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5578B1 - He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Hea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5578B1
KR101625578B1 KR1020140070022A KR20140070022A KR101625578B1 KR 101625578 B1 KR101625578 B1 KR 101625578B1 KR 1020140070022 A KR1020140070022 A KR 1020140070022A KR 20140070022 A KR20140070022 A KR 20140070022A KR 101625578 B1 KR101625578 B1 KR 101625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module
unit
heat insulating
hea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0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41380A (en
Inventor
서민희
Original Assignee
(주)썬레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썬레이텍 filed Critical (주)썬레이텍
Priority to KR1020140070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578B1/en
Publication of KR20150141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13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5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Abstract

본 발명은 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열을 발산하는 히터유닛 및 소정의 면적을 가지며 상기 히터유닛이 발산하는 열을 하부로 전달하는 방열판을 포함하는 발열모듈; 상기 방열판의 면적과 대응하는 면적을 가지며, 상기 발열모듈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히터유닛이 발산하는 열이 상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모듈; 및 상기 발열모듈의 측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며 상기 발열모듈 및 상기 단열모듈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프레임유닛 및 상기 프레임유닛과 결합하고, 상기 단열모듈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를 상부에서 고정하는 결합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발열모듈 및 상기 단열모듈을 고정 결합하는 하우징모듈;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t generating module including a heater unit that dissipates heat and a heat sink that has a predetermined area and transfers the heat radiated by the heater unit to the lower portion. A heat insulating module having an area corresponding to an area of the heat sink and being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heat generating module to block the heat radiated from the heater unit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upper portion; And a frame unit coupled to the frame unit and supporting at least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module at the upper portion, And a housing module for fixing the heat generating module and the heat insulating module to each other.

Description

난방장치{HEATING APPARATUS}H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다 효율적인 난방효과를 가지고, 내구성이 향상되며, 본 장치가 설치되는 실내공간의 활용 효율이 높은 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apparatus, more particularly, to a heating apparatus having a more efficient heating effect, improved durability, and a higher utilization efficiency of an indoor space in which the present apparatus is installed.

오늘날 실내공간의 온도를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난방장치를 사용하고 있다.Today, various heating devices are used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indoor space.

특히, 난방장치가 설치되는 실내공간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천장 또는 벽면에 설치하는 난방장치의 이용이 늘어나는 추세이다.Particularly, in order to improve the usability of the indoor space where the heating device is installed, the use of the heating device installed on the ceiling or the wall is increasing.

하지만, 기존의 천장 매립형 난방장치는 그 부피가 커서 천장의 내부에 매립하기 위한 설치과정이 복잡하고, 별도의 공조시스템이 설치 되야 하기 때문에 쉽게 설치하기 어렵고,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많은 비용이 소모되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관련 기술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ceiling-mounted type heating apparatus is bulky and requires a complicated installation process for embedding in the ceiling, a separate air conditioning system must be installed, so that it is difficult to install the apparatus and it is costly. And related technologies for solving the problems are being actively developed.

그 중에서도 열선과 방열판을 이용하여 열을 확산시키는 방식의 간편한 난방장치를 이용하기도 한다.Among them, a simple heating system is used in which heat is diffused by using a heat line and a heat sink.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난방장치는 열선을 방열판에 고정하기 위하여 테이프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열에 의하여 테이프가 떨어져 나가 열선의 고정능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conventional heating apparatus often uses a tape to fix the heat ray to the heat sink,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ape is detached due to heat and the fixing ability of the heat ray is lost.

또한, 열선 및 방열판 자체의 무게와 열선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하여 방열판 또는 난방장치의 프레임이 변형되어 전체적인 난방장치가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rame of the heat sink or the heating device is deformed by the heat of the heat ray and the heat sink itself and the heat radiated from the heat ray, and the whole heating device is deformed.

이처럼 난방장치가 변형되면, 구조적으로도 약해져서 파손의 위험성이 있으며, 이는 안전사고의 발생으로 연결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If the heating device is deformed as described above, it is structurally weakened and there is a risk of breakage, which may lead to the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또한, 방열판 및 프레임이 변형되면서 형성되는 틈으로 난방장치 내부의 단열재와 같은 이물질이 난방장치의 외부로 배출되어 실내를 오염시킬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 foreign material such as a heat insulating material inside the heating devi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eating device by the gap formed by the heat radiating plate and the frame being deformed, thereby contaminating the room.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효율적인 난방효과를 가지고, 내구성이 향상되며, 본 장치가 설치되는 실내공간의 활용 효율이 높은 난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ting device having more efficient heating effect, improved durability, and higher utilization efficiency of an indoor space in which the present device is installe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 disclosed. There will be.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는 열을 발산하는 히터유닛 및 소정의 면적을 가지며 상기 히터유닛이 발산하는 열을 하부로 전달하는 방열판을 포함하는 발열모듈, 상기 방열판의 면적과 대응하는 면적을 가지며, 상기 발열모듈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히터유닛이 발산하는 열이 상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모듈 및 상기 발열모듈의 측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며 상기 발열모듈 및 상기 단열모듈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프레임유닛 및 상기 프레임유닛과 결합하고, 상기 단열모듈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를 상부에서 고정하는 결합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발열모듈 및 상기 단열모듈을 고정 결합하는 하우징모듈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eating apparatus comprising: a heat-generating module including a heater unit for radiating heat and a heat-radiating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transmitting heat radiated from the heater unit; A heat insulating modul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heat generating module and intercepting the heat radiated from the heater unit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eat generating module, And a coupling unit coupled to the frame unit and configured to fix at least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 insulation module at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unit, wherein the heat generation module and the heat insulation module are fixedly coupled to each other, .

여기서, 상기 하우징모듈은 상기 결합유닛의 하부에 상기 단열모듈을 하방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된 가압부가 마련될 수 있다.Here, the housing module may be provided with a pressurizing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unit so as to press the heat insulating module downward.

이때, 상기 가압부는 상기 단열모듈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essing portion can be inserted into the heat insulating module.

또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결합유닛의 일부가 하방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pressing portion may be formed by bending a part of the coupling unit downward.

한편, 상기 단열모듈은 열전도율이 낮은 단열부재 및 상기 단열부재를 감싸는 단열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at insulating module may include a heat insulating member having a low thermal conductivity and a heat insulating cover surrounding the heat insulating member.

이때, 상기 단열부재는 복수개의 유리섬유막이 다층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eat insulating member may have a plurality of glass fiber membranes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또한, 상기 단열커버는 열반사율이 높은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히터유닛이 상기 단열모듈 쪽으로 발산하는 열을 상기 방열판으로 반사할 수 있다.The heat insulating cover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high heat reflectivity, so that the heat emitted by the heater unit toward the heat insulating module may be reflected to the heat sink.

한편, 상기 발열모듈은 상기 히터유닛이 상기 방열판과 결합하여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고정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eat generating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unit that is configured to fix the heater unit in association with the heat dissipating plate.

이때,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히터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상기 방열판과 결합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xing unit may cover at least a part of the heater unit and may be formed to be coupled with the heat sink.

또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발열모듈이 상기 단열모듈과 결합할 때, 상기 방열판과 상기 단열모듈 사이의 공간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a space between the heat radiating plate and the heat insulating module when the heat generating module is coupled with the heat insulating module.

또한, 상기 고정유닛은 접착제로 형성되어, 상기 히터유닛의 측부와 상기 방열판을 결합할 수도 있다.Further, the fixing unit may be formed of an adhesive so as to couple the side of the heater unit and the heat sink.

이때, 상기 접착제는 내열 실리콘 및 도전성 금속분말의 혼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dhesive may be formed by mixing heat-resistant silicon and conductive metal powder.

또한, 상기 히터유닛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복수개가 상기 방열판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히터유닛의 배치와 대응되어, 복수개가 상기 방열판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Also, the heater unit may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plurality of the heater units may be arranged to cross the heat radiating plate, and the fixing unit may correspond to the arrangement of the heater units so that a plurality of the heat radiating plates traverse the heat radiating plate.

한편, 상기 발열모듈은 열이 발생하는 발열부 및 상기 발열부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발열부를 감싸는 형태의 커버부로 형성되는 히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The heat generating module may include a heater unit including a heat generating unit generating heat and a cover unit spaced apart from the heat generating uni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enclose the heat generating unit.

이때, 상기 커버부는 일측면이 평면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방열판과 면접촉을 하며 결합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ver portion may be formed in a planar shape on one side, and may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heat sink.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에 의하면, 보다 효율적인 난방효과를 가지고, 내구성이 향상되며, 본 장치가 설치되는 실내공간의 활용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he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efficient heating effect, durability is improved, and utilization efficiency of the indoor space in which the present apparatus is installed can be increased.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종래의 난방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 일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가 별도의 보강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열모듈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모듈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모듈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모듈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발열모듈에서 히터유닛 및 고정유닛의 배치에 대한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모듈에서 히터유닛 및 고정유닛의 배치에 대한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모듈에서 히터유닛 및 고정유닛의 배치에 대한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heating apparatus.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e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embodiment of a heating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reinforcing frame.
5 is a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heat generat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heat generat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heat generat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heat generat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arrangement of the heater unit and the fixing unit in the heat generat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arrangement of the heater unit and the fixing unit in the heat generat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arrangement of the heater unit and the fixing unit in the heat generat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ress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s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simpl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전방?후방 또는 상측?하측과 같이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재된 것들로서, 상대적인 방향을 지시하는 것이므로,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고 할 것이다.Furthermor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erms indicating a direction such as a forward-rearward direction or an upward-downward direction are described in order tha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clearly and indicate a relative direction, It is not limi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는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는 형태를 기본 형태로 하고 있기 때문에 난방장치의 하부를 향해 열을 발산하는 형태로 상세한 설명을 하도록 한다.Further, since the he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ceiling of a room as a basic form, heat is radiated toward a lower portion of the heating device.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가 실내의 벽에 설치되는 등의 특정한 방향을 향해 열을 발산하도록 다양하게 설치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고 할 것이다.However, it is obvious that the he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installed to radiate heat toward a specific direction such as being installed on a wall of a room, and thus the scope of the right is not limited.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난방장치가 갖고 있는 문제점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First, with reference to Fig. 1,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heat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도 1은 종래의 난방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heating apparatu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난방장치의 구성은 크게 히터(10), 단열재(20) 및 프레임(30)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construction of a conventional heating apparatus is roughly composed of a heater 10, a heat insulating material 20, and a frame 30.

이러한 종래의 난방장치는 히터(10)의 열선(11) 및 방열판(12) 자체의 무게와 열선(11)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하여 방열판(12)이 변형되어 휘는 문제점이 있다.Such a conventional heating apparatus has a problem in that the heat sink 11 is deformed due to the heat of the heat ray 11 and the heat sink 12 itself and the heat radiated from the heat ray 11.

게다가, 이러한 열과 변형에 의하여 열선(11)을 방열판(12)에 고정하는 테이프의 접착력이 약해져서 열선(11)을 고정하는 능력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due to such heat and deformation, the adhesive force of the tape fixing the heat ray 11 to the heat sink 12 is weakened, and the ability of fixing the heat ray 11 is remarkably deteriorated.

또한, 프레임(30)의 고정성능이 낮은 상태에서 방열판(12)이 휘면 방열판(12)과 프레임(30)의 사이가 벌어져 난방장치의 전체적인 구조가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Further, if the heat sink 12 is bent in a state where the fixing performance of the frame 30 is low,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eat sink 12 and the frame 30 are widened, and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heating apparatus is weakened.

이와 더불어, 다층의 유리섬유로 형성된 단열재(20)에서 발생한 미세한 유리섬유(21)가 전술한 방열판(12) 및 프레임(30)의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하여 빠져나오는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ine glass fibers 21 generated i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20 formed of the multilayer glass fiber come out through the gap formed between the heat sink 12 and the frame 30 described above.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he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se problem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First, the construction of a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to FIG.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 일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Here,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ectional view of a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의 일 실시예는 발열모듈(100)과, 단열모듈(200) 및 하우징모듈(300)을 포함한다.2 and 3, an embodiment of the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t generating module 100, a heat insulating module 200, and a housing module 300.

발열모듈(100)은 열을 발산하는 히터유닛(110) 및 히터유닛(110)이 발산하는 열을 하부로 전달하는 방열판(1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heat generating module 100 may include a heater unit 110 for radiating heat and a heat sink 120 for transferring the heat radiated from the heater unit 110 to the lower portion.

히터유닛(110)은 전기 또는 온수 등을 사용하여 열을 발산하는 구성으로, 그 자세한 형태나 배치 등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The heater unit 110 is configured to radiate heat by using electric or hot water, and its detailed configuration and arrangement will be described later.

방열판(120)은 히터유닛(110)이 발산하는 열을 하부로 전달하는 구성으로, 열전도율이 높은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The heat dissipating plate 12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high thermal conductivity, and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heat radiated from the heater unit 110 to the lower portion.

이와 같은, 방열판(120)은 높은 열전도율을 지니는 소재로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히터유닛(110)의 열을 하부로 전달하기 위하여 마련된다면 그 형태 및 구성은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The heat dissipation plate 12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high thermal conductivity and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so as to transmit the heat of the heater unit 110 to the lower portion.

한편, 단열모듈(200)은 전술한 발열모듈(100)에서 발산되는 열이 상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구성으로, 방열판(120)의 면적과 대응하는 면적을 가지며, 발열모듈(10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The heat insulating module 200 has a structure that blocks the heat emitted from the heat generating module 100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upper portion and has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heat sink 120, Lt; / RTI >

또한, 단열모듈(200)은 열전도율이 낮은 단열부재(210) 및 단열부재(210)를 감싸는 단열커버(220)로 구성될 수 있다.The heat insulating module 200 may include a heat insulating member 210 having a low thermal conductivity and a heat insulating cover 220 surrounding the heat insulating member 210.

본 실시예에서는 열전도율이 낮은 복수개의 유리섬유막을 적층하여 다층구조를 이루어 단열부재(210)를 형성하고, 다층의 유리섬유막을 감싸는 알루미늄호일로 단열커버(220)를 형성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glass fiber membranes having a low thermal conductivity may be laminated to form a multi-layered structure to form the heat insulating member 210, and the heat insulating cover 220 may be formed of aluminum foil wrapping a plurality of glass fiber membranes.

또한, 이러한 구성은 단열커버(220)로 형성된 알루미늄호일이 열을 반사시키는 효과도 동시에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is configuration can also have the effect of reflecting heat by the aluminum foil formed by the heat insulating cover 220. [

이와 같이, 단열커버(220)가 열 반사율이 높은 소재로 형성되어, 전술한 히터유닛(110)이 단열모듈(200) 쪽으로 발산하는 열을 방열판(120)으로 반사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의 난방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case where the heat insulating cover 220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high heat reflectance and the heat emitted by the heater unit 110 toward the heat insulating module 200 is reflected by the heat sink 120, The heating efficiency of the heating device can be further increased.

또한, 본 실시예에서 단열부재(210)로 사용된 유리섬유막은 미세한 유리가루가 발생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의 외부로 빠져나올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lass fiber membrane used as the heat insulating member 210 may generate fine glass dust, and may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단열커버(220)가 단열부재(210)를 감싸는 구성을 통하여 단열부재(210)로 인한 이물질이 발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질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being generated due to the heat insulating member 210 from being blocked through the structure in which the heat insulating cover 220 surrounds the heat insulating member 210.

이러한 단열모듈(200)의 구성은 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며, 발열모듈(100)의 열이 상부로 발산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하부의 방열판(120)의 방향으로 반사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면 그 형태 및 구성은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heat insulating module 200 is merely an exampl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eat of the heat generating module 100 from being diverted to the upper side or to reflect the heat toward the lower heat sink 120, May be varied without limitation.

한편, 하우징모듈(300)은 전술한 발열모듈(100)과 단열모듈(200)을 고정 결합하는 구성으로, 발열모듈(100)의 측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프레임유닛(310) 및 단열모듈(200)의 상면을 고정하는 결합유닛(3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housing module 300 is configured to fix the heat generating module 100 and the heat insulating module 200 in a fixed manner and includes a frame unit 310 and a heat insulating module 200 (Not shown).

프레임유닛(310)은 전술한 발열모듈(100)과 단열모듈(200)이 결합한 상태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발열모듈(100)의 측부를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돌출된 부위가 형성되어 단면이 'ㄴ'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frame unit 310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side surface of the heat generating module 100 and the heat insulating module 200 in a state where the heat generating module 100 and the heat insulating module 200 are coupled to each other, Section may be formed in an " a " shape.

또한, 결합유닛(320)은 단열모듈(200)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를 상부에서 고정하며, 전술한 프레임유닛(310)과 결합할 수 있다.Further, the coupling unit 320 may fix at least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module 200 at the upper portion thereof, and may engage with the frame unit 310 described above.

즉, 하우징모듈(300)의 형태는 프레임유닛(310) 및 결합유닛(320)이 결합하여 발열모듈(100)과 단열모듈(200)이 결합된 전체 측면을 감싸며, 단면이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shape of the housing module 300 is such that the frame unit 310 and the coupling unit 320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cover the entire side where the heat generating module 100 and the heat insulating module 200 are combined, As shown in FIG.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유닛(310) 및 결합유닛(320)이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구성이 적용되어 있으나, 이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In this embodiment,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rame unit 310 and the coupling unit 320 are coupled by a bolt is applied, but this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또한,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모듈(300)은 복수개의 파트가 별도의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결합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이 역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Also,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using module 300 is formed such that a plurality of parts are coupled using separate connecting member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이와 같이, 하우징모듈(300)이 발열모듈(100) 및 단열모듈(200)을 고정결합하기 위하여 마련된다면 그 형태 및 구성은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As long as the housing module 300 is provided for fixing the heat generating module 100 and the heat insulating module 200 as described above, the shape and configuration of the housing module 300 may be various without limitation.

또한, 하우징모듈(300)은 발열모듈(100) 및 단열모듈(200)을 보다 강하게 고정 및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Further, the housing module 300 may further include a structure for more firmly fixing and coupling the heat generating module 100 and the heat insulating module 200,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이어서,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 일 실시예의 발열모듈(1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4 to 11, the heating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b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now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여기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가 별도의 보강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열모듈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모듈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모듈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모듈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eparate reinforcing frame, FIG. 5 is a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heat generat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heat generat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heat generat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또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발열모듈에서 히터유닛 및 고정유닛의 배치에 대한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모듈에서 히터유닛 및 고정유닛의 배치에 대한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모듈에서 히터유닛 및 고정유닛의 배치에 대한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arrangement of the heater unit and the fixing unit in the heat generat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arrangement of the heater unit and the fixing unit in the heat generat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먼저,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 일 실시예의 발열모듈(100)은, 히터유닛(110), 방열판(120)을 포함할 수 있다.First, as described above, the heating module 100 of the embodiment of the he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heater unit 110 and the heat sink 120.

이때,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모듈(100)은 히터유닛(110)이 방열판(120)과 결합하여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고정유닛(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4 and 5, the heat generating module 100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unit 130 configured to fix the heater unit 110 in combination with the heat sink 120. Referring to FIG.

고정유닛(130)은 히터유닛(11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방열판(120)과 결합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접착제(G)와 같은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고정유닛(130)과 방열판(120)이 결합할 수 있다.The fixing unit 130 may be formed to cover at least a part of the heater unit 110 and to be coupled with the heat sink 120. In this case, the fixing unit 130 may be formed using a coupling member such as an adhesive G, The heat sink 120 can be coupled.

이러한 경우, 접착제(G)는 열에 의한 변형이나 접착력이 변하지 않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In such a case, it is advantageous to use an adhesive which does not cause deformation due to heat or an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G).

본 실시예에서 고정유닛(130)은 히터유닛(110)의 둘레를 감싸는 '凸'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히터유닛(110)을 방열판(120)에 고정 시키도록 마련된다면 그 형태 및 구성은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The fixing unit 130 is formed in a convex shape that surrounds the heater unit 110. However, if the heater unit 110 is provided to fix the heater unit 110 to the heat sink 120, But may be varied without limitation.

또한, 고정유닛(130)이 방열판(120)과 결합하기 위한 방법 역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용접 또는 볼트 등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것도 적용 가능하다.Also, the method for coupling the fixing unit 130 with the heat sink 120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and welding or bolt coupling is also applicable.

한편, 고정유닛(130)은 히터유닛(11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므로, 히터유닛(110)을 방열판(120)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방열판(120) 및 단열모듈(200)의 사이에 히터유닛(110)이 구비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지지할 수 있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Since the fixing unit 130 is formed to enclose at least a part of the heater unit 110, the heater unit 110 is fixed to the heat sink 120 and the heat sink 120 and the heat insulating module 200 So that the heater unit 110 can be supported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heater unit 110 can be installed.

이러한 고정유닛(130)이 열전도율이 낮은 소재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히터유닛(110)에서 발산되는 열이 보다 방열판(120)의 방향으로 집중되는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When the fixed unit 130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low thermal conductivity, the heat dissipated from the heater unit 110 may be more concentrated in the direction of the heat sink 120.

또는, 고정유닛(130)이 열전도율이 높은 소재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방열판(120)과 단열모듈(20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서 열이 복사되면서 보다 고르게 방열판(120)이 가열되는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fixing unit 130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high thermal conductivity, heat is radiated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heat radiating plate 120 and the heat insulating module 200, and the heat radiating plate 120 is more uniformly heated You can get it.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유닛(130)과 별도로 방열판(120)을 가로지르며 방열판(120)과 결합하는 보강프레임(400)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4, the reinforcing frame 400 may be further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heat sink 120 across the heat sink 120 in addition to the fixing unit 130. As shown in FIG.

이때, 고정유닛(130)으로 이용되는 구조 그대로 히터유닛(110)과 별개로 고정 결합되어 보강프레임(400)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고정유닛(130)을 뒤집어서 결합하는 등 다양한 적용이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structure used as the fixing unit 130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heater unit 110 separately from the heater unit 110 to serve as the reinforcing frame 400, or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fixing unit 130 in an inverted manner This is possible.

보강프레임(400)은 방열판(12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열판(120)과 결합되도록 구비된다면 그 형태 및 구성은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frame 400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heat sink 120 in order to prevent the heat sink 120 from being deformed.

한편, 히터유닛(110)은 열이 발생하는 발열부(112) 및 발열부(112)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발열부(112)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커버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ater unit 110 may include a heat generating unit 112 for generating heat and a cover unit 114 formed to surround the heat generating unit 112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heat generating unit 112 have.

발열부(112)는 전기 또는 온수 등에 의하여 열을 발생하도록 구성되며, 열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면 그 형태 및 구성은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The heat generating unit 112 is configured to generate heat by electricity or hot water, and the shape and configuration of the heat generating unit 112 may be various without limitation if the heat generating unit 112 is provided to generate heat.

커버부(114)는 발열부(112)가 발산하는 열이 확산되는 효율을 높이기 위한 구성으로,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The cover portion 114 is advantageous in that the cover portion 114 is formed of a metal having a high thermal conductivity so a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diffusing the heat radiated by the heat generating portion 112.

커버부(114)가 발열부(112)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면, 히터유닛(110)이 공기 중에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보다 열이 확산되는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When the cover part 114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heat generating part 112, the contact area of the heater unit 110 with the air is widened, so that the efficiency of heat diffusion can be increased.

또한, 커버부(11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이 평면인 형태로 형성되어, 방열판(120)과 면접촉을 하며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6, the cover part 114 may be formed in a planar shape on one side and may be formed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heat sink 120. [

이러한 경우, 히터유닛(110)이 발산하는 열이 방열판(120)으로 전달되는 효율이 높아지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In this case, the efficiency with which the heat radiated by the heater unit 110 is transmitted to the heat sink 120 can be increased.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14)가 고정유닛(130)과 맞닿는 부위가 평면의 형태로 변형되고, 변형된 커버부(114)의 형태에 맞추어 전술한 고정유닛(130)의 형태도 그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7, the portion where the cover portion 114 abuts against the fixed unit 130 is deformed into a flat shape, and the fixed unit 130 described above is fitted to the deformed cover portion 114, It is advantageous that the shape of the light guide plate is formed corresponding thereto.

이러한 경우, 고정유닛(130)이 변형된 형태의 커버부(114)를 보다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is case, the effect that the fixing unit 130 can more effectively fix the deformed cover part 114 can be obtained.

이러한 커버부(114)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cover portion 114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may be various.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G)가 고정유닛(130)의 역할을 하도록 형성되어, 접착제(G)가 히터유닛(110)의 측부와 방열판(120)을 고정 결합할 수도 있다.8, the adhesive G is formed to serve as the fixing unit 130, so that the adhesive G can fix the side of the heater unit 110 and the heat sink 120 in a fixed manner .

이러한 경우,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접착제(G)는 열에 의한 변형이나 접착력이 변하지 않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In such a case, it is advantageous to use an adhesive that does not cause deformation due to heat or an adhesive force, as 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이때, 접착제(G)는 내열실리콘 및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분말이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dhesive (G) may be formed by mixing heat-resistant silicon and metal powder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보다 구체적으로, 공업용 금과 같은 열전도가 높은 금속분말을 내열실리콘과 혼합하여 히터유닛(110) 및 방열판(120)을 고정 결합한다.More specifically, a metal powder having a high thermal conductivity such as industrial grade gold is mixed with heat-resistant silicon to fix the heater unit 110 and the heat sink 120 in a fixed manner.

이러한 경우, 히터유닛(110)에서 발산되는 열이 고정유닛(130)의 역할을 하는 접착제(G)를 통하여 방열판(120)으로 보다 쉽고 빠르게 전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is case, the heat emitted from the heater unit 110 can be transferred to the heat sink 120 more easily and quickly through the adhesive G serving as the fixing unit 130. [

또한, 접착제(G)가 히터유닛(110)과 방열판(120)의 사이를 차단하지 않도록 히터유닛(110)의 측부와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유리하다.It is also advantageous that the adhesive G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heater unit 110 so as not to block the gap between the heater unit 110 and the heat sink 120.

한편, 방열판(120)에 히터유닛(110) 및 고정유닛(130)이 배치되는 형태는 다음과 같이 적용될 수 있다.Meanwhil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heater unit 110 and the fixing unit 130 are disposed on the heat sink 120 may be applied as follows.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히터유닛(110)이 방열판(120)을 지그재그로 가로지르며 배치되는 경우, 히터유닛(110)이 가로지는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유닛(130)이 구비되어 히터유닛(110)을 고정할 수 있다.9, when one heater unit 110 is arranged to stagger the heat sink 120, the fixing unit 130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heater unit 110 is traversed So that the heater unit 110 can be fixed.

전술한 고정유닛(130)의 구성은 열에 의하여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히터유닛(110)의 고정능력을 상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히터유닛(110)을 따라 복수개의 고정유닛(130)이 방열판(120)을 가로지르며 고정되기 때문에, 고정유닛(130)이 방열판(120)을 구조적으로 보강하는 보강재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The structure of the fixed unit 130 described above is not deformed by the heat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xing ability of the heater unit 110 from being lost and also to prevent the fixing units 130 along the heater unit 110, The fixing unit 130 can also function as a reinforcing member for structurally reinforcing the heat sink 120. [0051] As shown in FIG.

즉, 방열판(120)이 방열판(120) 자체의 무게 및 히터유닛(110)의 무게를 지탱하면서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at 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eat sink 120 from being deformed while supporting the weight of the heat sink 120 itself and the weight of the heater unit 110.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판(120)의 일부를 지그재그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된 히터유닛(110)이 복수개 구비되어 방열판(120) 상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형태로 형성된 복수개의 히터유닛(110)이 방열판(120)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10, a plurality of heater units 110 arranged to stagger a part of the heat radiating plate 120 may be disposed on the heat radiating plate 120, as shown in FIG. 11, Similarly, a plurality of heater units 110 formed in a straight line may be arranged to cross the heat sink 120.

이러한 경우에도,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고정유닛(130)은 히터유닛(110)의 배치와 대응되게 배치되어 방열판(120)과 결합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also, the fixing unit 130 may be dispos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arrangement of the heater unit 110 and may be combined with the heat sink 120,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이러한 경우에도,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고정유닛(130)이 히터유닛(110)을 고정함과 동시에 방열판(120)의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lso in this case, the fixing unit 130 fixes the heater unit 110 and prevents the heat sink 120 from being deformed,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이와 같은 히터유닛(110) 및 고정유닛(130)의 배치는 고정유닛(130)이 히터유닛(110)을 고정하면서 방열판(120)을 구조적으로 보강하도록 마련된다면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The arrangement of the heater unit 110 and the fixing unit 130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provided that the fixing unit 130 is structured to reinforce the heat sink 120 while fixing the heater unit 110 can do.

이어서,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 일 실시예의 하우징모듈(3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12 and 13, the housing modul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be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여기서,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2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s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s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모듈(300)은 결합유닛(320)의 하부에 단열모듈(200)을 하방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가압부(322)가 마련될 수 있다.12 and 13, the housing module 300 may be provided with a pressing portion 322 formed below the coupling unit 320 so as to press the heat insulating module 200 downward.

이러한 가압부(322)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유닛(320)의 일부가 하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결합유닛(320)이 프레임유닛(310)과 결합하면서 돌출된 가압부(322)가 단열모듈(200)의 상면으로 압력을 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12, a part of the coupling unit 320 is formed in a downwardly protruding shape so that the coupling unit 320 is coupled to the frame unit 310, 322 may be formed to apply pressur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module 200.

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유닛(320)이 일부가 하방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결합유닛(320)이 프레임유닛(310)과 결합하면서 결합유닛(320)의 절곡된 부위가 단열모듈(200)의 상면으로 압력을 가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13, the coupling unit 320 may be formed in a downwardly bent shape so that the coupling unit 320 is coupled with the frame unit 310, And may be formed to apply pressur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module 200.

또한, 가압부(322)의 형태에 따라 가압부(322)의 일부가 단열모듈(200)의 내부로 삽입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hat a part of the pressing portion 322 is inserted into the heat insulating module 200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ressing portion 322.

이와 같은 가압부(322)의 구성은 프레임유닛(310) 및 결합유닛(320)이 결합하면서 하우징모듈(300)을 형성하여 발열모듈(100)과 단열모듈(200)을 고정할 때, 단열모듈(200)을 발열모듈(100)의 방향으로 가압하여 발열모듈(100) 및 단열모듈(200)을 보다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When the frame unit 310 and the coupling unit 320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the housing module 300 to fix the heat generating module 100 and the heat insulating module 200, The heat generating module 100 and the heat insulating module 200 can be more firmly fixed by pressing the heat generating module 200 in the direction of the heat generating module 100.

또한, 가압부(322)의 구성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강화시키고, 전술한 단열부재(210)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물질이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의 외부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The structure of the pressurizing portion 322 enhances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prevents the foreign matter that may be generated in the above-described heat insulating member 210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of the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lso an effect.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는 전술한 모든 구성을 통하여 보다 효율적인 난방효과를 가지며,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he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ore efficient heating effect and improved durability through all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또한, 천장이나 벽에 설치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가 설치되는 실내공간의 활용적인 측면에서도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it is installed on a ceiling or a wall, a great effect can be obtained in terms of utilization of the indoor space in which the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또한,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self-evid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ccording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modifications or alter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modified embodiment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발열모듈
110 : 히터유닛
112 : 발열부 114 : 커버부
120 : 방열판
130 : 고정유닛
200 : 단열모듈
210 : 단열부재
220 : 단열커버
300 : 하우징모듈
310 : 프레임유닛
320 : 결합유닛
322 : 가압부
100: heating module
110: heater unit
112: heat generating part 114: cover part
120: heat sink
130: fixed unit
200: Insulation module
210:
220: Insulation cover
300: housing module
310: frame unit
320: Coupling unit
322:

Claims (15)

열을 발산하는 히터유닛 및 소정의 면적을 가지며 상기 히터유닛이 발산하는 열을 하부로 전달하는 방열판을 포함하는 발열모듈;
상기 방열판의 면적과 대응하는 면적을 가지며, 상기 발열모듈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히터유닛이 발산하는 열이 상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모듈; 및
상기 발열모듈의 측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며 상기 발열모듈 및 상기 단열모듈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프레임유닛 및 상기 프레임유닛과 결합하고, 상기 단열모듈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를 상부에서 고정하는 결합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발열모듈 및 상기 단열모듈을 고정 결합하는 하우징모듈;
을 포함하되,
상기 발열모듈은,
상기 히터유닛이 상기 방열판과 결합하여 고정되도록, 플레이트가 상기 히터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상기 방열판과 결합되어, 상기 방열판과 상기 단열모듈 사이의 공간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고정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장치.
A heat generating module including a heater unit for radiating heat and a heat radiating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transmitting the heat radiated by the heater unit to the lower portion;
A heat insulating module having an area corresponding to an area of the heat sink and being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heat generating module to block the heat radiated from the heater unit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upper portion; And
A frame unit for supporting a side portion of the heat generating module from below and enclosing a side surface of the heat generating module and the heat insulating module and a coupling unit coupled to the frame unit and fixing at least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module A housing module for fixing the heat generating module and the heat insulating module to each other;
≪ / RTI >
The heat-
And a fixing unit coupled to the heat radiating plate and configured to support a space between the heat radiating plate and the heat insulating module so that the plate surrounds at least a part of the heater unit so that the heater unit is fixedly coupled with the heat radiating plate. Heat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모듈은,
상기 결합유닛의 하부에 상기 단열모듈을 하방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된 가압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module includes:
And a pressurizing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unit to press the heat insulating module downwar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단열모듈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ressing portion
And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heat insulating modu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결합유닛의 일부가 하방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ressing portion
Wherein a part of the coupling unit is bent downw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모듈은,
열전도율이 낮은 단열부재 및 상기 단열부재를 감싸는 단열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eat insulating module comprises:
A heat insulating member having a low thermal conductivity and a heat insulating cover surrounding the heat insulating memb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재는,
복수개의 유리섬유막이 다층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heat insulating member
Wherein a plurality of glass fiber membranes are formed in a multi-layered structur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커버는,
소정의 열반사율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히터유닛이 상기 단열모듈 쪽으로 발산하는 열을 상기 방열판으로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heat-
Wherein the heating unit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heat reflectivity and reflects heat emitted from the heater unit toward the heat insulating module to the heat sink.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유닛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복수개가 상기 방열판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히터유닛의 배치와 대응되어, 복수개가 상기 방열판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eater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plates disposed to cross the heat dissipation plate,
The fixed unit includes:
Wherein a plurality of heaters are arranged to cross the heat radiating plate in correspondence with the arrangement of the heater uni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모듈은,
열이 발생하는 발열부 및 상기 발열부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발열부를 감싸는 형태의 커버부로 형성되는 히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eat-
And a heater unit including a heating part generating heat and a cover part spaced apart from the heating 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enclose the heating par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일측면이 평면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방열판과 면접촉을 하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cover portion
Wherein the one side surface is formed in a flat shape and is coupled to the heat sink in planar contact.
KR1020140070022A 2014-06-10 2014-06-10 Heating apparatus KR1016255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022A KR101625578B1 (en) 2014-06-10 2014-06-10 H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022A KR101625578B1 (en) 2014-06-10 2014-06-10 Hea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380A KR20150141380A (en) 2015-12-18
KR101625578B1 true KR101625578B1 (en) 2016-05-30

Family

ID=55081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022A KR101625578B1 (en) 2014-06-10 2014-06-10 Hea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557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2652B1 (en) * 2020-08-21 2021-12-23 주식회사 보성산업 Ceiling type radiant heating apparatus
KR102342645B1 (en) * 2020-08-21 2021-12-23 주식회사 보성산업 Ceiling type radiant heat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342641B1 (en) * 2020-08-21 2021-12-23 주식회사 보성산업 Radiant heating apparatus having deflection preventing func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0322A (en) * 2000-09-29 2002-04-12 Nok Corp Sheet heating element for mirror
KR101378499B1 (en) * 2013-01-30 2014-03-27 (주)썬레이텍 Heating apparatus applied to des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0322A (en) * 2000-09-29 2002-04-12 Nok Corp Sheet heating element for mirror
KR101378499B1 (en) * 2013-01-30 2014-03-27 (주)썬레이텍 Heating apparatus applied to des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380A (en) 2015-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5578B1 (en) Heating apparatus
TW201124671A (en) Lighting device
JP5059202B2 (en) LIGH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2015171308A (en) temperature difference power generator
JP3884023B2 (en) Electric cooker
JP2017009901A (en) Optical modulating element module and projection type display device
JP6220565B2 (en) lighting equipment
WO2019000530A1 (en) Backlight module set and mobile terminal
JP5511290B2 (en) Light emitting device
KR102501226B1 (en) electric heater
JP6269203B2 (en) Electronics
US20170328550A1 (en) Heat dissipation structure and illumination device
JP2006170551A (en) Ceiling radiation panel
JP7153857B2 (en) Laser light source unit
KR101454784B1 (en) Ceiling Fixture Type of Far-infrared Ray Heater
CN215991240U (en) Vertical microcrystal heating plate structure
JP6628476B2 (en) Heat radiator of heating element and surveillance camera device having the same
JP4736418B2 (en) Light irradiation device
JP7147877B2 (en) Thermoelectric conversion device installation method and thermoelectric conversion device
JP7016245B2 (en) Board fixing structure, lighting device and board fixing method
JP2015076335A (en) Lighting device
KR101936717B1 (en) Far Infrared Induction Heating Apparatus
KR20170072172A (en) Heating apparatus with radiator panels
KR102236270B1 (en)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CN220675794U (en) Liquid heating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