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5490B1 - 레그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 Google Patents

레그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5490B1
KR101625490B1 KR1020140084233A KR20140084233A KR101625490B1 KR 101625490 B1 KR101625490 B1 KR 101625490B1 KR 1020140084233 A KR1020140084233 A KR 1020140084233A KR 20140084233 A KR20140084233 A KR 20140084233A KR 101625490 B1 KR101625490 B1 KR 101625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protection plate
legs
guide rail
sea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4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5392A (ko
Inventor
박주신
장기복
조태민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4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490B1/ko
Publication of KR20160005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5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4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2B17/08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for raising or lowe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2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placed by lower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to the bottom, e.g. with subsequent fixing thereto
    • E02B17/021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placed by lower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to the bottom, e.g. with subsequent fixing thereto with relative movement between supporting construction and plat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56Platforms with supporting legs
    • E02B2017/006Platforms with supporting legs with lattice style supporting le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56Platforms with supporting legs
    • E02B2017/0073Details of sea bottom engaging footing
    • E02B2017/0082Spudcans, skirts or extended fe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그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유 성능을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본체와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 개의 레그, 상기 레그를 구성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기둥부, 상기 레그의 하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레그가 해수면 아래로 하강하여 해저에 고정될 ? 해저 내로 삽입되는 스퍼드캔, 및 상기 레그의 하부에 설치되고, 플레이트 형상의 몸체를 포함하는 방호판을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레그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FLOATING STRUCTURE INCLUDING LEG}
본 발명은 레그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다양한 부유식 구조물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중에는 자항능력을 갖추어 특정 위치로 이동한 후, 선체를 해상으로부터 들어올려 소정의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부유식 구조물도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 WTIV), 이동식 시추선(Mobile offshore drilling unit, MODU) 등의 부유식 구조물은 해상의 특정 위치로 이동하여 레그(leg)를 내려 선체를 고정한 후, 레그를 따라 선체를 들어올림으로써 작업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부유식 구조물에 있어서, 레그는 선체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제공되며, 선체에는 레그를 고정시키고 레그를 따라 선체를 승강시키기 위한 잭업하우스(Jack up house)등의 소정의 구조물이 마련된다.
이러한 부유식 구조물을 고정할 때, 레그를 해저면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는데, 이를 위해 상기 레그의 하단부에는 해저로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고, 해저면해 삽입되었을 때 파지력을 높이기 위한 스퍼드캔(spudcan)이 제공된다. 이러한 스퍼드캔이 해저로 일정 깊이 이상 침투함으로써 부유식 구조물이 고정된다. 스퍼드캔이 해저로 침투할 때 레그와 스퍼드캔의 자중에 의해 침투를 하게 되며, 침투력이 모자라는 경우에는 소정의 구동력을 추가하여 침투시킨다.
한편, 부유식 구조물이 작업 구역에 고정되어 정해진 임무를 수행하고, 해당 임무가 완료되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거나 항구로 귀환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되어 있던 레그를 해저로부터 뽑아서 선체로 회수한 후, 자항능력에 의해 또는 인양선에 의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게 된다.
레그가 해저로 삽입 고정될 때 통상적으로 20 m 이상 깊이 삽입되는바, 레그를 해저로부터 뽑아낼 때 스퍼드캔 상부에 쌓여있는 모래 등의 무게로 인해 과도한 힘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퍼드캔의 상면에 배출공을 복수 형성하고, 해당 배출공을 통해 공기 등을 분사하여 스퍼드캔 상부의 모래 등을 불어내면서 레그를 뽑아올리게 된다. 이를 위해, 레그 내부에 선체로부터 스퍼드캔으로 연결된 파이프 등의 분사라인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레그는 트러스 구조로 구성되고, 트러스 구조의 내부에 분사라인이 제공되므로, 레그가 해저로 20 m 이상 깊이 삽입되는 경우 모래 등의 중량에 의해 트러스 구조 내의 분사라인에 충격을 가할 수 있고, 이러한 충격에 의해 분사라인이 손상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자중에 의해 레그를 해저로 침투시켜야 하므로, 자중이 모자라는 경우 과도한 구동력을 제공해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레그를 해저로 침투시킬 때, 레그 내부의 분사라인 등의 구조물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레그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레그가 해저로 침투할 때 레그와 스퍼드캔의 자중을 용이하게 보완할 수 있는 레그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부유 성능을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본체와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레그; 상기 레그를 구성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기둥부; 상기 레그의 하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레그가 해수면 아래로 하강하여 해저에 고정될 ? 해저 내로 삽입되는 스퍼드캔; 및 상기 레그의 하부에 설치되고, 플레이트 형상의 몸체를 포함하는 방호판을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둥부는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방호판은 상기 복수 개의 기둥부 중 적어도 어느 두 개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레그에 설치될 때 상기 기둥부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가이드 레일을 통해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기 스퍼드캔의 상면에 도달할 때까지 하강하는 부유식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호판은 상기 기둥부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레그에 설치되는 부유식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복수 개의 기둥부 각각에 대하여 두 개씩 제공되고, 상기 복수 개의 기둥부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는 두 개의 가이드 레일 중어느 하나는 다른 기둥부에 제공되는 두 개의 가이드 레일 중 어느 하나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부유식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외측을 향해 개구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홈부; 상기 홈부를 구성하는 양측 벽부로부터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부; 및 상기 홈부의 내벽에 제공되는 볼 롤러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 롤러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 제공되는 부유식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호판은, 상기 몸체의 양단 측에 형성되는 슬라이드 가이드; 및 상기 몸체의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가 형성된 부분과 나머지 부분을 구분하도록 상기 몸체의 양 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슬라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방호판이 상기 레그에 설치될 때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가 상기 가이드 레일의 홈부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돌부가 상기 슬라이드 홈에 삽입되는 부유식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 롤러는 상기 방호판이 상기 레그에 설치될 때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와 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부유식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외측으로 개구된 형상의 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방호판은, 상기 몸체 양단측에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슬라이드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방호판이 상기 레그에 설치될 때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가 가이드 레일의 홈에 삽입되는 부유식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홈이 형성된 외측 벽면에 제공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는 단부에 제공되는 볼 롤러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호판이 상기 레그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상하방향 길이는 상기 레그가 해저로 침투한 높이와 동등하거나, 침투한 높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부유식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호판은,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레그를 해저로 깊이 침투시키더라도 레그 내부에 제공되는 구조물들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레그가 해저로 침투하기 위해 필요한 레그와 스퍼드캔의 자중을 용이하게 보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레그 구조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방호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방호판이 결합된 레그를 절단한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방호판이 레그에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방호판이 레그에 결합 완료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방호판이 결합된 레그를 절단한 횡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1)은 부유 성능을 구비한 본체(10), 상기 본체(1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레그(100) 및 각각의 레그(100)를 지지하는 레그 지지부(1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레그(100)가 본체(10)를 관통하는 것으로 묘사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레그(100)가 상기 본체(10)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부유식 구조물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부유식 구조물(1)은 해상에 풍력 발전기를 설치하기 위한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WTIV)이거나, 이동식 시추선(MODU)이거나, 또는 그 외에 레그(100)를 따라 해상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는 임의의 부유식 구조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유식 구조물(1)은 이동이 불가능하고 특정 지점에 고정 설치되는 해상 구조물일 수도 있다.
레그(100)는 본체(10)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그(100)와 본체(10)는 서로 상하 방향의 상대 운동을 하는 것으로서, 본체(10)가 해상에 떠있는 상태에서는 레그(10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고, 레그(100)가 해저에 고정이 된 상태에서는 본체(10)가 레그(100)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10)에는 레그(1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구멍(미도시)이 제공될 수 있으며, 레그 지지부(12)는 상기 구멍을 둘러싸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레그 지지부(12)는 레그(100)를 지지하며 레그(10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레그 지지부(12)는 본체(10)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레그(100)를 둘러싸고 있는 부분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레그 지지부(12)는 레그(100)를 지지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임의의 구조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레그 지지부(12)는 본체(10)의 내부에서 레그(100)를 둘러싸는 부분도 포함할 수 있다.
레그(100)는 본체(10)의 하방으로 이동되어 해저에 고정될 수 있으며, 본체(1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부유식 구조물(1)은 운항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레그(100)를 상방으로 이동시킨 상태로 이동할 수 있으며, 목적 위치에 다다른 경우 레그(100)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레그(100)의 하단부를 해저(B)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 후, 본체(10)는 레그(100)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체(10)는 레그(100)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한 후, 해수면(S)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해수면(S)으로부터 이격되어 고정된 상태로 크레인(14)을 이용하여 소정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레그(10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기둥부(110), 기둥부(110)를 연결하는 연결부(102), 레그(100)가 해저(B)에 삽입 고정되었을 때 레그(100) 내부의 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해 제공되는 방호판(120) 및 레그(100)의 하단부에 제공되는 스퍼드캔(130)을 포함한다. 이하, 레그(1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2는 도 1의 레그 구조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레그(100)는 상방에서 보았을 때 삼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기둥부(110)는 삼각형의 꼭지점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102)는 기둥부(11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복수 개가 기둥부(110)를 서로 연결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레그(100)는 연결부(102)에 의해 전체적으로 트러스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레그(100)의 내부에는 본체(10)로부터 스퍼드캔(130)으로 공기 등의 분사 유체를 수송하는 분사라인(104)을 포함할 수 있다.
기둥부(110)는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112)을 포함할 수 있고, 가이드 레일(112)은 외측을 향해 개구되고, 가이드 레일(11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홈부(114)와, 홈부(114)를 구성하는 양측 벽부로부터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부(116)와, 홈부(114)의 내벽에 제공되고 가이드 레일(112)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 배치되는 볼 롤러(118)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12)은 레그(100)를 구성하는 모든 기둥부(110)에 두 개씩 제공될 수 있으며, 플레이트 형상의 몸체(122)를 포함하는 방호판(120)이 가이드 레일(112)에 삽입되어 레그(100)에 설치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기둥부(110)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는 두 개의 가이드 레일(112) 중 어느 하나는 다른 기둥부(110)에 제공되는 두 개의 가이드 레일(110) 중 어느 하나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방호판(120)은 가이드 레일(112)에 양 단이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이 자유롭게 제공될 수 있고, 레그(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레그(100)가 해저(B) 내로 삽입될 때 레그(100) 내부의 분사라인(104) 등의 내부 구조물을 해저(B)를 구성하는 모래 등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하, 방호판(120)의 구체적인 형상과 방호판(120)이 레그(100)에 설치된 상태에 대하여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3은 도 1의 방호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방호판이 결합된 레그를 절단한 횡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방호판(120)은 플레이트 형상의 몸체(122), 몸체(122)의 양단 측에 형성되는 슬라이드 가이드(124), 몸체(122)의 슬라이드 가이드(124)가 형성된 부분과 나머지 부분을 구분하도록 몸체(122)의 양 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슬라이드 홈(126) 및 몸체(122)의 일면에서 타면으로 관통 형성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128)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128)은 방호판(120)이 해저(B)에 의한 횡방향의 표면압을 적게 받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다.
방호판(120)은 해저에 설치되어야 하므로 내부식성이 뛰어나고, 충격에 잘 견디도록 강성이 높은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레그(100)와 스퍼드캔(130)의 자중을 보상하도록 하중이 큰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방호판(120)이 레그(100)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상하방향 길이는 레그(100)가 해저(B)로 침투한 높이와 동등하거나, 침투한 높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20 m일 수 있다.
슬라이드 가이드(124)는 가이드 레일(112)의 홈부(114)에 삽입되도록 홈부(114)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슬라이드 홈(126)은 돌부(116)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호판(120)은 레그(100)의 기둥부(110)의 상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스퍼드캔(130)의 상면에 도달할 때까지 하강하고, 이때 방호판(120)의 슬라이드 가이드(124)가 레그(100)의 가이드 레일(11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레일(112)의 벽면에 제공되는 볼 롤러(118)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시 마찰 저항이 최소화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볼 롤러(118)가 가이드 레일(112) 측에 제공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볼 롤러(118)가 슬라이드 가이드(124)의 외벽 측에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방호판(120)과 가이드 레일(112)은 각각의 기둥부(110)의 중심을 연결한 중심선(C)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방호판(120)이 설치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트러스 구조를 이루는 연결부(102)는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 중심선(C)으로부터 레그(100)의 내측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레그(100) 및 레그(100)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5는 도 1의 방호판이 레그에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방호판이 레그에 결합 완료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부유식 구조물(1)이 작업 영역에 도착하여 레그(100)를 해수면(S) 아래로 낙하시켜서, 스퍼드캔(130)과 레그(100)가 자중에 의해 일차적으로 해저(B) 아래로 침투할 수 있다. 이때, 스퍼드캔(130)과 레그(100)의 자중만으로는 해저(B) 아래 소망하는 깊이까지 침투시키는 것이 어렵다면 레그 지지부(12)에 제공되는 구동장치(미도시)를 통해 추가적인 구동력을 제공하여 해저(B)로 침투하는 힘을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레그(100)가 해저(B) 내로 침투하기 전에 방호판(120)이 설치될 수 있으며, 스퍼드캔(130)이 해저(B)에 닿기 전에 설치될 수 있다. 방호판(120)을 레그(100)에 설치할 때, 본체(10)의 선상에 구비된 크레인(14)에 의해 방호판(120)을 들어 올린 상태로 레그(100)의 상부에 위치를 설정한 후, 방호판(120)의 슬라이드 가이드(124)가 레그(100)의 가이드 레일(112)의 홈부(114)에 삽입될 수 있다. 이후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호판(120)이 볼 롤러(118)에 의해 지지되면서 스퍼드캔(130)을 향해 슬라이드 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퍼드캔(130)의 상면(132)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방호판(120)이 자중에 의해 자유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도 있지만, 수중 작업 로봇(ROV) 등과 같은 장비를 동원하여 스퍼드캔(130)의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방호판(120)이 스퍼드캔(130)의 상면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스퍼드캔(130)의 상면(132)에 방호판(120)이 충돌하면서 스퍼드캔(130)에 하중을 전달할 수 있고, 전달된 하중에 의해 스퍼드캔(130)이 해저(B)의 내부로 더 깊이 침투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레그(100)가 하나씩 해저(B)로 내려가면서 부유식 구조물(1)이 순간적으로 일측으로 기울어지거나, 파도 등에 의한 횡동요에 의해 본체(10)가 흔들리는 경우, 방호판(120)이 가이드 레일(112)을 따라 상승과 하강을 반복할 수 있고, 이러한 반복 운동으로 인해 스퍼드캔(130)에 지속적으로 하중을 전달할 수 있다. 이처럼 망치로 못을 때려서 박아 넣는 것과 같이 스퍼드캔(130)을 때림으로써, 스퍼드캔(130)이 해저(B) 내부로 깊숙하게 삽입 되어 레그(100)가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레그(100)를 해저(B)로 깊이 침투시키더라도 레그(100) 내부에 제공되는 분사라인(104) 등과 같은 구조물들이 방호판(120)에 의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구조물들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레그(100)가 해저(B)로 침투하기 위해 필요한 레그(100)와 스퍼드캔(130)의 자중을 용이하게 보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그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방호판이 결합된 레그를 절단한 횡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 레그(100)의 기둥부(110)와 방호판(120)이 결합되는 구조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설명 및 도면부호는 원용하겠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둥부(210)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212)은 외측으로 개구된 형상의 홈(214)이 가이드 레일(212)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홈(214)이 형성된 외측 벽면에는 탄성부재(216)가 제공될 수 있다.
탄성부재(216)는 충격 흡수 기능이 있는 우레탄, 고무 등의 소재 또는 저마찰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방호판(220)의 몸체(222) 양단측에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슬라이드 가이드(224)는 단부에 복수 개의 볼 롤러(22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볼 롤러(226)가 슬라이드 가이드(224)에 제공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볼 롤러(226)가 가이드 레일(212) 측에 제공되는 경우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 방호판(220)의 슬라이드 가이드(224)는 가이드 레일(212)의 상면에서부터 삽입되어 하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고, 볼 롤러(226)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시의 마찰력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이동 과정에서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탄성부재(216)로 인해 슬라이드 가이드(224)와 가이드 레일(212)이 서로 충돌하더라도 그 충격이 흡수될 수 있으며, 가이드 레일(212)과 슬라이드 가이드(224) 간에 접촉되는 면적이 앞서 설명된 실시예에 비하여 작으므로, 슬라이드 이동시 벽면간의 접촉으로 인한 재료의 마모 등이 제한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그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부유식 구조물 10: 본체
12: 레그 지지체 14: 크레인
100: 레그 102: 연결부
104: 분사라인 110, 210: 기둥부
112, 212: 가이드 레일 114: 홈부
116: 돌부 118, 226: 볼 롤러
120, 220: 방호판 122, 222: 몸체
124, 224: 슬라이드 가이드 126: 슬라이드 홈
128: 관통홀 130: 스퍼드캔
132: 스퍼드캔 상면 216: 탄성부재

Claims (9)

  1. 부유 성능을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본체와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레그;
    상기 레그를 구성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기둥부;
    상기 레그의 하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레그가 해수면 아래로 하강하여 해저에 고정될 때 해저 내로 삽입되는 스퍼드캔; 및
    상기 레그의 하부에 설치되고, 플레이트 형상의 몸체를 포함하는 방호판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외측을 향해 개구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홈부;
    상기 홈부를 구성하는 양측 벽부로부터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부; 및
    상기 홈부의 내벽에 제공되는 볼 롤러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호판은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자유롭게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을 통해 상기 기둥부에 삽입되어 상기 레그에 설치되는 부유식 구조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호판은 상기 복수 개의 기둥부 중 적어도 어느 두 개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기둥부의 상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기 방호판의 하단이 상기 스퍼드캔의 상면에 도달할 때까지 하강하는 부유식 구조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복수 개의 기둥부 각각에 대하여 두 개씩 제공되고,
    상기 복수 개의 기둥부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는 두 개의 가이드 레일 중 어느 하나는 다른 기둥부에 제공되는 두 개의 가이드 레일 중 어느 하나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부유식 구조물.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호판은,
    상기 몸체의 양단 측에 형성되는 슬라이드 가이드; 및
    상기 몸체의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가 형성된 부분과 나머지 부분을 구분하도록 상기 몸체의 양 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슬라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방호판이 상기 레그에 설치될 때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가 상기 가이드 레일의 홈부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돌부가 상기 슬라이드 홈에 삽입되는 부유식 구조물.
  7. 부유 성능을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본체와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레그;
    상기 레그를 구성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기둥부;
    상기 레그의 하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레그가 해수면 아래로 하강하여 해저에 고정될 때 해저 내로 삽입되는 스퍼드캔; 및
    상기 레그의 하부에 설치되고, 플레이트 형상의 몸체를 포함하는 방호판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외측으로 개구된 형상의 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홈이 형성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외측벽면에는 탄성부재가 제공되고,
    상기 방호판은,
    상기 몸체 양단측에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단부에는 볼롤러가 제공되는 슬라이드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방호판은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가 상기 가이드 레일의 홈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레그에 설치되는 부유식 구조물.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호판이 상기 레그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상하방향 길이는 상기 레그가 해저로 침투한 높이와 동등하거나, 침투한 높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며,
    상기 방호판은,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KR1020140084233A 2014-07-07 2014-07-07 레그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KR101625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233A KR101625490B1 (ko) 2014-07-07 2014-07-07 레그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233A KR101625490B1 (ko) 2014-07-07 2014-07-07 레그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392A KR20160005392A (ko) 2016-01-15
KR101625490B1 true KR101625490B1 (ko) 2016-05-31

Family

ID=55173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4233A KR101625490B1 (ko) 2014-07-07 2014-07-07 레그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54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2870A (ko) 2018-11-27 2020-06-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지반 고착화장치
KR20200069022A (ko) 2018-12-06 2020-06-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지반침하 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12067B (zh) * 2017-01-11 2019-02-01 温州万里市政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桥梁建设的可移动施工平台
KR101973072B1 (ko) * 2017-11-23 2019-04-26 삼성중공업(주) 해양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2870A (ko) 2018-11-27 2020-06-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지반 고착화장치
KR20200069022A (ko) 2018-12-06 2020-06-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지반침하 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392A (ko) 2016-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5490B1 (ko) 레그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US8287212B2 (en) Cantilever system and method of use
KR101713850B1 (ko) 길이조정이 가능한 레그를 갖는 잭업 리그
US864132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offshore structures
US10801270B2 (en) Jack-up rig for performing multiple independent operations simultaneously
WO2008152512A3 (en) Track-mounted crane support
KR101625489B1 (ko) 레그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WO2016175657A1 (en) Cantilever system for an offshore platform
EP2653615B1 (en) Jacking system and method for relative movement of a leg with respect to a platform
KR101334831B1 (ko) 부유식 구조물의 스퍼드캔
KR101750889B1 (ko)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 고정 장치
KR101557441B1 (ko) 잭업레그를 갖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KR101681257B1 (ko) 가변중량탱크를 갖는 부유식 구조물
KR101863824B1 (ko) 부유식 구조물
KR102449050B1 (ko) 해양 구조물
KR101859610B1 (ko) 무어링 장치
KR102448934B1 (ko) 스퍼드캔의 클리닝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JP6715452B2 (ja) 杭式構造物の地盤流動対策構造及びその工法
CN106194025A (zh) 海上凿岩施工工艺及设备
KR101614712B1 (ko) 시추선
KR102006923B1 (ko) 스퍼드캔 플랫폼 유닛 및 이를 갖는 부유식 구조물
KR101563672B1 (ko) 해양구조물
KR101843146B1 (ko) 시추선의 트롤리 시트 구조
KR20190003251A (ko) 해상구조물 지지 구조
KR20180002074U (ko) 잭업 리그의 레그 인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4