시공방법
CN207567571U (zh) 一种用于相邻浮置板之间的板缝处的连接装置
KR101270942B1 (ko) 아스팔트 노반용 전단고정 장치를 구비한 침목 및 그 시공 방법
EP1621670A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chienenfahrwegs und Schienenfahrweg
KR101634127B1 (ko) 광폭 침목 및 슬래브 패널의 수평-수직 이동 구속장치 및 그 시공 방법
KR101781045B1 (ko) 토목섬유와 강관형 궤도변위 저항장치를 구비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궤도 및 그 시공방법
CN109235151A (zh) 一种铁路钢桁梁桥上弹性长枕埋入式无砟轨道构造
CN210886927U (zh) 一种铁路桥梁整体钢桥面板上道砟槽
KR101014268B1 (ko) 자갈도상용 자갈막이 방호패널
CN211079914U (zh) 一种内嵌拼装化连续支承轨板梁结构
CN209066192U (zh) 一种铁路钢桁梁桥上弹性长枕埋入式无砟轨道构造
EP3612677B1 (en) System for fastening a rail, methods for producing a fastening and a support system for a rail and use of a rail faste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